KR100501105B1 -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한 피니셔 - Google Patents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한 피니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105B1
KR100501105B1 KR10-2003-0020779A KR20030020779A KR100501105B1 KR 100501105 B1 KR100501105 B1 KR 100501105B1 KR 20030020779 A KR20030020779 A KR 20030020779A KR 100501105 B1 KR100501105 B1 KR 10050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ssage
conveying
finisher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5921A (ko
Inventor
이주형
김태홍
추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03-002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10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6Deodorising or perfu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장치에 장착되어 용지를 정렬하고 적재하는 용지 임시 적재기구를 구비한 피니셔에 관한 것으로, 피니셔에 용지임시저장부를 구비하여 전공정과 후공정 사이에 소정 시간을 확보하여, 고속으로 배출되는 용지를 접거나 철하는 후공정의 원활한 작업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용지 임시 적재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지가 이송되는 주이송통로 및 서브이송통로를 갖는 이송통로; 상기 이송통로 상의 소정 부위에 위치하여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통로 상의 소정 부위에 위치하여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이송통로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수단의 강제이송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소정 시간동안 적재하는 임시적재부를 포함하는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한 피니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한 피니셔{Finisher with sheet buffer}
본 발명은 용지 임시 적재기구에 관한 것으로, 피니셔에 용지임시저장부를 구비하여 전공정과 후공정 사이에 소정 시간을 확보하여, 고속으로 배출되는 용지를 접거나 철하는 후공정의 원활한 작업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용지 임시 적재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여, 종래의 피니셔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피니셔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피니셔는 용지투입구(10)를 거친 첫번째 용지가 제1 경로(20a)를 통하여 이송수단(30)에 이루고, 두번째 용지는 제2 경로(20b)를 통하여 이송수단(30)에 이르게 되어 첫번째 용지와 두번째 용지가 겹쳐지게 되어 이송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니셔는 여러 장의 용지를 동시에 배출하기 위해서는 두개 혹은 그 이상의 경로가 필요하고, 상기 다수개의 경로는 기구 설계상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기구의 제조비용도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임시저장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용지이송경로만을 구비하여도 상기의 종래 기술의 피니셔와 같은 용지 동시 배지의 기능을 가질 뿐 아니라, 종래 기술에 비해 기구의 구성상 간단한 구성이 될 수 있게 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기 위한 용지 임시 적재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지가 이송되는 주이송통로 및 서브이송통로를 갖는 이송통로; 상기 이송통로 상의 소정 부위에 위치하여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통로 상의 소정 부위에 위치하여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이송통로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수단의 강제이송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소정 시간동안 적재하는 임시적재부를 포함하는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하는 피니셔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하는 피니셔는, 피니셔에 용지임시저장부를 구비하여 전공정과 후공정 사이에 소정 시간을 확보하여, 고속으로 배출되는 용지를 접거나 철하는 후공정의 원활한 작업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니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하는 피니셔는, 용지가 이송되는 주이송통로(22) 및 서브이송통로(23)를 갖는 이송통로(21); 상기 이송통로(21) 상의 소정 부위에 위치하여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수단(31, 32, 33); 상기 이송통로(21) 상의 소정 부위에 위치하여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40); 및 상기 이송통로(21)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수단(31, 32, 33)의 강제이송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소정 시간동안 적재하는 임시적재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통로(21)는 주이송통로(22) 및 상기 임시적재부(50)로 통하는 서브이송통로(23)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31, 32. 33)은, 상기 주이송통로(22)의 입구에 위치하여 상기 주이송통로(22)에 진입한 용지를 가압이송시키는 제1 이송수단(31)과, 상기 주이송통로(22)와 서브이송통로(23)의 경계부 부근에 위치하여 용지를 용지배출구(미도시)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수단(32), 및 상기 서브이송통로(23) 상에 위치하여 상기 임시적재부(50)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2 이송수단(32)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수단(33)을 포함한다.
상기 주이송통로(22)와 서브이송통로(23)는, 상기 제1 이송수단(31)과 제2 이송수단(32)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주이송통로(22)는 제2 이송수단(32) 쪽으로 연장되어 용지배출구(미도시)까지 형성되고, 상기 서브이송통로(23)는 임시적재부(50)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이송수단(31)은, 상기 주이송통로(22)에 진입한 용지를 제2 이송수단(32) 쪽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 이송수단(32)은, 상기 제1 이송수단(31)에서 이송된 용지 및 상기 제3 이송수단(33)에 의해 임시적재부(50)에서 이송된 용지를 상기 용지배출구(미도시) 쪽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3 이송수단(33)은, 상기 임시적재부(50)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2 이송수단(32)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감지수단(40)은, 상기 제2 이송수단(32)으로 이송되는 첫번째 용지(즉, 주이송통로(22)로 진입한 제1용지)의 후단이 감지수단(40)을 지나서 소정 시간 후 상기 제2 이송수단(32)의 역회전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용지를 서브이송통로(23)로 보내어 상기 임시적재부(50)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용지(즉, 주이송통로(22)로 진입한 첫번째 용지(제1용지))의 후단이 감지수단(40)을 통과할 때, 상기 용지의 전단은 제2 이송수단(32)에 물려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용지의 후단이 상기 주이송통로(22)와 서브이송통로(23)의 분기점을 통과할 때 상기 감지수단(40)이 상기 제2 이송수단(32)에 보낸 역회전 구동신호의해 용지는 임시적재부(5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하는 피니셔의 용지배급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번째 용지(즉, 주이송통로(22)로 진입한 제1용지)가 상기 주이송통로(22)에 진입하여 제1 이송수단(31)에 의해 상기 제2 이송수단(32)으로 이송되고, 상기 첫번째 용지의 후단이 상기 감지수단(40)을 통과하여 상기 주이송통로(22)와 서브이송통로(23)의 분기되는 부분을 지나는 순간 상기 제2 이송수단(32)은 역회전 구동하여 제2 이송수단(32)에 물려있던 상기 첫번째 용지는 상기 서브이송통로(23)로 이송되어 임시적재부(50)에 안착하게 된다.
다음에, 두번째 용지(즉, 상기 제1용지에 이어서 진입한 제2용지)가 상기 주이송통로(22)에 진입하여 상기 감지수단(40)에 감지되면, 상기 제3 이송수단(33)이 회전구동하여 상기 임시적재부(50)에 적재되어 있던 첫번째 용지를 상기 제2 이송수단(32) 방향으로 이송시켜서 상기 제1 이송수단(31)에 의해 이송된 두번째 용지와 상기 제3 이송수단(33)에 의해 이송된 첫번째 용지와 겹쳐서 두장의 용지가 동시에 피니셔 외부로 배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하는 피니셔는 별도의 임시저장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용지이송경로만을 구비하여도 종래기술의 피니셔와 같은 용지 동시 배지의 기능을 가질 뿐 아니라, 종래기술에 비해 기구의 구성상 간단한 구성이 될 수 있게 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하는 피니셔는, 용지 처리 과정 중 접기 또는 철하기 등의 후공정이 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원활한 후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피니셔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니셔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지투입구 20a: 제1 경로
20b: 제2 경로 21: 이송통로
22: 주이송통로 23: 서브이송통로
30: 이송수단 31: 제1 이송수단
32: 제2 이송수단 33: 제3 이송수단
40: 감지수단 50: 임시적재부

Claims (3)

  1. 용지가 이송되는 주이송통로 및 서브이송통로를 갖는 이송통로;
    상기 이송통로 상의 소정 부위에 위치하여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통로 상의 소정 부위에 위치하여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이송통로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수단의 강제이송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소정 시간동안 적재하는 임시적재부
    를 포함하는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하는 피니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주이송통로의 입구에 위치하여 상기 주이송통로에 진입한 용지를 가압이송시키는 제1 이송수단;
    상기 주이송통로와 서브이송통로의 경계부 부근에 위치하여 용지를 용지배출구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수단; 및
    상기 서브이송통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임시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2 이송수단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수단
    을 포함하는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하는 피니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주이송통로에 진입한 제1용지의 후단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2 이송수단으로 역회전 구동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용지에 이어서 진입한 제2용지의 전단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2 이송수단으로 정회전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하는 피니셔.
KR10-2003-0020779A 2003-04-02 2003-04-02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한 피니셔 KR100501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779A KR100501105B1 (ko) 2003-04-02 2003-04-02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한 피니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779A KR100501105B1 (ko) 2003-04-02 2003-04-02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한 피니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921A KR20040085921A (ko) 2004-10-08
KR100501105B1 true KR100501105B1 (ko) 2005-07-18

Family

ID=3736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779A KR100501105B1 (ko) 2003-04-02 2003-04-02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한 피니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1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921A (ko) 200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300656A5 (ko)
KR100501105B1 (ko) 용지임시적재기구를 구비한 피니셔
JP2005221518A (ja) 画像形成装置
JP7159706B2 (ja) 中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8246036B2 (en) Paper sheet handling machine
KR100990762B1 (ko) 시이트를 역전시키는 장치
JP2014141022A (ja) 製本装置
JP2723864B2 (ja) 紙葉類の重ね合わせ機構
JP2014073881A (ja) 用紙搬送装置
CN114920059A (zh) 输送装置
JP5031722B2 (ja) 布類の判別装置
JP2010202329A (ja) 用紙搬送装置、用紙仕分け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95380B2 (ja)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35285B2 (ja)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271119B2 (ja) 用紙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842357B2 (ja) 印刷装置
JP4818398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2209358A (ja) シート材排出装置
CN112573253A (zh) 印刷介质翻转装置
JP2001058757A (ja) 用紙供給装置
JP2024017118A (ja) 封入装置、封入封緘装置及び封入封緘システム
JPS60153364A (ja) 用紙反転装置
KR100761105B1 (ko) 용지버퍼장치
JP2003201052A (ja) 画像形成装置
JP4180811B2 (ja) シート部材後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