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875B1 - 자동차용 아이 좌석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아이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875B1
KR100499875B1 KR10-2003-0044493A KR20030044493A KR100499875B1 KR 100499875 B1 KR100499875 B1 KR 100499875B1 KR 20030044493 A KR20030044493 A KR 20030044493A KR 100499875 B1 KR100499875 B1 KR 100499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seat
belt
seat body
shiel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602A (ko
Inventor
카사이켄조우
이노우에케이지
요시다아츠요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3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front guard 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side 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좌하고 있는 아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자동차용 아이 좌석(10)은, 저벽(1) 및 등받이벽(2)을 포함하는 좌석 본체와,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양 어깨의 위로부터 양 넙적다리 사이까지 연장된 V자 형상의 실드 구조체(20)를 구비한다.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는, V자 모양으로 연장된 벨트(30)와, 벨트(30)를 삽통시키는 벨트 안내부재(24)와, 벨트 안내부재(24)의 주위를 둘러싸는 탄성 커버(2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아이 좌석{Child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좌석에 탈착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좌하는 아이를 구속하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차용 아이 좌석에는, 생후 9개월 정도부터 초등학생(11세 정도)까지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주니어 시트와, 유소아를 대상으로 한 차일드 시트가 있다. 차일드 시트의 경우, 차일드 시트에 설치한 벨트에 의해 유소아의 신체를 구속한다. 한편, 주니어 시트의 경우, 착좌하는 아이의 전방에 위치한 실드 부재를 마련함으로서 아이를 구속하거나, 자동차에 설치한 시트 벨트에 의해 아이를 구속하기도 한다.
일본 특개2001-213206호 공보에 개시된 주니어 시트는, 착좌하는 아이의 복부 및 다리부를 전방 및 양 측방으로부터 둘러싸는 실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 실드 부재에 의해 아이가 전방으로 튀어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01-213206호 공보
실드 부재를 구비한 종래의 주니어 시트의 경우, 전방 충돌시에 있어서의 아이의 전방으로 튀어나감을 막을 수 있지만,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아이의 보호가 불충분하다. 특히, 머리가 무방비 상태로 되어 있는 주니어 시트의 경우, 측면 충돌시에 측두부를 강타할 우려가 있다. 실드 부재는, 아이의 윗측으로의 튀어나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차가 옆으로 전복(橫轉)될 때, 아이가 주니어 시트로부터 윗측으로 튀어나갈 우려도 있다.
유소아용의 차일드 시트의 경우, 이른바 목매달림 상태를 회피하여야만 한다. 차일드 시트에 설치한 어깨 벨트는, 느슨하게 인장하면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소아의 머리가 어깨 벨트를 빠져나가, 목매달림 상태로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착좌하고 있는 아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아이 좌석은, 저벽 및 등받이벽을 포함하는 좌석 본체와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신체를 구속하기 위해, 아이의 양 어깨의 위로부터 아랫측으로 연장된 V자 형상의 실드 구조체를 구비한다.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아이의 전방 및 윗측으로의 튀어나감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또한,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도,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아이의 머리의 측방으로의 이동을 유효하게 저지한다. 또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강성이 있기 때문에, 머리가 빠져 나올 걱정은 없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아이의 양 넙적다리 사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좌석 본체가 등받이벽과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배면 접촉부와, 저벽으로부터 이격가능한 좌면 접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은 V자 형상 실드 구조체의 좌면 접촉부와, 좌석 본체의 저벽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버클을 더 구비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V자 모양으로 연장된 벨트와, 벨트를 삽통시키는 벨트 안내부재와, 벨트 안내부재의 주위를 둘러싸는 탄성 커버를 포함한다. 탄성 커버는, 착좌하는 아이에 대해 부드러운 감촉을 준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커버는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양 어깨 위에서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깨닿음부를 포함한다.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어깨닿음부는, 아이가 윗측으로 이동할 때, 양 어깨에의 충격을 완화하면서 양 어깨를 안정되게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탄성 커버는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허리 부분을 향하여 뻗어나와 있는 한쌍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측방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서, 착좌한 아이의 허리 위치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커버는 좌석 본체에 착좌한 남아의 급소에 접촉하는 부분에 오목부를 갖고 있다.
전형적으로는, 탄성 커버는 비드 발포체이다. 비드(bead) 발포체는 탄력성이 있고, 작은 충격력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이에 대해, 부드러운 감촉을 줄 수 있다.
또한, 전형적으로는, 벨트 안내부재는 블로우 성형된 수지이다. V자 형상 실드 구조체가 벨트와, 블로우 성형된 수지제의 벨트 안내부재와, 비드 발포체로 된 탄성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이러한 구조체를 커터로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긴급시에 V자 형상 구조체를 절단하여 아이를 탈출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좌석 본체는 상기 등받이벽의 양 측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은 한쌍의 측벽을 포함한다. 각 측벽은, 그 전방 부분에 노치부를 그 후방 부분에 개구부를 갖는다. 자동차에 설치한 안전 벨트는 상기의 노치부 또는 개구부에 통과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자동차용 아이 좌석은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이 프레임 어셈블리는 좌석 본체의 등받이벽 및 저벽의 양 측부에 따라 연장된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과,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의 윗측 부분을 연결하는 금속제의 상부 연결 로드와,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의 아랫측 부분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 로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V자 모양으로 연장된 벨트는, 금속제 상부 연결 로드를 감아 상기 하부 연결 로드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라면, 금속제 상부 연결 로드에 충격 하중이 작용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시에 금속제 상부 연결 로드는 소성 변형하여, 어느 정도의 충격력을 흡수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자동차용 아이 좌석은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이 프레임 어셈블리는 좌석 본체의 등받이벽 및 저벽의 양 측부에 따라 연장된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 각 L자 모양 프레임의 종방향 연장 부분과 수평 방향 연장 부분을 접속하는 상부 보강 프레임 및 하부 보강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부 보강 프레임은, 각 측벽의 전방 노치부에 있는 벨트 지탱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고, 하부 보강 프레임은 각 측벽의 후방 개구부에 있는 벨트 지탱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라면, 상부 및 하부 보강 프레임은, 프레임 어셈블리의 구조를 강화하는 것에 더하여 벨트 지탱면의 강도도 높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자동차용 아이 좌석은, 좌석 본체의 저벽으로부터 아이의 양 넙적다리 사이를 윗측으로 연장된 넙적다리 패드와, V자 형상 실드 구조체의 하단부와 넙적다리 패드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버클을 더 구비한다. 넙적다리 패드 대신에 넙적다리 벨트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넙적다리 벨트와 넙적다리 패드를 결합한 것이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넙적다리 패드는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허리 부분을 향하여 뻗어나와 있는 한쌍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한다. 자동차용 아이 좌석은 바람직하게는 넙적다리 패드를 좌석 본체의 저벽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 수단을 더 구비한다.
또다른 실시 형태에서, 자동차용 아이 좌석은 V자 형상 실드 구조체에 연결되고, 좌석 본체가 등받이벽 배면으로부터 저벽을 통과하여 저벽의 전방단으로 인출되는 벨트와, 저벽의 전방단에 마련되고, 벨트의 이동을 금지하기 위한 로크 부재를 더 구비한다.
아이가 성장하여 컸을 단계에는,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를 좌석 본체로부터 떼어낸다. 이 경우에는, 차에 설치한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아이의 신체를 구속한다. 넙적다리 패드를 구비한 실시 형태의 경우, 넙적다리 패드를 좌석 본체에 접속한 상태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넙적다리 패드는 그 앞면에 차에 설치한 어깨 벨트를 안내하기 위한 어깨 벨트 안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형태에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좌석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폐쇄 위치는 아이의 신체를 구속하는 위치이고, 개방 위치는 아이를 좌석 위에 태우거나 좌석에서 내리기 위해 좌석 본체의 앞면을 개방하는 위치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자동차용 아이 좌석은, 예를 들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를 항상 개방 위치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자동차용 아이 좌석(10)은, 생후 9개월 정도부터 초등학생까지의 아이를 대상으로 하는 주니어 시트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고, 좌석 본체와 V자 형상의 실드 구조체(20)를 구비한다. 좌석 본체는 저벽(1)과, 등받이벽(2)과, 등받이벽의 양 측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은 한쌍의 측벽(3)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한쌍의 측벽(3)은 저벽(1) 및 등받이벽(2)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측벽(3)은, 전방 부분에 노치(4)(전방 노치부)를 가지며, 후방 부분에 개구부(5)(후방 개구부)를 갖는다. 자동차에 설치한 시트 벨트를 전방 노치부(4) 또는 후방 개구부(5)에 통과시킴에 의해, 자동차용 아이 좌석(10)을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한다.
아이의 체중이 9kg(생후 9개월 정도) 내지 18kg(4세 정도까지)까지의 사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를 장착한다. 이 경우, 자동차에 설치한 시트 벨트는 후방 개구부(5)를 통과되고, 후방 개구부(5)의 저벽(5a)이 벨트 지탱면이 된다.
아이의 체중이 15kg 내지 36kg(11세 정도)까지의 사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를 분리한다. 이 경우, 자동차에 설치한 시트 벨트는 전방 노치부(4)를 통과되고, 전방 노치부(4)의 저벽(4a)이 벨트 지탱면이 된다.
도 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좌석 본체의 등받이벽(2)의 윗측 영역에 벨트 통과 구멍(6)이 마련되고, 저벽(1)의 전방 영역에 버클 받이 구멍(7)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는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양 어깨의 위로부터 양 넙적다리 사이까지 연장된다. 구체적으로는,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는 아이의 양 어깨의 위로 연장된 한쌍의 종봉부(21)와, 한쌍의 종봉부(21)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22)를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V자 형상 구조체(20)는 또한, 착좌하는 아이의 허리 부분을 향하여 뻗어 있는 한쌍의 측방 돌출부(23)를 포함한다. 하나의 측방 돌출부(23)는 착좌한 아이의 허리의 위치를 안정시킨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아이 좌석은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프레임 어셈블리는 좌석 본체의 등받이벽(2) 및 저벽(1)의 양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40)과,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4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연결 프레임(41)과,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40)의 전단을 연결하는 전단 연결 프레임(41)과, 각 L자 모양 프레임(40)의 종방향 연장 부분과 수평 방향 연장 부분을 연결하는 상부 보강 프레임(43) 및 하부 보강 프레임(44)과,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40)의 윗측 부분을 연결하는 금속제의 상부 연결 로드(45)와,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40)의 아랫측 부분을 연결하는 금속제의 하부 연결 로드(46)와,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40)의 전방 부분을 연결하는 금속제의 앞부분 연결 로드(47)를 포함한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는, V자 모양으로 연장된 벨트(30)와, 이 벨트(30)를 삽통시키는 벨트 안내부재(24)와, 벨트 안내부재(24)를 둘러싸는 탄성 커버(25)를 포함한다. 도 6에서는, 벨트 안내부재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4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V자 모양으로 연장된 벨트(30)는, 그 중앙 부분, 즉 V자 형상의 선단 부분에 삽입 금구(31)를 가진다. 프레임 어셈블리의 앞부분 연결 로드(47)에는 베이스 벨트(33)를 통하여 받침 금구(32)가 부착되어 있다. 삽입 금구(31)를 받침 금구(32)에 끼움에 의해, V자 모양 벨트(30)의 장착 상태로 로크된다. 받침 금구(32)는, 도 2에 도시한 저벽(1)의 버클 받이 구멍(7) 내에 수납되도록 한다.
V자 모양 벨트(30)는, 도 2에 도시한 등받이벽(2)의 벨트 통과 구멍(6)을 통과하여 좌석 본체의 배후로 인도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모양 벨트(30)는 프레임 어셈블리의 금속제 상부 연결 로드(45)를 권회하고, 또한 하부 연결 로드(46)를 권회하여 고정구(34)로 고정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에는 벨트(30)를 통하여 상부 연결 로드(45)에 전방을 향하는 충격 하중이 작용한다. 이 때, 금속제 상부 연결 로드(45)는 소성 변형해 어느 정도의 충격력을 흡수한다.
도 7을 참조하여 V자 형상의 실드 구조체(20)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다. 벨트 안내부재(24)는 바람직하게는, 블로우 성형된 수지이다. 또한, 탄성 커버(25)는 바람직하게는 탄력성이 있고, 작은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는 비드 발포체이다. 이와 같은 단면 구조는,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의 종봉부(21) 및 연결부(22)에 채용된다.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의 측방 돌출부(23)는 예를 들면, 비드 발포체만으로 형성된다.
벨트(30), 벨트 안내부재(24) 및 탄성 커버(25)는 각각 나이프 또는 커터로 의해 끊어 절단하는 것이 가능한 소재이다. 따라서 긴급시에 삽입 금구(31)와 받침 금구(32)를 분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를 나이프 또는 커터로 절단하고 아이를 탈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전상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의 연결부(22)의 아랫측에는, 착좌한 남아의 급소를 압박하지 않도록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의 탄성 커버(25)는, 좌석 본체의 등받이벽(2)에 맞닿는 배면 접촉부(27)와, 저벽(1)에 맞닿는 좌면 접촉부(28)와,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양 어깨 위에서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어깨닿음부(29)를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배면 접촉부(27)와 등받이벽(2)과의 접속 상태는 항상 유지되지만, 좌면 접촉부(28)는 저벽(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V자 모양으로 연장된 벨트(30)에 부착된 삽입 금구(31)와, 앞부분 연결 로드(47)에 연결된 받침 금구(32)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 커버(25)의 배면 접촉부(27)가 등받이벽(2)에 면접촉하고, 좌면 접촉부(28)가 저벽(1)에 면접촉한다. 따라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의 자세 및 위치가 안정된다.
탄성 커버(25)의 어깨닿음부(29)는, 착좌한 아이의 양 어깨 위에서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가 충격력에 의해 윗측으로 이동했을 때, 양 어깨로의 충격을 완화하면서 양 어깨를 안정되게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는, 아이의 양 어깨를 심하게 구속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깨닿음부(29)는 아이의 양 어깨보다도 간격을 두고 위에 위치한다.
실드 부재를 구비한 종래의 주니어 시트의 경우, 실드 부재의 위치는 신체가 작은 유아에 있어서 꽤 높은 곳에 있다. 그 때문에, 유아의 양 손의 움직임이 제약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를 구비한 경우에는 양 손의 움직임은 비교적 자유롭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프레임 어셈블리의 상부 보강 프레임(43) 및 하부 보강 프레임(44)의 작용을 설명한다. 말할 필요도 없이, 상부 보강 프레임(43) 및 하부 보강 프레임(44)은 프레임 어셈블리의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의 형상을 강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에 더하여,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상부 보강 프레임(43)은 좌석 본체의 각 측벽(3)의 전방 노치부(4)에 있는 벨트 지탱면(4a)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도록 작용하고, 하부 보강 프레임(44)은 좌석 본체의 각 측벽(3)의 후방 개구부(5)에 있는 벨트 지탱면(5a)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도록 작용한다.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는,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양 어깨의 위로부터 양 넙적다리 사이까지 연장된 강성이 있는 구조체이기 때문에, 아이의 전방 및 윗측으로의 튀어나감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또한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도,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는 아이의 머리의 측방으로의 이동을 유효하게 저지한다. 또한, 강성이 있는 구조체이기 때문에, 착좌한 아이의 머리가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의 종봉부(21)를 빠져나갈 위험성은 없다.
아이가 성장하여 체중이 15kg 정도가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를 떼어낸다. 벨트(30)를 고정구(34)(도 4참조)로부터 분리시키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20)를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 대해 여러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몇가지를 예시적으로 열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내부에 벨트를 삽통시키고 있지만, 그와 같은 벨트를 갖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금속 또는 수지 등의 강성체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아이에 대해 부드러운 감촉을 주기 위해, 표면에 탄성 커버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좌석 본체의 등받이벽에 대하여 항상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저벽에 대해서는 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변형예로서, 그 반대의 구성, 즉 저벽에 대해 항상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등받이벽에 대해 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는, V자 형상 실드 구조체 전체를 좌석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자동차용 아이 좌석(60)은 좌석 본체와, V자 형상 실드 구조체(70)와, 넙적다리 패드(80)를 구비한다. 좌석 본체는 저벽(61)과, 등받이벽(62)과, 측 벽(63)을 포함한다. V자 형상 실드 구조체(70)의 하단부는 버클을 통하여 넙적다리 패드(80)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넙적다리 패드(80)는 좌석 본체의 저벽(61)으로부터 아이의 양 넙적다리 사이의 윗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넙적다리 패드(80)는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허리 부분을 향하여 뻗어나와 있는 한쌍의 측방 돌출부(88)를 포함한다. 좌석 본체의 저벽(61)에는 전방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홈(67)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 부분에 넙적다리 패드(80)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넙적다리 패드(80)는 좌석 본체의 저벽(61)에 고정된 전방 횡축(66)에 결합되는 부착 금구(82)와, 이 부착 금구(82)로부터 윗측으로 연장된 넙적다리 벨트(83)와, 넙적다리 벨트(83)의 선단에 장착된 받침 금구(84)와, 넙적다리 벨트(83) 및 받침 금구(84)에 따라 배치된 쿠션 부재(81)를 포함한다. 부착 금구(82)는 훅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소정의 조작을 행함에 의해 전방 횡축(66)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60)와의 연결이 풀린 넙적다리 패드(80)는, 전방 횡축(66)의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V자 형상 실드 구조체(70)는, 한쌍의 종봉부(71)와, 한쌍의 종봉부(71)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72)를 포함한다.
V자 형상 실드 구조체(80)의 가운데에는, 삽입 금구(74)를 갖는 실드 벨트(73)가 삽통되어 있다. 삽입 금구(74)는, 넙적다리 패드(80)의 받침 금구(8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V자 모양의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실드 벨트(73)의 후방 부분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 본체의 등받이벽(62)의 관통구멍(62a)을 통과하여, 좌석 본체의 상부 횡축(64)에서 방향 전환하여 등받이벽의 배면을 따라 아랫측으로 연장되고, 중계 플레이트(75)에 연결되어 있다.
중계 플레이트(75)에는, 1개의 연장 벨트(76)가 연결되어 있다. 이 연장 벨트(76)는 좌석 본체의 하부 횡축(65)에서 방향 전환하고 저벽(61)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저벽(61)의 전방단으로부터 밖으로 인출되어 있다.
좌석 본체의 저벽(61)의 전방단 부분에는, 연장 벨트(76)의 이동을 금지하기 위한 로크 부재(68)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부재(68)는 축(69)을 통하여 저벽(6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연장 벨트(76)에 결합되어진 캠부(68a)와, 손가락으로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68b)를 구비한다.
도 10은, 좌석 본체에 착좌한 아이를 구속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70)와 넙적다리 패드(80)는 연결되어 있고, 연장 벨트(76)의 움직임은 로크 부재(68)에 의해 방지되어 있다.
아이를 좌석 본체로부터 내릴 때, 또는, 아이를 좌석 본체에 착좌시키려고 할 때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70)와 넙적다리 패드(80)와의 결합을 해제하고, 양자를 분리한다. 이 때, 좌석 본체의 저벽(61)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있는 연장 벨트(76)를 전방으로 인출하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70)는, 연장 벨트(76)에 끌어 당겨 윗측으로 크게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로크 부재(68)에 의해 연장 벨트(76)의 움직임을 금지하면, V자 형상 실드 구조체(70)를 도 11에 도시한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넙적다리 패드(80)는, 좌석 본체의 전방 횡축(66)의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넙적다리 패드(80)를 전방으로 쓰러뜨림에 의해, 아이를 좌석으로부터 내리거나, 좌석에 태우기도 하는 작업이 편하게 된다.
아이가 성장하여 컸을 때에는, V자 형상 실드 구조체(70) 및 넙적다리 패드(80)를 좌석 본체로부터 떼어낸다. 이 경우, 차에 설치한 시트 벨트를 이용하고 아이 좌석에 착좌하는 아이의 신체를 구속한다.
아이의 성장 도중의 단계에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70)를 좌석 본체로부터 떼어내거나 넙적다리 패드(80)를 좌석 본체에 부착한 채의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사용에 편의를 주기 때문에, 넙적다리 패드(3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 벨트 안내 플랩(85)을 갖는다. 어깨 벨트 안내 플랩(85)은, 예를 들면, 직물제의 봉제 옷감이고, 숫 버튼(86)과 암 버튼(87)과의 결합에 의해 넙적다리 패드(80)의 외면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에 설치한 시트 벨트의 허리 벨트 부분(91)은, 직접 아이의 복부 위를 통과하지만, 어깨 벨트 부분(90)은 어깨 벨트 안내 플랩(85)에 의해 안내된다. 어깨 벨트를 이와 같이 어깨 벨트 안내 플랩(85)에 통과시킴에 의해 어깨 벨트가 아이의 목에 걸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좌석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예로서, 자동차용 아이 좌석은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를 항상 개방 위치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아이가 착좌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프레임 어셈블리와 벨트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V자 형상 실드 구조체와 좌석 본체와의 부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V자 형상 실드 구조체의 종봉부의 횡단면도.
도 8은 V자 형상 실드 구조체의 연결부의 아랫측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O은 도 9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를 윗측으로 회전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9의 실시 형태의 배면측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넙적다리 패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넙적다리 패드의 어깨 벨트 안내 플랩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어깨 벨트 안내 플랩에 차에 설치한 시트 벨트의 어깨 벨트 부분을 통과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벽 2 : 등받이벽
3 : 측벽 4 : 전방 노치부
4a : 벨트 지탱면 5 : 후방 개구부
6 : 벨트 통과 구멍 7 : 버클 받이 구멍
10 : 자동차용 아이 좌석 20 : V자 형상 실드 구조체
21 : 종봉부 22 : 연결부
23 : 측방 돌출부 24 : 벨트 안내부재
25 : 탄성 커버 26 : 오목부
27 : 배면 접촉부 28 : 좌면 접촉부
29 : 어깨닿음부 30 : 벨트
31 : 삽입 금구 32 : 받침 금구
33 : 베이스 벨트 34 : 고정구
4O : L자 모양 프레임 41 : 상단 연결 프레임
42 : 전단 연결 프레임 43 : 상부 보강 프레임
44 : 하부 보강 프레임 45 : 상부 연결 로드
46 : 하부 연결 로드 47 : 앞부분 연결 로드
60 : 자동차용 아이 좌석 68 : 로크 부재
7O : V자 형상 실드 구조체 73 : 실드 벨트
74 : 삽입 금구 75 : 중계 플레이트
76 : 연장 벨트 80 : 넙적다리 패드
81 : 쿠션 부재 82 : 부착 금구
83 : 넙적다리 벨트 84 : 받침 금구
85 : 어깨 벨트 안내 플랩 86 : 숫 버튼
87 : 암 버튼 88 : 측방 돌출부
90 : 어깨 벨트 부분 91 : 허리 벨트 부분

Claims (19)

  1. 저벽(1) 및 등받이벽(2)을 포함하는 좌석 본체와,
    상기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신체를 구속하기 위해, 아이의 양 어깨의 위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V자 형상의 실드 구조체(20)를 구비하고,
    상기 V자 형상의 실드 구조체(20)는 V자 모양으로 연장된 벨트(30)와, 상기 벨트(30)를 삽통시키는 벨트 안내부재(24)와, 상기 벨트 안내부재(24)의 주위를 둘러싸는 탄성 커버(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아이의 양 넙적다리 사이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자 형상의 실드 구조체는, 상기 좌석 본체의 등받이벽과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배면 접촉부와, 상기 저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좌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V자 형상의 실드 구조체의 좌면 접촉부와, 상기 좌석 본체의 저벽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버클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커버는, 상기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양 어깨 위에서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어깨닿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커버는, 상기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허리 부분을 향하여 뻗어나와 있는 한쌍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커버는, 상기 좌석 본체에 착좌한 남아의 급소에 접촉하는 부분에 오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커버는, 비드(bead)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안내부재는, 블로우 성형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본체는, 상기 등받이벽의 양 측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은 한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각 측벽은, 그 전방 부분에 노치부를, 그 후방 부분에 개구부를 가지며, 자동차에 설치된 안전 벨트는 상기 노치부 또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좌석 본체의 등받이벽 및 저벽의 양 측부를 따라 연장된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의 윗측 부분을 연결하는 금속제의 상부 연결 로드와, 상기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의 아랫측 부분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V자 모양으로 연장된 상기 벨트는, 상기 상부 연결 로드를 감아 상기 하부 연결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좌석 본체의 등받이벽 및 저벽의 양 측부를 따라 연장된 한쌍의 L자 모양 프레임, 상기 각 L자 모양 프레임의 종방향 연장 부분과 수평 방향 연장 부분을 접속하는 상부 보강 프레임 및 하부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보강 프레임은, 상기 각 측벽의 전방 노치부에 있는 벨트 지탱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하부 보강 프레임은, 상기 각 측벽의 후방 개구부에 있는 벨트 지탱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본체의 저벽으로부터 아이의 양 넙적다리 사이를 윗측으로 연장된 넙적다리 패드와,
    상기 V자 형상 실드 구조체의 하단부와 상기 넙적다리 패드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버클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본체의 저벽으로부터 아이의 양 넙적다리 사이를 윗측으로 연장된 넙적다리 벨트와,
    상기 V자 형상 실드 구조체의 하단부와 상기 넙적다리 벨트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버클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넙적다리 패드는, 상기 좌석 본체에 착좌하는 아이의 허리 부분을 향하여 뻗어나와 있는 한쌍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넙적다리 패드를 상기 좌석 본체의 저벽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자 형상 실드 구조체에 연결되고, 상기 좌석 본체의 등받이벽 배면으로부터 저벽을 통과하여 저벽의 전방단으로 인출되는 벨트와,
    상기 저벽의 전방단에 마련되고, 상기 벨트의 이동을 금지하기 위한 로크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넙적다리 패드는, 그 앞면에 차에 구비한 어깨 벨트를 안내하기 위한 어깨 벨트 안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상기 좌석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해당 자동차용 아이 좌석은, 상기 V자 형상 실드 구조체를 항상 개방 위치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이 좌석.
KR10-2003-0044493A 2002-07-08 2003-07-02 자동차용 아이 좌석 KR100499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35248 2002-07-08
JPJP-P-2002-00235248 2002-07-08
JP2003138614A JP4348417B2 (ja) 2002-07-08 2003-05-16 自動車用子供座席
JPJP-P-2003-00138614 2003-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602A KR20040005602A (ko) 2004-01-16
KR100499875B1 true KR100499875B1 (ko) 2005-07-07

Family

ID=2973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493A KR100499875B1 (ko) 2002-07-08 2003-07-02 자동차용 아이 좌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93088B2 (ko)
EP (1) EP1380464A3 (ko)
JP (1) JP4348417B2 (ko)
KR (1) KR100499875B1 (ko)
CN (1) CN1472093A (ko)
TW (1) TWI2208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851701A0 (en) * 2001-10-26 2001-11-29 Sorrenti, Marcus Seating apparatus
CA2541310C (en) * 2003-10-10 2013-08-06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Vehicle safety restraint system
CA2572201A1 (en) * 2004-06-29 2006-01-12 Kidnetik Corp. Child restraint apparatus for a vehicle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NL1028677C1 (nl) * 2004-08-02 2006-02-06 Maxi Miliaan Bv Kinderstoel.
US20060103200A1 (en) * 2004-10-15 2006-05-18 Guy Dingman Child vehicle seat
DE602005004012T2 (de) * 2005-04-13 2008-1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arborn Ein Kindersitz für ein Fahrzeug.
NL1029841C2 (nl) * 2005-08-31 2007-03-20 Dremefa Bv Fietskinderzitje.
WO2007075467A2 (en) * 2005-12-19 2007-07-05 Rajasingham Arjuna Indraeswara Vehicle occupant support
US8210617B2 (en) * 2006-12-12 2012-07-03 Grandma Knows, Inc. Child restraint system
US20080136235A1 (en) * 2006-12-12 2008-06-12 Aaron Mary L Child automotive/aircraft/transportation harness restraint system
US7892101B1 (en) * 2008-07-18 2011-02-22 Playcore Child swing chair
ES2431582T3 (es) * 2008-11-24 2013-11-27 Holmbergs Childsafety Holding Ab Una hebilla de cinturón de seguridad y conjunto para asiento de vehículo para niño
NL1036383C2 (nl) * 2008-12-23 2010-06-24 Gmg B V Fietsstoeltje.
US8038214B2 (en) * 2009-02-11 2011-10-18 Cosco Management, Inc. Harness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CN101954897A (zh) * 2009-07-13 2011-01-2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汽车椅及其弹性胯带
US8240765B2 (en) * 2009-09-11 2012-08-14 Helen Of Troy Limited Child chair
US8474413B2 (en) 2009-10-13 2013-07-02 Grandma Knows, Inc. Pet restraint harness system for vehicles
DE102010010188B4 (de) * 2010-03-01 2011-11-10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JP5584035B2 (ja) * 2010-07-21 2014-09-03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育児器具の座席構造および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CN102416889A (zh) * 2010-09-28 2012-04-18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US20120161408A1 (en) * 2010-12-22 2012-06-28 Guravtar Sidhu Baby Carry On
CL2012001772A1 (es) * 2011-07-01 2014-06-06 Wonderland Nursery Goods Un asiento para un niño que comprende un armazon de asiento con una parte posterior, una banda de anclaje que tiene una porcion intermedia y dos porciones de extremo provistas respectivamente con dos sujetadores operables para fijacion con una estructura de anclaje de un vehiculo, y cierre operable.
EP2546096B1 (en) * 2011-07-14 2013-09-11 Volvo Car Corporation Child seat
TWI476123B (zh) * 2011-08-30 2015-03-11 Sunny Wheel Ind Co Ltd 具有側邊緩衝結構之自行車座椅
DE102012109953B4 (de) * 2011-10-19 2018-08-30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Kindersitz mit Verankerungsgurtwerk
US20150130149A1 (en) * 2011-12-13 2015-05-14 Robert Miller Sims Child restraining seat
US8967717B2 (en) * 2011-12-13 2015-03-03 Robert Miller Sims Portable child restraining seat
DE102012108054A1 (de) * 2011-12-21 2013-06-27 Recaro Child Safety Gmbh & Co. Kg Fahrzeugsitzvorrichtung
US9114738B2 (en) * 2012-05-09 2015-08-25 Britax Child Safety Inc. Flip forward buckle assembly
AU2013101560B4 (en) * 2012-05-09 2014-11-20 Britax Child Safety, Inc. Flip forward buckle assembly
AU2013248252B2 (en) * 2012-10-25 2017-09-21 Britax Childcare Pty Ltd Restraint cushioning improvements
US9428143B2 (en) * 2013-07-26 2016-08-30 Recaro Child Safety Llc Seat with upwardly projecting harness straps
US9393886B2 (en) 2014-02-28 2016-07-19 Diono, Llc Safety seat/booster seat harness pad
KR102193828B1 (ko) * 2014-10-01 2020-12-22 엘에스일렉트릭(주) 에코넷-라이트 방식의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011198B2 (en) 2016-09-22 2018-07-03 Joshua Hans Theander Vehicular seating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20190077364A1 (en) * 2017-09-08 2019-03-14 Diana L. Murray, SR. Carseat Belt Attachment
CN112297970B (zh) * 2019-07-29 2023-11-24 纽维尔品牌日本合同会社 儿童用育儿器具
CN112297969A (zh) * 2019-07-29 2021-02-02 纽维尔品牌日本合同会社 儿童用育儿器具
CN112297971A (zh) * 2019-07-29 2021-02-02 纽维尔品牌日本合同会社 儿童用育儿器具
CN213565524U (zh) 2020-08-24 2021-06-29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扣具固定装置及含该扣具固定装置的安全座椅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918120U1 (de) * 1979-09-20 Hirtl, Ludwig, 8000 Muenchen Sicherheitshalte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S4591208A (en) * 1973-03-22 1986-05-27 Bobby-Mac Company, Inc. Safety shield for use in a vehicle
US4342483A (en) * 1980-03-24 1982-08-03 Juichiro Takada Child safety seat for vehicles
JPS61120627U (ko) * 1985-01-18 1986-07-30
US4632460A (en) * 1985-10-10 1986-12-30 Gerber Products Company Seat belt fastener
US4826246A (en) * 1987-08-04 1989-05-02 Spalding & Evenflo Companies, Inc. Child safety seat
US4886315A (en) * 1988-07-29 1989-12-12 Kolcraft Products, Inc. Harness adjusting mechanism
JPH03139444A (ja) 1989-10-25 1991-06-13 Takata Kk 子供用拘束シート
AU7465191A (en) * 1990-03-02 1991-09-18 Lisa G Reilly Seat belt cushioning device
US5061012A (en) * 1990-09-04 1991-10-29 Gerry Baby Products Company Child car seat with automatic harness adjustment
US5181765A (en) * 1991-03-01 1993-01-26 Lisco, Inc. Heat treated latch plate
JP3057118B2 (ja) * 1991-10-21 2000-06-26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を備えた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USD369474S (en) * 1994-09-02 1996-05-07 Allan Slichter Double car seat
US5549356A (en) * 1994-10-21 1996-08-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Child restraint system
US5683138A (en) * 1996-07-31 1997-11-04 Century Products Company Adjustable shield for infant car seat safety belts
RU2099122C1 (ru) * 1996-09-26 1997-12-20 Владимир Алексеевич Гнездил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людей на движущемся объекте "дуга гнездилова"
US5779304A (en) * 1997-05-02 1998-07-14 Cunningham; Ronny L. Child safety seat with self-contained air bag
AU140976S (en) * 1999-02-05 2000-06-27 Aprica Kassai Kk A child seat for vehicles
JP2001213206A (ja) 2000-02-07 2001-08-07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JP4572471B2 (ja) * 2000-02-29 2010-11-04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US6398302B1 (en) * 2000-09-18 2002-06-04 Gerald Freedman Adjustable child seat
NL1017724C2 (nl) * 2001-03-28 2002-10-01 Cobra Beheer Bv Veiligheidsinrichting voor een kermisattract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602A (ko) 2004-01-16
JP2004090907A (ja) 2004-03-25
US6893088B2 (en) 2005-05-17
TWI220891B (en) 2004-09-11
US20040004379A1 (en) 2004-01-08
JP4348417B2 (ja) 2009-10-21
EP1380464A3 (en) 2004-07-14
TW200400890A (en) 2004-01-16
CN1472093A (zh) 2004-02-04
EP1380464A2 (en) 200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875B1 (ko) 자동차용 아이 좌석
US6314578B1 (en) Child protecting clothes for vehicles
CN109094435B (zh) 用于儿童安全座椅的新生儿插入件
JP2006306385A (ja) 案内部および引張装置を有する子供用安全座席
JP2014104941A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ハーネスカバー
KR101716568B1 (ko) 어린이 안전시트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보조시트
US9114738B2 (en) Flip forward buckle assembly
KR20180002971U (ko) 유아용 카시트
EP0832014B1 (en) Safety belt restraint device
AU2013100453A4 (en) Flip forward buckle assembly
KR200361144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JP3177225B2 (ja) 自動車シートベルト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0238563A (ja) シートベルト装着可能なチャイルドシートとチャイルド用保護服
KR100618087B1 (ko) 시트벨트 장치
KR200153330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
KR960010527Y1 (ko) 높이조절 가능한 안전벨트
AU2013101560A4 (en) Flip forward buckle assembly
KR0185877B1 (ko) 차량용 어린이 보호대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060055659A (ko) 차량용 시트의 웨빙가이드 장치
KR200245737Y1 (ko) 자동차의 유아용 보호구
KR200213499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0413502Y1 (ko) 유아용 안전밸트의 완충대
KR10143830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20230129680A (ko) 휴대용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