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880B1 -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 Google Patents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880B1
KR100498880B1 KR10-2002-0015647A KR20020015647A KR100498880B1 KR 100498880 B1 KR100498880 B1 KR 100498880B1 KR 20020015647 A KR20020015647 A KR 20020015647A KR 100498880 B1 KR100498880 B1 KR 100498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rinting
powder
sheet paper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6018A (ko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신모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신모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신모자
Priority to KR10-2002-001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8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7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식용 원단의 제조방법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 PVC) 원료분말, 펄안료분말 및 색소안료분말을 혼합한 혼합분말과 프탈산디옥틸(dioctyl phthalate ; DOP) 액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발포롤러로 압착하여 엠보싱 처리된 반투명 시트지를 제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시트지를 장식품의 형태에 맞게 재단하여 장식용 시트지를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장식용 시트지의 한 쪽의 면에 장식무늬를 자외선기계 인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장식용 시트지의 인쇄면에 백색실크 인쇄하여 장식용 원단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유의 광택을 가지면서 재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탄력성을 갖도록 원료 및 안료를 혼합하고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Decoratio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ap including it}
본 발명은 장식용 원단에 관한 것이며, 특히, 특유의 광택을 가지면서 재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탄력성을 갖는 장식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식용 원단을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의류 또는 모자 등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품을 부착한 것들이 많이 유통되고 있다. 즉, 의류의 경우에는 제조사의 로고 또는 다양한 형태의 액세서리를 부착하거나, 심벌을 재봉질하여 판매하고 있다. 또한, 모자의 경우에는 제조사의 로고,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자수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런 현재의 상황들을 고려해 볼 때,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식품을 부착한 의류 또는 모자들이 다량으로 유통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유의 광택을 가지면서 재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탄력성을 갖도록 원료 및 안료를 혼합하고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장식품을 제작할 수 있는 장식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식용 원단을 부착하여 장식성을 향상시킨 모자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식용 원단은, 표면이 엠보싱 처리되어 있으며 펄안료가 골고루 분포하는 시트 형태의 반투명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한 쪽의 면에 장식무늬를 인쇄하여 형성한 제1 인쇄층과, 상기 제1 인쇄층의 표면에 인쇄되어 상기 장식무늬를 상기 베이스층을 통해 보이게 하고 상기 펄안료의 광택을 상기 베이스층을 통해 발산하도록 하는 제2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식용 원단의 제조방법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 PVC) 원료분말, 펄안료분말 및 색소안료분말을 혼합한 혼합분말과 프탈산디옥틸(dioctyl phthalate ; DOP) 액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발포롤러로 압착하여 엠보싱 처리된 반투명 시트지를 제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시트지를 장식품의 형태에 맞게 재단하여 장식용 시트지를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장식용 시트지의 한 쪽의 면에 장식무늬를 자외선기계 인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장식용 시트지의 인쇄면에 백색실크 인쇄하여 장식용 원단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자는 일반적인 모자의 챙 또는 크라운의 표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식용 원단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원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료분말, 안료분말을 혼합한 혼합분말에 프탈산디옥틸(dioctyl phthalate)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한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S11)와,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킨 다음 일정 폭 및 두께를 갖도록 발포롤러로 압착하여 엠보싱 처리된 시트지를 제조하는 단계(S12)와, 상기 시트지를 장식품의 형태에 맞게 재단하여 장식용 시트지를 형성하는 단계(S13)와, 상기 장식용 시트지의 한 쪽의 면에 장식무늬를 자외선기계 인쇄하는 단계(S14) 및, 상기 장식용 시트지의 인쇄면에 백색실크 인쇄하여 장식용 원단을 형성하는 단계(S15)를 수행한다.
상기 원료분말로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 이하 "PVC"라 칭함)을 사용하는 데, 혼합분말의 총 중량%에 대해 65∼90중량%을 사용한다.
그리고, 안료분말로는 펄안료, 기타 색소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데, 혼합분말의 총 중량%에 대해 10∼35중량%을 사용한다. 상기 펄안료는 본 발명의 원단에서 특유의 광택을 발산하고, 색소안료는 반투명 원단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반투명 정도에 따라 백색안료, 군청안료 등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PVC을 65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탄력성이 우수하여 부드러운 느낌이 있지만 재봉시에 재봉부분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안료분말을 35중량%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PVC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PVC내에 안료가 뭉치는 부분이 많이 발생하여 원단 표면에 티끌 등이 형성되어 원단 표면이 양호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PVC을 90중량% 이상, 안료분말을 10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안료분말에 비해 PVC의 양이 많기 때문에 원단이 투명해 지고, PVC에 비해 안료분말의 양이 적기 때문에 광택이 적게 발생한다. 그로 인해, 장식무늬를 인쇄하더라도 원하는 장식무늬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프탈산디옥틸(dioctyl phthalate ; 이하 "DOP"라 칭함)은 혼합분말의 총 중량%에 대해 15∼50 중량%를 사용한다. 이 DOP는 원단의 경도, 인장강도, 인장신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원단을 부드럽게 한다. 이러한 DOP을 상기 범위 밖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원하는 경도,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을 얻을 수가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원단을 재봉함에 있어 재봉부분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범위를 갖도록 PVC, 펄안료, 색소안료 및 DOP이 준비되면, 회전가능한 드럼통에 각각 투입하고, 약 1시간 30분 동안 회전시켜 골고루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다(S11). 그런 다음, 혼합물을 35∼40℃의 온도범위에서 약 30분 동안 드라이 건조시킨다. 이렇게 혼합물을 드라이 건조시키는 것은 시트지 제조시에 보다 매끈한 표면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렇게 혼합물이 드라이 건조되면, 가열하여 용융물을 형성하고, 이 용융물을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발포롤러로 압착하여 일정 폭 및 두께를 갖는 엠보싱 처리된 시트지를 연속적으로 제조한다(S12). 이러한 시트지는 본 발명의 원단에서 베이스층을 구성하게 된다. 이 때, 시트지의 표면에는 발포롤러의 하부에서 제공되는 안정제가 도포된다. 이러한 안정제는 발포롤러에 시트지가 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티끌이 없는 깨끗한 시트지를 형성함과 아울러, 대기의 오염물이 시트지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피복제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제조되어 공급되는 시트지는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된 후 롤러에 감긴다. 이렇게 제조된 시트지는 색소안료에 의해 반투명하지만 첨가되는 펄안료로 인한 특유의 광택을 갖지는 안된다. 즉, 펄안료는 현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게 시트지내에 함유되어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시트지를 장식품의 형태에 맞게 절단하여 장식용 시트지를 형성한다(S13). 이 때, 시트지는 장식품의 형태를 본 떠서 제작한 틀의 둘레에 칼날을 설치하여 형성한 절단장치를 사용하여 재단하는 도무송 재단방법을 통해 장식용 시트지를 형성한다.
이렇게 장식용 시트지가 형성되면, 자외선기계 인쇄방법을 통해 장식용 시트지의 한 쪽의 면에 장식무늬를 인쇄하여 제1 인쇄층을 형성한다(S14). 그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하는 장식무늬의 사진을 스캔하여 컴퓨터에 저장한 후 해상도를 조정한다. 그런 다음, 장식무늬의 색을 4원색 필름으로 각각 제작한다. 즉, 장식무늬의 노랑, 청색, 적색 및 흑색을 각각 인쇄하여 4장의 필름을 제작한다. 그리고, 각각의 필름에 인쇄된 장식무늬를 알루미늄판에 각각 부식시킨다. 그러면, 각각의 알루미늄판에는 해당 장식무늬만이 검은 색으로 표현된다. 이렇게 형성된 4개의 알루미늄판을 잉크통, 롤러, 알루미늄판 및 적외선 램프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배열한다. 이 때, 잉크통은 제일 앞쪽부터 청색, 노랑, 적색 및 흑색의 순으로 배열하고, 각각의 알루미늄판은 해당 위치에 각각 배열한다. 이 상태에서 컴퓨터를 조작하여 장식용 시트지의 한 쪽의 면에 장식무늬를 순차적으로 인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 쪽의 면에 장식무늬가 인쇄된 장식용 시트지가 형성된다.
이렇게 장식무늬가 인쇄된 장식용 시트지가 형성되면, 인쇄면에 백색실크 인쇄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제2 인쇄층을 형성한다(S15). 그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지원료, 백색안료 및 전분가루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이 혼합물에 아크릴로나트릴(acrylonitrile ; 이하 "AN"이라 칭함) 액체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수지원료는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70중량%을 사용하고, 백색안료는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29.5∼48중량%을 사용한다. 그리고, 전분가루는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2중량%을 사용하고, AN은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30∼40중량%을 사용한다.
이러한 혼합비로 혼합된 혼합물이 완성되면, 인쇄면(제1 인쇄층)이 상부를 향하도록 흡착장치를 사용하여 장식용 시트지를 고정한다. 그런 다음, 제1 인쇄층의 표면을 상기 혼합물을 롤러 등에 묻혀 수작업으로 백색 실크인쇄 작업을 한다. 그리고, 건조다이에서 자연건조시켜 본 발명의 장식용 원단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 인쇄층의 표면을 백색 실크인쇄하여 제2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은 자외선기계 인쇄를 통해 인쇄된 장식무늬의 색상이 베이스층을 통해 그대로 표현되고, 펄안료의 광택이 베이스층을 통해 발산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 본 발명의 장식용 원단의 한 쪽의 면(제1 인쇄층)은 장식무늬가 어느 정도 비치는 백색표면을 갖고, 다른 쪽의 면(베이스층)은 특유의 광택을 갖는 장식무늬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식용 원단은 재봉시에 재봉부분이 찢어지지 않는 탄력성, 경도,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을 갖는다.
도 2는 도 1에 의해 제조된 장식용 원단을 구비한 본 발명의 모자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자(20)는 상기와 같은 장식용 원단(21)을 챙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재봉질하여 형성한 것이다. 즉, 모자의 챙의 크기에 맞게 시트지를 재단한 후 상기와 같이 자외선기계 인쇄 및 백색실크 인쇄를 통해 장식용 원단을 형성하고, 이 장식용 원단(21)을 모자의 챙에 재봉질하여 부착한 후에, 이러한 챙과 크라운(22)을 서로 재봉질 결합하여 본 발명의 모자(20)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식용 원단은 도 2와 같이 모자(20)의 챙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크라운의 임의 부분에 재봉질하여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식용 원단은 각종 의류의 적절한 표면에 재봉질 부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장식용 원단을 모자의 챙 또는 크라운, 의류의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장식용 원단이 빛을 받으면 펄안료의 광택이 발산하여 장식품으로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한다. 또한, 장식용 원단에 광고용 로그 등을 인쇄할 경우에는 광택을 발산하면서 광고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광고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용 원단의 제조방법은 특유의 광택을 가지면서 재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탄력성을 갖도록 원료 및 안료를 혼합하고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장식용 원단을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식용 원단을 의류 또는 모자 등에 부착함으로써 장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원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제조된 장식용 원단을 구비한 본 발명의 모자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모자 21 : 장식용 원단
22 : 크라운

Claims (9)

  1. 장식용 원단에 있어서,
    표면이 엠보싱 처리되어 있으며 펄안료가 골고루 분포하는 시트 형태의 반투명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한 쪽의 면에 장식무늬를 인쇄하여 형성한 제1 인쇄층과,
    상기 제1 인쇄층의 표면에 인쇄되어 상기 장식무늬를 상기 베이스층을 통해 보이게 하고 상기 펄안료의 광택을 상기 베이스층을 통해 발산하도록 하는 제2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 PVC) 원료분말, 펄안료분말 및 색소안료분말을 혼합한 혼합분말과 프탈산디옥틸(dioctyl phthalate ; DOP) 액체를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발포롤러로 압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층은 상기 장식무늬를 자외선기계 인쇄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층은 백색안료를 구비한 혼합물을 실크 인쇄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
  5. 장식용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 PVC) 원료분말, 펄안료분말 및 색소안료분말을 혼합한 혼합분말과 프탈산디옥틸(dioctyl phthalate ; DOP) 액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발포롤러로 압착하여 엠보싱 처리된 반투명 시트지를 제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시트지를 장식품의 형태에 맞게 재단하여 장식용 시트지를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장식용 시트지의 한 쪽의 면에 장식무늬를 자외선기계 인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장식용 시트지의 인쇄면에 백색실크 인쇄하여 장식용 원단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원료분말을 상기 혼합분말의 총 중량%에 대해 65∼90중량%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프탈산디옥틸 액체를 상기 혼합분말의 총 중량%에 대해 15∼50중량%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의 제조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시트지를 도무송 재단하여 상기 장식용 시트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의 제조방법.
  9.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의 챙 또는 크라운의 표면에 장식용 원단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장식용 원단은 표면이 엠보싱 처리되어 있으며 펄안료가 골고루 분포하는 시트 형태의 반투명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한 쪽의 면에 장식무늬를 인쇄하여 형성한 제1 인쇄층과, 상기 제1 인쇄층의 표면에 인쇄되어 상기 장식무늬를 상기 베이스층을 통해 보이게 하고 상기 펄안료의 광택을 상기 베이스층을 통해 발산하도록 하는 제2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KR10-2002-0015647A 2002-03-22 2002-03-22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100498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647A KR100498880B1 (ko) 2002-03-22 2002-03-22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647A KR100498880B1 (ko) 2002-03-22 2002-03-22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018A KR20030076018A (ko) 2003-09-26
KR100498880B1 true KR100498880B1 (ko) 2005-07-04

Family

ID=3222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647A KR100498880B1 (ko) 2002-03-22 2002-03-22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401B1 (ko) 2014-09-18 2016-03-10 박왕용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063A (ja) * 1996-10-25 1998-05-19 Urase Kk 審美性のある光沢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46564A (ko) * 1996-12-12 1998-09-15 성재갑 장식칩에 의해 입체무늬효과를 갖는 장식재의 제조방법
KR19980068744U (ko) * 1998-09-09 1998-12-05 이종곤 입체 색상 엠보싱 스티커
KR200272213Y1 (ko) * 1996-10-28 2002-09-04 고려화학 주식회사 3차원 동영상 입체무늬를 갖는 바닥장식재
KR100414946B1 (ko) * 2001-02-26 2004-01-14 추한수 광택성 장식무늬에 대한 난반사용 요철무늬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063A (ja) * 1996-10-25 1998-05-19 Urase Kk 審美性のある光沢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72213Y1 (ko) * 1996-10-28 2002-09-04 고려화학 주식회사 3차원 동영상 입체무늬를 갖는 바닥장식재
KR19980046564A (ko) * 1996-12-12 1998-09-15 성재갑 장식칩에 의해 입체무늬효과를 갖는 장식재의 제조방법
KR19980068744U (ko) * 1998-09-09 1998-12-05 이종곤 입체 색상 엠보싱 스티커
KR100414946B1 (ko) * 2001-02-26 2004-01-14 추한수 광택성 장식무늬에 대한 난반사용 요철무늬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018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8536B2 (ja) デジタル印刷したアップリケ表像体
KR100757016B1 (ko) 패브릭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9007818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mbroidered wallcovering
US20080050540A1 (en) Thermochromic display assembly
KR200280679Y1 (ko) 장식용 스티커 시트
US20120060283A1 (en) Bed Sheet with Indicia and Method
CN102715722B (zh) 一种变色夜光手机保护套及其加工工艺
KR101394962B1 (ko) 형광안료를 이용한 손 발톱 장식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0498880B1 (ko)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WO2008123687A1 (en) Decoration sheet made by using thermoplastic resi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decoration sheet
JP2003094891A (ja) 表面質感の特異な熱転写ラベルとその製造法
US5727489A (en) Method of making a child's accessory
JP3128105U (ja) アクセサリー
KR101381386B1 (ko) 자외선 변색 안료를 이용한 장식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0522147B1 (ko)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JP2005212451A (ja) 布製物又は皮製物の印刷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布製物又は皮製物
KR200341269Y1 (ko)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KR20050000847A (ko) 옵셋을 이용한 후로피 전사방법
KR102173214B1 (ko) 유광부와 무광부의 동시 표출이 가능한 전사지 제조방법
JPS5892588A (ja) シ−ト状物の谷染めエンボス方法及びその装置
JP7296100B2 (ja) プリント柄及びプリント柄の製造方法
US518878A (en) Louis danois
JPH0782676A (ja) 立体感ある着色模様を有する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31652Y1 (ko) 다양한 무늬의 호일이 부착된 원단
KR100800500B1 (ko) 스팽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