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269Y1 -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 Google Patents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269Y1
KR200341269Y1 KR20-2003-0025040U KR20030025040U KR200341269Y1 KR 200341269 Y1 KR200341269 Y1 KR 200341269Y1 KR 20030025040 U KR20030025040 U KR 20030025040U KR 200341269 Y1 KR200341269 Y1 KR 200341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attern
printing
dimensional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혁
김완권
Original Assignee
김완권
장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권, 장정혁 filed Critical 김완권
Priority to KR20-2003-0025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2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2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43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aminous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foamed layer or of cellular layers
    • D06N3/00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aminous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foamed layer or of cellular layers obtained by blowing or swelling ag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용 원단에 다양한 무늬를 인쇄하고 그 무늬를 가열 또는 가압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입체감을 부여한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단(10)의 상부에 안료 1 중량부에 대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아크릴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 30 ~ 50 중량부를 혼합시켜 제조된 착색된 접착제 조성물로 무늬를 인쇄시킨 후, 가열 또는 가압공정을 거쳐 무늬부분을 발포시켜 제조된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을 제공함으로써 안료의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원단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세탁견뢰도를 확보할 수 있어 고급 원단에 적용시킬 경우 고부가가치 제품을 양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A textile with blowing pattern of cubic effect}
본 고안은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용 원단에 다양한 무늬를 인쇄하고 그 무늬를 가열 또는 가압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입체감을 부여한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감이 있는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은 원단의 외부에 장식물을 부착하는 방식과 원단에 발포가 가능한 물질이 혼합된 염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형성한 후 가열 또는 가압의 과정을 거쳐 발포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두 경우 모두 입체감이 제공되나, 실질적인 효용성에 문제점이 제기되는 것이 현실이다. 원단을 가공하여 의류 또는 기타 섬유류 제품을 제조, 판매하여 사용할 경우 오염에 의한 세탁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때 기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을 사용하는 경우 부착된 장식물이 쉽게 떨어지고, 발포된 안료는 원단의 수축과 팽창에 의해 깨지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고안의 출원인은 상기 홀로그램을 의류등에 장식할 때, 세탁견뢰도를 향상시킨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열전사용 필름에 대한 기술을 이미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2-78591호 및 실용신안등록제305.638호를 통해 개시한 바 있다. 이 때 주요한 접착성분으로는 폴리아미드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수한 세탁견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특허출원 및 등록실용신안에서 의류 등으로 활용될 원단에 장식물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의류의 특성상 잦은 세탁에도 접착강도나 세탁견뢰도(내마모성)가 우수하여 손상이 없어야 하며, 시간경과에 관계없이 일정한 부착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특허출원 및 등록실용신안에서 세탁견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 기술을 본 고안에서 응용하여 발포된 무늬를 지닌 원단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입체감 및 장식을 위해 종래에 사용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은 일반적으로 기재를 폴리에스테르로 하고, 접착제로서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여 왔으나, 세탁시 약한 접착강도로 인해 의류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요구되는 세탁견뢰도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일한 목적을 위해 원단에 인쇄된 안료를 발포시켜 입체적인 무늬를 형성한 제품의 경우에도 원단의 수축 및 팽창과정에 그 무늬가 분해되어 이탈되고, 마찰에 의해서도 안료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종래의 입체감을 위해 무늬가 인쇄되어 발포과정을 거친 원단이 갖는 내마모성, 내구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료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아크릴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인쇄한 뒤 발포시켜 제조한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의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0. 원단 20. 안료 및 접착용 부재 혼합물
30. 가열 및 압착용 동판 40. 발포된 무늬
50. 인쇄동판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의류에 사용하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에 있어서, 원단(10)의 상부에 안료 1중량부에 대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아크릴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 30 ~ 50 중량부를 혼합시켜 제조된 착색된 접착제 조성물로 무늬를 인쇄시킨 후, 가열 또는 압착용 동판(30)으로 발포시키는 공정을 거쳐 무늬부분을 발포시켜 제조된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아크릴공중합체는 상품명 포밍스위드(Foaming suede) TN-177 또는 하이플로킹(Hi Flocking) SU-180 및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의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은 무늬 부분이 발포되어 입체감을 제공한다.
원단에 인쇄될 무늬는 소비자의 요청 또는 시장상황에 따라 다른 무늬를 삽입할 수 있으며, 이 무늬와 동일한 형태를 지닌 가열 및 압착판(30)이 구비되어 도 2에서 나타난 공정을 통해 발포 과정시 원하는 무늬를 발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원단의 무늬부분에 인쇄되는 안료 및 접착제 조성물은 착색을 위한 안료 1중량부에 대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아크릴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 30 ~ 50 중량부를 혼합시켜 제조된 것으로 무늬를 인쇄한 후, 가열 또는 가압공정을 통해 무늬부분을 발포시켜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아크릴공중합체는 상품명포밍스위드(Foaming suede) TN-177 또는 하이플로킹(Hi Flocking) SU-180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기존의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약한 접착강도로 인해 의류로부터 쉽게 이탈되며, 내마모성이 약한 단점이 있었으나, 상기 아크릴공중합체가 혼합된 접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세탁견뢰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단을 제조하는 공정은 간단하게 기존의 나염공정에 발포공정이 추가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원단에 전사되는 무늬는 나염의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나염에는 일반적인 나염, 전사나염, 특수나염등의 방법이 있다. 일반적인 나염은 무늬가 새겨진 스크린을 이용하여 그 무늬 모양으로 염색하는 것으로 직접날염, 발염, 방염 등이 있다. 전사나염은 먼저 나염용 잉크로 원하는 그림 또는 무늬를 종이에 프린트한 후 원단위에 수성 그 종이를 올려 놓고 원단에 그림 또는 무늬를 옮기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특수나염은 색지나 날염한 원단에 호일 프린트(foil print)를 하거나 리플(RIPPLE) 가공하는 것들이 있다.
일반적인 평판 나염공정은 평판스크린 제판, DSN 색 분리 차광, 필름 및 평판 스크린 준비(원단 및 염료 호제 조색) - 용도에 맞는 원단선택(나염용염색)- 오토 스크린 날염기에 인날(인날 및 건조)- 스팀(증열) 공정 (염료의 고착 공정)- 수세 공정 - (각종 호제 및 미고착 염료 세정)- 마지막 텐타 가공 공정- 제품 검사 ROLLING 및 패킹(BOX포장)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을 제조하는 공정은 본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나염과 같은 공정을 통해 인쇄동판(50)을 통해 안료가 인쇄되어 무늬가 형성된 원단이 제조된 후, 가열 및 압착용 동판(30)을 통해 인쇄된 나염 무늬가 발포되는 공정이 진행된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원단이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인쇄동판(50)은 롤러의 형태를 지니나 편의상 도면에서는 판형으로 나타내었다.
일반적인 나염공정에 추가공정을 거침으로써 입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무늬와 동일한 형상을 지닌 압착판을 통해 가열 또는 압착을 하여 발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때 중요한 점은 발포된 무늬가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안료와 접착용 첨가제의 조성과 조성비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절하여야 완성된 원단이 충분한 세탁견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도면과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원단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의류 및 섬유제품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특히 향상된 세탁견뢰도는 고급의류에 필수적인 고객신뢰도의 확보에 기여할 것이다.
본 고안의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안료의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원단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세탁견뢰도를 확보할 수 있어 고급 원단에 적용시켜 고부가가치 제품을 양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의류에 사용하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에 있어서, 원단(10)의 상부에 안료 1중량부에 대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아크릴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제 30 ~ 50 중량부를 혼합시켜 제조된 착색된 접착제 조성물로 무늬를 인쇄동판(50)을 이용해 인쇄한 후, 가열 또는 압착용 동판(30)으로 발포시키는 공정을 거쳐 무늬부분을 발포시켜 제조된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2. 삭제
KR20-2003-0025040U 2003-08-04 2003-08-04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KR200341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040U KR200341269Y1 (ko) 2003-08-04 2003-08-04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040U KR200341269Y1 (ko) 2003-08-04 2003-08-04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680A Division KR100522147B1 (ko) 2003-08-04 2003-08-04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269Y1 true KR200341269Y1 (ko) 2004-02-11

Family

ID=4934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040U KR200341269Y1 (ko) 2003-08-04 2003-08-04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2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669A (ko) * 2010-01-06 2011-07-13 주식회사 유상실업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669A (ko) * 2010-01-06 2011-07-13 주식회사 유상실업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KR101670301B1 (ko) 2010-01-06 2016-10-28 주식회사 유상실업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2115B2 (en) Interactive-design garment where the wearer can create and alter the graphic decoration on the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895748A (en) Flocked foam fabric with flattened fibers which are color printed
EP0329767B1 (en) Plush textured multicolored flock transf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ing precolored flock
US8765257B2 (en) Heat activated applique with upper stretch fabric layer
US5059452A (en) Flocked foam fabric with flattened fibers which are color printed
US2009007818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mbroidered wallcovering
US8719962B1 (en) Method of cre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n a garment
JPH11314498A (ja) プラッシュ模様付きの多色フロック転写
US20080141441A1 (en) Finished printed garment and method for printing same
WO2017036159A1 (zh) 一种鞋面
KR101563253B1 (ko) 스포츠 의류용 패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41269Y1 (ko)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CN102848763B (zh) 一种双色印花户外台布的制作方法
CN104562767A (zh) 一种印花材料及应用该印花材料的仿刺绣风格印花工艺
KR100522147B1 (ko)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US8157949B2 (en) Method of durably grafting a decorated fabric to a cloth such as jeans with stencil
CN104862991A (zh) 一种用于浮雕工艺的颜料及生产工艺
KR200331652Y1 (ko) 다양한 무늬의 호일이 부착된 원단
KR100346501B1 (ko) 디자인이 인쇄되고 접착물과 코팅된 직물지가 단일시트와바탕물질에 접착되는 제조방법
CN105177885A (zh) 双效水溶绣布的制备方法和使用方法
US20100319107A1 (en) Method of decorating a fabric article
JPH0782676A (ja) 立体感ある着色模様を有する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112567U (zh) 三维立体发泡起绉印花面料
KR20050016797A (ko) 다양한 무늬의 호일이 부착된 원단
KR20050000847A (ko) 옵셋을 이용한 후로피 전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