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401B1 -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401B1
KR101602401B1 KR1020140124381A KR20140124381A KR101602401B1 KR 101602401 B1 KR101602401 B1 KR 101602401B1 KR 1020140124381 A KR1020140124381 A KR 1020140124381A KR 20140124381 A KR20140124381 A KR 20140124381A KR 101602401 B1 KR101602401 B1 KR 101602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ogo
hat
sewing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왕용
Original Assignee
박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왕용 filed Critical 박왕용
Priority to KR102014012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8Hat-finishing, e.g. polishing, ironing, smoothing, brushing, impregnating, stiffen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2External devices or 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hats, caps or hoo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2Making hat-bats; Bat-forming machines; Conical bat machines; Bat-form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를 감싸는 덮개부분이 다수개의 조각(122,124)들로 이루어지고, 상부 중심점(A)를 중심으로 상기 조각들의 끝단(122a,124a) 일부가 뒷면으로 감싼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각 뒷면측에 보강대(126)를 덧대어 재봉(13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재봉모자캡(120)과 햇빛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모자챙(110)으로 구성되는 모자(100)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126)의 형상에 대응하는 음각(310)이 중앙 부분에 형성된 지지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음각(310)에 보강대(126)를 위치시켜 상기 지지부(300)를 모자캡(120)의 후면에 위치시키는 제 1단계와; 후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별도로 준비된 연질 로고(200)를 모자캡의 전방면 부분에 위치시키는 제 2단계; 그리고프레스로 상기 로고(200)의 전방면을 통하여 가압시키는 제 3단계; 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스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로고(200)가 재봉모자캡(120)의 전방면에 부착되는 연질 성형품의 모자캡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접착공정만으로 부착 가능하므로 미세한 다양한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므로 모자캡 전방의 로고 구현이 자유로워 다양한 모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The attaching method of sewing cap having logo }
본 발명은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봉으로 이루어진 모자의 외면 부분에 연질 형태의 다양한 성형품을 접착제 접착으로 부착시켜 다양한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질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서 시판되는 모자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며,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모자라 함은 머리를 감싸는 덮개부분이 재봉질에 의해 성형된 모자캡과 상기 모자캡의 전방 부분에 햇빛을 가지도록 돌출된 모자챙으로 구성되는 재봉모자(이하에서는 "재봉모자"라 총칭하여 부르기로 하고, 재봉으로 이루어지는 덮개 부분을 모자캡으로 칭하기로 한다)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재봉모자를 이루는 모자캡은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천이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모자챙은 비교적 딱딱한 반구형 경질 플라스틱 기판으로 제조한 뒤 그 외면에 직물을 감싸 구성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재봉모자(100)는 모자챙(110)과 모자캡(120)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모자캡(120)은 다양한 종류가 형성될 수 있으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캡(120)이 상부 정중앙의 중심점(A)을 기점으로 하여 여러개의 삼각형 형상의 조각(122,124)들이 재봉질(13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재봉모자의 경우, 모자캡(120)의 전방부분에 로고(200)를 형성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즉, 삼각형 조각(122)과 다른 조각(124)의 연결을 위하여 재봉질(130) 사이의 접면 부위(a)는 완전 밀착을 이루지 못하고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 이러한 재봉모자의 경우 로고(200)의 부착은 자수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로고(200) 부착 후, 로고(200)의 테두리를 따라 별도의 재봉질을 행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자수형태의 로고(200)부착은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숙련자만 가능하거나 또는 고가의 자수기계에 의해 수행되므로 모자 자체의 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수형태의 로고 부착은 자수방법에 의해 한계가 있어 다양한 형태 구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방식은 연질 형태의 로고(200)를 성형한 후, 상기 로고를 그대로 부착하고, 다시 그 테두리를 따라 재봉질을 하게 된다. 즉, 로고 자체만 접착제로 부착할 경우, 상술한 재봉질 사이의 접면을 이루는 접면부위(a)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로고가 모자캡(120)의 전방부분에 완전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재봉질(130) 부분에도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별도의 테두리 재봉질을 행하여 부착을 시키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재봉질 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이는 재봉질의 상태에 따라 많은 불량품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별도 공정의 추가에 의해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역시 로고의 테두리에 재봉질이 필요하므로 미세한 형태의 다양한 문양 표현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공개번호: 10-2013-0048405호) : 메로리폼을 이용한 고로가 부착된 모자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공개번호: 10-2014-0069809호) : 모자에 부착되는 색다를 자수물과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공개번호: 10-2003-0076018호) :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재봉으로 이루어진 재봉보자의 모자캡 전방부분에 연질 형태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로고를 접착제 만으로 간단히 접착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로고를 구현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개선된 로고의 재봉모자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머리를 감싸는 덮개부분이 다수개의 조각(122,124)들로 이루어지고, 상부 중심점(A)를 중심으로 상기 조각들의 끝단(122a,124a) 일부가 뒷면으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조각들의 끝단(122a,124b)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각 뒷면측에 보강대(126)를 덧대어 재봉(13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모자캡(120)과 햇빛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모자챙(110)으로 구성되는 재봉모자(100)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126)의 형상에 대응하는 음각(310)이 중앙 부분에 형성된 지지부(300)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모자캡(120)의 굴곡면에 대응하도록 음각(310)과 음각의 연장면(320)이 형성되는 전면과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면(3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300)의 상기 음각(310)에 보강대(126)를 위치시켜 상기 지지부(300)를 모자캡(120)의 내측면에 위치시키는 제 1단계와; 후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별도로 준비된 연질 로고(200)를 모자캡의 전방면 부분에 위치시키는 제 2단계; 그리고 프레스로 상기 로고(200)의 전방면을 통하여 가압시키는 제 3단계; 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스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로고(200)가 모자캡(120)의 전방면에 부착되는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바람직 하기로는, 상기 지지부(300)는 지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스는, 전단에 상기 지지부(300)의 전면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가압전단부(400)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전단부(400)면과 지지부(300)면 사이에 위치되는 로고를 가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로고는, 고무, 합성수지재 재질로 이루어지되, 연질 형태이며, 바람직 하기로는 난-프탈레이트(non-phthalate)계 가소제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연질 피이브이시 이도록 한다.
접착공정만으로 부착 가능하므로 미세한 다양한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므로 모자캡 전방의 로고 구현이 자유로워 다양한 모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공정이 간단해 지므로 제조원가의 절감이 이루어져 모자의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다른 효과도 있다.
도 1은 재봉질에 의한 모자캡이 구비된 재봉모자의 사시도
도 2는 재봉질에 의한 모자캡에 로고가 부착되는 부위의 모습을 나타낸 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 로고의 부착과정을 나타낸 도
이하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나타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모자캡에 로고가 구비된 재봉모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모자캡에 로고가 부착되는 부위의 모습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로 로고의 부착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3단계의 절차를 거쳐 이루어짐을 알 수 있으며,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모자캡(120)은 삼각형 조각들(122,124)이 서로 재봉질(130)에 의해 형성된 경우에 적용된다. 즉, 다수개의 삼각형 조각(122,124)들이 재봉질(130)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 재봉 모자캡(120)을 설명하기로 한다.
삼각형 조각(122)와 다른 삼각형 조각(124)를 서로 재봉질(130)에 의해 결합되기 위해서는 선행 작업들이 이루어여져 한다. 즉, 삼각형 조각(122)의 재봉질 될 측의 끝단(122a)을 말아서 뒷면으로 위치시킨다. 다른 삼각형 조각(124)의 끝단(124a) 역시 말아서 뒷면으로 위치시킨다. 상기 상태에서 양 끝단(122a, 124a)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뒷면에서 보강대(126)를 위치시킨 후, 재봉질(130)에 의해 삼각형 조각(122)과 다른 삼각형 조각(124)을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삼각형 조각들(122,144)는 모자캡(120)의 상부 중심점(A)를 중심으로 서로 재봉질에 의하여 결합되게 된다.
이때 서로 결합된 삼각형 조각(122,124)의 사이 접면 부위(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밀착 접면 되지 않고,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든 삼각형 조각들을 모자캡(120)의 상부 정중앙 중심점(A)를 중심으로 재봉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완전한 모자의 형태를 가지며, 이 경우에 삼각형 조각들은 일정한 곡면을 이루면서 모자의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로고를 단순히 접착제에 부착시 조각(122,124)의 사이에 형성된 접면부위(a)의 공간과 모자 전체의 굴곡 그리고 보강대(126) 및 재봉선자국(130)등에 의한 요철로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접면부위(a)와 모자전체의 굴곡 그리고 보강대(126) 및 재봉선자국(130)을 고려한 접착제에 의한 접착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고려하에서 본 발명은 연질 형태로 이루어지는 로고(200), 접착성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300)의 두가지 요소로 크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두 요소(200,300)를 이용한 제조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로고(200)의 선택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로고는 그 재질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이며, 다양한 형태 표현은 물론 연질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천연 및 합성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또는 피이브이시 재질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피이브이시 재질의 로고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이브이시 로고(200)는 친환경적인 난-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한 연질 피이브이시를 이용한다. 이러한 피이브이시는 기존과는 다른 방법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이하 간략하게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로고 부착시 가해지는 압력에도 형태의 변형이 없는 100% 형태복원성을 가져야 하고, 모자의 사용을 위한 저온 및 고온의 다양한 환경하에서도 변형성이 없어야 하는 친환경적인 연질 피이브이시는 아래와 같이 제조된다.
제1 단계(원료의 배합)
사용되는 원료로는 고분자 피이브이, 난-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열안정제 및 기타 첨가제를 1차적으로 배합한다.
여기서 고분자 피이브이시는 현재 시중에서 피이브이시 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범용 제품으로 사용 가능하며, 그 성상은 흰색가루형태로 이루어졌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소제의 역할은 두가지로, 첫째,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피이브이시 재료의 쉬운 물성변화를 일으키도록 하는 가소제의 고유한 역할이고, 둘째로,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형태복원성은 필히 연질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피브이시 재질의 연질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가소제 특히 난-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다양하게 나와 있으며, 액상의 형태로 시중에서 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실험에 따른 결과에서 특정의 가소제가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100% 형태복원성 달성하는 연질 피이브이시 제품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소제는 난-프탈레이트계를 사용하되, 피이브이시와 혼합되어 사용되어야 하므로 낮은 휘발성을 가져야 하며, 유연성, 전기절연선 점착성 등을 고루 갖추어야 한다. 난-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는 트리멜리틱 액시드 에스테르계,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텔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폴리에폭시계 등 많은 종류가 나와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이브이씨와 혼련성을 고려할 때, 에스트 가소제, 특히 혼성 알킬 치환된 테레프탈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트 가소제가 가장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에스터 가소제로서 제공되는 혼성 알킬 치환된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은 알코올과 산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되, 상기 알코올은 3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비분지된 1차 알코올 및 8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분지된 1차 알코올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혼성 알킬 치환된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에 비혼성 알킬 치환된 테레프탈레이트계 화합물이 추가된 화합물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여러 형태로 제작된 에스트 가소제는 아래와 같은 기본적인 화학식을 가진다.
Figure 112014088617111-pat00001

상기의 가소제중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2의 구조를 가지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가소제로 일 실시예로 하여 모자챙을 제조하였다.
다음 열안정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안정제의 첨가가 필수적이다. 즉,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서 제품의 성형은 복사열로 350 내지 400의 고온을 가하여 제품을 성형시키게 되며, 이때, 고온에 의한 피이브이시의 분해 또는 가소제의 휘발로 인한 물성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열안정제의 투입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안정제는 시중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열안정제를 사용하면는 것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기본적으로 고분자 피이브이시, 난-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 에스트 가소제 특히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가소제 및 열 안정제의 세가지를 주성분으로하되, 이의 배합비율은 고분자 피이브이시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가소제가 40 내지 70중량부 그리고 열안정제가 2 내지 5중량부 혼합되도록 한다.
가소제가 40중량부 이하 혼합될 경우에는 그 경도가 다소 하드하여 100% 형태 복원성을 가지지 못함을 알 수 있었으며, 70중량부 이상 혼합될 경우에는 충분한 연질은 나타내나, 비교적 고온에 취약하여 형태 저하를 나타내고 성형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성형불량을 나타내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스트 가소제는 40 내지 7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열안정제의 경우 2중량부 이하 첨가될 경우, 충분한 열안정 역할을 수행할 수 없으며, 5중량부 이상 첨가될 경우 형태복원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배합하에서는 100% 형태 복원성을 가지며, 제품 성형 후, 영하 20 내지 100의 다양한 온도 변화에서도 충분한 물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여름 및 겨울의 온도변화에도 전혀 물성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료의 배합 후, 충분히 교반하여 고루 섞이도록 하여 액상의 원료를 제조하게 된다.
제2단계(진공탈포)
다음 상기 액상 상태의 원료내부에는 원하지 않는 기포 및 대기중에서 전달된 수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기포 및 수분은 물성의 저하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불량을 야기하므로 이를 완전히 제거해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액상 상태의 원료를 밀페공간에 주입후, 천천히 교반시키면서,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수시로 진공상태를 유지시켜 기포 및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즉, 밀폐된 공간내에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70 내지 100mmHg의 진공도가 형성되도록 상태에서 천천히 교반시킴에 의해 액상 원료 내부에 존재하는 기포 및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며, 이러한 진공펌프의 작동은 지속적이 아니라 상태에 따라 온/오프(on/off) 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운영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액상 원료내의 수분 및 기포의 증발에 의해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기포 및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고, 다시 적정 진공도가 형성되면, 진공펌프를 오프(off) 시킨 상태에서 교반에 의해 액상 원료내의 기포 및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이러한 과정을 원료의 상태에 기포 및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기포 및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제품성형시에는 필히 불량을 야기 시키게되므로 이러한 진공탈포는 반복적으로 시행되도록 하고 약 20 내지 48시간 정도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 3단계(색소첨가)
제 2단계를 거친 상태에서 액상 원료는 그 상태로 제품을 제작하기도 하나, 다양한 색상 및 투명도 조절에 따라 색소를 첨가하게 된다. 색소의 첨가는 제1단계 원료의 배합시 하게 되면, 후공정인 2단계를 거치면서 색소의 변형 및 물성의 저하를 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색소의 후첨가를 함으로써 색소 본연의 칼라 및 투명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본 공정에서는 별도로 색소공정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색소 후공정은 또한 액상원료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액상원료는 통상 흰색 상태이고, 제품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소를 첨가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운영을 꾀할 수 있다. 이러한 색소첨가는 피이브이씨 제품 생산공정에 널리 알려진 일반 공정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4단계(금형주입)
금형을 이용한 제품의 생산공정은 종래 액상의 피이브이시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것과 거의 대동소이하다. 즉, 원하는 형상이 조각된 금형상에 액상원료를 주입하고, 금형덮개가 없는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 5단계(복사열 가열 성형)
상기와 같은 오픈 금형상에 액상 원료가 주입된 상태에서 제품의 성형을 위해서는 화학반응이 일어나 고상형태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열을 가하여야 한다. 이 경우 가해지는 열의 형태는 직열이 아니라 복사열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직열로 가열할 경우 액상원료가 타게 되고, 또한 금형 형태에 따라 각 부분에 전달되는 열의 양이 달라 부분 변형 등이 일어나 원하는 물성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른 열전달 및 빠른 성형을 위해서는 전달되는 열의 형태는 복사열로 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 복사열 전달방법은 일종의 오븐기 형태로 이루어진 장치내에 액상원료가 주입된 금형을 투입하고, 외부를 감싸는 오븐통을 외부에서 가열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외부 히팅에 의해 가열된 오븐통은 내부공간에 복사열을 방출하게 되며, 이러한 복사열은 공간을 통하여 오픈금형내의 액상원료에 전달되어 화학반응을 통하여 고상으로 변하게 된다.
통상 이러한 전달되는 복사열은 350 내지 400 정도가 적당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제품에 따라 그 성형시간을 달라지기는 하나 1 내지 5분 정도가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제6단계(수냉각 제품 성형)
상기 복사열 가열성형단계에서는 액상원료가 금형내부에서 화학반응을 통하여 연질 고상의 형태로 성형이 되어 있다. 이 상태로 제품 취출 후, 자연냉각시에는 고온의 성형품이 상온의 완성품으로 되기에는 그 시간이 오래 걸려 제품의 생산성에 악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또한 높은 온도에 의해 내부의 가소제 등 성분이 휘발이 발생하여 완성품의 물성에 악 영향을 끼치고, 고온에서 어느정도 팽창된 제품크기에서 냉각시 원하는 제품 형태로의 전환에 불량이 야기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품의 완전한 성형 및 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오픈금형 자체를 상온 약 20 내지 30를 유지하는 수조속에 넣어서 시간단축은 물론 내부의 성분들의 휘발 등을 억제하여 성형제품의 물성안정을 도모한다.
이상의 제 6단계를 거쳐 생산된 연질 성형품의 피이브이시 로고는 형태 복원성을 가지게 되며, 영하 20 내지 상온 100까지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형태의 유지 및 물성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보관성, 운반성 및 형태 안정성 등 다양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피이브이시 재질로 이루어지는 연질성형품의 로고 제작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로고는 재봉질이 된 모자에 접착공정으로 부착하는 것이 그 목적이므로 이 이외에도 접착성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재질의 로고도 가능함을 자명할 것이다.
지지부(300)의 구성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300)를 필요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0)는 접착제에 의한 로고(200)의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써, 그 기능은, 접착시 모자캡(120)의 형태성 유지, 삼각형 조각들(122,124)의 접면부위(a) 및 재봉선 자국(130) 밀착을 통한 로고(200)의 정확한 부착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지부(300)는, 모자캡(120)의 뒷면에 형성된 삼각형조각들(122,124)의 끝단(122a, 124a)과 보강대(126)가 형성된 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는 음각(310)이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모자캡(120)의 뒷면에 접하는 음각(310)의 연장면(320)은 모자캡(120)의 굴곡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300)의 후면(330)은 가해지는 압력에 지탱 할 수 있도록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 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모자캡(120)의 뒷면 보강대(126)를 음각(3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모자캡(120)의 전면에 로고를 위치시켜 부착시키게 되며, 이하 로고 부착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로고부착과정
제 1단계(지지부의 모자캡 결합)
모자챙(110)과 모자캡(120)이 결합된 모자(100)을 먼저 완성한 후, 지지부(300)를 모자캡(120)의 뒷면에서 접근시켜 음각(310)내에 조각들(122,124)과 보강대(126)가 재봉(130)에 결합된 부위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음각(310)은 모자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미리 원하는 음각(310)이 형성된 지지부(300)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음각(310)과 연장면(320)이 이루는 지지부(300)의 전면은 모자가 이루는 굴곡면의 형태를 이루므로 지지부(30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모자의 뒷면은 지지부(300)의 전면에 완전 밀착을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300)는 별도의 지그(미도시) 등과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제2단계(로고의 준비)
이와는 별도로 모자캡(120)의 전방면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로고(200)를 별도로 준비한다. 상기 로고(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질의 형태를 이루며, 별도 제작된 로고(200)를 준비한다.
로고의 뒷면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된 상태에서 모자(100)의 전방 부착시킬 위치에 놓는다. 상기의 상태에서는 조각들(122,124)의 접면부위(a)와 재봉선(130) 자국에는 로고(200)가 제대로 밀착되지 못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제3단계(로고 가압 부착)
상기의 상태에서 로고(200)의 전방 부분에서 프레스(미도시)로 로고의 상면을 가압하여 로고를 부착시키게 되며, 이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로고를 가압하는 프레스(미도시) 가압전단부(400)의 전면은 모자의 굴곡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고, 압력이 가해지는 전면 면적은 상기 모자캡(120)의 뒷면에 위치하는 지지부(30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가압전단부(400)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이 지지부(300)면과 일치되므로 고른 힘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레스에 의한 가압시 지지부(300)는 미리 지그(미도시) 등과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전달되는 힘에 의하여 가압전단부(400)와 지지부(300)사이에 형성된 로고(200)와 조각들(122,124) 그리고 보강대(126)에 미치게 된다.
상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조각들(122,1240 사이에 형성된 접면부위(a)는 서로 밀착 결합하게 되며, 상기 보강대(126)는 지지부(300)의 음각(310)내에 위치되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보강대(126) 역시 편편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로고(200)의 후면의 접착제(미도시)는 모자캡(120)의 전방면에 고른 접착을 유지 할 수 있으며, 접면부위(a)와 재봉선 자국(130)에 로고(200)를 완전 밀착 접착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대(126)와 조각들(122,124)의 끝단(122a,124a)는 음각(310)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오히려 모자캡(120)의 전방면측으로 응력이 형성되므로 모자캡(120)의 전방면과 로고(200)후면을 더욱 밀착 결합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매개된 접착제에 의해 로고(200)가 완전한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전단부(400)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과 온도는 부착되는 로고(200)의 종류와 매개되는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임의적으로 조정하여 사용하면 족할 것이다. 일 예를 들어 로고(200)를 상술한 친환경 소재인 난-프탈레이트계 연질 피이브이시로 사용할 경우를 간략히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피이브이시의 내열온도는 약 400이고, 100% 형태 복원성을 가진다. 폴리우레탄 계열의 핫멜트 접착제는 취급이 용이하며, 통상 120 내지 140온도에서 접착 성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가압전단부(400)를 통해 약 150 정도의 온도를 가한 상태에서 약 2 내지 5 kg/ 압력을 유지한 채, 1 내지 5분 정도의 시간을 가지고 작업함으로써 로고(200)를 접착 시키면 족할 것이다. 이와는 달리 로고(200)가 고무 성분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온형 접착제를 사용하고, 가압한 상태로 수분 유지하면 족할 것이다. 즉, 로고(200)의 재질에 따라 적합한 접착제 및 압력과 온도를 조절하면 족할 것이다.
100 : 재봉모자 110 : 모자챙
120 : 모자캡 122,124 : 조각
122a,124a: 조각 끝단 126 : 보강대
130 : 재봉선 200 : 로고
300 : 지지부 310 : 음각
320 : 연장면 330 : 후면
400 : 가압전단부 A : 중심점
a : 접면 부위

Claims (7)

  1. 머리를 감싸는 덮개부분이 다수개의 조각(122,124)들로 이루어지고, 상부 중심점(A)를 중심으로 상기 조각들의 끝단(122a,124a) 일부가 뒷면으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조각들의 끝단(122a,124b)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각 뒷면측에 보강대(126)를 덧대어 재봉(13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모자캡(120)과 햇빛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모자챙(110)으로 구성되는 재봉모자(100)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126)의 형상에 대응하는 음각(310)이 중앙 부분에 형성된 지지부(300)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모자캡(120)의 굴곡면에 대응하도록 음각(310)과 음각의 연장면(320)이 형성되는 전면과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면(3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300)의 상기 음각(310)에 보강대(126)를 위치시켜 상기 지지부(300)를 모자캡(120)의 내측면에 위치시키는 제 1단계와;
    후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별도로 준비된 연질 로고(200)를 모자캡의 전방면 부분에 위치시키는 제 2단계; 그리고
    프레스로 상기 로고(200)의 전방면을 통하여 가압시키는 제 3단계; 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스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로고(200)가 모자캡(120)의 전방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0)는,
    지그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는,
    전단에 상기 지지부(300)의 전면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가압전단부(400)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전단부(400)면과 지지부(300)면 사이에 위치되는 로고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는,
    고무, 합성수지재 재질로 이루어지되, 연질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는,
    난-프탈레이트(non-phthalate)계 가소제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연질 피이브이시 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피이브이시로 형성되는 로고는,
    고분자 피이브이시(PVC)가루와 난-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열안정제의 주성분을 혼합하여 액상으로 제조하고, 상기 혼합된 액상원료 내부에 존재하는 기포 및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 탈포하며, 상기 진공 탈포된 겔상 원료를 금형내에 주입하여 복사열 형태로 가열하여 고상으로 성형후, 금형자체를 수조내로 투입하여 냉각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방법.
KR1020140124381A 2014-09-18 2014-09-18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KR101602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381A KR101602401B1 (ko) 2014-09-18 2014-09-18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381A KR101602401B1 (ko) 2014-09-18 2014-09-18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401B1 true KR101602401B1 (ko) 2016-03-10

Family

ID=5553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381A KR101602401B1 (ko) 2014-09-18 2014-09-18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4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7003A (zh) * 2016-11-10 2017-02-08 际华三五三四制衣有限公司 一种扦衬帽机
WO2019089841A1 (en) * 2017-10-31 2019-05-09 World Emblem International Inc. Cap or hat decorat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559A (ja) * 1989-09-21 1991-05-07 Nippondenso Co Ltd 内燃機関用回転位置検出装置
JPH07292512A (ja) * 1994-04-18 1995-11-07 Yoshio Yamaguchi 帽子の前立縫着方法
KR20030076018A (ko) 2002-03-22 2003-09-26 주식회사 유신모자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20040099565A (ko) * 2003-05-19 2004-12-02 주식회사유풍 모자
US20080295223A1 (en) * 2007-05-31 2008-12-04 Tung-Hua Tai Crown of waterproof cap
KR20130048405A (ko)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메모리폼을 이용한 로고가 부착된 모자
KR20140069809A (ko)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모자에 부착되는 색다른 자수물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559A (ja) * 1989-09-21 1991-05-07 Nippondenso Co Ltd 内燃機関用回転位置検出装置
JPH07292512A (ja) * 1994-04-18 1995-11-07 Yoshio Yamaguchi 帽子の前立縫着方法
KR20030076018A (ko) 2002-03-22 2003-09-26 주식회사 유신모자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20040099565A (ko) * 2003-05-19 2004-12-02 주식회사유풍 모자
US20080295223A1 (en) * 2007-05-31 2008-12-04 Tung-Hua Tai Crown of waterproof cap
KR20130048405A (ko)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메모리폼을 이용한 로고가 부착된 모자
KR20140069809A (ko)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모자에 부착되는 색다른 자수물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7003A (zh) * 2016-11-10 2017-02-08 际华三五三四制衣有限公司 一种扦衬帽机
CN106377003B (zh) * 2016-11-10 2023-08-08 际华三五三四制衣有限公司 一种扦衬帽机
WO2019089841A1 (en) * 2017-10-31 2019-05-09 World Emblem International Inc. Cap or hat decoration system and method
US11155116B2 (en) 2017-10-31 2021-10-26 World Emblem International, Inc. Cap or hat decoration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401B1 (ko) 연질성을 가지는 성형품의 재봉모자 부착 방법
CN202809207U (zh) 一种缝制服装领子模具
US2013028354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proof Footwear
US1062440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tegrally formed cap and a cap manufactured by the method
CN107531027A (zh) 装饰片
KR101408857B1 (ko) 벨크로 전사 라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벨크로 전사 라벨
US20070199491A1 (en) Heat transfer press for transferring decorations onto fabrics
KR101098941B1 (ko) 신발용 부분품이 일체형으로 성형된 갑피 및 그 제조방법
US11400674B2 (en) Sheet molding production method
KR101848290B1 (ko) 크라운 전면부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자
CN106256277A (zh) 立体鞋面的制作方法
CN110435287B (zh) 一种纺织品缩口的生产工艺
JP2011026462A (ja) 芳香性ゴムシートとその製造法
US20150306843A1 (en) Durable Stick-On Patch for Clothing and Other Items
KR101663742B1 (ko) 형태복원성을 가지는 모자챙 및 그 제조방법
CN104210111A (zh) 一种手提包的制作工艺
CN105015137A (zh) 拼接式模杯面布的制作方法
CN112321866A (zh) 一种多色图文的橡胶产品及其应用
KR100363292B1 (ko) 실리콘 검을 이용한 무봉재 실리콘라벨의 제조방법
CN101823310A (zh) 一种发泡硅橡胶与柔性材料的一体成型方法
KR101716293B1 (ko) 천연 자개를 이용한 쟁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쟁반
ITRM20070619A1 (it) Procedimento di produzione di pannellature in pelle o rivestimenti delicati, in particolare per interni di autoveicoli
CN216733373U (zh) 一种装饰注塑件
KR200294181Y1 (ko) 폴리에스텔 홀로그램 스팽글의 구조
KR101297086B1 (ko) 원단에 입체감 있는 발포 무늬를 형성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