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859B1 - 동작모드 설정기능을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동작모드 설정기능을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859B1
KR100496859B1 KR10-2002-0047870A KR20020047870A KR100496859B1 KR 100496859 B1 KR100496859 B1 KR 100496859B1 KR 20020047870 A KR20020047870 A KR 20020047870A KR 100496859 B1 KR100496859 B1 KR 100496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s
pin
function mode
integra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587A (ko
Inventor
박철성
양향자
김홍균
노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859B1/ko
Priority to US10/635,253 priority patent/US6949960B2/en
Publication of KR2004001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2Optimisation aspects, e.g. using functional pin as test pin, pin multiplex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01Arrangements for setting the Unit Under Test [UUT] in a tes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직류전압성분의 신호가 인가되는 핀을 이용한 기능모드 설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핀에 교류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원과; 상기 핀을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버퍼와; 상기 디지탈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한 다음 소정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탈검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신호는 상기 디지탈신호가 소정의 주파수 이상일 때 활성화되며, 소정의 기능모드를 설정하는 신호로 이용된다. 다수의 기능모드신호들을 만들기 위하여 레지스터들 또는 차동증폭기와 디코더를 사용한다.

Description

동작모드 설정기능을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ITH FUNCTIONSL MODES}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능모드를 설정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는 패키지 단계에서 그 특성분석 및 신뢰성 검증 뿐만 아니라 테스트시간 또는 번인(burn-in test) 시간을 줄이기 위한 기능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JTAG(joint test action group), 디자이너가 이용가능한 핀들 또는 기능 명령 셀을 통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디자이너가 이용할 수 있는 핀 또는 제어코드가 없는 패키지에서는 디자이너가 원하는 기능을 패키지상태에서 설정하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이용가능한 핀이 없더라도 디자이너를 위한 기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용이하고 융통성 있게 기능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장치는: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직류전압성분의 신호가 인가되는 핀에 교류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원과; 상기 핀을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버퍼와; 상기 디지탈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한 다음 소정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탈검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신호는 상기 디지탈신호가 소정의 주파수 이상일 때 활성화되며, 소정의 기능모드를 설정하는 신호로 이용된다.
다수의 기능모드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탈신호로부터 순차적인 전달신호들을 발생하는 레지스터 체인과;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달신호들로부터 기능모드신호들을 발생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한다. 디코더는 상기 전달신호들의 논리조합을 통하여 상기 기능모드신호들을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장치는: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직류전압성분의 신호가 인가되는 핀에 인가하는 직류신호와 기준전압들을 각각 비교하여 차동증폭신호를 발생하는 차동증폭기들과; 상기 차동증폭신호들의 논리조합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모드신호들을 발생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준전압들은 상기 집적회로장치에서 동작하는 하이레벨의 전압들들 중 가장 낮은 전압레벨과 상기 집적회로장치에서 동작하는 로우레벨의 전압들 중 가장 높은 전압레벨의 사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는, 예를 들면 100핀 엘큐에프피(LQFP;low profile quad flat package)형식의 에스램(SRAM), 엔티램(NtRAM;no-turnaround RAM), 또는 에스피비(SPB; synchronous pipelined burst)형의 에스램 등으로서,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직류(DC)핀을 가진 것들이다.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서 사용되는 직류핀으로는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논리적으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로 고정되는 모드설정용 핀(또는 패드)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전압(VDD)핀 및 접지전압(GND)핀이 있다. 모드설정핀으로서는, 100핀 엘큐에프피 에스램에서 버스트(burst) 데이타의 처리순서를 결정하기 위하여 논리적 하이레벨("1"; 리니어 방식) 또는 로우레벨("0"; 인터리브 방식)로 설정되는 핀(LBOB)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모드설정용 핀을 이용한 세가지의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전원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전원전압핀 및 접지전압핀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도 이해하여야 한다.
제1실시예 (관련도면들은 도 1 내지 도 3)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모드 설정회로에서는, 핀(또는 패드) 10은 버퍼 20을 통하여 주파수검출기 30과 연결된다. 핀 10을 통하여 입력된 교류(AC)신호 S1은 버퍼 20을 통하여 씨모스(CMOS; complemetary metal-oxide-semiconductor)논리의 디지탈신호 S2로 변환된 다음, 주파수검출기 30으로 인가된다. 주파수검출기 30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신호 S2가 일정한 기간동안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로의 천이를 반복하면 소정의 기간동안 하이레벨을 유지하는 기능모드신호 FM0를 출력한다.
주파수검출기 30은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구성된다. 버퍼 20로부터 제공되는 씨모스 디지탈신호 S2는 직렬연결된 인버터들 I1 및 I2를 통하여 피모스(P-channel MOS)트랜지스터 P1과 엔모스(N-channel MOS)트랜지스터 N1의 게이트들에 인가된다. 피모스트랜지스터 P1과 엔모스트랜지스터 N1은, 전원전압 VDD와 엔모스트랜지스터 N2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엔모스트랜지스터 N2는 엔모스트랜지스터 N1과 접지전압 GND사이에 연결되며 그 게이트는 기준신호 REF에 접속된다. 기준신호 REF가 활성화된 때에 피모스트랜지스터 P1 및 엔모스트랜지스터 N1는 인버터로 동작한다. 기준신호 REF는 엔모스트랜지스터 N2를 턴온시킬 정도의 전압레벨을 가진다. 피모스트랜지스터 P1의 드레인과 엔모스트랜지스터 N1의 소오스가 접속되는 노드 31은 인버터 I3을 통하여 피모스트랜지스터 P2 및 엔모스트랜지스터 N3의 게이트들에 연결된다. 엔모스트랜지스터 N3은 엔모스트랜지스터 N4를 통하여 접지전압 GND에 연결된다. 엔모스트랜지스터 N4의 게이트는 엔모스트랜지스터 N2의 게이트와 함께 기준신호 REF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피모스트랜지스터 P2 및 엔모스트랜지스터 N3은 기준신호 REF에 응답하여 엔모스트랜지스터 N4가 턴온될 때 인버터로 동작한다. 피모스트랜지스터 P2의 드레인과 엔모스트랜지스터 N3의 소오스가 접속되는 노드 32는 인버터 I4를 통하여 노아(NOR)게이트 NR1의 입력으로 연결된다.
디지탈신호 S2는 또한 인버터 I5를 통하여 피모스트랜지스터 P3과 엔모스트랜지스터 N5의 게이트들에 인가된다. 피모스트랜지스터 P3과 엔모스트랜지스터 N5는, 전원전압 VDD와 엔모스트랜지스터 N6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엔모스트랜지스터 N6은 엔모스트랜지스터 N5와 접지전압 GND사이에 연결되며 그 게이트는 기준신호 REF에 접속된다. 기준신호 REF가 활성화된 때에 피모스트랜지스터 P3 및 엔모스트랜지스터 N5는 인버터로 동작한다. 피모스트랜지스터 P3의 드레인과 엔모스트랜지스터 N5의 소오스가 접속되는 노드 33은 인버터 I9를 통하여 피모스트랜지스터 P4 및 엔모스트랜지스터 N8의 게이트들에 연결된다. 엔모스트랜지스터 N8은 엔모스트랜지스터 N9를 통하여 접지전압 GND에 연결된다. 엔모스트랜지스터 N9의 게이트는 엔모스트랜지스터 N6의 게이트와 함께 기준신호 REF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피모스트랜지스터 P4 및 엔모스트랜지스터 N8은 기준신호 REF에 응답하여 엔모스트랜지스터 N9가 턴온될 때 인버터로 동작한다. 피모스트랜지스터 P4의 드레인과 엔모스트랜지스터 N8의 소오스가 접속되는 노드 34는 인버터 I10을 통하여 노아(NOR)게이트 NR1의 입력으로 연결된다.
엔모스트랜지스터들 N1~N9는 다른 모스트랜지스터들(예컨대, 피모스트랜지스터들 P1~P4)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들의 크기가 매우 작은 것들이다. 따라서, 적은 전류구동능력을 가진다. 이에 관한 동작은 후술하는 도 3과 관련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에서는, 각 인버터단에서 엔모스트랜지스터들(예컨대, N1 및 N2)을 두개씩 직렬로 연결하였으나, 하나의 엔모스트랜지스터(예컨대, N1)만을 피모스트랜지스터(예컨대, P1)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노아게이트 NR1은 인버터들 I4 및 I10의 출력들을 입력한 다음, 직렬연결된 인버터들 I11 및 I12를 통하여 기능모드신호 FM0를 출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S2가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로 고정된 상태(Tx)에서는, 기능모드신호 FM0가 로우레벨로 발생된다. 즉, 신호 S2가 하이레벨로 고정되면 노드들 31와 33이 각각 로우 및 하이레벨들로 된다. 인버터들 I4 및 I10의 출력들 A 및 B가 각각 하이 및 로우레벨들로 됨에 따라, 노아게이트 NR1의 출력은 로우레벨로 되고 결과적으로 기능모드신호 FM0는 로우레벨로 된다. 신호 S2가 로우 레벨로 고정된 때에도, 인버터들 I4 및 I10의 출력들이 각각 로우 및 하이레벨들로 됨에 따라 기능모드신호 FM0는 로우레벨로 고정된다.
그러나, 핀 10에 인가되는 교류신호 S1의 오실레이션(osillation) 상태에 직접적으로 응답하는 디지탈신호 S2가 소정의 주파수 이상으로 천이를 반복하면(Tf), 기능모드신호 FM0는 하이레벨로 활성화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S2가 소정의 주파수 이상에서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그리고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발진하는 상태(Tf)에서, 엔모스트랜지스터들 N1 및 N2의 전류구동능력이 상당히 작기 때문에 S2가 하이레벨인 동안이더라도 인버터 I3의 출력 A'는 그 하이레벨의 펄스폭이 짧아져 있다. 이는 작은 크기로 인해 전류구동능력이 적은 엔모스트랜지스터들 N1 및 N2가 하이레벨에 대하여 느리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다음 단의 엔모스트랜지스터들 N3 및 N4도 작은 전류구동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노드 32에서는 짧아진 하이레벨의 펄스에 반응하는 로우레벨의 성분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노아게이트 NR1의 입력 A에서는 S2가 소정 주파수이상으로 발진하는 기간 Tf동안 로우레벨의 신호만이 나타난다. 또한, 인버터 I5부터 노아게이트 NR1의 입력 B에 이르는 경로에서도 동일한 과정에 의해, 신호 S2의 하이레벨의 펄스폭이 점점 짧아지게 되어 입력 B에서는 로우레벨의 신호만이 나타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신호 S2가 소정의 주파수이상으로 발진하는 기간 Tf동안 기능모드신호 FM0는 하이레벨을 유지한다. 기간 Tf동안 하이레벨로 검출된 기능모드신호 FM0는 집적회로장치의 소정의 내부회로를 동작시켜 테스트 동작 등을 수행시킨다. 일정한 주파수이상으로 신호 S2(또는 S1)가 발진할 때, 기능모드신호 FM0을 하이레벨로 활성화하는 것은 풀다운용의 엔모스트랜지스터들 N1~N9의 크기를 어떻게 설계하는가에 따라 정해진다. 또한,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하이레벨의 펄스폭을 짧게 함에 있어서 두번에 결치지 않고 한 번에 할 수 있음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신호 S2가 소정의 주파수 이하로 천이를 반복하는 경우에는 기능모드신호 FM0가 그에 응답하여 천이를 반복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하지 않는 주파수 영역이다.
도 2 및 3에 보인 주파수검출기 30의 회로구조와 입출력특성은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서도 이용된다.
제2실시예(관련도면들은 도 4 내지 도 6)
도 4에 보인 기능모드 설정회로는, 도 1에 보인 실시예가 하나의 기능모드신호를 발생하는 반면, 도 1의 구성을 이용하면서 여러 개의 기능모드신호들을 생성하는 구성을 가진다. 도 4를 참조하면, 버퍼 20로부터 출력되는 씨모스 디지탈신호 S2는 주파수검출기 30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직렬연결된 레지스터들 REG1~REG4로 이루어진 레지스터 체인으로 전달된다. 레지스터들 REG1~REG4는 일정한 주파수와 주기를 가지는 클럭신호 CLK에 동기적으로 응답하여 해당하는 출력들 R1~R4를 디코더 40으로 보낸다. 클럭신호 CLK가 한 주기씩 지날 때마다 신호 S2는 각 레지스터 스테이지를 통과한다. 각 레지스터의 구성은, 예컨대, 통상의 지연루우프(delay loop) 또는 위상루우프(phase loop) 등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한쌍의 인버터들로 구성된 래치와 클럭신호 CLK에 응답하여 턴 온/오프되는 전송게이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검출기 30은,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S2가 소정의 주파수 이상에서 천이를 반복할 때(기능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입력상태가 유효함을 나타냄) 하이레벨로 활성화되는 기능모드신호 FM0를 발생한다. 도 4에서는 신호 FM0가 디코더의 동작을 통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디코더 40은 레지스터들 REG1~REF4로부터 전달신호들 R1~R4를 입력한 다음, 신호 FM0가 하이레벨로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기능모드신호들 FM1~FM3을 발생한다.
도 4에서 레지스터들의 수와 기능모드신호들의 수를 각각 4개와 3개로 구성하였으나, 필요한 기능들에 따라 그 수들은 달라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코더 40은 레지스터 전달신호들 R1~R4의 이진조합들에 응답하는 낸드게이트들 ND1~ND17로 이루어 진다. 전달신호들 R1~R4의 이진조합들에 따라 기능모드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신호들 R1~R4 중 하나가 하이레벨인 때에는 기능모드신호 FM1이 활성화되고 전달신호들 R1~R4 중 두개가 하이레벨인 때에는 기능모드신호 FM2가 활성화되고 전달신호들 R1~R4 중 세개가 하이레벨인 때에는 기능모드신호 FM3가 활성화되도록 설정한다. 신호들 R1B~R4B는 전달신호들 R1~R4의 반대 논리 신호들이다.
낸드게이트 ND1은 R1, R2B, R3B 및 R4B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 ND2는 R1B, R2, R3B 및 R4B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 ND3은 R1B, R2B, R3 및 R4B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 ND4는 R1B, R2B, R3B 및 R4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들 ND1~ND4의 출력들은 낸드게이트 ND15에 입력된다. 낸드게이트 ND15로부터 기능모드신호 FM1이 발생된다. 전달신호들 R1~R4 중에서 어느 하나가 하이레벨인 동안 다른 반대논리신호들은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낸드게이트들 ND1~ND4의 출력들 중 하나가 로우레벨로 된다. 그러면, 낸드게이트 ND15로부터 하이레벨의 기능모드신호 FM1이 활성화상태로 발생된다.
낸드게이트 ND5는 R1, R2, R3B 및 R4B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 ND6은 R1, R2B, R3 및 R4B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 ND7은 R1, R2B, R3B 및 R4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 ND8은 R1B, R2, R3 및 R4B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 ND9는 R1B, R2, R3B 및 R4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 ND10은 R1B, R2B, R3 및 R4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들 ND5~ND10의 출력들은 낸드게이트 ND16에 입력된다. 낸드게이트 ND16으로부터 기능모드신호 FM2가 발생된다. 전달신호들 R1~R4 중에서 임의의 두개가 하이레벨들인 동안 다른 반대논리신호들은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낸드게이트들 ND5~ND10의 출력들 중 하나가 로우레벨로 된다. 그러면, 낸드게이트 ND16으로부터 하이레벨의 기능모드신호 FM2가 활성화상태로 발생된다.
낸드게이트 ND11은 R1, R2, R3 및 R4B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 ND12는 R1, R2, R3B 및 R4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 ND13은 R1, R2B, R3 및 R4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 ND14는 R1B, R2, R3 및 R4를 입력한다. 낸드게이트들 ND11~ND14의 출력들은 낸드게이트 ND17에 입력된다. 낸드게이트 ND17로부터 기능모드신호 FM3이 발생된다. 전달신호들 R1~R4 중에서 임의의 세개가 하이레벨들인 동안 다른 반대논리신호들은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낸드게이트들 ND11~ND14의 출력들 중 하나가 로우레벨로 된다. 그러면, 낸드게이트 ND17로부터 하이레벨의 기능모드신호 FM3이 활성화상태로 발생된다.
도 5의 디코더 40로부터 발생되는 기능코드신호들 FM1~FM3과 관련하여 도 6의 파형도를 참조하면, 클럭신호 CLK의 매 4 싸이클마다, 전달신호들 R1~R4 중에서 하나가 하이레벨이면 기능모드신호 FM1이 하이레벨로 활성화되고 두개가 하이레벨들이면 기능모드신호 FM2가 하이레벨로 활성화되고 세개가 하이레벨들로 되면 기능모드신호 FM3이 하이레벨로 활성화됨을 볼 수 있다.
제3실시예(관련도면들은 도 7 및 도 8)
도 7에 보인 기능모드 설정회로는 최소 하이레벨 전압 VIH(<VDD)와 최대 로우레벨전압 VIL(>GND)사이에서 설정되는 기준전압들 VR1~VRn(도 8을 참조하라)을 핀 1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S1에 각각 비교하여 코딩신호들을 생성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때의 입력신호 S1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일정한 전압레렙을 가지는 직류신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신호 S1은 차동증폭기들 DF1~DFn의 비반전입력단들(+)에 동시에 입력되어 기준전압들 VR1~VRn과 비교된다. 차동증폭기들 DF1~DFn에서는 해당하는 기준전압과 입력신호 S1사이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얻은 신호들 D1~Dn을 각각 출력한다. 차동증폭신호들 D1~Dn은 디코더 50으로 입력된다. 디코더 50은 입력된 차동증폭신호들 D1~Dn으로써 도 6에 보인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논리조합을 구성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모드신호들 FMi을 발생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보인 본 발명의 수단과 방법에 준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집적회로장치에 설치된 모드설정용 직류핀을 이용하여 패키지단계에서의 테스트 등을 위한 기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설계자로 하여금 별도의 기능설정용 핀이 없더라도 필요한 기능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 설정회로의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주파수검출기의 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보인 주파수검출기의 입출력특성을 보이는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 설정회로의 블럭도.
도 5는 도 4에 보인 디코더의 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
도 6은 도 5에 보인 디코더의 출력특성을 보이는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 설정회로의 블럭도.
도 8은 도 7에 보인 기준전압들의 전압레벨들을 보이는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참조부호의 설명>
10 : DC 입력패드 20 : 버퍼
30 : 주파수 검출기 40 : 디코더

Claims (9)

  1.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직류전압성분의 신호가 인가되는 핀을 가진 집적회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에 교류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원과;
    상기 핀을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버퍼와;
    상기 디지탈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한 다음 소정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탈검출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가 상기 디지탈신호가 소정 주파수 이상일 때 활성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검출기가 상기 디지탈신호가 상기 소정 주파수이상에서 발진할 때 상기 디지탈신호의 일정한 논리레벨의 성분을 감쇄시키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가 소정의 기능모드를 설정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탈신호로부터 순차적인 전달신호들을 발생하는 레지스터 체인과;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달신호들로부터 기능모드신호들을 발생하는 디코더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체인이 상기 전달신호들을 각각 발생하는 레지스터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가 상기 전달신호들의 논리조합을 통하여 상기 기능모드신호들을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장치.
  8.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직류전압성분의 신호가 인가되는 핀을 가진 집적회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에 인가하는 직류신호와 기준전압들을 각각 비교하여 차동증폭신호를 발생하는 차동증폭기들과;
    상기 차동증폭신호들의 논리조합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모드신호들을 발생하는 디코더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들이 상기 집적회로장치에서 동작하는 하이레벨의 전압들들 중 가장 낮은 전압레벨과 상기 집적회로장치에서 동작하는 로우레벨의 전압들 중 가장 높은 전압레벨의 사이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장치.
KR10-2002-0047870A 2002-08-13 2002-08-13 동작모드 설정기능을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 KR100496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870A KR100496859B1 (ko) 2002-08-13 2002-08-13 동작모드 설정기능을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
US10/635,253 US6949960B2 (en) 2002-08-13 2003-08-06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functional m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870A KR100496859B1 (ko) 2002-08-13 2002-08-13 동작모드 설정기능을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587A KR20040015587A (ko) 2004-02-19
KR100496859B1 true KR100496859B1 (ko) 2005-06-22

Family

ID=3171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870A KR100496859B1 (ko) 2002-08-13 2002-08-13 동작모드 설정기능을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49960B2 (ko)
KR (1) KR100496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3605B2 (ja) * 2004-02-26 2009-01-21 東芝エルエスアイシステムサポート株式会社 動作モード設定回路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3227A (ja) * 1982-01-18 1983-07-22 Fujitsu Ltd 信号検出回路
KR900006791A (ko) * 1988-10-27 1990-05-08 금성일렉트론주식회사 Ic의 테스트 핀을 이용한 테스트 모드설정회로
JPH06111580A (ja) * 1992-09-29 1994-04-22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H09171059A (ja) * 1995-12-20 1997-06-30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
JPH09200014A (ja) * 1996-01-24 1997-07-31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
KR19980027922A (ko) * 1996-10-18 1998-07-15 김광호 다수개의 테스트 모드 설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19990039587A (ko) * 1997-11-13 1999-06-05 윤종용 테스트 핀의 수가 감소된 메모리 장치 테스트 방법
KR19990085080A (ko) * 1998-05-13 1999-12-06 김영환 엠씨유의 테스트모드 설정회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3382A (en) * 1974-12-23 1976-03-09 Sperry Rand Corporation Frequency operated switch
US3993984A (en) * 1975-04-08 1976-11-23 Power Management Corporation Electronic underfrequency relay
JPS56153923A (en) * 1980-04-30 1981-11-28 Tokyo Shibaura Electric Co Digital frequency repeating device
JPS62162968A (ja) * 1986-01-13 1987-07-18 Hitachi Ltd 速度検出装置
KR0175839B1 (ko) * 1992-08-04 1999-05-15 윤종용 전류벡터에 의한 수동소자값의 연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3227A (ja) * 1982-01-18 1983-07-22 Fujitsu Ltd 信号検出回路
KR900006791A (ko) * 1988-10-27 1990-05-08 금성일렉트론주식회사 Ic의 테스트 핀을 이용한 테스트 모드설정회로
JPH06111580A (ja) * 1992-09-29 1994-04-22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H09171059A (ja) * 1995-12-20 1997-06-30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
JPH09200014A (ja) * 1996-01-24 1997-07-31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
KR19980027922A (ko) * 1996-10-18 1998-07-15 김광호 다수개의 테스트 모드 설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19990039587A (ko) * 1997-11-13 1999-06-05 윤종용 테스트 핀의 수가 감소된 메모리 장치 테스트 방법
KR19990085080A (ko) * 1998-05-13 1999-12-06 김영환 엠씨유의 테스트모드 설정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32915A1 (en) 2004-02-19
KR20040015587A (ko) 2004-02-19
US6949960B2 (en) 2005-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101B1 (ko) 반도체 장치의 내부 전압 변환 회로
US7847576B2 (en) Comparator with latching function
US20050253640A1 (en) Control signal generator, latch circuit, flip-flop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lip-flop
TWI642275B (zh) 正反器電路和掃描鏈
KR0158762B1 (ko) 반도체 장치
US5994922A (en) Output buffe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output buffer and driving ability adjusting method for output buffer
US6812743B2 (en) Input buffer of differential amplification type in semiconductor device
US6064233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measuring current to test damaged transistor
KR100496859B1 (ko) 동작모드 설정기능을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
KR100735017B1 (ko) 반도체 장치 및 이 장치의 테스트 방법
KR100618882B1 (ko) 반도체 테스트 회로
KR100401520B1 (ko) 저전력 동작모드용 내부 강압 전원 드라이버 회로
JPS60140834A (ja) テスト回路内蔵型半導体集積回路
KR10031197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모드신호 발생장치
KR100309618B1 (ko) 병렬/직렬 변환기
US6134686A (en) Technique to detect drive strength of input pin
US6240030B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having mode selection circuits that generate a mode signal based on the magnitude of a mode control signal when a power supply signal transitions from a first state to a second state
KR100720222B1 (ko) 내부전원전위 측정용 패드장치
KR100336581B1 (ko) 가변전압 타이밍 조절회로
US7477067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hich can be burn-in-tested even when packaged and method of burn-in-test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even when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s packaged
US6040719A (en) Input receiver for limiting current during reliability screening
KR0179810B1 (ko) 메모리의 출력버퍼회로
KR100210858B1 (ko) 집적 회로
KR100339247B1 (ko) 2-레벨테스트입력을갖는비교장치
KR100546181B1 (ko) 라이트 드라이버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