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694B1 -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694B1
KR100496694B1 KR20030009189A KR20030009189A KR100496694B1 KR 100496694 B1 KR100496694 B1 KR 100496694B1 KR 20030009189 A KR20030009189 A KR 20030009189A KR 20030009189 A KR20030009189 A KR 20030009189A KR 100496694 B1 KR100496694 B1 KR 10049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fixing
fixing part
adhesive
velcro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193A (ko
Inventor
양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09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694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6Mounting by adhesiv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하네스를 감싸도록 고정되며 외측에는 밸크로테잎의 한쪽면이 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대응되는 면에는 벨크로테잎의 다른쪽면이 형성되어 일측에 부착되는 제2고정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하네스를 용이하게 차체 일측에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제거작업도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Fasten article of wire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크로테잎 방식을 이용하여 와이어하네스를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전기 배선을 통칭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엔진 룸과 차체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에 접속되는 와이어하네스는 그 배선수가 많아 차체의 어떤 부분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 그로 인해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하네스들이 서로 엉켜서 단선이나 화재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클립을 이용하여 차내의 임의의 벽체에 고정된다.
이 중에서, 와이어하네스를 자동차의 차체 내의 튜브, 파이프 등과 같은 각종 관류 부품 상에 고정하는 종래의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내의 각종 관류 부품(4) 상에 결합되는 클립 본체(1)와, 이러한 클립 본체(1)의 일측 단부에 접힘부(5)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 압착부재(2)와, 클립 본체(1)의 일측면 상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3)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 본체(1)는 그 일측면이 개방된 말굽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면은 각종 관류 부품(4)이 기밀하게 수용되도록 관류 부품(4)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클립 본체(1)의 일측 단부에는 접힘부(5)를 매개로 압착부재(2)가 연장 형성되고, 그 타측 단부에는 압착부재(2)의 자유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1a)과, 이러한 끼움홈(1a) 상에 압착부재(2)의 자유 단부가 끼워진 후 상기 압착부재(2)의 자유 단부 측에 형성된 걸림후크(2a)가 걸려 결합되는 걸림턱(1b)이 형성된다.
상기 압착부재(2)는 "ㄱ"자 단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클립 본체(1)의 일측 단부로부터 접힘부(5)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며, 이러한 접힘부(5)를 중심으로 상기 압착부재(2)가 클립 본체(1)의 걸림부(1a)측으로 접혀진다. 이러한 접힘부(5)는 상기 압착부재(2)의 접힘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그 두께가 상기 클립 본체(1) 및 압착부재(2)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이러한 압착부재(2)의 자유 단부측에는 걸림후크(2a)가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후크(2a)는 클립 본체(1)의 걸림턱(1b)에 걸려 결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는 클립 본체(1)의 일측면상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되고, 그 후면 상에 와이어하네스(6)가 밀착되어진 채로 접착테이프(7)에 의해 결합된다.
먼저, 고정플레이트(3)의 후면 상에 와이어하네스(6)가 접착테이프(7)에 의해 결합고정되어진 후에, 클립 본체(1)를 각종 관류 부품(4) 상에 끼운다. 다음, 관류 부품(4) 상에 끼워진 클립 본체(1)의 개방된 일측면을 향해 압착부재(2)를 접어, 압착부재(2)의 자유단부가 클립 본체(1)의 끼움홈(1a) 상에 끼워진 후에, 압착부재(2)의 걸림후크(2a)가 클립 본체(1)의 걸림턱(1b)에 걸려 결합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은 각종 관류 부품(4) 상에 와이어하네스(6)를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은 클립 본체(1)의 곡률진 내측면이 각 관류 부품(4)의 외경에 상응하게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되었다. 예를 들어, 외경 14mm의 튜브 측에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그 내측면의 곡률 반경이 14mm에 해당하는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이 필요하고, 외경 18mm의 튜브 측에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그 내측면의 곡률 반경이 18mm에 해당하는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이 필요하다. 즉, 서로 상이한 외경을 구비한 관류 부품에는 적용되지 못하여 그 사용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고, 또한 그에 따라 막대한 제조 비용 및 구입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적인 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하네스(6)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끼움홈(1a)과 걸림후크(2a)와 걸림턱(1b) 등이 구비된 비교적 복잡한 형상의 부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관류 부품(4)등의 별도 장착부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하네스(6) 고정용 클립은 폐차나 교체작업을 할 경우에는 별도의 제거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시간적 소비와 비용을 요구하게 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이나 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하네스를 감싸도록 고정되며 외측에는 밸크로테잎의 한쪽면이 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대응되는 면에는 벨크로테잎의 다른쪽면이 형성되어 일측에 부착되는 제2고정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와이어하네스를 감싸며 접하게 되는 제1내측면과, 상기 제1내측면의 일단으로 부터 소정 구간에 걸쳐서 접착부재가 구비된 제1부착면과, 상기 제1부착면과 대응하는 외측면에도 접착부재가 구비된 제1수납면과, 상기 제1수납면과 함께 외측면을 이루며 벨크로테잎의 한쪽면이 형성된 제1접착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의 외측과 접하여 고정되도록 벨크로테잎의 다른 쪽면이 형성된 제2접착면과, 상기 제2접착면과 대응되는 타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고정체에 부착되기 위한 제2부착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착면과 제2부착면에 구비된 접착부재는 벨크로테잎 방식을 사용하여 상호 접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하네스를 용이하게 차체 일측에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제거작업도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0)는 상기 와이어하네스(20)의 외측을 감싸며 접하게 되는 제1내측면(12)과, 상기 제1내측면(12)의 일단으로 부터 연장된 내측의 소정 구간에 접착부재가 구비된 제1부착면(14)과, 상기 제1부착면(14)과 대응하는 제1고정부(10)의 외측면에 제1수납면(16)이 구비된다.
상기 제1수납면(16)에는 상기 제1부착면(14)과 대응하는 접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접착부재로는 순간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장착과 분리가 용이한 벨크로테잎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납면(16)과 함께 제1고정부(10)의 외측면을 이루는 제1접착면(18)에는 벨크로테잎의 한쪽면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고정부(10)와 벨크로방식에 의하여 상호 접하며 결합되는 제2고정부(30)는 판 형상을 이루며, 일측면은 상기 제1접착면(18)과 상호 접하여 고정되는 제2접착면(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면은 와이어하네스(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체인 장착부(22)에 접하여 고정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제2부착면(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접착면(18)과 제2접착면(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착면(18)이 암면을 이루고 제2접착면(32)이 수면을 이룰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착면(19)이 수면을 이루며 제2접착면(33)이 암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0)의 제1내측면(12)이 와이어하네스(20)를 감싸게 한 후에, 상기 와이어하네스(20)의 외경에 맞도록 상기 제1부착면(14)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1수납면(16)과 제1부착면(14)이 벨크로테잎 방식에 의하여 상호 접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30)의 제2부착면(34)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를 차체 일측에 고정된 장착부(22)에 접착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제1접착면(18)과 제2접착면(32)을 상호 접하여서 접착하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하네스(20)를 장착부(22)에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와이어하네스(20)의 장착위치 변경 작업은 상기 제2고정부(30)를 장착부(22)에서 제거한 후에 다시 설치하거나 다른 제2고정부(30)를 추가로 장착부(22)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접착면(18)과 제2접착면(3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면과 수면이 상호 바뀌어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밸크로테잎 방식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하네스(20)의 설치 및 이동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하네스(20)의 직경에 맞게 용이하도록 상기 제1고정부(10)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단순한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구조에 의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에 의하면,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작업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부재 12 : 제1내측면
14 : 제1부착면 16 : 제1수납면
18 : 제1접착면 20 : 와이어하네스
22 : 장착부 30 : 제2고정부
32 : 제2접착면 34 : 제2부착면

Claims (4)

  1. 상기 와이어하네스를 감싸도록 고정되며 외측에는 밸크로테잎의 한쪽면이 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대응되는 면에는 벨크로테잎의 다른쪽면이 형성되어 일측에 부착되는 제2고정부가 구비된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와이어하네스를 감싸며 접하게 되는 제1내측면과; 상기 제1내측면의 일단으로 부터 소정 구간에 걸쳐서 벨크로테잎의 일측이 형성된 제1부착면과; 상기 제1부착면과 대응하는 외측면에는 벨크로테잎의 타측이 형성된 제1수납면과; 상기 제1수납면과 함께 외측면을 이루며 벨크로테잎의 한쪽면이 형성된 제1접착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의 외측과 접하여 고정되도록 벨크로테잎의 다른 쪽면이 형성된 제2접착면과,
    상기 제2접착면과 대응되는 타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고정체에 부착되기 위한 제2부착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
  4. 삭제
KR20030009189A 2003-02-13 2003-02-13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 KR10049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9189A KR100496694B1 (ko) 2003-02-13 2003-02-13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9189A KR100496694B1 (ko) 2003-02-13 2003-02-13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193A KR20040073193A (ko) 2004-08-19
KR100496694B1 true KR100496694B1 (ko) 2005-06-22

Family

ID=3736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9189A KR100496694B1 (ko) 2003-02-13 2003-02-13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6294B1 (fr) * 2008-09-22 2010-10-08 Aplix Sa Attache pour cables electriques ou analogues, notamment dans un vehicule automobile
CN106870823B (zh) * 2015-12-10 2018-10-09 台湾百和工业股份有限公司 管路固定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193A (ko)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1966C (zh) 用于紧固至软管上的软管夹
EP2562432A1 (en) Fixing means
JP2006327656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外装シート及びその装着方法
JPH0755062A (ja) 保持装置
JP2009123635A (ja) ハーネス組立体
KR100496694B1 (ko) 와이어하네스 고정부재
KR200393275Y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KR101006471B1 (ko) 자동차용 클리어런스 클립
JP7076267B2 (ja) 照明器具
KR200223916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040118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분리구조
KR200427193Y1 (ko) 고정 클립
JPH04209417A (ja) 可撓性平型導体ケーブルの折り曲げ固定取付構造
KR200300799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일자클립
WO2023243392A1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0305329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일자클립
KR200300801Y1 (ko) 와이어 하네스 분기용 클립
KR200300800Y1 (ko) 와이어 하네스 분기용 클립
JP2005123307A (ja) コンデンサの取付構造
KR200413714Y1 (ko) 밴드케이블
JP2006132585A (ja) エアーダクト用吊りバンド
KR200307482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JP2007213949A (ja) ケーブルの構造
KR100324546B1 (ko) 와이어링 커넥터 응력 저감구조
JPH066545Y2 (ja) ワイヤハ−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