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482Y1 -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482Y1
KR200307482Y1 KR20-2002-0035570U KR20020035570U KR200307482Y1 KR 200307482 Y1 KR200307482 Y1 KR 200307482Y1 KR 20020035570 U KR20020035570 U KR 20020035570U KR 200307482 Y1 KR200307482 Y1 KR 200307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re harness
hole
ban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택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5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4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내부에 구비된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로 이루어져 차체패널에 형성된 원형홀에 고정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원형홀에 삽입 고정되기 위한 정홀고정부와, 상기 정홀고정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원형홀 외측에 원형으로 접촉되어 지지하는 원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안정적이게 고정할 수 있어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Bend cable for fasten wire Harness}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두께를 갖는 차체패널에 형성된 원형홀에 끼워지기 위한 정홀고정부와, 상기 원형홀의 외측을 가압하는 원형지지대를 형성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제작비용을 절감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상기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와이어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에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은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켜 놓지 않으면, 차량의 주행진동으로인하여 와이어 하네스가 심하게 유동된다.
또한, 다른 부품과 마찰을 일으켜서 파손되는 사태가 발생되기 때문에, 반드시 다수개의 와이어 프로텍터로 고정시켜야 된다.
도 1은 종래의 밴드케이블을 구비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이 구부려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밴드케이블(10)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하네스(5)를 고정하기 위하여 밴드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2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0)는 고정부(50)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50)는 차체패널(60)에 형성된 원형홀(62)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50)의 외측에는 지지대(40)가 형성된다.
상기 밴드부(20)는 상기 체결부(3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5)를 묶기 위한 밴드(22)와, 상기 밴드부(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30)는 상기 밴드부(2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32)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홈(24)에 걸릴 수 있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34)는 상기 체결공(32) 내측 끝단에 형성되며,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한쪽방향은 쉽게 들어가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체결부(3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30)의 양측으로 날개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40)의 중간부에는 상기 원형홀(62)에 끼워지기 위한 고정부(5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 고안의 작용을 알아보면, 차체내부에 구비된 와이어 하네스(5)를 밴드부(20)로 감싸고, 상기 밴드부(20)의 끝부분을 체결부(30)에 형성된 체결공(32)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체결공(32)에 삽입된 밴드부(20)는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5)가 고정될 수 있도록 당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5)를 묶은 밴드부(20)가 형성된 밴드케이블(10)을 차체패널(60)에 형성된 원형홀(62)에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밴드케이블(10)에 형성된 고정부(50)를 상기 원형홀(62)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원형홀(62)에 고정된 밴드케이블(10)은 지지대(40)가 형성되어 상기 원형홀(62)의 측면을 가압함으로 상기 밴드케이블(1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지대(40)는 날개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차체패널(60)을 가압하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차체 흔들림에 의하여 가압력이 저하되고, 상기 가압력의 저하에 의하여 상기 밴드케이블(10)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밴드케이블(10)의 고정시, 상기 고정부(5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이 차체패널(60)에 형성된 원형홀(62)을 통과한 후 삽입된 반대면에 걸리게 되는데, 상기 차체패널(60)의 두께가 다양하기 때문에 그 두께에 따라 다양한 밴드케이블(10)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다양한 밴드케이블을 사용함으로 차체패널의 두께에 맞는 밴드케이블을 제작해야 됨으로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지지대의 가압면을 넓게 형성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두께를 갖는 차체패널에 형성된 모든 원형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를 형성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요지부분 확대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와이어 하네스 110 : 밴드케이블
120 : 밴드부 122 : 밴드
124 : 걸림홈 130 : 체결부
132 : 체결공 134 : 걸림돌기
140 : 원형지지대 150 : 정홀고정부
152 : 지지부 154 : 고정편
156 : 다단걸림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차체 내부에 구비된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로 이루어져 차체패널에 형성된 원형홀에 고정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원형홀에 삽입 고정되기 위한 정홀고정부와, 상기 정홀고정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원형홀 외측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원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홀고정부는 상기 원형지지대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과 일단이 연결되며 탄성을 갖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끝단에 다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원형홀의 측면에 걸리기 위한 다단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고,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패널(160)에 형성된 원형홀(162)에 고정되기 위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110)은 차량내부에 구비된 와이어 하네스(100)를 묶기 위한 밴드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120)를 체결하여 상기 와이어 하네스(10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30)의 하측면에는 상기 밴드케이블(110)을 차량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정홀고정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정홀고정부(150)의 외측에는 상기 밴드케이블(11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지지대(140)가 형성된다.
상기 밴드부(120)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100)를 묶는 밴드(122)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12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걸림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30)의 내측에는 체결공(13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32)의내측에는 상기 걸림홈(124)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13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30)의 하측면에는 정홀고정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정홀고정부(150)의 외측에는 원형지지대(140)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요지부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정홀고정부(150)는 원형지지대(14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지지부(152)와 고정편(154) 및 다단걸림부(156)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52)는 상기 원형지지대(140)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52)의 끝단에 일단이 연결된 고정편(154)이 하측으로 벌어져서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154)의 하측 끝단에는 차체패널(160)에 형성된 원형홀(162)에 삽입 고정되기 위해 다단으로 단차진 다단걸림부(156)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정홀고정부(150)는 차체패널(160)에 원형 형상으로 통공된 원형홀(16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정홀고정부(150)는 원형지지대(140) 중앙부에 위치하며 외측으로 지지부(15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52)의 끝단과 일단이 연결되도록 고정편(15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54)의 끝단에 다단으로 단차지는 다단걸림부(15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154)은 외측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정홀고정부(150)가 원형홀(162)에 삽입시 상기 지지부(152) 방향으로 밀착되고, 상기 고정편(154)이 원형홀(162)을 통과하게 되면 다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편(154)이 원형홀(162)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면 상기 고정편(154)의 끝단에 형성된 다단걸림부(156)가 원형홀(162)의 일측에 걸리게 되어 고정된다.
상기 다단걸림부(156)가 걸리게 되는 원형홀(162)은 그 두께가 다양하게 형성되는데, 종래의 경우 상기 다양한 두께를 갖는 원형홀(162)에 맞는 다양한 밴드케이블(110)을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나, 상기 다단걸림부(156)가 형성된 밴드케이블(110)은 모든 원형홀(162)에 사용함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차체패널(160)에 형성된 원형홀(162)이 얇으면 상기 다단걸림부(156)의 하단에 걸리게 되고, 상기 원형홀(162)이 두꺼우면 상기 다단걸림부(156)의 상단에 걸리게 됨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지지대(140)가 정홀고정부(150)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홀(162)에 고정시 원형홀(162)의 주변을 감싸며 가압하게 됨으로 상기 밴드케이블(110)을 안정적이게 고정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의하면, 정홀고정부에 다단걸림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두께를 갖는 모든 원형홀에 고정이 가능하게 됨으로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홀고정부의 외측에 원형지지대를 형성하여 상기 원형홀의 주변을 넓은 면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됨으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안정적이게 고정할 수 있으며, 장기사용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차체 내부에 구비된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로 이루어져 차체패널에 형성된 원형홀에 고정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원형홀에 삽입 고정되기 위한 정홀고정부와,
    상기 정홀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홀 외측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원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홀고정부는 상기 원형지지대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과 일단이 연결되며 탄성을 갖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끝단에 다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원형홀의 측면에 걸리기 위한 다단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2002-0035570U 2002-11-28 2002-11-2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307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570U KR200307482Y1 (ko) 2002-11-28 2002-11-2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570U KR200307482Y1 (ko) 2002-11-28 2002-11-2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482Y1 true KR200307482Y1 (ko) 2003-03-19

Family

ID=4933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570U KR200307482Y1 (ko) 2002-11-28 2002-11-2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4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911B1 (ko) 2005-09-14 2006-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회전형 슬롯홀 타입 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911B1 (ko) 2005-09-14 2006-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회전형 슬롯홀 타입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0818Y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KR200431314Y1 (ko) 밴드케이블
KR200307482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401182Y1 (ko) 간섭을 방지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307483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40118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분리구조
KR200391767Y1 (ko) 클립과 밴드 케이블의 결속구조
KR200305329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일자클립
KR20037896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441160Y1 (ko) 가이드를 갖는 밴드클립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JP554159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の出力ケーブル固定構造
KR200431313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400715Y1 (ko) 와이어 고정클립의 분기 조립구조
KR200408583Y1 (ko) 밴드케이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200300804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일자클립
KR200413714Y1 (ko) 밴드케이블
KR200305326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일자클립
KR200300799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일자클립
KR200251403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375559Y1 (ko) 유동방지 밴드 케이블
KR200300800Y1 (ko) 와이어 하네스 분기용 클립
JP369318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クランプ
KR200300801Y1 (ko) 와이어 하네스 분기용 클립
KR20027579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