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352B1 - 토너용 수지조성물 및 토너 - Google Patents

토너용 수지조성물 및 토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352B1
KR100496352B1 KR10-2002-7006266A KR20027006266A KR100496352B1 KR 100496352 B1 KR100496352 B1 KR 100496352B1 KR 20027006266 A KR20027006266 A KR 20027006266A KR 100496352 B1 KR100496352 B1 KR 100496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wax
weight
copolymer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594A (ko
Inventor
테라우치토모야
야마모토타카시
우치야마켄지
타케이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0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9/08704Polyalke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75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G03G9/08782W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190±0.4℃에서 측정한 멜트인덱스의 값이 0.1 내지 100인 에틸렌계 중합체와, 융점이 70℃ 내지 120℃인 파라핀왁스 또는 융점이 70℃ 내지 120℃인 피셔트롭시왁스를 함유해서 이루어진 왁스조성물; 및 (B) 토너용 바인더수지를 함유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Description

토너용 수지조성물 및 토너{RESIN COMPOSITION FOR TONER AND TONER}
본 발명은 전자사진 등에 이용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및 토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자사진법은, 감광체상에 정전기적으로 잠상을 형성하고, 이 잠상을, 토너를 이용해서 현상하고, 종이 등의 피정착시트상에 토너화상을 전사한 후, 열롤러로 가열압착하는 방법(열롤러정착방식)이 행해지고 있다. 이 열롤러정착방식에 있어서는, 소비전력 등의 경제성의 향상, 복사속도의 상승, 용지 등의 말림방지 등을 위해, 보다 저온에서 정착가능한 정착성이 양호한 토너가 요구되고 있다. 또, 근년, 컴퓨터, 하이비젼 등의 발달에 의해, 복사화상의 고화질, 고정세화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해서, 종래 기술에서는, 바인더수지의 분자량 및 분자량분포를 개량한 것 등의 제안이 되어 있다. 바인더수지를 저분자량화하고, 그 융점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정착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분자량화함으로써 용융점도의 저하가 일어나지만, 동시에 수지의 응집력도 저하하므로, 정착롤에의 오프셋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고분자량의 수지와 저분자량의 수지를 혼합사용해서 분자량분포를 넓게 한 재료를 해당 바인더수지로서 이용하는 방법이나, 또한 바인더수지의 고분자량부분을 가교시키거나 하는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는, 수지의 점도가 상승해버리고, 역으로, 정착성을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해진다.
또, 충분한 정착성을 얻기 위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내리는 방법도 알려져 있으나, 이 때에는 토너의 보존성이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내오프셋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형제로서 폴리프로필렌왁스를 함유시키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의 융점은 130 내지 150℃로 높아, 낮은 정착온도에 있어서 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피셔트롭시왁스(Fischer-Tropsch wax)나 미세결정성 왁스를 이형제로서 함유시키는 방법도, 미국특허 제 5,629,122호, 제 5,547,799호, 제 5,702, 859호, 제 5,780,197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왁스는 폴리프로필렌왁스보다도 저융점이고, 이 때문에 보다 낮은 정착온도에 있어서도 이형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도 핫오프셋성이 불충분하여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각종 방법이 시도되어 왔으나, 특히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법은 아직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토너가 지니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저온정착성, 내오프셋성 및 보존성이 우수한 토너용 수지조성물 및 토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각종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이하에 기술하는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1] (A) 190±0.4℃에서 측정한 멜트인덱스의 값이 0.1 내지 100인 에틸렌계 중합체와, 융점이 70℃ 내지 120℃인 파라핀왁스 또는 융점이 70℃ 내지 120℃인 피셔트롭시왁스를 함유해서 이루어진 왁스조성물; 및
(B) 토너용 바인더수지를 함유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2] 상기 [1]항에 있어서, 토너용 수지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상기 (A)성분의 함유율이 0.05중량% 내지 15.0중량%이고, 상기 (B)성분의 함유율이 85.0중량% 내지 99.95중량%이고,
상기 (A)성분 전체에 대해서, 에틸렌중합체의 함유율이 0.01중량% 내지 5.0중량%이고, 파라핀왁스 및 피셔트롭시왁스의 합계 함유율이 95.0중량% 내지 99.9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3] 상기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 바인더수지가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4] 상기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가, 스티렌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구성성분과,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 또는 (메타)아크릴산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구성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Tg가 45℃ 내지 75℃이고;
GPC에 의해 측정한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0이상이고,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의 영역 및 분자량 100,000이상의 영역에 각각 적어도 1개의 최대치 혹은 숄더(shoulder)를 지니고, Mw와 수평균분자량(Mn)의 비(Mw/Mn)가 15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5] 상기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 바인더수지가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6] 상기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Tg가 45℃ 내지 75℃이고;
GPC에 의해 측정된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Mw가 6,000 내지 150,000이고,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의 영역에 적어도 1개의 최대치 혹은 숄더를 지니고, Mw/Mn이 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7] 상기 [1]항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왁스를 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8] 상기 [1]항 내지 [7]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토너용 수지조성물을 함유하는 토너.
본 발명의 왁스조성물은, 에틸렌단량체를 주구성성분으로 한 에틸렌계 중합체와, 파라핀왁스 혹은 피셔트롭시왁스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왁스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다.
에틸렌단량체를 주구성성분으로 한 에틸렌계 중합체를 왁스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파라핀왁스 또는 피셔트롭시왁스의, 바인더수지에의 분산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에 의해, 양호한 정착성의 발현 및 양호한 오프셋성능의 발현이 가능해진다. 또, 양호한 왁스분산성을 위해 폴리에틸렌왁스를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토너용 수지조성물 및 토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 내오프셋성, 정착성 및 보존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너용 수지조성물 및 토너에 의하면, 복사의 고속화, 에너지절약화, 고화질화 등, 근년 높아지고 있는 요구에 충분히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왁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파라핀왁스는, 석유로부터 감압증류 등의 조작에 의해 추출분리되어, 고도로 정제된, 노멀파라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화수소혼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셔트롭시왁스는, 예를 들면, 1산화탄소와 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가스를, 상압하, 170 내지 250℃에서, 코발트, 니켈, 철계의 촉매를 이용해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주로 직사슬형상의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합성왁스이다. 이와 같은 피셔트롭시왁스는, 상기와 같은 피셔트롭시합성법에 의해 합성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라핀왁스의 융점 및 피셔트롭시왁스의 융점은 70 내지 120℃이다. 융점이 지나치게 낮으면 토너의 보존성이 저하될 경우가 있다. 한편, 융점이 지나치게 높으면 토너의 저온정착성이 저하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토너용 수지조성물에는, 폴리에틸렌왁스, 폴리프로필렌왁스 등의 폴리올레핀왁스를 함유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토너중의 왁스분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첨가량은, 토너용 수지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 내지 1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왁스는, 파라핀왁스나 피셔트롭시왁스와 비교해서, 통상, 고점도이다. 폴리올레핀왁스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왁스를 이용할 경우, DSC법에 의해 측정한 융점이 90 내지 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점도평균분자량이 8,000미만, 결정화도가 6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성치를 만족하는 폴리에틸렌왁스를 왁스조성물중에 함유시킴으로써, 토너중의 왁스분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올레핀왁스에 상당하는 것의 구체적인 상품명으로서는, 미쯔이카가쿠사 제품인 하이왁스(Hi-wax) 800P, 400P, 200P, 100P, 720P, 420P, 320P, 405MP, 320MP, 4051E, 2203A, 1140H, NL800, NP055, NP105, NP505, NP805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들 제품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토너용 수지조성물에는, 세라믹왁스, 라이스왁스, 슈가왁스, 우루시왁스, 밀랍, 카르나우바왁스, 칸데릴라왁스, 몬탄왁스 등의 천연왁스를 함유해도 되고, 그 첨가량은, 토너용 수지조성물의 중량에 의거 0 내지 1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중합체)
본 발명의 에틸렌계 중합체는, 에틸렌단량체유래의 단위를 주구성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다. 에틸렌계 중합체의 조성은, 에틸렌단량체를 90중량%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기타 단량체로서는 프로필렌, 부텐, 펜텐, 헥센 등의 알킬렌계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계 중합체는, JIS K 6760에 의거해서 2160±10g의 하중을 걸어 190±0.4℃에서 측정한 멜트인덱스의 값이 0.1 내지 1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0의 범위에 있다. 멜트인덱스의 값이 지나치게 적으면 양호한 정착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될 경우가 있다. 멜트인덱스의 값이 지나치게 크면, 양호한 왁스분산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될 경우가 있다.
상기 에틸렌계 중합체의 구체적 상품명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쯔이카가쿠사 제품인 미라손 시리즈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들 제품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왁스조성물은, 파라핀왁스 또는 피셔트롭시왁스와 에틸렌단량체를 주구성성분으로 한 에틸렌계 중합체를 각각 소정량씩 혼합용기내에 소량의 용제와 함께 주입하고, 가열혼합교반함으로써 균일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토너용 바인더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너용 바인더수지는, 토너용 수지조성물의 구성성분을 결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공중합체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를 주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구성성분과,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또는 (메타)아크릴산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구성성분을 함유하고,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가 45 내지 75℃이고; GPC에 의해 측정한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0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의 영역 및 분자량 100,000이상의 영역에 각각 적어도 1개의 최대치 혹은 숄더를 지니고, Mw와 수평균분자량(Mn)의 비(Mw/Mn)가 15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티렌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화 스티렌, 비닐톨루엔, 4-술폰아미드스티렌, 4-스티렌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n-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도데실,
(메타)아크릴산 라우릴, (메타)아크릴산 스테아릴,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페닐, (메타)아크릴산 벤질, (메타)아크릴산 푸르푸릴,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메틸, (메타)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2-클로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단량체의 조성으로서는, 스티렌계 단량체의 함유율이 60 내지 95중량%,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의 함유율이 5 내지 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기타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타콘산디메틸, 이타콘산디프로필, 이타콘산디부틸, 이타콘산디옥틸,
이타콘산디아밀 등의 이타콘산 에스테르류,
탄소수 1 내지 8의 직사슬 혹은 분기알킬기를 지닌 말레산에스테르 및 푸말산 에스테르, 말레산 디에틸, 말레산디프로필, 말레산디부틸, 말레산디펜틸,
말레산디헥실, 말레산헵틸, 말레산옥틸, 말레산에틸부틸, 말레산에틸옥틸,
말레산부틸옥틸, 말레산부틸헥실, 말레산펜틸옥틸, 푸말산디에틸, 푸말산디프로필, 푸말산디부틸, 푸말산디펜틸, 푸말산디헥실, 푸말산헵틸, 푸말산옥틸,
푸말산에틸부틸, 푸말산에틸옥틸, 푸말산부틸옥틸, 푸말산부틸헥실,
푸말산펜틸옥틸 등의 말레산에스테르류 및 푸말산에스테르류,
신남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2-비닐나프탈렌, 무수이타콘산, 무수말레산,
아크릴아미드 메틸술폰산, 아크릴아미드 에틸술폰산,
아크릴아미드 n-프로필술폰산, 아크릴아미드 이소프로필술폰산,
아크릴아미드 n-부틸술폰산, 아크릴아미드-s-부틸술폰산,
아크릴아미드 t-부틸술폰산, 아크릴아미드 펜탄술폰산, 아크릴아미드 헥산술폰산,
아크릴아미드 헵탄술폰산, 아크릴아미드 옥탄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 메틸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 에틸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 n-프로필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 이소프로필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 n-부틸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s-부틸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 t-부틸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 펜탄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 헥산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 헵탄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 옥탄술폰산, 디비닐벤젠,
1,3-부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600 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디아크릴레이트,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600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디메타크릴레이트,
N,N'-메틸렌 비스메타크릴아미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2,2-비스(4-메타크릴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 등의 불포화 카르복시산 및 불포화 디카르복시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의 합성방법으로서는, 괴상중합법, 용액중합법, 현탁중합법 및 유화중합법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의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t-부틸퍼옥시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퍼옥시 크로토네이트, 디(t-부틸퍼옥시) 푸마레이트,
t-부틸퍼옥시 알릴카보네이트, 과트리멜리트산 트리-t-부틸 에스테르,
과멜리트산 트리-t-아미노 에스테르, 과멜리트산 트리-t-헥실 에스테르,
과멜리트산 트리-t-1,1,3,3-테트라메틸부틸 에스테르,
과멜리트산 트리-t-큐밀 에스테르,
과멜리트산 트리-t-(-p-이소프로필)큐밀 에스테르,
과트리메신산 트리-t-부틸 에스테르, 과트리메신산 트리-t-아미노에스테르,
과트리메신산 트리-t-헥실에스테르,
과트리메신산 트리-t-1,1,3,3-테트라메틸부틸에스테르,
과트리메신산 트리-t-큐밀에스테르,
과트리메신산 트리-t-(p-이소프로필)큐밀에스테르,
2,2-비스(4,4-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2,2-비스(4,4-디-t-헥실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2,2-비스(4,4-디-t-아밀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2,2-비스(4,4-디-t-옥틸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2,2-비스(4,4-디-α-큐밀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2,2-비스(4,4-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실)부탄,
2,2-비스(4,4-디-t-옥틸퍼옥시시클로헥실)부탄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는, GPC에 의해 측정한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Mw가 100,000이상이고, Mw/Mn이 15 내지 100이며,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의 영역 및 분자량 100,000이상의 영역에 각각 적어도 1개의 최대치 혹은 숄더를 지니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의 Tg가 45 내지 7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의 Mw, Mw/Mn, 최대치 및 Tg를 만족시킴으로써, 정착성, 오프셋성 및 보존성의 밸런스에 있어서 매우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Mw가 100,000이상이고, Mw/Mn이 15이상,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의 영역에 제 1의 최대치 혹은 제 1의 숄더를 지니고 있고, 분자량 100,000이상의 영역에 제 2의 최대치 혹은 제 2의 숄더를 지니고 있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의 응집력이 향상되고, 내오프셋성이 양호한 것으로 되므로 바람직하다. 동시에, Mw/Mn이 100보다 적고, 또한, 분자량이 12,000보다 적은 영역에 제 1의 최대치 혹은 제 1의 숄더를 지니고 있는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의 점성이 저하하여, 정착성이 양호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또, Tg의 값이 45℃보다 높은 것은, 내블로킹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므로 바람직하고, Tg의 값이 75℃보다 낮은 것은, 토너의 최저정착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테레프탈산, 말론산 등의 산성분을 적어도 1종이상 및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의 알콜성분을 적어도 1종이상 이용하여, 이것을 중축합해서 제조한다. 또, 보다 분자량분포가 넓은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미리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a)와 베이스폴리에스테르(b)를 준비하고, 이들을 혼합후, 다가 이소시아네이트로 우레탄화 반응을 행하여 수지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 이용되는 산성분으로서는, 종래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제조할 때에 이용되고 있는 것을 어느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고, 상기에서 언급한 이외에, 예를 들면,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등의 알킬다카르복시산류,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시산류, 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벤젠디카르복시산류, 무수프탈산 등의 이들 디카르복시산류의 무수물 혹은 저급알킬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또, 분자량을 조정할 목적으로 모노카르복시산 및 3가이상의 폴리카르복시산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노카르복시산으로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옥탄산, 데칸산, 도데칸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시산을 들 수 있고, 분기이어도 되고, 불포화기를 지니고 있어도 되며, 또, 이들 지방족 모노카르복시산은, 유리전이점을 낮추는 성질이 있으므로, 유리전이점조절을 위해, 벤조산이나 나프탈렌카르복시산 등의 방향족 모노카르복시산을 이용해도 된다. 폴리카르복시산으로서는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및 이들의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콜성분으로서는, 종래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제조할 때에 이용되고 있는 것을 어느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고, 상기에서 열거한 알콜이외에, 예를 들면, 1,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2,3-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2-에틸-1,3-헥산디올 등의 알킬디올류, 수첨 비스페놀 A,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식 디올,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유도체, 예를 들면,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류와 비스페놀 F 혹은 비스페놀 S와의 반응생성물, 비스하이드록시에틸테레프탈산, 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테레프탈산, 비스하이드록시부틸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시산 저급 알킬 에스테르 등의 방향족 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사이드부가물,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옥사이드부가물 등의 비스페놀 A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등의 비스페놀 A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분자량을 조정할 목적으로 모노알콜 및 3가이상의 폴리올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노알콜로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옥탄올, 데칸올, 도데칸올, 미리스틸알콜, 팔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등의 지방족 모노알콜을 들 수 있고, 분기이어도, 불포화기를 지니고 있어도 된다. 3가이상의 폴리올로서는, 글리세린, 2-메틸프로판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소르비톨, 소르비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공중합체를 얻을 때의 중축합반응은, 질소가스 등의 불활성가스중에서의, 예를 들면, 무용제하의 고온중축합, 용액중축합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응시의 카르복시산과 알콜의 사용비율은, 전자의 카르복실기에 대한 후자의 수산기의 비율로 0.7 내지 1.4인 것이 일반적이다.
또,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얻을 때의 중축합반응에 있어서, 촉매를 첨가하면 반응의 진행이 빠르게 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로서, 주석계 촉매, 구체적으로는 디부틸주석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그 때의 첨가량으로서는 0.01중량%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45℃ 내지 75℃이고; GPC에 의해 측정한 해당 공중합체의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Mw가 6,000 내지 150,000이며;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의 영역에 적어도 1개이상의 최대치 혹은 숄더를 지니고, Mw/Mn이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의 Mw, Mw/Mn, 최대치 및 Tg를 만족시킴으로써, 정착성, 오프셋성 및 보존성의 밸런스에 있어서 매우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Mw가 6,000이상이고, Mw/Mn이 5이상인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해당 공중합체의 응집력이 향상되어, 내오프셋성이 양호한 것으로 되므로 바람직하고, 이와 동시에, Mw가 150,000이하이고,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의 영역에 적어도 1개의 최대치 혹은 숄더를 지니고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해당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의 점성이 저하되어, 정착성이 양호한 것으로 되어 바람직하다. 또, Tg를 45℃보다 높게 하면 토너의 블로킹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므로 바람직하고, 75℃보다 낮은 것으로 함으로써 토너의 최저정착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토너용 수지조성물)
본 발명의 토너용 수지조성물은, 토너용 수지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왁스조성물, 즉, (A)성분의 함유율이,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1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10.0중량%이고, 수지, 즉, (B)성분의 함유율이 바람직하게는, 85.0중량% 내지 99.9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내지 99.5중량%이다.
또, (A)성분 전체에 대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함유율이,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1.0중량%, 파라핀왁스 및 피셔트롭시왁스의 합계 함유율이, 바람직하게는, 95.0중량% 내지 99.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중량% 내지 99.9중량%이다.
왁스조성물의 함유율이 지나치게 적으면 충분한 정착성이 얻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 한편, 왁스조성물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충분한 보존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토너용 수지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지와 왁스조성물의 혼합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i) 수지를 유기용제에 용해시키고, 동시에 왁스조성물을 혼합하는 방법, (ii) 왁스조성물을, 수지를 형성하는 단량체에 용해시키고 나서, 이들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토너용 수지조성물중에는,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 및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외에,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아미드수지, 실리콘수지 등의 수지를 첨가해도 된다.
(토너)
본 발명의 토너는, 적어도 토너용 수지조성물, 대전조정제(CCA), 착색제 및 표면처리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토너용 수지조성물의 양은, 토너 전체에 대해서 50 내지 9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토너용 수지조성물이외의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착색제에 대해서 설명하면, 종래 알려져 있던 염료 및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카본블랙, 마그네타이트, 프탈로시아닌블루, 피콕블로, 퍼머넌트레드, 레이크레드, 로다민레이크, 한자옐로, 퍼머넌트옐로, 벤지딘옐로, 니그로신염료(C.I. No. 50415), 아닐린블루(C.I. No. 50405), 칼코오일블루(C.I. No. azoecBlue 3), 크롬옐로(C.I. No. 14090), 울트라마린블루(C.I. No. 77103), 듀폰오일레드(C.I. No. 26105), 오리엔트오일레드 #330(C.I. No. 60505), 퀴놀린옐로(C.I. No. 47005), 메틸렌블루클로라이드(C.I. No. 52015), 프탈로시아닌블루(C.I. No. 74160), 말라카이트그린옥탈레이트(C.I. No. 42000), 람브블랙(C.I. No. 77266), 로즈벤갈(C.I. No. 45435), 오일블랙, 아조오일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첨가량으로서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대전조정제로서는, 니그로신, 4급암모늄염이나 금속함유 아조염료를 포함한 공지의 대전조정제를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사용량은 토너용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1 내지 10중량부이다.
다음에 표면처리제에 대해서는, 토너에 대해서 해당 표면처리제를 첨가함으로써, 토너와 캐리어, 혹은 토너상호사이에 해당 표면처리제가 존재하게 되어, 현상제의 분체유동성이 향상되고, 또, 현상제의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는, 콜로이달실리카, 알루미나, 산화티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초미립자, 실리콘 등의 미분말을 들 수 있고, 상품명으로서는, AEROSIL 130, 200, 200V, 200CF, 200FAD, 300, 300CF, 380, R972, R972V, R972CF, R974, R976, RX200, R200, R202, R805, R812, R812S, TT600, MOX80, MOX170, COK84, 산화티탄T805, 산화티탄P25(이상 닛뽄에어로실사 및 다이셀데구사 제품), 특히, CAB-O-SIL L90, LM130, LM150, M5, PTG, MS55, H5, HS5, LM150D, M7D, MS75D, TS720, TS610, TS530(이상 CABOT사 제품) 등이며, 특히 해당 표면처리제의 표면적으로서는, BET법에 의한 질소흡착에 의한 비표면적이 30㎡/g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g의 범위인 것이 좋다. 이러한 해당 표면처리제의 첨가량은, 토너용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2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토너는, 폴리올레핀왁스를 함유해도 되고, 그 양은 토너용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0 내지 10중량부이다.
이들 재료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토너의 제조방법으로서는, 본 발명의 토너용 수지조성물, 착색제, 그리고, 필요하다면 기타 첨가제를 분체혼합기에 의해 충분히 혼합한 후, 가열롤, 니더, 압출기 등의 혼련기를 사용해서 용융, 혼련해서 각 구성성분을 충분히 혼합한다. 이것을 냉각후, 분쇄, 분급을 행하여, 통상 8 내지 20㎛의 범위의 입자를 모아, 분체혼합법에 의해 표면처리제를 피복해서 토너를 얻는다.
본 발명의 토너에서는, 토너제조공정중에 있어서의, 초기의 분체혼합단계에서, 왁스조성물을 첨가하는 일도 가능하다. 그 양은, 에틸렌계 중합체(공중합체)와 왁스조성물과의 중량비(에틸렌계 중합체(공중합체) : 왁스조성물)로 99.95 ∼ 85.0 : 0.05 ∼ 15.0이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토너는 각종 현상프로세스, 예를 들면, 캐스케이드현상법, 자기브러쉬법, 파우더클라우드법, 터치다운현상법, 캐리어로서 분쇄법에 의해서 제조된 자성 토너를 이용하는 소위 마이크로토닝법, 자성 토너끼리의 마찰대전에 의해 필요한 토너전하를 얻는 소위 바이폴라/마그네틱토너법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토너는 각종 정착방법, 예를 들면, 소위 오일레스용융 및 오일도포히트롤법, 플래쉬용융법, 오븐정착법, 압력정착법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토너는, 각종 클리닝방법, 예를 들면, 소위 퍼(fur)브러쉬법, 블레이드법 등에 이용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 "부"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이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폴리에스테르중합체의 분자량 및 분자량분포의 측정은, GPC를 이용해서 구한 것이다. 측정은, 시판의 단분산표준 폴리스티렌을 표준으로 해서, 이하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검출기: 소덱스 RI-71S
용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컬럼: KF-G + KF-807L ×3-KF800D
유속 1.0㎖/분
시료: 0.25%THF용액
측정의 신뢰성은, 상기 측정조건하에 행한 NBS706폴리스티렌시료(Mw=288,000, Mn=137,000, Mw/Mn=2.11)의 Mw/Mn이 2.11±0.1로 된 것에 근거해서 확인하였다.
융점에 대해서는, DSC에 의해 왁스흡열량의 피크치를 구하고, 이것을 융점으로 하였다. 측정은, SSC-5200(세이코전자공업사 제품)을 이용하고, 초기에 205℃까지 승온하고, 이어서, 이것을 냉각한 후, -20℃에서 200℃까지 10℃/분의 속도로 승온시킴으로써 행하였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토너의 평가방법을 기재한다.
① 정착성
시판의 전자사진복사기를 개조한 복사기로 미정착화상을 작성한 후, 이 미정착화상을 시판의 복사기의 정착부를 개조한 열롤러정착장치를 이용해서 정착시켰다. 열롤러의 정착속도는 210㎜/sec로 하고, 열롤러의 온도를 5℃씩 변화시켜서 토너의 정착을 행하였다. 얻어진 정착화상을 모래고무(톰보연필사 제품)에 의해 0.5㎏의 하중을 걸어, 10회 마찰시키고, 이 마찰시험전후의 화상농도를 맥베드식 반사농도계로 측정하였다. 각 온도에서의 화상농도의 변화율이 70%이상으로 된 최저의 정착온도를 취해서 최저정착온도로 하였다. 또, 여기서 이용한 열롤러정착장치는, 실리콘오일공급장치를 지니지 않은 것이다. 또, 측정은 상온상압(온도 22℃, 상대습도 55%)하에 행하였다.
평가결과
○: 최저정착온도 ≤170℃
△: 190℃ ≥최저정착온도 > 170℃
×: 최저정착온도 >190℃.
② 내오프셋성
토너의 내오프셋성의 평가는, 상기 최저정착온도의 측정에 준하였으나, 상기 복사기로 미정착화상을 작성한 후, 토너상을 전사해서 상술한 열롤러정착장치에 의해 정착처리를 행하고, 이어서, 백지의 복사지를 마찬가지의 조건하에서 해당 열롤러정착장치에 보내서 복사지상에 토너오염이 생겼는 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조작을, 상기 열롤러장착장치의 열롤러의 설정온도를 순차 상승시킨 상태에서 반복하고, 그 결과, 토너에 의한 오염이 생간 최저의 설정온도를 취해서 오프셋발생온도로 하였다. 또, 실험은 상온상압(온도 22℃, 상대습도 55%)에서 행하였다.
○: 오프셋발생온도 ≥ 240℃
△: 240℃ > 오프셋발생온도 ≥ 220℃
×: 220℃ > 오프셋발생온도
③ 내블로킹성(보존성)
온도 55℃, 상대습도 50%하에서 48시간 방치후, 150메쉬의 체에 시료 5g을 놓고, 파우더테스터(호소카와분체공학연구소 제품)의 가압저항기의 눈금을 3으로 해서, 1분간 진동을 가하였다. 진동후의 150메쉬의 체상에 남은 중량을 측정하여, 잔존중량비를 구하였다.
○: 20% 보다 적음
△: 20%이상 35%이하
×: 35%보다 많음.
이하, 평가에 제공한 시료의 제작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사용한 왁스는 모두 시판품을 이용하였다.
왁스조성물 제조예 1
융점이 95℃인 피셔트롭시왁스 99.95부와 멜트인덱스가 3.3인 에틸렌계 중합체(미라손, 미쯔이카가쿠사 제품) 0.05부를 혼합용기내에 소량의 용제와 함께 주입하고, 가열혼합교반함으로써, 왁스조성물 A를 얻었다.
왁스조성물 제조예 2
에틸렌계 중합체의 양을 3중량부로 한 이외에는 왁스조성물 제조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왁스조성물 B를 얻었다.
왁스조성물 제조예 3
에틸렌계 중합체의 양을 10중량부로 한 이외에는 왁스조성물 제조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왁스조성물 C를 얻었다.
왁스조성물 제조예 4
멜트인덱스가 70인 에틸렌계 중합체(미라손, 미쯔이카가쿠사 제품)를 이용한 이외에는 왁스조성물 제조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왁스조성물 D를 얻었다.
왁스조성물 제조예 5
융점이 95℃인 피셔트롭시왁스 99.90부와 멜트인덱스가 3.3인 에틸렌계 중합체(미라손, 미쯔이카가쿠사 제품) 0.05부 및 폴리에틸렌왁스(하이왁스 220P, 미쯔이카가쿠사 제품) 0.05부를 혼합용기내에 소량의 용제와 함께 주입하고, 가열혼합교반함으로써, 왁스조성물 E를 얻었다.
왁스조성물 제조예 6
융점이 73℃인 파라핀왁스 99.95부와 멜트인덱스가 3.3인 에틸렌계 중합체(미라손, 미쯔이카가쿠사 제품) 0.05부를 혼합용기내에 소량의 용제와 함께 주입하고, 가열혼합교반함으로써, 왁스조성물 F를 얻었다.
또, 왁스조성물 제조예 1 및 6에서 이용한 피셔트롭시왁스 및 파라핀왁스를, 각각 왁스 G 및 왁스 H로 한다.
상기 왁스조성물 제조예 1 및 6 에서 얻어진 왁스조성물과 왁스조성물 G 및 H의 구성 및 성상을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수지제조예 1
스티렌단량체 70.0부 및 n-부틸아크릴레이트 30.0부를, 내부공기를 질소로 치환한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오일욕에서 가열하여, 내부온도를 120℃로 유지하고, 괴상중합에 의해 4시간 중합시켰다. 이 때의 중합전화율은 32%였다. 이어서, 크실렌 120부를 가하고, 미리 혼합용해시켜 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1부와 크실렌 80부를, 플라스크의 내부온도를 100℃로 유지하면서 10시간에 걸쳐 연속첨가하고, 그 후, 2시간 반응을 계속해서 중합을 종료하고, Mn이 18,000, Mw가 410,000의 고분자량 폴리머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스티렌 80부와 메타크릴산부틸 20부를 크실렌용제의 존재하에, 중합개시제로서 AIBN 4부를 이용해서 환류하 용액중합시켜, Mw가 3,200, Mw/Mn이 2.1인 저분자량 폴리머용액을 얻었다. 최대치의 값을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이 양자의 용액을 고형분 중량비로 1:1로 혼합하고, 190℃에서 3torr의 진공도로 1시간 용제의 제거를 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는 Mw가 210,000, Mw/Mn이 65, Tg가 60℃였다.
수지제조예 2 내지 13
수지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중합개시제량, 중합온도, 용제비를 변경한 이외에는, 수지제조예 1과 마찬가지조성의 저분자량 폴리머 및 고분자량 폴리머를 얻고, 이어서, 이들 폴리머의 용액을 적절한 비율로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혼합 및 용제제거를 행함으로써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얻었다.
수지제조예 14
4입구 플라스크에 환류냉각기, 수분리장치, 질소가스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장치를 부착하고, 폴리올 KB300(미쯔이카가쿠사 제품) 65부, 이소프탈산 30부, 벤조산 5부 및 디부틸주석옥사이드 0.05부를 주입하고, 플라스크내에 질소를 도입하면서 240℃에서 탈수축중합을 행하였다. 반응생성물의 산가가 소정치에 달한 때에 플라스크로부터 꺼내어 냉각, 분쇄해서, 폴리에스테르중합체(a)를 얻었다.
다음에, 주입 조성을, 폴리올 KB300(미쯔이카가쿠사 제품) 31부, 디에틸렌글리콜(DEG) 22부, 트리메틸올프로판(TMP) 3부 및 이소프탈산 44부로 한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중합체(b)를 얻었다.
또, 폴리에스테르중합체(a) 60부, 폴리에스테르중합체(b) 40부 및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부를 2축혼련기속에서 180℃에서 혼련하여 폴리에스테르중합체를 얻었다.
이들 수지제조예 1 내지 14에서 얻어진 수지의 성질을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1
용제 제거과정에서 왁스조성물 A를 3부 첨가한 이외에는 수지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으로 토너용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또, 토너용 수지조성물 87부와 카본블랙(MA100: 미쯔비시카가쿠사 제품) 8.0부, 대전조정제(BONTRON S-34; 오리엔트화학공업사 제품) 1.0부 및 폴리프로필렌왁스(하이왁스 NP105: 미쯔이카가구사 제품) 3.0부를 헨셸믹서로 예비혼합한 후, 2축혼련기를 이용해서, 120℃로 설정해서 혼련한 후, 냉각, 조분쇄, 미분쇄하고, 또한, 분급기에서 분급하여 6.0 내지 18.0㎛의 토너를 얻었다. 이어서, 상기 토너 100중량부에 대해서, 소수성 실리카(R-972: 에어로실사 제품)를 0.5중량부가 되는 비율로 외부로부터 첨가하고, 이것을 헨셸믹서로 혼합해서 토너를 얻었다. 얻어진 토너의 평가결과를 하기 표 3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8 및 참고예 1 내지 6
수지의 종류 및 첨가한 왁스조성물의 종류와 양을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토너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토너의 평가결과를 하기 표 3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 조작을 행하여, 용제 제거과정에서 하이왁스 NP105를 3부 첨가하고, 이어서, 토너용 수지조성물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제 제거를 행하여, 토너용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이 토너용 수지조성물을 마찬가지로 실시예 1에 준한 조작을 행하여, 토너를 얻었다. 얻어진 토너의 평가결과를 하기 표 3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20
혼련과정에서 폴리프로필렌왁스를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 조작을 행하여, 토너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토너의 평가결과를 하기 표 3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21
폴리에스테르중합체(a)의 축중합시에 왁스조성물 A를 5부 첨가한 이외에는, 수지제조예 14와 마찬가지 조작으로, 토너용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토너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토너의 평가결과를 하기 표 3에 표시하였다.
왁스(1) 왁스(2) 에틸렌폴리머 왁스(1)의 융점 에틸렌폴리머의 멜트인덱스
피셔트롭시왁스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왁스조성물 A 99.95 0.05 95 3.3
왁스조성물 B 97 3 95 3.3
왁스조성물 C 90 10 95 3.3
왁스조성물 D 99.95 0.05 95 70
왁스조성물 E 99.90 0.05 0.05 95 3.3
왁스조성물 F 99.95 0.05 73 3.3
왁스조성물 G 100 95
왁스조성물 H 100 95
Mw Mw/Mn 피크M.W.(1) 피크M.W.(2) Tg(℃)
A-1 210,000 65 340,000 4,000 60
A-2 130,000 49 300,000 4,000 59
A-3 310,000 91 300,000 4,000 61
A-4 230,000 78 290,000 4,000 52
A-5 11,000 30 190,000 5,000 71
A-6 220,000 63 330,000 4,000 43
A-7 210,000 64 350,000 4,000 78
A-8 110,000 4 120,000 --- 60
A-9 370,000 110 310,000 4,000 60
A-10 90,000 25 180,000 5,000 61
A-11 190,000 95 330,000 2,000 61
A-12 210,000 26 320,000 13,000 59
A-13 110,000 30 90,000 4,000 58
A-14 18,000 12 5,400 --- 58
토너용 수지조성물의 조성 토너평가결과
공중합체 왁스조성물 왁스조성물의 함유율 정착성 오프셋성 보존성
실시예 1 A-1 A 3중량%
실시예 2 A-1 A 10중량%
실시예 3 A-1 B 3중량%
실시예 4 A-1 D 3중량%
실시예 5 A-1 E 3중량%
실시예 6 A-1 F 3중량%
실시예 7 A-2 A 3중량%
실시예 8 A-3 A 3중량%
실시예 9 A-4 A 3중량%
실시예 10 A-5 A 3중량%
실시예 11 A-6 A 3중량%
실시예 12 A-7 A 3중량%
실시예 13 A-8 A 3중량%
실시예 14 A-9 A 3중량%
실시예 15 A-10 A 3중량%
실시예 16 A-11 A 3중량%
실시예 17 A-12 A 3중량%
실시예 18 A-13 A 3중량%
실시예 19 A-1 A 3중량%
실시예 20 A-1 A 3중량%
실시예 21 A-14 A 3중량%
참고예 1 A-1 --- --- × ×
참고예 2 A-1 G 3중량% ×
참고예 3 A-1 H 3중량% ×
참고예 4 A-1 C 3중량%
참고예 5 A-1 A 20중량%
참고예 6 A-14 --- ---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저온정착성, 내오프셋성 및 보존성이 우수한 토너용 수지조성물 및 토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A) 190±0.4℃에서 측정한 멜트인덱스의 값이 0.1 내지 100인 에틸렌계 중합체와, 융점이 70℃ 내지 120℃인 파라핀왁스 또는 융점이 70℃ 내지 120℃인 피셔트롭시왁스를 함유해서 이루어진 왁스조성물; 및
    (B) 토너용 바인더수지를 함유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토너용 수지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상기 (A)성분의 함유율이 0.05중량% 내지 15.0중량%이고, 상기 (B)성분의 함유율이 85.0중량% 내지 99.95중량%이고,
    상기 (A)성분 전체에 대해서, 에틸렌중합체의 함유율이 0.01중량% 내지 5.0중량%이고, 파라핀왁스 및 피셔트롭시왁스의 합계 함유율이 95.0중량% 내지 99.9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수지가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가, 스티렌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구성성분과,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 또는 (메타)아크릴산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구성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45℃ 내지 75℃이고;
    GPC에 의해 측정한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0이상이고,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의 영역 및 분자량 100,000이상의 영역에 각각 적어도 1개의 최대치 혹은 숄더를 지니고, Mw와 수평균분자량(Mn)의 비(Mw/Mn)가 15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 바인더수지가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Tg가 45℃ 내지 75℃이고;
    GPC에 의해 측정된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Mw가 6,000 내지 150,000이고,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의 영역에 적어도 1개의 최대치 혹은 숄더를 지니고, Mw/Mn이 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왁스를 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 수지조성물.
  8. 제 1항에 의한 토너용 수지조성물을 함유하는 토너.
KR10-2002-7006266A 1999-11-16 2000-11-15 토너용 수지조성물 및 토너 KR100496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25438 1999-11-16
JP32543899 1999-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594A KR20020044594A (ko) 2002-06-15
KR100496352B1 true KR100496352B1 (ko) 2005-06-20

Family

ID=1817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266A KR100496352B1 (ko) 1999-11-16 2000-11-15 토너용 수지조성물 및 토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33941B1 (ko)
EP (1) EP1262838B1 (ko)
KR (1) KR100496352B1 (ko)
CN (1) CN100395667C (ko)
CA (1) CA2391533C (ko)
DE (1) DE60041458D1 (ko)
WO (1) WO2001037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04829B (en) * 2001-12-28 2009-01-01 Mitsui Chemicals Inc Binder resin for toner and electrophotographic toner for electrostatic developing using said resin
ATE549665T1 (de) * 2002-09-09 2012-03-15 Mitsubishi Kagaku Imaging Corp Elektrostatische tonerzusammensetzung zur verbesserung der kopienqualität durch verbesserung der verschmelzu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0841967B1 (ko) * 2005-04-22 2008-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대전성 및 우수한 대전안정성을 갖는 중합토너
JP5589413B2 (ja) 2010-02-03 2014-09-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難燃剤、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絶縁電線
JP5589414B2 (ja) * 2010-02-03 2014-09-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難燃剤、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絶縁電線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52604B2 (de) * 1972-10-21 1980-09-11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Tokio Toner für elektrostatographische Trockenentwickler
JPS6015646A (ja) * 1983-07-07 1985-01-26 Canon Inc 低圧力定着性トナー
FR2573224B1 (fr) 1984-08-31 1990-08-03 Canon Kk Procede de preparation d'un toner ou toner en capsule destine a etre utilise en electrophotographie et produit obtenu
US4554303A (en) * 1984-12-14 1985-11-19 Eastman Kodak Company Copolyester compositions
JPH0715595B2 (ja) * 1985-01-08 1995-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熱定着性トナ−
JPH01115197A (ja) 1987-10-28 1989-05-08 Nec Corp 混成集積回路
JPH0691768B2 (ja) 1987-11-09 1994-11-16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水田作業機
JPH05241371A (ja) * 1992-02-27 1993-09-21 Mitsubishi Rayon Co Ltd トナー用レジン
JPH05241971A (ja) 1992-03-03 1993-09-21 Nec Software Ltd メモリ上データの復旧方法
DE4217316A1 (de) 1992-04-25 1993-11-04 Troester Maschf Paul Vorrichtung zum zermahlen von gummi
EP0831377A3 (en) 1992-08-25 1998-07-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method
JPH06130714A (ja) * 1992-10-19 1994-05-13 Mita Ind Co Ltd 電子写真用トナー
JPH07287418A (ja) 1994-04-15 1995-10-31 Minolta Co Ltd 電子写真用トナー
JPH0831481A (ja) * 1994-07-15 1996-02-02 Fuji Denka:Kk 気密端子
JP2838498B2 (ja) * 1995-05-16 1998-12-16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電子写真用トナー
US5702859A (en) 1995-05-16 1997-12-30 Tomoegawa Paper Co., Ltd. Electrophotographic tone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H1115197A (ja) * 1997-06-24 1999-01-22 Minolta Co Ltd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JPH1124310A (ja) * 1997-07-07 1999-01-29 Kyocera Corp 静電潜像現像用カラート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91533A1 (en) 2001-05-25
WO2001037054A1 (fr) 2001-05-25
CN1390319A (zh) 2003-01-08
EP1262838A4 (en) 2003-05-02
CN100395667C (zh) 2008-06-18
DE60041458D1 (de) 2009-03-12
US6733941B1 (en) 2004-05-11
EP1262838B1 (en) 2009-01-21
EP1262838A1 (en) 2002-12-04
KR20020044594A (ko) 2002-06-15
CA2391533C (en) 200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4728B1 (en) Toner binder, and toner
KR100553185B1 (ko) 토너용 바인더수지 및 토너
EP1467257A1 (en) Resin for toner binder and toner composition
KR100767855B1 (ko) 토너 원료용 수지 미립자, 그 수성 분산계, 및 토너
JP2007199738A (ja) トナーバインダー用樹脂及びトナー組成物
KR100496352B1 (ko) 토너용 수지조성물 및 토너
JP5273718B2 (ja) 電子写真用トナーの製造方法
KR100609344B1 (ko) 토너용 바인더수지 및 토너
JP4372992B2 (ja) トナー用樹脂組成物およびトナー
EP1458793B1 (en) Binder resin for toner and electrophotographic toner for electrostatic developing using said resin
JP7198643B2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JP2022098008A (ja) トナー用結着樹脂組成物
JP4267533B2 (ja) トナー用バインダー樹脂及び該樹脂を用いた静電荷現像用電子写真トナー
JP4180568B2 (ja) トナー用バインダー樹脂及び該樹脂を用いた静電荷像現像用電子写真トナー
JP7428782B2 (ja) トナー用結着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4047693B2 (ja) トナー用バインダー樹脂及び該樹脂を用いた静電荷現像用電子写真トナー
JP7142542B2 (ja) 電子写真用トナー
JP5517605B2 (ja) 電子写真用トナー
JP2019095515A (ja) トナー用結着樹脂組成物
JP6219703B2 (ja) トナー
JPH09325518A (ja) カラー用トナーバインダー
JP3338384B2 (ja) トナーバインダー
JPH01289972A (ja) 静電像現像トナー
JP3789398B2 (ja) トナー用バインダー樹脂組成物およびトナー
JP3758902B2 (ja) トナー用樹脂組成物およびト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