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246B1 - 문서화상데이터판독장치 - Google Patents

문서화상데이터판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246B1
KR100496246B1 KR10-1998-0704815A KR19980704815A KR100496246B1 KR 100496246 B1 KR100496246 B1 KR 100496246B1 KR 19980704815 A KR19980704815 A KR 19980704815A KR 100496246 B1 KR100496246 B1 KR 100496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oller
sensor
roller block
senso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701A (ko
Inventor
야스히로 하야시
히데유끼 가와시마
도모시게 이누야마
도시유끼 이나게
히데끼 아라이
주니찌 미야따
신고 오노
Original Assignee
시티즌 워치 콤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즌 워치 콤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티즌 워치 콤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76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04N1/00541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with detachable image rea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manu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롤러블록 (20) 상에 센서블록 (10)을 적층하여, 그 판독센서 (31) 의 판독면을 상기 구동롤러 (28) 와 대향시킨다. 그러면, 종이가 구동롤러 (28) 에 의해 자동이송되면서, 문서나 화상이 판독센서 (31) 에 의해 판독된다. 한편, 이 센서블록 (10)을 180 도 반전시켜 다시 롤러블록 (20) 상에 적층하고, 그것을 센서블록 (10)을 아래로 하여 종이 위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면, 판독센서 (31) 가 문서나 화상을 판독한다.

Description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DOCUMENT/IMAGE DATA READER}
본 발명은 단표지 (單票紙) 또는 제본된 각 면에 쓰여진 문서나 도형 등의 문서화상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고를 자동이송할 수 있는 자동이송모드 및 원고 위를 수동으로 장치를 주사시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수동이송모드의 2 개의 모드를 갖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팩시밀리 등에 이용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에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67958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고를 장치에 내장한 용지이송기구에 의해, 판독센서에 대하여 이동시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자동이송모드와, 원고 위를 수동으로 판독센서를 주사시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수동이송모드로 전환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후자에는 정지된 원고 위를 판독장치 자체가 이동하면서 판독하는 형태도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종래의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를, 도 32 및 도 33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2 는 종래의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800) 를 자동이송모드로서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3 은 동일하게 수동이송모드로서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센서블록 (810) 에는 원고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센서유니트 (811) 가 내장되어 있고, 롤러블록 (820) 에는 원고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롤러 (821) 와, 이 구동롤러 (821) 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822) 가 내장되어 있다. 센서블록 (810) 과 롤러블록 (820) 과는 힌지 (회전운동 가능한 연결부재; 813) 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자동이송모드 상태와 수동이송모드 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로크 (812) 는, 장치를 수동이송모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 센서블록 (810) 과 롤러블록 (820) 을 이와 같은 상태로 유지하고, 이들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다음으로, 도 32 및 도 33 을 이용하여, 종래의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2 에 나타낸 자동이송모드로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센서유니트 (811) 와 구동롤러 (821) 가 대향하여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어, 양자의 사이에 원고 (802) 가 삽입되어 구동롤러 (821) 의 회전에 의해 원고 (802) 가 이동하여 원고의 문서화상데이터가 판독된다.
또한, 센서유니트 (811) 는, 다수의 LED (발광다이오드) 등의 광원과 집광렌즈와 원고 (802) 로부터의 반사광을 판독하기 위한 라인센서 (도시생략) 로 구성되고, 라인센서로 판독하기 위한 판독면이 원고에 가장 근접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3 에 나타낸 수동이송모드로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센서유니트 (811) 의 판독면과 구동롤러 (821) 의 원고구동면이 거의 동일면상에 나란하도록 되어 있어, 센서유니트 (811) 의 판독면이 평면에 놓여진 원고 (802) 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장치 전체는, 롤러블록 (820) 의 하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는 구동롤러 (821) 의 회전에 의해 원고 (802) 위를 스스로 이동하여, 문서화상데이터가 판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은 유연한 코드로 공급되거나 충전식 전지를 적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로크 (812) 는, 수동이송모드로 사용하는 상태인 경우의 기계적인 접속만이 아니라, 전원이나 신호선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를 겸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이송모드 상태 에서는 상하로 분리된 로크 (812) 사이를 케이블 (도시생략) 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수동이송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센서블록과 롤러블록의 양방이 나란히 원고에 대향하는 배치가 된다. 이 때문에, 원고가 센서블록의 저면 외에 롤러블록의 저면으로도 덮여지게 되어, 원고를 판독하는데는 그 만큼의 큰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또, 수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에 있는 판독장치는 넓은 바닥면적으로 원고 상에 퍼져 있으므로, 이와 같은 판독장치를 손으로 쥐기 어렵기 때문에, 조작성을 나쁘게 하였다.
또한, 센서블록 (810) 과 롤러블록 (820) 이 힌지 (813) 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가까워져 중첩되거나, 서로 떨어져 나란히 놓여진 상태로 되는 판독장치에 있어서는, 롤러블록 (820) 과 센서블록 (810)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적절한 것이 없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판독장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자동이송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판독장치가 수동이송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판독장치의 내부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판독장치에서의 접속 커넥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판독장치에서의 롤러블록의 페이퍼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판독장치에서의 센서블록과 롤러블록 사이의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의 커넥터측의 단자 (b2, b3, b10 및 b11) 에 접속되는 신호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도 6 의 커넥터측의 단자 (b5, b8) 에 접속되는 신호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판독장치의 제 2 실시형태가 자동이송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판독장치가 수동이송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자동이송모드 상태에서 도 10 의 수동이송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도중에 있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9 의 판독장치의 내부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A-A 선의 단면도로서, 회전지지부재의 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는 도 12 의 B-B 선의 단면도로서, 센서블록의 회전지지에 관련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판독장치의 제 3 실시형태가 자동이송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판독장치가 수동이송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5 의 자동이송모드 상태에서 도 16 의 수동이송모드 상태 로 전환하는 도중에 있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5 의 판독장치의 내부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 에 도시한 훅 (hook) 및 슬라이드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판독장치의 제 4 실시형태가 자동이송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20 의 판독장치가 수동이송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 는 도 20 판독장치의 내부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 은 도 22 에 도시한 지지부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에 따른 판독장치의 제 5 실시형태가 자동이송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 는 도 24 의 판독장치가 수동이송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 은 도 24 의 판독장치의 내부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 은 도 26 에 도시한 지축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에 부속된 원고 트레이가 사용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 는 도 28 의 원고 트레이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30 은 도 28 의 원고 트레이가 수납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1 은 도 28 의 원고 트레이와는 다른 형태의 원고 트레이로서, 그것이 롤러블록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로운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2 는 종래의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자동이송모드에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3 은 도 32 의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를 수동이송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자동이송모드에서 수동이송모드로 전환하여도, 장치의 평면방향의 크기가 커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작자가 취급하기 좋고, 원고를 판독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장소를 작게 할 수 있는 개량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자동이송모드와 수동이송모드의 전환을 하여도, 센서블록과 롤러블록과의 전기적 신호의 접속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개량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는, 원고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센서를 수납한 센서블록과, 원고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수납한 롤러블록과, 또한, 상기 롤러블록에 대하여 상기 센서블록을 상기 센서블록의 판독센서가 상기 롤러블록의 구동롤러와 대향하도록 장착할 수 있고, 또, 상기 센서블록을 반전시켜 그 판독센서가 롤러블록과 반대쪽으로도 향하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장착수단을 포함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형태를 도 1 - 도 8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실시형태를, 도 1 및 도 2 를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 는, 문서나 도형 등이 그려져 있는 원고 (2) 의 내용을 판독하기 위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센서 (도시생략) 를 내부에 수납한 센서블록 (10) 과, 원고 (2) 를 자동이송하기 위한 구동롤러 (28; 도3) 를 구비한 롤러블록 (20) 으로 이루어진다.
도 1 에서는, 가늘고 긴 형상의 롤러블록 (20) 의 바로 위에, 가늘고 긴 형상의 센서블록 (10) 을 적층하여 상호 연결하여, 센서블록 (10) 의 판독센서와 롤러블록 (20) 의 구동롤러를 대향시키고 있다. 여기서, 롤러블록 (20) 이 놓여진 평면을 XY 평면으로 하고, 롤러블록 (20) 의 긴 변의 방향을 X 축방향으로 한다. 따라서, 원고 (2) 를 센서블록 (10) 과 롤러블록 (20) 과의 사이에 끼우면, 원고 (2) 는 롤러블록 (20) 에 내장된 구동롤러에 의해 Y 축방향으로 자동이송된다. 그 사이에, 센서블록 (10) 에 내장된 판독센서가 원고 (2) 의 문서 및 화상을 판독한다. 이와 같이, 원고 (2) 를 구동롤러로 자동이송하면서 판독센서로 그 원고 (2) 에 그려진 문서 및 화상을 판독하는 형태를 이하에서는 "자동이송모드" 라 한다.
도 1 의 센서블록 (10) 을 롤러블록 (20) 에 대하여 상방으로 (X, Y 축과 수직인 Z 축방향으로) 들어올려 롤러블록 (20)에서 떼어낸 후, 그 센서블록 (10) 을 X 축 주위로 180 도 회전하여 반전시킨 후에 다시 롤러블록 (20) 에 연결한다. 그러면, 이번에는 롤러블록 (20) 에 연결된 센서블록 (10) 의 판독센서가 반대방향의 롤러블록 (20) 측으로 향한다. 따라서, 이 센서블록 (10) 과 롤러블록 (20) 과의 연결체를,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블록 (20) 이 위로 오고 센서블록 (10) 이 아래로 와 원고에 접하도록 하여, XY 평면 위에 놓여진 원고 (2) 의 위를 Y 축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하면, 센서블록 (10) 의 판독센서가 원고 (2) 에 그려진 문서 및 화상을 판독한다. 이와 같이, 센서블록 (10) 과 롤러블록 (20) 과의 연결체를 원고 위를 수동으로 주사함으로써 그 원고의 문서 및 화상을 판독하는 태양을, 이하에서는 "수동이송모드" 라 한다.
또한, 센서블록 (10) 과 롤러블록 (20) 과의 연결 및 이탈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도 2에서, 부호 (29) 는 롤러블록 (20) 에 설치된 푸트 러버 (foot rubber) 로서, 도 1 의 자동이송모드일 때에 롤러블록 (20) 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원고 (2) 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 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센서블록 (10) 과 롤러블록 (20) 이 도 1 과 동일하게 자동이송모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센서블록 (10) 은 센서유니트 (31), 가이드롤러 (38), 로터리 인코더 (35) 및 자형 (雌型) 커넥터 (37) 를 포함한다. 한편, 롤러블록 (20) 은, 원고를 자동이송하기 위한 구동롤러 (28), 상기 구동롤러 (28) 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45), 각종 제어회로 등을 구비한 회로기판 (46), 원고의 삽입유무 등을 검출하기 위한 페이퍼센서 (60), 센서블록의 자형 커넥터 (37) 와 결합하는 웅형 (雄型) 커넥터 (21), 및 이들의 구조부품을 지지하는 철제의 샷시 (50) 를 포함한다.
센서 유니트 (31) 는, 다수의 LED (도시생략) 로 구성된 광원과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판독하기 위한 라인형상의 판독센서 (도시생략) 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이송모드 상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독센서의 판독면은 롤러블록 (20) 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센서 유니트 (31) 는 1 쌍의 코일스프링 (30) 에 의해 항상 롤러블록 (20) 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동이송모드로 사용할 때에는, 원고가 센서유니트 (31) 로 구동롤러 (28) 측으로 항상 눌려지므로, 원고가 구동롤러 (28) 에 의해 확실하게 이송되게 된다. 또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동이송모드일 때에도, 센서유니트 (31) 의 판독면은 코일 스프링 (30) 의 탄성에 의해 원고 (2) 에 접하게 된다. 또한, 이들의 코일 스프링 (30) 은, 자동이송모드 상태 (도1, 도3) 에서 센서블록 (10) 을 롤러블록 (20) 으로부터 떼어낼 때의 팝업 (pop up) 기능도 갖고 있다.
가이드 롤러 (38) 는, 롤러 (38a) 와 샤프트 (38b) 에 연이어 접하는 복수의 롤러 (38a) 로 이루어지며, 수동이송모드 (도2) 로 사용할 때에, 원고 (2) 에 대하는 본 판독장치의 주사속도를 검출하는데 이용된다. 수동이송모드로 사용할 때에는, 센서유니트 (31) 의 판독면을 원고에 대면서 장치를 손으로 이동시켜 판독한다. 이 때, 롤러 (38a) 도 원고에 맞닿아 회전한다. 이 때의 롤러의 회전속도는 로터리 인코더 (35) 로 검출되며, 주사속도의 불균일에 의해 판독된 화상데이터를 변형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로터리 인코더 (35) 는 포토 인터럽터 (35a) 와 핀 (35b) 으로 이루어진다. 핀 (35b) 은 기어 (34, 40) 에 의해 샤프트 (38b) 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롤러블록 (20) 의 회전기판 (46) 에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 의 전기적인 제어를 하는 각종 제어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커넥터 (47) 는, 회로기판 (46) 에 실장되어 있으며, 플렉시블·프린트기판 (FPC41) 과의 접속용으로서 이용된다. FPC (41) 은 회로기판 (46) 으로부터의 신호나 전원을 센서블록 (10) 측으로 보내거나, 센서블록 (10) 측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하는 것이다. 판독장치의 전원은, 외부로 부터의 케이블 (23, 49) 및 커넥터 (48) 를 통하여 회로기판 (46) 으로 보내진다. 모터 (45) 는 기어 (43, 44) 를 통하여 구동롤러 (28) 를 구동한다.
롤러블록 (20) 의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드버튼 (22) 과 훅 (25) 은 센서블록 (10) 과 롤러블록 (20) 과의 기계적인 접속과 그 해제에 이용되는 것으로, 이의 상세한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센서블록 (10) 과 롤러블록 (20) 과의 전기적 신호의 접속은 센서블록 (10) 측의 자형 커넥터 (37) 와 롤러블록측의 웅형 커넥터 (21) 로 행해진다. 자형 커넥터 (37) 는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된 하우징 (37a) 과 그 내부에 수납되어 스프링형상으로 형성된 단자 (37b) 로 이루어진다. 단자 (37b) 는 FPC (32) 와 커넥터 (33) 를 통하여 센서 유니트 (31) 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 (21) 는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된 하우징 (21a) 과 단자 (21b) 로 이루어진다. 단자 (21b) 는 FPC (41) 을 그대로 하우징 (21a) 에 수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FPC (41) 을 접속단자 (21b) 로서 겸용함으로써, 장치 (1)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37, 21) 의 각각의 단자 (37b 와 21b) 는 원고의 이송방향으로 정렬되고, 장치 (1) 를 소형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3 (자동이송모드) 에서는, 롤러블록 (20) 측의 웅형커넥터 (21) 를, 하우징 (37a) 에, 아래로부터 (즉, 센서유니트 (31) 의 판독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있다. 그러나, 수동이송모드일 때에는, 웅형 커넥터 (21) 는 하우징 (37a) 에, 센서 유니트 (31) 의 판독면이 있는 측으로부터 그리고 반대측으로부터 삽입한다.
롤러블록에서의 페이퍼 센서 (60) 는, 자동이송모드로 사용할 경우에, 원고가 삽입된 것을 인식하는 페이퍼센서, 원고가 배출된 것을 인식하는 페이퍼 엔드센서, 및 원고가 종이 이송방향에 대하여 똑바로 보내지지 않고 비스듬하게 보내진 때의 에러를 인식하기 위한 잼센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 페이퍼 센서 (60) 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센서블록 (10) 과 롤러블록 (20) 과의 기계적인 연결구조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센서블록 (10) 과 롤러블록 (20) 과의 기계적인 연결을 위해, 롤러블록 (20) 은, 그 양단부에 각각 1 개의 훅 (25) 과 2 개의 가이드핀 (26) 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센서블록 (10) 에는, 이들 훅 (25) 및 가이드핀 (26) 을 수납하기 위한 훅 결합구멍 (12) 및 가이드구멍 (13) 이 각각의 대응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의 상태에 있는 센서블록 (10) 을 그대로 롤러블록 (20) 에 근접시키면, 롤러블록 (20) 의 훅 (25) 및 가이드핀 (26) 을 센서블록 (10) 의 훅 결합구멍 (12) 및 가이드구멍 (13) 에 결합시킬 수 있다 (자동이송모드). 또한, 도 4 의 상태에 있는 센서블록 (10) 을 그 상하면을 거꾸로 한 후, 롤러블록 (20) 에 근접시켜도, 롤러블록 (20) 의 훅 (25) 및 가이드핀 (26) 에 그 센서블록 (10) 의 훅 결합구멍 (12) 및 가이드구멍 (13) 에 결합시킬 수 있다 (수동이송모드). 또한, 훅 결합구멍 (12) 에는, 제 1 훅 걸림부 (12a) 와 제 2 훅 걸림부 (12b) 가 설치되어 있고, 자동이송모드 상태에서는 훅 (25) 은 제 1 훅 결림부 (12a) 에 걸리고, 수동이송모드 상태에서는 훅 (25) 은 제 2 훅 걸림부 (12b) 에 걸린다. 훅 (25) 의 훅 걸림부 (12a 또는 12b) 와의 결합은 슬라이드버튼 (22) 의 슬라이드에 의해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페이퍼센서 (60) 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페이퍼센서 (60) 는, 자동이송모드로 사용하는 경우에, 원고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페이퍼센서 (63) 와 좌측 잼센서 (66) 와 우측 잼센서 (61) 로 이루어진다.
페이퍼센서 (63) 는, 원고의 삽입과 배출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검출레버 (63a, 63b) 와 차광레버 (63c) 를 가지며, 축 (65) 주위로 요동가능하게 롤러블록 (20) 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다. 차광레버 (63c) 는, 커넥터 (71) 를 통하여 회로기판 (4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판 (70) 에 고정된 포토 인터럽터 (69) 를 스위칭한다. 원고가 삽입되면, 원고의 두께에 의해 검출레버 (63a, 63b) 가 쓰러져 페이퍼센서 (63) 를 회전시키고, 차광레버 (63c) 가 포토 인터럽터 (69) 를 ON시킨다. 그리고, 원고가 배출되면 페이퍼센서 (63) 는 스프링 (64) 에 의해 원상태로 되돌아가, 다시 포토 인터럽터 (69) 를 OFF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원고의 삽입과 배출이 검출된다.
좌우의 잼센서 (66, 61) 는 삽입된 원고가 소정의 코스에서 이탈하여 이송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좌측 잼센서 (66) 는 상기 페이퍼센서 (63) 와 동일한 구성으로, 검출레버 (66a) 와 차광레버 (66c) 를 갖고 있다. 우측 잼센서 (61) 는 검출레버 (61a) 만을 갖고 있다. 이들 좌우측의 잼센서 (66, 61) 는, 축 (65) 에 고정되어 있다. 축 (65) 은 롤러블록 (20) 에 설치된 축받이 (20a, 20b)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 잼센서 (66) 와 우측 잼센서 (61) 는 서로 연이어 움직이며, 그리고 페이퍼센서 (63) 와 독립적으로 요동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원고가 소정의 코스에서, 예를 들면 왼쪽으로 어긋나 보내져 좌측 잼센서 (66) 의 검출레버 (66a) 를 쓰러뜨리면, 차광레버 (66c) 가 기판 (70) 에 설치된 포토 인터럽터 (68) 를 ON 시킨다. 원고가 제거되면, 스피링 (67) 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가, 포토 인터럽터 (68) 가 OFF 가 된다. 원고가 오른쪽으로 어긋난 경우에도, 우측 잼센서 (61) 의 검출레버 (61a) 가 원고에 의해 쓰러져, 축 (65) 을 회전시켜 좌측 잼센서 (66) 를 요동시켜 포토 인터럽터 (68) 를 ON 시킨다. 그리고, 원고가 제거되면, 스프링 (62) 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가 포토 인터럽터 (68) 가 OFF 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간단하게 원고걸림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센서블록 (10) 과 롤러블록 (20) 사이의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의 구성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센서블록 (10) 측의 커넥터와 롤러블록 (20) 측의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센서블록 (10) 측의 커넥터 (80) 에는, 상대측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 (a1, a2, a3, …, a12) 가 설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롤러블록 (20) 측 커넥터 (81) 에도 단자 (b1, b2, b3, …, b12) 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이송모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롤러블록 (20) 측의 커넥터 (81) 의 단자 (b1, b2, b3, …, b12) 에 센서블록 (10) 측의 커넥터 (80) 의 단자 (a1, a2, a3, …, a12) 가 각각 대응하여 접속된다. 그러나, 수동이송모드로 사용할 때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러블록 (20) 에 대하여 센서블록 (10) 은 그 상하면이 반전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블록 (20) 측의 커넥터 (81) 의 단자 (b1, b2, b3, …, b12) 에 센서블록측의 커넥터 (80) 의 단자 (a12, a11, a10,…, a1) 이 각각 대응하여 접속되게 된다.
여기서, 센서블록 (10) 측의 커넥터 (80) 의 단자 (a1, a2, a3, …, a12) 와, 이들 각각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자 (a1) 는 어디에도 접속되지 않고 오픈단자로 되어 있다. 단자 (a2) 에는, 센서블록 (10) 측에 있는 원고의 이송속도를 감시하고 있는 로터리 인코더 (35) 의 출력신호 (PI 신호) 가 접속된다. 이 PI 신호는 센서블록 (10) 측으로부터 롤러블록 (20) 측으로 송신된다. 단자 (3a) 에는 원고판독 등의 타이밍을 취하기 위한 클럭신호 (CLK신호) 가 접속된다. 이 CLK 신호는 롤러블록 (20) 측에서 센서블록 (10) 측으로 송신된다. 단자 (4a) 에는, 접지 (GND) 신호가 접속된다. 단자 (a5) 에는, 센서유니트내에 구비된 라인센서로의 공급전원 (VDD전원) 이 접속된다. 이 VDD 전원은 롤러블록 (20) 측으로부터 센서블록 (10) 측으로 공급된다.
단자 (a6 과 a7) 에는 증폭기에서 사용하는 -5V 전원이 접속된다. 단자 (a8) 에는 센서유니트에 구비된 광원으로서의 LED 로의 공급전원 (VLED 전원) 이 접속된다. 이 VLED 전원은 롤러블록 (20) 측으로부터 센서블록 (10) 측으로 공급된다. 단자 (a9) 에는 GND 신호가 접속된다. 단자 (a10) 에는, 데이터의 판독개시를 알리기 위한 트리거 신호 (SI 신호) 가 접속된다. 이 SI 신호는 롤러블록 (20) 측으로부터 센서블록 (10) 측으로 송신된다. 단자 (a11) 에는, 센서유니트내에 구비된 라인센서의 출력신호 (SIG 신호) 가 접속된다. 이 SIG 신호는 센서블록 (10) 측으로부터 롤러블록 (20) 측으로 송신된다. 단자 (a12) 는 단자 (a4 및 a9) 에 GND 선 (110) 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롤러블록 (20) 측의 커넥터 (81) 의 단자 (b1, b2, b3, …,b12) 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자 (b2 와 b11) 에는, PI 신호와 SIG 신호가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단자 (b3 와 b10) 에는 CLK 신호와 SI 신호가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단자 (b5 와 b8) 에는 VDD 전원과 VLED 전원이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또, 단자 (b4 와 b9) 는 접지 (GND) 에 접속되고, 단자 (b6 과 b7) 는 -5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단자 (b1 과 단자 b12) 는, 각각 풀업저항 (82 및 83) 을 통하여 +5V 전원 (84) 에 접속되어 있다. 단자 (b1) 에는 ISUCN1 신호가, 단자 (b2) 에는, ISUCN2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이들 단자의 전압상태는 논리값 신호로 검출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b2, b3, b5, b10, b11) 의 각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를 전환할 때에 사용된다.
표 1 은, 자동이송모드 및 수동이송모드, 그리고 커넥터 (80) 및 커넥터 (81) 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오픈모드일 때의 ISUCN1 신호와 ISUCN2 신호의 논리값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ISUCN1 ISUCN2
자동이송모드 HIGH LOW
수동이송모드 LOW HIGH
오픈모드 HIGH HIGH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이송모드로 커넥터 (80 및 81) 가 접속되면, (b1) 단자는 오픈단자인 단자 (a1) 에 접속되기 때문에, ISUCN1 은 +5V 전원 (84) 과 동일레벨로 되어, 그 논리값의 상태는 HIGH 로 된다. 한편, 단자 (b12) 는 단자 (a12) 에 접속되지만, 공통단자인 (a4 및 a9) 를 통하여 단자 (b4 및 b9) 의 접지에 접속되기 때문에, ISUCN2 의 논리값의 상태는 LOW 가 된다. 한편, 수동이송모드로 커넥터 (80 및 81) 가 접속되면, 이상의 설명과 완전히 반대의 관계가 성립되어, ISUCN1 의 논리값 상태는 LOW 로 되고, ISUCN2 의 논리값의 상태는 HIGH 로 된다. 또, 커넥터 (80 및 81) 가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오픈모드에서는, 단자 (b1) 와 단자 (b2) 는 오픈, 즉 하이임피던스로 되어, ISUCN1 과 ISUCN2 의 양방의 논리값 상태는 HIGH 가 된다.
다음으로, 이 ISUCN1 신호와 ISUCN2 신호를 이용하여, 상술한 각 단자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자 (b2, b3, b10 및 b11) 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고, 나머지의 단자 (b5 및 b7) 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도 7 은 롤러블록 (20) 측에 설치된 전환회로를 나타내고, 단자 (b2, b3, b10 및 b11) 에 대하여, 자동이송모드에서는 각각 (PI, CLK, SI 및 SIG) 의 각 신호를 접속하고, 또 수동이송모드에서는 각각 (SIG, SI, CLK 및 PI) 의 각 신호로 전환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서, 부호 (85 와 86) 는, 4 채널의 아날로그 스위치회로이고, 부호 (87 및 88) 는 AND 회로, 부호 (89 및 90) 는 인버터회로이다. 단자 (b2, b3, b10 및 b11) 은, 그 일방측이 각각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85, 86) 와 접속하고, 타방측이 롤러블록 (20) 에 설치된 제어회로기판 (도시생략) 과 접속되어 있다.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85 와 86) 에는 각각 AND 회로 (87 과 88) 의 출력이 입력되고, 이 입력의 논리값의 상태가 HIGH 일 때에는 스위치가 ON 이 되고, LOW 일 때에는 OFF 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80 와 81) 가 자동이송모드로 접속되면, 상기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ISUCN1 신호의 논리값의 상태는 HIGH 가 되고, ISUCN2 는 LOW 로 된다. 따라서, AND 회로 (87) 출력의 논리값의 상태는 HIGH 가 되며 AND 회로 (88) 의 상태는 LOW 로 되기 때문에, 스위치회로 (85) 가 ON 되고, 스위치 (86) 가 OFF 된다. 결과적으로, 자동이송모드에서, 단자 (b2, b3, b10, b11) 에는, PI, CLK, SI, SIG 의 신호가 각각 접속된다.
한편, 커넥터 (80 과 81) 가 수동이송모드로 접속되면, ISUCN1 신호의 논리값의 상태는 LOW 로 되고, ISUCN2 는 HIGH 로 된다. 따라서, AND 회로 (87) 의 출력의 논리값의 상태는 LOW 로 되고 AND 회로 (88) 의 상태는 HIGH 로 되기 때문에, 스위치 (85) 가 OFF 되며, 스위치 (86) 가 ON 된다. 결과적으로, 수동이송모드에 있어서, 단자 (b2, b3, b10, b11) 에는 SIG, SI, CLK, PI 의 각 신호가 각각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단자 (b2, b3, b10, b11) 에 접속되는 신호는, 자동이송모드일 때에는 각각 PI, CLK, SI, SIG 이지만, 수동이송모드로 바뀌면 각각 SIG, SI, CLK, PI 로 된다. 또한, 커넥터 (80 과 81) 가 접속되어 있지않은 경우 (오픈모드) 에는, ISUCN1 과 ISUCN2 의 논리값의 상태는 양방이 HIGH 로 되기 때문에, AND 회로 (87, 88) 의 출력은 양방모두 LOW 로 되며,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85 와 86) 는 모두 OFF 로 된다. 따라서, 단자 (b2, b3, b10, b11) 는 하이 임피던스의 상태로 되어 안전성이 확보된다.
다음으로, 커넥터 (81) 의 단자 (b5, b8) 에 접속되는 신호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부호 (91) 는 마이크로컴퓨터 (MPU) 로서, 입력된 ISUCN1 신호와 ISUCN2 신호와의 정보에 의해 전원의 전환을 제어한다. MPU (91) 로부터의 신호선 (92) 은 커넥터 (81) 의 단자 (b5) 로 전원을 보내기 위한 것으로, MPU (91) 로 부터의 신호선 (93) 은 커넥터 (81) 의 단자 (b8) 로 전원을 보내기 위한 것이다. 부호 (94, 95) 는 NPN 형 트랜지스터이고, 부호 (96, 97) 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 (FET) 이다.
따라서, 본 장치를 자동이송모드로 사용하면, ISUCN1 이 HIGH 의 상태에서 또한 ISUCN2 가 LOW 의 상태에서 (표 1 참조) MPU (91) 에 입력된다. 그러면, 신호선 (92) 은 라인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선이 되어, HIGH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HIGH 신호는, 트랜지스터 (94) 에 의해 LOW 신호로 변환되어, FET (96) 이 ON 상태로 되어, 커넥터 (81) 의 단자 (b5) 에 라인센서의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신호선 (93) 은 LED 에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선으로 되어, HIGH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HIGH 의 신호는, 트랜지스터 (95) 에 의해 LOW 신호로 변환되고, FET (97) 이 ON 상태로 되어, 커넥터 (81) 의 단자 (b8) 에 LED 전원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본 장치를 수동이송모드의 사용으로 전환하면, ISUCN1 신호는 LOW 의 상태에서 또한 ISUCN2 는 HIGH 의 상태에서 (표 1 참조) MPU (91) 에 입력된다. 그러면, 신호선 (92) 은 LED 에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선이 되어, HIGH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HIGH 신호는, 트랜지스터 (94) 에 의해 LOW 신호로 전환되어, FET (96) 이 ON 상태로 되며, 커넥터 (81) 의 단자 (b5) 에 LED 의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신호선 (93) 은 라인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선으로 되어, HIGH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HIGH 의 신호는, 트랜지스터 (95) 에 의해 LOW 신호로 변환되어, FET (97) 이 ON 의 상태로 되고, 커넥터 (81) 의 단자 (b8) 에 라인센서의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센서블록 (10) 과 롤러블록 (20) 이 완전히 떨어져, 커넥터 (80) 와 커넥터 (81) 가 비접속의 상태 (오픈상태) 로 되면, 신호선 (92, 93) 에는 모두 LOW 신호가 출력되고, FET (96, 97) 은 OFF 상태로 되어, 단자 (b5, b8) 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에서는,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수동이송모드로 사용하는 경우에, 본 장치의 원고면으로의 투영면적이 커지지 않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손으로 쥐기쉬워 취급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 원고를 판독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장소가 작아 휴대성이 우수하다.
또한, 롤러블록과 센서블록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특별한 구조의 커넥터로 행함으로써, 롤러블록과 센서블록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자동이송모드에서 수동이송모드로 장치를 전환하여도, 롤러블록과 센서블록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형태를, 도 9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실시형태를, 도9,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 에 있어서, XY 평면 위에 놓여진 롤러블록 (120) 의 양단부에는 제 1 회전지지부재 (118) 및 제 2 회전지지부재 (119) 가 XY 평면과 수직인 Z 축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롤러블록 (120)에서 떨어진 상태 (도 11) 와 상기 롤러블록 (120) 에 접근한 상태 (도 9) 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다. 이들 회전지지부재 (118, 119) 사이에 센서블록 (110) 이 긴 변의 방향 축심의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가설되어 있다.
도 9 의 상태는 센서블록 (110) 의 판독센서 (도시생략) 의 판독면이 롤러블록 (120) 의 구동롤러 (28 ; 도11 참조) 와 대향하고 있는 자동이송모드에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도 9 의 제 1 및 제 2 의 회전지지부재 (118, 119) 를 Z 축방향으로 들어올려 (도 11), 센서블록 (110) 을 X 축과 평행인 축심주위로 180 도 회전시키면, 도 9 의 자동이송모드에서는 구동롤러에 대향하고 있던 센서블록 (110) 면은 구동롤러와 반대측을 향하게 된다. 이 상태가 수동이송모드이다. 즉, 수동이송모드에서는, 센서블록 (110) 의 판독센서의 판독면은 반대방향의 롤러블록측으로 오므로, 도 10 과 같이, 원고 (2) 위를 센서블록 (110) 을 아래로 롤러블록 (120) 을 위로 하여 수동으로 주사하면, 원고 (2) 의 문서 및 화상은 센서블록 (110) 의 판독센서로 판독된다.
다음으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 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는 센서블록 (110) 과 롤러블록 (120) 이 도 9 와 동일하게 자동이송모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 12 에 나타낸 구성요소에서, 도 3 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달고 있는 것은 동일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제 1 회전지지부재 (118) 및 제 2 회전지지부재 (119) 는, 각각 X 축방향으로 돌출된 보스부 (121) 를 구비한다. 한편, 센서블록 (110) 의 좌우단면에는 보스부 (121) 를 수납하는 보스 받이부 (150)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제 2 회전지지부재 (118, 119) 의 보스부 (121) 가 센서블록 (110) 의 보스 받이부 (15) 에 삽입됨으로써, 센서블록 (110) 은 보스부 (121) 의 축심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도 12 는 센서블록 (110) 의 판독 센서유니트 (12) 의 판독면이 롤러블록 (120) 의 구동롤러 (28) 에 대향한, 자동이송모드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센서블록 (110) 을 보스부 (121) 의 축심주위로 180 도 회전하면, 수동이송모드로 전환되는데, 이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롤러블록 (120) 에서의 회전기판 (46) 으로부터의 신호나 전원은, 커넥터 (47) 및 케이블 (141) 을 통하여 센서블록 (110) 측으로 보내진다. 이 케이블 (141) 은 제 1 회전지지부재 (118) 및 그 보스 받이부 (150) 속을 통과하여, 그 일단이 센서블록 (110) 측의 FPC (32) 의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회전지지부재 (118) 를 상방으로 (Z 축방향) 들어올린 때에도, 또, 그 후, 센서블록 (110) 을 회전지지부재 (118, 119) 에 대하여 회전시킨 때에도 (회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180 도 이상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음), 케이블 (141) 이 크게 비틀어지는 일이 없다.
다음으로, 회전지지부재 (118, 119) 및 그에 관련되는 구성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회전지지부재 (118) 의 보스부 (121) 에는, 그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2 개의 위치에, 그 축심방향 (X 축방향) 을 따라 소정 폭으로 소정 길이의 홈 (절결부 (121a, 121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 (121a) 는 보스부 (121) 에 수직으로 잘라넣은 수직벽과 경사지게 잘라넣은 경사벽 (121b) 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절결부 (121a) 외측의 개구폭은 내측의 개구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지지부재 (118, 119) 는 각각, 훅 (123) 을 선단에 갖는 2 개의 탄성지 (132;彈性枝) 와, 2 개의 슬라이드부 (124) 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블록 (120) 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훅 걸림부 (130b) 를 각각 형성한 2 개의 탄성지 (130a) 를 세워 설치하고, 또, 측벽내면에는 가이드부 (130e) 를 형성하고 있다.
탄성지 (130a) 의 훅 걸림부 (130b) 에는, 롤러블록 (120) 의 저면에 가까운 쪽에 제 1 걸림부 (130c) 가, 또 그 상방에 제 2 걸림부 (130d)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회전지지부재 (118, 119) 의 탄성지 (132) 의 훅 (123) 은, 이들 제 1 및 제 2 걸림부 (130c, 130d) 의 어느하나에 결합된다. 또한, 회전지지부재 (118, 119) 의 슬라이드부 (124) 는 롤러블록 (120) 의 가이드부 (130e) 에 결합된다. 도 13에서, 훅 (123) 은 제 1 걸림부 (130c) 에 결합되어 있지만. 제 1 회전부재 (118) 를 들어올리면 (도 13에서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부 (124) 가 가이드부 (130e) 로 안내되면서, 탄성지 (132) 가 탄성변형되어, 훅 (123) 이 제 1 걸림부 (130c) 와의 결합을 이탈하여, 제 2 걸림부 (130d) 와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회전지지부재 (118) 의 이동을 정지하면, 제 1 회전지지부재 (118) 은 롤러블록 (120) 으로부터 도 13에서 나타낸 것보다도 떨어진 위치에 정지한다.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지지부재 (118) 의 보스부 (121) 에는 그 외주면에 스톱퍼핀 (122) 을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보스 받이부 (150) 에는 축심방향으로 신장되는 소정길이의 절결부 (150a) 와 그 절결부 (150a) 의 축심방향의 단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소정길이 (각도로 하여 180 도) 신장되는 스톱퍼핀 가이드홈 (150b) 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절결부 (150a) 및 스톱퍼핀 가이드홈 (150b) 은 스톱퍼핀 (122) 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갖고 있다. 이 보스 받이부 (150) 의 원주방향으로 신장되는 스톱퍼핀 가이드홈 (150b) 의 일단 (절결부 (150a) 와 연속되는 단부) 은 제 1 접촉부 (150d) 가 되고, 그 스톱퍼핀 가이드홈 (150b) 의 타단은 제 2 접촉부 (150e) 가 된다. 즉, 도 14 의 상태에서, 보스부 (121) 에 대하여 보스 받이부 (150) 를 (즉, 센서블록 (110) 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톱퍼핀 가이드홈 (150b) 은 스톱퍼핀 (122) 에 안내되면서, 180 도 회전한 곳에서 제 2 접촉부에 스톱퍼핀 (122) 이 부딪혀, 그 이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절결부 (150a) 를 사이에 두고 스톱퍼핀 가이드홈 (150b) 이 형성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보스 받이부 (150) 의 부분에는, 보스부 (121) 의 절결부 (121a) 에 끼워넣을 수 있는 돌기 (훅) 의 형태를 한 훅부 (150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훅부 (150c) 의 일측면은 스톱퍼핀 가이드홈 (150) 을 구획짓고 있다. 또, 이 훅부 (150c) 는 절결부 (150a) 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신장되는 홈 (150f) 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도 14 는 도 12 의 B-B 선의 단면도로서, 자동이송모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보스 받이부 (150) 의 훅부 (150c) 의 선단돌기는 보스부 (121) 에 형성된 일방의 절결부 (121a) 에 결합하고, 또한, 스톱퍼핀 (122) 은 스톱퍼핀 가이드홈 (150b) 의 일단 (절결부 (150a) 와 연이어 접하는 단부, 제 1 접촉부 (150d)) 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이송모드를 수동이송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센서블록 (110), 제 1 회전지지부재 (118) 및 제 2 회전지지부재 (119) 를 함께 롤러블록 (120)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도 13에서 화살표 C 방향으로) 끌어올려, 탄성지 (132) 의 훅 (123) 이 제 2 걸림부 (130d) 에 결합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센서블록 (110) 및 그것과 함께 보스부 (121) 를 상기 보스 받이부 (150) 의 축심 주위로 도 14 의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스 받이부 (150) 의 훅부 (150c) 의 선단돌기가 반경방향 외방으로 탄성변형되면서, 보스부 (121) 의 절결부 (121a) 의 경사벽 (121b) 을 넘으므로, 더욱 회전을 계속할 수 있다. 그 동안, 스톱퍼핀 (122) 과 스톱퍼핀 가이드홈 (150b) 과의 상대이동은 계속된다. 센서블록 (110) 이 180 도 회전하면 (즉, 반전하면), 보스 받이부 (150) 의 훅부 (150c) 의 선단돌기가 보스부 (121) 의 타방의 절결부 (121a) 에 끼워진다. 그 상태에서, 스톱퍼핀 (122) 이 스톱퍼핀 가이드홈 (150b) 의 타단 (제 2 맞닿음부 (150e)) 에 맞닿는다.
그 상태에서,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블록 (110) (및 제 1 및 제 2 회전지지부재 (118, 119)) 을 롤러블록 (120) 을 향하여 (화살표 D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훅 (123) 이 탄성변형되어 제 2 걸림부 (130d) 에서 이탈되어 제 1 걸림부 (130c) 에 걸리게 된다. 즉, 센서블록 (110) 의 센서유니트 (31) 의 판독면이 롤러블록 (120) 과는 대향하지 않는 배치로 된 수동이송모드 상태로 된다.
수동이송모드에서 자동이송모드로의 전환은, 센서블록 (110) 을 롤러블록 (120)에서 떼어내는 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센서블록 (110) 을 앞서 서술한 것과는 반대방향으로 (도 14 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리고, 센서블록 (110) 을 롤러블록 (120) 을 향하여 밀어넣은 것만으로 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2 개의 회전지지부재 (118, 119) 중에서 일방에만 (예를 들면, 제 1 회전지지부재 (118) 만) 그 보스부 (121) 가 스톱퍼핀 (122) 을 구비하고, 타방 (즉, 제 2 회전지지부재 (119)) 은 구비하고 있지않은 것으로 하였지만 (도 12 참조) 에는, 스톱퍼핀은 양방의 회전지지부재 (118, 119) 의 보스부가 각각 구비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는 당연히, 양방의 보스 받이부 (150) 에 훅부 (150c), 스톱퍼핀 가이드홈 (150b) 등이 똑같이 형성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하면, 센서블록 (110) 을 롤러블록 (120)에서 떼어낸 위치에 고정하고, 거기서 센서블록 (110) 을 반전하여, 그 반전된 센서블록 (110) 을 그대로 롤러블록 (120) 쪽을 향하여 눌러되돌리는 것만으로, 자동이송모드에서 수동이송모드로의, 또는 그 반대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 센서블록 (110) 과 롤러블록 (120) 과의 기계적연결은 1 쌍의 원통형의 보스부 (121) 와 그 보스부 (121) 에 의해 지지되는 1 쌍의 보스 받이부 (150) 로 행해지므로, 롤러블록 (120) 에 대하여 센서블록 (110) 을 반전동작하여도, 롤러블록 (120)에서 센서블록 (110) 에 이르는 케이블 (141) 은 보스부 (121) 속을 통과하여, 비틀어지지 않기 때문에, 특별한 슬라이드 콘택트 등의 부품이 필요없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를, 도 15 내지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실시형태를, 도 15, 도 16 및 도 17을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 에서, XY 평면 위에 놓여진 롤러블록 (220) 의 일단에는 XY 평면과 수직인 Z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지지부 (226) 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타단에는 걸림부 (232b) 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부 (226) 및 걸림부 (232b) 는, 도 17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롤러블록 (220) 의 구동롤러 (28) 가 노출되어 있는 측에 설치된다. 한편, 센서블록 (210) 은, 그 일단에는 롤러블록 (220) 의 지지부 (226) 에 설치된 결합구멍 (221; 도 18 참조) 에 삽입하는 삽입부 (218) 가 고정되고, 또 타단에는 롤러블록 (220) 의 걸림부 (232b) 에 결합하는 결합구멍 (219)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블록 (210) 을, 그 판독유니트 (31 ; 도 18) 의 판독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즉, 롤러블록 (220) 의 구동롤러 (28) 에 대향하도록 하여), 그 삽입부 (218) 를 롤러블록 (220) 의 결합구멍 (221) 중에 삽입한 후, 센서블록 (210) 의 결합구멍 (219) 에 롤러블록 (220) 의 걸림부 (232b) 를 결합시키면, 자동이송모드 상태로 된다. 즉,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2) 를 센서블록 (210) 과 롤러블록 (220) 과의 사이에 끼워넣으면, 원고 (2) 가 롤러블록 (220) 의 구동롤러 (28) 에 의해 Y 축방향으로 자동이송되고, 그 사이에 원고 (2) 의 상면의 문서 및 화상을 센서블록 (210) 의 센서유니트 (31) 가 판독한다.
다음으로, 센서블록 (210) 의 결합구멍 (219) 과 롤러블록 (220) 의 걸림부 (232b) 와의 결합을 해제한 후, 센서블록 (210) 의 삽입부 (218) 를 롤러블록 (220) 의 결합구멍 (221)에서 꺼내면, 센서블록 (210) 과 롤러블록 (220) 과의 결합이 완전히 해제된다. 따라서, 센서블록 (210) 을 그 긴변방향 축심주위로 반전하여 그 센서유니트 (31) 의 판독면이 롤러블록 (220) 과는 반대반향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시 센서블록 (210) 의 삽입부 (218) 를 롤러블록 (220) 의 결합구멍 (221) 에 삽입하고, 또한 센서블록 (210) 의 결합구멍 (219 ; 이 결합구멍 (219) 은 센서블록의 센서유니트의 판독면이 있는 측과 또한 그 반대측의 양방에 형성되어 있음) 에 롤러블록 (220) 의 걸림부 (232b) 를 결합시킨다. 이 상태가, 도 1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동이송모드이며, XY 평면 위에 놓여진 원고 위를 센서블록 (210) 을 그 센서유니트 (31) 의 판독면이 접하도록 판독장치 (1) 를 Y 축방향으로 수동으로 움직이면, 원고 (2) 의 상면의 문서 및 화상이 센서블록 (210) 의 센서 유니트 (31) 에 의해 판독된다.
다음으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 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 은 센서블록 (210) 과 롤러블록 (220) 이 도 15 와 동일하게 자동이송모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 18 에 나타낸 구성요소에서 도 3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달고 있는 것은 동일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블록 (220) 의 일단에 돌출설치된 지지부 (226) 의 내측벽에는 2 개의 접촉단자, 즉, 자동이송모드용 접촉단자 (222a) 와 수동이송모드용 접촉단자 (222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2 개의 접촉단자 (222a, 222b) 는, FPC (241) 과 접속되어 있다. 한편, 센서블록 (210) 의 일단부로 부터는 삽입부 (218) 가 연장되고, 그 선단에는 접촉단자 (223) 가 설치된다. 도 18에서는 자동이송모드이기 때문에, 접촉단자 (223) 가 자동이송모드용 접촉단자 (222a) 와 접촉하지만, 센서블록 (210) 이 도 18 의 상태로부터 상하반전된 상태 (수동이송모드) 에서는, 접촉단자 (223) 가 수동이송모드용 접촉단자 (222b) 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접촉단자 (222a, 222b) 나 접촉단자 (223) 의 어느 하나의 일방에, 스프링 (도시생략) 의 탄성력으로 탄성을 갖게 하여,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하고 있다.
FPC (241) 은, 회로기판 (46) 으로 부터의 신호나 전원을, 커넥터 (240) 를 통하여 센서블록 (210) 측으로 보내거나, 센서블록 (210) 측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롤러블록 (220) 측과 센서블록 (210) 측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에, 종래와 같은 복잡한 자 및 웅형 커넥터가 불필요해진다.
롤러블록 (220) 에는, 지지부 (226) 가 연이어 접속되어 있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가까운 곳에는 돌출부 (224) 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센서블록 (210) 의, 센서유니트 (31) 의 판독면이 있는 쪽의 면 (도 18에서는 하면) 과 그 반대측의 면 (도18 에서는 상면) 의 양방에는 결합구멍 (225) 이 설치되어 있다. 자동이송모드와 수동이송모드의 어느 하나의 장착상태에서도, 돌출부 (224) 가 2 개의 결합구멍 (225) 의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 (224) 와 결합구멍 (225) 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자동이송모드와 수동이송모드의 어느 하나의 장착상태이더라도, 접촉단자 (222a, 222b) 나 접촉단자 (223) 의 어느 하나의 일방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롤러블록 (220) 에 대하는 센서블록 (210) 의 긴 변의 방향의 상대적인 어긋남이 방지되고 있다.
다음으로, 자동이송모드와 수동이송모드의 2 개의 모드 전환을 위한 구조에 대하여,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롤러블록 (220) 의, 지지부 (226) 가 연이어 접하고 있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훅 (232a) 의 기단 (基端) 에 설치된 회전지축 (232c) 을 수납하기 위한 축받이부 (도시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블록 (220) 의 축받이부에 지축 (232c) 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훅 (232a) 은, 그 상방부분이 롤러블록 (220) 에서 밖으로 돌출된다. 이 훅 (232a) 의 상단에는 걸림부 (232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훅 (232a) 의, 지축 (232c) 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보다도 약간 상방의 위치에는, 지축 (232c) 의 중심 축방향, 즉, 도 19 의 화살표 A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그 높이가 높게된 캠부 (232h) 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블록 (220) 의 단부내측벽에는 도중에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는 누름판 (232e) 의 기단이 고정되어 있다. 그 누름판 (232e) 의 선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롤러블록 (220) 의 단부 외측벽에는 슬라이드 버튼 (232) 이 Y 축방향으로 (도 19 에서는 화살표 A 또는 B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버튼 (232) 의 이면에는 캠부 (232g) 가 결합되어 있다. 이 캠부 (232g) 는 롤러블록 (220) 의 내측에 위치하고, 도 19 의 화살표 A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그 높이가 낮아져, 훅 (232a) 의 캠부 (232h) 와 대응하고 있다. 슬라이드 버튼 (232) 은 코일 스프링 (232f) 에 의해 항상 도 19 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한편, 센서블록 (210) 의, 결합구멍 (219) 을 설치한 측의 단부 내측벽에는 걸림부재 (232d) 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부재 (232d) 에, 훅 (232a) 의 상단의 걸림부 (232b) 가 결합된다. 또, 훅 (232a) 의 그 지축 (232c) 이 있는 곳에서 아래 부분은, 롤러블록 (220) 의 누름판 (232e) 의 상단에 의해 눌려져, 그 결과, 훅 (232a) 에는 지축 (232c) 을 중심으로 하는, 도 18에서 시계회전방향 (도 19 에서는 화살표 D 방향) 의 힘이 탄성지지되어 있으므로, 이들 걸림부 (232b) 와 걸림부재 (232d) 와의 결합상태는 유지된다.
슬라이드 버튼 (232) 을 도 19 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그 캠부 (232g) 의 사면이, 훅 (232a) 측의 캠부 (232h) 의 사면으로 올라가면서 캠부 (232h; 즉, 훅 (232a) 의 상방부) 를 누름으로써, 누름판 (232e) 의 누름력에 저항하여, 훅 (232a) 은 지축 (232c) 을 중심으로 도 18에서 반시계 회전방향 (도 19 에서는 화살표 C 방향) 으로 회전하고, 그 결과, 걸림부 (232b) 와 걸림부재 (232d) 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 후, 슬라이드 버튼 (232) 은, 코일 스프링 (232f) 의 탄성력에 의해, 도 5 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돌아가, 시작 위치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버튼 (232) 의 조작에 의해, 훅 (232a) 의 걸림부 (232b) 가 걸림부재 (232d) 로부터 해제되면, 그때까지 센서블록 (210) 을 롤러블록 (220) 측으로 누르고 있던 (따라서 수축되었던) 코일스프링 (30) 이,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신장되며, 그 결과, 센서블록 (210) 이 롤러블록 (220)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팝업된다.
이렇게 하여 롤러블록 (220) 에서 떨어진 센서블록 (210) 을 그 긴 변의 방향의 축심 주위로 반전한 후, 그 삽입부 (218) 를 또 롤러블록 (220) 의 결합구멍 (221) 에 삽입하고, 그리고 센서블록 (210) 의 반대측의 단부를 롤러블록 (220) 측으로 밀어내린다. 그러면, 훅 (232a) 이 결합구멍 (219) 을 통과하여, 걸림부 (232b) 가 걸림부재 (232d) 에 걸린다. 동시에, 센서블록 (210) 의 결합구멍 (225) 이, 롤러블록 (220) 의 돌출부 (224) 와 결합함으로써, 센서블록과 롤러블록과는 확실하게 장착되어, 수동이송모드 상태로 된다.
수동이송모드 상태에서는, 센서블록 (210) 측에 설치한 접촉단자 (223) 가, 롤러블록 (220) 측에 설치한 수동이송모드용 접촉단자 (222b)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수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에서 자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로의 전환은, 상술한 자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에서 수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로의 전환동작과 반대로 행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에서, 센서블록의 긴 변의 방향의 일방의 단부에 삽입부를, 타단에는 결합구멍을 설치하고, 롤러블록의 긴변방향의 일방의 단부에, 삽입부가 결합되는 결합구멍을 갖는 지지부를, 타단에는 결합구멍과 결합하는 걸림부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이송모드 상태에서 수동이송모드 상태, 또는 그 반대로 전환되는 동작을, 1 개의 슬라이드 버튼의 조작으로 훅의 걸림부를 해제하고, 꺼내기, 반전, 삽입, 밀어넣기의 연속된 동작으로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센서블록의 삽입부와, 롤러블록의 지지부에는, 각각 전기적인 접촉단자가 설치되고, 접촉단자의 어느 하나의 일방이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종래의 복잡한 커넥터의 구조가 불필요해지며, 2 개의 동작모드에서 전기적 접속이 확실하다.
또, 롤러블록의 원고이송면에의 돌출부와, 이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결합구멍을 센서블록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단자의 탄력에 의해, 롤러블록과 센서블록의 긴변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형태를, 도 20 내지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실시형태를, 도 20 및 도 21을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에서,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XY 평면 위에 놓여진 롤러블록 (320) 의 일단에는 축받이부 (345) 가 설치되고, 이 축받이부 (345) 에 지축 (350) 이 종이이송방향 (Y 축방향) 의 제 1 축 (X1)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지축 (350) 에는 센서블록 (310) 이 제 1 축 (X1) 과 수직인 제 2 축 (X2 ; 센서블록 (310) 의 긴 변의 방향) 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블록 (310) 을 롤러블록 (320) 에 대하여 제 1 축 (X1) 주위로 회전운동하여 롤러블록 (320)에서 멀리하거나 가깝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 2 축 (X2) 주위로 회전시켜 센서블록 (310) 을 반전할 수도 있다.
한편, 센서블록의 타단에는 결합구멍 (321, 322) 이 형성되고, 또 롤러블록 (320) 의 타단에는 그 결합구멍 (321, 322) 의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걸림부재 (332) 가 부착되어 있다.
도 20 에서는 롤러블록 (320) 측의 걸림부재 (332) 가 센서블록 (310) 측의 제 2 결합구멍 (322) 에 걸려, 센서블록 (310) 의 센서 유니트 (도시생략) 의 판독면이 롤러블록 (320) 의 구동롤러 (도시생략) 에 대향하고 있다. 즉, 자동이송모드 상태에 있다.
이 도 20 의 센서블록 (310) 의 타단 (지축 (350) 과 결합하는 단부와 반대의 단부) 을 손으로 들어올려 제 1 축 (X1) 주위로 회전운동시키면, 센서블록 (310) 의 타단은 롤러블록 (320)에서 떨어진다. 그 상태에서, 이번에는 센서블록 (310) 을 제 2 축 (X2) 주위로 손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센서블록 (310) 이 반전하고, 지금까지 롤러블록 (320) 에 대향하고 있던 면이 롤러블록 (320) 과 반대측으로 온다. 그리고, 다시 롤러블록 (320) 측의 걸림부재 (332) 를 센서블록 (310) 측의 제 1 결합구멍 (321) 에 걸리게 하면, 수동이송모드가 된다. 수동이송모드에서의 판독장치 (1) 의 사용은 도 21 에 나타내고, 센서블록 (310) 의 센서유니트의 판독면은 원고에 대향한다.
다음으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 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 는 센서블록 (310) 과 롤러블록 (320) 이 도 20 과 동일하게 자동이송모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 22 에 나타낸 구성요소에서 도 3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달고 있는 것은 동일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도 2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블록 (310) 은, 그 긴 변의 방향 (X 축방향) 의 일단에 지축 (350) 을 결합하기 위한 걸림부 (323) 를 구비하고 있다. 또, 긴 변의 방향 타단에는 제 1 및 제 2 의 결합구멍 (321, 322) 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롤러블록 (320) 은, 그 일단에 지축 (350) 을 유지하기 위한 축받이부 (345) 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걸림부재 (332) 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블록 (320) 의 걸림부재 (332) 는 푸시 버튼 (332c), 푸시버튼 (332c) 에 연결하는 훅부 (332a), 푸시버튼 (332c) 과 훅부 (332a) 와의 중간에 설치된 지축부 (332e), 및 훅부 (332a) 선단에 설치된 걸림부 (332b) 로 이루어진다. 푸시버튼 (332c) 의 이면측 (롤러블록 (320) 의 내측을 향하는 면) 은, 롤러블록 (320) 에 기단을 부착한 누름판 (332d) 의 선단에 의해 눌려지므로, 훅부 (332a) 선단의 걸림부 (332b) 는 센서블록 (310) 의 제 2 결합구멍 (322) 에 걸린 상태가 유지된다.
로터리 인코더 (35) 를 구성하는 포토 인터럽터 (35a) 로부터의 신호는, FPC (32), 커넥터 (33), 커넥터 (326), 케이블 (341), 커넥터 (340) 를 통하여 회로기판 (46) 으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지축 (350) 을 도 23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지축 (350) 은, 롤러블록 (320) 에 설치된 축받이부 (345) 에 결합하는 관형상의 제 1 회전부 (351) 와, 그 회전부 (351) 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2 회전부 (355) 로 이루어진다. 이 제 1 회전부 (351) 는 롤러블록 (320) 의 축받이부 (345) 에 지지되어, 롤러블록 (320) 에 대하여 Y 축방향 (롤러블록 (320) 의 구동롤러 (28) 에 의해 원고가 구동되는 방향) 의 제 1 축 (X1) 주위를 회전운동한다. 한편, 제 2 회전부 (355) 에는 그 선단에 플랜지 형상의 결합부 (356) 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부 (356) 가 센서블록 (310) 의 일단부에 설치된 걸림부 (323) 와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센서블록 (310) 은 제 2 회전부 (355) 에 대하여 제 1 축 (X1) 과 수직인 제 2 축 (X2) 주위로 회전운동이 가능해진다.
제 1 회전부 (351) 의 내부와 제 2 회전부 (355) 의 내부는 양자를 결합한 개의 위치에 구멍 (353) 이 뚫려 연이어 통하고 있고, 또, 제 1 회전부 (351) 의 1 개의 위치에는 구멍 (352) 이 뚫려 있다. 그 때문에, 센서블록 (310) 측으로 부터의 케이블 (341) 은 제 2 회전부 (355) 속을 통과한 후, 제 1 회전부 (351) 속을 통하는 구멍 (352)에서 밖으로 빠져나와 롤러블록 (320) 측으로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케이블 (341) 로 센서블록 (310) 과 롤러블록 (320) 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를 수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걸림부재 (332) 의 푸시버튼 (332c) 을 손으로 누름으로써, 걸림부재 (332) 를 누름판 (332d) 의 탄력에 저항하여 지축부 (332e) 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하여, 훅부 (332a) 의 선단의 걸림부 (332b) 를 제 2 결합구멍 (322) 으로부터 빠지게 한다. 그러면, 그때까지 센서블록 (310) 을 롤러블록 (320) 측으로 누르고 있던 (따라서 수축하였던) 코일스프링 (30) 이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신장되며, 그 결과, 센서블록 (310) 이 롤러블록 (320) 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팝업된다. 다음으로, 이 팝업된 센서블록 (310) 을 제 1 축 (X1) 주위로, 롤러블록 (320) 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거의 90° 회전시킨다.
센서블록 (310) 을 제 1 축 (X1) 주위로 어느 각도 회전운동하여, 제 1 결합구멍 (321) 이 있는 쪽의 센서블록 (310) 의 단부를 롤러블록 (320) 으로부터 떼어낸 후, 이번에는 센서블록 (310) 자신을 지축 (350) 에 대하여 제 2 축 (X2) 주위로 180 도 회전한다. 그러면, 센서블록 (310) 의 센서유니트 (31) 의 판독면은 롤러블록 (320) 에 대하여 반대측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센서블록 (310) 을 제 1 축 (X1) 주위로 회전운동하여 롤러블록 (320) 에 접근시킨다. 그리고, 훅부 (332a) 의 선단의 걸림부 (332b) 를 센서블록 (310) 의 선단에 형성된 제 1 결합구멍 (321) 에 걸면, 수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로 된다.
또한, 수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에서 자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로의 전환은, 상술한 자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에서 수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로의 전환동작과 반대로 행하면 된다.
롤러블록 (320) 과 센서블록 (310) 과의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한 케이블 (341) 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 (351) 및 제 2 회전부 (355) 속을 통하고 있지만, 제 2 회전부 (355) 는 센서블록 (310) 의 반전을 위해 180 도 이상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모드 전환시에 그 케이블 (341) 이 비틀리는 일이 없다.
(제 5 실시형태)
이 실시형태를, 도 24 및 도 25를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 에 있어서, 도 2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XY 평면 위에 놓여진 롤러블록 (420) 의 일단에, 지축 (450) 이 롤러블록 (420) 에 대하여 XY 평면과 수직인 Z 축방향의 제 1 축 (X1) 주위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지축 (450) 에는 센서블록 (410) 의 일단에 결합된 축받이부 (424) 가 결합됨으로써, 이 지축 (450) 에 대하여 센서블록 (410) 을 그 제 1 축 (X1) 과 수직인 제 2 축 (X2) 주위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블록 (410) 을 롤러블록 (420) 에 대하여 제 2 축 (X2) 주위를 180 도 가까이 회전운동함으로써 센서블록 (410) 을 실질적으로 반전시키고, 그 후, 그 센서블록 (410) 을 제 1 축 (X1) 주위로 회전하여 롤러블록 (420) 의 바로 위의 위치까지 가져오면, 이 롤러블록 (420) 의 바로 위에 놓여진 때의 센서블록 (410) 의 자세는, 조금 전과는 바뀌어 반전한 자세로 된다.
또한, 센서블록 (410) 에서 축받이부 (424) 가 연이어 접해진 측과 반대의 단부에 제 1, 제 2 결합구멍 (321, 322) 이 형성되어 있는 것, 또, 그 결합구멍 (321, 322) 에 결합하는 걸림부재 (332) 를 롤러블록 (420) 의 단부에 설치한 것은, 도 20 내지 도 22에서 나타낸 제 4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며,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이와 같은 관련구성의 설명을 위해 사용하는 도면참조번호는 앞서 제 4 실시형태의 설명을 위해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도 24 의 자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에 있는 판독장치 (1) 의 센서블록 (410) 을 지축 (450) 의 제 2 축 (X2) 주위로 90 도 이상 180 도 이하에서 회전운동시키면, 이제 롤러블록 (420) 의 바로 위에 센서블록 (410) 이 위치하지 않게 되어, 센서블록 (410) 의 센서유니트 (31) 의 판독면이 롤러블록 (420) 과는 반대측을 향하게 된다.
그 상태에 있는 센서블록 (420) (및 지축 (450)) 을 이번에는 롤러블록 (420) 에 대하여 제 1 축 (X1) 주위로 180 도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롤러블록 (420) 의 바로 위에 센서블록 (410) 을 가져온다. 단, 이 상태에서는, 아직 롤러블록 (420) 과 센서블록 (410) 과의 제 2 축 (X2) 주위의 각도는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각도이다. 따라서, 이번에는 센서블록 (410) 을 제 2 축 (X2) 주위로 회전운동시켜, 롤러블록 (420) 의 바로 위에 센서블록 (410) 이 중첩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걸림부재 (332) 의 걸림부 (332b) 를 제 1 결합구멍 (321) 에 결합하면, 수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가 된다. 수동이송모드에서의 판독장치 (1) 의 사용은 도 25 에 나타내고, 센서블록 (410) 의 센서유니트의 판독면은 원고에 대향한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에서,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중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 부호를 달고 있는 부재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그 대응하는 부재와 동일하다.
센서블록 (410) 의 일단면 (결합구멍 (321, 322) 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반대측의 단면) 에는 축받이부 (424) 를 걸기위한 훅부 (410a, 410b) 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받이부 (424) 를 센서블록 (410) 과 일체로 구성하여도 된다.
지축 (450) 은 관형상의 제 1 회전부 (451) 와 그 회전부 (451) 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관형상의 제 2 회전부 (455) 로 이루어진다. 제 1 회전부 (451) 는 그 하단에 플랜지형상의 결합부 (456)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롤러블록 (420) 의 일단부에는, 그 결합부 (456) 를 수납하여 제 1 회전부 (451) 를 제 1 축 (X1)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위한 결합부 (445a, 445b) 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회전부 (451) 의 상반부는 롤러블록 (420) 의 구동롤러 (28) 가 노출되어 있는 면에서 밖으로 나와 있다.
그 제 1 회전부 (451) 의 상단에는 제 2 회전부 (455) 가 고정되어 있다. 제 2 회전부 (455) 의 축심은 제 1 회전부 (451) 의 축심과 직교하여, 지축 (450) 의 제 2 축 (X2) 이 된다. 이 제 2 회전부 (455) 의 양측부분에, 센서블록 (410) 의 1단에 훅부 (410a, 410b) 를 통하여 부착된 축받이부 (424) 가 결합된다.
이상으로부터, 센서블록 (410) 은 지축 (450) 에 대하여 지축 (450) 의 제 2 축 (X2) 주위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센서블록 (410) 과 지축 (450) 은 모두 롤러블록 (420) 에 대하여 지축 (450) 의 제 1 축 (X1) 주위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지축 (450) 의 구성에 대하여, 도 2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지축 (450) 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관형상의 제 1 회전부 (451) 와 그 회전부 (451) 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관형상의 제 2 회전부 (455) 로 구성되고, 또, 제 2 회전부 (455) 에는 개구 (452)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회전부 (451) 및 제 2 회전부 (455) 는, 케이블 (441) 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구 (453, 457)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센서블록 (410) (커넥터 (426)) 으로부터의 케이블 (441) 은 그 개구 (452) 로부터 제 2 회전부 (455) 의 속을 통하고, 그리고 제 1 회전부 (451) 속을 통과하여 그 롤러블록 (420) 측 (커넥터 (440)) 에 도달할 수 있다. 즉, 센서블록 (410) 과 롤러블록 (420) 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케이블 (441) 을 그 지축 (450) 에 통과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4 및 제 5 의 실시형태에 의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에서는, 자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에서 수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데에, 1 개의 푸시버튼의 조작으로, 훅부의 걸림부를 해제하고, 센서블록의 밀어올림, 회전, 밀어내림의 연속된 동작으로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 센서블록은 거의 180 도의 회전범위내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지축 속을 통과하는 케이블도 비틀어지는 일도 없어 전기적으로 신뢰성이 높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양 모드의 전환조작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이 없고, 또한, 전기적인 접속불량이 없는 조작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부속품으로서의 원고 트레이)
본 발명에 의한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는, 자동이송모드의 사용상태에 있을 때에, 원고의 전단을 롤러블록과 센서블록 사이의 간극에 삽입통과하기 쉽게 하기 위한 원고트레이를 롤러블록측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원고 트레이에 대하여, 도 28 내지 도 31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8 및 도 30 에 나타낸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 는, 도 24 에 나타낸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장치 (1)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도 24 에 나타낸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달고 있다.
단, 도 28 및 도 30 에 나타낸 롤러블록 (420) 에는, 그 일측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서 좌우의 양단부를 남기고, 후술하는 형태의 원고 트레이 (501) 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오목부 (421) 가 형성되어 있다.
원고 트레이 (501) 는, 도 2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폭은 사용대상이 되는 원고 (2) 의 최대폭보다도 약간 큰, 단면이 L 자형의 1 장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원고 트레이 (501) 의 좌우양단의 후방위치에는, 도 2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502) 이 외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한편, 롤러블록 (420) 의 수납 오목부 (421) 를 구획짓고 있는 좌우의 벽면 (도시생략) 에는, 이 핀 (502) 을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수납하기 위한 핀 삽입구멍 (도시생략 ) 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핀 (502) 이 롤러블록 (420) 의 핀 삽입구멍에 결합되어 있는 원고 트레이 (501) 는, 그들 핀 (502) 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고, 도 2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단 에지가, 롤러블록 (420) 을 얹고 있는 대 (臺;도시생략) 에 맞닿고 있는 상태 (사용상태) 로 되거나, 또, 도 3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블록 (420) 의 수납 오목부 (421) 속에 수납된 상태 (수납상태) 로 되거나 한다.
원고 트레이 (501) 가 도 28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상태에 있을 때에는, 원고 트레이 (501) 의 전체가 롤러블록 (420) 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그 전방반부 (前方半部;XY 평면 위에 위치하는 부분) 가 롤러블록 (420) 과 센서블록 (410)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는 원고 (2) 를 아래로부터 지지한다. 또, 이 원고 트레이 (501) 의 후방반부 (後方半部;XZ 평면 위에 위치하는 부분) 은 다리가 되어, 원고 트레이 (501) 를 사용상태로 유지한다.
원고 트레이 (501) 의 다리가 되는 부분 (즉, 후방반부) 의 중앙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는 홈(503)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원고 트레이 (501) 의 전단 에지가 핀 (502) 에 가까운 부분을 남기고 약간의 깊이만 잘라내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원고 가이드 (504) 는, 그 일단부가 원고 트레이 (501) 의 홈 (503) 에 결합하고, 타단부가 원고 트레이 (501) 의 전단 에지의 오목부에 결합하여, 원고 트레이 (501) 위를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원고 트레이 (501) 의 전방반부에는 그 측단 근방 (도 28 에서는 좌단) 에, 원고 (2) 의 측단 에지와 접촉하여 원고 (2) 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안내돌기 (505)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고 트레이 (501) 의 전방반부에 올린 원고 (2) 는, 도 2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좌측 에지가 안내돌기 (505) 에 의해 규제되고, 또 그 우측 에지가 원고가이드 (504) 에 의해 규제되면서, 롤러블록 (420) 과 센서블록 (410)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게 된다. 원고 (2) 의 크기를 변경할 때에는, 원고 가이드 (504) 를 슬라이드시켜 원고 트레이 (501) 상의 위치를 조정한다.
원고 트레이 (501) 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롤러블록 (420) 을 대에서 들어올려, 원고 트레이 (501) 를 롤러블록 (420) 쪽으로 손으로 밀면, 원고 트레이 (501) 는, 도 3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블록 (420) 에 형성된 수납 오목부 (421) 에 용이하게 수납된다. 이 상태에서의 원고 트레이 (501) 는, 그 전방반부가 롤러블록 (420) 의 측면과 거의 한면으로 되고, 또 후방반부가 롤러블록 (420) 의 저면과 거의 한면이 되어, 롤러블록 (420)에서 돌출되는 일이 없다.
이상, 도 28 내지 도 30 에 나타낸 원고 트레이 (501) 는, 도 24 에 나타낸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장치 (1) (단, 그 롤러블록에는, 수납 오목부 (421) 와 핀삽입구멍을 형성함) 에 부속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 원고 트레이 (501) 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장치 (1) 에 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원고 트레이 (501) 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롤러블록 (420)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원고 트레이 (501) 의 가로폭을, 롤러블록 (420) 에 형성된 수납 오목부 (421) 의 폭보다 약간 작게 하고, 원고 트레이 (501) 를 롤러블록 (420) 의 수납 오목부 (421) 내에서 좌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옮기면, 원고 트레이 (501) 의 핀 (502) 이 롤러블록 (420) 에 형성된 핀 삽입구멍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그렇게 하면, 원고 트레이 (501) 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롤러블록 (420)에서 떼어낼 수 있고, 또, 롤러블록 (420) 의 수납 오목부 (421) 에 수납해 둘 수도 있다.
또한, 도 28 내지 도 30 에 나타낸 원고 트레이 (501) 와는 다른 형태의 원고 트레이 (501′) 에 대하여, 도 31을 이용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이 원고 트레이 (501′) 도, 도 28 내지 도 30 에 나타낸 원고 트레이 (501) 와 동일하게 단면이 L 자형의 1 장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단 에지에는 원고이송방향 (Y 방향) 을 향하여 연장되는 1 쌍의 돌출부 (511, 512) 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롤러블록 (420) 의 측면에는 원고 트레이 (501′) 의 돌출부 (511, 512) 를 수납할 수 있는 1 쌍의 삽입구멍 (422, 423) 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고 트레이 (501′) 를 사용할 때에는, 원고 트레이 (501′) 좌우의 돌출부 (511, 512) 를 롤러블록 (420) 좌우의 삽입구멍 (422, 423) 에 각각 삽입통과시킨다. 그리고 사용을 마치면, 원고 트레이 (501′) 의 돌출부 (511, 512) 를 롤러블록 (420) 의 삽입구멍 (422, 423)에서 빼내, 원고 트레이 (501′) 를 롤러블록 (420)에서 떼어낸다.
이, 롤러블록 (420) 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로운 원고 트레이 (501′) 는, 돌출부 (511, 512) 의 구성을 제외하면, 도 28 내지 도 30 에 나타낸 원고 트레이 (501) 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된다. 즉, 도 31 에 나타낸 원고 트레이 (501′) 도, 도 28 ∼ 도 30 에 나타낸 원고 트레이 (501) 와 동일하게, 가는 홈 (503), 원고 가이드 (504), 안내돌기 (505) 를 설치한 구조로 된다.

Claims (31)

  1. 원고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센서를 수납한 센서블록,
    원고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롤러 및 구동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수납한 롤러블록, 및
    상기 센서블록을 상기 롤러블록에 대하여, 상기 센서블록의 판독센서의 판독면이 상기 롤러블록의 구동롤러와 대향한 제 1 자세로 하여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센서블록의 판독센서의 판독면이 롤러블록의 구동롤러와 반대방향으로 향한 제 2 자세로 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블록과 상기 롤러블록의 사이에 전기적인 복수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갖는 커넥터수단,
    상기 센서블록과 상기 롤러블록과는 상기 제 1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지, 제 2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모드 검출수단, 및
    상기 동작모드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롤러블록측과 센서블록측과의 신호 접속상태를 전환하는 신호전환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록은 1 군의 접속단자를 장착한 돌기형상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한편, 상기 센서블록은 상기 롤러블록의 돌기형상의 커넥터를 수납하는 삽입구를, 그 판독센서의 판독면이 있는 면과, 그 반대면의 양방에 형성하고, 그 삽입구에는 상기 롤러블록의 상기 접속단자에 대응하는 1 군의 접속단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블록측의 1 군의 접속단자와 상기 롤러블록측의 1 군의 접속단자는, 각각, 구동롤러의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록측 커넥터의 접속단자가, 가요성 인쇄회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롤러블록의 구동롤러를 노출시키고 있는 면 위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핀과, 상기 센서블록의 판독센서의 판독면이 있는 면부터 그 반대면에 까지 관통되어 있는 가이드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롤러블록의 양단부에, 상기 롤러블록에 근접한 제 1 위치와 롤러블록에서 떨어진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1 쌍의 회전지지부재를 포함하고, 또한 양회전지지부재의 사이에 센서블록을 이들 회전지지부재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한 것으로,
    상기 회전지지부재가 롤러블록에서 떨어진 제 2 위치에 있을 때는, 센서블록은 롤러블록에 방해되지 않고, 이 회전지지부재에 대하여 적어도 180 도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각각은 원통형상의 보스부를 그 일측면에 돌출형성하고 있고, 한편, 센서블록은 그 양단에 이 보스부를 수납할 수 있는 보스 받이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하나이상의 회전지지부재의 보스부에는, 원주상의 2 개의 위치에, 축심방향을 따라 절결부가 형성되며, 또, 그 보스부에 대응하는 보스 받이부에는 상기 절결부에 결합하거나 거기에서 이탈할 수 있는 훅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 받이부의 훅부가 상기 보스부의 일방의 절결부에 결합되면, 센서블록은, 그 판독센서의 판독면이 상기 롤러블록의 구동롤러와 대향하는 제 1 자세를 취하고, 또, 상기 보스 받이부의 훅부가 상기 일방의 절결부에서 이탈하여 타방의 절결부에 결합되면, 센서블록은 그 판독센서의 판독면이 롤러블록과 반대쪽으로 향하는 제 2 자세를 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스부에는 추가로 스톱퍼핀이 세워 설치되고, 한편, 이 보스부와 결합하는 보스 받이부에는 상기 스톱퍼핀을 안내하는 스톱퍼핀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이 스톱퍼핀은 이 스톱퍼핀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제 1 자세에 대응하는 일방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자세에 대응하는 타방의 단부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재 지지기구는, 각 회전지지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드부와, 그 슬라이드부를 슬라이드 자유롭게 수납하기 위해 상기 롤러블록에 설치된 가이드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선단에 훅을 구비한 탄성지를 포함하며, 또, 상기 롤러블록에는 상기 훅과 결합할 수 있는 제 1 걸림부 및 제 2 걸림부를 각각 센서블록이 접근하거나 멀어지거나 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한 부재를 세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록과 상기 센서블록과의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한 케이블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지지부재 중의 어느하나의 일방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록으로 부터의 케이블이, 회전지지부재의 원통형상의 보스부를 통과하고, 또한, 이 보스부를 수납하고 있는 센서블록의 보스 받이부의 일부를 빠져나가, 센서블록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롤러블록과 상기 센서블록과의 전기적 접속을 도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센서블록의 일단부에 설치한 제 1 결합부 및 타단에 설치한 제 2 결합부와,
    상기 롤러블록의 일단에 설치한 제 1 결합부 및 타단에 설치한 제 2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센서블록을 롤러블록에 대하여 거의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센서블록의 제 1 결합부가 롤러블록의 제 1 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고, 또,
    센서블록의 제 1 결합부를 롤러블록의 제 1 결합부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 센서블록을 그 제 1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센서블록의 제 2 결합부가 롤러블록의 제 2 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블록의 제 1 결합부는 센서블록의 일단에 연이어 접한 삽입부이고, 한편, 롤러블록의 제 1 결합부는 롤러블록의 일단에 세워 설치된 지지부에 설치된 결합구멍이며, 또,
    상기 센서블록의 제 2 결합부는 센서블록의 타단에 설치된 걸림부재이고, 한편, 롤러블록의 제 2 결합부는 롤러블록의 타단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받이된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록의 일단에 세워 설치된 상기 지지부에는 제 1 접촉단자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센서블록의 일단에 연이어 접한 상기 삽입부에는 제 2 접촉단자가 설치되며,
    센서블록의 제 1 결합부가 롤러블록의 제 1 결합부에 결합되며, 또 센서블록의 제 2 결합부가 롤러블록의 제 2 결합부에 결합되어 있을 때는, 상기 제 1 접촉단자가 상기 제 2 접촉단자와 접촉하여, 롤러블록측과 센서블록측과의 전기적 접속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단자와 상기 제 2 접촉단자의 적어도 어느하나의 일방은 탄성부재에 의해 타방을 향하여 탄성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록의 구동롤러가 노출되어 있는 면에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한편, 센서블록의, 센서유니트의 판독면이 있는 면과의 반대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그 돌출부를 끼워 삽입할 수 있는 결합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훅이 설치된 쪽의 롤러블록의 단부에는, 그 훅을 항상 걸림부재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그 훅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반대방향의 걸림부재측으로 회전운동하는 슬라이드 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롤러블록의 일단과 센서블록의 일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센서블록의 상기 롤러블록에 대하는 회전을 가능하게 있는 지축과,
    롤러블록의 타단과 센서블록의 타단과의 사이에 형성 및 부착되어, 상기 센서블록의 타단을 상기 롤러블록의 타단에 걸거나 그 결합을 해제하거나 할 수 있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지고,
    센서블록은, 상기 지축에 의해, 롤러블록에 대하여 상기 제 1 자세와 상기 제 2 자세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또,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자세 및 상기 제 2 자세의 어느 것으로도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축은, 롤러블록의 일단에 상기 롤러블록에 설정된 제 1 축심주위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제 1 회전부와, 그 제 1 회전부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2 회전부로 구성되고,
    센서블록은 그 일단이 상기 지축의 제 2 회전부에 결합됨으로써, 지축의 제 2 회전부에 대하여, 그 제 2 회전부에 설정되어 있는 제 2 축심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축의 제 1 회전부는 롤러블록의 일단에, 상기 롤러블록의 구동롤러에 의한 원고이송방향의 제 1 축심주위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 센서블록은 지축의 제 2 회전부에 대하여, 제 1 축심과 직교하는 제 2 축심 주위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그 결과, 센서블록은, 롤러블록에 대하여 그 제 1 축심을 중심으로 어느 각도만큼 벌릴 수 있고, 또한, 지축의 제 2 회전부에 대하여 적어도 180° 회전하여, 그 판독센서의 판독면이 롤러블록의 구동롤러와 대향하는 제 1 자세에서 판독센서의 판독면이 롤러블록과 반대쪽으로 향하는 제 2 자세로, 또는 제 2 자세에서 제 1 자세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축은, 관형상의 제 1 회전부와 그 제 1 회전부의 중간부위로부터 그 제 1 회전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상의 제 2 회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부의 1 개의 위치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센서블록으로 부터의 케이블이, 제 2 회전부 속을 통과하여 제 1 회전부 내부에 도달하고, 또한 제 1 회전부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빠져나가 밖으로 나온 후, 롤러블록에 도달함으로써, 이 케이블로 센서블록과 롤러블록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축의 제 1 회전부는 롤러블록의 일단에, 상기 롤러블록의 구동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면과 수직인 제 1 축심주위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 센서블록은 지축의 제 2 회전부에 대하여, 제 1 축심과 직교하는 제 2 축심주위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그 결과, 센서블록은, 롤러블록에 대하여 그 제 1 축심을 중심으로 적어도 180° 까지 회전운동할 수 있고, 또, 지축의 제 2 회전부에 대하여 적어도 180°회전하여, 그 판독센서의 판독면이 롤러블록의 구동롤러와 대향하는 제 1 자세에서 판독센서의 판독면이 롤러블록과 반대쪽으로 향하는 제 2 자세로, 또는 제 2 자세에서 제 1 자세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축은, 관형상의 제 1 회전부와 그 제 1 회전부의 일단으로부터 그 제 1 회전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상의 제 2 회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부의 1 개의 위치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센서블록으로 부터의 케이블이, 제 2 회전부에 형성한 상기 구멍을 통과하여 제 2 회전부 속에 들어가고, 또한, 제 1 회전부 속을 통과하여 롤러블록에 도달함으로써, 이 케이블로 센서블록과 롤러블록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록에는 상기 롤러블록과 상기 센서블록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는 원고를 지지하기 위한 원고 트레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트레이는 롤러블록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록에는 상기 원고 트레이를 수납해 두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트레이는 롤러블록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트레이는 단면이 L 자형의 1 장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데이터 판독장치.
KR10-1998-0704815A 1996-10-23 1997-10-23 문서화상데이터판독장치 KR100496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80530 1996-10-23
JP28053096 1996-10-23
JP2025297 1997-02-03
JP97-20252 1997-02-03
JP2025197 1997-02-03
JP97-20251 1997-02-03
JP97-121118 1997-05-12
JP12111897 1997-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701A KR19990076701A (ko) 1999-10-15
KR100496246B1 true KR100496246B1 (ko) 2005-09-09

Family

ID=2745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815A KR100496246B1 (ko) 1996-10-23 1997-10-23 문서화상데이터판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08106A (ko)
EP (1) EP0869657A4 (ko)
KR (1) KR100496246B1 (ko)
CN (1) CN1157927C (ko)
WO (1) WO1998018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3088B2 (ja) * 1998-05-15 2004-05-3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スキャナシステムおよび原稿搬送用アダプタ
CN1196075C (zh) * 1998-10-05 2005-04-06 佳能株式会社 图象读取装置
US6714982B1 (en) 2000-01-19 2004-03-30 Fmr Corp. Message passing over secure connections using a network server
TWI233748B (en) * 2004-03-24 2005-06-01 Avision Inc Dual-surface scanner
JP2006052073A (ja) * 2004-08-13 2006-02-23 Toshiba Corp 媒体供給装置
JP2006091154A (ja) * 2004-09-21 2006-04-06 Toshiba Corp 閉じ補助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TW201004308A (en) * 2008-07-04 2010-01-16 Qisda Corp Independent scanning appartus and independent scanning method
US8585053B2 (en) * 2011-12-15 2013-11-19 De La Rue North America Inc. Document guide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a document platen
CN110465570B (zh) * 2018-05-11 2022-11-2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滚压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7316A1 (en) * 1992-08-11 1994-03-16 Nisca Corporation Portable image scann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0461A (ja) * 1985-03-30 1987-02-09 Toshiba Corp フアクシミリ装置
JPS6383861A (ja) * 1986-09-27 1988-04-14 Fuji Xerox Co Ltd 数式自動処理方式
JPH057799Y2 (ko) * 1986-11-19 1993-02-26
JPS6434051A (en) * 1987-07-30 1989-02-03 Canon Kk Portable reader
EP0548374B1 (en) * 1991-07-09 1998-10-07 Oki Electric Industry Company, Limited Printer fitted with image reader
JPH08149257A (ja) * 1994-11-24 1996-06-07 Nikon Corp 画像入力装置
JPH09116663A (ja) * 1995-10-20 1997-05-02 Sharp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DE29709469U1 (de) * 1997-05-30 1997-07-24 Mustek Systems Inc Bildscanner mit automatischer Bewegungsfunktion
US5865431A (en) * 1997-06-13 1999-02-02 Ma; His-Kuang Scanner having sheet feed and self move mo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7316A1 (en) * 1992-08-11 1994-03-16 Nisca Corporation Portable image scan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927C (zh) 2004-07-14
WO1998018252A1 (fr) 1998-04-30
EP0869657A4 (en) 1998-11-25
EP0869657A1 (en) 1998-10-07
KR19990076701A (ko) 1999-10-15
US6108106A (en) 2000-08-22
CN1209928A (zh) 1999-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1227B2 (en) Sheet feeder with stopper
KR100496246B1 (ko) 문서화상데이터판독장치
EP0587316B1 (en) Portable image scanner
US20090085278A1 (en) Sheet tray assembly
JP4356668B2 (ja) 画像処理装置
US20060239763A1 (en) Paper-gui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20070058353A1 (en) Electronic device
KR20050011398A (ko) 급지장치
EP0485975A2 (en) Image reading device
US5420701A (en) Thin-type facsimile apparatus
US10266353B2 (en) Document sheet transport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EP0707975A2 (en) Precision referencing/latching system for document separation and transport in a scanning unit
EP0837591B1 (en) Device for scanning document sheets and image recording on sheet media
US94771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0580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32603B1 (ko)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JP2002060119A (ja) 画像形成装置
US11902483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CN211628007U (zh) 图像形成装置
JP271028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33512B1 (ko) 사무 기기의 배출원고 받침대 수납장치
JP2004038194A (ja) 画像形成装置
JPH0680258A (ja) 給送アタッチメント及び該給送アタッチメン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57799Y2 (ko)
JPH035122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