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073B1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073B1
KR100496073B1 KR10-2002-0021595A KR20020021595A KR100496073B1 KR 100496073 B1 KR100496073 B1 KR 100496073B1 KR 20020021595 A KR20020021595 A KR 20020021595A KR 100496073 B1 KR100496073 B1 KR 100496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unit
switch
apertur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513A (ko
Inventor
미카미유지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03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setting of both shutter and diaphrag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81Analogue circuits
    • G03B7/085Analogue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91Digital circuits
    • G03B7/095Digital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9/00Cameras
    • G03B22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2219/04Roll-film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여 재사용 및 재활용성을 향상한다.
렌즈 유니트(11)는 암(40b)을 움직일지 여부에 의해 조리개가 절환된다. 스트로보 유니트(12)에는 싱크로 스위치(52), 측광 스위치(53) 이외에, 암(40b)을 움직이는 조리개 절환 레버(56) 등도 조립된다. 조립시는, 각 유니트(11∼13)를 소정 위치에 조립 장착하는 것만으로 싱크로 스위치(52)가 셔터 블레이드(71)의 압압부(71c)의 이동 경로 내에, 측광 스위치(53)가 셔터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응답해 이동하는 압압핀의 이동 경로 내에, 조리개 절환 레버(56)가 암(40b)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라, 촬영시에는 셔터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응답해 조리개를 절환하고 나서 셔터가 릴리스(release)됨과 동시에 스트로보 발광이 행하여진다. 분해시는, 록 고정 클로의 록 결합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각 유니트(11∼13)마다 떼어 낼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셔터 버튼의 압압 조작에 응답해 피사체 휘도를 측정하고, 그 피사체 휘도에 따라서 조리개를 절환하고 나서 셔터를 릴리스(release)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제조시에 미리 사진 필름이 장전된 1회 사용형(일회용)의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를 포함하는 저가격의 간이형 카메라에서는 촬영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유니트, 셔터 장치가 설치된 메카 유니트, 스트로보 장치가 설치된 스트로보 유니트 등, 각각 기능면에서 독립한 유니트로 분할되어 있고, 제조시의 조립 및 사용후의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에서는 비용 저감이나 구조 간소화의 요청으로 인해 고정 초점의 촬영 렌즈나 1속(速) 고정의 소위 차날리기(kick-off) 식의 셔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사용하는 촬영 환경은 휘도가 낮은 실내 조명 하에서 휘도가 높은 맑은 하늘시의 옥외까지 폭넓은 휘도 범위에 걸쳐 있고, 그 전역(全域)에서 적정한 노광량으로 촬영하기 위해서는 노광량을 조절하는 AE기구(노출 조절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는 측광 회로 및 조리개 절환 장치로 이루어지는 AE기구를 내장하고, 피사체 휘도에 따라서 조리개를 절환해 노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카메라에서는 비교적 가격이 높은 콤팩트 카메라 등과 같이, 측광 회로가 형성된 AE회로 기판과 조리개 절환 장치의 액츄에이터를 리드선이나 플렉시블 기판 등으로 납땜해 도통(導通)을 취하는 구조로 하면, 제조시의 조립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생산성이 나쁘게 되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각 유니트를 재사용 및 재활용할 때에 분해가 곤란해져, 재사용 및 재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 제조시의 생산성 및 사용 후의 각 유니트의 재사용 및 재활용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AE기구를 구비한 유니트 구조의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카메라는 폐쇄 위치에 스프링 압압된 셔터 블레이드와, 셔터 버튼의 압압 조작에 연동해 챠지(charge) 위치에서 릴리스 위치로 이동하고, 이 이동의 사이에 셔터 블레이드를 개방 방향으로 차날려서 셔터 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셔터 구동 레버와, 셔터 버튼의 압압 조작이 행하여지고서 셔터 구동 레버가 셔터 블레이드를 차날릴 때까지 사이에 오프(OFF) 위치에서 온(ON) 위치로 이동하는 스위치 절환 부재를 포함하는 메카 유니트와, 스트로보 발광부가 조립 부착되는 동시에 스트로보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에, 셔터 블레이드가 소정의 개방 위치에 도달한 것에 응답해 온하는 싱크로 스위치와, 스위치 절환 부재가 온 위치로 이동한 것에 응답해 온하는 측광(測光) 스위치와, 이 측광 스위치가 온되는 것에 응답해 피사체 휘도를 측정하는 측광 회로와, 이 측광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온/오프(ON/OFF)되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한 스트로보 유니트와, 촬영 렌즈를 보유 지지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의 변위에 따라서 이동해 소(小)조리개 위치와 대(大)조리개 위치 사이, 또는 소조리개 위치와 퇴피(退避)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조리개판이 조립된 렌즈 유니트를 구비한 것이다. 메카 유니트는 셔터 버튼의 압압 조작에 의해 작동하고, 셔터 구동 레버가 릴리스 위치를 향해 이동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지연시키는 지연 기구를 포함하고, 이 지연 기구의 작동에 의해 스위치 절환 부재가 오프 위치에서 온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카 유니트는 제조시에 미리 필름 및 카트리지가 장전되는 필름 수납실과 카트리지 수납실이 일체 성형된 본체 기부(基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한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의 외관 및 내부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것이다.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10)는 렌즈 유니트(11), 스트로보 유니트(12), 메카 유니트(13), 각 유니트(11∼13)를 조립 장착하는 본체 기부(14), 이들을 덮는 앞커버(15) 및 뒤커버(16)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기부(14)의 대략 중앙에는 사진 필름의 전면에서 1 코마분(分)의 노광 에어리어(area)를 제한하는 노광 프레임(14a)이 형성되어 있다. 노광 프레임(14a), 메카 유니트(13), 렌즈 유니트(11)는 광축(PL) 상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메카 유니트(13)는 록 고정 클로(14b)에 의해 본체 기부(14)에, 렌즈 유니트(11)는 록 고정 클로(13a)에 의해 메카 유니트(13)에 각각 록 고정된다. 또, 메카 유니트(13)의 옆에는 스트로보 유니트(12)가 조립 부착된다. 스트로보 유니트(12)는 록 고정 클로(14c)에 의해 본체 기부(14)에 록 고정된다. 노광 프레임(14a)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형성된 카트리지 수납실(14d) 및 필름 수납실(14e)에는 도시하지 않은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로부터 인출해 롤 형태로 한 사진 필름이 제조시에 조립된다.
앞커버(15)에는 촬영 렌즈(20)를 노출하는 촬영창(21), 대물측 파인더창(22), 스트로보 발광창(23), 피사체 휘도 측광용의 측광창(24), 개구(25), 스트로보 조광용의 수광창(26)이 형성되어 있다. 또, 뒤커버(16)에는 카트리지 수납실(14d) 및 필름 수납실(14e)의 바닥부 개구를 광밀(光密)하게 덮는 바닥 덮개(16a, 16b)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 덮개(16a)는 촬영이 끝난 사진 필름이 수용된 카트리지를 꺼낼 때에 개방된다. 앞커버(15) 및 뒤커버(16)의 상면(上面)에는 셔터 버튼(27)을 노출하는 개구(28), 필름 카운터창(29), 라이트 가이드(30)를 노출하는 충전 완료 확인창(31)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수납실(14d)의 상부에는 권상(卷上) 노브(34)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뒤커버(16)로부터 그 일부가 돌출하고 있다. 권상 노브(34)의 하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권상축이 형성되어 있고, 카트리지의 스풀에 록 결합한다. 이 권상 노브(34)를 촬영시마다 회동(回動) 조작함으로써, 촬영이 끝난 사진 필름이 1코마분씩 카트리지에 수용된다.
렌즈 유니트(1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 렌즈(20), 베이스(35), 스페이서(36), 가동(可動) 조리개판(37), 플레어(flare) 스토퍼(38), 렌즈 누름부(39)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촬영 렌즈(20)는 전방단(段) 렌즈(20a)와 후방단 렌즈(20b)로 이루어진다. 이들 각 부재는 후방단 렌즈(20b), 스페이서(36), 가동 조리개판(37), 플레어 스토퍼(38), 전방단 렌즈(20a)의 순으로, 베이스(35)에 형성된 렌즈 홀더(35a)에 삽입되어 렌즈 누름부(3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가동 조리개판(37)은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소구경의 소(小)조리개 개구(37a)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조리개판(37)은 조리개 레버(40)의 장착부(40a)에 고정되고, 조리개 레버(40)와 함께 베이스(35)의 지지축(35b)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동 조리개판(37)은 조리개 레버(40)에 장착된 스프링(41)의 압압력에 의해서, 소조리개 개구(37a)가 광축(PL) 상에 삽입된 삽입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베이스(35)에는 가동 조리개판(37)의 소조리개 개구(37a)보다도 큰 구경을 갖는 대조리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동 조리개판(37), 조리개 레버(40), 베이스(35)의 대조리개 개구 등으로 조리개 절환 기구가 구성되어 있고, 광축(PL) 상에 소조리개 개구(37a)가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광축(PL)으로부터 소조리개 개구(37a)가 퇴피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가동 조리개판(37)을 선택적으로 세트함으로써, 소조리개, 대조리개의 2 단계의 조리개 값으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조리개판에 소조리개 개구와 대조리개 개구를 형성하고, 소조리개 개구가 광축(PL) 상에 세트되는 소조리개 위치와 대조리개 개구가 광축(PL) 상에 세트되는 대조리개 위치 사이에서 가동 조리개판을 선택적으로 세트함으로써, 소조리개, 대조리개의 2 단계의 조리개값으로 절환하도록 해도 좋다.
스트로보 유니트(12)는 기판(45), 메인 콘덴서(46), CdS(47), 수광 소자(48), 스트로보 발광부(49), 전원 전지(50), 각종 스위치(51, 52, 5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45)에는 공지의 스트로보 회로, 피사체 휘도를 측정하는 측광 회로, 스트로보광의 반사광을 수광해 이 수광량이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스트로보 발광을 정지시키는 조광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이 외에, 솔레노이드(55), 조리개 절환 레버(56), 스토퍼(57)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리개판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45)의 전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판(58)을 개재(介在)하여 조작 부재(59)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59)에는 교체 노브(59a)가 형성되어 있고, 앞커버(15)의 개구(25)로부터 노출한다. 촬영자가 이 교체 노브(59a)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조작 부재(59)의 절환이 행하여진다. 조작 부재(59)는 앞커버(15)에 표시되어 있는 지표(60)의 온("ON"), 오프("OFF")에 맞추어 2 단계로 절환된다.
교체 노브(59a)가 "OFF" 위치에 있을 때는 스트로보 회로는 작동하지 않는다. 또, 교체 노브(59a)가 "ON" 위치에 있을 때는 조작 부재(59)의 뒤쪽에 설치된 돌기(도시하지 않음)에 압압되어 스트로보 스위치(51)가 온해서 스트로보 회로가 작동되고, 메인 콘덴서(46) 및 트리거 콘덴서의 충전이 행하여진다. 메인 콘덴서(46)가 규정된 챠지 레벨에 도달하면, 도시하지 않은 네온관(발광 다이오드로 하여도 됨)이 점등한다. 네온관이 발(發)한 광은 라이트 가이드(30)를 지나 그 선단(先端)으로부터 방사되고, 촬영자에게 충전 완료를 알린다.
싱크로 스위치(52)가 온(ON)하면, 트리거 콘덴서에 저장되어 있던 전하가 방전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메인 콘덴서(46)에 저장되어 있던 전하가 스트로보 방전관을 통해서 방전되고, 스트로보광이 피사체를 향해 조사된다. 조광 회로는 앞커버(15)에 형성된 수광창(26)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 수광 소자(48)에 의해 스트로보광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이 수광량이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스트로보 발광을 정지시킨다.
측광 회로는 CdS(47), 스위칭 트랜지스터, 측광 스위치(5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CdS(47)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수광하는 휘도에 따라서 그 저항치가 변화되는 광도전(光導電) 소자이고, 앞커버(15)에 형성된 측광창(24)과 대면하는 위치에서 기판(45)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는 전원 전지(50)로부터 솔레노이드(55)로의 급전(給電)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있고, 피사체 휘도의 측광치에 따라서 코일(55b)에 선택적으로 통전한다. 측광 스위치(53)는 지지 부재(61)를 개재하여 기판(45)에 고착되어 있고, 후술하는 셔터 기구(72)의 스위치 기어(95)에 설치된 압압핀(95d)의 이동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측광 스위치(53)가 온하면, 측광 회로가 작동되어 피사체의 휘도가 측광된다.
도 3에 있어서, 조리개판 구동 기구의 조리개 절환 레버(56)에는 조리개 레버(40)의 암(40b)에 맞닿은 돌기부(56a)와, 후술하는 챠지 레버(84)에 록 고정되는 피(被)록 고정 돌기(56b)가 형성되어 있다. 조리개 절환 레버(56)는 베이스 부재(62)의 배면에 설치된 보스(boss)(62a)에 삽통(揷通)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스(62a)는 토션 스프링(63) 및 홀더(64)를 개재하여, 메카 유니트(13)를 구성하는 암(暗)상자(70)에 설치된 끼워 맞춤 구멍(70a)에 들어온다. 이에 따라, 기판(45)이 메카 유니트(13)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조리개 절환 레버(56)는 토션 스프링(63)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상시 압압되고 있고, 돌기부(56a)가 조리개 레버(40)의 암(40b)을 압압한다. 토션 스프링(63)은 가동 조리개판(37)을 압압하는 스프링(41)보다도 큰 압압력을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가동 조리개판(37)을 스프링(41)에 의한 압압력에 저항해 퇴피(退避) 위치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쪽으로 압압한다.
조리개 절환 레버(56)의 선단부 하방에는 스토퍼(57)가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57)는 축부(57a), 돌기부(57b), 끼워 맞춤부(57c)로 이루어지고, 지지 부재(61)에 설치된 돌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축부(57a)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끼워 맞춤부(57c)는 스토퍼(57)의 배후에 배치되는 솔레노이드(55)의 가동 철심(55a)에 끼워 맞춤된다. 스토퍼(57)는 솔레노이드(55)의 온/오프(ON/OFF)에 따라서 조리개 절환 레버(56)와 동일한 평면 상에서 회동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돌기부(57b)가 조리개 절환 레버(56)의 이동 경로 내에 들어와서 조리개 절환 레버(56)를 록 고정하는 록 고정 위치와 이동 경로 밖으로 퇴피해 조리개 절환 레버(56)의 회동을 허용하는 비(非)록 고정 위치 사이에서 회동한다.
솔레노이드(55)는 가동 철심(55a), 코일(55b), 보유 지지 프레임(55c), 복귀 스프링(55d)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프레임(55c)은 지지 부재(61)에 형성된 록 결합 클로(도시하지 않음)에 록 결합한다. 가동 철심(55a)은 코일(55b) 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귀 스프링(55d)에 의해 코일(55b)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쪽으로 압압되고 있다. 솔레노이드(55)는 코일(55b)에 통전했을 때에 가동 철심(55a)을 흡인하는 자력을 발생하는 타입이고, 코일(55b)로의 통전은 CdS(47)에 의한 피사체 휘도의 측광치에 의거해 측광 회로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솔레노이드(55)가 작동하는 피사체 휘도의 측광치의 소정 레벨은 조리개값 등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또, 평상시는 가동 조리개판(37)이 퇴피 위치에 세트되어 있어, 피사체 휘도의 측광치가 소정 레벨보다 높을 때에 삽입 위치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메카 유니트(13)는 전방을 향해 각통(角筒) 형상으로 돌출한 암상자(70)를 베이스로 하여, 이것에 셔터 블레이드(71), 셔터 기구(72), 파인더(73), 필름 카운터판(74), 누름판(75) 등을 조립 장착한 것이다(도 2 참조). 암상자(70)의 전면(前面)에는 셔터 개구(70b)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전방에 셔터 블레이드(71)가 장착된다. 셔터 블레이드(71)에는 셔터 개구(70b)를 덮는 블레이드부(71a), 맞닿음부(71b), 압압부(71c)가 형성되어 있고, 장착 구멍(71d)이 핀(50c)과 록 결합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셔터 블레이드(71)는 복귀 스프링(76)의 압압력에 의해서, 블레이드부(71a)가 셔터 개구(70b)를 덮는 폐쇄 위치를 향해 상시 압압된다.
맞닿음부(71b)는 후술하는 셔터 기구(72)의 릴리스 레버(82)에 형성된 차날리기(kick-off) 암(82a)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되어 있고, 셔터 버튼(27)이 눌려지면, 차날리기 암(82a)에 의해 오른쪽 방향으로 차날려진다. 이에 따라, 셔터 블레이드(71)는 복귀 스프링(76)의 압압력에 저항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블레이드부(71a)에 덮혀 있던 셔터 개구(70b)가 노출하는 개방 위치로 된다. 그 후, 복귀 스프링(76)의 압압력에 의해 셔터 블레이드(7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블레이드부(71b)가 다시 셔터 개구를 덮는 폐쇄 위치로 된다. 이렇게 해서, 셔터 개구(70b)가 개폐된다.
또, 압압부(71c)의 이동 경로 내에는 스트로보 유니트(12)의 싱크로 스위치(52)가 배치되어 있고, 셔터 블레이드(71)가 개방 위치로 되었을 때에 싱크로 스위치(52)를 압압해 온(ON)한다. 이에 따라, 셔터 블레이드(71)의 개폐에 연동해 스트로보 발광이 행하여진다. 또한, 싱크로 스위치(52)는 이것을 보유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62)의 전면(前面)에 세워 설치된 한 쌍의 보스(62b)가, 나사(77)로 기판(45)에 고정된 지지 부재(61)를 개재하여 기판(45)에 고착됨으로써, 압압부(71c)의 이동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된다.
셔터 기구(7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김 방지 레버(81), 릴리스 레버(82), 딜레이 레버(83), 챠지 레버(84), 캠(85), 거버너 기구(86)로 구성되어 있다.
캠(85)은 축부(軸部)(85a), 원판(85b), 부채꼴의 제 1 캠(85c), 제 2 캠(85d), 제 3 캠(85e)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판(85b)에는 노치(85f)가 형성되어 있다. 캠(85)은 암상자(70)에 형성된 구멍(70d)에 축부(85a)가 삽통되어 있다. 축부(85a)의 최하단부는 스프로켓(87)의 록 결합 구멍(87a)에 록 결합된다. 스프로켓(87)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이빨은 사진 필름에 형성된 퍼포레이션(perforation)에 록 결합한다. 이에 따라, 사진 필름이 급송(給送)되면, 스프로켓(87)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캠(85)이 종동(從動) 회전된다.
릴리스 레버(82)는 암상자(70)에 설치된 축(70e)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토션 스프링(88)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압압된다. 릴리스 레버(82)에는 차날리기 암(82a), 훅(82b), 돌기(82c)가 형성되어 있다. 차날리기 암(82a)은 셔터 버튼(27)이 누름 조작되면, 셔터 블레이드(71)의 맞닿음부(71b)를 오른쪽 방향으로 차날린다. 훅(82b)은 제 1 캠(85c)에 맞닿는다. 돌기(82c)는 셔터 챠지되었을 때에, 딜레이 레버(83)의 단부(83d)와 맞닿아 릴리스 레버(8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록 고정한다.
감김 방지 레버(81)는 암상자(70)에 설치된 축(70f)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토션 스프링(89)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압압된다. 감김 방지 레버(81)에는 록 고정 클로(81a), 돌기(81b), 릴리스부(81c), 감김 방지 클로(81d)가 형성되어 있다. 록 고정 클로(81a)는 셔터 챠지되었을 때에, 캠(85)의 노치(85f)와 록 결합해 감김 방지 레버(81)를 록(lock)한다. 이 때, 감김 방지 레버(81)가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고, 감김 방지 클로(81d)가 권상 노브(34)에 록 결합해 그 회전을 록 고정한다.
셔터 버튼(27)이 누름 조작되면, 일단부에 이 셔터 버튼(27)이 설치된 대략 L자 형상의 셔터 레버(90)의 하부에 형성된 압압편(90a)(도 2 참조)이 릴리스부(81c)를 압압하여, 감김 방지 레버(81)를 토션 스프링(89)의 압압력에 저항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캠(85)의 노치(85f) 및 권상 노브(34)와의 록 결합이 해제된다.
딜레이 레버(83)는 암상자(70)에 형성된 축(軸)(70g)에 장착되고, 토션 스프링(91)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압압된다. 딜레이 레버(83)에는 기어(83a), 록 고정편(83b), 캠 종동부(83c)가 형성되어 있다. 록 고정편(83b)은 감김 방지 레버(81)의 돌기(81b)에, 캠 종동부(83c)는 제 3 캠(85e)에 각각 맞닿는다. 단부(83d)는 셔터 챠지되었을 때에 릴리스 레버(82)의 돌기(82c)의 회전 궤도 내에 들어오고, 이것을 보유 지지해 릴리스 레버(8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록 고정한다.
거버너 기구(86)는 스위치 기어(95)와 앵클(96)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기어(95)는 암상자(70)에 형성된 축(70h)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위치 기어(95)에는 제 1 기어(95a), 제 2 기어(95b), 압압 리브(95c), 압압 핀(95d)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기어(95a)는 딜레이 레버(83)의 기어(83a)와 맞물리고 있고, 딜레이 레버(83)의 회전과 함께 스위치 기어(95)가 종동 회전된다. 제 2 기어(95b)에는 앵클(96)이 록 결합하고, 스위치 기어(95)의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압압 핀(95d)은 스위치 기어(95)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그 이동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된 측광 스위치(53)를 압압해 온(ON)한다.
대략 L자 모양으로 형성된 챠지 레버(84)는 암상자(70)에 형성된 축(70k)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토션 스프링(97)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압압된다. 챠지 레버(84)의 상면에는 암부(84a) 및 록 고정 돌기(84b)가 형성되어 있다. 암부(84a)의 선단(先端)에는 맞닿음면(84c)이, 하단(下端)에는 피압압부(84d)가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면(84c)은 제 2 캠(85d)에 맞닿음과 동시에, 셔터 챠지되었을 때에 캠(85)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록 고정한다. 피압압부(84d)는 스위치 기어(95)의 압압 리브(95c)에 맞닿는다. 록 고정 돌기(84b)는 조리개 절환 레버(56)의 피(被) 록 고정 돌기(56b)에 맞닿는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렌즈 유니트(11), 스트로보 유니트(12), 메카 유니트(13)는 미리 별개의 조립 공정에서 각각 조립되고 나서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10)의 조립 공정에 공급된다. 렌즈 유니트(11)는 메카 기구의 조립 공정에서 베이스(35)에 촬영 렌즈(20), 스페이서(36), 가동 조리개판(37), 플레어 스토퍼(38), 렌즈 누름부(39), 조리개 레버(40) 등이 조립 부착된다. 메카 유니트(13)도 마찬가지로, 메카 기구의 조립 공정에서 암상자(70)에 셔터 기구(72), 파인더(73), 필름 카운터판(74), 누름판(75) 등이 조립 부착된다. 스트로보 유니트(12)는 전기 부품의 조립 공정에서 기판(45)에 메인 콘덴서(46), CdS(47), 수광 소자(48), 각종 스위치(51∼53), 솔레노이드(55) 등의 각종 전기 부품이 소정의 위치에 조립 부착되어 납땜되는 외에, 조리개 절환 레버(56), 스토퍼(57) 등의 조리개판 구동 기구의 메카 기구가 조립 부착된다.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10)의 조립 공정에서는, 먼저 본체 기부(14)에 메카 유니트(13)가 장착된 후, 그 전면에 렌즈 유니트(1)가 장착된다. 계속해서 메카 유니트(13)의 측방에, 보스(62a)를 암상자(70)의 끼워 맞춤 구멍(70a)에 록 결합시켜, 스트로보 유니트(12)가 장착된다. 각 유니트(11∼13)는 각 록 고정 클로(13a, 14b, 14c)에 의해 각각 록 고정된다. 이에 따라, 싱크로 스위치(52)가 셔터 블레이드(71)의 압압부(71c)의 이동 경로 내에, 측광 스위치(53)가 스위치 기어(95)의 압압핀(95d)의 이동 경로 내에, 조리개 절환 레버(56)가 조리개 레버(40)의 암(40b)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평면 상에 각각 위치 결정된다.
스트로보 유니트(12)가 장착된 후에는 전원(電源) 전지(50), 조작 부재(59), 셔터 버튼(27)이 형성되어 있는 셔터 레버(90) 등이 장착됨과 동시에, 카트리지 및 사진 필름을 장전해 앞커버(15) 및 뒤커버(16)에 의해 본체 기부(14)를 덮어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10)가 된다.
촬영을 할 때에는, 먼저 권상 노브(34)를 회동 조작한다. 이 권상 노브(34)의 회동에 의해서, 사진 필름이 권상되는 동시에, 셔터 챠지가 행하여진다. 셔터 챠지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김 방지 레버(81)는 록 고정 클로(81a)가 노치(85f)에, 감김 방지 클로(81d)가 권상 노브(34)의 홈(34a)에 각각 록 결합해 캠(85) 및 권상 노브(34)의 회동을 록 고정하고 있다. 딜레이 레버(83)는 록 고정편(83b)과 돌기(81b)의 록 결합에 의해 도시한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챠지 레버(84)는 피압압부(84d)가 스위치 기어(95)의 압압 리브(95c)에 맞닿아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록 고정된다. 릴리스 레버(82)는 돌기(82c)와 단부(83d)의 록 결합에 의해서, 차날리기 암(82a)이 셔터 블레이드(71)의 맞닿음부(71b)의 좌측이 되는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촬영자가 셔터 버튼(27)을 누름 조작하면, 압압편(90a)이 릴리스부(81c)를 우측으로 압압해 감김 방지 레버(8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서, 돌기(81b)가 록 고정편(83b)으로부터 이간해 딜레이 레버(8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딜레이 레버(83)의 회전에 종동해 스위치 기어(9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압압핀(95d)이 그 이동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측광 스위치(53)를 압압해 온(ON)한다. 이에 따라, 측광 회로가 작동되어 피사체 휘도의 측광이 행하여진다.
측광 회로는 피사체 휘도의 측광치가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코일(55b)로의 통전은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스토퍼(57)는 록 고정 위치인 채로 이므로, 소(小)조리개 개구(37a)가 광축(PL)에 삽입된 삽입 위치로 가동 조리개판(37)은 보유 지지된다. 한편, 측광치가 소정 레벨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코일(55b)로의 통전이 행하여진다. 코일(55b)에 통전되면, 가동 철심(55a)이 코일(55b) 내로 끌어 들여져, 스토퍼(57)가 허용 위치로 회동한다. 조리개 절환 레버(5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돌기부(56a)의 이동 경로의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 조리개 레버(40)의 암(40b)을 압압한다. 이 압압에 의해 조리개 레버(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소조리개 개구(37a)가 광축(PL)으로부터 퇴피하는 퇴피 위치에 가동 조리개판(37)이 이동해 조리개의 절환이 행하여진다.
그 후, 딜레이 레버(83)가 소정량 회전하면, 단부(83d)가 돌기(82c)로부터 이간해 릴리스 레버(8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서, 차날리기 암(82a)이 셔터 블레이드(71)의 맞닿음부(71b)를 우측으로 차날려서 셔터 개구(70b)를 개폐하고, 사진 필름으로의 노광이 행하여진다. 이렇게 해서, 피사체 휘도의 측광치에 따라서 조리개를 절환하고 나서 셔터가 릴리스되어 촬영이 행하여진다.
모든 촬영 코마의 촬영이 완료되어 현상할 때에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10)를 그대로 현상실에 갖고 들어온다. 현상실에서는 바닥 덮개(16a)를 열어 촬영이 끝난 사진 필름이 수용된 카트리지를 꺼내 현상 처리를 하고, 사진 프린트를 작성한다.
카트리지가 꺼내진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10)는 현상실에서 재활용 공장으로 집하(集荷)된다. 재활용 공장에서는 앞커버(15) 및 뒤커버(6)를 벗긴 후, 본체 기부(14)로부터 렌즈 유니트(11), 스트로보 유니트(12), 메카 유니트(13)를 떼어 재사용한다. 이 때, 각 유니트(11, 12, 13) 사이를 리드선이나 플렉시블 기판 등으로 납땜 부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각 록 고정 클로(13a, 14b, 14c)의 록 결합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각 유니트(11∼13)를 본체 기부(14)로부터 떼어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저가격의 간이형 카메라 등에 적용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2 매의 촬영 렌즈 사이에 가동 조리개판을 삽탈(揷脫)하여 조리개를 절환하는 조리개 절환 기구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촬영 렌즈의 배후에서 가동 조리개판을 광축 상에 삽탈하는 조리개 절환 기구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에 의하면, 폐쇄 위치에 스프링 압압된 셔터 블레이드와, 셔터 버튼의 압압 조작에 연동해 충전 위치에서 릴리스 위치로 이동하고, 이 이동 사이에 셔터 블레이드를 개방 방향으로 차날려서 셔터 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셔터 구동 레버와, 셔터 버튼의 압압 조작이 행하여지고서 셔터 구동 레버가 셔터 블레이드를 차날릴 때까지 사이에 오프 위치에서 온 위치로 이동하는 스위치 절환 부재를 포함하는 메카 유니트와, 스트로보 발광부가 조립 부착되는 동시에 스트로보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에, 셔터 블레이드가 소정의 개방 위치에 도달한 것에 응답해 온하는 싱크로 스위치와, 스위치 절환 부재가 온 위치로 이동한 것에 응답해 온하는 측광 스위치와, 이 측광 스위치가 온되는 것에 응답해 피사체 휘도를 측정하는 측광 회로와, 이 측광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온/오프(ON/OFF)되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한 스트로보 유니트와, 촬영 렌즈를 보유 지지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의 변위에 따라서 소조리개 위치와 대조리개 위치 사이, 또는 소조리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조리개판이 조립된 렌즈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 유니트 사이를 리드선이나 플렉시블 기판 등으로 납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시의 조립이 용이하게 행해지고, 또 각 유니트의 분해가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재사용 및 재활용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렌즈 유니트, 스트로보 유니트, 메카 유니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메카 유니트에 설치된 셔터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셔터 챠지(charge)가 완료한 상태의 셔터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11…렌즈 유니트
12… 스트로보 유니트
13…메카 유니트
14… 본체 기부
37…가동 조리개판
40…조리개 레버
45…기판
47…CdS
52…싱크로 스위치
53…측광 스위치
55…솔레노이드
56…조리개 절환 레버
57…스토퍼
70…암(暗)상자
71…셔터 블레이드
82…릴리스(release) 레버
84… 챠지 레버
95…스위치 기어

Claims (3)

  1. 폐쇄 위치에 스프링 압압된 셔터 블레이드와, 셔터 버튼의 압압 조작에 연동해 챠지(charge) 위치에서 릴리스(release) 위치로 이동하고, 이 이동 사이에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개방 방향으로 차날려서 셔터 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셔터 구동 레버와, 셔터 버튼의 압압 조작이 행하여지고서 셔터 구동 레버가 셔터 블레이드를 차날릴 때까지 사이에 오프(OFF) 위치에서 온(ON) 위치로 이동하는 스위치 절환 부재를 포함하는 메카 유니트와,
    스트로보 발광부가 조립 부착되는 동시에 스트로보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에,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소정의 개방 위치에 도달한 것에 응답해 온(ON)하는 싱크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절환 부재가 온 위치로 이동한 것에 응답해 온하는 측광(測光) 스위치와, 이 측광 스위치가 온되는 것에 응답해 피사체 휘도를 측정하는 측광 회로와, 이 측광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온/오프(ON/OFF)되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한 스트로보 유니트와,
    촬영 렌즈를 보유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변위에 따라서 소(小)조리개 위치와 대(大)조리개 위치 사이, 또는 소조리개 위치와 퇴피(退避)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조리개판이 조립된 렌즈 유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 유니트는 셔터 버튼의 압압 조작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셔터 구동 레버가 릴리스 위치를 향해 이동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지연시키는 지연 기구를 포함하고, 이 지연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 절환 부재가 오프 위치에서 온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 유니트는 제조시에 미리 필름 및 카트리지가 장전되는 필름 수납실과 카트리지 수납실이 일체 성형된 본체 기부(基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2002-0021595A 2001-08-02 2002-04-19 카메라 KR100496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35305 2001-08-02
JP2001235305A JP2003043636A (ja) 2001-08-02 2001-08-02 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513A KR20030011513A (ko) 2003-02-11
KR100496073B1 true KR100496073B1 (ko) 2005-06-20

Family

ID=1906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595A KR100496073B1 (ko) 2001-08-02 2002-04-19 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043636A (ko)
KR (1) KR100496073B1 (ko)
CN (1) CN1405617A (ko)
TW (1) TW5574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0885C (zh) * 2004-11-25 2007-10-03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小型化镜头组
CN102801906B (zh) * 2012-08-02 2015-04-15 东莞市南星电子有限公司 具有日夜双光圈的监控相机
JP6592625B1 (ja) * 2019-01-31 2019-10-16 エーエーシーアコースティックテクノロジーズ(シンセ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AAC Acoustic Technologies(Shenzhen)Co.,Ltd 光学装置、カメラ及び携帯電子機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394B2 (ko) * 1976-05-31 1981-04-09
JPS5649236B2 (ko) * 1978-02-24 1981-11-20
JPH04347827A (ja) * 1991-05-24 1992-12-03 Konica Corp 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90837A (ja) * 1996-09-18 1998-04-10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再生方法
JP2001133835A (ja) * 1999-11-02 2001-05-18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のシャッ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394B2 (ko) * 1976-05-31 1981-04-09
JPS5649236B2 (ko) * 1978-02-24 1981-11-20
JPH04347827A (ja) * 1991-05-24 1992-12-03 Konica Corp 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90837A (ja) * 1996-09-18 1998-04-10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再生方法
JP2001133835A (ja) * 1999-11-02 2001-05-18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のシャッ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5617A (zh) 2003-03-26
KR20030011513A (ko) 2003-02-11
JP2003043636A (ja) 2003-02-13
TW557405B (en) 200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073B1 (ko) 카메라
US6597870B2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having a stop changing device
EP1276005B1 (en) Camera and shutter device
JP3865298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2049075A (ja) カメラの絞り切り替え装置
JP2001013636A (ja) カメラ
US20040037544A1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JP200115980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3161979A (ja) シャッ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
JP2002365687A (ja) カメラ
JPH07146531A (ja) レンズ付フィルムユニットとストロボトリガスイッチ及びプリント基板
JP2002365694A (ja) カメラのシャッタ機構
JP2003029318A (ja) カメラのシャッタ機構
US6741806B2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fitted photo film unit
JP200407806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3161978A (ja) シャッ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
JP2002196390A (ja) カメラの絞り切替装置
JP2001147461A (ja) カメラのシャッタ装置
JP2001337363A (ja) カメラ用測光装置
JP2001133836A (ja) カメラのシャッタ装置
JPH09211572A (ja) カメラのポップアップ式フラッシュ装置
JP2002244177A (ja) 絞り切替装置
JP2001159769A (ja) 絞り調節装置
JP2000305221A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65709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