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223B1 - 니코틴 및 타르 해독을 위한 복합 천연 조성물 - Google Patents

니코틴 및 타르 해독을 위한 복합 천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223B1
KR100494223B1 KR1020050007304A KR20050007304A KR100494223B1 KR 100494223 B1 KR100494223 B1 KR 100494223B1 KR 1020050007304 A KR1020050007304 A KR 1020050007304A KR 20050007304 A KR20050007304 A KR 20050007304A KR 100494223 B1 KR100494223 B1 KR 100494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nicotine
weight
powder
d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기
Original Assignee
(주)세포활성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포활성연구소 filed Critical (주)세포활성연구소
Priority to KR102005000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4Tobacco-ab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ction (AREA)
  • Toxicology (AREA)
  • Psychia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성초, 포공용, 녹차, 백모근, 감초, 연전초, 스테비아, 목초액 및 키토산으로 구성되는 복합 천연 추출물 (DTC9)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흡연에 의한 체내 유독성분인 니코틴 및 타르에 대한 해독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내에서 탁월한 니코틴 분해 효과를 가지며, 혈중 니코틴 잔류량 및 일산화탄소 (CO)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타르 독성에 대한 해독 기능 강화 효과를 가짐으로써 니코틴 및 타르 해독용 약학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니코틴 및 타르 해독을 위한 복합 천연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complex herbs for the detoxication of nicotine and tar}
본 발명은 어성초, 포공용, 녹차, 백모근, 감초, 연전초, 스테비아, 목초액 및 키토산으로 구성되는 복합 천연 추출물 (DTC9)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흡연에 의한 체내 유독성분인 니코틴 및 타르 등의 해독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에 생성되는 유해물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 가장 심각한 성분중의 하나가 흡연에 의한 니코틴, 타르 그리고 일산화탄소 (CO)이다. 흡연과 질병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를 1900년대 중반이후 집중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으며, 흡연으로 인한 폐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의 발생증가와 다른 건강장애에 대한 증거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있다. 실제로 담배연기 속에서 지금까지 약 4,000여종의 성분이 발견되었고, 약 4,000여종의 성분이 담배연기 총량의 약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수천종의 성분은 극히 미량으로 존재한다. 담배연기는 담배의 불완전 연소로 발생하며 만약 완전히 탈 때에는 물과 이산화탄소만 발생한다. 불완전연소는 일부 담뱃잎 성분의 불완전 연소성, 불충분한 산소공급과 담배가 탈 때의 온도 차이에 의해 생기며, 이외에도 담배가 탈 때 증류, 승화, 열분해, 열합성, 휘발의 과정을 거쳐 일어난다.
담배연기는 기체에 액체 또는 미세한 입자가 섞여 있는 혼합체인 연무질 (Aerosol)로서 캠브리지 글래스 화이버 필터 (Cambridge glass fiber filter: 입자의 직경이 0.1 ㎛보다 큰 입자를 99 % 이상 걸러낼 수 있는 효율을 갖는 필터)를 통과한 물질을 기체 (Gas) 또는 증기 (Vapour) 성분이라 하고, 질소 (59 %), 산소(13.4 %), 이산화탄소 (13.5 %), 일산화탄소 (3.2 %)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관지 섬모작용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는 알데히드 (Aldehyde), 케톤 (Ketone), 알코올 (Alchol)과 에스터 (Ester)등과 같은 저분자량을 갖는 휘발성 성분이 포함된다. 캠브리지 글래스 화이버 필터에 의해 걸러진 물질을 입자상 물질 (Partichlates phasecomponents)이라 하고 담배연기의 약 8 %에 해당하며, 타르 (Tar)를 포함한 적어도 38개의 알려진 발암물질과 발암가능성 있는 물질, 그리고 니코틴 (Nicotine)을 비롯한 많은 종류의 무기 및 유기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21세기에 들어서도 담배는 여전히 인류의 건강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위험요인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 규모도 더욱 커질 것이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담배 애호가는 끽연의 습관을 끊는다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며, 또한, 끽연을 계속하면서 담배연기로 인한 각종 질병들을 없애는 실시 용이한 수단도 없었다. 이와 더불어 각종 공해로 인해 체내 다양한 유해 성분이 축적되어 있다. 따라서 건강유지를 위해서 체내 유해 성분의 제거가 절실히 요구되지만 지금까지 특별한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에서 어성초 (Houttuynia cordata Thunb (Polypara cordata Bueck))는 다른 이름으로 중약초, 즙채, 십약, 약모밀 이라고도 부르며, 식물의 줄기와 잎이 사용되고, 주성분은 메틸노닐케논 (CH3(CH2)8COCH3 :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 생성물), 미르센 (C10H16), 라우린 알데히드 (C11H23CHO), 카프린 알데히드 (C9H19CHO), 카프르산 (C8H16O2)이고 이밖에도 다수의 성분이 있으며, 잎에는 쿠에르시트린 (Quercitrin)과 물에 풀리는 무기성분이 2.7 %나 들어 있다. 쿠에르시트린는 대장균,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적리균, 임균, 포도알균, 사상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고,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 (Decanoyl aldehyde)는 비병원성 곰팡이는 물론 백선균, 무좀균 등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으며, 포도알균, 임, 항산성균에도 억균작용이 있고, 특히, 포도알균에 대한 항균력은 1:40,000이며, 설파제보다 강하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 과학, 백과사전 출판사편, 일조각).
포공용 (Terazacum mongolicum. H. Mazz)은 여러해살이풀로서, 각지의 산과 들에 나며, 성분으로는 타라신 (Taraxin), 타라세롤 (Taraxerol), 타라사스테롤 (Taraxasterol), 베타-시토스테롤 (Beta-sitosterol), 카프페익산 (Caffeic acid), 플라보산틴 (Flavoxanthin), 타라사신 (Taraxacin) 등이 밝혀져 있다. 그의 효능으로는 이담작용, 위액분비촉진, 항염증제로 알려져 있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 과학, 백과사전 출판사편, 일조각).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주성분은 카테킨 (Catechin)류, 카페인, 유리아미노산 (Free amino acid)류, 비타민 C, 비타민 E, 베타-카로틴 (Beta-carotene), 불소 (Fluorine), 아연 등 미네랄류가 있으며 각각의 성분은 각종의 생리기능을 가지고 있다.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성분은 카테킨류로서 녹차의 주 생리기능역할을 한다. 카테킨은 플라반-3-올스 (Flavans-3-ols)이 기본구조로서 이는 카테킨 ((-)-카테킨 [(-)-C] (Catechin((-)-Catechin [(-)-C]), 에피카테킨 ((-)-Epicatechin(-)-EC), 에피갈로카테킨 ((-)-Epigallocatechin(-)-EGC), 에피카테킬갈레이트((-)Epicatechingallate[(-)-EGCg]),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gallate[(-)-EGCg]), 갈로카테킨((-)- Gallocatechin(-)-GC), 갈로카테킨갈레이트((-)-Catechin gallate[(-)-Cg]), 카테킨갈레이트 ((-)-Gallocatechin gallate[(-)-GCg]) 등의 8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항산화, 항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저해작용, 알코올 대사촉진, 항돌연변이, 항고혈압, 항균, 활성산소소거, 콜레스테롤 상승억제, 미백작용, 지질대사, 당뇨억제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녹차와 타국산 녹차의 차별화를 위한 특성 비교 및 기능성 제품개발, 건국대학교 대학원 농화학과 박사학위 논문, 장대자, 2004).
백모근 (Imperata cylindrica Beauvois)은 이명으로 띠, 모근 등으로 불리는 높이 20~100 ㎝에 이르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잎은 줄모양이다. 곧은 꽃대 끝에 은백색의 작은 꽃이 이삭처럼 피며 성분으로는 뿌리줄기에 트리테르폐노이드 (Triterpenoid)인 아룬도인 (Arundoin), 찔린두린 (Cylindrin), 아네모닌 (Anemonin), 스코폴린 ( Scopolin)이 있다. 그 작용으로 뿌리줄기의 달임약은 동물실험에서 오줌내기작용이 있다. 임상실험에서도 오줌내기작용이 밝혀졌으며 콩팥염, 붓기, 콩팥염으로 인한 고혈압을 치료하는데 부작용은 없다. 민간에서는 염증약으로 결막염, 눈물이 지나치게 나올 때, 잔고름집, 옴, 흰이슬, 임질, 귀앓이에 달임약을 만들어 먹거나 씻는다 (동양의학백화사전,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편, 학술편수관).
감초 (Glycyrrhizaeglabra L.)는 이명으로 국로, 곧은 감초, 민 감초라고도 부르며, 가을에 뿌리줄기와 뿌리를 캐어 줄기를 다듬고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을 사용하고, 성분으로서는 글리시리진 (Glycyrhizin, 글리시리진산의 칼륨염 또는 칼슘염)이 5~14 % (많은 것은 23 %), 글라브리딘 (Glabridin) 글라브리산 (Glabric acid)이 있다. 포도알균, 대장균, 적리균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양의학백화사전,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편, 학술편수관).
병꽃풀은 일명 연전초 (Glechoma hederacea L.), 적운초라고 부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옆으로 뻗는데 꽃이 진 다음 길게 자란다. 콩팥모양의 둥근 잎이 마주 붙는다. 이른 봄에 연한 가지색꽃이 핀다. 각지의 산기슭, 길섶, 들판에 자라며 씨로 번식을 한다. 성분으로는 전초에 탄닌질 (Tannin) 5.9~7.5 %, 많은 양의 콜린, 쓴맛물질, 아스코르빈산 (Ascorbic acid) 30~32 ㎎%, 카페익산 (Caffeic acid), 시나민산 (Cinnamic acid), 프마르산 (Fumaric acid), 페룰릭산 (Ferulic acid), 트리테르페노이드 (Triterpenoid), 우르솔릭산 (Ursolic acid) 0.3 %, 사포닌 (Saponin), 수지, 고무질, 카로틴 8.2 ㎎%, 정유 0.03~0.29 %가 있다. 그 작용으로 생즙, 달임약은 간염에 대하여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데 아마도 콜린 (Choline)과 메티오닌 (Methionine)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초달임물은 이담작용이 있고 간세포의 열물분비를 촉진시키며 담도괄약근의 운동을 항진시킨다. 달임물을 먹으면 오줌이 산성으로 되어 알칼리성결석을 녹이므로 신석증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 과학백화사전출판사편, 일월서각).
스테비아 (Stevia)는 지상 20~25 ㎝ 높이에서 베어내어 햇볕에서 빨리 건조시킨다. 여름에는 1~2일이면 건조되고 막대기로 두들겨서 줄기와 잎이 쉽게 분리되게 하며 비에 젖지 않게 해서 단맛이 유실되어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물이나 알코올에 잘 녹으며 내열성을 지니고 있고 독성이 없으므로, 샤베트, 츄잉껌, 청량음료, 약품 등의 감미료로 쓰인다. 스테비아의 효능은 스테비오사이드 (Stevioside)라고 하는 성분을 가지고 있어 설탕에 비해 무려 200~300배의 단맛을 내며 칼로리는 1 g당 4칼로리로 매우 낮아 당뇨병 환자나 다이어트를 요하는 현대인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다이옥신 (Dioxine) 등 체내 독소 제거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초액 분말은 나무로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를 액화시켜 채취한 뒤, 6개월 이상 숙성시켜 독성과 유해물질을 제거한 것을 말하며 옅은 붉은 색이 나고, 냄새가 강하다. 채취방법은 목재를 태우다가 황백색 연기가 나면 작은 통기구만 남기고 가마 입구를 폐쇄하며 연기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여 자연 냉각되어 떨어지면 그 액체를 수집한다. 숯가마 굴뚝의 온도가 85~120 ℃가 되었을 때가 가장 좋다. 채취한 목초액을 6개월 이상 숙성·분리 즉, 수용성과 유용성으로 분리되는데, 수용성의 액체를 목초액으로 사용한다. 약 100 ㎏의 나무에서 채취되는 양은 5 L정도로서 pH 3 전후의 산성을 띤다. 성분은 80~90 %가 물이며, 초산이 3 %이다. 그밖에 포름산, 지방산, 메탄올 등 200여 종에 이르는 소량의 미네랄을 포함하며 성분은 탄화법이나 원목의 종류, 가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난다. 목초액에 대한 활용예로는 정장제, 정로환 등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되며, 무좀,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다. 또한, 세포 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이 뛰어나 간 질환, 당뇨병, 알레르기질환, 숙취제거, 피로회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 과학백화사전출판사편, 일월서각).
키토산은 갑각류에 함유되어 있는 키틴을 인체에 흡수가 쉽도록 가공한 물질로서, 게나 가재, 새우 껍데기에 들어 있는 키틴을 탈 아세틸화하여 제조하며,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노폐해진 세포를 활성화하여 노화를 억제하고 면역력을 강화해주며 질병을 예방해주고, 생체의 자연적인 치유 능력을 활성화하는 기능과 함께 생체 리듬을 조절해준다 (キチン。キトサン 동양의학회).
따라서, 본 발명의 어성초, 포공용, 녹차, 백모근, 감초, 연전초, 스테비아, 목초액 및 키토산으로 구성되는 복합 천연 추출물 (DTC9)이 세포내에서 탁월한 니코틴 분해 효과를 가지며, 혈중 니코틴 잔류량 및 일산화탄소 (CO)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타르 독성에 대한 해독 기능 강화 효과를 보임으로써 흡연으로 인해 흡입되는 니코틴 및 타르 등을 포함하는 유독성분의 해독작용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연으로 인해 흡입되는 니코틴 및 타르 등을 포함하는 유독성분에 대하여 탁월한 해독작용 효과를 갖는 어성초, 포공용, 녹차, 백모근, 감초, 연전초, 스테비아, 목초액 및 키토산으로 구성되는 복합 천연 추출물 (DTC9)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성초, 포공용, 녹차, 백모근, 감초, 연전초, 스테비아, 목초액 및 키토산으로 구성되는 복합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흡연에 의한 체내 유독 성분인 니코틴 및 타르 해독을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 천연 추출물은, 상기 식물들의 분말을 각각 세척 및 거피한 후 세절하여, 10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 온도에서 약 1일 내지 30일, 바람직하게는 약 5일 내지 20일 동안 자연 건조하여 분말한 후, 분말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50배의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 저급알콜 또는 약 1:0.1 내지 1:10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1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의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과한 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1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에서 감압농축한 후 추출된 잔사를 진공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건조 분말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여과 잔사를 여과 잔사 중량의 약 1 내지 15배의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10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 저급알콜 또는 약 1:0.1 내지 1:10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로 2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 ℃의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5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법으로 가열, 추출한 다음 진공회전농축기로 1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에서 감압농축한 후 추출된 잔사를 진공동결건조기로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가용한 복합 천연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본 발명의 상기 천연 성분인 목초액은 시판용으로서 참나무 또는 소나무를 원료로 하여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온 연기를 액화하여 채취한 것을 포함하며, 키토산은 분자량 5 내지 20만, 바람직하게는 약 10만 정도의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천연 추출물 성분인 어성초 추출분말 25~30 중량 %, 포공용 추출분말 10~30 중량 %, 녹차 추출분말 5~25 중량 %, 백모근 추출분말 10~25 중량 %, 감초 추출분말 5~15 중량 %, 연전초 추출분말 5~15 중량 %, 스테비아 추출분말 1~5 중량 %의 혼합물에 목초액 분말 1~10 중량 %와 키토산 분말 1~10 중량 % 혼합물을 배합하여 본 발명의 니코틴 및 타르 해독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추출분말 대신에 생약 그 자체를 미세분말화 시킨 미세 생약 분말 형태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본 발명의 복합 천연 추출물은 세포내에서 탁월한 니코틴 분해 효과를 가지며, 랫트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 혈중 니코틴 잔류량 및 일산화탄소 (CO)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타르 독성에 대한 해독 기능 강화 효과를 보임으로써 흡연으로 인해 흡입되는 니코틴 및 타르 등을 포함하는 유독성분의 해독작용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어성초, 포공용, 녹차, 백모근, 감초, 연전초, 스테비아, 목초액 및 키토산으로 구성되는 복합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흡연에 의한 체내 유독 성분인 니코틴 해독을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의 각 성분은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복합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니코틴 및 타르 해독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01 내지 50 중량 %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액상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복합 천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천연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 천연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복합 천연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참고예, 그리고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그리고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어성초, 포공용, 녹차, 백모근, 감초, 연전초, 스테비아, 목초액 및 키토산 추출분말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어성초를 세척하여 20~25 ℃의 온도에서 5~10일 동안 자연건조 후 세절한 다음 분말화하였다. 건조분말 10 g에 60 % 에탄올 7배를 가하여 40 ℃에서 3시간 동안 환류 냉각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30~45 ℃에서 감압 (30~50 mmHg) 농축하여 추출된 잔사를 진공동결건조기로 건조함으로써 건조 분말 2.5~3.2 g의 분말을 얻었다. 또한, 여과 잔사를 다시 물 5배를 넣고 100 ℃에서 4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다음 70~100 ℃에서 감압 (30~50 mmHg) 농축하여 건조 분말 4.5~5.2 g의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어성초 외 나머지 6가지 생약제, 즉, 포공용, 녹차, 백모근, 감초, 연전초 및 스테비아 역시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목초액 분말은 도르가상사에서 구입한 것으로서 참나무 또는 소나무를 원료로 하여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를 액화시켜 채취한 뒤, 6개월 이상 숙성시켜 독성과 유해물질을 제거한 것을 사용하였다.
바이오테크 (주)에서 구입한 키토산 분말은 분자량 10만 정도의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니코틴 해독용 복합 천연 추출물 (DTC 9 )의 제조방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어성초 추출분말, 포공용 추출분말, 녹차 추출분말, 백모근 추출분말, 감초 추출분말, 연전초 추출분말 및 스테비아 추출물 그리고 목초액 분말 및 키토산 분말을 일정한 배합비, 어성초 추출분말 30 %, 포공용 추출분말 15 %, 녹차 추출분말 15 %, 백모근 추출분말 15 %, 감초 추출분말 5 %, 연전초 추출분말 5 %, 스테비아 추출분말 5 %, 목초액 분말 1 %, 키토산 분말 9 %로 혼합하여 체내 독소 제거 물질 (이하, DTC9 (Detoxy compound 9)이라 명명)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1.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은 6주령의 체중 250-260 g의 스프라그-다우리 (Sprague-Dawley)계 랫트 (샘다코, 경기도)를 사용하였고, 건국대학교 동물사육실에서 일정한 조건 (온도:21±2, 명암:12시간 명암주기)에서, 사료와 음수의 자유로운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실험시작 전까지 물과 먹이를 충분히 제공하며 실험시작 전에 실험동물을 10분 동안 사전취급 (Handling) 한다.
실험예 1. DTC 9 의 니코틴 분해 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DTC9의 니코틴 분해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Barlow R. D, Stone R. B., Clin. Chim. Acta., 165, pp45, 1987).
1 mM의 니코틴 200 ㎕에 동량의 DTC9를 넣고 혼합한 다음, 25 ℃에서 경시적으로 니코틴의 분해 생성물인 코티닌 양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수행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DTC9이 들어 있는 실험군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코티닌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DTC9의 니코틴 분해능이 매우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세포내에서의 DTC 9 의 니코틴 분해 효과
상기 실험예 1을 바탕으로 실제로 세포내에서 DTC9의 니코틴 분해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FLCFR5 세포주에 0.3 %의 DTC9을 넣고 40 ㎕의 1.5 M의 시안화칼륨 (KCN), 40 ㎕의 0.4 M의 클로라민 T (Chloramine T), 200 ㎕의 78 mM의 하비투릭 산 (Habituric acid)으로 이루어진 pH 4.7의 4 M의 소디움 아세테이트 완충액 (Sodium acetate buffer)을 100 ㎕ 넣고 10초간 혼합 후, 25 ℃에서 15분간 반응시킨 다음, 40 ㎕의 1 M의 메타중아황산나트륨 (Sodium metabisulphite)를 넣고 반응을 중지시킨 다음,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경시적으로 니코틴의 분해 생성물인 코티닌 양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수행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DTC9이 들어 있는 실험군은 시간이 경과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코티닌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세포내에서도 DTC9의 니코틴 분해능이 매우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혈중 니코틴 잔류량 및 치사 시간에 대한 DTC 9 의 효과
혈중 니코틴 잔류량 및 치사 시간에 대한 DTC9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Su Jung Lee, Keum Ryon Ze, J. Kor. Pharm, sci, 30, pp27, 2000).
6주형의 래트 (Rat) 15마리를 3그룹, 7일 동안 DTC9을 복용시킨 후, 1 mM의 니코틴 200 ㎕를 투여한 A군, 7일 동안 증류수를 복용시킨 다음, 1 mM의 니코틴 200 ㎕를 투여한 B군, 1 mM의 니코틴 200 ㎕를 투여한 뒤 DTC9을 복용한 C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수행 결과,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7일 동안 DTC9을 복용시킨 다음 니코틴을 투여한 A군은 혈중 니코틴의 잔류량이 매우 낮았고, 대부분 회복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DTC9의 니코틴 독성에 대한 해독 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 비 증 상시 간 활 동 항 진개 시 시 간 활 동 항 진종 료 시 간 사 망 시 간 혈중니코틴 농도 (μg/㎖)
A 1 28 초 2 분 20 초 5 분 47 초 회복 0.027
2 35 초 42 초 6 분 10 초 회복 0.029
3 40 초 28 초 2 분 50 초 회복 0.017
4 42 초 3 분 40 초 2 분 50 초 회복 0.032
5 34 초 3분 20 초 2 분 50 초 회복 0.015
B 1 21 초 32 분 56 초 1 분 33 초 12.765
2 32 초 43 분 1 분 15 초 1 분 40 초 12.437
3 28 초 37 분 1 분 20 초 1 분 50 초 12.468
4 27 초 57 분 1 분 30 초 1 분 57 초 12.786
5 21 초 52 분 1 분 50 초 2 분 10 초 12.376
C 1 33 초 2 분 50 초 4 분 30 초 6 분 20 초 4.786
2 28 초 2 분 50 초 4 분 40 초 7 분 25 초 4.254
3 27 초 2 분 42 초 4 분 37 초 6 분 40 초 4.376
4 21 초 2 분 30 초 5 분 5 초 6 분 30 초 4.254
5 30 초 2 분 40 초 4 분 15 초 6 분 54 초 4.757
실험예 4. 혈중 일산화탄소 (CO)농도에 대한 DTC 9 의 효과
혈중 CO농도에 미치는 DTC9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래트를 세군으로 나누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Benowitz, N. L. J. pharmacol. Exp. Thr., pp221-368(82)).
7일 동안 DTC9을 복용시킨 후, 1 mM의 니코틴 200 ㎕를 투여한 A군, 7일 동안 증류수를 복용시킨 다음, 1 mM의 니코틴 200 ㎕를 투여한 B군, 1 mM의 니코틴 200 ㎕를 투여한 뒤 DTC9을 복용한 C군에 O2 21 %와 CO 100 ppm 혼합기체를 펌프로 5분 동안 흡입시킨 후, 채혈하여 혈중 CO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 수행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DTC9을 7일 동안 공급한 군의 혈중 CO농도가 다른 군에 비해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타르독성에 대한 DTC 9 의 효과
타르독성에 대한 DTC9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Brunnemann, K.D. and Hoffiman D., Toxcol, 21, 235(91)).
상기 실험예 3과 같이 래트에 30 mg/kg/의 타르 10 ㎖을 복강 주사한 뒤 DTC9을 7일간 복용시킨 A군과 30 mg/kg/의 타르 10 ㎖을 복강 주사한 뒤 DTC9대신에 물을 복용시킨 B군으로 나누어 경시적으로 생존여부를 관찰하였다 .
본 실험 수행 결과, 하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DTC9을 투여한 군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거의 대부분 생존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DTC9은 타르성분에 대한 탁월한 해독기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A 1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2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3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사망 사망
4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5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B 1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사망 사망
2 생존 생존 사망 사망 사망 사망 사망
3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4 생존 생존 생존 사망 사망 사망 사망
5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사망 사망
실험예 6. 급성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 (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당 2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DTC9을 500 ㎎/㎏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DTC9은 랫트에서 각각 500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 (LD50)은 500 ㎎/㎏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의 복합 천연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DTC9 200 ㎎
유당 100 ㎎
전분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액제의 제조
DTC9 1000 ㎎
설탕 20 g
이성화당 20 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 ㎖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DTC9 30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g
락토오스 14.8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천연 추출물 (DTC9)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세포내에서 탁월한 니코틴 분해 효과를 가지며, 혈중 니코틴 잔류량 및 일산화탄소 (CO)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타르 독성에 대한 해독 기능 강화 효과를 가짐으로써 흡연에 의한 체내 유독성분인 니코틴 및 타르 해독용 의약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DTC9의 니코틴 분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니코틴의 분해 생성물인 코티닌의 양을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세포 내에서의 DTC9의 니코틴 분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FLCFR5 세포주에 DTC9을 처리한 후 니코틴의 분해 생성물인 코티닌의 양을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혈중 일산화탄소 (CO)농도에 대한 DTC9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7일 동안 DTC9을 복용시킨 후, 1 mM의 니코틴 200 ㎕를 투여한 A군, 7일 동안 증류수를 복용시킨 다음, 1 mM의 니코틴 200 ㎕를 투여한 B군, 1 mM의 니코틴 200 ㎕를 투여한 뒤 DTC9을 복용한 C군으로 나누어 실험한 후 혈중 CO의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Claims (3)

  1. 어성초, 포공용, 녹차, 백모근, 감초, 연전초, 스테비아, 목초액 및 키토산으로 구성되는 복합 천연 추출물 또는 그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흡연에 의한 체내 유독 성분인 니코틴 및 타르 해독을 위한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 성분인 어성초 추출분말 25~30 중량 %, 포공용 추출분말 10~30 중량 %, 녹차 추출분말 5~25 중량 %, 백모근 추출분말 10~25 중량 %, 감초 추출분말 5~15 중량 %, 연전초 추출분말 5~15 중량 %, 스테비아 추출분말 1~5 중량 %의 혼합물에 목초액 분말 1~10 중량 %와 키토산 분말 1~10 중량 % 혼합물을 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KR1020050007304A 2005-01-26 2005-01-26 니코틴 및 타르 해독을 위한 복합 천연 조성물 KR100494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304A KR100494223B1 (ko) 2005-01-26 2005-01-26 니코틴 및 타르 해독을 위한 복합 천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304A KR100494223B1 (ko) 2005-01-26 2005-01-26 니코틴 및 타르 해독을 위한 복합 천연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4223B1 true KR100494223B1 (ko) 2005-06-16

Family

ID=3730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304A KR100494223B1 (ko) 2005-01-26 2005-01-26 니코틴 및 타르 해독을 위한 복합 천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2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48A1 (ko) 2009-11-11 2011-05-19 Nam Jong Hyun 흡연 독성 해독용 조성물
KR102261122B1 (ko) 2020-07-14 2021-06-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케이120 혈중 니코틴 농도 감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48A1 (ko) 2009-11-11 2011-05-19 Nam Jong Hyun 흡연 독성 해독용 조성물
KR102261122B1 (ko) 2020-07-14 2021-06-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케이120 혈중 니코틴 농도 감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0956278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896453B1 (ko) 페라고늄 시도이데스 시럽
KR100494223B1 (ko) 니코틴 및 타르 해독을 위한 복합 천연 조성물
KR100823978B1 (ko) 인체내 축적된 유해성분 제거용 허브 추출물 및 그제조방법
Arika et al. Hypoglycemic effect of Ocimum lamiifolium in alloxan induced diabetic mice
WO2002066041A1 (en) Natural composition
KR20220078140A (ko) 호흡기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406158B1 (ko) 인체내의 유독 성분을 제거하는 생약 추출물 및 제조방법
KR101205446B1 (ko) 야관문 추출물
KR101987554B1 (ko) 새싹보리의 풋내와 누에가루 및 꾸지뽕의 불쾌취를 제거한 항산화 또는 혈당강하 활성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누에가루 및 꾸지뽕잎 혼합차 제조방법
KR101470603B1 (ko) 흡연시 발생하는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8042661B (zh) 富含二氢杨梅素的白茶提取物和制备医药健康产品的用途
KR20150088223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400368B1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310019B1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0390A (ko) 건조 상추,복령 및 로즈마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면 유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I650124B (zh) 穿心蓮有機溶劑萃取物之活性成分組成物於保護糖尿病患者肝臟功能之應用
CN115721685A (zh) 一种彼岸花的药物组合物和用途
KR100761552B1 (ko)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7172772B2 (en) Herbal composition for gastrointestinal disorders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agalakshmi et al. A Comparative Assessmen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nna auriculata Leaves and Flowers of the Natural and Polluted Sources
TWI797279B (zh) 球薑的花萃取物及其用途
KR102158671B1 (ko) 다래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