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263B1 - 경로안내시스템, 클라이언트단말, 서버, 경로안내방법 및경로일치 판정방법 - Google Patents

경로안내시스템, 클라이언트단말, 서버, 경로안내방법 및경로일치 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263B1
KR100492263B1 KR10-2002-0022711A KR20020022711A KR100492263B1 KR 100492263 B1 KR100492263 B1 KR 100492263B1 KR 20020022711 A KR20020022711 A KR 20020022711A KR 100492263 B1 KR100492263 B1 KR 100492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server
guide
point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928A (ko
Inventor
모리겐지
유리모토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3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08G1/13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the indicator being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정보센터(20)내의 서버(21)는 내비게이션유닛(10)의 클라이언트단말(10)로부터 송신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서버경로)를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한다. 한편, 클라이언트단말(10)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클라이언트경로)를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단말(10)은 서버경로와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데이터량이 작은 각 경로상의 안내지점 사이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여, 일치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고, 불일치의 부분에 대해서는 서버(21)로부터 서버경로에 대한 상세정보를 취득하여 이것을 이용하여 경로안내를 행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경로안내를 행함으로써, 서버(21)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10)에 송신되는 정보량을 저감한다.

Description

경로안내시스템, 클라이언트단말, 서버, 경로안내방법 및 경로일치 판정방법 {ROUTE NAVIGATION SYSTEM, CLIENT TERMINAL, SERVER, ROUTE NAVIGATION METHOD, AND ROUTE IDENTICALNESS DETERMINATION METHOD}
본 발명은 센터내의 서버와 클라이언트단말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의 이용자에 대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시스템, 클라이언트단말, 서버, 경로안내방법, 및 경로일치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 등에 탑재된 내비게이션장치 등의 경로안내장치(클라이언트단말)가 정보센터(서버)와 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이에 의하여 경로안내장치가 가지는 데이터를 보충하여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더욱 적정하게 행하는 경로안내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는 정보센터로부터 내비게이션장치에 송신되는 정보량(데이터량)이 커서 통신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개2000-18955호 공보에 개시된 시스템은,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의 정보센터는 이용자가 과거에 통과한 적이 없는 경로에 관한 정보만을 상기 경로안내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이용자가 과거에 통과한 적이 있는 경로에 관한 정보는 경로안내장치에 송신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송신 데이터량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정보센터는 경로안내장치가 상기 정보센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로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이용자가 과거에 통과한 적이 없는 경로이면 상기 정보를 상기 경로안내장치에 송신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경로안내장치(클라이언트단말)가 가지는 데이터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으로,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경로안내장치에 송신되는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는 경로안내시스템, 클라이언트단말, 서버, 경로안내방법, 및 경로일치판정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개요의 설명에 있어서, 서버 및 클라이언트단말을 구비한 경로안내시스템을 대표예로서 설명하고,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클라이언트단말, 및 상기 시스템의 실행하는 방법이나 경로일치판정방법에 관한 발명에 대한 설명은 경로안내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가지고 대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로서의 경로안내시스템은, 클라이언트단말의 이용자에 대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시스템으로서, 이하의 것으로 이루어진다.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안내지점과 함께 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또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클라이언트경로를 안내지점과 함께 구하는 클라이언트단말이다. 그리고,
상기 서버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적어도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판정하고, 또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은 상기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서버경로에 대한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경로를 구하는 서버와, 상기 비교판정된 서버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일체의 것일 필요는 없고,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물리적으로 다른 컴퓨터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상기 서버는 자기의 데이터베이스인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데이터)를 사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구한다. 이 서버경로에는 안내지점이 포함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단말은 자기의 데이터베이스인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클라이언트경로를 구한다. 이 클라이언트경로에도 안내지점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서버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이 행하는 비교판정에 의하여 상기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가 비교되어,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그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서버경로에 관한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에 관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가 선택적으로 이용되고, 이에 의하여 경로안내가 실행된다.
따라서 적어도 서버경로의 안내지점과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이 일치하여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경로에 관한 클라이언트단말측의 정보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대하여 송신되는 서버경로에 관한 데이터량(정보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적어도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중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중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 및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중의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중의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경로안내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의하면,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 및 각 퇴출측 안내지점에 인접하고 있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가 서버경로와 클라이언트경로에서 일치하고 있을 때,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한다고 판정되고,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가 이용되어 상기 경로안내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에 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대하여 송신되는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서버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과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및 상기 서버경로의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과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을 각각 비교함으로써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서버경로 결정수단에 의해 서버경로의 위에서 서로 인접하는 안내지점(A)(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 안내지점(B)(진입측 안내지점)을 향하는 경로가 얻어져 클라이언트경로 결정수단에 의해 클라이언트경로상에서 서로 인접하는 안내지점(a)(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 안내지점(b)(진입측 안내지점)을 향하는 경로가 얻어졌다고 한다. 이 때 안내지점(A)의 위치와 상기 안내지점(A)에 대응하는 안내지점(A)의 위치(위도, 경도 등에 의해 표시되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음)가 일치하고, 안내지점 (B)의 위치와 상기 안내지점(B)에 대응하는 안내지점(b)의 위치가 일치하였다 하여도, 양 안내지점내에 예를 들면 2개의 도로가 실재하는 경우에는 그 사이의 경로(도로)가 일치한다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지점(A)으로부터의 퇴출방향과 안내지점(a)으로부터의 퇴출방향이 일치하고, 또한 안내지점(B)으로의 진입방향과 안내지점(b)으로의 진입방향이 일치하는지를 다시 판정하도록 구성하면, 양 안내지점(A 내지 B) 사이의 경로와, 양 안내지점(A 내지 B)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음을 더욱 정밀도좋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안내지점(A 내지 B)의 서버경로와, 상기 안내지점 (a 내지 b)의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안내지점(a 내지 b)의 클라이언트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안내지점(A 내지 B)의 서버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하였을 때와 동일한 경로안내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내지점(A 내지 B)의 서버경로에 관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할 필요가 없어,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하는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의하면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가 서버경로와 클라이언트경로에서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때문에, 상기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더욱 정밀도 좋게 판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를 비교함으로써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도로의 종류에는 고속도로, 국도, 현도 등의 도로 종별과 국도 1호선, 국도 2호선 등의 동일도로 종별하에서의 도로의 속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반도로의 바로 위에 고속도로가 병설되어 있는 경우, 인접하는 안내지점의 위치, 상기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및 진입측 안내지점의 진입방향의 모두가 동일하다고 될 수 있으나, 안내해야 할 경로로서는 다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더욱 정밀도 좋게 판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으로서 상기 서버경로의 모든 안내지점과 불일치한 안내지점이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이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상의 안내지점과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과의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 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경로의 임의의 안내지점이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의 하나에 일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임의의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으로서 상기 서버경로의 모든 안내지점과 불일치한 안내지점이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상에 있어서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안내지점과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과의 사이의 경로 에 대해서는 서버경로의 상기 구간에 대응하는 경로와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이 구간에 대해서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되는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모든 안내지점과 불일치한 안내지점이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이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상기 서버경로상의 안내지점과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의하면 서버경로의 임의의 안내지점이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의 하나에 일치하고, 상기 서버경로의 임의의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모든 안내지점과 불일치한 안내지점이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서버경로상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안내지점과 상기 불일치의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구간에 대응하는 경로와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이 구간에 대해서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되는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하나로서의 경로안내시스템은 클라이언트단말의 이용자에 대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시스템으로서,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안내지점과 함께 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또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와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로부터 경로안내를 행하는 클라이언트단말을 가지고,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은 구해진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또한, 상기 취득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서 특정되는 인접하는 안내지점의 하나를 퇴출측 안내지점으로 하고, 다른 하나를 진입측 안내지점으로 하는 경로인 클라이언트경로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함과 동시에,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함 과 동시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에 대한 일부 또는 모든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한다.
이에 의하면 서버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구한다. 이 경로에는 안내지점이 포함되어 있다. 또 클라이언트단말은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취득함 과 동시에,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서 특정되는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인 클라이언트경로를 구하면 이 클라이언트경로를 구할 때에는 상기 안내지점의 하나가 퇴출측 안내지점이 되고, 상기 안내지점의 다른 하나가 진입측 안내지점이 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단말은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함과 동시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에 대한 일부 또는 전부의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한다. 이 취득하는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에 대한 일부 또는 모든 구간에 대한 정보는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에 필요한 최저한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충분하나,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구간 주변의 지도 데이터이어도 좋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타베이스내의 정보가 이용되어 그 부분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하는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클라이언트단말은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마다 클라이언트경로를 구하기 때문에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한꺼번에 구하는 경우에 비하여 서버경로와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의미에 있어서도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되는 정보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의 경로안내수단은 적어도 상기 안내지점간의 경로결정수단에 의해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에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이외의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의 거리와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상기 서버경로의 거리가 일치할 때,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한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에 대하여 구한 클라이언트경로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일치한다면,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상에 다른 중간 안내지점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에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는 일치하고 있을 개연성이 높다. 단, 상기 다른 중간안내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더라도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에 2개의 다른 도로가 실재하는 경우에는 그 사이의 경로(도로)가 일치한다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 한편, 경로(도로)가 다르면 그들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는 다를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상에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와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가 일치할 때,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한다고 판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버경로에 따른 경로안내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의 경로안내수단은 적어도 상기 안내지점간의 경로결정수단에 의해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에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이외의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의 거리와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상기 서버경로의 거리가 일치하고,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도로의 종류와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상기 서버경로의 도로의 종류가 일치할 때,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한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적합하다.
예를 들면 일반도로의 바로 위에 병설된 고속도로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경로(도로)가 다르더라도,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에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지 않아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의 거리와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상기 서버경로의 거리가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과 같이 도로의 종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항목에 더함으로써 경로의 다름을 더욱 확실하게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의 경로안내수단은 상기 안내지점간의 경로결정수단에 의해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에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과 상기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또는 상기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까지의 경로, 또는 상기 다른 중간지점으로부터 상기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까지의 경로가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까지의 경로, 또는 상기 다른 중간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까지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에 대하여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에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와 상기 서버경로는 다르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서버경로상에 존재하고,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까지의 경로, 또는 상기 다른 중간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까지의 경로가 서버경로상의 경로와 일치하면, 상기 구간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구간의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하지 않고, 나머지 구간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되는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서버와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클라이언트단말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의 이용자에 대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면서 실행하는 경로안내시스템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은 적어도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출발지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인 제 1 안내지점이 될 수 있는 지점을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제 1 안내 후보지점으로서 구하고,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하고, 상기 구한 서버경로에 포함되는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하고, 다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은 상기 구해진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한 제 1 안내 후보지점 중에 상기 수신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한다.
이에 의하면, 클라이언트단말은 적어도 출발지와 목적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출발지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인 제 1 안내지점이 될 수 있는 지점을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제 1 안내 후보지점으로서 구한다. 상기 출발지는 클라이언트단말에 있어서 이미 알고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단말은 이 제 1 안내 후보지점을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만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환언하면 클라이언트단말은 서버로부터 무엇인가의 정보를 취득하기 전 단계로부터 제 1 안내 후보지점을 구하는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경로를 구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데이터검색보다도 복잡하고 시간이 필요한 경로계산이라 불리우는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단말은 서버가 서버경로를 구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의 검색을 개시함으로써 상기 검색을 모두 종료하거나 또는 적어도 상기 검색의 일부를 종료할 수 있다.
또 클라이언트단말은 서버가 서버경로를 구한 후,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 중에 상기 취득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안내지점(서버경로의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단말은 서버경로의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제 1 안내 후보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지점(즉, 상기 일치한 제 1 안내 지점후보) 사이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경로의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단말은 서버가 서버경로를 구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의 검색을 개시함으로써,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제 1 안내 후보지점의 검색을 끝맺어 종료하거나, 또는 적어도 상기 검색의 일부를 종료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수신시점으로부터 단시간내에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에 대하여 이용해야 할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에 존재하는지,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는 경로안내가 요구되고 나서(즉, 출발하고 나서) 짧은 기간 내에 적어도 제 1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취득할 수있으므로,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경로안내를 행할 수 있다. 또 서버경로의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이 존재하여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을 때, 상기 구간의 정보가 송신되는 일이 없어, 결과적으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만이 통신되게 되기 때문에 통신되는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안내 후보지점 중에 서버경로의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의 위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제 1 안내 후보지점 중에 서버경로의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과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으로의 진입방향이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 상기 제 1 안내지점에 대한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퇴출방향과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에 대한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퇴출방향이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 상기 출발지와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와 상기 출발지와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 사이의 거리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 및 상기 출발지와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와 상기 출발지와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 중의 적어도 하나의 판정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들에 의하면 상기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의하여 제 1 안내지점과 각 안내 후보지점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정밀도 좋게 판정된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서버와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클라이언트단말과의 전에서 통신을 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의 이용자에 대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면서 실행하는 경로안내시스템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은 적어도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에 의거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하고, 상기 구한 서버경로에 포함되는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하고, 다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은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취득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안내지점 중의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목적지를 향하는 쪽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인 인접 안내지점이 될 수 있는 지점을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인접안내 후보지점으로서 구하고, 그리고 상기 구한 인접안내 후보지점 중에 상기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목적지를 향하는 쪽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으로서 상기 취득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인접 안내 후보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 사이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인접안내 후보지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과의 사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여 상기경로안내를 행한다.
이에 의하면, 클라이언트단말은 적어도 출발지와 목적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한다. 서버는 그 클라이언트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경로를 구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데이터검색보다도 복잡하여 시간을 요하는 경로계산이라 불리우는 처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구한 서버경로에 포함되는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한다.
한편, 클라이언트단말은 상기 구해진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수신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안내지점 중의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목적지를 향하는 쪽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인 인접 안내지점이 될 수 있는 지점을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인접안내 후보지점으로서 구한다. 이 처리는 데이터의 검색처리이므로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계산에 비해서도 단시간내에 종료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단말은 인접안내 후보지점 중에 상기 수신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측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단말은 계산부하가 커서 비교적 긴 시간을 요하는 경로계산을 행하는 일 없이 단순한 데이터검색를 행함으로써 이용해야 할 경로의 정보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경로안내를 신속 또한 적확한 타이밍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 의해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견지에서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경로안내시스템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전체구성을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경로안내시스템은 「경로융합알고리즘」이라 부르는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으로서, 각 차량에 탑재된 경로안내장치로서의 내비게이션유닛(10)과, 정보센터(20)내의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비게이션유닛(1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11)를 주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마이크로컴퓨터(11)는 서로 버스로 접속된 CPU(11A), POM (11B), RAM(11C),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1D)를 포함하고 있다. CPU(11A)는 ROM (11B)에 저장된 뒤에서 설명하는 프로그램(루틴)을 RAM(11C)의 데이터저장기능을 이용하면서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비게이션유닛 (10)은 클라이언트단말(10) 또는 이동단말(10)이라고도 불리우며, 컴퓨터(11)는 단지 클라이언트라고도 불리운다.
또 내비게이션유닛(10)은 상기 CPU(11A)에의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1D)에 접속된 GPS 장치(12), 지상파 통신장치(13), 표시장치(14), 음성장치(15), 외부 메모리(16) 및 조작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GPS 장치(12)는 도 1에 나타낸 GPS용 위성(31, 32, 33)으로부터의 GPS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2)와 접속되어 있어, 소정시간의 경과마다 상기 안테나(12A)를 거쳐 수신한 GPS 신호에 의해 자기의 차량이 존재하고 있는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차량위치(P)에 관한 데이터를 마이크로컴퓨터(11)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지상파 통신장치(13)는 지상파용 안테나(13A)와 접속되어 있어, 도 1에 나타내는 정보센터(2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11)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정보센터(20)에 소정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표시장치 (14)는 도시 생략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어 마이크로컴퓨터(11)의 지시신호에 따라 필요한 지도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음성장치(15)는 스피커(15A)와 접속되어 있어 마이크로컴퓨터(11)의 지시신호에 따라 필요한 음성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외부 메모리(16)는 하드디스크, MO 등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로서, 경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등을 마이크로컴퓨터(11)에 공급함과 동시에, CPU(11A)의 지시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17)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어 목적지(G)의 입력, 및 경로의 선택 등의 지시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차량의 내비게이션유닛(10)은 차량[내비게이션유닛(10)]의 이용자에 의해 목적지(G)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목적지(G)와 함께 그 차량을 특정하는 ID 코드(이하「차량 ID」라 함)와 상기 차량의 차량위치(P)를 정보센터(2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내비게이션유닛(10)은 경로안내를 실행할 때, 정보센터(20)와 뒤에서 설명하는 각종 데이터교환(정보의 통신)을 행하여 적절한 경로안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정보센터(20)에는 도 3에 나타낸 컴퓨터(2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컴퓨터 (21)는 서로 버스로 접속된 CPU(21A), ROM(21B), RAM(21C), 하드디스크(21D)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1e)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컴퓨터(21)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서버라고도 불리운다.
CPU(21A)는 ROM(21B) 또는 하드디스크(21D)에 저장된 뒤에서 설명하는 프로그램(루틴)을 RAM(21c)의 데이터저장기능을 이용하면서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CPU(21A)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1e)를 거쳐 지상파 통신장치(22), 유선통신장치(23) 및 데이터베이스(24)와 접속되어 있다.
지상파 통신장치(22)는 안테나(22A)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22A)를 거쳐 차량의 내비게이션유닛(1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터(21)에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컴퓨터(21)의 지시에 따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내비게이션유닛(1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유선통신장치(23)는 도시 생략한 기상정보센터 등의 다른 센터와 접속되어 있어, 이들 센터로부터의 정보를 컴퓨터(21)의 지시에 따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결과를 상기 컴퓨터(21)에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서버측 데이터베이스)(24)는 데이터의 판독/기록이 가능한 외부 기억장치로서, 최신 지도데이터, 최신 교통정보(광역) 등의 데이터를 축적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도정보에는 도로형상 및 주변의 점포나 건축물 정보를 비롯하여 경로계산(경로결정)을 위한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 경로계산을 위한 데이터에는 각 도로(X)에 대하여 부여된 도로번호(Rn), 각 도로(X)의 형상, 각 도로(X)의 양쪽 끝 지점을 나타내는 노드(nn), 상기 노드(nn)의 위치[위도(x), 경도(y), 고도 (z)], 각 도로(X)의 거리[인접하는 노드(nn) 사이의 거리](LX) 및 각 도로(X)의 종류(고속도로, 유료도로, 국도, 현도, 일반도로)와 도로(X)의 속성(고속도로이면 그 고속도로의 명칭, 국도이면 국도의 호선번호)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로의 종류에는 고속도로, 국도, 현도 등의 도로 종별과 국도 1호선, 국도 2호선 등의 동일 도로 종별하에서의 도로의 속성을 포함한다.
다음에 상기 경로안내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내비게이션유닛(10)의 컴퓨터(11), 즉 클라이언트는 차량의 이용자가 내비게이션유닛(10)에 대하여 목적지 (G)를 입력하면 도 4에 플로우차트로써 나타낸 클라이언트 실행루틴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정보센터(20)의 컴퓨터(21), 즉 서버는 소정시간의 경과마다 도 5에 플로우차트에 의해 나타낸 서버 실행루틴을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희망하여 상기 목적지(G)를 내비게이션유닛(10)에 입력하면 클라이언트는 단계(400)으로부터 처리를 개시하여 단계(405)로 진행하여, 그 차량을 특정하는 차량 ID, 현재위치인 출발지(P) 및 목적지 (G)를 서버에 송신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단계(410)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410)에서 출발지(P), 목적지(G) 및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16)내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출발지(P)로부터 상기 목적지(G)까지의 경로를 계산에 의해 결정한다(구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결정하는 경로를 클라이언트경로라 한다.
상기 경로의 계산(결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라이언트는 출발지 (P)에 가장 가까운 노드(nP)로부터 목적지(G)에 가장 가까운 노드(nG)까지의 경로를 예를 들면 합계거리가 작은 것으로부터 소정의 개수만큼 선택하여 각 경로에 대하여 지표값(Cost)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다.
여기서, Li는 도로(Ri)의 거리이고, f(Ri)는 도로(Ri)의 종류에 따라 정해져 있는 소정값이면 도로(Ri)의 종류란, 예를 들면 고속도로, 유료도로, 국도, 현도, 다른 일반도로 등의 도로의 종류이며, f(Ri)는 예를 들면 고속도로인 경우에 가장 작고, 이어서 유료도로, 국도, 현도, 다른 일반도로의 순으로 점차로 큰 값으로 되어 있다. 또 g{n(Ri, Rj)}는 도로(Ri)와 도로(Rj)가 연접하는 노드[n(Ri, Rj)]를 통과할 때의 운전부하(회전, 굴곡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소정값이다. 통과할 때의 운전부하란, 도로(Ri)로부터 도로(Rj)로 이행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진행방향의 변화이고, g{n(Ri, Rj)}는 그 운전의 곤란성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U턴에 대한 값이 가장 크고, 이어서 우회전, 좌회전, 직진 등의 순으로 점차로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예에 있어서는 지표값(Cost)은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계산되어 클라이언트는 이 지표값(Cost)이 가장 작은 경로를 클라이언트경로로서 결정한다. 또한 상기 경로결정방법은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6a는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되는 클라이언트경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안내지점은 C1 내지 C7이다. 안내지점이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도(1)로부터 국도(1)로, 또는 국도(2)로부터 유료도로로 라는 바와 같이 도로의 종류가 변화되는 경우의 노드(nA, nB), 또는 국도(1)로부터 국도(2)라는 바와 같이 도로의 종류가 동일하여도 도로속성(도로의 종류)가 변화되는 경우의 노드(nC) 등, 이용자에 대하여 안내를 행할 필요가 있는 노드(지점)의 것을 말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단계(415)로 진행하여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하지 않고 있으면 단계(415)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서버경로란, 서버가 서버측 데이터베이스(24)를 사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결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하는 경로의 것을 말한다.
한편, 서버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도 5의 단계(500)로부터 단계(505)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505)에서 차량 ID, 출발지(P) 및 목적지(G)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함과 동시에, 차량 ID, 출발지(P) 및 목적지(G)를 어느 차량으로부터도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 단계(505)에서 「No」라고 판정하고 단계(595)로 진행하여,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하는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목적지(G)를 클라이언트에게 입력함으로써, 차량 ID, 출발지(P), 및 목적지(G)가 서버에 송신되고, 서버가 이들을 수신하면 상기 서버는 단계 (505)로 진행하였을 때「Yes」라고 판정하고 단계(510)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 (510)에서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서버경로를 결정한다. 도 6b는 이와 같이 결정된 서버경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이 예에서는 안내지점은 S1 내지 S4이다. 이어서 서버는 단계(515)에서 상기 결정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를 단계(505)에서 수신한 차량 ID에 의해 특정되는 차량에 송신한다. 안내지점정보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지점인 노드(n)의 위치(POS)[위도(x), 경도(y), 고도(z)], 동일 노드(n)로의 진입방향(진입방위), 및 동일 노드(n)로부터의 퇴출방향 (퇴출방위)과, 도 7에 나타낸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거리(L)이다.
상기 단계(515)에서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가 송신되면 클라이언트는 단계(415)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단계(420)로 진행하여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정보와 송신되어 온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으로서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으로 되어 있는 안내지점을 특정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는 서버경로의 임의의 인접하는 안내지점과 클라이언트경로의 임의의 인접하는 안내지점에 대하여 각 안내지점[노드(n)]의 위치[POS(x, y, z)], 진입방향, 퇴출방향 및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L)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이들 모두가 일치할 때(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도 포함함), 그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은 대응하는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에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상기 경로에 대한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타베이스(16)의 정보]는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한다.
도 6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C1=S1[출발지(P)], C2=S2, C6=S3, C7=S4[목적지(G)]이므로, 클라이언트경로의 C1 내지 C2(및 C6 내지 C7)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가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된다(도 6c의 실선을 참조).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단계(425)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420)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의 끝부에 있는 안내지점[도 6의 예에서는 안내지점(C2, C6)]과, 상기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즉, 상기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C2, C6)]에 인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으로서 상기 서버경로의 모든 안내지점과 불일치한 안내지점으로, 도 6의 예에서는 안내지점(C3, C5)]의 안내지점정보를 서버에 송신한다.
한편 서버는 단계(520) 및 단계(525)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단계(515)의 실행으로부터 일정시간 이내에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의 안내지점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계(425)의 처리를 실행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의 안내지점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단계(520)에서「Yes」라고 판정하고 단계(530)로 진행하여 수신한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이 서버경로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위치에 대응하는 서버경로상의 노드를 검색하고, 또한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노드와 인접하는 퇴출측 안내지점 또는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까지의 거리와,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과 인접하는 퇴출측 안내지점 또는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까지의 거리가 일치할때,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이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이어서 서버는 단계(535)로 진행하여 그 검색·판정결과를 상기 차량 ID에서 특정되는 차량에 송신한다. 도 6의 예에 있어서는 서버경로상에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C3)과 일치하는 노드(S5)가 도 6c에 나타낸 서버경로상에 존재하고 있으나,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C5)과 일치하는 노드는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하고 있지 않으므로 서버는 그 취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는 도 4의 단계(480)에서 서버로부터의 판정결과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반복하여 판정하고 있다. 따라서 서버로부터 상기 판정결과가 송신되면 클라이언트는 단계(430)에서 「Yes」라고 판정하고 단계(435)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435)에서 수신한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를 확장(연장)한다. 즉, 상기 검색·판정결과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이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한다는 내용이면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상으로서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안내지점과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도록 결정한다. 이에 의하여 도 6의 예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경로 데이터 중 안내지점(C1 ~ C2 ∼ C3 및 C6 ∼ C7)이 경로안내를 위해 이용 가능한 데이터로서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단계(440)로 진행하여,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의 끝부의 안내지점(서버경로의 안내지점으로서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이 클라이언트경로상에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와 같은 안내지점이 클라이언트경로상에 존재하고 있다는 판정이 얻어지면 단계(445)로 진행하여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데이터경로를 상기 안내지점까지 확장한다. 또한 이 단계(440)에서의 판정방법은 앞서 설명한 단계(530)의 판정방법과 동일하다. 또 단계(440)에서「No」라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는 단계(450)로 직접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440, 445)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9에 나타낸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도 9a는 클라이언트경로, 도 9b는 서버경로이다. 이 예에서는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420)에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 중 안내지점(C11∼ C12 및 C13 ∼ C14)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425∼435)의 처리에 있어서는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의 끝부의 안내지점(C12, C13)에 인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은 C12, C13으로서, 클라이언트경로에 다른 안내지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 데이터는 연장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단계(440)에 의하면,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의 끝부의 안내지점(C12, C13)에 인접하는 서버경로의 안내지점(S13, S15)이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에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어, 안내지점 (S13)에 대응하는 안내지점(C15)이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16)내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 (16)내의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에 관한 정보로서 이용 가능한 정보]는 안내지점(C11∼ C12 ∼ C15 및 C13 ∼ C14)으로 확장(결정)된다.
이와 같이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가 확장된 후, 클라이언트는 단계(450)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450)에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는 부분의 서버경로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서버에 요구한다. 즉, 도 6의 예에서는 안내지점[S5(C3)∼S3(C6)]부분의 상세 데이터의 요구가 행하여지고, 도 9의 예에서는 안내지점[S13(C15)∼S14∼S15∼S16(C13)]부분의 상세 데이터의 요구가 이루어진다.
이 때 서버는 단계(540) 및 단계(545)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단계(535)의 실행으로부터 일정시간 이내에 클라이언트로부터 클라이언트경로를 이용할 수 없는 부분의 서버경로의 상세 데이터의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대하여 상기 서버경로의 상세 데이터의 요구를 행하면 서버는 단계(540)에서 「Yes」라고 판정하고 단계(550)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550)에서 요구된 상세 데이터를 차량 ID에서 특정되는 차량에 대하여 송신하고, 단계(595)로 진행하여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는 단계(455)에서 서버로부터 상세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상세 데이터가 송신되면 단계 (455)에서 「Yes」라고 판정하고 단계(460)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460)에서 수신한 데이터(정보)를 경로안내에 이용할 것을 결정한 후, 단계(495)로 진행하여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한다. 또한 단계(460) 다음에 단계(465)로 진행하여 뒤에서 설명하는 아펜드알고리즘루틴을 실행한 후에 단계(495)에서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경로를 서버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버경로로서 안내지점과 동시에 구하고,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경로로서 안내지점과 동시에 구한다. 그리고 경로안내를 행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상세정보에 대하여 매우 적은 데이터량의 경로의 안내지점정보만이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또는 그 반대로)송신되고, 이 안내지점정보에 의거하여 서버경로와 클라이언트경로의 일치가 판정되어 이들 경로 중 일치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상세정보를 보내는 일 없이,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사용한 경로안내가 실행된다. 따라서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송신되는 정보량(데이터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안내지점의 일치를 판정할 때, 안내지점의 위치,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및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이 비교되기 때문에, 대응하는 안내지점의 일치·불일치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단, 이들 모든 항목을 반드시 비교할 필요는 없고, 이들 일부의 항목을 선택하여 안내지점의 일치를 판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계(420)에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를 결정한 후에 단계(425) 내지 단계(445)를 실행하고 있었으나, 단계(420)의 실행 후에 즉시 단계(450)로 진행하여 서버에 상세 데이터를 요구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16)의 정보가 유효하게 활용되어,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서버로부터 통신에 의해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서버로부터의 통신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단계(515) 및 상기 단계(425)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수수되는 안내지점정보 등에 도로(X)의 종류 및 속성을 포함시켜, 상기 단계(420) 및 상기 단계(530)에서의 판정에 상기 도로(X)의 종류 및 속성의 일치, 불일치를 고려하여 경로의 일치에 대하여 판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일반도로의 바로 위에 고속도로가 병설되어 있는 경우, 인접하는 안내지점의 위치, 상기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및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의 모두가 동일하게 될 수 있으나, 안내해야 할 경로로서는 달라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및 속성)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더욱 정밀도 좋게 판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경로안내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로안내시스템은 하드웨어에 관한 한, 제 1 실시형태의 경로안내시스템과 동일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도 4의 단계(465)에 나타낸 「아펜드알고리즘」을 실행하여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으로, 제 1 실시형태의「경로융합알고리즘」을 보조하 도록 사용할 수도 있어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기 위하여 「경로융합 알고리즘」과는 독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아펜드알고리즘」을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도록 독립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클라이언트는 차량의 이용자가 목적지(G)를 클라이언트에 입력하면 도 10에 플로우차트로 나타낸 클라이언트 실행루틴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희망하여[상기 목적지(G)를 입력하면 클라이언트는 단계(1000)로부터 처리를 개시하여 단계(1005)로 진행하고, 그 차량을 특정하는 차량 ID, 현재위치인 출발지(P) 및 목적지(G)를 서버에 송신한다.
한편,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차량 ID, 현재위치인 출발지(P) 및 목적지 (G)를 수신하면 상기한 도 5의 단계(510) 및 단계(515)와 마찬가지로,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서버경로를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결정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는 단계(1010)에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어, 상기 안내지점정보를 수신하면 단계(1015)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1015)에서 수신한 서버경로의 최초의 2개의 안내지점(Ss 내지 Sg)[여기서는 출발지(P)가 Ss, 상기 출발지(P)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이 Sg에 상당함] 사이의 경로를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16)내의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한다. 안내지점 (Ss)은 차량의 진행상, 퇴출(탈출, 이탈)하는 안내지점이므로 퇴출측 안내지점 (Ss)이라 부르고, 안내지점(Sg)은 차량의 진행상, 진입하는 안내지점이므로 진입측 안내지점(Sg)이라 부른다. 또 상기 단계(1015)에서의 경로결정의 방법은, 상기 도 4의 단계(410)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및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이 일치하는 경로만이 선택된다. 환언하면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및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경로는 결정되는 경로로부터 제외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단계(1020)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1015)에서 결정한 클라이언트경로내에 다른 [서버경로의 2개의 안내지점(Ss, Sg)에 상당하는 안내지점과는 다름]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단계(1020)에서 「No」라고 판정하여 단계 (1025)로 진행하고, 상기 단계(1025)에서 클라이언트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Cs)과 진입측 안내지점(Cg) 사이의 거리(Lc)가 서버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Ss)과 진입측안내지점(Sg) 사이의 거리(Ls)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클라이언트경로의 거리(Lc)가 서버경로의 거리(Ls)와 동일한 경우, 클라이언트는 단계(1025)에서 「Yes」 라고 판정하여 단계(1030)로 진행하고, 상기 2개의 안내지점(Ss, Sg) 사이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CS, Cg) 사이의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결정하여 단계(1035)로 진행한다.
도 11은 상기 단계(1020) 및 상기 단계(1025)의 양 단계에서 「Yes」라고 판정되어 상기 단계(1030)로 진행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11a는 서버경로를, 도 11b는 클라이언트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SS 내지 Sg)에 대하여 클라이언트경로를 계산(결정)한 결과,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에 다른 중간 안내지점은 존재하지 않고, 또 클라이언트경로(Cs 내지 Cg)의 거리 (Lc)는 서버경로(Ss 내지 Sg)의 거리(Ls)와 동일하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도 11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서버경로의 2개의 안내지점(Ss 내지 Sg)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CS 내지 Cg)의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결정한다.
한편, 클라이언트경로내에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단계(1020)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단계(1040)로 진행하여 단계(1040)에서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서버경로상에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클라이언트는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의 안내지점정보(상기 중간 안내지점에 인접하고 있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까지의 거리, 또는 상기 중간 안내지점에 인접하고 있는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 및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까지의 거리를 포함함)를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안내지점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서버경로상에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환언하면,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과 상기 중간 안내지점에 인접하고 있는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 또는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과 상기 중간 안내지점에 인접하고 있는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서버경로상에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그 판정결과가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송신되어 온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서버경로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서버경로상에 존재하고 있으면, 클라이언트는 단계(1040)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단계(1045)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 (1045)에서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과 상기 중간 안내지점에 인접하고 있는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 또는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과 상기 중간 안내지점에 인접하고 있는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결정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단계(1050)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 (1050)에서 상기까지의 단계에 의해서도 클라이언트경로를 이용할 수 없는 부분의 서버경로의 상세 데이터를 서버에 요구하고, 서버는 이에 대하여 서버측 데이터베이스(24)내의 상기 상세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하고, 클라이언트는 상기 송신된 상세 데이터를 경로안내에 이용하는 것을 결정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상기 단계(1020, 1040, 1045, 1050)로 진행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2a는 서버경로를, 도 12b는 클라이언트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Ss 내지 Sg)에 대하여, 클라이언트경로를 계산(결정)한 결과,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에 다른 중간 안내지점(Ca, Cb)이 존재하고, 다른 중간 안내지점(Ca)은 서버경로상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Cs 내지 Ca)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경로안내에 이용하도록 결정하고, 나머지 경로의 안내지점(Ca 내지 Cg)에 대해서는 서버로부터 상세 데이터를 통신에 의해 수신하여 경로안내에 이용한다.
또한 도 13도 상기 단계(1020, 1040, 1045, 1050)로 진행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도 13a는 서버경로를, 도 13b는 클라이언트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Ss 내지 Sg)에 대하여 클라이언트경로를 계산(결정)한 결과,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에 다른 중간 안내지점(Cc, Cd)이 존재하고, 다른 중간 안내지점(Cd)이 서버경로상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Cd 내지 Cg)은 클라이언트경로의 데이터를 경로안내에 이용하 도록 결정하고, 나머지 경로의 안내지점(Cs 내지 Cd)에 대해서는 서버로부터 상세 데이터를 통신에 의해 수신하여 경로안내에 이용한다.
한편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서버경로상에 없으면, 클라이언트는 단계 (1040)에서 「No」라고 판정하여 단계(1055)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1055)에서 이 인접하는 2개의 안내지점 사이에 대해서는 서버경로의 상세 데이터를 서버에 요구하고, 서버는 이에 대하여 상기 상세 데이터를 송신하여 클라이언트는 상기 송신된 상세 데이터를 경로안내에 이용하는 것을 결정한다. 또한 단계(1055)에서 취득하는 상세 데이터는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를 따른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에 필요한 최저한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충분하나,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구간 주변의 지도 데이터이어도 좋다.
도 14는 상기 단계(1020, 1040, 1055)로 진행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도 14a는 서버경로를, 도 14b는 클라이언트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경로상에 다른 중간 안내지점(Ce, Cf)이 존재하고 있으나, 상기 안내지점(Ce, Cf)의 어느 것도 서버경로상에 존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서버경로의 안내지점(Ss 내지 Sg)의 모든 상세 데이터를 단계(1055)에서 요구 및 수신하여 이 상세 데이터를 경로안내에 이용하는 것을 결정한다.
한편, 상기 단계(1025)에서 「No」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는 단계 (1055)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1055)에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Ss 내지 Sg)의 모든 상세 데이터를 단계(1050)에서 요구 및 수신하여, 이 상세 데이터를 경로안내에 이용하는 것을 결정한다.
도 15는 상기 단계(1020, 1025, 1055)로 진행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도 15a는 서버경로를, 도 15b는 클라이언트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경로상에 다른 중간 안내지점은 존재하지 않으나, 클라이언트경로의 거리(Lc)와 서버경로의 거리(Ls)가 달라져 있다. 즉, 안내지점은 일치하고 있으나, 클라이언트경로와 서버경로는 전혀 다른 경로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경로의 데이터는 이용할 수 없으므로 클라이언트는 서버경로의 안내지점(SS 내지 Sg)의 모든 상세 데이터를 단계 (1050)에서 요구 및 수신하여 이 상세 데이터를 경로안내에 이용하는 것을 결정한다.
그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단계(1035)로 진행하여 서버경로에 다음 안내지점이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 환언하면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G)까지 클라이언트경로의 계산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다음 안내경로가 있는 경우, 단계(1035)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단계(1060)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1060)에서 앞서의 진입측 안내지점(Sg)을 이번의 퇴출측 안내지점(Ss)으로 함과 동시에, 서버경로의 다음의(인접하는) 안내지점을 이번의 진입측 안내지점(Sg)으로 하여 그 사이의 클라이언트경로를 계산하여 단계(1020)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은 처리가 반복되어 출발지(P)로부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별로 클라이언트경로를 계산하여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가 결정됨과 동시에,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서버로부터 상세정보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목적지(G)까지 클라이언트경로의 계산이 종료하여 필요한 정보의 입수를 종료하면 클라이언트는 단계(1035)에서 「No」라고 판정하여 단계(1095)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1095)에서 본 루틴을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서버경로를 구하고, 그 사이 서버경로상의 인접하는 안내지점별로 클라이언트경로를 계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와 서버경로와의 일치·불일치에 따라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가 결정됨과 동시에,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상세정보가 송신된다. 또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와 서버경로와의 일치·불일치는 데이터량이 작은 안내지점정보의 송수신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가 유효하게 이용되기 때문에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되는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클라이언트단말은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별로 클라이언트경로를 구하기 때문에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한꺼번에 구하는 경우에 비하여 서버경로와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의미에 있어서도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되는 정보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1015)에서 클라이언트경로가 계산될 때, 상기한 바와 같이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또는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경로는 제외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경로가 구해지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는 단계(1055)로 진행하여 그 안내지점 사이[퇴출측 안내지점(SS)으로부터 진입측 안내지점(Sg) 사이]의 모든 상세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취득한다. 또 이와 같이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또는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경로는 결정되는 경로로부터 제외되는 결과, 단계(1020) 및 단계(1025)에 더하여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및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이 클라이언트경로와 서버경로의 사이에서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필요가 없다.
또 단계(1020)에서 「No」 및 단계(1025)에서 「Yes」라고 판정된 경우에, 퇴출측 안내지점(SS)으로부터 진입측 안내지점(Sg) 사이의 서버경로의 종류(및/또는 속성)와, 퇴출측 안내지점(CS)으로부터 진입측 안내지점(Cg) 사이의 클라이언트경로의 도로의 종류(및/또는 속성)이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정하여, 도로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는 단계(1055)로 진행하여 서버경로의 모든 상세정보를 취득하 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경로안내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로안내시스템은 하드웨어에 관한 한, 제 1, 제 2 실시형태의 경로안내시스템과 동일구성을 구비하고, 이용자의 계산결과 대기시간(경로안내가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제 2 실시형태의「아펜드알고리즘」을 상기 제 2 실시형태와는 다른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작동의 개략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작동의 개략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클라이언트의 이용자가 경로안내의 개시를 희망하고, 시각(t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목적지(G)를 입력하면 상기 클라이언트는 그 직후의 시각(t1)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를 탑재한 차량의 차량 ID,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인 출발지(P) 및 입력된 목적지(G)를 특정하는 정보를 서버에 송신한다.
이들 정보를 시각(t2)에서 수신한 서버는,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서버경로를 상기한 제 1, 제 2 실시형태의 서버와 마찬가지로 계산하여 결정한다. 서버는 관련된 서버경로의 계산에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시각(t3)이 되면 서버는 결정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안내지점을 특정하는 정보, 「안내지점정보」라고도 부른다)를 도 5의 단계(515)와 마찬가지로 상기 차량 ID에 의해 특정되는 차량에 송신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되는 안내지점정보는 안내지점인 노드(n)의 위치(POS)[위도(x), 경도(y), 고도(z)], 상기 노드(n)로의 진입방향(진입방위), 상기 노드(n)로부터의 퇴출방향(퇴출방위) 및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거리 (L)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는 시각(t1)으로부터 시각을 t4까지의 사이에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에서 제 1 안내 후보지점에 해당하는 지점을 검색함과 동시에, 검색한 지점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이하, 「제 1 안내 후보지점 특정데이터」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수집하고, 수집한 각 데이터를 제 1 안내 후보지점[C1 (i)](i는 자연수)의 데이터로서 내장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를 행한다. 제 1 안내 후보지점이란, 출발지(P)(편의상, 「제 0 안내지점」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출발 후의 최초의 안내지점)인 제 1 안내지점이 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지점(노드)의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지점은「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에 이르는 경로에 포함되는 지점으로서, 도로 종별이 다른 도로로 변화하는 지점(예를 들면, 국도로부터 현도로 도로가 변화하는 지점), 도로 종별이 동일하여도 도로 속성이 변화하는 지점(예를 들면 국도 1호선으로부터 국도 2호선으로 도로가 변화하는 지점) 및 좌회전·우회전·유턴 등을 행하는 지점 등, 이용자에 대하여 안내를 행할 필요가 있는 지점」이다.
따라서 이 안내지점의 정의에 의거하면, 제 1 안내 후보지점은 차량이 출발지 (P)에 있어서 주행하고 있는 도로(상기 차량이 교차점상에 있으면, 그 교차점에서 교차하는 모든 도로)상에 있어서, 그 도로가 다른 도로와 교차하는 지점(분기되는 지점을 포함함) 또는 다른 도로와 교차하고 있지 않아도 도로 종별 또는 도로 속성이 변화하는 지점이다. 또 통계상 제 1 안내지점은 출발지(P)로부터 소정의 거리범위내에 존재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제 1 안내 후보지점은 상기 출발지(P)로부터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소정의 거리 이하인 지점에 한정된다.
도 17은 이와 같은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낸 예에서는 차량은 출발지(P)에 있을 때, 도로(X)와 도로 (Y)의 교차점상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지점의 정의로부터 제 1 안내 후보지점은 도로(X)상의 교차점(분기점)[C1(1) 내지 C1(8)] 및 도로(Y)상의 교차점 (분기점)[C1(9) 내지 C1(16)]이 된다.
한편 도 18은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에 대한 다른 측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낸 예에서는 차량은 출발지(P)에 있을 때, 도로(X2)와 도로 (Y2)의 교차점상에 존재하고 있다. 이 때 예를 들면 차량이 도로(X2)상의 한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 상기 차량은 적어도 제 1 안내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진행방향을 유지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 1 안내 후보지점은 도로(X2)상의 교차점(분기점)[C1(1) 내지 C1(4)]에 한정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상기한 생각에 의거하여 제 1 안내 후보지점을 검색하여 그 검색한 각 지점의 위치[위도(x), 경도(y), 고도(z)], 상기 각 지점으로의 진입방향, 출발지(P)로부터 상기 각 지점으로의 퇴출방향 및 출발지(P)로부터 상기 각 지점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각 데이터를 상기 각 제 1 안내 후보지점[C1(1), C1(2), ……C1(n)](n은 자연수)의 안내 후보지점 특정 데이터로서 내장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처리는 데이터검색과 데이터수집·데이터저장처리이므로, 복잡한 경로계산에 비하여 단시간내에 종료한다. 즉, 통상 클라이언트는 제 1 안내 후보지점의 검색·데이터수집·데이터저장처리를 서버가 경로계산을 종료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그 결과로서의 안내지점정보를 수신하는 시각(t4)까지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시각(t4)에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안내지점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제 1 안내지점과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 [C1(i)](i = 1 내지 n)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 결과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제 1 안내 후보지점[C1(1)]이 존재하는 경우, 출발지(P)로부터 상기 일치한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즉, 제 1 안내지점)까지는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결정한다. 또 클라이언트는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발지(P)로부터 제 1 안내지점까지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구간의 경로안내에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여 상기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클라이언트는 제(k-1) 안내지점(k는 2 이상의 정수)을 기준으로 하여 제 k 안내 후보지점[Ck(i)]을 출발지(P)(제 0 안내지점)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을 검색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검색하고, 그 데이터를 수집·저장한다. 그리고 제 k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제 k 안내 후보지점이 존재하면, 제(k-1)안내지점으로부터 제 k 안내지점(즉, 제 k 안내지점과 일치한 제 k 안내 후보지점)까지는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안내를 행하여 제 k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제 k 안내 후보지점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k-1)안내지점으로부터 제 k 안내지점까지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수신하여 그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안내를 행한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제 1 안내지점으로부터 목적지(G)까지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서버경로상의 인접하는 안내지점별로 클라이언트경로를 계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와 서버경로와의 일치·불일치에 따라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 데이터를 결정하여 클라이언트경로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서버로부터 상세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이 본 실시형태의 작동의 개요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서버가 서버경로를 계산하고, 클라이언트가 그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시간[도 16의 시각(t1 내지 t4)]에 상기 클라이언트는 제 1 안내 후보지점에 대한 검색·데이터수집·데이터저장을 행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를 수신한 후에 출발지 (P)로부터 제 1 안내지점까지의 비교적 긴 시간이 필요한 경로계산을 행할 필요가 없고,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제 1 안내 후보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즉시 판정할 수 있으므로 출발지(P)로부터 제 1 안내지점까지에 대하여 이용해야 할 정보를 즉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특히 출발 직후에 있어서 경로안내의 개시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제 3 실시형태의 더욱 구체적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라이언트는 도 19에 플로우차트로 나타낸 경로안내데이터 취득개시루틴을 소정시간의 경과마다 반복하여 실행하고 있다. 따라서 소정의 타이밍이 되면 클라이언트는 단계(1900)로부터 처리를 개시하여 단계(1905)에 진행하여 상기 단계(1905)에서 이용자가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희망하여 상기 목적지(G)를 새롭게 입력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 이용자가 목적지(G)를 입력하고 있지 않으면 클라이언트는 단계(1905)에서 「No」라고 판정하여 단계(1995)로 진행하여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한다. 즉 클라이언트는 소정시간의 경과마다 목적지(G)의 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함으로써 경로안내를 개시할 것인지의 여부를 모니터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희망하여 상기 목적지(G)를 입력하면[도 16의 시각(t0)을 참조], 클라이언트는 단계(1905)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단계(1910)로 진행하여, 그 차량을 특정하는 차량 ID, 현재위치인 출발지(P), 및 목적지(G)를 특정하는 정보를 서버경로요구신호로서 서버에 송신한다[도 16의 시각(t1)을 참조].
클라이언트는 이어서 단계(1915)로 진행하여 경로안내 개시 플래그(FST)의 값을「1」로 설정한 후, 단계(1995)에서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한다.
또한 이 경로안내 개시 플래그(FST)의 값은 도시 생략한 이그니션스위치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및 뒤에서 설명하는 제 1 안내 후보지점의 검색이 종료하였을 때 「O」으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서버는 도 5에 나타낸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동일한 부호를 부착한 도 20에 플로우차트에 의해 나타낸 서버실행루틴을 소정시간의 경과마다 반복하여 실행하고, 단계(505)에서 차량 ID, 출발지(P) 및 목적지(G)를 특정하는 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모니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목적지(G)를 클라이언트에게 입력함으로써 차량 ID, 출발지(P) 및 목적지(G)를 특정하는 정보가 서버에 송신되어 서버가 이들을 수신하면[도 16의 시각(t2)을 참조], 상기 서버는 서버경로결정수단으로서의 단계(510)로 진행하여 상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서버경로를 계산하여 결정하고, 안내지점정보 송신수단으로서의 단계(515)에서 상기 결정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안내지점정보)를 단계(505)에서 수신한 차량 ID에 의해 특정되는 차량에 송신한다[도 16의 시각(t3)을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이 단계(510)의 처리에는 소정의 시간[도 16의 시각(t2) 내지 시각(t3)의 시간을 참조]이 필요하다.
다른 한편 클라이언트는 도 21에 플로우차트로 나타낸 데이터수신판정루틴을 무엇인가의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무엇인가의 신호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는 단계(2100)로부터 처리를 개시하여 단계(2105)로 진행하여 수신한 신호가 상기 서버경로 요구신호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송신된 새로운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수신한 정보가 상기안내지점정보인 것을 확인하면, 상기 수신한 정보를 안내지점정보로서 내장메모리내에 저장한다. 또한 이 때 클라이언트는 제 i 안내지점정보를 S(i)로서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2110)로 진행하여 수신완료 플래그(FRCV)의 값을「1」로 설정하고, 그 후 단계(2195)로 진행하여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한다. 또한 수신완료 플래그(FRCV)의 값은 도시 생략한 이그니션키가 「off」상태로부터 「on」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및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경로안내가 종료하였을 때, 「O」으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 한편 클라이언트는 수신한 신호가 상기 안내지점정보가 아니면 단계 (2105)로부터 단계(2195)로 직접 진행하여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한다.
따라서 현시점이 차량 ID, 출발지(P) 및 목적지(G)를 특정하는 정보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에 송신된 시점[도 16의 시각(t2)을 참조]의 직후라고 하면, 서버는 상기한 단계(510)를 실행하고 있는 한창 중이고, 그 결과인 안내지점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클라이언트는 상기한 단계(2105)와 단계(2195)를 반복하여 실행하게 되기 때문에 수신완료 플래그(FRCV)의 값은「0」으로 유지된다.
또 클라이언트는 도 22의 제 1 안내 후보지점 검색루틴을 소정시간의 경과마다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소정의 타이밍마다 단계 (2200)로부터 단계(2205)로 진행하여 경로안내 개시 플래그(FST)의 값이「1」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경로안내 개시 플래그(FST)의 값이「1」이 아니면, 단계 (2295)로 직접 진행하여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하고 있다.
지금, 이용자가 목적지(G)를 클라이언트에게 입력한 시점[도 16의 시각(t0)을 참조]의 직후라고 하면, 경로안내 개시 플래그(FST)의 값은 상기 도 19의 단계 (1915)에 의해 「1」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단계(2205)를 실행할때, 상기 단계(2205)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단계(2210)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 (2210)에서 변수「i」의 값을「1」로 설정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단계(2215)로 진행하여 제 0 안내지점[즉, 출발지(P)]에 대한 제 1 안내 후보지점[C1(i)](= C1 (1))의 검색을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내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행하고, 상기 지점 [C1(1)]의 위치[위도(x), 경도(y), 고도(z)], 상기 지점으로의 진입방향, 출발지 (P)로부터 상기 지점으로의 퇴출방향 및 출발지(P)로부터 상기 지점까지의 거리에 관한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C1(1)에 관한 제 1 안내 후보지점 특정정보(데이터)로서 클라이언트의 내장메모리내에 저장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단계(2220)로 진행하여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에 대한 검색·데이터수집·데이터저장을 끝맺고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현 시점에서는 첫번째인 (i = 1) 제 1 안내 후보지점[C1(1)]을 검색한 직후로서, 통상의 경우, 복수의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단계(2220)에서 「No」라고 판정하여 단계(2225)로 진행하여 변수「i」의 값을「1」만 증대한 후, 상기 단계(2215)로 되돌아가, 다음의 제 1 안내 후보지점[C1(2)]에 대한 검색·데이터수집·데이터저장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클라이언트는 모든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의 검색을 완료하면 단계(2220)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단계(2230)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 (2230)에서 그 시점의 변수「i」의 값을 기억은 i1로 저장한다. 그 후 클라이언트는 단계(2235)로 진행하여 상기 경로안내 개시 플래그(FST)의 값을「0」으로 설정하고, 계속되는 단계(2240)에서 제 1 안내 후보지점의 검색이 종료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검색종료 플래그(FEND)의 값을「1」로 설정하고 단계(2295)에서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한다. 또한 상기 검색종료 플래그(FEND)의 값은 도시 생략한 이그니션스위치가 「오프」상태로부터「온」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및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경로안내가 종료하였을 때 「O」으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하여 제 1 안내 후보지점[C1(i)](i=1 내지 i1)의 안내 후보지점 특정데이터가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되어 클라이언트의 내장메모리내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처리는 검색(데이터수집)을 주된 처리로 하고 있어 경로계산과 같은 복잡한 계산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서버가 서버경로의 계산을 종료하기 전에 종료한다.
또 클라이언트는 도 23에 나타낸 이용 데이터취득·결정루틴을 소정시간의 경과마다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클라이언트는 소정시간의 경과마다 단계(2300)로부터 단계(2305)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완료 플래그(FRCV)의 값이 「1」인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수신완료 플래그(FRCV)의 값이「0」일 때에 상기 단계 (2305)에서 「No」라고 판정하여 단계(2395)로 직접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수신완료 플래그(FRCV)의 값이 「1」일 때 클라이언트는 단계(2305)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단계(2310)로 진행하여 검색종료 플래그(FEND)의 값이「1」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검색종료 플래그(FEND)의 값이「0」일 때 상기 단계(2310)에서「No」 라고 판정하여 단계(2395)로 직접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환언하면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송신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완료 플래그(FRCV)를 상기 도 21의 단계(2110)에서 「1」로 설정하고, 또한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의 검색을 종료하여 검색종료 플래그(FEND)의 값을 상기 도 22의 단계(2240)에서 「1」로 설정하였을 때에만 상기 단계(2305, 2310)를 경유하여 단계(2315) 및 상기 단계(2315)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지금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송신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를 수신하고 있고, 또한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의 검색을 종료하고 있다고 설명을 계속하면 상기 클라이언트는 단계(2300 내지 2310)를 경유하여 단계(2315)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2315)에서 변수(k)의 값을 「1」로 설정하고, 계속되는 단계(2320)에서 수신한 서버경로의 제 k 안내지점[S(k)]과 일치하는 제 k 안내 후보지점[Ck(i)](i= 1 내지 i1)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변수(k)의 값은 「1」이므로 클라이언트는 제 1 안내 후보지점[C1(i)](i= 1 내지 i1) 중에 제 1 안내지점[S(1)]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 k 안내지점[S(k)]과 제 k 안내 후보지점[Ck(i)]은 이하의 (1) 내지 (4)가 모두 성립하였을 때에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다.
(1) 제 k 안내지점[S(k)]과 제 k 안내 후보지점[Ck(i)]의 위치(위도, 경도, 고도)가 일치한다.
(2) 제(k-1) 안내지점[S(k-1)으로부터 제 k 안내지점[S(k)]을 향할 때의 상기 제(k-1) 안내지점[S(k-1)]에서의 퇴출방향과, 제(k-1) 안내지점[S(k-1)]으로부터 제 k 안내 후보지점[Ck(i)]으로 향할 때의 상기 제(k-1) 안내지점[S(k-1)]에서의 퇴출방향이 일치한다.
(3) 제(k-1) 안내지점[S(k-1)]으로부터 제 k 안내지점[S(k)]으로 진입할 때의 진입방향과, 제(k-1) 안내지점[S(k-1)]으로부터 제 k 안내 후보지점[Ck(i)]으로 진입할 때의 진입방향이 일치한다.
(4) 제(k-1) 안내지점[S(k-1)]으로부터 제 k 안내지점[S(k)]까지의 거리와, 제(k-1) 안내지점[S(k-1)]으로부터 제 k 안내 후보지점[Ck(i)]까지의 거리가 일치한다.
또한, 제 k 안내지점[S(k)]과 제 k 안내 후보지점[Ck(i)]이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하기 위한 다른 조건으로서, 「(5) 제(k-1) 안내지점[S(k-1)]으로부터 제 k 안내지점[S(k)]까지의 도로 종별 및 도로 속성(도로의 종류)과, 제(k-1) 안내지점 [S(k-1)]으로부터 제 k 안내 후보지점[Ck(i)]까지의 도로 종별 및 도로 속성(도로의 합류)이 각각 일치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 제 k 안내지점[S(k)]과 제 k 안내 후보지점[Ck(i)]이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1)의 조건을 필수로 하고, 이에 대하여 상기 (2) 내지 (5)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2개 이상의 조건을 조합한 조건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k 안내 후보지점[Ck(i)](i= 1 내지 i1) 중에 제 k 안내지점[S(k)] 과 일치하는 지점[Ck(m)]이 존재하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단계(2325)로 진행하여 제(k-1) 안내지점[S(k-1)]으로부터 제 k 안내지점[S(k)]{즉, 지점[Ck(m)}까지는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의 상세정보를 경로안내에 이용하는 것을 결정하고, 그 구간에 대해서는 이 상세정보에 따라 경로안내를 행한다. 즉, 이 경우 변수(k)의 값은「1」이므로, 제 0 안내지점[출발지(P)]부터 제 1 안내지점[S(1)]과 일치한 제 1 안내 후보지점[C1(m)]까지는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의 상세정보를 경로안내에 이용한다.
또 제 k 안내 후보지점[Ck(i)](i= 1 내지 i1) 중에 제 k 안내지점[S(k)]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단계(2320)로부터 단계(2330)로 진행하여, 제(k-1) 안내지점[S(k-1)]으로부터 제 k 안내지점[S(k)]까지에 대해서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의 상세정보를 경로안내에 이용하는 것을 결정하고, 그 구간에 대한 상세정보를 서버에 대하여 요구하고, 이에 응답하여 서버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세정보에 따라 경로안내를 행한다. 즉, 이 경우 변수(k)의 값은 「1」이므로, 제 O 안내지점[출발지(P)]으로부터 제 1 안내지점[S(1)]까지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의 상세정보를 경로안내에 이용한다.
클라이언트는 단계(2325) 또는 단계(2330)의 처리를 실행하면, 단계(2335)로 진행하여 서버경로에 다음 안내지점인 제(k + 1) 안내지점[S(k+1)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현 시점은 제 1 안내지점까지에 대하여 이용해야 할 데이터를 결정한 후로서, 통상은 안내지점은 복수지점 존재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단계(2335)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단계(2340)로 진행하여 변수(k)의 값을「1」만큼 증대하고, 계속되는 단계(2345)에서 변수(i)의 값을 다시 「1」로 설정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단계(2350)로 진행하여 상기한 단계(2215)와 마찬가지로 제(k-1) 안내지점에 대한 제 k 안내 후보지점[Ck(i)](즉, 제(k-1) 안내지점으로부터 목적지(G)측을 향하는 측에 인접하는 인접안내 후보지점)을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내에서 검색하고, 그 제 k 안내 후보지점 특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내장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변수(k)의 값은「2」이므로, 제 2 안내 후보지점[C2(i)]의 검색·데이터수집·데이터저장을 행하게 된다.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단계(2355)로 진행하여 제 k 안내 후보지점[Ck(i)]의 검색을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검색이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단계(2360)에서 변수(i)의 값을 「1」만큼 증대하여 단계(2350)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제 k 안내 후보지점[Ck(i)]의 검색이 종료하면, 클라이언트는 단계(2355)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단계(2365)로 진행하여, 기억값(i1)에 그 시점의 변수(i)의 값을 저장한 후, 다시 단계(2320)로 되돌아가, 상기 단계(2320)의 결과에 따라 단계(2325) 또는 단계(2330)를 실행함으로써 제(k-1) 안내지점[S(k-1)]으로부터 제 k 안내지점 [S(k)]까지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상세정보를 이용할지 또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상세정보를 이용할지를 결정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서버에 상기 구간의 상세정보를 요구하여 상기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상기 구간의 상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서버는 도 20에 나타낸 단계(2005) 내지 단계(2015)를 실행함으로써,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상세정보를 송신한다. 즉, 서버는 단계(515)의 실행 후,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클라이언트로부터 소정의 안내지점 사이의 상세정보의 요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단계(2005), 단계(2015)], 상기 요구가 있으면 단계(2010)에서 상기 요구에 따른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상세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이상의 처리가 반복됨으로써, 목적지(G)까지의 이용 데이터의 취득이 완료하면 클라이언트는 단계(2335)에서 「No」라고 판정하여 단계(2370)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2370)에서 수신완료 플래그(FRCV)의 값을 「0」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계속되는 단계(2375)에서 검색종료 플래그(FEND)의 값을 「0」으로 설정하고, 단계(2395)에서 본 루틴을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서버가 서버경로를 계산하고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는 제 1 안내 후보지점의 검색·데이터수집·데이터저장을 행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 출발지(P)로부터 제 1 안내 후보지점까지의 경로검색을 행할 필요가 없고, 상기 구간에 대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내에 있는지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에 있는지를 즉시 판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출발지(P)로부터 제 1 안내지점까지의 경로안내를 단시간내에 개시할 수 있다.
또 클라이언트는 제 1 안내지점만이 아니라, 제 2, 제 3, …제 n 안내지점에 대해서도 클라이언트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검색·수집함으로써 대응하는 안내 후보지점을 특정하여 서버경로의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안내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결정하여 간다. 그 결과, 클라이언트는 시간이 필요한 경로계산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시간내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버로부터 안내지점정보를 취득하기 전의 시점에서 검색하는 대상이 제 1 안내 후보지점뿐이었으나, 상기 시점까지 제 1 안내 후보지점의 검색이 종료한 경우에는 다시 각 제 1 안내 후보지점에 대한 제 2 안내 후보지점, 제 2 안내 후보지점에 대한 제 3 안내 후보지점 등을 순차 미리 검색하여 둘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각 실시형태에 의하면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서버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가 일치하는 부분을 데이터량이 작은 안내지점정보(의 송수신)에 의거하여 검출하여 일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경로안내에 유효하게 이용하기 때문에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단말에 송신되는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예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내지점의 일치·불일치를 위치, 거리, 퇴출·진입방향 등의 각 항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정하고 있었으나, 이 경우 각 항목의 값이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허용차이내이면 양 지점은 일치한다고 판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버경로와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는 안내지점의 위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 진입 또는 퇴출방향,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 등의 항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의거하여 판정되고 있으나, 이들 항목의 임의의 1개 이상의 항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예를 들면, 위치만, 위치와 진입·퇴출방향, 위치와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 위치와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 또는 위치와 진입·퇴출방향과 도로의 종류 등의 각 조합항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 에 의거하여 판정하여도 좋다.
또 클라이언트단말 데이터베이스[외부메모리(16)]에 하드디스크와 같은 개서 가능한 메모리를 이용한 경우, 센터로부터 송신되어 온 경로를 그 데이터베이스에 기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다음번에 동일한 검색이 행하여졌을 때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센터측의 송신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클라이언트단말 데이터베이스[외부 데이터베이스(16)]에 하드디스크와 같은 개서 가능한 메모리를 이용한 경우, 센터로부터 송신되어 온 경로를 그 데이터베이스에 기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다음번에 동일한 검색이 행하여졌을 때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센터측의 송신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예 및 동등한 형태를 망라하도록 의도되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예시적인 다양한 조합들 및 구성들로 도시하였으나, 여러 또는 단일 요소만을 포함하는 조합들 및 구성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내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경로안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내비게이션유닛(클라이언트단말)의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정보센터내의 컴퓨터(서버)의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클라이언트가 실행하는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서버가 실행하는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a 내지 도 6d에 있어서 a는 클라이언트경로, b는 서버경로, c는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와 나머지 서버경로, d는 확장된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와 송수신된 서버경로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안내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안내지점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9a 내지 도 9d에 있어서, a는 클라이언트경로, b는 서버경로, c는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와 나머지 서버경로, d는 확장된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와 송수신된 서버경로를 나타내는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경로안내시스템의 클라이언트가 실행하는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a 내지 도 11c에 있어서, a는 서버경로, b는 클라이언트경로, c는 이용 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를 나타내는 도,
도 12a 내지 도 12c에 있어서, a는 서버경로, b는 클라이언트경로, c는 이용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와 나머지 송수신된 서버경로를 나타내는 도,
도 13a 내지 도 13c에 있어서, a는 서버경로, b는 클라이언트경로, c는 이용가능한 클라이언트경로와 나머지 송수신된 서버경로를 나타내는 도,
도 14a 내지 도 14c에 있어서, a는 서버경로, b는 클라이언트경로, c는 송수신된 서버경로를 나타내는 도,
도 15a 내지 도 15c에 있어서, a는 서버경로, b는 클라이언트경로, c는 송수신된 서버경로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타임시리즈방식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예시하는 도,
도 17은 제 1 안내 후보지점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18은 제 1 안내 후보지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19는 경로네비게이션 데이터획득개시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서버동작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데이터수신결정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2는 제 1 안내 후보지점 검색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3은 사용될 데이터획득결정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34)

  1. 센터(20)내의 서버(21)와 클라이언트단말(1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의 이용자에 대하여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21)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출발지(P)로부터 상기 목적지(G)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안내지점과 함께 구하는 서버경로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은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출발지(P)로부터 상기 목적지(G)까지의 경로인 클라이언트경로를 안내지점과 함께 구하는 클라이언트경로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21)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적어도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판정된 비교판정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은 상기 비교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서버경로에 대한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적어도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중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중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 및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중의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중의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판정하고,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서버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과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및 상기 서버경로의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과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을 다시 각각 비교함으로써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를 다시 비교함으로써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를 다시 비교함으로써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을 제외한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 중, 상기 서버경로의 모든 안내지점과 불일치한 클라이언경로의 안내지점이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이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상의 안내지점과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과의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정수단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을 제외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 중,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모든 안내지점과 불일치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이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이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상기 서버경로상의 안내지점과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과의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8. 센서(20)내의 서버(21)와 클라이언트단말(1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의 이용자에 대하여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21)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출발지(P)로부터 상기 목적지(G)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안내지점과 함께 구하는 서버경로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은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구해진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21)로부터 취득함 과 동시에, 상기 취득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로서 특정되는 인접하는 안내지점의 하나를 퇴출측 안내지점으로 하고, 다른 하나를 진입측 안내지점으로 하는 경로인 클라이언트경로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하는 안내지점간의 경로결정수단과,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함과 동시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에 대한 일부 또는 모든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21)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의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적어도 상기 안내지점간의 경로결정수단에 의해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에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이외의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의 거리와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상기 서버경로의 거리가 일치할 때,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한다고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의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적어도 상기 안내지점간의 경로결정수단에 의해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에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이외의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의 거리와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상기 서버경로의 거리가 일치하고,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도로의 종류와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상기 서버경로의 도로의 종류가 일치할 때,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한다고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의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상기 안내지점간의 경로결정수단에 의해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에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과 상기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또는 상기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21)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버(21)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까지의 경로, 또는 상기 다른 중간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까지의 경로가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고, 이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까지의 경로 또는 상기 다른 중간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퇴출측안내지점까지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12.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안내지점과 함께 구하는 서버경로결정수단을 포함한 서버와 통신을 행하여 이용자에 대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클라이언트단말(1O)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은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출발지(P)로부터 상기 목적지(G)까지의 경로인 클라이언트경로를 구하는 클라이언트경로결정수단과;
    적어도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판정되는,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의 일치 또는 불일치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서버경로에 대한 상기 서버측 데이타베이스내의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타베이스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 및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부분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다시 상기 서버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과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및 상기 서버경로의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과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을 각각 비교함으로써,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부분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다시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부분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다시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부분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17.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을 제외한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 중, 상기 서버경로의 모든 안내지점과 불일치한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이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할 때,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상에 있어서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안내지점과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18.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을 제외한서버경로의 안내지점 중,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모든 안내지점과 불일치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이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상에 존재할 때,
    상기 서버경로상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에 일치하는 안내지점과 상기 불일치한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19.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인 서버경로를 구하는 서버경로결정수단을 포함한 서버와 통신을 행하여 이용자에 대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클라이언트단말 (10)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구해진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21)로부터 취득함 과 동시에, 상기 취득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로 특정되는 인접하는 안내지점의 하나를 퇴출측 안내지점으로 하고, 다른 하나를 진입측 안내지점으로 하는 경로인 클라이언트경로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하는 안내지점간의 경로결정수단과;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함 과 동시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에 대한 일부 또는 모든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21)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적어도 상기 안내지점간의 경로결정수단에 의해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에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이외의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의 거리와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상기 서버경로의 거리가 일치할 때,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한다고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다시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도로의 종류와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상기 서버경로의 도로의 종류가 일치할 때, 상기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서버경로와 상기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가 일치한다고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22.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상기 안내지점간의 경로결정수단에 의해 구해진 클라이언트경로에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과 상기 다른 중간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진입측 안내지점까지의 경로, 또는 상기 다른 중간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중간지점에 인접하는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까지의 경로가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할 때, 상기 서버경로상에 존재하는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23. 클라이언트단말측의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단말(10)의 이용자의 출발지(P)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경로인 클라이언트경로를 안내지점과 함께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클라이언트경로에 대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와, 수신한 다른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과 통신을 행하는 서버(21)에 있어서,
    상기 서버(21)는 서버측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출발지(P)로부터 상기 목적지(G)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안내지점과 함께 구하는 서버경로결정수단과;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의 비교에 의거하여 상기 서버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4.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서버(21)와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클라이언트단말(1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의 이용자에 대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해지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와,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해지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클라이언트경로의 인접하는 안내지점 사이의 경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적어도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안내지점의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판정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서버경로에 대한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방법.
  25.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서버(21)가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한 안내지점을 포함하는 서버경로데이터와,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클라이언트단말(10)이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한 안내지점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경로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된 경로일치판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 및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양 경로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일치판정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 상기 서버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과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으로부터의 퇴출방향,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 및 상기 서버경로의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과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진입측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이 각각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양 경로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일치판정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 및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가 각각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양 경로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일치판정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퇴출측 안내지점의 위치,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안내지점에 인접하는 진입측 안내지점의 위치 및 상기 서버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와 상기 클라이언트경로의 상기 퇴출측 및 상기 진입측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가 각각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양 경로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일치판정방법.
  29.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서버(21)와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클라이언트단말(1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의 이용자에 대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면서 실행하는 경로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은 적어도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목적지 송신수단과;
    상기 출발지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인 제 1 안내지점이 될 수 있는 지점을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제 1 안내 후보지점으로서 구하는 제 1 안내 후보지점 검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21)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로부터 송신된 상기 출발지(P) 및 상기 목적지(G)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하는 서버경로결정수단과;
    상기 구한 서버경로에 포함되는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 (10)에 송신하는 안내지점정보 송신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은 상기 구해진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한 제 1 안내 후보지점[C1(i)] 중에 상기 수신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 [C1(i)]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30. 서버측 데이터베이스와, 출발지 및 목적지를 특정하는 정보가 주어졌을 때,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구하는 서버경로결정수단과, 상기 구한 서버경로에 포함되는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안내지점 정보송신수단을 구비한 서버 (21)와 통신을 행하여 이용자에 대하여 상기 출발지(P)로부터 상기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클라이언트단말(1O)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와;
    적어도 상기 출발지(P)와 상기 목적지(G)를 특정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21)에 송신하는 목적지 송신수단과;
    상기 출발지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인 제 1 안내지점이 될 수 있는 지점을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제 1 안내 후보지점 [C1(i)]으로서 구하는 제 1 안내 후보지점 검색수단과;
    상기 구해진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21)로부터의 송신에 의해 취득하는 서버경로안내지점 취득수단과;
    상기 구한 제 1 안내 후보지점[C1(i)] 중에 상기 취득한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로서 특정되는 상기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된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이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21)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제 1 안내지점의 위치와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 [C1(i)]의 위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다시 상기 제 1 안내지점으로의 진입방향과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C1(i)]으로의 진입방향과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과, 상기 제 1 안내지점에 대한 상기 출발지(P)로부터의 퇴출방향과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C1 (i)]에 대한 상기 출발지(P)로부터의 퇴출방향이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과, 상기 출발지(P)와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의 거리와 상기 출발지(P)와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C1(i)] 사이의 거리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 및 상기 출발지(P)와 상기 제 1 안내지점 사이의 도로의 종류와 상기 출발지(P)와 상기 제 1 안내 후보지점[C1(i)] 사이의 도로의 종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 중 적어도 하나의 판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33.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서버(21)와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클라이언트단말(1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의 이용자에 대하여 출발지(i)로부터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면서 실행하는 경로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은 적어도 상기 출발지(P)와 상기 목적지(G)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버(21)에 송신하는 목적지 송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21)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로부터 송신된 상기 출발지(P) 및 상기 목적지(G)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발지(P)로부터 상기 목적지(G)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구하는 서버경로결정수단과;
    상기 구한 서버경로에 포함되는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 (10)에 송신하는 안내지점정보 송신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은 상기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21)로부터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취득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안내지점 중의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목적지(G)를 향하는 측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인 인접 안내지점이 될 수 있는 지점을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인접 안내 후보지점[Ck(i)]으로서 구하는 인접 안내 후보지점 검색수단과;
    상기 구한 인접안내 후보지점[Ck(i)] 중에 상기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목적지(G)를 향하는 측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으로서 상기 취득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인접 안내 후보지점[Ck(i)]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안내지점 사이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인접 안내 후보지점[Ck(i)]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 사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여 상기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시스템.
  34. 서버측 데이터베이스와, 출발지(P) 및 목적지(G)를 특정하는 정보가 주어졌을 때,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출발지(P)로부터 상기 목적지(G)까지의 경로인 서버경로를 구하는 서버경로결정수단을 구비한 서버와 통신을 행하여 이용자에 대하여 상기 출발지(P)로부터 상기 목적지(G)까지의 경로안내를 행하는 클라이언트단말(1O)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와;
    적어도 상기 출발지(P)와 상기 목적지(G)를 특정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21)에 송신하는 목적지 송신수단과;
    상기 구해진 서버경로의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수신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안내지점 중의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목적지(G)를 향하는 측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인 인접 안내지점이 될 수 있는 지점을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인접 안내 후보지점 [Ck(i)]으로서 구하는 인접 안내 후보지점 검색수단과;
    상기 구한 인접 안내 후보지점[Ck(i)] 중에 상기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목적지(G)를 향하는 측에 인접하는 안내지점으로서 상기 수신한 안내지점에 대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된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인접안내 후보지점[Ck(i)]이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 사이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단말측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과 일치하는 상기 인접 안내 후보지점[Ck(i)]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임의의 안내지점으로부터 상기 서버경로의 인접 안내지점사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21)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경로안내를 행하는 경로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단말.
KR10-2002-0022711A 2001-04-26 2002-04-25 경로안내시스템, 클라이언트단말, 서버, 경로안내방법 및경로일치 판정방법 KR100492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30447 2001-04-26
JP2001130447 2001-04-26
JPJP-P-2002-00059525 2002-03-05
JP2002059525A JP4036012B2 (ja) 2001-04-26 2002-03-05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を行うクライアント端末、同クライアント端末と通信を行うサーバ、経路案内方法及び経路一致判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928A KR20020083928A (ko) 2002-11-04
KR100492263B1 true KR100492263B1 (ko) 2005-05-27

Family

ID=2661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711A KR100492263B1 (ko) 2001-04-26 2002-04-25 경로안내시스템, 클라이언트단말, 서버, 경로안내방법 및경로일치 판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81004B2 (ko)
EP (1) EP1253401B1 (ko)
JP (1) JP4036012B2 (ko)
KR (1) KR100492263B1 (ko)
DE (1) DE60227871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71B1 (ko) * 2012-07-12 2014-07-2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의 제한된 영역에서 k-최근접 질의의 지속적 모니터링을 위한 분산 기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3801A (ja) * 2002-06-11 2004-01-15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目的地及び通過地点到着時の自動通報管理システム
KR100620238B1 (ko) * 2003-06-18 2006-09-13 팅크웨어(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JP4390492B2 (ja) * 2003-07-30 2009-12-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案内誘導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60100779A1 (en) * 2003-09-02 2006-05-11 Vergin William E Off-board navigational system
JP2005121518A (ja) * 2003-10-17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経路情報の伝達方法と装置
GB0420095D0 (en) 2004-09-10 2004-10-13 Cotares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edicting a future behaviour of an object
US7636632B2 (en) * 2005-06-09 2009-12-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telligent navigation system
GB0520576D0 (en) 2005-10-10 2005-11-16 Applied Generics Ltd Using traffic monitoring information to provide better driver route planning
DE102005053125A1 (de) * 2005-11-08 2007-05-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Aktualisierung von Kartendaten eines Navigationssystems und System zur Aktualisierung von Kartendaten eines Navigationssystems
JP4345897B2 (ja) 2007-07-05 2009-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ナビ装置、ナビシステム
JP4375627B2 (ja) * 2007-07-10 2009-1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ナビシステム
US20100121564A1 (en) * 2008-10-31 2010-05-1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Remote guide system, remote guide method and remote guide device
JP5353291B2 (ja) * 2009-02-19 2013-11-27 ソニー株式会社 案内経路配信装置、案内経路配信方法及び案内経路配信プログラム
JP4725659B2 (ja) * 2009-03-04 2011-07-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端末および地図データ更新システム
US8725407B2 (en) * 2009-11-09 2014-05-13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Enhanced location information for points of interest
JP5141739B2 (ja) 2010-09-30 2013-02-13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端末
CN103201591A (zh) * 2010-11-04 2013-07-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提供装置
JP5435001B2 (ja) * 2011-09-28 2014-03-05 株式会社デンソー 地図データ配信装置、電子機器及び地図更新システム
NZ605569A (en) * 2012-02-02 2013-04-26 Kapsch Trafficcom Ag Factor VIII Formulations
JP5599830B2 (ja) * 2012-02-03 2014-10-0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サーバ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装置
WO2015195529A1 (en) * 2014-06-20 2015-12-23 Google Inc. Integrating online navigation data with cached navigation data during active navigation
WO2015195926A1 (en) * 2014-06-21 2015-12-23 Google Inc. Dynamically integrating offline and online suggestions in a geographic application
CN115479611A (zh) * 2015-05-28 2022-12-16 谷歌有限责任公司 动态地集成地理应用中的离线和在线数据
WO2017012672A1 (en) * 2015-07-23 2017-01-2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Providing a navigation system with navigable routes
KR101744815B1 (ko) * 2015-08-13 2017-06-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위한 내비게이션 연동장치 및 그 방법이 구현된 기록매체
US9953523B2 (en) * 2016-04-22 2018-04-24 Here Global B.V. Node-centric navigation optimization
US10730626B2 (en) 2016-04-29 2020-08-04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s of photo matching and photo confirmation for parcel pickup and delivery
WO2017204998A2 (en) 2016-04-29 2017-11-30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Unmanned aerial vehicle pick-up and delivery systems
JP2018040593A (ja) * 2016-09-05 2018-03-15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0775792B2 (en) 2017-06-13 2020-09-15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Autonomously delivering items to corresponding delivery locations proximate a delivery route
US11933630B2 (en) 2017-06-26 2024-03-19 Volvo Truck Corporation Control arrangement for a vehicle
JP6943791B2 (ja) * 2018-03-06 2021-10-06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経路情報送信方法、経路情報送信システム、車載端末
JP7129457B2 (ja) * 2020-11-18 2022-09-01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15060281B (zh) * 2022-08-16 2023-01-03 浙江光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voronoi图的全局路径引导点生成规划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644A (ja) * 1996-09-24 1998-04-14 Aisin Seiki Co Ltd 移動経路案内システム
JPH11101649A (ja) * 1997-09-29 1999-04-13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0097716A (ja) * 1998-09-24 2000-04-07 Toyota Motor Corp 地図情報更新システム
KR20010029539A (ko) * 1996-09-20 2001-04-06 와다 아끼히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1902B2 (ja) 1998-07-02 2004-03-29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経路情報提供装置、経路案内装置および通信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6292743B1 (en) * 1999-01-06 2001-09-18 Infogation Corporation Mobile navig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539A (ko) * 1996-09-20 2001-04-06 와다 아끼히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장치
JPH1096644A (ja) * 1996-09-24 1998-04-14 Aisin Seiki Co Ltd 移動経路案内システム
JPH11101649A (ja) * 1997-09-29 1999-04-13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0097716A (ja) * 1998-09-24 2000-04-07 Toyota Motor Corp 地図情報更新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71B1 (ko) * 2012-07-12 2014-07-2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의 제한된 영역에서 k-최근접 질의의 지속적 모니터링을 위한 분산 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928A (ko) 2002-11-04
DE60227871D1 (de) 2008-09-11
US20020161519A1 (en) 2002-10-31
US6581004B2 (en) 2003-06-17
EP1253401B1 (en) 2008-07-30
JP4036012B2 (ja) 2008-01-23
EP1253401A3 (en) 2006-03-08
EP1253401A2 (en) 2002-10-30
JP2003014483A (ja)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263B1 (ko) 경로안내시스템, 클라이언트단말, 서버, 경로안내방법 및경로일치 판정방법
JP4495620B2 (ja) 移動先予測装置および移動先予測方法
CN101361106B (zh) 使用数字地图收集交通信息的交通信息提供系统及其方法
US20130345977A1 (en) Map updating system
CN100582669C (zh) 地图数据更新方法
US7418342B1 (en) Autonomous destination determination
US20110133959A1 (en) Unoccupied parking area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information on unoccupied parking area
KR20040072101A (ko) 네비게이션장치 및 네비게이션장치의 최적경로 계산방법
US11001254B2 (en) Method of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for autonomous parking,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and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JP200112457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1218486A (zh) 用于对道路网图进行建模的方法、装置及系统
JPH11153953A (ja) 車両用情報取得装置
JPH09178500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4125798A (ja) 複合交差路の経路案内用の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1241959A (ja) 道路地図における経路探索条件の決定方法
JP2001027538A (ja) ナビゲーション方法,その経路提供装置,そのシステム
CN104583718A (zh) 中心装置、程序、地图信息发送方法、以及导航装置
JP6533675B2 (ja) 引継情報送信システム、引継情報送信装置、案内端末、引継情報送信方法、及び引継情報送信プログラム
KR100692147B1 (ko) 차량 항법장치 및 그것의 경로 안내방법
JPH09257503A (ja) 経路探索方法
JP627075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386473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情報センタ及び車載装置
JP2004294371A (ja) 所要時間データベースの作成方法および経路探索方法
JP2000009485A (ja) 車両用経路誘導装置および方法
KR100684004B1 (ko) 경로 안내를 위한 차량 항법 유도방법 및 경로 안내 정보추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