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629B1 - 댐퍼 - Google Patents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629B1
KR100491629B1 KR1019970075020A KR19970075020A KR100491629B1 KR 100491629 B1 KR100491629 B1 KR 100491629B1 KR 1019970075020 A KR1019970075020 A KR 1019970075020A KR 19970075020 A KR19970075020 A KR 19970075020A KR 100491629 B1 KR100491629 B1 KR 100491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ousing
piston
cam bod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311A (ko
Inventor
카즈요시 코이즈미
요시히사 타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19990006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45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rotary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4Shape co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캠부 및 회동캠부의 마모,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동캠부(53)가 캠부(14)에 의해 로크(lock)된 상태로부터 해제된 상태까지 실(室)a와 실b를 서로 통하게 하는 바이패스홈(3d)을 하우징본체(2)의 내주에 설치한다.

Description

댐퍼
이 발명은 회동부재의 회동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댐퍼로서,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가압부재에 의해 하우징의 일단측으로 힘을 받은 피스톤캠체의 캠부에 의해 회동캠부가 로크되도록 하우징의 일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캠체를 회동시키면, 회동캠부가 회동하여 캠부를 누르는 것에 의해, 피스톤캠부가 가압부재에 저항하며 이동함으로써 회동캠부의 로크가 해제됨과 동시에, 피스톤캠체에 의해 2개로 나윈 회동캠체측의 한쪽 실(室)에 다른 쪽 실(室)로부터 점성유체가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유입하는 유로저항에 의해 회동캠체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구성의 것이 있다.
종래의 댐퍼는, 회동캠부의 로크를 해제하는 사이에도 점성유체가 한쪽 실로 다른 쪽 실로부터 유입하지 않기 때문에, 회동캠부의 로크 해제시 큰 부하가 걸리게 되어, 캠부 및 회동캠부의 마모, 손상이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캠부 및 회동캠부의 마모,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은,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가압부재에 의해 하우징의 일단측으로 힘을 받은 피스톤캠체의 캠부에 의해 회동캠부가 로크되도록 하우징의 일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체를 회동시키면, 회동캠부가 회동하여 캠부를 누르는 것에 의해, 피스톤캠부가 가압부재에 저항하며 이동함으로써 회동캠부의 로크가 해제됨과 동시에, 피스톤캠체에 의해 2개로 나뉜 회동캠체측의 한쪽 실에 다른 쪽 실로부터 점성유체가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유입하는 유로저항에 의해 회동캠체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댐퍼에 있어서, 회동캠부가 캠부에 의해 로크된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되는 상태까지 한쪽 실과 다른 쪽 실이 서로 통하게 하는 바이패스(bypass)홈을 하우징의 내주(內周)에 설치한 것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댐퍼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하우징본체를 개방단측에서 본 확대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 4 (a),(b),(c),(d)는 도 1에 나타난 피스톤캠체의 확대 측면도, 피스톤캠체를 캠부측에서 본 확대도, 피스톤 캠체를 환상돌조(環狀突條) 측에서 본 확대도, 도 4의(c)의 B-B선에 의한 단면도, 도 5 (a),(b),(c),(d)는 양 캠부의 형상, 계합(係合, 걸림)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난 각 부품을 조립한 상태에서의 도 2의 C-C선으로 일부를 파단한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D는 댐퍼를 나타내며, 하우징(1)과, 피스톤캠체(11)와, 먼지제거망(21)과, 폐색부재(閉塞部材)(31)와, 코일스프링(34, 41)과, 취부캡(35)과, O링(42, 61)과, 회동캠체(51)와, 점성유체(7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막힌 원통모양의 합성수지제의 하우징본체(2)와, 이 하우징본체(2)의 개방단측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제의 캡(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본체(2)의 내주에는 개방단에 이어지며, 회동캠체(51)의 평판부(52)를 회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안쪽 길이를 한 바퀴 돌아 형성된 단부(3a)와, 이 단부(3a)의 안쪽(하우징본체(2)의 막힌 단부 쪽)부터 안쪽으로 축과 평행하게 소정 길이 연장되어 피스톤캠체(11)의 끼움돌기(17)를 각각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홈(3b)과, 단부(3a)의 안쪽부터 안쪽으로 축과 평행하게 소정 길이 이어진 2개의 오목부(3c)와, 이 오목부(3c)의 안쪽으로 이어져 소정의 안쪽 길이를 갖고, 오목부(3c)보다도 폭이 좁은 바이패스홈(3d)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가이드홈(3b), 오목부(3c) 및 바이패스홈(3d)은 하우징본체(2)의 축에 대하여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본체(2) 바닥의 안쪽에는 코일스프링(41)의 일단의 위치를 결정하는 환상 위치결정 돌조(4)가 소정 반경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본체(2)의 외주에는 취부부재(取付部材)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부(取付部)(5)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캡(7)을 설치하기 위한 여러 개의 걸림조(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캡부(7)에는 회동캠체(51)의 축부(54)가 회동가능하게 삽입 통과하도록 원형의 개구(8)와, 하우징본체(2)의 걸림조(6)에 대응하는 여러 개의 계합구멍(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합성수지제의 피스톤캠체(11)는 원형 평판부(12)와, 이 평판부(12)의 한쪽 면에, 축에 대하여 원통벽 모양으로 대칭 설치된 2개의 캠부(14)와, 이 2개의 캠부(14)의 평판부(12)와 반대쪽 끝의 외주에 각각 설치되어 가이드홈(3b)에 계합하는 끼움돌기(17)와, 평판부(12)의 다른쪽 면에 개구(13a)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환상돌조(1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판부(12)에는, 한쪽 면에서 다른 쪽 면으로 오므려져서 끝나는 경사면을 갖는 원형의 개구(13a)가 중심에 설치되며, 이 개구(13a)의 둘레 일부에 오리피스로 되는 홈(13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캠부(14)에는 회동캠체(51)의 회동캠부(53)가 맞붙는 제1캠면(15a), 제2캠면(15b), 제3캠면(15c), 스토퍼(stopper)면(15d)으로 된 캠면(15)과, 걸림구멍(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부(14), 각면(15~15d), 걸림구멍(16) 및 끼움돌기(17)는 평판부(12)의 축에 대하여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19는 둘레 홈을 나타내며, 피스톤캠체(11)의 평판부(12)측의 외주에 설치되어 O링(42)을 수용하는 홈이다.
20은 둘레 리브를 나타내며,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홈(19)의 캠부(14)측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반경은 둘레홈(20)으로부터 O링(42)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캠부(14)의 반경보다 크고, 두께는 O링(42)의 유지강도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최소한으로 한다.
상기 합성수지제의 먼지제거망(21)은 홈(13b)의 크기보다 망이 좁고 둘레가 환상돌조(18)에 용착되어 있다.
또, 상기 합성수지제의 폐색부재(31)는 피스톤캠체(11)의 개구(13a)를 개폐하는 원추대 모양부(32)와, 이 원추대 모양부(32)의 저면측 중심에 축방향으로 설치된 축부(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34)은 원추대 모양부(32)가 피스톤캠체(11)의 개구(13a)를 폐색하도록 폐색부재(31)에 힘을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제의 취부캡(35)에는, 피스톤캠체(11)의 캠부(14) 사이에 들어가 걸림구멍(16)에 계합하는 탄성계합조(36)와, 점성유체(71)의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37)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하우징본체(2) 내에 장전되는 코일스프링(41)은 피스톤캠체(11)를 하우징본체(2)의 개방단측으로 힘을 받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O링(42)은 피스톤캠체(11)의 둘레홈(19)에 수용되어 하우징본체(2)와 피스톤캠체(11) 사이를 실링하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제 회동캠체(51)는 하우징본체(2)의 단부(3a)부분에서 회동 가능한 원형이며, 한쪽 면의 둘레에 한 바퀴 돌아 형성된 단부(52a)가 설치된 평판부(52)와, 이 평판부(52)의 다른쪽 면에 축에 대하여 원통벽 모양으로 대칭 설치되어 피스톤캠체(11)의 2개의 캠부(14)에 계합하는 회동캠부(53)와, 다른쪽 면에 설치되어 캡(7)의 개구(8)로부터 돌출한 축부(5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O링(61)은 하우징본체(2)와 회동캠체(51) 사이를 실링하는 것이다.
다음에, 조립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먼지제거망(21)은 환상돌조(18)에 용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개방단측을 위로 향하고 취부캡(35) 내로 코일스프링(34)의 일단을 삽입하고, 코일스프링(34)의 위쪽으로 폐색부재(31)의 축부(33)를 삽입하여 원추대 모양부(32)를 코일스프링(34) 위에 얹어 놓는다.
그리고, 환상돌조(18), 먼지제거망(21)을 위쪽으로 한 피스톤캠체(11)의 캠부(14) 사이로, 걸림구멍(16)에 탄성계합조(36)를 대응시켜 코일스프링(34)의 위에 폐색부재(31)를 재치시킨 취부캡(35)을 하측에서 압입한다.
이와 같이, 취부캡(35)을 캠부(14) 사이로 하측에서 누르면, 탄성계합조(36)가 캠부(14)에 밀려서 내측으로 구부려지므로, 취부캡(35)이 캠부(14)의 사이를 상승하기 때문에 원추대 모양부(32)가 개구(13a)에 끼워서 개구(13a)를 닫는다. 이에 의해, 홈(13b) 부분이 점성유체(71)를 유통시키는 오리피스로 된다.
게다가, 코일스프링(34)을 축소시키도록 취부캡(35)을 누르면, 탄성계합조(36)가 걸림구멍(16)의 위치에 도달하여 자신의 탄성력으로 넓게 열려 걸림구멍(16)의 가장자리에 계합하기 때문에, 피스톤캠체(11)에 폐색부재(31), 코일스프링(34)을 취부캡(35)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캠체(11)에 취부캡(35)을 설치하면, 취부캡(35)은 평판부(12)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O링(42)을 둘레홈(19)에 장전(裝塡)한다.
이어서, 개구단측을 위로 향한 하우징본체(2) 내에 코일스프링(41)을 장전하여 환상 위치결정 돌조(4)의 외측에 코일스프링(41)의 일단을 위치시킨 뒤, 실리콘오일 등의 점성유체(71)를 하우징본체(2) 내에 소정량 주입한다.
그리고, 환상돌조(18), 먼지제거망(21) 쪽을 아래로 한 피스톤캠체(11)의 캠부(14) 사이에 회동캠부(53)를 위치시키고 피스톤캠체(11)의 위에 회동캠체(51)를 실은 뒤, 평판부(52)의 단부(52a)에 O링(61)을 얹어 놓고, 개구단측을 아래로 하여 개구(8)내로 축부(54)를 삽입 통과시켜서 회동캠체(51) 위에 캡(7)을 얹어 놓는다.
다음에, 끼움돌기(17)를 가이드홈(3b)에 대응시킴과 동시에 계합구멍(9)을 걸림조(6)에 대응시키고 코일스프링(41)의 타단의 안쪽에 환상돌조(18), 먼지제거망(21)을 위치시킨 뒤, 캡(7)을 하우징본체(2)쪽으로 밀면, 코일스프링(41)을 축소시키면서 끼움돌기(17)가 가이드홈(3b)으로 안내되어 피스톤캠체(11), 회동캠부(53) 및 평판부(52)가 하우징본체(2) 내로 들어가고, 캡(7)이 하우징본체(2)의 외측을 하강하여 계합조(6)가 계합구멍(9) 내로 들어감에 의해, 먼지제거망(21), 폐색부재(31), 코일스프링(34) 및 취부캡(35)이 설치된 피스톤캠체(11)와, 코일스프링(41)과, O링(42, 61)과, 회동캠체(51)의 일부와, 점성유체(71)를 하우징(1)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본체(2) 내에 피스톤캠체(11)가 삽입되면, 점성유체(71)는 O링(42) 외측의 가이드홈(3b), 오목부(3c) 또는 바이패스홈(3d)을 통해 평판부(52)의 위쪽으로 유입하기 때문에, 하우징본체(2)의 통부 및 바닥과 평판부(12)에 의해 나뉜 실a, 하우징본체(2)의 통부와 평판부(12, 52)에 의해 나뉜 실b는 점성유체(71)로 채워지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립할 수 있다.
도 7은 뚜껑 및 변좌(便座)를 수조에 기대어 세운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변좌를 위로 최대 회동시킨 상태로부터 아래롤 회동시키는 도중의 댐퍼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변좌를 아래로 회동시켜 변기에 맞닿게 할 때의 댐퍼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변좌를 무리하게 아래로 회동시키려 할 때의 피스톤캠체의 평판부와 폐색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B는 변기, S는 변좌를 나타내며, 이 변좌(S)는, 취부부(5)에 의해 변기(B)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댐퍼(D)의 축부(54)에 일부가 계합하여 축부(54)와 함께 회동하는 것이다.
C는 뚜껑을 나타내며, 댐퍼(D)의 축부(54)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W는 수조를 나타낸다.
다음에, 댐퍼의 동작, 즉 변좌의 회동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조(W)에 뚜껑(C)을 사이에 끼고 변좌(S)가 기대어 서도록 변좌(S)를 위로 최대로(수평상태를 0도로 해서 115도) 회동시키면, 댐퍼(D)는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양 캠부(14, 53)는 도 5의 (a)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캠부(53)가 스토퍼면(15d)에 맞닿아 제1캠면(15a)에서 거리 d만큼 떨어지며, 댐퍼(D)는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변좌(S)를 아래로 회동시켜 회동캠체(51)를 회동시키면, 회동캠부(53)가 거리 d만큼 회동하여 스토퍼면(15d)에서 떨어져, 도 5의(a)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각이 완만한 제1캠면(15a)에 맞닿는다.
그리고, 게다가 변좌(S)를 아래로 회동시켜 회동캠부(53)가 제2캠면(15b)을 도 5의(b)에 나타난 누르는 상태로 되면, 변좌(S)는 도 7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B)에 대하여 직립한 상태가 된다.
게다가, 변좌(S)를 아래로 회동시키면, 회동캠부(53)가 제2캠면(15b)에서 떨어져 로크(lock)를 해제하기 때문에, 이후는 변좌(S)의 자체 무게로 회동캠체(51)를 회동시켜, 회동캠부(53)가 제3캠면(15c)을 도 5의(c)에 나타낸 바와 바와 같이 누름으로써 최종적으로 도 5의(d)에 나타난 누름 상태가 되어, 변좌(S)는 도 7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변기(B)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각 캠면(15a~15c)이 회동캠부(53)로 눌리면, 끼움돌기(17)가 가이드홈(3b)으로 안내됨에 따라, 피스톤캠체(11)는 코일스프링(41)을 축소하면서 하우징본체(2) 내를 이동하지만, 회동캠부(53)가 도 5의(a)의 제1캠면(15a)으로부터 도 5의 (c)의 제3캠면(15c)의 시작까지를 누르는 때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a, b)이 바이패스홈(3d)에 의해 서로 통하여 있으므로, 점성유체(71)는 실a에서 실b로 바이패스홈(3d)을 통해서 흐르기 때문에, 변좌(S)의 회동에 제동력을 줄 수 가 없다.
그러나, 회동캠부(53)가 도 5의(c)로부터 도 5의(d)의 방향으로 제3캠면(15c)을 누르기 시작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42)이 바이패스홈(3d)을 통과하기 때문에 점성유체(71)는 실a에서 실b로 오리피스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그리하여 변좌(S)의 회동, 즉 변좌(S)의 하강에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캠체(11)는 최종적으로 도 9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이동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변좌(S)를 하강시킬 때, 변좌(S)를 무리하게 회동시켜 실(a)의 점성유체(71)의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면, 폐색부재(31)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4)을 축소시키도록 이동하므로, 원추대 모양부(32)가 개구(13a)를 개방하기 때문에, 점성유체(71)는 실a에서 실b로 개구(13a) 및 홈(13b)를 통해 유입한다.
따라서, 제동 때에 무리한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댐퍼(D) 및 변좌(S)를 파손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a)을 축소하도록 피스톤캠체(11)가 이동할 때, 점성유체(71)는 먼지제거망(21)으로 홈(13)을 막히게 하는 먼지가 제거된 후에 홈(13b)을 통과하기 때문에 제동력을 부여할 때 홈(13b)이 막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수평상태로 되어 있는 변좌(S)를 위로 회동시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W)에 기대어 세우면, 회동캠부(53)는 캠면(15)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피스톤캠체(11)는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캠체(51)쪽으로 눌려 각 캠면(15c~15a)이 회동캠부(53)에 맞닿도록 추종하여, 최종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변좌(S)를 위로 회동시킬 때는, 회동캠체(51)가 피스톤캠체(11)로부터 떨어져 회동캠체(51)에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변좌(S)를 위로 부드럽게 조작성이 좋게 회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하면, O링(42)이 접동하는 제동 스트로크 외의 실b측의 하우징본체(2)의 내주에 오목부(3c)를 설치하여 하우징본체(2)와 피스톤캠체(11) 및 회동캠체(51)와의 간극을 크게 하였기 때문에, 하우징본체(2)와 회동캠체(51) 사이의 점성유체(71)에 의한 전단(剪斷)저항이 작게 되기 때문에, 변좌(S)를 위로, 부드럽게 조작성 좋게 회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피스톤캠체(11)의 필요부분 이외의 외주 지름을 작게 함과 동시에, 피스톤캠체(11)에 걸림구멍(16)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하우징본체(2)와 피스톤캠체(11) 사이의 점성유체(71)에 의한 전단저항이 작게 되어서, 피스톤캠체(11)가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으로 회동캠부(53)의 회동에 추종하여 되돌아가는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동캠부(53)가 캠부(14)로 로크(lock) 상태, 즉 변좌(S)로부터 회동캠체(51)로 걸리는 회동방향으로의 하중이 코일스프링(41)의 저항에 의해 제2캠면(15b)의 경사를 넘어가지 않는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된 상태, 즉 변좌(S)에서 회동캠체(51)에 걸리는 회동방향으로의 하중이 코일스프링(41)의 저항에 의해 제2캠면(15b)의 경사를 겨우 넘어 제3캠면(15c)에 도달하는 상태까지 실a와 실b가 서로 통하게 하는 바이패스홈(3d)을 하우징본체(2)의 내주에 설치하여 제동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회동캠부(53)를 회동시키는 초기의 제동력을 극단적으로 감소시키는(실질적으로 제동력이 없다,)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회동캠부(53)의 로크 해제시 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어, 제2캠면(15b), 제3캠면(15c)이 형성하는 앞으로 튀어나온 부분과, 회동캠부(53)가 서로 깎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양 캠부(14, 53)의 마모,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회동범위에서 회동캠부(53)를 무리 없이 부드럽게 조작성이 좋게 회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피스톤캠체(11)의 개구(13a)를 폐색부재(31)의 원추대 모양부(32)로 폐색함에 따라, 홈(13b)에 의해서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로 되는 홈(13b)을 피스톤캠체(11)의 성형시에 높은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로 큰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폐색부재(31)를 코일스프링(34)으로 힘을 가하여 피스톤캠체(11)의 개구(13a)를 원추대 모양부(32)로 폐색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실a의 점성유체(71)의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면, 폐색부재(31)는 코일스프링(34)을 축소시켜서 개구(13a)를 개방하기 때문에, 점성유체(71)는 실a에서 실b로 개구(13a) 및 홈(13b)을 통해서 유입한다.
따라서, 제동시에 무리한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댐퍼(D) 및 제동부재인 변좌(S)를 파손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또, 회동캠부(53)를 로크(lock)하는 제2캠면(15b)과 스토퍼면(15d)과의 간격을 회동캠부(53)의 폭보다도 길게 하여 회동캠부(53)를 로크하는 위치에 폭을 가지게 하였기 때문에, 변좌(S)의 하강방향 회동을 제동하는 경우, 수조(W)에 기대어 세운 뚜껑(C)에 변좌(S)를 기대어 세울 수 있기 때문에, 뚜껑(C)에서 변좌(S)가 떨어져 자립(自立)하지 않게 되므로, 변좌(S)를 기립시킨 때의 보기가 좋게 된다.
그리고, 회동캠부(53)를 로크하는 위치에 폭을 갖게 하여, 회동캠부(53)가 로크 범위 내에서 로크 해제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캠면(15b)에 맞닿기 전에 맞닿는 제1캠면(15a)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설정하였기 때문에, 변좌(S)의 하중이 작은 회동캠부(53)의 로크 범위 내에서의 로크 해제 방향으로의 회동 초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둘레홈(19)의 가장자리에 둘레 리브(20)를 설치하여 O링(42)을 유지시키고, 피스톤캠체(11)의 캠부(14)의 외주 지름을 작게 하여 하우징본체(2)와 피스톤캠체(11)와의 간극을 크게 하였기 때문에, 하우징본체(2)와 피스톤캠체(11) 사이의 점성유체(71)에 의한 전단저항이 작게 되기 때문에, 피스톤캠체(11)가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캠부(53)의 회동에 추종하여 되돌아가는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먼지제거망(21)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동력을 부여할 때, 점성유체(71)는 먼지제거망(21)에 의해 오리피스로 되는 홈(13)이 막히지 않도록 먼지가 제거된 후에 홈(13b)을 통과하므로, 홈(13b)이 막히는 일이 없어져 제동작용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도 11은 오리피스로 되는 홈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폐색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32a는 오리피스가 되는 홈을 나타내며, 원추대 모양부(32)의 둘레면에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피스톤캠체(11)에 설치한 개구(13a)에는 홈(13b)을 설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폐색부재(31)의 원추대 모양부(32)의 둘레면에 오리피스로 되는 홈(32a)을 설치하는 경우, 피스톤캠체(11)에 설치한 개구(13a)에 홈(13b)을 설치한 경우와 마찬가지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의 (a),(b)는 피스톤캠체 캠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15e, 15f는 제2캠면(15b)에 연속된 제3캠면을 나타낸다.
도 12의(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면(15)을 구성하면, 제3캠면(15e)이 돌출하는 원호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좌(S)가 하강하는 움직임을 시작은 느리게 종료는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2의(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면(15)을 구성하면, 제3캠면(15f)이 단부(段部)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좌(S)가 하강하는 움직임을 느리게 시작하고 빨라진 뒤, 느리게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면(15)을 구성하면, 제3캠면(15c)이 약간 오목한 원호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좌(S)가 하강하는 움직임을 시작은 빠르게 종료는 느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캠면(15)을 구성하는 제3캠면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피스톤캠체(11)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변좌(S)가 하강하는 움직임에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캠체(11)에 형성한 개구(13a)를 원추사다리형의 둘레면과 같이 형성하였지만, 원형의 개구이더라도 괜찮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오리피스로 되는 홈(13b)을 피스톤캠체(11)의 개구(13a)에 설치한 경우와, 오리피스로 되는 홈(32a)을 폐색부재(31)의 원추대 모양부(32)의 둘레면에 설치한 경우를 도시했지만, 양 홈(13b, 32a)을 설치한 경우도 마찬가지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피스톤캠체(11)에 설치한 개구(13a)를, 홈(13b)을 남기고 코일스프링(34)에 의해 힘을 받은 폐색부재(31)의 원추대 모양부(32)로 폐색하였지만, 홈(13b)을 남기고 개구(13a)를 폐색하는 폐색부재를 피스톤캠체(11)에 설치하거나, 이 폐색부재에 오리피스로 되는 홈을 설치하여도 좋다.
게다가, 회동캠체(51)가 제2캠면(15b)의 경사를 겨우 넘어 제3캠면(15c)에 도달하는 상태까지 실a와 실b를 바이패스홈(3d)으로 서로 통하게 하였지만, 회동캠체(51)가 제2캠면(15b)과 제3캠면(15c)의 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실a와 실b를 바이패스홈으로 통하게 연결시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회동캠부가 캠부에 의해 로크된 상태, 즉 회동캠체에 걸린 회동 방향으로의 하중이 가압부재의 저항을 통해 캠부의 경사를 넘어가지 않은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되는 상태, 즉 회동캠체에 걸린 회동 방향에의 하중이 가압부재의 저항을 통해 캠부의 경사를 겨우 넘어가거나 캠부의 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한쪽 실과 다른 쪽 실이 서로 통하게 하는 바이패스홈을 하우징의 내주에 설치하여, 제동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회동캠부를 회동시키는 초기의 제동력을 극단적으로 감소시키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회동캠부의 로크 해제시 큰 부아가 걸리지 않게 되어, 캠부의 캠면이 형성하는 튀어나온 부분과, 회동캠부가 서로 깎이지 않아, 양 캠부의 마모,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은 회동 범위에서 회동캠부를 무리 없이 스무스하게 조작성 좋게 회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댐퍼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하우징본체를 개방단측에서 본 확대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 4 (a),(b),(c),(d)는 도 1에 나타낸 피스톤캠체의 확대 측면도, 피스톤 캠체를 캠부측에서 본 확대도, 피스톤 캠체를 환상돌조측에서 본 확대도, 도 4(c)의 B-B 선에 의한 단면도,
도 5 (a),(b),(c),(d)는 양 캠부의 형상, 계합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각 부품을 조립한 상태에서 도 2의 C-C선으로 일부를 파단한 설명도,
도 7은 뚜껑 및 변좌를 수조에 기대어 세운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변좌를 위로 최대 회동시킨 상태로부터 아래로 회동시키는 도중의 댐퍼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변좌를 아래로 회동시켜서 변기에 맞닿게 할 때의 댐퍼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변좌를 무리하게 아래로 회동시키려 할 때의 피스톤캠체 평판부와 폐색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오리피스로 되는 홈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 (a),(b)는 피스톤캠체의 캠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 부호의 설명>
D...댐퍼, 1...하우징,
2...하우징본체, 3a...단부(段部),
3b...가이드홈, 3c...오목부,
3d...바이패스홈, 4...환상 위치결정 돌조,
5...취부부, 6...걸림조,
7...캡, 8...개구,
9...계합구멍, 11...피스톤캠체,
12...평판부, 13a...개구,
13b...홈, 14...캠부,
15...캠면, 15a...제1캠면,
15b...제2캠면, 15c...제3캠면,
15d...스토퍼면, 15e...제3캠면,
15f...제3캠면, 16...걸림구멍,
17...끼움돌기, 18...환상돌조(環狀突爪),
19...둘레홈, 20...둘레 리브,
21...먼지제거망, 31...폐색부재,
32...원추대 모양부, 32a...홈,
33...축부, 34...코일스프링,
35...취부캡, 36...탄성계합조,
37...개구, 41...코일스프링,
42...0링, 51...회동캠체,
52a...단부(段部), 52...평판부,
53...회동캠부, 54...축부,
61...0링, 71...점성유체,
a,b...실(室), B...변기,
S...변좌, C...뚜껑,
W...수조.

Claims (1)

  1. 점성유체가 충전된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개재된 가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단측으로 힘을 받으며, 로킹면과 상기 로킹면과 각도를 이루는 로킹해제면을 구비한 캠부를 구비한 피스톤캠체와;
    상기 하우징의 일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부의 로킹면에 결합되어 로킹되는 회동캠부를 구비하며, 그 회동에 의하여 상기 캠부가 로킹해제면으로 이동하는 회동캠체와;
    상기 피스톤캠체에 의해 2개의 실(室)로 구분되는 회동캠체측의 한쪽 실과 다른 쪽 실의 사이에 의치하며, 하우징 내의 점성유체가 상기 2개의 실 사이를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오리피스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유입하는 점성유체의 유로(流路)저항에 의해 상기 회동캠체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회동캠부가 상기 캠부의 로킹면으로부터 로킹해제면의 시작부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피스톤캠체의 최외주에 설치된 실링수단이 접하게 되는 하우징 내주(內周) 부분으로부터 하우징 단부(段部)가지 연장되는 바이패스홈이 하우징 내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KR1019970075020A 1997-06-04 1997-12-27 댐퍼 KR100491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6869 1997-06-04
JP9146869A JPH10331895A (ja) 1997-06-04 1997-06-04 ダンパ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311A KR19990006311A (ko) 1999-01-25
KR100491629B1 true KR100491629B1 (ko) 2005-09-06

Family

ID=1541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020A KR100491629B1 (ko) 1997-06-04 1997-12-27 댐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331895A (ko)
KR (1) KR100491629B1 (ko)
TW (1) TW34961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6986B2 (ja) * 2002-02-14 2008-10-15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及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AU2003233931A1 (en) * 2002-04-23 2003-11-10 Asem Industrieberatung Und Vermittlung Gmbh Mounting device for lowering a toilet lid with a quick-fit mounting
WO2005085670A1 (ja) * 2004-03-09 2005-09-15 Fuji Latex Co., Ltd. 緩衝装置及びそれを具備する自動販売機
JP4841290B2 (ja) * 2006-03-31 2011-12-21 株式会社ニフコ ロータリーダンパーの破壊防止機構
BRPI0717113A2 (pt) * 2006-10-20 2013-10-08 Oiles Industry Co Ltd Amortecedor e assento de veículo
JP4986990B2 (ja) * 2006-12-28 2012-07-2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5181525B2 (ja) 2007-04-27 2013-04-1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車両用シート
JP5206098B2 (ja) 2007-10-24 2013-06-1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車両用シート
JP5180231B2 (ja) 2007-12-26 2013-04-10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ダンパ装置
KR101054922B1 (ko) 2009-02-27 2011-08-05 주식회사 삼홍테크 텐션부재가 내장된 오일 댐퍼
CN102003490B (zh) * 2010-11-29 2012-12-12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缓冲器
AU2013245561B2 (en) * 2012-10-25 2016-05-2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with lid hinge having cam memb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075A (ja) * 1989-06-24 1991-02-06 Mazda Motor Corp 車両の後輪操舵装置
JPH0633966A (ja) * 1992-07-09 1994-02-08 Nifco Inc ダンパー
KR950032182U (ko) * 1994-05-06 1995-12-14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양식변기와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JPH08303514A (ja) * 1995-04-28 1996-11-19 Sankyo Seiki Mfg Co Ltd 回転ダンパ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075A (ja) * 1989-06-24 1991-02-06 Mazda Motor Corp 車両の後輪操舵装置
JPH0633966A (ja) * 1992-07-09 1994-02-08 Nifco Inc ダンパー
KR950032182U (ko) * 1994-05-06 1995-12-14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양식변기와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JPH08303514A (ja) * 1995-04-28 1996-11-19 Sankyo Seiki Mfg Co Ltd 回転ダンパ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311A (ko) 1999-01-25
TW349616U (en) 1999-01-01
JPH10331895A (ja) 1998-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629B1 (ko) 댐퍼
US5152029A (en) Hydraulic hinge
RU2253060C2 (ru) Поворотный амортизатор
US5902479A (en) Oil filter incorporating a drain valve
JP4806113B2 (ja) 時計用のシール付操作手段
US5490660A (en) Manual device for valve
CA2184050C (en) Joint assembly
MXPA01003191A (es) Dispositivo de inyeccion desechable disenado para prellenarse.
NL8004830A (nl) Sproeiinrichting.
JPS5920895B2 (ja) ガスばね
KR100491630B1 (ko) 댐퍼
US6244476B1 (en) Dispenser cap for fluid substance containers
DE2716888C3 (de) Hydrostatische Radialkolbenpumpe
DE3046753A1 (de) Hydrostatische radialkolbenpumpe
FR2779194A1 (fr) Dispositif a fluide compressible
CN111032230B (zh) 泵锁定保持结构及使用其的方法
EP0801238A1 (fr) Embout verrouillable pour élément d&#39;accouplement
WO2003050012A1 (en) Dispensing cartridge with tortuous vent path
JP4249212B2 (ja) ガス栓
US3068903A (en) Combination valve
US4353479A (en) Master cylinder reservoir and cover fastening means
JPS5924303B2 (ja) 2個部片よりなる過圧逃し弁
IE64454B1 (en) Closure device for a pressure container
CA2547327A1 (en) Blocking element for use in a valve for a non-refillable pressurized container
JP6757684B2 (ja) 液体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