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630B1 - 댐퍼 - Google Patents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630B1
KR100491630B1 KR1019970071215A KR19970071215A KR100491630B1 KR 100491630 B1 KR100491630 B1 KR 100491630B1 KR 1019970071215 A KR1019970071215 A KR 1019970071215A KR 19970071215 A KR19970071215 A KR 19970071215A KR 100491630 B1 KR100491630 B1 KR 100491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am
opening
groove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304A (ko
Inventor
카즈요시 코이즈미
요시히사 타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1999000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45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rotary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4Shape co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피스톤 또는 폐색(閉塞)부재의 성형시에 오리피스를 형성하더라도 오리피스 구멍의 면적을 작게 하더라도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한다.
피스톤 캠체(11)의 평판부(12)에, 둘레에 홈(13b)이 형성된 개구(13a)를 설치하고, 원추대모양부(32)를 가지는 폐색부재(31)를 코일스프링(34)으로 실(b)측으로부터 실(a)측으로 힘을 가하여 원추대모양부(32)에서 홈(13b)을 남게 하고 개구(13a)를 폐색한다.

Description

댐퍼
본 발명은 회동부재의 회동(回動)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한 댐퍼로서 하우징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배설된 회동체를 회동시키면,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피스톤이 이동하여, 피스톤에 의해 2개로 구획된 회동체 측의 한쪽 실에서 다른쪽 실로, 또는 다른쪽 실에서 한쪽 실로 점성유체가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유입하는 유로저항에 의해 회동체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된 것이 있다.
종래의 댐퍼는, 통상, 피스톤을 합성수지로 성형하며, 피스톤 성형시에 오리피스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리피스를 피스톤 성형시에 형성하면, 오리피스 구멍의 단면적을 작게 하려고 해도, 오리피스 구멍을 형성하는 핀의 형상, 핀의 강도에 의해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피스톤 성형시에 오리피스를 형성한 경우, 큰 제동력을 얻고자 하면 댐퍼가 커진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스톤 또는 폐색부재의 성형시에 오리피스를 형성하더라도 오리피스 구멍의 면적을 작게 하여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배설된 회동체를 회동시키면,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피스톤이 이동하고, 피스톤에 의해 2개로 구획된 회동체 측의 한쪽 실에서 다른쪽 실로, 또는 다른쪽 실에서 한쪽 실로 점성유체가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유입하는 유로저항에 의해 회동체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댐퍼에 있어서, 피스톤에 개구를 설치하고, 피스톤에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재를 배설하며, 개구의 둘레 또는 폐색부재의 둘레중 적어도 한쪽에 오리피스가 되는 홈을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개구를 원형으로 하고, 폐색부재를 원추대모양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하여, 개구를 원추대모양부로 폐색하도록 폐색부재를 폐색부재용 가압부재로 한쪽 실에서 다른쪽 실로 힘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댐퍼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하우징 본체를 개방단(開放端) 측에서 본 확대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의(a),(b),(c),(d)는 도 1에 도시한 피스톤 캠체의 확대 측면도, 피스톤 캠체를 캠부 측에서 본 확대도, 피스톤 캠체를 환상(環狀)돌(突條) 측에서 본 확대도, 도 4의(c)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의(a),(b),(c),(d)는 양(兩) 캠부의 형상, 계합(係合, 걸어맞춤)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각 부품을 조립한 상태에서의 도 2의 C-C선에 의해 일부를 파단한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D는 댐퍼를 나타내며, 하우징(1)과, 피스톤 캠체(11)와, 먼지 제거망(21)과, 폐색부재(31)와, 코일스프링(34, 41)과, 취부캡(35)과, O-링(42, 61)과, 회동캠체(51)와, 점성유체(71)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하우징(1)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닫힌 원통 모양의 합성수지제의 하우징 본체(2)와, 이 하우징 본체(2)의 개방단 측으로 취부되는 합성수지제의 캡(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2)의 내주(內周)에는 개방단에 이어져서 회동캠체(51)의 평판부(52)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안쪽 길이를 한 바퀴 돌아 형성된 단부(段部)(3a)와, 이 단부(3a)의 안쪽(하우징 본체(2)의 막힌 단부 측)에서 안쪽으로 축과 평행하게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피스톤 캠체(11)의 끼움돌기(17)를 각각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 홈(3b)과, 단부(3a)의 안쪽에서 안쪽으로 축과 평행하게 소정 길이만큼 연장한 2개의 오목부(3c)과, 이 오목부(3c)의 안쪽에 이어서 소정의 안 길이를 가지며 오목부(3c)보다도 폭이 좁은 바이패스 홈(3d)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3b), 오목부(3c) 및 바이패스 홈(3d)은 하우징 본체(2)의 축에 대하여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2)의 바닥 내측(內側)에는 코일스프링(41)의 일단을 위치결정하는 환상 위치결정 돌조(4)가 소정의 반경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2)의 외주(外周)에는 취부부재(取付部材)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부(5)가 설치됨과 동시에 캡(7)을 취부하기 위한 복수의 걸림조(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한 캡(7)에는 회동캠체(51)의 축부(54)가 회동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원형의 개구(8)와, 하우징 본체(2)의 걸림조(6)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합구멍(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합성수지제의 피스톤 캠체(11)는 원형의 평판부(12)와, 이 평판부(12)의 한쪽 면에, 축에 대하여 원통벽 모양으로 대칭으로 설치된 2개의 캠부(14)와, 상기 2개의 캠부(14)의 평판부(12)와 반대측 끝의 외주에 각각 설치되어 가이드 홈(3b)에 계합하는 끼움돌기(17)와, 평판부(12)의 다른쪽 면에 개구(13a)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환상돌조(18)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판부(12)에는 한쪽 면측에서 다른쪽 면측으로 오므려져서 끝나는 테이퍼 면을 가진 원형의 개구(13a)가 중심에 설치되며, 이 개구(13a)의 둘레 일부에 오리피스가 되는 홈(13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캠부(14)에는 회동캠체(51)의 회동캠부(53)가 맞붙는 제1캠면(15a), 제2캠면(15b), 제3캠면(15c), 스토퍼면(15d)으로 이루어지는 캠면(15)과, 걸림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부(14), 각면(15a∼15d), 걸림구멍(16) 및 끼움돌기(17)는 평판부(12)의 축에 대하여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19는 둘레 홈을 나타내며, 피스톤 캠체(11)의 평판부(12)측의 외주에 설치되어 O-링(42)을 수용하는 홈이다.
20은 둘레 리브를 나타내며, 도 4의(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 홈(19)의 캠부(14)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반경은 둘레 홈(20)에서 O-링(42)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캠부(14)의 반경보다 크고, 두께는 O-링(42)의 유지강도 등을 고려하여 필요 최소한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합성수지제의 먼지 제거망(21)은 홈(13b)의 크기보다 작은 눈으로, 가장자리가 환상돌조(18)에 용착되어 있다.
또, 상기한 합성수지제의 폐색부재(31)는 피스톤 캠체(11)의 개구(13a)를 개폐하는 원추대모양부(32)와, 이 원추대모양부(32)의 바닥면측 중심에 축방향으로 설치된 축부(33)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코일스프링(34)은 원추대모양부(32)가 피스톤 캠체(11)의 개구(13a)를 폐색하도록 폐색부재(31)에 힘을 가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합성수지제의 취부캡(35)에는 피스톤 캠체(11)의 캠부(14) 사이에 넣어서 걸림구멍(16)에 계합하는 탄성계합조(36)와, 점성유체(71)의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하우징 본체(2) 내에 장전되는 코일스프링(41)은 피스톤 캠체(11)를 하우징 본체(2)의 개방단 측으로 부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O-링(42)은 피스톤 캠체(11)의 둘레 홈(19)에 수용되어 하우징 본체(2)와 피스톤 캠체(11)와의 사이를 씰링하는 것이다.
상기한 합성수지제의 회동캠체(51)는 하우징 본체(2)의 단부(3a)부분에서 회전 가능한 원형으로, 한쪽 면의 둘레에 주회한 단부(52a)가 설치된 평판부(52)와, 이 평판부(52)의 다른쪽 면에 축에 대하여 원통벽 모양으로 대칭으로 설치되어 피스톤 캠체(11)의 2개의 캠부(14)에 계합하는 회동캠부(53)와, 다른쪽 면에 설치되어 캡(7)의 개구(8)에서 돌출하는 축부(54)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O-링(61)은 하우징 본체(2)와 회동캠체(51)와의 사이를 씰링하는 것이다.
이어서, 조립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먼지 제거망(21)은 환상돌조(18)에 용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개방단 측을 위로 향하게 한 취부캡(35) 내로 코일스프링(34)의 일단 측을 삽입하고, 코일스프링(34)의 상측으로 폐색부재(31)의 축부(33)를 삽입하여 원추대모양부(32)를 코일스프링(34)의 위에 재치(載置)한다.
그리고, 환상돌조(18), 먼지 제거망(21)을 상측으로 한 피스톤 캠체(11)의 캠부(14) 사이로, 걸림구멍(16)에 탄성계합조(36)를 대응시켜 코일스프링(34)의 위에 폐색부재(31)를 재치시킨 취부캡(35)을 하측에서 압입한다.
이와 같이, 취부캡(35)을 캠부(14) 사이로 하측에서 누르면, 탄성계합조(36)가 캠부(14)에 밀려서 내측으로 구부려지므로, 취부캡(35)이 캠부(14)의 사이를 상승함으로써 원추대모양부(32)가 개구(13a)에 끼워져 개구(13a)를 막는다. 이로 인해, 홈(13b) 부분이 점성유체(71)를 유통시키는 오리피스 구멍이 된다.
또한, 코일스프링(34)을 축소시키도록 취부캡(35)을 누르면, 탄성계합조(36)가 걸림구멍(16)의 위치에 도달하여 자체의 탄성력으로 넓게 열려서 걸림구멍(16)의 가장자리에 걸리기 때문에, 피스톤 캠체(11)에 폐색부재(31), 코일스프링(34)을 취부캡(35)으로 취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 캠체(11)에 취부캡(35)을 취부하면, 취부캡(35)은 평판부(12)에서 분리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O-링(42)을 둘레 홈(19)에 장전(裝塡)한다.
이어서, 개구단(開口端)측을 위로 향하게 한 하우징 본체(2) 내로 코일스프링(41)을 장전하여 환상 위치결정 돌조(4)의 외측(外側)에 코일스프링(41)의 일단을 위치시킨 후,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71)를 하우징 본체(2) 내로 소정량 주입한다.
그리고, 환상돌조(18), 먼지 제거망(21) 측을 하측(下側)으로 한 피스톤 캠체(11)의 캠부(14) 사이에 회동캠부(53)를 위치시켜서 피스톤 캠체(11)의 위에 회동캠체(51)를 얹은 후, 평판부(52)의 단부(52a)에 O-링(61)을 재치하고, 개구단 측을 하측으로 하여 개구(8) 내로 축부(54)를 삽입 통과시켜서 회동캠체(51) 위에 캡(7)을 얹는다.
이어서, 끼움돌기(17)를 가이드 홈(3b)에 대응시킴과 동시에 계합구멍(9)을 걸림조(6)에 대응시켜서 코일스프링(41)의 타단 내측에 환상돌조(18), 먼지 제거망(21)을 위치시킨 후, 캡(7)을 하우징 본체(2)측으로 누르면, 코일스프링(41)을 축소시키면서 끼움돌기(17)가 가이드 홈(3b)에 안내되어 피스톤 캠체(11), 회동캠부(53) 및 평판부(52)가 하우징 본체(2) 내로 들어가고, 캡(7)이 하우징 본체(2)의 외측을 하강하여 걸림조(6)가 계합구멍(9) 내로 들어감으로써, 먼지 제거망(21), 폐색부재(31), 코일스프링(34) 및 취부캡(35)이 취부된 피스톤 캠체(11)와, 코일스프링(41)과, O-링(42, 61)과, 회동캠체(51)의 일부와, 점성유체(71)를 하우징(1) 내에 수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본체(2) 내에 피스톤 캠체(11)가 삽입되면, 점성유체(71)는 O-링(42) 외측의 가이드 홈(3b), 오목부(3c) 또는 바이패스 홈(3d)을 통해 평판부(52)의 상측으로 유입하기 때문에, 하우징 본체(2)의 통부(筒部) 및 바닥과 평판부(12)로 구획된 실a, 하우징 본체(2)의 통부와 평판부(12, 52)로 구획된 실b는 점성유체(71)로 꽉 차게 되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립할 수 있다.
도 7은 덮개 및 변좌(便座)를 수조에 기대어 세운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변좌를 상향으로 최대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하향으로 회동시키는 도중의 댐퍼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변좌를 하향으로 회동시켜서 변기에 당접시킨 때의 댐퍼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변좌를 무리하게 하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의 피스톤 캠체의 평판부와 폐색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B는 변기, S는 변좌를 나타내며, 이 변좌(S)는 취부부(5)에 의해 변좌(B)의 소정위치에 취부된 댐퍼(D)의 축부(54)에 일부가 걸려서 축부(54)와 함께 회동하는 것이다.
C는 덮개를 나타내며, 댐퍼(D)의 축부(54)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취부되어 있는 것으로써,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W는 수조를 나타낸다.
이어서, 댐퍼의 동작, 즉 변좌의 회동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조(W)에 덮개(C)를 개재하여 변좌(S)가 기대어 세워지도록 변좌(S)를 상향으로 최대로(수평상태를 0도로 하여 115도) 회동시키면, 댐퍼(D)는 도 6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양 캠부(14, 53)는 도 5의(a)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캠부(53)가 스토퍼면(15d)에 당접하여 제1캠면(15a)에서 거리d만큼 떨어지고, 댐퍼(D)는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변좌(S)를 하향으로 회동시켜서 회동캠체(51)를 회동시키면, 회동캠부(53)가 거리d만큼 회동하여 스토퍼면(15d)에서 떨어지고, 도 5의(a)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각이 완만한 제1캠면(15a)에 맞닿는다.
그리고, 또한 변좌(S)를 하향으로 회동시켜서 회동캠부(53)가 제2캠면(15b)을 도 5의(b)에 도시하는 누름 상태로 되면, 변좌(S)는 도 7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기(B)에 대하여 직립한 상태가 된다.
또한, 변좌(S)를 하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캠부(53)가 제2캠면(15b)에서 떨어져 로크(lock)를 해제시키게 되므로, 이후는 변좌(S)의 자중(自重)에 의해 회동캠체(51)를 회동시키고, 회동캠부(53)가 제3캠면(15c)을 도 5의(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눌러서 최종적으로 도 5의(d)에 나타내는 누름상태로 되면, 변좌(S)는 도 7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변기(B)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각 캠면(15a∼15c)이 회동캠부(53)에 의해 눌러지면, 끼움돌기(17)가 가이드 홈(3b)으로 안내됨으로써 피스톤 캠체(11)는 코일스프링(41)을 축소시키면서 하우징 본체(2) 내를 이동하지만, 회동캠체(53)가 도 5의(a)의 제1캠면(15a)에서 도 5의(c)의 제3캠면(15c)의 시작점까지를 누를 때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a, b)가 바이패스 홈(3d)에 의해 연통(漣通)하고 있으므로, 점성유체(71)는 실a에서 실b로 바이패스 홈(3d)을 통해서 흐르기 때문에, 변좌(S)의 회동에 제동력을 줄 수가 없다.
그러나, 회동캠부(53)가 도 5의(c)에서 도 5의(d)의 방향으로 제3캠면(15c)을 누르기 시작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42)이 바이패스 홈(3d)을 지나므로 점성유체(71)는 실a에서 실b로 오리피스 구멍을 통해서 흐르기 때문에, 이후는 변좌(S)의 회동, 즉 변좌(S)의 하강에 제동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 캠체(11)는 최종적으로 도 9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이동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변좌(S)를 하강시킬 때, 변좌(S)를 무리하게 회동시켜 실(a)의 점성유체(71)의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면, 폐색부재(31)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4)을 축소시키도록 이동하므로, 원추대모양부(32)가 개구(13a)를 개방하기 때문에, 점성유체(71)는 실a에서 실b로 개구(13a) 및 홈(13b)을 통해서 유입한다.
따라서, 제동시에 무리한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댐퍼(D) 및 변좌(S)를 파손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a)를 축소시키도록 피스톤 캠체(11)가 이동할 때, 점성유체(71)는 먼지 제거망(21)에서 홈(13)을 막는 먼지가 제거된 후에 홈(13b)을 통과함으로 제동력을 부여할 때에 홈(13b)이 막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수평상태로 되어 있는 변좌(S)를 상향으로 회동시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W)에 기대어 세우면, 회동캠부(53)는 캠면(15)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피스톤 캠체(11)는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으로 회동캠체(51) 측으로 밀려 각 캠면(15c∼15a)이 회동캠부(53)에 맞닿도록 따라가고, 최종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변좌(S)를 상향으로 회동시킬 때는, 회동캠체(51)가 피스톤 캠체(11)로부터 분리되어 회동 캠체(51)에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변좌(S)를 상향으로 부드럽고 조작성이 좋게 회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하면, O-링(42)이 미끄럼 운동하는 제동 스트로크 이외의 실(b)측 하우징 본체(2)의 내주에 오목부(3c)를 설치하여 하우징 본체(2)와 피스톤 캠체(11) 및 회동캠체(51)와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하였기 때문에, 하우징 본체(2)와 회동캠체(51) 사이의 점성유체(71)에 의한 전단(剪斷)저항이 작아지게 되기 때문에, 변좌(S)를 상향으로 부드럽고 조작성이 좋게 회동시킬 수 있고, 또한 피스톤 캠체(11)의 필요부분 이외의 외주 직경을 작게 함과 동시에 피스톤 캠체(11)에 걸림구멍(16)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하우징 본체(2)와 피스톤 캠체(11)와의 사이의 점성유체(71)에 의한 전단저항이 작아지게 되므로, 피스톤 캠체(11)가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캠부(53)의 회동을 따라가 되돌아가는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동캠부(53)가 캠부(14)에 의해 로크(lock)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되는 상태까지 실(a)과 실(b)을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홈(3d)을 하우징 본체(2)의 내주에 설치하여 제동력을 부여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캠부(53)를 회동시키는 초기의 제동력을 극단적으로 감소시키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회동캠부(53)의 로크 해제시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어, 양 캠부(14, 53)의 마모,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회동범위에서 회동캠부(53)를 무리하지 않게 부드럽고 조작성이 좋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로크 상태란 변좌(S)에서 회동캠체(51)에 걸리는 회동방향으로의 하중이 코일스프링(41)의 저항을 통해 캠의 경사를 타고 넘게 되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피스톤 캠체(11)의 개구(13a)를 폐색부재(31)의 원추대모양부(32)로 폐색하므로써 홈(13b)에 의해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가 되는 홈(13b)을 피스톤 캠체(11)의 성형시에 정도(精度)가 좋게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로 큰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 폐색부재(31)를 코일스프링(34)으로 가압하여 피스톤 캠체(11)의 개구(13a)를 원추대모양부(32)로 폐색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실(a)의 점성유체(71)의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면, 폐색부재(31)는 코일스프링(34)을 축소시켜서 개구(13a)를 개방하기 때문에, 점성유체(71)는 실(a)에서 실(b)로 개구(13a) 및 홈(13b)을 통해서 유입한다.
따라서, 제동시에 무리한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댐퍼(D) 및 제동부재인 변좌(S)를 파손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또, 회동캠부(53)를 로크(lock)하는 제2캠면(15b)과 스토퍼면(15d)과의 간격을 회동 캠부(53)의 폭보다 크게 하여 회동캠부(53)를 로크하는 위치에 폭을 가지게 하였기 때문에, 변좌(S)의 하강방향으로의 회동을 제동하는 경우, 수조(W)에 기대어 세운 덮개(C)에 변좌(S)를 기대어 세울 수 있으므로, 덮개(C)로부터 변좌(S)가 분리되어 자립(自立)하지 않게 되므로, 변좌(S)를 기립시킨 때의 외관이 좋게 된다.
그리고, 회동캠부(53)를 로크하는 위치에 폭을 갖게 시켜, 회동캠부(53)가 로크 범위 내에서 로크 해제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캠면(15b)에 맞닿기 전에 맞닿는 제1캠면(15a)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설정하였기 때문에, 변좌(S)의 하중이 작은 회동캠부(53)의 로크 범위 내에서의 로크 해제 방향으로의 회동 초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둘레 홈(19)의 가장자리에 둘레 리브(20)를 설치하여 O-링(42)을 유지시키고, 피스톤 캠체(11)의 캠부(14)의 외주 직경을 작게 하여 하우징 본체(2)와 피스톤 캠체(11)와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하였기 때문에, 하우징 본체(2)와 피스톤 캠체(11)와의 사이의 점성유체(71)에 의한 전단저항이 작아지게 되므로, 피스톤 캠체(11)가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캠부(53)의 회동을 따라 되돌아 가는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먼지 제거망(21)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동력을 부여할 때, 점성유체(71)는 먼지 제거망(21)에 의해 오리피스가 되는 홈(13)을 메우는 먼지가 제거된 후에 홈(13b)을 통과하므로, 홈(13b)이 막히지 않게 되어 제동작용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도 11은 오리피스가 되는 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폐색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32a는 오리피스가 되는 홈을 나타내며, 원추대모양부(32)의 둘레면에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피스톤 캠체(11)에 설치한 개구(13a)에는 홈(13b)을 설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폐색부재(31)의 원추대모양부(32)의 주면에 오리피스가 되는 홈(32a)을 설치한 경우, 피스톤 캠체(11)에 설치한 개구(13a)에 홈(13b)을 설치한 경우와 마찬가지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의(a), 도 12의(b)는 피스톤 캠체의 캠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15e, 15f는 제2캠면(15b)에 나란히 늘어서 있는 제3캠면을 나타낸다.
도 12의(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면(15)을 구성하면, 제3캠면(15e)이 돌출하는 원호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좌(S)가 하강하는 움직임을 슬로우 스타트·퀵 엔드로 할 수 있다.
도 12의(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면(15)을 구성하면, 제3캠면(15f)이 단붙이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좌(S)가 하강하는 움직임을 슬로우 스타트에서 퀵으로 만든후, 슬로우엔드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면(15)을 구성하면, 제3캠면(15c)이 조금 들어간 원호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좌(S)가 하강하는 움직임을 퀵스타트·슬로우엔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캠면(15)을 구성하는 제3캠면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피스톤 캠체(11)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변좌(S)가 하강하는 움직임에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캠체(11)에 형성한 개구(13a)를 원추대모양부의 둘레면과 같이 형성하였지만, 원형의 개구이어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오리피스가 되는 홈(13b)을 피스톤 캠체(11)의 개구(13a)에 설치한 경우와 오리피스가 되는 홈(32a)을 폐색부재(31)의 원추대모양부(32)의 주면에 설치한 경우를 도시했지만, 양 홈(13b, 32a)을 설치한 경우도 마찬가지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피스톤 캠체(11)에 설치한 개구(13a)를, 홈(13b)을 남게 하여 코일스프링(34)에 의해 가압된 폐색부재(31)의 원추대모양부(32)로 폐색하였지만, 홈(13b)을 남게 하여 개구(13a)를 폐색하는 폐색부재를 피스톤 캠체(11)에 배치한다든지, 이 폐색부재에 오리피스가 되는 홈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스톤에 개구를 설치하고, 피스톤에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재를 배치하여, 개구의 둘레 또는 폐색부재의 둘레중 적어도 한쪽에 오리피스가 되는 홈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가 되는 홈을 피스톤 또는 폐색부재의 성형시에 정도가 좋게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로 큰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으로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개구를 원형으로 하고, 폐색부재를 원추대모양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하여, 개구를 원추대모양부로 폐색하도록 폐색부재를 폐색부재용 가압부재에 의해 한쪽 실측에서 다른쪽 실 측으로 가압하였기 때문에, 점성유체가 다른쪽 실측에서 한쪽 실측으로 유입할 때에 제동력을 얻는 일방향성의 것에 적용한 경우, 다른쪽 실의 점성유체의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면, 폐색부재는 폐색부재용 가압부재를 축소시켜서 개구를 개방하기 때문에, 점성유체는 다른쪽 실에서 한쪽 실로 개구 및 홈을 통해 유입한다.
따라서, 제동시에 큰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댐퍼 및 제동부재를 파손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댐퍼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하우징 본체를 개방단(開放端)측에서 본 확대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의(a)는 도 1에 도시한 피스톤 캠체(體)의 확대 측면도, (b)는 피스톤 캠체를 캠부(部)측에서 본 확대도, (c)는 피스톤 캠체를 환상돌조(環狀突條)측에서 본 확대도, (d)는 도 4의(c)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의(a),(b),(c),(d)는 양 캠부의 형상, 계합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각 부품을 조립한 상태에서의 도 2의 C-C선에 의해 일부를 파단한 설명도,
도 7은 덮개 및 변좌(便座)를 수조에 기대어 세운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변좌를 상향으로 최대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하향으로 회동시키는 도중의 댐퍼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변좌를 하향으로 회동시켜서 변기에 맞닿게 한 후의 댐퍼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변좌를 무리하게 하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의 피스톤 캠체의 평판부와 폐색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오리피스가 되는 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의(a),(b)는 피스톤 캠체의 캠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댐퍼, 1...하우징,
2...하우징 본체, 3a...단부(段部),
3b...가이드 홈, 3c...오목부(凹部),
3d ... 바이패스 홈,
4...환상 위치결정 돌조(環狀位置決定突條),
5...취부부(取付部), 6...걸림조(係止爪),
7...캡, 8...개구,
9...계합구멍, 11...피스톤 캠체,
12...평판부, 13a...개구,
13b...홈, 14...캠부,
15...캠면, 15a...제1캠면,
15b...제2캠면, 15c...제3캠면,
15d...스토퍼면, 15e...제3캠면,
15f...제3캠면, 16...걸림구멍,
17...끼움돌기, 18...환상돌조,
19...둘레홈, 20...둘레 리브,
21...먼지 제거망, 31...폐색부재,
32...원추대모양부, 32a...홈,
33...축부, 34...코일스프링,
35...취부캡, 36...탄성계합조(彈性係合爪),
37...개구, 41...코일스프링,
42...O-링, 51...회동캠체,
52a...단부(段部), 52...평판부,
53...회동캠부, 54...축부,
61...O-링, 71...점성유체,
a, b...실(室) B...변기,
S...변좌(便座), C...덮개,
W...수조.

Claims (2)

  1. 점성유체가 충전된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과 캠결합하여 그 회동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2개의 실(室)로 구분되는 회동체와;
    상기 2개의 실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 내의 점성유체가 상기 2개의 실 사이를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오리피스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유입하는 점성유체의 유로(流路)저항에 의해 상기 회동체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과 회동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체와의 사이에 개재된가압부재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의 개구에 삽입되어 이를 폐색하는 폐색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개구의 내주 또는 상기 폐색부재의 외주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된 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색부재는 상기 원형의 개구에 삽입되어 이를 폐색하는 원추대 모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KR1019970071215A 1997-06-04 1997-12-20 댐퍼 KR100491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6868 1997-06-04
JP9146868A JPH10331894A (ja) 1997-06-04 1997-06-04 ダンパ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304A KR19990006304A (ko) 1999-01-25
KR100491630B1 true KR100491630B1 (ko) 2005-09-12

Family

ID=1541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215A KR100491630B1 (ko) 1997-06-04 1997-12-20 댐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331894A (ko)
KR (1) KR100491630B1 (ko)
TW (1) TW34206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04296T3 (es) 2007-12-26 2022-04-04 Sugatsune Kogyo Amortiguador rotatorio
ES2754049T3 (es) * 2007-12-26 2020-04-15 Sugatsune Kogyo Aparato amortiguador
JP5286918B2 (ja) * 2008-04-30 2013-09-1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車両用シート
JP5272501B2 (ja) * 2008-04-30 2013-08-28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車両用シート
KR100937780B1 (ko) * 2009-06-08 2010-01-20 주식회사 삼홍테크 캠을 이용한 오일 댐퍼
CN102440715B (zh) * 2011-08-17 2013-09-18 王湘冀 一种慢落转轴机构
CN102587778B (zh) * 2012-01-17 2015-01-21 李飞勇 一种变阻力阻尼器
JP7134466B2 (ja) * 2018-05-21 2022-09-1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回転ダンパー付きヒンジ並びに各種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966A (ja) * 1992-07-09 1994-02-08 Nifco Inc ダンパー
JPH06277164A (ja) * 1993-03-29 1994-10-04 Inax Corp 便座等の作動軸
JPH08303514A (ja) * 1995-04-28 1996-11-19 Sankyo Seiki Mfg Co Ltd 回転ダンパ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966A (ja) * 1992-07-09 1994-02-08 Nifco Inc ダンパー
JPH06277164A (ja) * 1993-03-29 1994-10-04 Inax Corp 便座等の作動軸
JPH08303514A (ja) * 1995-04-28 1996-11-19 Sankyo Seiki Mfg Co Ltd 回転ダンパ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31894A (ja) 1998-12-15
TW342063U (en) 1998-10-01
KR19990006304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630B1 (ko) 댐퍼
US5152029A (en) Hydraulic hinge
US7377711B2 (en) Liquid cosmetic case
US5992693A (en) Device for packaging two components
KR100491629B1 (ko) 댐퍼
US4298036A (en) Dispenser for stick solids
CA1238022A (en) Manually actuated pump having pliant piston
KR200385288Y1 (ko) 화장품 용기
JPS5920895B2 (ja) ガスばね
DE3246105A1 (de) Fluessigkeits-abgabepumpe
JPH0221042A (ja) ガスばねのピストン棒のためのシール部材
US4035921A (en) Lockable spout closure assembly
DE4119090C2 (de) Drehdämpfer
CA2489274A1 (en) Valve for a non-refillable pressurized container
US4131139A (en) Gas filling method for gas spring
KR101345236B1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KR0149119B1 (ko) 회전댐퍼
US4353479A (en) Master cylinder reservoir and cover fastening means
JPS5924303B2 (ja) 2個部片よりなる過圧逃し弁
JP6071794B2 (ja) 揮散容器
US5174673A (en) Cosmetic stick holder with locking projection
KR102121793B1 (ko) 화장품 용기
KR101325673B1 (ko) 회전식 오일댐퍼
KR200187613Y1 (ko) 힌지형 도어 클로져
KR200332083Y1 (ko)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