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340B1 -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광디스크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광디스크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340B1
KR100491340B1 KR10-1999-7007202A KR19997007202A KR100491340B1 KR 100491340 B1 KR100491340 B1 KR 100491340B1 KR 19997007202 A KR19997007202 A KR 19997007202A KR 100491340 B1 KR100491340 B1 KR 100491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tream
audio
stream
delete delet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937A (ko
Inventor
야기도모타카
미와가츠히코
오카다도모유키
츠가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discontinuous data, e.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computer programme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33Copying or moving data from one record carrier to anoth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1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저장한다. 비디오 스트림,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더빙용을 위해 이용되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각각의 비디오 오브젝트에 다중화된다. 또한 광디스크 재생장치는 오디오 스트림 생성수단에 의해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다중화수단에 의해 비디오 오브젝트 및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함께 각각의 비디오 오브젝트에 다중화된다. 상기 생성된 비디오 오브젝트는 기록수단에 의해 판독가능한 광디스크상에 기록된다. 이러한 비디오 오브젝트가 저장된 광디스크는 더빙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광디스크 재생방법{OPTICAL DISC 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PRODUCING METHOD FOR REPRODUCING AUDIO STREAM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광디스크 기록장치, 광디스크 기록방법 및 광디스크 기록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광디스크 기록장치 및 더빙을 용이하게 하는 광디스크 기록방법 및 더빙을 용이하게 하는 광디스크 기록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일종인 DVD(Digital Video/Versatile DISC) 램(RAM)이 상용화되고 있다. DVD 램은 수기가 바이트(GB)의 용량을 갖는 상변화형 디스크이다. 현재 AV(Audio Visual) 데이터를 압축/부호화하는 표준인 MPEG 및 MPEG2가 실용화되고 있고, DVD 램은 컴퓨터에서 뿐만 아니라 AV 기록/재생매체로도 이용될 것이 기대되고 있다. 즉 현재까지의 주요한 AV 기록/재생매체인 자기테이프를 대체하여 DVD 램이 활발하게 이용될 것이 기대되고 있다.
사용자는 판독전용의 DVD(이하, DVD-ROM이라 함)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는 없지만 DVD 램 상에는 기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DVD 램은 광범위한 사용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자기테이프와 같은 종래의 광디스크 상에 더빙을 실행하는 것이 용이하지는 않다.
자기테이프는 비디오 트랙과 오디오 트랙을 기록하기 위한 독립적인 영역을 갖는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각각 독립적인 자기헤드를 통해 자기테이프에 기록되고 자기테이프로부터 판독된다. 따라서 자기테이프에 오디오 데이터의 더빙을 실행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아날로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경우에, 자기테이프로부터 판독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데이터를 헤드를 통해 재생하기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지연)은 거의 영(zero)이다. 이것은 입력 오디오데이터 또는 비디오데이터를 헤드를 통해 자기테이프에 기록하기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지연)과 같다. 결국 자기테이프에 기록되는 데이터가 재생되는 것과 같은 시간에 데이터가 자기테이프 상에 기록될 수 있다.
반면에 광디스크의 경우에,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이 하나의 MPEG 스트림으로 다중화되어 디스크 상에 기록된다. 또한 광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 판독과 광디스크로의 데이터 기록을 위하여 단 하나의 픽업만이 이용된다. MPEG 스트림에서, 비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스트림 앞에 배치되며 처리도 오디오 스트림보다 빨리 된다. 이것은 복호될 비디오데이터의 양이 복호될 오디오데이터의 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MPEG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와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은 광디스크 상에 더빙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더빙을 실행하기 어렵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설명한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인 DVD 램 디스크의 외양 및 기록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섹터의 헤더에서의 DVD 램의 표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A는 DVD 램 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구역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리드 인 영역, 리드 아웃 영역 및 구역영역(0∼23)의 수평정렬을 도시한 도면.
도 3C는 볼륨영역에서의 논리섹터번호(LSNs)를 도시한 도면.
도 3D는 볼륨영역에서의 논리블록번호(LBNs)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구역영역, ECC블록 및 섹터간의 계층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DVD 램 디스크에 기록되는 디렉토리와 AV 데이터 및 비AV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AV 데이터 파일 "Movie1.VOB", "Movie2.VOB"로서 기록된 VOB를 도시한 도면.
도 6B는 엘리먼트리 스트림이 다중화된 VOB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부분 더빙이 오디오 스트림 #1에서 실행되었을 때 오디오 스트림 #1에서 생성된 경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비디오 팩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오디오 팩(MPEG 오디오)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오디오 팩(AC-3)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오디오 팩(선형 PCM)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AV 데이터 관리파일의 데이터 구조를 계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셀 시작시간", "셀 재생시간", "셀 시작 어드레스", "셀 종료 어드레스", "VOB 시작 어드레스", "VOB 종료 어드레스" 및 VOB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VOBI에서 "오디오1 속성"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의 각각의 값에 의해 지시되는 수개의 정보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16은 DVD 레코더(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6에 도시한 MPEG 디코더(4)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9는 도 16에 도시한 MPEG 인코더(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0은 더빙공정 중에 실행되는 연산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디스크 액세스부(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시스템인코더(2e)에 의해 실행되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 #0의 팩을 생성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3은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팩을 생성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4는 시스템인코더(2e)가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 #0 및 오디오 스트림 #1을 팩단위로 다중화하는 다중화공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5는 시스템인코더(2e)로부터 출력되는 VOB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비디오 디코더 버퍼의 시뮬레이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디스크 액세스부(3)가 판독/기록을 실행할 때의 타이밍과, MPEG 인코더(2)가 오디오 스트림 #1을 재기록할 때의 타이밍에서의 더빙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시간주기 동안에 판독 및 기록된 VOB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도 27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제어부(1)에 의해 실행되는 도 21에 도시한 스위치(3d, 3e)의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2조의 오디오 인코더 및 오디오 버퍼를 포함하는 MPEG 인코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엘리먼트리 스트림이 다중화되는 제 2 실시예에서의 VOB의 구조를 도시하는 구조도.
도 32는 부화상 팩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AV 데이터 관리파일의 데이터구조를 계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MPEG 인코더(1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5는 MPEG 디코더(14)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테이프 매체와 같이 용이하게 더빙을 실행할 수 있는 광디스크, 광디스크 기록장치,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광디스크 기록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비디오 스트림,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더빙용으로 이용되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되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비디오 오브젝트에 미리 기록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더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분리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원본의 오디오 데이터(제 1 오디오 스트림)와 함께 더빙용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달성할 수 없었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몇 가지 언어의 발음연습용 애플리케이션과 가라오케용 더빙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 원본의 오디오 데이터를 유지하면서 더빙을 반복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 주기와 동일한 재생시간 주기를 갖게 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오디오 스트림이 재생주기 전체에 걸쳐 제 2 오디오 스트림 상에 더빙되는 것을 보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와 동일한 비트 레이트로 기록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품질과 동일한 오디오 품질을 보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인코딩 모드와 동일한 샘플링 주파수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소스를 갖는다. 이것은 오디오 스트림이 부분 더빙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부분더빙이 실행되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더빙 데이터가 기록되는 부분이외의 부분에서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는 재생도중에 제 1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전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각각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팩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복수의 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복수의 팩의 각각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복수의 팩의 대응하는 것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에 팩단위로 대응하고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부분더빙외에도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더빙전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것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 팩을 대응하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팩으로 복사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의 각각은 비디오 오브젝트에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상태를 나타내고, 더빙이 대응하는 비디오 오브젝트의 제 2 오디오 스트림에서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는 더빙스트림이 관리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더빙을 실행하는지의 여부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의 각각은 또한 제 1 상태, 제 2 상태 및 제 3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제 1 상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상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 3 상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와는 무관함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는 관리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더빙스트림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하나는 비디오 스트림이고 다른 하나는 오디오 데이터 및 부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더빙용으로 이용되는 더빙 스트림인 복수의 엘리먼트리 스트림이 다중화되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기록한 데이터 영역과,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를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의 각각은 대응하는 비디오 오브젝트의 더빙 스트림의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영역을 포함하는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더빙스트림이 이전 비디오 오브젝트에 다중화되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부화상 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가 기록되는 영역이 보증된다. 이것으로 더빙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가 관리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더빙스트림이 더빙되는지의 여부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더빙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부화상 데이터의 더빙용으로 이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의 각각은 복수의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을 포함하며, 복수의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의 각각은 소정의 재생시간 주기에 대응하는 비디오 스트림의 일부를 포함하고, 비디오 스트림의 일부와 함께 재생될 더빙 스트림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빙 스트림의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화상에 대응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의 각각은 대응하는 비디오 오브젝트의 더빙 스트림에서 더빙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각각의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에 포함된 더빙스트림의 일부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정지화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정지화상이 각각의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에 용이하게 더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비디오 스트림,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로서, 비디오 스트림과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수신된 제 1 오디오 스트림에 기초하여 더빙용으로 이용되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오디오 스트림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된 제 2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수신된 비디오 스트림 및 상기 수신된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에 다중화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다중화수단, 및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광디스크 상에 제 1 기록이 진행되는 동안에 이전 비디오 오브젝트에 다중화된다. 결과적으로 더빙을 용이하게 하는 비디오 오브젝트가 이미 기록된 광디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분리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원본의 오디오 데이터(제 1 오디오 스트림)와 함께 더빙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각각 고정된 크기를 갖는 팩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 생성수단은 상기 수신된 제 1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팩을 차례로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 저장된 팩이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출력이 되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 상기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팩은 타임 스탬프와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 스탬프는 각각의 팩이 재생장치의 트랙버퍼로부터 출력될 때의 시간을 특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버퍼에 저장된 팩의 타임 스탬프와 스트림 식별자를 갱신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각각의 팩을 거의 원본대로 복사함으로써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것은 광디스크 기록장치가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오디오 인코더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해준다.
또한 상기 광디스크 기록장치는 광디스크로부터 비디오 오브젝트를 판독하는 판독/기록 수단과, 상기 판독된 비디오 오브젝트의 일부를 저장하는 제 1 판독버퍼와, 광디스크 상에 기록될 상기 판독된 비디오 오브젝트의 일부를 저장하는 제 1 기록버퍼를 포함하는 제 1 버퍼수단과, 상기 판독된 비디오 오브젝트의 일부를 저장하는 제 2 판독버퍼와, 광디스크 상에 기록될 상기 판독된 비디오 오브젝트의 일부를 저장하는 제 2 기록버퍼를 포함하는 제 2 버퍼수단, 및 제 1 버퍼수단과 제 2 버퍼수단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비디오 오브젝트가 광디스크로부터 판독되거나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동안, 제 1 버퍼수단과 제 2 버퍼수단중 다른 하나의 판독버퍼에 저장된 비디오 오브젝트의 부분의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갱신되고, 상기 갱신된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비디오 오브젝트의 부분이 상기 다른 버퍼수단의 기록버퍼에 저장되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더빙제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판독/기록수단은 제 1 기록버퍼의 비디오 오브젝트의 부분과 제 2 기록버퍼의 비디오 오브젝트의 부분을 광디스크 상에 차례로 기록하고,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더빙이 실행된 후, 상기 더빙제어수단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복사함으로써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더빙전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더빙제어부는 제 1 및 제 2 버퍼부를 번갈아 전환하여 광디스크를 판독/기록하거나 또는 더빙(제 2 오디오 스트림을 갱신)을 실행한다. 이렇게 하여 재생 및 더빙이 실시간에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더빙이 제 2 오디오 스트림에서 실행된 후에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원본의 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상기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빙제어수단은 상기 판독/기록수단에 의해 판독된 비디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관리정보를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기록수단에 명령하고, 상기 정보가 비디오 오브젝트 상에서 더빙이 실행된 것임을 나타내도록 관리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관리정보를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도록 상기 판독/기록수단에 명령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비디오 오브젝트 상에 더빙이 실행된 것을 나타내도록 관리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광디스크 기록장치는,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더빙용으로 이용되는 더빙스트림을 생성하는 더빙스트림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된 더빙스트림과 수신된 비디오 스트림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에 다중화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다중화수단과, 대응하는 비디오 오브젝트의 더빙 스트림에 더빙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로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정보 생성수단, 및 생성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와 생성된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를 광디스크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광디스크 기록장치는 광디스크 상에 최초로 기록하는 동안에 이전 비디오 오브젝트에 더빙 스트림을 다중화한다. 결과적으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부화상 데이터의 더빙을 용이하게 하는 비디오 오브젝트가 이미 기록된 광디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이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가 관리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더빙 스트림이 더빙되는지의 여부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비디오 스트림 및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획득하는 획득단계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 주기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제 2 오디오 스트림 내에 기록되는 비트 레이트를 갖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오디오 스트림 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 2 오디오 스트림, 상기 획득된 비디오 스트림 및 상기 획득된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로 다중화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광디스크 상에 최초로 기록되는 동안에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이전 비디오 오브젝트에 다중화된다. 결국 더빙을 용이하게 하는 비디오 오브젝트가 미리 기록된 광디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분리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더빙 오디오 데이터를 원본의 오디오 데이터(제 1 오디오 스트림)와 함께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광디스크 상에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기록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비디오 스트림과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컴퓨터에 명령하는 프로그램 세그먼트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 주기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제 2 오디오 스트림 내에 기록되는 비트 레이트를 갖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컴퓨터에 명령하는 프로그램 세그먼트와, 상기 생성된 제 2 오디오 스트림, 수신된 비디오 스트림 및 수신된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로 다중화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생성하도록 컴퓨터에 명령하는 프로그램 세그먼트 및 ,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도록 컴퓨터에 명령하는 프로그램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저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광디스크 상에 최초로 기록되는 동안에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이전 비디오 오브젝트에 다중화한다. 결국 더빙을 용이하게 하는 비디오 오브젝트가 이미 기록된 광디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분리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더빙 오디오 데이터가 원본의 오디오 데이터(제 1 오디오 스트림)와 함께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갖게 된다.
또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서, 상기 수신된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각각이 고정된 크기를 갖는 팩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 생성 프로그램 세그먼트는 상기 수신된 제 1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팩을 버퍼에 차례로 임시 저장하도록 컴퓨터에 명령하고, 버퍼에 저장된 팩이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출력이 되도록 제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명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서, 각각의 팩은 상기 각각의 팩은 타임 스탬프와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 스탬프는 각각의 팩이 재생장치의 트랙버퍼로부터 출력되는 시간을 특정하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 생성 프로그램 세그먼트는 버퍼에 저장된 팩의 타임 스탬프와 스트림 식별자를 갱신하도록 컴퓨터에 명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저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각각의 팩을 거의 원본대로 복사함으로써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더빙된 후,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복사함으로써,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더빙전의 상태로 복원하도록 컴퓨터에 명령하는 프로그램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2 오디오 스트림 상에 더빙이 실행된 후에 원본의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광디스크를 재생하는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상기 광디스크는 비디오 스트림,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과,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 주기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기록되는 비트 레이트를 갖고,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의 각각은 추가로 제 1 상태, 제 2 상태, 제 3 상태 및 제 4 상태 중의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제 1 상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상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소스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 3 상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와는 무관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 4 상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더빙됨을 나타내며, 상기 광디스크 재생장치는, 광디스크로부터의 비디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비디오 오브젝트와 관리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판독된 비디오 오브젝트에 포함된 비디오 스트림과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관리정보가 제 4 상태를 나타낼 때, 재생수단은 사용자로부터의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을 변경하라는 명령에 따라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을 변경하도록 허용하고, 관리정보가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때, 재생수단은 그 명령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일지라도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오디오 스트림이 변경될수 없음을 통지하도록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어부는 광디스크가 더빙을 실행할 때(제 3 상태) 재생부가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을 변경하고, 광디스크상에서 더빙이 실행되지 않을 때(제 1 및 제 2 상태) 사용자에게 오디오 스트림이 변경될 수 없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재생부를 제어한다. 즉 광디스크 재생장치는 더빙이 아직 실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디오 스트림이 종료될 수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경고하게 한다. 사용자에게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통지된다. 만약 광디스크 상에서 더빙이 실행되지 않았을 때(제 1 또는 제 2 상태) 제 1 오디오 스트림이 제 2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경된다면, 사용자는 동일한 소리를 듣게 될 것이기 때문에 재생장치가 고장나서 오디오 스트림을 변경할 수 없다고 생각되는 동작으로 오해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은 광디스크를 재생하는 광디스크 재생방법에 의해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광디스크는, 비디오 스트림,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과,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 주기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기록되는 비트 레이트를 갖고, 하나 이상의 관리정보의 각각은 추가로 제 1 상태, 제 2 상태, 제 3 상태 및 제 4 상태 중의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제 1 상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상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소스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 3 상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와는 무관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 4 상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더빙됨을 나타내며, 상기 광디스크 재생방법은, 광디스크로부터 비디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비디오 오브젝트와 관리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단계와, 판독된 비디오 오브젝트에 포함된 비디오 스트림과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재생단계와, 관리정보가 제 4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자로부터의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을 변경하라는 명령에 따라 재생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을 변경하도록 허용하고, 관리정보가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때, 그 명령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일지라도 재생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을 변경하도록 허용하지 않고, 재생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오디오 스트림이 변경될 수 없음을 통지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광디스크 재생방법은 더빙이 아직 실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디오 스트림이 변경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이유를 통지받게 된다. 만약 더빙이 광디스크 상에 실행되지 않았을 때(제 1 및 제 2 상태) 제 1 오디오 스트림이 제 2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경된다면, 사용자는 동일한 소리를 듣게 될 것이기 때문에 재생장치가 고장나서 오디오 스트림을 변경할 수 없다고 생각되는 동작으로 오해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1 광디스크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설명한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인 DVD 램 디스크의 외양 및 기록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D 램 디스크는 그 최내주부에 리드 인 영역(lead in area)과, 최외주부에 리드 아웃 영역(lead out area)을 갖고, 그 사이에 데이터 영역(data area)을 갖는다.
상기 리드 인 영역에는 기록/재생장치의 서보를 안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참조신호와 다른 미디어로부터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식별신호를 기록한다.
상기 리드 아웃 영역에는 상기 리드 인 영역에서와 같은 종류의 참조신호를 기록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영역은 DVD 램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최소단위인 섹터로 분할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섹터의 크기는 2KB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는 파일시스템 관리정보, AV 데이터, AV 데이터 관리정보 및 비 AV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파일시스템 관리정보는 DVD 램 디스크의 디렉토리 구조, 기록된 파일의 위치 및 데이터 영역지정 상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파일시스템 관리정보는 파일이 생성, 기록, 판독 또는 삭제될 때 이용된다.
상기 AV 데이터는 각각 비디오 오브젝트(VOBs)에 대응하는 파일 단위로 기록된다. 각각의 VOB는 하나의 연속기록으로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의해 디스크에 기록된다. 예를 들어 VOB의 컨텐츠는 영화의 전체 또는 일부분, 또는 TV 프로그램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다.
상기 비AV 데이터는 AV 데이터이외이 데이터이며 파일 단위로 기록된다.
도 2는 섹터의 헤더에서의 DVD 램의 표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섹터는 금속막 및 비평탄부 등의 반사막의 표면에 형성된 피트열(pit sequence)로 구성된다.
상기 피트열은 섹터의 어드레스를 나타내기 위해 DVD 램의 표면에 0.4㎛∼1.87㎛의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평탄부는 "그루브"로 불리는 오목부와 "랜드"로 불리는 볼록부로 형성된다. 각각의 오목부와 볼록부는 그 표면에 부착되어 위상변경할 수 있는 금속막으로 형성된 기록마크를 갖는다. 여기에서 "위상변경 가능"이라는 의미는 금속막이 경빔에 노출되었는지에 따라 수정상태 또는 비수정상태로 될 수 있는 기록마크를 갖는다. 이러한 위상변경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비평탄부에 기록될 수 있다. MO(Megnetic-Optical) 디스크는 랜드부 상에만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반면에 DVD 램에는 랜드부와 그루브부의 양쪽에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고, 이것은 DVD 램 디스크의 기록밀도가 MO 디스크의 기록밀도를 초과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오류정정 처리가 16섹터의 각 그룹에 대해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16섹터의 각 그룹에는 ECC 블록으로 불리는 ECC(Error Correcting Code)가 부여된다.
DVD 램에서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구역영역으로 분할되어 기록/재생장치가 기록 및 재생되는 동안에 Z-CLV(Zone-Constant Linear Velocity)로 불리는 회전제어를 실행한다.
도 3A는 DVD 램 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구역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D 램은 구역 0∼23으로 번호가 부여된 24개의 구역영역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구역영역은 동일한 각속도를 이용하여 액세스되는 트랙의 군(group)이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구역영역은 1888개의 트랙을 갖는다. 상기 DVD 램의 회전각속도는 각 구역마다 별도로 설정되고, 이 속도는 구역영역이 디스크의 내주부로 위치할수록 점점 커지게 된다. 이것은 단독 구역영역 내에서 액세스를 실행하는 동안 광디스크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되는 것을 보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DVD 램의 기록밀도가 향상되고, 기록 및 재생되는 동안에 회전제어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리드 인 영역, 리드 아웃 영역 및 구역영역(0∼23)의 수평정렬을 도시한 도면이다.
리드 인 영역과 리드 아웃 영역은 각각 내측에 DMA(Defect Management Area;결함관리영역)를 갖는다. 상기 DMA는 결함을 포함하는 섹터를 찾는 섹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와; 대체영역에 위치한 결함섹터를 대체하는 섹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대체위치정보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역 영역은 그 내측에 사용자영역을 갖고, 대체영역 및 미사용영역은 구역영역 간의 경계에 제공된다. 사용자영역은 기록영역으로서 파일시스템에 의해 이용되는 영역이다. 대체영역은 결함섹터들이 발견되었을 때 결함섹터들을 대체하기 위해 이용된다. 미사용영역은 데이터기록용으로 이용되지 않는 영역이다. 미사용영역으로는 단지 약 2트랙만이 이용될 뿐이고, 이러한 미사용영역은 섹터 어드레스의 식별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것은 섹터 어드레스가 동일 구역내에서 인접한 트랙에 동일 위치에 기록되는 동안에, Z-CLV 섹터 어드레스는 구역경계의 인접트랙의 다른 위치에 기록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데이터 기록용으로 이용되지 않는 섹터는 구역영역간의 경계에 존재한다. 따라서 DVD 램에서 논리섹터번호(LSN:Logical Sector Number)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이용되는 섹터만을 내주부로부터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차례대로 사용자영역의 물리적인 섹터를 지정한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정된 논리섹터번호(LSNs)의 섹터로 구성된 영역은 볼륨영역으로 불린다.
또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륨영역의 최내주부와 최외주부에서, 볼륨구조정보는 논리볼륨으로서 디스크를 취급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기록된다. 볼륨영역에서 볼륨구조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분할영역이라고 한다. 상기 분할영역에는 파일이 기록된다. 상기 논리블록번호(LBN:Logical Block Number)는 제 1 섹터로부터 개시하여 순서대로 분할영역의 섹터를 지정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논리블록번호를 섹터어드레스라고 한다.
도 4는 구역영역, ECC블록 및 섹터간의 계층적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역영역은 복수의 ECC 블록을 포함한다. 광디스크에서 기록용 장치는 연속기록영역 단위로서의 영역이 AV 데이터로 지정되어 각각의 연속기록영역이 AV 데이터의 끊임없는 재생을 보증하는 반면에, 섹터단위로서의 영역은 비 AV 데이터로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각각의 연속기록영역은 ECC 블록단위의 연속섹터로 구성되고(바꾸어 말하면, 각각의 영역은 ECC 블록의 정수배), 소정의 크기(대략 7MB) 이상을 가지며, 각각의 연속기록영역은 구역간의 경계를 초과하지 못한다. 그러나 AV 데이터가 복수의 익스텐트(extents)를 포함하면 마지막의 익스텐트는 소정의 크기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연속기록영역이 구역간 경계를 초과하지 못하는 이유는, 구역경계가 초과되면 광디스크의 회전각속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연속재생을 방해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각각의 연속기록영역이 ECC 블록의 정수배인 이유는 ECC 블록이 ECC 공정에서 취급되는 최소단위이기 때문이다.
(1-2 AV 파일(VOB) 및 AV 데이터 관리파일)
도 5는 DVD 램 디스크에 기록되는 디렉토리와 AV 데이터 및 비AV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타원형은 디렉토리를 나타내고 장방형은 파일을 나타낸다.
디렉토리 "ROOT"는 디렉토리 "RTRW"와 2개의 비 AV 데이터 파일로 "File1.DAT", "File2.DAT" 를 포함한다. 상기 디렉토리 "RTRW"는 AV 데이터 관리파일 "RTRW.IFO"와 복수의 AV 데이터 파일로 "Movie1.VOB", "Movie2.VOB", … 를 포함한다. 각각의 AV 파일은 하나의 VOB를 나타낸다. 상기 AV 데이터 관리파일은 현재 디렉토리 "RTRW" 또는 광디스크상에 기록된 AV 파일들을 관리하는데 이용되는 기록정보에 대한 파일이다.
(1-2-1 VOB의 데이터 구조)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V 파일 "Movie1.VOB", "Movie2.VOB", … 은 하나의 VOB로서 각각 데이터영역에 기록된다.
도 6B는 엘리먼트리 스트림(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VOB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VOB(70)는 비디오 스트림(72), 오디오 스트림(73) 및 오디오 스트림(74)를 포함한다. 오디오 스트림(74)은 더빙용으로 이용된다. 상기 더빙전용의 오디오 스트림(74)은 오디오 스트림(73)과 동일한 비트 레이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오디오 스트림(74)이 오디오 스트림(73)으로부터의 비트 레이트와 다른 비트 레이트를 갖는 경우에도 상기 오디오 스트림(74)이 상기 오디오 스트림(73)과 동일한 시간주기를 갖는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한다면 문제는 없다.
상기 비디오 스트림(72)은 가변길이 비트 레이트를 갖는 압축된 데이터 열이다. 상기 비디오 스트림(72)은 각각이 복수의 화상을 포함하는 GOP(Group Of Pictures)를 복수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화상(71)은 MPEG2 표준에서 정의한 I(Intra)픽처, P(Predictive)픽처 및 B(Bidirectionally Predictive)픽처 중의 하나인 압축되거나 인코드된 화상을 포함한다. 또한 도 6B에서 GOP(71a)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GOP는 적어도 하나의 I 픽처를 포함하고, 대략 0.5초의 재생시간 주기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부이다. 이것은 대략 0.5초의 단위로 독립적인 재생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도면의 비디오 화상(71)은 디코딩의 순서로 도시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순으로 도시되는 것은 아니다.
오디오 스트림 #0(73)은 비디오 스트림과 동시에 재생될 오디오 데이터이다. DVD 램에서 MPEG 오디오, AC-3 및 선형 PCM 중의 어느 하나의 모드가 오디오 스트림을 인코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MPEG 오디오 또는 AC-3 모드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압축되고, 선형 PCM 모드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압축되지 않는다. 상기 오디오 스트림 #0(73)은 상기 3가지 인코딩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인코드된다.
오디오 스트림 #1(74)은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이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 #0(73)과 동일한 재생시간 주기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오디오 스트림 #0과 #1은 동일한 인코딩 모드와, 동일한 비트 레이트 및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갖는다.
상기 VOB(70)는 VOBU 75a,VOBU 75b, VOBU 75c … 순으로 정렬된 복수의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VOBUs)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VOBU는 하나의 GOP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각 VOBU는 각각의 엘리먼트리 스트림에 속하는 팩을 포함한다. 각각의 팩은 고정된 길이(2KB)를 갖고 엘리먼트리 스트림의 일부인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팩(V_PCK 72a, V_PCK 72b, … )은 각각 비디오 스트림(72)의 일부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팩(A0_PCK 73a, A0_PCK 73b, … )은 각각 오디오 스트림(73)의 일부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팩(A1_PCK 74a, A1_PCK 74b, … )은 각각 오디오 스트림(74)의 일부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디오 스트림 #1은 오디오 스트림 #1이 광디스크 상에 최초로 기록될 때 오디오 스트림 #0과 동일한 인코딩 모드와, 동일한 비트 레이트 및 동일한 오디오 데이트를 갖는다. 따라서 오디오 스트림 #0과 오디오 스트림 #1은 동일 개수의 팩을 갖는다.
상기 오디오 스트림 #1은 더빙용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오디오 스트림 #0과 마찬가지로 다중화된다.
상술한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오디오 스트림 #1(74)은 오디오 스트림 #0과 동일한 비트 레이트와 동일한 인코딩 모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동일한 비트 레이트와 동일한 인코딩코드를 갖게 됨으로써, 광디스크 기록장치가 하나의 오디오 인코더(오디오 스트림 #0)의 출력을 복사함에 의해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 #1을 어려움없이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오디오 스트림 #1은 오디오 스트림 #0과 동일한 오디오 품질을 보증하게 된다.
반면에 오디오 스트림 #1은 상기 오디오 스트림 #0과 다른 비트 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스트림 #0과 동일한 오디오 품질을 오디오 스트림 #1에서 보증할 수 없게 된다. 결국, 광디스크 기록장치는 오디오 스트림 #1이 오디오 스트림 #0과 동일한 소스를 갖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오디오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하튼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 #1은 오디오 스트림 #0이 기록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시간 주기를 갖는 오디오 데이터의 영역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정렬함으로써, 오디오 스트림 #0과 오디오 스트림 #1이 비트 레이트 또는 인코딩 모드의 차이로 인하여 오디오 품질이 달라지게 되더라도 오디오 스트림 #1 내에 용이하게 더빙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더욱이 오디오 스트림 #0과 #1은 그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인코딩 모드이어도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 컨텐츠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DVD 레코더 또는 재생장치가 하나의 오디오 디코더를 갖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인해 이와 같은 장치가 오디오 스트림 #0과 #1을 동시에 재생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코더는 오디오 스트림 #1이 부분적으로 더빙될 때 오디오 스트림 #0과 #1 사이의 양방향의 경계에 재생 타깃 오디오 스트림을 변경할 것을 명령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재생 타깃 오디오 스트림이 호스트 측, 즉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특정되기 때문에 경계에서 오디오 스트림을 정확하게 변경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조건하에 연속된 재생을 보증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오디오 스트림 #1이 오디오 스트림 #0과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 컨텐츠를 기록하도록 정렬된다. 이것으로 부분더빙이 경계에서 오디오 스트림을 변경할 필요가 없게 되고, 경계에서 연속된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비디오 팩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오디오 팩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DVD 램에서 각각의 팩은 하나의 패킷을 포함한다. 상기 팩은 팩헤더와 패킷으로 구성된다. 상기 팩은 DVD 램의 섹터 크기와 동일한 2KB의 고정된 크기를 갖는다. 상기 팩헤더는 팩 시작 코드, 시스템 클록 레퍼런스(SSR) 및 기타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SCR은 타임 스탬프의 일종으로, 현재 팩이 재생장치의 디멀티플렉서를 통과할 때의 시간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상기 재생장치에 의해 DVD 램으로부터 판독되는 팩은 디멀티플렉서에 의해 비디오 팩 및 오디오 팩으로 분리된다. 상기 각 팩의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버퍼 또는 오디오 버퍼에 저장되고, 비디오 디코더 또는 오디오 디코더에 의해 압축해제(확장)된다.
각각의 패킷은 패킷헤더와 페이로더 필드(payload field)를 포함한다. 상기 패킷헤더는 패킷 시작 코드, 스트림 ID, DTS, PTS 및 기타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림 ID는 현재 팩을 포함하는 엘리먼트리 스트림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상기 DTS(Decode Time Stamp)는 타임 스탬프의 일종으로, 비디오 화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프레임 데이터가 비디오 버퍼 또는 오디오 버퍼로부터 비디오 디코더 또는 오디오 인코더로 전송될 때의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DTS는 오디오 스트림이 동시에 복호화와 현실화되지 않기 때문에 오디오 스트림에 부가(생략)되지 않는다.
상기 PTS(Presentation Time Stamp)는 타임 스탬프의 일종으로 복호화된 비디오 데이터 또는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었거나 출력되었을 때의 시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스트림 ID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110 000"이다. MPEG 오디오로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의 스트림 ID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100 000"(오디오 스트림 #0의 경우), 또는 "1100 0001"(오디오 스트림 #1의 경우)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3 또는 선형 PCM으로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의 스트림 ID는 "1011 1101"로 MPEG2에서 정의된 프라이비트 스트림 1과 등가이다. 더욱이 AC-3 또는 선형 PCM 중의 어느 하나 및 오디오 스트림 #0 또는 오디오 스트림 #1 중의 어느 하나는 패킷 페이로더에 포함된 서브스트림 ID에 의해 식별된다.
상기 AC-3 또는 선형 PCM에 의한 오디오 팩은 다음 패킷헤더의 서브스트림 ID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3으로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의 서브스트림 ID는 "1000 0000"(오디오 스트림 #0의 경우), 또는 "1000 0001"(오디오 스트림 #1의 경우)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형 PCM으로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의 서브스트림 ID는 "1010 0000"(오디오 스트림 #0의 경우), 또는 "1010 0001"(오디오 스트림 #1의 경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팩이 포함된 엘리먼트리 스트림은 스트림 ID와 서브스트림ID에 의해 식별된다.
(1-2-2 AV 데이터 관리파일)
도 12는 AV 데이터 관리파일의 데이터 구조를 계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제 1 층에 도시한 바와 같이 AV 데이터 관리파일은 VOB 정보(VOBI) 표와 PGC 정보(PGCI) 표를 포함한다.
(1-2-2-1 VOBI 표)
먼저 VOBI 표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12의 제 2 층에 도시한 바와 같이 VOBI 표는 "VOB의 개수", "VOBI#1", … "VOBI#N"으로 이름붙여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VOB의 개수"는 DVD 램 디스크에 기록된 VOB의 번호(본 실시예에서 개수는 N)를 나타낸다. 상기 "VOBI#1", … "VOBI#N"은 DVD 램 디스크에 기록된 개별 VOB의 정보이다.
도 12의 제 3 층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VOBI("VOBI#1", … "VOBI#N")는 "AV 파일명", "VOB ID", "VOB 시작 어드레스", "VOB 종료 어드레스", "VOB 재생시간(playback time)" 및 "VOB 속성"으로 이름 붙여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VOB ID"는 VOB의 식별자이다. 상기 "VOB 시작 어드레스"와 "VOB 종료 어드레스"는 섹터어드레스에 의해 나타난다.
도 12의 제 4층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VOB 속성"은 "비디오 속성", "오디오0 속성" 및 "오디오1 속성"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속성"은 해상도와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비디오 화상의 애스팩트 비(스크린의 수직길이 대 수평길이의 비)를 나타낸다.
도 12의 제 5층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오디오0 속성" 및 "오디오1 속성"은 "코딩모드", "애플리케이션 플래그", "양자화", "FS" 및 "채널의 수"로 이름이 붙여져 있다. 상기 "코딩모드"는 MPEG 오디오, AC-3 및 선형 PCM 중 어느 하나의 인코딩 모드를 나타낸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를 나타낸다. 상기 "양자화"는 양자화 계수 등의 양자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FS"는 샘플링 주파수를 나타낸다. 상기 "채널의 수"는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채널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오디오1 속성"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적어도 2비트를 갖는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플래그"의 값은 "동일 오디오 데이터", "거의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 "더빙 오디오 데이터" 및 "개별화된 오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상기 "동일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스트림 #0의 오디오 데이터를 복사한 것임을 나타낸다. 이것은 오디오 스트림 #1과 오디오 스트림 #0이 모든 면, 즉 각각의 팩에 대해 인코딩 모드, 비트 레이트 및 오디오 데이터의 면에서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1개의 VOB의 오디오 스트림 #1에 포함된 모든 팩은 오디오 스트림 #0에 포함된 팩에 1: 1 베이스로 대응한다. 또한 오디오 스트림 #1의 각각의 팩은 대응하는 오디오 스트림 #0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갖는다.
상기 "거의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스트림 #0의 오디오 데이터를 복사한 것이 아니고, 소스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더빙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데이터가 더빙인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플래그"의 값은 더빙이 실행되기 전의 "동일 오디오 데이터", "거의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 "더빙 오디오 데이터" 및 "개별화된 오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상기 "개별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스트림 #0의 오디오 데이터와는 관계없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는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스트림 #0의 오디오 데이터와는 전혀 다른 무음(soundless)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일 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참조해야 할 것은, "오디오0 속성"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에 대하여 준비되는 값은 "오디오1 속성"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에 대하여 준비되는 값과 같다는 것이다. 그러나 "오디오0 속성"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와 "오디오1 속성"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같을 필요는 없다. 그 값은 항상 "개별화된 오디오 데이터"에 설정되거나 또는 달라지게 된다.
(1-2-2-2 PGCI 표)
지금부터 PGCI 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의 제 2층에 도시한 바와 같이 PGCI 표는 "PGC의 개수", "PGCI #1", …," PGCI #M"으로 이름 붙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PGC의 개수"는 DVD 램 디스크에 기록된 PGC의 개수(본 실시예에서 개수는 M)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PGC"는 AV 데이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VOB에서의 임의 섹션이 논리적으로 결합된 열(sequence)이거나, AV 데이터가 논리적으로 결합된 열의 재생루트이다. 또한 상기 "PGC 정보"는 임의의 VOB에서의 임의 섹션간의 논리적 결합관계(재생 루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하나의 VOB가 새롭게 기록될 때, 크기 순서의 VOB에서의 섹션의 단순 열인 PGC의 PGCI가 PGCI 표에 부가된다. 상기 PGCI는 AV 데이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VOB에서의 임의 섹션이 논리적으로 결합된 시퀀스로서 사용자에 의해 정의(편집)되거나, 또는 AV 데이터가 논리적으로 결합된 시퀀스의 재생루트이다.
도 12의 제 3층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PGCI("PGCI #1", …," PGCI #M")는 "셀의 개수 및 "셀 1", … "셀 J"로 이름붙은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하나의 "셀"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수 있는 임의의 VOB에서의 임의 섹션이다. 지금 PGCI #M에서의 "셀의 개수"를 J로 가정하고, "PGCI #M"이 "셀 1", … "셀 J"로 나타낸 AV 데이터를 포함하는 섹션의 논리열을 나타낸다고 가정하자.
도 12의 제 4층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셀 1", … "셀 J"는 "VOB ID", "셀 시작시간", "셀 재생시간", "셀 시작어드레스", "셀 종료어드레스" 및 "오디오 플래그"를 포함한다.
상기 "셀 시작시간"(C_ST), "셀 재생시간"(C_PT)의 조(組)는 "VOB ID"에 의해 특정된 VOB의 일 섹션(하나의 셀)을 특정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시작시간"(C_ST)은 VOB의 PTS를 사용하는 섹션의 개시를 나타낸다. 섹션의 종료는 (C_PT)를 (C_ST)에 부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셀 시작어드레스", "셀 종료어드레스" 의 조는 "VOB ID"에 의해 특정된 VOB의 일 섹션(하나의 셀)을 특정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시작어드레스"(C_SA), "셀 종료어드레스"(C_EA)는 "VOB 시작어드레스"(V_SA)에서부터 "셀 종료어드레스"(V_EA)까지의 범위내에 있다. 하나의 VOB가 새롭게 기록될 때 VOB의 모든 섹션을 포함하는 셀인 PGC의 PGCI가 PGCI 표에 부가된다.
상기 "오디오 플래그"는 셀이 재생될 때 반드시 재생되어야 할 오디오 스트림을 특정한다. 즉 상기 "오디오 플래그"는 플래그가 "0"의 값을 가질 때 오디오 스트림 #0을 나타내고, 플래그가 "1"의 값을 가질 때 오디오 스트림 #1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은 (C_ST)와 (C_PT)의 조 및 (C_SA)와 (C_EA)의 조에 의해 특정된 VOB의 하나의 섹션이다. 그러나 셀은 (C_ST)와 (C_PT)의 조 및 (C_SA)와 (C_EA)의 조의 어느 하나에 의해 특정된 VOB에서의 일 섹션일 수도 있다.
(1-2-2-3 애플리케이션 플래그)
도 14는 도 12에서 도시한 VOBI에서 "오디오1 속성"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의 각각의 값에 의해 나타나는 수개의 정보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서 긁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부분 더빙 또는 전체 더빙은 "애플리케이션 플래그"가 "동일 오디오 데이터" 또는 "거의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 일 때 오디오 스트림 #1 상에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더빙이 완료된 후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더빙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된다. 이것으로 "더빙 오디오 데이터"를 "개별화된 오디오 데이터"로 간주할 수 있다.
도 14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스트림 #1의 원본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 오디오 데이터" 일 때, 즉 오디오 스트림 #1이 디스크 상에 최초로 기록될 때 오디오 스트림 #0의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스트림 #1에 복사될 때, 오디오 스트림 #0의 오디오 데이터는 더빙이 오디오 스트림 #1 상에 실행된 후에도 오디오 스트림 #1에 복사될 수 있다. 이것이 완료된 후, 오디오 스트림 #1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다시 "동일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것으로 애플리케이션 플래그가 "개별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오디오 스트림 #1 상에 전체 더빙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더빙이 실행된 후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더빙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낸다.
(2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본 실시예에서의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2-1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하는 시스템)
도 15는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상기 시스템은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10)(이하, DVD 레코더(10)), DVD 레코더(10)를 작동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6), 안테나(11) 및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안테나(11) 및 디스플레이(12)는 DVD 레코더(10)에 접속된다.
상술한 광디스크인 DVD 램 디스크가 로드된 후, 상기 DVD 레코더(10)는 안테나(11)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방송파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고, DVD 램 디스크 내에 AV 파일로서 압축된 데이터를 기록하고, 압축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확장하여, 확장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2) 상에 출력한다.
(2-2 DVD 레코더(10)의 구성)
도 16은 DVD 레코더(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DVD 레코더(10)는 제어부(1), MPEG 인코더(2), 디스크 액세스부(3), MPEG 디코더(4), 비디오 신호처리부(5), 리모트 컨트롤러(6), 버스(7), 리모트 컨트롤러 신호수신부(8) 및 수신기(9)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는 CPU(1a), 프로세서 버스(1b), 버스 인터페이스(1c) 및 주 메모리(1d)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는 기록, 재생, 편집 등에 관해 전체의 DVD 레코더(10)를 제어하기 위해 주 메모리(1d)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특히 AV 데이터를 포함한 AV 파일(VOB)이 기록된 후, 상기 제어부(1)는 기록된 VOB에 대응하는 VOB 정보 및 PGC 정보를 생성하여, AV 데이터 관리파일을 기록 또는 갱신한다. 또한 AV 데이터가 재생될 때 상기 제어부(1)는 도 12에 도시한 AV 데이터 관리파일의 PGC 정보에 포함된 "셀" 정보에 의해 특정된 섹션의 재생을 제어한다.
상기 MPEG 인코더(2)는 안테나(11)를 통해 수신기(9)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방송파에 포함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MPEG 스트림을 생성한다.
상기 디스크 액세스부(3)는 트랙버퍼(3a)를 구비하고, 제어부(1)의 제어하에 다음을 실행한다: 하나의 트랙버퍼(3a)를 통하여 MPEG 인코더(2)로부터 DVD 램 디스크로 수신된 MPEG 스트림을 기록하고, 상기 DVD 램 디스크로부터 MPEG 스트림을 판독하며, 상기 판독된 MPEG 스트림을 하나의 트랙버퍼(3a)를 통하여 MPEG 디코더(4)로 출력한다. 더빙 공정 중에 디스크 액세스부(3)는 복수의 트랙버퍼(3a)를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을 병행하여 실행한다.
상기 MPEG 디코더(4)는 디스크 액세스부(3)에 의해 판독된 압축된 MPEG 스트림을 확장시키고, 확장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신호처리부(5)는 MPEG 디코더(4)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2) 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신호수신부(8)는 도 17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6)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명령한 연산을 제어부(1)에 통지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DVD 레코더(10)는 VTR이 가정에서 사용되는 것을 대체하여 이용한다는 약속에 기초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DVD 램 디스크가 컴퓨터용의 기록매체로서 이용될 때, 이하와 같은 구성이 가능하다. 다시말하면 DVD 램 드라이브 장치로서 디스크 액세스부(3)가 SCSI 또는 IDE로 불리는 IF를 통하여 컴퓨터 버스에 접속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디스크 액세스부(3) 이외의 부품은 OS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컴퓨터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될 때 획득되거나 작동된다.
또한 상기 DVD 레코더(10)는 캠코더(카메라를 포함한 레코더)로서 획득된다. 이 경우 상기 DVD 레코더(10)는 수신기(9) 대신에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2-2-1 MPEG 디코더(4))
도 18은 도 16에 도시한 MPEG 디코더(4)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MPEG 디코더(4)는 MPEG 스트림을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4a), 상기 분할된 비디오 스트림을 임시로 저장하는 비디오 버퍼(4b), 상기 비디오 버퍼(4b)에 저장된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4c), 분할된 오디오 스트림을 임시로 저장하는 오디오 버퍼(4d), 상기 오디오 버퍼(4d)에 저장된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4e) 및 상기 MPEG 디코더(4)에 이용되는 참조시간을 나타내는 STC를 생성하는 STC(System Time Clock)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멀티플렉서(4a)는 MPEG 스트림을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할한다. 상기 디멀티플렉서(4a)는 분할된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버퍼(4b)에 출력하고, 분할된 오디오 스트림을 오디오 버퍼(4d)에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디멀티플렉서(4a)는 재생될 오디오 스트림의 제어부(1)에 의해 특정됨에 따라 분할된 오디오 스트림으로서 오디오 스트림 #0과 오디오 스트림 #1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오디오 스트림 중 제어부(1)에 의해 특정되지 않은 다른 하나는 폐기된다.
상기 공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디멀티플렉서(4a)는 입력 MPEG 스트림에 포함된 각 팩의 팩헤더 및 패킷헤더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상기 디멀티플렉서(4a)는 더빙용의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0 또는 오디오 스트림 #1 중의 하나인 각각의 팩의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하여 스트림 ID와 서브스트림 ID를 참조한다.
상기 디멀티플렉서(4a)는 재생될 오디오 스트림으로서 제어부(1)에 의해 특정되지 않은 오디오 스트림에 속하는 팩이 발견될 경우에는 팩을 폐기한다.
상기 제어부(1)에 의해 특정되는 오디오 스트림에 속하는 팩이 발견되면, 상기 디멀티플렉서(4a)는 그 팩의 패킷의 페이로드 필드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STC가 팩의 SCR에 일치하는 타이밍에 오디오 버퍼(4e)로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디멀티플렉서(4a)는 패킷에 부착된 PTS를 오디오 디코더(4e)로 출력한다.
비디오 스트림에 속하는 팩이 발견되면, 상기 디멀티플렉서(4a)는 팩의 패킷의 페이로드 필드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STC가 팩의 SCR에 일치하는 타이밍에 비디오 버퍼(4b)에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디멀티플렉서(4a)는 패킷에 지정된 DTS와 PTS를 비디오 디코더로 출력한다.
상기 각각의 팩의 페이로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SCR에 의해 지시되는 시간에 비디오 버퍼(4b)또는 오디오 버퍼(4d)에 입력된다. 상기 비디오 버퍼(4b) 또는 오디오 버퍼(4d)에 저장된 데이터는 DTS에 의해 지시되는 시간에 버퍼로부터 페치된다.
(2-2-2 MPEG 인코더(2))
도 19는 도 16에 도시한 MPEG 인코더(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MPEG 인코더(2)는 비디오 인코더(2a), 비디오 버퍼(2b), 오디오 인코더(2c), 오디오 버퍼(2d), 시스템인코더(2e), STC(System Time Clock)부(2f), 인코더 제어부(2g) 및 더빙부(2h)를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인코더(2a)는 수신기(9)를 통하여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압축하고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한다.
상기 비디오 버퍼(2b)는 상기 비디오 인코더(2a)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임시로 저장한다.
상기 오디오 인코더(2c)는 기록공정 도중에 수신기(9)를 통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고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한다. 상기 오디오 인코더(2c)는 더빙 공정 도중에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다른 오디오 소스를 압축한다. 다른 오디오 소스에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신호, 또는 마이크로폰과 복호된 오디오 스트림 #0을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혼합한 오디오 신호가 있다.
상기 오디오 버퍼(2d)는 상기 오디오 인코더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스트림을 임시로 저장한다.
A1_pack 버퍼(2e1)를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 (a)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 #0의 팩을 생성하고, (b)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팩을 생성하며, (c) 다중화를 실행한다.
상기 (a)공정에서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 #0을 비디오 버퍼(2b) 및 오디오 버퍼(2d)로부터 각각 패치하여, 비디오 팩(V_PACKs) 및 오디오 팩(A0_PACKs)을 차례로 생성한다. 상기 (b)공정에서 시스템인코더(2e)는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팩(A1_PACKs)을 생성한다. 이 공정에서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오디오 스트림 #0의 A0_PACKs을 A1_pack 버퍼(2e1)에 복사함으로써 A1_PACKs을 생성하고, 팩헤더 및 패킷헤더의 일부를 재기록한다. 상기 (c)공정의 다중화에서,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SCR에 의해 지시되는 순서에 의해 V_PACK, A0_PACK 및 A1_PACK을 하나씩 하나씩 계속적으로 출력한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시스템인코더(2e)는 이들 팩을 VOB로서 디스크 액세스부(3)에 출력한다.
도 25는 시스템인코더(2e)로부터 출력되는 VOB를 도시한다. 도 25에서 "V"는 비디오 팩(V_PACK)을 나타내고, "A#0"는 오디오 스트림 #0의 오디오 팩(A0_PACK)을 나타내고, "A#1"은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팩(A1_PACK)을 나타낸다. 상기 (A1_PACK)과 (A0_PACK)의 각조는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갖는 서로에 대응하지만, 서로 다른 스트림 ID(또는 서브스트림 ID)와 다른 SCR을 갖는다. 상기 1조의 (A1_PACK)의 SCR은 그 조의 (A0_PACK)의 SCR에 소정값 α를 더한 값과 같으며, VOB내에 근접하거나 또는 근방에 배치되도록 다중화된다.
상기 STC 부(2f)는 인코더(2)에 이용되는 참조시간을 나타내는 STC를 생성한다.
상기 더빙부(2h)는 DVD 램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VOB가 더빙공정 중에 디스크 엑세스부(3)로부터 입력된 후, VOB의 (A1_PACKs)의 페이로드 필드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버퍼(2d)로부터 페치된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로 대체하고, 다음으로 VOB를 더빙 후에 VOB로서 디스크 액세스부(3)에 출력한다. 도 20은 더빙 공정 중에 실행되는 연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VOB가 (A1_PACKs)이 (A1'_PACKs)으로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더빙 전후에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즉 상기 DVD 램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VOB가 MPEG 디코더(4)에 의해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더빙부(2h)는 더빙전의 VOB의 팩을 버퍼(2h1)에 계속적으로 저장하고 다음으로 저장된 팩 중에서 (A1_PACKs)만을 다른 데이터로 대체한다.
상기 디스크 액세스부(3)는 트랙버퍼(3a)를 가지며, 제어부(1)의 제어하에 다음을 실행한다 : MPEG 인코더(2)로부터 수신된 MPEG 스트림을 하나의 트랙버퍼(3a)를 통하여 DVD 램 디스크에 기록하고, DVD 램 디스크로부터 MPEG 스트림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MPEG 스트림을 하나의 트랙버퍼(3a)를 통해 MPEG 디코더(4)로 출력한다. 더빙공정 중에 디스크 액세스부(3)는 복수의 트랙버퍼(3a)를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을 동시에 실행한다.
(2-2-3 디스크 액세스부(3))
도 21은 도 16에 도시한 디스크 액세스부(3)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디스크 액세스부(3)는 트랙버퍼(3a1∼3a4), 광 픽업(3b), ECC(Error Correcting Code) 처리부(3c) 및 스위치(3d, 3e)를 포함한다.
상기 트랙버퍼(3a1와 3a3)는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 이용되며, 트랙버퍼(3a2와 3a4)는 디스크 상에 기록용으로 이용된다.
상기 ECC 처리부(3c)는 디스크 상의 데이터가 재생될 때 광 픽업(3b)을 통해 판독된 데이터를 16섹터(ECC 블록 단위로)의 단위로 ECC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ECC 처리부(3c)는 광디스크 상에 데이터가 기록될 때 스위치(3d)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ECC 블록단위로 ECC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스위치(3d)는 디스크 상의 데이터가 재생될 때 판독된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기 위해 ECC 처리부(3c)를 트랙버퍼(3a1 또는 3a3)에 접속하고, 데이터가 디스크 상에 기록될 때 ECC 처리부(3c)를 트랙버퍼(3a2 또는 3a4)에 접속하고, 더빙공정이 실행될 때 재생 및 기록이 실시간에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ECC 처리부(3c)를 트랙버퍼(3a1 내지 3a4)의 어느 하나에 차례로 접속한다.
상기 스위치(3e)는 디스크 상의 데이터가 재생될 때 트랙버퍼(3a1 또는 3a3)를 MPEG 디코더(4)에 접속하고, 데이터가 디스크 상에 기록될 때 트랙버퍼(3a2 또는 3a4)를 MPEG 인코더(2)에 접속한다. 더빙공정이 실행되었을 때 스위치(3e)는 상기 트랙버퍼(3a1)와 트랙버퍼(3a3)를 번갈아 MPEG 디코더(4)에 접속하고, 상기 트랙버퍼(3a2)와 트랙버퍼(3a4)를 번갈아 MPEG 인코더(2)에 접속한다.
상기 스위치 (3d)와 (3e)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판독되거나 또는 광디스크 상으로의 기록이 MPEG 인코더(2)에 의해 실행되는 오디오 스트림 #1의 재기록과 병행하여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를 트랙버퍼(3a3)에 저장하는 것을, 트랙버퍼(3a1)에 저장된 오디오 스트림 #1을 갱신하고 트랙버퍼(3a2)에 갱신된 오디오 스트림을 저장하는 것과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디스크가 재생되는 동안에 더빙을 실시간에 실행할 수 있게 한다.
(2-3 기록)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6)에서 기록 키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1)는 도 16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 신호수신부(8)와 버스(7)를 통해 키가 눌러진 것을 통지받게 된다.
상기 통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어부(1)는 MPEG 인코더(2)가 수신기(9)에 수신된 아날로그 방송파에 포함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압축하도록 명령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는 디스크 액세스부(3)에 광디스크 상에 압축에 의해 획득된 VOB를 기록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제어에 의해, 도 19에 도시한 MPEG 인코더(2)는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인코더(2a)에 의해 비디오 버퍼(2b)에 출력하고, 상기 압축된 오디오 스트림 #0을 오디오 인코더(2c)에 의해 오디오 버퍼(2d)에 차례로 출력한다.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상기 비디오 버퍼(2b)와 오디오 버퍼(2d)로부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 #0을 각각 페치하는 동안에 오디오 스트림 #1을 생성하고, 상기 3종류의 스트림을 VOB로 다중화하며 VOB를 버스(7)를 통해 디스크 액세스부(3)에 출력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 상술한 바와 같이 (a)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 #0의 팩을 생성하고, (b)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팩을 생성하며, (c) 다중화를 실행한다.
(2-3-1 비디오 팩 생성)
도 22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 #0 및 오디오 스트림 #1의 팩을 생성하는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상기 공정은 시스템인코더(2e)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비디오 인코더(2a)가 인코딩을 시작하는 즉시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재생장치의 비디오 디코더 버퍼(도 18에 도시한 비디오 버퍼(4b)와 등가)와 재생장치의 오디오 디코더 버퍼(도 18에 도시한 오디오 버퍼(4d)와 등가)를 점유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양을 각각 시뮬레이션한다(단계 221). 각각의 비디오 팩의 페이로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SCR에 의해 지시될 때 재생장치의 비디오 디코더 버퍼에 입력된다. 상기 데이터는 DTS에 의해 지시될 때 비디오 디코더 버퍼로부터 페치된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 버퍼의 용량은 제한(표준에 따라 224KB)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팩의 SCR이 비디오 디코더 버퍼의 용량에 관계없이 정해지면 비디오 디코더 버퍼는 오버 플로우되게 된다. 상기 시뮬레이션은 단계 221에서 재생장치의 비디오 디코더 버퍼(도 18에 도시한 비디오 버퍼(4b)와 등가)와 재생장치의 오디오 디코더 버퍼(도 18에 도시한 오디오 버퍼(4d)와 등가)를 각각 점유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양의 변경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팩의 SCR 및 DTS의 변경에 따라 실행된다.
도 26은 비디오 디코더 버퍼의 시뮬레이션을 도시한다. 도 26에서 수평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비디오 디코더 버퍼를 점유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며, T0는 비디오 디코더 버퍼가 데이터 수신을 개시할 때의 시간이고, Vin(그래프의 경사부)은 데이터 입력 비트 레이트이다. 또 T2 및 T4-T6는 각각 비디오 디코더 버퍼로부터 데이터가 페치될 때의 시간이다. 도 26은 비디오 디코더 버퍼로부터 디코더로의 데이터전송이 동시에 실행된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작성되었다.
상기 시간 T1은 시간 T4에 버퍼로부터 페치된 소정량의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입력되기 시작할 때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시간 T3은 시간 T5에 버퍼로부터 페치된 소정량의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입력되기 시작할 때의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 버퍼로 입력되는 소정량의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 디코더 버퍼로부터 출력되는 소정량의 데이터간의 시간 주기를 VBV 지연이라고 한다.
오디오 디코더 버퍼가 오디오 데이터에 의해 점유되는 시뮬레이션은 도 26에 도시한 비디오 디코더 버퍼의 시뮬레이션과 거의 같다. 그러나 상기 오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스트림보다 훨씬 작은 양의 데이터(비트 레이트)를 갖는다. 또 오디오 디코더 버퍼의 용량(표준에 따라 4KB)은 비디오 디코더 버퍼의 용량에 비해 적다.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상기 비디오 버퍼(2b)와 오디오 버퍼(2d)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팩을 결정한다(단계 222).
단계 222에서 비디오 데이터로 결정될 때,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비디오 버퍼(2b)로부터 소정량의 비디오 데이터(비디오 패킷의 페이로드 필드의 크기와 등가)를 페치하고(단계 223), 패킷헤더와 팩헤더를 페치된 비디오 데이터에 부가한다(단계 224).
단계 222에서 오디오 데이터로 결정될 때,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상기 오디오 버퍼(2d)로부터 소정량의 오디오 데이터(오디오 패킷의 페이로드 필드의 크기와 등가)를 페치하고(단계 225), 패킷헤더와 팩헤더를 페치된 오디오 데이터에 부가한다(단계 226). 다음으로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 #1에 대한 팩이 오디오 스트림 #0의 팩으로부터 생성된다. 즉 오디오 스트림 #1에 대한 팩이 오디오 스트림 #0에 대한 팩을 복사함으로써 생성된다(단계 227).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팩 버퍼(도시 생략)에 생성된 팩을 그 자체에 저장한다(단계 229). 종료명령이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는 단계 221로 복귀한다(단계 230). 상기 생성된 비디오/오디오 팩은 다중화공정에서 페치될 때까지 비디오/오디오 팩 버퍼에 저장된다.
상기 단계 221 내지 단계 230을 반복함으로써 시스템인코더(2e)는 비디오 버퍼(2b)와 오디오 버퍼(2d)에 각각 저장된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0 및 오디오 스트림 #1에 대한 비디오/오디오 팩을 차례로 생성한다.
(2-3-2 오디오 스트림 #1의 팩 생성)
도 23은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팩을 생성하는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즉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단계 227의 상세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새롭게 생성된 A0_PACK이 팩 버퍼(도시 생략)에 저장되면(단계 231),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A0_PACK을 A1_PACK 버퍼(2e1)에 복사한다(단계 232).
다음으로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A1_PACK 버퍼(2e1)에 저장된 A0_PACK의 스트림 ID 또는 서브스트림 ID에 의해 특정된 오디오 스트림의 번호를 #0에서 #1로 변경하고, 복사/원본 플래그의 값을 "0"에서 "1"로 변경한다.(단계 234).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A1 팩이 VOB의 A0_PACK의 직후 또는 근처에 배치하도록 SCR의 값을 변경한다(단계 235).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스트림 #1의 오디오 팩이 생성된다. 상기 생성된 A1_PACKs은 다중화공정에서 페치될 때까지 A1_PACK 버퍼(2e1)에 저장된다.
상기 SCR의 값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변경된다. 동일한 SCR을 갖는 2개의 팩이 있다면, 재생장치는 오디오 디코더 버퍼의 앞에 배치된 디멀티플렉서로 2개의 팩을 동시에 출력한다. 이것으로 디멀티플레서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일으키게 된다.
(2-3-3 다중화)
도 24는 상기 시스템인코더(2e)가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 #0 및 오디오 스트림 #1을 팩 단위로 다중화시키는 다중화공정의 흐름도이다.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도 22와 도 23에 도시한 비디오 팩 A0_PACK과 A1_PACK의 생성과 병행하여 다음과 같이 다중화공정을 실행한다.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비디오 팩 버퍼, 오디오 팩 버퍼 및 A1_PACK 버퍼중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팩이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41). 하나 이상의 팩이 저장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팩들의 SCR을 판독하고 가장 빠른 시간의 SCR을 갖는 팩을 검출한다(단계 242). 상기 시스템인코더(2e)는 검출된 팩을 출력하고 버퍼로부터 팩을 삭제한다(단계 243). 이러한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비디오 팩, A0_PACKs 및 A1_PACKs은 연속된 팩으로서 상기 SCR에 의해 나타낸 시간 순서로 하나의 VOB에 다중화된다.
상기 하나의 VOB가 디스크 상에 기록된 후, 상기 제어부(1)는 도 12에 도시한 VOB 정보와 PGC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AV 데이터 관리파일에 부가한다. 상기 새롭게 생성된 VOB 정보에서,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 #1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동일 오디오 데이터" 로 설정된다. 상기 오디오 스트림 #0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오디오 스트림 #1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새롭게 생성된 PGC 정보는 새롭게 기록된 VOB의 개시로부터 종료범위에 걸쳐 재생 섹션을 갖는 셀을 포함한다. 상기 셀에 포함된 오디오 플래그는 "오디오 스트림 #0"을 특정한다.
(2-4 더빙)
사용자가 PGC를 특정한 후에 리모트 컨트롤러(6)에서 더빙 키를 누르면, 제어부(1)는 도 16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 신호수신부(8)와 버스(7)를 통해 그것을 통지받게 된다.
상기 통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어부(1)는 AV 데이터 관리파일로부터 PGC 정보 및 VOB 정보를 판독하고, 더빙될 VOB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1)는 광디스크로부터 결정된 VOB를 판독하기 위해 디스크 액세스부(3)와 MPEG 디코더(4)를 제어하고, 그것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병행하여 상기 제어부(1)는 디스크 액세스부(3)에 의해 판독된 VOB의 오디오 스트림 #1만을 갱신하기 위해 MPEG 인코더(2)와 디스크 액세스부(3)를 제어하고, 상기 갱신된 VOB를 광디스크 상에 기록한다.
도 27은 디스크 액세스부(3)가 판독/기록을 실행할 때의 타이밍과 MPEG 인코더(2)가 오디오 스트림 #1을 재기록할 타이밍에서의 더빙공정을 도시한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제어부(1)에 의해 실행되는 도 21에 도시한 스위치 3d 및 3e의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에서 TB1 내지 TB4는 도 21에 도시한 디스크 액세스부(3)에서의 트랙버퍼(3a1) 내지 트랙버퍼(3a4)를 각각 나타낸다. 수평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각각의 트랙버퍼를 점유하는 데이터의 양을 나타낸다.
T1, T2, T4 및 T6은 더빙되기 전의 VOB가 광디스크로부터 판독되고 스위치 3d를 통해 TB1, TB3, TB1, 및 TB3에 저장되는 동안의 시간 주기를 각각 나타낸다. T3, T5, T7 및 T8은 더빙된 후의 VOB가 TB2, TB4, TB2, 및 TB4로부터 페치되고 스위치 3d를 통하여 광디스크상에 기록되는 동안의 시간주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시간 주기동안에 판독 및 기록되는 VOB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더빙되기 전의 VOB의 섹션(A)은 T1 동안에 판독되고, 더빙후의 섹션(A)은 T3 동안에 디스크 상에 기록된다.
도 27에서 Ta 와 Tc는 각각 TB1에 저장된 VOB가 TB2에 더빙되고 저장되는 동안의 시간 주기를 나타낸다. 이들 시간 주기 동안에 MPEG 인코더(2)의 더빙부(2h)는 오디오 스트림 #1의 각각의 팩의 페이로드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로 대체한다.
Tb와 Td는 각각 TB3에 저장된 VOB가 TB4에 더빙과 저장되는 동안의 시간 주기를 나타낸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주기 Ta, Tb, Tc 및 Td 사이에는 갭(gap)이 없다. 즉 이들 시간 주기들은 연속적인 것이다. 이것은 제어부(1)가 2조의 TB(TB1과 TB2의 조 및 TB3과 TB4의 조)를 각각 MPEG 인코더(2)의 Ta, Tb, Tc 및 Td에 교대로 접속하여 더빙을 실행하는 제어부(1)에 의해 획득되고, 이와 동시에 다른 조의 TB(더빙에 이용되지 않는 조)를 광디스크로부터 판독하거나 광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이용한다. 이렇게 하여 MPEG 인코더(2)의 더빙부(2h)는 실시간에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더빙공정 중에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는 더빙동작의 온/오프 명령에 의해 부분더빙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버스(7)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 신호수신부(8)로부터 더빙을 수행하라는 명령(온)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는 MPEG 인코더(2)의 더빙부(2h)가 오디오 스트림 #1의 현재 오디오 팩의 페이로드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로 대체하도록 명령하고; 더빙을 일시중지하라는 명령(오프)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는 더빙부(2h)에 데이터의 대체를 일시중지하도록 명령한다.
또한 더빙된 오디오 스트림 #1을 더빙전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더빙부(2h)는 오디오 스트림 #0의 각각의 팩의 페이로드 필드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스트림 #1의 각각의 팩의 페이로드 필드에 겹쳐기록한다.
상기 PGC에 포함된 VOB가 더빙될 때마다, 상기 제어부(1)는 대응하는 VOB 정보의 오디오 스트림 #0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갱신하지 않고, 오디오 스트림 #1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를 "더빙 오디오 데이터"로 갱신한다. 상기 오디오 스트림 #0의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오디오 스트림 #1이 더빙된 후에도 더빙된 오디오 스트림 #1이 오디오 스트림 #0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일 때 인코딩없이 더빙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거나, 또는 오디오 스트림 #0의 애플리케이션이 "거의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일 때 복호된 오디오 신호를 재인코딩하지 않고 더빙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은 사용자에게 유용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더빙에 실패하면, 사용자는 오디오 스트림 #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참조함으로써 더빙된 오디오 스트림 #1이 더빙전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되고, 그것이 가능하다면 사용자는 더빙된 오디오 스트림 #1이 더빙이전의 상태로 복귀한 후에 더빙을 재실행 할 수 있게 된다.
(2-5 재생 공정)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6) 상에서 플레이 키를 누르면, 제어부(1)는 도 16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 신호수신부(8)와 버스(7)를 통해 그것을 통지받는다. 이 통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어부(1)는 AV 데이터 관리파일로부터 PGC 정보와 VOB 정보를 판독하여 VOB를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어부(1)는 또한 오디오 스트림 #0과 오디오 스트림 #1 중 어느 것이 PGC 정보에 포함된 오디오 플래그를 참조함으로써 재생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되고, 상기 결정된 결과를 MPEG 디코더(4)에 통지한다.
상기 제어부(1)는 광디스크로부터 결정된 VOB를 판독하기 위해 디스크 액세스부(3)와 MPEG 디코더(4)를 제어하고 재생한다.
상기 동작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PGC가 재생된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6)를 작동하여 오디오 스트림의 변경을 명령할 때와 오디오 스트림 #1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가 "동일 오디오 데이터" 또는 "거의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지시할 때, 상기 제어부(1)는 오디오 스트림을 변경하지 않고 비디오 신호처리부(5)에 오디오 스트림의 변경이 허용되지 않은 것임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임시로 안내정보를 비디오 신호에 부가하도록 명령한다. 이것은 오디오 스트림이 #0에서 #1로 전환되더라도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 또는 "거의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동일한 오디오가 재생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다른 오디오를 기대하도록 명령하기 때문이며, 이 경우 사용자는 DVD 레코더가 고장났다고 오해할 수 있어 오디오 스트림을 변경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6)를 작동하여 오디오 스트림의 변경을 명령하거나 오디오 스트림 #1의 애플리케이션이 "더빙 오디오 데이터" 또는 "개별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지시할 때, 상기 제어부(1)는 오디오 스트림을 #0에서 #1로 변경하도록 MPEG 디코더(4)에 명령한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DVD 램 상에 기록된 VOB는 각각 더빙용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소정량의 공간을 갖는다. 이렇게 하여 재인코딩 또는 VOB를 재배치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를 VOB에 더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량의 공간이 오디오 스트림으로서 획득되기 때문에 팩내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로 대체하는 것만으로 더빙을 어려움없이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본인 오디오 스트림 #0이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 #1에 기록되기 때문에 레코더는 더빙을 어려움없이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레코더는 오디오 스트림 #0 및 #1에 동일한 인코딩 모드와 비트 레이트가 지정될 때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을 어려움없이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코더는 오디오 스트림 #0의 팩을 복사하는 것만으로 달성할 수 있고, 디스크 상에 상기 VOB를 기록할 때 팩(SCR, 스트림 ID 또는 서브스트림 ID)의 일부를 변경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는 원본의 오디오 데이터로서의 오디오 스트림 #0과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 #1이 VOB에 다중화되는 가라오케용 광디스크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마이크로폰을 통한 음성 입력이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에 기록된 원본의 오디오 데이터 내에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부분더빙 또는 전체더빙이 반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VOB는 2개의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그러나 원본의 오디오 스트림이 없을 때는 하나의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만이 각각의 VOB에 포함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무음(soundless) 데이터가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 #1은 오디오 스트림 #0을 복사함으로써 생성된다. 그러나 더빙용 오디오 스트림 #1은 다른 스트림(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림이외의 스트림, 또는 무음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디오 스트림)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스트림 #1은 본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스트림 #0과 다른 인코딩 모드 또는 다른 샘플링 주파수로서 기록될 수 있다. 이것은 MPEG 인코더가 2조의 오디오 인코더 및 오디오 버퍼를 포함하도록 허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도 30은 MPEG 인코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한 구성과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의 구성은 오디오 인코더(2c1) 및 오디오 버퍼(2d1)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오디오 스트림 #1을 "거의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를 갖도록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스트림 #0에서의 오디오 데이터를 팩 단위로 대체함으로써 더빙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0 속성"은 스트림이 더빙되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오디오 스트림 #0의 상태를 관리하는데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A1_PACK에서의 복사/원본 플래그의 값은 팩이 더빙된 후에 "0"(원본)으로 변경된다. 또한 A1_PACK에서의 복사/원본 플래그의 값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래그는 그것이 디스크 상에 최초로 기록될 때는 "원본"을 나타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오디오 스트림 #0 및 #1의 재생시간 주기는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림 #1은 오디오 스트림 #0에서 재생될 것이 기대되지 않는 재생시간 주기에 해당하는 오디오 스트림 #0의 부분을 제외하고 복사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1 광디스크)
제 2 실시예의 광디스크는 제 1 실시예에 비해 더빙용 부화상 스트림이 VOB에 다중화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여기에서 부화상(이하, SP라 함)은 서브타이틀, 텍스트화 된 정보등으로 비디오 화상에 중첩된 정지화상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에 초점을 두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1은 본 실시예에서 엘리먼트리 스트림(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SP 스트림)이 다중화된 VOB의 구조를 도시하는 구조도이다.
도 31에서 SP 스트림(76)은 VOB의 복수의 VOBU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정지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지화상 데이터(예를 들어 비트맵 이미지를 실행길이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함으로써 생성된 코드 열)이다. 그러나 SP 스트림(76)이 더빙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SP 스트림(76)은 소정의 크기(예를 들어 스크린의 밑부분에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1/2에 해당하는 크기)만을 갖도록 요구되고, 상기 SP 스트림(76)이 디스크 상에 최초로 기록될 때 무효인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1에서 팩 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SP 스트림(76)은 팩으로서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 #0 및 #1과 함께 VOB에 다중화된다.
VOBU에서의 SP 팩은 VOBU의 재생주기 동안에 유효하다. 즉 적어도 하나의 정지화상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는 SP 팩으로서 하나의 VOBU에 분배되고, 그것이 VOBU의 재생주기 동안에 비디오 이미지에 중첩된다.
도 32는 SP 팩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다. 도 32에서 서브스트림 ID "0010 0000"은 SP 팩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 포맷의 다른 엘리먼트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데이터 포맷과 동일한 것이다.
도 33은 AV 데이터 관리파일의 구조를 계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데이터 구조는 SP 속성을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12에 도시한 데이터 구조와 다르다.
제 4층과 제 5층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SP 속성은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를 포함한다. 본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제 1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 플래그와 다르다. 즉 "애플리케이션 플래그"의 값이 "더빙 된" 또는 "더빙되지 않은" 것 중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그러나 단지 하나의 SP 스트림만이 VOB내에 다중화되었을 때,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상기 SP 스트림이 디스크 상에 최초로 기록되었을 때 "개별화된 SP 데이터"로 설정되고, SP 스트림에 더빙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 플래그는 "더빙 SP 데이터"로 설정된다.
(2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이하, 레코더라고 함)는 MPEG 인코더(2)와 MPEG 디코더(4) 대신에 MPEG 인코더(12)와 MPEG 디코더(14)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4는 MPEG 인코더(1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MPEG 인코더(2)의 구성과 비교하면, 본 구성에서는 SP 인코더(2i) 및 SP 버퍼(2j)를 포함하고, 시스템인코더(2e)와 더빙부(2h) 대신에 시스템인코더(2k)와 더빙부(2m)를 포함한다.
상기 SP 인코더(2i)는 각각의 VOBU에 대해 실행길이 인코딩 방식으로 SP 데이터를 인코딩함으로써 SP 스트림을 생성한다.
상기 SP 버퍼(2j)는 상기 SP 인코더(2i)에 의해 차례로 생성된 SP 스트림의 컨텐츠를 임시로 저장한다.
상기 시스템인코더(2k)는 상기 시스템인코더(2e)의 기능뿐만 아니라 VOB가 디스크 상에 기록될 때 더빙용 SP 스트림의 팩을 생성하는 기능도 갖는다. 즉 시스템인코더(2k)는 VOBU 각각에 대한 소정 크기의 정지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SP 팩을 생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무효인 데이터가 SP 팩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SP 팩은 비디오 팩 및 오디오 팩(A0_PCKs 및 A1_PCKs)과 함께 VOB 내에 다중화된다. 반대로 SP 버퍼에 저장된 SP 스트림의 컨텐츠는 팩으로 변환되어 VOB내에 차례로 다중화될 수 있다.
상기 더빙부(2m)는 상기 더빙부(2h)의 기능뿐만 아니라 각각의 VOBU에 대해 SP 팩의 페이로드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SP 버퍼에 저장된 SP 스트림의 컨텐츠로 대체하는 기능까지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더빙부(2m)는 대체에 이용되는 VOB의 SP 팩을 저장하는 팩 버퍼(2m1)를 구비한다.
도 35는 MPEG 디코더(14)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MPEG 디코더(4)의 구성과 비교하면, 본 구성은 SP 버퍼(4g), SP 디코더(4h) 및 결합부(4i)를 포함한다.
상기 SP 버퍼(4g)는 상기 디멀티플렉서(4a)에 의해 VOB로부터 분리된 SP 팩을 임시로 저장한다.
상기 SP 디코더(4h)는 상기 SP 버퍼(4g)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실행길이 인코딩 방식으로 부호화된)를 SP 팩에 복호화한다.
상기 결합부(4i)는 정지화상이 비디오 이미지와 중첩되도록 비디오 디코더(4c)에서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SP 디코더에서 출력된 정지화상 데이터와 결합한다.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상에 기록된 VOB는 더빙용 부화상을 각각은 저장할 수 있는 소정량의 공간을 갖는다. 이것으로 재인코딩 또는 VOB를 재배치하지 않고 부화상을 VOB에 더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더빙용 스트림만이 각각의 VOB에 다중화된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에서 2개의 오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2개의 SP 스트림이 VOB에 각각 다중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MPEG 오디오, AC-3, 및 선형 PCM의 3종류의 오디오 인코딩 모드가 이용된다. 그러나 이들 모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인코딩 모드도 채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1개의 팩이 1개의 패킷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1개의 팩이 복수의 패킷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매체로서 DVD 램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MO 또는 HDD 등과 같은 재기록 가능한 매체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는 각각이 비디오 스트림,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그 속에 다중화된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더빙용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광디스크에 의해 더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 기록장치 또는 기록방법은 광디스크상에 비디오 오브젝트를 최초로 기록할 때 더빙용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오브젝트에 다중화한다. 이러한 광디스크 기록장치는 더빙이 용이한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디스크상에 기록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는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매체는 더빙이 용이한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디스크상에 기록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또는 재생방법은 광디스크에 더빙을 실행할 때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을 변경하고; 광디스크 상에 더빙이 실행되지 않을 때 광디스크 재생장치는 사용자에게 오디오 스트림을 변경시킬 수 없음을 통지한다. 이러한 광디스크 재생장치는 광디스크가 이미 더빙을 실행하였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광디스크를 재생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4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함으로써 획득된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함으로써 획득된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기초로 하여 획득된 제 2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1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각각 제공되어 관련된 오디오 스트림을 식별하는 식별 플래그를 포함하는 비디오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 및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정보영역을 구비하는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재생장치로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1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서로 다중화되고,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각각 데이터 크기가 고정된 복수의 팩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비트 레이트를 갖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팩과 동일한 데이터 크기를 각각 갖는 동일 갯수의 팩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정보는 더빙용으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재기록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또는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재생수단과,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하라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재기록되는 것을 상기 관리정보가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재기록되도록 결정된 경우,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도록 상기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어느 부분이 재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이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4.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함으로써 획득된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함으로써 획득된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기초로 하여 획득된 제 2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1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각각 제공되어 관련된 오디오 스트림을 식별하는 식별 플래그를 포함하는 비디오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 및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정보영역을 구비하는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재생방법으로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1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서로 다중화되고,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각각 데이터 크기가 고정된 복수의 팩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비트 레이트를 갖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팩과 동일한 데이터 크기를 각각 갖는 동일 갯수의 팩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정보는 더빙용으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재기록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하라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시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재기록되는 것을 상기 관리정보가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재기록되도록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재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이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46.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함으로써 획득된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함으로써 획득된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기초로 하여 획득된 제 2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1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각각 제공되어 관련된 오디오 스트림을 식별하는 식별 플래그를 포함하는 비디오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 및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정보영역을 구비하는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재생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1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서로 다중화되고,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각각 데이터 크기가 고정된 복수의 팩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비트 레이트를 갖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팩과 동일한 데이터 크기를 각각 갖는 동일 갯수의 팩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정보는 더빙용으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재기록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재생방법은,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하라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동시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재기록되는 것을 상기 관리정보가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재기록되도록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재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이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1999-7007202A 1997-12-15 1998-12-11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광디스크 재생방법 KR100491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44874 1997-12-15
JP34487497 1997-12-15
JP29821498 1998-10-20
JP???10-298214 1998-10-20
PCT/JP1998/005618 WO1999031657A2 (en) 1997-12-15 1998-12-11 Optical disc,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cording method for facilitating dubbing, storage medium for storing optical disc recording program for facilitating dubbing, optical disc 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produc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937A KR20000070937A (ko) 2000-11-25
KR100491340B1 true KR100491340B1 (ko) 2005-05-24

Family

ID=2656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202A KR100491340B1 (ko) 1997-12-15 1998-12-11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광디스크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8) US6393206B1 (ko)
EP (2) EP0924704B1 (ko)
JP (6) JP3090650B2 (ko)
KR (1) KR100491340B1 (ko)
CN (2) CN1118065C (ko)
CA (1) CA2256190C (ko)
DE (1) DE69812296T2 (ko)
ID (1) ID23654A (ko)
MY (1) MY117155A (ko)
TW (1) TW446939B (ko)
WO (1) WO19990316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65C (zh) * 1997-12-15 2003-08-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盘的记录和复制设备及方法
KR100506846B1 (ko) * 1998-09-05 200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비디오 맵 정보 생성 및 갱신기록방법
JP3339440B2 (ja) * 1998-12-24 2002-10-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符号化データ記録媒体
JP3912922B2 (ja) * 1999-01-29 2007-05-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と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3715533B2 (ja) * 1999-02-05 2005-11-09 株式会社東芝 ストリーム情報の情報記憶媒体、その記録方法、再生方法、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KR100591806B1 (ko) 1999-02-17 2006-06-2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기록 매체에 애프터 리코딩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 기록매체, 장치 및 방법
JP2000287169A (ja) * 1999-03-30 2000-10-13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音声多重記録装置
US6681077B1 (en) 1999-04-02 2004-0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ing device
JP3199711B2 (ja) * 1999-04-02 2001-08-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とその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EP1096489B1 (en) * 1999-04-07 2007-07-18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for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including audio information
KR100447366B1 (ko) * 1999-07-29 2004-09-0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기록 매체의 액세스 위치 특정 방법 및 기록 매체의 관리 장치
JP2001043616A (ja) 1999-07-30 2001-02-16 Sharp Corp 記録方法、記録媒体及び記録装置
US6775465B1 (en) 1999-09-03 2004-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moving picture and recording medium
KR100657241B1 (ko) * 1999-09-03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기록/재생 장치와 방법 및 기록 매체
JP4153629B2 (ja) * 1999-09-29 2008-09-24 株式会社東芝 静止画像つき音声情報の編集方法
US7224995B2 (en) * 1999-11-03 2007-05-29 Digimarc Corporation Data entry method and system
US6985416B1 (en) * 1999-11-10 2006-01-10 Thomson Licensing S.A. Buffer optimization for simultaneous encoding-decoding and pause-catch-up for real time DVD recorder
EP1236350B1 (en) * 1999-11-10 2004-08-11 Thomson Licensing S.A. Digital video recording with full screen sub-picture and associated transparency control data recording for effecting fading between successive video segments at reproduction
JP2001155466A (ja) 1999-11-24 2001-06-08 Toshiba Corp 画像付音声情報を記録するシステム
JP3548074B2 (ja) * 2000-02-22 2004-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記録再生装置
US7245719B2 (en) * 2000-06-30 2007-07-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optical disk,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2074850A (ja) * 2000-08-29 2002-03-15 Toshiba Corp 音声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音声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音声情報記録媒体
KR100585429B1 (ko) * 2000-09-18 2006-06-0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음성/영상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정보 기록 재생 장치
US6895126B2 (en) 2000-10-06 2005-05-17 Enrico Di Bernardo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storing, and utilizing composite images of a geographic location
US7139947B2 (en) * 2000-12-22 2006-11-21 Intel Corporation Test access port
US7450255B2 (en) * 2001-01-16 2008-11-11 Canon U.S.A., Inc. Photograph record authoring system
US7440972B2 (en) * 2001-04-26 2008-10-21 Sonic Solutions Interactive media authoring without access to original source material
JP3773805B2 (ja) * 2001-04-27 2006-05-10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ータストリーム生成方法とそのための装置
US7418344B2 (en) * 2001-08-02 2008-08-26 Sandisk Corporation Removable computer with mass storage
US20050013583A1 (en) * 2001-11-20 2005-01-20 Masanori Itoh Audio/video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information is recorded by using the audio/video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3169292A (ja) * 2001-11-30 2003-06-13 Victor Co Of Japan Ltd アフレコ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伝送方法及び再生装置
KR100563668B1 (ko) * 2001-12-22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고밀도 기록매체의 더빙 오디오 기록방법
JP2003228921A (ja) 2002-01-31 2003-08-15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TW200401267A (en) * 2002-04-04 2004-01-16 Sonic Solutions Optimizing the recording on a rewritable interactive medium of revisions to an existing project on that medium
JP4045940B2 (ja) * 2002-04-05 2008-02-1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499608B1 (ko) * 2002-05-23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 더빙방법
JP3704107B2 (ja) * 2002-07-30 2005-10-05 株式会社東芝 映像データ再生装置及び映像データ再生方法
JP3986973B2 (ja) * 2002-10-17 2007-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Avデータ記録方法、av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4164731A (ja) * 2002-11-12 2004-06-10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215111A (ja) * 2003-01-07 2004-07-29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40150717A1 (en) * 2003-01-21 2004-08-05 Page Warren S. Digital in-car video surveillance system
JP2004248199A (ja) * 2003-02-17 2004-09-02 Renesas Technology Corp システム多重化装置
JP4562115B2 (ja) * 2003-06-11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ファイル生成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611970B1 (ko) * 2003-08-16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렉티브 그래픽 스트림을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및 그 재생장치
JP4613000B2 (ja) * 2003-10-10 2011-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再生装置
JP2005136537A (ja) * 2003-10-29 2005-05-26 Sony Corp ファイル記録装置、ファイル再生装置、ファイル編集装置、ファイル記録方法、ファイル再生方法、ファイル編集方法、ファイル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再生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編集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ファイル再生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ファイル編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記録媒体
US7751689B2 (en) * 2004-02-20 2010-07-06 Panasonic Corporation Stream converter
EP1721472A2 (en) * 2004-02-23 2006-11-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circuit for encrypting a data stream
JP2005278152A (ja) * 2004-02-25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音声再生装置及び映像音声再生方法
EP1598819A1 (en) * 2004-05-19 2005-11-23 Nero AG Apparatus and method for copying data
US7471598B2 (en) * 2004-05-26 2008-12-30 Nero Ag Apparatus and method for copying data
JP2005353210A (ja) * 2004-06-11 2005-12-22 Sony Corp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KR100652676B1 (ko) * 2004-09-25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위성방송 편집 장치 및 방법
US7580211B2 (en) * 2004-11-02 2009-08-25 Mediatek, Inc. DVD recording
WO2006076551A2 (en) * 2005-01-13 2006-07-20 Verification Technologies, Inc. Copy protection for video content contained in the vob file structure
KR100693434B1 (ko) * 2006-01-10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재생장치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기록방법,기록장치 및 이를 구비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US8003024B2 (en) 2006-09-18 2011-08-23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Polyolefin contact lens molds and uses thereof
JP2008154132A (ja) * 2006-12-20 2008-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映像ストリーム圧縮装置及び音声映像記録装置
US8407619B2 (en) * 2008-07-30 2013-03-26 Autodes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highlighting objects in a client browser
TWI381737B (zh) * 2009-01-20 2013-01-01 Quanta Comp Inc 數位影音擷取裝置與其方法
JP5947378B2 (ja) * 2011-07-22 2016-07-06 深▲せん▼日海通訊技術股▲ふん▼有限公司 高密度光ファイバー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6049405B2 (ja) * 2012-11-05 2016-12-21 赤瀬産業株式会社 押し絵吊し雛
WO2014197858A1 (en) 2013-06-06 2014-12-11 Kustom Signals, Inc. Traffic enforcement system with time tracking and integrated video capture
CA3076938C (en) 2017-10-06 2022-03-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Food cooking apparatus and heat storage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658A (en) * 1897-09-28 Hermann dalwigk
GB2220521B (en) * 1988-06-07 1993-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Digital signal recording method a digital video tape recorder and a recorded tape
JPH0668654A (ja) * 1992-08-17 1994-03-11 Otari Kk デジタルレコーダ
US5375111A (en) * 1992-12-02 1994-1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udio and video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JP3463352B2 (ja) * 1993-07-23 2003-11-0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EP0790739B1 (en) * 1993-09-16 2001-03-14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video signal
CA2173812C (en) * 1995-04-11 2000-02-08 Shinichi Kikuchi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for recording data into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JPH08329661A (ja) * 1995-06-05 1996-12-13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WO1997007504A1 (fr) * 1995-08-21 1997-02-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que optique multimedia capable de creer des situations tout a fait inattendues sur la base de l'interactivite, appareil et procede de reproduction de ce disque
TW305043B (ko) * 1995-09-29 1997-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S5991496A (en) * 1995-11-29 1999-11-23 Sony Corpor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3480777B2 (ja) * 1996-03-15 2003-12-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4059355B2 (ja) * 1996-04-04 2008-03-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KR100439879B1 (ko) * 1996-04-12 2004-12-0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오디오비디오기능을실행할영상타이틀과,그렇지않은영상타이틀을수록하고,그들의차이를순간에분별할수있는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재생방법
EP0838948B1 (en) * 1996-05-09 2000-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media optical disk,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capable of superposing sub-video upon main video in well-balanced state irrespective of position of main video on screen
JP3268630B2 (ja) * 1996-10-17 2002-03-2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ディスクの記録データ編集方法
US6381398B1 (en) * 1996-11-13 2002-04-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bit stream for information recording disc storage which enables seamless reproduction of a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applied to the generating apparatus is recorded
JP4099547B2 (ja) * 1997-01-23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編集装置及び方法
JP2001509372A (ja) * 1997-07-10 2001-07-24 スミスクライン ビーチャム コーポレーション 血小板凝集に関与する細胞表面受容体であるヒトf11抗原
CN1118065C (zh) * 1997-12-15 2003-08-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盘的记录和复制设备及方法
ID29305A (id) * 1997-12-15 2001-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iringan optik, aparatus perekaman, media penyimpanan komputer-yang-dapat-membaca yang menyimpan program perekaman, dan metoda perekam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46377A1 (en) 2001-11-29
US6456780B2 (en) 2002-09-24
MY117155A (en) 2004-05-31
JP2001023355A (ja) 2001-01-26
JP3109668B1 (ja) 2000-11-20
US20040071446A1 (en) 2004-04-15
TW446939B (en) 2001-07-21
CA2256190A1 (en) 1999-06-15
JP2001014836A (ja) 2001-01-19
EP0924704B1 (en) 2003-03-19
US6404980B1 (en) 2002-06-11
US6678466B2 (en) 2004-01-13
US6278834B1 (en) 2001-08-21
JP3108074B1 (ja) 2000-11-13
WO1999031657A3 (en) 1999-09-16
JP2000358209A (ja) 2000-12-26
CN1487509A (zh) 2004-04-07
CA2256190C (en) 2003-09-30
US20020141738A1 (en) 2002-10-03
JP3090650B2 (ja) 2000-09-25
JP3108075B1 (ja) 2000-11-13
WO1999031657A2 (en) 1999-06-24
CN1225902C (zh) 2005-11-02
US6393206B1 (en) 2002-05-21
JP2001008166A (ja) 2001-01-12
DE69812296T2 (de) 2003-08-14
JP2000195231A (ja) 2000-07-14
EP0924704A2 (en) 1999-06-23
ID23654A (id) 2000-05-11
CN1252154A (zh) 2000-05-03
EP1211689A3 (en) 2005-03-09
CN1118065C (zh) 2003-08-13
DE69812296D1 (de) 2003-04-24
JP3130522B2 (ja) 2001-01-31
EP1211689A2 (en) 2002-06-05
US6253021B1 (en) 2001-06-26
EP0924704A3 (en) 1999-09-08
JP2001008171A (ja) 2001-01-12
US6282363B1 (en) 2001-08-28
US7149414B2 (en) 2006-12-12
KR20000070937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340B1 (ko)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광디스크 재생방법
KR100373403B1 (ko) 광디스크, 기록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US20010043803A1 (en)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H11213628A (ja) 記録媒体とその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2001067802A (ja) マルチチャンネル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US20030223140A1 (en)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JP2004118986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
KR100335413B1 (ko) 편집제어정보가저장되는디스크및편집후연속재생장치와그방법
US20060251391A1 (en)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XPA99007437A (en) Optical
JP2004236077A (ja) 自動チャプタ作成機能付き記録再生装置
JP2002218397A (ja) 情報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