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235B1 - 초음파 프로브 - Google Patents

초음파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235B1
KR100491235B1 KR10-2002-0073357A KR20020073357A KR100491235B1 KR 100491235 B1 KR100491235 B1 KR 100491235B1 KR 20020073357 A KR20020073357 A KR 20020073357A KR 100491235 B1 KR100491235 B1 KR 100491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cable
case
ultrasonic probe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695A (ko
Inventor
우메다마나부
노자키미츠히로
Original Assignee
지이 메디컬 시스템즈 글로발 테크놀러지 캄파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메디컬 시스템즈 글로발 테크놀러지 캄파니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이 메디컬 시스템즈 글로발 테크놀러지 캄파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3004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55Features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probe, e.g. ergonomic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2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 body cavities or body tracts, e.g. by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5Details of catheter 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5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sensor relative to a stationary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부재 및 몰드의 개수를 감소시켜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며, 그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초음파 소자(3),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이 끼워맞춰진 고정 부재(6)가 몰드내로 삽입되며, 초음파 렌즈부(11), 케이스(12) 및 부싱부(13)가 인서트 몰딩에 의해 일체로 몰딩된다. 초음파 프로브(10)가 하나의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부재의 개수가 감소되고, 조립 단계의 수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의 저감이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프로브{ULTRASONIC PROBE}
본 발명은 초음파의 반사에 의해 피검 대상(subject)을 영상화하기 위한 초음파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 비용을 저감하고 그립성(grippability)을 개선한 초음파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초음파에 의해 피검 대상을 조사함으로써 피검 대상의 내부를 영상화하고 초음파의 반사파의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초음파 영상 장치가 보통 비파괴 검사에 사용되어 왔다. 초음파가 생명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초음파 영상 장치는 특히 의학용으로 유용하며, 생명체내의 이물질의 검출, 상해(lesion) 정도의 측정, 종양의 관찰 및 태아의 관찰에 사용된다.
피검 대상에 대한 국부적인 정보를 초음파에 의해 얻으려고 하는 경우에, 조작자가 잡고서 피검 대상의 소망 부분에 대하여 접촉시킬 수 있는 초음파 프로브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도 15는 종래의 초음파 프로브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의 분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100)는 경질 수지제의 케이스(102)의 팁 부분에 초음파 소자(3)를 포함한다. 이 케이스(102)는 케이스 부재(102a) 및 케이스 부재(102b)를 조합하여 형성되며, 초음파 렌즈(101)를 그내에 끼워맞추기 위해 초음파 소자(3) 근처에 개구부를 구비한다.
초음파 소자(3)와 접속된 광폭(broad) 케이블(4)은 커넥터(5)를 통해 접속 케이블(2)에 고정되며, 접속 케이블(2)은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접속 케이블(2)이 케이스(102)내로 통과하는 관통부에는 부싱부(103)가 제공된다. 이 부싱부(103)는 고무 등의 재료로 제조되며, 관통부에서 접속 케이블(102)의 굴곡을 제한함으로써 접속 케이블(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케이스(102)에는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04)가 제공되며, 이 손잡이부(104)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오목부(105)가 제공된다.
초음파 소자(3)는 광폭 케이블(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초음파는 초음파 렌즈부(101)에 의해 집속되며, 이 집속된 초음파는 영상화될 피검 대상을 조사한다. 또한, 초음파 소자(3)는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형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그 신호를 광폭 케이블(4)로 출력한다. 광폭 케이블(4)은 초음파 소자(3)에 의한 전기 신호 출력을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을 통해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한다. 초음파 영상 장치는 접속 케이블(2)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화된 피검 대상의 영상을 형성한다.
영상 처리를 수행할 때, 조작자는 손잡이부(104)를 잡고, 초음파 렌즈부(101)를 영상화될 피검 대상의 소망 부분에 놓아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그 때에, 초음파 검사용 용제(solvent)가 보통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도포된다. 이 초음파 검사용 용제는 신체의 임피던스와 유사한 음향 임피던스를 갖고 초음파의 감쇠를 방지하는 겔형 용제이다. 그러한 용제를 도포함으로써, 다중 반사가 억제될 수 있고, 노이즈가 방지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100)의 팁 부분은 신체 공동내로, 즉 식도, 장(intestine), 질(vagina), 항문 등의 내부로 삽입되어 생명체의 내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초음파 프로브는 케이스 부재(102a, 102b), 초음파 렌즈부(101) 및 부싱부(103)로 형성된 조립체이며, 따라서 각 부재용 몰드(mold)를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그 부재를 분리 형성하는 단계, 그들을 조립하는 단계 및 그들을 서로 접합하는 단계가 요구된다. 이것은 제조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을 야기한다.
더욱이, 케이스(102)가 경질 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케이스(102)는 사용될 때 미끄러지기 쉬우며, 이것은 낙하에 의한 파손 가능성이 있으며, 초음파가 안정적으로 집속될 수 없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재 및 몰드의 개수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을 저감하고, 그립성을 개선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초음파를 방출하고 상기 초음파의 반사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소자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초음파 프로브로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상기 초음파 소자를 수용하고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굴곡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관통부에 제공된 케이블 보호부와, 상기 초음파를 집속하는 초음파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상기 초음파 렌즈 및 상기 케이블 보호부가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관점의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프로브의 케이스, 초음파 렌즈 및 케이블 보호부가 단일 재료의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필요한 몰드의 개수가 감소되고 그립성이 향상된다.
제 2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초음파를 방출하고, 상기 초음파의 반사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소자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초음파 프로브로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상기 초음파 소자를 수용하고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굴곡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관통부에 제공된 케이블 보호부와, 상기 초음파를 집속하는 초음파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렌즈 및 상기 케이블 보호부가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관점의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렌즈 및 케이블 보호부가 단일 재료의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필요한 몰드의 개수가 감소된다.
제 3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제 2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된 상기 초음파 렌즈 및 상기 케이블 보호부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관점의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가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된 초음파 렌즈 및 케이블 보호부의 표면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필요한 몰드의 개수가 감소되며, 초음파 프로브의 강도가 증가된다.
제 4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초음파를 방출하고, 상기 초음파의 반사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소자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초음파 프로브로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상기 초음파 소자를 수용하고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초음파를 집속하는 초음파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렌즈 및 상기 케이스가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관점의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프로브의 케이스 및 초음파 렌즈가 단일 재료의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필요한 몰드의 개수가 감소되고, 그립성이 향상된다.
제 5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초음파를 방출하고, 상기 초음파의 반사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소자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초음파 프로브로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상기 초음파 소자를 수용하고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굴곡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관통부에 제공된 케이블 보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케이블 보호부가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관점의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프로브의 케이스 및 케이블 보호부가 단일 재료의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필요한 몰드의 개수가 감소되고 그립성이 향상된다.
제 6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초음파를 방출하고, 상기 초음파의 반사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소자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초음파 프로브로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상기 초음파 소자를 수용하고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굴곡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관통부에 제공된 케이블 보호부와, 상기 초음파를 집속하는 초음파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보호부가 적어도 상기 손잡이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관점의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프로브의 손잡이부를 커버하는 케이블 보호부가 제공되기 때문에, 작업 동안에 그립성이 향상된다.
제 7 관점의 본 발명은, 제 6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부 및 상기 케이스가 공통 몰드를 이용하는 2 색상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관점의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프로브의 케이스가 2 색상 몰딩을 사용하여 케이블 보호부와 함께 형성되고 초음파 프로브의 손잡이부가 케이블 보호부로 커버되기 때문에, 몰드의 개수 및 단계의 수가 감소되고, 작업 동안에 그립성이 향상된다.
제 8 관점의 본 발명은, 제 1 내지 제 7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가 상기 초음파 소자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상기 초음파 렌즈 및 상기 케이블 보호부가 상기 고정 부재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관점의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초음파 렌즈 및 케이블 보호구가 초음파 소자가 끼워맞춰지는 고정 부재의 표면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초음파 프로브는 인서트 몰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 9 관점의 본 발명은, 제 8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초음파 소자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초음파 소자와 상기 초음파 렌즈부 사이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관점의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소자와 초음파 렌즈부 사이의 위치 관계가 고정 부재에 제공된 위치설정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초음파 렌즈부의 특성이 고정밀도로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 초음파 렌즈부 및 부싱부가 일체 성형으로 제조된 초음파 프로브(10)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초음파 프로브(10)는, 이 프로브(10)가 신체 공동내로 삽입하도록 의도된 팁 부분을 구비하고 초음파 소자가 이 팁 부분에 끼워맞춰지는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10)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10)는 그내에 초음파 소자(3),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고정 부재(6)를 구비한다. 초음파 소자(3)는 고정 부재(6)내에 끼워맞춰지고, 케이스(12)의 팁 부분 근처에 배치된다. 초음파 소자(3)와 접속된 광폭 케이블(4)은 커넥터(5)를 통해 접속 케이블(2)에 접속되며, 접속 케이블(2)은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이 고정 부재(6)내에 끼워맞춰지고 고정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케이스(12)는 초음파 렌즈부(11)를 초음파 소자(3) 근처에 형성한다. 또한, 케이스(12)는 접속 케이블(2)이 케이스내로 통과하는 관통부에 부싱부(13)를 형성한다. 부싱부(13)는 관통부에서 접속 케이블(2)의 굴곡을 제한함으로써 접속 케이블(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부로서 작용한다. 더욱이, 케이스(12)는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4)를 포함한다.
초음파 소자(3)는 광폭 케이블(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초음파는 초음파 렌즈부(11)에 의해 집속되며, 영상화될 피검 대상이 집속된 초음파로 조사된다. 또한, 초음파 소자(3)는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인 반사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형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그 신호를 광폭 케이블(4)로 출력한다. 광폭 케이블(4)은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을 통해 초음파 소자(3)에 의한 전기 신호 출력을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한다. 초음파 영상 장치는 접속 케이블(2)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화된 피검 대상의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처리를 수행할 때, 조작자는 손잡이부(14)를 잡고, 초음파 렌즈부(11)를 영상화될 피검 대상의 소망 부분에 놓아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그 때에, 초음파 검사용 용제가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이 초음파 검사용 용제는 신체의 임피던스와 유사한 음향 임피던스를 갖고 초음파의 감쇠를 방지하는 겔형 용제이다. 그러한 용제를 도포함으로써, 다중 반사가 억제될 수 있고, 노이즈가 방지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10)의 팁 부분은 신체 공동내로, 즉 식도, 장, 질, 항문 등의 내부로 삽입되어 생명체의 내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10)의 제조에 있어서, 초음파 소자(3),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은 우선 고정 부재(6)내에 끼워맞춰진다. 다음에, 고정 부재(6)는 케이스(12)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갖는 몰드의 내부에 위치된다. 초음파 렌즈로서 작용할 실리콘 수지를 캐비티내로 사출함으로써, 케이스(12)는 일체로 몰딩될 수 있으며, 초음파 렌즈부(11) 및 부싱부(13)는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6)를 몰드의 내부에 배치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접속 케이블(2)을 사용하여 고정 부재(6)를 캐비티내에 매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과, 몰드 및 고정 부재(6)에 위치설정용 위치설정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중에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몰드 및 고정 부재(6)에 위치설정부가 제공되는 경우에 고정 부재(6)를 배치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하부 몰드(15)는 캐비티(16)를 구비하며, 이 캐비티(16)의 내측에는 위치설정 핀(16a, 16b)이 제공된다. 고정 부재(6)는 위치설정 핀(16a)에 대응하는 위치설정부(6a) 및 위치설정 핀(16b)에 대응하는 위치설정부(6b)를 구비한다.
고정 부재(6)가 하부 몰드(15)에 배치되는 경우에, 몰드(15)와 고정 부재(6) 사이의 위치 관계는 위치설정부(6a)내로 위치설정 핀(16a)을 삽입하고 위치설정부(6b)내로 위치설정 핀(16b)을 삽입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10)에 있어서, 초음파 렌즈부(11)가 케이스(12)의 일체 몰딩에 의해 케이스(12)와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몰드(15)와 고정 부재(6) 사이의 위치 관계는 초음파 소자(3) 및 초음파 렌즈부(11)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여, 초음파 렌즈부(11)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초음파 렌즈부(11)의 특성은 위치설정 핀(16a) 및 위치설정부(6a)를 초음파 렌즈부(11) 근처에 배치함으로써 고 정밀도로 규정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초음파 렌즈부(11) 및 부싱부(13)가 제 1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10)의 케이스(12)의 일체 몰딩 동안에 케이스(12)와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초음파 프로브(10)는 하나의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부재의 개수가 감소되고, 조립 단계의 수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의 저감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초음파 렌즈부(11), 케이스(12) 및 부싱부(13)가 초음파 렌즈로서 기능하는 실리콘 재료로 일체 몰딩함으로써 성형되기 때문에, 케이블 보호부로서의 기능이 부싱부(13)에서 충분히 달성되며, 손잡이부(14)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고 그립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케이스(12)를 일체 몰딩함으로써, 초음파 프로브(10)의 외관에서 갭 및 시임(seam)이 제거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접속 케이블(2) 및 광폭 케이블(4)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5)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지만, 접속 케이블(2)이 커넥터(5) 없이 광폭 케이블(4)에 직접 납땜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이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가 설명된다. 케이스(12), 초음파 렌즈부(11) 및 부싱부(13)가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10)에서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제 2 실시예에 나타낸 초음파 프로브(20)는 별도 몰딩된 초음파 렌즈부 및 케이스를 구비하며, 부싱부는 케이스의 표면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몰딩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초음파 프로브(10)와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지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초음파 프로브(2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20)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20)는 케이스(22)의 팁 부분에 초음파 소자(3)를 구비한다. 초음파 소자(3)와 접속된 광폭 케이블(4)은 커넥터(5)를 통해 접속 케이블(2)에 접속되며, 이 접속 케이블(2)은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케이스(22)는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24)를 포함한다. 더욱이, 초음파 프로브(20)는 접속 케이블(2)이 케이스(22)내로 통과하는 관통부에 부싱부(23)를 포함한다. 부싱부(23)는 관통부에서 접속 케이블(2)의 굴곡을 제한함으로써 접속 케이블(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부로서 작용한다. 부싱부(23)는 손잡이부(24)를 커버하여, 미끄러짐 스토퍼(slip stopper)로서 작용한다.
초음파 소자(3)는 광폭 케이블(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초음파는 초음파 렌즈부(21)에 의해 집속되며, 영상화될 피검 대상이 집속된 초음파로 조사된다. 또한, 초음파 소자(3)는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인 반사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형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그 신호를 광폭 케이블(4)로 출력한다. 광폭 케이블(4)은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을 통해 초음파 소자(3)에 의한 전기 신호 출력을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한다. 초음파 영상 장치는 접속 케이블(2)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화된 피검 대상의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처리를 수행할 때, 조작자는 손잡이부(24)를 잡고, 초음파 렌즈부(21)를 영상화될 피검 대상의 바람직한 부분에 놓아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그 때에, 초음파 검사용 용제가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도포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20)의 팁 부분은 신체 공동내로, 즉 식도, 장, 질, 항문 등의 내부로 삽입되어 생명체의 내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초음파 프로브(2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초음파 프로브(20)의 분해도이다. 초음파 프로브(20)는 초음파 렌즈부(21), 케이스 부재(22a) 및 케이스 부재(22b)를 별도 형성하여 그들을 결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케이스 부재(22a, 22b)는 경질 수지로 제조되며, 경질 수지의 표면상에 고무 재료의 부싱 부재(23a) 및 부싱 부재(23b)를 각각 구비한다. 부싱 부재(23a, 23b)는 2 색상(two-color) 몰딩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그에 의해 부싱 부재는 손잡이부(24)에 대응하는 케이스 부재(22a, 22b)의 표면을 커버한다.
초음파 프로브(20)의 제조 방법은 우선 초음파 렌즈부(21), 케이스 부재(22a) 및 케이스 부재(22b)를 별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에, 초음파 소자(3),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이 케이스 부재(22b)내로 끼워맞춰진다. 그후에, 초음파 렌즈부(21), 케이스 부재(22a) 및 케이스 부재(22b)를 조립하여 초음파 프로브(20)를 얻을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부싱부(23) 및 케이스(22)가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2 색상 몰딩을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용 몰드의 개수가 감소하고 조립 단계의 수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킨다.
더욱이, 부싱부(23)가 고무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케이블 보호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동시에, 손잡이부(24)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고 그립성이 향상된다.
이 실시예에서 접속 케이블(2) 및 광폭 케이블(4)이 커넥터(5)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지만, 접속 케이블(2)이 커넥터(5) 없이 광폭 케이블(4)에 직접 납땜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이하, 제 3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가 설명된다. 케이스(12), 초음파 렌즈부(11) 및 부싱부(13)가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10)에서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초음파 프로브(30)는 사전에 일체 몰딩된 초음파 렌즈부 및 부싱부를 구비하며, 케이스는 그들 표면상에 형성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초음파 프로브(10)와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지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초음파 프로브(3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30)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30)는 케이스(32)내에서 일체 성형되어 초음파 렌즈부(31) 및 부싱부(33)를 형성하는 실리콘 재료를 포함한다. 실리콘 재료는 그내에 초음파 소자(3),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고정 부재(6)를 구비한다.
초음파 소자(3)는 고정 부재(6)내에 끼워맞춰지고, 실리콘 재료의 팁 부분 근처에 배치된다. 초음파 소자(3)와 접속된 광폭 케이블(4)은 커넥터(5)를 통해 접속 케이블(2)에 접속되며, 접속 케이블(2)은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이 고정 부재(6)내에 끼워맞춰지고 고정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실리콘 재료는 초음파 렌즈부(31)를 초음파 소자(3) 근처에 형성한다. 또한, 실리콘 재료는 접속 케이블(2)이 실리콘 재료내로 통과하는 관통부에 부싱부(33)를 형성한다. 부싱부(33)는 관통부에서 접속 케이블(2)의 굴곡을 제한함으로써 접속 케이블(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부로서 작용한다. 케이스(32)는,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고 초음파 렌즈부(31) 및 부싱부(33)가 노출된 실리콘 재료의 표면을 커버하는 손잡이부(34)를 형성한다.
초음파 소자(3)는 광폭 케이블(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초음파는 초음파 렌즈부(31)에 의해 집속되며, 영상화될 피검 대상이 집속된 초음파로 조사된다. 또한, 초음파 소자(3)는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인 반사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형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그 신호를 광폭 케이블(4)로 출력한다. 광폭 케이블(4)은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을 통해 초음파 소자(3)에 의한 전기 신호 출력을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한다. 초음파 영상 장치는 접속 케이블(2)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화된 피검 대상의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처리를 수행할 때, 조작자는 손잡이부(34)를 잡고, 초음파 렌즈부(31)를 영상화될 피검 대상의 바람직한 부분에 놓아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그 때에, 초음파 검사용 용제가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이 초음파 검사용 용제는 신체의 임피던스와 유사한 음향 임피던스를 갖고 초음파의 감쇠를 방지하는 겔형 용제이다. 그러한 용제를 도포함으로써, 다중 반사가 억제될 수 있고, 노이즈가 방지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30)의 팁 부분은 신체 공동내로, 즉 식도, 장, 질, 항문 등의 내부로 삽입되어 생명체의 내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30)의 제조에 있어서, 초음파 소자(3),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은 우선 고정 부재(6)내에 끼워맞춰진다. 다음에, 고정 부재(6)를 둘러싸는 실리콘 재료를 몰딩하여 초음파 렌즈부(31) 및 부싱부(33)를 형성하기 위해 인서트 몰딩이 사용된다. 다음에, 케이스(32)는 경질 수지를 사용하여 인서트 몰딩되며, 그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30)가 얻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초음파 렌즈부(31) 및 부싱부(33)가 동일 재료로 일체 몰딩되고 케이스(32)가 제 3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30)에서의 인서트 몰딩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부재의 개수가 감소되고, 조립 단계의 수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의 저감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케이스(32)가 경질 수지의 인서트 몰딩을 사용하여 별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초음파 프로브(30)의 외관에서 갭 및 시임이 제거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초음파 프로브(30)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접속 케이블(2) 및 광폭 케이블(4)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5)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지만, 접속 케이블(2)이 커넥터(5) 없이 광폭 케이블(4)에 직접 납땜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 4 실시예
이하, 제 4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가 설명된다. 케이스, 초음파 렌즈부 및 부싱부가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10)에서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제 4 실시예에서의 초음파 프로브(40)는 일체 몰딩된 케이스 및 초음파 렌즈부를 구비하며, 부싱부는 별도로 몰딩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초음파 프로브(10)와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지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초음파 프로브(4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40)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40)는 그내에 초음파 소자(3),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고정 부재(6)를 구비한다. 초음파 소자(3)는 고정 부재(6)내에 끼워맞춰지고, 케이스(42)의 팁 부분 근처에 배치된다. 초음파 소자(3)와 접속된 광폭 케이블(4)은 커넥터(5)를 통해 접속 케이블(2)에 접속되며, 접속 케이블(2)은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이 고정 부재(6)내에 끼워맞춰지고 고정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케이스(42)는 초음파 렌즈부(11)를 초음파 소자(3) 근처에 형성한다. 또한, 초음파 프로브(40)는 접속 케이블(2)이 케이스(42)내로 통과하는 관통부에 부싱부(43)를 포함한다. 부싱부(43)는 고무 재료로 제조되며, 관통부에서 접속 케이블(2)의 굴곡을 제한함으로써 접속 케이블(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케이스(42)는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44)를 포함한다.
초음파 소자(3)는 광폭 케이블(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초음파는 초음파 렌즈부(41)에 의해 집속되며, 영상화될 피검 대상이 집속된 초음파로 조사된다. 또한, 초음파 소자(3)는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인 반사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형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그 신호를 광폭 케이블(4)로 출력한다. 광폭 케이블(4)은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을 통해 초음파 소자(3)에 의한 전기 신호 출력을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한다. 초음파 영상 장치는 접속 케이블(2)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화된 피검 대상의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처리를 수행할 때, 조작자는 손잡이부(44)를 잡고, 초음파 렌즈부(41)를 영상화될 피검 대상의 바람직한 부분에 놓아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그 때에, 초음파 검사용 용제가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도포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40)의 팁 부분은 신체 공동내로, 즉 식도, 장, 질, 항문 등의 내부로 삽입되어 생명체의 내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40)의 제조에 있어서, 초음파 소자(3),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은 우선 고정 부재(6)내에 끼워맞춰진다. 다음에, 부싱부(43)는 고정 부재(6)에 형성된다. 그후에, 고정 부재(6)는 케이스(42)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갖는 몰드의 내부에 위치되며, 초음파 렌즈로서 작용할 실리콘 수지를 캐비티내로 사출함으로써, 케이스(42) 및 초음파 렌즈부(41)는 일체로 몰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초음파 렌즈부(41)가 제 4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40)의 케이스(42)의 일체 몰딩 동안에 케이스(42)와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42) 및 초음파 렌즈부(41)는 하나의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부재의 개수가 감소되고, 조립 단계의 수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의 저감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초음파 렌즈부(41), 케이스(42)가 초음파 렌즈로서 기능하는 실리콘 재료로 일체 몰딩함으로써 일체로 몰딩되기 때문에, 손잡이부(44)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고 그립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케이스(42)를 일체 몰딩함으로써, 초음파 프로브(40)의 외관에서 갭 및 시임이 제거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접속 케이블(2) 및 광폭 케이블(4)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5)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지만, 접속 케이블(2)이 커넥터(5) 없이 광폭 케이블(4)에 직접 납땜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 5 실시예
이하, 제 5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가 설명된다. 케이스, 초음파 렌즈부 및 부싱부가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10)에서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제 5 실시예에 나타낸 초음파 프로브(50)는 일체 몰딩된 케이스 및 부싱부를 구비하며, 초음파 렌즈부는 별도로 몰딩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초음파 프로브(10)와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지정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초음파 프로브(5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50)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50)는 케이스(52)의 팁 부분에 초음파 렌즈부(51)를 포함하고, 이 초음파 렌즈부(51) 내측에 초음파 소자(3)를 포함한다. 초음파 소자(3)와 접속된 광폭 케이블(4)은 커넥터(5)를 통해 접속 케이블(2)에 접속되며, 접속 케이블(2)은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초음파 렌즈부(51), 초음파 소자(3),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이 고정 부재(6)내에 끼워맞춰지고 고정된다.
케이스(52)는 접속 케이블(2)이 케이스(52)내로 통과하는 관통부에 부싱부(53)를 포함한다. 부싱부(53)는 관통부에서 접속 케이블(2)의 굴곡을 제한함으로써 접속 케이블(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케이스(52)는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54)를 포함한다.
초음파 소자(3)는 광폭 케이블(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초음파는 초음파 렌즈부(51)에 의해 집속되며, 영상화될 피검 대상이 집속된 초음파로 조사된다. 또한, 초음파 소자(3)는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인 반사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형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그 신호를 광폭 케이블(4)로 출력한다. 광폭 케이블(4)은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을 통해 초음파 소자(3)에 의한 전기 신호 출력을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한다. 초음파 영상 장치는 접속 케이블(2)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화된 피검 대상의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처리를 수행할 때, 조작자는 손잡이부(54)를 잡고, 초음파 렌즈부(51)를 영상화될 피검 대상의 바람직한 부분에 놓아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그 때에, 초음파 검사용 용제가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도포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50)의 팁 부분은 신체 공동내로, 즉 식도, 장, 질, 항문 등의 내부로 삽입되어 생명체의 내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50)의 제조에 있어서, 초음파 렌즈부(51), 초음파 소자(3), 광폭 케이블(4),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은 우선 고정 부재(6)내에 끼워맞춰진다. 다음에, 고정 부재(6)는 케이스(52)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갖는 몰드의 내부에 위치되며, 모두 고무 재료로 제조된 케이스(52) 및 부싱부(53)가 인서트 몰딩에 의해 고정 부재(6)의 표면상에 일체로 몰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부싱부(53)가 제 4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50)의 케이스(52)의 일체 몰딩 동안에 케이스(52)와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52) 및 부싱부(53)는 하나의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부재의 개수가 감소되고, 조립 단계의 수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의 저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부싱부(53)가 고무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케이블 보호부로서의 기능이 부싱부(53)에서 충분히 달성되며, 손잡이부(54)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고 그립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초음파 렌즈부(51)가 별도 부재이기 때문에, 초음파 렌즈가 케이스(52) 및 부싱부(53)용 재료일 필요가 없고, 저가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더욱 더 감소시킨다. 또한, 초음파 렌즈부(51)가 고정 부재(6)에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초음파 소자(3)에 대한 초음파 렌즈부(51)의 위치설정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접속 케이블(2) 및 광폭 케이블(4)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5)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지만, 접속 케이블(2)이 커넥터(5) 없이 광폭 케이블(4)에 직접 납땜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 6 실시예
이하, 제 6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가 설명된다. 전술된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는, 그것이 신체 공동내로 삽입하도록 의도된 팁 부분을 구비하고 초음파 소자가 이 팁 부분에 끼워맞춰지는 구성을 가지는 반면에, 프로브를 신체의 표면에 놓고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초음파 프로브가 후술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인 초음파 프로브(6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60)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60)는 손잡이부(64)가 제공된 케이스(62)의 일단부에 초음파 소자(3)를 포함하며, 접속 케이블(2)은 초음파 소자(3)에 정반대인 타단부로부터 빠져나간다. 초음파 소자(3)가 배치된 케이스(62)의 단부는 손잡이부(62)보다 넓고, 그 단부에는 초음파 렌즈부(61)가 제공된다. 초음파 렌즈부(61)는 케이스(62)의 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표면을 구비하며,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놓이기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초음파 프로브(60)는 접속 케이블(2)이 케이스(62)내로 통과하는 관통부에 부싱부(63)를 포함한다. 부싱부(63)는 관통부에서 접속 케이블(2)의 굴곡을 제한함으로써 접속 케이블(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부로서 작용한다. 더욱이, 부싱부(63)는 손잡이부(64)를 커버하여, 미끄러짐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초음파 소자(3)는 광폭 케이블(4) 및 커넥터(5)를 통해 접속 케이블(2)에 접속되며, 접속 케이블(2)은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초음파 소자(3)는 광폭 케이블(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초음파는 초음파 렌즈부(61)에 의해 집속되며, 영상화될 피검 대상이 집속된 초음파로 조사된다. 또한, 초음파 소자(3)는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인 반사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형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그 신호를 광폭 케이블(4)로 출력한다. 광폭 케이블(4)은 커넥터(5) 및 접속 케이블(2)을 통해 초음파 소자(3)에 의한 전기 신호 출력을 초음파 영상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한다. 초음파 영상 장치는 접속 케이블(2)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화된 피검 대상의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처리를 수행할 때, 조작자는 손잡이부(64)를 잡고, 초음파 렌즈부(61)를 영상화될 피검 대상의 바람직한 부분에 놓아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그 때에, 초음파 검사용 용제가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부싱부(63) 및 케이스(62)는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2 색상 몰딩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2 색상 몰딩을 사용함으로써, 초음파 프로브(60) 제조용 몰드의 개수가 감소하고 조립 단계의 수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킨다.
더욱이, 부싱부(63)가 고무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케이블 보호부로서의 기능이 부싱부(63)에서 충분히 달성되는 동시에, 손잡이부(64)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고 그립성이 향상된다.
제 6 실시예의 초음파 프로브는 프로브를 영상화될 피검 대상에 놓아 영상 처리하기에 특히 적합한 형상을 갖는 제 2 실시예에 설명된 초음파 프로브상에 기초한 변형예이지만, 제 6 실시예의 형상은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 설명된 초음파 프로브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접속 케이블(2) 및 광폭 케이블(4)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5)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지만, 접속 케이블(2)이 커넥터(5) 없이 광폭 케이블(4)에 직접 납땜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여러 다양한 상이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것 이외에는,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초음파 프로브에 따르면, 부재의 개수가 감소되고, 조립 단계의 수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의 저감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10)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몰드 및 고정 부재(6)에 위치설정부가 제공되는 경우에 고정 부재(6)를 배치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초음파 프로브(2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20)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20)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초음파 프로브(3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30)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초음파 프로브(4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40)의 D-D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초음파 프로브(5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50)의 E-E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인 초음파 프로브(6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60)의 F-F선 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초음파 프로브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초음파 프로브의 분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접속 케이블 3 : 초음파 소자
4 : 광폭 케이블 5 : 커넥터
6 : 고정 부재
10, 20, 30, 40, 50, 60 : 초음파 프로브
11, 21, 31, 41, 51, 61 : 초음파 렌즈부
12, 22, 32, 42, 52, 62 : 케이스
13, 23, 33, 43, 53, 63 : 부싱부
14, 24, 34, 44, 54, 64 : 손잡이부

Claims (6)

  1. 초음파를 방출하고 상기 초음파의 반사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소자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소자를 수용하고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굴곡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관통부에 제공된 케이블 보호부와,
    상기 초음파를 집속하는 초음파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렌즈 및 상기 케이블 보호부가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초음파 렌즈 및 상기 케이블 보호부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초음파 프로브.
  2. 초음파를 방출하고 상기 초음파의 반사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소자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소자를 수용하고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굴곡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관통부에 제공된 케이블 보호부와,
    상기 초음파를 집속하는 초음파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렌즈 및 상기 케이블 보호부가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렌즈가 별도 성형되는
    초음파 프로브.
  3. 삭제
  4. 초음파를 방출하고 상기 초음파의 반사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소자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소자를 수용하고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굴곡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관통부에 제공된 케이블 보호부와,
    상기 초음파를 집속하는 초음파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렌즈 및 상기 케이스가 일체 몰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보호부가 별도 성형되는
    초음파 프로브.
  5. 초음파를 방출하고 상기 초음파의 반사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소자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소자를 수용하고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굴곡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관통부에 제공된 케이블 보호부와,
    상기 초음파를 집속하는 초음파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초음파 렌즈가 별도 성형되고,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상에 부싱부가 성형되는
    초음파 프로브.
  6. 초음파를 방출하고 상기 초음파의 반사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소자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소자를 수용하고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의 굴곡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관통부에 제공된 케이블 보호부와,
    상기 초음파를 집속하는 초음파 렌즈와,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상에 성형된 부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가 제 1 색상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부싱부가 제 2 색상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제 2 색상은 상기 제 1 색상과 상이한
    초음파 프로브.
KR10-2002-0073357A 2001-11-26 2002-11-25 초음파 프로브 KR100491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59945 2001-11-26
JP2001359945A JP2003164450A (ja) 2001-11-26 2001-11-26 超音波プロー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695A KR20030043695A (ko) 2003-06-02
KR100491235B1 true KR100491235B1 (ko) 2005-05-25

Family

ID=1917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357A KR100491235B1 (ko) 2001-11-26 2002-11-25 초음파 프로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09398B2 (ko)
JP (1) JP2003164450A (ko)
KR (1) KR100491235B1 (ko)
CN (1) CN125312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620B1 (ko) 2006-11-09 2008-12-26 주식회사 메디슨 초음파 영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3700A1 (en) 2003-11-26 2005-05-26 Koji Yanagihara Ultrasonic probe
AU2004294945B2 (en) * 2003-11-26 2011-05-26 Imacor Inc. Transesophageal ultrasound using a narrow probe
JP4624165B2 (ja) * 2005-04-13 2011-02-02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診断装置
JP4699896B2 (ja) * 2005-12-28 2011-06-15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超音波プローブ保護用ブラケット及び超音波プローブ
US8465686B2 (en) * 2008-12-19 2013-06-18 Volcan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rotational intravascular ultrasound probe
US8403856B2 (en) 2009-03-11 2013-03-26 Volcano Corporation Rotational intravascular ultrasound probe with an active spinning element
JP2013123459A (ja) 2011-12-13 2013-06-24 Seiko Epson Corp 生体検査用プローブ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7420A (ja) * 1988-03-17 1989-09-21 Fujitsu Ltd 超音波探触子の製造方法
JPH03158143A (ja) * 1989-11-17 1991-07-08 Yokogawa Medical Syst Ltd 体内半埋込超音波探触子
US5176140A (en) * 1989-08-14 1993-01-05 Olympus Optical Co., Ltd. Ultrasonic probe
JPH09140706A (ja) * 1995-11-28 1997-06-03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のプローブ
JP2000232979A (ja) * 1999-02-16 2000-08-29 Aloka Co Ltd 超音波探触子
JP2001238885A (ja) * 2000-02-29 2001-09-04 Ngk Spark Plug Co Ltd 超音波探触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4296A (en) 1988-01-13 1993-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nic probe device
JP2502685B2 (ja) 1988-06-15 1996-05-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超音波探触子の製造方法
JP2758199B2 (ja) 1989-03-31 1998-05-28 株式会社東芝 超音波探触子
US5295487A (en) 1992-02-12 1994-03-22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nic probe
US5398689A (en) 1993-06-16 1995-03-21 Hewlett-Packard Company Ultrasonic probe assembly and cable therefor
US5810009A (en) 1994-09-27 1998-09-22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nic probe, ultrasonic probe device having the ultrasonic pro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ultrasonic probe
US6020675A (en) 1995-09-13 2000-02-01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nic probe
US5810733A (en) * 1996-05-07 1998-09-22 Acuson Corporation Encapsulated ultrasound transducer probe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7420A (ja) * 1988-03-17 1989-09-21 Fujitsu Ltd 超音波探触子の製造方法
US5176140A (en) * 1989-08-14 1993-01-05 Olympus Optical Co., Ltd. Ultrasonic probe
JPH03158143A (ja) * 1989-11-17 1991-07-08 Yokogawa Medical Syst Ltd 体内半埋込超音波探触子
JPH09140706A (ja) * 1995-11-28 1997-06-03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のプローブ
JP2000232979A (ja) * 1999-02-16 2000-08-29 Aloka Co Ltd 超音波探触子
JP2001238885A (ja) * 2000-02-29 2001-09-04 Ngk Spark Plug Co Ltd 超音波探触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620B1 (ko) 2006-11-09 2008-12-26 주식회사 메디슨 초음파 영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00834A1 (en) 2003-05-29
CN1422599A (zh) 2003-06-11
JP2003164450A (ja) 2003-06-10
KR20030043695A (ko) 2003-06-02
CN1253128C (zh) 2006-04-26
US6709398B2 (en) 2004-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4140B1 (en) Ultrasound array transducer for catheter use
US6461304B1 (en) Ultrasound inspection apparatus detachably connected to endoscope
KR100491235B1 (ko) 초음파 프로브
JP2018061862A (ja) 超音波プローブおよび整列された針ガイドシステム
JP4394226B2 (ja) 内視鏡の先端部位置検出装置
JP2598474B2 (ja) 超音波吸引装置
JP5841698B2 (ja) 超音波内視鏡先端部
KR20150095627A (ko) 초음파 프로브
JPH02241442A (ja) 雌の大形動物の妊娠を検知するための超音波装置
JP2001327490A (ja) 超音波探触子用コネクタカバー
KR20110055881A (ko) 프로브의 스트레인 릴리프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407617B2 (ja) 経内視鏡的に挿入される超音波検査装置
JPS6173638A (ja) 超音波内視鏡装置
JPS6129737B2 (ko)
KR20210062031A (ko) 초음파 변환기에 통합된 실링 멤브레인을 갖춘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
JP4359362B2 (ja) 医療用超音波プローブ
JPS6115849Y2 (ko)
JP4615253B2 (ja) 超音波プローブ
JPH07222748A (ja) 血管用超音波プローブ
JP3911825B2 (ja) 超音波プローブ
JP2000051216A (ja) 超音波検査装置
JP2768984B2 (ja) 超音波探触子
JP4169285B2 (ja) 小型超音波探触子
JP2712975B2 (ja) 体腔内用超音波プローブ
JPH114828A (ja) 小型超音波探触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