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031A - 초음파 변환기에 통합된 실링 멤브레인을 갖춘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 - Google Patents

초음파 변환기에 통합된 실링 멤브레인을 갖춘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031A
KR20210062031A KR1020217010792A KR20217010792A KR20210062031A KR 20210062031 A KR20210062031 A KR 20210062031A KR 1020217010792 A KR1020217010792 A KR 1020217010792A KR 20217010792 A KR20217010792 A KR 20217010792A KR 20210062031 A KR20210062031 A KR 20210062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transducer
membrane
probe
ultrasonic
elasticity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랑트 산드린
Original Assignee
에코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쌍스 filed Critical 에코쌍스
Publication of KR2021006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5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measuring strain or elastic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2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 body cavities or body tracts, e.g. by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11Device bein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2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hygiene 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55Features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probe, e.g. ergonomic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8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ultrasound transduc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에 대한 것이며, 상기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는:
- 프로브 바디(101);
- 축을 따라 초음파 빔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변환기(103), 상기 초음파 빔은 환자의 몸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으로부터 발생됨;
- 상기 프로브 바디(101) 내에 위치하고 미리 정해진 축을 따라 초음파 변환기(103)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해 배열된 진동기(102);를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는 미리 정해진 축과 초음파 빔의 축이 서로 일치하도록 진동기(102) 상에 장착되고, 초음파 변환기(103)의 외부 윤곽을 감싸고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을 덮는 실링 멤브레인(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음파 변환기에 통합된 실링 멤브레인을 갖춘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transient elastography probes)에 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실링 멤브레인(sealing membrane)이 통합된 초음파 변환기(ultrasound transducer)를 포함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 조직(tissue)의 점탄성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에 대한 것이고 특히 실링 멤브레인이 제공된 초음파 변환기를 포함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에 대한 것이다.
여러 간 질환들은 간 조직의 점탄성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진단될 수 있다. 만성 바이러스 간염, 알콜성 및 비-알콜성 지방성 간염, 자가 면역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 원발성 담즙 간경변은 간의 경직도의 점진적 변화의 모든 원인이 된다. 일부 경우, 섬유증이라고도 하는 이러한 경직도의 증가는 환자에 대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간경변과 간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간 경직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장 신뢰할만하고 효과적인 기술 중 하나는 순간 탄성측정법이다(예를 들어, "WFUMB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use of ultrasound elastography part 3: liver" by G. Ferraioli et al. published in "Ultrasound in Med. and Biol.", 41, 5, 2015 참고).
출원인은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Vibration Controlled Transient Elastography(VCTE)"로서 알려진 탄성측정법 기술을 사용하여 간 경직도를 측정하는 Fibroscan®(예를 들어 특허 EP1169636 및 EP1531733 참고)으로 알려진 장치를 개발하고 판매했다.
VCTE 적용에서, 간 경직도의 측정은 검사중인 조직 내의 순간 전단파(transient shear wave)의 전파 속도의 측정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 프로브(probe)가 개발되었다. 이 프로브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기 및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변환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Fibroscan® 프로브에서, 진동기는 초음파 변환기를 변위시키고 환자의 몸에 대해 초음파 변환기를 누른다. 이러한 펄스 움직임(pulsed movement)은 간 내부에서 전파되는 순간 전단파를 발생한다. 전단파의 전파에 의해 야기된 변위는 이후 고주파의, 짧은 초음파 펄스를 계획된 매체(studied medium)로 전송하여 조사된다.
검사 중, 초음파 변환기는 이후 환자의 몸과 직접 접촉하거나 초음파 전달을 선호하는 수성 젤과 접촉한다. 따라서, 초음파 변환기는 환자에 대한 효율적이고 고통 없는 검사를 가능하게 하면서, 성능 저하를 방지하게 하기 위해 방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고통이 없고 사용된 프로브의 성능 저하(deterioration)의 위험성이 없는 순간 탄성측정법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에 대한 것이며, 상기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는:
- 프로브 바디(probe body);
- 축을 따라 초음파 빔(ultrasound beam)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변환기, 상기 초음파 빔은 초음파 변환기의 면(face)으로부터 발생됨;
- 프로브 바디 내에 위치하고 미리 정해진 축을 따라 초음파 변환기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해 배열된 진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변환기는 진동기에 장착되어 미리 정해진 축과 초음파 빔의 축은 서로 일치하도록 진동기 상에 장착되며, 초음파 변환기의 외부 윤곽을 감싸는 실링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초음파 변환기는 프로브를 방수되게 하여 검사 중 프로브의 손상을 방지하게 만드는 멤브레인에 의해 둘러싸인다. 멤브레인은 또한 환자에 대한 고통 없는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초음파 변환기의 면 상의 꼭지점을 덮을 수 있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멤브레인은 현행 규정에 대한 프로브의 준수를 위한 충분한 유전체 절연을 확보하는 것을 간소화한다.
앞선 단락에서 언급된 특성과 별도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프로브는 개별적으로 또는 모든 기술적으로 가능한 이들의 조합에 따라 고려된, 다음 중에서 하나 이상의 보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변환기 및 멤브레인 조립체는 분리 가능한 엔드 피스(end piece)를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된 초음파 변환기는 환자에게 적응될 수 있으며, 환자와 접촉하는 프로브 부분의 지름은 환자의 형태(morphology)에 따라 상이하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변환기는 초음파 빔의 축에 상응하는 대칭 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변환기는 멤브레인에 의해 프로브 바디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멤브레인은 탄성중합체(elastomer)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멤브레인은 신축성 있고 초음파 변환기가 움직일 때 변형된다.
바람직하게, 멤브레인은 실리콘 타입의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변환기의 면과 접촉하는 멤브레인 부분은 초음파 빔을 초점 맞추도록 구성된 음향 렌즈(acoustic lens)를 형성한다.
따라서, 초음파 빔은 더 잘 초점이 맞춰지고, 이는 더 정밀한 측정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초음파 변환기의 면의 전면에 위치한 멤브레인 부분은 렌즈의 초음파의 전파 속도가 물에서의 초음파 속도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볼록하거나 오목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변환기의 면과 접촉하는 멤브레인 부분은 볼록하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변환기의 면과 접촉하는 멤브레인 부분은 오목하다.
바람직하게, 멤브레인은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멤브레인은 프로브의 더 나은 유전체 절연을 향상시킨다. 실제로, 기존 구성에서, 초음파 변환기의 면만을 덮는 멤브레인이 초음파 변환기에 제공되기 때문에 유전체 절연을 달성하기 더 어렵다. 또한, 유전체 누출은 멤브레인의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멤브레인은 초음파 변환기에 접착(bonded)된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변환기와 프로브 바디 사이에 있는 멤브레인의 부분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은 초음파 변환기가 프로브 바디에 위치된 진동기의 효과 하에 있을 때 변형된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변환기의 면과 접촉하는 멤브레인의 부분의 외부 직경은 3 mm에서 25 mm 사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변환기의 면과 접촉하는 멤브레인의 부분의 두께는 50 ㎛에서 5 mm 사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변환기의 전체 또는 일부는 절두형 원뿔 형태(truncated cone)를 가지며, 초음파 변환기의 면은 최소 면적의 절두형 원뿔의 베이스에 상응한다.
따라서, 환자와 접촉하는 표면은 덜 넓고(less wide), 이는 더 넓은 후면의 수준(level)에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공간을 배열하면서, 환자의 늑간격(intercostal space)에 초음파 변환기의 면을 더 쉽게 수용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 및 그 다양한 적용은 다음의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조사함으로써 더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은 표시 목적을 위해 제공되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실링 멤브레인이 덮인 초음파 변환기로 구성된 엔드피스가 분리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라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원뿔 형태의 초음파 변환기 및 원형의 멤브레인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분리 가능한 엔드피스를 구성하는 도 2a에 나타낸 멤브레인이 덮인 도 2a에 나타낸 초음파 변환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멤브레인이 없는 초음파 변환기에 의해 방출된 초음파 및 더 구체적으로 초음파 변환기로부터 거리(d)에 위치한 초점(F)에서 반사된 초음파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음향 렌즈를 구성하는 멤브레인이 덮인 초음파 변환기에 의해 방출된 초음파 및 더 구체적으로 초음파 변환기로부터의 거리(d)에 위치한 초점(F)에서 반사되고 음향 렌즈의 초점을 구성하는 초음파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c는 초음파 변환기가 멤브레인이 제공되지 않을 때 그리고 초음파 변환기가 멤브레인이 제공될 때 도 3a 및 3b의 초점(F)에서 회절 임펄스 응답(diffraction impulse response)을 나타낸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상이한 도면에서 표현된 동일한 요소는 단일 참조 번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에 대한 것이다.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는 VCTE(진동 제어 순간 탄성측정법, Vibration Controlled Transient Elastography) 기술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브를 의미하며, 즉, 전단파의 통과 도중 매체의 국부적인 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극초단파 초음파(ultra high frequency ultrasound waves)를 사용하여 계획된 매체(studied medium)에서 저주파 전단파의 전파 속도를 추정할 수 있게 하는 프로브를 말한다. 전파 속도는 이때 매체의 점탄성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명세서의 나머지에서, 용어 "프로브", 및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는 구별 없이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프로브(100)는 도 1a에 나타난다.
프로브(100)는 다음을 포함한다:
- 프로브 바디(101);
- 진동기(102);
- 초음파 변환기(103); 및
- 멤브레인(104).
초음파 변환기(103)는 초음파 빔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초음파 빔은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의 레벨에서 발생된다.
예를 들어, 초음파 변환기(103)는 대칭축(A)을 갖는다. 이때 초음파 빔의 전파 축은 대칭축(A)과 평행하다.
예를 들어, 초음파 변환기(103)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두형 원뿔 형태 또는 원통 형태를 가지며 원뿔의 축 또는 원통의 축은 이때 대칭축(A)이다.
초음파 변환기는 예를 들어 10 mm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도 2a에서, 면(107)은 원뿔 형태의 초음파 변환기(103)의 작은 베이스 또는 최소 면적의 베이스에 상응한다. 실제로, 절두형 원뿔은 작은 베이스와 큰 베이스로 불리는, 평행한 평면에 위치된 2개의 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작은 베이스는 큰 베이스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다.
도 1a에서, 면(107)은 진동기(102)와 접촉하지 않는 원통 형태의 초음파 변환기(103)의 베이스에 상응한다.
프로브 바디(101)는 순간 탄성측정법 검사 동안 조작자의 손에 프로브(100)가 쥐어지게 하는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프로브 바디(101)는 초음파 변환기(103)의 대칭축(A)과 같은 축을 가진 회전 솔리드 형태(the shape of a solid of revolution)을 가지며, 더욱 구체적으로, 프로브 바디(101)는 원통 형태를 가지며, 초음파 변환기(103)의 대칭축(A)은 실린더의 축이다. 이때 프로브 바디(101)는 원 형태의 외부 단부(108)를 포함한다.
프로브 바디(101)의 치수는 조작자가 조작자의 손으로 프로브(100)를 잡을 수 있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프로브 바디(101)가 원통 형태인 경우, 프로브 바디(101)의 외부 직경은 20 내지 80 mm 사이로 구성된다.
진동기(102)는 프로브 바디(10) 내에 위치하고 초음파 변환기(103)는 진동기(102) 상에 장착된다.
진동기(102)는 초음파 변환기(103)의 대칭축(A)과 일치하는 미리 정해진 축을 따라 초음파 변환기(103)의 움직임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순간 탄성측정법 검사 동안 환자의 몸에 대해 초음파 변환기(103)를 눌러 저주파 전단파를 발생할 수 있게 만든다.
초음파 변환기(103)는 초음파 변환기의 면(107)에서 환자의 몸과 접촉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형태의 초음파 변환기(103)가 절두형 원뿔의 작은 베이스에서 환자와 접촉한다는 사실은 면(107)이 절두형 원뿔의 큰 베이스에 상응하는 후면보다 더 작은 표면을 가지며 이는 후면에서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남겨두면서 환자의 늑간격에 프로브(100)를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음파 변환기(103)는 외부 윤곽을 감싸고 초음파 변환기(103)의 실링을 보장하는 멤브레인(104)으로 덮인다. 예를 들어, 멤브레인(104)은 초음파 변환기(103)에 접착된다. 멤브레인(104)은 또한 초음파 변환기(103) 상에 오버 몰드(over-moulded)될 수 있다.
멤브레인(104)이 초음파 변환기(103)의 전체를 덮는다는 사실은 멤브레인(104)이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만을 덮을 때 일어나는 유전체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멤브레인(104)의 일부분(105)은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을 덮는다.
이때 멤브레인(104)은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 상의 꼭짓점을 덮어 환자의 고통 없는 검사를 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프로브 바디(101)와 초음파 변환기(103) 사이에 있는 멤브레인(104)의 일부분 및 특히 환자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멤브레인(104)의 일부분은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멤브레인(104)은 초음파 변환기(103)가 프로브 바디(101) 내에 위치한 진동기(102)의 영향 하에 변위될 때 변형된다.
예를 들어, 멤브레인(104)은 멤브레인(104)에 탄력성을 부여하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멤브레인(104)은 실리콘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멤브레인(104)은 프로브(100)의 더 우수한 유전체 절연을 보장하도록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1a에 나타낸 구현 예에 따라, 초음파 변환기(103)는 멤브레인(104)을 통해 프로브 바디(101)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멤브레인(104)은 원 형태를 가지며 멤브레인의 윤곽은 프로브 바디(101)의 단부(108)의 둘레에 배열된다. 프로브 바디(101)의 단부(108)는 예를 들어 멤브레인(104)의 윤곽을 삽입할 수 있게 만드는 홈(groove)을 포함한다. 멤브레인(104)은 예를 들어 또한 프로브 바디(101)로 접착되거나 클립 고정(clipped)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변환기(103)와 멤브레인(104) 조립체는 쉽게 교체할 수 있고 도 1b 또는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 가능한 엔드 피스(106)를 구성한다.
이때 방출된 초음파의 특성을 환자의 형태로 적응시키도록 상이한 크기의 엔드 피스(106)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드 피스(106)는 다음의 초음파 변환기들 사이에서 선택된 초음파 변환기(103)를 포함할 수 있다:
- 8 MHz 중심 주파수 및 3 mm 직경을 가진 초음파 변환기(103);
- 5 MHz 중심 주파수 및 5 mm 직경을 가진 초음파 변환기(103), 이러한 유형의 초음파 변환기가 장착된 엔드 피스(106)는 어린이 또는 작은 체구의 어른의 간의 탄성을 측정하는데 적합함;
- 3.5 MHz 중심 주파수 및 7 mm 직경을 가진 초음파 변환기(103), 이러한 유형의 초음파 변환기가 장착된 엔드 피스(106)는 어른의 간의 탄성을 측정하는데 적합함;
- 2.5 MHz 중심 주파수 및 10 mm 직경을 가진 초음파 변환기(103), 이러한 유형의 초음파 변환기가 장착된 엔드 피스(106)는 비만 어른의 간의 탄성을 측정하는데 적합함;
- 1.5 MHz 중심 주파수 및 12 mm 직경을 가진 초음파 변환기(103).
실제로, 초음파 변환기(103)의 직경이 더 작을수록, 매체에서의 초음파 변환기(103)에 의해 방출된 초음파에 의해 이동된 거리는 더 작아진다. 따라서, 비만 환자의 경우, 피부와 간 사이의 지방 조직의 측은 비-비만 환자에 비해 더 크고 초음파 변환기(103)의 직경은 따라서 측정이 간에서 수행되고 지방 조직에서는 수행되지 않도록 더 커야 한다.
엔드 피스(106)는 예를 들어 프로브 바디(101)로 나사 결합되거나 클립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드 피스(106)는 LED 형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과 접촉하는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의 외부 직경은 예를 들어 3 내지 25 mm 사이로 포함된다.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과 접촉하는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은 예를 들어 50 ㎛ 내지 5 mm 사이에 포함된 두께를 갖는다.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은 초음파 빔을 초점 맞출 수 있는 음향 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명확성의 이유를 위해,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은 도 3b에서 초음파 변환기(103)와 독립적으로 나타내었으며, 그러나, 실제로,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은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과 접촉한다.
도 3a 및 3b에서, 초음파 변환기(103)는 초음파 빔을 방출하고, 초음파 빔의 전파 방향은 초음파 변환기(103)의 대칭축(A)과 평행하다.
도 3b에서, 초음파 빔은 음향 렌즈의 초점을 구성하는,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으로부터 거리(d)에 위치된 초점(F)에 음향 렌즈에 의해 초점 맞춰진다. 모든 광선은 동시에 초점(F)에 도달하고, 이는 시스템의 회절 임펄스 응답의 기간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3a에서,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의 부재시, 초음파 빔의 경로는 어긋나지 않는다. 초점(F)은 회절 임펄스 응답의 기간이 음향 렌즈를 이용하여 초점 맞추는 것에 의한 것보다 크다는 단점을 가진 피스톤 유형의 초음파 변환기(103)의 "자연적인" 초점 맞춤에 의해 규정된다.
도 3c에서 초음파 빔이 초점 맞춰지지 않은 경우 그리고 초음파 빔이 음향 렌즈를 구성하는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에 의해 초점(F)에서 초점 맞춰지는 경우 초점(F)에서 회절 임펄스 응답을 나타낸다. V는 고려된 매체의 초음파의 전파 속도이다.
렌즈를 통해 초점 맞추는 경우 d/V와 동일한 순간에 가까운 순간에 회절 임펄스 응답이 더 짧고, 이는 프로브(100)의 우수한 축방향 및 횡방향 분해능(resolution)을 얻는데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광선이 초점(F)에서 일관되게 합산되기 때문에 음향 렌즈가 존재하는 경우 초점(F)에 의해 반사된 신호의 강도는 또한 음향 렌즈의 부재시보다 더 크다.
초음파 광선이 초점(F)에 도달하기 위해 더 크거나 작은 거리를 이동한다는 사실로 인해 초음파 광선이 완벽히 일관되게 합산되지 않기 때문에 음향 렌즈의 부재시 초점(F)에서 회절 임펄스 응답은 음향 렌즈의 존재의 경우보다 일시적으로 더 펼쳐진다.
음향 렌즈는 렌즈의 초음파의 전파 속도가 물에서의 초음파 속도보다 작은지 또는 큰지에 따라 오목 렌즈 또는 볼록 렌즈일 수 있다.

Claims (15)

  1.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로서,
    프로브 바디(101);
    축을 따라 초음파 빔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변환기(103), 상기 초음파 빔은 환자의 몸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으로부터 발생됨;
    상기 프로브 바디(101) 내에 위치하고 미리 정해진 축을 따라 초음파 변환기(103)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해 배열된 진동기(102);를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는 미리 정해진 축과 초음파 빔의 축이 서로 일치하도록 진동기(102) 상에 장착되고,
    초음파 변환기(103)의 외부 윤곽을 감싸고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을 덮는 실링 멤브레인(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와 멤브레인(104) 조립체가 분리 가능한 엔드 피스(106)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는 초음파 빔의 축에 상응하는 대칭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는 멤브레인(104)에 의해 프로브 바디(10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04)은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04)은 실리콘 유형의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과 접촉하는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은 초음파 빔을 초점 맞추도록 구성된 음향 렌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과 접촉하는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은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과 접촉하는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은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04)은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04)은 초음파 변환기(103)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와 프로브 바디(101) 사이에 있는 멤브레인(104)의 부분은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13.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과 접촉하는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의 외부 직경은 3 내지 25 mm 사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14.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과 접촉하는 멤브레인(104)의 부분(105)의 두께는 50 ㎛ 내지 5 mm 사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 전체 또는 부분은 절두형 원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초음파 변환기(103)의 면(107)은 최소 면적의 절두형 원뿔의 베이스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100).
KR1020217010792A 2018-09-18 2019-09-16 초음파 변환기에 통합된 실링 멤브레인을 갖춘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 KR20210062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8409A FR3085832B1 (fr) 2018-09-18 2018-09-18 Sonde d'elastographie transitoire avec membrane d'etancheite integree au transducteur ultrasonore
FR1858409 2018-09-18
PCT/EP2019/074700 WO2020058188A1 (fr) 2018-09-18 2019-09-16 Sonde d'elastographie transitoire avec membrane d'etancheite integree au transducteur ultrason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031A true KR20210062031A (ko) 2021-05-28

Family

ID=6568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792A KR20210062031A (ko) 2018-09-18 2019-09-16 초음파 변환기에 통합된 실링 멤브레인을 갖춘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759178B2 (ko)
EP (1) EP3852640B1 (ko)
JP (1) JP7344298B2 (ko)
KR (1) KR20210062031A (ko)
CN (1) CN112714630A (ko)
AU (1) AU2019342837A1 (ko)
FR (1) FR3085832B1 (ko)
WO (1) WO20200581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6927A1 (zh) * 2021-12-24 2023-06-29 深圳市影越医疗科技有限公司 声透结构、弹性检测装置、探头、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6294A (ja) * 1982-06-10 1983-12-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響レンズ
JPS63294840A (ja) * 1987-05-28 1988-12-01 Fujitsu Ltd 超音波プロ−ブ
JP2570405Y2 (ja) * 1993-01-30 1998-05-06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超音波探触子
JPH11285496A (ja) * 1998-04-01 1999-10-19 Olympus Optical Co Ltd 超音波探触子
FR2791136B1 (fr) 1999-03-15 2001-06-08 Mathias Fink Procede et dispositif d'imagerie utilisant les ondes de cisaillement
FR2843290B1 (fr) 2002-08-08 2005-06-24 Echosens Dispositif et procede pour la mesure de l'elasticite d'un organe humain ou animal
US7578789B2 (en) * 2002-08-08 2009-08-25 Echosens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elasticity of a human or animal organ
FR2875695B1 (fr) * 2004-09-28 2006-12-01 Echosens Sa Instrument de mesure de l'elasticite d'un organe du type comportant un moyen de centrage
US7588540B2 (en) 2005-04-08 2009-09-15 Vermon Ultrasonic probe for scanning a volume
JP2009510889A (ja) 2005-09-27 2009-03-12 株式会社 メディソン 超音波診断用プローブ及びこれを用いる超音波診断システム
DE102009039958A1 (de) * 2009-08-28 2011-03-10 Bernd Beck Medizinischer Druckmesswandler und Kontakthalter
US9149204B2 (en) * 2011-04-22 2015-10-06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lexible passive acoustic driver for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
JP6002845B2 (ja) * 2013-07-19 2016-10-05 メイヨ フォンデーシヨン フォー メディカル エジュケーション アンド リサーチ 多方向波動場からのせん断波速度を測定するシステム及び医療機器の作動方法
EP3065616A2 (en) * 2014-01-14 2016-09-14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Sensor-bearing tip and med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6144019A (ja) 2015-02-02 2016-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超音波プロ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および超音波画像装置
EP3095387A1 (en) * 2015-05-22 2016-11-23 Echosens Interchangeable tip for ultrasound probe housing
ES2602508B1 (es) * 2015-07-16 2017-11-30 Universidad De Granada Dispositivo emisor de ondas ultrasónicas de torsión y transductor que lo comprende
ES2594808B1 (es) * 2016-02-04 2017-10-05 Universidad De Granada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datos sobre la elasticidad de materiales empleando ondas de torsió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85832A1 (fr) 2020-03-20
EP3852640B1 (fr) 2024-03-20
CN112714630A (zh) 2021-04-27
US20210369242A1 (en) 2021-12-02
US11759178B2 (en) 2023-09-19
JP7344298B2 (ja) 2023-09-13
FR3085832B1 (fr) 2021-07-30
WO2020058188A1 (fr) 2020-03-26
AU2019342837A1 (en) 2021-04-15
JP2022501160A (ja) 2022-01-06
EP3852640A1 (fr)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17627C (en)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detect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US4276491A (en) Focusing piezoelectric ultrasonic medical diagnostic system
Azuma et al. Dual-frequency ultrasound imaging and therapeutic bilaminar array using frequency selective isolation layer
Cleveland et al. In vivo pressure measurements of lithotripsy shock waves in pigs
US20200275846A1 (en) Velocity-matched ultrasonic tagging in photoacoustic flowgraphy
KR20070065338A (ko) 센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유형이며, 기관 탄성을 측정하기위한 기구
RU26166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или биомеханического параметра вязкоупругой среды
Gross et al. A cMUT probe for ultrasound-guided focused ultrasound targeted therapy
ES2846738T3 (es) Transductor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para emitir ondas ultrasónicas de torsión
KR20210062031A (ko) 초음파 변환기에 통합된 실링 멤브레인을 갖춘 순간 탄성측정법 프로브
Yeats et al. Soft tissue aberration correction for histotripsy using acoustic emissions from cavitation cloud nucleation and collapse
JP7210010B2 (ja) 水晶体硬度測定装置
JP2796179B2 (ja) 骨の超音波診断装置
JP2006288580A (ja) 穿刺用プローブ
CN209899435U (zh) 用于弹性成像的探头
EP0709059A2 (en) Apparatus for coupling acoustic waves with an acoustic waveguide
JP6486243B2 (ja) 音響波プローブ、音響波トランスデューサユニット、及び被検体情報取得装置
Chen et al. A 360° fully functional endoscopic ultrasound radial array
Hwang et al. Principles of ultrasound
US11259775B2 (en) Ultrasonic 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ES2933386B2 (es) Receptor y sensor ultrasonicos para la medicion de la anisotropia de una muestra mediante ondas de torsion, metodo y usos del mismo
Wu Design,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ltrasound Transducers and Arrays for Biomedical Imaging and Therapy
WO2014076674A2 (en) In-place clutter reduction for photoacoustic imaging
Shih et al. High frequency acoustic radiation force elastography for imaging the elastic properties of tissues
JPH09288095A (ja) 超音波探触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