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075B1 -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075B1
KR100487075B1 KR10-2003-0010493A KR20030010493A KR100487075B1 KR 100487075 B1 KR100487075 B1 KR 100487075B1 KR 20030010493 A KR20030010493 A KR 20030010493A KR 100487075 B1 KR100487075 B1 KR 100487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empty tray
empty
work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858A (ko
Inventor
강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어테크
Priority to KR10-2003-0010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0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7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반의 전방에 형성된 작업트레이적재위치에 트레이를 장입하여 반도체 포장작업을 완료하고, 이 포장작업이 완료된 트레이를 선반의 후방에 형성된 작업트레이이송위치에 적재하며, 이 적재된 트레이를 운반기가 공트레이이송위치로 운반한 후, 상기 선반의 전방에 형성된 공트레이적재위치로 이송시켜 상기 트레이의 배출을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선반의 전방에서 트레이의 장입 및 배출을 이루도록 하며; 불량 반도체의 선별을 위해 선별위치에 위치되는 공트레이의 공급이 상기 반도체 포장작업의 완료 후에 작업트레이이송위치에 적재된 공트레이와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에 적재된 공트레이 중 어느 한 공트레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공트레이 공급작업을 저감시켜; 상기 선반의 후방공간을 활용하도록 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저감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ISCHARGE TO FRONT ABOUT PACKAGING DEVICE OF SEMICONDUCTOR TRAY}
본 발명은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배출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가 선반 전방에서 상기 트레이의 장입 및 배출을 모두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작업량이 축소되도록 한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의 활용은 판 형상의 트레이에 포장된 반도체를 활용하는 것과, 릴에 권취된 테이프에 포장된 반도체를 활용하는 것이 있으며, 근래에 컴퓨터용 보드 등의 기판에 대한 생산공정에서는 상기 릴권취 테이프에 포장된 반도체를 활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에 대한 포장은 보편적으로 트레이에 포장된 반도체를 상기 테이프의 수용홈에 운반하여 포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작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장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포장장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상에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면서 포장될 반도체가 다수개 끼워지도록 격자형상으로 개구된 개구를 갖는 트레이를 올려놓고, 이 트레이에 끼워진 반도체를 진공흡착작용으로 반도체를 흡착 이동시키도록 된 선별기(50)가 상기 반도체를 흡착·이동시켜 상기 선반(10)의 일측단에 이동·권취되는 테이프(30)의 수용홈에 삽입하고, 이 반도체가 수용홈에 삽입된 테이프의 상면을 덮어 막아 릴권취 테이프의 포장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반도체가 끼워져 상기 테이프(30)로 반도체가 이송되는 작업을 이루는 작업트레이(61)는 상기 이송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선반(10)의 후방으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상기 반도체의 테이프 포장작업에 따른 트레이의 이송 및 배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가 끼워진 트레이가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에 위치되고, 이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에 위치된 작업트레이(61)가 판 형상을 이루는 이송판(9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이송판(900)의 상면에 안착된 작업트레이(61)가 선반(10)의 중앙부 장치대(20)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송되어 작업위치(G)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판(900)은 하단면에 모터(11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100)에 부착되어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의 상기 모터(110)의 작동제어에 따라 상기 이송판(900)이 상기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에서 작업위치(G)로 이동된다.
상기 작업위치(G)로 이송된 작업트레이(61)의 반도체는 상기 선반의 장치대(20) 일단에 설치된 선별기(50)의 작동에 의해 테이프(30)의 수용홈으로 운반되어 포장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에 끼워진 반도체 중에서 불량인 반도체는 상기 선별기(50)의 제어작동으로 상기 작업위치(G)의 측부에 형성된 선별위치(H)의 공트레이(63)로 선별·분리되어 배출된다.
상기 선별기(50)에 의해 반도체가 모두 운반된 작업트레이(61)는 공트레이(63)로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이송판(900)의 이송작동에 의해 상기 선반(10)의 후방으로 이송되고, 이 선반(10)의 후방으로 이송된 공트레이(63)는 상기 선반(10)의 후방에 형성된 공트레이배출위치(K)에 위치되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공트레이(63)의 배출은 상기 선반(10)의 후방에 위치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단일개 혹은 다수개 적재된 공트레이(63)를 상기 선반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공트레이(63)를 공트레이배출위치(K)로 이송시킨 이송판(900)은 재차 상기 컨베이어(1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선반(10)의 전방에 형성된 작업트레이적재위치(A)로 이동되어 상기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에 작업자가 적재해 놓은 작업트레이(61)를 재차 안착시킴과 더불어 작업위치(G)로 이송시켜 상기 반도체의 테이프(30)에 대한 포장을 이룬다.
또, 상기 불량반도체의 배출을 위해 상기 선반(10)의 전방에 형성된 선별위치(H)로 공트레이(63)의 이송이 요구되는 바, 이 공트레이(63)의 공급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10)의 후방에 위치된 작업자가 상기 선반(10)의 후방, 상기 공트레이배출위치(K)의 측부에 형성된 공트레이장입위치(L)로 이동된 이송판(900)의 상면에 공트레이(63)를 안착시키고, 상기 공트레이(63)가 안착된 이송판(900)이 상기 작업자의 조작 또는 상기 선반(10)에 설치된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별위치(H)로 이송되어 상기 작업트레이(61)에서 불량으로 선별된 반도체의 적재를 이루게 된다.
상기 선별위치(H)에서 불량반도체의 적재를 이룬 상기 공트레이(63)는 불량트레이(62)로서 상기 이송판(9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선반(10)의 전방에 형성된 불량트레이적재위치(B)로 이송되어 적재 혹은 배출된다.
따라서, 반도체의 테이프(30) 포장을 위해 선반(10)의 전방에 위치된 작업자는 반도체가 끼워진 작업트레이(61)를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에 적재시켜 상기 반도체의 포장 작업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작업자 혹은 보조작업자가 상기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의 측부에 형성된 불량트레이적재위치(B)에 적재된 불량트레이(62)를 상기 선반(10)의 외부로 배출하여 처리한다.
또, 상기 반도체 포장작업이 완료된 공트레이(63)는 상기 선반(10)의 후방에 형성된 공트레이배출위치(K)에서 상기 선반(10)의 후방에 위치된 또 다른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기 선반(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선반(10)의 후방에 위치된 작업자 혹은 보조작업자는 상기 공트레이배출위치(K)의 측부에 형성된 공트레이장입위치(L)에 상기 선별위치(H)의 공트레이(63) 유/무를 판단하여 공트레이(63)를 장입함과 더불어, 상기 선별위치(H)로 이송시켜 불량반도체의 적재 및 배출을 이룬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반도체 테이프(30)의 포장을 위해 선반(10)의 전방 및 후방에 2명 이상의 작업자가 위치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선반(10)의 전방 및 후방에 별도의 작업공간이 요구되어 상기 선반(10)의 작업장 내 배치공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이 선반(10)의 전방 및 후방에서 작업트레이를 공급하거나 공트레이를 배출하는 작업자 및 공트레이를 공급하거나 불량트레이를 배출하는 보조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하도록 됨에 따라 작업인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별위치(H)의 공트레이(63) 유/무를 선반(10) 등에 부착된 센서 또는 작업자의 육안으로 감시·판단하여 상기 공트레이장입위치(L)에 지속적으로 공트레이(63)를 장입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공트레이(63)에 대한 공급 및 관리 등 부수작업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선반의 전방에서만 작업자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선반의 후방공간을 별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트레이의 배출 및 장입작업의 공수를 저감하여 상기 작업에 요구되는 작업자를 축소 적용하도록 한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도체 포장작업이 완료되어 배출될 공트레이를 선반 내에서 바로 불량트레이로서 적용하도록 하여 상기 공트레이의 장입, 배출, 운반에 적용되는 작업공수 및 작업시간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트레이를 장입하고, 이 작업트레이를 작업위치로 이동시켜 반도체 테이프의 포장작업을 완료하며, 상기 반도체 포장작업으로 형성된 공트레이를 작업트레이이송위치로 이송하고, 이 공트레이를 공트레이이송위치로 운반하고, 이 공트레이를 공트레이적재위치로 이송하며, 이 공트레이를 적재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반도체 포장작업의 이전에 공트레이를 작업트레이적재위치에 장입하고, 상기 공트레이를 작업위치로 이동시켜 공트레이임을 확인하며, 이 확인된 공트레이를 작업트레이이송위치로 이송하고, 상기 공트레이를 불량트레이이송위치로 운반하고, 이 불량트레이이송위치로 운반된 공트레이를 선별위치로 이송하여 최초 반도체 포장작업 시에 발생되는 불량반도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반도체 포장작업의 1회 공정이 완료되어 공트레이적재위치에 공트레이가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포장작업이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공트레이를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에서 재차 반출하고, 이 반출된 공트레이를 공트레이이송위치로 이송시키고, 이 공트레이를 공트레이불량위치로 운반하고, 상기 불량트레이이송위치로 운반된 공트레이를 선별위치로 이송시켜 상기 반도체 포장작업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불량트레이적재위치와 불량트레이이송위치의 측부에 공트레이적재위치와 공트레이이송위치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와 공트레이이송위치 간을 이동하는 이송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선반 후방의 작업트레이이송위치, 불량트레이이송위치, 공트레이이송위치 간을 이동하면서 공트레이를 운반하는 운반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종래구조를 도시한 도 7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포장작업 시 진행되는 공트레이의 형성, 공급, 배출의 공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포장작업의 이전에 공트레이를 선별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포장작업의 1회 공정 완료 후에 공트레이적재위치에 적재된 공트레이를 재 사용하도록 선별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포장장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선반(10)과, 장치대(20)와, 테이프(30)와, 릴(40)과, 선별기(50)와, 작업트레이(61)와, 불량트레이(62)와, 공트레이(63)와, 운반기(70)와, 궤도(80)와, 이송대(90)와, 컨베이어(100)와, 모터(110) 및 적재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반(10)은 지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판 형상을 이루고 설치된 통상의 선반으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전원 또는 외부전원과 연결된 변압기 및 제어기 등이 내설된다.
상기 장치대(20)는 상기 선반(10)의 전/후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되며, 상기 선반(10) 상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면서 선반(10)의 가로방향으로 배열·설치된 직사각형 틀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장치대(20)는 후술하는 선별기(50)와, 릴(40)과, 궤도(80)와, 운반기(70) 및 다수개의 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테이프(30)는 반도체가 수용홈에 삽입되고, 그 상단면을 덮어 막아 포장을 이루도록 띠형상을 이루면서 그 중앙부에 상기 반도체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릴(40)은 상기 반도체가 수용되어 포장된 테이프(30)가 내부 중앙으로부터 감겨지도록 두 개의 원판이 중앙부의 축을 매개로 연결된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통상의 반도체 권취릴로 구성된다.
상기 선별기(50)는 후술하는 작업트레이(61)에 끼워진 반도체를 흡착하여 뽑아내고, 이 뽑아낸 반도체를 운반하여 상기 테이프(30)의 수용홈에 삽입하도록 하단에 빨판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빨판을 상기 장치대(20)에 대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선별기(50)는 장치대(20)의 상기 릴(40)방향 일측단에서 상기 장치대(20)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선별위치(H)에 이르도록 궤도(80)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업트레이(61)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면서 격자형상의 개구를 형성하여 상기 격자형상의 개구 각각에 다수개의 반도체가 끼워져 1차 포장된 상태의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불량트레이(62)는 상기 작업트레이(61)에 끼워진 각 반도체를 상기 선별기(50)에서 선별하여 판단된 불량반도체를 끼워 넣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트레이(63)는 상기 작업트레이(61)의 반도체가 모두 테이프(30)로 운반되어 격자형상의 개구에 끼워진 반도체가 제거된 상태의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운반기(70)는 상기 선반(10)의 후방에 형성된 작업트레이이송위치(D), 불량트레이이송위치(E) 및 공트레이이송위치(F)에 위치된 공트레이(63)를 잡아 최초 위치와 상이한 위치로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운반기(70)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설치된 장비에 압력을 가하는 공압기와, 이 공압기의 작동에 의해 중앙부로 조여지거나 외부로 넓혀지면서 상기 공트레이(63)의 모서리부 외곽을 잡거나 이탈시키도록 상기 운반기(70)의 4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집게와, 상기 장치대(20)의 후면에 설치된 궤도(80)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운반기(70) 내부의 공압기 또는 전동모터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궤도(80)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궤도이동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궤도(80)는 상기 장치대(20)의 전면에 부착된 선별기(50)가 상기 장치대(20)의 일측단에서 상기 선별위치(H)가 형성된 선반(10)의 중앙부에까지 연장된 무한궤도형상을 이루면서 그 궤적면이 상기 장치대(20)의 상단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설치된다.
또, 상기 장치대(20)의 후면에 부착된 궤도(80)는 상기 운반기(70)가 선반(10)의 작업트레이이송위치(D)에서 공트레이이송위치(F)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장치대(2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며, 무한궤도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이송대(90)는 상기 선반(10)의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에서 작업트레이이송위치(D)에 이르도록 연결된 컨베이어(100)의 상단에 접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컨베이어(100)의 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이송대(90)는 그 양단에서 상부로 돌출된 집게가 형성되어 상기 각 트레이들의 전단면 및 후단면의 일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1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재틀(120)은 상기 이송대(90)의 상면에서 상부로 올려진 트레이의 양단이 걸쳐져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트레이의 4모서리부분을 구획하도록 안내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대(90)에서 올려진 트레이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업공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가 끼워진 작업트레이(61)를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의 적재틀(120)에 장입한다(S1).
상기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에 작업트레이(61)가 장입된 것을 상기 선반(10)에 설치된 센서에서 감지하여 상기 선반(10)의 하부에 설치된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작업트레이(61)의 적재를 인식한 상기 제어기가 상기 선반(10)의 상단에 설치된 모터(110)를 작동시켜 상기 모터(110)에 연결된 컨베이어(10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단에 설치된 이송대(90)를 상기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의 하부에 이송대(90)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기의 제어작동에 의해 상기 이송대(90)의 집게가 좁혀져 상기 적재틀(120)의 하단에 적재된 작업트레이(61)를 잡아내려 상기 장치대(20)의 전면에 형성된 작업위치(G)로 이송시킨다(S2).
상기 작업트레이(61)가 작업위치(G)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선별기(50)가 작동되어 상기 작업트레이(61)에 끼워진 반도체를 선별·운반시켜 반도체의 테이프 포장작업을 실행한다(S3).
상기 작업트레이(61)의 각 격자형 개구에서 모든 반도체를 빼내어 테이프(30)에 대한 포장을 완료함과 더불어, 상기 작업트레이(61)를 공트레이(63)로 생성한다(S4).
상기 작업위치(G)에 공트레이(63)가 생성된 것을 상기 선반(10)의 상면에 설치된 센서가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100)가 재 작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면에 이송대(90)를 매개로 안착된 공트레이(63)를 상기 선반(10)의 후방 작업트레이이송위치(D)로 이송시킨다(S5).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D)에 공트레이(63)가 위치된 것을 감지한 제어기가 상기 운반기(70)를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D)로 이동시키고, 이 작업트레이이송위치(D)로 이동된 운반기(70)가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D)에 적재된 공트레이(63)를 잡아 상기 장치대(20)에 설치된 궤도(80)를 따라 상기 선반(10)의 후방에 형성된 공트레이이송위치(F)로 이동시킨다.
상기 공트레이이송위치(F)로 이동된 운반기(70)가 상기 공트레이(63)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공트레이(63)를 상기 공트레이이송위치(F)에 형성된 적재틀(120)에 적재한다(S7).
상기 공트레이이송위치(F)에 운반된 공트레이(63)가 상기 공트레이이송위치(F)에 대한 감지를 이룬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이송대(90)의 이송작동에 따라 상기 선반(10)의 전방에 형성된 공트레이적재위치(C)로 이송되어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C)에 형성된 적재틀(120)에 적재된다(S8)(S9).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C)에 적재된 공트레이(63)를 작업자의 선택적 조작에 의해 상기 선반(10)의 외부로 배출하여 반도체 포장공정에 따른 트레이의 장입, 배출 1공정을 완료한다(S10).
여기서, 상기 작업트레이(61)가 반도체 포장작업 후에 공트레이(63)로 생성되어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D)로 이송된 상태(S5)에서, 상기 선별위치(H)의 공트레이(63) 유/무를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S6), 이 센서의 정보를 수신한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D)에 적재된 공트레이(63)를 상기 운반기(90)가 잡아 불량트레이이송위치(E)로 운반하고(S11), 이 불량트레이이송위치(E)로 운반된 공트레이(63)를 상기 불량트레이이송위치(E)와 불량트레이적재위치(B)의 사이에 설치된 컨베이어(1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선별위치(H)로 이송시켜 상기 반도체 포장작업 시에 배출되는 불량반도체를 수집하도록 한다(S12).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반도체 포장공정에 따른 트레이 장입, 운반, 배출의 1공정 이전에 상기 불량반도체가 수집될 별도의 공트레이를 공급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트레이(63)를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의 적재틀(120)에 적재한다(S21).
상기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에 적재된 공트레이(63)를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대(90)가 잡아 작업위치(G)로 이송시킨다(S22).
상기 작업위치(G)로 이송된 공트레이(63)가 상기 선반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이 감지정보를 수신한 제어기에서 상기 이송대(90)를 제어하여 상기 공트레이(63)를 상기 선반(10)의 후방에 형성된 작업트레이이송위치(D)로 이송한다(S23).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D)로 이송된 공트레이(63)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운반기(70)가 잡아 불량트레이이송위치(E)로 운반한다(S24).
상기 불량트레이이송위치(E)로 운반된 공트레이(63)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대(90)에 걸쳐져 선별위치(H)로 이송된다(S25).
따라서, 상기 최초 장입한 공트레이(63)가 선별위치(H)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포장작업을 개시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작업트레이(61)에 대한 반도체 포장작업을 1공정 완료하여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C)에 공트레이가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포장작업을 연속하게 되는 경우의 공정을 설명한다.
반도체 포장작업 및 트레이의 장입, 운반, 배출은 연속작업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공트레이적재위치(C)에 공트레이(63)가 적재되는 것으로 1공정이 완료되었으며, 선별위치(H)에 공트레이(63)가 없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에서 선별위치(H)의 공트레이(63) 유/무를 확인하여 공트레이(63)가 없는 것에 따른 제어를 개시하고, 이 제어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C)에 적재된 공트레이(63) 중에서 최 하단에 위치된 공트레이(63)를 상기 이송대(90)가 잡아 반출시킨다(S31).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C)에서 반출된 공트레이(63)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트레이이송위치(F)로 이송된다(S32).
상기 공트레이이송위치(F)로 이송된 공트레이(63)를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이동되는 운반기(70)가 잡아 불량트레이이송위치(E)로 운반한다(S33).
상기 불량트레이이송위치(E)로 운반된 공트레이(63)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대(90)의 이송에 의해 상기 선별위치(H)로 이송되고(S34), 상기 선별위치(H)에 공트레이(63)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포장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반도체 포장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는 선반(10)의 전방에 위치하여 작업트레이적재위치(A)에 작업트레이(61)를 적재하고, 상기 선반(10)의 전방에 형성된 공트레이적재위치(C)에서 공트레이(63)를 배출하는 것으로 상기 반도체 포장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반 후방에서의 작업자 작업을 제거하여 상기 선반 후방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불량반도체를 수집하도록 공급하는 공트레이가 작업트레이적재위치 및 공트레이적재위치에서 자동으로 공급되어 작업자의 공수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작업트레이의 작업 후에 생성되는 공트레이가 선별위치로 공급됨과 더불어 선반의 전방에 형성된 공트레이적재위치에 적재됨에 따라 상기 공트레이 공급작업의 공수가 축소되고, 상기 적재된 공트레이에 대한 배출이 단일작업자의 작업만으로 이루어져 작업자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트레이의 전면배출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전 공트레이 공급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작업시 공트레이 공급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전면배출장치의 평면도,
도 5는 종래 트레이 배출방법의 순서도,
도 6은 종래 공트레이 장입방법의 순서도,
도 7은 종래구조로서 트레이 배출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선반 20 - 장치대
30 - 테이프 40 - 릴
50 - 선별기 61 - 작업트레이
62 - 불량트레이 63 - 공트레이
70 - 운반기 80 - 궤도
90 - 이송대 100 - 컨베이어
110 - 모터 120 - 적재틀
A - 작업트레이적재위치 B - 불량트레이적재위치
C - 공트레이적재위치 D - 작업트레이이송위치
E - 불량트레이이송위치 F - 공트레이이송위치
G - 작업위치 H - 선별위치

Claims (5)

  1. 작업트레이를 선반의 전방에 형성된 작업트레이장입위치에 장입하는 공정;
    상기 작업트레이장입위치에 장입된 작업트레이를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이송대가 잡아 작업위치로 이송시키는 공정;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작업트레이에서 선별기가 반도체를 테이프로 운반하여 반도체 포장작업을 이루는 공정;
    상기 작업트레이에서 반도체를 빼내어 생성된 공트레이를 상기 이송대가 상기 선반의 후방에 형성된 작업트레이이송위치로 이송시키는 공정;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에 공트레이가 위치된 것을 감지한 상기 제어기가 운반기를 제어하여 상기 공트레이를 상기 선반의 후방에 형성된 공트레이이송위치로 운반하는 공정; 및
    상기 공트레이이송위치에 공트레이가 위치된 것을 감지한 상기 제어기가 이송대를 제어하여 상기 공트레이를 상기 선반의 전방에 형성된 공트레이적재위치로 이송시켜 상기 선반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에 공트레이가 위치된 것을 감지한 상기 제어기가 상기 선반의 전방에 형성된 선별위치의 공트레이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운반기를 제어하여 상기 공트레이를 불량트레이이송위치로 운반하는 공정; 및
    상기 불량트레이이송위치에 적재된 공트레이를 상기 이송대가 잡아 상기 선별위치로 이송시켜 반도체 포장작업을 이루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포장작업의 이전에 상기 선별위치에 공트레이를 위치시키도록 공트레이를 상기 작업트레이적재위치에 적재하는 공정;
    상기 작업트레이적재위치에 적재된 공트레이를 상기 이송대가 잡아 작업위치로 이송시키는 공정;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공트레이를 상기 제어기가 감지하여 상기 공트레이를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로 이송하는 공정;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로 이송된 공트레이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운반기가 상기 불량트레이이송위치로 운반하는 공정; 및
    상기 불량트레이이송위치로 운반된 공트레이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이송대가 잡아 상기 선별위치로 이송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에 공트레이가 적재되어 1회 공정이 완료된 후에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에 적재된 공트레이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이송대가 반출하는 공정;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에서 반출된 공트레이를 상기 이송대가 공트레이이송위치로 이송시키는 공정;
    상기 공트레이이송위치로 이송된 공트레이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운반기가 상기 불량트레이이송위치로 운반하는 공정; 및
    상기 불량트레이이송위치로 운반된 공트레이를 이송대가 잡아 상기 선별위치로 이송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5. 선반과, 선반의 중앙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장치대와, 트레이에 끼워진 반도체를 빼내어 테이프에 운반하도록 상기 장치대의 일단에 설치된 선별기와,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선반의 전방에 형성된 작업트레이적재위치에서 선반의 후방에 형성된 작업트레이이송위치에 이르도록 연장된 컨베이어와, 상기 선반의 전방에 형성된 불량트레이적재위치에서 선반의 후방에 형성된 불량트레이이송위치에 이르도록 연장된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들의 상부에 상기 트레이를 잡도록 된 이송대를 포함하는 반도체 포장장비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전방에 형성된 공트레이적재위치와, 상기 공트레이적재위치에 반대되는 선반의 후방에 형성된 공트레이이송위치 간에 설치되어 양방향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기 트레이를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이송대;
    상기 선반의 후방에 형성된 작업트레이이송위치와 불량트레이이송위치 및 공트레이이송위치에 위치된 트레이의 각 모서리부를 상부에서 잡을 수 있도록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집게와,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와 불량트레이이송위치 및 공트레이이송위치의 상부로 각각 이동되도록 궤도이동롤러가 구비된 운반기;
    상기 작업트레이이송위치와 불량트레이이송위치 및 공트레이이송위치의 상부로 상기 운반기가 이동되도록 상기 장치대의 후방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운반기의 궤도이동롤러가 연결된 궤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장치.
KR10-2003-0010493A 2003-02-19 2003-02-19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 KR100487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493A KR100487075B1 (ko) 2003-02-19 2003-02-19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493A KR100487075B1 (ko) 2003-02-19 2003-02-19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858A KR20040074858A (ko) 2004-08-26
KR100487075B1 true KR100487075B1 (ko) 2005-05-03

Family

ID=3736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493A KR100487075B1 (ko) 2003-02-19 2003-02-19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0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858A (ko) 200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8784B2 (en) Palletizer-depalletizer system for distribution facilities
KR102221767B1 (ko) 자동 적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포장 적재 시스템
JP2013542079A (ja) ワーク移送装置を伴う生産セル、およびワークと部品キャリヤ用の輸送装置
JP2982643B2 (ja) 袋自動解荷供給方法並びにその装置、及び該装置で使用される袋輸送コンテナ、解束装置、トレー
KR100487075B1 (ko)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
KR101984467B1 (ko) 포장용 로봇시스템
US755918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lacing reel end shields
JPH0395026A (ja) びん用積降し装置
CN116534638B (zh) 用于更换卷盘的系统及其方法
TWI792809B (zh) 用以更換捲盤的系統及其方法
JPH1016910A (ja) 袋自動梱包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袋積み付け用ロボットのロボットハンド装置
US76988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reels
JP3495778B2 (ja) 長物野菜の選別箱詰装置
JP4269222B2 (ja) トレイ搬送システム
CA2595819A1 (en) Palletizing unit and method for installing a palletizing unit
KR200147517Y1 (ko) 캠코더 데크의 자동 조립장치
TWM653659U (zh) 料盒傳送裝置及作業設備
KR0113179Y1 (ko) 수평핸들러의 빈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JPS60248560A (ja) 集積束受渡し方法
TW393715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oading or unloading printed circuit boards for semiconductor module
JPH11292288A (ja) タイヤ解載装置
KR20230057245A (ko) 릴 교체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5213447A (ja) ドラム缶用蓋板供給装置
JP3590417B2 (ja) 長尺物箱詰め装置
JPH07304521A (ja) 物品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