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192B1 -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192B1
KR100486192B1 KR10-2003-0057272A KR20030057272A KR100486192B1 KR 100486192 B1 KR100486192 B1 KR 100486192B1 KR 20030057272 A KR20030057272 A KR 20030057272A KR 100486192 B1 KR100486192 B1 KR 10048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governor
elevator
friction damp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608A (ko
Inventor
이용대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7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1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대의 승강과정에서 조속기의 동작에 따른 조속기로프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조가 단순화되어 생산원가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와 대응되는 승강로의 하부에 조속기로프의 하부측이 권취되도록 주행레일상에 설치된 지지부재(30)를 매개로 인장풀리(4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조속기로프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인장풀리의 중심축상에 웨이트부재(50)가 고정된 웨이트고정부재(60)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조속기로프가 요동없이 상하이동 되도록 진동저감장치가 구성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장치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일측 면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에 접하여 접촉면이 형성된 마찰댐퍼(70)와, 상기 가이드공을 매개로 삽입되고 그 하단이 인장풀리의 중심축상에 결합되어 인장풀리의 상하이동시에 마찰댐퍼(70)의 접촉면에 접촉 안내되게 설치된 풀리안내부재(80)가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A VIBRATION REDUCING APPARATUS FOR GOVERNOR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대의 승강과정에서 조속기의 동작에 따른 조속기로프의 진동 및 요동에 따른 승강대의 승차감 저하를 차단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는 로프가 파단되는 등의 이유로 승강대가 비정상적으로 고속 승강되면 그 안전장치로서 기계실에 설치되는 조속기와, 승강대의 하부에 구성되는 비상정지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조속기(1)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의 설치면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속기로프가 권취되는 주륜과, 이 주륜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진자, 레버 및 과속스위치 등이 구성되며 주륜의 과속시에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는 진자의 동작에 의해 비상정지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속기(1)와 대응되는 승강로의 하부에는 조속기로프(4)의 하부측이 권취되는 인장풀리(5)가 설치되고, 이 인장풀리(5)의 하측에는 그 자중에 의해 조속기로프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웨이트장치가 설치 구성된다.
그리고 승강로상에 설치된 주행레일을 타고 권상기에 연결된 매인로프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에는 링크기구(8)가 구성되어 로프소켓을 매개로 조속기로프에 연결 설치되는 바 상기 조속기의 작동시에 링크기구(8)는 이에 연결된 인상봉(9)을 매개로 승강대의 하부에 구성된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승강대에 연결된 조속기로프는 승강대의 상하 이동시에 연동되어 이동되므로 조속기 주륜의 회전 불균일 등과 같은 회전언바란스에 의한 웨이트장치(13)의 요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이 조속기로프를 매개로 승강대에 전달되면서 탑승객의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이에 따라 승강로 하부에 구성되는 인장풀리(5)의 설치부에 진동저감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웨이트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풀리(5)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바, 이 웨이트장치(13)는 상기 인장풀리(5)의 중심축상에 상단이 결합되는 웨이트고정부재(13a)와, 이 웨이트고정부재(13a)의 하단에 결합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웨이트부재(13b)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진동저감장치(20)는 웨이트장치(13)의 상하 이동시에 요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2a, 도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레일(11)에 상하로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21) 및 제2지지부재(22)와, 상기 웨이트부재(13b)가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21,22)상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웨이트수납부재(23)(24)와, 이 제1 및 제2웨이트수납부재
(23)(24)의 측면 접속부에 결합되는 "ㄷ" 자 형상의 가이드레일(25)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부재(13b)의 외면에는 평면 형상이 대략 "ㄷ" 자 형상을 갖는 접촉판(26)이 결합되어 이 접촉판(26)상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5)의 내면과 접촉되는 마찰댐퍼(27)가 설치되어 웨이트부재(13b)가 상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레일(25)과 접속되면서 그 이동을 요동없이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는 마찰댐퍼 (27)가 가이드레일(25)의 상하방향 전체길이만큼 형성되어 마찰저항이 커지게 되면서 조속기의 원활한 동작에 장애요인으로 작용되고 긴 마찰과정에 따른 진동의 지속으로 승차감 불량이 길게 지속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 또한 마찰댐퍼(27)와 가이드레일(25)의 과다한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상기 마찰댐퍼(27)와 가이드레일(25)의 접촉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이격거리를 주어야 하므로 이와 같은 이격거리에 의해 조속기의 회전 불균형 및 외부요소에 의한 진동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으므로 승강대에 진동이 발생되어 승차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구성요소가 필요하므로 제작원가와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자중의 증가와 설치과정에서 주행레일(11)의 변형을 유발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장치의 내구성을 저해하게 되며, 특히 큰 설치공간이 요구되므로 좁은 승강로상에서의 작업성이 저하되고 한정한 승강로의 내부공간을 감안할 때 그 적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대의 승강과정에서 조속기의 동작에 따른 조속기로프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조가 단순화되어 생산원가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조속기와 대응되는 승강로의 하부에 조속기로프의 하부측이 권취되도록 주행레일상에 설치된 지지부재를 매개로 인장풀리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조속기로프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인장풀리의 중심축상에 웨이트부재가 고정된 웨이트고정부재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조속기로프가 요동없이 상하이동 되도록 진동저감장치가 구성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 면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에 접하여 접촉면이 형성된 마찰댐퍼와; 상기 가이드공을 매개로 삽입되고 그 하단이 인장풀리의 중심축상에 결합되어 인장풀리의 상하이동시에 마찰댐퍼의 접촉면에 접촉 안내되게 설치된 풀리안내부재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댐퍼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판형부재로 형성되어 풀리안내부재의 폭 만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그 외면에 고정볼트를 매개로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풀리안내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판형부재로 형성되어 마찰댐퍼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삽입 설치되는 제1풀리안내부재와, 이 제 1풀리안내부재와 대응되게 고정플레이트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2풀리안내부재가 서로 결합 구성된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c는 도 3b의 A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조속기(1)와 대응되는 승강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조속기로프(4)의 요동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속기 진동저감장치가 구성되는 승강로의 하부에는 조속기로프(4)의 하부측이 권취되도록 주행레일(11)상에 설치된 지지부재(30)를 매개로 인장풀리(4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조속기로프(4)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인장풀리(40)의 중심축상에 웨이트부재(50)가 고정된 웨이트고정부재(60)가 결합되는 바, 이와 같이 지지부재(30), 인장풀리(40) 및 웨이트고정부재(60)가 구비된 구조에서 상기 진동저감장치는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의 일측 면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이드공(72)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72)에 접하여 접촉면이 형성된 마찰댐퍼(70)와, 상기 가이드공(72)을 매개로 삽입되고 그 하단이 인장풀리(40)의 중심축(42)상에 결합되어 인장풀리의 상하이동시에 그 양 측면이 마찰댐퍼(70)에 접촉 안내되게 설치된 풀리안내부재(80)가 구성된 것이다.
상기 마찰댐퍼(70)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판형부재로 형성되어 풀리안내부재(80)의 폭 만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그 외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 (9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90) 및 마찰댐퍼(70)는 고정볼트(92)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상기 풀리안내부재(80)는 바람직하게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판형부재로 형성되어 마찰댐퍼(7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공(72)에 삽입 설치되는 제1풀리안내부재(82)와, 이 제 1풀리안내부재(82)와 대응되게 고정플레이트(90)의 외면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풀리안내부재(84)가 서로 결합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90)의 중앙에는 인장풀리(40)의 중심축(42)이 상하이동되는 이동홀이 형성되고 이 홀의 폭은 가이드공(72)상에 삽입된 제1풀리안내부재(82)가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0)는 " ㄱ " 자 형강 또는 " ㄷ " 자 형강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는 " ㄱ " 자 형강으로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트고정부재(60)에 의해 인장풀리(40)에 웨이트부재(5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웨이트부재의 자중에 의해 인장풀리(40)가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조속기와 인장풀리 사이에 권취된 조속기로프(4)는 인정한 장력이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엘리베이터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유에 의해 조속기로프가 승강되면 인장풀리(40)는 조속기로프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승강되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진동 및 요동되는데, 이때 인장풀리(40)는 지지부재(30)에 마찰댐퍼(70) 및 고정플레이트(90)를 매개로 결합된 제1풀리안내부재(82) 및 제2풀리안내부재(84)에 의해 그 상하이동이 요동없이 안내된다.
즉, 상기 마찰댐퍼(70)와 고정플레이트(90) 사이의 가이드공(72)에 삽입된 제1풀리안내부재(82)는 그 양 측면이 마찰댐퍼(70)의 접촉면(74)에 접촉되어 그 상하이동이 안내되고, 제2풀리안내부재(84)는 고정플레이트(90)의 외면에 접촉되어 그 상하이동이 요동없이 안내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풀리안내부재(82,84)가 그 중심축(42)에 결합된 인장풀리(40)는 요동없이 안정된 승강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인장풀리(40)의 승강시에 그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제1풀리안내부재(82)와 마찰댐퍼(70)의 접촉과정에서 그 접촉면적이 작고 그 상하 접촉거리가 매우 짧아서 마찰저항의 최소화되어 조속기의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고, 종래 긴 마찰과정에서 발생되던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에 의하면, 조속기로프의 상하이동과정에서 인장풀리의 승강동작을 요동없이 안정되게 안내하므로 진동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구조가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조원가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며 자중감소에 따른 주행레일에 작용되는 부하를 감소시키고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 전체적인 부피가 작아서 승강로상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승강로 크기에 제한없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c는 도 3b의 A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조속기, 30:지지부재,
40:인장풀리, 50:웨이트부재,
60:웨이트고정부재, 70:마찰댐퍼,
80:풀리안내부재, 90:고정플레이트.

Claims (2)

  1. 엘리베이터 조속기와 대응되는 승강로의 하부에 조속기로프의 하부측이 권취되도록 주행레일상에 설치된 지지부재를 매개로 인장풀리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조속기로프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인장풀리의 중심축상에 웨이트부재가 고정된 웨이트고정부재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조속기로프가 요동없이 상하이동 되도록 진동저감장치가 구성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 면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에 접하여 접촉면이 형성된 마찰댐퍼와;
    상기 가이드공을 매개로 삽입되고 그 하단이 인장풀리의 중심축상에 결합되어 인장풀리의 상하이동시에 마찰댐퍼의 접촉면에 접촉 안내되게 설치된 풀리안내부재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댐퍼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판형부재로 형성되어 풀리안내부재의 폭 만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그 외면에 고정볼트를 매개로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풀리안내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판형부재로 형성되어 마찰댐퍼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삽입 설치되는 제1풀리안내부재와, 이 제 1풀리안내부재와 대응되게 고정플레이트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2풀리안내부재가 서로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
KR10-2003-0057272A 2003-08-19 2003-08-19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 KR10048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272A KR100486192B1 (ko) 2003-08-19 2003-08-19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272A KR100486192B1 (ko) 2003-08-19 2003-08-19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608A KR20050021608A (ko) 2005-03-07
KR100486192B1 true KR100486192B1 (ko) 2005-05-03

Family

ID=3722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272A KR100486192B1 (ko) 2003-08-19 2003-08-19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6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82U (ko) 2022-03-17 2023-09-27 (주)디 앤드 디 로프 처짐 사전 확인용 텐션 스위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8971B2 (en) 2021-06-25 2023-08-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tension frame damp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5067A (ja) * 1990-07-30 1992-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字装置
KR970049548U (ko) * 1996-01-30 1997-08-12 엘지산전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진동방지장치
KR20000059402A (ko) * 1999-03-03 2000-10-0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카 풀리 진동저감 장치
JP2002179361A (ja) * 2000-12-19 2002-06-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テンショ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5067A (ja) * 1990-07-30 1992-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字装置
KR970049548U (ko) * 1996-01-30 1997-08-12 엘지산전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진동방지장치
KR20000059402A (ko) * 1999-03-03 2000-10-0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카 풀리 진동저감 장치
JP2002179361A (ja) * 2000-12-19 2002-06-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テンショ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82U (ko) 2022-03-17 2023-09-27 (주)디 앤드 디 로프 처짐 사전 확인용 텐션 스위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608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018B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JPH11310370A (ja) バッファ機構
JP2006513942A (ja) エレベータ
KR20060006947A (ko)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KR10094601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374660B1 (ko) 엘리베이터
JP48821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30026368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3744764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486192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
JP4765444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振れ止め装置
EP1535875B1 (en) Elevator device
JPH054787A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振動防止装置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62754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1048443A (ja) エレベータ
JP200206864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5096975A (ja) 免震建物のエレベータ
JPH1087228A (ja) エレベータ
JP2000118911A (ja) エレベータ
WO202217240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624668A (ja) エレベータ制御用テールコードの振止装置
KR100329049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떨림 방지장치
KR100295889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롤러장치
JP200101931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