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488B1 - 음극선관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488B1
KR100485488B1 KR1019970047850A KR19970047850A KR100485488B1 KR 100485488 B1 KR100485488 B1 KR 100485488B1 KR 1019970047850 A KR1019970047850 A KR 1019970047850A KR 19970047850 A KR19970047850 A KR 19970047850A KR 100485488 B1 KR100485488 B1 KR 100485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yoke
deflection
cathode ray
yok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792A (ko
Inventor
마사히로 요코타
유우이치 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1998002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speed outside of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용기의 요크부를 각추(角錐)화해도 내기압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편향전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린과 네크부 사이에 형성되고, 외부에 편향 요크가 장착된 요크부(14)의 형상을 관축을 횡절단하는 횡단면에서 예를 들면, 둥근 통 형상의 반(反)원형의 형상으로 하고, 스크린 종횡비(aspect ratio)를 M:N, 횡단면의 스크린 수직축 방향 외부 직경을 "SA", 수평축 방향 외부 직경을 "LA", 최대 요크부 외부 직경을 "DA"라 할 때,
(M+N)/(2(M2+N2)1/2)<(SA+LA)/2DA≤0.86
을 만족시키는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장치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 등의 음극선관장치, 특히 편향전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진공 외관용기의 내기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의 한 예로서 도 8에 칼라 수상관을 도시한다. 상기 칼라수상관은 표시부(101)가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로 만든 패널(102), 상기 패널(102)에 연결된 깔대기형상의 유리로 만든 퍼넬(103) 및 상기 퍼넬(103)에 연결된 원통형상의 유리로 만든 네크(104)로 이루어진 진공 외관용기를 갖는다. 또한, 네크(104)측으로부터 퍼넬(103)측에 걸쳐 편향 요크(109)가 장착되어 있고, 퍼넬(103)은 네크(104)와의 연결부로부터 편향 요크(109)가 장착되는 위치까지의 소직경부, 소위 요크부(110)를 갖는다. 패널(102)의 내면에는 청색, 녹색, 적색으로 발광하는 도트형상 또는 스트라이프형상의 3색 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진 형광체 스크린(105)이 설치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105)에 대향하여 상기 내측에 다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이 형성된 섀도우 마스크(106)가 배치되어 있다.
네크(104)내에는 3전자빔(107)을 방출하는 전자총(108)이 설치되어 있고, 전자빔(107)을 편향요크(109)가 발생하는 수평, 수직 편향 자계에 의해 수평, 수직 방향으로 편향하고, 섀도우 마스크를 통하여 형광체 스크린(105)을 수평, 수직 주사함으로써 칼라화상을 표시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상관에 있어서, 전자총(108)을 동일 수평면 상을 지나는 일렬 배치된 3전자빔(107)을 방출하는 인라인형으로 하고, 편향요크(109)가 발생하는 수평 편향 자계를 핀쿠션형(pin cushion), 수직편향자계를 배럴형(barrel)형으로 하여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일렬배치된 3전자빔(107)을 이 수평, 수직 편향 자계에 의해 편향함으로써 특별한 보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화면 전체에 걸쳐 일렬 배치의 3전자빔(107)을 집중하는 셀프 컨버전스·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이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음극선관에서는 편향 요크(109)가 큰 전력 소비원이고, 음극선관의 소비전력의 감소에 있어서는 상기 편향 요크(109)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즉, 스크린 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전자빔을 가속하는 음극전압을 높이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HD(고선명) TV나 PC(개인용 컴퓨터) 등의 OA 기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편향 주파수를 올리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것은 모두 편향 전력의 증대를 초래한다.
한편, 작동자가 음극선관에 접근하여 대응하는 PC 등의 OA기기에 있어서는 편향 요크(109)로부터 음극선관 밖으로 누설되는 누설자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있다. 이 편향 요크(109)로부터 음극선관 밖으로 누설되는 자계의 감소 수단으로는 종래 보상 코일을 부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보상 코일을 부가하면, 그에 수반하여 PC의 소비전력이 증대된다.
일반적으로 편향전력의 감소나 누설자계의 감소에는 음극선관의 네크 직경을 작게 하고, 편향 요크가 장착되는 요크부 외부 직경을 작게하며, 편향 자계의 작용 공간을 작게하여 전자빔에 대해서 편향 자계가 효율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면 좋다.
그러나 종래의 음극선관에서는 전자빔이 편향 요크가 장착되는 요크부 내면에 접근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네크 직경이나 요크부(110) 외부 직경을 더욱 작게 하면, 도 9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편향각을 취하는 형광체 스크린(105)의 대각부(對角部)를 향하는 전자빔(107)이 요크부(110) 내벽에 충돌하고, 도 9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체 스크린(105) 상에 전자빔(107)이 충돌하지 않는 부분(111)이 생긴다. 따라서, 종래의 음극선관에서는 네크 직경이나 요크부(110) 외부 직경을 작게 하여 편향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요크부(110) 내벽에 전자빔(107)이 계속 충돌하면 유리가 녹을 정도로 그 부분의 온도가 상승하고 파열될 위험이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본 특공소48-34349호 공보(USP3,731,129호 명세서)에는 형광체 스크린 상에 직사각형의 래스터를 그리는 경우, 편향 요크가 장착되는 요크부 내측에서의 전자빔 통과 영역도 거의 직사각형 형상이 된다는 생각으로부터, 도 10 (a)에 도시한 음극선관(113)에 대해서, 그 B-B 내지 F-F 단면을 도 10 (b) 내지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 요크가 장착되는 퍼넬(103)의 요크부(110)를 네크(104)측에서 패널(102)방향으로 원형에서 점점 거의 직사각형으로 변화되는 형상으로 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편향 요크가 장착되는 요크부(110)를 각추형상으로 형성하면, 편향 요크의 장축(수평축:H축) 및 단축(수직축: V축) 방향의 직경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편향 요크의 수평, 수직 편향 코일을 전자빔에 접근시켜 효율적으로 편향하여 편향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극선관은 편향전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요크부를 직사각형에 가깝게 할수록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압 하중(F)에 의해 평탄한 요크부 수평축 근방(115) 및 수직축 근방(116)이 도면 중 파선(117)으로 도시한 방향으로 일그러짐을 발생시키므로, 요크부 수평축 및 수직축 외부면에서는 압축응력(σH,σV), 요크부 대각축(118) 근방 외부면에서는 큰 인장응력(σD)이 발생하고, 진공 외관 용기의 내기압 강도를 저하시키고, 안전성이 손상된다.
또한, 현재는 외광의 반사나 화상의 보기 쉬움 등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고, 패널의 평탄화가 필수로 되어 있지만, 음극선관의 패널면을 평탄화하면 벌브(bulb) 강도가 악화되므로, 종래에 사용된 요크부를 각추형상으로 한 퍼넬을 그대로 사용해도, 안전상 필요한 벌브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이유에서 편향 전력을 충분히 감소시킬 정도의 요크부의 직사각형화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평탄한 패널에 적용할 수 없을 만큼 벌브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에서 상술한 요크부를 각추화하는 기술에 대해서 출원인은 1970년 경, 편향각 110도/네크 직경 36.5㎜, 패널 대각 직경이 18˝,20˝,22˝,26˝, 그리고 편향각 110도/네크직경 29.1㎜, 16˝,20˝인 두개의 시리즈를 개발, 대량생산했다. 당시에 패널 외면은 거의 구면으로 패널 외부면의 곡률 반경이 스크린 유효 직경의 약 1.7배인 1R관이라 부르는 것에 적용한 것이었다(이하, 1R각형 요크관이라 칭함). 그러나 패널 외면 형상이 스크린 유효직경의 2배 이상인 음극선관에 대해서는 요크부 형상과의 관련이 벌브 강도와의 관계에서 불분명했다.
상기와 같이 최근, 음극선관의 편향전력 및 누설자계의 감소가 요구되고 있지만, 이것을 HD TV 나 PC 등의 OA 기기에 요구되는 고휘도화, 고주파화를 만족시키면서 실시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종래, 그 편향전력을 감소시키는 구조로서 편향 요크가 장착되는 요크부에 네크측으로부터 패널 방향으로 원형에서 점차 거의 직사각형으로 변화되는 각추형상의 요크부를 형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충분한 벌브 강도, 특히 스크린 유효 직경의 2배 이상의 외면 곡률 반경을 갖는 평탄한 패널을 사용한 벌브 강도와 충분한 편향 전력 감소를 양립시키는 진공 외관 용기를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요크부를 각추화해도 진공 외관 용기의 내기압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편향 전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고휘도화나 고주파 편향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음극선관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형광체 스크린을 내면에 갖는 패널부, 상기 스크린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자총을 내면에 갖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스크린측에 연결되는 요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의 외면 형상은 상기 스크린 중앙으로부터 상기 스크린 대각단에서의 관축 방향의 상기 네크부측으로의 낙차를 기초로 원근사(圓近似)할 때, 상기 원근사의 패널 외면 형상의 곡률반경이 상기 스크린 대각 유효 직경의 2배 이상의 평탄도인 진공 외관 용기와, 상기 요크부로부터 상기 네크부에 걸쳐 상기 진공 외관 용기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종횡비 M:N(스크린의 수직축 방향 길이와 수평축 방향 길이의 비)의 거의 직사각형 스크린 영역에 편향 주사하는 편향요크로 구성되는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는 상기 네크부의 연결 위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편향 요크의 스크린측 단까지로 하고, 관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관축과 상기 요크부 외면의 간격을 요크부 외부 직경으로 할 때,
상기 요크부의 상기 네크부 연결 위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편향 요크의 스크린측 단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관축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단면은 상기 스크린의 수직축 방향 및 수평축 방향 사이에서 최대가 되는 요크부 외부 직경을 갖는 비원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M:N의 스크린 대각단과 관축의 상기 스크린에서 전자총측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관축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음극선관의 편향각의 1/2이 되는 관축상의 점을 편향 기준위치로 할 때,
상기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수직축 방향 요크부 외부 직경을 "SA", 수평축 방향 요크부 외부 직경을 "LA", 최대 요크부 외부 직경을 "DA"라 하면,
(M+N)/(2(M2+N2)1/2)〈(SA+LA)/(2DA)≤ 0.86
이 되도록 요크부 형상을 구성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관축에 수직인 단면의 상기 요크부 외면 형상 단면은 관축측으로 돌출하지 않은 상기 스크린에 기준한 거의 직사각형이고, 상기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수직축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v)의 원호와 수평축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h)의 원호와 최대 외부 직경이 되는 점과 관축을 연결하는 직선상 근방에 중심을 갖는 반경(Rd)의 원호로 근사할 때,
"Rh" 또는 "Rv"가 900㎜ 이하가 되도록 요크부 형상을 구성했다.
또한, 적어도 형광체 스크린을 내면에 갖는 패널부, 상기 스크린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자총을 내면에 갖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스크린측에 연결되는 요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의 외면 형상은 상기 스크린 중앙으로부터 상기 스크린 대각단에서의 관축방향의 상기 네크부측으로의 낙차를 기초로 원근사 할 때, 상기 원근사의 패널 외면 형상의 곡률반경은 상기 스크린 대각 유효 직경의 2배 이상이 되는 평탄도인 진공 외관 용기와,
상기 요크부로부터 상기 네크부에 걸쳐 상기 진공 외관 용기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종횡비 M:N의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스크린 영역에 편향 주사하는 편향요크로 구성되는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의 상기 네크부 연결 위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편향요크의 스크린측 단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관축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단면은 상기 스크린의 수직축 방향 및 수평축 방향 사이에서 최대가 되는 요크부 외부 직경을 갖는 비원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M:N의 스크린 대각단과 관축의 상기 스크린에서 전자총측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관축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음극선관의 편향각의 1/2이 되는 관축상의 점을 편향 기준 위치로 할 때,
상기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관축에 수직인 단면의 상기 요크부 외면 형상 단면은 관축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은 상기 스크린에 기준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수직축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v)의 원호와 수평축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h)의 원호와 최대 외부 직경이 되는 점과 관축을 연결하는 직선상 근방에 중심을 갖는 반경(Rd)의 원호로 근사할 때,
5㎜≤ Rd≤ 15㎜
가 되도록 요크부 형상을 구성했다.
발명자들은 요크부 및 편향 요크를 각추화한 경우의 편향 특성, 진공 응력의 고찰과 여러 실험에 의해 편향 전력과 강도가 양립하는 최적형상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 외관 용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 중앙(17a)으로부터 스크린 대각단(17d)에서의 관축 Z방향의 네크부(15)측으로의 낙차를 기초로 원근사하여 패널 외부면의 평탄도를 나타내면, 원근사의 외부면 형상의 곡률 반경이 스크린 대각 유효 직경의 2배 이상의 평탄도를 갖고 있는 것에 적용된다.
도 3에 관축에 수직인 요크부 단면을 도시한다.
단면에서 스크린의 수평방향의 축 "H", 수직방향의 축 "V", 요크부 단면의 대각방향의 축 "D"에 있어서의 관축 "Z"로부터 요크부 외부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LA","SA","DA"로 하면, 각추형상 요크부(14)에서는 "LA" 및 "SA"가 "DA"보다 작아지고, 그 결과, 수평, 수직축 근방의 편향 코일을 전자빔에 접근시켜 편향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최대 직경이 되는 단면의 대각축 거리(DA)는 스크린의 대각축 방향이지만, 엄밀히 일치하지 않는 것도 있다.
상술한 3축 이외의 형상은 수평축 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h)의 원호와 수직축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v)의 원호와 대각축 상 근방에 중심을 갖는 반경(Rd)의 원호로 연결된 형상이 된다. 그 밖에 여러종류의 수식을 사용하여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만들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요크부의 횡단면은 직사각형의 장변(L), 단변(S) 보다도 관축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비원형 형상이고, 한 예로서 둥근 통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요크부 단면 형상을 직사각형에 가깝게 할 수록 진공 외관 용기로서의 강도는 악화되고 편향 전력이 감소하는 것은 앞서 서술했다. 그래서 직사각형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수학식 1]
(LA+SA)/(2DA)
을 설정한다. 통상의 원추형상 요크부이면 "LA","SA"는 "DA"와 같으므로 상기 값은 1이다.
요크부를 각추화하는 경우, "DA"는 가장 바깥의 전자빔 궤도와의 여백 확보로부터 거의 일정하지만, "LA","SA"가 작아지고, 상기 값은 작아진다. 완전히 각추화한 경우에는 직사각형의 종횡비를 M:N으로 하면,
[수학식 2]
(M+N)/(2(M2+N2)1/2)
이 된다.
상기 지표는 수평, 수직 방향 요크부 외부 직경 축소분을 맞춘 형이지만,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에서는 수평방향만을 직사각형으로 한 경우에도 수직방향만을 직사각형화한 경우에도 거의 동일한 편향 전력 감소 효과가 있고 "LA","SA" 중 어느 것인가를 중시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지표에서 문제는 없다.
또한, 관축 위치의 차이에 의한 요크부 직사각형의 효과도 해석하고, 그 결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 기준 위치(통상 기준 라인이라 부름)(25)로부터 편향 요크(20)의 스크린측 단(21)의 영역의 직사각형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여기에서 편향 기준 위치는 도 6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축을 끼고 있는 스크린 대각 양단(17d)로부터 관축(Z)의 어느 점(O)에 직선을 연결한 경우에 두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음극선관 규정의 최대 편향각 θ이 되는 관축상 위치로서, 편향의 중심이 되는 위치이다.
도 4는 요크부 네크측의 편향 코일(20)에 의한 전자빔(22)의 스크린 대각단(17d)으로 조사하는 전자빔 궤도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편향 자계가 편향 기준 위치(25)보다 네크측(15)에 접근하면 자계가 네크측에서 강해지므로 전자빔(22)이 빠르게 편향되어 요크부 내벽에 충돌한다. 반대로 편향 기준 위치(25)보다 스크린(17)측에 있으면, 전자빔(22)과 요크부 내벽의 여유가 증가하게 되어 그 만큼 편향 요크 네크측을 연장하여 편향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네크 직경이 다른 음극선관에서도 요크부 형상의 차이는 대체로 편향 기준 위치(25)까지이고, 그보다 스크린측에 있어서의 요크부 형상은 거의 동일하므로, 해석 결과는 거의 동일하다.
우선 편향 전력의 감소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상기 직사각형 정도의 지표값에 대한 편향전력의 감소 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편향 요크의 사양을 고정하고 요크부가 직사각형화된 만큼 편향 코일, 코어를 접근시켜 계산했다. 편향 전력에 대해서는 수평 편향 전력을 사용했다.
도면에서 지표값이 거의 0.86보다 작아지면 급격히 감소 효과가 나타나며, 원추형 요크부에 대해서 약10∼30%의 전력이 삭감된다. 반대로 0.86 이상이면 감소 효과는 10% 이하에 지나지 않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1R각형 요크부관에서는 29.1㎜시리즈로 상기 지표값이 0.84가 되지만, 36.5㎜시리즈에서는 0.88이다.
종래의 1R각형 요크부관에서는 0.84∼0.88이 실현되었지만, 벌브 강도의 면에서 보다 엄격한 평탄한 패널을 갖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편향 요크의 각추화에 따른 곤란도를 고려하면, 감소효과는 10%이상, 즉 지표값에서 0.86 이하의 직사각형 정도를 실현할 수 없으면 이점이 되지 않는다.
상기 0.86 이하의 지표값을 실현하는 경우의 문제점은 진공 응력이다. 평탄한 패널의 경우에는 패널면 충격시의 강도 특성면도 고려하여 종래의 1R각형 요크부관보다 낮은 진공 응력으로 눌려질 필요가 있다.
표 1은 종래의 1R각형 요크부관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크부의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종래의 1R각형 요크부관은 대각축 근방의 요크부 외면형상을 네크직경보다 큰 곡률반경으로 완만하게 연결하고 있으므로, 29.1㎜시리즈(비교예 1, 표 1 참조)에서는 수직 축 근방이 평탄한, 36.5㎜시리즈(비교예 2, 표 1-참조)에서는 상술한 지표값이 작은, 즉 편향 전력 감소 효과가 작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물론, 대각 근방의 요크부 단면 형상의 곡률 반경은 지나치게 작으면 응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편향 요크의 종류나 개개의 편차에 의해 최외각 전자빔 궤도의 대각위치도 변화되므로, 곡률반경이 작으면 최대직경이 되는 범위가 작아지며, 전자빔과 요크부 내벽의 충돌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응력 실험을 거듭한 결과, 다른 형상 요인에도 좌우되지만 "Rd"에 관해서는 대체로 5㎜ 이상이면 과도한 응력 집중 방지 및 요크부 최대 직경의 최소 영역의 확보가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표 1의 실시예서는 "Rd"를 8㎜이상으로 하여 여유를 두고 설정했다.
또한, 표 1에서 비교예 1,2는 종래의 1R각형 요크부관, 비교예 3은 패널 외면 곡률반경이 스크린 대각직경의 2배 이상인 평탄한 패널을 종래의 1R각형 요크부관인 비교예 1의 진공 외관용기에 적용한 경우의 음극선관, 실시예 1∼4는 동일한 평탄한 패널을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이다.
[표 1]
O: 적당, △: 약간 부적당, ×: 부적당. (단위: ㎜)
도 5에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3의 요크부(편향기준위치) 단면형상의 최대곡률반경과 최대진공응력을 나타낸다.
도면 중의 실선은 실시예 1∼4의 응력 데이터에서 추정한 최대 곡률 반경과 최대 진공 응력의 상관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도면에서는 편향각이나 "Rd" 등이 약간 다르므로 편차가 있지만, 거의 최대 곡률반경의 증대에 수반하여 최대 진공 응력이 증대되어 간다. 외면 곡률 반경을 종래의 약 2배로 평탄화 된 패널을 사용한 경우, 진공 외관 용기의 최대 진공 응력값은 경험적으로 1200psi이다. 도면에서 요크부 단면형상의 최대 곡률 반경이 900㎜이하이면 요크부의 최대 응력은 착안의 1200psi를 밑도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종래의 1R각형 요크부관(비교예 1)에 평탄한 패널을 적용한 비교예 3에서는 1200psi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종래의 1R각형 요크부관의 설계에서는 평탄성, 벌브 강도와 편향 전력 감소를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했다.
이 해석사항은 일반적으로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유리 두께(패널 중앙 두께로 10∼14㎜, 요크부 두께로 2∼8㎜: 대각부는 얇고/수평·수직축 근방은 두꺼움)를 대상으로 얻어진 것이다. 당연히, 유리 두께를 증대하여 가면 진공 응력은 감소해간다고 생각되지만, 음극선관 중량을 생각하면 현실적이지는 않다.
이상을 정리하면 편향 전력의 감소와 진공응력·강도의 확보를 양립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편향 요크가 주사하는 거의 직사각형의 스크린비를 M:N으로 하여 편향 기준 위치(기준 라인)에서의 관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수직방향 요크부 외부 직경을 "SA", 수평축 방향 요크부 외부 직경을 "LA", 최대 요크부 외부 직경을 "DA"로 했을 때,
(M+N)/(2(M2+N2)1/2)<(SA+LA)/(2DA)≤ 0.86
이 되도록 요크부 형상을 구성한다.
또한 이 때,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관축에 수직인 단면의 요크부 외면 형상 단면을 관축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거의 직사각형으로 하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을 수직축 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v)의 원호, 수평축 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h)의 원호 및 최대 외부 직경이 되는 점과 관축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d)의 원호로 근사했을 때, "Rh" 또는 "Rv"가 900㎜이하가 되도록 요크부 형상을 구성한다.
또한,
5㎜≤Rd≤15㎜
가 되도록 요크부 형상을 구성한다.
이상의 것은 스크린의 종횡비 4:3 이외에도 16:9나 3:4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 1(표 1)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4는 도 1을 관축 Z를 따라서 대각축 D면으로 잘랐을 때의 상반부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면 중에 편향 요크를 부가하고 있다.
상기 음극선관(10)은 표시부가 거의 직사각형의 유리로 만든 패널부(12), 상기 패널부(12)에 연결된 깔대기형상의 유리로 만든 퍼넬부(13) 및 상기 퍼넬부(13)의 소직경부에 연결된 요크부(14)와 상기 요크부(14)에 연결된 원통형상의 유리로 만든 네크부(15)를 관축 Z를 따라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진공 외관 용기(16)를 갖는다. 상기 패널(12)의 표시부의 내면에는 형광체 스크린(1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네크부(15)내에 전자총(18)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요크부(14)로부터 네크부(15)의 외측에 걸쳐 편향 요크(20)가 장착되고, 상기 편향 요크(20)가 발생하는 수평, 수직 편향 자계에 의해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22)을 수평, 수직 방향으로 편향하고, 섀도우 마스크(19)를 지나 형광체 스크린(17)을 수평, 수직 주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음극선관(10)에서는 상기 편향 요크(20)가 장착되는 요크부(14)가 거의 각추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편향요크(20)는 누설자계가 적은 새들(saddle)-새들형이고, 통형상의 합성 수지 프레임으로 수직, 수평 및 코어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외관 용기(16)의 관축 Z를 따른 외면 형상은 퍼넬부(13)로부터 네크부(15)에 걸쳐서 퍼넬부에서 바깥쪽으로 볼록, 요크부에서 오목한 거의 S자 곡선을 하고 있고, 퍼넬부(13)와 요크부(14)의 경계는 이 곡선의 변곡점(23)이다. 편향요크(20)는 상기 패널측의 단(端) 가장자리(21)가 상기 변곡점(23)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장착되고, 실질적인 요크부(14)는 적어도 네크부(15)와의 연결부(24)로부터 단 가장자리(21)까지가 된다.
도 2에 상기 요크부(14)형상을 나타낸다. 곡선(26)은 네크부(15)와의 연결부(24)로부터 편향요크(20)의 스크린측단(21)에 걸친 대각축 방향 외부 직경(DA), 곡선(27)은 장축방향 외부 직경(LA), 곡선(28)은 단축 방향 외부 직경(SA)이다. 이 곡선(26∼2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요크부(14)는 네크부(15)와의 연결부(24)에서는 네크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원형 형상이지만, 스크린측(17)으로 가까이 감에 따라서 대각축 방향 외부 직경(DA)에 대해서 장축, 단축 방향 외부 직경(LA,SA)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변화되고 관축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형상이 거의 직사각형(비원형 형상)이 되어 있다.
이 경우, 스크린(17)의 종횡비 M:N은 4:3이다.
또한, 편향 기준 위치(25)에서의 요크부 단면에서
DA=28.4㎜, LA=25.2㎜, SA=21.0㎜이고
(LA+SA)/(2DA)=0.81
로 되어 있으며, 편향 전력은 원추형 요크부를 갖는 음극선관에 대해서 약 25%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단면에서 요크부 외면의 곡률반경은 각각
Rh=113㎜, Rv=312㎜, Rd=8.8㎜
이고, 요크부의 진공 응력 최대는 1170psi로서 강도면에서도 문제는 없다.
또한, 요크부의 유리 두께도 대각축으로 2.5∼2.8㎜, 장축 및 단축에서 2.5∼5.7㎜이며, 패널 중앙 두께도 12.5㎜로 통상 대량생산품과 동등하고, 중량면에서도 문제는 없다.
(실시예 2)
마찬가지로 상기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2에 있어서, 스크린 종횡비 M:N은 4:3,
DA=29.9㎜, LA=26.7㎜ SA=22.3㎜
이며,
(LA+SA)/(2DA)=0.82
로 되어 있고, 편향전력은 원추형 요크부를 갖는 음극선관에 대해서 약 22% 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단면에서 요크부 외면의 곡률 반경은 각각
Rh=101㎜, Rv=439㎜ Rd=10.2㎜
이고, 요크부의 진공 응력 최대는 1000psi로서 강도면에서도 문제는 없다.
(실시예 3)
마찬가지로 상기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3에 있어서, 스크린 종횡비 M:N은 4:3,
DA=30.2㎜, LA=27.1㎜, SA=22.5㎜
이고,
(LA+SA)/(2DA)=0.82
로 하고 있고, 편향 전력은 원추형의 요크부를 갖는 음극선관에 대해 약 20% 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단면에서 요크부 외부면의 곡률 반경은 각각
Rh=75㎜, Rv=174㎜, Rd=8.7㎜
이고, 요크부의 진공 응력 최대는 920psi로서 강도면에서도 문제는 없다.
(실시예 4)
마찬가지로 상기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4에 있어서, 스크린 종횡비 M:N은 4:3,
DA=30.2㎜, LA=27.5㎜ SA=22.5㎜
이고,
(LA+SA)/(2DA)=0.83
으로 하고 있고, 편향전력은 원추형의 요크부를 갖는 음극선관에 대해서 약 17%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단면에서 요크부 외부면의 곡률 반경은 각각
Rh=61㎜, Rv=199㎜, Rd=9.0㎜
이고, 요크부의 진공 응력 최대는 1140psi로서 강도면에서도 문제는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요크부 형상 구성에 의해 요크부를 각추화해도 진공 외관 용기의 내기압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편향 전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고휘도화나 고주파 편향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음극선관장치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음극선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극선관의 요크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곡선도,
도 3은 편향기준위치를 지나는 관축에 수직인 요크부의 횡단면 개략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 개략도로 상반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요크부의 최대 곡률 반경과 최대 진공 응력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
도 6 (a) 및 (b)는 각각 편향중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요크부 형상과 편향전력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9의 (a) 및 (b)는 각각 네크 직경과 퍼넬의 네크측 소직경부의 직경을 작게한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a) 내지 (f)는 각각 이미 알려진 칼라 수상관의 외관 용기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1은 요크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음극선관 12: 패널부
13: 퍼넬부 14: 요크부
15: 네크부 16: 외관 용기
17: 스크린 17a: 스크린 중앙
17d: 스크린 대각단 18: 전자총
20: 편향 요크 21: 편향요크의 스크린측 단가장자리
23: 변곡점

Claims (6)

  1. 적어도 형광체 스크린을 내면에 갖는 패널부, 상기 스크린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자총을 내면에 갖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스크린측에 연결되는 요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부의 외면 형상은 상기 스크린 중앙으로부터 상기 스크린 대각단에서의 관축 방향의 상기 네크부측으로의 낙차를 기초로 원근사할 때, 상기 원근사의 패널 외면 형상의 곡률 반경이 상기 스크린 대각 유효 직경의 2배 이상의 평탄도인 진공 외관 용기와,
    상기 요크부로부터 상기 네크부에 걸쳐 상기 진공 외관 용기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종횡비 M:N(스크린의 수직축 방향 길이와 수평축 방향 길이의 비)의 거의 직사각형 스크린 영역에 편향 주사하는 편향 요크로 구성되는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는 상기 네크부의 연결 위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편향 요크의 스크린측 단까지로 하고, 관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관축과 상기 요크부 외면의 간격을 요크부 외부 직경으로 할 때,
    상기 요크부의 상기 네크부 연결 위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편향요크의 스크린측 단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관축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단면은 상기 스크린의 수직축 방향 및 수평축 방향 사이에서 최대가 되는 요크부 외부 직경을 갖는 비원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M:N의 스크린 대각단과 관축의 상기 스크린에서 전자총측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관축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음극선관의 편향각의 1/2이 되는 관축상의 점을 편향 기준 위치로 할 때,
    상기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수직축 방향 요크부 외부 직경을 "SA", 수평축 방향 요크부 외부 직경을 "LA", 최대 요크부 외부 직경을 "DA"라 하면,
    (M+N)/(2(M2+N2)1/2)<(SA+LA)/2DA)≤ 0.8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관축에 수직인 단면의 상기 요크부 외면 형상 단면은 관축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기 스크린에 기준한 거의 직사각형이고, 상기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수직축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v)의 원호와 수평축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h)의 원호와 최대 외부 직경이 되는 점과 관축을 연결하는 직선상 근방에 중심을 갖는 반경(Rd)의 원호로 근사할 때,
    "Rh" 또는 "Rv"가 9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3. 적어도 형광체 스크린을 내면에 갖는 패널부, 상기 스크린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자총을 내면에 갖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스크린측에 연결되는 요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의 외면 형상은 상기 스크린 중앙으로부터 상기 스크린 대각단에서의 관축방향의 상기 네크부측으로의 낙차를 기초로 원근사할 때, 상기 원근사의 패널 외면 형상의 곡률반경은 상기 스크린 대각 유효 직경의 2배 이상이 되는 평탄도인 진공 외관 용기와,
    상기 요크부로부터 상기 네크부에 걸쳐 상기 진공 외관 용기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종횡비 M:N의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스크린 영역에 편향 주사하는 편향 요크로 구성되는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의 상기 네크부 연결 위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편향 요크의 스크린측 단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관축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단면은 상기 스크린의 수직축 방향 및 수평축 방향 사이에서 최대가 되는 요크부 외부 직경을 갖는 비원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M:N의 스크린 대각단과 관축의 상기 스크린에서 전자총측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관축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음극선관의 편향각의 1/2이 되는 관축상의 점을 편향 기준 위치로 할 때,
    상기 편향 기준 위치에서의 관축에 수직인 단면의 상기 요크부 외면 형상 단면은 관축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은 상기 스크린에 기준한 거의 직사각형이고,
    상기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수직축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v)의 원호와 수평축상에 중심을 갖는 반경(Rh)의 원호와 최대 외부직경이 되는 점과 관축을 연결하는 직선상 근방에 중심을 갖는 반경(Rd)의 원호로 근사할 때,
    5㎜≤Rd≤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와 상기 요크부 사이에 퍼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관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상기 요크부 외면 형상 단면이 둥근 통(배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와 상기 퍼넬부의 경계가 상기 외관 용기의 관축에 따른 곡면의 변곡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KR1019970047850A 1996-09-18 1997-09-12 음극선관장치 KR100485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647696 1996-09-18
JP8-246476 1996-09-18
JP9-220345 1997-08-15
JP22034597A JP3442975B2 (ja) 1996-09-18 1997-08-15 陰極線管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395A Division KR100425622B1 (ko) 1996-09-18 2003-03-25 음극선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92A KR19980024792A (ko) 1998-07-06
KR100485488B1 true KR100485488B1 (ko) 2005-09-02

Family

ID=2652365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850A KR100485488B1 (ko) 1996-09-18 1997-09-12 음극선관장치
KR1020030018395A KR100425622B1 (ko) 1996-09-18 2003-03-25 음극선관장치
KR1020040000071A KR100441554B1 (ko) 1996-09-18 2004-01-02 음극선관장치
KR1020040000067A KR100441553B1 (ko) 1996-09-18 2004-01-02 음극선관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395A KR100425622B1 (ko) 1996-09-18 2003-03-25 음극선관장치
KR1020040000071A KR100441554B1 (ko) 1996-09-18 2004-01-02 음극선관장치
KR1020040000067A KR100441553B1 (ko) 1996-09-18 2004-01-02 음극선관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62964A (ko)
EP (1) EP0831515B1 (ko)
JP (1) JP3442975B2 (ko)
KR (4) KR100485488B1 (ko)
CN (1) CN1134815C (ko)
DE (1) DE69717041T2 (ko)
MY (1) MY1187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3005B2 (ja) * 1997-06-20 2003-05-06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JP3376260B2 (ja) * 1997-11-14 2003-02-10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WO1999026270A1 (fr) 1997-11-14 1999-05-27 Tdk Corporation Noyau pour collier de deviation et collier de deviation
JP3405675B2 (ja) * 1998-03-16 2003-05-12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JPH11329299A (ja) * 1998-03-17 1999-11-30 Toshiba Corp 陰極線管装置および偏向ヨ―ク
US6307313B1 (en) * 1998-03-31 2001-10-23 Kabushiki Kaisha Toshiba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3376274B2 (ja) * 1998-04-14 2003-02-10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KR100330146B1 (ko) * 1998-09-19 2002-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KR100309764B1 (ko) * 1998-11-10 2002-05-01 김순택 음극선관
KR100334015B1 (ko) * 1998-11-10 2002-09-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KR100300320B1 (ko) * 1998-11-16 2001-11-30 김순택 음극선관_
KR100274239B1 (ko) * 1998-11-24 2001-01-15 김순택 음극선관_
WO2000041204A1 (fr) * 1998-12-28 2000-07-1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Dalle de verre pour tube cathodique
KR100605761B1 (ko) * 1999-04-14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극선관
WO2000067284A1 (fr) * 1999-04-28 2000-11-09 Hitachi, Ltd. Tube cathodique couleur
US6552483B1 (en) * 1999-05-10 2003-04-22 Lg Electronics Inc. Cathode-ray tube having improved yoke mounting part
KR100612582B1 (ko) * 1999-05-12 2006-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극선관
KR100295453B1 (ko) * 1999-08-17 2001-07-12 구자홍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2001084925A (ja) * 1999-09-13 2001-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
KR100331820B1 (ko) * 2000-04-12 2002-04-09 구자홍 평면 음극선관
KR20020070355A (ko) * 2000-11-29 2002-09-0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감소된 편향 전력을 갖는 화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0396500B1 (ko) * 2000-12-19 2003-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100692045B1 (ko) * 2000-12-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JP2002298760A (ja) * 2001-01-25 2002-10-1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ガラスパネル
KR100396624B1 (ko) * 2001-09-14 2003-09-02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용 펀넬 구조
US6765343B2 (en) 2001-09-21 2004-07-20 Lg. 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Funnel in cathode ray tube
JP4057887B2 (ja) * 2001-10-30 2008-03-05 株式会社東芝 偏向ヨーク及び偏向ヨークを備えた陰極線管装置
KR20030063025A (ko) * 2002-01-22 2003-07-28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811686B1 (ko) * 2002-03-05 2008-03-11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칼라음극선관
KR100426571B1 (ko) * 2002-03-07 2004-04-14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용 펀넬구조
KR100465302B1 (ko) 2002-05-07 2005-01-13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및 칼라 음극선관
KR100439270B1 (ko) 2002-05-15 2004-07-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의 펀넬 구조
KR100434409B1 (ko) * 2002-05-29 2004-06-04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의 글라스 구조
US20050174031A1 (en) * 2002-06-07 2005-08-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ictur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deflection power
KR100468421B1 (ko) * 2003-01-23 2005-01-27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
JP2004281335A (ja) * 2003-03-19 2004-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装置及び偏向ヨーク
US20050194883A1 (en) * 2004-03-05 2005-09-08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athode ray tube
US7148616B2 (en) * 2004-04-07 2006-12-12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olor picture tube
JP2006049145A (ja) 2004-08-05 2006-02-16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カラー受像管
US7242137B2 (en) 2004-09-30 2007-07-10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athode ray tube with cone having non-circular cross-sec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6750A (en) * 1969-02-28 1974-04-23 Tokyo Shibaura Electric Co Wide angle type cathode-ray tube
JPS4834349B1 (ko) * 1969-11-04 1973-10-20
DE3760775D1 (en) * 1986-03-19 1989-11-16 Sanyo Electric Co Flat cathode-ray tube
US5155411A (en) * 1991-02-14 1992-10-1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 CRT assembly having an improved envelope
DE4109274A1 (de) * 1991-03-21 1992-09-24 Thomson Brandt Gmbh Farbbildroehre
US5319280A (en) * 1991-05-06 1994-06-07 U.S. Philips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with reduced raster distortion and flat appearing display window
US5258688A (en) * 1992-04-21 1993-11-02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RI funnel with concave diagonals
US5565731A (en) * 1992-08-12 1996-10-15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Cathode ray tub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ahi glass bulb 규격집(1978) *
JP48-34349 & Asahi Glass Bulb규격집(197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18774A (en) 2005-01-31
KR19980024792A (ko) 1998-07-06
KR100441553B1 (ko) 2004-07-23
DE69717041T2 (de) 2003-07-17
EP0831515A2 (en) 1998-03-25
EP0831515A3 (en) 1998-09-02
JPH10149785A (ja) 1998-06-02
KR100441554B1 (ko) 2004-07-23
US5962964A (en) 1999-10-05
KR100425622B1 (ko) 2004-04-01
CN1134815C (zh) 2004-01-14
DE69717041D1 (de) 2002-12-19
CN1185020A (zh) 1998-06-17
EP0831515B1 (en) 2002-11-13
JP3442975B2 (ja)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488B1 (ko) 음극선관장치
JPH09306388A (ja) 陰極線管
KR100323935B1 (ko) 음극선관
JP3376260B2 (ja) 陰極線管装置
JP3376274B2 (ja) 陰極線管装置
JP3405675B2 (ja) 陰極線管装置
JPH10154472A (ja) 陰極線管装置
KR19990077907A (ko) 음극선관장치
KR100612582B1 (ko) 음극선관
KR100667592B1 (ko) 음극선관
KR100605759B1 (ko) 음극선관
KR100692043B1 (ko) 음극선관
KR100571198B1 (ko) 음극선관
JPH11273591A (ja) 陰極線管装置
KR100645781B1 (ko) 음극선관
JPH11273590A (ja) 陰極線管装置
JPH11176355A (ja) 陰極線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1222

Effective date: 200112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201

Effective date: 2002100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009

Effective date: 200212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514

Effective date: 200502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