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427B1 - 패드로킹이가능한비상스톱버튼 - Google Patents

패드로킹이가능한비상스톱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427B1
KR100485427B1 KR1019970012528A KR19970012528A KR100485427B1 KR 100485427 B1 KR100485427 B1 KR 100485427B1 KR 1019970012528 A KR1019970012528 A KR 1019970012528A KR 19970012528 A KR19970012528 A KR 19970012528A KR 100485427 B1 KR100485427 B1 KR 100485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late
emergency stop
stop button
protrus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878A (ko
Inventor
다니엘 마꾹
쟈끄 마르쎈느
Original Assignee
쉬나이더 일렉트릭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나이더 일렉트릭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쉬나이더 일렉트릭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97007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8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 H01H9/281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making use of a padlock
    • H01H9/28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making use of a padlock and a separate part mounted or mountable on the switch assembly and movable between an unlocking position and a locking position where it can be secured by the pad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비상 스톱 버튼은 푸싱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해 언로크된다. 버튼의 헤드 (11) 의 스커트 (12) 상에 형성된 돌출부 (16) 는,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끌어 당겨져 상호 로크 위치에 놓여졌을 때, 헤드를 블로킹할 수 있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20) 와 작용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비상 스톱 버튼을 언로크시키기 위해 돌출부를 회전통과시키는 윈도우 (24) 및 돌출부를 위한 받침면 (25) 을 갖는다.

Description

패드로킹이 가능한 비상 스톱 버튼{PADLOCKABLE EMERGENCY STOP BUTTTON}
본 발명은 장착 벽상에 설치되며 작동 헤드를 포함하는, 패드로크가 가능한 비상 스톱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한편으로는 고우 위치 (go position) 로부터, 상호 로크된 스톱 위치 (stop position) 로 소정의 축선을 따라 병진 이동하여 전기적인 접촉 작용을 할 수 있는,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언로크되어 고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둘 수 있는 비상 스톱 버튼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장치를 작동하는 레버 및 버튼을 구속하여 이들을 스톱 위치에 유지하는 패드로킹이 가능한 여러 가지 장치들이 있다 (예컨대, 간행물 EP-202 991 호 참조). 이들 장치는, 스톱 위치에서 장치의 스톱과 스타트를 제어하는 작동 버튼을 클램핑 함으로써, 또는 비작용 위치에서 장치의 스타트만을 제어하는 버튼을 클램핑 함으로써 작동한다. 하지만, 버튼의 헤드가 그의 스톱 위치에서 내려가기 때문에 공지의 장치를 비상 스톱 버튼에 적용하는 것은 그리 쉽지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유형의 비상 스톱 버튼에 있어, 아주 단순하면서도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으며 회전에 의해 언로크될 수 있는 비상 스톱 버튼의 패드로킹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작동 헤드와, 바람직하게는 이 작동 헤드의 관형 스커트와 일체화시킨다. 또한, 상기 작동 헤드를 블로킹하기 위한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데, 이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끌어당김이 가능하고, 또한 비상 스톱 버튼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블로킹 위치로부터 언블로킹 위치로 병진이동의 변위가 가능하며, 상기 돌출부의 회전을 스톱시키는 요소 및 패드로크 (padlock) 를 통과시키는 오리피스를 갖는다. 또한, 유리하게는, 고우 위치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나오는 것 (coming out) 및/또는 스톱 위치에서 작동 헤드가 불시에 백업하는 것 (coming back up) 이 방지되도록, 받침면을 통해 돌출부와 작용하는 오버행부를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조립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의 회전을 스톱시키는 요소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바아상에 형성되는, 또한 돌출부를 회전통과시키도록 바아에 만들어진 윈도우에 인접하여 돌출부의 회전을 블로킹하는 받침면이다. 더욱이, 패드로킹 오리피스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언블로킹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용의 안내면들에 의해 은폐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이점 및 효과를 서술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비상 스톱 버튼 (10) 은 관형 스커트 (12) 와 조립된 작동 헤드 (11) 와, 이 헤드에 의해 작동되어 후드 (hood) 의 후방에 수용된 전기장치 (도시하지 않음) 에 작용하는 푸시 버튼과, 케이싱의 벽과 같은 또 다른 장착 벽 (14) 또는 칸막이체를 포함한다. 예컨대, 이 비상 스톱 버튼 (10) 은 너트 (15) 에 의해 상기 벽 (14) 에 고정된다.
비상 스톱 버튼은 펀치식 및 회전에 의해 언로크되는 방식이다. 즉, 헤드가 튀어나온 고우 위치 (도 1 참조) 로부터 헤드가 들어간 스톱 위치 (도 2 참조) 로의 이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위치들간의 이동은 축선 (X) 을 따라 작동자가 수동으로 힘을 가하여 누름으로써 일어난다. 비상 스톱 버튼은, 작동자가 헤드를 축선 (X) 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헤드를 그의 고우 위치로 복귀시키기까지는, 상호로크 수단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스톱 위치에 고정 유지된다.
비상 스톱 버튼의 관형 스커트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해 있으며 블로킹 슬라이딩 플레이트 (20) 와 작용하는 돌출부 (16) 를 갖는다. 이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끌어당김이 가능하고, 또한 축선 (X) 에 법선인 방향 (Y) 을 따라 병진이동의 변위가 가능하며, 언블로킹 위치 (도 1 및 도 3 참조) 및 비상 스톱 버튼에 대한 블로킹 위치 (도 2 및 도 4 참조) 를 취할 수가 있다.
도 3 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 (20) 는 돌출부가 있는 비상 스톱 버튼의 측방에 배열된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패드로크 (padlock) 를 받을 수 있는 패드로킹 오리피스 (23) 가 파지 단부 (22) 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길이방향 바아 (21) 를 갖는데, 상기 오리피스의 수는 여러 개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바아 (21) 는 돌출부 (16) 가 통과되도록 만들어진 윈도우 (24) 를 가지며, 이 윈도우에 인접해서는 돌출부를 위한 받침면 (25) 을 갖는다. 윈도우가 있는 자리에는 돌출부의 자유로운 통과를 위한 임의의 다른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헤드 (11) 를 그의 언블로킹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언블로킹 위치에서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윈도우 (24) 에 의해 돌출부 (16) 가 그 윈도우를 통과하게 되면 (도 3 의 점선 참조), 이와 반면에, 블로킹 위치에서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받침면 (25) 이 돌출부 (16) 의 통과를 저지하게 된다 (도 4 의 점선 참조).
상기 파지 단부 (22) 에 대향하는 단부 (26) 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 (20) 는 하우징 (30) 내에 형성된 대응 안내벽 (31a, 31b : 32a, 32b) 과 작용하게 되는 안내면 (27a, 27b : 28a, 28b) 을 갖는데, 이 하우징은 장착 벽 (14) 과 일체이다. 예컨대, 이 하우징은 장착 벽과 함께 성형된다. 이 하우징 (30) 은, 면 (P) 에 평행하게 뻗으며 방향 (X) 에 직교하는 오버행부 (33) 또는 숄더를 갖는다. 이 오버행부는, 헤드 (11) 가 튀어나왔을 때, 돌출부 (16) 에 맞닿은 그의 받침면 때문에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나오는 것 (coming out) 을 저지한다. 또한, 이 오버행부는, 헤드 (11) 가 들어간 스톱 위치에 있을 때와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블로킹 위치에 놓여 있을 때, 돌출부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그러므로, 이 오버행부는 장치의 안전성에 대한 공헌도가 높다.
상기 파지 단부 (22) 에 인접해서, 장착 벽 (14) 은, 한편으로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안내하는데 이용되는,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블로킹 위치에 있을 때 그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패드로킹 오리피스 (23) 를 은폐시키는데 이용되는 벽으로서 기능하는 안내면 (34, 35) 을 추가로 갖는다.
바아 (21) 는 핀, 돌기, 경촉 또는 탄성 탭과 같은 래칫 요소 (36) 를 갖는데, 이 래칫 요소는 인접한 벽으로서 기능하는 안내면 (34 또는 35) 에 형성된 보충 래칫 요소 (37) 와 작용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블로킹 위치에 고정하게 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언블로킹 위치에서의 고정은 여러 안내면들에 의해, 가능하게는 경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탄성 리턴 요소를 연계시킬 수가 있다.
이하, 상기 비상 스톱 버튼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전기장치가 조작되면, 비상 스톱 버튼의 헤드는 튀어나온다 (도 1 참조). 이러한 작동조건에서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그의 오버행부 (33) 가 돌출부 (16) 의 일측에 맞닿아 접해있기 때문에, 도 1 에 나타나 있는 그의 위치로부터 도 2 에 나타나 있는 위치로 올 수가 없다. 장치를 스톱시키고 싶다면, 작동자는 헤드 (11) 를 누르면 되는데 (도 2 참조), 이 때 돌출부 (16) 는 도 1 및 도 3 에 실선으로 나타난 공칭 각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헤드는 그의 상호 로크 수단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상기 위치에 상호 로크되어 머무른다.
버튼을 블로킹시키지 않으려면, 작동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도 1 및 도 3 에 나타난 위치에 남겨두면 된다. 즉, 윈도우 (24) 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돌출부는 작동자가 헤드를 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도 3 의 점선으로 나타난 위치로 가기 때문에, 헤드를 언로크시킬 수가 있다. 헤드는, 그의 탄성 수단의 영향하에, 재차 푸싱되어 그의 초기 각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에 의해 비상 스톱 버튼이 고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버튼을 블로킹시키고 싶으면, 작동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끌어 당겨 도 3 의 위치로부터 도 4 의 위치로 통과시키면 된다. 그래서, 작동자는 유용하게 만들어진 오리피스 (23) 를 통해 패드로크를 도입할 수가 있는데, 이로 인해 헤드가 스톱 위치에 블로킹된다. 실제에 있어서는, 헤드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려 하는 것은, 돌출부 (16) 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받침면 (25) 에 맞닿아 접하기 때문에 (도 4 의 점선 참조), 성공적이지 못하다.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래칫 요소 (36, 37) 에 의해 블로킹 위치에 고정된다. 버튼을 언블로킹시키기 위해서는, 패드로크를 제거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도 3 의 위치로 밀어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헤드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것이 적당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 스톱 버튼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블로킹 위치로부터 언블로킹 위치로 그리고 언블로킹 위치로부터 블로킹 위치로 병진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작동 헤드를 블로킹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기 돌출부의 회전을 스톱시키는 요소 (즉, 받침면) 및 패드로크를 통과시키는 오리피스를 갖고 있어서, 상기 받침면이 상기 돌출부를 회전통과시키도록 만들어진 윈도우에 인접하여 상기 돌출부의 회전을 블로킹하고, 상기 받침면을 통해 상기 돌출부와 작용하는 오버행부가, 헤드가 스톱 위치에 있고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블로킹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가 올라오는 것을 저지하여 이를 스톱 위치에 유지하므로, 비상 스톱 버튼의 패드로킹을 실현할 수가 있다.
도 1 은 고우 위치에 있는 비상 스톱 버튼의 입면도.
도 2 는 스톱 위치에서 상호 로크된 그리고 블로킹된 비상 스톱 버튼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4 는 대응 위치에 있는 비상 스톱 버튼을 도 1 및 도 2 의 평면 P 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비상 스톱 버튼과 관련된 블로킹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상 스톱 버튼 11 : 헤드
12 : 스커트 (skirt) 16 : 돌출부
20 : 슬라이딩 플레이트 21 : 바아 (bar)
23 : 오리피스 24 : 윈도우
25 : 받침면 33 : 오버행부 (overhang)
34, 35 : 안내면 36, 37 : 래칫 요소 (ratchet element)

Claims (7)

  1. 장착 벽상에 설치되며 작동 헤드를 포함하는, 패드로크가 가능한 비상 스톱 버튼으로서, 밀폐된 전기 접촉부에 해당하는 고우 위치로부터, 상호 로크된 스톱 위치로 소정의 축선을 따라 병진 이동할 수 있고 언로크되어 고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도는 비상 스톱 버튼은,
    상기 작동 헤드에 형성된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
    당겨졌을 때 상기 작동 헤드를 블로킹하기 위한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비상 스톱 버튼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블로킹 위치로부터 언블로킹 위치로 그리고 언블로킹 위치로부터 블로킹 위치로 병진이동이 가능하며,
    이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당겨졌을 때, 상기 돌출부의 회전을 스톱시키는 요소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로크하기 위해서 패드로크를 수용하는 오리피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톱 버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회전을 스톱시키는 요소는, 당겨진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바아상에 형성된 받침면이고, 상기 길이방향 바아는 돌출부를 회전통과시키는 윈도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톱 버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언블로킹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용의 하나 이상의 안내면들에 의해 은폐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안내면들은 장착 벽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톱 버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헤드가 스톱 위치에 있고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블로킹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가 재차 올라오게 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헤드의 축선에 직교하여 뻗는 오버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톱 버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작동 헤드가 고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끌어당기는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돌출부에 대해 스러스트를 받도록 배열된 오버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톱 버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벽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단부의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와 작용하게끔 되어 있는 오버행부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안내하는 측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톱 버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당겨진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블로킹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장착 벽의 일부분인 안내벽에 형성된 대응 요소와 작용하는 래칫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톱 버튼.
KR1019970012528A 1996-04-05 1997-04-04 패드로킹이가능한비상스톱버튼 KR100485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4431 1996-04-05
FR9604431A FR2747230B1 (fr) 1996-04-05 1996-04-05 Bouton d'arret d'urgence cadenass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878A KR970071878A (ko) 1997-11-07
KR100485427B1 true KR100485427B1 (ko) 2005-06-16

Family

ID=949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528A KR100485427B1 (ko) 1996-04-05 1997-04-04 패드로킹이가능한비상스톱버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08252A (ko)
EP (1) EP0800188B1 (ko)
KR (1) KR100485427B1 (ko)
CN (1) CN1065358C (ko)
DE (1) DE69711975T2 (ko)
FR (1) FR2747230B1 (ko)
TW (1) TW3169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9664B2 (ja) * 2002-05-27 2008-01-0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しゃ断器
FR2863401B1 (fr) * 2003-12-09 2006-01-13 Schneider Electric Ind Sas Bouton-poussoir cadenassable
EP2410546B1 (de) * 2010-07-20 2014-10-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riegelbarer Drucktaster
EP2702598B1 (en) 2011-04-26 2015-11-25 Master Lock Company LLC Lockout device
DE202012102471U1 (de) 2012-06-18 2012-09-07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FR3000286B1 (fr) * 2012-12-20 2015-08-21 Schneider Electric Ind Sas Systeme de commande incluant un bouton d'arret d'urgence fixe et un bouton d'arret d'urgence mobile
KR101601393B1 (ko) 2014-02-20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비상 버튼
CN107799337B (zh) * 2017-09-28 2020-05-19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开关按钮闭锁装置
IT201800000547A1 (it) * 2018-01-04 2019-07-04 Gewiss Spa Sezionatore rotativo con manopola di comando lucchettabile
CN111354590B (zh) * 2020-03-18 2022-09-30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汽车电子换挡系统及汽车电子换挡按键结构
WO2024017497A1 (en) * 2022-07-19 2024-01-2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Actuation knob with integrated padlocking lin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4321A (en) * 1970-02-06 1971-11-30 Square D Co Manually operated toggle acting switch having a padlock receiving locking member
US4005459A (en) * 1974-07-12 1977-01-2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Interlocked manual stop-down and mirror-up mechanism for single lens reflex camera
US5504284A (en) * 1993-02-03 1996-04-02 Merlin Gerin Device for mechanical and electrical lockout of a remote control unit for a modular circuit break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04026U1 (ko) * 1987-03-18 1987-05-14 Bergwerksverband Gmbh, 4300 Essen, De
DE8907888U1 (ko) * 1989-06-28 1989-08-10 Tripus-Kunststoffteile Gmbh, 8870 Guenzburg, De
FR2688341B1 (fr) * 1992-03-05 1994-05-20 Telemecanique Disjoncteur a boutons de commande pivotants.
FR2701617B1 (fr) * 1993-02-16 1995-04-14 Merlin Gerin Disjoncteur à télécommande et à fonction de sectionn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4321A (en) * 1970-02-06 1971-11-30 Square D Co Manually operated toggle acting switch having a padlock receiving locking member
US4005459A (en) * 1974-07-12 1977-01-2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Interlocked manual stop-down and mirror-up mechanism for single lens reflex camera
US5504284A (en) * 1993-02-03 1996-04-02 Merlin Gerin Device for mechanical and electrical lockout of a remote control unit for a modular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1975D1 (de) 2002-05-23
CN1167997A (zh) 1997-12-17
KR970071878A (ko) 1997-11-07
TW316989B (en) 1997-10-01
CN1065358C (zh) 2001-05-02
FR2747230B1 (fr) 1998-05-15
EP0800188A1 (fr) 1997-10-08
FR2747230A1 (fr) 1997-10-10
DE69711975T2 (de) 2002-10-17
US5808252A (en) 1998-09-15
EP0800188B1 (fr)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427B1 (ko) 패드로킹이가능한비상스톱버튼
US5816086A (en) Axial moving pushbutton for a lock having rotary locking and release motions
KR101010764B1 (ko)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
EP0675248B1 (en) Cylinder lock device resistible against unauthorized unlocking
JPS63261076A (ja) ドアーロック
KR10037324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콘트롤러
JP2784950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US5004278A (en) Door lock having security device
JP2832235B2 (ja) トランク用扉のロック装置
US7270355B2 (en) Electrically controlled door lock
RU2060225C1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распашной двери шахты лифта
US2475338A (en) Actuating mechanism for enclosed switches
JP495729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EP1590213A2 (en) Door locking system
KR0131801Y1 (ko)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EP3985213B1 (en) Mortise lock with symmetrical and reversible clutch
IT201800000547A1 (it) Sezionatore rotativo con manopola di comando lucchettabile
US20220243498A1 (en) Catch mechanism for a locking device
KR20220065195A (ko) 미닫이문용 오목형 잠금장치
US5044679A (en) Latch construction
JP2764689B2 (ja) ペンダントスイッチにおける非常停止用スイッチ
KR100201059B1 (ko) 래치로크장치
KR920004867Y1 (ko) 도어록의 비상 해정장치
KR102362325B1 (ko) 안전 손잡이 잠금 장치
KR100692719B1 (ko)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