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872B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872B1
KR100484872B1 KR10-2003-0024914A KR20030024914A KR100484872B1 KR 100484872 B1 KR100484872 B1 KR 100484872B1 KR 20030024914 A KR20030024914 A KR 20030024914A KR 100484872 B1 KR100484872 B1 KR 100484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terminal block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1198A (ko
Inventor
이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8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24F1/58Separate protective covers for outdoor units, e.g. solar guards, snow shields or camoufl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전선의 연결이 용이하고, 적은 공간에 다수의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측 전원선 및 주전원선이 연결되는 메인 터미널 블록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컨트롤 패널과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의 상측에 계단 형상의 층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 연결선 및 실내기 연결선이 연결되는 서브 터미널 블록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2단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컨트롤 패널과 제 2 컨트롤 패널에 메인 터미널 블록과 서브 터미널 블록이 각각에 나뉘어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실외기의 각종 전선이 용도에 따라 깔끔하게 나뉘어 정리되고, 아울러 적은 공간에 많은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Outdoor unit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전선의 연결이 용이하고, 적은 공간에 다수의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공기를 처리하여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크게 분리형(separate type 또는 split type)과 일체형(window type)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한편, 최근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에는 단수개의 실외기를 실외에 설치하고, 복수개의 실내기를 실내의 각각에 설치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복수개의 방을 냉난방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복수개의 실내기로부터 인출된 다수의 냉매배관 및 전선들이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4)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전장부품(12)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컨트롤 패널(6)과, 상기 컨트롤 패널(6)의 일측에 형성되어 각종 전선이 연결되는 터미널 블록(10)을 수용하는 터미널용 컨트롤 패널(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6)은 실내기의 상태 및 실내온도 등에 의해 실외기(2)의 작동을 적절히 제어하는 부분으로, 상기 캐비닛(4)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4)에 의해 보호된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6)의 일측에는 상기 터미널용 컨트롤 패널(8)이 수직하게 설치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 블록(10)은 전면에 복수개의 단자가 배열된 구조로서, 전선을 용도에 따라 알맞은 단자에 연결하여 간편하게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터미널 블록(10)은 실내측 전원선 및 주전원선이 연결되는 메인 터미널 블록(10a)과, 내부 연결선 및 실내기 연결선이 연결되는 서브 터미널 블록(10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전원선은 외부에서 실외기(2)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고, 상기 실내측 전원선은 상기 주전원선에 의해 공급된 전원을 실외기(2)의 내부로 전달하는 전선이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 연결선은 실내기로부터 인출된 각종 신호를 실외기(2)로 전달하는 전선이고, 상기 내부 연결선은 상기 실내기 연결선으로부터 전달된 각종 신호를 실외기(2)의 컨트롤 패널(6)로 전달하는 전선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미널용 컨트롤 패널(8)에 메인 터미널 블록(10a) 및 서브 터미널 블록(10b)이 함께 설치되어 실내측 전원선, 주전원선, 내부 연결선, 실내기 연결선 등이 모두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터미널 블록(10)에 복수개의 전선이 복잡하게 얽혀서 전선을 체결하거나 분해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며, 사후관리도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터미널 블록(10)에 각종 전선을 연결할 경우, 상기 캐비닛(2)을 분해한 후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성 및 정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의 컨트롤러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터미널 블록에 각종 전선이 간편하게 연결 및 정리되고, 적은 공간에 보다 많은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측 전원선 및 주전원선이 연결되는 메인 터미널 블록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컨트롤 패널과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의 상측에 계단 형상의 층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 연결선 및 실내기 연결선이 연결되는 서브 터미널 블록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컨트롤 패널과 제 2 컨트롤 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54)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전장부품(70)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컨트롤 패널(56)과, 상기 컨트롤 패널(56)의 일측에 실내측 전원선(72) 및 주전원선(74)이 연결되는 메인 터미널 블록(62)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컨트롤 패널(58)과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58)의 상측에 계단 형상의 층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 연결선(76) 및 실내기 연결선(78)이 연결되는 서브 터미널 블록(64)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컨트롤 패널(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56)은 실외기(52)의 캐비닛(54) 내부에 설치되는 바, 상기 캐비닛(54) 내부의 상부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기(5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런 컨트롤 패널(56)은 전장부품(70)이 설치된 복수개의 패널이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계단 형상의 단차진 구조를 형성하는 제 1 컨트롤 패널(58)과 제 2 컨트롤 패널(6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58)과 제 2 컨트롤 패널(60)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2단의 층상 구조로서,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58)이 저단측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컨트롤 패널(60)이 고단측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 터미널 블록(62)과 서브 터미널 블록(64)이 제 1 컨트롤 패널(58)과 제 2 컨트롤 패널(60)에 의해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공간도 보다 넓게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 주전원선(74)은 외부에서 실외기(52)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실내측 전원선(72)은 상기 주전원선(74)에 의해 공급된 전원을 실외기(52)의 내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실내기 연결선(78)은 실내기로부터 인출된 각종 신호를 실외기(52)로 전달하고, 상기 내부 연결선(76)은 상기 실내기 연결선(78)으로부터 전달된 각종 신호를 실외기(52)의 컨트롤 패널(56)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터미널 블록(62)과 서브 터미널 블록(64)은 전면에 복수개의 단자홈(66)이 격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단자홈(66)에 복수개의 단자부(68)가 각각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단자부(68)는 각종 전선과 통전되는 단자(68a)와, 상기 단자(68a)에 전선의 끝단을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판(68b) 및 스크류(68c)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메인 터미널 블록(62)과 서브 터미널 블록(64)은 상기 실내측 전원선(72), 주전원선(74), 내부 연결선(76), 실내기 연결선(78) 등을 각각의 용도에 맞게 구분하여 연결되고, 연결된 전선들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54)의 측면 일측에는 개구홀(80)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80)을 통해 상기 주전원선(74)과 실내기 연결선(78)이 실외기(52)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 터미널 블록(62) 및 서브 터미널 블록(64)에 연결된다.
이런 개구홀(80)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56)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82)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54)을 실외기(52)의 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상기 개구홀(80)을 통해 상기 메인 터미널 블록(62)과 서브 터미널 블록(64)에 상기 주전원선(74)과 실내기 연결선(78)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58)과 제 2 컨트롤 패널(60)은 상기 캐비닛(54)의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r)로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그로 인해 작업자는 공구를 사용하여 각종 전선을 체결하거나 분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실외기(52)는 통상 실외의 바닥면에 설치되므로 작업자는 허리를 숙인 상태로 상기 메인 터미널 블록(62) 및 서브 터미널 블록(64)에 각종 전선을 연결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58)과 제 2 컨트롤 패널(60)이 수직한 경우보다 소정의 각도(r)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게 되면 좀더 편한 자세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62)은 하단부에 제 1 지지부(84)가 상기 개구홀(80)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8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지지부(84)와 탄성부재(86)로 체결되는 제 2 지지부(88)가 돌출 형성된다.
이런 제 1 컨트롤 패널(58)과 제 2 컨트롤 패널(60)은 상기 탄성부재(86)에 의해 체결된 제 1 지지부(84)와 제 2 지지부(88)에 의해 상기 캐비닛(54)에 지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설치시 실내에는 적정 용량의 실내기(미도시)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고, 실외에는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맞는 실외기(52)가 바닥면에 안전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실내기와 실외기(52)에는 냉매배관(미도시)과 각종 전선이 연결된다.
특히,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단수개의 실외기(52)에 복수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므로, 상기 실외기(52)에는 복수개의 실내기로부터 인출된 다수의 냉매배관과 전선들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실외기(52)의 측면에 장착된 보호커버(82)를 탈거하여 캐비닛(54)의 개구홀(80)을 개방하고, 개방된 개구홀(80)을 통해 주전원선(74)과 실내기 연결선(78)을 상기 실외기(52)로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보호커버(82)를 개구홀(80)에서 탈거한 후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상기 개구홀(80)에 삽입하여 각종 전선을 설치하는 바, 상기 주전원선(74)은 메인 터미널 블록(62)에 연결하고, 상기 실내기 연결선(78)은 서브 터미널 블록(64)에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터미널 블록(62)과 서브 터미널 블록(64)의 나머지 단자에는 실내측 전원선(72) 및 내부 연결선(76)이 적절하게 연결됨으로서, 상기 메인 터미널 블록(62)과 서브 터미널 블록(64)의 배선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는 2단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컨트롤 패널과 제 2 컨트롤 패널에 메인 터미널 블록과 서브 터미널 블록이 각각에 나뉘어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실외기의 각종 전선이 용도에 따라 깔끔하게 나뉘어 정리되고, 아울러 적은 공간에 많은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측에는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과 제 2 컨트롤 패널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도록 개구홀이 구비되고, 작업공구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과 제 2 컨트롤 패널이 설치되어, 종래와 같이 상기 캐비닛을 공기조화기에서 분리하지 않더라도 상기 메인 터미널 블록 및 서브 터미널 블록에 전선이 간편하게 연결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다수의 전선이 상기 메인 터미널 블록과 서브 터미널 블록에 정리됨과 아울러 연결 및 분해가 용이해짐으로서, 조립성과 정비성이 향상되어 공기조화기의 설치 및 사후관리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컨트롤 패널과 제 2 컨트롤 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실외기 54 : 캐비닛
56 : 컨트롤 패널 58 : 제 1 컨트롤 패널
60 : 제 2 컨트롤 패널 62 : 메인 터미널 블록
64 : 서브 터미널 블록 82 : 보호커버

Claims (4)

  1.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측 전원선 및 주전원선이 연결되는 메인 터미널 블록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컨트롤 패널과;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의 상측에 계단 형상의 층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 연결선 및 실내기 연결선이 연결되는 서브 터미널 블록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주전원선 및 실내기 연결선이 삽입되는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에는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과 제 2 컨트롤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과 제 2 컨트롤 패널은 메인 터미널 블록 및 서브 터미널 블록에 각종 전선의 체결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트롤 패널은 하단에 제 1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지지부와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제 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KR10-2003-0024914A 2003-04-19 2003-04-1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KR100484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914A KR100484872B1 (ko) 2003-04-19 2003-04-1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914A KR100484872B1 (ko) 2003-04-19 2003-04-1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198A KR20040091198A (ko) 2004-10-28
KR100484872B1 true KR100484872B1 (ko) 2005-04-22

Family

ID=3737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914A KR100484872B1 (ko) 2003-04-19 2003-04-1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0881A (ja) * 2015-12-18 2017-06-2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9299B1 (en) * 2018-04-10 2024-01-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0881A (ja) * 2015-12-18 2017-06-2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198A (ko)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640B2 (en) Stackable thermostat
CN110062865A (zh) 空调机的室外机
JP711216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US7015404B2 (en) Do-it-yourself system for portable generator
KR1004848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CN110876242B (zh) 建筑物控制系统的具有可互换安装基部的用户界面模块
EP1486738A4 (en) ELECTRICAL INSULATING DEVICE FOR AIR CONDITIONING AND AIR CONDITIONING WITH THE DEVICE
JP200329427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及び多室型空気調和機
JP6537700B2 (ja) 電装品モジュール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08261509A (ja) 空気調和機
JP3185564B2 (ja) 多室空気調和機用分岐ユニット
JP453466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6145082A (ja) 空気調和機
WO2021217917A1 (zh) 移动空调器
JP5174181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4170054A (ja) 空気調和機
JP6764279B2 (ja) 空気調和機
JPH10229625A (ja) 空気調和機の内外渡り配線のクランプ構造
KR20030000420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분할식 인쇄회로기판의 장착구조
JPH07324777A (ja) 空気調和機
CN215523547U (zh) 一种电控结构及空调
JP4239189B2 (ja) 電気機器
JP200621468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957841B2 (ja) 分離型空気調和機
JP2925980B2 (ja) 熱交換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