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937B1 -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 Google Patents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937B1
KR100480937B1 KR1020040066838A KR20040066838A KR100480937B1 KR 100480937 B1 KR100480937 B1 KR 100480937B1 KR 1020040066838 A KR1020040066838 A KR 1020040066838A KR 20040066838 A KR20040066838 A KR 20040066838A KR 100480937 B1 KR100480937 B1 KR 100480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electrode
mold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협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협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협성사
Priority to KR1020040066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94Tensioning or bra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96Dispensing or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에 관한 것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코일을 가압롤러에 감아 장력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가압롤러에 감긴 코일을 이송대의 홀더파이프에 압입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이송대를 제1전극부로 이동시켜 상기 홀더파이프에 고정된 코일의 선단을 받침대 상에 올려진 전극의 클립에 삽입함과 더불어 상기 클립을 압착하여 상기 코일의 선단에 전극을 결합하고, 상기 전극이 결합된 코일의 선단을 상부금형의 권취클램프에 고정함과 더불어 상기 권취클램프의 하단에 돌출된 고리에 걸어 상기 코일이 하부금형의 내부틀 일측에 걸치도록 하며, 상기 내부틀에 걸친 코일의 선단을 권취클램프와 고리가 회전되면서 권취시켜 1차코일을 성형하고, 상기 1차코일이 성형된 코일을 하부금형의 외부틀 위치로 하강시키고 상기 상부금형의 외부지지대를 외부틀의 상부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틀에 2차코일을 권취하며, 상기 1, 2차코일의 권취가 완료된 후에 상기 코일의 끝단을 절단하고, 이 절단된 코일의 끝단에 전극을 결합하여 상기 양전극에 통전시험을 실시하여 제품의 이상유무를 판단한 후에 상기 금형으로부터 취출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A COIL WINDING DEVICE AND A METHOD WHICH WINDS}
본 발명은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열작용에 사용되는 2중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 등의 가열제품의 가열은 전기의 저항 열을 이용하여 밥솥 등을 외부에서 가열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여기서, 상기 가전제품의 전기 저항 열을 이용한 가열체로 통전됨과 더불어 자체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코일이 사용되는 것이 보편적이며, 특히 상기 밥솥 등의 외부에서 열을 가하도록 된 코일은 상기 밥솥의 외부 형상에 따라, 원판형 또는 원형의 고리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 상기 코일은 상기 밥솥의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근래에 상기 밥솥에 대한 가열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밥솥의 하단면에 원판형의 코일을 설치함은 물론, 상기 밥솥의 하부 외주부에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코일을 더 설치한 것의 개발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 밥솥의 하단면과 하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코일의 성형은 그 외주면이 함몰된 통상적인 릴에 코일을 권취하여 상기 밥솥 등의 하단면에 설치되는 1차 코일을 권취하고, 상기 1차 코일이 릴에 권취된 상태에서 또 다른 릴에 2차 코일을 권취하여 상기 밥솥에 설치되는 2중 코일을 성형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별도로 성형하고 순차적으로 성형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1차 및 2차 코일의 별도 작업으로 인해 작업량이 증가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2중 코일의 성형을 위해 1차 코일이 성형된 후에도 릴 등의 지그를 지속적으로 부착한 상태에서 다른 공정을 시행하도록 되어 상기 코일의 이송 및 관리가 까다롭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2중 코일의 성형은 코일의 권취 후에 권취된 코일을 테이프 등으로 감아 고정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테이핑 작업이 증가됨은 물론, 상기 테이프의 손상 또는 접착력의 저하로 인해 상기 권취코일이 풀리거나, 테이핑 압력으로 인해 소정면적을 갖도록 원형 또는 고리모양의 판형상으로 성형된 코일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2중 코일의 성형은, 코일의 권취 후에 상기 코일의 양단에 상기 전기 밥솥 등에 연결하도록 된 전극을 별도로 장착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전극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추가되고 이에 따라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원판형상의 1차코일과, 상기 1차코일의 외부에 곡면을 이루는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2차코일을 자동으로 권취하도록 된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선된 코일을 소정의 형상으로 유지하도록 실시하는 테이핑 작업을 폐지하고, 상기 코일의 권선과 동시에 상기 코일을 소정의 형상으로 접착시키도록 된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일의 권선과 동시에 상기 코일의 양단에 전극을 자동으로 결합하도록 된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선된 코일의 통전시험과 취출작업을 자동으로 이루도록 된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코일을 이송시켜 그 선단에 전극을 결합시키고, 1차권선 및 2차권선을 시행하며, 또 다른 선단에 상기 전극을 결합하고, 상기 권선된 코일을 통전시험한 후에 취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보빈에 감겨진 코일을 가압롤러에 1~2회 감아 코일이 권취되면서 당겨지는 힘에 의해 지나치게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코일이 권취되는 권취부에서 코일을 당기는 힘과 상기 가압롤러에서 코일의 이송을 저지하려는 힘이 상호 작용되는 상기 코일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상기 가압롤러를 지나 이송되는 코일에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하는 조절롤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가압롤러와 조절롤러를 포함하는 장력부에서 장력이 조절되면서 이송된 코일을 절단부와, 제1전극부와, 권취부와, 제2전극부로 이송 및 작업 지지하도록 된 이송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이송부로 이송된 코일을 상기 이송부가 이동되어 작업하려는 작업대의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전진기와, 코일이 절단되어 상기 장력부의 장력으로 인해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의 절단 전에 코일을 잡아 고정시키는 이송클램프와, 상기 이송된 코일을 각 작업 시 마다 지지하도록 상기 코일이 압입되는 홀더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절단부는 상기 코일을 절단하는 절단기와, 상기 절단된 코일의 권취방향 선단을 잡아 이송시키도록 된 절단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는 상기 홀더파이프 및 절단홀더에 지지된 코일의 선단을 고정하도록 집게형상으로 형성된 전극홀더와, 이 전극홀더에 고정된 코일의 선단이 클립에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을 오므리도록 된 누름대와, 상기 코일의 선단에 전극의 클립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 및 전극을 받침대에서 이탈시키는 이탈봉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권취부는 그 중앙부가 개구된 원판형상으로 권취되는 1차코일의 권선작업을 지지하도록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내부틀과, 반구의 외주에 밀착되도록 곡면을 이룸과 더불어 그 상/하면이 개방된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권취되는 2차코일의 권선작업을 지지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외부틀로 이루어진 하부금형과, 상기 내부틀과 접해 1차코일의 권선작업을 지지하는 내부지지대와, 상기 외부틀과 접해 2차코일의 권선작업을 지지하는 외부지지대로 구성된 상부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권선이 완료된 코일의 절단 시에 상기 꼬여져 형성된 코일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의 절단부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코일의 권취 전에 코일의 전면에 걸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코일이 권취됨과 더불어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공정과, 상기 코일의 권취 시에 일정장력으로 당겨지면서 권취되도록 상기 코일에 장력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권취되는 코일의 선단에 전극을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코일을 그 중앙부가 개구된 원판형으로 권취하는 공정과, 상기 코일을 반구 외주부의 형상과 동일한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권취하는 공정과, 상기 권취된 코일의 타단에 전극을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양단에 전극이 부착되고 권취된 코일제품을 통전시험하는 공정과, 상기 코일제품을 취출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12) 권선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12) 권선장치를 위에서 본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4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전극부(6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코일(12)에 전극(61)이 결합된 것을 받침대(63)에서 떼어내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8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12)이 하부금형(81)의 내부틀(83)에 걸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12)이 1차 권선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12)이 2차 권선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30)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권선된 코일(12)이 가전제품 중 전기 밥솥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코일(12)을 권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와, 장력부(20)와, 히터(30)와, 이송부(40)와, 절단부(50)와, 제1전극부(60)와, 제2전극부(70)와, 권취부(80)와, 취출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10)는 상기 권선장치의 각 부 구성을 별도로 제어함과 더불어 통합 제어하도록 된 프로그램과, 전원단속수단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 통상의 제어기(10)로 구성된다.
상기 장력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롤러(21)와, 조절롤러(22)와, 안내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롤러(21)는 보빈(11)에 감겨진 코일(12)을 원통형의 롤러에 1~2회 감아 외부에서 상기 코일(12)을 당기더라도 상기 코일(12)이 상기 보빈(11)에서 자유롭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코일(12)이 소정 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당겨지도록 된 통상의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롤러(22)는 상기 가압롤러(21)에 감겨지고 후술하는 권취부(80)에서 당겨져 소정의 장력을 갖게 되는 코일(12)이 상기 가압롤러(21)에서 덜 풀리거나, 더 풀려 장력이 변화되거나, 상기 권취부(80)에서 당기는 힘이 변경되어 상기 장력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롤러(21)에서 권취부(80)에 이르도록 직접 연결된 코일(12)을 또 다른 롤러에 걸려 우회하여 연결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롤러가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된 것이다.
상기 안내롤러(23)는 상기 보빈(11)에서 빠져 나온 코일(12)을 상기 가압롤러(21)와 조절롤러(22) 및 후술하는 이송부(40)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코일(12)이 연결되는 선로에 설치된 통상의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40)는 상기 장력부(20)에서 연결된 코일(12)을 후술하는 절단부(50)와 제1전극부(60)와 제2전극부(70)와 권취부(80)로 이송시키도록 다수의 모터에 의해 이동되는 작업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기(41)와, 이송클램프(45)와, 홀더파이프(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진기(41)는 실린더(42)와, 피스톤축(43)과, 전진홀더(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42)는 제어기(10)의 제어에 따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내부의 유체 또는 기체가 충진 또는 배출되면서 피스톤을 상기 코일(12)의 연결방향으로 전/후진 시키도록 된 통상의 실린더(42)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축(43)은 상기 실린더(42)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42)의 외부에서 상기 코일(12)의 연결방향을 따라 전/후진 하도록 된 봉형상의 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진홀더(44)는 상기 피스톤축(43)의 선단에 체결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코일(12)이 삽입·관통되도록 개구가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또 상기 개구는 상기 코일(12)의 외주에 밀착되도록 상기 코일(1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고 형성되거나, 상기 코일(12)의 외부를 압박하도록 상기 개구의 내주면에 실리콘 등이 밀착재가 더 부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12)은 통상의 가열작용되는 전선에 에나멜 등의 방습, 절연제가 코팅된 것으로 하며, 상기 다수의 전선이 서로 꼬여져 통상의 전선이 뭉쳐진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12)의 양단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12)자체의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되도록 된 통상의 코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클램프(45)는 상기 코일(12)을 잡아 고정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벌려진 틈이 형성되고, 이 틈이 상부의 압착부재 등에 의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된 통상의 클램프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통형상의 클램프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벌어진 틈이 형성되고, 이틈의 상부체가 전기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틈을 축소하도록 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파이프(46)는 상기 코일(12)이 삽입·관통되도록 그 중앙부가 중공된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의 중공부에 실리콘 등의 밀착재가 충진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이송부(40)의 전진기(41)와 이송클램프(45) 및 홀더파이프(46)는 작업패널의 상단에 조립되며, 상기 작업패널은 다수의 모터 작용에 의해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단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기(51)와 절단홀더(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단기(51)는, 상기 코일(12)을 절단하도록 박스체의 중앙부에 상기 코일(12)이 관통되는 틈이 형성되고, 이 틈의 상부에서 전기력에 의해 칼날 등의 절단체가 이동되어 상기 코일(12)을 절단하도록 된 통상의 절단기(51)로 구성된다.
상기 절단홀더(52)는 2개의 막대가 상기 코일(12)이 관통될 정도의 틈을 이루고 상호 접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틈에 상기 코일(12)을 잡아 고정하도록 상기 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절단부(50)의 절단홀더(52)는 작업대 상에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작업패널은 상기 절단기(51)에서 후술하는 제2전극부(70)에 이르도록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전극부(60)는 전극(61)의 클립(62)에 상기 코일(12)의 선단을 체결하도록 받침대(63)와, 전극홀더(64)와, 누름대(65)와, 이탈봉(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61)은 본 발명의 코일(12)이 사용되는 제품에 따라 상이한 형상의 전극(61)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전극(61)은 원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중앙부가 개구되어 또 다른 전극(61)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그 일단에 양측으로 벌어진 클립(62)이 다수 형성된 통상의 전극(61)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63)는 상기 전극(61)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연결되어 릴에 권취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각각이 분리되어 사용되도록 띠형상으로 포장되어 제공됨에 따라, 상기 띠가 이송되는 컨베이어장치의 선단에 상기 단일개의 전극(61)이 놓여지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받침대(63)의 선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이탈봉(66)이 눌러 상기 코일(12)을 굽힐 수 있도록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전극홀더(64)는 상기 절단홀더(52)와 동일한 집게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코일(12)을 잡아 상기 받침대(63)의 선단에 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63)의 선단에 밀착되어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오면서 상기 코일(12)을 잡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누름대(65)는 상기 전극(61)의 클립(62)에 코일(12)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62)의 상단을 눌러 상기 클립(62)이 닫히도록 상기 클립(62)의 상단에 전기력에 의해 압력을 가하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립(62)의 상단 및 양측단을 압착하도록 상기 클립(62)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것으로 한다.
상기 이탈봉(66)은 상기 받침대(63)의 선단에 경사를 이루고 형성된 면에 면착되도록 상기 경사면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봉의 선단에 압력을 가하는 원형봉이 더 부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63)의 경사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10) 등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사면과 밀착되도록 전진/후퇴 작용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제2전극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부(6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부(6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권취부(8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금형(82)은 내부지지대(84)와 외부지지대(86)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81)은 내부틀(83)과 외부틀(8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권취부(80)는 권취클램프(87)와, 고리(88) 및 권취홈(8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금형(8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기의 하단에 상/하 이동가능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에 상기 내부지지대(84)와 외부지지대(86)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지지대(84)는 상기 하부금형(81)의 내부틀(83)과 접해 1차코일(12)의 권취를 지지하도록 원통형상을 이루고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부지지대(86)는 상기 내부지지대(84)의 외곽부에서 하방향으로 원통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내부가 반구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내부지지대(84)와 외부지지대(86)는 상기 상부금형(8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별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금형(81)은 상기 상부금형(82)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에 모터가 연결되어 상기 상부금형(82)과 동일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하부금형(81)은 내부틀(83)과 외부틀(8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부틀(83)은 상기 하부금형(81)의 중앙부에서 상방향으로 원통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부틀(83)의 상면이 상기 내부지지대(84)의 하면과 접하여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틀(83)은 본 실시예에서 제작하는 밥솥용 코일제품의 제1코일이 그 중앙부가 개구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코일의 중앙부에 개구된 개구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는 원통형상으로 돌출된다.
상기 외부틀(85)은 상기 상부금형(82)의 외부지지대(86)와 대응되도록 반구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부지지대(86)와 접한 상태에서 그 외주부에 제2코일이 권취되도록 상기 외부틀(85)의 상부만 상기 외부지지대(86)가 덮도록 상기 외부지지대(86)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권취클램프(87)는 상기 상부금형(82)의 상기 내부지지대(84)와 외부지지대(86)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기 이송클램프(45)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고리(88)는 상기 권취클램프(87)의 하단에서 상기 외부지지대(86)의 하단에 이르도록 막대형상을 이루고 뻗어 형성되며, 그 선단이 수직 절곡되고, 상기 코일(12)이 상기 상부금형(82) 및 하부금형(8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걸치도록 그 선단에 홈이 형성된다.
상기 권취홈(89)은 상기 고리(88)가 형성된 외부지지대(86) 일측에 상기 고리(88)의 선단에 걸쳐진 코일(12)이 상기 외부지지대(86)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외부지지대(86)의 하단에서 상부에 이르도록 슬롯형상으로 개구된 홈으로 구성된다.
상기 히터(30)는 도 1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력부(20)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부로 발열작용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버너(31)로 구성된다.
또, 상기 히터(30)는 상기 버너(31)에서 상부로 가열하는 열의 손실을 막도록 상기 버너(31)의 상부에 하방향으로 열을 반사하도록 상기 버너(31)의 상면에 수평을 이루는 반사판(32)이 상기 버너(31)의 상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취출부(90)는 도 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취출대(91)와 제2취출대(92)로 구성되며, 상기 권취부(8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취출대(91)는 상기 권선된 1차코일(12)의 양측 하단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12)을 들어내도록 상기 1차코일(12)의 양측 하단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판이 그 간격이 확/축 이동되도록 유압기 등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1차코일(12)의 외주와 동일한 형상으로 그 내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취출대(92)는 상기 권선된 2차코일(12)의 양측 하단에 삽입되어 상기 2차코일(12)을 들어내도록 상기 제1취출대(9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2차코일(12)의 외주와 동일한 형상으로 그 내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취출대(91)와 동일한 유압기에 연결되어 그 간격이 확/축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코일 권선장치를 이용하여 2중 코일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12) 권선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접착제도포공정(S10)과, 장력형성공정(S20)과, 제1전극성형공정(S30)과, 1차코일권취공정(S40)과, 2차코일권취공정(S50)과 제2전극성형공정(S60)과, 통전시험공정(S70) 및 제품취출공정(S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착제도포공정(S10)은 전원의 통전에 의해 저항 열을 발하도록 된 통상의 전선을 다수 꼬아 코일(12)을 형성하고, 이 코일(12)의 외부에 수지나 아크릴 또는 우레탄 재질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보빈(11)에 감아 코일(12)제품으로 권취될 코일(12)을 준비한다.
상기 장력형성공정(S20)은 상기 보빈(11)에 감겨진 코일(12)의 선단을 2개의 안내롤러(23)사이로 관통시키고 이 안내롤러(23)의 일측부에 설치된 가압롤러(21)에 1~2회 상기 롤러의 외주부에 감아 상기 보빈(11)에서 코일(12)이 자유로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압롤러(21)에 감겨진 코일(12)을 또 다른 안내롤러(23)를 통해 이송부(40)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이송부(40)와 가압롤러(21)의 사이에 설치된 조절롤러(22)에 상기 코일(12)을 걸쳐 상기 코일(12)의 장력에 의해 상기 조절롤러(22)가 가압롤러(21)의 방향으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상기 장력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부(40)로 연결된 코일(12)은 상기 이송부(40)의 전진기(41) 전진홀더(44)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전진홀더(44)에 코일(12)의 선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권취장치의 제어기(10)를 조작하여 상기 권취장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전진기(41)의 실린더(42)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실린더(42) 내의 피스톤을 상기 코일(12)의 진행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피스톤 및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축(43)이 실린더(42)에 대해 코일(12)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피스톤축(43)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축(43)의 선단에 결합된 전진홀더(44)가 상기 코일(12)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전진홀더(4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진홀더(44)의 개구에 끼워진 코일(12)의 선단이 이동된다.
상기 코일(12)이 상기 전진기(41)의 작동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전진기(41)의 전방에 설치된 이송클램프(45)를 통해 홀더파이프(46)에 이르도록 이동된다.
상기 홀더파이프(46)로 이동된 코일(12)은 상기 홀더파이프(46)의 내부로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홀더파이프(46)의 내부에 압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1전극성형공정(S30)은, 상기 코일(12)이 홀더파이프(46)의 내부로 삽입되어 반대편으로 소정폭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부(40)가 다수의 모터 동력에 의해 절단부(50)의 일측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권취부(80)의 방향으로 전진되어 제1전극부(60)로 이동된다.
상기 이송부(40)가 제1전극부(60)로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제1전극부(60)에 연결된 전극(61)띠에서 단일개의 전극(61)이 상기 전극(61)띠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의 선단에 설치된 받침대(63) 상에 올려지고, 상기 이송부(40)의 홀더파이프(46)에서 돌출된 코일(12)의 선단이 상기 제1전극부(60)의 전극홀더(64)에 물려 고정된다.
상기 전극홀더(64)에 끼워진 코일(12) 선단은 상기 전극홀더(64)가 상기 코일(12)을 잡은 위치에서 소정폭 하향 이동됨에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받침대(63) 상에 올려진 전극(61)의 클립(62)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전극(61) 클립(62)의 내부로 코일(12)의 선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극부(60)의 누름대(65)가 상기 받침대(63)의 방향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받침대(63)의 위치보다 더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클립(62)을 오므려 닫는다.
상기 클립(62)이 닫히면서 상기 클립(62)의 내부에 수용된 코일(12)의 선단이 상기 전극(61)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클립(62)에 코일(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대(65)는 최초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클립(62)과 코일(12)을 압착함과 더불어, 상기 누름대(65)와 상기 받침대(63)에 별도로 부착된 전력선에 전압을 가해 상기 코일(12) 및 전극(61)의 클립(62)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12) 및 클립(62)의 자체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되고, 상기 코일(12) 및 클립(62)에서 열이 발생됨과 더불어 상기 코일(12)에 도포된 절연코팅물 또는 접착제가 용융되어 상기 코일(12)과 전극(61)의 통전이 용이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전극(61)과 클립(62)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전극(61)과 클립(62)자체 저항에 의해 상기 전극(61)과 클립(62)이 발열을 이루면서 상기 클립(62)에 압착되는 코일(12)의 외부에 도포된 접착제 등이 일부 용융되어 상기 클립(62)과 상기 코일(12)이 상호 전류가 통전되도록 접합되거나, 상기 코일(12)의 선단, 상기 클립(62)에 접하는 부분의 접착제 또는 절연코팅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권취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극(61) 클립(62)에 코일(12)을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코일(12)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전극(61)이 상기 받침대(63)에 접착될 수 있고, 상기 누름대(65)가 클립(62)에 압력을 가해 상기 전극(61) 및 클립(62)이 상기 받침대(63)에 융착되는 경우, 상기 전극(61)이 부착된 코일(12)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2)의 선단에 전극(61)을 부착한 후 상기 받침대(63)의 선단 경사면에 수직을 이루고 형성된 이탈봉(66)을 작동시켜 상기 이탈봉(66)을 상기 경사면에 근접하게 이동시킨다.
상기 이탈봉(66)이 상기 경사면에 근접되면서 경사면의 상부에 올려진 코일(12)을 가압하고, 상기 코일(12)이 가압되면서 상기 코일(12)의 선단에 체결된 전극(61)이 상기 받침대(63)의 상면에서 떼어져 이탈된다.
상기 전극(61)이 이탈되면 상기 이탈봉(66)은 최초 위치로 이동되어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전극(61)이 받침대(63)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부(40)는 재차 절단부(50)를 지나 권취장치의 중앙부로 이동된다.
상기 1차코일권취공정(S40)은, 상기 코일(12)의 선단에 전극(61)을 결합하고, 상기 권취부(80)의 일단에 접하도록 상기 이송부(40)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부(40)가 상기 권취부(80)의 상부금형(82)에 형성된 권취클램프(87)의 위치로 소정간격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권취클램프(87)의 틈에 상기 전극(61)이 결합된 코일(12)의 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권취클램프(87)의 틈에 전극(61)과 코일(12)의 선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클램프(87)가 닫혀 상기 권취클램프(87)에 상기 코일(12)의 선단이 고정되고, 상기 코일(12)의 선단이 권취클램프(87)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부(40)가 상기 권취클램프(87)의 하단에 형성된 고리(88)의 선단에 이르도록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코일(12)이 권취클램프(87)에서 고리(88)의 선단에 이르도록 연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홀더파이프(46)에서 고리(88)에 이르도록 연장된 코일(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상기 코일(12)이 삽입되도록 슬롯이 형성된 판형상의 가이드(93)에 걸쳐 지지되어 후술하는 상부금형(82) 및 하부금형(81)이 회전되면서 상기 코일(12)은 홀더파이프(46)에 대해 일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93)는 상기 상부금형(82) 및 하부금형(81)의 회전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코일(12)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전면이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리(88)의 선단으로 연장된 코일(12)은 상기 고리(88)의 선단에 형성된 홈에 걸쳐지고, 상기 고리(88)의 선단 홈에 상기 코일(12)이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이 유압기의 작동에 따라 180°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의 회전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180°로 구분하여 회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 작업 시는 상기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이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연속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이 180°회전되면, 상기 고리(88)의 선단에 걸쳐진 코일(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의 사이공간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하부금형(81)의 중앙부에 돌출된 내부틀(83)의 일측에 걸쳐진다.
또, 상기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의 회전과 더불어 상기 상부금형(82)의 내부지지대(84)가 상기 하부금형(81)의 내부틀(83) 상면에 접하도록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82)의 내부지지대(84)와 하부금형(81)의 내부틀(83)이 상호 접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간의 틈새를 폐지하고, 상기 내부틀(83)의 일측에 코일(12)이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리(88)가 지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고리(88)에 걸쳐진 코일(12)이 상기 내부틀(83)의 외부에 지속적으로 권취된다.
이때, 상기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이 180°회전됨과 더불어 상기 고리(88)의 선단에 걸쳐진 코일(12)이 상부금형(82)을 통해 상기 홀더파이프(46)에 이르도록 연장되고, 상기 코일(12)이 상부금형(82)을 통하면서 상기 상부금형(82)의 외부지지대(86)에 형성된 권취홈(89)에 끼워져 상기 상부금형(82)의 회전 시에 상기 코일(12)이 상부금형(82)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1차코일(12)을 성형하도록 된다.
또, 상기 1차코일(12)의 권취는 코일(12)의 굵기와 적용되는 제품의 가열범위에 따라 10~15회 정도로 권취되어 성형된다.
상기 2차코일권취공정(S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코일(12)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기 및 홀더파이프(46)가 상기 하부금형(81)의 외부틀(85) 중앙부에 이르도록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홀더파이프(46)에 지지된 코일(12)이 상기 내부틀(83)의 위치에서 외부틀(85)의 중앙부 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1차코일(12)의 권취작업 후에 상기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은 지속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송기의 이동 역시 바로 이루어져 작업의 중단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홀더파이프(46)와 이에 지지된 코일(12)이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금형(82) 및 하부금형(81)이 지속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코일(12)은 상기 고리(88)에서 이탈되어 상기 외부틀(85)의 외부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 상부금형(82)의 외부지지대(86)가 상기 외부틀(85)의 상부를 덮도록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권취되는 코일(12)이 상기 외부틀(85)의 외주 곡선형상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 외부틀(85)에 권취되는 코일(12)은 상기 외부틀(85)의 상부에 외부지지대(86)가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지지대(86)의 하단에서부터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코일(12)과 동일하게 10~15회 정도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전극성형공정(S60)은, 상기 1차코일(12)과 2차코일(12)이 순차적으로 성형된 후에 상기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의 회전이 중단되고, 상기 이송부(40)가 상기 절단부(50)에 밀착되도록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40)의 이동시에 상기 제1코일(12)과 제2코일(12)은 상기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1)의 사이에 권취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이송부(40)가 절단부(50)와 접합되면, 상기 이송부(40)의 홀더파이프(46)에서 연장된 코일(12)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50)의 절단기(51) 틈 내부로 걸쳐지고, 상기 코일(12)이 상기 절단기(51)의 틈 내부로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절단기(51)의 양측에 위치되는 절단홀더(52)와 이송클램프(45)가 작동되어 상기 절단기(51) 양측으로 연장된 코일(12)을 각각 고정한다.
상기 절단기(51) 양측으로 연장된 코일(12)이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절단기(51)가 작동되어 상기 코일(12)을 절단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전선이 꼬여진 코일(12)이 절단되어 상기 전선들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송부(40)와 장력부(20)의 사이에 형성된 히터(30)에서 열을 가해 상기 코일(12)을 융착시킨 상태에서 절단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히터(30)는 상기 히터(30)의 버너(31) 상부로 지나는 코일(12)에 열(약 200℃)을 가해 상기 코일(12)의 일부를 융착시키게 되며, 또, 상기 버너(31)에서 가해지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버너(31)의 상부에 설치된 반사판(32)에서 상기 버너(31)에서 상부로 가해지는 열을 다시 하부로 전달하여 상기 코일(12)의 하부 및 상부 모두가 균일하게 융착된다.
상기 히터(30)에 의해 융착된 부분이 상기 절단기(51)에서 절단됨과 더불어, 상기 이송클램프(45)에 고정된 코일(12)은 상기 장력부(20)의 당김에도 불구하고 상기 보빈(11)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 다른 일단은 절단홀더(5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절단홀더(52)에 고정된 코일(12)의 끝단은 상기 절단홀더(52)가 제2전극부(70)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전극부(70)의 전극홀더(64)에 고정되어 상기 코일(12)의 끝단에 제1전극부(60)에서와 같이 전극(61)이 결합된다.
또, 상기 절단홀더(52)가 코일(12)의 끝단을 잡고 제2전극부(70)로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이송클램프(45)에 고정된 코일(12)은 상기 전진기(41)의 전진홀더(44)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진기(41)의 전진에 따라 상기 홀더파이프(46)의 내부로 관통되어 돌출되면서 또 다른 코일(12)제품의 권취를 준비한다.
상기 통전시험공정(S70)은, 상기 제1전극(61)은 권취클램프(87)에 고정되어있고, 상기 제2전극(61)은 상기 받침대(63) 상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권취클램프(87)와 상기 제2전극(61)에 직접 또는 이탈봉(66) 및 받침대(63)를 통해 전력선이 접하고 상기 전력선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권취되고 그 양단에 전극(61)이 결합된 코일(12)제품의 통전과 저항정도에 다른 불량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제품취출공정(S80)은, 상기 통전시험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82)이 하부금형(81)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전극(61)을 이탈봉(66)에 의해 이탈시키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80)의 일측에 형성된 취출부(90)의 제1취출대(91)와 제2취출대(92)가 상기 하부금형(81)의 상부로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권취된 코일(12)제품의 1차코일(12) 및 2차코일(12)의 하단을 걸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권취장치의 외부로 취출한다.
따라서, 코일(12)의 선단을 이송부(40)에 고정시키는 것 만으로 상기 코일(12)을 권취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코일(12)의 권취가 완료된 후에 상기 코일(12)의 여분이 절단되고 상기 여분의 코일(12)이 재차 권취되도록 된다.
또, 상기 코일(12)이 권취됨과 더불어 그 양단에 전극(61)이 결합되어 완제품으로된 코일(12)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코일(12)의 권취가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12)제품에 대한 통전시험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코일(12)의 권취와 더불어 상기 코일(12)에 도포된 접착제가 응고 및 융착되어 상기 권취된 코일(12)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을 이송대에 고정하는 것 만으로 상기 코일의 권취를 자동으로 이루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코일을 이송대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코일을 원판형의 1차코일과, 이 1차코일에 연결된 원형고리형상의 2차코일을 자동으로 성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코일의 권취와 동시에 상기 코일을 성형형태대로 고정시키는 접착작업이 함께 이루어져 생산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코일의 권취와 동시에 상기 코일의 양단에 전극을 결합하는 하여 생산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코일의 권취 완료와 더불어 상기 코일의 통전시험을 이루도로 되어 별도의 통전시험을 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선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 및 절단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이탈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의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방법의 구성도,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취출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제어기 11 - 보빈
12 - 코일 20 - 장력부
21 - 가압롤러 22 - 조절롤러
23 - 안내롤러 30 - 히터
40 - 이송부 41 - 전진기
45 - 이송클램프 46 - 홀더파이프
50 - 절단부 51 - 절단기
52 - 절단홀더 60 - 제1전극부
61 - 전극 62 - 클립
63 - 받침대 64 - 전극홀더
65 - 누름대 66 - 이탈봉
70 - 제2전극부 80 - 권취부
81 - 하부금형 82 - 상부금형
83 - 내부틀 84 - 내부지지대
85 - 외부틀 86 - 외부지지대
87 - 권취클램프 88 - 고리
89 - 권취홈 90 - 취출부

Claims (18)

  1. 코일이 소정압력으로 당겨지도록 롤러의 외주면에 상기 코일을 감도록 된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장력부;
    상기 장력부에서 빠져나온 코일을 고정하도록 상기 장력부와 권취부의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절단부와 제1전극부와 권취부로 이동되도록 다수의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와 권취부의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코일을 절단하는 절단기와, 상기 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코일의 끝단을 고정함과 더불어 제2전극부로 이동시키도록 집게형상으로 형성된 절단홀더를 포함하는 절단부;
    상기 권취부의 일측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의 선단에 전극의 클립을 압착하여 결합시키도록 상기 코일이 수용된 클립을 누르는 막대형상의 누름대와, 이 누름대에 의해 눌리는 클립을 지지하는 박스형상의 받침대를 포함하는 제1전극부;
    상기 권취부의 타측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전극부와 권취부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전극부;
    회전과 이동작동되는 유압기에 연결됨과 더불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부금형의 일측에 상기 코일의 선단을 고정하도록 설치된 권취클램프와, 이 권취클램프에 고정된 코일을 1차코일의 권취높이에 걸치도록 상기 권취클램프에서 하방향으로 막대형상을 이루고 돌출됨과 더불어 그 선단에 상기 코일이 걸쳐지도록 홈이 형성된 고리와, 상기 상부금형의 하단 중앙에서 원통형상을 이루고 하부로 돌출된 내부지지대와, 상기 내부지지대의 외측에 원통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부가 반구형상으로 함몰된 외부지지대와, 상기 내부지지대와 맞닿도록 하부금형의 중앙에서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부로 돌출되어 1차코일이 감기도록 된 내부틀과, 상기 내부틀을 중심으로 반구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상기 외부지지대와 맞접하도록 되어 2차코일이 감기도록 된 외부틀을 포함하는 권취부;
    상기 이송부와, 절단부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와, 권취부와,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의 일측 외부에서 하부금형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1차코일의 양측 하단에 삽입되도록 그 간격이 확/축되는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된 제1취출대와, 이 제1취출대의 외부에 상기 2차코일의 양측하단에 삽입되도록 그 간격이 확/축되는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된 제2취출대를 포함하는 취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코일의 선단이 고정된 전진홀더를 홀더파이프로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이송시키도록 실린더와 피스톤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진기;
    상기 전진기와 홀더파이프의 사이에 상기 절단되는 코일의 선단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이송클램프;
    상기 코일이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관형상으로 형성된 홀더파이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는 상기 받침대의 전방에서 상기 코일의 선단을 잡아 상기 받침대에 올려진 전극의 클립에 삽입하도록 집게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받침대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전극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의 상기 받침대 끝단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 받침대의 끝단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접속/이탈되는 봉형상의 이탈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홀더파이프와 고리에 걸쳐 연결된 코일이 상기 고리의 180° 회전에 의해 외부지지대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내부틀의 일측에 걸치도록 상기 외부지지대의 상기 고리방향 일측에 개구된 권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홀더파이프와 고리에 걸쳐 연결된 코일의 중앙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장방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파이프와 고리의 중앙지점에 판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절단되는 부분을 가열하도록 상기 절단부와 장력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로 열을 가하도록 된 버너로 이루어진 히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버너에서 가해지는 열을 반사하여 코일의 상부를 더 가열하도록 상기 버너의 상부에 판형상으로 체결된 반사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장치.
  10. 코일의 선단을 전극의 클립에 삽입하고, 상기 클립을 압착하여 제1전극을 성형하는 제1전극성형공정;
    상기 제1전극을 고정하고, 상기 제1전극에 연결된 코일의 장력을 유지한 채로 금형을 회전시켜 상기 금형에 원판형상의 1차코일을 권취하는 1차코일권취공정;
    상기 1차코일이 형성된 코일의 장력을 유지한 채로 금형을 회전시켜 상기 금형에 곡면을 이루는 원형링형상의 2차코일을 권취하는 2차코일권취공정;
    상기 2차코일의 끝단을 전극의 클립에 삽입하고, 상기 클립을 압착하여 제2전극을 성형하는 제2전극성형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코일 권선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과 2차코일로 권취되는 코일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코일이 권취됨과 동시에 접착제가 상호 접착되어 상기 1차코일과 2차코일을 권취형상으로 성형하는 접착제도포공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권취공정은 상기 코일을 금형의 내부로 삽입하여 걸친 상태에서 상기 금형을 회전시켜 금형의 내부에서 1차코일을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코일권취공정은 상기 코일을 금형의 외부에 걸친상태에서 상기 금형을 회전시켜 금형의 외부에서 2차코일을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성형공정은, 상기 2차코일의 절단예정지점 양측부를 고정시킨 채로 상기 절단예정지점을 절단하고, 이 절단된 코일의 끝단에 상기 전극의 클립을 결합하여 제2전극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방법.
  15. 제 14항 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성형공정은, 상기 코일의 절단예정지점을 히터로써 가열한 후에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성형공정과 제2전극성형공정은, 코일의 선단 과 끝단에 전극의 클립을 압착한 후에 상기 클립의 후방부를 눌러 상기 압착된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용이하게 떼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과 2차코일이 금형에 권취한 채로 상기 1차코일과 2차코일의 양단 전극에 전력선을 연결하여 코일제품의 통전과 저항을 측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 권취 완료된 1차코일과 2차코일의 하단을 지지한 채로 들어내어 상기 금형에서 코일제품을 취출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방법.
KR1020040066838A 2004-08-24 2004-08-24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KR10048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838A KR100480937B1 (ko) 2004-08-24 2004-08-24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838A KR100480937B1 (ko) 2004-08-24 2004-08-24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0937B1 true KR100480937B1 (ko) 2005-04-07

Family

ID=3730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838A KR100480937B1 (ko) 2004-08-24 2004-08-24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09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287A (ko) * 2016-02-04 2017-08-16 이을경 코일 권선장치
CN107591243A (zh) * 2017-10-24 2018-01-16 佛山市荣鑫宝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环形绕线机的磁环驱动机构
CN107818867A (zh) * 2017-11-22 2018-03-20 重庆坤冠电器有限责任公司 电流互感器一次绕组绕线设备
CN109103013A (zh) * 2018-08-24 2018-12-28 海盐爱建股份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点火线圈自动绕线机
CN109273246A (zh) * 2018-11-06 2019-01-25 无锡晶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绕制球形线圈的治具及使用该治具制备球形线圈的方法
CN115700896A (zh) * 2022-11-14 2023-02-07 惠州市骅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数千股线绞合的包膜线线圈的绕制设备及使用方法
KR20230124341A (ko) 2022-02-18 2023-08-25 오승재 말벌 포획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287A (ko) * 2016-02-04 2017-08-16 이을경 코일 권선장치
KR101884436B1 (ko) * 2016-02-04 2018-08-03 이을경 코일 권선장치
CN107591243A (zh) * 2017-10-24 2018-01-16 佛山市荣鑫宝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环形绕线机的磁环驱动机构
CN107591243B (zh) * 2017-10-24 2024-05-28 佛山市荣鑫宝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环形绕线机的磁环驱动机构
CN107818867A (zh) * 2017-11-22 2018-03-20 重庆坤冠电器有限责任公司 电流互感器一次绕组绕线设备
CN107818867B (zh) * 2017-11-22 2023-10-20 重庆坤冠电器有限责任公司 电流互感器一次绕组绕线设备
CN109103013A (zh) * 2018-08-24 2018-12-28 海盐爱建股份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点火线圈自动绕线机
CN109103013B (zh) * 2018-08-24 2023-10-31 海盐爱建股份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点火线圈自动绕线机
CN109273246A (zh) * 2018-11-06 2019-01-25 无锡晶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绕制球形线圈的治具及使用该治具制备球形线圈的方法
KR20230124341A (ko) 2022-02-18 2023-08-25 오승재 말벌 포획기
CN115700896A (zh) * 2022-11-14 2023-02-07 惠州市骅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数千股线绞合的包膜线线圈的绕制设备及使用方法
CN115700896B (zh) * 2022-11-14 2023-08-04 惠州市骅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数千股线绞合的包膜线线圈的绕制设备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937B1 (ko)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JP6108103B2 (ja)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CN214280731U (zh) 电缆接头绝缘熔融装置
CN106463257A (zh) 多线绕线方法、多线绕线装置以及绕线型线圈部件
JP2012105479A (ja) ヤットコ用アダプタ
CN116666104B (zh) 无骨架线圈径向缠胶带机构及绕线机
US4563563A (en) Tape splicer to splice carrier strip
JP3606751B2 (ja) コイル製造装置およびコイル端子用部材
JP2978698B2 (ja) 電熱線の巻回方法及びその装置
CN109511076B (zh) 自动化音圈生产设备
CN220439407U (zh) 一种柔性包胶机构
GB2029629A (en) Ribbon cable
CN114761150A (zh) 钢丝帘线切割端制备装置及用于焊接钢丝帘线的焊机
US4344807A (en) Spiral winding of filaments
US20050230058A1 (en) Irrigation drip tape splicing tool
KR100968292B1 (ko) 보이스 코일 제조방법 및 장치
JPH08243671A (ja) 巻線装置
JP2581914B2 (ja) ボイスコイル製造方法
JP4281920B2 (ja) ドラムコアの巻線継線方法及び巻線継線装置
JP4664470B2 (ja) 空芯コイルの巻線方法および巻線装置
CN117104587B (zh) 漆包线生产用具有绕辊外覆膜机构的缠绕装置
KR20100121931A (ko) 열선을 이용한 스치티로폼 절단용 핸드 커팅기
CN110065201B (zh) 一种模芯接线柱自动供给装置
CN218538774U (zh) 一种数据线绕线机构
CN104480686A (zh) 一种能适应不同规格长度的电加热丝的剪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