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298B1 -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298B1
KR100480298B1 KR10-2001-0063238A KR20010063238A KR100480298B1 KR 100480298 B1 KR100480298 B1 KR 100480298B1 KR 20010063238 A KR20010063238 A KR 20010063238A KR 100480298 B1 KR100480298 B1 KR 100480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ontroller
sub
main controll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309A (ko
Inventor
이혜정
이계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298B1/ko
Priority to US10/267,877 priority patent/US7397913B2/en
Priority to EP02022966A priority patent/EP1303123A3/en
Publication of KR2003003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2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선전압 혹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무 전원 전화모드를 제어하는 서브제어기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부팅되어 상기 외부 전원공급상태하에 놓여진 상기 서브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기를 구비하는 전화장치에서 파워 온 상태를 검출하는 파워 온 검출기의 출력이 상기 서브제어기에 연결되어진다. 상기 서버제어기는 통화모드에서 상기 파워 온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제어기로 부팅 홀드 혹은 리세트 신호를 제공하여 내부의 롬영역에 마스크된 프로그램의 부팅을 방지한다. 핸드셋의 행온에 의한 훅크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홀드 혹은 리세트신호의 출력을 차단하여 통화종료후에 메인제어기의 부팅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TELEPHONE DEVICE FOR CALL STABILIZING IN NO POWER OPER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두 개의 프로세서를 내장하여 공중전화망 혹은 인터넷을 통한 음성통화 기능 이외에 또다른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화장치는 공중전화망 혹은 인터넷을 통하여 음성신호를 상대방과 주고받아 통화하기 위한 기본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화장치는 인터넷에 관련된 기술의 진보한 발달로 인하여 현재 전자우편(E-mail)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유선 전화단말에서 전자우편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의 사용이 불가피하게 된다. 왜냐하면, 음성통화 기능이외에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메일계정, SMS 메시지 발생의 제어 및 모뎀 등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분산제어기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은 복합형 전화기의 예로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2001년 9월 29일자로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1-61064호(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화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상기 선출원의 내용을 살피면, 음성통화에 필요한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서브 제어기(선출원에서는 "SMS처리부"로 표기됨)와, 전자우편 및 SMS 메시지의 송출을 제어하여 다기능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주 제어하는 메인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서브제어기는 전화기의 기본 동작을 제어하여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의 발생하고 소정의 제어에 의해 SMS 메시지를 발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메인제어기는 전자우편, SMS발생의 제어 및 모뎀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두 개의 프로세서, 즉, 메인제어기와 서브제어기를 가지는 다기능 전화장치는 각종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전압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DC어답터(DC adapter)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레벨의 직류 전원전압의 입력에 의해 각 회로부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내부의 각회로부를 동작시키는 복합 전화장치의 경우, 정전 등의 이유로 동작 전원전압이 입력되지 못할 때 전화라인으로 공급되는 -48볼트의 통화 루프전압(loop voltage)으로 핸드셋의 기본 전화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은 통상 무 전원 동작(No Power Operation: NPO)이라 한다. 상기와 같은 NPO모드에서의 전화장치의 동작은 기본전화기능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제어기(Sub-controller)(통상 4비트의 마이컴으로 구성됨)에 루프전압을 전파정류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형 전화장치는 NPO의 모드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정전이 복구되어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서브제어기보다 상위 레벨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메인제어기(Main controller)가 파워-온 리세트(power on Reset)에 의해 롬(ROM)의 영역에 마스크된 프로그램을 부팅(booting)하므로써 상기 메인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서브제어기와 주변회로들이 초기화되어 무 전원시의 통화 동작은 유지되지 않고 상기 메인제어기의 부팅이 종료될 때까지 전화장치가 동작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NPO모드로 동작되는 상태에서 전원이 복구되어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통화중이었던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써 이용이 커다란 불편함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지고 NPO모드를 지원하는 전화장치에서 NPO 상태로 통화중 전원이 복구되더라도 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지고 로드를 분산제어 하는 전화장치에서 NPO 상태로 통화중 전원이 복구시 현재의 통화상태를 유지하며, 통화종료후에 자동으로 부팅하여 전화장치를 초기화시키도록 한 다기능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전압의 파워온 상태를 검출하는 파워온 검출기와; 전화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전화라인상의 루프전압 혹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입력중 적어도 하나에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입력되는 키신호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내부의 국선접속부 및 오디오회로를 제어하여 음성통화루프를 형성하는 서브제어기를 구비하는 전화회로와; 동작제어포트를 가지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내부에 설정된 시스템 프로그램을 부팅하여 동작되며, 소정의 제어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변복조제어신호 및 상기 전화회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제어기와, 상기 메인제어기와 상기 전화회로내의 전화접속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변복조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입출력신호를 변복조하는 모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화회로내의 서브제어기는 상기 파워온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제어기의 동작제어포트로 리세트 신호 혹은 홀드(hold)신호를 제공하여 부팅 동작이 실행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화장치내의 서브제어기는 핸드셋의 업/다운에 의해 발생되는 통화종료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제어기로 제공하는 리세트신호 혹은 홀드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국선전압 혹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무 전원 전화모드를 제어하는 서브제어기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부팅되어 상기 외부 전원공급상태하에 놓여진 상기 서브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기를 구비하는 전화장치에서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제어방법은 파워-온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파워 온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제어기로 리세트 혹은 홀드 신호를 제공하여 마스킹된 프로그램의 부팅을 방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론, 무 전원 상태에서 통화중 전원이 공급될 때 통화종료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제어기가 마스크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부팅하도록 상기 리세트/홀드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은 무 전원 전화 통화 상태에서 외부 전원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전압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메인제어기의 동작을 방지함으로써 통화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다기능 전화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국선전화라인 Co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행위에 의한 훅크 "오프/온"에 대응하는 국선루프의 형성/차단 등의 기본 전화동작을 수행하는 전화회로 12와, 외부 전원전압의 입력 및 부팅방지신호의 비활성화(nonactivity)에 응답하여 동작되어 상기 전화회로 1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워치독펄스(watch dog pulse)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타 통신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제어기(Main Controller: Central Processing Unit)의 출력단자에 모뎀 16이 연결된다. 상기 모뎀 16은 모뎀 DDA(Discrete Analog Access) 18을 통하여 전화회로 12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기 14의 제어에 의해 국선전화라인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모뎀 DAA 18은 모뎀 16과 전화회로 12내의 국선루프에 연결하여 모뎀 16과 전화라인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뎀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전화회로 12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전압 Vcc의 파워온 상태를 검출하여 파워온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파워온 검출회로 20의 출력단자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외부 전원전압 Vcc와 상기 전화회로 12로부터 훅크 오프 상태에서 출력되는 국선 루프전압을 입력하여 이들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을 선택 출력하는 전원스위치 21의 출력이 상기 전화회로 12의 동작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화회로 12는 국선전화라인 CO에 연결된 전파정류부 22는 국선전화라인 CO로부터 공급되는 루프전압(-48볼트/DC)을 극성정열 및 전파정류하여 전원스위치 21 및 전화접속부 24로 공급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화접속부 24는 통상적인 전화기와 같이 훅크오프/온에 응답하여 국선전화라인의 루프를 형성/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화접속부 24에는 서브제어기(Sub-contriller: Sub-micom) 26과 오디오 DAA 28이 연결되고, 모뎀 DDA 18을 통해 모뎀 16과 접속된다. 서브제어기 26은 메인제어기 14와 전화접속부 24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제어기 14의 제어에 의해 SMS메세지 통신을 수행하거나, NPO모드시 DTMF의 발생, 전화접속부 24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서브제어기 26은 예를 들어 국내 Telechips사에서 생산하고 있는 칩(chip)인 TCC120을 사용할 수 있다. 오디오 DAA 28은 전화접속부 24와 서브제어기 26과 스피커와 마이크를 가지는 음성입출력장치인 핸드셋 30에 연결되고 전화라인을 통한 전화통화에 따른 음성신호 송수신 처리를 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이다. 키 입력장치인 키보드(keyboard) 32는 숫자 및 문자 입력을 위한 키를 구비하는 문자 입력장치로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키 입력을 메인제어기 14 및 서브제어기 26으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중, 서브제어기 26은 상기 메인제어기 14로부터 출력되는 워치독 펄스 WDP가 특정한 레벨로 고정되는 경우에 동작모드를 NPO모드로 설정하여 단독으로 동작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스위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화회로 12내의 전파정류부 22의 출력은 전원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TR1의 콜렉터 및 저항 R1의 일측으로 제공된다. 상기 저항 R1의 타측은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외부전압 Vcc를 베이스로 입력하는 트랜지스터 TR2의 콜렉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 TR1의 에미터는 저항 R3과 일방향 접속된 다이오드 D1을 통해 상기 서브제어기 26의 전원단자 Vdd에 접속되며, 상기 다이오드 D1과 저항 R3의 접속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는 소정 레벨의 제너전압이 설정된 제너다이오드(정전압 다이오드) ZD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와 상기 제너다이오드 ZD의 케소드에는 노이즈 제거용 캐패시터 C1이 접속되고, 상기 다이오드 D1의 케소드에는 애노드로 외부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 Vcc을 입력받는 다이오드 D2의 케소드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오드 D1 및 D2는 역전압 방지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도 2와 같이 구성된 전원 스위치 21은 전파정류부 22로부터 전파정류되어 출력되는 루프전압(48볼트의 직류전압)을 제너다이오드 ZD에 의해 소정 레벨로 안정화된 루프전압 혹은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전압 Vcc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서브제어기 26의 동작전압으로 제공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전 등으로 인하여 외부공급전원장치로부터 전원전압 Vcc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 TR2가 오프되고 다이오드 D2가 비도통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정전 등으로 인하여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훅크오프(hook off)하면 전파정류부 22에서 전파정류된 48볼트의 루프전압(또는 국선전압이라고 함)이 트랜지스터 TR1과 제어다이오드 ZD에 의해 소정 레벨(약 3볼트/5볼트/9볼트)로 안정화되어 다이오드 D1을 통해 서브제어기 26의 동작전압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서브제어기 26은 상기 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이러한 동작 모드를 NPO(No Power Operation)모드라 칭한다. 상기 NPO모드에서 전원이 복구되어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전압 Vcc가 공급되면, 트랜지스터 TR2가 온됨으로써 트랜지스터 TR1이 오프되어 전파정류부 22로부터 다이오드 D1으로 제공되는 전압이 차단되고, 다이오드 D2에 의해 외부 전원전압 Vcc가 상기 서브제어기 26의 동작전압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전화회로 12내의 서브제어기 26은 외부전원전압 혹은 루프전압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에 의해 동작되게됨을 알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전원 스위치 21는 루프전압보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 Vcc이 우선적으로 선택되어 출력되도록 우선권(priority)이 설정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장치내의 제어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서브제어기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제어프로그램은 서브제어기 26내의 롬영역에 마스크되어 있다.
이제,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 전원 통화시 통화 안정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메인제어기 14로 공급되는 외부전원전압 Vcc의 레벨은 0볼트이고, 서브제어기 26에는 루프전압이 공급되는 NPO 모드에서 통화를 하는 상태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PO 모드의 상태로 통화중인 경우, 상기 서브제어기 26은 도 4의 34과정에서소정의 주기로 파워온 검출기 20의 출력을 읽고, 36과정에서 파워온 검출신호 PWON이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와 같은 36검색과정에서 파워온 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NPO모드의 통화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리턴한다. 이때, 정전이 복구되어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도 3과 같이 전원전압 Vcc이 공급되어지면, 파워온 검출기 20은 소정 주기의 펄스형태를 가지는 파워온 검출신호 PWON을 발생하여 도 3과 같이 서브제어기 26로 공급하며, 전원스위치 21은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제어기 26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루프전압에서 외부전원전압 Vcc로 스위칭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36과정에서 파워온 검출신호 PWON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한 서브제어기 26은 파워온 검출신호 PWON의 입력에 응답하여 도 3 및 도 4의 38과정에서 메인제어기 14의 동작을 홀드시키는 홀드신호를 메인제어기 14의 동작제어포트 port로 공급한다. 상기 메인제어기 14는 동작제어포트 port로 입력되는 홀드신호가 활성화, 예를 들면, 논리 "하이" 상태로 유지되면 부팅등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미리 프로그램 되거나 하드웨어적으로 동작이 중지되도록 설정된 포트이다. 이러한 홀드 기능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 메인제어기 14의 동작제어포트 port를 리세트단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서브제어기 2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리세트신호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서브제어기 26으로부터 홀드신호/혹은 리세트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기 14는 외부의 전원전압 Vcc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홀드/혹은 리셋 상태를 유지하므로써 부팅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되어 NPO모드의 통화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3 및 도 4의 38과정에서 홀드/리세트 신호를 메인제어기 14의 동작제어포트 port로 전송한 서브제어기 26은 40과정에서 단자 38로 훅크온(통화종료신호)기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러한 통화종료신호는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를 종료후 핸드셋을 내려놓아 훅크온(Hook ON;HON) 되면 활성화되는 신호이다. 상기 40과정에서 통화종료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서브제어기 26은 도 4의 42과정에서 메인제어기 14로 전송하는 홀드/혹은 리세트신호의 출력을 차단한다. 상기 42과정에서 서브제어기 26로부터 출력되는 홀드/혹은 리세트 신호가 차단되면, 메인 제어기 14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전압 Vcc에 의해 파워온 리세트(PWR) 동작을 수행하여 내부 롬영역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부팅하여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전화장치를 초기화하고, 서브 제어기 26으로 소정주기를 가지는 펄스 스트림을 제공하여 NPO동작 모드를 해제한다. 이때, 상기 서브제어기 26은 상기 펄스 스트림의 워치독 펄스에 의해 메인제어기 14의 제어에 의해 전화회로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없는 경우에는 서브제어기에 의해 NPO모드의 전화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NPO모드에서 통화중 외부의 전원전압 Vcc이 복구되는 경우 메인제어기의 부팅을 통화종료 때까지 자동으로 홀드시킴으로써 통화중 부팅에 의한 통화중 끊어짐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NPO모드의 통화를 지원하는 다기능 전화장치에서, 전원전압의 복구로 인한 메인 제어기의 부팅에 의한 통화 끊김 현상을 제거하므로써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지는 다기능 전화장치의 이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다기능 전화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스위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장치내의 제어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서브제어기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1)

  1. 적어도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지는 전화장치에 있어서,
    전원전압의 파워온 상태를 검출하는 파워온 검출기와;
    전화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전화라인상의 루프전압 혹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입력중 적어도 하나에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서브제어기를 구비하는 전화회로와;
    동작제어포트를 가지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내부에 설정된 시스템 프로그램을 부팅하여 동작되는 메인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전화회로내의 서브제어기는 상기 파워온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제어기의 동작제어포트로 부팅방지신호를 제공하여 부팅 동작이 실행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장치내의 서브제어기는 핸드셋의 행온(hang on)에 의해 발생되는 통화종료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제어기로 제공하는 부팅방지신호의 출력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방지신호는 상기 메인제어기의 동작을 홀드시키는 홀드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방지신호는 상기 메인제어기를 리세트시키는 리세트신호이며, 동작제어포트는 메인제어기의 리세트단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회로는 전화라인의 루프전압을 전파정류하여 출력하는 전파정류회로와, 상기 전파정류회로에 접속되어 전화라인의 루프를 형성하는 전화접속부와, 상기 전화접속부에 접속되어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오디오회로와, NPO모드에서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는 DTMF를 발생하여 상기 오디오 및 전화접속부를 제어하는 서브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시 통화 안정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정류기로부터 정류출력되는 루프전압을 소정 레벨의 전압으로 안정화하여 상기 서브제어부의 전원단자로 제공하는 전압안정화부와, 상기 전압안정화부에 접속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안정화부의 출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전압을 상기 서브제어부의 전원단자로 공급하는 스위칭부로 구성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시 통화 안정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기는 상기 서브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부팅방지신호가 차단된 후 상기 훅크온 신호가 입력시 내부 롬영역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억세스하여 부팅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 통화시 통화 안정화 방법.
  8. 국선전압 혹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무 전원 전화모드를 제어하는 서브제어기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부팅되어 상기 외부 전원공급상태하에 놓여진 상기 서브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기를 구비하는 전화장치의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제어방법에 있어서,
    파워-온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파워 온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제어기로 부팅방지신호를 제공하여 마스킹된 프로그램의 부팅을 방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 통화시 통화 안정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통화중 외부로부터 전원전압이 공급될 때 통화종료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제어기가 마스크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부팅하도록 상기 부팅방지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 통화시 통화 안정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방지신호는 상기 메인제어기의 동작을 홀드시키는 홀드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방지신호는 상기 메인제어기를 리세트시키는 리세트신호이며, 동작제어포트는 메인제어기의 리세트단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전원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KR10-2001-0063238A 2001-10-13 2001-10-13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480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238A KR100480298B1 (ko) 2001-10-13 2001-10-13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267,877 US7397913B2 (en) 2001-10-13 2002-10-10 Telephone apparatus for stabilizing call in no power operation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02022966A EP1303123A3 (en) 2001-10-13 2002-10-14 Telephone apparatus for stabilizing call in no power operation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238A KR100480298B1 (ko) 2001-10-13 2001-10-13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309A KR20030031309A (ko) 2003-04-21
KR100480298B1 true KR100480298B1 (ko) 2005-04-07

Family

ID=1971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238A KR100480298B1 (ko) 2001-10-13 2001-10-13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97913B2 (ko)
EP (1) EP1303123A3 (ko)
KR (1) KR100480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2911B2 (en) * 2007-02-02 2011-06-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undesired termination of a process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20110153441A1 (en) * 2009-12-23 2011-06-23 Merrill Brooks Smith Systems and Methods for Authorizing Use of Validly Sold Merchandise
CN108235254B (zh) * 2017-12-28 2020-05-2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不开机返厂维修移动终端真伪的检测方法及其系统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847A (ja) * 1981-09-10 1983-03-15 Nec Corp ボタン電話装置
KR850006280A (ko) * 1984-02-29 1985-10-02 사바 쇼오이찌 무선통신기의 전원순간단전 처리방식
JPS63224424A (ja) * 1987-03-12 1988-09-19 Nec Corp 無線電話装置
US4942604A (en) * 1986-09-29 1990-07-17 Digital Telecommunications Systems, Inc. Line power control circuit for pay station telephone
KR910009037A (ko) * 1989-10-31 1991-05-31 임종염 소형 전화 교환기내의 중앙처리기 자동 리세트 회로
KR920003728A (ko) * 1990-07-20 1992-02-29 정용문 무선전화기의 정전시 통화정지 방지회로 및 방법
JPH04234254A (ja) * 1990-08-30 1992-08-21 Goldstar Telecommun Co Ltd 無線電話機の自動通話方法
KR950022431A (ko) * 1993-12-11 1995-07-28 양승택 종합정보 통신망 단말장치
KR20030028327A (ko) * 2001-09-29 200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734B1 (ko) * 1986-10-07 1991-03-22 상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JPH0267073A (ja) * 1988-09-01 1990-03-07 Nec Corp 多機能電話機給電方式
AU614454B2 (en) * 1989-02-09 1991-08-29 Alcatel Australia Limited A circuit arrangement for providing power for an ic chip in a telephone subset
JP2805724B2 (ja) * 1994-06-07 1998-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話交換装置
JPH11331443A (ja) * 1998-05-19 1999-11-30 Nec Eng Ltd ディジタル多機能電話機の給電方式
US6647117B1 (en) * 1999-08-16 2003-11-11 Nortel Networks Limited Continuity of voice carried over DSL during power failur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847A (ja) * 1981-09-10 1983-03-15 Nec Corp ボタン電話装置
KR850006280A (ko) * 1984-02-29 1985-10-02 사바 쇼오이찌 무선통신기의 전원순간단전 처리방식
US4942604A (en) * 1986-09-29 1990-07-17 Digital Telecommunications Systems, Inc. Line power control circuit for pay station telephone
JPS63224424A (ja) * 1987-03-12 1988-09-19 Nec Corp 無線電話装置
KR910009037A (ko) * 1989-10-31 1991-05-31 임종염 소형 전화 교환기내의 중앙처리기 자동 리세트 회로
KR920003728A (ko) * 1990-07-20 1992-02-29 정용문 무선전화기의 정전시 통화정지 방지회로 및 방법
JPH04234254A (ja) * 1990-08-30 1992-08-21 Goldstar Telecommun Co Ltd 無線電話機の自動通話方法
KR950022431A (ko) * 1993-12-11 1995-07-28 양승택 종합정보 통신망 단말장치
KR20030028327A (ko) * 2001-09-29 200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97913B2 (en) 2008-07-08
EP1303123A3 (en) 2005-03-30
KR20030031309A (ko) 2003-04-21
EP1303123A2 (en) 2003-04-16
US20030072435A1 (en) 200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6702A (ko) 화상정보 저장 및 자동접속 기능을 갖는 화상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80298B1 (ko)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6434225B1 (en)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in which a ringing sound control processing is performed in response to a call from a telephone network
US598711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speech path of telephon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US5937061A (en) Power saving control apparatus for simple electronic exchange system
US5960358A (en) Telephone system providing a talking operation after main power supply failure
KR20010044287A (ko) 전화선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스위치 원격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100407347B1 (ko) 복합형 전화기에서 시스템 정지시 통화 안정화 장치 및 그제어 방법
JPH09198327A (ja) 電子メール着信確認装置
KR0176901B1 (ko) 간이교환 장치의 국선신호 설정방법
KR200154128Y1 (ko) 전화기 송수화기의 미안착경보장치
JP3091065B2 (ja) ノーリンギングによりデータ伝送を行う通信装置
KR200301283Y1 (ko) 루프 검출 기능을 이용한 링/다운 유니트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JP3374968B2 (ja) 発信者番号通知機能付き通信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3680923B2 (ja) 非常連絡装置
JP2005333410A (ja) 電話交換装置
KR960024819A (ko) 컴퓨터의 전원제어기능을 가진 모뎀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197058B1 (ko) 전화기의 통화로 자동전환장치
JP2003111115A (ja) 着信検出方式
KR20010110606A (ko) 개인용 컴퓨터를 경유하지 않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
JPH06237310A (ja) 留守番電話機能付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154506A (ja) 通信システム
JPH0818685A (ja) 変復調装置
JPH01238261A (ja) データ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