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589B1 - 시트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589B1
KR100478589B1 KR10-2000-0024364A KR20000024364A KR100478589B1 KR 100478589 B1 KR100478589 B1 KR 100478589B1 KR 20000024364 A KR20000024364 A KR 20000024364A KR 100478589 B1 KR100478589 B1 KR 10047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inding
sheet
take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908A (ko
Inventor
스즈키도시오
Original Assignee
신니혼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4074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734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4074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73474B2/ja
Application filed by 신니혼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니혼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3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 B65H75/2437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comprising a fluid-pressure-actuated elastic member, e.g. a diaphragm or a pneumatic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합성수지 시트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시트를 권취하는 장치로서, 종이관을 쓰지 않고 지장없이 확실하게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권취축(2)으로서 에어샤프트를 써서, 에어샤프트에 금속제 또는 경질합성수지제의 덮개끼워넣기부재(7A)를 밖에서 끼우고, 래그돌기(22a…)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끼워넣기부재(7A)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위시켜서 권취축(2)의 시트감기직경을 확대하여, 직경확대상태로 덮개끼워넣기부재(7A)상에 시트(S)를 직접 다 감아서 뺀 후, 권취기로부터 뺀 권취축(2)의 래그돌기(22a…)를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끼워넣기부재(7A)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변위시켜서, 직경축소한 권취축(2)을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으로부터 빼낸다.

Description

시트 권취장치{Device for Winding a Sheet}
본 발명은, 합성 수지, 종이, 포 등으로 되어있는 시트의 제조라인이나 각종가공라인의 말단에서, 연속송급되는 시트를 감아서 감긴시트롤로서 꺼내는 시트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시트는, 열가소성수지의 펠릿을 압출기내에서 가열용융하여 T자형 받침대로부터 시트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밀어내면서, 그 냉각경화한 시트를 주행과정의 말단에서 권취기에 의하여 권취하여, 소요직경의 감긴시트롤로 한다. 이 권취는, 예컨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기(1)의 권취축(2)에 권심으로서의 종이관(P)을 끼워넣어서, 이 종이관(P)에 시트(S)의 단부를 감아서 권취축(2)을 회전구동시켜서 권취하고, 소요의 감기량에 달한 단계에서 정지시킨 권취축(2)을 권취기(1)로부터 빼내어, 당해 권취축(2)으로부터 감긴시트롤(R)을 종이관(P)과 일체로 빼내게 되어 있다. 또, 이 권취기(1)에서는, 선회지축(3)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주선회완(主旋回碗)(4)의 양 단부에 한 쌍의 권취축(2, 2)이 설치되고, 한 쪽의 권취축(2)으로부터 상기와 같이 감긴시트롤(R)을 빼내는 조작중에, 다른 쪽의 권취축(2)으로 시트(S)의 권취를 속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5는 주선회완(4)에 대하여 직교배치한 부선회완(6)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롤이다.
그리고, 권취축(2)으로서는, 에어샤프트가 범용되어 있다. 이 에어샤프트는, 도2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면에 다수의 축방향을 따르는 짧은 슬릿형상의 창부(21a…)를 개설한 금속제 관축(21)내에, 외주면에 방사상배치한 다수의 축방향을 따르는 짧은 밭이랑 형상의 래그돌기(22a…)를 설치한 고무튜브(22)가, 각 래그돌기(22a)를 상기 슬릿형상의 창부(21a)를 향하여 끼워넣어짐과 동시에, 이 고무튜브(22)의 내압을 증감가능하게 한 것이며, 당해 내압의 증감에 따르는 고무튜브(22)의 팽창·수축에 의해서 각 래그돌기(22a)가 슬릿형상의 창부(21a)로 출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S)의 권취에 있어서는, 래그돌기(22a…)가 후퇴한 권취축(2)에 종이관(P)을 이동가능한 끼움상태로 끼워넣고, 이어서 고무튜브(22)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도2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이관(P)의 내주면에 래그돌기(22a…)를 눌러 접합시키어 당해 종이관(P)을 권취축(2)과 일체회전가능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 시트(S)의 소요량의 권취를 행한 후, 고무튜브(22)의 내압을 저하시켜서 래그돌기(22a…)의 눌러 접합시킴을 해제하면, 감긴시트롤(R)을 종이관(P)과 일체로 쉽게 빼낼 수 있다.
이리 하여 얻어지는 감긴시트롤(R)은, 가열프레스성형을 비롯하여 여러가지의 2차가공에 이용되기도 하고, 또는 롤형태대로 제품화하여 출하되지만, 시트(S)를 다 사용한 후에 종이관(P)이 남는 것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이관은, 상술한 합성수지시트에 한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시트재료를 권취하는 때의 권심에 사용되어 있고, 그 소비량은 지극히 방대하지만, 2차가공 시에 종이관을 권출기의 축에 통과시키기거나, 반송 또는 상품전시의 경우에 종이관부에서 매달아 걸기도 하여, 단부의 찌그러짐, 비뚤어짐 이나 상처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용후의 것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현상태로서는 방대한 양에 달하는 사용한 종이관의 대략 전량이 소각처리되고 있지만, 자원절약의 관점에서 큰 문제인 이상, 비용적으로도 큰 낭비이며, 또한 종이층의 접착에 쓰이고 있는 접착제성분에 의해서는 소각시에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환경오염도 염려된다.
본 발명은, 상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합성수지시트를 비롯하여 여러가지의 시트 권취장치로서, 종이관을 쓰지 않고서 지장없이 확실하게 권취를 행하며, 그리고 종래의 종이관사용에 의한 자원소비, 비용증대, 소각에 의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관한 시트 권취장치는, 도면의 참조부호를 붙여서 나타내면, 연속송급되는 시트(S)를 권취기(1)의 회전구동하는 권취축(2)에 권취하고, 소요의 시트감기량에 달한 권취축(2)을 권취기(l)에서 뺀 후, 당해 권취축(2)로부터 감긴시트롤(R)을 빼내는 시트권취방법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2)으로서, 축방향의 복수 개소의 각 위치마다 복수의 창부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금속제 관축 내에, 상기 각 창부에 면하는 복수의 래그돌기(22a…)를 외주면에 설치한 고무튜브가 끼워넣어져, 이 고무튜브의 내압의 증감에 의해 각 창부에서 래그돌기가 출입하도록 구성한 에어샤프트를 사용하고, 이 에어샤프트에 금속제 또는 경질합성수지제의 덮개끼워넣기부재(7A,7B)를 밖에서 끼움과 동시에, 상기 래그돌기(22a…)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덮개끼워넣기부재(7A,7B)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위시켜서 권취축(2)의 시트감기직경을 확대하고, 이 직경확대상태로 당해 덮개끼워넣기부재(7A,7B) 상에 상기 시트(S)를 직접 권취한 후, 래그돌기(22a…)를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끼워넣기부재(7A,7B)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변위시켜서, 직경축소한 권취축(2)을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으로부터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덮개끼워넣기부재(7A,7B)를 종래의 종이관의 대용으로서 시트(S)의 권취를 행하지만, 이 권취는 권취축(2)의 래그돌기(22a…)의 돌출에 의한 직경확대상태로 행하기 때문에, 권취 후의 감긴시트롤(R)을 빼내는 경우에, 래그돌기(22a…)를 후퇴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끼워넣기부재(7A,7B)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변위하여, 권취축(2) 측의 직경이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H)의 내경보다 작게 되고, 그리고 당해 권취축(2)을 감긴시트롤(R)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그리고, 덮개끼워넣기부재(7A,7B)는 몇 번이라도 되풀이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한편, 감긴시트롤(R)은 종이관이 없는 시트 단독의 두루마리로서 얻어진다.
청구항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1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끼워넣기부재가 단면 C자형의 부분개방 원통부재(7A)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 경우, 부분개방 원통부재(7A)로서 자연상태에서의 내경이 권취축(2)의 외경에 근사한 것을 사용하여, 이것을 권취축(2)에 장착하여 래그돌기(22a…)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부분개방 원통부재(7A)는 강제적으로 직경확대되어 권취축(2)에 고정화하고, 당해 권취축(2)과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권취 후에 래그돌기(22a…)를 후퇴시키면, 부분개방 원통부재(7A)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직경축소한다.
청구항3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1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끼워넣기부재가 한 쌍의 단면반원호형상의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로 이루어지고,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를 권취축(2)에 양측에서 씌운 상태로, 그 양 단부를 포장지지구(8A∼8C)에 의해서 포장지지하여 당해 권취축(2)에 설치함과 동시에, 적어도 한 쪽의 포장지지구(8B, 8C)에 의해서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를 권취축(2)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눌러 접합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포장지지구(8A∼8C)를 개재시켜서 권취축(2)에 장착한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는, 래그돌기(22a…)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권취축(2)으로의 눌러 접합시키는 힘에 저항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시트감기직경을 확대한 상태로 권취축(2)의 회전에 의한 권취를 행한다. 그리고, 권취 후에 래그돌기(22a…)를 후퇴시키면,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가 포장지지구(8B, 8C)의 눌러 접합시키는 힘에 의해서 권취축(2)의 표면에 눌러 접합한 상태로 복귀한다.
청구항4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3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양절반개방 원통형부재(7B, 7B)를 권취축(2)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눌러 접합시키는 포장지지구(8B)는, 각 절반개방 원통형부재(7B)에 밖에서 끼워지는 한 쌍의 반원호형상의 누르기부재(81, 81)와, 양 누르기부재(81, 81)에 걸치는 외주에 잡아매는 스냅링(82, 82)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권취축(2)에 장착한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는, 스냅링(82, 82)의 용수철탄성에 의해서 권취축(2)에 눌러 접합하여, 래그돌기(22a…)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스냅링(82, 82)이 그 용수철탄성에 저항하여 강제적으로 개방확대되고,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위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권취한 감긴시트롤(R)의 빼내기는, 래그돌기(22a…)를 후퇴시킨 후에, 빼내기 측에 있는 포장지지구(8B)의 스냅링(82, 82) 및 누르기부재(81, 81)를 빼내어 행하면 된다.
청구항5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3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를 권취축(2)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눌러 접합시키는 포장지지구(8C)는, 고무밴드 또는 고무링인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 경우 권취축(2)에 장착한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는, 포장지지구(8C)의 고무탄성에 의해서 권취축(2)측으로 눌러 접합한 상태로 래그돌기(22a…)의 출입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변위한다. 권취한 감긴시트롤(R)의 빼내기는, 래그돌기(22a…)를 후퇴시킨 뒤에, 빼내기 측에 있는 포장지지구(8B)를 빼내어 행하면 된다.
청구항6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3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한 측의 포장지지구(8B, 8C)가 상기 한 쌍의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를 권취축(2)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눌러 접합시키는 것이고, 다른 측의 포장지지구(8A)가 권취축(2)에 고착되어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를 이동가능한 끼움상태에 포장지지하는 환체로 이루어지고, 이 환체와 각 절반개방 원통형부재(7B)에 서로 요철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83, 71)를 갖추고 있다. 이 경우, 한 측의 포장지지구(8B, 8C)에 의해서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의 래그돌기(22a…)의 출입에 의한 반경방향의 변위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다른 측의 포장지지구(8A)에 의해서 권취축(2)의 회전력이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에 전달된다.
청구항7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 기재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샤프트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하는 단면원호형상의 복수매의 덮개끼워넣기부재(7C, 7C)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덮개끼워넣기부재는 래그돌기(22a…)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시트 권취장치에서는, 래그돌기(22a…)의 돌출에 의해서 덮개끼워넣기부재(7C, 7C)가 관축(21)으로부터 부상한 상태, 요컨대 시트감기직경을 확대한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권취 후의 감긴시트롤(R)의 빼내는 경우에, 래그돌기(22a…)를 후퇴작동시키고, 그리고 덮개끼워넣기부재(7C, 7C)를 관축(21)에 접근시키는 것에 의해, 권취축(2)측의 직경을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H)의 내경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당해 권취축(2)을 감긴시트롤(R)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고, 감긴시트롤(R)은 종이관이 없는 시트 단독의 두루마리로서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권취창치에 있어서, 상기 래그돌기(22a…)의 진퇴작동수단은, 관축(21)의 내압을 증감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관축(21) 내로의 유체의 출입을 행할 뿐만 아니라, 덮개끼워넣기부재(7C, 7C)를 변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그돌기(22a…)의 진퇴동작수단은, 당해 래그돌기(22a…)를 일체화한 고무튜브(22)의 내압을 증감시키는 것이다.
상기 래그돌기(22a…)의 출입창부(21a…)를 구비한 관축(21)내에, 둘레면에 당해 래그돌기(22a…)를 일체화한 고무튜브(22)가 장전된 통상의 에어샤프트와 같은 공기의 출입조작에 의해, 덮개끼워넣기부재(7C, 7C)를 변위할 수 있다. 또한, 권취축(2)의 관축(21)으로서, 기존의 권취기의 권취축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에어샤프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10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1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권취축(2)을 빼낸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H)의 양단 개구부에, 당해 중심구멍(H)의 형태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9, 9)를 끼워붙이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 경우, 감긴시트롤(R)은, 종이관이 없지만, 중심구멍(H)의 양 단부가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9, 9)에 의해서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이나 보관 및 전시 등에 있어서 당해 중심구멍(H)을 이용하여 매달아 걸기도 하고, 2차가공에 이용하게 하는 경우에 권출기의 축을 중심구멍(H)에 통과시켜도, 롤중심측의 시트(S)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9)를 열가소성수지제로 하면, 그것 자체가 손상하더라도, 회수하여 가열용융를 거쳐서 같은 것을 재생하기도 하고 다른 용도에 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11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10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짧은 원통형상보호구(9)는,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H)에 끼워지는 원통형상부(9a)의 외측 단에 플랜지부(9b)가 일체형성된 합성수지성형물로 이루어지고, 당해 원통형상부(9a)의 내측 단이 차폐막부(91)로 봉쇄되어 있다. 이 경우,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H) 내부는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9)의 차폐막부(91)로써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있으므로,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차가공에 이용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폐막부(91)를 얇은 두께막으로 형성하면,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9)를 빼지 않고서, 권출기의 축을 중심구멍(H)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차폐막부(91)를 쉽게 파단할 수 있다.
청구항12의 발명에서는, 상기 차폐막부(91)에는 외부압력에 의하여 당해 차폐막부(9l)를 파단하기 위한 깊이 패인 홈(9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2차가공에 이용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폐막부(91)의 깊이 패인 홈(92)에,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9)를 빼지 않고서, 권출기의 축을 중심구멍(H)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차폐막부(91)를 쉽게 파단할 수 있다.
청구항13의 발명에서는, 상기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9)의 원통형상부(9a)는 그 외주면에 나선조(93)가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당해 원통형상부(9a)를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H)에 나선형상으로 회전하면서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원통형상부(9a)를 상기 중심구멍(H)으로 쉽게 끼워넣을 수가 있고, 또한 강고한 끼워맞춤상태로 할 수 있고, 게다가 플랜지부(9b)는 그 플랜지면에 환형상리브(94)가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감긴시트롤(R)의 끝면이 약간 요철을 보이더라도 환형상리브(94)가 상기 롤(R)의 끝면에 양호하게 밀접하여 먼지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플랜지부(9b)의 변형을 방지하여 보강할 수 있다.
청구항14의 발명에서는, 권취축(2)의 둘레면 측에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23a)부착의 공기도입구(23)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것과는 별개로 권취축(2)의 끝면측에 동일하게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24a) 부착의 공기도출구(24)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현장작업에 있어서, 공기도입구(23)가 권취축(2)의 측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도입구(23)의 자동폐지기능마개(24a)를 조작하여 권취축(2)으로의 압축공기의 도입을 쉽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도출구(24)가 권취축(2)의 끝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중에는 권취축(2)의 끝면은 당연히 축받이측에서 피복되어 있고, 그것 때문에 뜻밖에 공기도출구(24)의 자동폐지기능마개(24a)에 외력이 닿아서 공기도출구(24)로부터 압축공기가 새고 감긴시트롤(R)의 권취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없음과 동시에, 권취작업완료 후의 권취축(2)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배출을 능률적으로 또한 쉽게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시트 권취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방법에 사용하는 권취기의 일례를 도시하지만, 이 권취기는 전술의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 권취기(1)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도 20과의 공통부분에 있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l에 도시하는 권취기(1)는, 선회지축(3)의 양 단부에 좌우 한 쌍의 주선회완(4A, 4B)과 부선회완(6, 6)이 서로 직교하는 배치상태로 고착되어, 주선회완(4A, 4B)의 양 단부간에 한 쌍의 권취축(2, 2)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부선회완(6, 6)의 양 단부간에 한 쌍의 가이드롤(5, 5)이 헐거운 회전 자유로이 부착되어 있고, 오른쪽의 상자형상을 한 주선회완(4A)에 내장된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하여 각 권취축(2)을 회전구동함과 동시에, 권취기프레임(10)측의 선회기구(도시생략)에 의하여 선회지축(3)을 중심으로 하여 주선회완(4A, 4B) 및 부선회완(6, 6)을 일체로 선회할 수 있고, 따라서 한 쪽의 권취축(2)에 권취한 감긴시트롤(R)의 빼내기조작 중에, 다른 쪽의 권취축(2)으로 시트(S)의 권취를 속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권취축(2)은, 전술의 도 21(A)를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에어샤프트로 이루어지고, 동 도면 및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관축(21)의 축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을 둔 각 위치마다, 축방향을 따르는 짧은 슬릿형상의 창부(21a…)의 4 개가 둘레방향에 동일하게 배치하여 개설되어, 이 관축(21)내에 끼워진 고무튜브(22)의 외주면에 설치한 래그돌기(22a…)의 각각이 각 슬릿형상의 창부(21a)에 면하여 있다. 그리고,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축(2)의 일단측에 있어서,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23a) 부착상태로 둘레면에 대하는 공기도입구(23)와 같이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24a) 부착상태로 끝면에 대하는 공기도출구(24)가 설치되고, 권취축(2)의 둘레면에서 에어공급튜브(11)의 주입구(11a)를 공기도입구(23)에 접속하여, 고무튜브(22)내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당해 고무튜브(22)의 내압상승에 따르는 팽창에 의해서 각 래그돌기(22a)가 슬릿형상 창부(21a)에서 돌출하는 한편, 권취축(2)의 끝면측에서 공기도출구(24)의 돌기(24a)를 밀어넣는 것에 의해, 고무튜브(22)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고, 돌출하여 있는 각 래그돌기(22a)는 당해 고무튜브(22)의 내압저하에 의한 수축에 따라 후퇴한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이와 같이 권취축(2)의 둘레면 측에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23a)부착의 공기도입구(23)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것과는 별개로 권취축(2)의 끝면측에 동일하게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24a)부착의 공기도출구(24)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것에 의해서 현장작업에 있어서, 공기도입구(23)가 권취축(2)의 측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도입구(23)의 자동폐지기능마개(24a)를 조작하여 권취축(2)으로의 압축공기의 도입을 쉽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도출구(24)가 권취축(2)의 끝면측에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작동중에는 권취축(2)의 끝면은 당연히 축받이 측에서 피복되어 있고, 그것 때문에 뜻밖에 공기도출구(24)의 자동폐지기능마개(24a)에 외력이 닿아서 공기도출구(24)로부터 압축공기가 새어 감긴시트롤(R)의 권취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없음과 동시에, 권취작업완료 후의 권취축(2)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배출을 능률적으로 또한 쉽게 할 수 있다.
권취기(1)의 주선회완(4A, 4B)에 있어서 권취축(2)의 부착부는, 도(10)(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선회완(4A)측의 구동지축(12)과 주선회완(4B)측의 종동지축(13)의 각 선단에 U자형의 받이부(12a, 13a)가 형성되어, 양 받이부(12a, 13a)에 권취축(2)의 양 단부(2a, 2b)를 끼워맞춤시키고, 이 끼워맞춤부 상에 양 지축(12, 13)에 끼워진 커플러(14)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권취축(2)을 양 지축(12, 13)에 연결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구동지축(12)의 받이부(12a)에는 키홈(15)이 설치되어 있어, 권취축(2)의 끝부(2a) 측에 설치한 키(25)를 당해 키홈(15)에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구동지축(12)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권취축(2)이 일체로 회전한다. 또, 이러한 권취축(2)의 부착구조 및 상기 에어샤프트의 구조는, 종래부터 시트의 권취기로 일반적으로 채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권취축(2)에 덮개끼워넣기부재로서의 단면C자형의 부분개방 원통부재(7A)를 끼워넣는다. 이 부분개방 원통부재(7A)는, 고장력 스테인레스강의 유사한 금속제 또는 경질합성수지제의 파이프재를 축방향을 따라 전장에 걸쳐서 깊이 파는 것에 의해, 단면C자형의 개방된 환형상으로 한 것이고, 자연상태에서의 내경이 권취축(2)의 외경에 근사한 것을 사용하여, 도2(C)와 같이 권취축(2)에 래그돌기(22a…)의 후퇴상태로 끼워넣어진다. 이 끼워넣은 상태를 도3(A)에 도시하지만, 다음으로 당해 권취축(2)의 고무튜브(22)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면, 도3(B)와 같이 래그돌기(22a…)의 돌출에 의하여 부분개방 원통부재(7A)가 강제적으로 직경확대되어, 당해 부분개방 원통부재(7A)는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래그돌기(22a…)에 눌러 접합하여 권취축(2)에 고정화한다. 따라서, 권취축(2)을 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해, 부분개방 원통부재(7A)도 일체로 회전한다.
제 1실시예의 시트 권취장치에서는, 상기의 것에 의해 끼워넣은 부분개방 원통부재(7A)를 직경확대상태로 한 권취축(2)을 권취기(l)에 장착하여, 이 권취축(2)에 압출시트성형기(도시생략) 등으로부터 연속송급되는 시트(S)의 끝부를 감아서, 당해 권취축(2)을 회전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시트(S)를 한 쪽의 가이드롤(5)을 매개로 하여 권취축(2)의 부분개방 원통부재(7A) 상에 직접 권취한다. 그리고, 소정의 권취량에 달하면, 공급되는 시트(S)를 절단하여 권취축(2)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절단한 시트(S)의 말단을 점착테이프(16)(도11참조) 등으로 감긴시트롤(R)의 둘레면에 붙인 뒤에, 당해 권취축(2)을 권취기(l)에서 빼내어 공기도출구(24)로부터 고무튜브(22)내의 공기를 배기한다. 이것에 의해서 래그돌기(22a…)가 후퇴하고, 부분개방 원통부재(7A)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직경축소하기 때문에, 권취한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H)과 부분개방 원통형부재(7A)의 외주와의 사이에 빈틈이 있고, 당해 감긴시트롤(R)을 권취축(2)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이리 하여 얻어진 감긴시트롤(R)은 종이관이 없는 시트(S) 단독의 두루마리로 되어있다. 또한, 덮개끼워넣기부재(7A)는 권취축(2)에 장착한 채로 다음 권취에 이용한다.
제 2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형태의 에어샤프트로 이루어진 권취축(2)에, 덮개끼워넣기부재로서 한 쌍의 단면반원호형상의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를 양측에서 피복시킨 상태로, 그 양 단부를 포장지지구(8A, 8B)에 의하여 포장지지하여 당해 권취축(2)에 부착한다. 이 절반개방 원통형부재(7B)는, 금속제 또는 경질합성수지제의 파이프재를 축방향을 따라 절반분할한 것이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 단의 폭방향 중앙부에 U자형의 절결부(71)를 갖고있다.
한 쪽의 포장지지구(8A)는, 도 5(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 또는경질합성수지제의 환체이고, 내주의 일단측을 권취축(2)의 외경에 적합한 작은 내경부(84), 타단측을 큰 내경부(85)로 하고, 작은 내경부(84)의 위치에 내외로 관통하는 3개의 나사구멍(86)이 90도 씩의 위상차로 설치됨과 동시에, 큰 직경부(85)의 안쪽 단의 직경방향 양측에 볼록부(83, 8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포장지지구(8A)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은 내경부(84) 측을 권취축(2)의 끝부측을 향하여 당해 권취축(2)에 끼워지고, 각 나사구멍(86)에 나사식끼우기 한 나사(17)의 눌러 접합에 의하여 당해 권취축(2)고정되어 있고, 큰 직경부(85)의 내주와 권취축(2)의 외주의 사이에 구성된 환형상의 틈새에,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의 끝부를 이동가능한 끼움상태로 끼워짐과 동시에, 각 절반개방 원통부재(7B)의 절결부(71)를 볼록부(83)에 걸어맞춤시키고 있다.
다른 쪽의 포장지지구(8B)는, 도 6(A)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2 개의 홈부(81a, 81a)를 갖는 한 쌍의 반원호형상의 누르기부재(81, 81)와, 2 개의 스냅링(82, 82)으로 이루어지고, 각 누르기부재(81)를 각 절반개방 원통부재(7B)에 밖에서 끼워진 상태로, 양 누르기부재(81, 81)에 걸치는 외주에 스냅링(82)을 홈부(81a)에 끼워넣어져서 잡아매고 있다.
더욱이, 제 3실시예로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권취축(2)에, 상기 제 2실시예와 같이 덮개끼워넣기부재로서 한 쌍의 단면반원호형상의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를 양측에서 씌운 상태로, 그 양 단부를 고무링 또는 고무밴드로 된 포장지지구(8C, 8C)에 의하여 포장지지하여 당해 권취축(2)에 부착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절반개방 원통부재(7B)는 절결부(71)가 없는 것으로 된다.
이들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권취축(2)에 끼운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는, 당해 권취축(2)의 내압의 저하상태에서는 스냅링(82, 82)의 용수철탄성 또는 포장지지구(8C, 8C)의 고무탄성에 의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축(2)에 눌러 접합하고 있다. 그리고, 시트 권취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당해 권취축(2)의 고무튜브(22)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여 래그돌기(22a…)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절반개방 원통형부재(7B, 7B)를 상기 용수철탄성 또는 고무탄성에 의한 눌러 접합시키는 힘에 저항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어 올리고, 그리고 시트감기직경을 확대시킨다. 이 직경확대상태에서는, 강제적으로 개방확대한 스냅링(82, 82) 또는 강제적으로 신장한 포장지지구(8C, 8C)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는 래그돌기(22a…)에 눌러 접합하여 권취축(2)에 고정화하고 있고, 당해 권취축(2)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도 일체로 회전한다. 특히 제 2실시예의 경우는,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의 절결부(71)와 포장지지구(8A)의 볼록부(83)의 요철걸어맞춤에 의해서 회전력이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와 권취축(2)의 사이로 미끄러짐을 발생하는 염려는 없다.
시트 권취는,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상기 직경확대상태로 한 권취축(2)에 연속송급되는 시트(S)의 끝부를 감아서, 당해 권취축(2)을 회전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시트(S)를 권취축(2)의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 상에 직접 권취한다. 그리고, 소정의 권취량에 달하면, 공급되는 시트(S)를 절단하여 권취축(2)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절단한 시트(S)의 말단을 고정시켜 붙인 뒤에 당해 권취축(2)을 권취기(l)에서 빼내고, 공기도출구(24)로부터 고무튜브(22)내의 공기를 배기한다. 이것에 의해서 래그돌기(22a…)가 후퇴하고,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는 스냅링(82, 82) 또는 포장지지구(8C, 8C)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도 9(A)에서 도시하는 원래의 상태에 되돌아가기 때문에, 권취한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H)과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의 외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긴다.
따라서, 제 2실시예로서는 포장지지구(8B)를 빼내고, 제 3실시예로서는 한 쪽의 포장지지구(8C)를 뺀 뒤에,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H)으로부터 권취축(2)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고, 그리고 시트(S) 단독의 두루마리로 된 감긴시트롤(R)이 얻어진다. 그리고, 포장지지구(8B)의 빼내기는 스냅링(82, 82)의 빼내기에 의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무밴드 또는 고무링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지지구(8C)의 빼내기도 간단하게 된다.
또한, 덮개끼워넣기부재로서 상기의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를 사용하는 경우, 그 양 단부를 권취축(2)에 포장지지시키는 수단으로서, 제 2실시예의 것 같이 포장지지구(8A,8C)를 사용하는 대신에, 양측에 포장지지구(8B)를 사용하고, 포장지지구(8A)와 제 3실시예의 포장지지구(8C)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권취축(2)은,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관축(21)에, 금속제또는 경질합성수지제의 단면반원호형상을 하는 2 장의 덮개끼워넣기부재(7C, 7C)가 당해 관축의 주위를 덮는 형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관축(21)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각 위치마다, 2 개의 축방향을 따르는 짧은 슬릿형상을 하는 출입창부(21a, 21a)가 직경방향으로 양측에 개설되어있고, 이 관축(21)내에 끼워진 고무튜브(22)의 외주면에 설치한 래그돌기(22a…)의 각각이 각 슬릿형상의 창부(21a)에 면하여 있다. 그리고, 각 덮개끼워넣기부재(7C, 7C)는, 그 폭방향중앙부에서, 관축(21)의 직경방향 한 측에 있는 래그돌기(22a…)군에 대하여 나사(30…)를 통하여 고착되어 있고, 고무튜브(22)의 내압저하상태로 내주면이 관축(21)의 외주면에 거의 접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 제 4실시예에 있어서도, 이와 같이 권취축(2)의 둘레면 측에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23a)부착의 공기도입구(23)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것과는 별개로 권취축(2)의 끝면측에 동일하게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24a)부착의 공기도출구(24)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도, 상기의 권취축(2)을 권취기본체(1)에 장착하고, 이 권취축(2)의 양 덮개끼워넣기부재(7C, 7C)가 관축(21)으로부터 부상한 상태, 요컨대 시트감기직경이 확대한 상태에 있어서, 압출시트성형기(도시생략) 등에 의하여 연속송급되는 시트(S)의 끝부를 양 덮개끼워넣기부재(7C, 7C) 상에 직접 감아서, 당해 권취축(2)을 회전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시트(S)를 한 쪽의 가이드레일(5)을 통해 권취축(2)의 덮개끼워넣기부재(7C) 상에 직접 권취한다.
그리고, 이 제 4실시예에 있어서도, 소정의 권취량에 달하면, 공급되는 시트(S)를 절단하여 권취축(2)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절단한 시트(S)의 말단을 점착테이프(15)(도7참조) 등으로 감긴시트롤(R)의 둘레면에 고정시켜 붙인 뒤에, 당해 권취축(2)을 권취기(l)에서 빼내어 공기도출구(24)로부터 고무튜브(22)내의 공기를 배기한다. 이것에 의해서 래그돌기(22a…)가 후퇴하여, 권취축(2)은 양 덮개끼워넣기부재(7C, 7C)가 관축(21)의 외주면에 거의 접하는 직경축소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권취한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H)과 권취축(2)측의 외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고, 당해 감긴시트롤(R)의 중심구멍(H)에서 권취축(2)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이리 하여 얻은 감긴시트롤(R)은 종이관이 없는 시트(S) 단독의 두루마리로 되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있어서의 권취축(2)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권취축(2)에서는,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는 관축(21)의 요소에, 내외를 관통하는 반경방향을 따르는 둥근구멍(26…)이 설치되어 있고, 각 둥근구멍(26)에는 환축형상의 래그돌기(22b)가 0링(27)을 통해 내외기밀상태로 끼워져 있고, 이들 래그돌기(22b)에 나사(30)에 의해 단면반원호형상의 덮개끼워넣기부재(7C)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관축(21)의 중공부(21a)의 공기압은 도시생략한 공기출입수단에 의해서 대기압에 대하여 정압과 부압으로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있고, 당해 공기압을 정압으로 하는 것에 의해, 래그돌기(22b)가 외측으로 돌출하고, 이것과 일체로 덮개끼워넣기부재(7C)가 관축(21)으로부터 부상하도록 변위한다. 따라서, 이 상태로 상기 제 5실시예와 같이 시트(S)의 권취를 행하고, 권취 후에 상기 공기압을 부압으로 하는 것에 의해, 래그돌기(22b…)를 후퇴동작시키고, 덮개끼워넣기부재(7C)가 관축(21)에 거의 접하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 상태로 감긴시트롤(R)을 권취축(2)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래그돌기(22b)는 내측 단에 플랜지형상스톱퍼(28)를 갖고 있고, 이것에 의해서 돌출작동시의 빠지기멈춤과 돌출높이의 규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제 4 및 제 5실시예에서는, 권취축(2)의 덮개끼워넣기부재(7C)가 단면반원호형상의 2장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권취축(2)으로서는, 예컨대 도 16(A)와 같이 단면원호형상의 3장의 덮개끼워넣기부재(7C)를 구비한 것이든지, 도(B)과 같이 단면원호형상의 4장의 덮개끼워넣기부재(7C)를 구비한 것도 채용가능하다. 그리고, 도 16(A)(B)의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장 이상의 덮개끼워넣기부재(7C)로 하는 것에 의하여, 직경확대상태의 외주윤곽이 보다 원형에 접근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도 l에 예시한 권취기(1)에서는, 시트(S)의 권취를 한 쪽의 권취축(2)으로부터 다른 쪽의 권취축(2)으로 바꾸어서 권취를 속행할 수 있다. 즉, 한 쪽의 권취축(2)에 의한 권취가 종료하는 단계에서, 선회지축(3)을 소요각도만 회전시켜서 휴지중의 권취축(2)을 권취작업위치에 배치시킴과 동시에, 이 권취축(2)을 회전구동시켜서, 권취중의 권취축(2)에 공급되는 시트(S)를 절단하여, 그 절단단부를 다른 쪽의 권취축(2)에 감아들게하여 권취를 속행하고, 이어서 권취를 종료한 권취축(2)의 회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이 권취축(2)을 선회지축(3)의 소요각도의 회전에 의하여 빼내기작업위치에 배치되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기(l)에서 빼낸 감긴시트롤(R)을 빼내는 조작을 하기 좋다.
이리 하여 얻어진 감긴시트롤(R)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S) 단독의 두루마리로 되어 있지만, 이후의 취급 중에 중심구멍(H)의 형태붕괴에 의해서 롤중심측의 시트(S)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중심구멍(H)의 양단 개구부에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9, 9)를 끼워붙이는 것이 추천하여 장려된다. 이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9)는, 도 19(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부(9a)의 외측 끝에 플랜지부(9b)가 일체형성된 합성수지성형물로 이루어지고, 당해 원통형상부(9a)의 내측 끝이 차폐막부(9l)에서 봉쇄되어, 이 차폐막부(9l)에 그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깊이 패어지는 패인 홈(92)이 형성됨과 동시에, 중심구멍(H)으로의 끼워넣기를 쉽게 하여 강고한 차폐상태로 하기 위해서 원통형상부(9a)의 외주면에 나선조(93)가 설치되고, 플랜지부(9b)의 플랜지면에도 당해 플랜지부(9a)가 감긴시트롤(R)의 끝면에 양호하게 밀접하기 위해서 보강용의 환형상리브(94, 9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심구멍(H)의 양단 개구부에 짧은 원통형상보호구(9, 9)를 끼워붙임한 감긴시트롤(R)에서는, 종이관이 없지만, 중심구멍(H)의 양단부가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이나 보관 및 전시 등에 있어 당해 중심구멍(H)을 이용하여 매달아 걸고, 2 차가공에 이용하게 하는 때에 권출기의 축을 중심구멍(H)에 통과시켜도, 롤중심측의 시트(S)의 손상 회피됨과 동시에, 보호구(9)의 차폐막부(91)로써 중심구멍(H)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있으므로, 먼지의 침입에 의한 오염되는 손상 등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구(9)의 차폐막부(91)를 얇은두께막에 형성하기도 하고, 혹은 차폐막부(91)에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깊이 패인 홈(92)을 설치하도록 하면, 2 차가공에 이용하게 하는 때에 권출기의 축을 중심구멍(H)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서 쉽게 파단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깊이 패인홈(92)은 완전히 절개한 깊이 패인, 혹은 극히 얇은 막을 잔존시킨 깊이 패인 것의 어느 것으로 형성되더라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짧은 원통형상보호구(9)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수지제로 하면, 그것 자체가 손상하더라도, 회수하여 가열용융을 거쳐서 같은 것을 재생하기도 하고 다른 용도의 수지재료로 전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생분해성수지제로 하면, 사용후의 것을 환경을 해하는 것 없이 매립하여 처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권취장치는, 도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2개의 권취축(2)을 갖는 것에 한하지 않고, 권취축(2)이 1개만의 권취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권취대상으로 하는 시트는, 압출수지시트에 한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합성 수지든지 고무, 종이, 포, 금속박 등으로 된 시트, 이것들의 적층시트, 라미네이트시트 등, 여러가지 재질의 것을 포함한다. 더욱 본 발명에 있어서는, 권취기에 있어서권취축(2)의 착탈구조, 권취축(2)으로 하는 에어샤프트의 래그돌기(22a…)의 수 및 배치, 당해 권취축(2)의 고무튜브(22)에 대하는 공기의 출입기구, 덮개끼워넣기부재로서 한 쌍의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를 사용하는 경우의 포장지지구의 구조 및 형태, 절반개방 원통부재(7B, 7B)와 포장지지구와의 요철걸어맞춤구조, 단면반원호형상의 것 등의 형상,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9)의 형상 등, 세부구성에 관하여는 실시예 이외에 여러가지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시트 권취장치에 의하면, 에어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권취축에 금속제 또는 경질합성수지제의 덮개끼워넣기부재를 끼워넣어서 권취를 하는 것이므로, 합성수지시트를 비롯한 여러가지의 시트를, 종이관을 쓰지 않고서 지장없이 확실히 권취하고, 그 권취축으로부터 종이관이 없는 감긴시트롤을 쉽게 빼낼 수가 있고, 덮개끼워넣기부재를 되풀이하여 재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종래의 종이관 사용에 의한 방대한 자원소비, 비용증대, 소각에 의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권취축에 덮개끼워넣기부재로서 단면C자형의 부분개방 원통부재를 끼워넣는 것이므로, 당해 덮개끼워넣기부재를 권취축에 고정화하기 위한 각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부분개방 원통부재에 파이프재를 이용할 수 있고, 그만큼 부재비용를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권취축에 덮개끼워넣기부재로서 한 쌍의 단면반원호형상의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끼워넣는 경우에,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포장지지구를 통해 권취축에 확실히 장착하고, 또한 권취축에 대하여 쉽게 고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덮개끼워넣기부재로서 한 쌍의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사용하는 상기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권취축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눌러 접합시키는 포장지지구가 한 쌍의 반원호형상의 누르기부재와 스냅링으로 되기 때문에, 덮개끼워넣기부재의 착탈 및 포장지지구 자체의 착탈을 쉽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덮개끼워넣기부재로서 한 쌍의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사용하는 상기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권취축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눌러 접합시키는 포장지지구가 고무밴드 또는 고무링인 것이므로, 덮개끼워넣기부재의 착탈 및 포장지지구 자체의 착탈을 쉽게 할 수 있고, 포장지지구를 염가로 조달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덮개끼워넣기부재로서 한 쌍의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사용하는 상기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한 측의 포장지지구로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권취축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눌러 접합시켜서, 다른 측의 포장지지구로 권취축의 회전을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므로, 권취하는 경우에 있어서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와 권취축의 사이로 미끄러짐이 생기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권취한 후의 감긴시트롤의 중심구멍의 양단 개구부에 원통형상 보호구를 끼워붙이는 것이므로, 당해 감긴시트롤의 반송이나 보관 및 전시 등에 있어 당해 중심구멍을 이용하여 매달아 걸기도 하고, 2 차가공에 이용하게 하는 때에 권출기의 축을 중심구멍에 통과시켜도, 롤중심측의 시트의 손상이 회피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합성수지시트를 비롯한 여러가지의 시트를, 종이관을 쓰지 않고서 지장없이 확실하게 권취하는, 그 권취축으로부터 종이관이 없는 감긴시트롤을 쉽게 빼낼 수 있고, 종래의 종이관 사용에 의한 방대한 자원소비, 비용증대, 소각에 의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관축 내로의 유체의 출입을 하는 만큼 권취축을 직경확대상태와 직경축소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10에 의하면, 상기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통상의 에어샤프트와 같은 공기의 출입조작에 의해서 권취축을 직경확대상태와 직경축소상태로 전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의 권취기의 권취축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에어샤프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권취한 후의 감긴시트롤의 중심구멍의 양단 개구부에 원통형상보호구를 끼워붙이는 상기의 시트권취장치에 있어서, 감긴시트롤의 중심구멍 내부는 짧은 원통형상보호구의 차폐막부로써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차가공에 이용하게 하는 때에는, 상기 차폐막부를 얇은 두께막으로 형성하면, 짧은 원통형상보호구를 빼지 않고서, 권출기의 축을 중심구멍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이 차폐막부를 쉽게 파단할 수 있고, 또한 사용 후의 이 보호구를 회수하여 재생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권취한 후의 감긴시트롤의 중심구멍의 양단 개구부에 원통형상보호구를 끼워붙이는 상기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부에는 외부압력에 의하여 당해 차폐막부를 파단하기 위한 깊이 패인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2차가공에 이용하게 하는 때에는, 상기 차폐막부의 깊이 패인홈에, 짧은 원통형상보호구를 빼지 않고, 권출기의 축을 중심구멍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 차폐막부를 쉽게 파단할 수 있고, 또한 사용 후의 이 보호구를 회수하여 재생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의하면, 권취한 후의 감긴시트롤의 중심구멍의 양단 개구부에 원통형상보호구를 끼워붙이는 상기의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의 원통형상부는 그 외주면에 나선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당해 원통형상부를 감긴시트롤의 중심구멍에 나선형상으로 회전하면서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원통형상부를 상기 중심구멍으로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가 있고, 또한 강고한 끼워맞춤상태로 할 수 있고, 그위에 플랜지부는 그 플랜지면에 환형상의 리브가 형성되기 때문에, 감긴시트롤의 끝면이 약간 요철을 보이더라도 환형상의 리브가 상기 롤의 끝면에 잘 밀접하여 먼지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플랜지부의 변형을 방지하여 보강할 수가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의하면,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권취축의 둘레면 측에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부착의 공기도입구를 마련함과 동시에, 이것과는 별개로 권취축의 끝면측에 동일하게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부착의 공기도출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현장작업에 있어서, 공기도입구가 권취축의 측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도입구의 자동폐지기능마개를 조작하여 권취축으로의 압축공기의 도입을 쉽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도출구가 권취축의 끝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하는 작동중에는 권취축의 끝면은 당연히 축받이측에서 피복되어 있고, 그것 때문에 뜻밖에 공기도출구의 자동폐지기능마개에 외력이 닿아서 공기도출구에서 압축공기가 새어 감긴시트롤(R)의 권취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것 같은 것이 없음과 동시에, 권취작업 완료 후의 권취축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배출을 능률적으로 또한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 권취방법에 사용하는 권취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사용하는 권취축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권취축의 측면도, (B)는 덮개끼워넣기부재를 끼워넣은 권취축의 측면도, (C)는 덮개끼워넣기부재의 권취축으로의 끼워넣기조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사용하는 권취축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래그돌기의 후퇴상태에서의 단면도, (B)는 래그돌기의 돌출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2실시예에 사용하는 덮개끼워넣기부재를 끼워넣은 권취축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2실시예에 사용하는 한 쪽의 포장지지구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직경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 2실시예에 사용하는 덮개끼워넣기부재를 끼워넣은 권취축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덮개끼워넣기부재의 일단측에서의 직경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B)는 타단에서의 직경방향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사용하는 권취축과 덮개끼워넣기부재 및 한 쪽의 포장지지구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제 3실시예에 사용하는 덮개끼워넣기부재를 끼워넣은 권취축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제 2 및 제 3실시예에 사용하는 권취축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래그돌기의 후퇴상태의 단면도, (B)는 래그돌기의 돌출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권취축의 취급조작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그 권취축 일단측에서의 권취기에 대한 탈착조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B)는 타단측에서의 권취기의 연결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C)는 권취축에 대한 공기의 도출입조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있어서의 권취장치에 사용하는 권취축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직경축소상태에서의 측면도, (B)는 직경확대상태에서의 측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권취축의 요부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권취축의 직경축소상태에서의 직경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권취축의 직경확대상태에서의 직경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있어서의 권취축의 직경방향을 따르는 반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시트 권취장치에 사용하는 권취축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3장의 표면판을 갖는 권취축의 개략단면도, (B)는 4장의 표면판을 갖는 권취축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7은 권취 후의 감긴시트롤에 대하는 원통형상 보호구의 장착조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원통형상 보호구를 장착한 감긴시트롤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원통형상 보호구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20은 권취기에 있어서 종래의 시트 권취방법을 도시하는 종단측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시트 권취방법에 사용하는 권취축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권취 전의 단면도, (B)는 권취 중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l : 권취기 2 : 권취축
7 : 덮개끼워넣기부재 21 : 금속제 관축
21a: 슬릿형상의 창부 22 : 고무튜브
22a: 래그돌기 23 : 공기도입구
23a: 자동폐지기능마개 24 : 공기도출구
24a: 자동폐지기능마개
7A : 부분개방 원통부재(덮개끼워넣기부재)
7B : 절반개방 원통부재(덮개끼워넣기부재)
7C : 덮개끼워넣기부재 71 : 절결부(걸어맞춤부)
8A∼8C : 포장지지구 30 : 나사
81 : 누르기부재 82 : 스냅링
83 : 볼록부(걸어맞춤부) 9 : 원통형상 보호구
9a : 원통형상부 9b: 플랜지부
91 : 차폐막부 11 : 에어공급튜브
12 : 구동지축 12a: 받이부
13 : 종동지축 13a: 받이부
14 : 커플러 S : 시트
R : 감긴시트롤 H : 중심구멍

Claims (14)

  1. 연속송급되는 시트를 권취기의 회전구동하는 권취축으로 권취하여, 소요의 시트 감기량에 달한 권취축을 권취기로부터 뺀 후, 당해 권취축으로부터 감긴시트롤을 빼내는 시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으로서, 축방향의 복수 개소의 각 위치마다 복수의 창부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금속제 관축 내에, 상기 각 창부에 면하는 복수의 래그돌기를 외주면에 설치한 고무튜브가 끼워넣어져, 이 고무튜브의 내압의 증감에 의해 각 창부에서 래그돌기가 출입하도록 구성한 에어샤프트를 사용하고, 이 에어샤프트에 금속제 또는 경질합성수지제의 덮개끼워넣기부재를 밖에서 끼워넣음과 동시에, 상기 래그돌기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덮개끼워넣기부재를 반경방향외측으로 변위시켜서 권취축의 시트감기직경을 동심으로 확대하여, 이 직경확대상태로 당해 덮개끼워넣기부재 상에 상기 시트를 직접 다 감은 후, 권취축의 래그돌기를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끼워넣기부재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변위시켜서, 직경축소한 권취축을 감긴시트롤의 중심구멍으로부터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끼워넣기부재가 단면C자형의 부분개방 원통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끼워넣기부재가 한 쌍의 단면반원호형상의 절반개방 원통부재로 이루어지고,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권취축으로 양측으로부터 덮어씌우는 상태로, 그 양단부를 포장지지구에 의하여 포장지지하여 당해 권취축에 설치함과 동시에, 적어도 한 쪽의 포장지지구에 의해서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권취축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눌러 접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권취축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눌러 접합시키는 포장지지구는, 각 절반개방 원통부재에 밖에서 끼우는 한 쌍의 반원호형상의 누르기부재와, 양 누르기부재에 걸치는 외주에 잡아매는 스냅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권취축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눌러 접합시키는 포장지지구는, 고무밴드 또는 고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한 측의 포장지지구가 상기 한 쌍의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권취축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눌러 접합시키는 것이고, 다른 측의 포장지지구가 권취축에 고착되어 양 절반개방 원통부재를 이동가능한 끼움상태로 포장지지 하는 환체로 이루어지고, 이 환체와 각 절반개방 원통부재와 서로 요철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샤프트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하는 단면원호형상의 복수매의 덮개끼워넣기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덮개끼워넣기부재는 래그돌기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권취축을 빼낸 감긴시트롤의 중심구멍의 양단 개구부에, 당해 중심구멍의 형태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를 끼워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는, 감긴시트롤의 중심구멍에 끼워넣는 원통형상부의 외측 단에 플랜지부가 일체형성된 합성수지성형물로 이루어지고, 당해 원통형상부의 내측 단이 차폐막부에서 봉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부에는 외부압력에 의하여 당해 차폐막부를 파단하기 위해 깊이 패인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원통형상 보호구의 원통형상부는 그 외주면에 나선조가 형성되어있음과 동시에, 플랜지부는 그 플랜지면에 환형상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권취축의 둘레면 측에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부착의 공기도입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것과는 별개로 권취축의 단면 측에 마찬가지로 역지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폐지기능마개부착의 공기도출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권취장치.
KR10-2000-0024364A 2000-02-18 2000-05-08 시트 권취장치 KR100478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40747A JP3373475B2 (ja) 2000-02-18 2000-02-18 シート巻取り装置
JP2000040746A JP3373474B2 (ja) 2000-02-18 2000-02-18 シート巻取り方法
JP2000-40747 2000-02-18
JP2000-40746 2000-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908A KR20010081908A (ko) 2001-08-29
KR100478589B1 true KR100478589B1 (ko) 2005-03-28

Family

ID=2658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364A KR100478589B1 (ko) 2000-02-18 2000-05-08 시트 권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78589B1 (ko)
TW (1) TW4525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387A (ko) * 2020-10-28 2022-05-06 세림테크주식회사 타이어 반제품 와인딩머신용 에어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191B1 (ko) * 2009-03-11 2009-12-01 태평판지 주식회사 지류 공급장치
KR101627190B1 (ko) * 2013-09-30 2016-06-0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가이드 롤러, 필름 반송 장치 및 시트 성형기
JP6061100B2 (ja) * 2013-09-30 2017-01-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ガイドローラ、フィルム搬送装置およびシート成形機
CN109335784A (zh) * 2018-09-28 2019-02-15 浙江凯阳新材料股份有限公司 薄膜输送连杆
CN109940813B (zh) * 2019-04-03 2024-02-02 重庆爱博塑业有限公司 一种ps片材散气装置
CN114132775B (zh) * 2021-10-14 2024-03-22 广东粤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辊轴的胶带分切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643A (ja) * 1989-06-25 1991-02-05 Atsushi Kitamura エアシャフト
JPH0431753U (ko) * 1990-07-10 1992-03-13
JPH05319638A (ja) * 1992-03-27 1993-12-03 New Oji Paper Co Ltd 巻取製作用シャフト
JPH06144712A (ja) * 1992-11-12 1994-05-24 Toshin:Kk 巻取装置
JPH079855U (ja) * 1993-07-22 1995-02-10 ニューロング株式会社 巻取装置
JPH08150792A (ja) * 1994-11-28 1996-06-11 Nichiban Co Ltd 製本テープ貼り装置用テープロール
KR19980076940A (ko) * 1997-04-15 1998-11-16 신태현 지관이 없는 롤용지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0007195A (ja) * 1998-06-19 2000-01-11 Fuji Iron Works Co Ltd 調芯性巻芯シャフ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643A (ja) * 1989-06-25 1991-02-05 Atsushi Kitamura エアシャフト
JPH0431753U (ko) * 1990-07-10 1992-03-13
JPH05319638A (ja) * 1992-03-27 1993-12-03 New Oji Paper Co Ltd 巻取製作用シャフト
JPH06144712A (ja) * 1992-11-12 1994-05-24 Toshin:Kk 巻取装置
JPH079855U (ja) * 1993-07-22 1995-02-10 ニューロング株式会社 巻取装置
JPH08150792A (ja) * 1994-11-28 1996-06-11 Nichiban Co Ltd 製本テープ貼り装置用テープロール
KR19980076940A (ko) * 1997-04-15 1998-11-16 신태현 지관이 없는 롤용지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0007195A (ja) * 1998-06-19 2000-01-11 Fuji Iron Works Co Ltd 調芯性巻芯シャフ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387A (ko) * 2020-10-28 2022-05-06 세림테크주식회사 타이어 반제품 와인딩머신용 에어척
KR102423531B1 (ko) * 2020-10-28 2022-07-22 세림테크주식회사 타이어 반제품 와인딩머신용 에어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52566B (en) 2001-09-01
KR20010081908A (ko)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589B1 (ko) 시트 권취장치
US3433355A (en) Tape roll and method of making the roll
US6643445B2 (en) Fiber optic spoo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494213B2 (en) Wrap dispenser with flat rim cap
US9988171B2 (en) Collared wrap dispenser
KR20020085834A (ko) 롤 제품 및 그 권취 방법
JP3373474B2 (ja) シート巻取り方法
US4718961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fabrication of plastic sleeves
NO170531C (no) Avviklingsinnretning for papir- eller kartongbaner
DE19830954A1 (de) Lichtdichte Verpackung für streifenförmiges lichtempfindliches Material
JP3373475B2 (ja) シート巻取り装置
EP1260857B1 (en) Photosensitive material roll
KR102168752B1 (ko) 합성수지재 랩 권취용 롤러 홀더
EP0633126B1 (en) Method of protecting a pipe end
JP2004026421A (ja) シート状物の巻取機、巻取装置及びシート状物の回収方法
US10815092B2 (en) Dispenser cartridge and wiper
US7033093B2 (en) Film support devices, printing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ink film for printing
CN216762389U (zh) 胶带拼接装置及包装系统
JP2004231399A (ja) コアレスシートロール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方法に用いるコア及び治具
KR102347952B1 (ko) 프릭션 샤프트
JP3921276B2 (ja) シール材
US4119280A (en) Core for rolled label strip
CN212639299U (zh) 一种高效的宽幅分切烟膜收放卷机构
KR100343890B1 (ko) 포장용 포장대의 자동 절첩장치
JP2000181018A (ja) フイルムのスプ―ルを適合させるための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