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474B1 -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발호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발호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474B1
KR100478474B1 KR10-2002-7008484A KR20027008484A KR100478474B1 KR 100478474 B1 KR100478474 B1 KR 100478474B1 KR 20027008484 A KR20027008484 A KR 20027008484A KR 100478474 B1 KR100478474 B1 KR 10047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081A (ko
Inventor
야마다가즈히로
와카바야시다츠아키
가미야다이
Original Assignee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8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77Preventing the dialling or sending of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s or selected types of telephone numbers, e.g. long dista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78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downloading data to substation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 H04M2203/053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remote terminal provisioning, e.g. of app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72Schedules, e.g. personal calend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04M3/4211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where the identifier is used to access a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이 소정의 통신노드에 발신할 때, 자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JAM)는 전술한 발신/착신 호 이력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참조하여, 발신이 실행되는 통신노드의 전화번호가 발신/착신 호 이력 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발신 처리를 실행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은 발신하는 통신노드의 전화번호가 발신/착신 호 이력 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포함된 경우에는 휴대전화기(10)가 이전에 그 통신노드와 통신했다거나 사용자가 이를 통신 상대로서 승인했다고 인식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발신 처리가 유효하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발호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CALL ORIGINATION ACCOMPANIED BY EXECUT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통신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발호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의 진보가 가속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전화기를 통해 인터넷 상의 서버에 액세스하여 각종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망으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로는 예컨대 자바(등록상표)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된 "자바 애플릿"이라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인터넷을 포함하는 개방형 통신망은 대개 보안이 허술하므로, 이러한 개방형 통신망을 통해 배포되는 자바 애플릿은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불법 자바 애플릿에 의해 개설된 통신망으로의 액세스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 요구에 응하여, "샌드박스 모델"이라는 액세스 제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샌드박스 모델은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통신단말에 대해 자바 애플릿을 다운로드 할 서버에만 액세스를 허락한다.
그러나, 네트웍 자원들은 이후에 더 통합 또는 분산될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전술한 기존의 액세스 제한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생기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에 저장된 발신/착신 호 이력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의 자바 가상 머신이 다운로드 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통신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네트웍 액세스를 제한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통신단말로부터 발호가 행해질 때, 발호가 실행되는 통신노드의 전화번호와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발호가 허가되어 있던 통신노드의 전화번호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발호를 허가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를 포함하는 발호 제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소정의 통신노드의 발호가 행해질 때, 그 통신노드의 전화번호가 미리 허가되어 있던 전화번호 중 하나인지를 조사하여 상기 발호를 허가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보안이 향상된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며, 상기 비교 단계에서 호출되는 통신노드의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비교한다.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발신/착신 호 이력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며, 상기 비교 단계에서 호출되는 통신노드의 전화번호와 상기 발신/착신 호 이력에 있는 적어도 착신 호 또는 발신 호 전화번호를 비교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다수 종류의 전화번호군을 저장하며, 상기 비교 단계에서 상기 발호가 실행되는 통신노드의 전화번호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군의 종류를 비교한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발호 제한 방법은 상기 판정 단계에서 발호 처리가 거부된 경우,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한 발호를 지시하는 조작을 재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발호를 지시하는 조작을 수락하여 발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각 형태에서, 상기 발호는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용 회선 접속 처리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발호 제한 방법에 대한 실행 프로그램을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배포하는 형태,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등을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발호 제한 방법을 실행하는 통신단말을 제조하여 출시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단말은 발호가 허가되어 있던 통신노드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수단,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호가 행해질 때, 발호가 실행되는 통신노드의 전화번호와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비교하는 수단,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발호를 허가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통신단말의 일례로는 무선통신을 하는 휴대전화기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용 휴대전화기가 자바(등록상표)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된 어플리케이션(이하, "자바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을 실행하는 예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으로 실시될 수 있다.
A: 구성
우선,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시스템은 휴대전화기(10a, 10b), 이동 데이터 통신망(20), 서버(25), 인터넷(30) 및 다운로드 서버(40)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휴대전화기(10a, 10b)를 소지하여 도시하지 않은 휴대전화망의 호출 서비스를 받고, 이동 데이터 통신망(20)의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하여 네트웍(20)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는다. 휴대전화기(10a, 10b)는 인터넷(30) 상의 각종 페이지를 열람하기 위한 브라우저와 각종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자바(등록상표) 지원용 자바 가상 머신을 탑재하고 있다.
휴대전화기들(10a, 10b)의 구성 및 동작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이들을 구분할 필요가 없다면 휴대전화기(10)라 칭한다.
이동 데이터 통신망(20)은 기지국(21), 도시하지 않은 교환국, 및 이들을 접속하는 통신 회선으로 구성된다. 이동 데이터 통신망(20)의 통신 서비스 영역에 다수의 기지국(21)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 무선 셀에 이동하여 위치하는 휴대전화기(10)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 데이터 통신망(20)은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30)에 접속되고, 네트웍간에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다운로드 서버(40)는 휴대전화기(10)의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참조할 수 있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식의 데이터와 각종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며, 이들을 인터넷과 이동 데이터 통신망(20)을 중계로 하여 휴대전화기(10)에 제공한다.
다운로드 서버(40)가 보유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예컨대 휴대전화기(10) 사용자에게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및 휴대전화기(10)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대결 게임을 할 수 있는 게임 소프트웨어가 있다. 이러한 자바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서버(40)에서 휴대전화기(10)로 다운로드 되어 휴대전화기(10)에 의해 실행될 때, 소정의 통신노드가 호출되고, 이 통신노드와의 통신에 의해 처리가 실행된다. 사용자가 호 착신지 통신노드를 지정하면, 그 통신노드를 호출하여 음성 통신을 하도록 소위 "PhoneTo" 기능이 실시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도 있다.
이 경우, 호 착신지 통신노드로서 예컨대 서버(25)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휴대전화기(10) 이외의 휴대전화기(10)와, 도시하지 않은 고정전화기가 있다.
서버(25)는 사용자에게 PIM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25)는 각 사용자의 스케줄, 메모장 등을 저장하는 기억 영역을 갖고 있으며, 각 사용자의 휴대전화기(10)로부터 수신된 요구에 응하여 이러한 데이터의 갱신 등을 한다. 이 경우, 휴대전화기(10)에 다운로드 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휴대전화기(10)가 서버(25)를 호출하여, 서버(25)와 함께 처리를 함으로써 PIM 서비스를 받는다.
휴대전화기(10)에 다운로드 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휴대전화기(10)와 함께 하는 대결 게임인 경우에는, 예컨대 휴대전화기(10a)가 휴대전화기(10b)를 호출한다. 이후, 휴대전화기(10a, 10b)간에 통신이 실행되어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휴대전화기(10) 상에서 자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소정의 통신노드를 호출함으로써 회선이 접속되고, 그 통신노드와의 통신에 의해 처리(음성 통신 처리를 포함)를 실행한다.
그러나, 전술한 불법 어플리케이션의 존재를 고려하면,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지시에 따른 발호 처리를 제한 없이 허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이유로, 실시형태에서는 자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발호 처리에 어떤 제한을 둔다.
(2) 휴대전화기(10)의 하드웨어 구성
이제 도 2에 도시한 블록도를 참조하여 휴대전화기(10)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0)는 송수신부(11), 제어부(1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 및 이들을 접속하는 버스(14)로 구성된다.
송수신부(11)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 및 통신 제어 회로로 구성되며, 이동 데이터 통신망(20)의 기지국(21)과 무선 통신을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사용자가 각종 입력 조작을 하는 키패드, 및 사용자의 전화 통화용 스피커를 구비한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2)는 휴대전화기(10)의 각 부를 제어하며, CPU(121), ROM(122), SRAM(123)으로 구성된다.
ROM(122)에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고, CPU(121)는 제어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ROM(122) 상의 제어 프로그램은 휴대전화기(10)에 설치된 운영 체계, 브라우저 및 후술하는 각종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SRAM(123)은 CPU(121)의 작업 영역으로 사용되며, 다운로드 서버(40)로부터 다운로드 된 자바 어플리케이션, 휴대전화기(10)의 발신/착신 호 이력,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도 3은 SRAM(123)에 저장된 발신/착신 호 이력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SRAM(123)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 호 이력에는 전화 호출을 한 통신노드의 전화번호(발신 전화번호)에 관련하여, 휴대전화기(10)가 각 호를 보낸 일시가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착신 호 이력에는 착신 호에 대응하는, 전화 호출을 한 통신노드의 전화번호(착신 전화번호)에 관련하여, 휴대전화기(10)가 각 호를 받은 일시가 저장된다.
또한, 전화번호부 데이터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성명과 전화번호가 상호 관련하여 저장된다.
발신/착신 호 이력의 저장 처리에 관해서는, 주지 기술이 적용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3) 휴대전화기의 소프트웨어 구성
휴대전화기(10)의 소프트웨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휴대전화기(10)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0)의 소프트웨어는 최저층에서부터 최고층까지 운영 체계(OS), 자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JAM), 자바 K 가상 머신(KVM),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의 순서로 구성된다.
운영 체계(OS)는 휴대전화기에 설치되어 휴대전화기(10)의 기본적인 처리를 지원하는 잘 알려진 소프트웨어이다.
자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JAM)는 주로 자바 K 가상 머신(KVM)의 제어 및 보안 체크용 소프트웨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바 어플리케이션(AP) 실행에 따라 소정의 통신모드에 발신 처리를 할 때, 자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JAM)는 전술한 발신/착신 호 이력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통신노드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발신 처리를 실행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은 발신한 통신노드의 전화번호가 발신/착신 호 이력 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포함된 경우에는 휴대전화기(10)가 이전에 그 통신노드와 통신했다거나 사용자가 이를 통신 상대로서 승인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발신 처리가 허가될 수 있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자바 K 가상 머신(KVM)은 자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JAM)의 제어 하에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자바 가상 머신(KVM)과 자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JAM)는 미리 운영 체계(OS)에 결합되어 있고, 이들은 모두 ROM(122)에 저장된다.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바(등록상표)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된 소프트웨어로서, 다운로드 서버(40)로부터 휴대전화기(10)로 다운로드 되어 SRAM(123)에 기재 및 저장된다.
B: 동작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휴대전화기(10)에 의한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의 처리 실행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요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의 시작 지시가 전해지면, 지시에 응하여 도 3에 도시한 자바 K 가상 머신(KVM)에서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이 시동하여, "클래스"라는 실행 단위로 단위마다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
이어서, 실행할 클래스가 통신노드에 발신을 요구하는 처리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
클래스가 발신 처리를 요구하지 않으면(단계 S2에서 NO), 자바 K 가상 머신(KVM)은 단계 S1의 처리를 반복하고, 클래스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클래스가 발신 처리를 요구하면(단계 S2에서 YES), 자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JAM)는 자바 K 가상 머신(KVM)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발신 처리가 실행되는 통신노드의 전화번호, 발신/착신 호 이력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들을 비교한다(단계 S3).
비교 결과, 발신 처리가 실행되는 통신노드의 전화번호와 같은 전화번호가 발신/착신 호 이력 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에서 발견되면(단계 S4에서 YES), 자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JAM)는 발신 처리가 허가되었다고 판정하고 자바 K 가상 머신(KVM)에 대해 발신 처리의 실행을 지시한다(단계 S5).
발신 처리가 실행되는 통신노드의 전화번호와 같은 전화번호가 발신/착신 호 이력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없으면(단계 S4에서 NO), 발신 처리가 허가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자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JAM)는 발신 처리가 허가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함께, 발신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지시가 필요하다는 다른 메시지를 액정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것을 자바 K 가상 머신(KVM)에 지시한다(단계 S6).
이 경우에는 예컨대 "처리를 계속하려면 oo-xxxx-△△△△을 호출하세요. 호출하시겠습니까? YES면 1번, NO면 2번키를 누르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발신 지시를 전하면(단계 S7에서 YES), 자바 K 가상 머신(KVM)이 발신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S5의 처리로 이행한다. 그리고,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의 실행 처리를 계속하는 단계 S1로 돌아간다.
이 경우, 단계 S5에서 발신 처리를 하므로 그 발신에 사용하는 전화번호가 발신 이력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 전화번호에 관한 이후의 발신 처리가 전술한 단계 S4의 판정에 의해 허가된다.
사용자가 발신하지 않는다는 지시를 전하면(단계 S7에서 NO), 지시에 응하여 자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JAM)에 의해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이 강제 종결된다(단계 S8).
이런 식으로, 발호가 실행되는 통신노드의 전화번호와 발신/착신 호 이력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비교 후,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발신이 허가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이전에 호출한 통신노드 또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에 등록한 통신노드로 발신을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확보한다.
C: 변형예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변형이 실시될 수 있다.
(1) 각 통신노드의 형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주체로서 휴대전화기(10)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주체는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전화기 또는 휴대전화기나 고정전화기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가 될 수도 있다.
호출되는 통신노드는 서버(25)나 휴대전화기(1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망에 접속되어 주택이나 사무실에 위치하는 개인용 컴퓨터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주체 및 호출 대상은 이들이 전화번호에 의해 회선이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신을 하는 통신노드이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는다.
(2) 발신/착신 호 이력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사용
실시형태에서는 발신 처리가 허가되는지 여부의 판정에 발신/착신 호 이력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 모두가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혹은, 발신 처리가 허가되는지 여부를 발신 호 이력만이나 착신 호 이력만, 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만,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을 사용하여 판정할 수도 있다.
(3)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처리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전화기(10)에 다수의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어떤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을 실행할 때, 어플리케이션간의 차이를 인식하지 않고 발신/착신 호 이력과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여 발신이 실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혹은, 판정이 기초로 하는 데이터를 실행되는 각 어플리케이션(AP)마다 제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자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만을 판정의 기초로 하고, 제2 자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발신/착신 호 이력과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모두 판정의 기초로 하고, 제3 자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어떠한 판정의 기초도 마련하지 않고 모든 통신노드로의 호를 허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 데이터가 판정 기초가 될 때마다 사용자가 판정할 수도 있고, 또는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의 속성에 따라 자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JAM)가 판정할 수도 있다.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은 반드시 네트웍으로부터 다운로드 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어떤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은 ROM(122)에 미리 저장된다. 이러한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은 보안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되며, 발신에 제한이 없다. 또한, 소정의 인증국에 의해 인증된 다운로드 서버(40)로부터 다운로드 된 자바 어플리케이션(AP)은 우수한 보안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발신/착신 호 이력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 모두 판정의 기초로 사용되어 발신의 제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소정의 인증국에 의해 인증되지 않은 다운로드 서버(40)로부터 다운로드 된 자바 어플리케이션(AP)에 대해서는 보안성을 크게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전화번호부 데이터 이력만을 판정의 기초로 사용하여 발신 제한을 강화할 수 있다.
(4) 프로그래밍 언어
실시형태에서는 자바(등록상표)가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물론,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6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음성 통신 기능과 네트워크 브라우징 기능을 포함하는 다중 통신 기능을 가지며,
    상기 네트워크 브라우징 기능을 활성화하여 외부 애플리케이션 소스에 액세스함으로써 그곳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환경을 제공하여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유닛 각각을 한 번에 하나씩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서,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유닛을 실행하기 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유닛의 실행이 상기 음성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여 전화 번호로의 발호를 개시할 것인지를 판단하며 발호를 개시할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될때까지 상기 애플리케이션 유닛의 실행을 보류하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및
    상기 전화 번호를 인증하여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유닛을 실행하는 것을 허용하며,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유닛을 실행하는 것을 불허하는 전화 번호 관리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JAVA 애플릿인, 무선 통신 단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은 JAVA 가상 머신인, 무선 통신 단말.
  22.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화 번호 관리자는, 상기 전화 번호를 인증함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의 하나 이상을 검색하는, 무선 통신 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발호되었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착신되었던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 중 어느 것이라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중 어느 것에서라도 발견되면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특정 데이터베이스에서 발견될 경우에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중 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공통으로 발견된 경우에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 관리자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인증 방식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방식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속성들에 따라 달라지는, 무선 통신 단말.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들 중 하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소스인, 무선 통신 단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방식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스의 신뢰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무선 통신 단말.
  31. 제30항에 있어서, 다수의 전화 번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화 번호 관리자는, 상기 전화 번호를 인증함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스의 신뢰 정도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다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무선 통신 단말.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발호되었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착신되었던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 중 어느 것이라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33. 제32항에 있어서, 신뢰할만한 소스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는,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전화 번호부 중 어느 하나에서 발견되면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
  34. 제32항에 있어서, 신뢰성에 의문이 가는 소스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는,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전화 번호부에서 발견된 경우에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
  3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는, 무선 통신 단말.
  3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화 관리자가 상기 전화 번호의 인증에 실패하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전화 번호로의 상기 발호를 허용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무선 통신 단말.
  37. 제36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된 영상 메시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무선 통신 단말.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발호 허용을 얻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는, 무선 통신 단말.
  39.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으로서,
    (a) 애플리케이션 소스에 액세스하여 그곳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유닛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수신 단계;
    (b)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유닛의 각각이 한 번에 하나씩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 제공 단계;
    (c)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유닛의 실행이 전화 번호로의 발호를 개시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판단 단계에서 발호를 개시할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유닛의 실행을 보류하고 상기 전화 번호를 인증하는 단계; 및
    (e)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유닛의 실행을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발호를 불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화 번호 인증 단계는 상기 전화 번호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의 하나 이상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발호되었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착신되었던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 중 어느 것이라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중 어느 것에서라도 발견되면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특정 데이터베이스에서 발견될 경우에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중 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공통으로 발견된 경우에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45.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 인증 단계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인증 방식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방식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속성들에 따라 달라지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들 중 하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소스인,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방식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스의 신뢰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다수의 전화 번화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화 번호 인증 단계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다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발호되었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착신되었던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 중 어느 것이라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신뢰할만한 소스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는,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전화 번호부 중 어느 하나에서 발견되면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52. 제50항에 있어서, 신뢰성에 의문이 가는 소스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는,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전화 번호부에서 발견된 경우에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5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 불허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54.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 인증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전화 번호로의 상기 발호를 허용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 불허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발호 허용을 얻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비인증 발호를 불허하는 방법.
  56.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음성 통신 기능과 네트워크 브라우징 기능을 포함하는 다중 통신 기능을 가지며,
    서로 다른 보안 레벨 속성이 부여된 다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상기 네트워크 브라우징 기능을 활성화하여 외부 애플리케이션 소스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서,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상에서 실행되는 중에, 전화 번호로의 발호를 개시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및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들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전화 번호를 인증하여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면 상기 전화 번호로의 상기 발호를 진행하고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발호를 불허하는, 전화 번화 관리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발호되었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착신되었던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 중 어느 것이라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다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중 어느 것에서라도 발견되면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다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중에서 선택된 특정 데이터베이스에서 발견될 경우에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가 상기 다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중 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공통으로 발견된 경우에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는, 무선 통신 단말.
  6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들 중 하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소스인, 무선 통신 단말.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스의 신뢰 정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다수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선택적으로 검색되는, 무선 통신 단말.
  63.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가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는, 무선 통신 단말.
  64.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 관리자가 상기 전화 번호의 인증에 실패하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전화 번호로의 상기 발호를 허용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무선 통신 단말.
KR10-2002-7008484A 2001-01-31 2002-01-30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발호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78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24737 2001-01-31
JP2001024737A JP4336051B2 (ja) 2001-01-31 2001-01-31 無線通信端末、発呼制限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081A KR20020084081A (ko) 2002-11-04
KR100478474B1 true KR100478474B1 (ko) 2005-03-23

Family

ID=1888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484A KR100478474B1 (ko) 2001-01-31 2002-01-30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발호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928151B2 (ko)
EP (1) EP1271902B1 (ko)
JP (1) JP4336051B2 (ko)
KR (1) KR100478474B1 (ko)
CN (1) CN1456009A (ko)
AU (1) AU2002228369C1 (ko)
BR (1) BR0202032A (ko)
CA (1) CA2397709C (ko)
HK (1) HK1049755A1 (ko)
NO (1) NO330406B1 (ko)
PL (1) PL356783A1 (ko)
TW (1) TWI221555B (ko)
WO (1) WO20020620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8354B2 (ja) 2002-09-30 2010-12-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WO2004040890A1 (ja) 2002-11-01 2004-05-13 Fujitsu Limited アクセス要求制御方法、通信デバイス用ドライバ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デバイス
JP3480734B1 (ja) * 2002-12-17 2003-12-22 エフジェイ・ドットコム株式会社 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プリント方法
JP4205980B2 (ja) 2003-03-28 2009-01-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77929A (ja) * 2004-03-25 2005-10-06 Sanyo Electric Co Ltd 移動通信装置
JP4564286B2 (ja) * 2004-06-14 2010-10-20 株式会社東芝 3次元超音波画像化装置
NZ545720A (en) 2004-07-09 2010-01-29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Anti-glypican 3 antibody
KR20130103580A (ko) 2004-08-24 2013-09-23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항 글리피칸 3 항체를 이용한 어쥬번트 요법
MX2007004593A (es) 2004-10-26 2007-06-22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Anticuerpo anti-glipican 3 que tiene cadena de azucar modificada.
US8780957B2 (en) 2005-01-14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Optimal weights for MMSE space-time equalizer of multicode CDMA system
US8660527B2 (en) * 2005-02-17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data call origination based on prior origination attempts
WO2006099082A2 (en) * 2005-03-10 2006-09-21 Qualcomm Incorporated Content adaptive multimedia processing
US8879857B2 (en) * 2005-09-27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Redundant data encoding methods and device
US8948260B2 (en) 2005-10-17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GOP structure in video streaming
US8654848B2 (en) 2005-10-17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hot detection in video streaming
JP4197335B2 (ja) * 2005-12-28 2008-12-17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無線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8107938B2 (en) * 2006-02-24 2012-01-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US9131164B2 (en) 2006-04-04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Preprocessor method and apparatus
JP5115163B2 (ja) * 2006-12-08 2013-01-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CN100466787C (zh) * 2007-01-11 2009-03-04 上海柯斯软件有限公司 基于sim卡的呼入电话分类接入的方法
US8744404B2 (en) 2008-08-28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restricted access configuration of access point base stations
US8577343B2 (en) * 2011-10-04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Inhibiting unintended outgoing communication in mobile devices
JP6578751B2 (ja) * 2015-06-09 2019-09-25 富士通株式会社 連絡先管理プログラム、連絡先管理システム、及び連絡先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3468A (ja) 1988-04-26 1989-11-01 Nec Corp 電話機
JPH02148950A (ja) 1988-11-29 1990-06-07 Canon Inc 通信装置
US5181238A (en) * 1989-05-31 1993-01-19 At&T Bell Laboratories Authenticated communications access service
JPH0328853A (ja) 1989-06-27 1991-02-07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写真式平版印刷用原版
JPH0328853U (ko) * 1989-07-28 1991-03-22
FR2662878B1 (fr) * 1990-05-30 1994-03-25 Alcatel Cit Procede d'acces a un service de telephonie sans fil.
JPH06164714A (ja) * 1991-06-17 1994-06-10 Texas Instr Inc <Ti> 電話機制御方法
JPH06291835A (ja) 1993-03-31 1994-10-18 Dainippon Printing Co Ltd 携帯電話装置
JPH0715554A (ja) 1993-06-24 1995-01-17 Tec Corp 通信端末機
US5737701A (en) * 1995-10-03 1998-04-07 At&T Corp. Automatic authentication system
US6456852B2 (en) * 1997-01-08 2002-09-24 Trafficmaster Usa, Inc. Internet distributed real-time wireless location database
US6049272A (en) * 1997-01-22 2000-04-11 Boyd B. Moore et al. Automated data transmission link to law enforcement and security personnel
US5983093A (en) * 1997-08-06 1999-11-09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adapted to prevent the theft of wireless service
US6463276B1 (en) * 1997-12-05 2002-10-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e terminal having conditional blocking of outgoing call requests
JP2000332818A (ja) * 1999-05-17 2000-11-30 Fujitsu Ltd 発信制御通信装置及び方法
KR100370108B1 (ko) 1999-06-17 2003-01-29 (주) 엘지텔레콤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JP2001036636A (ja) * 1999-07-19 2001-02-09 Aiwa Co Ltd 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
JP3312335B2 (ja) * 1999-07-30 2002-08-05 株式会社コムスクエア 利用者認証方法、利用者認証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6330317B1 (en) * 1999-11-09 2001-12-11 Dean Garfinkel Call blo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42804A1 (en) 2003-07-31
EP1271902B1 (en) 2018-03-07
NO330406B1 (no) 2011-04-04
JP2002232554A (ja) 2002-08-16
HK1049755A1 (zh) 2003-05-23
EP1271902A1 (en) 2003-01-02
WO2002062044A1 (fr) 2002-08-08
EP1271902A4 (en) 2008-12-24
NO20024621L (no) 2002-09-26
AU2002228369C1 (en) 2005-03-10
US6928151B2 (en) 2005-08-09
BR0202032A (pt) 2002-11-19
AU2002228369B2 (en) 2004-08-12
CA2397709A1 (en) 2002-08-08
PL356783A1 (en) 2004-07-12
NO20024621D0 (no) 2002-09-26
TWI221555B (en) 2004-10-01
CN1456009A (zh) 2003-11-12
KR20020084081A (ko) 2002-11-04
CA2397709C (en) 2005-10-25
JP4336051B2 (ja)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474B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발호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
JP5175025B2 (ja) 無線デバイスとサーバとの間でハンドシェイ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7149510B2 (en) Security access manager in middleware
KR20000016949A (ko) 이동성장치의국소서비스에대한액세스제어를제공하기위한방법및장치
US65910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ating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777402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0501085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a multi-modal device and a web application
GB2353918A (en) Access rights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A2398443C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network access
EP1462909B1 (en) A computer for managing data sharing among application programs
JP2000184462A (ja) 移動局からサ―ビス・サ―バへのアクセス方法、並びに、それに対応する移動局における加入者識別モジュ―ル及び端末
JP4566322B2 (ja) 利用者認証システム
US20080171562A1 (en) System and method to access and download data from a mobile device using a cellular network
KR1010028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선전화망 자동 접속 방법
EP1533975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a multi-modal device and a Web Application
KR100542112B1 (ko) 향상된 비밀번호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9302733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1169358A (ja) 発着信規制システム、発着信規制方法、発着信規制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50117856A (ko) 로밍 서비스시 피피피 서버 인증 방법
JP2005173939A (ja) 電子機器、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50063173A (ko) 위치에 따라 비밀번호가 가변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제어 방법, 이를 위한 위치기반 가변 비밀번호 설정 시스템
KR2004003994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밀번호 설정 및 해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