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297B1 - 적층열가소성수지필름의제조방법,적층열가소성수지필름및열성형품 - Google Patents

적층열가소성수지필름의제조방법,적층열가소성수지필름및열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297B1
KR100478297B1 KR1019960064064A KR19960064064A KR100478297B1 KR 100478297 B1 KR100478297 B1 KR 100478297B1 KR 1019960064064 A KR1019960064064 A KR 1019960064064A KR 19960064064 A KR19960064064 A KR 19960064064A KR 100478297 B1 KR100478297 B1 KR 10047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film
belt
laminat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740A (ko
Inventor
아키라 후나키
가쓰미 우치야마
도루 유쿠모토
아쓰시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3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27Pressing using at least one press band
    • B32B37/1036Pressing between one press band and a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5/00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e.g.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가열된 무단 벨트에 서로 겹쳐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 벨트와 함게 이동시키고,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벨트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서로 겹쳐 적층하며, 벨트위에서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벨트와 제2로울러로써 압접(壓接)한다. 그리고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2로울러와 접촉시켜 벨트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에다 서로 겹쳐 적층하여도 좋다. 이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열성형하여 열성형품을 제조한다.

Description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그 열성형품
본 발명은 적층구조의 열가소성 수지 시이트 또는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열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제10도에 있는 바와 같이 인쇄된 연신(延伸) 필름(51)과, 압출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52)을 라미네이션하여 적층 시이트(53)를 제조하는 기술이 있다.
즉, 압출기(54)의 다이(55)에서 압출성형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52)는 온도 제어된 로울러(56)의 표면에 밀착되어 이 로울러(56)의 회전과 동시에 이동하고, 이 열가소성 수지 필름(52) 위에서 실리콘 고무 로울러(57)를 통해 인쇄된 필름(51)이 서로 겹쳐져서 적층 시이트(53)가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로울러(56)는 가열온도가 예컨대 70℃, 회전속도가 예컨대 20m/min이다.
이 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의하면 적층 시이트(53)의 필름(51)부분에 주름살이 쉽사리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인쇄된 필름(51)이 연신 필름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축율이 커지고, 이 수축율이 일정한 작은 범위로 되도록 제어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같은 간격으로 인쇄하는 핏치 인쇄의 경우에 현저해진다. 더욱이 이 압출 라미네이트법에서는 라미네이션 속도를 올렸을 경우, 연신 필름(51)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52) 사이에 에어가 함입된다거나 연신 필름(51)에 주름살이 발생한다거나 하여 양호한 적층 시이트(53)를 제조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법 대신에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그러나 이 라미네이션법에 의하면 접착제를 사용하므로 이 접착제의 도포 및 용제 건조를 위한 기구(機構)가 필요하게 되어 제조장치가 대형화, 복잡화하고 고가(高價)로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1발명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가열된 벨트에다 서로 겹쳐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 벨트와 함께 이동시키고,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상기 벨트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서로 겹쳐 적층한 후 상기 벨트위에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상기 벨트와 로울러로써 압접(壓接)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수축을 방지하거나 적층시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잔주름살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6, 나일론-66등 임의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필름과 비교하여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열가소성 시이트이어도 좋다.
상기 벨트의 가열온도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끼리의 접착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인데, 구체적인 가열온도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종류에 따라 바람직한 접착강도가 얻어지도록 가열온도를 선택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면 좋은데, 예컨대 제3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해도 좋다.
제1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상기 로울러와 접촉시킨후 상기 벨트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에다 서로 겹쳐 적층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로울러와 접촉시킴으로써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대한 배치와 삽입 각도를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제조의 고속화에 보다 적합한 것이 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는 적어도 2개의 로울러에 감겨 설치된 무단(無端) 벨트이고, 상기 제1발명에 기재된 상기 로울러와 이 무단 벨트내의 1개의 로울러는 상기 무단 벨트를 통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는 표면에 탄성부를 가진 탄성 로울러를 통해 가열된 벨트에 서로 겹쳐 있어도 좋다.
상기 탄성부로서는 내열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 로울러를 사용함으로써 라미네이션 속도를 올리더라도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 사이에 에어가 함입되다거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잔주름살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진다.
상기 탄성 로울러에는 이 탄성 로울러의 표면과 접하도록 하여 이 탄성 로울러의 표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 로울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온도조절 로울러는 그 내부에 온도 조절용 열매체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온도 조절 로울러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탄성 로울러의 표면온도와 이 탄성 로울러 내부의 열매체의 온도와의 온도차를 8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로울러의 표면온도라 함은 본래 가장 고온으로 되는 부분(벨트에 가장 근접한 부분)으로 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측정할 수 없으므로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탄성 로울러에 접촉하기 직전의 위치의 온도로 한다.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인쇄된 인쇄 핏치의 변동을 억제하자면 탄성 로울러의 표면온도를 일정온도 이하로 제어할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하기 위해 탄성 로울러의 표면온도와 이 탄성 로울러 내부의 열매체의 온도와의 온도차를 80℃ 이하로 유지한다.
상기 일정 온도라 함은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경우, 탄성 로울러의 온도는 80℃ 이하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열매체 및 설비를 사용했을 경우, 열매체 온도는 3℃ 전후가 하한(下限)이 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차를 80℃ 이하로 함으로써 필요한 범위가 특정된다.
더욱이 상기 벨트와 서로 겹쳐지는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40℃ 이상으로 예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예열온도는 40℃ 이상으로 하는데, 상한(上限)은 예열수단으로 부터 박리할 수 있는 온도로 한다. 40℃ 미만의 경우, 저속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고속화했을 때에 벨트와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 사이에 에어가 함입될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벨트와 로울러에 의한 상기 벨트위에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압접은 0.01MPa 이상에서 하는 것이 좋다.
이 압접력은 벨트만의 장력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상한은 특히 없으나 벨트의 재질과 내구성에 따라 예컨대 1MPa 정도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상기 벨트와 접촉하는 면에 박리성 물질을 도포한후 이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상기 벨트에다 서로 겹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성 물질로서는 액체인 실리콘 에멀젼 등, 고체인 전분 입자, 실리콘 입자, 아크릴 수지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성 물질의 도포는 인 라인이어도 좋고 오프 라인(미리 박리성 물질이 도포된 필름을 사용함)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벨트와 접촉하는 면에 박리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므로 고속 제조시에 있어서도 벨트의 온도를 저하시키지 않더라도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벨트로 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위에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상기 벨트와 로울러로 압접한후,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냉각수단으로 냉각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상기 벨트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단의 구성은 임의이고, 예컨대 물, 에어 등의 취부 장치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벨트와 로울러에 의한 상기 벨트위에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압접은 상기 벨트의 이면쪽에 배치된 압접 보조용 로울러에 의해 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압접 보조용 로울러에 의한 가압력은 예컨대 0.98∼9.8MPa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그 표면 거칠기(중심선 평균 거칠기 : Ra)를 0.001㎛≤Ra≤0.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a가 0.001㎛ 보다 작을 경우에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벨트의 밀착성이 너무 높고 고속 제조시에 있어서 박리가 불량해진다. 그리고 Ra가 0.8㎛ 보다 큰 경우에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벨트쪽면의 광택저하가 현저해진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압출기로부터 직접 압출성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가열된 벨트에 서로 겹쳐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 벨트와 함께 이동시키고,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상기 벨트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중첩하여 적층한후, 상기 벨트위에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상기 벨트와 로울러로써 압접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1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발명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열성형품은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가열된 벨트에 중첩시켜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 벨트와 함께 이동시키고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상기 벨트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서로 겹치게 하여 적층한후, 상기 벨트위에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상기 벨트와 로울러로써 압접하여 제조된 적층면상 열가소성 수지가 열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3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폴리스티렌계 수지이고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인쇄면을 가진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인쇄면을 형성해둔 경우에는 적층후의 인쇄면의 인쇄 핏치 변동계수를 2,5×10-3 미만으로 할 수 있게 되어 적층전후에서의 인쇄 핏치 변화율을 1% 미만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제3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열성형된 것은 용기의 뚜껑이어도 좋다.
(제1실시형태)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이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제조장치는 압출기(11), 가열용의 제1로울러12), 제2로울러(13), 가열용의 제3로울러(14), 냉각용의 제4로울러(15), 송출 로울러(16)등을 가진다.
상기 압출기(11)는 예컨대 단축(單軸) 압출기인데 선단에 다이(17)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로울러(12, 13)와 로울러(15)는 거의 직선상으로 병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3로울러(14)는 이들 3개의 로울러(12, 13, 15)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로울러(12), 제4로울러(15) 및 제3로울러(14)가 안쪽에 배치되도록 하여 이들 로울러(12, 15, 14)의 주위에 무단 벨트(18)가 감겨 설치되어 있다. 제2로울러(13)는 이 무단 벨트(18)의 바깥쪽으로부터 이 무단 벨트(18)를 안쪽으로 밀어 넣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무단 벨트(18)는 스테인레스강으로 되어 있고 그 표면이 거울면 가공된 것이다. 그리고 제3로울러(14)는 이 무단 벨트(18)에 장력을 부여하여 사행(蛇行)조정을 하는 것이다.
이들 가열용 또는 냉각용의 로울러(12, 14, 15)의 내부에는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출 로울러(16)와 제1로울러(12) 사이에는 제1 및 제2예열 로울러(21, 22)와 탄성 로울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 로울러(23)는 표면에 실리콘 고무로 된 탄성부(24)를 가진 것이다. 이 탄성 로울러(23)의 내부에는 열매체의 통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송출 로울러(16)의 축부(軸部)에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파우더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로울러(13) 근방의 무단 벨트(18)의 뒷면쪽에는 이 로울러(13)에 대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의 압접을 보조하는 압접 보조용 로울러(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4로울러(15)의 근방에는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무단 벨트(18)위에서부터 박리하기 위한 박리 로울러(28)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이 제조장치를 사용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송출 로울러(16)로부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풀어 내어 공급하고, 이 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제1 및 제2예열 로울러(21, 22)에서 S자 형상으로 사행(蛇行)시키면서 예열한후, 탄성 로울러(23)를 거쳐 이 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상기 제1로울러(12)위에 위치하는 무단 벨트(18)에 밀착하도록 서로 겹치고, 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이 무단 벨트(18)와 함께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1로울러(12)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위에 상기 압출기(11)의 다이(17)에서 압출성형된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을 서로 겹쳐 적층한후, 무단 벨트(18)와 함께 이들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이동시켜 제2로울러(13)쪽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무단 벨트(18)가 제1 및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제2로울러(13)에 대해 압접한다.
이 때, 무단 벨트(18)의 뒷면에 압접 보조용 로울러(27)가 배치된 부분에서는 이 압접 보조용 로울러(27)가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의 압접을 보조한다.
이어서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무단 벨트(18)와 함께 제4로울러(15)쪽으로 이동시켜 여기서 냉각한후 무단 벨트(18)로부터 박리하여 본 실시태양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을 얻는다.
(제2실시형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이 제2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제조장치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형태에 의한 제조장치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은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의 공급위치가 다른데 특징이 있고, 그 외에는 상기 제1실시형태에 의한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17)에서 압출성형된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을 바로 무단 벨트(18)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에 서로 겹치지 않고, 먼저 제2로울러(13)와 접촉시킨후 무단 벨트(18)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에 서로 겹쳐 적층한다.
(제3실시형태)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이 제3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제조장치는 제1로울러(12)와 제2로울러(13)의 배치가 다르고, 또한 무단 벨트(18)의 표면 거칠기가 특정한 범위에 있음에 특징이 있으며, 그 외에는 상기 제1실시형태에 의한 제조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로울러(12)와 제2로울러(13)는 무단 벨트(18)를 통해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실시형태에 의한 압접 보조용 로울러(27)는 이들 로울러(12, 13)에 의해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의 압접효과가 얻어지므로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무단 벨트(18)는 그 표면 거칠기(중심선 평균 거칠기 : Ra)가 0.001㎛≤Ra≤0.80㎛의 범위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도 제1실시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인데, 제1로울러(12)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위에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을 서로 겹친후 이들 필름(25, 26)을 제1로울러(12)와 제2로울러(13) 사이에 도입하여 이들 로울러(12, 13)에 의해 압접하여 적층한다.
(제4실시형태)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4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제조장치는 제1로울러(12)와 제2로울러(13)의 배치가 다른데 특징이 있고, 그 외는 상기 제2실시형태에의한 제조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로울러(12)와 제2로울러(13)는 무단벨트(18)를 통해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실시태양태에 의한 압접용 보조 로울러(27)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도 제2실시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인데,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을 제2로울러(13)와 접촉 시킨후 무단 벨트(18)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에 서로 겹쳐 이들 필름(25, 26)을 제1로울러(12)와 제2로울러(13) 사이에 도입하여 이들 로울러(12, 13)에 의해 압접하여 적층한다.
(제5실시형태)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5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제조장치는 박리성 물질(41)의 도포장치(42)가 설치되어 있다는데 특징이 있고, 그 외는 상기 제4실시형태에 의한 제조장치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리성 물질(41)의 도포장치(42)가 송출 로울러(16)와 제1예열 로울러(2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도포장치(42)는 박리성 물질(41)이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의 무단 벨트(18)와 접촉하는 면에 도포되도록 필름(25)에 대해 무단 벨트(18)와 동일한 면쪽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도 제4실시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인데, 송출 로울러(16)로부터 송출된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에 대해 그 무단 벨트(18)와 접촉하는 면에 도포장치(42)로부터 박리성 물질(41)을 뿜어 부착시켜 박리성 물질(41)을 도포한다.
(제6실시형태)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6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제조장치는 탄성 로울러(23)에 대해 온도조절 로울러(43)가 설치되어 있다는데 특징이 있고, 그 외는 상기 제4실시형태에 의한 제조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로울러(23)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25)과 접하는 면의 거의 뒤쪽에 금속제의 온도조절 로울러(43)가 이 탄성 로울러(23)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조절 로울러(43)의 내부에는 열매체의 통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도 제4실시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인데, 제1 및 제2예열 로울러(21, 22)에서 예열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탄성 로울러(23)를 통해 무단 벨트(18)에 서로 겹칠 때, 탄성 로울러(23)의 표면온도와 이 탄성 로울러(23) 내부의 열매체의 온도와의 온도차를 80℃이하로 유지해둔다. 이와 같이 탄성 로울러(23)의 표면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제어하기 위해 온도조절 로울러(43)에 의해 이러한 온도차가 유지되도록 한다.
(제7실시형태)
제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7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제조장치는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의 냉각수단인 미스트(44)의 취부(吹付)장치(45) 및 에어(46)의 취부장치(47)가 설치되어 있음에 특징이 있고, 그 외는 상기 제4실시형태에 의한 제조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44)의 취부장치(45)가 제2로울러(13)와 제4로울러(15)의 거의 중간에 해당하는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쪽에 설치되고, 더욱이 에어(46)의 취부장치(47)가 제4로울러(15) 근방의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쪽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도 제4실시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인데,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에 대해 먼저 미스트 취부장치(45)로부터 미스트(44)를 취부하여 적층된 이들 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냉각한 다음 에어 취부장치(47)로부터 에어(46)를 취부하여 적층된 이들 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냉각한다. 그리고 미스트(44) 및 에어(46)의 취부중 어느 한쪽만을 하여도 좋다.
(실시예 1)
상기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구체적 조건을 아래와 같이 하여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을 제조하였다.
제1∼제3로울러의 직경 ------ 1000㎜
제4로울러의 직경 ------ 1000㎜
무단 벨트의 두께 ------ 1.0㎜
무단 벨트 속도 ------ 30m/min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장력 ------ 98.1N/m폭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예열온도 ------ 70℃
가열된 무단 벨트의 온도 ------ 150℃
다이로부터 압출된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온도 ------ 230℃
무단 벨트와 제2로울러에 의한 압접력 ------ 0.098MPa
압접 보조용 로울러의 가압력 ------ 4.9MPa
제2로울러의 온도 ------ 120℃
제4로울러의 온도 ------ 30℃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 ------ 인플레이션법으로 연신된 폴리스티렌 필름(30㎛). 오쿠라세로머 GH-1(상품명), 일본국 大倉 공업 주식회사제. 이 필름 자체의 110℃에서의 수축율은 MD/TD=25/8(%)이다.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 ------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HIPS)/백색 매스터뱃치=96/4(wt.%). HIPS : 出光스티롤 ET-63(상품명), 일본국의 出光石油화학주식회사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 ------ 0.3㎜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폭 ------ 1200㎜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의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과 적층되는 면에는 1㎜ 크기의 모눈(方眼)의 인쇄면을 형성해두고,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에 대해 폭방향 위치의 신축율(MD 방향/TD 방향)을 평가하며, 또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끼리의 접착강도와 외관을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폭방향 위치의 신축율(%)은 노기스를 사용하여 측정한 적층전과 적층후의 인쇄면에 대해 계산한 것이다. 표에서 (+)부호가 수축을 의미하고, (-)부호가 신장을 의미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끼리의 접착강도의 평가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쪽에 커터 나이프로 사방 약 5㎜의 자른 눈금을 넣고 이 눈금에 점착 테이프를 붙여 붙인쪽과는 역방향으로 잡아 당겼을 때 자른 눈이 박리하는가의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상기 외관의 평가는 눈으로 보아 주름살, 인쇄 핏치의 어긋남, 인쇄의 흐트러짐, 구멍 생김 등이 있는지의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그리고 표의 접착강도의 란에서 ○는 박리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외관의 란에서 ○는 주름살, 인쇄 핏치의 어긋남, 인쇄의 흐트러짐 등의 불량없음, X는 주름살, 인쇄 핏치의 어긋남, 인쇄의 흐트러짐, 구멍생김 등의 불량 발생을 의미한다.
상기 핏치 변동계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TD 방향(폭방향)과 MD 방향(이동방향)의 인쇄 핏치 및 평균 인쇄 핏치를 측정하여 각 방향의 인쇄 핏치의 표준 편차 S를 구하고, 각 방향의 값을 각각 아래의 식에 대입하여 구하였다.
χi(i=1∼n) :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인쇄 핏치
: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평균 인쇄 핏치
상기 핏치 변화율은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의 TD 방향 및 MD 방향의 평균 인쇄 핏치와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TD 방향 및 MD 방향의 평균 인쇄 핏치를 측정하고, 각 방향의 값을 각각 아래식에 대입하여 구하였다.
: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평균 인쇄 핏치
: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평균 인쇄 핏치
(실시예 2)
상기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구체적 조건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을 제조하였다.
이 실시예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신축율을 평가하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끼리의 접착강도와 외관을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핏치 변동계수 및 핏치 변화율을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제10도에 의한 종래의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비교예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신축율을 평가하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끼리의 접착강도와 외관을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핏치 변동계수 및 핏치 변화율을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낸다.
[표 1]
표 1로부터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가열된 무단 벨트(18)에다 겹쳐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이 무단 벨트(18)와 함께 이동시켜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을 무단 벨트(18)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에 겹쳐 적층한후, 무단 벨트(18)위에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무단 벨트(18)와 제2로울러(13)로써 압접하도록 하였으므로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에 대하여 폭방향 위치의 신축율이 적고 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끼리의 접착 강도와 외관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은 종래의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으로 제조했을 경우와 마찬가지의 양호한 외관, 적은 수축율등을 가진 것이다.
한편 비교예 1에 의하면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하므로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대해 폭방향 위치의 신축율이 크고, 열가소성 수지 필름 끼리의 접착 강도는 양호하더라도 외관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표 2]
표 2로부터 본 실시예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핏치 변동계수는 MD 방향과 TD 방향의 양방향에 있어서 1.0×10-3 미만이고,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인쇄면은 그 전체에 걸쳐 거의 흐트러짐이 없고 인쇄 핏치가 일정함을 알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핏치 변화율은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0.5% 미만이고,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의 수축율이 적으므로 적층 전후에 인쇄 핏치가 변화함이 없이 충분히 안정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핏치 변동계수는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0×10-3 이상이고, 인쇄면에 분산이 생겨 인쇄 핏치가 불균일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의 TD 방향의 핏치 변화율은 1.0% 이상이고, 비교예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TD 방향의 수축이 크므로 (표 1 참조), 특히 TD 방향의 인쇄면의 핏치가 적층 전후에서 크게 변화하여 분산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을 열판 성형기[일본국의 野연구소제]를 사용하여 열성형함으로써 용기(39)의 뚜껑(30)을 제조하였다(제8도 참조).
이 용기(39)는 즉석면이나 컵 수우프 등의 용기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 뚜껑(30)은 원판상의 면상부(面狀部)(31)와 이 면상부(31)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일어서 형성된 용기(39)의 결합부(32)로 되어 있다.
이 결합부(32)에는 용기(39)의 상단부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뚜껑(30)의 각 부분의 구체적인 칫수는 아래와 같이 하였다.
뚜껑(30)의 직경(M) ------ 180㎜
면상부(31)의 직경(L) ------ 145㎜
결합부(32)의 수평 상면(上面)의 폭(N) ------ 10㎜
결합부(32)의 아래끝으로부터 수평 상면까지의 칫수(H1) ------ 12㎜
면상부(31)의 상면으로부터 결합부(32)의 수평 상면까지의 높이 칫수(H2) ------ 5㎜
그리고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열성형은 아래의 조건으로 하였다.
가열 시간 ------ 3.0초
가열압 공압력(空壓力) ------ 0.2MPa
성형압 공압력 ------ 0.5MPa
열판 온도 ------ 125℃
핏치 이송량 ------ 980㎜
금형 외경 ------ 180㎜
성형품 취급수 ------ 5×5=25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 ------ 0.3㎜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폭 ------ 1000㎜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에는 1㎜ 모눈(方眼)의 인쇄면을 형성해두고, 이 1㎜ 모눈의 바탕에 제9도에 나온 바와 같이 직경(Q) 135㎜의 원(40)을 이 원(40)의 중심간의 핏치(R)가 190㎜ 되도록 MD 및 TD 방향으로 5개씩 배열한 인쇄면을 형성하였다.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과의 적층을 하고,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을 열형성하였다.
그리고 뚜껑(30)의 중앙[면상부(31)내]에 직경 135㎜의 원형상의 평가영역(P)을 설정하고, 이 평가영역(P)에서의 1㎜ 모눈의 흐트러짐과 인쇄된 원(40)의 위치를 눈으로 보아 평가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2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을 열성형하여 뚜껑(30)을 제조하고, 평가영역(P)에서의 1㎜ 모눈의 흐트러짐 및 인쇄된 원(40)의 위치를 눈으로 보아 평가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열성형하여 뚜껑을 제조하고 평가영역(P)에서의 1㎜ 모눈의 흐트러짐 및 인쇄된 원(40)의 위치를 눈으로 보아 평가하였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뚜껑(30)은 평가영역(P)에서의 1㎜의 모눈의 흐트러짐이 없고 원(40)의 인쇄는 어느 뚜껑(30)에 있어서도 그 중앙에 위치하여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의 인쇄면이 적층후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에 있어서도 핏치 성형에 견딜 수 있는 인쇄 핏치(R)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열성형품(30)에는 열성형에 의한 수축, 즉 인쇄면의 흐트러짐이 생기지 않으므로 이 열성형품(30)은 핏치 성형품으로서 충분한 실용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의 뚜껑은 평가영역(P)내의 1㎜ 모눈이 흐트러져서 일정하지 않고 원(40)의 인쇄는 뚜껑으로부터 불거져 나온 것도 다수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비교예 2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인쇄면이 열성형의 성형 핏치에 대응할 수 없을 정도까지 흐트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열성형의 열에 의해서도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수축이 일어나서 인쇄 흐트러짐이 한층 커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비교예 2의 열성형품은 핏치 성형품으로서 실용에 견디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5∼7)
상기 제3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을 제조하였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초소형 표면 거칠기 측정기 한디사아후 E-30A[상품명, 일본국의 (주)동경정밀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측정기의 규격은 아래와 같다.
측정길이 L : 4㎜, 컷오프 λc : 0.8㎜, 촉침(觸針)선단 : 다이아몬드(90° 원추, 반경 5㎛), 측정력 : 4mN 이하, 컷오프 방식 : 2CR형.
기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구체적 조건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으나 아래의 점만을 달리하였다.
무단 벨트의 속도 ------ 40m/min
제2로울러의 온도 ------ 60℃
제4로울러의 온도 ------ 50℃
각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에 대해 무단 벨트(18)쪽의 표면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이 표면 광택도는 자동식 측색 색차계(測色色差計)(예컨대 AUD-CH-2형 45, 60, 스가시험기주식회사제)를 사용하여 필름에 빛을 입사각 60도에서 조사하고, 마찬가지로 60도에서 반사각을 수광(受光)했을 때의 반사광속(反射光束) s을 측정하여 굴절율 1.567인 유리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속 Os과의 비에 의해 아래와 같이 구하였다.
표면 광택도 Gs=s/Os×100
각 실시예에서의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중심성 평균 거칠기(Ra)와 표면 광택도를 측정한 결과 및 적층 필름(29)의 박리성을 관찰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표 3으로부터 이들 실시예 5∼7에 의하면 무단 벨트(18)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를 0.001㎛≤Ra≤0.80㎛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무단 벨트(18)로부터의 박리성이 양호한 것을 알수 있다. 그리고 적층필름(29)의 무단 벨트(18)쪽의 표면 광택도가 높아 고속 제조시에 있어서도 표면광택의 저하는 생기지 않았다. 더욱이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폭 방향 위치의 신축율이 적고 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끼리의 접착 강도와 외관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8∼11)
상기 제5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을 제조하였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박리성 물질(41)의 도포장치(42)는 필름(25)의 폭 방향으로 노즐[AKI-JET 04(상품명), 주식회사 이케우지사제]을 4개 가진 것이다.
박리성 물질(41)로서 실시예 8에서는 실리콘 에멀젼[SM7025(상품명, 토레이 실리콘 주식회사제)의 80배 희석 수용액], 실시예 9에서는 코온 스타치의 5g/l의 수용액, 실시예 10에서는 실리콘 입자의 5g/l의 수용액, 실시예 11에서는 아크릴 수지 입자의 5g/l의 수용액을 각각 사용하였다.
기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구체적 조건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으나 아래의 점만을 달리하였다.
무단 벨트의 속도 ------ 40m/min
제2로울러의 온도 ------ 60℃
제4로울러의 온도 ------ 50℃
각 실시예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에 대하여 접착강도와 외관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한 결과 및 적층 필름(29)의 박리성을 관찰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표 4로부터 이들 실시예 8∼11에 의하면 제조시에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에 박리성 물질(41)을 도포하였기 때문에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무단 벨트(18)로부터의 박리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폭방향의 신축율이 적어 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끼리의 접착강도와 외관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12∼14)
상기 제6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을 제조하였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로울러(23)의 탄성부(24)의 두께, 탄성 로울러(23)의 표면온도, 탄성 로울러(23)내의 열매체의 온도를 아래의 표 4와 같이 하였다. 그리고 온도조절 로울러(43)(표면온도 40℃)는 실시예 13 및 14에서 사용하고 실시예 12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각 실시예에서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구체적 조건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각 실시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핏치 변동계수와 핏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
표 5로부터 실시예 12∼14에 의하면 탄성 로울러(23)의 표면온도와 탄성 로울러(23)내의 열매체의 온도차를 80℃ 이하로 유지하여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을 제조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실시예 1 및 2에 의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과 비교하여 핏치 변동계수와 핏치 변화율이 적어 인쇄 핏치가 안정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5∼17)
상기 제7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을 제조하였다. 단, 실시예 15에서는 에어(46)의 취부만을 하고, 실시예 16에서는 미스트(44)의 취부만을 하며, 실시예 17에서는 에어(46)와 미스트(44)의 취부를 하였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미스트(44)의 취부장치(45)는 5개의 노즐[AKI-JET 04(상품명)]이 1200㎜의 필름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이다. 상기 미스트(44)는 수도물의 분무에 의해 생긴것이다.
상기 에어(46)의 취부장치(47)는 개도(開度) 1㎜, 폭 1200㎜의 립을 가진 것인데, 이 장치(47)를 사용하여 5.5kW, 풍량 6.1m3/min, 정압(靜壓) 2100㎜Aq, 립 출구 에어온도 50℃의 조건에서 에어(46)를 취부하였다.
기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구체적 조건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으나 아래의 점만을 달리하였다.
무단 벨트의 속도 ------ 40m/min
제2로울러의 온도 ------ 60℃
제4로울러의 온도 ------ 50℃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2가열 로울러(13) 직후의 적층 필름(29)의 표면온도 및 박리 로울러(28) 직전의 적층 필름(29)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또한 적층 필름(29)의 박리성을 관찰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
※ 필름 온도(1) ----- 제2가열 로울러 직후의 적층 필름의 표면온도
※ 필름 온도(2) ----- 박리 로울러 직전의 적층 필름의 표면온도
표 6으로부터 이들 실시예 15∼17에 의하면 제조시에 제1 및 제2로울러(12, 13)에 의해 적층된 제1 및 제2필름(25, 26)에 대하여 미스트(44)와 에어(46)중의 적어도 한쪽을 취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적층 필름(29)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4로울러(15)만으로 무단 벨트(18)를 냉각하도록 한 경우와 비교하여 냉각효과가 크므로 적층 필름(29)을 무단 벨트(18)로부터 안정하게 박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폭방향의 신축율이 적어 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끼리의 접착강도와 외관도 양호하였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한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의한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의한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4에 의한 적층면상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열성형품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는 상기 실시예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인쇄도 무늬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0도는 비교예 1에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

Claims (14)

  1.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가열된 벨트(18)에 서로 겹쳐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이 벨트(18)와 함께 이동시키고, 압출기(11)로부터 직접 압출성형된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을 상기 벨트(18)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에 서로 겹쳐 적층한 후, 상기 벨트(18)위에서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상기 벨트(18)와 로울러(13)로써 압접하고,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은 표면에 탄성부를 가진 탄성 로울러(23)를 통해 가열된 벨트에다 서로 겹치게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성 로울러(23)의 표면온도와 이 탄성 로울러 내부의 열매체의 온도와의 온도차를 8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을 상기 로울러(13)와 접촉시킨후 상기 벨트(18)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에다 서로 겹쳐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8)는, 로울러(12, 14, 15)중에서 적어도 2개의 로울러에 감겨 설치된 무단 벨트이고, 상기 제1항에 기재된 상기 로울러(13)와 이 무단 벨트(18)내의 1개의 로울러는 상기 무단 벨트를 통해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 .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로울러(23)에는 이 탄성 로울러(23)의 표면과 접하도록 하여 이 탄성 로울러의 표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 로울러(4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8)에 서로 겹쳐지는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은 40℃ 이상으로 예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8)와 로울러(13)에 의한, 상기 벨트위에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의 압접은 0.01MPa 이상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의 상기 벨트(18)와 접촉하는 면에 박리성 물질(41)을 도포한후, 이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상기 벨트(18)에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8)위에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상기 벨트(18)와 로울러(13)로써 압접한후,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냉각수단(45, 47)으로 냉각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상기 벨트(18)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8)와 로울러(13)에 의한, 상기 벨트(18) 위에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의 압접은 상기 벨트(18)의 뒷면쪽에 배치된 압접 보조용 로울러(27)에 의해 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8)는 그 표면 거칠기(중심선 평균 거칠기 : Ra)가 0.001㎛≤Ra≤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제조방법.
  11.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가열된 벨트(18)에 서로 겹쳐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이 벨트(18)와 함께 이동시키고, 압출기(11)로부터 직접 압출성형된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을 상기 벨트(18)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에 서로 겹쳐 적층한 후, 상기 벨트(18)위에서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상기 벨트(18)와 로울러(13)로써 압접하고,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은 표면에 탄성부를 가진 탄성 로울러(23)를 통해 가열된 벨트에다 서로 겹치게 하여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에 있어서,
    상기 탄성 로울러(23)의 표면온도와 이 탄성 로울러 내부의 열매체의 온도와의 온도차를 80℃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
  12.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가열된 벨트(18)에 서로 겹쳐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을 이 벨트(18)와 함께 이동시키고, 압출기(11)로부터 직접 압출성형된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6)을 상기 벨트(18)위의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에 서로 겹쳐 적층한 후, 상기 벨트(18)위에서 적층된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을 상기 벨트(18)와 로울러(13)로써 압접하고,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은 표면에 탄성부를 가진 탄성 로울러(23)를 통해 가열된 벨트에다 서로 겹치게 하여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열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로울러(23)의 표면온도와 이 탄성 로울러 내부의 열매체의 온도와의 온도차를 80℃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제조된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이 열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열성형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열가소성 수지 필름(25, 26)은 폴리스티렌계의 수지이고, 상기 제1열가소성 수지 필름(25)은 인쇄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열성형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이 열성형된 것으로서 용기의 뚜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29)의 열성형품.
KR1019960064064A 1995-12-05 1996-12-05 적층열가소성수지필름의제조방법,적층열가소성수지필름및열성형품 KR100478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16614 1995-12-05
JP31661495 1995-12-05
JP16340096A JP4073978B2 (ja) 1995-06-23 1996-06-24 積層面状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面状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及びその熱成形品
JP95-163400 1996-06-24
JP96-163400 1996-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740A KR970033740A (ko) 1997-07-22
KR100478297B1 true KR100478297B1 (ko) 2006-04-21

Family

ID=2648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064A KR100478297B1 (ko) 1995-12-05 1996-12-05 적층열가소성수지필름의제조방법,적층열가소성수지필름및열성형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33792A (ko)
EP (1) EP0778127B1 (ko)
JP (1) JP4073978B2 (ko)
KR (1) KR100478297B1 (ko)
CN (1) CN1166405A (ko)
AT (1) ATE267089T1 (ko)
CA (1) CA2192015A1 (ko)
DE (1) DE6963251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15439T1 (de) * 1996-10-14 2002-04-15 Idemitsu Petrochemical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korfolie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JP3683688B2 (ja) * 1997-10-08 2005-08-17 出光興産株式会社 積層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DE19943604C2 (de) * 1999-09-11 2002-06-27 Schroeder Heinrich Friedrich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endlosen, optisch abbildungsfähigen Folien, Bahnen und Platten aus Kunststoffen und Einrichtung zur Ausübung des Verfahrens
DE60113108T2 (de) * 2000-06-20 2006-06-14 Sanyo Chemical Ind Ltd Klebstoff für harzrollanordnung und harzroller
US6533884B1 (en) 2000-11-03 2003-03-18 Printpack Illinois, Inc. Method and system for extrusion embossing
JP3739765B2 (ja) * 2003-07-09 2006-01-25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シート成形体の成形方法
TWI248489B (en) * 2004-02-11 2006-02-01 Swei-Mu Wang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artificial leather
US20050224165A1 (en) * 2004-04-01 2005-10-13 Wang Swei M Method for forming laminated synthetic leather
US7204905B2 (en) * 2004-04-29 2007-04-17 Swei Mu Wang Method for forming laminated synthetic leather
US7569250B2 (en) * 2004-05-17 2009-08-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tective coating a flexible circuit
US20050275132A1 (en) * 2004-06-15 2005-12-15 Eastman Kodak Company Belt over compliant roller used with molding roller
DE102006060954A1 (de) * 2006-12-20 2008-06-26 Inatec Gmbh Laminier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Films einer Klebstoffzusammensetzung auf ein bahnförmiges Substrat
CN102632673A (zh) * 2012-04-23 2012-08-15 温州市瓯海大鸿运箱包有限公司 一种片材制板机的覆膜装置
JP5898102B2 (ja) * 2013-02-05 2016-04-06 真丸特殊紙業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149792B2 (ja) * 2014-04-24 2017-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解質膜構造体の製造方法
GB2606292B (en) * 2021-02-26 2023-05-03 Mannok Pack Ltd Integrated thermoformer adhesive coating system
GB2604173B (en) * 2021-02-26 2023-03-01 Mannok Pack Ltd Integrated thermoformer adhesive coat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6880A2 (en) * 1993-02-25 1994-09-28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sheet or fil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9564A (en) * 1950-06-27 1955-10-04 Continental Can Co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losure seals
US3033707A (en) * 1959-04-27 1962-05-08 Dow Chemical Co Laminat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ing polyalkylene imine as a bonding agent
US3371002A (en) * 1962-07-11 1968-02-27 Milprint Inc Low temperature polyolefin extrusion coating process
ES309444A1 (es) * 1964-02-21 1966-01-01 Dunlop Rubber Co Una maquina de encogimiento por compresion
US3615973A (en) * 1968-06-03 1971-10-26 Ernest P Meeder Method and apparatus of producing polyurethane resin on a substrate
US3526000A (en) * 1968-11-18 1970-08-25 Cadillac Products Method of preparing a laminated product of at least three plies
US3994765A (en) * 1972-03-29 1976-11-30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Endless pressure belt for laminating chipboard panels
GB2014548B (en) * 1978-02-17 1982-05-06 Drg Uk Ltd Moulded containers
US5204037A (en) * 1991-01-25 1993-04-20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propylene sheets or films
DE69200185T2 (de) * 1992-02-21 1994-09-15 Cofradec Sa Wiederverwertbare Behälter, Verschlussdeckel hierfü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H09512502A (ja) * 1994-04-29 1997-12-1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コーティング用積層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6880A2 (en) * 1993-02-25 1994-09-28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sheet or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67089T1 (de) 2004-06-15
EP0778127A3 (en) 1998-03-18
CA2192015A1 (en) 1997-06-06
EP0778127B1 (en) 2004-05-19
JPH09216325A (ja) 1997-08-19
US5833792A (en) 1998-11-10
EP0778127A2 (en) 1997-06-11
DE69632519T2 (de) 2005-05-25
CN1166405A (zh) 1997-12-03
JP4073978B2 (ja) 2008-04-09
DE69632519D1 (de) 2004-06-24
KR970033740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297B1 (ko) 적층열가소성수지필름의제조방법,적층열가소성수지필름및열성형품
CN100408346C (zh) 具有微结构表面的薄膜
MXPA04009005A (es) Elementos de grabado y aplicacion de adhesivo.
US20010030020A1 (en) Clear and opaque label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ing clear or opaque label stock laminated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20040229014A1 (en) Complex microstructure film
EP1016518A1 (en) Multilayer thermoplastic resin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multilayer thermoplastic resin sheet
EP2033762B1 (en)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device of organic resin coated metal plate
US6129800A (en) Process for preparing embossed metal foil laminate
JP7027981B2 (ja) 微細柄凹凸模様を有するラミネートチューブ容器
US5009831A (en) Extrusion coated substrates with separable and removable layers
CN113858867B (zh) 装饰片的制造方法及装饰片
JP4830726B2 (ja) ロール状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容器
KR0136478B1 (ko) 기초 합성수지 시이트(sheet)와 인쇄된 필름(film)을 접착하기 위한 장치와 그 접착방법
US200902672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enticular plastics by casting
JP4935253B2 (ja) 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容器
JP4923817B2 (ja) 積層体、それを用いた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NL2030885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embossed polymer film
JP4765784B2 (ja) 積層体
JPH1034862A (ja) 積層面状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JP3787365B6 (ja) 多層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多層熱可塑性樹脂シート
WO1994012335A1 (en) Print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forming it
AU673711B2 (en) Print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forming it
JPH09286091A (ja) 積層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4017392A (ja) インプリント方法、及びインプリン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