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149B1 -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 - Google Patents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149B1
KR100475149B1 KR10-2002-0005916A KR20020005916A KR100475149B1 KR 100475149 B1 KR100475149 B1 KR 100475149B1 KR 20020005916 A KR20020005916 A KR 20020005916A KR 100475149 B1 KR100475149 B1 KR 100475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high speed
self
compartment
compress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112A (ko
Inventor
김한준
Original Assignee
(주)우남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남마린 filed Critical (주)우남마린
Priority to KR10-2002-000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149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4Arrangements of inflating valves or of contro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2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vessels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Bag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백의 완전팽창시 그 전체 형상이 "V"자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에어백이 장착되는 복원프레임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에어백에 의한 고속단정의 자가복원력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조종자에 의한 고속단정의 후방관측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에어백의 내부공간을 2개의 격실로 분리시키는 격벽의 중앙에 압력밸브를 설치하여 고속단정의 전복으로 인한 자가복원장치의 작동시 에어백의 각 격실이 순차적으로 팽창되도록 함으로서, 전복된 고속단정이 일정한 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하여 고속단정이 전복되는 위급한 상황에서도 고속단정의 복원방향을 쉽게 예상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고속단정의 전복사고시 적절한 초기 대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속단정(1)의 선미부에 고정 설치되는 복원프레임(3)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 일측에는 압축가스탱크(4)로부터 공급호스(5)로 연결되어 압축가스가 공급되는 가스주입구(8)가 형성되고, 그 양측단부에는 일정 압력에 의하여 자동 개폐되는 과압배기밸브(7a)(7b)가 설치되는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0)은 압축공기에 의한 에어백(10)의 완전팽창시의 그 전체 형상이 "V"자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10)의 내측 중앙에는 그 내부공간을 제 1격실(11)과 제 2격실(12)로 분리시키는 격벽(13)이 설치되며, 상기 격벽(13)의 중앙부에는 공압호스(5)가 연결되는 제 1격실(11)을 제 2격실(12)과 연결시키기 위한 압력밸브(14)가 관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Air bag for self-stability of rigid inflatable boat}
본 발명은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백의 완전팽창시 그 전체 형상이 "V"자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에어백이 장착되는 복원프레임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에어백에 의한 고속단정의 자가복원력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조종자에 의한 고속단정의 후방관측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에어백의 내부공간을 2개의 격실로 분리시키는 격벽의 중앙에 압력밸브를 설치하여 고속단정의 전복으로 인한 자가복원장치의 작동시 에어백의 각 격실이 순차적으로 팽창되도록 함으로서, 전복된 고속단정이 일정한 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하여 고속단정이 전복되는 위급한 상황에서도 고속단정의 복원방향을 쉽게 예상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고속단정의 전복사고시 적절한 초기 대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종 수상레저용이나 긴급 인원수송 및 해난사고의 발생시 긴급 인명구조용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속단정(RIB : Rigid Inflatable Boat)(1)은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재질로 제작된 경량의 선체(2)와 고속추진기에 의해 신속한 기동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반면에, 고속단정(1)의 특성상 고속운항이나 급선회로 인한 전복사고의 위험이 높은 실정이었다.
이와 같은 고속단정(1)에는 전복사고에 대한 안전장치로써 자가복원장치(9)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데, 이 자가복원장치(9)는 고속단정(1)의 선체후미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원프레임(3)과, 복원프레임(3)의 상부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일측에 압축가스탱크(4)로부터 공급호스(5)로 연결되어 압축가스가 공급되는 가스주입구(8)가 형성되며 양측단부에는 일정압력에 의해 자동 개방되어 내부를 일정한 가스압력으로 유지시키는 과압배기밸브(7a)(7b)가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자가복원장치는 악천후시 또는 고속운항이나 급선회시 조종자의 조종미숙으로 인하여 고속단정(1)이 완전히 전복될 때, 선체(2)의 전복상태를 감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격발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압축가스탱크(4)의 밸브가 개방되어 압축가스탱크(4)내에 저장되어 있던 압축가스가 공급호스(5)를 통하여 에어백(6)의 내부로 공급되므로 에어백(6)을 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압축가스의 과다유입으로 인한 에어백(6)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백(6)의 양단부에 설치된 상기 과압배기밸브(7a)(7b)에 의해 과다공급된 압축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므로 에어백(6)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부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에어백(6)에 의해 형성된 부력은 전복된 선체(2)의 무게중심을 모멘트의 작용점으로 하며 선체(2)의 후미부에 설치된 복원프레임(3)을 모멘트의 팔로 하는 모멘트를 발생시키게 되므로써, 이와 같이 부력에 의해 형성된 모멘트에 의해 전복된 고속단정(1)을 회전시켜 원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가복원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에어백(6)은 고속단정 (1)이 완전히 전복되는 경우 에어백(6)이 일정한 방향없이 임의의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므로, 고속단정(1)의 전복시 선체(2)에 매달려 있는 승무원이나 전복시의 충격으로 물속으로 떨어진 조종자나 승무원이 전복된 고속단정(1)의 복원방향을 예측할 수 없어 혼란을 겪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조종자나 승무원의 사고에 대한 초기 대응이 지연되게 되므로 인명 피해가 더욱 더 증대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가복원장치의 에어백(6)은 완전팽창시의 전체형상이 대개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상시에는 복원프레임(3)상부에 용이하게 팽창되도록 잘 개어져 설치되어 있는데, 이 때 복원프레임(3)의 상부에 설치된 에어백(6)의 장착높이가 고속단정(1)의 갑판상에서 서서 조종하게 되는 조종자의 눈높이와 동일하게 위치하게 되므로써, 조종자가 후방을 관측해야 하는 경우, 절첩된 에어백(6)이 조종자의 후방시야를 방해하거나 완전히 가리게 되므로 조종자가 후방을 제대로 관측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은 완전팽창시 그 전체 형상이 "V"자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에어백이 장착되는 복원프레임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에어백에 의한 고속단정의 자가복원력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조종자에 의한 고속단정의 후방관측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에어백의 내부공간을 2개의 격실로 분리시키는 격벽의 중앙에 압력밸브를 설치하여 고속단정의 전복으로 인한 자가복원장치의 작동시 에어백의 각 격실이 순차적으로 팽창되도록 함으로서, 전복된 고속단정이 일정한 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하여 고속단정이 전복되는 위급한 상황에서도 고속단정의 복원방향을 쉽게 예상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고속단정의 전복사고시 적절한 초기 대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속단정의 선미부에 고정 설치되는 복원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 일측에는 압축가스탱크로부터 공급호스로 연결되어 압축가스가 공급되는 가스주입구가 형성되고, 그 양측단부에는 일정 압력에 의하여 자동 개폐되는 과압배기밸브가 설치되는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압축공기에 의한 에어백의 완전팽창시의 그 전체 형상이 "V"자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의 내측 중앙에는 그 내부공간을 제 1격실과 제 2격실로 분리시키는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격벽의 중앙부에는 공압호스가 연결되는 제 1격실을 제 2격실과 연결시키기 위한 압력밸브가 관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은 고속단정의 선미부에 고정설치되는 복원프레임(3)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일측에 압축가스탱크(4)로부터 공급호스(5)로 연결되어 압축가스가 공급되는 가스주입구(8)가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일정압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과압배기밸브 (7a)(7b)가 설치되어 고속단정의 전복시 압축가스탱크(4)로부터 공급된 압축가스에 의해 급속 팽창하게 되는 구성은 종래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의 특징부는 상기 에어백(10)의 완전팽창시 그 전체 형상이 "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10)의 내측 중앙에는 에어백(10)의 내부공간을 제 1격실(11)과 제 2격실(12)로 각각 분리시키기 위한 격벽(13)이 에어백(10)과 동일한 재질로 제조되어 설치되며, 상기 격벽(13)의 중앙부에는 공급호스(5)에 의하여 압축가스탱크(4)와 연결되는 제 1격실(11)을 상기 제 2격실(12)과 연결시키기 위한 압력밸브(14)가 관통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밸브(14)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안전밸브로서, 용기 등의 내부압력이 임계압력에 도달했을 때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용기 등의 내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거나 과도한 압력주입으로 인한 폭발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의 작용관계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10)은 완전팽창시 그 전체 형상이 "V"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에어백(10)으로부터 발생하는 부력에 의한 모멘트의 팔길이, 다시 말해서 선체로부터 복원프레임(3)을 거쳐 에어백(10)의 최상단까지에 해당하는 높이를 종래의 경우보다 길게 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에어백(10)이 설치되는 복원프레임(3)의 높이를 종래의 경우(조종자의 눈높이)에 비하여 낮게 형성시키더라도, 에어백(10)의 팽창에 따라 발생하는 부력 및 모멘트에 의한 고속단정의 복원력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상기와 같이 복원프레임(3)의 높이를 고속단정의 갑판에 서서 고속단정을 조종하는 조종자의 눈높이보다 낮게 할 수 있게 됨으로서, 평상시 복원프레임(3)의 상부로 절첩 설치되어 보관되는 에어백(10)에 의하여 조종자의 후방관측시야가 방해를 받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조종자로 하여금 보다 넓은 후방관측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이 장착된 고속단정(1)이 고속운항중에 완전히 전복된 경우에는 압축가스탱크 (4)로부터 자동공급되는 압축가스가 1차로 제 1격실(11)로 주입되어 제 1격실(11)을 팽창시키게 되면, 에어백(10)의 제 1격실(11)에 의해 형성된 부력에 의해 전복된 고속단정(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1격실(11)의 내부로 주입되는 가스압력이 제 1격실(11)을 완전히 팽창시킬 정도의 압력에 이르게 되면, 상기 에어백(10)의 내측중앙에 설치된 격벽(13)의 압력밸브(14)가 개방되므로써, 제 1격실(11)로 계속해서 공급되는 압축가스가 상기 압력밸브(14)를 통하여 제 2격실(12)로 공급되어 물속에 있는 제 2격실(12)를 팽창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팽창된 제 2격실(12)의 부력에 의하여 전복된 고속단정(1)을 완전히 원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 때, 선체(2)의 상부에 걸려 있거나 물속에 떨어진 조종자나 탑승자들은 고속단정(1)의 복원방향을 예상하고 있으므로 혼란을 겪지 않고 신속하게 일정한 복원방향으로 회전되는 고속단정(1)의 선체(2)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되므로 전복사고에 대한 초기 응급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팽창하게 되어 전복된 고속단정의 복원방향을 예상가능하므로 이러한 사항을 조종자나 탑승자에 주지시키고 비상시 사고대처를 위한 교육훈련에 반영하게 되므로써, 전복사고 발생시 조종자나 탑승자가 전혀 혼란없이 신속하게 초기 응급대응을 가능하게 하므로써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은 완전팽창시 그 전체 형상이 "V"자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에어백이 장착되는 복원프레임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에어백에 의한 고속단정의 자가복원력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조종자에 의한 고속단정의 후방관측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하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에어백의 내부공간을 2개의 격실로 분리시키는 격벽의 중앙에 압력밸브를 설치하여 고속단정의 전복으로 인한 자가복원장치의 작동시 에어백의 각 격실이 순차적으로 팽창되도록 함으로서, 전복된 고속단정이 일정한 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하여 고속단정이 전복되는 위급한 상황에서도 고속단정의 복원방향을 쉽게 예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고속단정의 전복사고시 적절한 초기 대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속단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속단정(RIB) 2 : 선체
3 : 복원프레임 4 : 압축가스탱크
5 : 공급호스 10 : 에어백
7a, 7b : 과압배기밸브 8 : 가스주입구
9 : 자가복원장치 11 : 제 1격실
12 : 제 2격실 13 : 격벽
14 : 압력밸브

Claims (1)

  1. (정 정) 고속단정(1)의 선미부에 고정 설치되는 복원프레임(3)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 일측에는 압축가스탱크(4)로부터 공급호스(5)로 연결되어 압축가스가 공급되는 가스주입구(8)가 형성되고, 그 양측단부에는 일정 압력에 의하여 자동 개폐되는 과압배기밸브(7a)(7b)가 설치되는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0)은 압축공기에 의한 에어백(10)의 완전팽창시의 그 전체 형상이 "V"자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10)의 내측 중앙에는 그 내부공간을 제 1격실(11)과 제 2격실(12)로 분리시키는 격벽(13)이 설치되며,
    상기 격벽(13)의 중앙부에는 공압호스(5)가 연결되는 제 1격실(11)을 제 2격실(12)과 연결시키기 위한 압력밸브(14)가 관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
KR10-2002-0005916A 2002-02-01 2002-02-01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 KR100475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916A KR100475149B1 (ko) 2002-02-01 2002-02-01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916A KR100475149B1 (ko) 2002-02-01 2002-02-01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112A KR20020025112A (ko) 2002-04-03
KR100475149B1 true KR100475149B1 (ko) 2005-03-08

Family

ID=1971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916A KR100475149B1 (ko) 2002-02-01 2002-02-01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41B1 (ko) * 2020-02-18 2021-06-14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전복선박의 선체유지 및 강제복원을 위한 리프팅백 및 이를 이용한 전복선박의 선체유지 및 강제복원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4227B (en) * 2012-04-10 2013-09-11 Marine Specialised Technology Ltd Righting device for a water vessel
KR102628928B1 (ko) * 2022-10-26 2024-01-25 대한민국 에어튜브 골격이 구비된 선박 침몰 방지용 리프팅 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6100U (ko) * 1986-04-30 1987-11-09
JPS6324100U (ko) * 1986-08-01 1988-02-17
US5056453A (en) * 1990-02-14 1991-10-15 Derek Wright Apparatus for self-righting a rigid inflatable boat
JPH05262284A (ja) * 1992-03-19 1993-10-12 Taizo Okumura 船艇の復元装置
JPH09142381A (ja) * 1995-11-17 1997-06-03 Ishigaki:Kk 転覆船の姿勢復元装置
KR200264225Y1 (ko) * 2001-11-29 2002-02-19 보고엔지니어링(주) 모터보트의 자가복원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6100U (ko) * 1986-04-30 1987-11-09
JPS6324100U (ko) * 1986-08-01 1988-02-17
US5056453A (en) * 1990-02-14 1991-10-15 Derek Wright Apparatus for self-righting a rigid inflatable boat
JPH05262284A (ja) * 1992-03-19 1993-10-12 Taizo Okumura 船艇の復元装置
JPH09142381A (ja) * 1995-11-17 1997-06-03 Ishigaki:Kk 転覆船の姿勢復元装置
KR200264225Y1 (ko) * 2001-11-29 2002-02-19 보고엔지니어링(주) 모터보트의 자가복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41B1 (ko) * 2020-02-18 2021-06-14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전복선박의 선체유지 및 강제복원을 위한 리프팅백 및 이를 이용한 전복선박의 선체유지 및 강제복원방법
WO2021167191A1 (ko) * 2020-02-18 2021-08-26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전복선박의 선체유지 및 강제복원을 위한 리프팅백 및 이를 이용한 전복선박의 선체유지 및 강제복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112A (ko) 200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5863A (zh) 一种船舶防倾覆装置
WO2019104821A1 (zh) 船舶自动抗沉救生系统
KR20160127408A (ko) 보트용 전복 방지장치
US3340842A (en) Marine safety systems
CN203854542U (zh) 内置于车辆头枕的落水救生装置及相应的车辆头枕
KR100475149B1 (ko) 고속단정의 자가복원장치용 에어백
CN105799878A (zh) 船舶抗沉减摇装置
CN205602065U (zh) 船舶抗沉减摇装置
CN108557029A (zh) 一种船用应急充气气囊装置
JPH11342893A (ja) エアーバック方式による船舶の転覆防止装置
CN111204424B (zh) 一种便于稳定的安全救生船
US20030200910A1 (en) Self inflating marine fender
CN108069002B (zh) 一种船舶急救气囊
CN109050819A (zh) 一种水中航行器的自救系统
US1205033A (en) Life-raft.
AU2016200614B2 (en) Boat buoyancy aid
GB2369803A (en) A vessel having emergency inflatable buoyancy means
JPH0478694A (ja) 船舶の船体保護装置
CN213008652U (zh) 一种用于船舶抗沉的独立式快速充气囊装置
WO2020103307A1 (zh) 一种充气救生漂浮载体
CN106741739A (zh) 一种便携式水上救生设备
JP2002264890A (ja) 個人用救命ボート
US1023759A (en) Life-saving device.
JPH11301586A (ja) 船体緩衝用エアバッグ装置
CN110015389A (zh) 一种水上救援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