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570B1 - 스피닝릴 - Google Patents

스피닝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570B1
KR100471570B1 KR1019970007420A KR19970007420A KR100471570B1 KR 100471570 B1 KR100471570 B1 KR 100471570B1 KR 1019970007420 A KR1019970007420 A KR 1019970007420A KR 19970007420 A KR19970007420 A KR 19970007420A KR 100471570 B1 KR100471570 B1 KR 100471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rotor
spool
pinion gear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041A (ko
Inventor
쥰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98000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역회전시의 균형을 향상시키고, 낚싯줄을 풀어낸 후 다시 감는 동작으로 절환할 때 핸들을 파지하기 쉽게 한다.
스피닝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며 낚싯줄을 풀어낼 때 로우터를 제동할 수 있는 로우터 드래그형 릴로서, 동력 전달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동력 전달 기구(5)는, 릴 바디(2a)에 낚싯줄이 감기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핸들(1)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12)와, 피니언 기어(12)와 로우터(3)의 사이에 설치되며 그들을 착탈시키는 클러치 기구(13)와, 클러치 기구(13)를 착탈 조작하기 위한 조작 기구(14)와, 로우터(3)의 회전에 따라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레벨 와인드 기구(7)를 구비하며,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우터를 회전시키고 스풀을 전후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스피닝 릴
본 발명은 스피닝 릴, 특히 낚싯대에 부착되며 낚싯줄을 풀어낼 때 로우터를 제동할 수 있는 로우터 드래그형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에 있어서, 통상 스풀을 낚싯줄을 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동함으로써 드래그 동작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스풀을 회전시키면, 낚싯줄 감기와 풀기를 반복하는 동안 낚싯줄의 꼬임이 누적되기 때문에, 로우터를 낚싯줄을 풀어내는 방향으로 역회전시킴으로써 드래그 동작을 행하는 로우터 드래그형 스피닝 릴이 실용화되어 있다.
로우터 드래그형 스피닝 릴은, 일반적으로 핸들을 갖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피니언 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로우터와, 릴 본체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 축을 포함하는 스풀과, 피니언 기어에 연동하여 스풀 축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레벨 와인드 기구와, 역회전시 로우터를 제동하는 제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일본 실공평 3-67574호, 실공평 3-56370호 공보 등). 로우터는 회전이 부드럽게 되도록 균형이 잡혀 있다. 제동 기구는 로우터의 역회전시에만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판과, 릴 본체에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동판을 릴 본체에 압접시켜 제동하는 제동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동 기구를 갖는 로우터 드래그형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줄을 풀어낼 때에는 베일을 낚싯줄 오픈 위치로 요동시킨다. 또한, 낚싯줄을 감을 경우에는 핸들을 조작하여 로우터를 낚싯줄을 감는 방향으로 정회전시켜 낚싯줄을 스풀에 감는다. 한편, 낚싯줄을 스풀로부터 풀어 물고기와의 다툼을 벌일 때에는, 제동 레버에 의해 제동판을 릴 본체로 압접시켜 역회전하는 로우터를 제동하여 드래그 동작을 행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물고기와 다툼을 벌일 때 로우터가 고속으로 역회전하면 피니언 기어를 통해 핸들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문에, 로우터는 균형을 이루고 있어도 핸들이 불균형하므로 릴 본체가 진동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낚싯줄을 풀어낸 후 다시 감을 때에는, 제동 레버를 조작하여 로우터를 일단 정지시키거나, 충분히 감속시키지 않으면, 핸들을 파지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낚싯줄을 풀어 낸 후 다시 감는 동작을 순간적으로 행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로우터 드래그형 스피닝 릴에 있어서 역회전시의 균형을 향상시키고, 낚싯줄을 풀어낸 뒤 다시 감을 때 핸들을 용이하게 파지하게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피닝 릴은, 낚싯대에 부착되며 낚싯줄을 풀어낼 때 로우터를 제동할 수 있는 로우터 드래그형 스피닝 릴로서, 릴 본체, 로우터, 스풀 및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는 릴 바디와, 릴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낚싯대의 부착부와, 상기 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을 갖고 있다. 로우터는 릴 바디에 전후의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은 로우터의 전방에 릴 바디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 기구는 릴 바디에 낚싯줄을 감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핸들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와 로우터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들을 착탈하는 착탈 수단과, 착탈 수단을 착탈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과, 로우터의 회전에 따라 스풀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스풀 이동 수단을 구비하며,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우터를 회전시키고 스풀을 전후로 이동시킨다.
상기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줄을 풀어낼 경우 베일을 낚싯줄 오픈 위치로 젖혀서 낚싯줄을 풀어낸다. 또한, 낚싯줄을 감을 때에는 조작 수단에 의해 착탈 수단을 결합시킨 상태로 핸들을 낚싯줄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이 피니언 기어 및 착탈 수단을 통해 로우터에 전달되어 로우터가 낚싯줄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낚싯대에 물고기가 걸려 로우터가 낚싯줄을 풀어내는 방향으로 역회전했을 경우에는, 조작 수단에 의해 로우터와 피니언 기어를 결합시키면, 피니언 기어는 릴 바디에 대해 역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착탈 수단의 결합력에 따라 로우터가 제동된다. 이 때, 피니언 기어는 역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핸들도 역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핸들을 회전시키면 스풀 이동 수단에 의해 스풀이 전후로 이동하여 스풀에 낚싯줄이 균일하게 감긴다.
여기서는, 로우터의 역회전시에는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지 않아 불균형한 핸들도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역회전시의 균형이 향상된다. 또한, 낚싯줄을 풀어낸 뒤 다시 감을 때에는 핸들을 파지하기 쉽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스피닝 릴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을 결합 상태로 지지하는 결합 지지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착탈 수단이 결합 상태로 지지되므로 낚싯줄을 감을 때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착탈 수단을 결합 상태로 유지시킬 필요가 없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스피닝 릴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은 마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조작 수단은 마찰력을 조정하여 착탈 조작을 행한다. 이 경우에는, 조작 수단에 의해 마찰력을 조정하여 착탈 수단을 착탈 조작함으로써 로우터의 역회전시 임의의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스피닝 릴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릴 본체에 대해 이동하여 마찰력을 조정하는 조작 레버를 갖고 있다. 이 경우에는, 릴 본체에 대해 조작 레버를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도 간단히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스피닝 릴에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부착부에 근접하여 상기 릴 본체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낚싯대를 파지하는 조작에 의해 이동하여 마찰력을 조정한다. 이 경우에는, 낚싯대를 파지하는 조작에 의해 조작 레버를 이동시켜 마찰력(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핸들을 한 손으로 조작하면서 낚싯대를 파지한 다른 한 손으로 제동력 조정을 행하며, 제동력 조정을 타이밍 적절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스피닝 릴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회동함으로써 상기 릴 본체의 전후로 이동하여 마찰력을 조정하는 회동 부재를 갖고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 부재를 회동시킴으로써 전후로 이동시켜 착탈 수단을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찰력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스피닝 릴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는 피니언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원통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로우터와 피니언 기어가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탈 수단의 구성이 간소해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스피닝 릴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상기 스풀 이동 수단은 상기 로우터와 연동 회전하여 스풀을 전후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는, 로우터의 역회전시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지 않아도 로우터만 회전하면 스풀이 확실하게 전후로 이동하므로, 로우터의 역회전시 낚싯줄이 정연하게 풀린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스피닝 릴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릴 바디를 부착부에 핸들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과, 릴 바디의 요동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요동 위치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낚싯대의 릴에 가까운 낚싯줄 가이드와 릴을 연결하는 선상에 로우터의 회전축이 근접하도록 요동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로우터로부터 풀리는 낚싯줄의 요동 현상(상하로 이동하여 외관의 제동력이 변동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스피닝 릴은, 청구항 9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릴 바디를 상기 부착부에 상기 핸들 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 경우에는, 핸들 축을 요동축과 겸용할 수 있어 요동 기구의 구성이 용이하게 된다.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핸들(1)을 구비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전방에 전후의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우터(3)와, 로우터(3)의 전방에 배치되어 낚싯줄을 감는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릴 바디(2a)를 갖고 있으며, 그 상부에는 스피닝 릴을 낚싯대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2b)의 상면은 낚싯대에 밀착되는 부착면(2c)으로 되어 있다. 릴 바디(2a)의 내부에는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우터(3)를 회전시키고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5)가 설치되어 있다.
로우터(3)는 원통부(3a)와, 원통부(3a)의 측방향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제1 아암부(3b) 및 제2 아암부(3c)를 갖고 있다. 원통부(3a)의 전방벽(3d)의 중앙부에는 관통공(3f)을 갖는 보스부(3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f)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베어링(15),(16)이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15),(16)에 의해 로우터(3)가 피니언 기어(12;후술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3a)의 후단 내면에는 동력 전달용 내측 기어(3g)가 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 아암부(3b)의 선단과 제2 아암부(3c)의 선단부의 사이에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라인 롤러(9a) 및 베일(9b)을 갖는 베일 아암(9)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풀(4)은 로우터(3)의 제1 아암부(3b)와 제2 아암부(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후로 연장되는 스풀 축(8)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동체부(4a)와, 상기 동체부(4a)의 후방에 일체로 성형된 스커트부(4b)와, 상기 동체부(4a)의 전단에 고정된 플랜지부(4c)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8)은 레벨 와인드 기구(7)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동력 전달 기구의 구성〕
동력 전달 기구(5)는, 로우터(3)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동하기 위한 로우터 구동 제동 기구(6)와, 스풀(4)을 회전축심(X)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7)를 포함하고 있다.
로우터 구동 제동 기구(6)는, 핸들(1)이 고정된 핸들 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와, 피니언 기어(12)와 로우터(3)를 착탈시키는 클러치 기구(13)와, 클러치 기구(13)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기구(14)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축(10)은 좌우로 연장되어 있으며, 릴 바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스풀 축(8)이 관통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베어링(18),(19)에 의해 릴 바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원통부(12a)와 원통부(12a)의 후방에 형성된 기어부(12b)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부(12a)는 로우터(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풀(4)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전방에 나사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12a)에 베어링(15),(16)이 장착되며, 원통부(12a)에 의해 로우터(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나사부(12c)에는 너트(17)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베어링(15)을 고정하고 있다. 또한, 원통부(12a)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를 고정시키기 위한 서로 평행한 챔퍼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18)의 전방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12)와 릴 바디(2a)의 사이에는 롤러형의 일 방향 클러치(20)가 장착되어 있으며, 피니언 기어(12)는 일 방향 클러치(20)에 의해 낚싯줄을 감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다. 일 방향 클러치(20)는 릴 바디(2a)에 고정되며 내부에 톱니 모양의 요철이 형성된 외륜(20a)과, 피니언 기어(12)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장착된 내륜(20b)과, 외륜(20a)과 내륜(20b) 사이에 배치된 전동(轉動) 롤러(20c)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기구(13)는 착탈부(21)와, 그 착탈부(21)를 결합 상태로 지지하는 결합 지지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착탈부(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바디(2a)의 후단에 고정된 지지 부재(31)와, 지지 부재(31)의 후방에 그것에 대향되며 로우터(3)에 회전 및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된 지지판(32)과, 지지판(32)의 후방에 그것에 대향되며 피니언 기어(12)에 회전은 불가능하고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클러치판(33)을 갖고 있다.
지지 부재(31)는 릴 바디(2a)의 전방 접관부(2d)의 선단에 나사 고정된 원판형 부재로서, 지지판(32)과의 사이에는 지지기(미도시)에 의해 지지된 금속구(35)가 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31), 지지판(32) 및 금속구(35)로 트러스트 베어링이 구성되어 있다.
지지판(32)은, 로우터(3)의 보스부(3e) 후단에 형성된 상하 한쌍의 볼록 기어(3h)가 삽입되는 원호공(36)이 형성된 원판부(37)와, 보스부(3e) 안에 삽입되는 원통부(3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원통부(38)의 내부에 베어링(16)이 수납되어 있다.
클러치 판(33)은 지지판(32) 쪽에 배치된 금속으로 만들어진 클러치 디스크(40)와, 클러치 디스크(40)를 고정한 원판 모양의 디스크 부착부(41)와, 디스크 부착부(41)를 회전은 불가능하고 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형 연결 부재(42)를 갖고 있다. 디스크 부착부(41)에는 스플라인 내측 기어(41a)를 갖는 관통공(41b)이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42)에는, 챔퍼부(12d)에 결합되는 작은 판 모양의 관통공(42a)이 중심에, 스플라인 내측 기어(41a)에 맞물리는 스플라인 외측 기어(42b)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42)는 피니언 기어(12)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외주면에는 주방향으로 홈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42c)에는 클러치 판(33)을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원추 코일 스프링(43)의 소직경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원추 코일 스프링(43)의 대직경측 단부는 디스크 부착부(41)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42)와 일 방향 클러치(20)의 내륜 사이에는 와셔(45)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 기구(14)는 조작 레버(50)를 갖고 있다. 조작 레버(50)는 릴 바디(2a)와 부착부(2b)의 경계 부분에서 릴 바디(2a)에 지지축(51)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탄성 바이어스 부재(미도시)에 의해 화살표 A(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조작 레버(50)는 지지축(51)으로부터 만곡되어 경사지며 상측으로 연장된 레버부(50a)와, 지지축(33)으로부터 만곡되어 경사지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선단에 설치된 착탈 작용부(50b)를 갖고 있다. 착탈 작용부(50b)에는 회전 가능하게 금속구(52)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착탈 작용부(50b)는 클러치 판(33)의 후면을 압압하여 클러치 판(33)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지지판(32)으로 압접시킨다.
결합 지지부(22)는 조작 레버(50)를 도 4에 도시된 이탈 위치와 도 5에 도시된 결합 위치의 사이에서 절환시킬 수 있으며, 결합 상태에서 조작 레버(50)를 유지시킬 수 있다. 결합 지지부(22)는, 릴 바디(2a)의 후방에 스풀 축(8)과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축(60)과, 요동축(60)의 선단에 회동은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축(61)과, 요동축(60)과 이동축(61)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축(61)을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조정 스프링(62)을 구비하고 있다.
요동축(60)의 후단에는 요동 레버(63)가 회전이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요동축(60)은 요동 레버(63)에 의해 좌 45도(도 4의 위치)와 우 45도(도 5의 위치) 사이에서 90도로 요동한다. 요동축(60)의 축심부에는 조정 나사(64)가 결합되어 있다. 조정 나사(64)의 선단은 요동축(60)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직경 상에 장착된 조정 핀(65)에 접해있다. 조정 핀(65)의 양단은 요동축(6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조정 스프링(62)의 후단에 접촉되어 있다. 조정 나사(64)에 의해 조정 핀(65)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정 스프링(62)의 스프링 강도(이동축(61)으로의 탄성 바이어스력)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바이어스력을 조정함으로써, 결합 상태에서의 제동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요동축(60)의 선단에는 이동축(61)과의 결합용 스플라인 외측 기어(6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축(61)은 선단에 제동 레버(50)에 형성된 밀착면(50c)에 밀착 가능한 밀착부(61a)를 갖고 있다. 밀착부(61a)는 릴 바디(2a)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동축(61)은 밀착부(61a)에 연결되는 대직경부(61b)를 갖고 있다. 대직경부(61b)의 중심부에는 요동축(60)의 스플라인 외측 기어(60a)에 맞물리는 스플라인 내측 기어(61c)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61b)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원주형 캠 돌기(61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 돌기(61d)는 릴 바디(2a)에 형성된 경사 캠(66)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캠 돌기(61d)가 요동 축(60)의 요동 및 조정 스프링(62)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의해 경사 캠(66)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동축(61)이 축 방향으로 전진, 후퇴하여 조작 레버(50)를 요동시킨다.
레벨 와인드 기구(7)는 스풀 축(8)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낚싯줄을 스풀(4)에 균일하게 감기 위한 기구이다. 레벨 와인드 기구(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축(8)의 하방에 배치된 나사 축(71)과, 스풀 축(8)의 후단이 고정되며 나사 축(7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72)와, 나사 축(71)의 선단에 고정된 제1 중간 기어(73)를 갖고 있다. 나사축(71)의 외주면에는 교차하는 두 개의 나선홈(71a)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72)는 나선홈(71a)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미도시)를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 기구(미도시)에 의해 스풀 축(8)으로 평행하게 안내된다. 제1 중간 기어(73)는 그 하방에 배치된 제2 중간 기어(74)에 맞물려 있다. 제2 중간 기어(74)는 릴 바디(2a)의 전방 접관부(2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축(75)의 후단에 고정되어 있다. 중간축(75)의 선단에는 로우터(3)의 내측 기어(3g)와 맞물리는 제3 중간 기어(7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레벨 와인드 기구(7)에서는, 로우터(3)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내측 기어(3g), 제3, 제2, 제1 중간 기어(76),(74),(73)를 통해 나사축(71)에 전달되며, 슬라이더(72)가 전후로 왕복이동한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시에는 베일 아암(9)을 낚싯줄 오픈 위치로 젖혀서 낚싯대를 흔듦으로써 스풀(4)의 외주에 감긴 낚싯줄이 장치의 자중에 의해 풀어진다.
낚싯줄을 감을 경우에는 베일 아암(9)을 낚싯줄을 감는 위치로 되돌린다. 또한, 요동 레벨(63)을 좌 45도에서 우 45도로 요동시켜 착탈부(21)를 결합 상태로 만든다. 즉, 요동 레버(63)를 이와 같이 요동시키면, 요동축(60)이 요동하며 스플라인 결합된 이동축(61)도 요동한다. 이동축(61)이 요동하면, 그 대직경부(61b)의 외주면에 설치된 캠 돌기(61d)가 경사 캠(66)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동축(61)이 전진하여 밀착부(61a)의 선단이 조작 레버(50)의 밀착면(50c)에 접촉되어 조작 레버(50)를 결합 위치로 요동시킨다. 조작 레버(50)가 결합 위치로 요동하면, 착탈 작용부(50b)가 클러치 판(33)의 후면을 압압하여 클러치 판(33)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지지판(32)으로 밀착시킨다. 그 결과, 착탈부(21)가 결합 상태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1)을 낚싯줄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은 핸들 축(10), 마스터 기어(11)를 통해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이 때, 낚싯줄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피니언 기어(12)는 일 방향 클러치(20)에 의해 회전이 허용된다. 이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결합 상태의 착탈부(21)를 통해 로우터(3)로 전달된다. 또한, 로우터(3)가 회전하면 내측 기어(3g)를 통해 그 회전이 레벨 와인드 기구(7)로 전달되며, 스풀 축(8)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스풀(4)에 낚싯줄이 균일하게 감긴다.
로우터(3)를 역회전시켜 물고기와 다툼을 벌일 때에는, 요동 레버(63)를 좌 45도로 요동시켜 착탈부(21)를 이탈 상태로 만든다. 요동 레버(63)를 우 45도에서 좌 45도로 요동시키면, 캠 돌기(61d)가 경사 캠(66)을 따라 후퇴하며 이동축(61)도 후퇴한다. 그리고, 조작 레버(50)가 탄성 바이어스 수단(미도시)에 의해 이탈 위치까지 복귀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50)를 조작하여 물고기와의 다툼을 벌인다. 낚싯줄이 물고기에 의해 잡아 당겨져 로우터(3)가 역회전하면 지지판(32)에 전달되어 지지판(32)이 로우터(3)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50)를 도1의 화살표 A와 역 방향으로 요동하면, 착탈 작용부(50b)가 클러치 판(33)을 압압하여 지지 부재(31)에 의해 클러치 판(33)을 축 방향으로 지지된 지지판(32)에 압접시킨다. 이 때, 피니언 기어(12)는 일 방향 클러치(20)에 의해 역회전이 불가능하므로, 피니언 기어(12)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된 클러치 판(33)은 역회전하지 않는다. 이 결과, 역회전하는 로우터(3)에 제동력이 작용한다. 상기 조작 레버(50)에 가하는 힘을 가감함으로써 제동력을 조정하여 로우터(3)의 역회전 량을 임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마스터 기어(11)가 회전하지 않으며 핸들(1)도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역회전시의 균형이 향상되며, 낚싯줄을 풀어낸 뒤 다시 감을 때 핸들을 파지하기 쉽다. 또한, 회전 부분이 줄어들기 때문에 역회전시의 소음이 감소된다.
한편, 로우터(3)가 역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내측 기어(3g)를 통해 레벨 와인드 기구(7)로 전달되며, 나사축(71a)이 회전하여 슬라이더(72)가 왕복 이동한다. 그 결과, 스풀(4)에 감긴 낚싯줄이 정연하게 풀린다.
낚싯터를 이동할 때나 릴을 수납할 때에도 요동 레버(63)를 좌 45도에서 우 45도로 요동시켜 착탈부(21)를 결합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 로우터(3)의 역회전이 금지되며 스풀(4)에 감긴 낚싯줄이 장치의 자중 등에 의해 지나치게 풀리는 일은 없다.
〔다른 실시 형태〕
(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바디(2a)를 부착부(2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착탈 작용부(80b)를 갖는 봉 모양의 부재로서, 릴 바디(2a)의 전방 접관부(2d)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후단에 회동 조작용 다이얼(80a)을 구비하고 있다. 이 다이얼(80a)을 회동시킴으로써 조작 부재(80)가 전후로 이동하여 착탈부(21)를 착탈시킬 수 있으며, 임의의 제동력(드래그력)을 세밀하게 얻을 수 있다.
부착부(2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바디(2a)를 핸들 축(10)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부착부(2b)의 하단에 형성된 오목부(82)에는 릴 바디(2a)의 요동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요동 위치 조정부(81)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 위치 조정부(81)는 오목부(82)에 스풀 축(81)과 평행하게 배치된 조정축(83)과, 릴 바디(2a)에 설치된 결합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조정축(83)은 오목부(82)의 양측에서 부착부(2a)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정축(83)의 후단에는 요동 위치 조정용 파지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축(83)의 오목부(82)에 배치된 부분에는 나사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릴 바디(2a)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e)의 내부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관통하는 사각 관통공(2f)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2f)에 결합부(90)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90)는 나사부(85)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91)를 가지고 있다. 너트부(91)는 양측으로 돌출하는 요동축(92)을 구비하고 있다. 요동축(92)은 베어링(9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93)은 관통공(2f)에 형성된 가이드부(94)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요동 위치 조정부(81)에서는, 파지부(84)를 회동시킴으로써 조정축(83)이 회동하며, 나사부(85)에 나사 결합된 너트부(91)가 전후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릴 바디(2a)가 핸들축(10)의 주위로 요동한다.
이와 같은 요동 각도를 조정하지 않으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롤러(9a)가 낚싯대(F)에 근접한 위치와 반대 위치에서 낚싯대(F)의 제1 가이드(G; 릴에 가장 가까운 가이드)까지의 거리와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 때문에, 역회전 시의 토오크가 일정해도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이 변하며 로우터의 역회전시에 제동하면, 낚싯줄이 상하로 흔들림과 동시에 낚싯줄의 외관 제동력이 변하는 소위 요동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4)의 축심이 낚싯대(F)의 제1 가이드(G)를 향하도록 요동 각도를 조정하면, 낚싯대(F)의 제1 가이드(G)까지의 거리와 각도가 양 위치에서 대략 동일하게 되므로, 그와 같은 현상은 해소된다. 즉, 상기 요동 각도의 조정은 낚싯대에 맞추어 행하면 된다. 또한, 같은 낚싯대라도 드래그력의 차이에 의한 휨 상태에서 제1 가이드까지의 각도가 변할 때에는 드래그력에 맞추어 조정해도 된다. 이 경우, 드래그력을 다이얼(80a)로 조정하여 실제로 낚싯줄을 풀어 로우터(3)를 역회전시키면서, 스풀(4)의 축심을 제1 가이드(G)에 맞게 드래그 요동이 해소되도록 요동 각도를 조정하면 된다.
(b) 착탈부(21)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판(32) 및 클러치 판(33)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모양의 부재로 구성하며, 링 모양의 지지 부재(31), 지지판(32), 금속구(35)로 방사상 베어링을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작 레버(50)의 선단 상면에 착탈 작용부(50b)를 설치하고, 요동에 의해 클러치 판(32)을 낮추어 지지판(32)에 클러치 판(33)을 압접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피닝 릴에서는 로우터의 역회전시에는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지 않아 불균형한 핸들도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역회전시의 균형이 향상되며, 낚싯줄을 풀어낸 뒤 다시 감을 때에 핸들을 파지하기 쉽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착탈부의 요부 단면 확대도이다.
도 3은 착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결합 지지부의 요부 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결합 지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닝 릴의 측면도이다.
도 7은 그 착탈부의 요부 단면 확대도이다.
도 8은 요동 위치 조정부의 단면 부분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은 그 요동 위치의 설정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의 착탈부의 요부 단면 확대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핸들
2 릴 본체
2a 릴 바디
2b 부착부
3 로우터
3g 내측 기어
4 스풀
5 동력 전달 기구
6 로우터 구동 제동 기구
7 레벨 와인드 기구
10 핸들 축
12 피니언 기어
12a 원통부
13 클러치 기구
14 조작 기구
20 일 방향 클러치
21 착탈부
22 결합 지지부
31 지지 부재
32 지지판
33 클러치 판
80 조작 부재
81 요동 위치 조정부

Claims (10)

  1. 낚싯대에 부착되며, 낚싯줄을 풀어낼 때 로우터를 제동할 수 있는 로우터 드래그형 스피닝 릴로서,
    릴 바디와, 상기 릴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낚싯대의 부착부와, 상기 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을 갖는 릴 본체;
    상기 릴 바디에 낚싯줄을 감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핸들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릴 바디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낚싯줄을 감는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일방향 클러치;
    상기 릴 바디에 전후의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우터;
    상기 로우터의 전방에 상기 릴 바디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스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로우터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착탈시키는 착탈 수단;
    상기 착탈 수단을 착탈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
    상기 로우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풀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스풀 이동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을 결합 상태로 지지하는 결합 지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은 마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조작 수단은 마찰력을 조정하여 상기 착탈 조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릴 본체에 대해 이동하여 마찰력을 조정하는 조작 레버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부착부에 근접하여 상기 릴 본체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낚싯대를 파지하는 조작에 의해 이동하여 마찰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회동함으로써 상기 릴 본체의 전후로 이동하여 마찰력을 조정하는 회동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원통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이동 수단은 상기 로우터와 연동 회전하여 상기 스풀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9.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릴 바디를 상기 부착부에 상기 핸들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과,
    상기 릴 바디의 요동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요동 위치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릴 바디를 상기 부착부에 상기 핸들의 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KR1019970007420A 1996-06-04 1997-03-06 스피닝릴 KR100471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41474 1996-06-04
JP14147496A JP3585318B2 (ja) 1996-06-04 1996-06-04 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041A KR980000041A (ko) 1998-03-30
KR100471570B1 true KR100471570B1 (ko) 2005-08-09

Family

ID=1529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420A KR100471570B1 (ko) 1996-06-04 1997-03-06 스피닝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63007A (ko)
EP (1) EP0811320B1 (ko)
JP (1) JP3585318B2 (ko)
KR (1) KR100471570B1 (ko)
CN (1) CN1096829C (ko)
DE (1) DE69716669T2 (ko)
DK (1) DK0811320T3 (ko)
MY (1) MY126360A (ko)
TW (1) TW3343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4732B2 (ja) * 1998-09-17 2006-12-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JP4785305B2 (ja) * 2001-09-17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3977672B2 (ja) * 2002-03-15 2007-09-1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US6860442B2 (en) * 2003-07-19 2005-03-01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Co. Locking preset knob for fishing reel
IT1399344B1 (it) * 2010-04-08 2013-04-16 Rovella " mulinello da pesca per canne da lancio con dispositivo di freno a comando a leva ".
US8469300B2 (en) 2011-07-22 2013-06-25 Eastaboga Tacle Mfg. Co., Inc. Spinning reel
JP6046385B2 (ja) * 2012-06-18 2016-12-14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6261884B2 (ja) * 2013-06-05 2018-01-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ロータ制動装置の制動操作レバー
JP6247843B2 (ja) * 2013-06-21 2017-12-1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ロータ制動装置の制動操作レバー
JP6636748B2 (ja) * 2015-08-20 2020-01-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846332B2 (ja) * 2017-11-29 2021-03-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US10506802B2 (en) * 2017-11-29 2019-12-17 Globeride, Inc. Anti-reverse device for fishing spinning reel and fishing spinning reel having the same
US10869467B1 (en) * 2017-12-13 2020-12-22 Thomas Sandstrom Spinning type fishing reel with bi-directionally rotating rotor and drag control to prevent line twist
JP2018161139A (ja) * 2018-06-15 2018-10-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856738B2 (ja) * 2019-12-19 2021-04-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5072U (ko) * 1980-05-30 1981-12-24
JPS61201572U (ko) * 1985-06-10 1986-12-17
JPH0367574A (ja) * 1989-08-08 1991-03-22 Aabesuto Foods Kk 果実の種子部分抜去装置および詰物型加工食品の製造装置並びに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詰物型加工食品
JPH05219865A (ja) * 1992-02-14 1993-08-31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7163277A (ja) * 1993-10-18 1995-06-27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89844A (ja) * 1994-06-27 1996-01-1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1292A (en) * 1952-10-17 1955-06-21 John K Taggart Spinning type of fishing reel
US2918227A (en) * 1952-11-03 1959-12-22 Mauborgne Paul Variable drive device for fishing winches
US3948465A (en) * 1974-05-30 1976-04-06 Scusa Paul A Fishing reel construction
JPS6010381Y2 (ja) * 1980-05-30 1985-04-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ドラグ調整装置
GB2112611B (en) * 1981-11-05 1985-05-09 Shakespeare Co Fishing reel assembly
JPS58178876U (ja) * 1982-05-26 1983-11-3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2536456Y2 (ja) * 1991-03-22 1997-05-2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構造
JP2528079Y2 (ja) * 1992-01-30 1997-03-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5072U (ko) * 1980-05-30 1981-12-24
JPS61201572U (ko) * 1985-06-10 1986-12-17
JPH0367574A (ja) * 1989-08-08 1991-03-22 Aabesuto Foods Kk 果実の種子部分抜去装置および詰物型加工食品の製造装置並びに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詰物型加工食品
JPH05219865A (ja) * 1992-02-14 1993-08-31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7163277A (ja) * 1993-10-18 1995-06-27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89844A (ja) * 1994-06-27 1996-01-1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882A (zh) 1998-02-04
MY126360A (en) 2006-09-29
DE69716669D1 (de) 2002-12-05
JP3585318B2 (ja) 2004-11-04
EP0811320B1 (en) 2002-10-30
JPH09322679A (ja) 1997-12-16
EP0811320A3 (en) 1998-08-26
DK0811320T3 (da) 2003-03-03
EP0811320A2 (en) 1997-12-10
US5863007A (en) 1999-01-26
CN1096829C (zh) 2002-12-25
KR980000041A (ko) 1998-03-30
DE69716669T2 (de) 2003-07-24
TW334335B (en) 199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570B1 (ko) 스피닝릴
JPS6119659Y2 (ko)
KR100471569B1 (ko) 스피닝릴
JPH10304799A (ja)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398132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JP318459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538893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US3175781A (en) Clutch for fishing reel
JP334755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制動機構
JPH10178982A (ja) 魚釣り用両軸受リール
JP2000116288A (ja)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0276635A (ja) 魚釣り用リールの回転制動装置
WO1985002974A1 (en) Quick bail opening system for fishing reel
JP334468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制動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H1052198A (ja) バックラッシュ防止 ベイトリール
JPH0331186Y2 (ko)
JPH1021090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フェースギアの噛合調整構造
JPH022227Y2 (ko)
KR200204961Y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장치
JP200125843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S6335579Y2 (ko)
KR200263651Y1 (ko) 양베어링 릴의 백래쉬 방지장치
JPH0711584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216630Y2 (ko)
JPH04259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