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482B1 -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482B1
KR100471482B1 KR10-2002-0080785A KR20020080785A KR100471482B1 KR 100471482 B1 KR100471482 B1 KR 100471482B1 KR 20020080785 A KR20020080785 A KR 20020080785A KR 100471482 B1 KR100471482 B1 KR 100471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ecker
opening angle
vehic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619A (ko
Inventor
이용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4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0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서 체커 리미터를 탈거하여 도어의 열림각을 더욱 확장함으로서 차량사고시의 구조, 환자이송과 같은 응급상황, 도어열림각보다 큰 물건을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에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가 설치되는 부근의 차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핀을 통하여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스톱퍼가 설치되어 도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내장되며 도어가 열리면 상기 스톱퍼가 도어인너패널에 걸림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는 체커바; 상기 도어의 최대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스톱퍼와 접촉되는 도어인너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커 리미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Maximum opening angle control device of automobile doo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서 체커 리미터를 탈거하여 도어의 열림각을 더욱 확장함으로서 차량사고시의 구조, 환자이송과 같은 응급상황, 도어열림각보다 큰 물건을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에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에는 차량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고 승객이 차량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하여 도어를 여는 경우에 도어가 갑작스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한 만큼만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체커를 사용하고 있다.
도어체커는 도어가 처음에는 반 정도만 열릴 수 있도록 하는 홀드기능과 완전히 열렸을 때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정지시키는 스톱기능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 도1 내지 도4를 참고하여 종래 차량에 장착된 도어체커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프론트도어(2)와 리어도어(4)를 구비하고 있는 종래 승용차(1)의 측면도이다. 승차 또는 하차시에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프론트도어(2)와 리어도어(4)는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열림각에 제한이 있다. 통상적으로 도어의 최대열림각은 65~75°로 설정되어 있으며, 도어체커에 의하여 이러한 열림각이 제어된다.
도3 및 도4는 도1의 A-A선 절단면도로서, 종래 사용되는 도어체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면에서는 리어도어(4)에 장착된 도어체커(10)만이 표시되어 있으며, 나머지 도어들에 장착된 도어체커의 구조 및 작동상태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체커(10)는, 도어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3을 참고하면, 차량 바디의 사이드패널(6)에 부착되는 고정부재(11)와, 일측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1)에 핀(12)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측단부에는 스톱퍼핀(13a)이 고정되는 체커바아(13)와, 리어도어(4)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체커바아(13)가 관통되는 제동부(14)로 구성된다. 리어도어(4)가 닫힌 상태에서 체커바아(13)는 도어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도어가 열리면 외부로 노출되면서 제동역할을 한다.
또한 체커바아(13)는 소형차량에서는 글라스 채널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과 같이 굴곡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체커바아(13)는 제동부(14)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동부(14)의 내부구조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제동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4는 체커바아(13)가 외부로 노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리어도어(4)를 완전히 열어놓은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커바아(13)가 제동부(14)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제동부(14)에 의하여 스톱퍼핀(13a)이 걸리게 됨으로서 리어도어(4)가 더 이상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제동부(14)는 내부에 가이드와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체커(10)에 의하여 도어열림각이 제한된다.
그러나 도어열림각이 제한됨으로서, 평상시에는 사용상에 문제가 없으나, 차량사고 발생시에 부상당한 탑승자를 구조하거나, 환자이송시와 같은 응급상황 또는 도어열림각보다 더욱 큰 물건을 실어야 하는 경우에는 도어를 절단하여 제거하여야만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도어의 제거작업은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한 번 제거된 도어는 다시 사용할 수 없으며 차량의 수리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응급상황에서 도어를 최대한으로 열도록 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형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 차량에서 도어의 열림각이 더욱 확장되도록 개선함으로서 차량사고시의 구조, 환자이송과 같은 응급상황, 도어열림각보다 큰 물건을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가 설치되는 부근의 차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핀을 통하여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스톱퍼가 설치되어 도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내장되며 도어가 열리면 상기 스톱퍼가 도어인너패널에 걸림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는 체커바; 상기 도어의 최대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스톱퍼와 접촉되는 도어인너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커 리미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커 리미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도5a 및 도5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차량의 프론트도어(2)와 리어도어(4) 사이에는 차체의 지주(支柱) 역할을 하는 사이드패널(6)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위치되는데, 상기 사이드패널(6)에 리어도어(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패널(6)의 일측에는 고정부재(11)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11)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체커바(13)의 일단부가 연결핀(12)을 통하여 연결 설치된다.
상기 체커바(13)는 도면상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다수개의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가 개방될 때 서서히 개방되도록 제동을 하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고 나면 더 이상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체커바(13)의 타단부는 도어인너패널(4a)을 관통하여 도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내장되며, 그 타단부에는 상기 도어인너패널(4a)에 걸리도록 마련된 스톱퍼(13a)가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가 열리면 도어 내부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체커바(13)가 점점 도어 밖으로 노출되면서 체커바 타단부의 스톱퍼(13a)가 도어인너패널(4a)에 걸림으로써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의 최대 개방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13a)와 접촉되는 도어인너패널(4a)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체커 리미터(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도어인너패널(4a)과 체커바의 스톱퍼(13a) 사이에 상기 체커 리 미터(20)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도어(4)를 완전히 열게 되면 상기 스톱퍼(13a)가 상기 체커 리미터(20)에 닿음으로써 도어의 회동이 저지되어 도어가 더 이상 개방될 수 없게 된다. 물론, 상기 체커 리미터(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도어(4)의 개방각은 종래와 같이 약 73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체커 리미터(20)는 상기 도어인너패널(4a)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브래킷(24)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이 좋은데, 상기 마운팅브래킷(24)에는 소정크기의 결합공(24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결합공(24a)에 상기 체커 리미터(20)가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커 리미터(20)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결합공(24a)에 끼워 결합되도록 일단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결합부(21)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체커바(13)가 관통되어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체커바(13)의 단면에 대응되는 크기의 관통공(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커 리미터(20)의 타단에는 상기 체커 리미터(20)의 일단이 상기 마운팅브래킷(24)에 끼워 결합될 때 도어 외측면에 걸리도록 된 스톱퍼부(2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체커 리미터(20)는 결합부(21)와 스톱퍼부(23)에 의하여 상기 마운팅브래킷(24)과 도어 사이에 결합되어 체커바의 스톱퍼(13a)에 걸림으로써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4)의 개방각도를 더 확장하고자 할 때는 상기 체커 리 미터(20)를 상기 마운팅브래킷(24)으로부터 탈거하여 도어 외부로 빼내면 된다. 그러면 상기 체커 리미터(20)의 두께(t)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도어가 더 개방되고, 이때는 상기 체커바의 스톱퍼(13a)가 도어인너패널(4a)에 걸림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제한된다. 이때 도어가 개방되는 최대 각도는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90도가 되도록 상기 체커 리미터(20)의 두께(t)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에서 상기 체커 리미터(20)를 탈거하게 되면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가 거의 90도 각도로 개방될 수 있어서, 차량사고시의 구조나 환자이송과 같은 응급상황, 또는 큰 물건을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열림각을 최대 한도로 확장함으로서 차량사고시의 구조, 환자이송과 같은 응급상황, 도어열림각보다 큰 물건을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측면도,
도2는 종래 사용되는 차량의 도어 개방각을 보인 평면도,
도3 및 도4는 도1의 A-A선 절단면도로서, 종래 사용되는 도어체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커 리미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프론트도어 4 : 리어도어
4a: 도어인너패널 6 : 사이드패널
10 : 도어체커 11 : 고정부재
12 : 연결핀 13 : 체커바
13a : 체커바 스톱퍼 20 : 체커 리미터
21 : 결합부 22 : 관통공
23 : 스톱퍼부 24 : 마운팅브래킷
24a : 결합공

Claims (3)

  1. 도어가 설치되는 부근의 차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1);
    상기 고정부재(11)에 연결핀(12)을 통하여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스톱퍼(13a)가 설치되어 도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내장되며 도어가 열리면 상기 스톱퍼(13a)가 도어인너패널(4a)에 걸림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는 체커바(13);
    상기 도어의 최대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t)를 가지며 상기 스톱퍼(13a)와 접촉되는 도어인너패널(4a)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커 리미터(2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 리미터(20)는 상기 도어인너패널(4a)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브래킷(24)의 결합공(24a)에 끼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 리미터(20)는 상기 마운팅브래킷(24)에 끼워 결합되도록 일단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 결합부(21)와, 상기 체커바(13)가 관통되어 지나가도록 형성된 관통공(22) 및 타단이 상기 도어의 외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스톱퍼부(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
KR10-2002-0080785A 2002-12-17 2002-12-17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 KR100471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785A KR100471482B1 (ko) 2002-12-17 2002-12-17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785A KR100471482B1 (ko) 2002-12-17 2002-12-17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619A KR20040053619A (ko) 2004-06-24
KR100471482B1 true KR100471482B1 (ko) 2005-03-09

Family

ID=3734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785A KR100471482B1 (ko) 2002-12-17 2002-12-17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8462A (ja) * 2015-03-30 2016-11-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開度調整装置及びドアチェック機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56B1 (ko) * 2007-12-12 2008-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열림 각도 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8462A (ja) * 2015-03-30 2016-11-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開度調整装置及びドアチェッ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619A (ko)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447B2 (en) Slide door assembly with safety device
BR0302036A (pt) Dispositivo contra a intrusão de uma vidraça dentro de uma cabine de veìculo ferroviário por ocasião de um choque
KR100471482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최대개방각도 조절장치
KR20090062313A (ko) 버스의 비상탈출장치
KR100461252B1 (ko) 차량의 창문 파쇄용 비상햄머의 장착구조
KR100462401B1 (ko) 열림각 조정이 가능한 도어체커
KR100657668B1 (ko) 차량용 암레스트
JPH0952528A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装置
KR100535008B1 (ko) 이동구속장치를 갖춘 승합 차량의 슬라이딩도어
KR1007284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제어 장치
KR100233508B1 (ko)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개문 안전장치
JPS5853158B2 (ja) 自動車の開閉体ロツク装置
KR19980069314A (ko) 승합차용 사이드 도어의 록크장치
JP3108713B2 (ja) 自動車ドアー補強装置
KR20230126619A (ko) 차량용 도어 및 창 개방 시스템 및 도어 및 창 개방 방법
KR20040031476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잠금 장치
KR20050093339A (ko) 버스용 운전자 보호장치
KR100193675B1 (ko) 자동차 도어 잠김 장치
KR100371644B1 (ko) 자동차의 윈도우글라스 물림방지장치
KR200161246Y1 (ko) 자동차의 도어 팔걸이
KR200387338Y1 (ko) 승합차 출구의 걸림 방지 장치
JP2015127163A (ja) 車両用ワイパ装置
KR100191038B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KR19980042795U (ko) 승합차의 도어 구조
KR20000006721U (ko) 자동차용 도어 체크 링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