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150B1 - 버스 포트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버스 포트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150B1
KR100471150B1 KR10-2002-0044144A KR20020044144A KR100471150B1 KR 100471150 B1 KR100471150 B1 KR 100471150B1 KR 20020044144 A KR20020044144 A KR 20020044144A KR 100471150 B1 KR100471150 B1 KR 100471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port
connector
main body
accesso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047A (ko
Inventor
윤영수
이욱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150B1/ko
Priority to JP2002315758A priority patent/JP3746757B2/ja
Priority to DE10254529A priority patent/DE10254529A1/de
Publication of KR2004001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포트 접속장치(BUS PORT)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버스 포트에 삽입되는 부속장치가 다른 연결 포트와 간섭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장치의 버스 포트에 부속장치를 연결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고, 내부에 상기 부속장치가 실장 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부속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컴퓨터 장치의 버스 포트에 삽입되는 컨넥터; 회전축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상기 컨넥터가 장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갖고,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연결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부에 위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 포트 접속장치{BUS PORT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버스 포트 접속장치(BUS PORT)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USB 포트에 삽입되는 부속장치가 다른 연결 포트와 간섭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interface)는 최근들어 가장 각광받고 있는 연결방식이다. 이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USB 포트에 메모리스틱 또는 무선 랜카드 등의 부속장치들을 삽입하여 연결시키는 단자 또는 플러그, 커넥터 등을 의미한다. 종래에 비하여 현재의 퍼스널 컴퓨터 등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의 개발에 따라서 전화, 모뎀, 프린터, 마이크, 스피커, 마우스, 스캐너 등 많은 USB장치들의 연결을 필요로 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USB장치들과 본체와의 결합을 위하여 보다 편리하고 기능이 뛰어난 USB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USB장치들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핫플러깅 기능과 완벽한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능력을 갖고 있으므로 USB장치들을 교환할 때 컴퓨터를 재부팅시키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종래에는 케이블 형태의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제품의 경박단소화로 인하여 케이블 없이 직접 연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USB 인터페이스를 채택한 USB장치의 사용예이다. 도 1a는 USB 컨넥터(105)가 장착된 메모리 스틱(100)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b는 또한 USB컨넥터(125)가 결합된 무선 랜카드(120)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메모리스틱(100) 및 무선 랜카드(120)는 예를 들어 노트북에 장착되는 경우 도 2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USB 포트 주변의 다른 단자들, 즉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삽입구 또는 다른 USB 단자 등을 가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USB 장치를 도 3에서와 같이 데스크 탑 컴퓨터(300)에 사용하는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뒷면에 있는 여러개의 포트, 즉 다른 USB단자(315), 프린트단자(302), 모니터 단자(304), 키보드 단자(320) 및 마우스 단자(322) 등과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다른 단자를 사용할 수 없거나 USB포트(312)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장치를 각각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특히 90도 또는 180도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 장치의 버스 포트에 연결하는 연결부와 부속장치가 실장되는 본체부가 서로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의 다른 포트나 부속장치들과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 포트에 접속되는 부속장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부속장치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컴퓨터장치의 버스 포트에 부속장치를 연결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고, 내부에 상기 부속장치가 실장 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부속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컴퓨터 장치의 버스 포트에 삽입되는 컨넥터; 회전축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상기 컨넥터가 장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갖고,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연결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부에 위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장치의 버스 포트에 부속장치를 연결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고, 내부에 상기 부속장치가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힌지축을 갖는 힌지부; 상기 부속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컴퓨터 장치의 버스 포트에 삽입되는 컨넥터; 일측 끝단에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프레임이 형성되며, 타측 끝단에는 상기 컨넥터가 장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에 밀착되어 상기 원통형의 프레임에 위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장치의 버스 포트에 부속장치를 연결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고, 내부에 상기 부속장치가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힌지축을 갖는 힌지부; 상기 부속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컴퓨터 장치의 버스 포트에 삽입되는 컨넥터;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와 같은 평면 내에서 뻗어있는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 일부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오목홈; 일측 끝단 내부에 상기 가이드축의 오목홈에 들어맞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타측 끝단에는 상기 컨넥터가 장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축 및 연결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 및 상기 가이드축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연결부 내에 위치하는 탄성수단들;을 포함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세부 조립도이며, 도 6은 도 4의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회전부분을 상세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1)는 본체부(10), 가이드축(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는 특히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한다) 포트에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내부에 부속장치(12)가 실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본체부(10)는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두개의 긴 측면 중 하나에 반원형을 이루며 돌출되어 있는 힌지부(14)를 갖는다. 상기 힌지부(14)는 본체부(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짧은 측면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14)는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된 힌지축(16)을 갖는다. 상기 본체부(10)는 사방에 일정한 두께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힌지부(14)에는 측벽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는 가이드축(20)이 원활히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부(10)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가이드축(20)이 상기 본체부(10)의 힌지부(14)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축(20)은 긴 원통형의 회전축이며, 힌지부(14) 연결위치에 둥근 원통형의 프레임(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축(14)의 프레임(22)은 상기 힌지부(14)의 힌지축(16)에 끼워져서 상기 본체부(10)와 같은 평면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가이드축(20)의 위치가 힌지축(16)을 중심으로 0°에서 약 180°까지 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후술하는 도9에 상세히 도시된다. 한편, 가이드축(20) 일부의 외주면 둘레에는 오목한 형상의 오목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홈(26)은 연결부(30)와 가이드축(2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써 작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축(16)은 끝부분이 사각기둥 형상(17)을 이루고 있다. 또한 사각기둥의 각 에지(EDGE) 부분은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가이드축의 회전(또는 위치변경)을 부드럽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사각기둥 형상의 힌지축(16)은 상기 가이드축(20)의 프레임(22)에 삽입되며, 상기 프레임(22)은 내부에 내주면을 따라서 원형의 관통홀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원형 돌출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원형돌출부(28)의 상부는 후술하는 탄성수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축(20)은 내부가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가이드축(20)의 프레임(22)은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즉, 회전축이 부착되어 있는 쪽의 반대쪽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가이드축(20)의 관통부분을 지나 전선이 빠져나가서 부속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레임(22)을 감싸는 가이드커버(24)가 상기 가이드축(20) 프레임(22)에 덮힌다. 상기 가이드커버(24)는 일측에 상기 프레임(22)으로부터 나오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멍은 프레임(22)의 개구부보다 작은 크기이며, 이에 의해 전선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축(20)에 연결되는 연결부(30)는 일측의 끝단 내부에 상기 가이드축(20)의 오목홈(26)에 들어맞는 돌기부(34)를 갖는다. 돌기부(34)는 오목홈(26)에 들어맞게 되어 가이드축(20)을 중심으로 연결부(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목홈(26)은 상기 가이드축 둘레에 180°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부(30)의 돌기부(34)는 내주면의 90°를 차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26)에 들어맞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연결부(30)는 가이드축(20)을 중심으로 90°의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축(20)의 끝단부는 상기 힌지축(16)과 마찬가지로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다. 상기 사각기둥(21)의 각 모서리(또는 에지(EDGE))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부(30)의 회전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30)의 타측끝단에는 USB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3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32)는 가이드축(20)의 관통홀부분을 지나서 본체부(10)의 부속장치(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30)는 본체부(10)와 마찬가지로 상하부가 분리되어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축(20)을 본체부(10) 및 연결부(30)와 결합하고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힌지축(16) 및 가이드축(20)에는 적절한 탄성수단이 사용되어야 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바람직하게는 U자형의 스프링(52, 54)이 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52,54)은 각각 힌지축(16) 및 가이드축(20)의 사각기둥 부위에 밀착하여 위치하게 된다. 먼저, 상기 힌지축(16)의 사각기둥부위(17)에 밀착되는 스프링(52)은 가이드축(20)의 프레임(22)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22)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형 돌출부가 형성되며, 또한 원형 돌출부(28)는 U자형 스프링(52)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원형 돌출부(28)는 상기 스프링이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상기 힌지축의 대각선의 길이만큼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52)은 가운데에 상기 힌지축(16)이 삽입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프레임(22)의 원형 돌출부(28)에 접하게 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52)은 상기 가이드축(20)이 힌지축(16)을 중심으로 90°단위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힌지축(16)의 스프링(52)과 마찬가지로 가이드축(20)의 사각기둥 부위(21)와 맞닿는 스프링(54)은 U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0)의 일측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54)을 고정하기 위하여 스프링 고정돌기(36)가 연결부(30)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고정돌기(36)는 상기 스프링이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상기 가이드축의 대각선의 길이만큼 벌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도 7은 도 4의 USB 접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1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7에서 힌지축(16)을 중심으로 연결부를 90°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수단으로 U자형의 스프링을 사용하였고 또한 힌지축(16)에 사각기둥 부분(17)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30)는 90°이동한후 멈추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연결부(30)를 가이드축(20)을 중심으로 90°회전시킬 수 있고, 또는 상기 힌지축(16)을 중심으로 연결부(30)를 90°더 회전시킬 수도 있다. 연결부(30)가 힌지축(16)을 중심으로 180°회전한 경우 연결부(30)를 가이드축(20)을 중심으로 90°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가이드축(20)의 사각기둥 부분(21) 역시 U자형의 스프링을 통해 90° 만큼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가 가이드축을 중심으로 90°를 넘어서 회전하지 않도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토퍼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제2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회전부분을 상세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버스 포트 접속장치는 내부에 부속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60)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6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형성되며,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60)의 긴 측면 중의 하나에는 상기 측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61)를 갖는다. 상기 고정부(61)의 내부에는 원형의 회전축(75)이 지지될 수 있도록 원형의 지지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60)는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60)의 고정부(61)에는 회전축(75)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70)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부(70)는 일측에는 회전축(75)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버스 포트, 특히 USB 포트에 삽입되는 컨넥터(72)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70)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될 수 있는 조립구조를 갖고, 내부에는 상기 컨넥터(72)와 부속장치(6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73)이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70)의 회전축(75)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축이 된다. 상기 연결부(70)의 회전축(75)은 사각기둥 부분(74)을 갖는다. 사각기둥 부분(74)은 상기 회전축(75)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 모서리부분이 둥글게 다듬어진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사각기둥 부분(74)에 인접하게 탄성수단이 밀착되어 위치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바람직하게는 U자형 스프링(80)이다. 상기 U자형 스프링(80)은 상부와 하부가 같은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부와 하부가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 사이에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80)은 고정부(61)에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돌기(82)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돌기(82)는 도시한 바와 같은 U자형의 돌출벽이 되어 스프링(80)의 상하부 절곡된 부분이 외벽에 밀착하게 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돌기에 밀착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고정돌기(82)는 스프링의 일측이 맞물리도록 돌출되어있는 통상적인 구조로써 한쌍의 고정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고정돌기(82)는 상기 스프링이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상기 가이드축의 대각선의 길이만큼 벌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70)가 회전축(75)을 통해 180°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는 스토퍼(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76)는 사각형의 바(bar)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61)의 내측에 상기 스토퍼가 삽입될 수 있는 홈(77)이 180°만틈 내측 원주면 둘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연결부(70)가 180°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USB 접속장치의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본체부(60)가 연결부(7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10,60)와 USB컨넥터(32,72) 간의 위치관계는, 상기 컨넥터가 본체부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면, 본체부보다 돌출될 수 있으며 또는 본체부가 컨넥터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USB포트의 형태에 따라서 다르게 되는데, USB포트가 돌출되어 있는 컴퓨터에 상기 접속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체부보다 돌출되어 있지 않아야한다. 이와 반대로 USB포트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컨넥터가 본체부보다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90도 단위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은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사각기둥 형상을 팔각기둥 형상으로 하면 22.5도, 45도, 22.5도의 차례로 회전각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다각형의 기둥형상을 사용하여 다양한 각도 단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본체부가 연결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까지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하나의 회전축을 갖는 점이 상기 제1 실시예와 구별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조의 본체부(10)를 사용하며, 다만 연결부(90)가 단지 힌지축(1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점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힌지부(14), 힌지축(16), 힌지축에 형성되는 사각기둥부분(17) 등을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90)에는 일측 끝단에 상기 힌지축(16)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프레임(92)이 형성되며, 타측 끝단에는 버스 포트, 특히 USB 포트에 삽입되는 컨넥터(91)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90)는 상하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단지 하부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다. 연결부(90)의 내부는 상기 컨넥터(91)와 본체부(10)에 실장되는 부속장치 기판(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의 프레임(92)의 구조 및 그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수단인 U자형 스프링(95), 힌지축(16)의 구조 및 결합상태는 제1 실시예와 같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프레임(92)을 감싸는 가이드커버(94) 역시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90)의 컨넥터(91)가 컴퓨터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USB 포트에 삽입될 때 본체부(10)가 다른 단자들과 간섭하는 경우, 본체부(10)를 힌지축(16)을 중심으로 연결부(90)와 같은 평면 내에서 90도의 단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회전각도를 90도로 하여 구성하였으나, 힌지축(16)의 사각기둥 형상을 육각기둥 또는 다른 다각기둥형상으로 하면 다른 각도 단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노트북의 USB포트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데스크탑 컴퓨터의 USB포트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노트북(200)에 연결한 경우, 다른 USB단자(207) 또는 플로피 디스크(202) 등 여러 주변기기들과 간섭을 피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접속장치(1)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접속장치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속장치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도 10에서와 같이 90°또는 180°회전시켜서 주변 포트나 장치들과 간섭을 야기하지 않는 위치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데스크 탑 컴퓨터(300)에 꽂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역시 주변의 다른 단자들(302,315,322)과 간섭되지 않도록 접속장치(1)의 위치를 조정하여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도 11 및 도 12에서, 만약 버스 포트 접속장치에 내장되는 부속장치가 무선 랜카드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최적의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위치로 본체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눕혀놓는 것보다 세우는 것이 특성을 좋게 하기 때문에 본체부를 세워 성능을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 포트에 연결하는 연결부와 부속장치가 실장되는 본체부가 서로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주변의 다른 포트나 부속장치들과 간섭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축, 힌지축 및 회전축의 일부를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의 기둥으로 형성하고, 그 부분에 탄성수단을 밀착위치시켜서, 일정각도 단위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는 탄성수단으로 U자형의 스프링을 사용하였으며, 프레임 및 고정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간단하면서도 밀착력이 뛰어나고, 위치가 제대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는 컨넥터와 부속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가이드축, 연결부 및 프레임을 형성하여, 회전하더라도 전기적인 연결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단락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는 본체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부속장치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USB 부속장치인 메모리 스틱과 무선 랜카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USB 부속장치를 노트북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USB 부속장치를 테스크 탑 컴퓨터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세부 조립도이다.
도 6은 도 4의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회전부분을 상세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7의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회전부분을 상세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노트북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포트 접속장치를 데스크탑 컴퓨터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접속장치 10: 본체부
14: 힌지부 16: 힌지축
20: 가이드축 22: 프레임
24: 가이드커버 30: 연결부
32: 컨넥터 52,54: U자형 스프링

Claims (18)

  1. 컴퓨터장치의 버스 포트에 부속장치를 연결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공간에 실장되는 부속장치;
    상기 부속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컴퓨터 장치의 버스 포트에 삽입되는 컨넥터;
    일부가 적어도 사각이상의 다각형 형상을 갖는 회전축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상기 컨넥터가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컨넥터와 부속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축 형상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갖고,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연결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다각형 형상과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위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2. 삭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들은 U자형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회전축을 통해 180°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는 사각 바(bar) 형상의 스토퍼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상기 스토퍼에 들어맞는 홈이 회전축 둘레로 180°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6. 컴퓨터장치의 버스 포트에 부속장치를 연결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공간에 실장되는 부속장치;
    상기 본체부의 측면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일부는 적어도 사각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 기둥형상인 힌지축을 갖는 힌지부;
    상기 부속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컴퓨터 장치의 버스 포트에 삽입되는 컨넥터;
    일측 끝단에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프레임이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상기 컨넥터가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컨넥터와 상기 부속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된 중공축 형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의 다각 기둥형상에 밀착되고 상기 원통형의 프레임에 위치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7. 삭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U자형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프레임은 내측으로 돌출된 원형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 돌출부의 상부는 상기 스프링의 양끝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 돌출부는 상기 스프링이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상기 힌지축의 대각선의 길이만큼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10. 삭제
  11. 제 10항에 있어서, 일측면에 상기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의 프레임을 감싸는 원통형의 가이드커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12. 컴퓨터장치의 버스 포트에 부속장치를 연결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고,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공간에 실장되는 부속장치;
    상기 본체부의 측면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일부분은 적어도 사각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 기둥형상의 힌지축을 갖는 힌지부;
    상기 부속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컴퓨터 장치의 버스 포트에 삽입되는 컨넥터;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와 같은 평면 내에서 뻗어있고, 일부분은 적어도 사각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 기둥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컨넥터와 상기 부속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 일부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오목홈;
    일측 끝단 내부에 상기 가이드축의 오목홈에 들어맞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타측 끝단에는 상기 컨넥터가 장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축 및 연결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 및 상기 가이드축의 다각 기둥형상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연결부 내에 위치하는 탄성수단들;을 포함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13. 삭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들은 U자형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의 프레임은 내측으로 돌출된 원형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 돌출부의 상부는 상기 스프링의 양끝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 돌출부는 상기 스프링이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상기 힌지축의 대각선의 길이만큼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16. 삭제
  17. 제 16항에 있어서, 일측면에 상기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원통형의 가이드커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의 오목홈은 상기 축 둘레에 180°만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의 돌기부는 상기 오목홈의 일측에 들어맞도록 90°만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포트 접속장치.
KR10-2002-0044144A 2002-07-26 2002-07-26 버스 포트 접속장치 KR100471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144A KR100471150B1 (ko) 2002-07-26 2002-07-26 버스 포트 접속장치
JP2002315758A JP3746757B2 (ja) 2002-07-26 2002-10-30 バスポート接続装置
DE10254529A DE10254529A1 (de) 2002-07-26 2002-11-22 Bus-Port-Anschlussgerä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144A KR100471150B1 (ko) 2002-07-26 2002-07-26 버스 포트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047A KR20040011047A (ko) 2004-02-05
KR100471150B1 true KR100471150B1 (ko) 2005-03-10

Family

ID=3076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144A KR100471150B1 (ko) 2002-07-26 2002-07-26 버스 포트 접속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46757B2 (ko)
KR (1) KR100471150B1 (ko)
DE (1) DE102545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295B1 (ko) * 2007-02-01 2008-12-01 주식회사 씨모텍 Usb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1022808B1 (ko) * 2009-10-15 2011-03-22 (주)코쓰케이아이디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9041A (en) * 2004-10-08 2006-04-12 Bo Zheng Device with hinged USB connector
JP4930718B2 (ja) * 2007-09-13 2012-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器支持装置、電子機器
CN101242047B (zh) 2008-02-26 2010-06-09 华为终端有限公司 Usb连接件及usb装置
CN201527670U (zh) * 2009-07-01 2010-07-14 华为终端有限公司 数据卡
CN201818640U (zh) * 2010-07-01 2011-05-04 华为终端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旋转机构的电子设备
CN114069345A (zh) * 2021-11-22 2022-02-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江门供电局 一种终端调试连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390A (ja) * 1999-08-31 2001-03-16 Fujitsu Ltd 電子機器に取り付け可能な撮像装置
JP2001319745A (ja) * 2000-05-08 2001-11-16 Honda Tsushin Kogyo Co Ltd 変換用アダプタ
JP2002151222A (ja) * 2000-11-15 2002-05-24 Honda Tsushin Kogyo Co Ltd 変換用アダプタ
KR20030025074A (ko) * 2001-09-19 2003-03-28 하스넷주식회사 컴퓨터의 무선 송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390A (ja) * 1999-08-31 2001-03-16 Fujitsu Ltd 電子機器に取り付け可能な撮像装置
JP2001319745A (ja) * 2000-05-08 2001-11-16 Honda Tsushin Kogyo Co Ltd 変換用アダプタ
JP2002151222A (ja) * 2000-11-15 2002-05-24 Honda Tsushin Kogyo Co Ltd 変換用アダプタ
KR20030025074A (ko) * 2001-09-19 2003-03-28 하스넷주식회사 컴퓨터의 무선 송수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295B1 (ko) * 2007-02-01 2008-12-01 주식회사 씨모텍 Usb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1022808B1 (ko) * 2009-10-15 2011-03-22 (주)코쓰케이아이디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63440A (ja) 2004-02-26
JP3746757B2 (ja) 2006-02-15
DE10254529A1 (de) 2004-02-19
KR20040011047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629B2 (en) Device with USB terminal
JP3066802B1 (ja) ヒンジコネクタ
US6273735B1 (en) Rotating turret side-entry retractable jack
US9083106B2 (en) Receptacle connector
KR100471150B1 (ko) 버스 포트 접속장치
JP2001035584A (ja) 電子機器
US9871312B2 (en) Foldable plu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6814580B2 (en) Rotatable connector
KR200430966Y1 (ko) 절곡형 usb 젠더
JP2003132990A (ja) 可動プラグヘッド
US20220140517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904802B1 (ko) 힌지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
KR100227243B1 (ko) 아이씨 카드
KR200360118Y1 (ko) Usb 플러그 유니트
US20120021638A1 (en) Modular network connector
KR20010052100A (ko) 케이블 커넥션
CN214957735U (zh) 可折叠的双usb-c插头拓展坞
TWI757933B (zh) 電子插頭
JP2005217190A (ja) プラグ付き電子機器収納ケース及びプラグ付き電子機器
JPH07254461A (ja) 回転式アングルタイプコネクタ
TWM632960U (zh) 插座連接器、插座端子以及連接器組件
TWM629487U (zh) 插塞連接器、插塞端子以及連接器組件
US20130224972A1 (en) Universal serial bus device
JP2016212971A (ja) Acアダプタ用プラグの取り付け装置
JP2002216911A (ja) 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