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808B1 -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 Google Patents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808B1
KR101022808B1 KR1020090098261A KR20090098261A KR101022808B1 KR 101022808 B1 KR101022808 B1 KR 101022808B1 KR 1020090098261 A KR1020090098261 A KR 1020090098261A KR 20090098261 A KR20090098261 A KR 20090098261A KR 101022808 B1 KR101022808 B1 KR 101022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ion jack
cap
usb connec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석
Original Assignee
(주)코쓰케이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쓰케이아이디 filed Critical (주)코쓰케이아이디
Priority to KR1020090098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연결 회로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 단전으로 인출된 연결잭; 상기 몸체 후단으로 인출되어 몸체로부터 선회하며 방향 전환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을 몸체에 고정되게 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USB, 연결잭, 몸체, 전선, 방향 전환

Description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USB connection jack in which the redirection of the wire is possible}
본 발명은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와 연결된 전선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결잭의 공간이 차지하는 최소화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의 손상을 최소화하게 하는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 연결잭은 멀티미디어 상에 구비된 UBS 단자간 상호 연결되게 하여 멀티미디어 상의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거나 기기에 연결시켜 별도의 기기를 동작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써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USB 연결잭은 데이터의 처리 속도가 빨라 많은 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근래의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기기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USB 연결잭은 통상 연결 회로가 구비되는 몸체(1) 전단에 멀티미디어 측의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잭(2)이 구비되고 후단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3)이 구비되어 상호 연결되게 하고 있다. 즉,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전선의 양단에 각각 몸체가 구비되어 멀티미디어와 연결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선은 플랙시블하게 구성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USB 연결잭의 전선(3)은 몸체(1)와 연결된 측은 몸체(1)로부터 직선으로 인출되어 있어 연결잭(2) 단부에서 몸체(1)와 전선(3)의 단부까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야 하고 이러한 간격으로 인해 멀티미디어(M)와의 연결시 일정한 공간(L)을 꼭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잭이 직선 형태로 접속하고 있어 전선의 위치가 자유롭게 유동하더라도 몸체와 연결된 전선 측이 직선형태여서 전선의 유동으로 인해 몸체 측과의 연결 부위가 전선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와 연결된 전선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결잭의 공간이 차지하는 최소화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의 손상을 최소화하게 하는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은, 내부에 연결 회로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 단전으로 인출된 연결잭; 상기 몸체 후단으로 인출되어 몸체로부터 선회하며 방향 전환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을 몸체에 고정되게 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 단부에는 상기 전선의 외주면이 인입 고정되게 하는 곡선 형태의 인출 홈이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캡은 상편과 하편 및 상기 상편과 하편을 연결하는 수직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편과 하면 사이에는 곡선 형태의 측면 인출홈과 후면 인출홈이 형성되게 하여 전선이 인출홈 또는 후면 인출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와 캡에는 서로 밀착되는 위치에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 게 한다.
그리고 상기 캡은 절개공이 형성된 상편과 하편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평하게 구비되고, 인출공이 형성된 곡면에 의해 상편과 하편이 연결되게 하여 몸체에 삽탈되며 전선의 인출 방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캡이 삽입되는 측에 외부로 돌출된 결착돌기;가 더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선은 핀축에 의해 몸체 측에 고정된 상태로 선회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와 연결된 전선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결잭의 공간이 차지하는 최소화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의 손상을 최소화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의 방향 전환시 캡을 이용해 몸체와의 연결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선의 몸체로부터 전선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대한 작동 생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USB 연결잭(10)은 내부에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결이 가능토록 하는 연결 회로가 구비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 전단으로 돌출되어 멀티미디어 기기와 접속되게 하는 연결잭(120)과, 상기 몸체(110) 후단으로 인출되어 선회되며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 또는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전선(130)과 상기 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전선을 몸체에 고정시켜 보호하게 하는 한쌍이 캡(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10) 후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곡선지게 면취시켜 전선(130)의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몸체 후면 또는 측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하는 인출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10) 상면에는 캡(140)이 몸체에 결착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결합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홈(111) 측에는 몸체의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130) 단부에는 상기 몸체(110) 내에 구비되는 연결 회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외주면은 뭉치(131)가 형성되고 상기 뭉치(131)를 수직 관통하는 삽입공(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132)에 삽입되어 통공(112)과 연결되게 하는 핀축(13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140)은 판체 형태의 상편(141)과 하편(142)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수직편(143)에 의해 단부가 연결된 "ㄷ"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편(141)과 하편(142)의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결합홈(113)과 결착되는 결합돌기(144)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편(141)과 하편(142) 사이에는 측면 인출홈(145)과 후면 인출홈(146)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 인출홈(146)은 수직편(143)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쌍의 캡(140)이 몸체(11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측면 인출홈(145)은 인출홈(111)과 겹쳐져 하나의 원호 형태를 하게 하고 후면 인출홈(146)은 한쌍의 캡이 나란히 결합되었을 때 원호 형태를 하게 하여 전선(130)이 측면 인출홈(145)과 인출홈(111)에 의해 형성된 원호 측으로 인출되어 몸체(110) 측면으로 위치되게 하거나 또는 후면 인출홈(146) 측으로 전선이 인출되어 몸체의 후면 측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보면, 먼저 몸체(110) 내부에 연결 회로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연결잭(120)이 몸체와 일체형으로 사출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뭉치(131)를 인출홈(111) 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뭉치(131)의 삽입공(132)과 통공(112)이 중첩되게 위치시킨 후 핀축(133)이 통공과 삽입공에 삽입시켜 몸체에 대해 전선이 회전되도록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연결 회로와 전선(130)을 서로 연결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전선과 연결 회로를 연결시키는 전선은 전선의 선회하더라도 연결 회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여유 길이를 갖고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캡(140)이 몸체(110)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시켜 고정시키는데, 이때 상기 캡에 형성된 후면 인출홈(146)이나 측면 인출홈(145) 중 어느 한 곳으로 전선이 인출되도록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몸체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몸체 길이를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USB 연결잭에 의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전선의 휨으로 인해 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선이 핀축에 의해 몸체로부터 선회될 수 있게 결합되는 것을 기재하고 있지만 상기 전선이 몸체로부터 직섭 인출되어 휨에 의해 인출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먼저 멀티미디어 기기(M) 측에 USB 연 결잭(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140)은 몸체(110)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몸체(110)와 핀축(133)에 의해 결합된 뭉치(131)를 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전선(130)의 위치를 몸체의 후면 측 또는 측면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인출되게 한 후 측면에 위치된 전선(130)이 인출홈(111)에 위치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선이 측면으로 인출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캡(140)을 몸체(110) 측에 위치시킨 후 상편과 하편이 몸체를 감싸면 삽입되게 한다. 삽입된 상편과 하편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의해 몸체의 결합홈에 결속되며 캡을 몸체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캡 측면에 형성된 측면 인출홈(145)과 인출홈(111)에 의해 형성된 원호 측으로 전선이 인출되어 몸체 측면에 전선이 위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몸체 측면으로 인출된 전선은 몸체에 대해 휨 발생이 최소화되고 이를 통해 USB 연결잭이 멀티미디어 기기 측으로부터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선(230)이 핀축에 의해 몸체에 고정된 상태로 인출거나 또는 몸체로부터 직접 인출되게 하는 것은 동일하며, 몸체(210) 전단으로 돌출된 연결잭(220) 또한 동일하다.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몸체(210)에 캡(240)이 하나의 마련되어 전선을 인출된 방향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몸체(210) 후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반원 형태의 인출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홈(211) 상부측에는 후단으로 돌출된 결착돌기(2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착돌기(214) 하단에는 상기 인출홈(211)과 연결된 원호 형태의 결착홈(215)이 형성되어 몸체 후단으로 인출된 전선(230)이 수평으로 형성된 인출홈(211)의 좌측이나 또는 우측 방향으로 휘어 인출홈에 결착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후단의 결착홈(215)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캡(240)은 상편(241), 하편(242) 및 곡면(243)으로 이루어진 "ㄷ"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상편(241)에는 단부로부터 곡면(243) 측까지 연장되게 절개된 절개공(24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체(210)에 형성된 결착돌기(214)가 절개공(244) 측에 삽입되어 캡이 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고 있고, 상기 곡면(243)에는 상기 절개공(244)과 연계된 상태로 개구된 인출공(245)가 형성되어 전선이 캡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인출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몸체(210) 후단으로 인출된 전선(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핀축에 의해 몸체의 측면 또는 후단으로 방향을 선회될 수 있다. 선회된 전선이 몸체에 형성된 인출홈(211)의 좌,우 방향 또는 후단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인출홈 또는 결착홈에 결속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인출홈 또는 결착홈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차단진 인출홈 또는 결착홈 측에 전선의 외주면이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전선의 방향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을 몸체 측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캡의 상편에 형성된 절개공이 몸체의 결착돌기와 결합되며 몸체에 캡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전선이 측면으로 인출되었을 경우에는 캡의 곡면과 몸체의 인출홈이 하나의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인출된 전선의 외주면을 감싸며 안착될 수 있게 하며, 후단으로 인출되었을 경우에는 결착홈에 고정된 상태로 인출공으로 전선이 인출되어 캡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로부터 전선의 인출 방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USB 연결잭에 의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USB 연결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USB 연결잭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대한 작동 생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USB 연결잭 110,210 : 몸체
111.211 : 인출홈 112 : 통공
120,220 : 연결잭 130,230 : 전선
131 : 뭉치 132 : 삽입공
140,240 : 캡 141,241 : 상편
142,242 : 하편 143 : 수직편
144 : 결합돌기 145 : 측면 인출홈
146 : 후면 인출홈 243 : 곡면
244 : 절개공 245 : 인출공

Claims (7)

  1. 내부에 연결 회로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 단전으로 인출된 연결잭;
    상기 몸체 후단으로 인출되어 몸체로부터 선회하며 방향 전환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을 몸체에 고정되게 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와 캡에는 서로 밀착되는 위치에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단부에는 상기 전선의 외주면이 인입 고정되게 하는 곡선 형태의 인출 홈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편과 하편 및 상기 상편과 하편을 연결하는 수직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편과 하면 사이에는 곡선 형태의 측면 인출홈과 후면 인출홈이 형성되게 하여 전선이 인출홈 또는 후면 인출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인출될 수 있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절개공이 형성된 상편과 하편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평하게 구비되고, 인출공이 형성된 곡면에 의해 상편과 하편이 연결되게 하여 몸체에 삽탈되며 전선의 인출 방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캡이 삽입되는 측에 외부로 돌출된 결착돌기;가 더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7.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핀축에 의해 몸체 측에 고정된 상태로 선회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KR1020090098261A 2009-10-15 2009-10-15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KR101022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261A KR101022808B1 (ko) 2009-10-15 2009-10-15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261A KR101022808B1 (ko) 2009-10-15 2009-10-15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808B1 true KR101022808B1 (ko) 2011-03-22

Family

ID=4393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261A KR101022808B1 (ko) 2009-10-15 2009-10-15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8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204B1 (ko) 2000-08-24 2002-06-20 성경모 컴퓨터 주변기기용 유에스비 소형 컨넥터
KR100471150B1 (ko) * 2002-07-26 2005-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버스 포트 접속장치
KR100829442B1 (ko) 2006-10-31 2008-05-15 화남전자 주식회사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식 풋 스위치 및 그 제어회로
KR100919325B1 (ko) 2008-02-27 2009-09-25 서정주 유에스비 전원 롤형 속눈썹 성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204B1 (ko) 2000-08-24 2002-06-20 성경모 컴퓨터 주변기기용 유에스비 소형 컨넥터
KR100471150B1 (ko) * 2002-07-26 2005-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버스 포트 접속장치
KR100829442B1 (ko) 2006-10-31 2008-05-15 화남전자 주식회사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식 풋 스위치 및 그 제어회로
KR100919325B1 (ko) 2008-02-27 2009-09-25 서정주 유에스비 전원 롤형 속눈썹 성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3228B (zh) 电端子
JP2007134301A (ja) 垂直嵌合雌端子及びこれが装着されるハウジング
TW200729646A (en) Electric connector
CN201054396Y (zh) 电连接器
ES2354464T3 (es) Contacto de conexión para conductores eléctricos.
RU2010112251A (ru) Разъем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области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й
SG153708A1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CN106486837A (zh) 连接器
US7329131B1 (en) Electrical track and connector assembly
JP5693720B2 (ja) 絶縁変位端子と係留される絶縁ボディとを含むプラグインコネクタ
KR101022808B1 (ko) 전선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usb 연결잭
KR100664415B1 (ko) 회전식 조립 모듈 콘센트
KR101020090B1 (ko) 플러그
CN102790300B (zh) 一种低插入力高拔出力的直插端子
KR101736205B1 (ko) 전선 정리가 용이한 멀티탭 장치
CN102790301B (zh) 一种低插入力高拔出力的旗形端子
CN109216953A (zh) 连接器
CN108376848B (zh) 一种ffc连接器
CN202601962U (zh) 卡连接器
CN205724185U (zh) 电子卡连接装置
CN202601970U (zh) 卡连接器
CN204243413U (zh) 一种网线连接器
CN102882030A (zh) 卡连接器
CN217522328U (zh) 一种吊框接线式二次接插件
CN107334423B (zh) 一种具有控制开关的软管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