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093B1 -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093B1
KR100471093B1 KR10-2002-0044589A KR20020044589A KR100471093B1 KR 100471093 B1 KR100471093 B1 KR 100471093B1 KR 20020044589 A KR20020044589 A KR 20020044589A KR 100471093 B1 KR100471093 B1 KR 100471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circuit
transistor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019A (ko
Inventor
쯔지기미또시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2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multip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04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04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ev
    • Y10S903/907Electricity storage, e.g. battery, capacitor

Abstract

(과제)
저비용으로 복수의 배터리의 충방전이 가능한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모터 제네레이터 (2) 에 접속되는 인버터 (5) 와, 충방전가능하고, 축전 전압이 상이한 주배터리 (3) 및 보조배터리 (4) 와, 인버터 (5) 에 접속되어 인버터 (5) 와 주배터리 (3) 및 보조배터리 (4) 와의 사이의 전력 수수를 가능한 전력변환회로 (6) 와, 전력변환회로 (6) 와 주배터리 (3) 및 보조배터리 (4) 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전력변환회로 (6) 와 주배터리 (3) 및 보조배터리 (4) 와의 접속을 전환가능하게 하는 스위칭 회로 (7) 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원장치{POW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차량 등에 탑재되며, 충방전가능한 복수의 배터리를 구비한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충방전가능한 복수의 배터리를 구비한 전원장치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50402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내연기관과 주행 모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전압의 주배터리 (10l) 와 저전압의 보조(補機)배터리 (102) 를 구비하고, 엔진 (103) 의 구동에 의해 발전 전동기 (M/G) (104) 로 발전하여, 인버터 (105) 를 통하여 주배터리 (10l) 를 충전하고, 주배터리 (101) 의 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전동기 (104) 를 구동시키는 전원장치가 알려져 있다. 주배터리 (101) 와 보조배터리 (102) 의 사이에는, DC-DC 컨버터 (106) 가 설치되어 있다. 이 DC-DC 컨버터 (106) 를 통하여, 주배터리 (101) 와 보조배터리 (102) 사이의 전력 수수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한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보조배터리 (102) 의 충방전을 하기 위해 DC-DC 컨버터 (106) 가 필요하여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고압측 교직(交直) 변환회로, 저압측 교직변환회로, 트랜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력변환회로와 보조배터리 (102) 로부터 주배터리 (101) 로의 충전시에 불가결한 승압 스위칭 회로를 구비한 DC-DC 컨버터 (106) 가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DC-DC 컨버터 (106) 가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비용의 증대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저비용으로 복수의 배터리의 충방전을 가능하게 한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는, 피전력 수수장치에 접속되는 인버터와, 충방전가능하게 하고 축전전압이 상이한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와, 인버터에 접속되고 변압기능을 갖는 전력변환수단과, 전력변환수단과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 사이에 설치되고 전력변환수단과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와의 접속을 전환가능하게 한 접속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는, 전력변환수단이, 트랜스와, 이 트랜스의 1 차측에 접속되는 제 1 브릿지 회로와, 상기 트랜스의 2 차측에 접속되는 제 2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는, 접속전환수단이, 전력변환수단과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와의 접속을 전환하는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는, 접속전환수단이 스위칭 회로를 통하여 제 1 배터리와 제 2 배터리와의 사이에 접속되는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는, 피전력 수수장치가 모터 제네레이터이고, 인버터가 모터 제네레이터의 교류 출력을 정류할 수 있게 하고, 모터 제네레이터에 대하여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는, 피전력 수수장치의 구동에 의해 주행가능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전력변환수단과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와의 접속을 전환가능하게 함으로써, 피전력 수수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적절히 선택하여 제 1 배터리 또는 제 2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고, 또한 제 1 배터리 또는 제 2 배터리에 축전된 전력을 적절히 선택하여 피전력 수수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변환수단 이외에 DC-DC 컨버터 등의 승압 회로를 설치하는 것없이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의 충방전이 가능하여, 부품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수단을 통하여 인버터와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가 접속되므로, 인버터의 배터리측의 입출력 전압을 고압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의 구성부품으로서 소전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어, 인버터의 소형화 및 부품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 중 고전압측의 배터리가 30∼42 V 타입인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스위칭 회로를 통하여 제 1 배터리와 제 2 배터리와의 사이에 코일을 접속함으로써, 전력변환수단 및 접속전환수단을 승강압 초퍼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제 1 배터리와 제 2 배터리와의 사이의 전력 수수가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서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구성 개요도이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 (1) 는, 엔진을 탑재하면서 모터 제네레이터 (2) 의 구동에 의해 주행가능하게 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설치되는 것이다. 전원장치 (1) 가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는, 차륜구동을 모터 제네레이터로 행하여 엔진을 모터 제네레이터 (3) 로의 전력공급원으로서 사용하는 시리즈 타입, 엔진과 모터 제네레이터 쌍방으로 차륜을 구동가능하게 한 패럴렐 타입, 또는 시리즈 타입과 패럴렐 타입의 두 기능을 겸비한 패럴렐 시리즈 타입 등 모든 타입의 하이브리드 차량이라도 된다.
전원장치 (1) 에는, 주배터리 (3) 와 보조배터리 (4) 가 설치되어 있다. 주배터리 (3) 는, 주로 모터 제네레이터 (2) 로 급전을 행하기 위한 배터리이고, 충방전가능한 2차 전지가 사용된다. 주배터리 (3) 로서는, 보조배터리 (4) 보다 고전압 타입의 것, 예컨대 DC 36∼40 V 타입의 것이 사용된다.
보조배터리 (4) 는,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보조기기(補機) (도시 생략) 로 급전을 행하며, 필요에 따라 모터 제네레이터 (2) 로 급전을 행하기 위한 배터리이고, 충방전가능한 2차 전지가 사용된다. 보조배터리 (4) 는, 주배터리 (3) 와 축전 전압이 상이한 타입의 배터리이고, 예컨대 DC 12∼14 V 타입의 것이 사용된다.
모터 제네레이터 (2) 는 인버터 (5) 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 (5) 는, 모터 제네레이터 (2) 의 교류 출력을 정류하고, 모터 제네레이터 (2) 에 대하여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인버터 (5) 는, 6 개의 트랜지스터 (51) 로 구성된 3상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각 트랜지스터 (51) 의 콜렉터 단자와 에미터 단자와의 사이에는, 역방향으로 다이오드 (52) 가 접속되어 있다.
각 트랜지스터 (51) 의 베이스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 (5) 는, 직류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콘덴서 (53) 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5) 는,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 트랜지스터 (51) 의 작동이 제어되어, 직류 전류와 3상 교류 전류의 변환을 행한다.
인버터 (5) 는, 전력변환회로 (6) 및 스위칭 회로 (7) 를 통하여 주배터리 (3) 및 보조배터리 (4) 와 접속되어 있다. 전력변환회로 (6) 는, 변압기능을 구비한 전력변환수단이다. 전력변환회로 (6) 에는, 트랜스 (61), 제 1 브릿지 회로 (62) 및 제 2 브릿지 회로 (63) 가 설치되어 있다. 트랜스 (6l) 의 1차측에는 제 1 브릿지 회로 (62) 가 접속되고, 트랜스 (61) 의 2차측에는 제 2 브릿지 회로 (63) 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브릿지 회로 (62) 는, 4 개의 트랜지스터 (64) 에 의해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고, 각 트랜지스터 (64) 의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와의 사이에 역방향으로 다이오드 (65) 를 접속한 것이다. 트랜지스터 (64) 로서는, 예컨대 FET (Field Effect Transistor) 가 사용된다. 각 트랜지스터 (64) 의 게이트 단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접속되어 있다. 그 제어기로부터 제어신호가 각 트랜지스터 (64) 의 게이트 단자로 출력됨으로써, 각 트랜지스터 (64) 가 작동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트랜스 (61) 의 교류 출력의 정류 또는 주배터리 (3) 등의 직류 전력의 교류 변환이 행해진다.
제 2 브릿지 회로 (63) 는, 4 개의 트랜지스터 (66) 에 의해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고, 각 트랜지스터 (66) 의 콜렉터 단자와 에미터 단자와의 사이에 역방향으로 다이오드 (67) 를 접속한 것이다. 각 트랜지스터 (66) 의 베이스 단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접속되어 있다. 그 제어기로부터 제어신호가 각 트랜지스터 (66) 의 베이스 단자에 출력됨으로써, 각 트랜지스터 (66) 가 작동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트랜스 (61) 의 교류 출력의 정류 또는 인버터 (5) 의 직류 출력의 교류 변환이 행해진다.
스위칭 회로 (7) 는, 전력변환회로 (6) 와 주배터리 (3) 및 보조배터리 (4) 와의 접속을 전환하는 접속전환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회로이다. 스위칭 회로 (7) 는, 전력변환회로 (6) 의 제 1 브릿지 회로 (62) 와 주배터리 (3) 와의 사이에 스위칭 소자로서 트랜지스터 (71) 를 배치 형성하고, 제 1 브릿지 회로 (62) 와 보조배터리 (4) 와의 사이에 스위칭 소자로서 트랜지스터 (72) 를 배치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트랜지스터 (71) 로서 FET 가 사용되고, 트랜지스터 (71) 의 드레인 단자가 제 1 브릿지 회로 (62) 에 접속되고, 그 소스 단자가 주배터리 (3) 의 정단자에 접속되고, 그 게이트 단자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72) 로서 FET 가 사용되고, 트랜지스터 (72) 의 드레인 단자가 제 1 브릿지 회로 (62) 에 접속되고, 그 소스 단자가 보조배터리 (4) 의 정단자에 접속되고, 그 게이트 단자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71) 가 온으로 되고, 트랜지스터 (72) 가 오프로 됨으로써, 전력변환회로 (6) 와 주배터리 (3) 가 접속되어, 인버터 (5) 와 주배터리 (3) 와의 사이의 전력 수수가 가능해진다.
트랜지스터 (71) 가 오프로 되고, 트랜지스터 (72) 가 온으로 됨으로써, 전력변환회로 (6) 와 보조배터리 (4) 가 접속되어, 인버터 (5) 와 보조배터리 (4) 와의 사이의 전력 수수가 가능해진다.
다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장치 (1) 에서의 배터리 충전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있어서, 모터 제네레이터 (2) 가 발전하면, 모터 제네레이터 (2) 로부터 인버터 (5) 로 3상의 교류 전류가 입력된다. 이 때, 인버터 (5) 의 각 트랜지스터 (51) 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의해 적절히 스위칭 제어되어, 교류 전류가 직류로 변환된다.
그리고, 인버터 (5) 로부터 직류 전류가 전력변환회로 (6) 로 입력된다. 전력변환회로 (6) 에서는, 직류 전류를 제 2 브릿지 회로 (63) 에 의해 교류 전류로 변환하고, 트랜스 (61) 에 의해 저전압으로 강압하고, 제 1 브릿지 회로 (62) 에 의해 교류 전류를 정류하여 직류 전류로 변환한다.
예컨대, 제 2 브릿지 회로 (63) 의 각 트랜지스터 (66) 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의해 적절히 스위칭 제어된다. 이에 의해, 직류 전류가 스위칭 주기와 동기된 교류 전류로 변환된다. 제 1 브릿지 회로 (62) 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64) 가 오프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브릿지 회로 (62) 가 다이오드 (65) 에 의해 전파 정류 회로로서 기능하여,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로 변환된다. 이 때, 제 2 브릿지 회로 (63) 의 트랜지스터 (66) 의 스위칭시의 듀티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전력변환회로 (6) 에서의 변압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 1 브릿지 회로 (62) 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변환회로 (6) 로부터 직류 전류가 스위칭 회로 (7) 에 입력된다. 스위칭 회로 (7) 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의해 트랜지스터 (71) 또는 트랜지스터 (72) 가 온 상태로 된다. 트랜지스터 (71) 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주배터리 (3) 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한편, 트랜지스터 (72) 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보조배터리 (4) 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스위칭 회로 (7) 의 작동에 의해, 주배터리 (3) 또는 보조배터리 (4) 중 일방으로 선택적으로 충전이 행해진다.
이어서, 전원장치 (1) 에서의 모터 제네레이터 구동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있어서, 스위칭 회로 (7) 의 트랜지스터 (71) 또는 트랜지스터 (72) 가 온 상태로 된다. 이 때, 트랜지스터 (71) 를 온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주배터리 (3) 의 전력이 스위칭 회로 (7) 를 통하여 전력변환회로 (6) 에 공급된다. 한편, 트랜지스터 (72) 를 온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보조배터리 (4) 의 전력이 스위칭 회로 (7) 를 통하여 전력변환회로 (6) 에 공급된다.
그리고, 스위칭 회로 (7) 로부터 직류 전류가 전력변환회로 (6) 에 입력된다. 전력변환회로 (6) 에서는, 직류 전류를 제 1 브릿지 회로 (62) 에 의해 교류 전류로 변환하고, 트랜스 (61) 에 의해 고전압으로 승압하고, 제 2 브릿지 회로 (63) 에 의해 교류 전류를 정류하여 직류 전류로 변환한다.
예컨대, 제 1 브릿지 회로 (62) 의 각 트랜지스터 (64) 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의해 적절히 스위칭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직류 전류가 스위칭 주기와 동기된 교류 전류로 변환된다. 한편, 제 2 브릿지 회로 (63) 에서는, 각 트랜지스터 (66) 가 오프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제 2 브릿지 회로 (63) 가 다이오드 (67) 에 의해 전파 정류 회로로서 기능하여,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로 변환된다. 이 때, 제 1 브릿지 회로 (62) 의 트랜지스터 (64) 의 스위칭시의 듀티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전력변환회로 (6) 에서의 변압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 2 브릿지 회로 (63) 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변환회로 (6) 로부터 직류 전류가 인버터 (5) 에 입력된다. 인버터 (5) 에서는, 트랜지스터 (51) 가 스위칭 제어되어, 입력된 직류 전류를 3상 교류 전류로서 모터 제네레이터 (2) 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모터 제네레이터 (2) 가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 (1) 에 의하면, 스위칭 회로 (7) 에 의해 전력변환회로 (6) 와 주배터리 (3) 및 보조배터리 (4) 와의 접속을 전환가능하게 함으로써, 모터 제네레이터 (2) 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적절히 선택하여 주배터리 (3) 또는 보조배터리 (4) 에 충전할 수 있고, 또한 주배터리 (3) 또는 보조배터리 (4) 에 축전된 전력을 적절히 선택하여 모터 제네레이터 (2) 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변환회로 (6) 이외에 DC-DC 컨버터 등의 승압 회로의 설치없이 주배터리 (3) 및 보조배터리 (4) 의 충방전이 가능해져, 부품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가능한 전력변환회로 (6) 를 통하여 인버터 (5) 와 주배터리 (3) 및 보조배터리 (4) 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인버터 (5) 의 배터리측의 입출력 전압을 고압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 (5) 의 구성부품인 트랜지스터 (51) 로서 소전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어, 인버터 (5) 의 소형화 및 부품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보조배터리 (4) 보다 고전압인 주배터리 (3) 가 30∼42 V 타입인 경우에 유효하다. 즉, 주배터리 (3) 가 30∼42 V 타입인 경우, 전력변환회로 (6) 를 통하지 않고 인버터 (5) 와 주배터리 (3) 를 직접 접속하면, 인버터 (5) 에서 30∼42 V 정도의 저전압의 전력을 취급하게 되어, 트랜지스터 (51) 등으로서 대전류 타입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51) 의 부품 비용이 높아지고, 인버터 (5) 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비해, 전력변환회로 (6) 를 통하여 인버터 (5) 와 주배터리 (3) 를 접속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구성 개요도이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 (1a)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 (1) 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전원장치 (1) 와 마찬가지로 주배터리 (3), 보조배터리 (4), 인버터 (5) 및 전력변환회로 (6) 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장치 (1a) 의 스위칭 회로 (7a) 는,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칭 회로 (7) 와 마찬가지로, 전력변환회로 (6) 와 주배터리 (3) 및 보조배터리 (4) 와의 접속을 전환하는 접속전환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회로이다. 또한, 이 스위칭 회로 (7a) 는, 제 2 브릿지 회로 (62) 와 함께 승강압 초퍼로서 기능하여, 주배터리 (3) 와 보조배터리 (4) 사이의 전력 수수를 가능하게 한다.
스위칭 회로 (7a) 에는, 제 1 브릿지 회로 (62) 와 주배터리 (3) 와의 사이에 트랜지스터 (73), 트랜지스터 (74) 가 직렬로 배치되고, 제 2 브릿지 회로 (62) 와 보조배터리 (4) 와의 사이에 코일 (77), 트랜지스터 (72) 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72), 트랜지스터 (73) 및 트랜지스터 (77) 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하며, 예컨대 FET 가 사용된다. 이들 트랜지스터 (72, 73, 77) 의 스위칭 동작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트랜지스터 (73) 의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의 사이에는, 제 1 브릿지 회로 (62) 측으로부터 주배터리 (3) 측으로 순방향으로 다이오드 (75)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 (74) 의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의 사이에는, 제 1 브릿지 회로 (62) 측으로부터 주배터리 (3) 측으로 역방향으로 다이오드 (76)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다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장치 (1a) 에서의 배터리 충전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 에 있어서, 모터 제네레이터 (2) 가 발전하면, 모터 제네레이터 (2) 로부터 인버터 (5) 로 3상의 교류 전류가 입력되고, 인버터 (5) 에 의해 교류 전류가 직류로 변환된다.
그리고, 인버터 (5) 로부터 직류 전류가 전력변환회로 (6) 에 입력된다. 전력변환회로 (6) 의 제 2 브릿지 회로 (63) 에 의해 직류 전류가 교류 전류로 변환되고, 트랜스 (61) 에 의해 저전압으로 강압되고, 제 1 브릿지 회로 (62) 에 의해 강압된 교류 전류가 정류되어 직류 전류로 변환된다. 이 인버터 (5) 및 전력변환회로 (6) 의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의 전원장치 (1) 와 동일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전력변환회로 (6) 로부터 직류 전류가 스위칭 회로 (7a) 에 입력된다. 스위칭 회로 (7a) 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의해 트랜지스터 (73) 와 트랜지스터 (74) 모두, 또는 트랜지스터 (72) 가 온 상태로 된다. 트랜지스터 (73, 74) 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주배터리 (3) 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한편, 트랜지스터 (72) 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보조배터리 (4) 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스위칭 회로 (7a) 의 작동에 의해, 주배터리 (3) 또는 보조배터리 (4) 중 일방으로 선택적으로 충전이 행해진다.
이어서, 전원장치 (1a) 에서의 모터 제네레이터 구동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 에 있어서, 스위칭 회로 (7) 의 트랜지스터 (73, 74) 모두 또는 트랜지스터 (72) 가 온 상태로 된다. 이 때, 트랜지스터 (73, 74) 를 온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주배터리 (3) 의 전력이 스위칭 회로 (7a) 를 통하여 전력변환회로 (6) 에 공급된다. 한편, 트랜지스터 (72) 를 온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보조배터리 (4) 의 전력이 스위칭 회로 (7a) 를 통하여 전력변환회로 (6) 에 공급된다.
그리고, 스위칭 회로 (7a) 로부터 직류 전류가 전력변환회로 (6) 에 입력된다. 전력변환회로 (6) 에서는, 제 1 브릿지 회로 (62) 에 의해 직류 전류가 교류 전류로 변환되고, 트랜스 (61) 에 의해 고전압으로 승압되고, 제 2 브릿지 회로 (63) 에 의해 승압된 교류 전류가 정류되어 직류 전류로 변환된다.
그리고, 전력변환회로 (6) 로부터 직류 전류가 인버터 (5) 에 입력된다. 인버터 (5) 에 의해 직류 전류가 3상 교류 전류로 변환되고, 모터 제네레이터 (2) 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모터 제네레이터 (2) 가 구동한다.
이 모터 제네레이터 구동시에 있어서, 전력변환회로 (6) 및 인버터 (5) 의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의 전원장치 (1) 와 동일하게 행해진다.
이어서, 전원장치 (1a) 에서의 주배터리 (3), 보조배터리 (4) 사이의 전력 수수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주배터리 (3), 보조배터리 (4) 사이의 전력 수수는, 스위칭 회로 (7a), 전력변환회로 (6) 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도 2 에 있어서, 스위칭 회로 (7a) 의 트랜지스터 (72) 및 트랜지스터 (73) 가 온 상태로 되고, 트랜지스터 (74) 가 온, 오프의 스위칭 상태로 되고, 제 2 브릿지 회로 (62) 의 트랜지스터 (64) 중 어느 하나가 오프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도 3 의 등가 회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칭 회로 (7a) 의 트랜지스터 (74) 가 초프부, 코일 (77) 이 평활 리액터, 전력변환회로 (6) 의 다이오드 (65) 가 초프부 오프시의 전류 통로로 되는 프리 호일링 다이오드로서 기능하고, 스위칭 회로 (7a) 와 전력변환회로 (6) 의 구성 부품에 의해 강압 쵸퍼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74) 의 스위칭에 의해, 주배터리 (3) 로부터 보조배터리 (4) 로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2 에 있어서, 스위칭 회로 (7a) 의 트랜지스터 (73) 가 오프상태로 되고, 트랜지스터 (74) 가 온상태가 되고, 제 2 브릿지 회로 (62) 의 트랜지스터 (64) 가 스위칭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도 4 의 등가 회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변환회로 (6) 의 트랜지스터 (64) 가 초프부, 스위칭 회로 (7a) 의 코일 (77) 이 평활 리액터, 다이오드 (74) 가 플라이백 다이오드로서 기능하여, 스위칭 회로 (7a) 와 전력변환회로 (6) 의 구성부품에 의해 승압 초퍼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64) 의 스위칭에 의해, 보조배터리 (4) 로부터 주배터리 (3) 로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 (1a) 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 (1) 와 동일한 작용효과에 더하여, 스위칭 회로 (7a) 를 통하여 주배터리 (3) 와 보조배터리 (4) 와의 사이에 코일 (77) 을 접속함으로써, 전력변환회로 (6) 및 스위칭 회로 (7a) 를 승강압 초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력변환회로 (6), 스위칭 회로 (7a) 외에 승압 회로 등의 설치없이 주배터리 (3) 와 보조배터리 (4) 와의 사이의 전력 수수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에 탑재되는 전원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를 차량에 탑재되는 것 이외의 것에 적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변환수단과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와의 접속을 전환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력변환수단 이외에 DC-DC 컨버터 등의 승압 회로의 설치없이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의 충방전이 가능하여, 부품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수단을 통하여 인버터와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가 접속되므로, 인버터의 배터리측의 입출력 전압을 고압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의 구성부품으로서 소전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어, 인버터의 소형화및 부품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회로를 통하여 제 1 배터리와 제 2 배터리와의 사이에 코일을 접속함으로써, 전력변환수단 및 접속전환수단을 승강압 초퍼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별개의 승압 회로의 설치없이, 제 1 배터리와 제 2 배터리와의 사이의 전력 수수를 행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전원장치의 동작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전원장치의 동작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 는 종래 기술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장치 2 : 모터 제네레이터
3 : 주배터리 (제 1 배터리 ) 4 : 보조배터리 (제 2 배터리)
5 : 인버터 6 : 전력변환회로 (전력변환수단)

Claims (7)

  1. 피전력 수수장치에 접속되는 인버터;
    충방전가능하고, 축전 전압이 상이한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
    트랜스, 상기 트랜스의 1 차측에 접속된 제 1 브릿지 회로, 및 상기 트랜스의 2 차측에 접속되고 상기 인버터에 접속된 제 2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변압기능을 갖는 전력변환수단; 및
    상기 제 1 브릿지 회로와 상기 제 1 배터리 및 상기 제 2 배터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변환수단과 상기 제 1 배터리 및 상기 제 2 배터리와의 접속을 전환가능하게 하는 접속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전환수단은, 상기 전력변환수단과 상기 제 1 배터리 및 상기 제 2 배터리와의 접속을 전환하는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전환수단은, 상기 스위칭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 1 배터리와 상기 제 2 배터리 사이에 접속되는 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력 수수장치는 모터 제네레이터이고,
    상기 인버터는, 상기 모터 제네레이터의 교류 출력을 정류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모터 제네레이터에 대하여 교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6.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력 수수장치의 구동에 의해 주행가능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력 수수장치의 구동에 의해 주행가능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KR10-2002-0044589A 2001-11-14 2002-07-29 전원장치 KR100471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49130A JP2003153597A (ja) 2001-11-14 2001-11-14 電源装置
JPJP-P-2001-00349130 2001-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019A KR20030040019A (ko) 2003-05-22
KR100471093B1 true KR100471093B1 (ko) 2005-03-10

Family

ID=1916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589A KR100471093B1 (ko) 2001-11-14 2002-07-29 전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94846B2 (ko)
JP (1) JP2003153597A (ko)
KR (1) KR100471093B1 (ko)
DE (1) DE10252800A1 (ko)
FR (1) FR28322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0574A1 (de) * 2003-03-11 2004-09-23 Siemens Ag Hybridantriebssystem und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Hybridantriebssystems
JP4538210B2 (ja) * 2003-09-29 2010-09-08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水車発電機の自動運転保護装置
DE102004031216A1 (de) * 2004-06-28 2006-01-19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adungsausgleich in Reihe geschalteter Energiespeicher
GB2415839B (en) * 2004-06-29 2007-08-29 Ford Global Tech Llc Dual battery vehicle electrical systems
JP4285458B2 (ja) * 2005-08-08 2009-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726510B1 (ko) * 2005-08-17 2007-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CA2623398A1 (en) * 2005-09-23 2007-04-05 Afs Trinity Pow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electronics and control of plug-in hybrid propulsion with fast energy storage
JP4591304B2 (ja) * 2005-10-17 2010-12-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双方向dc/acインバータ
JP4670582B2 (ja) * 2005-10-19 2011-04-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双方向絶縁型dc/acインバータ
US7397141B2 (en) * 2006-01-30 2008-07-08 Deere & Company Power generator using traction drive electronics of a vehicle
JP4400632B2 (ja) 2007-02-20 2010-01-20 Tdk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770798B2 (ja) * 2007-06-15 2011-09-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源装置
JP5127501B2 (ja) * 2008-02-22 2013-01-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用充電システム
JP5453734B2 (ja) * 2008-05-13 2014-03-26 富士電機株式会社 交流電動機駆動回路及び電気車駆動回路
US8541989B2 (en) 2008-07-17 2013-09-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wer supply apparatus
JP4643695B2 (ja) * 2008-09-02 2011-03-02 日立コンピュータ機器株式会社 双方向dc−dcコンバ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0050046A1 (ja) 2008-10-31 2010-05-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および電動車両の制御方法
JP5017303B2 (ja) * 2009-03-25 2012-09-0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KR20120048572A (ko) * 2009-06-24 2012-05-15 브루사 일렉트로닉 아게 자동차 배전용 회로장치
DE102011003859A1 (de) * 2011-02-09 2012-08-09 Robert Bosch Gmbh System zum Laden eines Energiespeichers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 Ladesystems
KR101229441B1 (ko) * 2011-03-18 2013-02-06 주식회사 만도 배터리 충전 장치
DE102012203778A1 (de) * 2011-04-04 2012-10-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hybridischen Antriebsstrangs und Akkumulatoreinrichtung in diesem
JP5931366B2 (ja) * 2011-07-27 2016-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KR101263463B1 (ko) * 2011-09-02 2013-05-10 주식회사 만도 배터리 충전 장치
JP5887841B2 (ja) * 2011-11-02 2016-03-16 ソニー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
CN104203639B (zh) * 2012-03-07 2016-10-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动车辆及其控制方法
FR2993728A1 (fr) * 2012-07-20 2014-01-24 Ies Synergy Convertisseur reversible
US10160410B2 (en) * 2013-07-12 2018-1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auxiliary power to an electrified vehicle
US20150311723A1 (en) * 2014-03-31 2015-10-29 Evatran Group, Inc. Parallel series dc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US9610845B2 (en) * 2014-12-30 2017-04-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wertrain for a vehicle
US9729066B1 (en) * 2016-06-30 2017-08-08 Hella Kgaa Hueck & Co. Electric power conversion apparatus having single-phase and multi-phase operation modes
JP6765447B2 (ja) * 2017-01-05 2020-10-0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気機器
FR3070911B1 (fr) * 2017-09-12 2021-07-09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Chargeur de vehicule comprenant un convertisseur dc/dc
CN110829850B (zh) * 2019-11-14 2021-11-26 中车永济电机有限公司 车载变流器电路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720A (ja) * 1992-10-10 1994-05-06 Aqueous Res:Kk ハイブリッド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405B2 (ja) * 1991-04-24 2000-10-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源装置
US5671128A (en) * 1995-02-23 1997-09-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ower supply apparatus
US5659237A (en) * 1995-09-28 1997-08-1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Battery charging using a transformer with a single primary winding and plural secondary windings
JP2000050402A (ja) 1998-08-03 2000-02-18 Denso Corp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電源装置
EP1020973A3 (en) * 1999-01-18 2001-05-02 Hitachi, Ltd. A charge and discharge system for electric power storage equipment
JP2000324857A (ja) * 1999-03-11 2000-11-24 Toyota Motor Corp 多種電源装置、この電源装置を備えた機器およびモータ駆動装置並びにハイブリッド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720A (ja) * 1992-10-10 1994-05-06 Aqueous Res:Kk ハイブリッド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32263A1 (fr) 2003-05-16
US20030090235A1 (en) 2003-05-15
US6794846B2 (en) 2004-09-21
KR20030040019A (ko) 2003-05-22
JP2003153597A (ja) 2003-05-23
DE10252800A1 (de) 200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093B1 (ko) 전원장치
US8384236B2 (en) Vehicle mounted converter
US8030882B2 (en) Power supply unit
US7177163B2 (en) Two-way DC-DC converter
KR100468884B1 (ko) Dc-dc 컨버터
JP3038652B2 (ja) 無停電電源装置
US5717303A (en) DC motor drive assembly including integrated charger/controller/regenerator circuit
WO2004055963A1 (ja) 自動車用電力装置
JP707083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118910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電源装置
US9209698B2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JP7459286B2 (ja)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US7116012B2 (en) Stable power conversion circuits
KR100527501B1 (ko)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및 방법
US11855542B2 (en) Power-supply control device
KR20160047281A (ko) 배터리 충방전 기능을 갖는 양방향 컨버터 회로
JP4191874B2 (ja) 無停電電源装置
JP4871647B2 (ja) Dc−dcコンバータ及びdc−dcコンバータシステム
JP4459532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0050404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電源装置
RU2191709C2 (ru) Комплектный тягов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CN117639192A (zh) 使用obc转换辅助电池电力的转换器和电力转换系统
JP2000217268A (ja) エンジン自動車の電源システム
JP2022138710A (ja) Dc-dcコンバータおよび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