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087B1 -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087B1
KR100471087B1 KR10-2003-0001365A KR20030001365A KR100471087B1 KR 100471087 B1 KR100471087 B1 KR 100471087B1 KR 20030001365 A KR20030001365 A KR 20030001365A KR 100471087 B1 KR100471087 B1 KR 100471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voltage
switching element
diod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4091A (ko
Inventor
염장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087B1/ko
Priority to CNB031485723A priority patent/CN100392550C/zh
Priority to US10/661,573 priority patent/US7113380B2/en
Priority to JP2003383081A priority patent/JP3763831B2/ja
Publication of KR20040064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0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limiting speed of change of electric quantities, e.g. soft switching on or of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nverter used
    • H02P2201/07DC-DC step-up or step-down converter inserted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inverter supplying the motor, e.g. to control voltage source fluctuations, to vary the motor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Rectifie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AC전원공급부와; AC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평활시키는 커패시터와;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상기 스위칭소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갖는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정류부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턴스와;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상기 분기점을 상기 인덕턴스와 연결하는 제1접점과,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상기 분기점을 상기 저항과 연결시키는 제2접점을 갖는 제1릴레이부와;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PFC제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릴레이부가 상기 제2접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부품수가 감소되고, 제품 크기 및 제조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돌입전류방지회로, PFC회로 및 과전압보호회로를 갖는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3상 모터는 삼각형상으로 결선된 코일을 갖는 모터이다. 3상 모터의 전원공급장치는 모터(20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3상 전압을 얻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교류전원(AC110/220V)을 공급하는 AC전원공급부(100)와, AC전원공급부(100)로부터의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300)와, 정류부(300)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시키는 커패시터(CDC)와, 커패시터(CDC)로부터의 직류전원을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3상 전압을 출력하는 인버터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는 초기전원 인가시 커패시터(CDC)로의 돌입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돌입전류방지회로(140)와, 커패시터(CDC)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PFC(Power Factor Correction)회로(150)와, 커패시터(CDC)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과전압 보호회로(130)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버터부(120) 내에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발생시키는 PWM부(미도시)와 PWM부의 구형파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다수개의 트랜지스터가 마련된다. 그리고, 전원공급장치는, PWM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를 온오프시켜 인버터부(120)의 출력을 개폐(ON/OFF)하고 모터(200)의 회전속도 조절을 위해 그 출력 주파수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포함한다.
돌입전류방지회로(140)는, 정류부(300)와 커패시터(CDC) 사이에 개재되어 커패시터(CDC)와 접속되는 돌입전류방지저항(RS)을 포함한다. 돌입전류방지저항(RS)은 릴레이부(142)가 제1접점(142a)에 접속될 때 커패시터(CDC)와 직렬로 연결되어, 정류부(300)에 의해 정류된 전원이 저항을 통해 커패시터(CDC)에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초기전원 인가시 돌입전류에 의한 커패시터(CDC)의 파손을 방지한다.
PFC회로(150)는, 커패시터(CDC)와 병렬로 연결되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와 같은 PFC스위칭소자(SPFC)와, 커패시터(CDC)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PFC스위칭소자(SPFC)에 연결되는 애노드로 구성된 PFC다이오드(DPFC)와, PFC스위칭소자(SPFC)와 PFC다이오드(DPFC) 사이의 분기점과 정류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PFC인덕턴스(LPFC)를 포함한다. 여기서, PFC인덕턴스(LPFC)는, 릴레이부(142)가 제1접점(142a)에 접속되는 경우 정류부(300)와 단선되고, 릴레이부(142)가 제2접점(142b)에 접속되는 경우 정류부(300)와 연결된다. PFC회로(150)는 모터(200)의 구동시, PFC스위칭소자(SPFC)를 턴온/턴오프시킴으로써 커패시터(CDC)의 양단 간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PFC회로(150)로의 입력전류가 입력전압과 동위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역률을 향상시킨다.
과전압보호회로(130)는, 커패시터(CDC)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호 병렬로 연결된 과전압보호다이오드(DOV) 및 과전압보호저항(ROV)에 직렬로 연결된 과전압보호스위칭소자(SOV)로 구성된다. 과전압보호회로(130)는 모터(200)의 구동시, 모터(200)로부터 인버터부(120)를 통해 회생되는 전압에 의해 커패시터(CDC) 양단 간의 전압이 상승하여 소정의 과전압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과전압보호스위칭소자(SOV)가 턴온/턴오프됨으로써, 과전압에 의한 커패시터(CDC)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돌입전류방지회로(140)는 AC전원공급부(100)로부터 최초 전원이 인가되어 커패시터(CDC)에 충전된 전압이 기준충전전압에 도달할 때까지만 기능하게 되고, 그 이후에는 그 기능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PFC회로(150)는 커패시터(CDC)의 양단 간의 전압이 안정화(즉, 충분히 충전된 후)된 후 동작하게 되는 바, 돌입전류방지회로(140)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그 기능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과전압보호회로(130)는, 모터(200)로부터의 회생전압에 의해 커패시터(CDC)의 양단 간의 전압이 커지는 경우에만 동작하게 되므로, 초기 충전기간인 돌입전류방지회로(140)가 동작하는 때나, 커패시터(CDC)의 양단 간의 전압이 안정화된 상태의 PFC회로(150)가 동작하는 때에는 그 기능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돌입전류방지회로(140)와 과전압보호회로(130)는 용량이 큰 저항이나 써미스터를 돌입전류방지저항(RS) 및 과전류보호저항으로 사용하고 있어, 회로설계시 제품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돌입전류방지회로(140), 과전압보호회로(130) 및 PFC회로(150)가 각각의 저항, 인덕턴스, 스위칭소자, 다이오드 등을 사용하고 있어, 제품의 크기 및 제조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가 감소되고, 제품 크기 및 제조비를 줄일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C전원공급부와, AC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평활시키는 커패시터를 갖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상기 스위칭소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갖는 다이오드;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정류부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턴스와;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상기 분기점을 상기 인덕턴스와 연결하는 제1접점과,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상기 분기점을 상기 저항과 연결시키는 제2접점을 갖는 제1릴레이부와;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PFC제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릴레이부가 상기 제2접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을 감지하는 커패시터전압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패시터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상기 PFC제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릴레이부가 상기 제2접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릴레이부가 상기 제2접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커패시터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과전압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소자를 턴온/턴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패시터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상기 PFC제한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제1릴레이부가 상기 제1접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류부와 상기 저항을 연결하는 A접점과, 상기 정류부와 상기 인덕턴스를 연결하는 B접점을 갖는 제2릴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초기전원 인가시,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원이 상기 저항을 통해 상기 커패시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2릴레이부가 상기 A접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릴레이부가 상기 A접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충전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릴레이부가 상기 B접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AC전원공급부와, AC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평활시키는 커패시터와,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상기 스위칭소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갖는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정류부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턴스를 구비한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 가능한 저항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PFC제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인덕턴스를 단선시키고,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저항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저항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검출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과전압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소자를 턴온/턴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출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상기 PFC제한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저항을 단선시키고,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인덕턴스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전원 인가시,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원이 상기 저항을 통해 상기 커패시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정류부와 상기 저항을 연결시키고, 상기 정류부와 상기 인덕턴스를 단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은 일부 생략한다. 그리고, 3상 모터에 사용되는 전원공급장치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상용교류전원(AC110/220V)을 공급하는 AC전원공급부(1)와, AC전원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3)와, 정류부(3)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평활시키는 커패시터(13)와, 커패시터(13)로부터의 직류전원을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3상 전압으로 출력하는 인버터부(1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커패시터(13)와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칭소자(4)와, 커패시터(13)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스위칭소자(4)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갖는 다이오드(5)와, 스위칭소자(4)와 다이오드(5) 사이의 분기점과 정류부(3)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턴스(6)와, 다이오드(5)와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7)과, 스위칭소자(4)와 다이오드(5) 사이의 분기점을 인덕턴스(6)와 연결하는 제1접점(8a)과 스위칭소자(4)와 다이오드(5) 사이의 분기점을 저항(7)과 연결시키는 제2접점(8b)을 갖는 제1릴레이부(8)와,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PFC제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제1릴레이부(8)가 제2접점(8b)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을 검출하는 커패시터전압검출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는 커패시터전압검출부(10)에 의해 검출된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이 PFC제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제1릴레이부(8)가 제2접점(8b)에 접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소자(4), 다이오드(5) 및 인덕턴스(6)는 PFC회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릴레이부(8)가 제1접점(8a)에 접속된 상태에서, 스위칭소자(4), 다이오드(5) 및 인덕턴스(6)는 정류부(3) 및 커패시터(13)와 연결되어,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을 일정 전압으로 유지시키며, 정류부(3)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류가 입력전압의 위상과 동일한 위상을 갖도록 제어함으로써 역률을 향상시킨다.
스위칭소자(4)는 모스트랜지스터(MOS Transistor)나 전계효과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와 같이, 게이트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어부(11)는 스위칭소자(4)의 게이트로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스위칭소자(4)를 턴온/턴오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소자(4), 다이오드(5) 및 저항(7)은 과전압보호회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릴레이부(8)가 제1접점(8a)에 접속되어 PFC회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모터(2)로부터 인버터부(12)를 통해 회생되는 회생전압에 의해 커패시터(13)의 양단간의 전압은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11)는,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이 상승하여 PFC제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제1릴레이부(8)가 제2접점(8b)에 접속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스위칭소자(4)와 다이오드(5) 사이의 분기점은 인덕턴스(6)와 단선되고, 저항(7)과 다이오드(5)가 병렬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이 계속 상승하여, 과전압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스위칭소자(4)를 턴온/턴오프 시킴으로서,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2)로부터의 회생전압이 과전압보호회로에 의해 소모되어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이 PFC제한전압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제어부(11)는 제1릴레이부(8)를 제1접점(8a)에 접속시킨다. 이에 의해, 스위칭소자(4), 다이오드(5) 및 인덕턴스(6)는 PFC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정류부(3)와 저항(7)을 연결하는 A접점(9a)과, 정류부(3)와 인덕턴스(6)를 연결하는 B접점(9b)을 갖는 제2릴레이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는 AC전원공급부(1)로부터의 초기전원 인가시, 정류부(3)로부터 정류된 전원이 저항(7)을 통해 커패시터(13)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제2릴레이부(9)를 A접점(9a)에 접속시킨다. 이에 의해, 초기전원 인가시, 저항(7)을 통해 커패시터(13)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돌입전류에 의한 커패시터(1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1)는, 저항(7)을 통해 커패시터(13)에 충전되는 전압, 즉,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기준충전전압을 초과하게 되면, 제2릴레이부(9)를 B접점(9b)에 접속시킨다. 이에 의해, 정류부(3)는 PFC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턴스(6), 스위칭소자(4) 및 다이오드(5)를 통해 커패시터(13)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돌입전류방지회로, PFC회로 및 과전압보호회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AC전원공급부(1)로부터 초기전원이 인가되고 커패시터(13)가 충전되는 동안의 돌입전류방지기능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C전원공급부(1)로부터 초기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11)는 제1릴레이부(8)를 제1접점(8a)에 접속시키고, 제2릴레이부(9)를 A접점(9a)에 접속시킨다. 이 때, AC전원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압(VL1-L2)은 정류부(3)에 의해 정류되고, 정류부(3)에 의해 정류된 전압(VD1)은 저항(7)을 통해 커패시터(13)에 충전된다. 즉, 제1릴레이부(8)가 제1접점(8a)에 접속되고, 제2릴레이부(9)가 A접점(9a)에 접속된 상태에서, 저항(7)은 돌입전류방지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PN)은 커패시터(13)의 충전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게 되며,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PN)이 기준충전전압(V1)을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11)는 제2릴레이부(9)가 B접점(9b)에 접속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의 (c)는 정류부(3)로부터 저항(7)으로 흐르는 전류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d)는 제2릴레이부(9)가 A접점(9a)에서 B접점(9b)으로 접속되는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1)에 의해 제2릴레이부(9)가 B접점(9b)에 접속된 상태(여기서, 제1릴레이부(8)는 제1접점(8a)에 접속된 상태임)에서, 스위칭소자(4), 인덕턴스(6) 및 다이오드(5)에 의한 PFC회로로서의 기능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1)는, 제2릴레이부(9)가 B접점(9b)에 접속된 상태에서, 커패시터(13)의 양단간의 전압이 일정 전압(VDC)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위칭소자(4)를 턴온/턴오프시킨다. 즉, 제어부(11)는 스위칭소자(4)를 턴온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인덕턴스(6)에 저장하고, 스위칭소자(4)를 턴오프시킴으로써 인덕턴스(6)에 저장된 에너지를 다이오드(5)를 통해 커패시터(13)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의해,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정류부(3)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류(ID1)가 입력전압(VD1)의 위상과 동일한 위상을 갖게 되어(도 5의 (b) 및 (f) 참조) 역률이 향상된다. 여기서, PFC회로에 의해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모터(2)의 구동시키게 된다(도 5의 (e) 참조). 도 5의 (a)는 AC전원공급부(1)로부터 정류부(3)에 공급되는 교류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c)는 제2릴레이부(9)가 A접점(9a)에서 B접점(9b)으로 접속되는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d)는 PFC회로가 기능을 시작하는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모터(2)가 구동되는 동안, 모터(2)의 회전에 의해 모터(2) 내에 저장된 에너지는 일정 조건하에 인버터부(12)를 통해 커패시터(13)로 회생된다. 예컨대, 모터(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저장된 에너지는 모터(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인버터부(12)를 통해 커패시터(13)로 회생하게 된다. 여기서, 인버터부(12)를 통해 회생되는 에너지, 즉 회생전압은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을 상승시키게 된다.
모터(2)로부터 인버터부(12)를 통해 회생되는 회생전압에 의해 커패시터(13)의 양단간의 전압이 상승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과전압보호기능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2)로부터의 회생전압에 의해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이 상승하여,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이 PFC제한전압(V2 )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는 제1릴레이부(8)가 제2접점(8b)에 접속되도록 제어한다(도 7의 (c) 참조). 여기서, PFC제한전압(V2)은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이 상승함에 따라 정류부(3)로부터 커패시터(13)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순간에서의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을 의미한다.
제1릴레이부(8)가 제2접점(8b)에 접속되는 상태에서도, 모터(2)로부터의 회생전압에 의해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이 상승하게 되며, 제어부(11)는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이 과전압 영역(히스테리시스 영역, VH1-VH2 )에 도달하는 경우, 스위칭소자(4)를 턴온/턴오프시키게 된다.
즉,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이 상승하여 과전압상한치(VH2)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11)는 스위칭소자(4)를 턴온시킴으로서, 저항(7)을 통해 모터(2)로부터의 회생전압을 소모시킨다. 이에 의해,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은 하강하게 된다. 모터(2)로부터의 회생전압이 저항(7)에 의해 소모되어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이 과전압하한치(VH1)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11)는 스위칭소자(4)를 턴오프시킴으로서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이 과전압 영역(VH1-VH2) 이하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11)는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이 과전압 영역(VH1-VH2) 내에서 유지되도록 스위칭소자(4)를 턴온/턴오프시킴으로서, 모터(2)로부터의 회생전압을 소모시킨다.
그런 다음, 모터(2)로부터의 회생전압이 모두 소모되는 경우, 스위칭소자(4)가 오프된 상태라도,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은 상승하지 않게 된다. 또한, 커패시터(13)는 AC전원공급부(1)와 단선된 상태이므로, 모터(2)를 구동시키는데 소모된 전원에 의해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은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이 하강하여 PFC제한전압(V2)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제어부(11)는 제1릴레이부(8)를 제1접점(8a)에 접속시킴으로써 커패시터(13)와 AC전원공급부(1)를 연결시킨다. 이 경우, 커패시터(13)와 정류부(3)는 PFC회로를 통해 연결되며, PFC회로에 의해 커패시터(13)의 양단 간의 전압(VDC)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7의 (a)는 AC전원공급부(1)로부터 정류부(3)에 공급되는 입력전류 및 입력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c)는 제1릴레이부(8)가 제1접점(8a) 및 제2접점(8b)에 접속되는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d)는 과전압보호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칭소자(4)의 턴온/턴오프 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가 3상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단상 또는 다상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인버터부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모터 이외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저항이 과전압보호회로 및 돌입전류방지회로에 공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별도의 돌입전류방지저항을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돌입전류방지회로, PFC회로 및 과전압보호회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저항(7), 스위칭소자(4), 다이오드(5)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회로설계시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제품의 크기 및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수가 감소되고, 제품 크기 및 제조비를 줄일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회로에서 돌입전류방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의 각 접점에서의 전압 및 전류파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에서 PFC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전원공급장치의 각 접점의 전압 및 전류파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에서 과전압보호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전원공급장치의 각 접점의 전압 및 전류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C전원공급부 2 : 모터
3 : 정류부 4 : 스위칭소자
5 : 다이오드 6 : 인덕턴스
7 : 저항 8 : 제1릴레이부
9 : 제2릴레이부 10 : 커패시터전압검출부
11 : 제어부 12 : 인버터부
13 : 커패시터

Claims (11)

  1. AC전원공급부와, AC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평활시키는 커패시터를 갖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상기 스위칭소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갖는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정류부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턴스와;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상기 분기점을 상기 인덕턴스와 연결하는 제1접점과,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상기 분기점을 상기 저항과 연결시키는 제2접점을 갖는 제1릴레이부와;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PFC제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릴레이부가 상기 제2접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을 감지하는 커패시터전압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패시터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상기 PFC제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릴레이부가 상기 제2접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릴레이부가 상기 제2접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커패시터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과전압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소자를 턴온/턴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패시터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상기 PFC제한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제1릴레이부가 상기 제1접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와 상기 저항을 연결하는 A접점과, 상기 정류부와 상기 인덕턴스를 연결하는 B접점을 갖는 제2릴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초기전원 인가시,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원이 상기 저항을 통해 상기 커패시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2릴레이부가 상기 A접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릴레이부가 상기 A접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충전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릴레이부가 상기 B접점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8. AC전원공급부와, AC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평활시키는 커패시터와,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상기 스위칭소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갖는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정류부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턴스를 구비한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 가능한 저항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PFC제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인덕턴스를 단선시키고,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저항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저항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검출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소정의 과전압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소자를 턴온/턴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 간의 전압이 상기 PFC제한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저항을 단선시키고,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다이오드 사이의 분기점과 상기 인덕턴스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초기전원 인가시,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원이 상기 저항을 통해 상기 커패시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정류부와 상기 저항을 연결시키고, 상기 정류부와 상기 인덕턴스를 단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3-0001365A 2003-01-09 2003-01-09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71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365A KR100471087B1 (ko) 2003-01-09 2003-01-09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B031485723A CN100392550C (zh) 2003-01-09 2003-07-04 电源设备及其控制方法
US10/661,573 US7113380B2 (en) 2003-01-09 2003-09-15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3383081A JP3763831B2 (ja) 2003-01-09 2003-11-12 電源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365A KR100471087B1 (ko) 2003-01-09 2003-01-09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091A KR20040064091A (ko) 2004-07-16
KR100471087B1 true KR100471087B1 (ko) 2005-03-10

Family

ID=3270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365A KR100471087B1 (ko) 2003-01-09 2003-01-09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13380B2 (ko)
JP (1) JP3763831B2 (ko)
KR (1) KR100471087B1 (ko)
CN (1) CN100392550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2797B2 (en) 2018-07-03 2021-05-11 Hyundai Mobis Co., Ltd. Fault diagnosis circuit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US11201480B2 (en) 2018-07-04 2021-12-14 Hyundai Mobi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char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38B1 (ko) * 2006-02-09 2007-08-2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전원공급회로
KR100771622B1 (ko) * 2006-02-13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에프씨 과전압 차단장치
KR100735498B1 (ko) * 2006-04-13 2007-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과전압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공급장치
US7586769B2 (en) * 2006-05-12 2009-09-08 Astec International Limited Power converters having balanced power rail currents
US8339075B2 (en) * 2006-07-04 2012-12-25 Nxp B.V. Method for controlling a deceleration process of a DC motor and controller
JP4699399B2 (ja) * 2007-02-06 2011-06-08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電源装置
DE102008008046A1 (de) * 2007-05-30 2008-12-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ungsanordnung zum selektiven Betrieb von mindestens zwei elektrischen Maschinen
US8264182B2 (en) * 2007-08-14 2012-09-11 Ramu, Inc. Motor power factor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7911352B2 (en) * 2007-11-19 2011-03-22 Tek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AC-DC power converters
US20090174413A1 (en) * 2008-01-03 2009-07-09 Teknic, Inc. Method and Apparatus to Verify the Proper Connection of Loads before Applying Full DC Power
US8004866B2 (en) * 2008-01-03 2011-08-23 Teknic, Inc. Method and apparatus to remove energy from DC loads
FR2928056B1 (fr) * 2008-02-21 2010-02-19 Schneider Toshiba Inverter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variateur de vitesse contre les surintensites.
US8520352B2 (en) * 2008-02-25 2013-08-27 Xylem Ip Holdings Llc Multiple-channel active sensing and switching device
JP5260090B2 (ja) * 2008-03-10 2013-08-1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力変換装置
US8855474B2 (en) * 2009-08-10 2014-10-07 Emerson Electric Co. Inhibiting compressor backspin via a condenser motor
CN101944854A (zh) * 2010-07-29 2011-01-12 深圳市安托山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变频装置
KR101420987B1 (ko) * 2010-09-06 2014-07-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교류 모터 구동 장치
EP2453571B1 (en) * 2010-11-11 2014-03-12 Celeroton AG Converter and method for driving an electric AC machine
KR101327070B1 (ko) * 2011-12-22 2013-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돌입 전류 제한 회로
CN102496906A (zh) * 2011-12-28 2012-06-13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的pfc输出滤波电容过压保护的方法及电路
US20130234525A1 (en) * 2012-03-06 2013-09-12 Ferrotec (Usa) Corporation Electrical breakdown limiter for a high voltage power supply
EP2642653A1 (de) * 2012-03-20 2013-09-25 C. & E. Fein GmbH Treiberschaltung und Ansteuerverfahren
TWI450491B (zh) * 2012-05-09 2014-08-21 Delta Electronics Inc 避免突波電流之馬達驅動裝置
CN103580553A (zh) * 2012-07-31 2014-02-12 施耐德东芝换流器欧洲公司 运动与控制系统
KR102070095B1 (ko) * 2012-08-10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장치
JP5480351B2 (ja) * 2012-09-25 2014-04-23 山洋電気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
GB2508394A (en) * 2012-11-30 2014-06-04 Control Tech Ltd Over-voltage protection for a soft start module with smoothing capacitance
KR101496810B1 (ko) * 2012-12-05 2015-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역률 보정 장치, 전원 장치 및 모터 구동 장치
CN105075045B (zh) * 2013-01-17 2018-12-18 特灵国际有限公司 变频驱动过电压保护
JP2014174816A (ja) * 2013-03-11 2014-09-22 Toshiba Corp 家電機器
US9735715B2 (en) * 2013-03-15 2017-08-15 Regal Beloit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ductive energy management
EP2784931B1 (de) * 2013-03-25 2022-06-08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Verfahren und Ansteuerschaltung zum Ansteuern eines bürstenlosen Elektromotors
CN104218530B (zh) * 2013-05-31 2018-06-19 杭州先途电子有限公司 一种有源pfc的硬件保护电路
CN103595235A (zh) * 2013-10-29 2014-02-19 江苏绿扬电子仪器集团有限公司 逆变器前级保护系统
DE102015107030A1 (de) 2014-05-15 2015-11-19 Control Techniques Ltd. Energie-Bypass
CN105471250B (zh) * 2014-08-19 2019-09-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提高数字pfc电路可靠性的方法及装置
WO2016049841A1 (en) * 2014-09-30 2016-04-07 Siemens Schweiz Ag Thermostat having over current management
WO2017133786A1 (en) * 2016-02-05 2017-08-10 Arcelik Anonim Sirketi Dual unipolar and bipolar double or triple brushless dc motor inverter topology
US10340695B2 (en) 2017-02-27 2019-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energy storage design with black starting capability
JP7312718B2 (ja) * 2020-03-30 2023-07-21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力変換装置
CN111463800B (zh) * 2020-04-20 2021-08-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电机驱动系统的电压补偿电路、方法及空调设备
US11721973B2 (en) * 2020-08-12 2023-08-08 Global Mixed-Mode Technology Inc.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014A (en) * 1980-07-31 1982-02-19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onstant-voltage circuit
JPS61173322A (ja) * 1985-01-12 1986-08-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出力調整装置
JP2744008B2 (ja) 1988-03-28 1998-04-28 松下電工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H07110131B2 (ja) 1991-08-28 1995-11-22 株式会社東芝 電力変換装置
JPH0570193A (ja) 1991-09-10 1993-03-23 Kubota Corp 窯業系シリカ質原料
JPH0570193U (ja) * 1992-02-19 1993-09-21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
DE4235048A1 (de) * 1992-08-06 1994-02-10 Vinzenz Von Dr Tscharner Vorrichtung mit einem Netzgerät für Gleichspannung
KR0141641B1 (ko) 1995-06-23 1998-07-01 김광호 데이타 통신시스템의 데이타 복원회로
KR0152415B1 (ko) * 1995-11-01 1998-11-02 김광호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2296033Y (zh) * 1997-03-03 1998-10-28 赵为政 高效容性并联开关稳压电源
KR100231214B1 (ko) 1997-07-26 1999-11-15 구자홍 인버터 회로의 과전류 보호장치
KR100265668B1 (ko) 1997-12-11 2000-09-15 구자홍 인버터 회로의 과전류 검출 회로
JPH11178333A (ja) * 1997-12-15 1999-07-02 Sansha Electric Mfg Co Ltd 直流電源装置
US6043705A (en) * 1998-03-25 2000-03-28 Lucent Technologies Inc. Boost converter having extended holdup time and method of operation
JP4284478B2 (ja) 1998-12-28 2009-06-24 株式会社安川電機 インバータ装置
KR100358764B1 (ko) 1999-10-16 2002-10-30 엘지전자주식회사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353357B1 (ko) 1999-10-16 2002-09-18 엘지전자주식회사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제어회로
JP3740937B2 (ja) 2000-03-23 2006-02-01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コンデンサの過電圧抑制回路
US6465991B1 (en) * 2001-07-30 2002-10-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witchable power converter with coupled inductor boost and coupled inductor SEPIC for multiple level input line power factor correction
US6804127B2 (en) * 2002-11-19 2004-10-12 Wilcon Inc. Reduced capacitance AC/DC/AC power conver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2797B2 (en) 2018-07-03 2021-05-11 Hyundai Mobis Co., Ltd. Fault diagnosis circuit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US11201480B2 (en) 2018-07-04 2021-12-14 Hyundai Mobi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char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36133A1 (en) 2004-07-15
JP2004222487A (ja) 2004-08-05
KR20040064091A (ko) 2004-07-16
CN1517824A (zh) 2004-08-04
JP3763831B2 (ja) 2006-04-05
US7113380B2 (en) 2006-09-26
CN100392550C (zh)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087B1 (ko)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34107B1 (ko) 모터전원공급장치
US7068010B2 (en) Motor power suppl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488528B1 (ko) 모터전원공급장치
EP1835609B1 (en) Multi-phase current supplying circuit, driving apparatus, compressor, and air conditioner
JP2008022698A (ja) 高電圧電源回路の方法および装置
US7336052B2 (en) Device for powering a variable speed drive
EP0859453B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a control circuit
EP3595154B1 (en) Power conversion circuit having inrush current limiting resistor bypass
WO2009099144A1 (ja) バッテリ充電回路
KR100512720B1 (ko) 모터전원공급장치 및 모터전원공급방법
CN105580233A (zh) 冲击电流限制电路及功率转换装置
JP2016123202A (ja)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
KR102060068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1227374B1 (ko) 인버터 과전류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모터 회로 및 인버터 과전류 검출 회로 전원 제공 방법
EP13722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US voltage stress in a single-stage single switch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KR20010010415A (ko) 인버터의 역률보정장치 및 방법
JP3284526B2 (ja) 瞬時電圧低下補償装置
KR100752596B1 (ko) 사이리스터 다이오드를 이용한 커패시터 초기전류충전 장치및 방법
KR102036113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60069B1 (ko)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0464050B1 (ko) 유도전동기의 구동회로
KR100853678B1 (ko) 스위칭 방식 전원 공급 장치의 돌입 전류 제한 회로
JPH03253265A (ja) インバータ装置
JPH03128698A (ja) 電圧型イ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