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617B1 -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617B1
KR100470617B1 KR10-2002-7007232A KR20027007232A KR100470617B1 KR 100470617 B1 KR100470617 B1 KR 100470617B1 KR 20027007232 A KR20027007232 A KR 20027007232A KR 100470617 B1 KR100470617 B1 KR 100470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latch plate
tab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551A (ko
Inventor
벨스티븐씨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6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61Tongu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53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8One-pie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50)는 좌석 벨트 버클의 잠금 형상부(57)를 결합하기 위한 대체로 평탄한 텅(58)을 포함하는 금속제 하중 지지 플레이트(52)를 구비하고 있다. 텅의 후방의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분은 횡방향 연장 후단(72)을 포함하는 표면(70)을 갖는다. 지지 플레이트의 제 2 부분은 횡방향 연장 선단을 갖는 일체로 형성된 탭(62)을 구비한다. 이 탭은 제 1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가는 채널(80) 또는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를 통해 좌석 벨트가 수용된다. 이 거리는 좌석 벨트가 채널 내에서 뒤틀리게 되는 가능성을 줄이기에 충분한 정도로 좁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ANTI-ROPING LATCH PLATE}
본 발명은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꼬임 방지용 래치 플레이트(anti-roping latch plate)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의 래치 플레이트(20)를 도시한 것이다. 이 래치 플레이트는 개구와 같은 제 1 잠금 형상부를 갖는 텅 부분(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잠금 형상부는 좌석 벨트 버클의 잠금 기구에 결합한다. 래치 플레이트는 후방 또는 플레이트(26)를 더 포함하며, 이 플레이트 부분은 그를 통해 좌석 벨트(30)를 연장시키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기다란 개구(28)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6)의 후단부(26a)는 대개 텅의 평면으로부터 절곡된다. 좌석 벨트(30)의 마모를 줄이기 위해서, 개구(28) 주변의 래치 플레이트(20)는 저 마찰 플라스틱 피막으로 피복될 수도 있다.
차량 승객이 좌석 벨트를 채우고 푸는 시간이 지날수록, 좌석 벨트는 종종 꼬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개구(28)에서 뒤틀려질 수도 있다. 이러한 좌석 벨트의 꼬임, 뒤틀림 또는 접힘은 보통 "꼬임(roping)"이라 칭하며, 이것은 첨부된 청구항 1에 개시된 래치 플레이트에 의해 감소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가 제공되는 바, 이것은 좌석 벨트 버클의 잠금 형상부에 결합하는 텅을 포함하는 금속제 하중 지지 플레이트(load bearing plate)를 포함하며, 이 하중 지지 플레이트는 대체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표면 사이에 배치된 벨트 수용 개구를 규정하며, 이러한 평행한 제 1 및 제 2 표면은 좌석 벨트가 벨트 수용 개구에서 빠져나옴에 따라 좌석 벨트를 안내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의 래치 플레이트의 도면,
도 3은 하중 지지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4-4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6의 5-5 선을 따라 절단한 상측으로 회전한 탭을 갖는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하중 지지 플레이트의 등각 사시도,
도 7은 도 8의 7-7 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플레이트의 일부분상에 플라스틱 피막을 포함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 플레이트의 등각 사시도,
도 8a는 하중 지지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의 도면,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13a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의 정면도,
도 14는 좌석 벨트 버클에 고정된 상태의 본 발명의 래치 플레이트의 개략도,
도 15는 전형적인 3점식 좌석 벨트 시스템의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래치 플레이트(50)의 주요 부품인 하중 지지 플레이트(52)를 도시하고 있다. 이 하중 지지 플레이트는 개구 또는 제 1 잠금 형상부(54)를 구비하며, 이 제 1 잠금 형상부는 도 14에 도시된 버클(56)의 래치 기구(57)에 결합한다. 도 14는 래치 플레이트(50)에 잠금 방식으로 결합하는 회전가능한 래치 기구를 갖는 버클을 도시하고 있다.
하중 지지 플레이트(52)내의 개구 또는 잠금 형상부(54)는 하중 지지 플레이트의 텅(58) 부분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하중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의 제 2 부분(60)은 일체로 형성된 탭(62)을 포함하고 있다. 이 탭은 하중 지지 플레이트 내에 스탬핑(stamping) 가공에 의해 또는 다른 방법으로 협소한 U자형 홈(slot)(64)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하중 지지 플레이트는 홈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표면(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 1 표면은 평탄하다.
개구(54) 및 홈(64)을 형성한 다음, 이 탭(62)을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회전시킨다. 제 1 표면의 횡방향 연장 후단(72) 및 탭의 선단(74)은 도 6에 보다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탭이 절곡되면, 선단(74)이 후단(72)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어 그 사이에 채널(80)이 형성된다. 그 다음, 하중 지지 플레이트(52)가 절곡선(82)을 중심으로 절곡되고(도 7 및 도 8 참조), 그것에 의해 하중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위치(52a)가 텅(58)에 대해 소정 각도로 위치설정된다. 이러한 하중 지지 플레이트의 회전은 선단(74)을 텅에 가깝게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탭의 절첩 선의 위치 및 치수에 따라, 탭의 선단은 후단(72)과 일치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후단의 약간 전방에 위치되어 제 1 표면(70) 위에 놓일 것이다. 결과적인 형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탭(62)은 도 8a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표면에 대해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래치 플레이트(50)를 통해 연장되고 특히 채널(80)을 통해 연장된 가상선으로 좌석 벨트(3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좌석 벨트(30)는 이제 2개의 평행한 벽 사이에서 안내되는데, 제 1 벽은 제 1 표면(70)에 의해 형성되고 제 2 벽은 탭(62)의 하부 표면(62a)에 의해 형성된다. 이제 좌석 벨트에 대한 채널의 밀접한 이격 및 그것의 평행한 구조에 의해, 좌석 벨트의 꼬임, 즉 뒤틀림, 비틀림 등은 최소로 된다. 이들 벽은 평행하지만 평행한 상태로부터 ±10°정도 벗어날 수 있다.
도 8의 래치 플레이트(50)가 충분한 기능을 하기는 하지만, 통상적으로 래치 플레이트는 좌석 벨트(30)를 보호하기 위해 금속제의 하중 지지 플레이트의 여러 부분에 배치되는 저 마찰 탄성중합체 피막을 구비한다. 도 7은 하중 지지 플레이트(52)의 후방 부분(52a)의 둘레 뿐만아니라 후단(72)의 둘레에서 제 1 표면상에 배치된 이러한 피막 재료(90)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채널(80)을 통해 끼워진 좌석 벨트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 채널은 피막 재료(90)의 인접한 상부 층과 하부 층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어떤 적용에 있어서는, 후방부(52a)가 텅(58)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 형태가 소망되는 경우, 후방부(52a)는 제 2 절곡선(80a)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하중 지지 플레이트(52)의 최후방부(53)(도 8에 점선으로 도시함)를 텅의 최후방 부분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방위로 배치한다. 이러한 형태는 도 8b에도 도시되어 있다.
도 9, 도 9a 및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2개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초기의 실시예에서 채널(80)은 플라스틱 재료의 박층으로 피복된 2개의 평탄한 표면(62a, 7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채널(80)은 다수의 분리된 돌기를 포함한다.
도 9는 표면(62a, 70)상의 플라스틱 피막이 다수의 각각의 돌기(100, 102)를 제공하도록 성형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7과 동일하다. 도 9a는 내부에 좌석 벨트가 없는 상태의 래치 플레이트의 정면도로서, 각각의 상기 표면상의 교호 돌기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돌기(102)는 예컨대 원형 및/또는 장원형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표면(70)은 평탄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돌기(100)가 제 1 표면에 제공된다. 변형예로, 또는 돌기와 조합하여, 다수의 다른 돌기(102)도 탭의 하부 표면(62a)상에 제공된다. 도 10은 하중 지지 플레이트(52)의 평면도로서, 제 1 표면(70)상의 다수의 반구 형상의 돌기(100)와, 설명 목적을 위한 탭(62)상의 장원형상의 돌기(102)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돌기는 래치 플레이트(50)를 형성하는 동안 스탬핑 가공 도중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11-11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탭(62)을 상측으로 절곡(도 12에서와 같이)하기 전의 돌기(100, 102)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에서, 탭(62)을 상측으로 절곡한 후에, 하중 지지 플레이트(52)는 도 6 및 도 8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절곡된다. 결과적인 형태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돌기(100, 102)를 피복하는 피막 재료(90)도 도시하고 있다. 도 13a는 좌석 벨트(30)가 수용되는 채널(80) 뿐만아니라 돌기들의 관계를 도시하는 이러한 변형 래치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3점식 좌석 벨트 시스템(150)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150)은 공지된 다양한 좌석 벨트 리트랙터(retractor)(160)를 포함한다. 좌석 벨트는 이 리트랙터로부터 연장되고, 어깨 벨트부(30a) 및 랩 벨트부(lap belt portion)(30b)로 분할된다. 본 발명의 래치 플레이트(50)는 본질적으로 좌석 벨트(30)를 어깨 벨트부 및 랩 벨트부로 분할한다. 랩 벨트의 말단부는 앵커(162)에 의해 바닥 등에 고정된다. 버클(56)은 다른 앵커(162)에 의해 유사하게 고정된다. 또한, 좌석 벨트는 웹 가이드(web guide) 또는 D자형 링(164)을 관통해 있다. 래치 플레이트(50)가 버클(56)로부터 분리되면, 리트랙터(160)가 좌석 벨트(30)를 그것의 스풀(도시 안됨)상으로 다시 감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랩 벨트부(30b)는 수직으로 배향되고 웹 가이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것이다. 수용된 형태에 있어서, 웹 가이드도 수직이며 이러한 형태에서 이것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좌석 벨트(30)의 두께에 관한 채널(80)의 높이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래치 플레이트(50)는 2가지 종류의 래치 플레이트 중 하나, 즉 자유 활주식 래치 플레이트 또는 자유 낙하식 래치 플레이트에 속할 것이다. 자유 활주식 래치 플레이트에서와 같이 채널(80)이 협소한 경우, 좌석 벨트는 래치 플레이트상에 낮은 정도의 마찰을 발생시키며, 그에 따라 좌석 벨트가 리트랙터 내로 회수될 때 풀린 래치 플레이트가 좌석 벨트에 의해 수용된 위치(도 15에 가상선으로 도시함)로 운반된다. 래치 플레이트는 종종 웹 가이드까지 운반되며, 리트랙터가 계속 후퇴함에 따라 좌석 벨트는 웹 가이드의 위치에서 정지한 래치 플레이트를 통해 당겨질 것이다. 좌유 활주식 래치 플레이트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수직으로 수용된 좌석 벨트에서 미끄러져 내려올 수도 있다. 자유 낙하식 래치 플레이트의 경우에는, 채널(80)의 크기는 약간 크게 되며, 그에 따라 래치 플레이트가 버클로부터 풀리는 경우, 래치 플레이트가 초기에는 후퇴한 좌석 벨트에 의해 상방으로 운반될 수도 있지만, 래치 플레이트는 낮은 마찰 정도에 의해 그것의 수직으로 수용된 방위에서 좌석 벨트에 의해 정지 위치까지 낙하할 것이다. 이러한 정지는 주로 소형 버튼(166) 등을 좌석 벨트에 추가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Claims (10)

  1.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50)에 있어서,
    좌석 벨트 버클의 잠금 형상부(54)에 결합하는 텅을 포함하는 금속제 하중 지지 플레이트(52)와,
    제 1 표면(70)을 갖고, 텅(58)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중 지지 플레이트의 제 1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표면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후단(72)을 포함하는, 제 1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 지지 플레이트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선단(74)을 갖는 일체로 형성된 탭(62)을 제 2 부분에 포함하며, 상기 탭의 선단(74)은 상기 제 1 표면의 후단(72) 위에 놓이고, 상기 탭은 제 1 표면으로부터 결정 가능한 거리로 이격되고, 이에 의해 좌석 벨트가 수용되는 가는 채널 또는 개구(80)를 형성하고, 상기 거리는 좌석 벨트가 상기 채널 내에서 꼬이게 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정도로 충분히 좁은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면은 평탄한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탭 중 하나는 평탄하고, 다수의 융기된 돌기를 포함하고 있는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상기 제 1 표면에 평행한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주변에 있어서 상기 탭 및 평탄한 표면의 적어도 대향 부분은 저 마찰의 탄성중합체 피막으로 피복되어 래치 플레이트가 좌석 벨트상에서 용이하게 활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 1 표면 및 상기 텅은 동일한 평면 내에 있는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표면의 바로 뒤에 있는 가는 U자형 홈을 포함하며, 상기 U자형 홈은 탭과, 상기 제 1 표면의 후단과, 상기 탭의 선단을 형성하는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최초에 텅의 평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고, 상기 하중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탭의 선단이 상기 제 1 표면의 후단을 덮어서 위치하도록 상기 홈의 주변에서 절곡되는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은 상기 채널과 함께 상기 채널내로 돌출한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 플레이트.
KR10-2002-7007232A 1999-12-08 2000-08-16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플레이트 KR100470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56,448 US6490764B1 (en) 1999-12-08 1999-12-08 Anti-roping latch plate
US09/456,448 1999-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551A KR20020065551A (ko) 2002-08-13
KR100470617B1 true KR100470617B1 (ko) 2005-03-09

Family

ID=2381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232A KR100470617B1 (ko) 1999-12-08 2000-08-16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플레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90764B1 (ko)
EP (1) EP1235703B1 (ko)
JP (1) JP3598311B2 (ko)
KR (1) KR100470617B1 (ko)
DE (1) DE60008788T2 (ko)
WO (1) WO2001042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8380B2 (en) * 2002-03-20 2004-03-23 Autoliv Asp, Inc. Breakaway latch plate
DE202007019173U1 (de) * 2006-09-20 2010-12-09 Trw Automotive Gmbh Steckzunge für ein Sicherheitsgurtschloss
DE102007025481B4 (de) * 2007-05-31 2009-05-14 Autoliv Development Ab Rahmenteil für ein Gurtschloss eines Sicherheitsgurtes
US20090078811A1 (en) * 2007-09-21 2009-03-26 Roger Dick Anti-twist device
US20160311396A1 (en) * 2015-04-24 2016-10-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elt buckle anchor for thin seats
USD772105S1 (en) * 2015-09-25 2016-11-22 Standard Car Truck Company Auto rack railroad car restraint clip
US11730982B2 (en) 2016-09-19 2023-08-22 Cleveland Reclaim Industries Rescue tube
USD1024728S1 (en) * 2018-05-14 2024-04-30 Radio Systems Corporation Seatbelt tongue
USD979851S1 (en) * 2020-04-28 2023-02-28 Cleveland Reclaim Industries Rescue tub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75015B (ko) * 1974-02-13 1975-04-07 Stece Ab Ind
JPS5521694Y2 (ko) 1974-09-27 1980-05-24
US3941419A (en) * 1974-11-21 1976-03-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Buckle component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 system
SE8203219L (sv) * 1982-05-25 1983-11-26 Stil Ind Ab Anordning vid omlenkare eller lastunga till rullbelten
US4935994A (en) * 1989-12-11 1990-06-26 Chrysler Corporation Free running cinching seat belt latchplate
US5050274A (en) * 1990-12-18 1991-09-24 Allied-Signal Inc. Free running and cinching latch plate
US5222278A (en) 1991-11-26 1993-06-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Tongue assembly
JPH07304416A (ja) * 1994-05-10 1995-11-21 Takata Kk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トングアセンブリ
US5984358A (en) * 1997-11-24 1999-11-16 Chrysler Corporation Seat belt latchplate
US5908223A (en) * 1998-01-15 1999-06-01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Child seat restraining system with tongu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551A (ko) 2002-08-13
JP2003516269A (ja) 2003-05-13
JP3598311B2 (ja) 2004-12-08
US6490764B1 (en) 2002-12-10
EP1235703A1 (en) 2002-09-04
DE60008788D1 (de) 2004-04-08
EP1235703B1 (en) 2004-03-03
DE60008788T2 (de) 2005-01-13
WO2001042064A1 (en) 200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1889A (en) Low friction self-locking adjust tongue
US5088160A (en) Lap belt webbing adjuster
KR100470617B1 (ko) 좌석 벨트 및 좌석 벨트 버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래치플레이트
US4527313A (en) Arrangement in a loop fitting or locking tongue for retractor-type safety belts
EP0689973B1 (en) Slip anchor for seat belt device
EP1477376B1 (en) Through anch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9988013B2 (en) Grip tongue latch plate for seatbelt
US20030080239A1 (en) Roller web guide (or D-ring) seat belt system
US20130154335A1 (en) Tongue and seat belt device using the same
US6273469B1 (en) Insert for protecting a vehicle occupant's head from an impact
US5984358A (en) Seat belt latchplate
US6290259B1 (en) Anti-roping turning loop
US7198299B2 (en) Structure of pillar garnish for automobile
US7325879B2 (en) Seat belt guide
US6502861B2 (en) Seat belt guide
EP0318222B1 (en) Seat belt guide ring
US20050236828A1 (en) Webbing insertion member
US4567629A (en) Buckle device
JP2003019944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2127869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7192056B2 (en) Webbing insertion member
JP448861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2337658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S5937062Y2 (ja) バックル装置用のタングプレ−ト
JP6974396B2 (ja) スルーアンカ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