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616B1 -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616B1
KR100470616B1 KR10-2002-0063749A KR20020063749A KR100470616B1 KR 100470616 B1 KR100470616 B1 KR 100470616B1 KR 20020063749 A KR20020063749 A KR 20020063749A KR 100470616 B1 KR100470616 B1 KR 100470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ing
link
hatch
stepping step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4261A (ko
Inventor
오구라마나부
유무라다카시
나카무라조이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14663A external-priority patent/JP4080753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10Moving walkways
    • B66B21/12Moving walkways of variable spe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66B21/025Escalators of variable speed type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 기구에 있어서의 베어링부를 적게 하여, 링크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베어링부의 오차나 마모에 의한 구동 롤러 축의 간격의 오차를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단부가 구동 롤러 축(3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 1 링크(42)와, 제 1 링크(42)의 중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37)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제 2 링크(43)를 갖는 링크 기구(41)를 사용하고, 제 1 링크(4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한 보조 롤러(44)를 설치했다.

Description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ESCALATOR WITH HIGH SPEED INCLINED SECTION}
본 발명은 중간 경사부에 있어서의 디딤단(踏段)의 이동 속도가 상측 승강구부 및 하측 승강구부에 있어서의 디딤단의 이동 속도보다도 빠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가변속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하철역 등에는 고양정의 에스컬레이터가 수없이 많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승객이 디딤단에 정지한 상태로 오랜 시간 서있지 않으면 안되어, 불쾌감을 느끼는 승객이 많다. 이 때문에, 고속도로 운행하는 에스컬레이터가 개발되고 있지만, 그 운행 속도에는 승객이 안전하게 승강하기 위한 상한값이 있다.
이에 대하여, 승객이 타고 내리는 상측 승강구부 및 하측 승강구부에 있어서의 디딤단의 이동 속도에 대하여, 중간 경사부에서의 디딤단의 이동 속도를 상대적으로 높여 운행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에 타고 있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76-116586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5는 종래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주 프레임(1)에는 무단 형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디딤단(2)이 설치되어 있다. 디딤단(2)은 구동 유닛(3)에 의해 구동되어 순환 이동된다. 주 프레임(1)에는 디딤단(2)의 순환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구동 롤러용 레일(4), 디딤단(2)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한쌍의 추종 롤러용 레일(5), 및 인접하는 디딤단(2)의 간격을 변화시키기 위한 한쌍의 보조 롤러용 레일(6)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용 레일(4)에 의해 형성되는 디딤단(2)의 순환로는 왕로(往路)측 구간, 귀로측 구간, 상측 반전부(F) 및 하측 반전부(1)를 갖고 있다. 또한, 순환로의 왕로측 구간은 수평인 상측 승강구부(상측 수평부)(A), 상측 굴곡부(B), 경사 각도가 일정한 중간 경사부(일정 경사부)(C), 하측 굴곡부(D), 수평인 하측 승강구부(하측 수평부)(E), 상측 이행부(G), 및 하측 이행부(H)를 포함하고 있다.
중간 경사부(C)는 상측 승강구부(A)와 하측 승강구부(E)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측 굴곡부(B)는 상측 승강구부(A)와 중간 경사부(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하측 굴곡부(D)는 하측 승강구부(E)와 중간 경사부(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측 이행부(G)는 상측 승강구부(A)와 상측 반전부(F)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하측 이행부(H)는 하측 승강구부(E)와 하측 반전부(I)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측 승강구부(A) 및 하측 승강구부(E)의 디딤단(2)의 상방에는, 한쌍의 승강판(22a, 22b)이 배치되어 있다. 승강판(22a, 22b)은 디딤단(2)을 덮도록 상측 승강구부(A) 및 하측 승강구부(E)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있다. 주 프레임(1)의 상부에는 한쌍의 이동 난간 장치(23)가 세워져 있다. 이동 난간 장치(23)는 디딤단(2)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상측 승강구부(A) 부근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각 디딤단(2)은 승객을 태우는 디딤판(7), 이 디딤판(7)의 하단측 단부에 굴곡 형성된 라이저(riser)(8), 구동 롤러 축(9), 이 구동 롤러 축(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한쌍의 구동 롤러(10), 추종 롤러 축(11), 및 추종 롤러 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한쌍의 추종 롤러(12)를 갖고 있다. 구동 롤러(10)는 구동 롤러용 레일(4)을 따라 전동된다. 추종 롤러(12)는 추종 롤러용 레일(5)을 따라 전동된다.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9)은 한쌍의 링크 기구(굴절 링크)(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링크 기구(13)는 제 1 내지 제 5 링크(14 내지 18)를 갖고 있다.
제 1 링크(14)의 일단부는 구동 롤러 축(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링크(14)의 타단부는 제 3 링크(16)의 중간부에 축(19)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링크(15)의 일단부는,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링크(15)의 타단부는 제 3 링크(16)의 중간부에 축(19)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링크(14)의 중간부에는 제 4 링크(17)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링크(15)의 중간부에는 제 5 링크(18)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4 및 제 5 링크(17, 18)의 타단부는 미끄럼운동 축(20)을 거쳐 제 3 링크(16)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 3 링크(16)의 일단부에는 제 3 링크(16)의 길이 방향으로의 미끄럼운동 축(20)의 미끄럼운동을 안내하는 안내 홈(16a)이 설치되어 있다. 제 3 링크(16)의 타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보조 롤러(21)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롤러(21)는 보조 롤러용 레일(6)에 의해 안내된다.
보조 롤러(21)가 보조 롤러용 레일(6)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링크 기구(13)가 굴신(屈伸)되도록 변형하여, 구동 롤러 축(9)의 간격, 즉 인접하는 디딤단(2) 상호의 간격이 변화된다. 역으로 말하면, 인접하는 디딤단(2) 상호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보조 롤러용 레일(7)의 궤도가 설계되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딤단(2)의 속도는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9)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된다. 즉, 구동 롤러 축(9)의 간격은 승객이 승강하는 상측 승강구부(A) 및 하측 승강구부(E)보다도 중간 경사부(C)에서 커지고 있다. 이로써, 상측 승강구부(A) 및 하측 승강구부(E)보다도 중간 경사부(C)에서 디딤단(2)이 고속으로 이동된다.
제 1, 제 2, 제 4 및 제 5 링크(14, 15, 17, 18)는 소위 팬터그래프식(pantograph type) 4 연결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고, 제 3 링크(16)를 대칭축으로 하여 제 1 및 제 2 링크(14, 15)가 이루는 각도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거나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링크(14, 15)에 연결된 구동 롤러 축(9)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구동 롤러용 레일(4)과 보조 롤러용 레일(6)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하면, 우산을 펼 때의 우산 뼈대의 동작과 같이 링크 기구(13)가 동작하여,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9)의 간격이 커진다.
도 5의 중간 경사부(C)에서는, 구동 롤러용 레일(4)과 보조 롤러용 레일(6)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되고,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9)의 간격이 최대로 된다. 따라서, 디딤단(2)의 속도는 최대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링크(14, 15)가 거의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중간 경사부(C)에서 디딤단(2)의 간격이 개방되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에는, 인접하는 디딤판(7) 사이의 개구를 메우기 위해, 라이저(8)가 하단측으로 내밀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라이저(8)를 갖는 디딤단(2)을 반전부(F, I)에서 반전시키는 경우, 디딤단(2)의 간격을 넓히지 않으면, 디딤단(2)끼리가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반전부(F, I)에서는 디딤단(2)의 간격이 넓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행부(G, H)에서는 링크 기구(13)를 확장하는 동작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링크 기구(13)에 수없이 많은 베어링부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베어링부의 제작 오차, 마모 등에 의해 생기는 틈새의 영향이 커져, 구동 롤러 축(9)의 간격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역으로 인접하는 디딤단(2)이 서로 간섭하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이행부(G, H)에서 링크 기구(13)를 확장하는 동작을 할 때, 제 3 링크(16)가 승강판(22a, 22b)의 높이보다도 상측으로 돌출한다. 이 때문에, 링크 기구(13)의 바로 위에 이동 난간 장치(23)가 있는 영역에서는, 링크 기구(13)를 확장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딤단(2)이 승강판(22a, 22b)의 단부(22c)보다도 매우 안으로 들어간 위치로부터, 디딤단(2)의 간격이 개방되기 시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상측 승강구부(A) 및 하측 승강구부(E)의 길이가 길어지고, 에스컬레이터가 대형화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상측 굴곡부(B) 및 하측 굴곡부(D)에서의 보조 롤러용 레일(6)의 형상이 매끄러운 원호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2)의 단 차이의 변화가 상측 굴곡부(B) 및 하측 굴곡부(D)에서는 완결되지 않고, 상측 승강구부(A), 하측 승강구부(E) 또는 중간 경사부(C)에서도 단 차이의 변화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라이저(8)의 단면 형상이,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경사부(C)의 경사 방향으로 절곡된 불연속 형상으로 되고, 연속적인 평면이나 곡면으로 할 수 없어,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링크 기구에 있어서의 베어링부를 적게 하여, 링크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베어링부의 오차나 마모에 의한 구동 롤러 축의 간격의 오차를 저감할 수 있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는, 구동 롤러 축과, 구동 롤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롤러와, 추종 롤러 축과, 추종 롤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추종 롤러를 각각 갖고, 무단 형상으로 연결되어 순환 이동되는 복수의 디딤단과; 구동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동 롤러용 가이드 레일과; 추종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추종 롤러용 가이드 레일과; 일단부가 구동 롤러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 1 링크와, 일단부가 제 1 링크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인접하는 디딤단의 구동 롤러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 2 링크를 각각 갖고 있는 복수의 링크 기구와; 제 1 링크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 가능한 보조 롤러와; 보조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 롤러용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구동 롤러용 가이드 레일과 보조 롤러용 가이드 레일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제 1 링크에 대한 제 2 링크의 각도가 변화되어,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의 구동 롤러 축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이다.
또한, 제 1 링크는 일부를 굴곡시킨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구동 롤러 축의 간격이 가장 작을 때, 제 1 링크의 굴곡부로부터 외측 단부까지의 부분이 보조 롤러용 레일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는, 상측 승강구부와, 하측 승강구부와, 상측 승강구부와 하측 승강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경사부를 포함하는 순환로와; 무단 형상으로 연결되고, 순환로를 따라 순환 이동되는 복수의 디딤단과, 순환로내의 위치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디딤단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디딤단 변속 수단과; 상측 승강구부 및 하측 승강구부에서 디딤단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승강판을 구비하며, 디딤단 변속 수단은 상측 승강구부 및 하측 승강구부에서는, 승강판의 하부로 디딤단이 들어간 직후에,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의 간격이 확대되기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는, 상측 승강구부와, 하측 승강구부와, 상측 승강구부와 하측 승강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경사부를 포함하는 순환로와; 무단 형상으로 연결되고, 순환로를 따라 순환 이동되는 복수의 디딤단과; 순환로내의 위치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디딤단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디딤단 변속 수단과; 상측 승강구부 및 하측 승강구부에서 디딤단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승강판을 구비하며, 디딤단 변속 수단은 상측 승강구부 및 하측 승강구부에서는, 승강판의 하부로부터 디딤단이 나오기 직전에,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의 간격의 축소가 완료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는, 수평인 상측 승강구부와, 수평인 하측 승강구부와, 상측 승강구부와 하측 승강구부 사이에 위치하여 경사 각도가 일정한 중간 경사부와, 상측 승강구부와 중간 경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측 굴곡부와, 하측 승강구부와 중간 경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측 굴곡부를 포함하는 왕로측 구간을 갖는 순환로와; 무단 형상으로 연결되어, 순환로를 따라 순환 이동되는 복수의 디딤단과; 순환로내의 위치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디딤단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디딤단 변속 수단을 구비하며, 디딤단 변속 수단은 왕로측 구간에서는, 상측 굴곡부 및 하측 굴곡부에서만 디딤단의 이동 속도가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의 상측 반전부 부근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링크 기구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주 프레임(1)에는 무단 형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디딤단(34)이 설치되어 있다. 디딤단(34)은 구동 유닛(3)(도 5와 동일)에 의해 구동되어 순환 이동된다. 주 프레임(1)에는 디딤단(34)의 순환로를 형성하는 한쌍의 구동 롤러용 레일(31), 디딤단(34)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한쌍의 추종 롤러용 레일(32), 및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간격을 변화시키기 위한 한쌍의 보조 롤러용 레일(33)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용 레일(31)에 의해 형성되는 디딤단(34)의 순환로는, 도 5와 마찬가지로, 왕로측 구간, 귀로측 구간, 상측 반전부(F) 및 하측 반전부(I)를 갖고 있다. 또한, 순환로의 왕로측 구간은, 수평인 상측 승강구부(상측 수평부)(A), 상측 굴곡부(B), 경사 각도가 일정한 중간 경사부(일정 경사부)(C), 하측 굴곡부(D), 수평인 하측 승강구부(하측 수평부)(E), 상측 이행부(G), 및 하측 이행부(H)를 포함하고 있다.
중간 경사부(C)는 상측 승강구부(A)와 하측 승강구부(E)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측 굴곡부(B)는 상측 승강구부(A)와 중간 경사부(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하측 굴곡부(D)는 하측 승강구부(E)와 중간 경사부(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측 이행부(G)는 상측 승강구부(A)와 상측 반전부(F)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하측 이행부(H)는 하측 승강구부(E)와 하측 반전부(I)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측 승강구부(A) 및 하측 승강구부(E)의 디딤단(34)의 상방에는 한쌍의 승강판(22a, 22b)이 배치되어 있다. 승강판(22a, 22b)은 디딤단(34)을 덮도록 상측 승강구부(A) 및 하측 승강구부(E)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있다. 주 프레임(1)의 상부에는 한쌍의 이동 난간 장치(23)가 세워져 있다. 이동 난간 장치(23)는 디딤단(34)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디딤단(34)은 승객을 태우는 디딤판(35), 이 디딤판(35)의 하단측 단부에 굴곡 형성된 라이저(36), 디딤판(35)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동 롤러 축(37), 이 구동 롤러 축(3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한쌍의 구동 롤러(38), 구동 롤러 축(37)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추종 롤러 축(39), 및 추종 롤러 축(3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한쌍의 추종 롤러(40)를 갖고 있다. 구동 롤러(38)는 구동 롤러용 레일(31)을 따라 전동한다. 추종 롤러(40)는 추종 롤러용 레일(32)을 따라 전동한다.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구동 롤러 축(37)은 한쌍의 링크 기구(굴절 링크)(4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링크 기구(41)는 제 1 및 제 2 링크(42, 43)를 갖고 있다.
제 1 링크(42)의 일단부는 구동 롤러 축(3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링크(42)의 타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보조 롤러(44)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롤러(44)는 보조 롤러용 레일(33)을 따라 전동한다. 제 2 링크(43)의 일단부는 제 1 링크(42)의 중간부에 축(45)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링크(43)의 타단부는 하단측에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구동 롤러 축(3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링크(42)는 구동 롤러 축(37)에 연결된 직선 형상의 제 1 부분(42a)과, 보조 롤러(44)가 부착된 직선 형상의 제 2 부분(42b)을 갖고 있다. 제 1 링크(42)의 중간부에서, 제 2 부분(42b)은 제 1 부분(42a)에 소정의 각도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링크(42)는 제 2 링크(43)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으로 중간부에서 굴곡되고, "〈"형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부분(42a, 42b)은 단일 유닛일 수도 있다.
보조 롤러(44)가 보조 롤러용 레일(33)로 안내됨으로써, 링크 기구(41)가 굴신되도록 변형하여, 구동 롤러 축(37)의 간격, 즉 인접하는 디딤단(34) 상호의 간격이 변화된다. 역으로 말하면, 인접하는 디딤단(34) 상호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보조 롤러용 레일(33)의 궤도가 설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딤단 변속 수단은, 링크 기구(41), 보조 롤러(44) 및 보조 롤러용 레일(33)을 갖고 있다. 디딤단(34)의 이동 속도는, 디딤단 변속 수단에 의해, 순환로내의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또한, 디딤단 변속 수단은, 왕로측 구간에서는, 상측 굴곡부(B) 및 하측 굴곡부(D)에서만 디딤단(34)의 이동 속도가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구동 롤러 축(37) 사이의 간격이 가장 작은 상측 승강구부 및 하측 승강구부에서는, 제 1 링크(42)의 굴곡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부분, 즉 제 2 부분(42b)이 보조 롤러용 레일(33)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도 1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의 승강판(22a, 22b)과 디딤단(34)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상측 승강구부(A) 및 하측 승강구부(E)에서는, 승강판(22a, 22b)의 하부로 디딤단(34)이 들어간 직후에,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간격이 확대하기 시작하는 동시에, 승강판(22a, 22b)의 하부로부터 디딤단(34)이 나오기 직전에,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간격의 축소가 완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디딤단(2)의 상방에 승강판(22a, 22b)이 위치하고, 또한 이동 난간 장치(23)가 배치되어 있는 구간에도,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간격이 개방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접하는 디딤단(34)은 링크 기구(4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구동 롤러 축(37) 사이의 간격은, 제 1 및 제 2 링크(42, 43)가 이루는 각도에 의해 변화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링크(42, 43)가 이루는 각도는, 구동 롤러용 레일(31)과 보조 롤러용 레일(33) 사이의 간격에 따라 변화된다. 이 때, 디딤판(34)의 자세는 추종 롤러용 레일(52)에 의해 추종 롤러(39)가 안내됨으로써 적절히 유지된다.
디딤단(34)의 순환로의 왕로측 구간중, 상측 승강구부(A) 및 하측 승강구부(E)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구동 롤러 축(37)의 간격이 최소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 롤러용 레일(31)과 보조 롤러용 레일(33)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면, 제 1 및 제 2 링크(42, 43)가 이루는 각도가 커져,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구동 롤러 축(37)의 간격이 커진다.
중간 경사부(C)에서는 구동 롤러용 레일(31)과 보조 롤러용 레일(33) 사이의 간격이 최소이며,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구동 롤러 축(37)의 간격이 최대로 되어 있다.
디딤단(34)의 속도는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구동 롤러 축(37)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된다. 즉, 승객이 승강하는 상측 및 하측 승강구부(A, E)에서는, 상기 간격이 최소로 되고, 디딤단(34)은 저속으로 이동된다. 또한, 중간 경사부(C)에서는 상기 간격이 최대로 되고, 디딤단(34)은 고속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 상태의 제 1 링크(42)에서는, 제 1 부분(42a)과 제 2 링크(43)가 거의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굴곡부(B) 및 하측 굴곡부(D)에서는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간격이 변화되고, 디딤단(34)은 가감속된다.
이러한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에서는, 2개의 링크, 즉 제 1 및 제 2 링크(42, 43)를 갖는 링크 기구(41)에 의해 구동 롤러 축(37)의 간격이 변화되기 때문에, 링크 기구(41)에 있어서의 베어링부는 제 1 링크(42)와 제 2 링크(43)의 연결부의 1개소로 종료한다. 따라서, 링크 기구(41)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베어링부의 오차나 마모에 의해 생기는 틈새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구동 롤러 축(37)의 간격의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링크 기구(41)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 비용도 저렴해진다.
여기서, 디딤단(34) 사이에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 그 하중은 보조 롤러(44)에서 받게 된다. 보조 롤러(44)에 의해 지지되는 힘은, 제 1 및 제 2 링크(42, 43)가 이루는 각도에 관련되어 있고, 제 1 부분(42a)과 제 2 링크(43)가 일직선으로 되는 중간 경사부에서는, 보조 롤러(44)에는 제 1 및 제 2 링크(42, 43)의 자중 정도 밖에 힘이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구동 롤러 축(37)의 간격이 작아지고, 제 1 및 제 2 링크(42, 43)의 개방 각도가 작아짐에 따라서, 디딤단(34) 사이에 인장·압축력이 작용한 경우의 보조 롤러(44)에 걸리는 힘은 커진다. 그리고, 구동 롤러 축(37)의 간격이 최소로 되는 상부 및 하측 승강구부에 있어서, 디딤단(1) 사이에 인장·압축력이 작용하면, 보조 롤러(44)는 가장 큰 힘을 받는다.
이에 대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측 승강구부에 있어서, 보조 롤러(44)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부분(42b)이 보조 롤러용 레일(33)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부분(42b)에 굽힘 응력이 발생되지 않고, 인장·압축 응력만이 발생하게 되어, 강도적 부담은 대폭 경감된다. 이로써, 충분한 신뢰성이 확보된다.
또한, 제 2 부분(42b)에 생기는 굽힘 응력은, 제 2 부분(42b)을 제 1 부분(42a)에 대하여 굴곡시킴으로써 저감되고, 제 2 부분(42b)을 보조 롤러용 레일(33)에 대하여 직각으로 함으로써 최소로 된다.
또한, 링크 기구(41)를 사용한 경우, 수평 부분에 디딤단(34)의 간격을 넓히더라도 승강판(22a, 22b) 위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승강판(22a, 22b) 하부로 디딤단(34)이 들어간 직후에,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간격이 확대되기 시작하는 동시에, 승강판(22a, 22b) 하부로부터 디딤단(34)이 나오기 직전에,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간격의 축소가 완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측에 이동 난간 장치(23)가 배치된 영역에도,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34)의 간격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및 하측 승강구부(A, E)의 길이를 작게 억제하여, 에스컬레이터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디딤단(34)의 이동 속도가 변화되는 때는, 디딤단(34)에 대하여, 하단측에 인접하는 디딤단(34)의 상대 위치가 변화된다. 이 때, 하단측에 인접하는 디딤단(34)의 디딤판(35)의 단부는, 상단측의 디딤단(34)의 라이저(36) 표면을 따라 변화된다. 이 실시예의 왕로측 구간에서는, 상측 굴곡부(B) 및 하측 굴곡부(D)에서만 디딤단(34)의 이동 속도가 변화된다. 이 때문에, 상단측의 라이저(36)에 대한 하단측의 디딤판(35)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도, 왕로측 구간에서는 상측 굴곡부(B) 및 하측 굴곡부(D)의 구간에서만 완료한다. 따라서, 라이저(36)의 형상을 연속적인 평면 또는 곡면으로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는, 구동 롤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일단부가 디딤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링크와, 제 1 링크의 중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인접하는 디딤단의 구동 롤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타단부가 인접하는 디딤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링크를 각각 갖고 있는 복수의 링크 기구를 사용하여, 제 1 링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한 보조 롤러를 설치하며, 구동 롤러용 가이드 레일과 보조 롤러용 가이드 레일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켜, 제 1 링크에 대한 제 2 링크의 각도를 변화시키고,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의 구동 롤러의 구동 롤러 축의 간격을 변화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링크 기구에 있어서의 베어링부를 적게 하여, 링크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베어링부의 오차나 마모에 의한 구동 롤러 축의 간격의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일부를 굴곡시킨 형상을 갖는 제 1 링크를 사용했기 때문에, 보조 롤러에 하중이 걸릴 때에, 제 1 링크에 생기는 굽힘 응력을 저감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는, 구동 롤러 축의 간격이 가장 작을 때, 제 1 링크의 굴곡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부분이 보조 롤러용 레일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보조 롤러에 하중이 걸릴 때에, 제 1 링크에 생기는 굽힘 응력을 보다 확실히 저감할 수 있어,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는, 상측 승강구부 및 하측 승강구부에서는, 승강판의 하부로 디딤단이 들어간 직후에,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의 간격이 확대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 및 하측 승강구부의 길이를 작게 억제하여, 에스컬레이터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는, 상측 승강구부 및 하측 승강구부에서는, 승강판의 하부로부터 디딤단이 나오기 직전에,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의 간격의 축소가 완료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 및 하측 승강구부의 길이를 작게 억제하여, 에스컬레이터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는, 왕로측 구간에서는, 상측 굴곡부 및 하측 굴곡부에서만 디딤단의 이동 속도가 변화되기 때문에, 라이저의 형상을 연속적인 평면 또는 곡면으로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의 상측 반전부 부근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링크 기구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의 승강판과 디딤단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종래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상측 승강구부(A) 부근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승강판과 디딤단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도 5의 디딤단의 라이저 형상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a, 22b : 승강판 31 : 구동 롤러용 레일
32 : 추종 롤러용 레일 33 : 보조 롤러용 레일
34 : 디딤단 37 : 구동 롤러 축
38 : 구동 롤러 39 : 추종 롤러 축
40 : 추종 롤러 41 : 링크 기구
42 : 제 1 링크 43 : 제 2 링크
44 : 보조 롤러

Claims (4)

  1. 구동 롤러 축과, 상기 구동 롤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롤러와, 추종 롤러 축과, 상기 추종 롤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추종 롤러를 각각 갖고, 무단 형상으로 연결되어 순환 이동되는 복수의 디딤단과,
    상기 구동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동 롤러용 가이드 레일과,
    상기 추종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추종 롤러용 가이드 레일과,
    일단부가 상기 구동 롤러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 1 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제 1 링크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인접하는 디딤단의 구동 롤러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 2 링크를 각각 갖고 있는 복수의 링크 기구와,
    상기 제 1 링크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 가능한 보조 롤러와,
    상기 보조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 롤러용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롤러용 가이드 레일과 상기 보조 롤러용 가이드 레일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에 대한 상기 제 2 링크의 각도가 변화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디딤단의 상기 구동 롤러 축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2. 상측 승강구부와, 하측 승강구부와, 상기 상측 승강구부와 상기 하측 승강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경사부를 포함하는 순환로와,
    무단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순환로를 따라 순환 이동되는 복수의 디딤단과,
    상기 순환로내의 위치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디딤단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디딤단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디딤단 변속 수단과,
    상기 상측 승강구부 및 상기 하측 승강구부에서 상기 디딤단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승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디딤단 변속 수단은 상기 상측 승강구부 및 상기 하측 승강구부에서는, 상기 승강판 하부로 상기 디딤단이 들어간 직후에, 서로 인접하는 상기 디딤단의 간격이 확대되기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3. 상측 승강구부와, 하측 승강구부와, 상기 상측 승강구부와 상기 하측 승강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경사부를 포함하는 순환로와,
    무단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순환로를 따라 순환 이동되는 복수의 디딤단과,
    상기 순환로내의 위치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디딤단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디딤단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디딤단 변속 수단과,
    상기 상측 승강구부 및 상기 하측 승강구부에서 상기 디딤단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승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디딤단 변속 수단은, 상기 상측 승강구부 및 상기 하측 승강구부에서는, 상기 승강판 하부로부터 상기 디딤단이 나오기 직전에, 서로 인접하는 상기 디딤단의 간격의 축소가 완료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4. 수평인 상측 승강구부와, 수평인 하측 승강구부와, 상기 상측 승강구부와 상기 하측 승강구부 사이에 위치하여 경사 각도가 일정한 중간 경사부와, 상기 상측 승강구부와 상기 중간 경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측 굴곡부와, 상기 하측 승강구부와 상기 중간 경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측 굴곡부를 포함하는 왕로측 구간을 갖는 순환로와,
    무단 형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순환로를 따라 순환 이동되는 복수의 디딤단과,
    상기 순환로내의 위치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디딤단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디딤단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디딤단 변속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디딤단 변속 수단은, 상기 왕로측 구간에서는, 상기 상측 굴곡부 및 상기 하측 굴곡부에서만 상기 디딤단의 이동 속도가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KR10-2002-0063749A 2002-01-23 2002-10-18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KR100470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14663A JP4080753B2 (ja) 2001-04-19 2002-01-23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JPJP-P-2002-00014663 2002-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261A KR20030064261A (ko) 2003-07-31
KR100470616B1 true KR100470616B1 (ko) 2005-03-08

Family

ID=1919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749A KR100470616B1 (ko) 2002-01-23 2002-10-18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24875B2 (ko)
EP (2) EP2258651A1 (ko)
KR (1) KR100470616B1 (ko)
CN (1) CN1221459C (ko)
AT (1) ATE522466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7971B2 (ja) * 2002-01-21 2008-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KR100522064B1 (ko) * 2003-11-29 2005-10-1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롤러 상승억제장치
KR101045131B1 (ko) * 2009-06-05 2011-06-30 정정길 발광수단이 구비된 방호용 난간
JP5001473B2 (ja) * 2010-12-21 2012-08-15 勝哉 寺本 加減速装置とこれを備えた加減速エスカレータ
CH705653B1 (fr) * 2011-11-08 2013-04-30 Swatch Group Res & Dev Ltd Pièce d'habillage d'horlogerie ou de bijouterie ou de joaillerie en alliage d'or.
TWI816905B (zh) * 2018-10-25 2023-10-01 瑞士商伊文修股份有限公司 用於產生電梯或自動走道之三維衍架資料集之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6586A (en) * 1975-04-07 1976-10-14 Hitachi Ltd Escalator
EP0079438A2 (en) * 1981-11-16 1983-05-25 The Boeing Company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walkway handrail
US4883160A (en) * 1989-03-27 1989-11-28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US4895239A (en) * 1989-03-27 1990-01-23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JPH08145125A (ja) * 1994-11-25 1996-06-04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速搬送チェー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933A (en) * 1905-11-13 1908-09-29 George A Wheeler Moving stairway.
US1071529A (en) * 1913-01-25 1913-08-26 Charles D Seeberger Conveyer.
ATE55758T1 (de) 1986-02-07 1990-09-15 Inventio Ag Fahrtreppe mit veraenderlichen fahrgeschwindigkeiten.
JP2540965B2 (ja) * 1990-01-16 1996-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中間高速エスカレ―タ―
ES2179720B1 (es) * 1999-11-19 2004-03-16 Thyssen Norte S A Pasillo de aceleracion.
JP3318749B2 (ja) 2000-06-06 2002-08-26 有限会社宮下プラントエンジニアリング 高速エスカレータ装置
JP4810030B2 (ja) * 2001-09-26 2011-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JP2003146569A (ja) * 2001-11-05 2003-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JP4236846B2 (ja) * 2002-01-23 2009-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JP4031249B2 (ja) * 2002-01-23 2008-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6586A (en) * 1975-04-07 1976-10-14 Hitachi Ltd Escalator
EP0079438A2 (en) * 1981-11-16 1983-05-25 The Boeing Company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walkway handrail
US4883160A (en) * 1989-03-27 1989-11-28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US4895239A (en) * 1989-03-27 1990-01-23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JPH08145125A (ja) * 1994-11-25 1996-06-04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速搬送チェ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3953A (zh) 2003-08-06
US20030136634A1 (en) 2003-07-24
KR20030064261A (ko) 2003-07-31
CN1221459C (zh) 2005-10-05
ATE522466T1 (de) 2011-09-15
EP1331194A2 (en) 2003-07-30
EP2258651A1 (en) 2010-12-08
EP1331194A3 (en) 2004-12-22
EP1331194B1 (en) 2011-08-31
US7124875B2 (en)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699B1 (ko)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KR100470616B1 (ko)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KR100467549B1 (ko)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KR100467548B1 (ko)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WO2010074669A1 (en) Moving skirt mechanism for chain driven passenger conveyors
KR100521543B1 (ko)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JP4080753B2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JP2009190897A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JP4031248B2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JP4707384B2 (ja) 中間加速型エスカレータ
JP4214536B1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WO2003062120A1 (fr) Escalator tres rapide presentant une partie en pente
EP1571114B1 (en) High-speed escalator for sloped part
JP2005067878A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WO2003062118A1 (fr) Escalier mecanique incline a grande vitesse
JP4029919B2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WO2003062123A1 (fr) Escalier roulant comportant une partie inclinee tres rapide
JP2006008308A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