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538B1 -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538B1
KR100468538B1 KR10-2002-0057753A KR20020057753A KR100468538B1 KR 100468538 B1 KR100468538 B1 KR 100468538B1 KR 20020057753 A KR20020057753 A KR 20020057753A KR 100468538 B1 KR100468538 B1 KR 100468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transmission
automatic
manual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699A (ko
Inventor
사또오사무
이마무라다슈야
후까사와도시히데
다까도리가주히로
Original Assignee
쟈또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또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또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8Timing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059/006Overriding autom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06/00Shifting
    • F16H2306/24Interruption of shift, e.g. if new shift is initiated during ongoing previous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스로틀 밸브의 개방정도와 차량속도에 기초하는 변속명령에 따라서 적정한 변속비가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자동변속모드와 운전자의 수동작동에 의하여 주어지는 변속명령에 따라서 변속비가 선택되는 수동변속모드를 갖는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속제어시스템은 변속작동이 시작된 후 경과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수단을 포함한다. 경과시간이 자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1재변속허용시간과 비교되고 수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2재변속허용시간과 비교된다. 제1재변속허용시간과 상기 제2재변속허용시간은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 모두에서 최적한 변속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하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SHIFT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연속모드 뿐만 아니라 수동변속모드에서도 작동될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변속기는 적정한 변속비가 스로틀 밸브의 개방정도와 차량속도에 기초하는 변속명령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을 즐기려는 운전자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공되는 변속명령에 따라서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어 통산적인 용도 또는 스포츠 용도의 다양한 목적에 아주 적합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형태의 자동변속기에 있어서는 다수의 변속명령이 짧은 시간내에 연속적으로 주어져야 함으로 상당한 변속충격이 있어 운전상의 안락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변속충격을 줄이고 운전상 안락감의 저하를 피하기 위한 변속제어시스템이 특허문헌 JP 6-323418A에 제안된 바 있다. 이 시스템은 변속명령의 입력에 따른 변속작동중에 이에 연속한 변속명령에 기초하는 다른 변속작동이 사전에 결정된 시간, 즉 소위 "재변속허용시간"이 경과되었을 때까지 금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나, 의도된 목적이 이러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어느정도 달성될 수는 있었으나, 변속명령이 수동으로 제공된 후 변속기의 즉각반응이 요구되는 수동변속모드에서 많은 운전자들은 특히 변속명령에 대한 만족스러운 응답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은 그대로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를 가지고 수동변속모드에서 변속명령에 대한 충분한 응답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변속충격이 감소되고 운전상의 안락감이 저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의 개선된 변속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결과로 종래기술의 상기 언급된 문제점이 자동변속작동을 위한 재변속허용시간과 수동변속작동을 위한 재변속허용시간의 길이를 동일하게 구성한 변속제어시스템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환언컨데, 본 발명자들은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 모두에서 이들 두 변속모드의 재변속허용시간을 달리 설정하는 경우 변속제어가 최적화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스로틀 밸브의 개방정도와 차량속도에 기초하는 변속명령에 따라서 적정한 변속비가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자동변속모드와 운전자의 수동작동에 의하여 주어지는 변속명령에 따라서 변속비가 선택되는 수동변속모드를 갖는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이 제공되는 바, 이 변속제어시스템이 변속작동이 시작된 후 경과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과시간이 자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1재변속허용시간과 비교되고 수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2재변속허용시간과 비교되며, 제1재변속허용시간과 제2재변속허용시간이 서로 상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변속작동이 시작된 후의 경과시간이 타이머수단에 의하여 카운트되고, 자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1재변속허용시간과 비교되고 수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2재변속허용시간과 비교되며, 제1재변속허용시간과 제2재변속허용시간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 모두에서 최적한 변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2재변속허용시간은 제1재변속허용시간 보다 길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자동변속모드의 경우 변속충격 또는 운전상 안락감의 저감의 방지, 그리고 수동모드의 경우 변속명령에 대한 응답에 앞서 변속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모드는 한번의 수동작동에 의하여 변속비의 1단계 상향변속과 한번의 수동작동에 의하여 변속비의 1단계 하향변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변속기의 수동변속모드에서 운전자가 연속적으로 짧은 시간내에 상향변속 또는 하향변속을 위한 다수의 명령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운전자에 의하여 의도된 변속비에 대하여 정확한 변속이 만족스럽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제어시스템의 블록 다이아그램.
도 2는 자동변속기의 셀렉터의 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향변속/하향변속 스위치의 한 예를 보인 설명도.
도 4는 상향변속/하향변속 스위치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변속제어프로그램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자동변속기의 변속작동의 시간과 변속작동중에 재변속명령이 주어진 시간사이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11 : 자동변속장치
12 : 전자엔진제어기 13 : 스로틀 개방센서
14 : 차량속도 센서 15 : 전자변속제어
16 : 선택위치 센서 17 : 셀렉터
18 : 상향변속 스위치 19 : 하향변속 스위치
20 : 유압제어 회로 21, 22 : 변속솔레노이드
23 : 오일온도센서 24 : 선택레바
25 : 안내구 26 : 조향휠
27 : 스위치부재 28 : 조향컬럼
29 : 스위치레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차량의 엔진(10)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되는 자동변속기(11)에 연결된다. 전자엔진제어기(12)는 스로틀개방센서(13)에 의하여 검출된 스로틀 개방정도와 차량속도센서(14)에 의하여 검출된차량속도에 따라서 연료주입밸브의 제어 및 점화제어와 같은 엔진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전자변속제어(15)는 스로틀 개방정도 및 차량속도, 그리고 선택위치센서(16)에 의하여 검출된 셀렉터(17)의 위치와, 상향변속스위치(18)로부터의 상향변속신호 또는 하향변속스위치(19)로부터의 하향변속신호에 따라 적정한 변속비를 결정한다. 이들 파라메타에 기초하여 전자변속제어기(15)는 자동변속기(11)의 변속비를 결정하고 유압제어회로(20)에 결정된 변속비를 인식시키기 위한 명령값을 발생한다.
유압제어회로(20)는 전자변속제어기(15)에 의하여 결정된 변속비를 얻기 위하여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와 같은 자동변속기(11)의 마찰요소를 작동시키도록 전자변속제어기(15)로부터 명령값이 공급되는 변속솔레노이드(21)(22)를 포함한다. 유압제어회로(20)에는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값을 전자변속제어기(15)에 보내는 오일온도센서(23)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에는 도면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단 두개의 변속솔레노이드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변속솔레노이드의 수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자동변속기(11)의 마찰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트의 수와 같다.
도 2는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셀렉터(17)의 한 예를 보인 것이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자동변속모드는 자동변속기(11)의 상기 언급된 파라메타에 기초하여 상향변속 및 하향변속 작동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수동변속모드는 운전자에 의한 상향변속 또는 하향변속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 보인 셀렉터(17)는 H-형의 안내구(25)에 의하여 안내되는 선택레바(24)로 구성된다. 안내구(25)의 좌측에는 자동변속기(11)의 여러 영역, 즉, 주차영역 "P", 후진영역 "R", 중립영역 "N", 구동영역 "D", 2단영역 "2" 및 1단영역 "1"과 같은 여러 영역이 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구동영역이 자동변속모드에 해당한다. 비록 도 2에서는 "N" 및 "D"의 표시가 변속셀렉터에 의하여 가리어 보이지 않으나 "N" 영역은 "R"의 위치에 인접하여 있고 "D" 영역은 "2"의 위치에 인접하여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자동변속기(11)의 수동변속모드를 위한 선택레바(24)의 위치는 도 1에서 보인 구동영역 위치의 대향측에 인접하여 있다. 자동변속기(11)의 수동변속모드는 선택레바(24)를 도시된 바와 같은 그 구동영역 위치로부터 안내구(25)의 우측을 향하여 간단히 이동시킴으로서 선택된다. 선택레바(24)가 안내구(25)의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이동되었을 때, 이는 기호 "M"으로 보인 중앙위치에 놓인다. 안내구(25)의 우측에는 선단측에 기호 "+"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 위치에서 선택레바(24)는 상향변속스위치(18)를 작동시키는 반면에, 후단측에는 기호 "-"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 위치에서 선택레바(24)는 상향변속스위치(19)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만약에 선택레바(24)가 수동변속모드에서 선단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향변속스위치(18)가 작동되고 상향변속신호가 전자변속제어기(15)에 보내어진다. 만약에 선택레바(24)가 수동변속모드에서 후단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하향변속스위치(19)가 작동되고 하향변속신호가 전자변속제어기(15)에 보내어진다. 전자변속제어기(15)는 한 변속비의 상향변속작동이 선단측을 향한 선택레바(24)의 각 수동작동에 의하여 요구된 것으로 판단되고, 한 변속비의 하향변속작동이 후단측을 향한 선택레바(24)의 각 수동작동에 의하여 요구된 것으로 판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실시형태에서, 도 1에서 보인 상향변속스위치(18)와 하향변속스위치(19)는 자동변속기(11)의 셀렉터(24)에 의하여 작동되나, 다른 형태의 상향변속스위치와 하향변속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도 3의 실시형태에서, 조향휠(26)에는 상하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 스위치부재(27)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자가 이 스위치부재(27)의 상측부분을 누르는 경우 상향변속스위치(18)가 작동되는 반면에 스위치부재(27)의 하측부분을 누르는 경우 하향변속스위치(19)가 작동된다. 또한 도 4의 실시형태에서, 조향컬럼(28)에 변속스위치레바(29)가 구비되어 있다. 스위치레바(29)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상향변속스위치(18)가 작동되고 스위치레바(29)를 하측으로 내리면 하향변속스위치(19)가 작동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실행되는 변속제어프로그램이 도 5를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 엔진의 스로틀개방이 단계 S11에서 스로틀개방센서(13)로부터 판독되고, 차량속도가 단계 S12에서 차량속도센서(14)로부터 판독된다. 그리고, 제어는 자동변속기(11)의 선택된 영역위치가 판독되는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계 S13에서, 만약 자동변속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변속기의 현재변속비가 판독되는 반면에, 수동변속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향변속스위치(18)로부터의 상향변속신호 또는 하향변속스위치(19)로부터의 하향변속신호가 판독된다.
제어는 연속되는 변속작동에 의하여 얻는 다음의 변속비가 스로틀개방정도, 차량속도 및 상향변속 또는 하향변속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계 S14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는 단계 S15로 진행하여 단계 S13에서 판독된 현재의 변속비와 단계 S14에서 결정된 다음의 변속비가 서로 비교된다. 만약 현재의 변속비와 다음의 변속비가 서로 상이한 경우, 이는 변속작동이 요구되어 제어가 단계 S16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현재의 변속비와 다음의 변속비가 동일한 경우, 이는 변속작동이 요구되지 않아 제어가 단계 S11로 복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계 S16에서, 변속작동은 현재의 변속비를 새로운 변속비로 변경하도록 전자변속제어기(15)로부터의 명령값을 유압제어회로(20)의 변속솔레노이드(21)(22)로 보냄으로서 시작된다. 그리고 제어는 단계 S17로 진행하여 경과시간이 사전에 결정된 재변속허용시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연속판단하는 것에 기초하여 변속작동이 시작된 후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재변속허용타이머 Ts의 카운트가 시작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변속기에서, 변속작동이 수행되는 시간중에 새로운 변속명령이 주어질 때, 수행중인 변속작동이 중단되고 새로운 변속작동이 즉시 수행되는 경우 상당한 변속충격 또는 다른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특허문헌 JP 6-323418A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재변속허용타이머를 제공하여 선행 변속작동의 시작으로부터 카운트된 사전에 결정된 재변속허용시간이 경과된 후 새로운 변속명령에 기초한 변속작동을 금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제어는 단계 S18로 진행하여 변속명령에 기초하여 변속작동이 실행되고 계속되며, 이후 단계 S19로 진행하여 변속작동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19에서 변속작동이 완료되었음이 판단되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이 종료된다. 반대로, 만약 단계 S19에서 변속작동이 완료되지 않았음이 판단되는 경우 제어는 연속하여 단계 S20, S21 및 S22로 진행한다. 즉, 스로틀개방정도가 단계 S20에서 스로틀개방센서(13)에 의하여 다시 판독되고, 차량속도가 단계 S21에서 차량속도센서(14)로부터 판독되며, 자동변속기(11)의 선택된 영역위치가 단계 S22에서 다시 판독된다.
제어는 단계 S23으로 진행하여 다음의 변속비가 선행 단계 S20-S22에서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새롭게 결정된다. 그리고 제어가 단계 S24로 진행되며 여기에서 현재변속작동후의 변속비와 선행단계 S23에서 결정된 다음의 변속비가 서로 비교된다. 만약 단계 S24에서 현재변속작동후의 변속비와 선행단계 S23에서 결정된 다음의 변속비가 동일하다면 새로운 변속작동이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제어가 단계 S18로 복귀되어 현재 수행되고 있는 변속작동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단계 S24에서 현재변속작동후의 변속비와 선행단계 S23에서 결정된 다음의 변속비가 서로 상이하다면 새로운 변속작동이 수행되고 제어는 단계 S25로 진행한다.
단계 S25에서, 변속명령이 변속기의 수동변속모드에서 주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25에서의 판단은 예를 들어 선택위치센서(16)로부터의 정보, 상향변속스위치(18)로부터의 상향변속신호와, 하향변속스위치(19)로부터의 하향변속신호에 기초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25에서 변속명령이 변속기의 수동변속모드에서 주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는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반대로, 만약 단계 S25에서 변속명령이 변속기의 수동변속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는 단계 S29로 진행한다.
단계 S26에서, 재변속허용타이머의 카운트값 Ts, 즉, 제1변속작동의 시작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사전에 결정된 재변속허용시간 Tm과 비교된다. 만약 단계 S26에서 변속작동의 시작으로부터의 경과시간 Ts가 재변속허용시간 Tm 보다 짧은 경우, 즉, 경과시간 Ts가 아직 재변속허용시간 Tm내에 있는 경우, 재변속이 허용되는 것으로 판단되고 제어가 단계 S27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 경과시간 Ts가 재변속허용시간 Tm과 같거나 긴 경우, 즉 경과시간 Ts가 재변속허용시간 Tm을 벗어난 경우, 수동재변속이 금지되고 제어는 단계 S18로 복귀된다.
단계 S27에서, 다음 변속비로의 변속작동이 변속기의 수동변속모드의 새로운 변속명령에 기초하여 시작된다. 제어가 단계 S27로 진행되고, 여기에서 재변속허용타이머의 카운트값이 제로로 소거되고 제어가 단계 S27로 복귀된다.
단계 S29에서, 변속작동의 시작으로부터 재변속허용타이머의 카운트값 Ts이 자동변속모드의 다른 사전에 결정된 재변속허용시간 Td와 비교된다. 만약 단계 S29에서 경과시간 Ts가 재변속허용시간 Td 보다 짧다면, 즉 경과시간 Ts가 아직 재변속허용시간 Td내에 있다면, 재변속이 허용되고 제어는 단계 S30으로 진행한다. 반대로, 만약 단계 S29에서 경과시간 Ts가 재변속허용시간 Td과 같거나 긴 경우, 즉 경과시간 Ts가 재변속허용시간 Td을 벗어난 경우, 자동재변속이 금지되고 제어는 단계 S18로 복귀된다.
단계 S30에서, 다음 변속비로의 자동재변속은 새로운 변속명령에 기초하여 시작된다. 그리고 제어가 단계 S31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재변속허용타이머의 카운트값이 제로로 소거되고 제어가 단계 S17로 복귀한다.
자동변속기(11)의 변속작동이 시작된 후의 경과시간 Ts과 재변속허용시간 사이의 관계의 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에서 재변속명령은 선행명령에 대한 변속작동중에 주어진다. 변속작동은 제2변속비로부터 제3변속비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또한, 변속작동의 진행이 클러치 오일압력의 변화로서 나타낸다.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만약 제3변속비에 대한 제1변속명령이 현재의 변속비가 제2변속비일 때에 주어지는 경우, 경과시간은 변속명령이 주어진 순간으로부터 재변속허용타이머 Ts에 의하여 카운트된다. 제2변속비를 얻기 위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클러치의 오일압력이 감소하는 반면에 제3변속비를 얻기 위하여 결합되는 클러치의 오일압력은 증가한다.
여기에서, 제2변속명령, 즉 재변속명령이 변속작동중에 주어지는 경우, 제1변속명령으로부터의 경과시간 Ts이 재변속허용시간 Tm 또는 Td와 비교된다. 도 6에서, 경과시간 Ts는 재변속시간 Td 보다는 길지만 재변속허용시간 Tm 보다는 짧다. 따라서, 만약 제2변속비로부터 제3변속비로의 변속작동이 변속기의 자동변속모드에서 변속명령인 중에 재변속명령이 주어지는 경우, 재변속허용시간 Td가 이미 경과하였으므로 재변속이 금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재변속명령이 변속기의 수동변속모드에서 주어지는 경우, 경과시간 Ts가 아직 재변속허용시간 Tm내에 있으므로 수동재변속이 허용된다. 이는 연속적인 변속작동이 시작되기 전에 1회의 변속작동을 완료함으로서 변속충격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변속기의 자동변속모드에 우선권이 부여되는 반면에, 운전자의 명령을 정확하고 적시에 만족시키기 위하여 가능한 신속히수동재변속입력에 응답할 수 있도록 변속기의 수동변속작동에 우선권이 부여됨을 의미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변속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변속작동이 시작된 후 경과시간이 재변속허용타이머에 의하여 카운트되고 자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1재변속허용시간과 수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2재변속허용시간에 비교되며, 제1재변속허용시간과 제2재변속허용시간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 모두에서 최적한 방식으로 변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도면에서 보인 특정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순히 설명을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벨트형의 연속가변형 변속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스로틀 밸브의 개방정도와 차량속도에 기초하는 변속명령에 따라서 적정한 변속비가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자동변속모드와 운전자의 수동작동에 의하여 주어지는 변속명령에 따라서 변속비가 선택되는 수동변속모드를 갖는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변속제어시스템이 변속작동이 시작된 후 경과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과시간이 자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1재변속허용시간과 비교되고 수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2재변속허용시간과 비교되며, 상기 제1재변속허용시간과 상기 제2재변속허용시간이 서로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재변속허용시간은 상기 제1재변속허용시간 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자동변속기의 상기 수동변속모드가 한번의 수동작동에 의하여 변속비의 1단계 상향변속과 한번의 수동작동에 의하여 변속비의 1단계 하향변속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4. 스로틀 밸브의 개방정도와 차량속도에 기초하는 변속명령에 따라서 적정한 변속비가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자동변속모드와 운전자의 수동작동에 의하여 주어지는 변속명령에 따라서 변속비가 선택되는 수동변속모드를 갖는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변속제어시스템이 변속작동이 시작된 후 경과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과시간이 자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1재변속허용시간과 비교되고 수동변속작동의 경우 사전에 결정된 제2재변속허용시간과 비교되며, 상기 제2재변속허용금지시간이 상기 제1재변속허용시간 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자동변속기의 상기 수동변속모드가 한번의 수동작동에 의하여 변속비의 1단계 상향변속과 한번의 수동작동에 의하여 변속비의 1단계 하향변속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KR10-2002-0057753A 2001-09-25 2002-09-24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KR100468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90561A JP3980311B2 (ja) 2001-09-25 2001-09-25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JP-P-2001-00290561 2001-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699A KR20030027699A (ko) 2003-04-07
KR100468538B1 true KR100468538B1 (ko) 2005-01-27

Family

ID=1911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753A KR100468538B1 (ko) 2001-09-25 2002-09-24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92408B2 (ko)
EP (1) EP1298361B1 (ko)
JP (1) JP3980311B2 (ko)
KR (1) KR100468538B1 (ko)
DE (1) DE6021760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5359A1 (de) 2002-09-27 2004-04-08 Zf Friedrichshafen Ag Erhöhung der Spontanität eines Automatgetriebes
GB0229451D0 (en) * 2002-12-19 2003-01-22 Agco Sa Transmission control system
JP4375010B2 (ja) * 2003-12-12 2009-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の制御装置、及び、その駆動力伝達装置
FR2866936B1 (fr) * 2004-02-27 2007-04-13 Renault Sas Procede de correction des rapports d'une transmission automatique
US7383115B2 (en) 2004-08-30 2008-06-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deceleration control apparatus
JP4432984B2 (ja) * 2007-03-06 2010-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4715817B2 (ja) * 2007-07-18 2011-07-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613369B2 (ja) * 2008-02-06 2011-0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SE534154C2 (sv) * 2009-09-14 2011-05-17 Scania Cv Ab Metod och system för förhindrande av oönskad dubbelväxling för en växellåda
JP5917866B2 (ja) 2011-09-12 2016-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EP2781805A4 (en) * 2011-11-18 2017-01-04 JATCO Ltd Device for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US20150204443A1 (en) * 2013-11-06 2015-07-23 Tremec Corporation Manual Shift Transmission Control
FR3019791B1 (fr) * 2014-04-11 2017-11-03 Renault Sas Procede de commande d'une transmission hybride pour vehicule automobile avec prise en compte des interruptions de transition entre modes cinematiques
CN109681625A (zh) * 2019-01-08 2019-04-26 山东科技大学 基于手动变速箱的智能自动变速系统及其工作方法
US11692621B2 (en) * 2019-06-20 2023-07-04 Jatco Ltd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669A (ja) * 1992-04-24 1993-11-16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
JPH06323418A (ja) * 1993-05-11 1994-11-25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H10103458A (ja) * 1996-10-01 1998-04-21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20020046738A (ko) * 2000-12-15 2002-06-21 이계안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1102A (en) * 1995-06-07 1997-01-07 Cummins Engine Compan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anual-automatic transmission after a power reset
JP3435964B2 (ja) * 1996-03-07 2003-08-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マニュアル変速制御装置
JP3600382B2 (ja) * 1996-09-19 2004-12-15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10141494A (ja) * 1996-11-05 1998-05-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6319171B1 (en) * 2000-04-27 2001-11-20 Eaton Corporation Synchronizing control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669A (ja) * 1992-04-24 1993-11-16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
JPH06323418A (ja) * 1993-05-11 1994-11-25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H10103458A (ja) * 1996-10-01 1998-04-21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20020046738A (ko) * 2000-12-15 2002-06-21 이계안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97689A (ja) 2003-04-03
US20030060329A1 (en) 2003-03-27
JP3980311B2 (ja) 2007-09-26
EP1298361A2 (en) 2003-04-02
KR20030027699A (ko) 2003-04-07
US6692408B2 (en) 2004-02-17
EP1298361A3 (en) 2005-06-08
DE60217603T2 (de) 2007-10-11
EP1298361B1 (en) 2007-01-17
DE60217603D1 (de)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538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JP3435964B2 (ja) 自動変速機のマニュアル変速制御装置
JP4584856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5197344A (en) Shifting arrangement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CA1314734C (en) Method of controlling shifts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JP4286658B2 (ja) 自動車の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EP0837787B1 (en) Engine speed synchronization system for assisting in manual transmission shifting
JP4575448B2 (ja) 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制御方法
JP2002243031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084238B2 (ja) 自動変速機の手動変速切り換え制御装置
KR10036904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JP3551766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6647324B2 (ja) 制御装置
JP2001304386A (ja) 自動車用無段変速装置
JP3419253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535521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32522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JP3216517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2003106431A (ja) 無段変速機の変速比制御装置
KR10032521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JPH0246352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H1137282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10220574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1271919A (ja) 自動車用無段変速装置
JPH10331967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