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042B1 -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042B1
KR100468042B1 KR1020040078634A KR20040078634A KR100468042B1 KR 100468042 B1 KR100468042 B1 KR 100468042B1 KR 1020040078634 A KR1020040078634 A KR 1020040078634A KR 20040078634 A KR20040078634 A KR 20040078634A KR 100468042 B1 KR100468042 B1 KR 10046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bamboo container
rice
contain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만옥
Original Assignee
양만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만옥 filed Critical 양만옥
Priority to KR1020040078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나무용기는, 특정 마디의 하단에서 다음 마디의 하단을 절단함으로써 입구측이 개방되고 바닥이 형성되며, 바닥(1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구멍(P)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구멍(P)의 직경은 3mm 에서 8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와 같은 대나무용기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은, 대나무용기(10)에 쌀을 소정 높이까지 채워넣는 단계; 편편한 바닥을 가지는 솥(20)에 쌀이 채워진 대나무용기(10)를 채워넣는 단계; 솥(20)에 물을 넣은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솥이(20) 가열됨에 따라 가열된 물과 열이, 대나무용기(10)의 구멍(P)을 통하여 대나무용기(10) 내부로 전달되고, 물이 가열되어 발생된 수증기와 열은 입구(11)를 통하여 대나무용기(1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A BAMBOO BOW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AM R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다 빠르고 맛있는 대통밥을 만들 수 있는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통밥이란 대나무 속에서 만들어진 밥을 의미하는데, 대통밥은 영양가가 많고 맛이 좋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이러한 대통밥은, 마디를 바닥으로 하는 대나무용기에 쌀과 물을 넣고, 입구측에 한지를 덮은 상태에서 솥에서 익힘으로써 만들어진다.
그런데, 대나무용기에서 밥이 되는 과정은, 먼저 솥 내부의 뜨거운 열이 한지를 통하여 대나무용기에 넣어진 쌀의 상부면에 전달되어 상부면이 먼저 익고, 이후에 하부측으로 열이 전달되면서 전체적으로 익게 된다. 이는, 대나무용기의 측부 및 바닥을 통하여 열이 잘 전달되지 않아서이다.
그런데, 상기한 대나무용기로 대통밥을 할 경우에, 솥의 열이 대나무용기의 상부로 쉽게 전달되어 상부측에서 밥이 먼저 되지만, 대나무용기의 바닥측에 있는 쌀은 열이 전도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한참이 지난 다음에야 밥이 된다. 따라서, 대통밥이 완전히 만들어지기까지 통상적으로 1 시간 이상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짧은 시간내에 대나무용기에 담겨진 쌀이 밥이 되도록 할 수 있는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죽력이 보다 많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대통밥의 맛과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대나무용기에 있어서, 죽력이 보다 많이 발생되도록 입구측에 경사면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통밥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대나무용기
11 ... 입구
12 ... 바닥
13 ... 경사면
20 ... 솥
P ... 구멍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용기는,
특정 마디의 하단에서 다음 마디의 하단을 절단함으로써 입구측이 개방되고 바닥이 형성되는 대나무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구멍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직경은 3mm 에서 8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입구에는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통밥 제조방법은,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구멍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 직경이 3mm 에서 8mm 범위인 대나무용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나무용기에 쌀을 소정 높이까지 채워넣는 단계; 편편한 바닥을 가지는 솥에 쌀이 채워진 대나무용기를 채워넣는 단계; 상기 솥에 물을 넣은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솥이 가열됨에 따라 가열된 물과 열이, 상기 대나무용기의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대나무용기 내부로 전달되고, 물이 가열되어 발생된 수증기와 열은 입구를 통하여 상기 대나무용기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용기(10)는, 대나무의 특정 마디의 하단에서 다음 마디의 하단을 절단함으로써 입구가 개방되고 바닥이 형성되도록 하여 구현된다. 즉, 대나무용기(10)는 상부로 개방된 입구(11)와 마디에 의하여 형성된 바닥(12)을 포함한다.
이때, 바닥(12)으로부터 20mm 이내인 위치에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구멍(P)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구멍(P)은 직경이 3mm 에서 8mm 범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구멍(P)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2개의 구멍(P)이 반드시 서로 대칭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여기서, 구멍(P)은 외부에서 가열된 물이 대나무용기(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이다. 이때, 구멍(P)의 직경이 3 mm 보다 작으면 외부의 가열된 물과 열이 대나무용기에 넣어진 쌀로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구멍(P)의 직경이 8mm 이상이면 쌀이 밖으로 새어나오거나 물과 열이 너무 많이 전달되어 죽이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12)에는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면(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구멍(P)와 경사면(13)은 대통밥을 만들 때 죽력(竹瀝)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대통밥의 맛과 영양을 증진시킨다.
죽력이란, 대나무를 가열할 때 진액의 형태로 나오는 액으로서, 죽력의 약리작용 및 효용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때, 죽력은 대나무의 절단면과 구멍으로부터 발생되는데, 상기한 경사면(13)은 절단면의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죽력이 발생토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대통밥용 대나무용기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여러개의 대나무용기(10)에 쌀을 소정 높이까지 채워넣는 단계를 수행한다. 쌀은 대나무용기의 대략 2/3 이하의 높이까지 채워넣는다.
다음, 편편한 바닥을 가지는 솥(20)에 쌀이 채워진 대나무용기를 빽빽하게 채워넣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 솥(20)에 물을 넣은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물은 대나무용기(10) 내부의 쌀의 높이와 비슷하게 채워넣는다.
이 상태에서 솥(20)의 바닥을 가열하게 되면, 가열된 물이 대나무용기(10)의 구멍(P)을 통하여 대나무용기(10) 내부로 전달되고, 물이 가열되어 발생된 수증기와 열은 입구(11)를 통하여 대나무용기(10) 내부로 전달된다. 즉, 물(수증기)과 열이 상부(11)와 하부(구멍(P))를 통하여 대나무용기(10)로 전달되므로, 쌀이 빠른시간내에 골고루 익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대통밥을 하는데 1시간 가량 소요된 것에 반하여, 본원의 경우 약 20 분 전후해서 대통밥이 되고, 대통밥제조과정이 단축된 시간만큼 가열시간도 단축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에 따르면, 대나무용기의 바닥에 지름이 3mm에서 8mm 정도인 구멍이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보다 짧은 시간내에 대나무용기에 담겨진 쌀이 밥이 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통밥제조과정이 단축된 시간만큼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입구측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2개 이상의 구성을 형성하여 죽력이 보다 많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대통밥의 맛과 영양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특정 마디의 하단에서 다음 마디의 하단을 절단함으로써 입구측이 개방되고 바닥이 형성되는 대나무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직경은 3mm 에서 8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에는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통밥용 대나무용기.
  4.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구멍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 직경이 3mm 에서 8mm 범위인 대나무용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나무용기에 쌀을 소정 높이까지 채워넣는 단계;
    편편한 바닥을 가지는 솥에 쌀이 채워진 대나무용기를 채워넣는 단계;
    상기 솥에 물을 넣은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솥이 가열됨에 따라 가열된 물과 열이, 상기 대나무용기의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대나무용기 내부로 전달되고, 물이 가열되어 발생된 수증기와 열은 입구를 통하여 상기 대나무용기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통밥 제조방법.
KR1020040078634A 2004-10-04 2004-10-04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 KR10046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634A KR100468042B1 (ko) 2004-10-04 2004-10-04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634A KR100468042B1 (ko) 2004-10-04 2004-10-04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8042B1 true KR100468042B1 (ko) 2005-01-24

Family

ID=3722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634A KR100468042B1 (ko) 2004-10-04 2004-10-04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0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458B1 (ko) 2008-09-05 2011-04-14 강정형 대통을 이용한 즉석식품용기
CN109393331A (zh) * 2018-12-04 2019-03-01 曹永康 一种长筒竹筒饭
KR20190118249A (ko) 2018-04-10 2019-10-18 유두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458B1 (ko) 2008-09-05 2011-04-14 강정형 대통을 이용한 즉석식품용기
KR20190118249A (ko) 2018-04-10 2019-10-18 유두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CN109393331A (zh) * 2018-12-04 2019-03-01 曹永康 一种长筒竹筒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575014U (zh) 一种带水箱的沥米饭电饭锅结构
CN203802234U (zh) 用于电饭煲内的多用型内胆
CN103876609A (zh) 一种用于电饭煲内的多用型内胆
KR100468042B1 (ko)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
CN106691167A (zh) 一种蒸锅
JP2002262995A (ja) 蓋付きマイクロ波調理用鍋
CN204318408U (zh) 一种复底蒸气循环烹饪全能砂锅
CN203749180U (zh) 一种汤汁自动储存煮锅
CN108784315A (zh) 一种低液位沸腾的锅
CN205031013U (zh) 一种智能蒸饭锅
KR200394229Y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CN205338628U (zh) 一种新型子母多胆电饭煲
CN210185361U (zh) 分离组件及电饭煲
CN102334903B (zh) 自动压力蒸煲机
CN201767787U (zh) 完鱼蒸煮盘
CN205286083U (zh) 一种锅具用带孔内胆
CN204600168U (zh) 一种滴水式蒸煮装置
TWM587496U (zh) 蒸籠
JP3547126B2 (ja) 殻付き貝用蒸し鍋
CN203789696U (zh) 一种夹水胆及具有该夹水胆的高压锅或饭煲
KR101072987B1 (ko) 고온증기 순환 찜용기
JP2002223937A (ja) 蓋付きマイクロ波調理用鍋
KR200230432Y1 (ko) 찜통
KR200339705Y1 (ko) 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