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249A -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 Google Patents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249A
KR20190118249A KR1020180041375A KR20180041375A KR20190118249A KR 20190118249 A KR20190118249 A KR 20190118249A KR 1020180041375 A KR1020180041375 A KR 1020180041375A KR 20180041375 A KR20180041375 A KR 20180041375A KR 20190118249 A KR20190118249 A KR 20190118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container
rice
unit
bamboo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449B1 (ko
Inventor
유두환
Original Assignee
유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두환 filed Critical 유두환
Priority to KR1020180041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44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에 대한 발명으로서, 대나무통밥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대나무 용기 이송, 대나무 용기 세척 및 재료공급 등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상부에 다수의 대나무 용기가 수납되며, 상기 대나무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00);, 상기 이송부에 의해 대나무 용기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형성되며, 상기 대나무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된 대나무 용기에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부(300);를 포함하는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ice in bamboo and rice in bamboo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에 대한 발명으로서, 대나무통밥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대나무 용기 이송, 대나무 용기 세척 및 재료공급 등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내경이 2∼~3㎝인 대나무 대롱을 마디가 밑판을 이루게 잘라내는 단계; 상기 잘라낸 대나무 대롱을 두께 1∼~2㎜가 되게 겉에서부터 안쪽으로 깎아내어 대나무용기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대나무용기에 세정한 쌀을 채우고, 그 개방부 위에 삼베나 한지를 덮어 찜기구나 찜통에 쪄내어 상기 대나무용기로부터 죽력이 흘러나와 대나무밥의 내부로 스며들게 하는 단계; 및 밥이 완성된 후 상기 대나무 용기를 손으로 쪼개어 죽여와 죽황이 밥을 감싼 상태 그대로 떨어져 나와 외측으로 노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용기를 이용한 대나무밥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2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 직경이 3mm에서 8mm 범위인 대나무용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나무용기에 쌀을 소정 높이까지 채워넣는 단계; 편편한 바닥을 가지는 솥에 쌀이 채워진 대나무용기를 채워넣는 단계; 상기 솥에 물을 넣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솥이 가열됨에 따라 가열된 물과 열이 상기 대나무용기의 상기 구멍을 통하여 대나무용기 내부로 전달되고, 물이 가열되어 발생된 수증기와 열은 입구를 통하여 상기 대나무용기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통밥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3은 대나무의 마디와 마디 사이를 일정한 규격의 대나무통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잘라낸 대나무통 마디를 겉에서 안쪽으로 깎아내는 대나무통(10) 박피단계; 상기 대나무통의 표면을 샌딩하여 세척한 후 냉동저장하는 단계; 상기 대나무통의 세로면(20)을 절단한 후 대나무통의 규격이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대나무통의 세로면(20) 한쪽을 잘라내고, 잘라낸 대나무통을 표준규격통(52)에 끼워 돌출된 절취부(51)를 절단하여 규격화하는 대나무통 규격화하는 단계; 상기 규격화된 대나무통의 중앙부위를 점선 형태의 절취선(12)으로 절취하는 단계; 상기 대나무통의 하부를 밑마개(44)로 받친 후 상기 규격화된 대나무통을 규격통(30)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규격통(30)에 삽입되어 있는 대나무통(10)의 내부에 세정한 쌀 또는 혼합곡식을 채우는 단계; 상기 규격통(30)의 중앙에 중앙삽입봉(42)을 삽입한 후 상부에 뚜껑(40)을 덮어 찜기구나 찜통에 쪄내어 대나무 용기로부터 죽력이 흘러나와 대나무밥의 내부로 스며들게 하는 단계; 뚜껑(40)과 중앙삽입봉(42)을 제거한 후 중앙삽입봉(42)이 제거된 중앙 공간(55)의 내부에 양념을 삽입하고 뚜껑을 끼워 대나무 스틱밥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나무 스틱밥을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대나무 스틱밥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4는 대나무(1)의 마디를 절단하여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대나무(1)를 만드는 마디절단단계(S10); 마디절단단계(S10) 후 대나무(1)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대나무(1)의 둘레에 커터(2)를 밀착시키면서 대나무(1)의 둘레를 박피하는 박피단계(S20); 박피단계(S20) 후 박피된 대나무(1) 둘레 일측에 샌딩페이퍼(3)를 밀착시키고 대나무(1)를 회전시켜서 샌딩처리하므로 거친 표면을 연마하고 대나무(1)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샌딩단계(S30); 샌딩단계(S30) 후 제조할 제품의 크기에 맞게 대나무(1)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치수절단단계(S40); 치수절단단계(S40) 후 대나무(1)의 중간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여서 터널형태로 양분하는 종방향커팅단계(S50); 터널형태로 커팅된 대나무(1)의 내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받침대(4) 상에 올려 놓고 스팀으로 가열하는 가열단계(S60); 가열된 대나무(1)를 대나무밥(4)의 둘레에 부착하도록 대나무밥(4)의 형태에 맞게 대나무를 커팅하는 커팅단계(S70); 커팅된 대나무(1)를 일정한 형태로 이미 만들어진 밥의 둘레에 부착시키고 둘레에 스팀을 가열하여서 대나무(1) 성분이 밥에 함침되도록 하는 성분함침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밥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KR 10-2004-0005450 A (공개일자 2004년01월16일) KR 10-0468042 B1 (등록일자 2005년01월14일) KR 10-1391973 B1 (등록일자 2014년05월02일) KR 10-1476342 B1 (등록일자 2014년12월18일)
본 발명은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에 대한 발명으로서, 대나무통밥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대나무 용기 이송, 대나무 용기 세척 및 재료공급 등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에 대한 발명이다.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에 대한 발명으로서, 상부에 다수의 대나무 용기가 수납되며, 상기 대나무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00);, 상기 이송부에 의해 대나무 용기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형성되며, 상기 대나무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된 대나무 용기에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일측에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출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 일측에 형성되며, 세척된 대나무 용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부 일측에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의 내부에 채워진 재료를 증숙시키는 취반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취반부 일측에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를 포장하는 포장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방법은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의 이송부 및 세척부를 통해 대나무 용기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하는 대나무 용기 세척단계;, 청구항 1의 재료공급부를 통해 상기 대나무 용기 내부에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단계;, 대나무 용기에 공급된 재료를 청구항 4의 취반부를 통해 증숙시키는 취반단계;, 대나무 용기를 냉각시킨 후 청구항 5의 포장부를 통해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은 청구항 6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은 대나무통밥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대나무 용기 이송, 대나무 용기 세척 및 재료공급 등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나무통밥 제조시간을 단축하며,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대나무 용기의 불량을 검출하며, 불량으로 판별된 대나무 용기를 신속하게 선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대나무 용기 전체가 균일하게 건조되므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대나무 용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대나무 용기를 살균하며, 대나무 용기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세척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량공급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검출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선별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취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포장부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대나무통밥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상부에 다수의 대나무 용기가 수납되며, 상기 대나무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00);, 상기 이송부에 의해 대나무 용기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형성되며, 상기 대나무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된 대나무 용기에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나무통밥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대나무 용기 이송, 대나무 용기 세척 및 재료공급 등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나무통밥 제조시간을 단축하며,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대나무통밥 제조는 대나무 마디가 밑판을 이루도록 잘라내어 대나무 용기를 제작하며, 제작된 대나무용기 내부에 쌀과 물 등을 투입한다. 대나무 용기의 개방부에 한지 등으로 덮고 쪄내어 밥을 짓는다. 이는 모든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시간이 길어지며, 대량생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공정을 자동화하는 목적을 가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이송부, 세척부 및 재료공급부를 구성한다. 상기 이송부는 다수의 대나무 용기를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 세척부는 대나무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하는 것이다. 상기 재료공급부는 대나무 용기에 쌀 또는 고명 등의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대나무 용기를 세척부 및 재료공급부로 연속 공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는 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대나무 용기의 배출지점까지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이송컨베이어는 대나무 용기의 건조, 냉각 등을 용이하게 하도록 메쉬망 벨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를 고정하는 용기고정부(110);를 포함한다.
대나무 용기를 세척하는 경우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대나무 용기의 내부에 잔류된 물이 쉽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고정부는 이송부의 이송과 함께 대나무 용기의 상부가 하부로 뒤집어지도록 반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기고정부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클램핑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고정장치가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대나무 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실이 형성되는 케이스(210);, 상기 케이스 내측에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장치(220);를 포함한다.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대나무 용기에는 각종 이물질이 묻어있다. 따라서 대나무 용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나무 용기는 케이스 내부로 공급되며, 세척수 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깨끗하게 세척된다. 상기 케이스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며, 세척수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케이스 일측에는 투명창이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의 세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장치는 케이스 일측 및 타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세척수공급관(221);, 상기 세척수공급관 일측에 형성되며,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22);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공급관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탱크(223);, 상기 분사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224);, 상기 세척수공급관을 개폐시키는 제1밸브(225);, 상기 세척수공급관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탱크(226);, 상기 세척수공급관 일측에 형성되며, 세정액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제2밸브(2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나무 용기의 표면 및 내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을 한다. 따라서 대나무 용기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으며, 대나무 용기 내부의 얇은 막(죽여)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세척수를 대나무 용기에 직접 분사하는 방식이며, 이는 대나무 용기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쉽게 분리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세척수공급관은 세척수탱크 일측에 연결되며, 일측에 펌프가 연결된다. 세척수공급관에는 지하수, 상수도 또는 대나무 용기 세척시 사용된 폐수를 정수하여 공급된다. 또한,세척수공급관은 세정액탱크로부터 세정액을 공급받는다. 특히, 세척수공급관은 분사노즐 개수에 맞게 복수로 형성되며, 세척수공급관 중에서 중앙에 배치된 세척수공급관은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분사노즐은 세척수공급관 일측에 형성되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다. 분사노즐은 복수로 형성되며, 케이스의 상부, 측면 및 중앙에 각각 배치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공급관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231);, 상기 세척수공급관을 승강 이동시키는 제2모터(232);, 일측이 상기 제2 모터에 연결되며, 타측이 승강축에 연결되는 회전축(233);,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세척수공급관에 연결되는 승강대(234);를 포함한다.
중앙 세척수공급관을 회전 및 승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대나무 용기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 세척수공급관을 회전시키도록 제1 모터가 연결되며, 중앙 세척수공급관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2 모터가 연결되며, 상기 제2모터는 회전축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은 승강대에 연결되며, 승강대는 케이스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에 연결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부는 수세한 쌀을 대나무 용기에 투입하는 쌀투입부(310);, 쌀이 투입된 대나무 용기에 고명을 투입하는 고명투입부(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쌀투입부 및 고명투입부는 상부에 투입구를 형성하며,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재료용기(330);를 포함한다.
쌀투입부 및 고명투입부는 쌀과 다양한 종류의 고명을 각각 수용한다. 따라서 필요한 고명종류만을 혼합하고자 할 때 해당 재료용기에 수용된 고명만을 공급할 수 있다. 고명에는 곤드레, 시래기, 표고버섯, 밤, 대추, 은행, 잣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재료가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재료용기는 쌀 또는 고명 량을 측정하는 용량측정센서를 형성한다. 용량측정센서는 일정량의 쌀 또는 고명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일정량이 미흡하면 외부에 부저 또는 경고 등의 알림을 제공한다. 상기 용량측정센서는 재료용기 내부의 초음파센서 또는 로드셀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10]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쌀투입부 및 고명투입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쌀 및 고명을 정량으로 공급하는 정량공급부(340);를 포함한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10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부는 일측에 투입구를 형성하며, 타측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341);, 상기 케이스 내측에 형성되며, 쌀 및 고명을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피더(342);, 상기 케이스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피더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43);를 포함한다.
정량공급부는 쌀 또는 고명 공급량에 해당하는 회전수로 구동하여 원하는 정량을 공급한다. 이는 쌀 또는 다양한 종류의 고명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구동부가 구동하면 회전력에 의해 이송피더가 회전한다. 이송피더는 쌀 또는 고명 등의 재료를 정량으로 공급한다. 이에 디스크는 재료를 이송피더의 길이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디스크는 회전축 외주면에 다수 형성되며, 나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재료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송피더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또한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한다.
[실시예 1-12]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부는 취반 후 냉동시킨 밥을 대나무 용기에 투입하는 밥투입부(310);, 밥이 투입된 대나무 용기에 삶은 후 냉동시킨 고명을 투입하는 고명투입부(320);를 포함한다.
밥투입부 및 고명투입부는 미리 취반 후 냉동시킨 쌀과 고명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이는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후술하게 될 취반부를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일측에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출부(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대나무 용기의 외관을 촬영하는 비전검사장치(410);를 포함한다.
대나무 용기의 외관 불량을 검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검사 대상인 대나무 용기의 영상을 획득하며, 획득한 영상데이터에 의해 비교 검출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이송부 일측에 복수의 비전검사장치를 설치하여, 대나무 용기의 외관을 촬영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비전검사장치는 대나무 용기의 외관을 감지하며,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비전센서(411);, 상기 비전센서로부터 영상신호를 취득하며,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패턴을 인식하여 미리 입력된 기준 패턴과 비교하며, 불량여부를 판단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기(412);를 포함한다.
비접촉방식으로 대나무 용기의 불량여부를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비전센서는 대나무 용기의 외관을 감지하여 영상신호를 발생시켜 제어기로 전송한다. 상기 비전센서는 인식하고자 하는 대나무 용기의 외관 또는 영상처리방법에 따라 라인스캔 카메라나 프레임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비전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며, 비전센서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대나무 용기의 불량여부를 판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이송부 일측에 형성되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며, 대나무 용기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장치(421);, 실린더(422)에 의해 작동되며, 대나무 용기의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밀폐장치(423);, 상기 밀폐장치에 의해 밀폐된 대나무 용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424);를 포함한다.
공압을 이용하여 대나무 용기 불량을 검출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클램핑장치는 이송되는 대나무 용기 외면을 가압하여 클램핑한다. 상기 밀폐장치는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어 대나무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시킨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밀폐된 대나무 용기의 내부에 일정압력의 공기를 주입한다. 이때, 대나무 용기가 불량이면 손상된 부분으로 공기가 누출된다. 따라서 일정압력이 유지되지 못하여 대나무 용기 불량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장치는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며, 대나무 용기의 외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할 수 있는 형태의 구성들은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컴프레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이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공기공급장치가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밀폐장치는 일측이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며, 타측이 개방 형성되는 지지브라켓(423a);, 상기 지지브라켓 내측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는 밀폐판(423b);를 포함한다.
대나무 용기의 개방부를 자동으로 밀폐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대나무 용기가 밀폐장치에 도달하게 되면, 액추에이터 작동으로 지지브라켓이 연동 작동되며, 동시에 밀폐판이 대나무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시킨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 일측에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에서 누출되는 공기에 따른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센서(425);, 상기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불량여부를 판단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기(426);를 포함한다.
대나무 용기의 공기 누출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며, 이를 통해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소음센서는 대나무 용기에서 누출되는 공기에 따른 소음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기는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불량여부를 판단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기는 불량으로 판별된 경우 선별부에 해당 신호를 출력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검출부를 통해 불량으로 판별된 대나무 용기를 선별하는 선별부(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8]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2-7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검출부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불량 대나무 용기를 밀어내는 푸셔(431);, 상기 이송부 상에 형성되며, 푸셔에 의해 선별된 대나무 용기를 안내하는 선별가이드(432);를 포함한다.
손상된 대나무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면서 다른 제품은 물론 장치 주변을 오염시킨다. 따라서, 이송부를 통해 연속으로 공급되는 대나무 용기 중 불량으로 판별된 대나무 용기를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푸셔는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손상으로 불량 판별된 대나무 용기를 밀어낸다. 상기 선별가이드는 푸셔에 의해 컨베이어의 이송경로에서 이탈된 대나무 용기를 별도로 분리하도록 안내한다. 선별가이드를 통해 분리된 대나무 용기는 별도의 수집함에 수거되도록 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 일측에 형성되며, 세척된 대나무 용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일측에 투입구를 형성하며, 타측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건조챔버(510);, 상기 건조챔버 내측에 형성되며, 이송부를 통해 건조챔버 내부로 이송되는 대나무 용기를 열풍 건조하는 히터(520);를 포함한다.
대나무 용기 전체가 균일하게 건조되므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대나무 용기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키며, 건조시간을 단축시킨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건조챔버 내측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히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가열장치가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건조챔버 내부의 수분을 감소시킨 후 공기를 가열시킨다. 상기 건조챔버 일측에는 건조챔버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형성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건조챔버 내측에 형성되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UV램프(530);를 포함한다.
대나무 용기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이송되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UV램프는 대나무 용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며, 대나무 용기를 살균한다. 따라서 UV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대나무 용기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부 일측에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의 내부에 채워진 재료를 증숙시키는 취반부(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취반부는 일측에 투입구(611)를 형성하며, 타측에 배출구(612)를 형성하는 증숙챔버(610);, 상기 증숙챔버 일측에 형성되며, 증기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구(620);, 상기 증숙챔버 타측에 형성되며,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630);를 포함한다.
증숙챔버 내부에서 고온의 증기가 효율적으로 확산된다. 따라서 대나무 용기 및 재료를 단시간에 증숙시킨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증숙챔버에는 재료가 채워진 대나무 용기가 인입되도록 투입구를 형성하며, 대나무 용기가 인출되도록 배출구를 형성한다. 상기 증기유입구는 증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증기배출구는 증숙에 사용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증기유입구 일측에 형성되는 조절밸브(640);를 포함한다.
증기 유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는 후술되는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증숙챔버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상기 조절밸브를 조절하여 정상적인 설정온도의 증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증숙챔버 일측에 형성되며, 증숙챔버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50);를 포함한다.
증숙챔버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증숙챔버 일측에는 온도센서가 형성된다. 따라서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온도가 낮아진 기존 증기는 배출되며, 증기유입구로부터 기설정된 증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증숙챔버의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증숙챔버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 및 배출구를 개폐하는 커버(660);를 포함한다.
증숙챔버 외부로 증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투입구 및 배출구에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는 증숙챔버 내부의 증기가 투입구 및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열량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증숙챔버 일측에 형성되며, 증숙챔버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670);를 포함한다.
대나무 용기에 채워진 재료를 증숙하는 과정에서 증숙챔버에 온도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대나무 용기의 물성에도 영향을 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증숙챔버 일측에 송풍기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기는 공기를 송풍하며, 공기를 증숙챔버 내부에 고르게 확산시킨다. 이는 송풍기에 의해 외부의 선선한 공기가 증숙챔버 내부로 공급되어 증숙챔버의 내부온도를 서서히 낮추게 한다. 따라서 증숙챔버 내부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취반부 일측에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를 포장하는 포장부(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는 대나무 용기의 개방부를 덮개로 밀봉하는 커버링기(710);, 대나무 용기 전체를 필름으로 밀봉하는 랩핑기(720);, 필름으로 밀봉된 대나무 용기에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부착기(730);를 포함한다.
대나무통밥의 보전성과 상품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커버링기는 한지 등의 덮개를 이용하여 대나무 용기의 개방부를 자동 밀봉한다.상기 랩핑기는 상기 커버링기를 통해 덮개가 밀봉된 대나무 용기를 진공상태에서 필름으로 밀봉한다. 상기 라벨부 착기는 필름 표면에 대나무통밥의 제반정보를 프린트한 라벨을 자동으로 부착한다. 상기 포장부를 통해 포장 완료된 제품은 냉장 보관하게 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대나무통밥 제조발명에 대한 발명으로서, 실시예 1의 이송부 및 세척부를 통해 대나무 용기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하는 대나무 용기 세척단계;, 실시예 1의 재료공급부를 통해 상기 대나무 용기 내부에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단계;, 대나무 용기에 공급된 재료를 실시예 4의 취반부를 통해 증숙시키는 취반단계;, 대나무 용기를 냉각시킨 후 실시예 5의 포장부를 통해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7-1] 실시예 6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본 발명의 대나무통밥은 세척, 재료공급, 취반, 포장 등의 자동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따라서 제조시간을 단축하며,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송되는 대나무 용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며, 세척된 대나무 용기 내부에 쌀 및 고명 등의 재료를 공급한다. 또한 내부에 재료가 채워진 대나무 용기를 스팀을 이용하여 취반하며, 이를 냉각시킨 후 포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100 : 이송부 110 : 용기고정부
200 : 세척부 210 : 케이스
220 : 세척수분사장치 221 : 세척수공급관
222 : 분사노즐 223 : 세척수탱크
224 : 펌프 225 : 제1밸브
226 : 세정액탱크 227 : 제2밸브
231 : 제1모터 232 : 제2모터
233 : 회전축 234 : 승강대
300 : 재료공급부 310 : 쌀투입부
320 : 고명투입부 330 : 재료용기
340 : 정량공급부 341 : 케이스
342 : 이송피더 343 : 구동부
400 : 검출부 410 : 비전검사장치
411 : 비전센서 412 : 제어기
421 : 클램핑장치 422 : 실린더
423 : 밀폐장치 423a : 지지브라켓
423b : 밀폐판 424 : 공기공급장치
425 : 소음센서 426 : 제어기
430 : 선별부 431 : 푸셔
432 : 선별가이드 500 : 건조부
510 : 건조챔버 520 : 히터
530 : UV램프 600 : 취반부
610 : 증숙챔버 611 : 투입구
612 : 배출구 620 : 증기유입구
630 : 증기배출구 640 : 조절밸브
650 : 온도센서 660 : 커버
670 : 송풍기 700 : 포장부
710 : 커버링기 720 : 랩핑기
730 : 라벨부착기

Claims (7)

  1. 대나무통밥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다수의 대나무 용기가 수납되며, 상기 대나무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00);,
    상기 이송부에 의해 대나무 용기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형성되며, 상기 대나무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된 대나무 용기에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부(300);를 포함하는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일측에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출부(400);를 포함하는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 일측에 형성되며, 세척된 대나무 용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500);를 포함하는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부 일측에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의 내부에 채워진 재료를 증숙시키는 취반부(600);를 포함하는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취반부 일측에 형성되며, 대나무 용기를 포장하는 포장부(700);를 포함하는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6. 대나무통밥 제조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의 이송부 및 세척부를 통해 대나무 용기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하는 대나무 용기 세척단계;,
    청구항 1의 재료공급부를 통해 상기 대나무 용기 내부에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단계;,
    대나무 용기에 공급된 재료를 청구항 4의 취반부를 통해 증숙시키는 취반단계;,
    대나무 용기를 냉각시킨 후 청구항 5의 포장부를 통해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대나무통밥 제조방법.
  7. 청구항 6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KR1020180041375A 2018-04-10 2018-04-10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KR10209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75A KR102096449B1 (ko) 2018-04-10 2018-04-10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75A KR102096449B1 (ko) 2018-04-10 2018-04-10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249A true KR20190118249A (ko) 2019-10-18
KR102096449B1 KR102096449B1 (ko) 2020-04-02

Family

ID=6846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375A KR102096449B1 (ko) 2018-04-10 2018-04-10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6017A (zh) * 2020-12-30 2021-04-30 绩溪县徽和天下食品有限公司 一种分散式竹笋蒸煮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874A (ja) * 1999-08-20 2001-03-06 Ajinomoto Engineering Corp 食材の連続抗菌処理装置
JP2002218956A (ja) * 2001-01-26 2002-08-06 Daihan:Kk レトルト包装品の連続加熱殺菌方法および包装不良品検出方法
KR20030029190A (ko) * 2001-10-05 2003-04-14 양승종 대나무통밥 제품의 제조 방법과 그에 의한 제품
KR20040005450A (ko) 2002-07-10 2004-01-16 김진세 대나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대나무밥 제조방법
KR100468042B1 (ko) 2004-10-04 2005-01-24 양만옥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
KR101391973B1 (ko) 2011-07-05 2014-05-12 백승현 규격화된 대나무 스틱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476342B1 (ko) 2012-06-12 2014-12-24 김경동 대나무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가열장치
JP2018015047A (ja) * 2016-07-25 2018-02-01 株式会社アイホー 炊飯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874A (ja) * 1999-08-20 2001-03-06 Ajinomoto Engineering Corp 食材の連続抗菌処理装置
JP2002218956A (ja) * 2001-01-26 2002-08-06 Daihan:Kk レトルト包装品の連続加熱殺菌方法および包装不良品検出方法
KR20030029190A (ko) * 2001-10-05 2003-04-14 양승종 대나무통밥 제품의 제조 방법과 그에 의한 제품
KR20040005450A (ko) 2002-07-10 2004-01-16 김진세 대나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대나무밥 제조방법
KR100468042B1 (ko) 2004-10-04 2005-01-24 양만옥 대나무용기 및 그를 이용한 대통밥 제조방법
KR101391973B1 (ko) 2011-07-05 2014-05-12 백승현 규격화된 대나무 스틱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476342B1 (ko) 2012-06-12 2014-12-24 김경동 대나무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가열장치
JP2018015047A (ja) * 2016-07-25 2018-02-01 株式会社アイホー 炊飯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6017A (zh) * 2020-12-30 2021-04-30 绩溪县徽和天下食品有限公司 一种分散式竹笋蒸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449B1 (ko)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1899A (en) Continuously operating inspection machine for vessels
US2401131A (en) Method of preserving food products
US4534494A (en) Cleaning system for filler
EP2501501B1 (en) Plant for cleaning bins used for vegetable produce
FR2519936A1 (fr) Procede et appareil pour le remplissage aseptique de recipients
US20090241644A1 (en) Sterile syringe leak testing method and machine
JP7305765B2 (ja) 真空下でカプセルをパッケージ化する装置
KR102145662B1 (ko) 조개류 포장설비
KR20190118249A (ko)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KR102312169B1 (ko) 나물 자동 포장장치를 이용한 자동 포장방법
US4934392A (en) Cleaning apparatus
GB2411335A (en) Heat-treatment apparatus and process
KR102167676B1 (ko) 충진장치
KR102168238B1 (ko) 구운란 제조 시스템
GB2212387A (en) Clean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KR102167666B1 (ko) 0점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충진장치
KR102168239B1 (ko) 선별장치
JP2012103020A (ja) ペットボトルのリーク検査および外観検査装置
JP2003222564A (ja) 漏れ不良検査装置
GB2585323A (en) Packaging apparatus and manifold
JP3618725B2 (ja) 樹脂性チューブのシール部検査方法
KR102452495B1 (ko) 구이 및 볶음용 메기 진공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EP1109011B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mouldings in a package
EP3631399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microleakages from kegs and similar containers
JP2001215199A (ja) 容器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