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676B1 - 충진장치 - Google Patents

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676B1
KR102167676B1 KR1020200069652A KR20200069652A KR102167676B1 KR 102167676 B1 KR102167676 B1 KR 102167676B1 KR 1020200069652 A KR1020200069652 A KR 1020200069652A KR 20200069652 A KR20200069652 A KR 20200069652A KR 102167676 B1 KR102167676 B1 KR 102167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containers
storage container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왕근
Original Assignee
김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왕근 filed Critical 김왕근
Priority to KR1020200069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22Making containers by moulding of a thermo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rying glued or seal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0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removing material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용기들을 일정한 각도로 이동시켜 가면서 임의의 내용물을 충진함에 있어, 모든 용기들을 충진장치에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용기공급수단, 실링설정수단, 제거수단, 충진부, 성형부, 가열수단, 실링수단, 냉각수단, 컷팅수단, 불량배출부, 정품배출수단에 정확하게 공급하도록 영점을 설정할 수 있는 충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를 홀딩시키는 홀딩수단을 개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들을 기 설정된 각도로 이송시키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온 각각의 용기들 내부공간에 임의의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진장치{APPARATUS FOOR SUPPLYING}
본 발명은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투입구 형상을 용기의 투입구를 실링하기 위해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하고, 용기의 이상이 발생할 시 해당 불량용기를 자동으로 배출함으로써, 작업자가 추가적으로 불량용기를 선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는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계층과 연령에서 널리 사용되는 화장품은 다양한 형태와 종류 및 특성을 가지고 제조되는 것으로서, 그 중 일부의 제품 즉, 메이크업 베이스 및 파우더, 투웨이 케익, 파우더 팩트, 스킨 커버 등은 화장 품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접시와 내부접시를 수용하는 외부케이스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며, 상기의 내부접 시에는 화장품의 케이스에 의한 최종 생산 공정 전에 내용물의 충전과 압축 및 오일 제거 등의 공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공정을 매우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화장품의 개략적인 생산과정을 살펴보면, 화장품 내부접시가 거치된 상태의 운반치구는 컨 베이어벨트에 의한 이송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고, 운반치구의 이송과정 중에 원료의 투입공정과, 프레 스에 의한 투입된 원료의 가압성형을 거치게 되고, 용기를 배출하여 완성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원료투입공정에서는 파우더정량주입기가 사용되고, 파우더정량주입기는 파우더를 컨베이어벨트와 자동 디스펜서에 의해 토출시 키는 것이며, 투입된 원료의 가압성형공정은, 그 용기의 상측에서 승강하는 가압치구에 의해 용기 내에 주입되 어 있는 원료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내용물이 충진되는 용기의 개구부의 형상이 가열봉의 형상과 상이함에 따라, 수직 하강하는 가열봉이 용기의 개구부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를 극복할 필요가 있고, 불량이 용기를 정상제품이 배출되기 전에 미리 배출시켜서 작업자가 추가적으로 불량용기를 선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막을 필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7969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0761호
용기의 투입구 형상을 용기의 투입구를 실링하기 위해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충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용기의 실링대상 부위를 컷팅하여 마감한 후 해당부분을 비전검사하여 이상이 발생할 시 해당 불량용기를 자동으로 배출함으로써, 작업자가 추가적으로 불량용기를 선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는 충진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화장품 충진과 개구부위의 실링이 완료된 용기에서 먼지나 이물질을 진동방식과 접착방식 및 세척방식으로 여러 번 제거한 후 건조할 수 있는 충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는,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를 홀딩시키는 홀딩수단을 개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들을 기 설정된 각도로 이송시키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온 각각의 용기들 내부공간에 임의의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부, 상기 용기가 가열수단으로 이동하기 전에 투입구를 원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용기의 이송경로 상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용기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하며, 상기 용기를 원 형상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변부, 상기 가변부에 각각 결합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각각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상기 승강가이드부에 승강부를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상측에 각각 연결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들을 동시에 관통하는 이동가이드부, 상기 이동부들에 공동으로 체결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용기의 실링대상 부위의 이상을 감지 시 해당 용기를 배출하는 불량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량배출부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판캠, 상기 판캠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판캠의 둘레면과 마주하는 롤러가 축 고정된 회동레버, 상기 회동레버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판캠의 둘레면과 단순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롤러가 판캠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상기 회동레버가 상기 판캠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레버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에 의해 승강되며, 상승 시 상기 고정수단에 위치한 용기를 상 방향으로 타격하여 배출시키는 타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에서 배출된 용기들을 수집한 후 진동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진동형 제거부, 상기 용기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접착식으로 제거하는 접착형 제거부, 상기 용기의 표면에 묻어 있는 접착성분을 제거하는 접착성분 제거부, 상기 용기를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용기를 건조하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형 제거부는, 다수개의 용기를 수납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낙하공이 형성된 수납통, 상기 수납통을 공중으로 띄우며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띄움부, 상기 수납통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수납통을 수직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타격바를 포함하는 수직 타격부, 상기 수납통의 측면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판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타격바를 포함하는 수평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형 제거부는, 상기 용기에 마련된 뚜껑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수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용기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되며, 용기와 마주하는 면에 접착성분이 도포되어 있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를 용기에 대해 각각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성분 제거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용기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클리너, 상기 클리너를 용기에 대해 각각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2 실린더, 상기 클리너가 용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실린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3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통, 상기 용기가 세척수에 잠기도록 상기 세척통을 상승시키는 제4 실린더, 상기 세척수에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용기를 수납하는 부가 수납통, 상기 부가 수납통의 내부에 다수개의 용기를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는 부가 홀더부, 상기 부가 수납통의 상측에서 제5실린더에 의해 하강되어 부가 수납통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부, 상기 폐쇄부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부가 수납통의 내부공간에 열기를 공급하는 히팅부, 상기 부가 홀더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측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히팅부의 온열을 흡수하여 부가 수납통의 내부공간으로 통과하는 열전도매체부,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개구부의 개방정도를 가변하여 열전도매체부에서 통과되는 열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 승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의 천장면에 코일스프링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열전도매체부의 열을 통과하는 다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된 회동부, 상측이 상기 회동부의 승강홈에 수용되어 코일스프링에 고정되고, 일부분은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팽창력으로 부가 수납통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열전도매체부의 열을 통과하는 다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용기의 투입구의 형상을 용기의 투입구를 실링하기 위해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의 실링대상 부위를 컷팅하여 마감한 후 해당부분을 비전검사하여 이상이 발생할 시 해당 불량용기를 자동으로 배출함으로써, 작업자가 추가적으로 불량용기를 선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장품 충진과 개구부위의 실링이 완료된 용기에서 먼지나 이물질을 진동방식과 접착방식 및 세척방식으로 여러 번 제거한 후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의 평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성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를 통해 용기에 임의의 충진물을 충진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서 용기와 실링설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서 용기가 가열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서 적용된 불량배출부 도시한 도.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진동형 제거부를 도시한 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접착형 제거부를 도시한 도.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접착성분 제거부를 도시한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세척부를 도시한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건조부를 도시한 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하우징, 열전도매체부, 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성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를 통해 용기에 임의의 충진물을 충진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서 용기와 실링설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서 용기가 가열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서 적용된 불량배출부 도시한 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진동형 제거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접착형 제거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접착성분 제거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세척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건조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에 적용된 하우징, 열전도매체부, 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진장치(1)는 턴테이블(10), 충진부(20), 성형부(70), 불량배출부(60), 진동형 제거부(80), 접착형 제거부(90), 접착성분 제거부(100), 세척부(110), 건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용기공급수단(140), 실링설정수단(150), 제거수단(160), 충진부(20), 성형부(70), 가열수단(170), 실링수단(180), 냉각수단(190), 컷팅수단(230), 불량배출부(60), 정품배출수단(210)이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용기공급수단(140)은 일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다수개의 용기들을 턴테이블(10)에 등간격으로 적용되는 다수의 홀딩수단(220)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임의의 내용물을 충진하고자 하는 용기(130)는 투입구 측이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용기(130)는 하단 중앙에 화장품을 배출하는 배출관(131)이 형성되고, 배출관(131)은 용기(13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뚜껑(132)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용기는 투입구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홀딩수단(220)에 고정되어 실링설정수단(150), 제거수단(160), 충진부(20), 성형부(70), 가열수단(170), 실링수단(180), 냉각수단(190), 컷팅수단 등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된다.
용기공급수단(140)은 턴테이블(10)에 고정되는 홀딩수단(220)에 용기를 공급한다.
용기공급수단(140)의 작동방식은 이하 턴테이블(10)과 함께 자세히 설명한다.
실링설정수단(150)은 용기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하도록 용기의 투입구가 실링수단(18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도록 설정해준다.
제거수단(160)은 용기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하강되어 용기의 투입구를 통해 용기의 내부공간에 인입되거나 또는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거관(161), 제거관(161)과 연결되며 일정압력의 에어를 주입한 다음 공기를 흡입하는 제거기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거관(161)이 용기의 내부공간에 인입된 후 제거기기가 일정 압력의 에어를 주입하여 용기 내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한 후, 공기흡입을 통해 이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충진부(20)는 턴테이블(10)과 소정간격 이격되며 임의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제거수단(160)과 성형수단의 사이에 배치되어 턴테이블(10)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들과 순차적으로 수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펌프(미도시)를 매개로 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저장탱크 내의 임의의 내용물을 용기의 내부에 충진하는 충진관(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내용물은 액상이나 겔 타입의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것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임의의 내용물이 화장품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가열수단(170)은 대략 역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큰 외경이 용기(130)의 투입구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가열수단(170)은 고온의 공기를 용기의 투입구에 가해 물성변화 시킨다.
실링수단(180)은 이와 같이 물성변화된 용기의 투입구 측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하도록 가압하여 실링한다.
이를 위해 실링수단(180)은 용기의 투입구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되는 전면가압블럭(미도시)과 후면가압블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가압블럭과 후면가압블럭은 이를 구동하는 캠에 의해 서로 접촉되거나 또는 이격될 수 있다.
냉각수단(190)은 용기의 투입구에 저온의 에어를 분사하여 냉각시킨다.
컷팅수단(230)은 용기의 실링대상 부위 중 윗부분을 수평방향으로 컷팅하여 마감한다.
이상 설명한 실링설정수단(150), 제거수단(160), 충진부(20), 성형부(70), 가열수단(170), 실링수단(180), 냉각수단(190), 컷팅수단, 불량배출수단(200), 정품배출수단(210)은 각각 실린더, 캠, 레일, 슬라이드와 같은 위치조정수단(미도시)을 통해 개별적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다.
실링설정수단(150), 제거수단(160), 충진부(20), 성형부(70), 가열수단(170), 실링수단(180), 냉각수단(190), 컷팅수단(230), 불량배출수단(200), 정품배출수단(210)의 위치조절 방식은 충진장치에서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턴테이블(10)은 전술한, 용기공급수단(140)에서 공급받은 용기를 실링설정수단(150), 제거수단(160), 충진부(20), 성형부(70), 가열수단(170), 실링수단(180), 냉각수단(190), 불량배출부(60), 정품배출수단(210)으로 순차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턴테이블(10)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1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12)은 저면 중앙부분이 모터(미도시)의 모터축에 고정되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회전판(12)은 턴테이블(10)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분이 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플랜지(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플랜지(미도시)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며 구동플랜지(미도시)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회전판(1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고정수단(13)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고정수단(13)은 상면과 바닥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13)의 바닥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는 후술되는 불량배출부(60)의 타격부(64)가 출입하여 불량이 발생된 용기를 제거하게 된다.
모터(미도시)는 회전판(12)을 기 설정된 시간과 각도로 회전시킨다.
용기공급수단(140)은 턴테이블(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레일부(141), 레일부(141)의 하단에 배치되며 레일부(141)에서 낙하된 용기를 각각의 홀딩수단(220)에 하나씩 공급하는 공급부(142) 및 가압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141)는 하향 경사진 구조로 배치되어 다수개의 용기를 순차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때, 용기(130)들은 눕혀진 형태로 레일부(141)에 공급된다.
공급부(142)는 레일부(141)의 하단 또는 후술되는 기준부(31)로 위치 이동되며, 레일부(141)에서 낙하된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공급판(1421), 공급판(1421)를 반복적으로 전도 또는 기립시키도록 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암(1422)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판(1421)는 전도 시 레일부(141)의 하단에 위치된다. 따라서, 레일부(141)에서 낙하된 하나의 용기가 수용홈에 수용된다.
그리고, 공급판(1421)는 기립시 기준부(31) 측으로 위치 이동된다.
가압부(143)는 기립된 공급판(1421)의 상측에서 캠에 의해 반복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되면서 공급판(1421)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온 용기들의 상면을 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판(221)의 고정홀에 고정시킨다.
공급판(1421)는 기립시 외면이 레일부(141)의 최하측에 위치된 용기를 지지하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기준부(31)는 회전판 상에 용기를 홀딩시키기 위한 홀딩수단(220)과 공급판(1421)에 의해 배출되는 용기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충진부(20)는 턴테이블(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온 용기(130)들의 내부공간에 화장품을 충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충진부(20)의 충진관(21)은 턴테이블(10)의 상측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턴테이블(1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홀딩수단(220)들과 순차적으로 수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판의 하측에는 충진관(21)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며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반복적으로 승강되는 승강바(151)가 배치된다.
승강바(151)는 상승 시 홀딩수단(220)을 상승시켜 충진관(21)이 용기의 투입구 측에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펌프는 충진관(21)이 용기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타이밍에 맞춰 작동하여 용기의 내부공간에 화장품을 충진한다.
실링설정수단(150)은 회전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용기공급수단(140)과 동심적으로 배치되며 용기의 앞면 또는 후면에 마크된 I마크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 센서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역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홈(33a)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삽입홈(33a)에 삽입될 수 있는 부가 삽입콘(152), 턴테이블(10)의 하측에 배치되고 부가 삽입콘(152)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며, 실린더 또는 캠과 같은 승강수단(미도시) 의해 승강되며, 상승 시 고정수단(13)에 수용되는 홀더부(32) 또는 홀딩수단(220)을 승강시키는 승강바(151), 용기의 I마크가 센서와 마주하도록 승강수단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스탭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수단(170)은 충진부(20)와 실링수단(180)의 사이에 배치된다.
가열수단(170)은 역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핫 에어공급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핫 에어가 주입되는 주입공간이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서는 주입공간과 연결되어 핫 에어를 수평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가열수단(170)은 삽입홈(33a)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열수단(170)은 실린더나 캠에 의해 승강되며, 하강시에 용기의 투입구 측에 수용되고, 상승시 투입구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성형부(70)는 용기에 화장품을 충진하는 과정에서 기능을 발휘한다.
즉, 성형부(70)는 충진부(20)와 가열수단(170)의 사이에 배치되어 용기(130)가 가열수단(170)으로 이동하기 전에 타원형 형상이던 용기의 투입구를 가열수단(17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원 형상으로 성형한다.
이러한 성형부(70)는 가변부(71), 승강부(72), 승강가이드부(73), 이동부(75), 이동가이드부(76), 간격조절부(77)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부(71)는 회전판(12)의 상부에서 용기(130)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된다.
가변부(71)는 2개 한쌍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가변부(71)의 사이로 용기(130)가 통과하게 된다.
가변부(71)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가변부(71)는 용기(130)의 상부 일측면에 접촉되고 다른 하나의 가변부(71)는 용기(130)의 상부 타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가변부(71)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130)는 회전판(12)에 의해 회전이송되는 과정에서 가변부(71)의 사이를 통과하며, 결국 타원형 형상을 이루던 용기(130)의 상측이 원 형상으로 가변된다.
승강부(72), 승강가이드부(73), 고정부(74)는 용기(130)의 높이(길이)에 따라 가변부(71)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승강부(72)는 하측이 가변부(71)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가변부(71)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승강부(72)에는 후술되는 고정부(74)가 체결되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승강가이드부(73)는 승강부(72)의 일측에 각각 접하며, 고정부(74)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고정부(74)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선이 형성된 바디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승강부(72)의 체결홀에 체결되고, 바디와 연결된 헤드는 바디가 체결홀에 체결 시 승강가이드부(73)의 외면에 밀착되어 승강부(72) 및 가변부(71)를 고정한다.
따라서, 용기(130)의 모양에 따라 승강가이드부(73)에서 승강부(72)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동부(75), 이동가이드부(76), 간격조절부(77)는 가변부(71)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동부(75)는 승강가이드(311)의 상측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수평방향으로 평행된다.
이동부(75)의 중앙에는 후술되는 간격조절부(77)가 체결되는 나선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도 2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이동부(75)의 좌측에는 고정블럭이 배치된다.
이동부(75)와 고정블럭은 서로 평행을 이룬다. 고정블럭의 중앙에는 이동부(75)의 나선홀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블럭의 상측에는 관통홀과 직교하는 나선홀(미도시)이 형성되며, 나선홀에는 고정볼트가 체결된다.
고정볼트는 관통홀 내의 간격조절부(77)를 상 방향에서 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가이드부(76)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동부(75)들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공동으로 관통한다.
따라서, 이동가이드부(76)는 이동부(75)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
간격조절부(77)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다. 간격조절부(77)는 고정블럭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이동부(75)들의 나선홀에 공동으로 체결된다.
간격조절부(77)의 나선은 이동부(75)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2개의 방향으로 구획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이동부(75)에 체결되는 나선은 왼나선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이동부(75)에 체결되는 나선은 오른나선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간격조절부(77)의 일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잡이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부(75)가 서로 가까워져 가변부(71) 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손잡이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부(75)가 서로 멀어져 가변부(71)의 간격이 넓어진다.
따라서, 용기(130)의 개구부측 직경에 따라 가변부(71) 간의 간격을 조절하면 된다.
한편, 도 7에 따르면, 불량배출부(60)는 컷팅수단(230)의 일측에 배치된다.
불량배출부(60)는 회전판(12)의 상측에 배치되며 컷팅수단(23)으로 용기의 실링대상 부위 일정영역을 컷팅한 이후에 실링이 정상적인 상태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비전검사부(미도시), 비전검사부가 용기(130)의 실링대상 부위의 이상을 감지 시 해당 용기를 배출하는 판캠(61), 회동레버(62), 실린더(63), 타격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전검사부는 용기의 실링대상 부위를 촬영하여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자체에 저장된 용기의 실링대상 부위 영상과 비전검사부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만 타격부(64)를 작동시켜 해당 불량 용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비전검사부를 통한 비전검사원리는 다양한 기술분야에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양 영상이 일치할 경우 불량배출부(6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지 아니하며, 이로 인해 정상 용기는 정품배출수단(210)으로 이송되어 회전판에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정상 용기와 불량 용기가 별도의 위치에서 배출되어 작업자가 별도로 불량 용기를 선별할 필요가 없어짐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판(12)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됨으로, 비전검사부는 모든 홀딩수단(220)에 고정된 용기(130)들의 실링대상 부위를 순차적으로 비전검사 하게 된다.
판캠(61)은 회전판(12)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판캠(61)은 비전검사부가 용기의 실링대상 부위의 이상을 감지할 경우에만 타격부(64)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레버(62)는 일측이 판캠(61)의 상측에 축 결합된다. 따라서, 회동레버(62)는 축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회동레버(62)의 일측에는 판캠(61)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편(621)이 형성된다.
경사편(621)에는 판캠(61)의 둘레면과 마주하는 롤러(622)가 축 고정된다.
따라서, 롤러(622)는 축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실린더(63)는 회동레버(62)를 상승 회동 또는 하강 회동시키는 것으로,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63)의 피스톤은 회동레버(62)의 중앙부분에 결합된다.
따라서, 피스톤이 상승되면 회동레버(62)는 상승 회동되고, 피스톤이 하강되면 회동레버(62)는 하강 회동된다.
나아가, 피스톤은 회동레버(62)가 판캠(61)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때, 회동레버(62)와 연동되어 상승 또는 하강된다.
도 7에는 회동레버(62)가 하강된 상태 및 이 회동레버(62)에 결합된 롤러(622)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회동레버(62)가 상승된 상태 및 이 회동레버(62)에 결합된 롤러(622)를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물론, 회동레버(62)가 하강된 상태는 비전검사부가 용기의 불량을 감지하지 아니하여 실린더(63)를 작동시키지 아니한 상태이고, 회동레버(62)가 상승된 상태는 비전검사부가 용기의 불량을 감지하여 실린더(63)를 작동시킨 상태이다.
판캠(6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큰 외륜과 작은 외륜을 갖는다. 따라서, 회동레버(62)가 실린더(63)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서 판캠(61)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더라도 롤러(622)가 판캠(61)의 큰 외륜과 단순 접촉되고, 작은 외륜과는 접촉되지 아니한다.
이와 반대로, 회동레버(62)가 실린더(63)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는 롤러(622)가 판캠(61)과 가까워져 판캠(61)의 큰 외륜을 가압하는 형태로 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롤러(622)는 판캠(61)의 큰 외륜 및 작은 외륜과 반복적으로 마찰을 일으킨다.
즉, 판캠(61)이 시계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할 때 큰 외륜은 롤러(622)를 밀어냄으로 회동레버(62)가 상 방향으로 회동된다.
아울러, 작은 외륜은 롤러(622)를 밀어내지 못한다. 따라서, 롤러(622)가 작은 외륜과 마주할 경우에는 회동레버(62)는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 위치로 복귀된다.
타격부(64)는 하측부분이 회전판의 하측 지면에 고정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측부분은 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타격부(64)는 회동레버(62)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따라 자유승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타격부(64)는 회동레버(62)가 상 방향으로 회동시 상승되어 홀딩수단(220)에 홀딩된 용기(130)의 뚜껑(132)을 타격하여 홀딩수단(220)(13)에서 배출시킨다.
그리고, 타격부(64)는 회동레버(62)가 하 방향으로 회동시 하강되어 홀딩수단(220)과 이격된다.
한편, 진동형 제거부(80)는 정품배출수단(210)을 통해 배출된 용기(130)를 일정개수로 모아 먼지,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한다.
진동형 제거부(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통(81), 띄움부(82), 수직 타격부(83), 수평 타격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통(81)은 턴테이블(10)의 일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수납통(81)은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용기(130)를 수납할 수 있다.
수납통(81)의 바닥면에는 용기(130)에 묻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낙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낙하공(81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띄움부(82)는 일정 높이를 갖는 별도의 작업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되며, 파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납통(81)을 공중으로 띄운다. 띄움부(82)는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일정수준으로 압축되고, 외력이 소멸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팽창복원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타격부(83)는 지지대(미도시)에 지지되어 수납통(81)의 상부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모터(831), 제1모터(831)의 모터축에 각각 결합되며, 제1모터(831)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수납통(81)의 상면을 수직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타격바(8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831)는 타격바(832)를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1바퀴(360도)씩 회전시키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바(832)는 최초 수평상태로 셋팅되어 수납통(81)의 상면과 이격된다. 나아가, 제1모터(831)는 타격바(832)를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작동시키도록 설정된다.
즉, 타격바(832)가 수납통(81)을 타격하면 띄움부(82)가 일정수준으로 압축되었다가 팽창되어 원 상태로 복원되며, 제1모터(831)는 띄움부(82)가 복원되는 시점에 다시 타격바(832)를 1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수납통(81)이 반복적으로 상,하 방향 요동치는 작용이 발생되며, 결국 용기(130)에 묻어 있는 이물질과 먼지가 분리되어 낙하공(81a)을 통해 낙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납통(81)의 하부에는 낙하공(81a)을 통해 낙하되는 먼지, 이물질 등을 집집하기 위한 집진기가 설치될 수 있다.
수평 타격부(84)는 수직 타격부(83)와 함께 수납통(81)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수납통(81)의 측면에 하나 이상으로 고정되는 코일스프링(841), 코일스프링(841)에 고정되는 고정판(842), 테이블의 상면에 안착되며 고정판(842)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2 모터(843), 제2 모터(843)의 모터축에 각각 결합되며, 제2 모터(843)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고정판(842)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타격바(8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843)는 타격바(844)를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1바퀴(360도)씩 회전시키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바(844)는 최초 수직상태로 셋팅되어 수납통(81)의 측면과 이격된다. 나아가, 제2 모터(843)는 타격바(844)를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작동시키도록 설정된다.
즉, 타격바(844)가 고정판(842)을 타격하면 코일스프링(841)이 압축되면서 수납통(81)에 충격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수납통(81)은 타격바(844)의 타격방향으로 이동되는데, 그 과정에서 띄움부(82)도 해당방향으로 휘어졌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수납통(81)을 원위치 시킨다.
그리고, 제2 모터(843)는 수납통(81)이 원위치 되는 시점에 다시 타격바(844)를 1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수납통(81)이 반복적으로 좌,우 방향 요동치는 작용이 발생되며, 결국 용기(130)에 묻어 있는 이물질과 먼지가 분리되어 낙하공(81a)을 통해 낙하된다.
이때, 수평 타격부(84)는 타격바(844)가 수납통(81)을 직접 타격하지 아니하고 코일스프링(841)은 타격바(844)의 타격력을 완충하기 때문에 수납통(8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터(843)는 제1모터(831)와 동일하게 작동하거나 또는 제1모터(831)와 교번되게 작동될 수 있다.
접착형 제거부(90)는 진동형 제거부(80)를 거친 용기(130)의 표면에 잔존하는 먼지,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한다.
즉, 접착형 제거부(90)는 진동형 제거부(80)에서 제거되지 아니한 용기(130)의 먼지, 이물질을 제거한다.
접착형 제거부(9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91), 브라켓(92), 이송부(93), 접착부(94), 제1 실린더(95)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91)는 용기(130)에 마련된 뚜껑(132)의 외주연에 각각 장착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다.
브라켓(92)은 직사각형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방향을 따라서는 장착부(91)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송부(93)는 로드레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 실린더로 형성되며, 브라켓(92)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송부(93)의 피스톤에는 연결대가 수직설치되고, 연결대의 저면은 브라켓(92)의 중앙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송부(93)는 브라켓(92) 및 이에 고정된 용기(130)들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 접착부(94), 접착성분 제거부(100), 세척부(110)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접착부(9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송부(93)에 의해 이송된 용기(130)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된다.
즉, 브라켓(92)에 4개의 용기(130)를 고정할 경우 접착부(94)는 4쌍으로 적용되어 각각의 용기(130) 전,후면에 각각 배치된다.
접착부(94)는 용기(130)의 전면 또는 후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거나 또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94)는 필름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130)와 마주하는 일면에 접착성분이 도포되어 있다.
접착부(94)는 타면에도 접착성분이 도포되어 부착판(941)에 부착된다.
제1 실린더(95)는 각각 그 피스톤이 부착판(941)에 고정된다.
제1 실린더(95)는 부착판(941)을 용기(130) 측으로 전진시켜 접착부(94)의 접착성분에 용기(130)에 묻어 있는 먼지, 이물질이 부착되도록 한 후, 다시 부착판(941)을 후진시켜 접착부(94)를 용기(130)에서 이격시킨다.
접착성분 제거부(100)는 용기(130)의 표면에 묻어 있는 정착성분을 제거한다.
접착성분 제거부(100)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너(101), 제2 실린더(102), 제3 실린더(10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너(10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송부(93)에 의해 이송된 용기(130)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된다.
즉, 클리너(101)도 접착부(94)와 동일하게 4쌍으로 적용된다.
클리너(101)는 용기(130)의 전면 또는 후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거나 또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리너(101)는 물티슈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클리너(101)는 고정판(1011)에 고정된다.
제2 실린더(102)는 각각 그 피스톤이 고정판(1011)에 고정된다.
제2 실린더(102)는 고정판(1011)을 용기(130) 측으로 전진시켜 클리너(101)를 용기(130)의 전,후면에 각각 접촉시킨다.
제3 실린더(103)는 이와 같이 클리너(101)가 용기(130)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 실린더(102)를 하강시켜 용기(130)에 묻어 있는 접착성분, 먼지, 이물질 등이 제거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부(93)가 브라켓(92) 및 용기(130)를 세척부(110)로 이송시키면 제2 실린더(102)가 고정판(1011)을 후진시키고, 제3 실린더(103)가 제2 실린더(102)를 상승시켜 새로운 용기(130)를 클리닝 할 수 있다.
세척부(110)는 이와 같이 접착성분 제거부(100)를 거친 용기(130)를 최종적으로 세척한다.
세척부(110)는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통(111), 제4 실린더(112), 초음파 발생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통(111)은 이송부(93)에 의해 이송된 용기(1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세척통(111)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세척수가 저장된다.
제4 실린더(112)는 그 피스톤이 용기(130)의 저면에 고정된다.
제4 실린더(112)는 세척통(11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며, 상승 시 용기(130)만 세척수에 잠긴다.
초음파 발생부(113)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세척통(111)의 내벽면과 바닥면에 고정된다.
초음파 발생부(113)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용기(130)의 표면에 잔존하는 먼지, 이물질을 제거한다.
건조부(120)는 세척부(110)에 의해 세척된 용기(130)를 건조한다.
건조부(12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수납통(121), 부가 홀더부(122), 폐쇄부(124), 히팅부(125), 하우징(126), 열전도매체부(127), 조절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수납통(121)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용기(130)를 수납하고 건조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부가 홀더부(122)는 부가 수납통(121)의 내부에 다수개의 용기(130)를 고정시킨다.
부가 수납통(121)의 내부공간은 원형 또는 사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부가 홀더부(122)는 부가 수납통(121)의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부가 수납통(121)의 내벽면에는 돌기 형태의 지지턱(미도시)이 형성되고, 부가 홀더부(122)는 지지턱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부가 홀더부(122)에는 용기(130)의 뚜껑(132)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용기(130)를 거꾸로 뒤집은 다음 용기(130)의 뚜껑(132)을 삽입홀에 삽입히면 용기(130)가 부가 홀더부(122)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폐쇄부(124)는 부가 수납통(121)의 내부공간과 동일한 단면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폐쇄부(124)의 가장자리에는 후술되는 히팅부(125)의 열기가 외부로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패킹(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폐쇄부(124)는 부가 수납통(121)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5 실린더(123)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폐쇄부(124)는 제5 실린더(123)에 의해 하강될 시 부가 수납통(121)의 상면 개구부를 폐쇄한다.
히팅부(125)는 폐쇄부(124)의 저면에 설치되어 부가 수납통(121)의 내부공간에 용기(130)를 건조하기 위한 열기를 공급한다.
이러한 히팅부(125)는 열풍을 가하는 타입 또는 히팅코일을 통해 열기를 통과할 수 있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건조부(120)가 열풍을 가하는 타입으로 형성될 경우, 송풍구, 송풍구에 설치된 히터로 구성되어, 송풍기로 공급되는 상온의 송풍이 히터를 거치면서 열풍으로 가열된 후 열기를 분사할 수 있다.
하우징(126)은 부가 수납통(121)의 수납되고 부가 홀더부(122)의 하부에 배치된다.
하우징(126)은 부가 수납통(121)의 내벽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적용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26)은 부가 수납통(121)의 내부공간과 마주하는 측면이 개방된다.
열전도매체부(127)는 하우징(126)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하우징(126)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열전도매체부(127)는 히팅부(125)의 온열 및 부가 수납통(121) 내의 온열을 흡수하였다가 다시 통과하여 용기(130)에 공급되도록 한다.
즉, 열전도매체부(127)는 흡수한 열을 다시 용기(130)에 지속적으로 전달함에 따라, 열 손실을 방지하면서 용기(130)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조절부(128)는 회동부(1281), 스토퍼(12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절부(128)는 하우징(126)에 복수개로 적용되며, 열전도매체부(127)의 열기가 부가 수납통(121)의 내부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다.
회동부(1281)는 그 상측이 하우징(126)의 천장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부(1281)는 저면에 승강홈(1281a)이 형성된다. 승강홈(1281a)의 천장면에는 코일스프링(C)이 고정된다.
그리고, 회동부(1281)에는 열전도매체부(127)의 열기를 통과시키는 다수개의 통과홀(1281b)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스토퍼(1282)는 상측이 승강홈(1281a)의 수용되어 코일스프링(C)에 고정되며, 일부분은 회동부(1281)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스토퍼(1282)에는 열전도매체부(127)의 열기를 통과시키는 다수개의 통과홀(1282a)이 형성된다.
스토퍼(1282)는 승강홈(1281a)에 수용됨으로 코일스프링(C)을 일정수준으로 압축시킨다.
스토퍼(1282)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C)의 팽창력으로 부가 수납통(121)의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282)는 회동부(1281)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즉, 회동부(1281)가 상측으로 회동 될수록 스토퍼(1282)는 점진적으로 인출되고, 회동부(1281)가 하측으로 회동 될수록 승강홈(1281a)에 점전적으로 인입되 인출길이가 길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회동부(1281)가 상측, 즉 하우징(126)의 개구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될수록 하우징(126)의 개방범위가 넓어져 열전도매체부(127)의 열기가 부가 수납통(121)의 내부공간으로 많이 발산되며, 회동부(1281)가 하측으로 회동 될수록 하우징(126)의 개방범위가 좁아져 열전도매체부(127)의 열기가 부가 수납통(121)의 내부공간으로 적게 발산된다.
따라서, 용기(130)의 크기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회동부(1281)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개구부의 개방정도를 가변하여 열전도매체부(127)에서 발산되는 열기의 양을 조절하여 용기(130)를 건조시키면 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충진장치 10 : 턴테이블
12 : 회전판 13 : 고정수단
14 : 캠샤프트 15, 151 : 승강바
20 : 충진부 21 : 충진관
311 : 승강가이드 312 : 승강체
313 : 연결부 314 : 삽입콘
32 : 홀더부 32a : 고정홈
321 : 안착턱 33 : 제1 영점조절부
33a : 삽입홈 41 : 몸체
50 : 제3 설정부 51 : 본체부
52 : 제2 영점조절부 53 : 제3 영점조절부
60 : 불량배출부 61 : 판캠
62 : 회동레버 621 : 경사편
622 : 롤러 63 : 실린더
64 : 타격부 70 : 성형부
71 : 가변부 72 : 승강부
73 : 승강가이드부 74 : 고정부
75 : 이동부 76 : 이동가이드부
77 : 간격조절부 80 : 진동형 제거부
81 : 수납통 81a : 낙하공
82 : 띄움부 83 : 수직 타격부
831 : 제1 모터 832, 844 : 타격바
84 : 수평 타격부 841, C : 코일스프링
842, 1011 : 고정판 843 : 제2 모터
90 : 접착형 제거부 91 : 장착부
92 : 브라켓 93 : 이송부
94 : 접착부 941 : 부착판
95 : 제1 실린더 100 : 접착성분 제거부
101 : 클리너 102 : 제2 실린더
103 : 제3 실린더 110 : 세척부
111 : 세척통 112 : 제4 실린더
113 : 초음파 발생부 120 : 건조부
121 : 부가 수납통 122 : 부가 홀더부
123 : 제5 실린더 124 : 폐쇄부
125 : 히팅부 126 : 하우징
127 : 열전도매체부 128 : 조절부
1281 : 회동부 1281a : 승강홈
1281b,1282a : 통과홀 1282 : 스토퍼
130 : 용기 130a : 마크부
131 : 배출관 132 : 뚜껑
140 : 용기공급수단 141 : 레일부
142 : 공급부 1421 : 공급판
1422 : 회동암 143 : 가압부
150 : 실링설정수단 152 : 부가 삽입콘
153 : 센서 160 : 제거수단
161 : 제거관 170 : 가열수단
180 : 실링수단 190 : 냉각수단
210 : 정품배출수단 220 : 홀딩수단
221 : 고정판 222 : 너트
230 : 컷팅수단

Claims (4)

  1.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를 홀딩시키는 홀딩수단을 개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들을 기 설정된 각도로 이송시키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온 각각의 용기들 내부공간에 임의의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부,
    상기 용기가 가열수단으로 이동하기 전에 투입구를 원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용기의 이송경로 상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용기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하며, 상기 용기를 원 형상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변부,
    상기 가변부에 각각 결합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각각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상기 승강가이드부에 승강부를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상측에 각각 연결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들을 동시에 관통하는 이동가이드부,
    상기 이동부들에 공동으로 체결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충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용기의 실링대상 부위의 이상을 감지 시 해당 용기를 배출하는 불량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량배출부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판캠,
    상기 판캠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판캠의 둘레면과 마주하는 롤러가 축 고정된 회동레버,
    상기 회동레버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판캠의 둘레면과 단순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롤러가 판캠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상기 회동레버가 상기 판캠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레버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에 의해 승강되며, 상승 시 상기 고정수단에 위치한 용기를 상 방향으로 타격하여 배출시키는 타격부를 포함하는 충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에서 배출된 용기들을 수집한 후 진동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진동형 제거부,
    상기 용기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접착식으로 제거하는 접착형 제거부,
    상기 용기의 표면에 묻어 있는 접착성분을 제거하는 접착성분 제거부,
    상기 용기를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용기를 건조하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형 제거부는,
    다수개의 용기를 수납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낙하공이 형성된 수납통,
    상기 수납통을 공중으로 띄우며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띄움부,
    상기 수납통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수납통을 수직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타격바를 포함하는 수직 타격부,
    상기 수납통의 측면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판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타격바를 포함하는 수평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형 제거부는,
    상기 용기에 마련된 뚜껑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수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용기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되며, 용기와 마주하는 면에 접착성분이 도포되어 있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를 용기에 대해 각각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성분 제거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용기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클리너,
    상기 클리너를 용기에 대해 각각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2 실린더,
    상기 클리너가 용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실린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3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통,
    상기 용기가 세척수에 잠기도록 상기 세척통을 상승시키는 제4 실린더,
    상기 세척수에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용기를 수납하는 부가 수납통,
    상기 부가 수납통의 내부에 다수개의 용기를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는 부가 홀더부,
    상기 부가 수납통의 상측에서 제5실린더에 의해 하강되어 부가 수납통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부,
    상기 폐쇄부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부가 수납통의 내부공간에 열기를 공급하는 히팅부,
    상기 부가 홀더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측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히팅부의 온열을 흡수하여 부가 수납통의 내부공간으로 통과하는 열전도매체부,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개구부의 개방정도를 가변하여 열전도매체부에서 통과되는 열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 승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의 천장면에 코일스프링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열전도매체부의 열을 통과하는 다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된 회동부,
    상측이 상기 회동부의 승강홈에 수용되어 코일스프링에 고정되고, 일부분은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팽창력으로 부가 수납통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열전도매체부의 열을 통과하는 다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충진장치.
KR1020200069652A 2020-06-09 2020-06-09 충진장치 KR102167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652A KR102167676B1 (ko) 2020-06-09 2020-06-09 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652A KR102167676B1 (ko) 2020-06-09 2020-06-09 충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676B1 true KR102167676B1 (ko) 2020-10-19

Family

ID=7304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652A KR102167676B1 (ko) 2020-06-09 2020-06-09 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6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701A (ko) *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중일테크 궐련형 전자담배의 히터모듈 자동조립장치
CN117066249A (zh) * 2023-08-11 2023-11-17 江苏弘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处置小型废弃压力容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30B1 (ko) * 2004-02-16 2006-07-12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KR200467969Y1 (ko) 2011-09-30 2013-07-1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파우더 케이스 제조장치
KR200470761Y1 (ko) 2012-11-30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의 반제품박스 자동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30B1 (ko) * 2004-02-16 2006-07-12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KR200467969Y1 (ko) 2011-09-30 2013-07-1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파우더 케이스 제조장치
KR200470761Y1 (ko) 2012-11-30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의 반제품박스 자동공급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701A (ko) *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중일테크 궐련형 전자담배의 히터모듈 자동조립장치
KR102607151B1 (ko) 2021-09-08 2023-11-29 주식회사 중일테크 궐련형 전자담배의 히터모듈 자동조립장치
CN117066249A (zh) * 2023-08-11 2023-11-17 江苏弘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处置小型废弃压力容器装置
CN117066249B (zh) * 2023-08-11 2024-02-02 江苏弘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处置小型废弃压力容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676B1 (ko) 충진장치
JP4409429B2 (ja) カプセル充填封緘装置
KR102167666B1 (ko) 0점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충진장치
CN113321168B (zh) 水果罐头生产用定量装置
KR20130107135A (ko) 채혈관 뚜껑 조립장치
CN112871740B (zh) 一种气体阀门泄露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CN207423469U (zh) 不锈钢管气密性检测装置
JP6954755B2 (ja) カップ状容器の漏れ検出ユニット
KR101855276B1 (ko) 캡핑기
CN105652026B (zh) 试剂检测条的推送装置及具有该装置的全自动检测设备
CN207882102U (zh) 混凝土骨料含水量自动检测系统
KR100452717B1 (ko) 용기 조립장치
CN208795550U (zh) 一种斑马鱼生物试剂取样及清洗装置
CN216051341U (zh) 一种计算机视觉缺陷检测装置
KR102096449B1 (ko)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US3698450A (en) Sterile container filling mechanism
CN109626306A (zh) 一种危化品自动清洗灌装包装机
CN108225971A (zh) 混凝土骨料含水量自动检测系统
CN208584706U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自动分拣打标设备
CN109140981B (zh) 一种软袋直挂式冷热风连续干燥设备
WO2021087796A1 (zh) 一种卡接件自动检测设备
KR102458653B1 (ko) 비닐 팩 자동 포장장치
JP3703614B2 (ja) 内容液の漏洩検査装置
KR100371263B1 (ko) 액즙 자동 포장기
CN217654694U (zh) 工件自动测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