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456B1 -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 장치,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 장치,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456B1
KR100466456B1 KR1019970046691A KR19970046691A KR100466456B1 KR 100466456 B1 KR100466456 B1 KR 100466456B1 KR 1019970046691 A KR1019970046691 A KR 1019970046691A KR 19970046691 A KR19970046691 A KR 19970046691A KR 100466456 B1 KR100466456 B1 KR 10046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presentation
contro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539A (ko
Inventor
가즈토시 스미야
유키 구스미
마사히로 오아시
마사유키 고즈카
요시유키 미야베
가즈오 오카무라
나오야 다카오
도시야 모리
시게아키 와타나베
기요카즈 야마나카
다쓰야 시모지
요시히로 미무라
다카시 가키우치
준이치 히라이
이쿠오 미나카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0573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6645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2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23617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inserting additional data into a data carousel, e.g. inserting software modules into a DVB carous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4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additional data with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e.g. of EPG data or interactive icon with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4349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extracting from data carousels, e.g. extraction of software modules from a DVB carous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1Multi-purpose receivers, e.g. for auxiliar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Electric Clock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 내에 설치한 Time_ Event_ Part에 지정된 일시와 현재 일시를 비교하여 지정된 일시를 경과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실행한다.

Description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본 발명은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에 있어서, 특히 서로 관련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위성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어, 다채널을 이용하여 다수의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위성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의 다채널화는 1개의 대역에 복수 채널을 다중화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다중화는,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규격에 있어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라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ISO/IEC 표준13818-1(MPEG2 시스템)규격서에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디지털 방송 시스템으로서 송신국에서 한방향으로 영상 정보 등을 송신하고, 수신측 단말에서는 이용자가 송신되는 영상 정보의 내용에 따라 스스로 그 영상 정보를 대화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는 별도 출원중인 특허 출원「디지털 방송 시스템, 디지털 방송 장치 및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의 수신 장치」(일본 특허 출원번호: 9-62216)에 기재되어 있다.
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특징은 한방향의 전송 시스템만으로 다채로운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 있다.
이하, 이러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제로서 고려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 장치(101)와 복수의 데이터 수신 장치(121)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송신 장치>
데이터 송신 장치(101)는 서로 하이퍼 링크가 확장된 복수의 콘텐츠의 데이터를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다중하여 반복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송신 데이터 기억부(102)와, 데이터 다중화부(103)와, 다중 정보 기억부(104)와, 시스템 정보표 생성부(105)와, 송신부(10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콘텐츠란, 이용자가 대화적으로 조작하는 정보의 단위를 말한다.
송신 데이터 기억부(102)는 자기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대화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콘텐츠의 데이터와 구조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프리젠테이션 정보 기억부(107)와 네비게이션 정보 기억부(108) 및 구조 정보 기억부(109)를 포함한다. 또, 여기서 대화적 프로그램은 송신 데이터로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포함되는 상태에서는「이벤트」 또는 「프로그램」이라 한다.
프리젠테이션 정보 기억부(107)는 콘텐츠의 구성 요소인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등의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기억하고, 네비게이션 정보 기억부(108)는 별도의 콘텐츠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하이퍼 링크 정보나 화면 전환 등을 위한 스크립트 등의 동작 제어 정보나 표시 화면 상에 메뉴 등을 표시하기 위한 보조 화면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기억하고, 구조 정보 기억부(109)는 화상 데이터와 네비게이션 정보의 대응 관계를 구조 정보표로서 기억한다.
다중 정보 기억부(104)는 송신 데이터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데이터를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다중화하기 위한 식별자나 대역 등의 자원의 할당 정보를 다중 정보표로서 기억한다.
이러한 다중 정보표에는 송신 데이터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이벤트로서 다중할 때 그 이벤트를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에 할당하는 패킷 식별자(PID)의 값이 포함된다.
여기서 컴포넌트는 ISO/IEC 138l8-1(이하, 「MPEG2 시스템 규격」이라 함)에 있어서의 1개의 PID에서 식별되는 스트림(프로그램 엘리먼트)이며, 동화상 컴포넌트, 음성 컴포넌트, 네비게이션 정보를 다중하는 컴포넌트, 후술하는 스트림 대응 정보를 다중하는 컴포넌트 등이 있다.
데이터 다중화부(103)는 CPU와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다중 제어부(110), 스트림 대응 정보표 생성부(111), 식별 정보 부가부(112), 네비게이션 정보표 생성부(113) 및 다중화부(114)를 포함한다.
다중 제어부(110)는 송신부(106)에 기동되고, 우선, 구조 정보 기억부(109)와 다중 정보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구조 정보표와 다중 정보표를 참조하여, 콘텐츠 번호마다 디지털 방송중에서 각 콘텐츠를 한번에 식별하는 식별자를 할당하고, 콘텐츠 식별자 할당표를 작성하고, 다음에 화상 데이터마다「PID」, 「component_tag」, 「stream_id」의 각 값을 할당한 표시 화상 정보 식별자 할당 표를 작성하고, 스트림 대응 정보표 생성부(11l)에 스트림 대응표를 생성하도록 지시하고, 식별자 정보 부가부(112)에 화상 데이터의 프라이비트 영역에 화상 데이터 (비디오 엘리먼트, VE)의 식별자인 VE_id를 부가하도록 지시하여, 네비게이션 정보 표 생성부(113)에 네비게이션 정보표(네비게이션 엘리먼트, NE)를 생성하도록 지시한다.
식별자 정보 부가부(112)는 다중 제어부(110)로부터 식별자 정보의 부가 지시를 받으면, 프리젠테이션 정보 기억부(107)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판독한 화상 데이터 비트 스트림 중의 프라이비트 영역에 화상 데이터 식별자 VE_ id를 기입한다. 또, VE_id는 다중 제어부(110)에서 작성된 표시 화상 정보 식별자할당표를 참조하여 취득한다. VE_id를 기입한 화상 데이터 비트 스트림에 파일명을 붙여 기억 영역(도시 생략)에 기억한다. 모든 화상 데이터에 식별자 정보를 부가하면, 부가 종료를 다중 제어부(110)에 통지한다.
네비게이션 정보표 생성부(113)는 다중 제어부(110)로부터 네비게이션 정보 표의 생성 지시를 받으면, 네비게이션 정보 기억부(108)에 기억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된 네비게이션 정보가 하이퍼 링크 정보를 포함할 때 콘텐츠 번호에 표기된 링크 장소의 정보를 콘텐츠 식별자 할당표를 참조하여, 각 식별자의 표기로 전환하여 네비게이션 정보표를 생성한다. 하이퍼 링크 정보를 포함할 때는 원래의 네비게이션 정보대로, 파일명만을 변경하여 네비게이션 정보표를 생성한다. 생성된 네비게이션 정보표를 기억 영역(도시 생략)에 기억한다. 이하, 이 생성된 네비게이션 정보표를 내용에 착안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라고도 한다.
네비게이션 정보표 생성부(113)는 네비게이션 정보표의 생성을 종료하면 생성 종료를 다중 제어부(110)에 통지한다.
스트림 대응 정보표 생성부(111)는 다중 제어부(110)로부터 스트림 대응표 의 생성 지시를 받으면, 표시 화상 정보 식별자 할당표를 참조하여 각 화상 데이터마다 스트림 대응표를 생성한다. 이 스트림 대응표는 데이터 송신 장치(101)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121)로 송신되는 스트림 중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측에서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하, 이 스트림 대응표를 내용에 착안하여 스트림 대응 정보라고도 한다.
스트림 대응 정보표 생성부(111)는 스트림 대응표의 생성을 종료하면, 생성 종료를 다중 제어부(110)에 통지한다.
다중 제어부(110)는 식별자 정보 부가부(112), 네비게이션 정보표 생성부(113), 스트림 대응 정보표 생성부(111)로부터 각각의 처리를 종료한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반복 단위의 콘텐츠수를 결정한다.
다중화부(114)는 송신 데이터를 MPEC2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다중한다.
시스템 정보표 생성부(105)는 데이터 수신 장치(121)에서 프로그램 선택을 위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사양 정보인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및 PMT(Program Map Table)를 다중 정보 기억부(104) 등을 참조하여 생성한다. 이하, NlT, ElT 등의 시스템 정보표 생성부(105)에서 생성된 표를 시스템 정보라 한다.
시스템 정보표 생성부(105)는 다중 제어부(110)로부터 통지를 받으면 우선 다중 정보 기억부(104)를 참조하여, 송신 데이터 기억부(102)가 기억하는 데이터를 다중하는 이벤트를 데이터 수신 장치(121)가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 NIT, EIT, SDT 및 PAT를 DVB-SI 규격, MPEG2 시스템 규격의 규정에 따라 생성한다.
여기서, NIT는 특정한 네트워크로 식별되는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각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하여 전송로에 관한 물리적인 정보 등을 기록하고 있고, EIT는 특정한 서비스에 포함되는 각 이벤트에 대하여 이벤트명이나 개시 시각, 종료 시각등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고, SDT는 특정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각 서비스에 대하여 서비스명 등의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PAT는 특정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각 프로그램에 대하여 PMT의 PID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다음에, 시스템 정보표 생성부(105)는 다중 정보표를 참조하여 PMT를 생성한다.
PMT는 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를 식별하는 PID와, 각 컴포넌트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각 컴포넌트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는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부(106)는 스케줄러를 갖고, 이벤트의 송신 개시 시각보다도 소정 시각, 예를 들면 5분전이 되면, 다중 제어부(110)를 기동한다. 또한, 이벤트 송신 개시 시각이 되면, 다중화부(1l4)가 출력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시스템 정보표 생성부(105)가 생성한 NIT, PAT, PMT, SDT, EIT 등의 시스템 정보표를 DVB-SI 규격, MPEG2 시스템 규격의 규정에 따라 정해진 PID를 이용하여 정해진 간격으로 반복 다중하고 변조 등의 처리를 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121) 등에 송신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 장치(101)는 각각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 및 네비게이션 정보표를 식별자를 할당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다중하여 반복 송신한다.
네비게이션 정보에는 하이퍼 링크된 콘텐츠의 화상 데이터의 식별자와 네비게이션 정보의 식별자, 메뉴 등을 표시하기 위한 보조 화면 정보와 화면 전환 등을 위한 스크립트가 포함된다. 따라서, 수신 장치(121)는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식별자를 지정하여 임의의 콘텐츠를 인출하여 재생할 수 있고, 한방향의 통신로에서 대화성을 실현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 장치>
데이터 수신 장치(121)는, 데이터 송신 장치(101)로부터 송신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 사용자 조작에 따라 대화적으로 콘텐츠를 인출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수신부(122)와 TS 디코더부(123)와 AV 디코더부(124)와 수신 데이터 기억부(125)와 수신 제어부(126)와 신호 수신부(127)와 재생부(128)와 표시부(129) 및 음성 출력부(130)를 구비한다.
수신부(122)는 수신 제어부(126)에 의해 지정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TS 디코더부(123)에 출력한다.
TS 디코더부(트랜스포트 디코더부)(123)는 수신 제어부(126)에 의해 설정되는 필터 조건을 기억하는 필터 조건 기억부(131)를 갖고, 이 필터 조건에 따라 수신부(122)로부터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지정된 식별자를 갖는 화상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만을 분리하여, AV 디코더부(124)에 출력한다.
또한, MPEG2 규격의 표 데이터로서 다중화되어 있는 스트림 대응표, 네비게이션 정보표, 시스템 정보표를 필터 조건 기억부(131)에 지정된 식별자에 따라 분리하여 식별자에 따라 수신 데이터 기억부(125) 내에 확보된 영역으로 출력한다.
또한 지정된 식별자의 PCR(기준 클록 정보)를 분리하여, AV 디코더부(124)에 출력한다. 또, 필터 조건 기억부(131)에는 복수의 필터 조건을 동시에 기억할 수 있고, TS 디코더부(123)는 복수의 분리 처리를 병행하여 할 수 있다.
AV 디코더부(124)는 클록부(도시 생략)을 갖는다. 이 클록부는 TS 디코더부(123)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PCR의 값에 의해 올바른 기준 시각으로 설정되어,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바르게 동기를 취하면서 복호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시각을 카운트한다.
또한 AV 디코더부(124)는 TS 디코더부(123)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 또는 그 양쪽을 수신하면, 우선 수신 제어부(126)의 지시에 따라, 프라이비트 영역에 기입된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의 식별자를 판독하여 수신 제어부(126)에 통지한다. 다음에, 수신 제어부(126)의 지시에 따라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복호 단위마다 복호하여 클록부에 의해 동기를 취하면서 재생부(128)에 출력하는 동시에 수신 제어부(126)로 복호 완료를 통지한다.
수신 데이터 기억부(125)는 예를 들면 RAM 등으로 구성되고, 스트림 대응 정보표 기억부(132)와 네비게이션 정보표 기억부(133) 및 시스템 정보 기억부(134)를 구비한다.
스트림 대응 정보표 기억부(132)는 TS 디코더부(123)로 분리된 스트림 대응표를 기억하고 있다. 네비게이션 정보표 기억부(133)는 TS 디코더부(123)로 분리된 네비게이션 정보표를 기억하고 있다. 시스템 정보 기억부(134)는 TS 디코더부(123)에서 분리된 NIT, SDT, EIT, PAT, PMT 등의 시스템 정보표를 기억하고 있다.
신호 수신부(127)는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제어부(126)에 통지한다.
재생부(128)는 수신 제어부(126)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AV 디코더부(124)로 복호된 화상 데이터에 수신 제어부(l26)로부터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표에 포함되는 그래픽스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부(129)에 출력하고, AV 디코더부(124)로 복호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부(130)로 출력한다.
표시부(129)는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실현되고, 재생부(128)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음성 출력부(130)는 스피커 등으로 실현되고, 재생부(128)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출력한다.
수신 제어부(126)는 CPU와 이것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수신부(122)를 제어하여 원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시킨다. 또한, 이용자의 조작 신호를 신호 수신부(127)를 통해 수신하면 현재 네비게이션 정보표 기억부(133)에 기억하고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표를 참조하여, 다음에 분리해야 할 네비게이션 정보표의 필터 조건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스트림 대응표의 필터 조건을 TS 디코더부(123)의 필터 조건 기억부(13l)에 설정한다. TS 디코더부(123)로 분리되어, 스트림 대응 정보표 기억부(132)에 기억된 스트림 대응표를 참조하여 화상 데이터의 필터 조건을 필터 조건 기억부(131)에 설정한다.
또한, 수신 제어부(126)는 TS 디코더부(123)에 의해 분리된 화상 데이터가 적절한 화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화상 데이터의 프라이비트 영역에 기입된 화상 데이터 식별자를 참조하여 판단한다. 적절한 화상 데이터일때는 AV 디코더부(124)로 디코드하여 재생부(128)로 출력한다. 적절한 화상 데이터가 아닐때는 필터 조건 기억부(131)의 조건을 변경하여 다시 스트림 대응표의 분리를 지시한다.
또한, TS 디코더부(123)에 의해 분리된 네비게이션 정보표의 보조 화면 정보에 포함되는 그래픽스 데이터를 판독하고, 재생부(128)에 통지하여 화상 데이터에 중첩 표시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신 장치(121)는 특정한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프리젠테이션 정보와 네비게이션 정보를 필요할때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링크 장소의 콘텐츠 등을 적적히 재생할 수 있고, 데이터 송신 장치측으로부터의 한방향의 통신로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대화성이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동작>
이하,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 장치(121)의 콘텐츠 표시의 동작 및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 장치가 표시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통신 판매 프로그램에 관한 화면을 나타낸다. 통신 판매의 메뉴를 나타내는 콘텐츠(210)와 비디오 제품 소개를 나타내는 콘텐츠(220) 및 스테레오제품 소개를 나타내는 콘텐츠(230)를 도시한다. 이들 복수의 콘텐츠(210, 220, 230)는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살표(240, 241, 242, 24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표시는 전환된다.
지금, 표시 화면에 통신 판매의 메뉴를 나타내는 콘텐츠(210)가 표시되어 있을 때 이용자가「비디오」버튼(211)을 선택·결정조작하면, 화살표(24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은 콘텐츠(210)로부터 비디오 제품 소개를 나타내는 콘텐츠(220)의 표시로 전환된다. 다음에, 이용자가「메뉴」버튼(221)을 결정 조작하면, 화살표(24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은 콘텐츠(220)로부터 콘텐츠(210)의 표시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콘텐츠(210)의 표시 화면의「스테레오」버튼(212)을 이용자가 선택·결정조작하면, 화살표(24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은 콘텐츠(210)로부터 콘텐츠(230)의 표시로 전환된다. 또, 이 상태에서 이용자가「메뉴」버튼(231)을 결정 조작하면, 화살표(24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은 콘텐츠(230)로부터 콘텐츠(210)의 표시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이용자의 대화적 조작에 대응하여 표시를 바꾸기 위해 콘텐츠(210, 220, 230)는 버튼(211, 212, 221, 231)을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은 대화적 조작에 의한 표시 전환을 실현하기 위해 데이터 송신 장치(101)에서는 각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도 3은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간략화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송신되는 데이터(201)는 복수의 콘텐츠를 나타내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일정 기간 반복 송신된다. 또 반복 송신되는 것은 이용자가 임의의 시각에 링크장소 지정등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콘텐츠를 표시하고자 할 때 그 해당하는 콘텐츠의 데이터를 취득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와 같이 콘텐츠의 데이터가 반복 송신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프로그램의 도중에서 그 프로그램의 시청을 시작하려고 한 경우라도 필요한 콘텐츠의 데이터를 수시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송신되는 데이터(201)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215, 225, 235)와 각각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 정보(216, 226, 236)로 이루어진다.
각 화상 데이터(215, 225, 235)는 각각 데이터 수신 장치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상술한 각 콘텐츠(210, 220, 230)의 배경 화상으로 되는 것이다.
각 네비게이션 정보(216, 226, 236)는 각 화상 데이터(215, 225, 235)에 중첩 표시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스인, 예를 들면 버튼을 나타내는 비트 맵(Bitmap) 데이터와, 이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동작 처리를 기술한 스크립트(Script)와 콘텐츠의 표시 전환을 하기 위해 링크 장소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하이퍼링크(Hyperlink)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 하이퍼링크의 정보는 링크 장소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화상 등의 데이터의 식별자나 네비게이션 정보의 식별자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콘텐츠(210)는 화상 데이터(215)와 네비게이션 정보(216)로 표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콘텐츠(220)는 화상 데이터(225)와 네비게이션 정보 (226)로 표현되고, 콘텐츠(230)는 화상 데이터(235)와 네비게이션 정보(236)로 표현되어 있다.
도 4는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송신 장치측에서는 데이터(201)를 일정 시각마다 반복 송신하고 있다.
또, 본 도면에서는 화상 데이터, 네비게이션 정보 모두 프레임 구조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디지털화되고, 또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다중화하여, 데이터(201)를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송신한다.
이하, 데이터 송신 장치(101)로부터 다중화되어 송신되는 데이터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다중화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되는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VE(N), 네비게이션 정보표 NE(N), 스트림 대응표 VET(N), PCR, PAT 및 PMT 등의 시스템 정보가 다중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 중의 화살표(202)는 도 4에 도시된 반복 송신되는 데이터(201)에 대응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예는 63개의 콘텐츠가 다중되어 있고, 화상 데이터 VE(0)∼VE(62)에는, PID로서「0×0084」가 주어지고, stream_id로서「O×eO」∼「O×ef」가 순환적으로 주어져 다중되어 있다.
또한, 스트림 대응 정보 VET(N)에는 PID로서 「0×0083」가 주어지고 있고, table_id_extension으로서 화상 데이터 식별자인 VE_id와 동일한 값이 주어지고 있다. 스트림 대응 정보 VET(N)는 화상 데이터 VE(N)마다 l회 다중되어 있다.
또한, 63개의 네비게이션 정보 NE(0)∼NE(62)는 PID로서「0×0082」가 주어지고 있고, table_id_extension으로서 네비게이션 엘리먼트의 식별자인 NE_id의 값이 주어져 다중되어 있다. 또한, PCR, PAT, PMT도 소정의 PID가 주어져 다중되어 있다.
여기서, table_id_extension 및 stream_ id는 PID와 조합함으로써 각각의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이에 따라, 데이터 수신 장치(l21)에서는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이들의 식별자를 필터 조건 기억부(131)에 설정함으로써 송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TS 디코더부(123)로 분리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용자의 조작 등에 따라 하이퍼링크를 이루기 위해 표시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 정보 중의 하이퍼링크의 정보로서,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의 식별자인 VE_id와 네비게이션 정보의 식별자인 NE_id가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정보를 기초로 새롭게 표시해야 할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분리추출하여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순서를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 수신 장치(121)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트랜스폰더(위성 중계기)의 PAT를 취득한다. 또,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이 다른 트랜스폰더인 경우에는 데이터 수신 장치(121)는 NIT를 취득하여 참조함으로써 수신부(122)를 제어하여 수신하는 트랜스폰더를 변경하는 것이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PAT는 PID가 미리 0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데이터 수신 장치(121)는 PlD= 0을 필터 조건 기억부(131)에 설정함으로써 분리 추출할 수 있고, PAT에는 PMT의 PID가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하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PMT의 PID를 취득하여 필터 조건 기억부(13l)에 설정함으로써 PMT를 분리 추출할 수 있다.
PMT에는 컴포넌트에 대한 PID가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수신 장치(121)는 스트림 대응표 VET의 PID를 취득하고, 또 하이퍼 링크의 정보로부터 얻은 VE_id를 table_id_extension과 합쳐서 필터 조건 기억부(131)에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화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VET를 분리 추출할 수 있다.
VET에는 component_tag와 stream_id가 기억되어 있지만, 데이터 수신 장치(121)는 component_tag에 기초하여 PMT를 참조하여 당해 컴포넌트에 대한 PID를 얻어 PID와 stream_id를 필터 조건 기억부(131)에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장치(121)는 네비게이션 정보가 다중화되어 있는 컴포넌트의 PID를, PMT를 참조함으로써 얻어, 하이퍼링크의 정보로부터 얻은 NE_id를 tab1e_id_extension과 합쳐서 필터 조건 기억부(131)에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분리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데이터 수신 장치(121)는 새로운 콘텐츠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와 네비게이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간략화하여 도시한 네비게이션 정보(216)를 예로 들어 네비게이션 정보의 데이터 구조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네비게이션 정보(216)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216)는 Bytecodc_Part(301)와 Handler_Part(302)와 Gra- phics_Property_Part(303)와 Bitmap_Information_Part(304)와 Hyperlink_ Infor- mation_Part(305)를 포함한다.
Bytecode_Part(301)는 도 3에서 스크립트로 간략화하여 나타낸 부분에 상당하고, 소위 스크립트의 일종인 바이트 코드가 기술되는 부분이다. 바이트 코드는 조건 분기, 정수 연산, 정수 변수로의 액세스등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하는 명령 세트에 덧붙여, 화상, 음성 데이터의 제어에 관한 각종 명령 세트 등을 구비한다.
도 6의 예에서는 0번의 바이트 코드는 PushL0, GotoPage로 기술된다.
PushL0란, 0이라는 값을 스태크에 저장하는 의미의 명령이고, GotoPage란 스태크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나타내는 링크 번호의 콘텐츠에 표시를 전환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명령이다. 여기서, 링크 번호란, Hyper1ink_Information_Part에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전환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따라서, O번째의 바이트 코드는 링크 번호 0의 링크 장소인 콘텐츠로 표시를 바꾸는 동작을 기술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1번째의 바이트 코드는 링크 번호 1의 링크 장소인 콘텐츠로 표시를 바꾸는 동작을 기술한 것이다.
Handler_Part(302)는, 핸들러 번호와 바이트 코드의 번호가 대응됨을 기술한 부분이다. 도 6의 예에서는 핸들러 번호 0, 1에 바이트 코드 번호 0, 1이 각각 대응되어 있다. 또 실제는 핸들러에 대하여 바이트 코드만이 대응하는 것은 아니고, 변수 영역 등의 핸들러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정의하는 정보도 해당한다.
Bitmap_Information_Part(304)는 그래픽스 번호에 대응하여 버튼에 표시하는 비트맵의 내용을 기술하는 부분이다. 도 6의 예에서는 0번의 그래픽스에는「비디오」가 묘사된 비트맵, 1번의 그래픽스에는「스테레오」가 묘사된 비트맵이 대응되어 있다.
Graphics_Property_Part(303)는 표시 화면에 화상 데이터와 중첩 표시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스를 구성하는 정보이고, 그래픽스를 식별하기 위한 그래픽스 번호와, 그래픽스의 타입과 표시해야 할 좌표와, 그래픽스에 대응한 핸들러의 번호와, 콘텐츠 표시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포함한다. 도 6의 예에서는 그래픽스의 타입은 버튼이고, 그래픽스 번호는 0, 1의 값이고 상술한 Bitmap_ Information_Part(304)에 포함되는 그래픽스의 번호와 대응한다. 이하, 그래픽스 번호가 n인 버튼을「버튼 n」또는「n번의 버튼」이라 한다. 버튼 O, 버튼 1의 각각을 표시하는 비디오 x좌표, y좌표의 조는, (20, 20), (20, 60)이다. 또한, 0번과 1번의 버튼을 선택 확정되었을 때 기동하는 핸들러의 번호는 각각 0, 1이다. 또한, 콘텐츠가 표시된 초기 상태에서의 0번과 l번 버튼의 초기 상태는 볼 수 있다.
Hyperlink_ nformation_Part(305)는 링크 장소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소재의 ID가 기술되는 부분이다. 해당 네비게이션 정보를 요소로 하는 콘텐츠로부터의 전환 장소의 모든 콘텐츠를 나타내는 정보로서의 소재의 ID가 기술된다. 전환 장소로 되는 콘텐츠마다 한묶음으로서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링크 번호가 부가된다. 도 6의 예에서는 O번의 링크 장소로서 NE_id=1, VE_id=1로 기술되어 있고, NE의 ID가 1번인 것과, VE의 ID가 1번인 것의 정보에 따라 구성되는 1개의 콘텐츠가 링크 장소인 나타낸다. 또, 1번의 링크 장소는 NE의 ID가 2번의 것과 비디오 엘리먼트의 ID가 2번의 것의 정보에 따라 구성되는 콘텐츠이다.
또, 도 6의 상부에 NE_id가 0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여기에 설명한 네비게이션 정보 0번의 ID를 갖는 네비게이션 엘리먼트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데이터 수신 장치(121)는 수신 제어부(126)에 의해 이들의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콘텐츠(210)의「비디오」라고 묘사된 버튼 및「스테레오」라고 묘사된 버튼을 표시하고, 이용자가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 별도의 콘텐츠로의 전환 제어를 하게 된다.
요컨대, 콘텐츠의 표시에 있어서는, 수신 제어부(126)는 Graphics_ Property_Part를 참조하고, 그래픽스 번호가 O번인 그래픽스부터 차례로 소정의 좌표에 소정의 표시 상태로 표시하여, 이용자에 의한 버튼의 선택 확정 조작에 따라 Graphics_Property_Part에 기술된 핸들러 번호에 해당하는 핸들러 처리를 실행한다. 핸들러 처리는 Hand1er_Part를 참조하여 핸들러 번호에 대응시켜지고 Bytecodc_Part에 기술된 바이트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행한다. 또, 바이트 코드의 실행에 있어서는 수신 제어부(126) 중의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도시 생략)에 의해서 1명령씩 해석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인 화상 데이터나 네비게이션 정보 등이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다중화되어 반복 송신되고, 이것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서는 이용자의 선택 조작에 대응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신되는 데이터로부터 분리 추출함으로써 콘텐츠 표시를 할 수 있다. 즉, 한방향의 방송 시스템에 의해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방송에서 같은 내용의 프로그램을 후일 재방송하는 경우가 있지만, 에너지 절감화를 도모하기 위해 한번 제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각종 데이터를 모조리 그대로 재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이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은, 예를 들면「1996년 9월 10일까지는 캠페인 기간중」등으로 그려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콘텐츠를 방송하는 경우에, 1996년 9월 10일까지 방송하는 경우는 그대로 표시할 수 있지만, l996년 9월 11일 이후에 재방송할 경우에는 그대로 표시하는 것은 부적절하게 되는 식으로, 재방송시에는 표시해서는 안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고, 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재방송시에 해당 데이터로의 링크를 금지하기 위한 방송 일시에 따라 링크 장소를 제어하는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실제 방송에 있어서는 시간마다 다른 복수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것이 통상적이고, 이 경우에 각 프로그램 사이에 링크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방송 시간의 차이에 의한 링크의 동적인 정합을 도모하기 위한 요구가 있다. 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링크 장소가 되는 프로그램의 종료 일시에 맞추어 링크 장소를 제어하는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 내용을 방송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이용자의 조작 등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 표시할 내용을 변경하거나, 이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한하는 기구도 필요하게 된다.
즉,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시간적 요소를 활성화시킨 프로그램의 제어 기구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프로그램의 제작자측은 효율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할 수 있고, 방송의 수신자는 인터랙티브성이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서비스의 필요성을 만족하기 위해 상기 관련 기술에 있어서, 이들의 시간적 요소를 활성화한 프로그램 제어를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간적 요소를 포함한 프로그램의 제어 기구를 실현하기 위한 송신 장치측인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표시, 재생하는 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시간적 요소를 포함한 프로그램의 제어 기구를 실현하기 위한 송신 장치측인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간적 요소를 포함한 프로그램의 제어 기구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經時的)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에 관한 제어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어에 이용되는 시간 정보와 현재의 시간에 관한 정보의 비교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실행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조건으로서 데이터의 제시를 실행하는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반복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이용자가 임의의 시간에 링크 장소의 지정 등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콘텐츠를 표시하고자 할 때에도 그 해당하는 콘텐츠에 대한 제어에 이용되는 시간 정보를 신속하게 취득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이용자에 의한 대화적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수신 수단은 또 상기 경시적 정보를 송신된 데이터로부터 분리 추출하고, 상기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경시적 정보를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경시적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계시(計時)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시하는 등의 동작 타이밍이 프로그램의 제작원이 예정한 것과 같은 타이밍으로 된다.
또,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은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의 기준 시각의 차인 시차값을 기억하고,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은 상기 시차값을 참조하여 시차를 보정하여 상기 비교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일시와 현재 일시의 기준 시각에 시차가 있는 경우라도 프로그램의 제작원이 예정한 것과 거의 같은 타이밍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 등의 동작을 실행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수신 수단은 또 상기 시차값과 상기 경시적 정보를 송신된 데이터로부터 분리 추출하고, 상기 시차값을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며, 상기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경시적 정보를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시차가 있는 경우라도 프로그램의 제작원이 예정한 것과 완전히 같은 타이밍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 등의 동작을 실행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과 상기 명령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에서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동작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정보 비교 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 정보 비교 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제시 제어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동작을 기술한 명령열마다 시간에 의한 실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명령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시간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에 관한 동작 실행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고 당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에 관한 제어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제시 제어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단위에서의 시간에 의한 제시 제어를 행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각각의 콘텐츠에 대응하고 당해 콘텐츠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콘텐츠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과, 상기 링크 실행 수단에 의한 콘텐츠의 제시에 있어서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시에 관한 제어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 정보 비교 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 정보 비교 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제시를 제어하는 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콘텐츠 단위에서의 시간에 의한 제시 제어를 행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당해 명령의 실해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명령 및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명령 실행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제시 제어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소정의 시간에 자동적으로 제시 제어를 행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또한 콘텐츠와 관련되어 있고, 상기 제시 제어 수단은 제시 제어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제시되어 있을 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특정한 콘텐츠가 현재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 등의 특정한 동작을 실행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일시를 나타내는 제어용 일시이며, 상기 경시적 정보는 현재 일시이며,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은 제어용 일시가 현재 일시 이전을 나타내는 경우에 제어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특정 일시를 경과한 경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시하는 등의 동작을 실행하고, 특정한 일시를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콘텐츠의 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제어용 경과 시간이며, 상기 경시적 정보는 콘텐츠의 표시로부터의 현재의 경과 시간이며,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은 상기 현재의 경과 시간이 제어용 경과 시간 이상을 나타내는 경우에 제어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콘텐츠의 제시로부터 일시 시간 경과했을 때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행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당해 명령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이고 1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관련되어 있는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명령과,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와, 상기 1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대상 식별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명령 실행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가 실행 가능일 경우에 상기 대상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1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제시되어 있다면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제시 제어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특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현재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특정의 동작을 실행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당해 명령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이용자의 조작 지시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명령 및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동작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동작 지시 수신 수단이 동작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명령 실행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이용자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시간적 요인을 판단하여 당해 시간에 이루기 위해 지정되어 있는 특정의 동작을 실행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 장치가 실현된다.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한방향의 송신 시스템으로 대화적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있어서, 당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로 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를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반복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이용자가 임의의 시간에 링크 장소의 지정 등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콘텐츠를 표시하고자 할 때에도 그 해당하는 콘텐츠에 대한 제어에 이용하는 시간 정보를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신속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은 또한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또 상기 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이용자에 의한 대화적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는 또한 현재 일시를 계시하는 계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수단은 또 상기 현재 일시를 나타내는 경시적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의해 정확한 시각 정보에 의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 타이밍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도록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은 현재 일시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인 제어용 일시의 기준 시각의 차인 시차값을 기억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시차값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일시와 현재 일시의 기준 시각에 시차가 있는 경우라도 정확한 타이밍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과 상기 명령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명령과,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상기 구성에 의해 시간에 따라 특정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명령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시간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에 관한 동작 실행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고 당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단위에서의 시간에 의한 제시 제어를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각각의 콘텐츠에 대응하고 당해 콘텐츠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 및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콘텐츠 단위에서의 시간에 의한 제시 제어를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당해 명령의 실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명령 및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소정의 시간에 자동적으로 제시 제어를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일시를 나타내는 제어용 일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 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일시에 따라 실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정한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소정의 콘텐츠의 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제어용 경과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소정의 콘텐츠의 제시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했을 때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행할 수 있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당해 명령의 실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이고 1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명령과,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특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현재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특정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서 당해 명령의 실행 요구가 이루어졌을 때 실행을 억제하는지의 여부의 판단 기준으로 되는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명령과,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이용자가 조작했을 때, 그 시간에 따라 특정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실현된다.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콘텐츠의 상호 관계를 표시 화면에 표현하고, 콘텐츠의 관계를 제어하기 위한 일시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편집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에 있어서, 제 1 콘텐츠로부터 제 2 콘텐츠로의 제시 변경의 경로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와 당해 링크 정보의 유효 기간에 관한 유효 기간 정보의 조를 복수개와, 콘텐츠의 표시 및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콘텐츠 제어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일시 지정을 수신하는 일시 지정 수신 수단과, 상기 유효 기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일시에서 유효한 링크 정보에 착안함으로써 당해 일시에서의 상기 콘텐츠의 상관 관계를 표시 화면에 표현하는 콘텐츠 상관 관계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의 이용자가 콘텐츠 사이의 연결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또 이용자가 지정한 일시에서 유효한 콘텐츠 사이의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는 또한,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콘텐츠의 지정을 수신하는 콘텐츠 지정 수신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로의 제시 변경의 경로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에 대하여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일시에는 무효가 되도록 당해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유효 기간 정보를 갱신하는 링크 정보 갱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의 이용자가 지정한 일시에서 이용자가 지정한 콘텐츠로의 다른 콘텐츠로부터의 연결을 절단함으로써 당해 일시 이후에는 이용자가 지정한 콘텐츠가 제시되지 않는 제어용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가 실현된다.
또, 상기 링크 정보 및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디지털 방송의 송신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제시를 행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인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특정 일시에 특정 동작을 시키기 위한 제어용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가 실현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 >
제 1 실시예에서는 특정 일시에 특정한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방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일시에 특정한 동작을 실행하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디지털 방송의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당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에서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대화적으로 콘텐츠를 인출하여 재생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콘텐츠란, 이용자가 대화적으로 조작하는 정보의 단위를 말한다. 각 콘텐츠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등의 프리젠테이션 정보와, 각종 화상 데이터에 중복하여 표시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스를 구성하는 버튼 등의 비트맵(Bitmap)데이터와 이용자의 조작에 대한 동작 처리를 기술한 스크립트(Script)정보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콘텐츠의 표시 전환을 할 수 있는 링크 장소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하이퍼링크(Hyper1ink)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가 다중화된 송신 데이터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송신 장치로부터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규격으로 정해진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송신된다.
또, 본 실시예 l에서의 데이터 송신 장치는 일반적인 위성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같이, 1개의 위성(네트워크)으로부터, l 이상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각각 별도의 대역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송신하고, 각 방송 프로그램은 어느 하나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다중되어 있다.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의 구성>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는 수신부(1010)와 TS 디코더부(1020)와 AV 디코더부(1030)와 수신 데이터 기억부(1040)와 수신 제어부(1050)와 재생부(1060)와 표시부(1070)와 음성 출력부(1080) 및 신호 수신부(1100)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1010)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TS 디코더부(l020)로 출력한다. 또, 수신해야 할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지정은 수신 제어부(1050)에 의해 식별자를 이용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TS 디코더부(l020)는 수신 제어부(1050)에 의해 설정되는 필터 조건을 기억하는 필터 조건 기억부(1021)를 갖고, 이 필터 조건에 따라 수신부(1010)로부터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수신 제어부(1050)의 식별자를 이용한 지시에 따라 화상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만을 분리 추출하여, AV 디코더부(1030)로 출력한다. 또한 수신 제어부(1050)로부터의 식별자를 이용한 지시에 따른 표 데이터를 분리 추출하여 수신 데이터 기억부(1040)로 출력한다. 또한 PCR(기준 클록 정보)를 분리 추출하여, AV 디코더부(1030)로 출력한다.
필터 조건 기억부(1021)에는 복수의 필터 조건을 동시에 기억할 수 있고, TS 디코더부(1020)는 상기 필터 조건에 따른 복수의 분리 처리를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다. 필터 조건이란,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네비게이션 정보, PCR 그 밖의 제어 정보를 분리 추출하기 위한 스트림 ID 및 표 ID나 추출한 데이터의 출력 장소등의 지시 정보나 분리 추출을 시작할 것인지 정지할 것인지의 제어 정보를 말한다.
AV 디코더부(l030)는 클록부(1031) 및 내부 버퍼를 갖고, TS 디코더부(1020)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그 양쪽을 수신하면 내부 버퍼에 도입되고, 우선 수신 제어부(1050)의 지시에 따라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부호 단위마다 복호하여 클록부(1031)를 이용하여 동기를 취하면서 재생부(1060)로 출력한다.
클록부(1031)는 TS 디코더부(1020)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PCR의 값에 의해 정확한 기준 시각으로 설정되어,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정확하게 동기를 취하면서 복호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시각을 카운트한다.
수신데이터 기억부(1040)는, 예를 들면 RAM 등으로 구성되고, 스트림 대응 정보 기억부(104l)와 네비게이션 정보 기억부(1042)와 시스템 정보 기억부(1043)와 시각 정보 기억부(1044)를 구비한다. 또, 스트림 대응 정보 기억부(1041)는 관련 기술의 설명에서 나타낸 스트림 대응 정보표 기억부(132)와, 네비게이션 정보 기억부(1042)는 네비게이션 정보표 기억부(133)와, 시스템 정보 기억부(1043)는 시스템 정보 기억부(134)와 각각 같다.
스트림 대응 정보 기억부(1041)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화상이나 음성에 관한 스트림 중에서의 다중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이고, 여기에는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의 한 단위인 비디오 엘리먼트(VE)의 식별자인 VE_id와, 스트림 중에서의 VE의 다중 위치와의 관계를 기술한 정보인 스트림 대응 정보 VET 등이 기억된다. 따라서, VE_id에 의해 표시해야 할 화상 데이터는 특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네비게이션 정보 기억부(1042)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시스템 정보 기억부(1043)는 PAT, PMT 등의 시스템 정보를, 시각 정보 기억부는 TDT 및 TOT를 각각 기억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PAT(Program Association Table)는 MPEG2 시스템 규격으로 정해진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정보이고, 각 방송 프로그램의 PMT를 분리 추출하기 위한 식별자인 PID를 포함하고, PAT 자체는 PID가 0으로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PID가 0이라는 필터 조건을 필터 조건 기억부(1021)에 설정함으로써 PAT를 송신된 데이터로부터 분리 추출하여 시스템 정보 기억부(1043)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PMT(Program Map Table)는 1개의 방송 프로그램 단위로 방송 프로그램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서 MPEG2 시스템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며, 이 정보에는 PCR이나 화상 데이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각각 분리 추출하기 위한 식별자인 PID 정보나, 이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되었을 때 가장 최초로 표시하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나 네비게이션 정보의 식별자의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의 이용자가 1개의 프로그램을 선택한 경우에는 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PMT의 PID가 PAT를 참조함으로써 얻어지기 때문에 이 PID를 필터 조건 기억부(1021)에 설정함으로써 필요한 PMT를 취득하여 시스템 정보 기억부(1043)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TDT(Time and Data Table)는 현재 일시를 단일 표준 시각으로 나타내는 정보이고, TOT(Time Offset Table)는 각국가별 시차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TDT 및 TOT에 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기로 한다.
신호 수신부(ll00)는 이용자의 리모트 컨트롤 조작 등에 의해 보내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제어부(l050)에 통지한다.
재생부(1060)는 수신 제어부(105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AV 디코더부(1030)로 복호된 화상 데이터에 수신 제어부(1050)로부터 출력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그래픽스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부(1070)에 출력하고, AV 디코더부(1030)에서 복호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부(1080)로 출력한다.
표시부(1070)는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실현되고, 재생부(1060)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화상을 표시한다.
음성출력부(1080)는 스피커 등으로 실현되고, 재생부(106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출력한다.
수신 제어부(1050)는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1051)를 갖고, 수신부(1010)와 TS 디코더부(1020)와 AV 디코더부(1030) 및 재생부(1060)를 제어하여 원하는 트랜스 포트 스트림을 수신시키거나, 원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필터 조건 기억부(1021)를 갱신하거나, 화상의 표시나 음성의 재생을 시킨다. 또한, 이용자의 조작에 대응한 각종 동작을 실현한다.
이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동작을 하기 위해 수신 제어부(1050)는 네비게이션 정보 기억부(1042)에 기억하고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참조하여, 화상에 중첩 표시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스를 재생부(1060)에 출력하고, 또한 이용자의 버튼 조작에 해당하는 핸들러 처리를 한다. 버튼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스에 의해서 표시면에 묘사되는 것이며 네비게이션 정보 중의 비트맵 정보 등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여기서 핸들러 처리란, 각종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동작 처리이고, 네비게이션 정보 중에 기술된 스크립트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1051)는 네비게이션 정보 중에 기술된 스크립트를 차례로 해석하여 실행한다.
<표시 화면과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가 콘텐츠를 표시한 화면 및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도 8 , 도 9 ,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가 표시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관련 기술의 설명에 이용한 도 2에 대응하는 것이며, 통신 판매 프로그램에 관한 화면을 나타낸다. 통신 판매의 메뉴를 나타내는 콘텐츠(2100)와 비디오 제품 소개를 나타내는 콘텐츠(2200) 및 스테레오 제품 소개를 나타내는 콘텐츠(2300)를 도시한다. 이들 복수의 콘텐츠(2100, 2200, 2300)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화살표(2400, 2410, 2420, 243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표시는 전환된다. 도 2와의 상위점인 콘텐츠(2130)는 콘텐츠(2100)와 동일한 콘테츠이지만 일시가 경과한 것에 의해 표시 내용이 변화한 것이다.
지금, 표시 화면에 통신 판매의 메뉴를 나타내는 콘텐츠(2100)가 표시되어 있을 때 이용자가「비디오」 버튼(2110)을 선택·결정 조작하면, 화살표(240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은 콘텐츠(2100)로부터 비디오 제품 소개를 나타내는 콘텐츠(2200)의 표시로 전환된다. 다음에, 이용자가「메뉴」버튼(2210)을 결정조작하면, 화살표(241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은 콘텐츠(2200)로부터 콘텐츠(2100)의 표시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콘텐츠(2100)의 표시 화면의「스테레오」버튼(2120)을 이용자가 선택·결정 조작하면, 화살표(243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은 콘텐츠(2100)로부터 콘텐츠(2300)의 표시로 전환된다. 또, 이 상태에서 이용자가 「메뉴」버튼(2310)을 결정 조작하면, 화살표(242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은 콘텐츠(2300)로부터 콘텐츠(2100)의 표시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이용자의 대화적 조작에 대응하여 표시를 전환하기 위해 콘텐츠(2100, 2200, 2300)는 버튼(2110, 2120, 2210, 2310)을 갖고 있다.
또한, 일시가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에 이르면 콘텐츠(21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2100)의 표시는 변화하여 「접수는 마감되었습니다」라고 그려진 버튼(213l)을 표시한 것으로 되지만, 이 버튼(213l)도 콘텐츠(2100)에 미리 포함된 데이터에 의해서 표시되는 것이다.
<데이터 송신 장치>
이상과 같은 대화적 조작에 의한 표시 전환을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의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송신 장치로부터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또, 제 1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송신 장치는 전술한 관련 기술의 설명에서 나타낸 데이터 송신 장치(101)와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다(도 1 참조). 단, 송신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련 기술의 설명에서의 네비게이션 정보와는 달리 시각적 요소에 의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된다.
도 9는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간략화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9는 관련 기술의 설명에 이용한 도 3에 해당하는 것이며, 송신되는 데이터(2010)는 도 3에 도시한 데이터(201)에 대응하고, 화상 데이터(2150, 2250, 2350)는 도 3에 도시한 데이터(215, 225, 235)에 대응하며, 또 네비게이션 정보 (2160, 2260, 2360)는 도 3에 도시한 데이터(216, 226, 236)에 대응한다.
각 화상 데이터(2150, 2250, 2350)는 각각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상술한 각 콘텐츠(2100, 2200, 2300)의 배경 화상으로 되는 것이다.
단, 도 3과 달리 각 네비게이션 정보에는 Time_Event라는 일시에 의한 제어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또, 도 3과 달리 도 9에 추가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정보 (2160) 중의「접수는 마감하였습니다」라고 그려진 비트맵은 초기 상태에서는 비표시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콘텐츠(2100)는 화상 데이터(2150)와 네비게이션 정보(2160)로 표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콘텐츠(2200)는 화상 데이터(2250)와 네비게이션 정보(2260)로 표현되고, 콘텐츠(2300)는 화상 데이터(2350)와 네비게이션 정보 (2360)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는 데이터(2010)를 일정 시각마다 반복 송신하고 있고, 이 송신 형태는 관련 기술의 설명인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고, 도 4의 송신 데이터, 화상 데이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각각 도 9에 도시한 내용으로 치환한 것으로 된다.
이하,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다중화되어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다중화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 에 대응하는 것이며, 송신되는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VE(N), 네비게이션 정보 NE(N), 스트림 대응 정보 VET(N), PCR, PAT 및 PMT 등의 시스템 정보가 다중되어 있다. 또, 시스템 정보에는 소정의 PID가 부여된 TDT 및 TOT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에서는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TDT 및 TOT에 대하여 정해진 PID를 필터 조건 기억부(1021)에 설정함으로써 송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TDT 및 TOT를 TS 디코더부(1020)에 의해서 분리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네비게이션 정보의 상세 설명>
이하, 도 9에 간략화하여 도시한 네비게이션 정보에 대하여 도 11∼도 13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네비게이션 정보(21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2160)는 Time_Event_Part(2161)와 Bytecode_Part(2162)와 Handler_Part(2163)와 Graphics_Property_Part(2164)와 Bitmap_lnformation_ Part(2165)와 Hyperlink_Information_Part(2166)를 포함한다.
이 도 11은 관련 기술의 설명에 이용한 도 5에 대응하는 것이며, 관련 기술에 대하여 본 발명의 특징으로 되는 Time_Event_Part(2161)가 부가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Time_Event_Part(2161)는 도 9에서 Time_Event로 나타낸 부분에 상당하며, 지정 일시에 특정한 핸들러를 기동하기 위한 기술이 이루어지는 부분이고, 도 11의 예에서는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에 2번의 핸들러가 기동되는 것으로 된다. 또, 1개의 핸들러에 대하여 기동 일시는 복수개 기술해도 된다. 또한, 일시는 서력, 월, 일, 시, 분, 초로 기술한다.
Bytecode_Part(2162)는 도 9에서 스크립트로 나타낸 부분에 상당하며, 소위 스크립트의 일종인 바이트 코드가 기술되는 부분이다. 바이트 코드는 조건 분기, 정수 연산, 정수 변수로의 액세스 등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하는 명령 세트에 덧붙여, 화상, 음성 데이터의 제어에 관한 각종 명령 세트 등을 구비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0번의 바이트 코드는 PushL0, GotoPage로 기술되어 있다.
PushL0이란 0이라는 값을 스태크에 저장하는 의미의 명령이고, GotoPage 란 스태크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나타내는 링크 번호의 콘텐츠로 표시를 전환하는취지를 나타내는 명령이다. 여기서, 링크 번호란, Hyperlink_Information_Part에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전환 대상으로 되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또한, 2번의 바이트 코드에는 SetGraphicVisibility라는 기술이 있지만, 이것은 스태크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1인지 0인지에 따라 가시(可視)인지 불가시(不可視)인지를 전환하는 명령이고, 가시·불가시를 정하는 값보다 앞의 스태크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가시·불가시의 전환 대상으로 되는 버튼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O번째의 바이트 코드는 링크 번호 O의 링크 장소인 콘텐츠로 표시를 전환하는 동작을, 1번째의 바이트 코드는 링크 번호 1의 링크 장소인 콘텐츠로 표시를 전환하는 동작을, 2번째의 바이트 코드는 그래픽스 번호 2의 버튼을 가시로 하고, 그래픽스 번호 0의 버튼과 그래픽스 번호 1의 버튼을 불가시로 하는 동작을 각각 기술한 것이다. 또, 그래픽스 번호에서는 후술의 Graphics_Property_Part에 기술되어 있다.
Handler_Part(2163)는 핸들러 번호와 바이트 코드 번호의 대응을 기술한 부분이다. 도 11의 예에서는, 핸들러 번호 0, l, 2에 바이트 코드 번호 0, 1, 2가 각각 대응되어 있다. 또 실제는 핸들러에 대하여 바이트 코드만이 해당하는 것은 아니고, 변수 영역등의 핸들러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정의하는 정보도 대응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는다.
Bitmap_Information_Part(2165)는 그래픽스 번호에 대응하여 버튼에 표시하는 비트맵의 내용을 기술하는 부분이다. 도 11의 예에서는 0번의 그래픽스에는 「비디오」가 그려진 비트맵, 1번의 그래픽스에는 「스테레오」가 그려진 비트맵, 2번의 그래픽스에는 「접수는 마감되었습니다」가 그려진 비트맵이 대응되어 있다.
Graphics_Property-Part(2164)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스를 구성하는 정보이고, 그래픽스를 식별하기 위한 그래픽스 번호와, 그래픽스의 타입과 표시해야 할 좌표와, 그래픽스에 대응한 핸들러 번호 및 콘텐츠 표시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포함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그래픽스의 타입은 버튼이고, 그래픽스 번호는 0, 1, 2의 값이며 상술한 Bitmap_Information_Part에 포함되는 그래픽스의 번호와 대응한다. 버튼 O, 버튼 1, 버튼 2의 각각을 표시하는 x좌표, y좌표의 조는 (20, 20), (20, 60), (0, 20)이다. 또, 0번과 1번의 버튼을 선택 확정되었을 때 기동하는 핸들러의 번호는 각각 0, 1이고, 2번의 버튼에 대응된 핸들러는 없다. 콘텐츠가 표시된 초기 상태에서의 0번과 1번 버튼의 초기 상태는 가시이고, 2번 버튼의 초기 상태는 불가시이다.
Hyperlink_Information_Part(2166)는 링크 장소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소재의 ID가 기술되는 부분이다. 해당 네비게이션 정보를 요소로 하는 콘텐츠로부터의 전환 장소의 모든 콘텐츠를 나타내는 정보로서의 소재의 ID가 기술된다. 전환 장소로 되는 콘텐츠마다 한덩어리로서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링크 번호가 부가된다. 도 11의 예에서는 0번의 링크 장소로서 NE_id=1, VE_id=1로 기술되어 있고, NE의 ID가 1번인 것과, VE의 ID가 1번인 것의 정보에 따라 구성되는 1개의 콘텐츠가 링크 장소인 것을 나타낸다. 또, 1번의 링크 장소는 NE의 ID가 2번인 것과 비디오 엘리먼트의 ID가 2번인 것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콘텐츠이다.
또, 도 11의 상부에 NE_id가 0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여기에 설명한 네비게이션 정보는 0번의 ID를 갖는 네비게이션 엘리먼트인 것을 의미한다.
도 12는 네비게이션 정보(22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2260)는 NE의 ID가 1번이고, 데이터 구조는 상술한 네비게이션 정보(2160)와 마찬가지다. 이하, 도 12의 예에 기초하여 구체적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Time_Event_Part(2261)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Bytecode_Part(2262)에는, 0번의 바이트 코드로서 PushL0, GotoPage가 기술되어 있고, 0번의 링크 장소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명령열로 된다.
Handler_Part(2263)로서는, 핸들러 번호 0에 바이트 코드 번호 0이 대응되어있다.
Bitmap_Information_Part(2265)에서는 0번에「메뉴」가 그려진 비트맵이 할당되어 있다.
Graphics_Property_Part(2264)의 기술 내용은 그래픽스의 타입은 버튼이고, 그래픽스 번호는 O이다. 또한, 버튼 0을 표시하는 x좌표, y좌표의 조는 (20, 60)이다. 또한, 0번의 버튼이 선택 확정되었을때 기동하는 핸들러의 번호는 0이고, 콘텐츠가 표시된 초기 상태에서의 0번 버튼의 초기 상태는 가시이다.
Hyperlink_Information_Part(2266)에는, 0번의 링크 장소로서 NE_id=0, VE_ id=0으로 기술되어 있고, NE의 ID가 0번인 것과, VE의 ID가 0번인 것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1개의 콘텐츠가 링크 장소인 것을 나타낸다.
도 13은 네비게이션 정보(23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2360)는 NE의 ID가 2번이고, 데이터 구조는 상술한 네비게이션 정보(2160)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도 13의 예에 기초하여 구체적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Time_Event_Part(2361)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Bytecode_Part(2362)에는 0번의 바이트 코드로서 PushL0, GotoPage가 기술되어 있고, 0번의 링크 장소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명령열로 된다.
Handler_Part(2363)에서는 핸들러 번호 0에 바이트 코드 번호 O이 대응되어 있다.
Bitmap_lnformation_Part(2365)에서는, O번에「메뉴」가 그려진 비트맵이 할당되어 있다.
Graphics_Property_Part(2364)의 기술 내용은 그래픽스의 타입은 버튼이고, 그래픽스 번호는 0이다. 또한, 버튼 0을 표시하는 x좌표, y좌표의 조는 (20, 60)이다. 또한, 0번의 버튼이 선택 확정되었을 때에 기동하는 핸들러의 번호는 O이고, 콘텐츠가 표시된 초기 상태에서의 0번 버튼의 초기 상태는 가시이다.
Hyperlink_Information_Part(2366)에는, 0번의 링크 장소로서 NE_id=0, VE_ id=0으로 기술되어 있고, NE의 ID가 0번인 것과, VE의 ID가 0번인 것의 정보에 따라서 구성되는 1개의 콘텐츠가 링크 장소인 것을 나타낸다.
도 13은 네비게이션 정보(23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2360)는 NE의 ID가 2번이며, 데이터 구조는 상술한 네비게이션 정보(2160)와 같다. 이하, 도 13의 예에 따라 구체적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Time_Event_Part(2361)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Bytecode_Part(2362)에는 0번의 바이트 코드로서 PushL0, GotoPage가 기술되어 있고, 0번의 링크 장소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명령열이 된다.
Handler_Part(2363)에서는 핸들러 번호 0에 바이트 코드 번호 0이 대응되어 있다.
Bitmap_Information_Part(2365)에서는 0번에 「메뉴」가 묘사된 비트맵이 할당되어 있다.
Graphics_Property_Part(2364)의 기술 내용은 그래픽스의 타입은 버튼이며, 그래픽스 번호는 0이다. 또, 버튼을 표시하는 x좌표, y좌표의 세트는 (20, 60)이다. 또, 0번의 버튼이 선택 확정되었을때에 기동하는 핸들러의 번호는 0이며, 콘텐츠가 표시된 초기 상태에서의 0번의 버튼의 초기 상태는 가시이다.
Hyperlink_Information_Part(2366)에는 0번의 링크 장소로서 NE_id=0, VE_id=0으로 기술되어 있고, NE의 ID가 0번인 것과, VE의 ID가 0번이라는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콘텐츠가 링크 장소인 것을 나타낸다.
이상에 설명한 네비게이션 정보에 덧붙여 VE에서 지시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는 구성되어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또, VE_id=0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2150)이고, VE_id=1에는 화상 데이터(2250)가 대응하고, VE_id=2에는 화상 데이터(2350)가 대응한다(도 9 참조).
이들 데이터에 의해,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l000)는 표시된 콘텐츠에 대하여 이용자에 의한 버튼의 선택 등이 이루어진 경우에 별도의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고, 또한, Time_Event_Part에 기술된 일시가 되면 특정한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의 동작>
이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에서의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에 대하여 상술한 데이터 구조에 기초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5는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수신 제어부(1050)는 CPU와 프로그램에 의해서 구성되고,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의 처리를 한다. 이 처리 제어는 프로그램 수신 개시시에 최초로 표시되어야 하는 콘텐츠를 지정하는 초기 처리 S3010와, 판단 처리 S 3020에 의해 콘텐츠가 전환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만 동작하는 처리군 S3030, S3040, S3050, S3060과, 판단 처리 S3070에 의해 일시 지정에 의해 기동해야 할 핸들러가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때 동작하는 처리군 S3080, S3090, S3100과, 이용자의 인력에 대응하는 처리군 S3110, S3120 및 핸들러 기동을 실행하는 처리 S3130으로부터 실현된다.
최초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정보 기억부(1043)에 저장되는 PMT에 VE_id와 NE_id의 조로서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PMT에 VE_id=0, NE_id=O으로 기술되어 있었다고 하고 이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현재 일시는 1996년 9월 9일 14시 57분 0초로 하여 설명을 시작하기로 한다.
우선, 통신 판매에 관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최초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정보로서 PMT로부터 VE_id=0, NE_id=0을 취득한다(단계 S3010).
최초의 콘텐츠이기 때문에 전환된 것으로서 취급하고(단계 S3020), 해당 콘텐츠를 표시한다(단계 S3030).
콘텐츠의 표시는 VE_id=0으로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2150)를 배경으로서 표시하고 NE_id=0의 네비게이션 엘리먼트의 내용에 따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스를 표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NE의 Graphics_Property_Part(2164)와 Bitmap_ Information_Part(2165)에 기술된 내용에 따라 「비디오」라고 그려진 버튼을 좌표(20, 20)에 가시 상태로 표시하고, 「스테레오」라고 그려진 버튼을 좌표(20, 60)에 가시 상태로 표시한다.
따라서, 화면 천이(32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콘텐츠를 표시한 후 NE의 Time_Event_Part에 일시 지정으로 핸들러를 기동하는 기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단계 S3040), 일시에 의한 핸들러 기동 처리를 하기 위해 일시 지정 플래그를 1로 하고(단계 S3050), 일시 지정의 기술이 없으면 일시 지정 플래그를 0으로 한다(단계 S3060). 도 11에 도시된 NE의 Time_Event_Part에는 2번의 핸들러를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에 기동하는 기술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일시 지정 플래그는 1로 한다 (단계 S3050).
일시 지정 플래그가 1인 경우는(단계 S3070), 현재 일시를 취득하고 (단계 S3080), 현재 일시를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가 설치되어 있는 나라에서의 일시로 시차 보정한다 (단계 S3090). 또, 현재 일시의 취득과 시차 보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단, 이 예에서의 설명에서는 시차는 없는 것으로 한다.
현재 일시가 NE의 Time_Event_Part(2161)에서 지정된 일시가 된 경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3100), 지정 일시가 되어 있지 않으면,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 포인터를 이동하는 처리로 이동하고(단계 S3110), 어떠한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단계 S3120), 핸들러의 기동을 행한다(단계 S3130). 여기서 선택 포인터란, 표시 화면상의 마크이며,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표시 화면상을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는 선택 포인터를 리모트 컨트롤 등의 상, 하, 좌, 우 등의 키를 눌러서 원하는 버튼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확정」 키를 눌러서 버튼을 선택한다.
이 때, 이용자가「비디오」라고 그려진 버튼을 선택했다면 Graphics_ Property_Part(2164)가 참조되어 0번의 핸들러가 기동되는 것으로 된다. 0번의 핸들러 처리는 0번의 바이트 코드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0번의 바이트 코드의 내용은 PushL0, GotoPage이기 때문에 Hyperlink_Information_Part(2166)에 기술된 0번의 링크 장소인 NE_id=1과 VE_id=1로 표시되는 콘텐츠로 전환된다. 또, 바이트 코드에 있어서는 수신 제어부(1050)는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1051)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1051)는 변수를 저장하는 스태크 영역을 갖고 있고, 이 경우는 우선 PushL0을 해석하여, 스태크 영역에 0을 저장한다. 다음에, GotoPage를 해석하여, 스태크 영역에 저장된 값이 나타내는 링크 번호에 해당하는 콘텐츠로 전환하는 처리를 한다.
핸들러의 기동(단계 S3130) 후에는 콘텐츠가 전환되었는지의 판단 처리(단계 S3020)로 복귀하여 전환되었으므로 새로운 콘텐츠를 표시한다(단계 S3030).
새로운 콘텐츠의 표시는 VE_id=1로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2250)를 배경으로서 표시하여 NE_id=1의 네비게이션 엘리먼트의 내용에 따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그래픽스를 표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NE의 Graphics_Property_Part(2264)와 Bitmap_Information_Part(2265)에 기술된 내용에 따라 「메뉴」버튼을 좌표(20, 60)에 가시 상태로 표시한다.
따라서, 새로운 콘텐츠를 표시하였을 때를 1996년 9월 9일 14시 58분 0초로 하면, 화면 천이(32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콘텐츠의 표시 처리(단계 S3030) 후, NE의 Time_Event_Part에 일시 지정이 있는지 판단하고(단계 S3040), 도 12에 도시된 NE의 Time_Event_Part(2261)에는 아무런 기술이 없기 때문에 일시 지정 플래그를 0으로 한다 (단계 S3060).
일시 지정 플래그가 0이기 때문에(단계 S3070), 현재 일시의 비교 판단 처리(단계 S3080, S3090, S3100)를 스킵하고, 이용자의 인력에 따른 처리(단계 S3l10, S3120)를 하여,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 핸들러 처리를 기동한다(단계 S3130).
이 때, 이용자가「메뉴」버튼을 선택하였다면, Graphics_Property_Part (2264)가 참조되어 0번의 핸들러가 기동된다. 0번의 핸들러 처리는 0번의 바이트 코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0번의 바이트 코드의 내용은 PushL0, GotoPage이므로 Hyperlink_Information_Part(2266)에 기술된 0번의 링크 장소인 NE_id=0과 VE_id= 0으로 표시되는 콘텐츠로 전환된다.
핸들러의 기동(단계 S3130) 후에는 콘텐츠가 전환되었는지의 판단 처리(단계 S3020)로 복귀하고, 전환되었으므로 다음 콘텐츠를 표시한다(단계 S3030).
여기서 다음 콘텐츠는 최초에 표시한 콘텐츠와 마찬가지지만, VE_id=0으로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2150)를 배경으로서 표시하여 NE_id=0의 네비게이션 엘리먼트의 내용에 따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스를 표시한다.
따라서, 새로운 콘텐츠를 표시하였을 때를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0초로 하면, 화면 천이(32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콘텐츠를 표시한 후에 도 11에 도시된 NE의 Time_Event_Part(2161)에는 2번의 핸들러를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에 기동하는 기술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일시 지정 플래그는 1로 한다(단계 S3050).
일시 지정 플래그가 1인 경우는(단계 S3070), 현재 일시를 취득하고(단계 S3080), 현재 일시를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가 설치되어 있는 나라에서의 일시로 시차 보정한다(단계 S3090).
현재 일시가 NE의 Time_Event_Part(2161)로 지정된 일시가 된 경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00).
지금, 1996년 9월 9일 l5시 0분 0초가 되었다고 하면, 2번의 핸들러를 기동한다.
즉, 수신 제어부(1050)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NE의 Handler_Part(2163)와 Bytecode_Part(2162)가 참조되어, PushL2, PushL1, SetGraphicVisibility, PushL0, PushL0, SetGraphicVisibility, PushL1, PushO, SetGraphicVisibility라는 바이트 코드열이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1051)에 의해 실행된다.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1051)는 우선 PushL2를 해석하여 스태크에 2를 저장하고, PushL1을 해석하여 스태크에 1를 저장한다. 다음에 SetGraphicVisibility를 해석하여 이 명령은 스태크로부터 가시·불가시의 별도의 지시인 제 1 변수와 가시 제어 대상의 그래픽스 번호인 제 2 변수를 인출하여 그래픽스의 가시 제어를 하는 명령이기 때문에 제 1 변수로서 스태크로부터 가시의 취지를 나타내는 1을 취득, 제 2 변수로서 스태크로부터 그래픽스 번호인 2를 인출하여 2번의 그래픽스를 가시 상태로 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PushL0, PushL0, SetGraphicVisibility와 차례로 해석하여 실행함으로써 1번의 그래픽스를 불가시 상태로 하고, PushL1, PushL0, SetGraphic- Visibility로 차례로 해석하여 실행함으로써 1번의 그래픽스를 불가시 상태로 한다.
따라서, 수신 제어부(1050)는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1051)를 통해「접수는 마감되었습니다」라는 버튼을 가시 상태로 하고, 「비디오」라는 버튼과「스테레오」라는 버튼을 불가시 상태로 하는 것으로 되고, 이 결과로, 화면 천이(32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이렇게 하여,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는 지정 일시에 특정 핸들러의 처리를 실행한다.
<현재 일시의 취득과 시차 보정>
이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의 현재 일시의 취득 및 시차 보정에 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현재 일시는 시각 정보 기억상에 기억하고 있는 TDT로부터 취득하고, 시차는 TOT로부터 취득한다.
도 16의 a 및 b는 각각 TDT, TOT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에서는 괄호 내에 내용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TDT는 현재 일시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표이며, 도 1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재 일시를 서력 연, 월, 일, 시, 분, 초라는 포맷으로 보유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TDT에는 1996년 9월 9일 14시 57분 0초로 기재되어 있고, 이 TDT가 송신된 시각이 이 시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실제의 데이터는 BCD 코드에 의해 저장되어 있다.
또한, TOT는 현재 일시와 국가별 코드 및 시차의 조를 복수 기술한 것이다.
여기서, 국가별 코드는 나라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는 코드이다. 국가별 코드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 내부에도 고정적으로 기억되어 있다. 또한, 시차는 +나 -, 시, 분, 초로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영국의 시차는 0이고, 일본의 시차는 +9시각 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국가별 코드와 일치하는 국가별 코드에 대응하는 시차의 값을 취득하여, 시차 보정에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TDT 및 TOT는 PID가 미리 규정되어 있고, 시각의 진행과 동시에 점차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보내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는 현재 일시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필터 조건 기억부(1021)에 미리 정해진 PID를 설정함에 의해 수신부(1010)와 TS 디코더부(1020)를 통해 수신 데이터 기억부(1040) 내부의 시각 정보 기억부(1044)에 기억하여 이것을 이용할 수 있다.
수신 제어부(1050)는 상술한 단계 S3080에서 TDT와 TOT를 취득하여 단계 S3090로 미리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 내부에 고정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국가별 코드를 참조하여 해당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설치된 나라의 현재 시각으로 전환한다.
수신 제어부(1050)는 상술한 단계 S3100에서는 NE의 Time_Event_Part에서 지정된 일시와 현재 시각을 비교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Time_Event_Part에 기술되어 있는 일시는, 당해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설치된 나라의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 어떠한 기준시를 정하고 있으면 기준시와 현재 시각을 비교하는 경우에 시차 보정을 하는 것에 의해 정확하게 소정의 일시에 핸들러 기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시차 보정에서의 시차란 현재 일시와 Time_ Event_Part에 기술되어 있는 일시가 각각 기준으로고 하고 있는 기준 시각의 차를 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의하면, 일시를 지정하여 핸들러를 기동할 수가 있고, 핸들러는 다양한 동작을 실행하는 명령 세트로 이루어지는 바이트 코드 열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지정 일시에 콘텐츠를 바꾸거나, 버튼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거나, 그 밖의 동작을 하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로서, 이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일시에 의해 변경하는 기구를 구비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제 2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대해서는 송신할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만이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에 대해서는, 이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를 설명할 때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핸들러에 유효 기간을 정함으로써 이용자의 조작에 기초하는 핸들러의 기동에 관해서, 조작된 일시에 따라 최적의 핸들러를 기동하는 특징을 갖고,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의 기능을 확장한 것이다.
<구성>
제 2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와 전체적인 구성은 같고(도 7 참조),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는 수신부(1010)와 TS 디코더부(1020)와 AV 디코더부(1030)와 수신 데이터 기억부(l040)와 수신 제어부(1050)와 재생부(1060)와 표시부(1070)와 음성 출력부(1080) 및 신호 수신부(1100)를 구비하고 있다. 단지,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만 다르고, 제 1 실시예보다 확장된 동작을 한다. 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 구조>
제 2 실시예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취급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은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이며, 다른 데이터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도 17은 네비게이션 정보(217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2170)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네비게이션 정보(2160)를 확장한 것이고, Time_Event_Part(2171), Bytecode_Part(2172), Handler_Part(2173), Graphics_Property_Part(2174), Bitmap_Information_Part(2175) 및 Hyperlink_ Information_Part(2176)를 포함한다.
Time_Event_Part(2171)는 제 1 실시예의 Time_Event_Part(2161)와, Bytecode _Part(2172)는 제 1 실시예의 Bytecode_Part(2162)와, Graphics_Property_ Part (2174)는 제 1 실시예의 Graphics_Property_Part(2164)와, Bitmap_Information_ Part(2175)는 제 1 실시예의 Bitmap_Information_Part(2165)와, Hyperlink_Infor- mation_Part(2176)는 제 1 실시예의 Hyperlink_Information_Part(2166)와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이고, 설명을 위한 값만을 일부 전환하고 있다(도 11 참조).
다만, 데이터 구조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은 Handler_Part(2173)이고, 핸들러 번호마다 유효 일시를 설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7의 예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Handler_ Part의 핸들러 번호 0에 대하여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59초까지는 유효한 서브 핸들러 번호 0이,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로부터 유효한 서브핸들러 번호 2가 대응되어 있고, 핸들러 번호 1에 대해서는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59초까지는 유효한 서브핸들러 번호 1이,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부터 유효한 서브핸들러 번호 2가 대응되어 있다. 또한 서브핸들러 번호 0에는 바이트 코드 번호 0이, 서브핸들러 번호 1에는 바이트 코드 번호 1이, 서브핸들러 번호 2에는 바이트 코드 번호 2가 각각 대응되어 있다.
또, 유효 기간의 지정은 개시 일시와 종료 일시로 지정하지만, 어느 한쪽만을 지정할 수도 있고, 양쪽 모두 지정이 없으면 항상 유효하다고 간주한다.
도 18은 네비게이션 정보(227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는 네비게이션 정보(237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2270, 2370)의 구조는 상술의 네비게이션 정보(2170)와 마찬가지다.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
이하,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에 있어서의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제 2 실시예도 제 1 실시예와 같이 도 8 , 도 9에 나타내는 콘텐츠(2100, 2200, 2300)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 도 9에서의 네비게이션 정보(2l60, 2260, 2360)를 각각 네비게이션 정보(2170, 2270, 2370)로 치환하는 것으로 하고, 이 때문에 도 8 에서의 콘텐츠 사이의 천이는 약간 다른 것으로 된다.
수신 제어부(1050)는 CPU와 프로그램에 의해서 구성되며,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을 처리한다. 기본적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고 (도 14 참조), 다른 것은 핸들러의 기동 처리(S3130)뿐이므로 핸들러의 기동 처리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제 2 실시예에서의 핸들러 기동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핸들러의 기동 처리는 현재의 일시를 취득하는 처리군 S3131, S3132와, 기동하는 핸들러에 관한 유효기간을 가지는 단위인 서브핸들러마다 유효성 판단과 실행을 하는 처리군 S3133, S3134, S3135, S3136, S3137으로 구성되다.
현재, 서력 1996년 9월 9일 14시 58분 0초이고, 콘텐츠(2100)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용자가「비디오」버튼을 선택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핸들러의 기동 처리는 우선 현재 일시의 취득으로부터 시작된다(단계 S 3131). 수신 제어부(1050)는 시각 정보 기억부(1044)로부터 TDT, TOT를 취득하여 현재의 표준 일시를 취득하여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가 설치되어 있는 나라의 시차를 보정한다(단계 S3132). 이 현재 일시 취득 및 시차 보정의 처리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에 따라 서력 1996년 9월 9일 14시 58분 0초가 취득된다.
현재 일시 취득 및 시차 보정 후에 수신 제어부(1050)는 지정된 핸들러의 1개의 서브핸들러에 착안하여(단계 S3133), 현재 일시는 유효 기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34). 여기서 지정된 핸들러란 이용자에 의한 버튼의 선택 조작에 따라 정해지는 1개의 핸들러, 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일시 지정에 의해 기동하는 특정한 핸들러를 말한다.
도 17의 예에서는 「비디오」버튼이 선택된 것에 의해 0번의 핸들러가 기동되고, Hand1er_Part(2173)에 도시하는 0번의 핸들러에 관해서 0번의 서브 핸들러에 착안하여(단계 S3133), 유효 기간이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59초까지이므로 유효하기 때문에(단계 S3134), 당해 서브핸들러에 대응하는 바이트 코드를 실행한다 (단계 S3135). 따라서, 0번의 서브핸들러에 대응하는 0번의 바이트 코드를 실행하게 된다.
Bytecode_Part(217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번의 바이트 코드는 PushL0, GotoPage로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Hyperlink_Information_Part(2176)에 기술하고 있는 NE_id=1, VE_id=1의 콘텐츠를 표시한다.
0번의 서브핸들러의 처리를 마친 후에 수신 제어부(1050)는 다음 서브핸들러는 있는지 판단하고(단계 S3136), 2번의 서브핸들러가 있으므로 이 2번의 서브핸들러에 착안하여(단계 S3137), 현재 일시는 유효 기간내인지 판단하지만(단계 S3134), 유효 기간 외이기 때문에 실행은 스킵하고, 이제 다음 서브핸들러는 없으므로 핸들러의 기동 처리는 종료된다.
이 화면 천이의 상태를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은 제 2 실시예에서의 표시 화면 천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 천이(3310)는 서력 1996년 9월 9일 14시 58분 0초의 화면의 천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콘텐츠(2100)로부터 이용자에 의한「비디오」 버튼의 선택에 의해 콘텐츠(2200)에 표시가 전환된 형태를 나타낸다.
그 후, 이용자에 의해 콘텐츠(2200)의「메뉴」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는, 콘텐츠(2200)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 정보(2270)의 Handler_Part의 0번의 핸들러에 대해서는 유효 기간의 제한이 없는 0번의 서브핸들러가 대응하고 있고, O번의 서브핸들러에는 O번의 바이트 코드가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O번의 바이트 코드가 실행되어, 결과적으로 콘텐츠(2100)가 표시된다.
그 후 시각이 경과하여 서력 1996년 9월 9일 15시 1분 0초로 되어 있다고 한다.
이 상태에서 이용자가 「비디오」버튼을 선택한 경우에 관한 핸들러의 기동 처리는 이하와 같다.
우선 수신 제어부(1050)는 현재 일시를 취득하고(단계 S3131), 시차를 보정한다(단계 S3l32). 이에 따라 서력 1996년 9월 9일 15시 1분 0초가 취득된다.
현재 일시 취득 및 시차 보정 후에 수신 제어부(1050)는 지정된 핸들러의 1개의 서브핸들러에 착안하여(단계 S3133), 현재 일시는 유효 기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34). 도 17의 예에서는 「비디오」버튼이 선택됨으로써 0번의 핸들러가 기동되고, Hand1er_Part(2173)에 나타내는 0번의 핸들러에 관해서 0번의 서브핸들러에 착안하여(단계 S3133), 유효 기간이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59초까지이므로 무효이기 때문에(단계 S3134) 실행을 스킵하여 다음 2번의 서브핸들러에 착안하여(단계 S3136, S3137), 유효 기간이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로부터이므로 유효하기 때문에(단계 S3134), 이 2번의 서브핸들러에 대응하는 바이트 코드를 실행한다(단계 S3135).
Bytecode_Part(217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번의 바이트 코드는 PushL2, PushL1, SetGraphicVisibility, PushL0, PushL0, SetGraphicVisibility, PushL1, PushL0, SetGraphicVisibility로 기술하기 때문에 실시예 l과 마찬가지로 「접수는 마감되었습니다」라는 버튼을 가시 상태로 하고, 「비디오」버튼과「스테레오」버튼을 불가시 상태로 한다.
바이트 코드의 실행 후, 더 이상 다음 서브핸들러는 없으므로(단계 S3136), 핸들러의 기동 처리는 종료된다.
따라서, 도 21의 화면 천이(33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2100)로부터 이용자에 의한「비디오」버튼의 선택에 따라 콘텐츠(2400)에 표시가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는 핸들러에 유효 기간의 정보를 부가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취급함으로써 일시에 따라 다른 동작을 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특정한 일시에 미리 지정된 그래픽스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특정한 동작을 하는 기구를 구비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제 3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는 송신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만이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에 있어서는 이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를 설명할 때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3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구비하는 특정 일시에 특정 동작을 하는 기능에 대하여 동작조건을 가중한 것이며, 특정한 그래픽스를 표시중인 경우에만 특정 동작을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구성>
제 3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와 전체적인 구성은 같고(도 7 참조),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는 수신부(1010), TS 디코더부(1020), AV 디코더부(1030), 수신 데이터 기억부(1040), 수신 제어부(1050), 재생부(1060), 표시부(1070), 음성출력부(1080) 및 신호 수신부(1100)를 구비하고 있다. 단,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만이 다르고, 제 1 실시예보다 확장된 동작을 한다. 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 구조>
제 3 실시예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취급하는 데이터에 관해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은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만이고, 다른 데이터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도 22는 네비게이션 정보(218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2l80)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네비게이션 정보(2160)를 확장한 것이며, Time_Event_Part(2181), Bytecode_Part(2182), Handler_Part(2183), Graphics_Property_Part(2184), Bitmap_Information_Part(2185) 및 Hyper1ink_ Information_Part(2186)를 포함한다.
Bytecode_Part(2182)는 제 1 실시예의 Bytecode_Part(2162)와, Graphics_ Property_Part(2184)는 제 1 실시예의 Graphics_ Property_Part(2164)와, Handler_ Part(2183)는 제 1 실시예의 Hand1er_Part(2163)와, Bitmap_Information_Part (2185)는 제 1 실시예의 Bitmap_Information_Part(2165)와, Hyperlink_Information _Part(2165)와, Hyperlink_Information_Part(2186)는 제 1 실시예의 Hyperlink_ Information_Part(2166)와 데이터 구조는 동일하다(도 11 참조).
유일 데이터 구조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은 Time_Event_Part(2181)이고, 제 1 실시예의 기동 일시 및 핸들러 번호를 포함하는 Time_Event_Part(2161)에 덧붙여 대상 그래픽스 번호를 설치한 점이다.
도 22의 예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 Time_Event_Part(2181)는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에 도달한 경우이고, 또한 그래픽스 번호 O 및 1의 그래픽스가 가시 상태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라면, 핸들러 번호 2의 처리를 기동한다고 하는 의미를 나타낸다.
<동작 제어 기구>
이하,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은 제 3 실시예에서의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의 Time_Event_Part(2181)에 대응하여 단계 S5101가 설치되는 점을 제외하면, 제 1 실시예의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인 도 14와 같다. 따라서, 단계 S5101 이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5101은 Time_Event_Part(2181)에 나타내는 기동 일시인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에 도달했을 때 단계 S5100로부터 분기하는 처리이고, Time_ Event_Part(2181)에 기술되어 있는 대상 그래픽스 번호가 0번과 1번이기 때문에, 0번의 그래픽스와 1번의 그래픽스가 표시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표시되어 있으면 핸들러의 기동 처리(단계 S5130)를 실행하고,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 포인터를 이동하는 처리(단계 S5110)를 실행한다.
따라서, 0번의 그래픽스와 1번의 그래픽스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로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에 도달한 경우에는, 수신 제어부(1050)는 2번의 핸들러를 기동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정보와 해당 네비게이션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에 따라 표시되어 있는 그래픽스에 따라 일시에 따른 동작 제어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제작자에게 있어서는,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래픽스 표시 상황이 교체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보다 섬세한 표시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그래픽스마다 특정한 일시에 표시할 것인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제 4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대해서는 송신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만이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에 대해서는 이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를 설명할 때 설명하기로 한다.
<구성>
제 4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와 전체적인 구성은 같고(도 7 참조),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는 수신부(1010), TS 디코더부(1020), AV 디코더부(1030), 수신 데이터 기억부(1040), 수신 제어부(1050), 재생부(1060), 표시부(1070), 음성 출력부(1080) 및 신호 수신부(1100)를 구비하고 있다. 단,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만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 구조>
제 4 실시예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취급하는 데이터에 관해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은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이고, 다른 데이터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도 24는 네비게이션 정보(61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6160)는 제 1 실시예의 네비게이션 정보(2160)에 대응하는 것이며, Bytecode_Part(6l62), Hand1er_Part(6163), Graphics_Property_Part (6164), Bitmap_Information_Part(6165) 및 Hyperlink_Information_Part(6166)를 포함한다.
Bytecode_Part(6162)는 제 1 실시예의 Bytecode_Part(2162)와 Graphics_ Handler Part(2163)는 제 1 실시예의 Hnadler_Part(2163)와, Bitmap_ Information_ Part(6165)는 제 1 실시예의 Bitmap_Information_Part(2l65)와, Hyperlink_ Information_Part(6166)는 제 1 실시예의 Hyperlink_Information_Part(2166)와 데이터 구조는 동일하다(도 11 참조).
데이터 구조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은, Time_Event_Part가 본 실시예에서는 없는 점과, Graphics_Property_Part의 구조가 다른 점이다.
Graphics_Property_Part(6164)는 제 1 실시예의 그래픽스 번호와 그래픽스의 타입과 좌표와 핸들러 번호 및 초기 상태를 포함하는 Graphics_Property_ Part(2l64)에 일시와 표시 상태의 조의 정보를 추가한 것이다. 또, 이 일시와 표시 상태의 조는 복수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4의 예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 Graphics_Property_Time_Event_ Part(6l64)는 그래픽스 번호 0, 1, 2의 그래픽스에 관해서 각각 일시와 표시 상태의 조가 지정되어 있고, 그래픽스 번호 0의 버튼과 그래픽스 번호 1번의 버튼은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에 불가시 상태로 변경되어, 그래픽스 번호 2의 버튼은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에 가시 상태로 변경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동작 제어 기구>
이하, 도 24의 데이터열에 따라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동작과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는 제 4 실시예에서의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26은 제 4 실시예에서의 표시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수신 제어부(1050)는 우선 시스템 정보 기억부(1043)에 저장되는 PMT에 VE_ id와 NE_id의 조로서 규정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최초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S6510). 여기서는, PMT에 VE_id=0, NE_id=0으로 기술되어 있다고 하고 이후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현재 일시는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0초라 하고 설명을 시작한다.
수신 제어부(1050)는 현재 일시를 취득하여 시차를 보정한다(단계 S6520, S6530). 여기서, Graphics_Property_Part(616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래픽스 번호 0의「비디오」 그래픽스는, 초기 상태는 가시이고,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 이후는 불가시 상태로 해야 하기 때문에, 수신 제어부(1050)는 현재 일시인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0초에 있어서는 가시로 해야 한다고 판단하고(단계 S6540, S6550), 그래픽스를 가시로 한다(단계 S6560). 다음에 그래픽스 번호 1의「스테레오」 그래픽스에 착안하여(단계 S6580, S6540), 마찬가지로 가시로 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단계 S6550) 그래픽스를 가시로 한다(단계 S5660). 또한 그래픽스 번호 2의「접수는 마감되었습니다」라고 그려진 그래픽스에 착안하여(단계 S6580, S6540), 이 그래픽스는 초기 상태는 불가시 상태이고,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 이후는 가시 상태로 해야 하기 때문에, 수신 제어부(1050)는 현재 일시인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0초에 있어서는, 불가시로 해야 한다고 판단하고(단계 S6550), 그래픽스를 불가시 상태로 한다(단계 S6570).
이 상태는 도 26에 도시하는 화면 천이(6810)와 같이 된다.
그래픽스의 표시 처리를 마친후, 수신 제어부(1050)는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 포인터를 이동하여(단계 S6590), 이용자에 의해서 버튼이 선택 확정된 경우에는(단계 S6600)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핸들러의 기동을 한다(단계 S6610).
시간이 경과하여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가 되었다고 한다.
수신 제어부(1050)는 현재 일시를 취득하여 시차를 보정한다(단계 S6520, S6530). 여기서, Graphics_Property_Part(616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래픽스 번호 0의「비디오」 그래픽스는 초기 상태는 가시 상태이고,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 이후는 불가시 상태로 해야 하기 때문에, 수신 제어부(1050)는 현재 일시인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에 있어서는 불가시 상태로 해야 한다고 판단하고(단계 S6540, S6550), 그래픽스를 불가시 상태로 한다(단계 S6570). 다음에 그래픽스 번호 1의「스테레오」그래픽스에 착안하고 (단계 S6580, S6540), 마찬가지로 불가시 상태로 해야 한다고 판단하여(단계 S6550), 그래픽스를 불가시로 하는 (단계 S5670). 또한 그래픽스 번호 2의「접수는 마감되었습니다」라고 그려진 그래픽스에 착안하고(단계 S6580, S6540), 이 그래픽스는 초기 상태는 불가시 상태이고,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 이후는 가시 상태로 해야 하기 때문에, 수신 제어부(1050)는 현재일시인 1996년 9월 9일 15시 0분 0초에 있어서는 가시 상태로 해야한다고 판단하여(단계 S6550) 그래픽스를 가시 상태로 한다(단계 S6560).
이 상태는 도 26에 도시하는 화면 천이(6820)와 같이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그래픽스마다 특정한 일시로 표시할 것인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이용자에게 선택된 프로그램의 개시 일시를 조정하여, 특정한 일시에 도달하고 나서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제어를 하는 기구를 구비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대해서는 송신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만이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에 있어서는 이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를 설명할 때 설명하기로 한다.
<구성>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와 전체적인 구성은 같고(도 7 참조),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l000)는 수신부(1010), TS 디코더부(1020), AV 디코더부(1030), 수신 데이터 기억부(1040), 수신 제어부(1050), 재생부(1060), 표시부(1070), 음성 출력부(1080) 및 신호 수신부(1100)를 구비하고 있다. 단지,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만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 구조>
제 5 실시예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가 취급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은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이며, 다른 데이터 구조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도 27은 네비게이션 정보(71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7160)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네비게이션 정보(2160)에 해당하는 것이며, Time_Event_Part(7161), Bytecode_Part(7162), Handler_Part(7163), Graphics_Property_Part(7164), Bitmap_Information_Part(7165) 및 Hyperlink_ Information_Part(7166)를 포함한다.
Time_Event_Part(7161)는 제 1 실시예의 Time_Event(2161)와 Bytecode_ Part(7162)는 제 1 실시예의 Bytecode_Part(2162)와, Graphics_Handler_Part(7163)는 제 1 실시예의 Handler_Part(2163)와, Graphics_Property_Part(7164)는 제 1 실시예의 Graphics_Property_Part(2l64)와, Bitmap_Information_Part(7165)는 제 1 실시예의 Bitmap_Information_Part(2165)와, Hyperlink_Information_Part(7166)는 제 1 실시예의 Hyperlink_Information_Part(2166)와 데이터 구조는 동일하다(도 11참조).
데이터 구조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은, 네비게이션 엘리먼트에 NE_id 이외에 NE 개시 일시가 부가되어 있는 점이다.
도 27의 예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 NE 개시 일시는 1996년 9월 9일 14시 0분 0초 이후에 실행된다는 의미를 나타내며, 이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1996년 9월 9일 14시 0분 0초보다 전에 이 NE_id가 0의 네비게이션 엘리먼트와 대응하는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선택된 경우라도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1996년 9월 9일 14시 0분 0초가 될 때까지 대기하여 해당 일시에 도달하고 나서 NE_id가 0인 네비게이션 엘리먼트을 참조하여 표시의 제어 등을 한다.
<동작 제어 기구>
이하, 도 27의 데이터예에 기초하여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동작과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8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현재 일시는 1996년 9월 9일 13시 59분 0초로 하고, 이용자에 의한 버튼의 선택 확정 조작에 의해 어떤 콘텐츠로부터 NE_id=0와 VE_id=0의 콘텐츠에 제어가 전환된 상태로부터 설명을 시작한다.
수신 제어부(1050)는 콘텐츠가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단계 S7510), 현재 일시를 취득하여 시차를 보정한다(단계 S7520, S 7530).
다음에 수신 제어부(1050)는 NE_id가 0인 네비게이션 엘리먼트를 참조하면 NE 개시 일시가 1996년 9월 9일 14시 0분 0초로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현재 일시를 취득하여 시차를 보정하는 처리로 복귀한다(단계 S7540, S7520, S 7530).
시간이 경과하고 1996년 9월 9일 14시 0분 0초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단계 S7540, S7520, S7530의 반복을 행하고, 1996년 9월 9일 14시 0분 0초에 도달한 경우(단계 S7540), 콘텐츠를 표시한다(단계 S7550).
이후의 처리(단계 S7560∼S7650)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계 S3040∼S3130와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렇게 하여, 수신 제어부(l050)는 콘텐츠를 소정의 일시에 도달하였을 때로부터 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터랙티브성을 유지하고 있는 정도로 프로그램의 진행 시각을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실현된다.
<제 6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콘텐츠의 제시 개시로부터 소정 시각을 경과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하는 기구를 구비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는, 송신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만이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에 대해서는 이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를 설명할 때 설명하기로 한다.
<구성>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와 전체적인 구성은 같고(도 7 참조),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는, 수신부(1010), TS 디코더부(1020), AV 디코더부(1030), 수신 데이터 기억부(1040), 수신 제어부(1050), 재생부(1060), 표시부(l070), 음성 출력부(1080)및 신호 수신부(1100)를 구비하고 있다.
단, 수신 데이터 기억부(1040) 중의 시각 정보 기억부((1044))에 있어서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중에 구비하는 계시부(도시 생략)에 의해 계시된 현재 시각이 저장되는 것으로 한다. 이 계시부에 의해서 계시된 현재 시각은 시, 분, 초, 프레임의 단위로 이루어져, 예를 들면 11시 20분 30초 15 프레임이라는 시각을 나타낸다. 여기서 시각에 관해서 말하는 1프레임이란 30분의 1초를 나타낸다. 단 1 프레임은 25분의 1초 등이라고 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프레임은 이와 같이 미리 정한 단위로 시간을 나타내는 값으로 된다.
또,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다르지만 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 화면과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가 콘텐츠를 표시한 화면에 관해서 및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에 관해서 도 29, 도 30,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가 표시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퀴즈 프로그램에 관한 화면을 도시한다. 퀴즈를 나타내는 콘텐츠(8100)와 정답인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8200)와 오답인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8300) 및 마감 시각을 나타내는 콘텐츠(8400)를 나타낸다.
지금, 표시 화면에「빨간 과일은 ?」이라는 퀴즈를 나타내는 콘텐츠(8100)가 표시되어 있을 때 이용자가「사과」버튼(8110)을 선택·결정 조작하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은 콘텐츠(8100)로부터 정답인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8200)의 표시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표시 화면에 콘텐츠(8100)가 표시되어 있을 때 이용자가「귤」 버튼(8120)을 선택·결정 조작하면, 화살표(80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은 콘텐츠(8100)로부터 오답인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8300)의 표시로 전환된다.
또한, 콘텐츠(8100)를 제시하고 나서 10초가 경과한 경우에는 마감 시각인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8400)의 표시로 전환된다.
<데이터 송신 장치>
이상과 같은 대화적 조작에 의한 표시 전환을 실현하기 위해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송신 장치로부터는 이하에 설명하 는 바와 같이 각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또,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송신 장치는 상술한 관련 기술의 설명에서 나타내는 데이터 송신 장치(101)와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다. 단, 송신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의 내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련 기술의 설명에 의 네비게이션 정보와는 달리 시각적 요소에 의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된다.
도 30은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간략화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이며, 데이터 송신 장치로부터 일정 시각마다 반복하여 데이터(8000)가 송신된다. 송신되는 데이터(8000)는 화상 데이터(8150, 8250, 8350, 8450)와 네비게이션 정보 (8160, 8260, 8360, 8460)로 이루어진다.
각 화상 데이터(8150, 8250, 8350, 8450)는 각각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전술한 각 콘텐츠(8100, 8200, 8300, 8400)의 배경화상으로 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 송신 장치가 데이터(8000)를 다중화하여 일정 시각마다 반복하여 송신하고 있지만, 이 송신의 형태는 관련 기술의 설명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으며, 도 4의 송신 데이터, 화상 데이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각각 도 30에 도시된 내용으로 치환한 것으로 되어, 다중화의 형태는 관련 기술의 설명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다.
<네비게이션 정보의 상세 설명>
이하, 도 30에 간략화하여 도시된 네비게이션 정보에 관해서 도 31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1은 네비게이션 정보(81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8160)는 Time_Event_Part(8161), Bytecode_Part(8162), Handler_Part(8163), Graphics_Property_Part(8164), Bitmap_Information_Part (8165) 및 Hyperlink_Information_Part(8166)를 포함한다.
이 네비게이션 정보(8160)의 데이터 구조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네비게이션 정보(2160)의 데이터 구조와 거의 같지만, Time_Event_Part(8161)만이 다르다.
Time_Event_Part(8161)는 도 30에서 Time_Event로 나타낸 부분에 상당하고, 콘텐츠의 제시 개시의 시각에서 지정한 시간을 경과했을때 특정한 핸들러를 기동하기 위한 기술이 이루어지는 부분이고, 도 31의 예에서는 콘텐츠의 제시 개시로부터 10초 경과했을 때 2번의 핸들러가 기동되는 것으로 된다. 또, 1개의 핸들러에 대하여, 기동까지의 경과 시간은 여러개 기술해도 된다. 또한, 시각의 지정은 시, 분, 초, 프레임으로 기술한다.
Bytecode_Part(8162)는 바이트 코드가 기술되는 부분이고, 도 31의 예에서는 0번의 바이트 코드는 PushL0, GotoPage로 기술되어 있고, 링크 번호가 0번의 콘텐츠로 표시를 전환하는 취지를 나타내며, 1번의 바이트 코드는 PushL1, GotoPage로 기술되어 있고, 링크 번호가 1번의 콘텐츠로 표시를 전환하는 취지를 나타내며, 2번의 바이트 코드는 PushL2, GotoPage로 기술되어 있고, 링크 번호가 2번의 콘텐츠에 표시를 전환하는 취지를 나타낸다.
Bitmap_Information_Part(8165)는, 그래픽스 번호에 대응하고 버튼에 표시하는 비트맵의 내용을 기술하는 부분이고, 도 31의 예에서는 0번의 그래픽스에는「사과」라고 그려진 비트맵, 1번의 그래픽스에는「귤」이라고 그려진 비트맵이 대응되어 있다.
Graphics_Property_Part(8l64)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스를 구성하는 정보이고, 도 31의 예에서는 그래픽스 타입은 버튼이고, 그래픽스 번호는 O, 1의 값이고 상술한 Bitmap_Information_Part에 포함되는 그래픽스 번호와 대응하고, 버튼 0, 버튼 1의 각각을 표시하는 x좌표, y좌표의 조는 (20, 20), (20, 60)이고, 또한, 0번과 1번의 버튼이 선택 확정되었을때 기동하는 핸들러 번호는 각각 O, 1이며, 콘텐츠가 표시된 초기 상태에서의 0번과 1번의 버튼의 초기 상태는 가시 상태이다.
Hyperlink_Information_Part(8166)는 링크 장소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소재의 ID가 기술되는 부분이고, 콘텐츠마다 한묶음으로서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링크 번호가 부가된다. 도 31의 예에서는 0번의 링크 장소로서 VE_id=1로 기술되어 있고, VE_id가 1번의 화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하나의 콘텐츠가 링크 장소인 것을 나타내며, 또 1번의 링크 장소는 VE_id가 2번의 화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이고, 2번의 링크 장소는 VE_id가 3번의 화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인 것을 나타낸다.
또, 도 31의 상부에 NE_id가 0인 것을 도시하고 있는 것은, 여기에 설명한 네비게이션 정보는 0번의 ID를 갖는 네비게이션 엘리먼트인 것을 의미한다.
이 NE_id가 0인 네비게이션 정보는 VE_id가 0의 퀴즈를 표시한 화상 데이터와 함께 하나의 콘텐츠를 구성한다.
이들 데이터에 의해,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는 표시된 콘텐츠에 대하여 이용자에 의한 버튼의 선택 등이 이루어진 경우에 별도의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고, 또한, 콘텐츠의 표시의 개시로부터 Time_Event_Part에 기술된 시각을 경과하면 특정한 동작을 실행한다고 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의 동작>
이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에 있어서의 수신 제어부(1050)의 동작에 관해서, 상술의 데이터 구조에 따라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33의 (a) 및 (b)는 각각 퀴즈에 대하여 이용자가 시간내에 해답한 경우와 이용자가 시간내에 해답하지 못한 경우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수신 제어부(1050)의 처리 제어는 프로그램 수신 개시시에 최초로 표시될 콘텐츠를 지정하는 초기 처리(S8510)와, 판단 처리(S8520)에 의해서 콘텐츠가 전환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만 동작하는 처리군(S8530, S8540, S8550, S8560)과, 판단 처리(S8570)에 의해서 일시 지정에 의해 기동해야 할 핸들러가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때 동작하는 처리군(S8580, S8590)과, 이용자의 입력에 해당하는 처리군 (S8600, S8610) 및 핸들러 기동을 실행하는 처리(S8620)로서 실현된다.
최초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시스템 정보 기억부(1043)에 저장되는 PMT에 VE_id와 NE_id의 조로서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PMT에 VE_id=0, NE_id=0으로 기술되어 있었다고 하고 이후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퀴즈 프로그램에 있어서 최초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정보로서 PMT로부터 VE_id=0, NE_id=0을 취득한다(단계 S8510).
최초의 콘텐츠이기 때문에, 전환된 것으로 취급하여(단계 S8520), 해당 콘텐츠를 표시한다(단계 S8530).
콘텐츠의 표시는 VE_id=O으로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8150)를 배경으로서 표시하고 NE_id=0의 네비게이션 엘리먼트의 내용에 따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스를 표시한다. 도 31에 도시하는 NE의 Graphics_Property_Part(8164)와 Bitmap_ lnformation_Part(8165)에 기술된 내용에 따라「사과」라고 그려진 버튼을 좌표(20, 20)에 가시 상태로 표시하고, 「귤」이라고 그려진 버튼을 좌표(20, 60)에 가시 상태로 표시한다.
따라서, 화면 천이(89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콘텐츠를 표시한 후 NE의 Time_Event_Part에 콘텐츠 표시의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 지정으로 핸들러를 기동하는 기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단계 S8540),당해 경과 시간에 의한 핸들러 기동 처리를 하기 위해 시간 지정 플래그를 1로 하고(단계 S8550), 당해 경과 시간 지정의 기술이 없으면 시간 지정 플래그를 0으로 한다(단계 S8560). 도 31에 도시하는 NE의 Time_Event_Part에는 2번의 핸들러를 콘텐츠 표시의 개시로부터 10초 경과한 경우에 기동하는 기술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시간 지정 플래그는 1로 한다(단계 S8550).
시간 지정 플래그가 1인 경우는(단계 S8570), 콘텐츠 표시의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고(단계 S8580), 경과 시간이 NE의 Time_Event_Part(8161)로 지정된 시간이 된 경우인지 아닌지 판단하여(단계 S8590), 지정된 시간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 포인터를 이동하는 처리로 이동하고(단계 S8600), 어떠한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단계 S8610), 핸들러 기동을 한다(단계 S8020).
여기서, 우선 이용자가 퀴즈를 표시한 콘텐츠 표시의 개시로부터 5초에서 대답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아직 10초를 경과하지 않았기 때문에(단계 S8580, S8590),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 포인터를 이동하는 처리에 이동하고(단계 S8600), 콘텐츠 표시의 개시로부터 5초 경과했을 때 이용자가「사과」라고 그려진 버튼을 선택하였다면(단계 S8610), Graphics_Property_Part(8164)가 참조되어 0번의 핸들러가 기동된다(단계 S8620). 0번의 핸들러 처리는 0번의 바이트 코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0번 바이트 코드의 내용은 PushL0, Gotopage이기 때문에 Hyper1ink_Information_Part(8166)에 기술된 O번의 링크 장소인 VE_id=1로 표시되는 콘텐츠로 전환된다. 또, 바이트 코드에 있어서는 수신 제어부(1050)는 바이크코드 인터프리터(1051)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핸들러의 기동(단계 S8620) 후에는 콘텐츠가 전환되었는지의 판단 처리(단계 S8520)로 복귀하여 전환되었으므로 새로운 콘텐츠를 표시한다(단계 S8530).
이 때의 표시 화면은 화면 천이(89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답인 것을 나타내는 화상이 된다.
다음에, 이용자가 퀴즈를 표시한 콘텐츠의 표시의 개시로부터 10초 경과해도 대답하지 못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 최초는 화면 천이(8930)에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고 한다.
콘텐츠 표시의 개시로부터 10초를 경과했을 때(단계 S8580, S8590), 2번의 핸들러가 기동된다(단계 S8620). 2번의 핸들러 처리는 2번의 바이트 코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2의 바이트 코드의 내용은 PushL2, GotoPage이기 때문에, Hyperlink_Information_Part(8166)에 기술된 2번의 링크 장소인 VE_id=3으로 표시되는 콘텐츠로 전환된다.
핸들러의 기동(단계 S8620)후에는 콘텐츠가 전환되었는지의 판단 처리(단계 S8520)로 복귀하여 전환되었으므로 새로운 콘텐츠를 표시한다(단계 S8530).
이렇게 해서 화면 천이(89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감 시간임을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된다.
이렇게하여,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는 콘텐츠 표시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 특정한 핸들러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 7 실시예>
이하, 제 7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7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는 이용자가 지정한 일시의 콘텐츠간의 상관 관계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구성>
도 3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000)는 일시 입력 수신부(10010)와 데이터 기억부(10020)와 콘텐츠 상관관계 판단부(10030) 및 콘텐츠 상관 관계 표시부(10040)를 구비하고 있다.
일시 입력 수신부(100l0)는 콘텐츠간의 상관 관계를 표시하기 위한 기준 일시의 이용자에 의한 입력을 수신한다. 이용자에 의해서 직접 수치 입력된 일시는 내부의 레지스터에 기억된다.
데이터 기억부(10020)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기억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정보의 데이터 구조는 제 2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구조와 마찬가지이다(도 17 참조).
콘텐츠 상관 관계 판단부(10030)는 데이터 기억부(10020)에 기억하는 네비게이션 정보 내의 Handler_Part, Bytecode_Part 및 Hyper1ink_Information_Part를 참조하여, 일시 입력 수신부(10010)에 의해 취득한 지정 일시에 있어서 유효한 서브핸들러에 대응하는 바이트 코드의 내용을 조사함에 따라 당해 일시에 유효한 서브 핸들러에 의해 링크 장소로 되는 콘텐츠에 관한 NE_id와 VE_id를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내부의 레지스터에 출력한다.
콘텐츠 상관 관계 표시부(10040)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형과, 콘텐츠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선분으로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동작>
이하,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000)에 대하여 제 2 실시예에서 나타낸 네비게이션 정보의 예(도 17, 도 18, 도 19)에 따라서 구체적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5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0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콘텐츠 상관 관계 표시부(10040)는 데이터 기억부(10020)에 기억하는 네비게이션 정보 내에 Handler_Part, Bytecode_Part 및 Hyper1ink_Information_ Part를 참조하여, 모든 서브핸들러에 대응하는 바이트 코드의 내용을 조사하여 GotoPage를 검출함으로써 모든 링크 장소로 되어 얻는 콘텐츠에 관한 NE_id와 VE_ id를 취득하고(단계 S10110, S10120, S10130), 콘텐츠간의 링크 관계를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형과, 콘텐츠간에 링크가 확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선분으로 표시한다 (단계 S10140, S10150). 단 콘텐츠 사이의 선분은 링크의 무효를 나타내는 점선으로 표시한다. 또한,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형에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아이콘을 이용하고, 아이콘에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요소의 ID인 NE_id, VE_id도 부기한다.
도 36은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000)가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10150 종료 후에 표시 화면(10300)이 표시된다.
다음에, 일시 입력 수신부(10010)가 이용자의 일시의 입력을 수신한다(단계 Sl0160). 여기서, 이용자에 의해서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O초가 입력되었다고 한다.
콘텐츠 상관 관계 판단부(10030)는, 우선 NE_id가 0인 네비게이션 정보(2170)의 Handler_Part(2173)를 참조하여, 0번의 서브핸들러는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0초에는 유효하다고 판단하고(단계 S10170, S10180), 이에 대응하는 0번의 바이트 코드의 내용인 0번의 링크를 하는 PushL0, GotoPage를 검출하고 링크 번호가 0인 NE_id=1, VE_id=1로 표시되는 콘텐츠로의 링크가 유효하다고 하여, NE_id=1, VE_id=1을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한다(단계 S10190).
이 후, 네비게이션 정보(2170)의 1번의 서브핸들러, 2번의 서브핸들러에 착안하여, 그 후 네비게이션 정보(2270)의 0번의 서브핸들러, 네비게이션 정보(2370)의 0번의 서브핸들러에 착안하여 같은 처리를 한다(단계 S10170, S10180, lS10190, S10200).
이 결과, 콘텐츠 상관 관계 표시부(10040)는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0초에서 유효한 링크의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도시한 도형 사이를 실선으로 연결한다(단계 S10210).
이 상태에서 표시화면(10400)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 7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는 이용자가 지정한 일시에 있어서 콘텐츠 사이의 링크가 유효한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표현으로 표시한다.
<제 8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8 실시예는 제 7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의 기능을 확장하여, 데이터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부가한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
도 3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500)는 일시 입력 수신부(10010), 데이터 기억부(10020), 콘텐츠 상관 관계 판단부(10030), 콘텐츠 상관관계 표시부(10040), 비링크 장소 콘텐츠 선택 수신부(10510) 및 데이터 갱신부(10520)를 구비하고 있다.
일시 입력 수신부(10010)와 데이터 기억부(10020)와 콘텐츠 상관 관계 판단부(10030)와 콘텐츠 상관 관계 표시부(10040)는 제 7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비링크 장소 콘텐츠 선택 수신부(105l0)는 링크에 의한 제시를 금지하고 싶은 콘텐츠를 이용자에게 선택시켜, 콘텐츠의 NE_id와 VE_id를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내부의 레지스터에 출력한다. 이용자에 의한 콘텐츠의 선택은, 예를 들면 콘텐츠 상관 관계 표시부(10040)가 표시한 콘텐츠를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중 1개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 포인터로 지시함으로써 행한다.
데이터 갱신부(10520)는 비링크 장소 콘텐츠 선택 수신부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로의 링크를 기술하는 바이트 코드에 대응된 서브핸들러에 관해서, 일시 입력 수신부(1OO1O)에서 취득한 일시를 기초로 하여 유효 기간 정보를 새롭게 설정함에 으로써 데이터 기억부(10020)의 내용을 갱신한다.
따라서, 데이터 갱신부(10520)에 따라 이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로의 링크를 가지는 서브핸들러는 지정 일시 이후는 무효로 되도록 네비게이션 정보가 갱신된다.
<동작>
이하, 상술의 구성을 구비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500)에 관해 구체적 동작을 제 7 실시예에서 이용한 데이터예에 따라 도 36 및 도 38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8은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5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8의 흐름도는 제 7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0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와 동일한 처리에 있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여기서는, 제 7 실시예와 다른 단계 S10610 이후에 대하여 도 36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10400)이 표시된 시점에서 설명한다.
이용자가 콘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10420)을 선택하였다면, 비링크 장소 콘텐츠 선택 수신부(10510)는 이 선택을 수신하여, 선택된 콘텐츠의 NE_id와 VE_id를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내부의 레지스터에 저장한다(단계 S10610).
비링크 장소 콘텐츠 선택 수신부(10510)가 이용자의 선택을 수신한 후, 데이터 갱신부(10520)는 레지스터 중의 NE_id와 VE_id에 기초하여 데이터 기억부(l0020)의 네비게이션 정보의 Handler_Part, Bytecode_Part, Hyperlink_Infor- mation_ Part를 참조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선택된 콘텐츠로의 전환을 행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서브핸들러를 검색하여(단계 S10620), 해당 서브핸들러의 유효 기간의 종료 일시를 먼저 일시 입력 수신부(10010)에 수신하고 있는 일시에 의해 갱신한다(단계 S10630).
이용자가 NE_id=1, VE_id=1의 콘텐츠를 선택하였으면, 데이터 갱신부(10520)는 네비게이션 정보(2170)의 Hyperlink-Information_Part(2176)를 참조하여 링크 번호 0번의 링크를 무효로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Bytecode_Part(2172)와 Handler_Part(2173)를 참조하여 링크 번호 0번의 링크를 기술하고 있는 0번의 바이트 코드에 대응하는 0번의 서브핸들러를 검출하여, 유효 기간을 1996년 9월 9일 14시 59분 0초까지 갱신한다.
또, 도 38의 흐름도에는 서브핸들러의 유효 기간을 갱신(단계 S10630)할 때까지만 나타내고 있으나, 단계 S10630 후에 단계 S10170 또는 단계 S10160으로 복귀하도록 하여 처리를 반복하도록 해도 되고, 이에 따라 이용자는 점차로 소정 일시에 있어서 링크 장소로 되지 않도록 하고 싶은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8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는 이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일시의 지정과 이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콘텐츠의 선택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로의 링크가 지정된 일시 이후는 유효가 되지 않도록 네비게이션 정보 를 갱신한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로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및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즉,
(1) 제 1 실시예∼제 6 실시예에서는 바이트 코드로서 명령이 예를 게시하였지만, 이것들의 명령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동작을 실행하는 다양한 명령이더라도 된다. 예를 들면, 기기의 전원을 차단한다고 한 하드웨어에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는 명령이라도 된다.
(2) 제 1 실시예∼제 6 실시예에서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핸들러나 서브핸들러나 그래픽스를 1개의 단위로서 설정하였지만, 복수의 핸들러나 서브핸들러 및 그래픽스에 대하여 정리하여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3) 제 1 실시예∼제 6 실시예에서의 콘텐츠는 정지 화상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지만, 콘텐츠는 동화상이나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이 동화상이나 음성은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MPEG2 시스템 규격에 따라 다중화하여 보내는 것이다.
(4) 제 1 실시예∼제 6 실시예에서의 네비게이션 정보 중에 Graphics_ Property_Part로서 그래픽스의 기술을 나타내었으나 Audio_Property_Part를 설치하여 BGM적으로 재생하는 음성을 기술하는 것으로 하고, 이에 따라서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측에서는 콘텐츠 제시의 내용에 음성을 더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Audio_Property_Part의 요소인 음성 재생용 정보에 대하여 유효가 되는 일시의 정보를 정하고, 일시에 의한 음성 재생의 제어를 가능하게 해도 된다.
(5) 제 1 실시예, 제 3 실시예에서는 제시 일시에 도달한 경우에 핸들러를 기동하는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콘텐츠를 전환하였을때 해당 콘텐츠를 구성하는 네비게이션 정보 중의 Time_Event_Part에 기술되어 있는 제시 일시를 경과하고 있으면, 해당 Time_Event_Part에 기술되어 있는 핸들러를 기동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Time_Event_Part 내의 일시와 핸들러의 번호의 조는 복수라도 된다. 이것은 제 4 실시예에서의 그래픽스 표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기술되어 있는 일시를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일시에 해당하는 표시 상태로 그래픽스를 변경하도록해도 된다.
(6) 제 1 실시예∼제 5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의 현재 시각의 취득은 송신되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행하고 있었지만,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내에 계시 기구를 설치하여, 이 계시 기구로부터 현재일시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경우 시차 보정은 송신되는 네비게이션 정보 중에 표시된 일시의 기준시와,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내의 계시 기구로부터 취득한 현재 일시의 기준시와의 차를 보정하는 것으로 된다.
(7) 제 2 실시예∼제 5 실시예에서의 일시에 의한 제어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 6 실시예에 콘텐츠 표시의 개시부터의 상대적인 경과 시간에 의한 제어를 도시한 바와 같이, 어떠한 시각을 기준으로하여 해당 시각과의 상대적인 시각에 의해서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8) 제 1∼제 5, 제 7, 제 8 실시예에서는 일시를 연월일시분초의 분해능으로 다루었지만, 일시를 연, 연월, 연월일, 연월일시, 연월일시분의 어느 하나 또는 초보다 작은 분해능으로 취급해도 된다.
(9) 제 1 실시예∼제 6 실시예에서는 Hyperlink_Information_Part의 요소로서 VE_id가 기술되어 있는 예를 들었으나, VE_id가 아니라, PID와 stream_id의 조를 기술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서 콘텐츠가 전환되면,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는 해당 PID 등을 필터 조건 기억부(1021)에 설정함으로써 동화상 데이터를 송신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분리 추출하여 표시한다.
(l0) 제 6 실시예에서의 경과 시간의 카운트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내의 계시부에 의하였으나, 제 1 실시예∼제 5 실시예와 같이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여 계시해도 된다. 이 경우는 제 1 실시예∼제 5 실시예와 같이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11) 제 1 실시예∼제 8 실시예에서의 이용자에 의한 지시 등의 입력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서도, 마우스에 의해서도, 그 밖의 입력 디바이스에 의한 것으로 해도 된다.
(12) 제 7 실시예, 제 8 실시예에서의 이용자에 의한 일시의 입력은 키보드로부터 직접 수치로 입력시키고 있지만, 몇개의 후보값을 표시하여 그 중에서 선택하는 것에 따라 간접적으로 수치를 입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13) 제 7 실시예, 제 8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사이의 링크 관계를 표현하는 도형으로서 콘텐츠 사이를 연결하는 실선이나 점선의 선분을 이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도형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지정 일시에 무효인 링크의 표시에 투명의 선분을 이용한다, 즉 링크의 도형을 표시하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콘텐츠를 나타내기 위한 아이콘에 관해서도 임의의 도형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링크 장소로 되어 있는 콘텐츠를 나타내기 위한 아이콘에 대하여 지정 일시 에서의 링크 관계가 유효한 경우와 무효인 경우를 식별 가능하도록 다른 종류의 도형으로 표시해도 된다.
(14) 제 7 실시예, 제 8 실시예에서 GotoPage라는 바이트 코드에 의해서 링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이 판단에 따라 콘텐츠의 상관 관계를 표시하였지만, 또한 상술한 SetGraphicVisibility와 같이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명령을 검색함으로써 콘텐츠의 표시 상태의 상관 관계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15)제 8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자에게 선택된 콘텐츠로의 링크를 실현하는 바이트 코드에 대응하는 서브핸들러에 관한 유효 기간을 갱신하였지만, 해당 서브핸들러에 대응된 그래픽스에 관한 상태 제어하는 일시를 갱신하여, 소정 일시에 불가시 상태로 하도록 해도 된다. 단,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제 4 실시예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데이터 기억부(10020)에 기억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16) 제 7 실시예, 제 8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 편집장치는 이용자에게 지정된 일시에서의 콘텐츠 상관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며, 특정 일시의 콘텐츠사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제 1 실시예에 이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 2 실시예∼제 5 실시예에 나타낸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콘텐츠의 상관 관계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7) 제 1 실시예∼제 6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의 수신 제어부(1050)의 처리 순서(도 14, 도 20, 도 23, 도 25, 도 28, 도 32의 흐름도의 순서)나 제 7 실시예, 제 8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000) 및 (10500)의 처리순서(도 35, 도 38) 등을 기계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하여, 이것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유통·판매의 대상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기록 매체에는 IC 카드나 광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ROM 등이 있지만, 이들에 기록된 기계어 프로그램은 범용의 하드웨어에 인스톨됨으로써 이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범용 하드웨어는 일반의 퍼스널 컴퓨터 등이고, 인스톨한 상기 기계어 프로그램을 차차 실행하여, 제 1 실시예∼제 6 실시예에 나타낸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제 7 실시예, 제 8 실시예에 나타낸 데이터 제시 정보 제어 장치 중 어느 기능을 실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시간적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제어기구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관련 기술에서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관련 기술에서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장치가 표시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관련 기술에서의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간략화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관련 기술에서의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관련 기술에서의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다중화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관련 기술에서의 네비게이션 정보(216)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가 표시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간략화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다중화의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네비게이션 정보 (21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네비게이션 정보(22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네비게이션 정보(23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5는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16의 a는 TDT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의 b는 TOT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네비게이션 정보(217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네비게이션 정보(227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네비게이션 정보(237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제 2 실시예에서의 핸들러의 기동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1은 제 2 실시예에서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네비게이션 정보(218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도면
도 23은 제 3 실시예에서의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4는 네비게이션 정보(61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제 4 실시예에서의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6은 제 4 실시예에서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네비게이션 정보(71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제 5 실시예에서의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1000)가 표시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데이터 송신 장치측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간략화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1은 네비게이션 정보(816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콘텐츠의 전환 동작 및 핸들러의 기동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3의 a는 퀴즈에 대하여 이용자가 시간내에 대답한 경우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33의 b는 퀴즈에 대하여 이용자가 시간내에 대답하지 못한 경우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5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000)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6은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000)가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8은 제 8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10500)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36)

  1.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에 관한 제어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반복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또 상기 경시적 정보를 송신된 데이터로부터 분리 추출하고,
    상기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경시적 정보를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은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의 기준 시각의 차인 시차값을 기억하고,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은 상기 시차값을 참조하여 시차를 보정하여 상기 비교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또 상기 시차값과 상기 경시적 정보를 송신된 데이터로부터 분리 추출하고,
    상기 시차값을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며,
    상기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경시적 정보를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7.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과 상기 명령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에서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동작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정보 비교 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 정보 비교 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제시 제어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9.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고 당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에 관한 제어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제시 제어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10.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각각의 콘텐츠에 대응하고 당해 콘텐츠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콘텐츠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과,
    상기 링크 실행 수단에 의한 콘텐츠의 제시에 있어서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시에 관한 제어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 정보 비교 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 정보 비교 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제시를 제어하는 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11.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당해 명령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명령 및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명령 실행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제시 제어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또한 콘텐츠와 관련되어 있고,
    상기 제시 제어 수단은 제시 제어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제시되어 있을 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일시를 나타내는 제어용 일시이며, 상기 경시적 정보는 현재 일시이며,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은 제어용 일시가 현재 일시 이전을 나타내는 경우에 제어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콘텐츠의 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제어용 경과 시간이며, 상기 경시적 정보는 콘텐츠의 표시로부터의 현재의 경과 시간이며,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은 상기 현재의 경과 시간이 제어용 경과 시간 이상을 나타내는 경우에 제어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15.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당해 명령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이고 1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관련되어 있는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명령과,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와, 상기 1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대상 식별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명령 실행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가 실행 가능일 경우에 상기 대상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1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제시되어 있다면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제시 제어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른 콘텐츠의 제시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링크 지시 수신 수단이 수신된 제시 지정에 따라 콘텐츠를 제시하는 링크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16.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당해 명령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이용자의 조작 지시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명령 및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의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은 송신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분리 추출함으로써 행하는 수신 수단과,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동작 지시를 수신하는 링크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동작 지시 수신 수단이 동작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명령 실행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과,
    상기 시간정보 비교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
  17.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반복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은 또한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또 상기 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는 또,
    현재 일시를 계시하는 계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수단은 또 상기 현재 일시를 나타내는 경시적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은 현재 일시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인 제어용 일시의 기준 시각의 차인 시차값을 기억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시차값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2.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과 상기 명령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명령과,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4.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고 당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5.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각각의 콘텐츠에 대응하고 당해 콘텐츠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 및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6.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당해 명령의 실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명령 및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일시를 나타내는 제어용 일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는 소정의 콘텐츠의 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제어용 경과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9.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당해 명령의 실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이고 1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명령과,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30.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명령과,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서 당해 명령의 실행 요구가 이루어졌을 때 실행을 억제하는지의 여부의 판단 기준으로 되는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와,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관련시킨 정보인 링크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명령과,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31. 복수의 콘텐츠의 상호 관계를 표시 화면에 표현하고, 콘텐츠의 관계를 제어하기 위한 일시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편집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에 있어서,
    제 1 콘텐츠로부터 제 2 콘텐츠로의 제시 변경의 경로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와 당해 링크 정보의 유효 기간에 관한 유효 기간 정보의 조를 복수개와, 콘텐츠의 표시 및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콘텐츠 제어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일시 지정을 수신하는 일시 지정 수신 수단과,
    상기 유효 기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일시에서 유효한 링크 정보에 착안함으로써 당해 일시에서의 상기 콘텐츠의 상관 관계를 표시 화면에 표현하는 콘텐츠 상관 관계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는 또한,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콘텐츠의 지정을 수신하는 콘텐츠 지정 수신 수단과,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로의 제시 변경의 경로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에 대하여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일시에는 무효가 되도록 당해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유효 기간 정보를 갱신하는 링크 정보 갱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 및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디지털 방송의 송신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제시를 행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34.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재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시제어 프로그램은,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시시키기 위한 제어의 가부를 판단하는 시간 정보 비교 판단 단계와,
    상기 시간 정보 비교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하는 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35.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과, 당해 명령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적 정보인 제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재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시제어 프로그램은,
    현재의 경시적 정보를 취득하는 경시적 정보 취득 단계와,
    소정 시간 간격마다 상기 경시적 정보와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상기 명령을 실행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정보 비교 판단 단계와,
    상기 시간 정보 비교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제시 제어장치에 상기 제어용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시키는 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36. 복수의 콘텐츠의 상관 관계를 표시 화면에 표현하고 콘텐츠의 관계를 제어하기 위한 일시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편집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 프로그램을 기재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프로그램은,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에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일시의 지정을 수신시키는 일시지정 수신 단계와,
    콘텐츠의 표시 및 소정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콘텐츠 제어정보와 제 1 콘텐츠로부터 제 2 콘텐츠로의 제시 변경의 경로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의 유효 기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일시에서 유효한 링크 정보에 착안함으로써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에 당해 일시의 상기 콘텐츠의 상관관계를 표시 화면에 표현시키는 콘텐츠 상관관계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19970046691A 1996-09-11 1997-09-11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 장치,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KR100466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40297 1996-09-11
JP24029796 1996-09-11
JP96-240297 1996-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539A KR19980024539A (ko) 1998-07-06
KR100466456B1 true KR100466456B1 (ko) 2005-04-06

Family

ID=1705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691A KR100466456B1 (ko) 1996-09-11 1997-09-11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 장치,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223347B1 (ko)
EP (3) EP1517560A1 (ko)
KR (1) KR100466456B1 (ko)
CN (3) CN100452831C (ko)
DE (2) DE69724061T3 (ko)
HK (1) HK1016774A1 (ko)
MY (1) MY118948A (ko)
TW (1) TW3465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7986B2 (en) 1998-03-12 2003-05-20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a globally accurate knowledge of time and frequency to a plurality of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studios
US6661966B1 (en) * 1998-03-23 2003-12-09 Canon Kabushiki Kaisha Reproduc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rea
WO1999066679A1 (en) * 1998-06-19 1999-12-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and device, and program recorded medium
JP4196473B2 (ja) * 1998-06-26 2008-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データ受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092120A (en) 1998-06-26 2000-07-18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ly delivery of a byte code and serialized objects stream
EP1705918B1 (en) 1998-07-14 2011-02-23 Sony Corporation Data receiving apparatus
JP2000067489A (ja) * 1998-08-20 2000-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6986159B1 (en) 1998-10-15 2006-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nd recording digital broadcast programs
JP3935276B2 (ja) * 1998-10-21 2007-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方法、装置、記憶媒体、及び送出装置
US7222354B1 (en) * 1999-10-05 2007-05-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omposition at the set-top box
US6381534B2 (en) * 2000-02-14 2002-04-30 Fujitsu Limited Navigatio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336069B1 (en) * 2000-03-16 2012-12-18 Jlb Ventur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EP1791323A1 (en) * 2000-03-30 2007-05-30 Sony Corporation Content reservation control methods
US7013479B2 (en) 2000-04-14 2006-03-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transmitting data carousel and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carousel
US6751713B1 (en) * 2000-06-05 2004-06-1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ed activation of system information tables in digital transport streams
JP2002007298A (ja) * 2000-06-27 2002-01-11 Hitachi Ltd 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おける情報の表示方法およ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US8667553B2 (en) 2001-06-19 2014-03-04 Opentv, Inc. Automated input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JP4072011B2 (ja) * 2001-12-05 2008-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これを用いた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用のプログラム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用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792323B2 (en) * 2002-06-27 2004-09-14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
US20040010793A1 (en) * 2002-07-12 2004-01-15 Wallace Michael W. Method and system for flexible time-based control of application appearance and behavior
US7231630B2 (en) * 2002-07-12 2007-06-12 Ensequence Inc. Method and system automatic control of graphical computer application appearance and execution
JP4396242B2 (ja) * 2003-11-28 2010-0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リンク構造情報作成装置及び方法
JP3960609B2 (ja) * 2004-01-22 2007-08-15 株式会社ドワンゴ サーバ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583923B2 (en) 2004-05-06 2009-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ring structure and fus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bearing structure
GB0411682D0 (en) * 2004-05-25 2004-06-30 Chello Broadband N V Display of enhanced content
JP4843208B2 (ja) * 2004-09-30 2011-12-21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コンテンツ編集装置、デジタルコンテンツ編集方法、デジタルコンテンツ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編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258987B1 (ko) * 2005-08-02 201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전환 방법
JP4564464B2 (ja) * 2006-01-05 2010-10-20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00096A (ja) * 2006-01-27 2007-08-09 Fuji Xerox Co Ltd 文書処理操作システム
JP2009049837A (ja) * 2007-08-22 2009-03-05 Funai Electric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EP2343845A3 (en) 2009-12-31 2011-10-19 Thomson Licensing Precise compensation of video propagation duration
US8676991B2 (en) * 2010-01-13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chanisms and systems for enabling, transmitting and maintaining interactivity features on mobile devices in a mobile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77774A1 (en) * 2010-01-13 2011-07-2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generation, delivery, and execution of interactive applications over a mobile broadcast network
US9032466B2 (en) 2010-01-13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ed delivery of interactivity event assets in a mobile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77775A1 (en) * 2010-01-13 2011-07-2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chanisms, templates and systems for creation and delivery of interactivity events on mobile devices in a mobile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9485535B2 (en) * 2010-01-13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Notification of interactivity event asset delivery sources in a mobile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8914471B2 (en) 2010-05-28 2014-12-16 Qualcomm Incorporated File delivery over a broadcast network using file system abstraction, broadcast schedule messages and selective reception
WO2016016923A1 (ja) * 2014-07-28 2016-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差分データ作成システム、データ更新システム及び差分データ作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7455B1 (en) 1988-07-15 1993-04-13 System and process for vcr scheduling
US4918531A (en) * 1988-10-25 1990-04-1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mmercial message timer
JPH0789267B2 (ja) 1989-06-06 1995-09-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編集/提示方法とその装置
JP2811887B2 (ja) 1990-03-27 1998-10-1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
JP2763975B2 (ja) 1990-10-31 1998-06-11 エルジー電子 株式会社 Tv又はvcrの生活情報記録/表示方法
GB9219505D0 (en) * 1992-09-15 1992-10-2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Bias control apparatus for a data slicer in an auxiliary video information decoder
US5539871A (en) * 1992-11-02 1996-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ssociated data sets in a multimedia environment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5521712A (en) * 1993-02-12 1996-05-28 Sony Corporation Teletext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6251450A (ja) * 1993-02-25 1994-09-09 Sharp Corp 時差対応pdc録画予約システム
CN1050255C (zh) * 1993-04-03 2000-03-08 汤姆森消费电子有限公司 用于宽屏电视的水平画面摄取系统
US5648813A (en) * 1993-10-20 1997-07-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raphical-interactive-screen display apparatus and peripheral units
NO180312C (no) 1994-03-14 1997-03-26 Kvaerner Eureka As Fundamentrör for bruk som fundament for master, stolper, söyler etc., samt fremgangsmåte for dannelsen av et fundament
WO1995025313A1 (en) * 1994-03-16 1995-09-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and scheduling of multiple data streams and real time tasks
EP0680216B1 (en) * 1994-04-28 2007-11-21 OpenTV,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ulating an interactive signal
EP0892661A4 (en) * 1994-07-21 1999-12-29 Jan Stelovsky MULTIMEDIA SYSTEM WITH TIME SLICES FOR GAME AND CREATION
JP3644455B2 (ja) * 1994-09-29 2005-04-27 ソニー株式会社 番組情報放送方式、番組情報表示方法および受信装置
US5715314A (en) * 1994-10-24 1998-02-03 Open Market, Inc. Network sales system
KR0138845B1 (ko) * 1994-12-13 1998-06-01 양승택 엠핵(mheg)엔진에서의 멀티미디어 정보 동기 제어기 및 그 제어방법
JP3918033B2 (ja) * 1994-12-14 2007-05-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サブタイトル送信システム
JPH08214224A (ja) * 1995-02-03 1996-08-20 Sony Corp テレビジョン装置
JP3527311B2 (ja) 1995-03-03 2004-05-1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表示ボード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5818441A (en) * 1995-06-15 1998-10-06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two-way connectivity for one way data streams
US5696500A (en) * 1995-08-18 1997-12-09 Motorola, Inc. Multi-media receiver and system therefor
US5708845A (en) 1995-09-29 1998-01-13 Wistendahl; Douglass A. System for mapping hot spots in media content for interactive digital media program
US6240555B1 (en) * 1996-03-29 2001-05-29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entertainment system for presenting supplemental interactive content together with continuous video programs
US5900905A (en) * 1996-06-05 1999-05-0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video, services and applications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US5929850A (en) * 1996-07-01 1999-07-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having on-demand web-like navigational capabilities for displaying requested hyperlinked web-like still images associated with television content
DE69725533T2 (de) 1996-08-30 2004-05-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Digitales Rundfunksystem, digitale Rundfunkvorrichtung und Empfänger dafür
US5931908A (en) * 1996-12-23 1999-08-03 The Walt Disney Corporation Visual object present within live programming as an actionable event for user selection of alternate programming wherein the actionable event is selected by human operator at a head end for distributed data and programming
US6256785B1 (en) * 1996-12-23 2001-07-03 Corporate Media Patner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look-and-feel in a digital broadcast via an X-Y protocol
US6317885B1 (en) * 1997-06-26 2001-11-13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system using television set-top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4061T2 (de) 2004-06-09
CN1197341A (zh) 1998-10-28
CN100452831C (zh) 2009-01-14
DE69724061T3 (de) 2007-05-31
DE69731780D1 (de) 2004-12-30
US20010054184A1 (en) 2001-12-20
KR19980024539A (ko) 1998-07-06
EP0830019B1 (en) 2003-08-13
DE69731780T2 (de) 2005-11-10
CN1199438C (zh) 2005-04-27
EP1517560A1 (en) 2005-03-23
EP0830019A2 (en) 1998-03-18
EP1309190B1 (en) 2004-11-24
MY118948A (en) 2005-02-28
EP0830019A3 (en) 1999-02-10
DE69724061D1 (de) 2003-09-18
TW346593B (en) 1998-12-01
CN1655595A (zh) 2005-08-17
EP0830019B2 (en) 2007-01-10
CN1897641A (zh) 2007-01-17
US6223347B1 (en) 2001-04-24
EP1309190A1 (en) 2003-05-07
HK1016774A1 (en)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456B1 (ko)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시 제어 장치,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 제시 제어정보 편집장치
KR100508811B1 (ko) 디지털방송시스템,디지털방송장치및디지털방송에서의수신장치
US6954795B2 (e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 and transmission apparatus for data broadcast
EP0863669B1 (en) Broadcast receiver selectively using navigation information multiplexed on transport stre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of the same
US6557171B1 (en) Digital tv broadcast sending apparatus, digital tv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gital tv broadcast sending / receiving system which facilitate preselection of tv program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achieving a function of the digital tv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7555000B2 (en) Digital broadcast system
CN100581237C (zh) 广播信号以及对其解码的装置和方法
KR100519144B1 (ko) 한쪽방향으로방송되는방대한수의영상정보중,조작자가시청을희망한것을캐시를이용하여보다고속으로표시시킬수있는단말장치,당해단말장치에서이용되는재생방법,기록매체
CN100477757C (zh) 数字广播接收设备及其控制方法
KR100664012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출력언어 표시방법
KR100507808B1 (ko) 디지털 티브이용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에서이티티정보 존재여부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US201200667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contents
CN102204269B (zh) 处理多模式业务广播信号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数字电视接收机
US8863181B2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providing background channel EPG
KR101190350B1 (ko) 표시 제어 장치, 수신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01292425A (ja) 摺動型グラフックウィンドウを用いたメディアコンテンツとのインターラクティブシステム
JP3431465B2 (ja) データの提示を制御するデータ提示制御装置、データの提示を制御するために用いる情報を送信するデータ送信装置
KR20070013788A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채널 정보 정렬 방법
JP2004080748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およびこれを含んだシステム
KR100935266B1 (ko) 시청된 프로그램의 히스토리 처리 방법
JP3837378B2 (ja) データの提示を制御するデータ提示制御装置、データの提示を制御するために用いる情報を送信する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の提示を制御するために用いる情報を編集するためのデータ提示制御情報編集装置
KR101025212B1 (ko)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시 선호 채널 팝업창 표시 시스템 및방법
JP3987843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10009192A (ko)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MXPA99010439A (en) A system for processing programs and parameter information derived from multiple sources of transm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