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258B1 - 카세트형 촬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형 촬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258B1
KR100465258B1 KR10-2002-0050806A KR20020050806A KR100465258B1 KR 100465258 B1 KR100465258 B1 KR 100465258B1 KR 20020050806 A KR20020050806 A KR 20020050806A KR 100465258 B1 KR100465258 B1 KR 100465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cable
imaging device
radiographic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139A (ko
Inventor
야마모토오사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의 방사선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세트형 촬상장치로써, 실질적으로 4각형의 방사선검출면을 가지는 방사선상 검출부를 포함한 전기 회로부와, 상기 전기 회로부를 내포하는 케이스체와, 상기 방사선상검출면에 대향하는 상기 게이스의 방사선 입사면을 포함한 면을 전면으로 하였을 때, 상기 사각형의 한 변에 대면하는 상기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파수부와, 상기 전기 회로부와 외부 장치를 전지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로서,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변과 상기 한변에 교차하는 상기 방사선상검출면의 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상기 파수부 쪽에 있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영역으로써의 파수부쪽 측면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로 한다.

Description

카세트형 촬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CASSETTE-TYPE IMAGE TAKING APPARATUS AND RADIOGRAPHIC APPARATUS}
본 발명은 카세트형 촬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방사선으로 피사체를 조사 하고,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의 강도 분포를 검출 하고, 피사체의 방사선 화상을 얻는 방법은, 공업용의 비파괴 검사나 의료 진단의 장소에서 넓고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미소한 광전변환 소자 및 스위칭 소자등으로부터 구성되는 광검출소자가 격자형상으로 배열되는 2차원 어레이센서와, 방사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신틸레이터를 적층해서 구성되는 방사선 검출기를 사용한 디지털방사선촬영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방사선촬영장치는,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신틸레이터에 의해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고,이 가시광선을 광검출 소자의 광전전환부에 의해 전기신호 로서 검출한다. 이 전기신호는, 각 광검출 소자로부터 소정의 판독 방법에 의해 판독된 후, A/D변환 되고, 그 결과, 디지털 방사선 화상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 방사선 화상 신호는, 후단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여러 가지의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CRT등의 재생 수단에 의해 방사선 화상으로서 재생된다.
이러한 디지털방사선촬영장치는, 은염필름 및 형광스크린판(혹은 증감지) 를 사용하는 방사선촬영장치 보다도 검출할 수 있는 방사선량의 범위(다이나믹 레인지)가 넓고, 또한 전기신호로 변환된 화상 신호를 즉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처리된 가시 화상도 즉시적으로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얻어진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 의해 시스템 제어부, 스토리지 서버등에 전송 되어 용이하게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가 있다.
그런데, 의료용의 정지화면용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에는, 진단을 받는 환자에 대한 촬영 기법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거치형과 포터불형의 2종류가 있다. 거치형은, 일반적으로, 환자를 싣는 테이블아래에 필름 또는 광전변환기를 내포하는 촬상장치를 설치하고, 환자 위쪽으로부터 환자에게 방사선을 조사해서 방사선 화상(예를 들면, 복부 화상등 )을 취득한다. 포터블은, 환자의 용태가 매우나빠서 촬상 장치가 설치된 테이블까지 이동할 수 없는 경우나, 촬영기법이 특수하기 때문에 거치형에서는 촬영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이동 가능한 촬상 장치(카세트로 불린다)를 환자의 신체 아래에 삽입 하고, 위쪽으로부터 방사선을 조사해 방사선 화상을 취득한다. 특히, 전자의 경우, 환자가 있는 장소까지 휴대형 방사선 촬영 장치를 옮길 필요가 있기 때문에, 휴대성이나 조작성을 고려해 극력 소형화 및 경량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디지털방사선촬영장치를 휴대형으로 한 경우, 방사선 화상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데 필요한 2차원 어레이센서나 A/D변환 회로와 같은 많은, 구성요소를 전자카세트 또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에 탑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필름카세트에 비해 전자카세트는 소형화 및 경량화가 곤란하다. 또한, 전원 공급이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을 없애고, 무선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일시 보존하기 위한 메모리나 전자카세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배터리) 등이 부가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소형화 및 경량화가 더욱 곤란해져 버린다.
따라서, 휴대성이나 조작성을 고려한 결과, 전원 공급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을 사용하는 전자카세트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노력하는 것과 동시에, 당해 케이블을 착탈 자재하고, 예를 들면, 촬영 및 데이터 전송시만 케이블을 접속해서 전자카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도 10은, 종래의 포터블형 디지털방사선촬영장치 (100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촬영장치 (1000)은, 피사체인 환자 (P)를 투과한 방사선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전자카세트 (1100))와, 전자카세트 (1100)을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송신 하고, 전자카세트 (1100)으로부터 디지털화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장치 (1200)를 케이블 (1300)을 개재하여 접속해서 구성된다. 또한, 촬영 장치에 전원 공급을 하는 전원 장치 (1400)도 케이블(1300)에 의해 접속된다.
방사선촬영장치 (1000)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케이블 (1300)과 접속하지 않은 상태의 전자카세트 (l100)는, 예를 들면,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환자 (P)와 침대 (1500)의 사이에 삽입 하고, 촬영을 위한 적당한 범위에 배치한다. 여기서, 도 11은, 전자카세트 (1100)의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전자카세트 (1100)의 배치를 종료하면, 케이블 (1300)을 전자카세트 (1100)의 접속부 (1110)에 접속해서 전자카세트 (1100), 제어장치 (1200)및 전원 장치 (1400)을 접속한다. 그리고, 케이블 (1300)을 개재하여, 제어장치 (1200)으로부터 제어 신호, 및 전원 장치 (1400)으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전자카세트 (1100)가 동작해서 촬영을 시작한다. 촬영 후, 전자카세트 (1100)으로부터 케이블 (1300)을 개재하여 제어장치 (1200)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가 전송된다.
그러나, 조작자가 전자카세트 (1100)을 배치 할 때, 전자카세트 (1100)에는 케이블 (1300)이 아직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자카세트 (1100)의 접속부 (1110)에 주의하지 않고 배치해 버리면, 도 12에 표시한 상태와 같이 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도 12는, 전자카세트 (1100)의 접속부 (1110)의 위치가 환자 (P)와 침대 (1500)의 사이에 있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그 결과, 케이블 (1300)을 전자카세트 (1100)의 접속부 (1110)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조작자는 환자(P)의 몸을 일으켜 케이블 (1300)을 접속부 (1110)에 접속하던가, 혹은, 전자카세트 (1100)을 한 번 뽑아내고 방향을 바꾸고 나서 재차 환자 (P)와 침대 (1500)사이에 삽입 하고, 케이블 (1300)을 접속부 (1110)에 접속해야 한다. 어떻게 하더라도 환자 (P)에 대해서 몸의 자세를 바꾸는 동작을 강요하게 된다.
또한, 전자카세트 (1100)의 방사선 검출기의 검출 영역을, 시판의 필름 또는 필른카세트의 사이즈에 맞추어, 예를 들면, 17"×15"의 직사각형으로 해도 된다. 이 때, 도 13a 및 13b에 나타내는 것 같은 전자카세트 (1100)의 배치 방법이 생각된다. 여기서, 도 13A 및 13B는, 전자카세트 (1100)의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3(A)은, 전자카세트 (1100)의 접속부 (1110)의 위치가 환자 (P)와 침대 1500의 사이에 없는 경우, 도 13 (b)은, 전자카세트 (1100)의 접속부 (1110)의 위치가 환자 (P)와 침대 (1500)의 사이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 13(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자카세트 (1100)의 접속부 (1110) 의 위치가 환자 (P)와 침대 (1500)의 사이에 있으면, 케이블 (1300)을 접속부 (1110)에 접속할 때에, 상술한 것처럼 환자 (P)의 자세를 바꾸는 동작을 강요하게 된다.
또한, 전자카세트는, 신체의 이동이 엄격히 제한된 환자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자세로 사용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전자카세트의 접속부의 위치를 항상 주의하면서 전자카세트의 배치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조작자가 용이하게 전자카세트에 케이블을 접속할 수가 있고 또한, 전자카세트와 케이블의 접속의 편리를 위해서 환자가 자세를 바꿀 필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봐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자카세트의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자카세트의 개략 단면 블록도.
도 4a 및 4b는 도 3에 나타내는 제어회로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전자카세트의 변형예인 전자카세트의 개략 단면 블록도.
도 6 및 6b는 도 5에 나타내는 제어회로의 회로구성도.
도 7은 다른 방사선촬영장치의 개략도.
도 8a 및 8b는 도 7에 나타내는 전자카세트의 변형예인 전자카세트의 모식도.
도 9a 및 9b는 도 8a 및 8b에 나타내는 전자카세트의 변형예인 전자카세트의 모식도.
도 10은 종래기슬에 따른 방사선촬영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 도 10에 도시한 전자카세트의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 도 11에 도시한 전자카세트의 배치에 대해서 90˚회전한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a 및 13b는 카세트가 직4각형 형상인 도 10에 나타내는 전자카세트의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 대한 설명]
1, 2 : 방사선 촬영 장치
10 : 10A, 80, 80A,80B : 전자카세트
12 : 광상검출부
16 a : 16b, 84, 84a, 84b : 접속부
30 : 시스템 제어장치
40 : 전원 장치
82, 82a, 82b : 파지부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피사체의 방사선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세트형 촬상 장치 로서, 방사선상검출부를 포함한 전기 회로부와, 상기 전기 회로부를 내포 하는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회로부와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접속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선상검출부의 방사선상검출면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방사선 입사면을 포함하는 면을 전면으로 하였을 때, 상기 방사선상검출면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을 나타내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의 적어도 2개의 코너에 형성되고 상기 코너의 각각은 상기 사각형의 4개의 코너중 적어도 대향하는 2개의 코너의 한 코너와 대향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부는 4각형의 4개의 코너와 각각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측면의 4개의 코너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적 접속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 회로부에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전기 회로부와 상기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중 적어도 한 쪽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피사체의 방사선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세트형 촬상 장치 로서, 실 질적으로 사각형의 방사선상검출면을 가지는 방사선상검출부를포함한 전기 회로부와, 상기 전기 회로부를 내포 하는 케이스체와, 상기 방사선상검출면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방사선 입사면을 포함하는 면을 전면으로 하였을 때 상기 사각형의 한 변과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파수부 와, 상기 전기 회로부와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로서, 그 적어도일부가, 상기 한 변과 상기 한 변과 교차하는 상기 방사선상검출면의 법선을 포함한 평면에 대하여, 상기 파수부 쪽에 있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영역 으로서의 파수부측 측면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부를 가지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파수부는 상기 사각형의 복수의 변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복수의 측면에 설치되고 있는 복수의 파수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파수부는 상기 사각형의 서로 이웃이 되는 2변에 각각 대칭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2개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2개의 파수부의 상기 파수부쪽 측면영역과 공통의 영역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파수부는 상기 사각형의 서로 이웃이 되는 2변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2개의 측면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상기 2개의 접속부는 각각 상기 2개의 파수부의 상기 파수부쪽 측면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4개의 파수부는 상기 사각형의 4변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4개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상기 4개의 접속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4개의 파수부의 상기 파수부쪽 측면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 하게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 회로부에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전기 회로부와 상기 외부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의 적어도 한 쪽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방사선상 검출부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부, 상기 전기회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체 및 상기 케이스케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회로부와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부로 이루어진, 피사체의 방사선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세트형 촬상장치와;
상기 외부기기로 이루어진 방사선촬영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카세트형 촬상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카세트형 촬상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방사선상검출면이 실질적으로 4각형으로 형성된 방사선화상검출부을 포함하는 전기회로부, 상기 전기 회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체 및 상기 방사선상검출면과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방사선입사면을 포함하는 면을 전면으로 했을 때, 상기 4각형의 한 변과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 측면에 형성된 파수부 및 상기 전기회로부와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로써,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변과 상기 한 변과 교차하는 상기 방사선 상검출면의 법선을 포함한 평면에 대하여 상기 파수부쪽에 있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영역으로써의 파수부쪽 측면영역에 설치되어 있는접속부로 이루어진, 피사체의 방사선화상을 취득하기위한 카세트형 촬상장치와, 상기 외부기기로 이루어진 방사선촬영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카세트형 촬상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카세트형 촬상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다.
유첨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유첨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유첨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방사선화상촬영장치 (1)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구성요소는 다른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방사선촬영장치 (1)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방사선촬영장치 (1)는 전자카세트(10), 케이블(20), 시스템제어장치(30), 전원장치(40), 기억장치(50) 및 방사선발생장치(60)를 가진다. 상기 방사선촬영장치 (1)는 방사선을 조사해서 피사체의 내부구조를 디지털화상으로써 얻는 디지털방사선화상촬영장치이다.
전자카세트 (10)는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고, 이 가시광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피사체의 디지털화상데이터를 발생하는 촬상장치이다. 전자카세트 (10)는 방사선상검출부의 방사선상검출면(광상검출부의 광상검출면등으로 지칭함)에 법선방향으로 본 바와같이 실질적으로 4각형을 나타내고 있고, 이 4각형의 4개의 정점(코너로 지칭해도 됨)중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2개의 정점에접속부 (16a) 및 (16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블 (20)을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카세트 (10)의 접속부 (16a)에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자카세트 (10)를 90°회전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블 (20)을 접속부 (16b)에 접속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2는 전자카세트 (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와같이, 접속부 (16a) 및 (16b)중 하나는 항상 조작자가 케이블 (20)을 접속하기 용이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전자카세트(10)의 접속부 (16a) 및 (16b)의 위치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전자카세트 (10)를 배치할 수 있고, 환자(p)에 대해서도 케이블 (20)의 접속을 위해 자세를 변경시키는 동작을 강요할 필요가 없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자카세트(10)(즉, 방사선검출영역)는 실질적으로 정 4각형형상이나, 직 4각형형상이어도 접속부 (16a) 및 (16b)는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정점에 있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2개의 접속부를 가지고 있으나, 4개의 정점 모두에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접속부를 형성해도 된다.
도 3은 전자카세트 (10)의 개략 단면 블록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카세트(10)는 신틸레이터(11), 광상검출부(12), 광에너지 모니터부(13), 전기기판(14), 제어회로(15), 접속부(16)(참조번호 (16)은 (16a) 및 (16b)를 총괄적으로 지칭함), 전원케이블(17)(참조번호 (17)은(17a)∼(17c) 총괄적으로 지칭함), 전송케이블 (18)(참조번호 (18)은(18a)∼(18b) 총괄적으로 지칭함)을 가진다. 또, 광상점출부(12), 광에너지모니터부(13) 및 전기기판(14)등과 같은 전기회로요소를 포함하는 전자카세트의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또는 총칭적으로 전기회로부로 칭한다.
신틸레이터 (11)은,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한다. 신틸레이터 (11)에 있어서, 높은 에너지의 방사선에 의해 형광재의 모체 물질이 여기 되고, 재결합할 때의 재결합 에너지에 의해 가시 영역의 형광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형광은 CaWO4등의 모체물질 자체에 의하는 것이나, CSI:TI 및 ZnS:Ag등의 모체물질내에서 활성화된 발광 중심 물질에 의하는 것이 있다.
광상검출부 (12)는, 신틸레이터 (11)에 밀착해 배치 되고,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평성 8-116044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광전변환소자와 박막 트랜지스터 (TFT)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여 구성되어 있다. 광상검출부 (12)는,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발광한 신틸레이터 (11)으로부터의 가시광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광에너지 모니터부 (13)은, 광상검출부 (12)의 이면에 아몰퍼스 실리콘 수광 소자를 성막해 구성 되고, 방사선에의 노광량을 감시한다. 광에너지 모니터부 (13)은,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발광한 신틸레이터 (11)으로부터의 가시광선으로부터, 광상검출부 (12)를 투과하는 광을 검출하고, 시스템 제어장치 (30)에 전송한다.
전기 기판 (14)에는, 방사선 발생 장치 (60)으로부터 발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광상검출부 (12)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 (14)와, 구동 회로 (14)에 의해 선택된 광상검출부 (12)내의 요소(화소에 대응)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거나처리를 행하는 증폭기 (144)와, 증폭기 (144)로부터의 출력을 디지털 변환하는 A/D변환회로 (146)와, 구동 회로 (142)및 A/D변환 회로 (146)에 의해 순차연속적으로 디지털화된 화상 데이터를 시리얼라이즈하는 시리얼라이즈회로 (148)이 탑재 되고, 또한 각 구성요소에의 전원의 전송을 행하는 전원 케이블 (17)과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신호 케이블 (18)이 배선되어 있다.
제어 회로 (15)는, 케이블 (20)이 접속부 (16a) 및 (16b)의 어느 쪽으로 접속되었는지를 식별 하고, 케이블 (20)이 접속된 접속부 (16a) 또는 (16b)의 전원 공급의 게이트를 오픈한다. 동시에, 케이블 (2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접속부 (16a) 또는 (16b)로부터의 전원 공급의 게이트를 클로우즈의 상태로 한다.
제어 회로 (15)는, 도 (4a) 및 (4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원 장치 (40)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의 입력구 (151a) 및 (151b)와, 전기 기판 (14)에 탑재되는 각 회로 및 광상검출부 (12)를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DC전압치의 전원 공급을 오픈, 클로우스 하는 릴레이 회로 (152a) 및 (152b)와, 릴레이 회로 (152a) 및 (152b)의 동작을 주관하는 트리거 회로 (153a) 및 (153b)와, 2개의 게이트로 구성되는 OR회로 (154)와, 출력구 (155)를 가진다. 입력구 (151a) 및 (151b)는 각각 전원 케이블 (17a) 및 (17b)와 접속 되고, 출력구 (155)는 전원 케이블 (17c)과 접속되고 있다.
여기서, 도 (4a) 및 (4b)는, 제어 회로 125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 (A)는, 전자카세트 (10)의 접속부 (16a) 및 (46b)에 케이블 (2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제어 회로 (15)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4(b)는, 전자카세트 (10)의 접속부 (16a)에 케이블 (20)이 접속되었을 경우의 제어 회로 (15)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 (a)에 있어서, 전자카세트 (10)의 접속부 (16a) 및 (16b)에는 케이블 (20)이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릴레이 회로 (152a) 및 (152b)의 게이트는 클로우즈 상태, 트리거 회로 (153a) 및 (153b)의 게이트는 오픈 상태에 있다. 또한, OR 회로 (154)의 2개의 게이트는 오픈 상태에 있다.
도 4 (b)에 있어서, 전자카세트 (10)의 접속부 (16a)에 케이블 (20)이 접속되면, 전원 케이블 (17a)를 개재하여 입력구 (151a)까지 전류가 전송된다. 그리고 트리거선 (156a)를 흐르는 전류는, 오픈 상태로에 있는 트리거 회로 (153a)의 게이트를 흐르고, 또한, 오픈 상태에 있는 OR회로의 한 쪽의 게이트를 흐른 후, 접지 선(157a)에 도달한다. 그 결과, 트리거 회로 (153a) 및 OR회로 (154)가 통전 상태로 된다.
통전 상태에 있는 트리거 회로 (153a)는, 릴레이 회로 (152a)의 게이트를 오픈 상태로 한다. 그 결과, 전원선 (158a)를 흐르는 전원 전류가 오픈 상태에 있는 릴레이 회로 (152a)의 게이트를 흐르고, 출력구 (155) 및 전원 케이블 (17c)를 개재하여 전기 기판 (14)에 통전 된다.
한편, OR회로 (154)는, 한 쪽의 게이트가 통전되면, 통전되어 있지 않은 측의 게이트를 클로우즈 상태로 하고, 동시에, 통전되어 있지 않은 측의 트리거 회로(본 실시예에서는, 트리거 회로 (153b))의 게이트를 클로우즈 상태로 한다. 그 결과, 릴레이 회로 (152b)의 게이트는 클로우즈 상태를 유지 하고, 접속부 (16b)까지의 부분은 공급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절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조작자나 환자 (P)가 접속부 (16b)에 접촉해도 감전할 위험이 없다. 마찬가지로, 접속부 (16b)에 도시 하지 않은 제2 제어장치 및 제2 전원 장치의 케이블을 접속부 (16b)에 접속해도 회로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전자카세트 (10)의 접속부 (16a) 및 (16b)에 케이블 2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부 (16b)에 케이블 (20)을 새로 접속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전자카세트 (10)의 접속부 (16a) 및 (16b)에 케이블 (20)이 접속되면, 전원 케이블 (17b)를 개재하여 입력구 (151b)의 접속부 (16b)까지 전류가 전송된다. 그리고 트리거선 (156b)를 흐르는 전류는, 오픈 상태에 있는 트리거 회로 (153b)의 게이트를 흐르고, 또한, 오픈 상태에 있는 OR회로의 한 쪽의 게이트를 흐른 후, 접지선 (157 b)에 도달한다. 그 결과, 트리거 회로 (153b) 및 OR회로 (154)는 통전 상태가 된다.
통전 상태에 있는 트리거 회로 (153b)는, 릴레이 회로 (152b)의 게이트를 오픈 상태로 한다. 그 결과, 전원선 (158b)를 흐르는 공급 전류는 오픈 상태에 있는 릴레이회로 (152b)의 게이트를 흐르고, 출력구 (155) 및 전원 케이블 (17c)를 개재하여 전기 기판 (14)을 통전 한다. OR회로 (154)에 의해, 접속부 (16a)측이 절연 상태가 되는 것은, 상술한 것과 같다.
케이블 (20)을 접속부 (16a) 또는 (16b)로부터 떼어내면, 릴레이 회로 (152a) 및 (152b), 트리거 회로 (153a) 및 (153b) 및 OR회로 154는,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 (16a) 및 (16b)에 케이블 (2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돌아온다.
제어 회로 (15)는, 케이블 (20)의 접속부가 접속부가 (16a) 및 (16b)를 포함하는 2개소로 부터, 3개소 이상으로 증가해도, OR회로 (154)의 게이트수를 늘려, 1개소의 접속부의 게이트가 통전 되면 다른 접속부와 연결되는 모든 게이트를 자동적으로 클로즈 하는 새로운 회로 구성 으로 함으로써, 제어회로 (15)를 변화된 상황에 적응시킬 수 있다.
접속부 (16)은, 케이블 (20)이 접속되는 접속부이며, 케이블 (20)을 소망에 따라 접속하거나, 접속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속부 (16)은, 전원선과 신호선의 복합 케이블인 케이블 (20)과 매칭하도록 전원계와 신호계로 분리되어 있다.
전원 케이블 (17)은, 전원 장치 (40)으로부터 전자카세트 (1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전송한다. 전원 케이블 (17)은, 접속부 (16a)를 개재하여 제어 회로 (15)까지 전원 공급을 하는 전원 케이블 (17a), 접속부 (16b)를 개재하여 제어 회로 (15)까지 전원 공급을 하는 전원케이블(17b), 제어 회로 (15)를 개재하여 전기 기판 (14)까지 전원 공급을 하는 전원 케이블 (17c)를 포함한다.
신호 케이블 (18)은, 전자카세트 (10)와 시스템 제어장치 (30)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신호 케이블 (18)은, 접속부 (16a)를 개재하여 전자카세트 (10)와 시스템 제어장치 (30)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 케이블 (18a)과, 접속부 (16 b)를 개재하여 전자카세트 (10)와 시스템 제어장치 (30)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 케이블 (18b)를 포함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 하여, 전자카세트 (10)의 변형예인 전자카세트 (10A)를설명한다. 또한, 전자카세트 10와 대응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 하는 설명은 생략 한다. 여기서, 도 5는, 전자카세트 (10A)의 개략 단면 블록도이다. 시스템 제어장치 (30) 및 전원 장치 (40)에 접속된 케이블 (20)은 접속부 (16a)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 카세트(10A)는,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 (15) 대신에 제어 회로(15A), 신호 케이블(18a) 및 (18b) 대신에 신호 케이블(19a) 내지 (19c)를 가진다. 전자 카세트(10A)는,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고, 이 가시광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해 피사체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촬상 장치이다.
제어 회로(15A)는 제어 회로 (15)에 비해서, 도 6(a) 및 (6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신호 케이블(19a) 및 (19b)와 접속되는 접속부(191a) 및 (191b)와, 전기 기판 (14)에 탑재되는 각 회로 및 광상검출부 (12)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신호의 전송을 오픈, 클로우즈하는 릴레이 회로(192a) 및 (192b)와, 접속부(191a) 및 (191b)와 릴레이 회로(192a) 및 (192b)의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194a) 및 (194b)과, 접속부 (195)가 추가구성 되고, 트리거 회로(153a) 및 (153b) 대신에 트리거 회로(193a) 및 (193b)를 가지는 점이 다르다. 접속구(191a) 및 (191b)는 각각 전송 케이블(19a) 및 (19b)와 접속 되고, 접속부(195)는 전송 케이블(19c)와 접속되어 있다.
도 6(a) 및 6(b)는, 제어 회로(15A)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6(a)는, 전자 카세트(10A)의 접속부(16a) 및 (16b)에 케이블 (20)이 접속되어 있지않은 경우의 제어 회로(15A)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6(b)은, 전자 카세트(10A)의 접속부(16a)에 케이블 (20)이 접속되었을 경우의 제어 회로(15A)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6(a)에 있어서, 전자 카세트(10A)의 접속부(16a) 및 (16b)에는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릴레이 회로(152a) 및 (152b)와 릴레이 회로(192a) 및 (192b)의 게이트는 클로우즈 상태, 트리거 회로(193a) 및 (193b)의 게이트는 오픈 상태에 있다. 또한, OR회로 154의 2개의 게이트는 오픈 상태에 있다.
도 6(b)에 있어서, 전자 카세트 (10A)의 접속부 (16a)에 케이블20이 접속되면, 전원 케이블 (17a)를 개재하여 입력구 (151a)까지 전류가 전송된다. 그리고 트리거선 (156a)를 흐르는 전류는, 오픈 상태에 있는 트리거 회로 (193a)의 게이트를 흐르고, 또한, 오픈 상태에 있는 OR회로의 다른쪽의 게이트를 흐른후, 접지선 (157a)에 도달한다. 그 결과, 트리거 회로 (193a) 및 OR회로 (154)는 통전 상태로 된다.
통전 상태에 있는 트리거 회로 (193a)는, 릴레이 회로 (152a)의 게이트를 오픈 상태로 한다. 그 결과, 전원선 (158a)를 흐르는 공급 전류가 오픈 상태에 있는 릴레이 회로 (152a)의 게이트를 흐르고, 출력구 (155) 및 전원 케이블 (17c)를 개재하여 전기 기판 (14)을 통전 한다.
그것과 동시에, 트리거 회로 (193a)는, 릴레이 회로 (192a)의 게이트를 오픈 상태로 한다. 그 결과, 접속부 (191a)로부터 접속부 (195) 및 전송 케이블(19c)를 개재하여 전기 기판 (14)까지의 부분이 통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장치 (30)이 전기 기판 (14)에 탑재된 각 회로 및 광상검출부 (12)에 대해서 행하는 구동 신호의 전송과, 전기 기판 (14)으로부터 시스템 제어장치 (30)에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접속부(16a) 측으로부터 가능하게 된다.
한편, OR회로 (154)는, 한 쪽의 게이트가 통전하면, 통전되어 있지 않은 측의 게이트를 클로우즈하고, 동시에, 통전되어 있지 않은 측의 트리거 회로(본 실시예에서는, 트리가 회로(193b)의 게이트를 클로우즈 한다. 그 결과, 릴레이 회로 (152b) 및 (192a)의 게이트는 클로우즈 상태를 유지하고, 접속부 (16b)까지의 부분은전류가 흐르지 않고 절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조작자나 환자(P)가 접속부(16b)에 접촉해도 감전할 위험이 없다. 마찬가지로, 접속부 (16b)에 도시 하지 않은 제 2의 제어장치 및 전원 장치의 케이블을 접속해도 회로의 단락은 일어나지 않고, 또한, 신호계의 명령이 2계통으로부터 전송되는 것에 의한 촬상 장치(10A)의 구동 에러는 일어나지 않는다.
전자 카세트(10A)의 접속부(16a) 및 (16b)에 케이블 (2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부 (16b)에 케이블 (20)을 새로 접속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전자 카세트 (10A)의 접속부 (16b)에 케이블 (20)이 접속되면, 전원 케이블 (17b)를 개재하여 입력구 (151b)까지 전류가 전송된다. 그리고 트리거선 (156b)를 흐르는 전류는, 오픈 상태에 있는 트리거 회로 (193b)의 게이트를 흐르고, 또한, 오픈 상태에 있는 OR회로의 한 쪽의 게이트를 흐른 후, 접지선 (157b)에 도달한다. 그 결과, 트리거 회로 (193b) 및 OR회로 (154)는 통전 상태로 된다.
통전 상태에 있는 트리거 회로 (193b)는, 릴레이 회로 (152b)의 게이트를 오픈 상태로 한다. 그 결과, 전원선 (158b)를 흐르는 공급 전류는 오픈 상태에 있는 릴레이 회로 (152b)의 게이트를 흐르고, 출력구(155) 및 전원 케이블 (17c)를 개재하여 전기 기판 (14)을 통전 한다.
그것과 동시에, 트리거 회로 (193b)는, 릴레이 회로 (192b)의 게이트를 오픈 상태로 한다. 그 결과, 접속부 (191b)로부터 접속부 (195) 및 전송 케이블 (19c)를 개재하여 전기 기판 (14)까지의 부분은 통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장치 (30)이 전기 기판 (14)에 탑재된 각 회로 및 광상검출부 (12)에 대해서 행하는 구동 신호의 전송과, 전기 기판 (14)로부터 시스템 제어장치 (30)에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접속부 (16b)측으로부터 가능하게 된다. OR회로 (154)에 의해, 접속부 (16a) 측이 절연 상태가 되는 것은, 상술한 것과 같다.
케이블 (20)을 접속부 (16a) 또는 (16b)로부터 떼어내면, 릴레이 회로 (152a) 및 (152b), 릴레이 회로 (192a) 및 (192b), 트리거 회로 (193a) 및 (193b) 및 OR회로 (154)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 (16a) 및 (16b)에 케이블 (2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돌아온다.
케이블 (20)의 접속부가 접속부(16a) 및 (16b)의 2개소로부터, 3개소 이상으로 증가해도, OR회로 (154)의 게이트수를 증가시키고, 1개소의 접속부의 게이트가 통전 되면 다른 접속부와 연결되는 모든 게이트를 자동적으로 클로우즈 상태로 하는 새로운 회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제어회로(15A)를 변화된 새로운 상황에 적응시킬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 (20)은, 전자 카세트 (10)와 시스템 제어장치(3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신호선과, 전자 카세트(10)와 전원 장치 (40)의 사이의 전원 공급을 행하는 전원선으로 구성되고, 전자 카세트 (10)와 시스템 제어장치 (30) 및 전원 장치 (40)을 접속한다.
케이블 (20)은, 신호계와 전원계의 전선의 복합 케이블이지만, 시스템 제어장치 (30) 및 전원 장치 (40)측의 단부에서는 신호선과 전원선으로 분리되고, 시스템 제어장치 (30) 및 전원 장치 (40)에 접속된다. 케이블 (20)의 전자 카세트 (10)측의 단부에는, 케이블 커넥터 (22)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케이블 커넥터 (22)를 개재하여 접속부(16a) 또는 (16b)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장치 (30)은, 입력장치 (32)와, 모니터 (34)를 가지고, 모니터 (34)에의 표시 데이터의 변환, 전자 카세트 (10)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보정, 공간 필터링 처리등을 리얼타임으로 행하고, 계조 처리, 다이나믹레인지(DR) 압축 처리등을 행한다. 시스템 제어장치 (30)은, 처리가 행해진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모니터 (44)에 표시하고, 이들을 기억장치 (50)에 격납한다.
시스템 제어장치 (30)은, 케이블 (20)을 개재하여 전자 카세트 (10)에 접속 되고, 전자 카세트 (10)와 통신한다. 시스템 제어장치 (30)은, 입력장치 (32)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의거하여 방사선 발생 장치 (60) 및 전기 기판 (14)를 구동한다(방사선 발생 장치 (60) 및 전기 기판 (14)의 동작을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장치 (30)은, LAN 보드(도시하지 않음)를 탑재하고 있고, LAN 보드를 개재하여 LAN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LAN에는, 화상을 파일링(filing)하는 파일링서버, 화상을 필름에 출력하는 이미지 프린터, 복잡한 화상 처리나 진단지원을 하는 화상 처리용단말등이 접속된다. 시스템 제어장치 (30)은, 소정의 프로토콜(예를 들면, DICOM)에 따라,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의 조작자는, 촬영 종료후에 LAN접속이 가능한 포토가 있는 장소로 이동하고, 해당 포토와 상기 LAN 보드를 접속해서 데이터출력 작업을 행한다. 단, 촬영 장소내에 포토를 설치하고, 촬상종료 직후 데이터출력을 해도 된다.
입력장치 (32)는, 터치 패널, 마우스, 키보드, 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들로부터 선택해도 된다. 입력장치32를 개재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 (1)의 조작자는, 촬영에 필요한 여러 조건(예를 들면, 방사선관전압, 관전류, 방사선 조사 시간등) 및 촬영 타이밍, 화상 처리 조건, 피검사자 ID, 촬영 화상의 처리 방법등의 설정을 할 수가 있다.
모니터 (34)는, 예를 들면, CRT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고, 입력장치 (32)에 의해 입력된 촬영 조건, 촬영한 화상등을 표시한다. 모니터 (34)에 표시되는 내용은, 시스템 제어장치 (40)의 제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교체되지만, 전환 버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동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모니터34는, 시스템 제어장치 (30)으로부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받아 표시한다.
전원 장치 (40)은, 케이블 (20) 및 전원 케이블 (17)을 개재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 (1)의 각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장치 (40)은, 휴대성을 고려 하고, 캐스터(도시하지 않음) 케이스체를 가진 케이스체에 시스템 제어장치 (30)와 함께 수납된다.
기억장치 (50)은, 시스템 제어장치 (30)에 의해 각종 처리가 행해진 디지털화상 데이터를 보존한다. 기억장치 (50)는, 대용량, 고속도 및 고신뢰성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RAID등의 하드디스크어레이어도 된다.
포터블형 방사선 발생 장치 (60)은, 방사선관구(62)와, 고압 발생 전원 (64)과, 방사선 조리개 (66)을 가지고, 예를 들면, X선을 발생시킨다. 방사선 관구 (62)는, 시스템 제어장치 (30)에 의해 제어되는 고압 발생 전원 (64)에 의해 구동 되고, 방사선 빔을 방사한다. 방사선 조리개 (66)은, 촬영 영역의 변경에 수반해,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를 하지않도록, 방사선 빔을 정형한다. 방사선 빔은, 환자 (P)의 촬영 부위로 향해진다.
방사선 촬영에 있어서, 조작자는, 먼저 케이블 (20)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전자 카세트 (10)을 환자 (P)와 침대 (70)의 사이에 삽입한다. 케이블 (20)과 접속되어있지 않은 전자 카세트 (10)을 삽입하는 것은, 케이블의 취급시에 촬영 영역 케이블 (20)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전자 카세트 (10)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서이다.
환자(P) 촬영하고 싶은 목표영역에 매칭하는 위치에 전자 카세트 (10)의 배치를 완료한후, 접속부(16a) 또는 (16b)중 하나에 케이블 (20)을 접속한다. 이 때, 접속부(16a) 및 (16b)의 한 쪽은 항상 조작자가 케이블 (20)을 접속하기 쉬운 위치에 있으므로, 전자 카세트 (10)의 접속부(16a) 및 (16b)의 위치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전자 카세트 (10)의 배치를 할 수가 있다. 또한, 환자(P)에 대해서도 케이블 (20)의 접속의 편리를 위해서 자세를 바꿀 필요가 없다.
여기에서는, 접속부 (16a)에 케이블 (20)을 접속했을 경우를 설명한다. 접속부(16a)에 케이블 (20)이 접속되면, 전원 케이블 (17a)를 개재하여 제어 회로 (15)의 입력구 (151a)까지 전원 장치 (4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한다. 입력구 (151a)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받은 제어 회로 (15)는, 접속부 (16a)로부터 회로 기판 (14)에의 전원 공급 경로의 게이트를 오픈함과 동시에, 접속부 (16b)로부터 회로 기판 (14)에의 전원 공급 경로의 게이트를 클로우즈한다. 그 결과, 전원 케이블 (17a) 및 (17c)를 개재하여 전원 장치 (40)으로부터 전기 기판 (14)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신호 케이블 (18a)를 개재하여 전자 카세트 (10)과 시스템 제어장치 (30)사이에 통신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입력장치 (32)를 개재하여 시스템 제어장치 (30)에 촬영 개시가 전해진다. 시스템 제어장치 (30)은, 촬영 개시를 받아 신호 케이블 (18a)를 개재하여 전기 기판 (14)에 촬영 개시의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장치 (30)은, 방사선 발생 장치 (60)의 방사선 관구 (62)를 고압 발생 전원 (64)에 의해 구동 하고, 더욱 방사선 조리개 (66)을 구동해 방사선 빔이 방사되는 조사의 피일드를 지정한다.
전기 기판 (14)에 탑재되어 있는 구동 회로 (142)는, 광에너지 모니터부 (13)로부터의 조사단 신호(irradiation end signal), 또는 고압 발생 전원 (64)로부터의 고압 인가 신호, 또는 방사선 관구 (62)의 전류의 신호를 검출 하고, TFT 스위치를 구동하여 전하를 판독한다.
시스템 제어장치 (30)은, 광에너지 모니터부 (13)으로 취득한 방사선 노광량의 정보에 의거하여 고압 발생 전원 (64)를 구동하고, 방사선을 차단 또는 제어한다. 구동회로 (142)는, 시스템 제어장치 (30)의 제어 하에서 광상검출기 (12)를 구동하고, 각기 다른 화소로부터의 신호를 판독한다.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구동 회로 (142)에 의해 선택된 광상검출기 (12)내의 각 화소로부터의 데이터(신호)가 증폭기 (144)에 의해 증폭되고, 증폭된 데이터가 A/D변환회로 (146)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구동회로(142) 및 A/D변환회로(146)에 의해 연속적으로 디지털화된 데이터가 시리얼라이즈 회로148에 의해 시리얼라이즈 되는 것에 의해 취득된다. 취득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장치 (30)에 전송된다.
시스템 제어장치 (30)은, 전송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여러가지방법으로 보정이나 처리를 하고, 이 보정 또는 처리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기억장치 (50)에 격납한다. 그 후, 조작자는 케이블 (20)을 접속부 (16a)로부터 떼어내고, 전자 카세트 (10)을 환자 (P)와 침대 (70) 사이로부터 뽑아내 촬영 작업을 종료한다.
전자 카세트 (10) 대신에 전자 카세트 (10A)를 이용했을 경우도, 신호계의 전송 경로가 다른것 이외는 마찬가지이다. 전원 전송 및 각 구성요소의 구동 등은 다르지 않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고,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 (2)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방사선 촬영 장치 (2)의 개략도이다. 도 7의 방사선 촬영 장치 (2)는, 도 1의 방사선 촬영 장치 (1)과 같지만, 전자 카세트 (10)가 다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것과 대응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 하는 설명은 생략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 (2)의 전자 카세트 (80)은, 조작자가 전자 카세트 (80)을 더욱 용이하게 잡기 위한 파지부(핸들로도 칭함)(82)를 가지고, 이 파지부 (182)가 설치된 동일측에 케이블 (20)을 접속하는 접속부 (84)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카세트 (80)(즉, 방사선의 검출 영역)은, 대략 정방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시 하고 있지 않지만 케이블 (20)으로부터의 후단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장치 (30) 및 전원 장치 (40)이 접속되어 있고 촬영 동작에 관련되는 동작도 역시 동일하다.
조작자는, 환자 (P)에 대해서 촬영을 위해서 전자 카세트(80)을 배치할 때에, 파지부 (82)를 사용 하고, 케이블 (20)과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전자 카세트 (80)을 환자 (P)와 침대 (70)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 경우, 파지부 (82)의 방향은 항상 삽입하는 측으로 한정되고 마찬가지로, 접속부 (84)도 항상 삽입하는 측으로 한정된다.
다음에, 환자(P)의 촬영하고 싶은 목표영역에 매칭하는 위치에 전자 카세트 (80)의 배치를 완료하였을 때, 조작자는 접속부 (84)에 케이블 (20)을 접속한다. 따라서, 조작자가 파지부 (82)를 사용해 전자 카세트 (80)의 배치를 결정하면, 접속부 (84)는 항상 케이블 (20)을 접속하기 쉬운 쪽에 있기 때문에, 환자 (P)에 대해서 케이블 (20)의 접속의 편리를 위해서 자세를 바꾸는 동작을 강요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파지부 (82)가 설치되어 있는 변에 접속부 (84)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접속부 (84)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예를 들면, 당해 변의 양단에 있는 2개의 정점(코너부)의 어느 하나에, 도 1에 있어서의 전자 카세트 (10)와 마찬가지의 모떼기를 한 후에, 접속부 (84)를 배열해도, 상술한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파지부 (82)로부터 광상검출부 (12)를 향하는 방향인 도 7의 화살표 (700)의 방향으로부터 전자 카세트 (80)을 보았을 때, 전자 카세트의 케이스체의 측면에 있어서의 파지부82가 보이는 영역(가시 영역)중에 접속부 (84)를 설치해도 된다
여기서, 화살표 (700)의 방향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안보이는 케이스의 측면에 접속부를 배치하면, 접속시에 케이블 커넥터 (22)가 접속부를 향해서 가야 할 방향과, 화살표 (700)의 방향사이의 각도의 절대치가 90∼180°로 되어, 접속이 매우 곤란해진다. 따라서, 이 각도의 절대치가 90°미만, 바람직하게는 75°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미만, 이상적으로는 45°미만이 되도록, 전자 카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각도는, 요소들 중에서 전자 카세트의 케이스체쪽의 형상 및 접속부의 설치되는 위치등에 의해 변화한다.
또한, 접속부 (84)의 배치에 관해서는, 상술의 배치와 아주 유사하지만, 약간 다른 관점을 이하 설명한다. 광상검출부의 검출면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당해 검출면에 대향하는 전자 카세트케이스체의 방사선 입사면을 포함한 면을 가정했을 때, 파지부 (82)는 해당 사각형의 소정의 한 변에 대향하는 전자 카세트의 케이스체 측면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부 (84)는, 그 적어도 일부가, 당해 한 변과 교차하는 검출면의 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상기 파수부 (82)측에 있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영역(파지부 측 면영역이라고도 한다)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배치로 하는 것에 의해, 환자 (P)에 대해 재차 자세를 바꾸는 동작등을 강요하는 일 없이, 환자 (P)아래에 배치된 전자 카세트 (80)의 접속부 (84)에 대해, 케이블 커넥터 (22)를 개재하여, 케이블 (20)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8(a) 및 8(b)를 참조해서, 전자 카세트 (80)의 변형예인 전자 카세트 (80A)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8(a) 및 8(b)는, 도 7에 도시한 전자 카세트 (80)의 변형 예인 전자 카세트 (80)의 변형예 (80A)를 도시한 모식도로서, 도 8(a)은, 전자 카세트80A의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b)은, 도 8(a)에 나타낸 전자 카세트 80A를 90˚회전해 배치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각각 붙이고, 중복 하는 설명은 생략 한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전자 카세트 (80A)(즉, 방사선의 검출 영역)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전자 카세트 (80A)에 있어서, 단변 (86)측에 파지부 (82a), 장변 (88)측에 파지부 (82b)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단변 (86)과 장변 (88)에 의해 이루어지는 정점에는 케이블 (20)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 (8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 하고 있지 않지만, 케이블(20)로부터의 후단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장치 (30) 및 전원 장치 (40)이 접속되고 있고 촬영 동작에 관련되는 동작도 동일하다.
환자 (P)의 촬영을 위해 전자 카세트 (80A)를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배치할때에는, 조작자는 파지부 (82a)를 사용해서, 케이블 (20)과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전자 카세트 (80A)를 환자 (P)와 침대 (70)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 경우, 접속부 (84)는 파지부 (82a)가 설치되어 있는 단변 (86)의 좌단부에 있다.
다음에, 환자 (P)의 촬영하고 싶은 목표영역에 매칭하는 위치에 전자 카세트 (80A)를 배치 하고, 배치가 종료하면, 접속부84에 케이블 (20)을 접속한다. 따라서, 조작자가 파지부 (82a)를 사용해 전자 카세트 (80A)의 배치를 결정하면, 접속부84는 항상 케이블 (20)을 접속하기 쉬운 쪽에 있기 때문에, 환자 (P)에 대해서 케이블 (20)의 접속의 편리를 위해서 자세를 바꾸는 동작을 강요할 필요가 없다.
도 8(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 8(a)에 나타낸 전자 카세트 (80A)의 배치에 대해서 90°회전한 상태에서 전자 카세트 (80A)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조작자는 파지부 (82b)를 사용하고, 케이블 (20)과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전자 카세트 (80A)를 환자 (P)와 침대 (70)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 경우, 접속부 (84)는 파지부 (82b)가 설치되어 있는 장변 (88)의 우단부에 있다.
다음에, 환자 (P)의 촬영하고 싶은 목표영역에 매칭하는 위치에 전자 카세트 (80A)를 배치 하고, 배치를 종료하면, 접속부 (84)에 케이블 (20)을 접속한다. 따라서, 도 8(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작자가 파지부 (82b)를 사용해서 전자 카세트(80A)의 배치를 결정하면, 접속부 (84)는 항상 케이블 (20)을 접속하기 쉬운 쪽에 있기 때문에, 환자 (P)에 대해서 케이블 (20)의 접속의 편리를 위해서 재차 자세를 바꾸는 동작을 강요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조작자가 파지부 (82a) 또는 (82b)를 사용해서 전자 카세트(80A)의 배치를 결정하면, 용이하게 케이블 (20)을 접속부 (84)에 접속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9(a) 및 9(b)를 참조해서, 전자 카세트 (80A)의 변형예인 전자 카세트 (80B)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9(a) 및 (b)는, 도 8(a) 및 (b)에 도시한 전자 카세트 (80A)의 변형 예인 전자 카세트 (80B)의 모식도로서, 도 9(a)는, 전자 카세트 (80B)의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b)는, 도 9(a)에 나타내는 전자 카세트 (80B)를 90°회전해 배치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8에서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각각 붙이고, 중복 하는 설명은 생략 한다.
도 9(a) 및 9(b)에 있어서, 전자 카세트 (80B)(즉, 방사선의 검출 영역)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전자 카세트 (80B)는, 단변 (86)측에 파지부 (82a) 및 접속부 (84a), 장변 (88)측에 파지부 (82b) 및 접속부 (84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 하고 있지 않지만, 케이블 (20)으로부터의 후단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장치 (30) 및 전원 장치 (40)이 접속되어 있고, 촬영에 관련되는 동작도 동일하다.
환자 (P)의 촬영을 위해서 전자 카세트 (80B)를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하면, 조작자는 파지부 (82a)를 사용 하여, 케이블 (20)과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전자 카세트 (80B)를 환자(P)와 침대 (70)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 경우, 접속부 (84a)는 파지부 (82a)가 형성된 단변 (8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자가 전자 카세트 (80B)를 삽입하는 쪽에 있다.
다음에, 환자 (P)의 촬영하고 싶은 목표영역에 매칭하는 위치에 전자 카세트(80B)를 배치 하고, 배치를 종료하면 접속부 (84a)에 케이블 (20)을 접속한다. 따라서, 일단조작자가 파지부 (82a)를 사용해서 전자 카세트80B의 배치를 결정하면, 접속부 (84a)는 항상 케이블 (20)을 접속하기 쉬운 쪽에 있기 때문에, 환자 (P)에 대해서 케이블 (20)의 접속의 편리를 위해서 자세를 바꾸는 동작을 강요할 필요가 없다.
도 9(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 9(a)에 나타낸 전자 카세트 (80B)의 배치에 대해서 90°회전한 상태도로, 전자 카세트 (80B)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조작자는 파지부 (82b)를 사용 하고, 케이블 (20)과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전자 카세트 (80B)를 환자 (P)와 침대 (70)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 경우, 접속부84b는 파지부 (82b)가 설치된 장변 (88)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자가 전자 카세트 (80B)를 삽입하는 쪽에 있다.
다음에, 환자 (P)의 촬영하고 싶은 목표영역에 매칭하는 위치에 전자 카세트 (80B)를 배치 하고, 배치를 종료하면 접속부 (84b)에 케이블 (20)을 접속한다. 따라서, 도 9(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작자가 파지부 (82b)를 사용해서 어떻게 전자 카세트 (80B)의 배치를 결정해도, 접속부 (84b)는 항상 케이블 (20)을 접속하기 쉬운 쪽에 있기 때문에, 환자 (P)에 대해서 케이블 (20)의 접속의 편리를 위해서 자세를 바꾸는 동작을 강요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조작자가 파지부 (82a) 또는 (82b)를 사용해서 전자 카세트 (80B)의 배치를 결정하면, 용이하게 케이블 (20)을 접속부 (84a) 또는 (84b)에 접속할 수가 있다. 또한, 전자 카세트 (80B)는, 파지부 및 접속부를 각각 2개소에 마련하고 있지만, 접속을 더욱 용이하게하기 위해 전자 카세트 (80)의 4변(접속부가 관련되는한 모든장점)모두에 설치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않고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Claims (16)

  1. 피사체의 방사선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세트형 촬상 장치로서,
    방사선상검출부를 포함한 전기 회로부와,
    상기 전기 회로부를 내포하는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회로부와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부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상검출부의 방사선상검출면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방사선 입사면을 포함하는 면을 전면으로했을 때, 상기 방사선검출면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을 나타내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의 적어도 2개의 코너에 형성되고, 상기 코너의 각각은 상기 사각형의 4개의코너 중 적어도 대향하는2개의 코너의 한 코어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4각형의 4개의 코어와 각각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측면의 4개의 코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부중 상기 케이블이 접속된 접속부를 식별하고, 당해 식별된 접속부에만, 상기 전기 회로부와 상기 외부 장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허용하는 제어회로를 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속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 회로부에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전기 회로부와 상기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중 적어도 한 쪽을 위한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6. 피사체의 방사선 화상을 취즉하기 위한 카세트형 촬상장치로서,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방사선상검출면을 가지는 방사선상검출부를 포함한 전기회로부와
    상기 전기회로부를 내포하는 케이스체와,
    상기 방사선상검출면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방사선 입사면을 포함하는 면을 전면으로 하였을 때, 상기 사각형의 한변과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파수부와,
    상기 전기 회로부와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로서,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변과 상기 한변과 교차하는 상기 방사선상 검출면의 법선을 포함한 평면에 대하여, 상기 파수부 쪽에 있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영역으로서의 파수부쪽 측면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부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수부는 상기 사각형의 복수의 변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복수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파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파수부는 상기 사각형의 서로 이웃이 되는 2변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2개의 파수부의 상기 각 파수부쪽 측면영역과 공통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파수부는 상기 사각형이 서로 이웃이 되는 2변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2개의 측면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상기 2개의 접속부는 각각 상기 2개의 파수부의 상기 파수부쪽 측면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파수부는 상기 사각형의 4변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4개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상기 4개의 접속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4개의 파수부의 상기 파수부쪽 측면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 회로부에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전기 회로부와 상기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의 적어도 한 쪽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촬상 장치.
  13. 방사선상 검출부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부;
    상기 전기회로부를 내포하는 케이스체; 및
    상기 케이스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회로부와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부
    로 이루어진, 피사체의 방사선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세트형 촬상장치와;
    상기 외부기기로 이루어진 방사선촬영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카세트형 촬상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카세트형 촬상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사선 촬영장치.
  15. 방사선화상검출면이 실질적으로 4각형으로 형성된 방사선화상검출부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부;
    상기 전기회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체;
    상기 방사선상검출면과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방사선입사면을 포함하는 면을 전면으로 했을 때, 상기 4각형의 한변과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에 형성된 파수부; 및
    상기 전기회로부와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로써,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변과 상기 한 변과 교차하는 상기 방사선상 검출면의 법선을 포함한 평면에 대하여 상기 파수부쪽에 있는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영역으로써 파수부쪽의 측면영역에 설치되어있는 접속부로 이루어진, 피사체의 방사선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세트형 촬상장치와;
    상기 외부기기로 이루어진 방사선촬영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카세트형 촬상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카세트형 촬상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증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사선 촬영장치.
KR10-2002-0050806A 2001-08-27 2002-08-27 카세트형 촬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 KR100465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56742 2001-08-27
JP2001256742 2001-08-27
JPJP-P-2002-00216511 2002-07-25
JP2002216511A JP3610348B2 (ja) 2001-08-27 2002-07-25 カセッテ型撮像装置及び放射線撮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139A KR20030019139A (ko) 2003-03-06
KR100465258B1 true KR100465258B1 (ko) 2005-01-13

Family

ID=2662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806A KR100465258B1 (ko) 2001-08-27 2002-08-27 카세트형 촬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55936B2 (ko)
JP (1) JP3610348B2 (ko)
KR (1) KR100465258B1 (ko)
CN (1) CN1403801A (ko)
TW (1) TW5740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8702B2 (en) 2002-07-25 2006-07-18 General Electric Company Imager
US20040079908A1 (en) * 2002-10-15 2004-04-29 Fuji Photo Film Co., Ltd. Radiation detecting cassette
JP4125165B2 (ja) * 2003-03-25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
JP2007127414A (ja) * 2004-07-21 2007-05-2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検出器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4604741B2 (ja) * 2005-01-31 2011-01-05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カセッテ型放射線画像検出器
CN101146479A (zh) * 2005-03-25 2008-03-19 柯尼卡美能达医疗印刷器材株式会社 射线照相成像系统
DE202005021890U1 (de) * 2005-04-18 2010-12-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er Röntgen-Flachdetektor mit Tragegriff
US7573034B2 (en) * 2005-05-18 2009-08-11 Carestream Health, Inc. Mobile radiography image recording system
DE102005031900B3 (de) * 2005-07-07 2007-01-04 Siemens Ag Flachdetektor-Zusatzeinheit
US7495226B2 (en) * 2006-05-26 2009-02-24 Carestream Health, Inc. Compact and durable encasement for a digital radiography detector
US7495227B2 (en) * 2007-07-10 2009-02-24 General Electric Company Digital x-ray detectors
US7638773B2 (en) * 2007-07-23 2009-12-29 Fujifilm Corporation Cassette
US7777192B2 (en) * 2007-09-05 2010-08-17 Fujifilm Corporation Cassette system
JP5288896B2 (ja) * 2008-06-11 2013-09-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セッテ
US8149116B2 (en) * 2008-07-22 2012-04-03 Fujifilm Corporation Portable radiographic image conversion device, warn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5538694B2 (ja) * 2008-08-28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00111263A1 (en) * 2008-10-30 2010-05-06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handle for digital x-ray detectors
US8324585B2 (en) * 2009-05-11 2012-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Digital image detector
JP5489577B2 (ja) * 2009-07-31 2014-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像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メイン制御ユニ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489613B2 (ja) * 2009-09-25 2014-05-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2011143125A (ja) * 2010-01-16 2011-07-28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検出システム及びカセッテ用ケーブル
JP5743477B2 (ja) * 2010-09-29 2015-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用装置
CN103946889A (zh) 2011-10-14 2014-07-23 因格瑞恩股份有限公司 用于生成样品的多维图像的双图像方法和系统
US9142045B1 (en) 2011-10-14 2015-09-22 Ingrain, Inc. Method for displaying two-dimensional geological image data in log format and displayed product
JP5197830B2 (ja) * 2011-11-01 2013-05-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取扱システム
EP2659836A1 (en) * 2012-05-02 2013-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Solar powered wireless control device for medical imaging system
JP6161334B2 (ja) 2013-03-06 2017-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1454A (ja) * 1998-03-20 1999-10-08 Shimadzu Corp 放射線撮像装置及び放射線撮像システム
JP2000051189A (ja) * 1998-08-06 2000-02-22 Hitachi Medical Corp 移動形x線装置
JP2003325496A (ja) * 2002-05-13 2003-11-18 Canon Inc 放射線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309A (en) * 1992-12-23 1997-08-26 Sterling Diagnostic Imaging, Inc. Electronic cassette for recording X-ray images
JP3066944B2 (ja) 1993-12-27 2000-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それを有するシステム
WO1995027221A1 (en) * 1994-03-31 1995-10-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assette for use in an electronic radiographic imaging system
US5664270A (en) * 1994-07-19 1997-09-09 Kinetic Concepts, Inc. Patient interface system
US5754881A (en) * 1995-01-24 1998-05-19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a PC parallel port switch for connecting multiple peripherals to the same parallel port
US5693948A (en) * 1995-11-21 1997-12-02 Loral Fairchild Corporation Advanced CCD-based x-ray image sensor system
US5804832A (en) * 1996-11-26 1998-09-08 Sterling Diagnostic Imaging, Inc. Digital array for radiographic imaging
US5877501A (en) * 1996-11-26 1999-03-02 Picker International, Inc. Digital panel for x-ray image acquisition
JP2000217807A (ja) * 1999-01-27 2000-08-08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画像撮影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放射線検出用カセッテ
JP2002052015A (ja) * 2000-08-07 2002-02-19 Shimadzu Corp 平面型放射線検出器ユニット及びx線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1454A (ja) * 1998-03-20 1999-10-08 Shimadzu Corp 放射線撮像装置及び放射線撮像システム
JP2000051189A (ja) * 1998-08-06 2000-02-22 Hitachi Medical Corp 移動形x線装置
JP2003325496A (ja) * 2002-05-13 2003-11-18 Canon Inc 放射線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55936B2 (en) 2005-02-15
JP3610348B2 (ja) 2005-01-12
CN1403801A (zh) 2003-03-19
KR20030019139A (ko) 2003-03-06
JP2003144424A (ja) 2003-05-20
US20030042418A1 (en) 2003-03-06
TW574032B (en) 200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258B1 (ko) 카세트형 촬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
KR100603003B1 (ko) 엑스선 촬영장치
CN107708569B (zh) 放射线照射装置、放射线照射装置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JP5443100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JP5910684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20180116524A1 (en) Radiograph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radiography apparatus, and program
WO2009142041A1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753832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H10118045A (ja) 医用診断装置
JP5151699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06320532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4838456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3650515B2 (ja) パノラマx線撮影装置用デジタルセンサカセット
JP2009279055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H11104127A (ja) パノラマx線撮影装置
JP2000329898A (ja) X線撮像装置
JP2003325496A (ja) 放射線撮影装置
CN1234326C (zh) 牙科的全景成像系统
JP2003014848A (ja) 放射線撮像装置
JP5482874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5482873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5482872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04144830A (ja) 放射線画像情報記録システム
JP5640367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5682718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