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243B1 -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 Google Patents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243B1
KR100465243B1 KR10-2002-0050203A KR20020050203A KR100465243B1 KR 100465243 B1 KR100465243 B1 KR 100465243B1 KR 20020050203 A KR20020050203 A KR 20020050203A KR 100465243 B1 KR100465243 B1 KR 10046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terminal
photosensitive drum
transfer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762A (ko
Inventor
박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24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감광드럼을 가지는 현상기와, 감광드럼으로 진입하는 용지의 상면을 가이드 하도록 인쇄기 본체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가이드 부재와, 그 제 1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용지의 하면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부재와, 감광드럼에 소정 광을 방사하여 감광드럼에 도포된 현상제의 전위를 감소시키도록 제 1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전전사유닛과, 전전사유닛에 전류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전원공급장치는, 전전사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제 1 가이드 부재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제 1 단자부와, 전류 및 제어신호가 인가된 상태로 인쇄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제 1 가이드 부재의 회동시 그 제 1 단자부와 선택적으로 접촉연결되는 제 2 단자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가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도 용지걸림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용지이송로를 구성하는 가이드 부재들 중 감광드럼에 근접되게 위치한 가이드 부재상에 전전사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power supply apparatus for pre transfer lamp unit}
본 발명은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및 복합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장치(110)와, 현상기(120)와, 정착기(130)와, 노광장치(140) 및 용지이송로(150)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기(120)는 내부에 소정용량의 현상제를 수용하며, 감광드럼(125)이 회전구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현상기(120)는 그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의 소진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인쇄기 본체(105)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상기 급지장치(110)로부터 인쇄기 본체(105)로 공급되는 용지는 현상기(120)를 지나면서 현상제에 의한 가시상이 전사된 후, 정착기(130)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착되어 상기 현상제가 고착된 상태로 배지구(16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감광드럼(125)은 상기 용지에 현상제를 전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현상제는 노광장치(140)의 레이저빔에 의해 감광드럼(125)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따라 감광드럼(125)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다가 용지가 감광드럼(125)에 접촉되면 그 용지의 접촉부위에 가시상을 이루며 전사된다. 한편, 미설명 부호 151은 용지이송로(150) 내에서 이송되는 용지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롤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100)는, 감광드럼(125)의 표면에 도포된 현상제가 보다 용이하게 용지에 전사될 수 있도록 상기 현상제의 전위를 낮추어 그 현상제와 감광드럼(125) 상호간의 인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전사유닛(Pre Transfer Lamp unit;1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전사유닛(170)은 소정 광을 방사하는 전전사램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전전사램프로부터 방사된 광은 상기 용지와 접촉되기 직전에 위치하는 감광드럼(125)의 표면 일부(S)에 조사되며, 이렇게 광이 조사된 부위에 도포된 현상제는 그 전위가 감소하게 되어 감광드럼(125)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전전사유닛(170)은 인쇄기 본체(105)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기(120)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최근에는 현상기(120)의 가격을 절감시켜 인쇄기(100)의 유지비용이 저렴해지도록 인쇄기 본체(105) 내부에 현상기(120)와 별도로 고정 설치된다.
도 2는 전전사유닛(170)이 인쇄기 본체(105) 내부에 고정설치된 인쇄기(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20)의 감광드럼(125)에 진입하는 용지의 상하면을 가이드 하도록 인쇄기 본체(105) 내부에 설치된 제 1 가이드 부재(155)와, 제 2 가이드 부재(157)에 의해 용지이송로(150)의 일부가 형성된다. 특히, 제 1 가이드 부재(157)는 용지이송로(15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인쇄기 본체(105) 내부에 승강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가이드 부재(155)와 제 2 가이드 부재(157)의 사이에서 용지걸림현상이 발생될 경우 그 걸린 용지를 제거할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전전사유닛(170)은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인쇄기 본체(105) 내부에는 전전사유닛(170)에 전류 및 제어신호를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장치(180)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180)는 제 1 가이드 부재(155)에 의한 용지의 가이드가 방해되지 않도록 그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일측에 설치된 단자부(181)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181)는 제어부(미도시) 또는 전원장치(미도시) 등과 도선(183)을 통해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회동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180)를 가지는 인쇄기(100)는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회동에 의해 도선(183)이 용지이송로 사이에 끼워져 용지의 원활한 이송을 방해함으로써 또 다른 용지걸림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도선(183) 대신 고형(固形)화 된 다른 전원연결부품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기는 하지만 용지걸림현상 해소를 위해 회동되는 제 1 가이드 부재(155)에 의해 그 실현이 용이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전전사유닛(170)을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상면이 아닌 인쇄기 본체(105) 내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고, 그 전전사유닛(170)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감광드럼(125)으로 안내하기 위해 소정 광경로를 형성시키는 렌즈(미도시) 및 반사경(미도시)을 부가적으로 더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런 경우 전자사진방식 인쇄기(100)의 내부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광경로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용지의 원활한 이송을 보장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간단하게 개선되어 전전사유닛을 감광드럼에 인접한 가이드 부재상에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간략하게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의 연결동작을 도시해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인쇄기 105 : 인쇄기 본체
110 : 급지장치 120 : 현상기
125 : 감광드럼 130 : 정착기
150 : 용지이송로 155 : 제 1 가이드 부재
155a : 절제부 157 : 제 2 가이드 부재
170 : 전전사유닛 280 : 전원공급장치
281 : 제 1 단자부 282 : 제 1 고정부재
283 : 단자돌기 284 : 제 1 단자
285 : 제 2 단자부 286 : 제 2 고정부재
287 : 제 2 단자 288 : 기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드럼을 가지는 현상기와, 상기 감광드럼으로 진입하는 용지의 상면을 가이드 하도록 인쇄기 본체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의 하면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감광드럼에 소정 광을 방사하여 상기 감광드럼에 도포된 현상제의 전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전전사유닛과, 상기 전전사유닛에 전류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전전사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제 1 단자부와, 상기 전류 및 제어신호가 인가된 상태로 상기 인쇄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회동시 그 제 1 단자부와 선택적으로 접촉연결되는 제 2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용지걸림현상에 따른 제 1 가이드 부재의 승강회동시 용지이송로에 끼워질 수 있는 도선의 설치를 배재할 수 있으며, 별도의 광경로를 형성시키지 않도록 감광드럼에 근접한 곳에 전전사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자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일측단에 고정설치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전전사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인쇄기 본체의 내측에 고정설치된 제 2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가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하강 회동될 때 상기 제 1 단자와 탄성적으로 접촉연결되어 그 제 1 단자에 상기 전류 및 제어신호를 인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제 2 단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외주면상에 돌출형성된 단자돌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도전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하강시 상기 제 1 단자와 탄성접촉되도록 그 끝단이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도전성 재질의 판형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의 일측단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설명된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100;도 1 참조)는 현상기(120;도 1 참조)에 회전구동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감광드럼(125)과, 급지장치(110;도 1 참조)로부터 픽업이송되는 용지를 배지구(160;도 1 참조)까지 안내하는 용지이송로(150; 도 1 참조)와, 전전사유닛(170)을 포함한다.
상기 용지이송로(150) 중 감광드럼(125)에 진입하는 용지를 가이드 하는 부분은 용지의 상면을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 부재(155)와, 용지의 하면을 가이드 하는 제 2 가이드 부재(157)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155)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157) 사이의 공간에 용지가 걸리는 경우 걸려있는 용지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인쇄기 본체(105;도 1 참조)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감광드럼(125)에 인접한 용지이송로(150)의 일부는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승강회동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전전사유닛(170)은 전전사램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전전사램프는 상기 감광드럼(125)의 표면 일부구간, 특히, 용지와 접촉되기 직전의 구간(S;도 1 참조)에 소정 광을 방사한다. 이렇게 방사된 광이 감광드럼(125) 표면의 일부구간(S)에 조사됨으로써 감광드럼(125)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따라 도포된 현상제의 전위가 감소되어, 감광드럼(125)과 현상제 사이의 인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감광드럼(125)으로부터 용지로 현상제의 전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전전사유닛(170)은 감광드럼(125)에 가장 근접될 수 있게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전사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감광드럼(125)으로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광경로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전전사유닛(170)에 전류 및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전원공급장치(280)가 인쇄기 본체(105) 내부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280)는 제 1 단자부(281)와, 제 2 단자부(285)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자부(281)는 전전사유닛(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일측단에 설치되며, 제 1 가이드 부재(155)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부재(282)와, 그 제 1 고정부재(282)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제 1 단자(28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부재(282)는 다양한 형태로 제 1 가이드 부재(155)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고정부재(282)는 그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홈(282a)을 가지며, 그 삽입홈(282a)이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측단이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고정부재(282)가 제 1 가이드 부재(155)에 고정된다. 이때, 제 1 고정부재(282)의 외측이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측단 외부로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제 1 고정부재(282)는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일측이 소정 형상으로 절제되어 형성된 절제부(155a)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단자(284)는 판형 도전체로 형성되며, 그 일측단이 제 1 고정부재(282)의 외면상에 돌출형성된 단자돌기(283)를 감싸고, 타측단이 제 1 고정부재(282)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전전사유닛(170)과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 1 단자부(281)가 제 1 가이드 부재(155)에 고정됨으로써 용지이송로상에 걸려있는 용지를 제거하기 위해 제 1 가이드 부재(155)가 제 2 가이드 부재(157)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승회동되면 제 1 단자부(281)도 제 1 가이드 부재(155)와 동일하게 회동된다.
상기 제 2 단자부(285)는 상기 전류 및 제어신호가 인가된 상태로 상기 인쇄기 본체(105) 내부에 설치되며,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회동시 제 1 단자부(281)와 선택적으로 접촉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 2 단자부(285)는 인쇄기 본체(105) 내측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B)에 의해 고정설치된 제 2 고정부재(286)와, 그 제 2 고정부재(286)의 외주면 상에 돌출형성되는 제 2 단자(287)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고정부재(286)는 제 1 가이드 부재(155)가 제 2 가이드 부재(157)에 근접되도록 하강회동된 상태일 때 제 2 단자(287)와 제 1 단자(284)가 접촉연결되도록 인쇄기 본체(105)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고정부재(286)는 제 2 가이드 부재(157)의 일측단에 고정되며, 이외에도 인쇄기 본체(105)의 내측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단자(287)는 제 1 단자(284)와 마찬가지로 판형 도전체로 형성되고, 일측단은 제 2 고정부재(286)의 외측에 노출되며, 타측단은 제 2 고정부재(286)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전원장치(미도시) 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기판(288)과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 또는 전원장치들과 제 2 단자(287)의 연결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상호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면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제 2 단자(287)는 외력에 의해 그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고정부재(286)의 외측에 노출된 제 2 단자(287)의 일측단은 제 1 가이드 부재(155)가 제 2 가이드 부재(157)측으로 회동될 때 제 1 단자(284)와 탄성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으로 굴곡지게 절곡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단자(287)의 형상은 꼭 본 실시예와 같이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제 1 가이드 부재(155)의 회동시 제 1 단자(286)와 선택적으로 접촉연결이 될 수 있다면 코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280)는 제 1 가이드 부재(155)가 용지이송로(15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제 1 단자(284)와 제 2 단자(287)가 상호 이격됨으로써 그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부재(155)가 용지이송로(150)를 덮는 방향으로 하강회동되면 제 1 단자(284)는 제 2 단자(287)의 내측면측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공간에 삽입되는 제 1 단자(284)에 의해 제 2 단자(287)는 그 끝단부와 제 2 고정부재의 사이가 벌어지는 형태로 탄성변형을 일으킨다. 이러한 탄성변형은 제 2 단자(287)의 끝단에 소정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경사면(287a)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제 1 단자(284)가 제 2 단자(287)와 제 2 고정부재(286) 사이의 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제 2 단자(287)가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려 함에 따라 제 1 단자(284)는 제 2 고정부재(286)측으로 탄성가압된다.
이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도선(183; 도 1 참조)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제 1 가이드 부재(155)가 제 2 가이드 부재(157)에 근접되게 하강회동된 상태에서 전전사유닛(170)으로의 전류 및 제어신호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제 2 단자(28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 제 1 단자(284)와 제 2 단자(287)의 접촉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가이드 부재가 제 2 가이드 부재측으로 하강회동되어 용지이송로를 형성시킬 때에만 상호 탄성적으로 접촉연결되어 전전사유닛으로 전류 및 제어신호를 인가시키는 제 1 및 제 2 단자부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제 1 단자부와 제 2 단자부를 연결하는 도선이 필요치 않아 제 1 가이드 부재의 잦은 회동시에도 용지의 이송이 상기 도선에 의해 방해받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전사유닛을 감광드럼에 가장 인접한 위치인 제 1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설치할 수 있어 그 전전사유닛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별도의 광경로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인쇄기의 구조를 간단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인쇄기 본체 내부에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감광드럼으로 진입하는 용지의 상면 및 하면 각각을 가이드 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에 소정 광을 방사하여 상기 감광드럼에 도포된 현상제의 전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전전사유닛; 및
    상기 전전사유닛에 전류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에 상기 전전사유닛과 신호교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단자부; 및
    상기 인쇄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류 및 제어신호가 인가된 상태로 상기 제 1 단자부와 접속가능한 제 2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호간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호간에 접근되도록 회동될 때, 상기 제 1 단자부와 접속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일측단에 고정설치되는 제 1 고정부재;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전전사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는 상기 인쇄기 본체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인쇄기 본체의 내측에 고정설치된 제 2 고정부재;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가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제 1 단자와 탄성적으로 접촉연결되어 그 제 1 단자에 상기 전류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외주면상에 돌출형성된 단자돌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도전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하강시 상기 제 1 단자와 탄성접촉되도록 그 끝단이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도전성 재질의 탄성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의 일측단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2002-0050203A 2002-08-23 2002-08-23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0465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203A KR100465243B1 (ko) 2002-08-23 2002-08-23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203A KR100465243B1 (ko) 2002-08-23 2002-08-23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762A KR20040017762A (ko) 2004-02-27
KR100465243B1 true KR100465243B1 (ko) 2005-01-13

Family

ID=3732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203A KR100465243B1 (ko) 2002-08-23 2002-08-23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551B1 (ko) * 2010-04-29 2010-07-21 (주)안세기술 항공 및 해상 교통관제시스템 운용에 최적화된 다용도 스트립 프린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8370A (ja) * 1988-04-06 1990-04-10 Nichiei:Kk 抗菌防臭防湿用柱状繊維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242275A (ja) * 1989-03-15 1990-09-2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06258971A (ja) * 1993-03-05 1994-09-16 Tokyo Electric Co Ltd 熱定着装置
JPH06289736A (ja) * 1993-02-03 1994-10-18 Tokyo Electric Co Ltd 転写装置
JPH0756451A (ja) * 1993-08-20 1995-03-0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転写前用紙ガ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8370A (ja) * 1988-04-06 1990-04-10 Nichiei:Kk 抗菌防臭防湿用柱状繊維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242275A (ja) * 1989-03-15 1990-09-2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06289736A (ja) * 1993-02-03 1994-10-18 Tokyo Electric Co Ltd 転写装置
JPH06258971A (ja) * 1993-03-05 1994-09-16 Tokyo Electric Co Ltd 熱定着装置
JPH0756451A (ja) * 1993-08-20 1995-03-0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転写前用紙ガ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762A (ko)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8183B2 (ja) 画像形成装置
US6907206B2 (en) Assembly structur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EP0929002B1 (en) Safety interlock mechanism
US697581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221585B2 (en) Drum cartridge in which first storage medium of toner cartridge and second storage medium of drum cartridge are aligned in mounting direc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drum cartridge is mountable
KR101505092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RU23990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JP2002258565A (ja) 画像形成装置
JP3953006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複合機
KR100465243B1 (ko) 전전사유닛용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4926540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24935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1955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32733A (ja) 基板構造
JP2009103894A (ja) 画像形成装置
US5974285A (en) Fixing unit that supplies electricity to a lamp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irrespectiv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amp
JPH08241024A (ja) 画像形成装置
JP573815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90323A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12620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012619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히트롤러 장치
JPH07160171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63058B1 (ko) 화상형성장치의 광유도체를 구비한 제전램프
JP2000302270A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0521502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