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213B1 -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213B1
KR100464213B1 KR10-2002-0000619A KR20020000619A KR100464213B1 KR 100464213 B1 KR100464213 B1 KR 100464213B1 KR 20020000619 A KR20020000619 A KR 20020000619A KR 100464213 B1 KR100464213 B1 KR 10046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olt
main
modul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0020A (ko
Inventor
이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02-000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2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0Connections between 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83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having a lower side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channel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천장으로부터 장착수단에 의해 하방 이격되어 위치되면서, 단면이 방형인 2이상 다수개의 메인바가 연결수단과 체결수단을 통해 동일 평면상에서 교차되어 사방 구획하도록 설치된 메인프레임에 의해 청정실 상부공간이 대분할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행거수단에 의해 하방 이격되어 위치되면서, 상면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과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볼트홈을 갖는 2이상 다수개의 모듈바가 결합체와 연결체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교점 사이의 메인바 일변에 대해 1배 또는 2배 이상의 축소된 길이를 갖도록 동일 평면상에서 교차되어 사방 구획하게 설치된 거치프레임에 의해 다시 소분할되도록 상부를 이루는 플레넘이 청정실의 작업공간 외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의 폐경로를 이루는 모듈바의 하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안착부에 테두리부를 거치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 팬필터유닛으로부터 하방 토출된 청정기류가 청정실 내부를 무한 순환되도록 가이드하면서 청정실의 내기와 외기가 선택적으로 환기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메인바와 모듈바의 항복응력과 처짐량을 고려하여 메인바와 모듈바 상호간의 연결위치를 더욱 넓게 하면서 설치구조를 단순화하며, 제작비의 저감 및 작업기간의 단기화를 꾀하도록 된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Open Plenum Ceiling System}
본 발명은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정실의 상부에 위치되어 청정기류를 방출하는 팬필터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메인프레임과 모듈프레임, 이들 프레임의 지지구조 및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작업의 단순화와 더불어 더욱 원활한 청정기류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된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정실은 초고밀도의 작업을 하기 위한 공간으로, 청정실 내에 부유하는 공기 중의 먼지를 포함한 작업에 치명적인 미세한 이물질까지 제거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시스템이 가동중에 있으며, 이 시스템을 급기방식에 따라 크게 닥트를 설치하여 작업공간으로 급기하는 방식과, 작업공간의 외주변에 형성된 공간인 플레넘을 통해 청정기류가 작업공간과 순환되는 방식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넘을 이용한 시스템은 청정실의 상부에 설치된팬필터유닛(FFU)로부터 토출되는 청정기류가 바닥 및 측벽에 형성된 플레넘을 통해 상부로 순환되어 다시 팬필터유닛으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졌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종래의 상부플레넘에는 공간 확보 및 팬필터유닛을 장착시키기 위해, 하방 이격되면서 천장과 연결되어 설치된 2이상 다수개의 메인바가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체결되었고, 상기 메인바로부터 하방 이격되면서 상기 메인바와 연결되어 설치된 2이상 다수개의 모듈바가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체결되도록 이루어졌다.
상기 메인바와 모듈바는 장축과 단축으로 나뉘었으며, 상기 장축과 단축은 상호 직교하여 체결되되, 상기 모듈바는 팬필터유닛이 안착되어 설치되도록 구획되었으며, 상기 메인바는 상기 모듈바의 대략 4구역 정도 크기의 장방형으로 구획되었다.
또한, 상기 메인바의 단축과 상기 모듈바의 장축은 동일 길이를 가졌으며, 상기 메인바의 장축의 길이는 상기 모듈바의 4구역을 이루는 단축 여러 개를 합한 길이와 동일하였으며, 상기 메인바의 장축과 상기 모듈바의 단축은 다수개의 행거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체결되었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는 항복응력 및 처짐량을 고려하여 단면이 대략 방형인 2개의 스틸(Steel)이 일면이 접촉되되, 중앙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일측면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된 구조였다.
그러나, 상기 메인바와 모듈바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의 장축과 모듈바의 단축에 다량의 행거가 설치되어야 함으로 인해 설치구조의 복잡성과 제작비의 상승 및 작업기간의 장기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프레임과 모듈프레임, 이들 프레임의 지지구조 및 결합구조를 처짐량 및 항복응력이 고려된 상태에서 변경하여 프레임 상호간의 연결위치를 더욱 넓게 하면서 설치구조를 단순화하며, 제작비의 저감 및 작업기간의 단기화를 꾀하도록 된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의 주요부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착수단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체결수단 및 다른 종류의 체결수단이 도시된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연결수단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행거수단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5의 주요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결합체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6a는 모듈바의 다른 종류가 도시된 확대측면도,
도 6b 내지 도 6c는 다양한 종류의 결합체가 도시된 확대 평면도 및 확대 측면도,
도 7은 도 1의 연결체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7a는 다른 종류의 연결체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오픈 플레넘 시스템 20...메인프레임,
22...메인바 30...장착수단,
40...체결수단 50...연결수단,
56...회전방지볼트 60...행거수단,
68...R-볼트 70...거치프레임,
72...모듈바 80...결합체,
90...연결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으로부터 하방 이격되어 위치되면서, 단면이 방형인 2이상 다수개의 메인바가 동일 평면상에서 교차되어 사방 구획하도록 설치된 메인프레임에 의해 청정실 상부공간이 대분할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하방 이격되어 위치되면서,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면의 일부가 개방된 결합홈과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볼트홈을 갖는 2이상 다수개의 모듈바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교점 사이의 메인바 일변에 대해 1배 또는 2배 이상의 축소된 길이를 갖도록 동일 평면상에서 교차되어 사방 구획하게 설치된 거치프레임에 의해 다시 소분할되도록 상부를 이루는 플레넘이 청정실의 작업공간 외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의 폐경로를 이루는 모듈바의 하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안착부에 테두리부를 거치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 팬필터유닛으로부터 하방 토출된 청정기류가 청정실 내부를 무한 순환되도록 가이드하면서 청정실의 내기와 외기가 선택적으로 환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모듈바에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폭을 달리하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윙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윙바와 안착부 사이에 상기 팬필터유닛의 테두리부를 거치하는 레일바의 일측부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모듈바의 재질은 아연 또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청정실의 천장에 기장착된 앵커와 메인바를 결합시켜주는 장착수단에 의해 천장으로부터 하방 이격되어 위치 고정된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메인바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끼움된 메인바 행잉브라켓과, 상기 메인바 행잉브라켓의 상부에 일단부가 너트로 체결된 롱볼트, 상기 롱볼트의 타단부와 너트로 체결되면서 대향부에 앵커가 체결된 장착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바 행잉브라켓의 롱볼트가 체결된 상부는 타측부 두께의 1배 또는 2배 이상이다.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교차지점에서의 일체인 메인바와 절단되어 분리된 메인바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단단히 체결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메인바의 교점 상ㆍ하부에 맞대어지는 상ㆍ하부체결브라켓과, 상기 일체인 메인바에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상ㆍ하부체결브라켓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된 제1U볼트와, 상기 절단되어 분리된 메인바에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하부체결브라켓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된 제2U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메인바는 연결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맞대응되어 연장설치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메인바가 상호 맞대응된 접촉선을 감싸면서 양선단부가 외향으로 절곡된 상부연결브라켓과, 상기 상부연결브라켓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하면서 볼트 결합된 하부연결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는 머리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 사이에 다면체의 회전방지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의 회전방지부는 상기 상부연결브라켓의 체결홈에 끼워맞춤된다.
상기 모듈프레임은 행거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하방 이격되어 위치 고정된다.
상기 행거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메인바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끼움되면서 하부에 행잉볼트가 체결된 행잉브라켓, 상기 모듈프레임의 모듈바에 형성된 볼트홈에 머리부가 삽입 고정된 R-볼트, 상기 행잉브라켓의 행잉볼트와 R-볼트 사이에 체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너트와 죄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모듈프레임의 간격을 조정하는 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행잉브라켓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양선단부가 마주 향하도록 굴절된 체결부가 더 형성되고, 이 체결부에 상기 행잉볼트와 체결되는 플레이트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행잉볼트의 선단부가 체결되도록 단이 형성된 장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R-볼트는 상기 체결홈에 하방으로 머리부가 끼움되면서 소정 각도 회전되어 단단히 위치 고정되도록 대략 장방형이면서 소정 각도의 회전만을 하기 위해 대각선으로 위치된 2곳의 모서리부가 라운딩 처리된 머리부와,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듈프레임의 모듈바는 모듈바의 선단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된 결합체에 의해 연속적으로 맞대응되어 연장 설치된다.
상기 결합체는 외형이 대략 모듈바의 외형과 비슷하고, 상기 모듈바의 선단부에 형성된 볼트홈을 통해 볼트결합되도록 상기 볼트홈과 동일중심을 갖는 장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체는 상기 모듈바가 사방에서 결합되는 크로스형, 상기 모듈바가 3방향에서 결합되는 3-way형, 상기 모듈바가 평행하게 결합되는 일자형, 상기 모듈바가 2방향에서 교차되게 결합되는 꺽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체의 중심부에는 상부플레넘과 작업공간이 연통되어 스프링쿨러 또는 전등 등의 부속재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파단시킬 수 있는 절편이 형성된다.
상기 모듈프레임에는 일체인 모듈바와 절단되어 분리된 모듈바가 상호 단단히 체결되도록 상기 모듈바가 맞대어진 상면에 연결체가 거치되어 장착된다.
상기 연결체는 적어도 2이상의 모듈바 상부와 교합되면서 볼트 체결되도록 2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체는 4방향으로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크로스형, 3방향으로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3-way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의 주요부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로서, 청정실의 작업공간 외주변에 형성되어 청정실 내부에서 유동되는 청정기류를 가이드하면서 내기와 외기가 선택적으로 환기되도록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플레넘(10)의 상부는 청정실의 천장으로부터 장착수단(30)에 의해 하방 이격되어 위치 고정된 메인프레임(2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으로부터 행거수단(60)에 의해 하방 이격되어 위치 고정된 거치프레임(70)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프레임(70)에 팬필터유닛(미도시)이 안착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단면이 방형인 2이상 다수개의 메인바(22)가 동일 평면상에서 교차되어 사방 구획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메인바(22)는 장착수단(30)에 의해 청정실의 천장에 기장착된 앵커(12)와 체결되고, 상기 메인바(22)의 교차점에서는 체결수단(40)에 의해 상호 단단히 체결되며, 상기 메인바(22)의 선단부에서는 연결수단(50)에 의해 상호 맞대응되어 연장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수단(3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22)에 끼움된 메인바 행잉브라켓(32)의 상부에 너트(34a)와 스프링 워셔(34b) 및 플레이트 워셔(34c)를 매개체로 롱볼트(34)의 일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롱볼트(34)의 타단부에 역시 너트(34a)와 워셔(34b, 34c)를 매개체로 장착브라켓(36)이 체결되며, 이 장착브라켓(36)은 상기 앵커(12)에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부분 확대도 "A"를 보면, 상기 메인바 행잉브라켓(32)의 상면은 롱볼트(34)와의 체결력을 조력하기 위해 타측면 두께의 1배 또는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40)은 메인바(22), 자세히는 동일 평면상에서 교차되기 위해 절단되어 분리된 메인바(22b)와 일체인 메인바(22a)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방에서 교차되는 메인바(22)가 도시된 도 3a에서는, 상기 메인바(22)가 교차되는 교점 상ㆍ하부에 상ㆍ하부체결브라켓(42, 44)이 맞대어지고, 상기 상ㆍ하부체결브라켓(42, 44)을 관통하면서 상기 일체인 메인바(22a)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1U볼트(46)가 체결되며, 상기 절단되어 분리된 메인바(22b)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하부체결브라켓(44)을 관통하여 제2U볼트(48)가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2U볼트(46, 48)는 상기 하부체결브라켓(44)과 너트(44a), 스프링 워셔(44b), 플레이트 워셔(44c)를 매개체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40)은 도 3a에 도시된 크로스형과 더불어 3방향에서 교차되는 메인바(22)를 체결하는 도 3b에 도시된 3-way형의 두 타입이 있다.
상기 연결수단(50)은 메인바(22)가 연장선상에서 연속적으로 맞대응되어 연장 설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를 보면, 다른 2개의 메인바(22)가 연장선상에서 접촉된 접촉선을 감싸면서 양선단부가 외향으로 절곡된 상부연결브라켓(52)이 설치되고, 이 상부연결브라켓(52)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하면서 상기 메인바(22)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부연결브라켓(54)이 상기 상부연결브라켓(52)과 회전방지볼트(56)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볼트(56)는 머리부(56a)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56b)사이에 다면체의 회전방지부(56c)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볼트(56)가 상부연결브라켓(52)과 하부연결브라켓(54)에 너트(54a), 스프링 워셔(54b), 플레이트 워셔(54c)로 체결될 때, 상기 회전방지부(56c)가 상기 상부연결브라켓(52)의 양선단부에 형성된 체결홈(52a)에 끼워맞춤된다. 물론, 끼워맞춤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홈(52a)의 형상이 상기 회전방지부(56c)와 동일한 형상이여야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2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으로부터 하방 이격되어 위치 고정된 거치프레임(70)이 상호 체결되도록 연결시켜주는 행거수단(60)은 도 1 및 도 5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메인바(22)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끼움된 행잉브라켓(62)의 하부에 행잉볼트(64)의 일단부가 너트(64a), 스프링 워셔(64b), 플레이트 워셔(64C)를 매개체로 체결되고, 상기 행잉볼트(64)의 타단부에는 너트(66a)로 커플러(66)의 일측부가 체결되며, 상기 커플러(66)의 타측부는 2개의 너트(66a, 66b), 스프링 워셔(66c), 플레이트 워셔(66d)를 매개체로 R-볼트(68)가 체결되고, 상기 R-볼트(68)의 머리부(68a)는 후술될 모듈바(72)의 볼트홈(72a)에 수직 하방으로 끼움되면서 90°회전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행잉볼트(64) 및 R-볼트(68)와 체결된 상기 커플러(66)를 회전시키면 메인바(22)와 모듈바(72)의 간격을 조정하게 되고, 상기 너트(66a)는 커플러(66)와 단단히 죄임되어 상기 커플러(66)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너트(66b)는 상기 R-볼트(68)이 모듈바(72)에 위치 고정되도록 죄임된다.
또한, 상기 R-볼트(68)는 대략 장방형이면서 대각선상에 위치한 2곳의 모서리부가 라운딩 처리된 머리부(68a)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8b)로 이루어지고,상기 머리부(68a)는 단면이 대략 장방형이면서 상면 중앙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모듈바(72)의 볼트홈(72a)에 수직 하방으로 끼움된 다음 라운딩 처리된 모서리부를 이용하여 체결 순방향으로 90°회전되면 더 이상의 회전이 규제되도록 고정되면서 상기 너트(66b)와의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R-볼트(68)가 상기 볼트홈(72a)으로부터 이탈될 때는 체결 역방향으로 90°회전시켜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된다.
그리고, 상기 행잉브라켓(62)에는 하면에서부터 돌출되면서 양선단부가 마주 향하도록 굴절된 체결부(62a)가 더 형성되고, 이 체결부(62a)에 상기 행잉볼트(64)가 체결되는 플레이트(62b)가 삽입 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행잉브라켓(62)과 상기 행잉볼트(64)의 체결을 조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62b)에 형성된 장착홈(62c)에는 단을 형성시켜 상기 행잉볼트(64)가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게된다.
상기 행거수단(60)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종 또는 횡방향으로 위치된 메인바(22)에 체결되면서 상기 메인바(22)에 평행한 모듈바(72)에 체결된다. 즉, 상기 메인바(22)에는 연속적으로, 상기 모듈바(72)에는 하나 건너 하나 식으로 체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치프레임(7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이상 다수개의 모듈바(72)가 상기 메인프레임(20)에 형성된 교점 사이의 메인바(22) 일변에 대해 1배 또는 2배 이상의 축소된 길이를 갖도록 동일 평면상에서 교차되어 사방을 구획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모듈바(72)의 선단 사이에는 결합체(80)가 개재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모듈바(72)가 연속적으로 맞대응되어 연장 설치되며, 상기 모듈바(72)는 교차점에서 연결체(90)에 의해 상호 단단히 체결된다.
상기 모듈바(72)는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면의 일부가 개방된 결합홈(72a)과, 선단부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볼트홈(72b)과, 하부 양선단부가 외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팬필터유닛의 테두리부가 거치되는 안착부(72c)가 형성되고, 몸통은 무게를 저감시키면서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는 형상이며, 재질은 아연 또는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듈바(72)의 상호 결합에 의해 폐경로로 형성된 하나의 구획은 팬필터유닛의 테두리부가 모듈바(72)의 안착부(72c)에 거치되어 안착되는 공간으로, 상기 메인프레임(20)에 형성된 한 구획을 최대 4×2의 크기로 분할된 크기이다.
상기 모듈바(72)에 안착되는 팬필터유닛의 조립에 편의성을 더하기 위해 상기 모듈바(72)의 형상을 변경하기도 하는데, 도 6a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모듈바(72)의 안착부(72c)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폭을 달리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윙바(72d)가 더 형성되고, 상기 윙바(72d)와 안착부(72c) 사이에 상기 팬필터유닛의 테두리부가 거치되는 레일바(72e)의 일측부가 삽입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팬필터유닛을 약간 들어올려 상기 레일바(72e)를 윙바(72d)와 안착부(72c) 사이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팬필터유닛을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을 더욱 강조하게 된다. 물론, 결착은 탈착의 반대순이다.
상기 결합체(80)는 상기 모듈바(72)의 선단 사이에 개재되면서 볼트결합되어 상기 모듈바(72)가 연속적으로 맞대응되어 연장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6을 보면, 상기 결합체(80)가 다른 4개의 모듈바(72) 선단 사이에 개재된 다음, 상기 모듈바(72)에 형성된 볼트홈(72b) 및 상기 결합체(80)에 형성된 장착홈(82)을 통해 볼트 결합된다. 이 때, 볼트는 렌치볼트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볼트 결합은 전기드릴 또는 수작업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체(80)는 연결되는 각 모듈바(72)의 선단과 맞대음되어 일치되는 형상이면서 상기 모듈바(72)와 접촉되면서 상향 돌출된 부위에는 결합체(80)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키면서 응력을 최대화시키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리브를 갖는다. 필요에 따라 상기 결합체(80)는 모듈바(72)의 결합홈(72a) 부위를 배제하여 맞대음되는 높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80)의 중심부에는 스프링쿨러 또는 전등 등의 다양한 부속재가 매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상부플레넘과 작업공간을 연통시키도록 파단시킬 수 있는 절편(8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체(80)의 종류로는 도 6b 내지 도 6e에서와 같이, 상기 모듈바(72)가 사방에서 결합되는 크로스형, 상기 모듈바(72)가 3방향에서 결합되는 3-way형, 상기 모듈바(72)가 평형하게 결합되는 일자형, 상기 모듈바(72)가 2방향에서 교차되게 결합되는 꺽자형 등이 있다.
상기 연결체(90)는 모듈바(72), 자세히는 동일 평면상에서 교차되기 위해 절단되어 분리된 모듈바(72g)와 일체인 모듈바(72f)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방에서 교차되는 모듈바(22)가 도시된 도 7에서는, 상기 모듈바(72f, 72g)가 교차되는 교점에서 상기 모듈바(72f, 72g)의 상부와 교합되면서 R-볼트(68)가 체결된다.
도 7과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체(9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홀(92)과 상기 모듈바(72)의 상부와 교합되도록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체(90)의 종류로는 상기 모듈바(72)가 4방향으로 교차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크로스형, 상기 모듈바(72)가 3방향으로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3-way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종래와 비교하여 간략히 설명하자면, 프레임의 지지구조 및 결합구조를 처짐량 및 항복응력이 고려된 상태에서 변경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한 구획이 거치프레임에서는 4×2의 구획된 크기로 종래의 2배로 분할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모듈프레임의 체결위치를 종래의 2배로 늘려 부품수를 줄이면서 작업비용을 최소화됨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된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플레넘(10)의 상부에, 청정실의 천장으로부터 장착수단(30)에 의해 하방 이격되어 위치 고정된 메인프레임(2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으로부터 행거수단(60)에 의해 하방 이격되어 위치 고정되고, 팬필터유닛이 안착되는 거치프레임(70)을 구비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은 단면이 방형인 2이상 다수개의 메인바(22)가 동일 평면상에서 교차되어 격자상으로 구획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메인바(22)는 장착수단(30)에 의해 청정실의 천장에 장착된 앵커(12)와 체결되고, 상기 메인바(22)의 교차점에서는 체결수단(40)에 의해 상호 체결되며, 상기 메인바(22)의 선단부에서는 연결수단(50)에 의해 상호 맞대응되어 연장 설치되고,
    상기 거치프레임(70)은, 상기 모듈바(72)의 안착부(72c)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폭을 달리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윙바(72d)가 더 형성되고, 상기 윙바(72d)와 안착부(72c) 사이에 상기 팬필터유닛의 테두리부가 거치되는 레일바(72e)의 일측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과 거치프레임(70)을 상호 연결하는 행거수단(60)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메인바(22)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끼움된 행잉브라켓(62)과, 상기 행잉브라켓(62)의 하부에 너트(64a)를 매개체로 그의 일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너트(66a)로 커플러(66)의 일측부가 그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행잉볼트(64)와, 상기 커플러(66)의 타측부에 2개의 너트(66a, 66b)를 매개체로 하여 체결되는 R-볼트(68)를 포함하고,
    상기 R-볼트(68)는 대략 장방형이면서 대각선상에 위치한 2곳의 모서리부가 라운딩 처리된 머리부(68a)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8b)로 이루어지고,
    상기 행잉브라켓(62)에는 하면에서부터 돌출되면서 양선단부가 마주 향하도록 굴절된 체결부(62a)가 더 형성되고, 이 체결부(62a)에 상기 행잉볼트(64)가 체결되는 체결홈(62c)을 갖는 플레이트(62b)가 삽입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62b)에 형성된 체결홈(62c)에는 상기 행잉볼트(64)가 보다 더 견고히 결합되도록 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70)은 다수개의 모듈바(72)가 상기 메인프레임(20)에 형성된 교점 사이의 메인바(22) 일변에 대해 1배 또는 2배 이상의 축소된 길이를 갖도록 동일 평면상에서 교차되어 사방을 구획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모듈바(72)의 볼트홈(72a)에 상기 R-볼트(68)의 머리부(68a)가 수직 하방으로 끼움되면서 90°회전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바(72)의 선단 사이에는 결합체(80)가 개재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모듈바(72)가 연속적으로 맞대응되어 연장 설치되며, 상기 모듈바(72)는 교차점에서 연결체(90)에 의해 상호 견고히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바(72)는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면의 일부가 개방된 결합홈(72a)과, 선단부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볼트홈(72b)과, 하부 양선단부가 외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팬필터유닛의 테두리부가 거치되는 안착부(72c)가 형성되고, 몸통은 무게를 저감시키면서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는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30)은 상기 메인바(22)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끼움된 메인바 행잉브라켓(32)과, 상기 메인바 행잉브라켓(32)의 상부에 일단부가 너트(34a)로 체결된 롱볼트(34), 상기 롱볼트(34)의 타단부와 너트(34a)로 체결되면서 대향부에 앵커(12)가 체결된 장착브라켓(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0)은 상기 메인바(22)의 교점 상ㆍ하부에 맞대어지는 상ㆍ하부체결브라켓(42, 44)과, 상기 메인바(22)에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상ㆍ하부체결브라켓(42, 44)을 관통하여 너트(44a)로 체결된 제1U볼트(46)와, 상기 절단되어 분리된 메인바(22)에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하부체결브라켓(44)을 관통하여 너트(44a)로 체결된 제2U볼트(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50)은 상기 메인바(22)가 상호 맞대응된 접촉선을 감싸면서 양선단부가 외향으로 절곡된 상부연결브라켓(52)과, 상기 상부연결브라켓(52)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하면서 회전방지볼트(56)를 매개로 결합된 하부연결브라켓(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볼트(56)는 머리부(56a)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56b) 사이에 다면체의 회전방지부(56c)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66)는, 상기 행잉브라켓(62)의 행잉볼트(64)와 R-볼트 (68) 사이에 체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너트(66b)와 죄임되어 상기 메인바(22)와 모듈바(72)의 간격을 조정하는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볼트(68)는 장방형이면서 대각선상에 위치한 2곳의 모서리부가 라운딩 처리된 머리부(68a)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8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80)는 단부 외형이 대략 모듈바(72)의 외형과 비슷하고, 상기 모듈바(72)의 선단부에 형성된 볼트홈(72b)을 통해 볼트결합되도록 상기 볼트홈(72b)과 동일중심을 갖는 장착홈(8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80)는 상기 모듈바(72)가 사방에서 결합되는 크로스형, 상기 모듈바(72)가 3방향에서 결합되는 3-way형, 상기 모듈바가 평행하게 결합되는 일자형, 상기 모듈바(72)가 2방향에서 교차되게 결합되는 꺽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15. 제 5, 13, 또는 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80)의 중심부에는 상부플레넘과 작업공간이 연통되어 스프링쿨러 또는 전등 등의 부속재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파단시킬 수 있는 절편(8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90)는 적어도 2이상의 모듈바(72) 상부와 교합되면서 볼트 체결되도록 2이상의 결합홀(9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2-0000619A 2002-01-05 2002-01-05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KR10046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619A KR100464213B1 (ko) 2002-01-05 2002-01-05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619A KR100464213B1 (ko) 2002-01-05 2002-01-05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351U Division KR200273461Y1 (ko) 2002-01-05 2002-01-05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020A KR20030060020A (ko) 2003-07-12
KR100464213B1 true KR100464213B1 (ko) 2005-01-06

Family

ID=3221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619A KR100464213B1 (ko) 2002-01-05 2002-01-05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664B1 (ko) * 2007-06-28 2009-08-28 (주)신성이엔지 클린룸용 팬필터유닛의 지지구조
KR101042238B1 (ko) * 2008-12-30 2011-06-17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반도체 클린룸 천정구조
KR100903018B1 (ko) * 2009-01-29 2009-06-16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철제 모듈 천정 구조
KR101432120B1 (ko) * 2013-02-06 2014-08-21 대성종합이앤씨 주식회사 용기커버의 지지구조
KR101894365B1 (ko) * 2017-12-14 2018-09-04 주식회사 원방테크 크로스 연결브라켓, 모듈 타입 시스템 실링 및 그 설치방법
KR102484239B1 (ko) * 2022-08-18 2023-01-02 이방우 천정판 설치용 지지 구조물
CN116607692B (zh) * 2023-05-30 2024-01-23 广东筑能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隔音密封型铝合金天花板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546U (ko) * 1993-08-16 1995-03-21 주식회사 정일이앤씨 청정실의 천정설치용 필터유니트의 지지장치
KR970059604A (ko) * 1996-01-08 1997-08-12 헬무트 라웁 클린룸용 루버 천장
JPH09279752A (ja) * 1996-04-12 1997-10-28 Kajima Corp 厨房天井構造
KR19990012881U (ko) * 1997-09-18 1999-04-15 이완근 청정실 천정 설치용 필터 지지후레임 체결장치
US6158186A (en) * 1998-01-28 2000-12-12 M & W Zander Facility Engineering Gmbh Ceiling arrangement for clean rooms
KR20010068119A (ko) * 2001-04-25 2001-07-13 이병구 클린룸의 천장틀 결합구조
JP2001227096A (ja) * 2000-02-17 2001-08-24 Nippon Light Metal Co Ltd クリーンルーム等の天井構造
KR200241371Y1 (ko) * 2001-04-25 2001-10-12 크린크리에티브 컨설팅(주)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546U (ko) * 1993-08-16 1995-03-21 주식회사 정일이앤씨 청정실의 천정설치용 필터유니트의 지지장치
KR970059604A (ko) * 1996-01-08 1997-08-12 헬무트 라웁 클린룸용 루버 천장
JPH09279752A (ja) * 1996-04-12 1997-10-28 Kajima Corp 厨房天井構造
KR19990012881U (ko) * 1997-09-18 1999-04-15 이완근 청정실 천정 설치용 필터 지지후레임 체결장치
KR200154005Y1 (ko) * 1997-09-18 1999-08-02 이완근 청정실 천정 설치용 필터 지지후레임 체결장치
US6158186A (en) * 1998-01-28 2000-12-12 M & W Zander Facility Engineering Gmbh Ceiling arrangement for clean rooms
JP2001227096A (ja) * 2000-02-17 2001-08-24 Nippon Light Metal Co Ltd クリーンルーム等の天井構造
KR20010068119A (ko) * 2001-04-25 2001-07-13 이병구 클린룸의 천장틀 결합구조
KR200241371Y1 (ko) * 2001-04-25 2001-10-12 크린크리에티브 컨설팅(주)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020A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213B1 (ko)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US7260919B1 (en) Sealable ceiling assembly
KR100794286B1 (ko) 조립식 파티션
KR200273461Y1 (ko)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KR100371357B1 (ko) 이중마루의 다공판넬과 댐퍼판넬의 체결구조
JP3806811B2 (ja) 空調機器用の吊支用ブラケット装置
JP3441919B2 (ja) パネル装置
KR200291278Y1 (ko) 시스템박스의 상판지지부재
JPS6228631Y2 (ko)
JPH05106299A (ja) 天井バー用連結金具
JPH0615060Y2 (ja) クリーンルーム用天井フレーム材
CN218583090U (zh) 灯具
JP2000182429A (ja) クリーンルームにおける照明器具の取付構造
JP2543397Y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KR100230069B1 (ko) 엑세스 플로어 조립장치
CA1110031A (en) Ceiling runner attachment system
JPS5840167Y2 (ja) バルコニ−における連結構造
KR200154005Y1 (ko) 청정실 천정 설치용 필터 지지후레임 체결장치
JP3044171B2 (ja) ゲート
KR200292759Y1 (ko) 등기구
JPH0332917Y2 (ko)
JP3815639B2 (ja) 木製フェンス
JPH078670Y2 (ja) パネルの連結金具及びパネル連結装置
JPH0530624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200344583Y1 (ko) 파티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