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371Y1 -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371Y1
KR200241371Y1 KR2020010011913U KR20010011913U KR200241371Y1 KR 200241371 Y1 KR200241371 Y1 KR 200241371Y1 KR 2020010011913 U KR2020010011913 U KR 2020010011913U KR 20010011913 U KR20010011913 U KR 20010011913U KR 200241371 Y1 KR200241371 Y1 KR 200241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ngba
clean room
coupling
coupled
cei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구
Original Assignee
크린크리에티브 컨설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크리에티브 컨설팅(주) filed Critical 크린크리에티브 컨설팅(주)
Priority to KR2020010011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371Y1/ko

Links

Landscapes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탄형 브라켓과 크랭크형 브라켓에 의해 직렬로 결합되는 장바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에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장바의 일단에 결합된 정합수단을 상기 결합홈에 삽입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결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 배치되는 장바(50), (150)와, 세로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장바(50), (150)와 결합되는 단바(60)를 포함하는 클린룸의 천장틀에 있어서, 본 고안의 결합구조에서는 평탄형 브라켓(110)과 크랭크형 브라켓(120)에 의해서 직렬로 결합되는 장바(150)에는 결합홈(158)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에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장바(50)의 일단에 구비된 정합수단이 상기 결합홈(158)에 삽입되는 구성을 지닌다.

Description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STRUCTURE FOR COUPLING LONG BARS OF A CLEAN ROOM}
본 고안은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탄형 브라켓과 크랭크형 브라켓에 의해 직렬로 결합되는 장바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에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장바의 일단에 결합된 정합수단을 상기 결합홈에 삽입하는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불과 몇 ㎟밖에 안 되는 크기에 10만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나 저항기를 조립할 수 있는 초고밀도 집적회로(VLSI)나 유전자조작과 같이 세포 속의 미소한 유전자를 다루는 극미산업에서는 미세한 먼지나 세균도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방 전체의 공기를 여과하거나 펌프로 흡인해서 청결하게 만든 클린룸(CLEAN ROOM)이 사용된다. 클린룸 이외에 상자형 실험박스를 넣어서 균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엄정하게 관리하는 고도안전실험실도 있다.
특히, VLSI 공정에서 먼지는 치명적이다. 더욱이 보통의 인간은 1분간에 수천 개나 되는 먼지의 조각들을 피부렇題芟의복 등에서 흩뿌리고 있다. 그러므로 클린룸에는 가능한 한 사람을 출입시키지 않는 것이 좋지만, 실제로는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무균복을 입는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의 클린룸의 천장틀 조립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린룸의 천장에는 팬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천장틀이 설치된다. 이 천장틀은 다수의 장바(10) 및 단바(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장바(10)와 단바(20)가 만나는 지점에는 연결 조립체(12)가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장바라 함은 가로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며 길이가 긴 바를 말하며, 단바라 함은 세로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며 길이가 짧은 바를 말한다. 장바(10)와 단바(20)를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연결 조립체(12)는 대략 +형상의 구조를 지니며, 이 연결 조립체(12)에는 각각, 렌치 볼트(14)에 의해서 상기 장바(10)와 단바(20)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다. 연결 조립체(12)에 의해서 결합되는 장바(10)와 단바(20)는 직사각형 모양의 다수의 격자틀을 제공하며, 이 격자틀에는 팬 조립체와 블라인드 패널이 교대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장바와 단바의 교차지점에는 +형상의 연결 조립체(12)를 사용하는 반면에, 장바와 장바간의 연결지점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결 조립체(30)를 사용한다.
종래의 연결 조립체(30)에는 정면에서 보아 지각 삼각형 모양의 결합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32)에는 렌치 볼트(34)를 이용하여 장바(10)가 결합 고정된다. 이때, 렌치 볼트(34)는 장바(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부(32)의 측벽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천장틀 조립구조에서는 +자 형상의 연결 조립체(12)를 이용하여 장바(10)와 단바(2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천장틀 전체의 결합강도가 낮다. 따라서, 종래에는 결합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벽체에 현수채널(hanging channel)을 설치한 다음, 이 채널에 다수의 턴 버클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천장틀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장바(10)에는 현수용 볼트(36)가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천장틀 조립구조에서는 연결 조립체의 결합시에 렌치 볼트(34)를 장바(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부(32)의 측벽에 고정하므로, 결합부와 결합부 사이의 좁은 틈새에 렌치를 삽입하여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볼트를 체결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힘들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결합부 간의 좁은 틈새로 렌치를 삽입하여야 하므로 길이가 작거나 90°로 만곡된 형상의 렌치가 별도로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1년 3월 21일자로 국내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2001-7766호에 장바의 조립구조를 출원하였다. 이 클린룸의 천장틀 조립구조는 2개의 장바와 장바를 연결하기 위하여, 중앙홀을 지닌 본체와, 이 본체의 양 측면 상단으로부터 장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체결홀을 지닌 결합 플랜지로 이루어진 연결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천장틀 조립구조에 의하면, 2개의 장바를 연결 조립체에 의해서 고정하므로, 종래에 비해 어느 정도 결합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는 있으나, 2개의 장바를 정확히 일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하여야 하므로 직선으로 정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조립작업이 어렵고 시공성이 저하되며 브라켓에 의해서만 2개의 장바를 결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결합강도의 향상정도가 낮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2개의 장바에 조립시에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조립후에는 결합강도를 증대시킬수 있는 클린룸의 천장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린룸의 천장틀 조립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연결 조립체 부분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연결 조립체 부분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틀 조립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장바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장바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장바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150:장바 52, 152:본체부
54, 154:연장부 56, 156:수직부
58:블록 158:결합홈
60:단바 100:연결 조립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 배치되는 장바와, 세로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장바와 결합되는 단바를 포함하는 클린룸의 천장틀 조립구조에 있어서, 평탄형 브라켓과 크랭크형 브라켓에 의해서 직렬로 결합되는 장바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에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장바의 일단에 구비된 정합수단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틀 조립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장바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장바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장바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도 4와 도 5를 보면, 천장틀은 여러 가지 형태를 갖는 연결조립체(70, 70', 70')를 이용하여 장바(50)와 단바(60)를 결합함으로써, 사각형상의 다수의 격자틀을 만들게 되며, 이들 격자틀에는 팬 조립체와 블라인드 패널이 교대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하나의 장바(50)와 2개의 단바(60)가 십자형상으로 만나는 크로스 연결부는 연결 조립체(70)에 의해 결합되고, 장바(50)와 단바(60)가 T형상으로 만나는 T연결부는 연결 조립체(70')에 의해 결합되고, 장바(50)와 단바(60)가 L형상으로 만나는 L연결부는 연결 조립체(70')에 의해서 각각 결합되어 있다. 2개의 장바(50)는 본 고안의 연결 조립체(100)에 의해서 서로 직렬로 나란히 결합되어 있다.
다음에, 2개의 장바를 결합하기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탄형과 크랭크형의 2가지 브라켓을 이용한다. 이중에서, 스트레이트 형태의 평탄형 브라켓(110)은 2개의 장바(50, 150)가 만나는 결합부위에 상단에 배치된 다음, 볼트(80)와 너트(82)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크랭크형 브라켓(120)은 상기 평탄형 브라켓(110)의 상부에 배치된 다음, 하단이 볼트(84)와 너트(86)에 의해서 크랭크형 브라켓(120)과 함께 2개의 장바(50), (15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볼트(80), (84)의 머리부는 각각, 장바(50), (150)의 수직부(56), (156)에 형성되어 있는 홈(56a), (156a)에 삽입되며, 삽입후에는 이들 홈(56a), (156a)의 상단 걸림턱(56b), (156b)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된다.
장바(50), (150)의 본체부(52), (152)하부에는 램프(도시생략)가 장착되는 연장부(54), (15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부(54, 154)의 하단에는 램프 보호용 아크릴 커버가 결합되는 후크(1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는 2개의 장바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평탄형 브라켓(110)과 크랭크형 브라켓(120)에 의해 인접하게 배치되어 결합되는 장바(150)에는 결합홈(158)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에, 이 결합홈(158)에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장바(50)에 구비된 정합수단(58)이 삽입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정합수단의 일예로서 볼트(92)에 의해서 장바(50)의 본체부(52)에 고정된 사각형태의 블록을 예시하였다.
조립시에는 볼트(92)를 이용하여 장바(50)의 일단에 사각형 블록을 고정시킨 다음, 이 사각형 블록을 인접하게 배치되는 장바(150)의 결합홈(158)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탄형 브라켓(110)과 크랭크형 브라켓(120)을 이용하여 2개의 장바(50), (150)를 고정시킨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평탄형 브라켓과 크랭크형 브라켓에 의해 직렬로 결합되는 장바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에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장바의 일단에 결합된 정합수단을 상기 결합홈에 삽입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결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 배치되는 장바(50), (150)와, 세로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장바(50), (150)와 결합되는 단바(60)를 포함하는 클린룸의 천장틀 조립구조에 있어서,
    평탄형 브라켓(110)과 크랭크형 브라켓(120)에 의해서 직렬로 결합되는 장바(150)에는 결합홈(158)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에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장바(50)의 일단에 구비된 정합수단이 상기 결합홈(258)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수단은 볼트(92)에 의해서 상기 장바(50)의 본체부(52)에 고정되는 사각형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
KR2020010011913U 2001-04-25 2001-04-25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 KR200241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913U KR200241371Y1 (ko) 2001-04-25 2001-04-25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913U KR200241371Y1 (ko) 2001-04-25 2001-04-25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371Y1 true KR200241371Y1 (ko) 2001-10-12

Family

ID=7310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913U KR200241371Y1 (ko) 2001-04-25 2001-04-25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3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972B1 (ko) * 2001-04-25 2003-10-10 주식회사 씨큐브디지탈 클린룸의 천장틀 결합구조
KR100464213B1 (ko) * 2002-01-05 2005-01-06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KR101174624B1 (ko) 2009-08-21 2012-08-17 (주)헌터이앤아이 천정패널 설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972B1 (ko) * 2001-04-25 2003-10-10 주식회사 씨큐브디지탈 클린룸의 천장틀 결합구조
KR100464213B1 (ko) * 2002-01-05 2005-01-06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오픈 플레넘 씰링 시스템
KR101174624B1 (ko) 2009-08-21 2012-08-17 (주)헌터이앤아이 천정패널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143B1 (ko) 무볼트 조립식 앵글
KR200241371Y1 (ko) 클린룸 천장틀의 장바 결합구조
KR100400972B1 (ko) 클린룸의 천장틀 결합구조
CN108662738A (zh) 用于圆柜机门板的装饰条及圆柜立式空调
DE60029933D1 (de) Modulares zelt
KR200236417Y1 (ko) 클린룸의 천장틀 조립구조
KR101155954B1 (ko) 파티션 고정구
KR200236414Y1 (ko) 클린룸의 천장틀 조립구조
EP1118728A2 (en) Supporting structure for partitions, shelves and similar items
KR20070099160A (ko) 넉다운 파티션 결합장치
KR20020072836A (ko) 바닥재 패널
JPH0336344A (ja) 可動間仕切壁
JP3058980U (ja) 天井骨組構造
CN210424718U (zh) 地埋灯具结构
KR200310299Y1 (ko) 파티션 프레임
CN210238930U (zh) 钣金件结构单元
CN213204587U (zh) 一种扣体、墙板及整体卫浴间
KR100821555B1 (ko) 파티션의 체결구조
KR20040089405A (ko) 조립식 선반틀
JPH042195Y2 (ko)
KR200322368Y1 (ko) Tv의 프론트 패널과 프론트 마스크의 결합구조
CA3022306C (en) Modular clip for joining suspended ceiling members
KR0136254Y1 (ko) 창문틀 고정구조
KR200377903Y1 (ko) 싱크대 바스켓의 프레임
JPH071473Y2 (ja) 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