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952B1 - 구름체를구비한베어링에센서를장착하는장치 - Google Patents

구름체를구비한베어링에센서를장착하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952B1
KR100462952B1 KR10-1998-0702802A KR19980702802A KR100462952B1 KR 100462952 B1 KR100462952 B1 KR 100462952B1 KR 19980702802 A KR19980702802 A KR 19980702802A KR 100462952 B1 KR100462952 B1 KR 10046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upport
bearing
annular portion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307A (ko
Inventor
알프 데니스
Original Assignee
에스엔에르 룰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엔에르 룰망 filed Critical 에스엔에르 룰망
Publication of KR1999006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07Encoders, e.g. parts with a plurality of alternating magnetic p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7Fixing them in a ho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43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mounted in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 F16C19/181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16C19/18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with two rows at opposite angles
    • F16C19/18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with two rows at opposite angles in O-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2)의 가동링(23)에 부착된 코딩 요소(7)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8)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링(23)은 회전체(22)에 의해 고정링(2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센서(8)는, 상기 지지체(9)에 장착된 탄성 수단(903)에 의해 상기 코딩 요소(7)와 상기 센서(8) 사이에 일정 갭이 유지되도록, 베어링(2)의 고정링(21)과 축방향 정지 수단(11, 32) 사이에 놓인 지지체(9)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 수단(903)은 상기 지지체(9)를 상기 축방향 정지 수단(32)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DEVICE FOR MOUNTING A SENSOR TO A BEARING HAVING ROLLING BODIES}
본 발명은 구름체를 구비하고 비접촉식 센서로 판독할 수 있는 코딩 소자가 장착된 베어링에 상기 센서를 고정적으로 장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랑스 특허 FR 2,667,947호는 하우징에 수축끼워맞춤식으로 장착된 베어링의 고정링과 견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속도 감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장착 방식에 있어서, 급속하고 강력한 기계적 응력 또는 팽창의 차이에 의해 그 하우징 내의 베어링의 축방향 변위 또는 "크리프"가 유발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가끔 서클립형(circlip type)의 축방향 정지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베어링 자체의 동작에는 영향을 받지 않더라도, 코딩 소자에 대한 센서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기 때문에 센서의 동작에 대한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더욱이, 센서는 확고하게 지지되지 않고 간극을 가지므로, 센서가 그 주변부의 진동에 지나치게 민감해진다. 이러한 민감성은 접촉부의 산화와 피막 손실(brownout, micro-cut-outs)을 유발할 수 있고, 또한 신호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또한, 내부 회전링의 경우에, 그러한 장착 방식은 그것의 양호한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는 마찰, 발열, 마모를 일으킬 수 있는 물, 진흙, 염분과 같은 오염물이 원심 작용을 받게 한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원리에 의하면 베어링과 그 하우징에 상당한 변화가 초래되고, 센서와 베어링 요소를 독립적으로 교체할 수 없다.
이들 몇 가지 결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프랑스 특허 FR 2660975호와 FR 2703740호는, 베어링 고정링에 탄성적으로 고정된 센서용 지지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어링의 고정링에 부착하려면 여전히 상기 고정링에 대해 특정한 변경이 요구된다. 이러한 변경은, 구름체(roller)의 크기 감소 또는 그 베어링에 합체되는 밀봉 수단을 위한 공간을 줄이기 위해, 베어링의 장착 조건을 재고해야 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나아가, 이렇게 해서 발생되는 변동은 부품 자체 또는 소비자 측의 재고 보유와 관련하여 상당한 추가 비용을 유발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 구동 휠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착 상태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센서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제1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 장착의 제2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름체와, 고정링과, 가동링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링은 상기 구름체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링의 축방향 이동은 축방향 정지 수단에 의해서 한정되는 베어링의 상기 가동링에 부착된 코딩 소자를 감지하도록, 베어링의 코딩 소자 감지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과 축방향 정지 수단 사이에 지지체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지지체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코딩 소자와 센서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유지시키는 편향력(偏向力)을 상기 지지체에 가하는 탄성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는 강성을 갖도록 상기 고정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 환상부와, 이 중심 환상부와는 다른 평면에 상기 중심 환상부와 동심으로 배치되는 주변 환상부로 구성되며, 상기 주변 환상부는 상기 중심 환상부의 평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주변 환상부의 둘레에서 중심 환상부와 주변 환상부와의 사이의 연결부에 형성된 구멍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형 분기부(分岐部)로 구성되고, 상기 원호형 분기부는 그것의 말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주변 환상부에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변형되어 주변 환상부의 둘레에서 중심 환상부의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복부(起伏部)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각 원호형 분기부는 2개의 독립적인 부분에 의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독립적인 부분은 하나의 말단부에서만 주변 환상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축방향 정지 수단은 견부(肩部)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구멍의 내측 모서리에 의해서 상기 견부의 내경부에서 중심이 맞춰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축방향 정지 수단은 정지편(停止片)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체의 주변 환상부는 원호형 분기부 사이의 부분이 축방향 돌출부에 의하여 상기 베어링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축방향 돌출부에 의하여 베어링의 고정링 외경부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주변 환상부의 외경부는 피봇의 내경부에 끼워맞춰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의 중심 환상부의 내경부는 보강 플랜지에 의해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중심 환상부와 주변 환상부 사이의 연결부에, 상기 센서와 상기 코딩 소자 사이의 간극에 침투할 수 있는 오염물이 중력 또는 원심력에 의해 쉽게 배출되게 하는 추가적인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는 이 지지체에 상기 센서를 틈새없이 장착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 수단은 측방에 상기 중심 환상부 및 주변 환상부의 방사상 구멍을 한정하는 2개의 평행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는 고정 헤드와, 각 슬라이드 바의 외측에서 시작되는 2개의 암으로 구성되며, 이들 암은 상기 슬라이드 바의 외측에서 시작하여 환상부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에 평행하게 연장된 후에 다시 상기 중심 환상부 및 주변 환상부의 외측을 향하여 180˚굴곡되고, 직립부에서 다시 연결되어 센서를 수용하는 고정 클램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는 단일편의 얇은 금속판의 연속적인 절단 및 스탬핑 작업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센서가 회전체로부터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차량의 휠 장착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작동 및 크리프에 의하여 초래되는 틈새를 탄성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조정이 없이도 그리고 작동 조건에 관계없이, 코딩 소자와 센서 사이에서 개재되는 간극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차량의 구동 휠의 장착과 관련하여, 상기 구성 요소들, 즉 코딩 소자가 마련된 베어링, 센서 지지체 및 센서 자체를 이들 구성 요소들과 관련된 부재 및 그 주변부 또는 전통적인 조립 범위를 크게 수정하지 않고도, 별도로 장착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설명을 읽으면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변속기측 피봇(3)의 내경부(bore)(31)을 한정하는 견부(肩部)(32)와 휠(wheel) 반대측의 피봇(3) 말단부에 위치한 정지편(4)과의 사이에서, 수축끼워맞춤(shrink-fitting)에 의해 상기 내경부(31)에 고정된 구름 베어링(2)에 휠 허브(hub)(1)를 장착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허브(1)는 스플라인(51)과 너트(6)에 의해 변속기축(5)에 고정된다. 표준 치수의 구름 베어링(2)은 구름체(22)에 의해 가동링(23)으로부터 분리된 고정링(21)을 구비한다. 이 구름 베어링(2)은 제1 밀봉 가스켓(24)과 제2 밀봉 가스켓(25)에 의하여 밀봉된다. 견부(32)측에 배치된 제2 밀봉 가스켓(25)에는, 가동링(23)에 결합되고 센서(8)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되는 코딩 소자(7)가 상기 센서와 예정된 간극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코딩 소자가 구비된 밀봉 장치는, 예를 들어, 프랑스 특허 FR 2700588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센서(8)는 베어링(2)의 고정링(21)과 피봇(3)의 견부(32) 사이에 고정된 지지체(9)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이 지지체(9)는 주로 강성을 갖도록 연장되는 중심 환상부(central annular part)(900)와, 이 중심 환상부(900)와 다른 평면에 상기 중심 환상부(900)와 동심으로 배치된 주변 환상부(peripheral annular part)(901)로 구성된다. 이들 환상부(900, 901)에는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헤드(910)가 위치하는 부위에 방사상의 구멍이 마련된다. 상기 헤드(910)에는, 환상부(900, 901)의 상기 방사상의 구멍을 횡방향으로 한정하는 2개의 평행한 슬라이드 바(slide bar)(911)가 포함된다. 각 슬라이드 바(911)의 외측에서 암(912)이 시작되는데, 이 암은 환상부(900, 901)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911)에 평행하게 연장된 후 180°뒤로 굴곡되어 상기 환상부(900, 901)를 향하여 연장된다. 이들 2개의 암(912)은 직립부(913)에서 다시 연결되어 센서(8)를 지지하게 위한 고정 클램프를 형성한다. 상기 센서(8)는 슬라이드 바(911)가 맞물리게 되는 2개의 측부 홈(81)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고정 클램프에 삽입된다. 센서(8)에는 전면(82)이 형성되고 뒤에 홈(81)이 형성되어 있다. 센서(8)를 상기 암(912) 사이로 밀어 넣으면, 센서(8)의 전면부(82)는 상기 직립부(913)가 그것의 탭(tab)(914)에 의해 홈(83)과 맞물릴 때까지 직립부(913)를 벌림으로써, 상기 센서(8)가 지지체(9)의 고정 헤드(910)에 클립식으로 고정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지지체(9)의 중심 환상부(900)와 주변 환상부(901)와의 사이의 연결부에는 구멍(90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902)을 따라 주변 환상부(901)의 둘레에서 원호형 분기부(903)가 연장되는데, 이들 원호형 분기부는 그것들의 말단부서 상기 주변 환상부(901)에 연결된다. 이들 원호형 분기부(903)는 중심 환상부(900)의 평면을 향하여 기복부(起伏部)를 형성하도록 축방향으로 변형되는데, 상기 기복부는 주변 환상부(901)의 둘레로 연장된다. 중심 환상부(900)가 견부(32)를 향한 상태로 지지체(9)를 피봇(3)에 삽입함으로써 간단히 조립이 이루어진다. 피봇(3)의 내경부(31)에 주변 환상부(901)의 외경부(904)를 맞추거나, 견부(32)의 내경부(33)에 상기 구멍(902)의 내측 모서리(905)를 맞춤으로써, 상기 지지체(9)의 중심을 잡을 수 있다. 상기 구멍(902)의 내측 모서리(905)는 중심 환상부(900)의 평면 내에 위치한다.
그 후, 베어링(2)이 구멍(902)의 바깥쪽에 위치한 주변 환상부(901)의 일부와 맞닿아 지지체(9)를 고정시킬 때까지, 상기 베어링(2)을 상기 내경부(31)에 강제로 끼워맞춘다. 상기 지지체(9)는 충분히 큰 탄성 한계를 가진 소재로 만들어지므로, 상기와 같은 고정 과정에서 상기 원호형 분기부(903)가 편평하게 펼쳐지면, 베어링의 고정링(21)에 대향(對向)하여 지지체(9)의 주변 환상부(901)를 지속적으로 압박하는 탄성 복원력이 발생된다. 피봇(3)에는, 국부적인 구멍(34)이 마련되는데, 이 구멍을 통해서 상기 센서를 삽입하여 지지체(9)의 고정 헤드(910)에 배치할 수 있다.
그 후, 안전 정지편(4)을 필요한 축박향 간극(J)을 두고 피봇(3)의 홈(10)에 배치한다.
동작 중에, 고정링(21)이 내경부(31) 내에서 이동하여, 고정링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간극(J)를 변위시킬 수 있다. 원호형 분기부(903)의 초기 변형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 복원력은 중심 환상부(900)에 대향하여 주변 환상부(901)에 위치한 평탄부(906)가 고정링(211)의 측면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압착될 수 있게 하여, 지지체(9)의 축방향 위치, 나아가 센서(8)와 코딩 소자(7) 사이의 일정한 간극을 보장한다.
상기 원호형 분기부(903)는, 충분한 예하중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도록 함과 아울러, 지지체(9)의 축방향 및 원주 방향 양방향의 미소 변위를 마찰에 의해 제한하기 위하여, 보상될 간극(J)보다 더 크게 변형됨으로써, 주변부의 높은 진동에 대하여 상기 지지체가 둔감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지지체(9)는 필요한 두께의 금속판을 절단 및 스탬핑하는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제조되는데, 이 지지체(9)에는 원하는 기계적 특성을 부여하는 열처리 및/또는 필요하다면 부식 방지 코팅을 시행할 수 있다.
원호형 분기부(903)는 주변 환상부(901) 내측을 절단하여 형성하고, 구멍(902)은 지지체(9)의 나머지 부분을 개별적으로 펀칭함으로써 형성된다. 구멍(902)의 길이는 탄성 작력(作力)과 함수 관계를 갖는데, 이 탄성 작력은 금속판의 최초 두께, 구성 재료의 기계적 저항성 및 변형 정도에 종속된다. 탄성 요소가 원호형 분기부(903)와는 다른 형태인 지지체(9)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분기부는 말단부 중 하나만이 주변 환상부(901)에 연결될 수도 있고, 또한 직선형일 수도 있다.
또한, 지지체(9)의 환상부(900)는, 상기 간극과 밀봉 가스켓(25) 내에 침입 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여 직접적인 오염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9)는, 상기 중심 환상부(900)와 주변 환상부(901) 사이의 연결부에, 상기 센서(8)와 상기 코딩 소자(7) 사이의 간극에 침투할 수 있는 오염물이 중력 또는 원심력에 의해 쉽게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추가적인 구멍(907)을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보다 쉽게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심 환상부(900)의 홈에 조립상의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는 플랜지(908)를 만들어 지지체(9)가 더 큰 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슬라이드 바(911)와, 암(912)과, 직립부(913)로 구성되는 고정 클램프 윤곽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을 행한 후 상기 암(912)을 굴곡시킴으로써, 단일편의 전술한 것과 동일한 금속판에 센서(8)를 장착하기 위한 헤드(910)가 마련된다.
베어링(2)의 방향이 반대로 되는 변형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의 견부(32)가 정지편(4) 대신 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면, 장착 방향은 반대로 되어야 하며,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번에는 센서(8)와 동일측에 위치한 다른 정지편(11)에 의해 안전 정지부가 마련된다.
이 경우에, 먼저 베어링(2)을 피봇(3)에 장착하고, 다음에 지지체(9)를 제위치에 끼워 맞추기 전에 정지편(11)에 삽입하여 조립이 수행된다. 따라서, 필요한 간극(J)이 처음부터 지지체(9) 측에 위치하고, 이 간극은 동작 중의 베어링 위치가 어디이든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보상된다.
견부가 없으면 더 이상 구멍(902)의 내부 모서리(905)로 지지체(9)의 중심을 맞추기가 불가능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부(31) 내에 주변 환상부(901)의 외경부(904)를 배치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2) 고정링(21)의 외경부상에서 지지체(9) 외경부(904)에 형성된 축방향 연장부(909)를 이용하여 중심을 맞춘다.
전술한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지지체(9), 특히 그 중심 환상부(900)와 정지편(11)의 끼워맞춤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후자를 보다 얇은 단면과 낮은 높이로 만들 수 있다.
매우 강한 축방향의 기계적 응력이 가해지는 상황 하에 구름체를 기계적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정지편(11)은 이제 대응하는 홈(12)의 면들과 접촉하는 내면(111과 112)을 갖는 "L"자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단면(斷面)상의 관성축에 주위로 이 정지편(11)이 굴곡되는 것을 회피하여 정지편(11)의 어떤 우발적인 이탈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작동 및 크리프에 의하여 초래되는 틈새를 탄성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조정이 없이도 그리고 작동 조건에 관계없이, 코딩 소자와 센서 사이에서 개재되는 간극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차량의 구동 휠의 장착과 관련하여, 상기 구성 요소들, 즉 코딩 소자가 마련된 베어링, 센서 지지체 및 센서 자체를 이들 구성 요소들과 관련된 부재 및 그 주변부 또는 전통적인 조립 범위를 크게 수정하지 않고도, 별도로 장착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센서의 지지체는 구름체가 사용된 것이라면 모든 종류의 베어링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구름체(22)와, 고정링(21)과, 가동링(23)을 구비하는 베어링(2)으로서, 상기 가동링(23)은 상기 구름체(22)에 의해서 상기 고정링(21)과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링(21)의 축방향 이동은 축방향 정지 수단(11, 32)에 의해서 한정되는 상기 베어링(2)의 상기 가동링(23)에 부착된 코딩 소자(7)를 감지하도록,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2)에 센서(8)를 장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21)과 축방향 정지 수단(11, 32)과의 사이에 지지체(9)가 배치되고, 이 지지체(9)에 상기 센서(8)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체(9)에는, 이 지지체(9)에 상기 코딩 소자(7)와 센서(8)와의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편향력(偏向力)을 인가하는 탄성 수단(903)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9)는 강성을 갖도록 상기 고정링(21)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 환상부(900)와, 이 중심 환상부와는 다른 평면에 상기 중심 환상부(900)와 동심으로 배치되는 주변 환상부(901)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 수단(903)은 상기 주변 환상부(901)에서 상기 중심 환상부(200)의 평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주변 환상부(901)의 둘레에서 중심 환상부(900)와 주린 환상부(901)와의 사이의 연결부에 형성된 구멍(902)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형 분기부(分岐部)(903)로 구성되고, 상기 원호형 분기부는 그것의 말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주변 환상부(901)에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변형되어 주변 환상부(901)의 둘레에서 중심 환상부(900)의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복부(起伏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각 원호형 분기부(903)는 2개의 독립적인 부분에 의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독립적인 부분은 하나의 말단부에서만 주변 환상부(90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정지 수단은 견부(3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9)는 상기 구멍(902)의 내측 모서리(90에 의해서 상기 견부의 내경부에서 중심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정지 수단은 정지편(1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주변 환상부(901)는 원호형 분기부(903) 사이의 부분이 축방향 돌출부(909)에 의하여 상기 베어링(2)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지지체(9)는 상기 축방향 돌출부에 의하여 베어링의 고정링(21) 외경부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상부(901)의 외경부(904)는 피봇(3)의 내경부(31)에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9)의 중심 환상부(900)의 내경부는 보강 플랜지(908)에 의해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9)에는, 상기 중심 환상부(900)와 주변 환상부(901) 사이의 연결부에, 상기 센서(8)와 상기 코딩 소자(7) 사이의 간극에 침투할 수 있는 오염물이 중력 또는 원심력에 의해 쉽게 배출되게 하는 추가적인 구멍(907)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9)는 이 지지체(9)에 상기 센서(8)를 틈새 없이 장착하는 지지 수단(9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측방에 상기 환상부(900, 901)의 방사상 구멍을 한정하는 2개의 평행 슬라이드 바(911)를 포함하는 고정 헤드(910)와, 각 슬라이드 바(911)의 외측에서 시작되는 2개의 암(912)으로 구성되며, 이들 암은 상기 슬라이드 바의 외측에서 시작하여 환상부(900, 901)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911)에 평행하게 연장된 후 다시 상기 환상부(901)의 외측을 향하여 180˚ 굴곡되고, 직립부(913)에서 다시 연결되어 센서(8)를 수용하는 고정 클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9)는 단일편의 얇은 금속판의 연속적인 절단 및 스탬핑 작업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8)는 회전체로부터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차량의 휠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체를 구비한 베어링에 센서를 장착하는 장치.
KR10-1998-0702802A 1995-10-20 1996-10-11 구름체를구비한베어링에센서를장착하는장치 KR100462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512339A FR2740186B1 (fr) 1995-10-20 1995-10-20 Dispositif de fixation d'un capteur sur un palier a corps roulants
FR95/12339 1995-10-20
PCT/FR1996/001584 WO1997015833A1 (fr) 1995-10-20 1996-10-11 Dispositif de fixation d'un capteur sur un palier a corps rou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307A KR19990064307A (ko) 1999-07-26
KR100462952B1 true KR100462952B1 (ko) 2005-05-09

Family

ID=948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802A KR100462952B1 (ko) 1995-10-20 1996-10-11 구름체를구비한베어링에센서를장착하는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22437A (ko)
EP (1) EP0890107B1 (ko)
JP (1) JP3633630B2 (ko)
KR (1) KR100462952B1 (ko)
BR (1) BR9611226A (ko)
DE (1) DE69620916T2 (ko)
ES (1) ES2173320T3 (ko)
FR (1) FR2740186B1 (ko)
WO (1) WO19970158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410B1 (ko) 2019-05-16 2020-03-27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마찰대전 기반 회전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28195T2 (de) 1996-01-22 2005-03-17 Nsk Ltd. Wälzlagereinheit mit frequenzbestimmendem Rad
GB9615941D0 (en) * 1996-07-30 1996-09-11 Timken Co Combined bearing and sensor assembly
EP0869365B1 (en) * 1997-03-31 2003-06-25 NSK Ltd. Rolling bearing unit with rotational speed sensor
JP3968857B2 (ja) * 1998-01-09 2007-08-29 日本精工株式会社 回転速度検出部のシール構造
FR2777327B1 (fr) 1998-04-10 2000-05-19 Roulements Soc Nouvelle Dispositif de fixation d'un capteur d'informations pour roulement ou palier
IT1303083B1 (it) * 1998-07-27 2000-10-30 Skf Ind Spa Dispositivo per il montaggio di un sensore ad un gruppo cuscinetto diun assile ferroviario.
JP2000192949A (ja) * 1998-10-21 2000-07-11 Nsk Ltd 回転速度検出装置付回転支持装置
FR2790800B1 (fr) 1999-03-10 2001-04-20 Roulements Soc Nouvelle Ensemble preassemble formant joint d'etancheite a codeur incorpore et roulement ou palier comportant un tel ensemble
JP2000289405A (ja) 1999-04-02 2000-10-17 Nsk Ltd エンコーダ付組み合わせシールリング
FR2802992B1 (fr) * 1999-12-23 2002-03-01 Roulements Soc Nouvelle Organe de retenue axiale d'un roulement equipe d'un element codeur sur une de ses faces laterales
JP4857485B2 (ja) * 2001-04-25 2012-01-18 日本精工株式会社 エンコーダ付車輪用回転支持装置
US6769524B2 (en) 2001-05-15 2004-08-03 Nt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lutch and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JP2004076789A (ja) * 2002-08-12 2004-03-11 Ntn Corp 車輪軸受装置の回転センサ取付構造
JP2005140320A (ja) 2003-10-14 2005-06-02 Nsk Ltd 駆動輪用ハブユニット
JP4609928B2 (ja) * 2004-11-22 2011-01-12 Ntn株式会社 回転速度検出装置付き車輪用軸受装置
JP4522278B2 (ja) * 2005-01-25 2010-08-11 Ntn株式会社 回転速度検出装置付き軸受装置
DE102005042655A1 (de) * 2005-09-08 2007-03-15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Messung von Drehbewegungen eines Radlagers
JP2008180617A (ja) * 2007-01-25 2008-08-07 Ntn Corp 回転速度検出装置付き車輪用軸受装置
JP4803456B2 (ja) * 2007-06-08 2011-10-2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回転検出センサ取付構造
JP5166218B2 (ja) * 2008-11-25 2013-03-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センサー付き転がり軸受装置
DE102010039847A1 (de) * 2010-08-26 2012-03-01 Schunk Bahn- Und Industrietechnik Gmbh Erdungskontakt
FR3018569B1 (fr) * 2014-03-11 2016-12-09 Skf Ab Roulement instrumen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roulement instrumente
FR3080657B1 (fr) * 2018-04-26 2020-05-22 Ntn-Snr Roulements Palier a roulement
FR3080656B1 (fr) * 2018-04-26 2020-05-22 Ntn-Snr Roulements Palier a roulement
JP7083395B2 (ja) * 2018-09-05 2022-06-10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センサ素子の取付構造、移動量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R3107098B1 (fr) * 2020-02-11 2022-11-04 Ntn Snr Roulements dispositif de palier à roulement instrumenté comprenant un porte-capteur monobloc intégrant un organe élastique de précharge axia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0975B1 (fr) * 1990-04-13 1992-06-19 Roulements Soc Nouvelle Palier a corps roulants equipe d'un dispositif capteur d'informations orientable.
FR2667947B1 (fr) * 1990-10-16 1993-01-15 Skf France Dispositif de capteur de vitesse de rotation.
FR2693272B1 (fr) * 1992-07-03 1994-09-02 Skf France Dispositif de détection de la vitesse de rotation d'un palier à roulement et moyeu à roulement pour roue de véhicule équipé d'un tel dispositif.
FR2700588B1 (fr) * 1993-01-19 1995-02-17 Roulements Soc Nouvelle Dispositif de montage à joint d'étanchéité à codeur incorporé.
FR2703740B1 (fr) * 1993-04-09 1995-05-24 Roulements Soc Nouvelle Roulement équipé d'un dispositif capteur d'informations.
DE4400773A1 (de) * 1994-01-13 1995-07-20 Teves Metallwaren Alfred Radlagereinheit mit Drehzahlsensor(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410B1 (ko) 2019-05-16 2020-03-27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마찰대전 기반 회전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40186B1 (fr) 1997-11-28
US5622437A (en) 1997-04-22
WO1997015833A1 (fr) 1997-05-01
BR9611226A (pt) 2000-03-28
FR2740186A1 (fr) 1997-04-25
DE69620916D1 (de) 2002-05-29
KR19990064307A (ko) 1999-07-26
JP3633630B2 (ja) 2005-03-30
EP0890107A1 (fr) 1999-01-13
EP0890107B1 (fr) 2002-04-24
DE69620916T2 (de) 2002-11-14
ES2173320T3 (es) 2002-10-16
JP2000513804A (ja) 2000-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952B1 (ko) 구름체를구비한베어링에센서를장착하는장치
US6666583B2 (en) Bearing retention assembly having cam chamfered bearing race ring
CN1122003A (zh) 检测滚动轴承转速的装置
US6924638B2 (en) Arrangement for mounting rotation speed sensor to wheel bearing assembly
KR970001604B1 (ko) 볼 조인트
US4958942A (en) Oil seal assembly
JPS63135658A (ja) シール装置
JPS61500502A (ja) ハブシ−ルおよび軸スリ−ブ
KR100773704B1 (ko) 샤프트-허브 조립체 및 이 조립체의 제조 방법
EP1300600B1 (en) Bearing assembly and method
US7898132B2 (en) Motor assembly
JP4246626B2 (ja) 計測機能付きころがり軸受装置
JPH086742B2 (ja) センサ装置用軸受座符号器取付け台
KR20030066441A (ko) 전기모터용 구름 베어링
JP3998430B2 (ja) 回転センサ付き転がり軸受
EP0866249B1 (en) A multiple contact seal assembly for mechanical members coupled for relative rotation
US5132616A (en) Polarized magnetic ring for speed sensing bearing assembly
US5062821A (en) Arrangement of a protective cover on the socket of a transmission joint
JP3844407B2 (ja) ピンスライド型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スライドピン取り付け構造
JP3647560B2 (ja) センサ装置を有する車輪軸受
JPH08256442A (ja) マイクロモータ
JP3877791B2 (ja) 回転軸受の回転速度検出装置
JPS622830A (ja) 可逆型モ−タ
JP3994670B2 (ja) 転がり軸受
JP5035754B2 (ja) センサー付き転がり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