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361B1 -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361B1
KR100461361B1 KR10-2001-0050338A KR20010050338A KR100461361B1 KR 100461361 B1 KR100461361 B1 KR 100461361B1 KR 20010050338 A KR20010050338 A KR 20010050338A KR 100461361 B1 KR100461361 B1 KR 100461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mounting
shock absorbing
coup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641A (ko
Inventor
이주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3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료탱크(1)를 중심으로 차체의 전방쪽으로는 센터플로어사이드멤버(1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차체의 후방쪽으로는 리어플로어(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운팅브라켓트(21)와, 이 마운팅브라켓트(21)에 나사체결되어 설치되는 마운팅부시(23)와, 일단이 상기 마운팅부시(23)에 압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연료탱크(1)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운팅로드(25)로 구성된 충격흡수수단(20)을 이용하여 설치되어져, 후방충돌사고시 발생된 충격력의 대부분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수단(20)의 마운팅로드(25)와 마운팅부시(23) 및 완충부재(27)에 의해 감소되게 됨으로써, 상기 연료탱크(1)의 찌그러짐 변형이 최소화되면서 연료누출도 예방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fuel tan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방충돌사고 발생시 충격력을 최대한 흡수하여 연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는 강판으로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는 연료의 출렁거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배플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브리이더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탱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플로어(2)의 밑면에 위치되면서 보통 밴드(band)타입으로 된 복수개의 강판(3)에 의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강판(3)이 연료탱크(1)의 밑면을 감싸면서 그 양단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도시않됨)에 의해 리어플로어(2)와 나사체결됨으로써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료탱크(1)는 리어크로스멤버(4)와 협소한 간격(D)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후방충돌 사고가 발생되면 그 충격력에 의해 상기 리어크로스멤버(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쪽으로 밀려들어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연료탱크(1)의 일측부가 찌그러지면서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료탱크(1)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강판(3)이 리어크로스멤버(4)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을 어느 정도 감소시켜야만 상기 연료탱크(1)의 심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강판(1)이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한 밴드(band)타입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리어크로스멤버(4)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의 대부분을 흡수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연료탱크(1)가 심하게 파손되면서 연료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미설명 도면부호 M은 차체의 후방과 충돌을 일으키는 물체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료탱크가 후방충돌사고 발생시 리어크로스멤버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충격흡수수단에 의해 설치되어져, 후방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연료탱크의 찌그러짐 변형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이로 인해 연료의 누출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설치구조는, 연료탱크를 중심으로 차체의 전방쪽으로는 센터플로어사이드멤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차체의 후방쪽으로는 리어플로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운팅브라켓트와, 이 마운팅브라켓트에 나사체결되어 설치되는 마운팅부시와, 일단이 상기 마운팅부시에 압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연료탱크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운팅로드로 구성된 충격흡수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연료탱크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저면도,
도 2는 후방충돌사고 발생시 종래 연료탱크의 변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저면도 및 종단면도,
도 5와 도 6은 도 4의 Ⅰ-Ⅰ선 및 Ⅱ-Ⅱ선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로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료탱크 2 - 리어플로어
4 - 리어크로스멤버 11 - 센터플로어사이드멤버
20 - 충격흡수수단 21 - 마운팅브라켓트
23 - 마운팅부시 25a - 충격흡수용 비드
25 - 마운팅로드 27 - 완충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저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리어크로스멤버(4)와 일정간격(D)으로 이격되면서 리어플로어(2)의 밑면에 위치되는 연료탱크(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충격흡수수단(20)에 의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수단(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1)를 중심으로 차체의 전방쪽으로는 센터플로어사이드멤버(1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차체의 후방쪽으로는 리어플로어(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운팅브라켓트(21)와, 이 마운팅브라켓트(21)에 볼트(23a) 및 너트(23b)에 의해 나사체결되어 설치되는 마운팅부시(23)와, 일단이 상기 마운팅부시(23)에 압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연료탱크(1)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운팅로드(25)로 구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운팅브라켓트(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플로어사이드멤버(11)나 또는 리어플로어(2)에 접합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1브라켓트부재(21a)와, 이 제1브라켓트부재(21b)와 볼트(22a) 및 너트(22b)에 의해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마운팅부시(23)가 결합되는 제2브라켓트부재(21b)로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1)와 결합되는 마운팅로드(25)의 일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로 된 완충부재(27)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27)가 연료탱크(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마운팅로드(25)의 일단이 연료탱크(1)와 연결되도록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로드(25)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충격흡수용 비드(25a)가 전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충격흡수용 비드(25a)는 대략 삼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꼭지점(C)을 중심으로 일정부분이 서로 중첩되게 지그재그 모양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어플로어(2)의 밑면에 위치되는 연료탱크(1)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충격흡수수단(20)에 의해 설치되게 되면, 후방충돌사고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연료탱크(1)의 파손정도가 최대한 감소되게 되며 이로 인해 연료가 누출되는 것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후방충돌사고가 발생되어 그 충격력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수단(20)으로 전달되게 되면, 먼저 마운팅로드(25)가 전장을 따라 변형되면서 오므라 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운팅로드(25)에 형성된 다수개의 충격흡수용 비드(25a)가 서로 접촉을 일으키면서 충격력의 일부분을 일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로드(25)에 의해 흡수되지 못한 나머지의 충격력은 마운팅브라켓트(21)에 설치된 마운팅부시(23) 및, 상기 연료탱크(1)와 마운팅로드(25)를 결합시키는 완충부재(27)에 의해 이차적으로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후방충돌사고시 발생되어 연료탱크(1)쪽으로는 전달되는 충격력이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로드(25)와 마운팅부시(23) 및 완충부재(27)에 의해 대부분 감소되게 됨으로써, 이로 인해 상기 연료탱크(1)쪽으로는 최소한의 충격량만이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수단(20)에 의해 연료탱크(1)쪽으로 최소한의 충격량만이 전달되게 되면,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밴드타입의 강철(3)에 의해 설치된 종래의 연료탱크(1) 설치구조보다, 상기 연료탱크(1)의 찌그러짐 변형이 최소화되게 되고, 이로 인해 연료의 누출도 최대한 예방되게 되며 아울러 탑승자의 안전성도 그만큼 향상되게 된다.
또한, 후방충돌사고가 발생되더라도 연료탱크(1)의 찌그러짐 변형이 최소화되면서 연료의 누출도 예방되게 되면,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상품성도 그만큼 증진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충돌사고시 발생된 충격력의 대부분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수단의 마운팅로드와 마운팅부시 및 완충부재에 의해 감소되게 됨으로써, 연료탱크의 찌그러짐 변형이 최소화되고 연료의 누출도 예방됨은 물론 이로 인해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상품성도 그만큼 증진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연료탱크(1)를 중심으로 차체의 전방쪽으로는 센터플로어사이드멤버(1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차체의 후방쪽으로는 리어플로어(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운팅브라켓트(21)와, 이 마운팅브라켓트(21)에 나사체결되어 설치되는 마운팅부시(23)와, 일단이 상기 마운팅부시(23)에 압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연료탱크(1)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운팅로드(25)로 구성된 충격흡수수단(20)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로드(25)의 일단은 고무로 된 완충부재(27)를 매개로 연료탱크(1)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로드(25)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충격흡수용 비드(25a)가 전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용 비드(25a)는 삼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꼭지점(C)을 중심으로 일정부분이 서로 중첩되게 지그재그 모양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KR10-2001-0050338A 2001-08-21 2001-08-21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KR100461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338A KR100461361B1 (ko) 2001-08-21 2001-08-21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338A KR100461361B1 (ko) 2001-08-21 2001-08-21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641A KR20030016641A (ko) 2003-03-03
KR100461361B1 true KR100461361B1 (ko) 2004-12-10

Family

ID=2772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338A KR100461361B1 (ko) 2001-08-21 2001-08-21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109B1 (ko) * 2006-11-15 2008-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KR102452077B1 (ko) * 2016-06-22 2022-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및 연료탱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CN113246718B (zh) * 2021-06-30 2022-03-11 统亚(山东)汽车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尿素箱和油箱总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9028U (ko) * 1986-10-06 1988-04-20
JPH10236172A (ja) * 1997-02-24 1998-09-08 Honda Motor Co Ltd 燃料タンク及びその固定装置
JPH10309947A (ja) * 1997-05-09 1998-11-24 Toyota Motor Corp 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H1159206A (ja) * 1997-08-11 1999-03-02 Suzuki Motor Corp 燃料タンク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9028U (ko) * 1986-10-06 1988-04-20
JPH10236172A (ja) * 1997-02-24 1998-09-08 Honda Motor Co Ltd 燃料タンク及びその固定装置
JPH10309947A (ja) * 1997-05-09 1998-11-24 Toyota Motor Corp 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H1159206A (ja) * 1997-08-11 1999-03-02 Suzuki Motor Corp 燃料タンク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641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361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JP2006151146A (ja) 車両の車体構造
KR970000907Y1 (ko) 승용차용 오일탱크의 취부구조
KR0158352B1 (ko) 충격흡수용 범퍼지지대
KR0118285Y1 (ko) 자동차 후부차체구조
KR20060134425A (ko) 차량의 범퍼 조립구조
KR100208585B1 (ko) 자동차용 도어용 보강부재
KR100334273B1 (ko) 자동차 범퍼의 완충구조
KR0136333Y1 (ko) 범퍼 스테이
KR100580504B1 (ko) 차량용 리어롤스톱퍼의 장착구조
KR200152676Y1 (ko) 프론트 범퍼페시아 변형방지용 브라켓
KR200151619Y1 (ko) 차량의 범퍼스테이구조
KR200147137Y1 (ko) 자동차의 후방현가장치용 액슬빔 보호구
KR100231534B1 (ko) 범퍼 리인포스먼트구조
KR100195500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빔의 취부구조
KR200219635Y1 (ko) 지프형 차량의 프레임
KR19980040773U (ko) 자동차의 후방 하부 차체 구조
KR100392272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20000009966U (ko)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보강 구조
KR19980044684U (ko) 차량용 범퍼 조립체
KR20020097403A (ko) 자동차의 범퍼
KR19980062949A (ko) 자동차의 후방 하부 차체 구조
KR19980059637A (ko) 자동차의 후방 하부 차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