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280B1 - 자동변속기의 레버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레버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280B1
KR100461280B1 KR10-2002-0084188A KR20020084188A KR100461280B1 KR 100461280 B1 KR100461280 B1 KR 100461280B1 KR 20020084188 A KR20020084188 A KR 20020084188A KR 100461280 B1 KR100461280 B1 KR 10046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jaw
cable bracket
mod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441A (ko
Inventor
조양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2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자동변속기의 안전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자동변속기의 안전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에 의해 모드 절환 또는 레인지 절환 조작을 이루며, 일측에 턱부가 형성되는 하부레버가 장착되는 변속레버와,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변속 레인지 절환용 쉬프트 케이블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며,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케이블 브라켓과, 그리고 상기 주프레임에 힌지 가능하게 제공되며, 그 중간부에 중심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캠부와, 상기 오목홈에 장착되어 상기 캠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중심홀에 삽입되어 상기 캠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속레버의 모드절환작동에 따라 상기 변속레버의 턱부 및 상기 케이블 브라켓의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결합/해제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브라켓을 록킹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Rocking Means)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레버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SELEC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변속레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모드와 수동모드를 동시에 갖는 스포츠 모드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버를 자동모드에서 수동 모드로 절환하여 운전하고자 할 때 장치내 케이블 브라켓을 드라이드 모드상에 신뢰성 있게 고정하기 위한 자동 변속기 변속 레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는 운전 조건이나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번갈아 가며 선택할 수 있는 스포츠 세단 형식의 스포츠 모드 자동변속기가 고급 차종에 적용되는 추세로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자동 또는 수동 변속기의 두가지 방법 중에서 한가지만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종래에 비해 두가지 모드를 상황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훨씬 다양한 방법으로 드라이빙 감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자동 모드와 수동모드를 동시에 갖는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유닛이 도1(a) 및 도1(b) 에 도시된다.
도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모드(이하, D단)인 경우에는 주프레임(1)의 내부에 변속 레버(3)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변속 레버(3)의 돌기(5)에 장착된 캡부(Cap Portion;4)가 스프링(Spring;7)을 밀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스프링(7)이 케이블 브라켓(9)의 걸림턱(6)에서 이탈하게 됨으로 변속 레버(3)와 케이블 브라켓(9)은 서로 자유로워짐으로 자동변속이 가능해진다.
반면에, 도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츠 모드(SP 모드)로 절환되는 경우에는 변속 레버(3)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당긴다. 그리고, 변속 레버(3)가 젖혀지면 돌기(5)의 캡부(4)가 스프링(4)과의 접촉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스프링(4)으로부터 이탈되어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케이블 브라켓(9)의 걸림턱(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브라켓(9)은 주프레임(1)에 전후회전이 불가능하도록 록킹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버 유닛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스프링과 캡부의 외부면에 코팅이 필요함으로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둘째, 변속 레버의 작동시 접촉 소음이 발생하고, 스프링이 진동함으로 떨림음이 발생하게 된다.
셋째, 스프링과 캡부에 도포된 코팅막이 마모되는 경우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넷째, 변속레버 작동시 레버로부터 캡부가 이탈되는 경우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모드와 수동모드를 동시에 갖는 스포츠 모드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버를 자동모드에서 수동모드로 절환하여 운전하고자 할 때 장치내 케이블 브라켓을 드라이드 모드상에 신뢰성 있게 고정하기 위한 자동 변속기 변속 레버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손위험이 적고 변속레버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변속기 변속레버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a)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버가 드라이버 모드인 경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b)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버가 SP 모드인 경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가 드라이버 모드인 경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가 SP 모드인 경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4 는 도2 에 도시된 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프레임 11: 변속레버
17: 록킹수단 19: 케이블 브라켓
23; 회전축 31: 탄성부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에 의해 모드 절환 또는 레인지 절환 조작을 이루며, 일측에 턱부가 형성되는 하부레버가 장착되는 변속레버와;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변속 레인지 절환용 쉬프트 케이블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며,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케이블 브라켓과; 그리고 상기 주프레임에 힌지 가능하게 제공되며, 그 중간부에 중심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캠부와, 상기 오목홈에 장착되어 상기 캠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중심홀에 삽입되어 상기 캠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속레버의 모드절환작동에 따라 상기 변속레버의 턱부 및 상기 케이블 브라켓의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결합/해제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브라켓을 록킹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Rocking Means)을 포함하며, 상기 캠부는 드라이브 모드인 경우, 그 후단부가 상기 변속레버의 턱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들림으로써 그 선단부가 상기 케이블 브라켓의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며, 스포츠 모드(SP모드)인 경우, 그 후단부가 상기 변속레버의 턱부로부터 이탈됨으로서 그 선단부가 상기 케이블 브라켓의 걸림턱에 결합되는 자동 변속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안전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자동 변속기의 안전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주프레임(10)과, 상기 주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에 의해 모드 절환 또는 레인지 절환 조작을 이루는 변속레버(11)와, 상기 변속레버(11)의 조작에 따라 변속 레인지 절환용 쉬프트 케이블(도시안됨)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케이블 브라켓(19)과, 상기 케이블 브라켓(19)과 변속레버(11)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변속레버(11)의 모드절환작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 브라켓(19)을록킹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Rocking Means;17)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11)는 주프레임(10)의 내부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변속레버(11)의 하부에는 하부레버(13)가 일체로 장착된다. 이 하부레버(13)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 턱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브라켓(19)의 일측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걸림턱(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수단(17)이 상기 턱부(15) 및 걸림턱(21)에 선택적으로 결합 혹은 해제됨으로써 케이블 브라켓(19)과 변속레버(11)를 록킹/해제시킨다.
이러한 록킹수단(17)은 상기 주프레임(10)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변속레버(11)가 힌지 운동하는 경우 연동하여 작동하게 된다.
상기 록킹수단(1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간부에 중심홀(29)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오목홈(33)이 형성되는 캠부(35)와, 상기 오목홈(33)에 그 양다리부(33,35)가 접촉하여 상기 캠부(35)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1)와, 상기 중심홀(29)에 삽입되어 상기 캠부(35)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2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록킹수단(17)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1)는 스프링 혹은 러버등의 탄성체가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부재(31)는 원형으로 권선되고, 그 양측에는 다리부(33,35)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캠부(35)의 선단부(25)를 시계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캠부(35)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캠부(35)의 선단부(25)가 시계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록킹수단(17)은 도2 내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11)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드라이브 모드 혹은 스포츠 모드(SP 모드)로 선택적으로 절환 가능하다.
즉, 드라이브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변속레버(11)가 주프레임(10)상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변속레버(11)의 턱부(15)가 상기 록킹수단(17)의 캠부(35)의 후단부(27)에 접촉하여 상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캠부(35)의 선단부(25)가 케이블 브라켓(19)의 걸림턱(21)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브라켓(19)과 변속레버(11)는 서로 자유상태가 된다.
반면에, SP 모드인경우에는, 상기 변속레버(11)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변속레버(11)의 턱부(15)와 상기 캠부(35)의 후단부(27)의 접촉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캠부(35)가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캠부(35)의 선단부(25)가 케이블 브라켓(19)의 걸림턱(2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브라켓(19)과 변속레버(11)는 서로 결합상태가 되어, 케이블 브라켓(19)은 주프레임(10)에 전후회전이 불가능하도록 록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안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버를 자동모드에서 수도모드로 절환하여 운전하고자 할 때 록킹수단에 의하여 장치내 케이블 브라켓을 드라이드 모드상에 신뢰성 있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모드절환시 파손위험이 줄어들고, 모드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캡부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됨으로 원가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넷째, 모드 절환시 부품간의 접촉이 없음으로 접촉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4)

  1. 차체에 고정되는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에 의해 모드 절환 또는 레인지 절환 조작을 이루며, 일측에 턱부가 형성되는 하부레버가 장착되는 변속레버와;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변속 레인지 절환용 쉬프트 케이블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며,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케이블 브라켓과; 그리고
    상기 주프레임에 힌지 가능하게 제공되며, 그 중간부에 중심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캠부와, 상기 오목홈에 장착되어 상기 캠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중심홀에 삽입되어 상기 캠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속레버의 모드절환작동에 따라 상기 변속레버의 턱부 및 상기 케이블 브라켓의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결합/해제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브라켓을 록킹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Rocking Means)을 포함하며,
    상기 캠부는 드라이브 모드인 경우, 그 후단부가 상기 변속레버의 턱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들림으로써 그 선단부가 상기 케이블 브라켓의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며, 스포츠 모드(SP모드)인 경우, 그 후단부가 상기 변속레버의 턱부로부터 이탈됨으로서 그 선단부가 상기 케이블 브라켓의 걸림턱에 결합되는 자동 변속기의 안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이 권선되고, 그 양단부에 다리부가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양다리부는 상기 오목홈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자동 변속기의 안전장치.
KR10-2002-0084188A 2002-12-26 2002-12-26 자동변속기의 레버 안전장치 KR10046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88A KR100461280B1 (ko) 2002-12-26 2002-12-26 자동변속기의 레버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88A KR100461280B1 (ko) 2002-12-26 2002-12-26 자동변속기의 레버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41A KR20040057441A (ko) 2004-07-02
KR100461280B1 true KR100461280B1 (ko) 2004-12-10

Family

ID=3735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188A KR100461280B1 (ko) 2002-12-26 2002-12-26 자동변속기의 레버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57B1 (ko) 2013-10-11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체
CN107489761B (zh) * 2016-12-23 2020-03-0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手自一体式换挡机构和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41A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520B1 (ko)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 쉬프트 록 장치
KR100380059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JP5005857B2 (ja) 自転車用モータ駆動式変速機の電気制御装置
KR100285496B1 (ko)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 쉬프트 록 장치
KR100331647B1 (ko)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유닛용 슬라이더
JP2000048682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KR100461280B1 (ko) 자동변속기의 레버 안전장치
JP2004034830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100941586B1 (ko)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JP2000211392A (ja) 自動車の変速レバ―装置
JPH1067245A (ja) 変速機操作レバー
KR100428128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틸트장치
JPH1067244A (ja) 変速機操作レバー
JP2019018595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US6289760B1 (en) Mounting structure of change lever in vehicle
KR100345121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의 디턴트 장치
JPH09263153A (ja) 自動車の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100969096B1 (ko) 게이트형 변속 조작기구
KR100353984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의 디턴트 장치
KR19980035543A (ko) 변속레버 유격제거장치
KR200351216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장치
KR100456898B1 (ko) 오조작 방지 자동변속레버
KR100331648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의 디턴트 장치
JP2005119396A (ja) 車両用自動変速操作装置
KR960010556Y1 (ko) 자동차의 핀-레버식 틸팅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