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251B1 - 액체 용기, 액체 용기용 탄성 부재 및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 액체 용기용 탄성 부재 및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251B1
KR100456251B1 KR10-2002-0007629A KR20020007629A KR100456251B1 KR 100456251 B1 KR100456251 B1 KR 100456251B1 KR 20020007629 A KR20020007629 A KR 20020007629A KR 100456251 B1 KR100456251 B1 KR 100456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ylindrical
liquid container
need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224A (ko
Inventor
하따사노부유끼
야마모또하지메
시미즈에이이찌로
고오노다께시
고시까와히로시
난조다쯔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Landscapes

  • Ink Jet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Abstract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는 외부와 연결 가능한 연결 개구와, 연결 개구에 제공되고 외부와의 유체 연통을 위해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어,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태에서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을 포함하고,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은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될 때 압축되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용기, 액체 용기용 탄성 부재 및 기록 장치{LIQUID CONTAINER, ELASTIC MEMBER FOR LIQUID CONTAINER, AND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교체식 액체 용기와, 용기의 외측 및 내측에 연결하는 연결 개구를 플러그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교체식 액체 용기를 갖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교체식 잉크 용기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5-162333호에 개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잉크 용기가 공지되어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도면은 종래의 교체식 잉크 용기 또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교체식 잉크 용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도44, 45 및 46으로 제공되었다.
도44 내지 도4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잉크 용기의 제1예에서, 잉크 드로잉 부재(72)는 액체 용기 쉘 상부(62A)의 리세스(81a)와, 액체 용기 쉘 저부의 보유부의 리세스(83)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서 보유되고, 잉크 드로잉 부재(72)는 리세스(81a)에 위치하고, 상부 및 저부(62A, 62B)는 잉크 드로잉 부재(72)를 압축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종래 액체 용기의 제1예의 잉크 드로잉 부재(72)에 상응하는 종래의 액체 용기의 다른 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부재는 그의 특징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소위 "탄성 부재"라 하고, "잉크 드로잉 부재"의 명칭은 전술한 특허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명칭 후에 종래의 액체 용기의 제1예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도44는 종래의 액체 용기의 제1예에 사용되는 잉크 드로잉 부재(72)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잉크 드로잉 부재(72)는 잉크 기록 수단의 주 조립체 상의 잉크 드로잉 니들이 잉크 용기와 잉크 드로잉부(72f)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위치 설정부와, (도시되지 않은) 잉크 파우치와, 연결부(72g) 내로 삽입되는 잉크 드로잉부(72f)를 갖는다.
도44를 참조하여, 잉크 드로잉 부재(72)의 잉크 드로잉부(72f)의 직경(Y)은 액체 용기 쉘 저부(62B)의 보유부 리세스의 일부보다 크다. 그러므로, 상부 및 저부(62A, L28)가 결합될 때, 잉크 드로잉 부재(72)의 잉크 드로잉부(72f)는 압축되기만 하거나 또는 주로 그의 반경 방향으로 압축된다. 조립 후에, 액체 용기는 도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직경을 갖는 위치 설정부(72e)는 액체 용기 쉘의 상부 및 저부(62A, 62B)에 대해 잉크 드로잉 부재(72)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잉크 드로잉 부재(72)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47 및 48은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종래의 교체식 액체 용기의 제2예를 도시한다. 도47은 잉크 용기를 두 개의 대칭부로 분할하는 면에서 그의 세부를 도시한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48은 잉크 용기의 잉크 출구부, 특히 잉크 용기의 내측 및 외측과 연결하는 플러그와 그 주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47 및 48을 참조하면, 잉크 용기(100)는 잉크 저장 챔버(101)와 폐 잉크 저장 챔버(102)를 갖는다. 잉크 저장 챔버(101)의 일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잉크 드로잉 니들이 연결되는 두 개의 고무 플러그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폐 잉크 저장 챔버(102)의 일단부는 하나의 고무 플러그(104)를 도시한다. 이들 고무 플러그는 연결부의 일부이다. 잉크 드로잉 니들이 연결되는 잉크 통로부(103)와 대면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각각의 고무 플러그(104)는 고무 플러그 보유 리세스(105)와 고무 플러그 압축 부재(107)의 벽에 의해 한정된다.
폐 잉크 저장 챔버(102)는 서로 챔버의 일단부에 연결된 두 개의 (도47에서 상부 및 저부인) 저장부를 갖는다. 폐 잉크 저장부용 잉크 드로잉 니들이 연결되는 전술한 부분은 저부 저장부의 위치에 상응한다. 달리 말하면,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폐 잉크 이송 통로에 연결되는 폐 잉크 이송 니들은 배출 성능 회복 공정 등을 통해 토출된 폐 잉크가 폐 잉크 저장 챔버(102)의 저부 저장부로 유동하도록 연결된다. 사실상 폐 잉크 저장 챔버(102)의 전체 공간은 흡수성 부재(108)가 점유한다. 그러므로, 폐 잉크 저장 챔버(102)의 저부 저장부 내로 유동한 후에, 폐 잉크는 점차적으로 흡수성 부재(108)에 스며든다. 폐 잉크가 폐 잉크 저장 챔버(102)로 유동함에 따라, 폐 잉크는 점차적으로 흡수성 부재(108)에 스며들고 상부 저장부의 흡수성 부재(108)의 부분에 도달하고, 이러한 부분에도 스며든다. 결국, 흡수성 부재(108)로부터 스며나오기 시작한다. 폐 잉크 저장 챔버(102)의 상부 저장부는 흡수성 부재(108)의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한 분할벽(102A)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폐 잉크의 양이 흡수성 부재(108)의 폐 잉크 보유 용량을 초과하지 않기만 하면, 흡수성 부재(108)로부터 스며나오는 전술한 폐 잉크는 분할벽(102A)의 우측의 공간, 즉 흡수성 부재(108)를 포함하지 않는 상부 저장부의 일부로 넘치지 않는다. 폐 잉크의 누적량이 흡수성 부재의 용량을 초과함에 따라, 처음으로 흡수성 부재(108)로부터 새어나오는 폐 잉크는 분할벽(102A) 우측의 공간으로 넘치게 되고, 공간 내에 축적된다. 결국, 분할벽(102A) 우측의 공간 내의 폐 잉크의 상부 표면은 소정의 수준에 위치한 (도시되지 않은) 액체 검출 전극에 도달한다. 그 결과, 폐 잉크 저장 챔버(102)가 폐 잉크로 채워졌다는 것이 검출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가 잉크 용기(100)를 교체하도록 한다. 게다가, 폐 잉크 저장 챔버(102)는 상부 후면 코너부에 위치한 공기 환기구(109)를 구비한다. 폐 잉크 저장 챔버(102)는 이러한 공기 환기구를 통해 환기된다.
도48을 참조하면, 리세스(105) 내의 고무 플러그(104)가 위치되기 전에, 고무 플러그(104)의 외경은 리세스(105)의 내경보다 크다. 그러므로, 소정의 장치의 사용과 함께 (도48에 화살표(A)로 표시된) 반경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고무 플러그(104)는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으로 리세스(105)에 위치된다.
전술한 특허 출원에 개시된 도44에 도시된 종래의 잉크 용기의 제1예의 잉크 드로잉 부재(72)의 경우, 그의 위치 설정부(72e)는 잉크 드로잉 부재(72)에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는 기능만을 하고 잉크 드로잉 부재(72f)는 압축되어 유지된다.
게다가, 연결부(72g)는 잉크 드로잉부(72f)와 잉크 파우치를 단지 연결한다. 달리 말하면, 잉크 드로잉부(72f)만이 잉크 용기와 기록 장치 주 조립체 사이의 연결을 제공한다.
액체 용기의 제조 중에 잉크 드로잉부(72f)는 압축되고 상부 및 저부(62A, 62B)에 의해 한정된다. 그러므로, 원통형 니들이 잉크 드로잉부(72f)를 관통하지 않더라도, 압축 압력은 잉크 드로잉부(72f)에 항상 존재한다. 그러므로, 원통형 니들이 탄성 부재 내에 있을 때, 잉크 드로잉부(72f) 내의 압축 압력은 원통형 니들이 잉크 드로잉부(72f) 내에 있지 않을 때의 압축 압력과 원통형 니들의 체적에 비례하는 압축 압력의 총합이다.
일반적으로, 압축 압력이 더 크고, 압축 압력의 기간이 더 길면, 크립(creep)(소정 시간 동안 압축 압력 하에서 유지된 탄성 물체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못하는), 달리 말하면 영구적인 변형이 일어나는 현상)의 진행은 더 커진다.
달리 말하면, 원통형 니들이 긴 시간 동안 잉크 드로잉 부재(72) 내에 잔류한 후 빼낼 때, 잉크 드로잉 부재(72)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못해서 액체 용기 내의 액체가 연결 개구를 통해 떨어지게 된다.
도49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액체 용기의 제2예와 종래 기술에 따른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제2예의 경우에, 액체 용기(130)의 잉크 통로부(129)에 연결하는 잉크 이송 니들(127)의 직경이 크다면, 탄성 부재(128)는 잉크 이송 니들(127)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또한 (도49a의) 탄성 부재(128)의 반경 방향으로팽창된다. 탄성 부재(128)가 팽창함에 따른 체적은 탄성 부재(128) 내의 잉크 이송 니들(127)의 일부의 체적과 동일하다. 그 다음에, 잉크 이송 니들(127)이 탄성 부재(128)로부터 빼낸 후에도, 탄성 부재(128)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못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니들 입구측에서 탄성 부재(128)는 잉크 이송 니들(127)의 통로 주위로 만입되어 유지되지만, 반면에 니들 입구측에 대향된 측면에서는 탄성 부재(128)의 내부가 밀어지고 사실상 손상되지 않도록 유지되는 (도49b의) 탄성 부재가 부분적으로 끌림에 따라, 잉크 이송 니들(127)의 주위에 원추형 개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 부재의 밀봉 성능은 낮은 수준이다. 그러므로, 액체 용기 내의 잉크가 잉크 이송 개구(131)로부터 떨어져서 제거된 액체 용기 주위의 영역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탄성 부재(128)가 전술한 상태에 있을 때, 액체 용기가 기록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재장착될 때 탄성 부재(128)의 내부와 잉크 이송 니들(127) 사이에 형성된 인터페이스는 다른 경우보다 더 작다. 그러므로, 잉크가 잉크 이송 개구(131)로부터 떨어져서 기록 장치 주 조립체와 액체 용기 주위의 영역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도50은 기록 장치 주 조립체의 잉크 이송 니들에 의해 수 회 관통된 후의 액체 용기의 잉크 통로부용 고무 플러그의 평면도이다. 고무 플러그에 형성된 리브가 도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액체 용기가 종래 기술에 따라 기록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될 때, 기록 장치 주 조립체용의 잉크 이송 니들 자체는 탄성 부재(128), 즉 잉크 이송 개구 내에 끼워맞춤된 고무 플러그를 찢음으로써 액체 용기로 들어간다. 몇 가지 이유로 기록 장치의 사용자가 수 회 액체 용기를 반복하여 장착하고 착탈하면, 잉크 이송 니들(127)은 탄성 부재를 무작위로 찢어서 액체 용기가 장착될 때 마다 도50의 찢어진 틈(128a 내지 128c)을 야기한다. 달리 말하면, 탄성 부재(128)는 손상된다.
이들 찢어진 틈이 이어지거나 탄성 부재(128)의 작은 조각 또는 조각이 탄성 부재(128)로부터 절단된다면, 탄성 부재(128)가 압축 압력의 소정량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최악의 경우에, 도면에서 해칭된 부분(128d)은 떨어지고 개구가 생긴다. 특히, 잉크 제트 기록 장치가 큰 직경을 갖는 잉크 이송 니들을 가질 때, 잉크 이송 니들에 의해 탄성 부재(128)가 넓어져 형성된 갈라진 틈은 잉크가 잉크 이송 개구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액체 용기가 기록 장치로부터 반복적으로 장착 또는 착탈됨에 따라, 탄성 부재(128)의 손상의 진전은 탄성 부재(128)가 잉크 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탄성 부재(128)를 통하는 개구의 형성을 야기한다.
전술한 문제점은 다음의 큰 종이 시트를 다루는 상용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발생할 수 있다. 즉, 대량의 인쇄를 저비용으로 수행하기 위한 상용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경우, 인쇄 작업은 잉크로 완전히 채워진 잉크 용기를 갖는 장치 내의 잉크 용기의 교체 후에 통상적으로 작업자 없이 야간에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그 다음에, 야간 작업용으로 잉크가 완전히 채워진 잉크 용기와 교체된 부분적으로 빈 잉크 용기는 더 많은 인력이 활용 가능할 때 주간 동안 장치 내에 재장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원통형 니들이 액체 용기의 벽의 소정 부분에 관통될 때 그 내측과 외측이 연결되고, 기록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장착 또는 착탈 가능하고, 장기간 놓아둔 후 또는 원통형 니들이 장기간 액체 용기를 관통한 후에도 내부 잉크의 누수를 허용하지 않는 액체 용기와, 이러한 액체 용기와 양립할 수 있는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원통형 니들이 액체 용기의 밀봉 부재를 관통할 때 같이 탄성 부재가 밀봉 부재의 니들 입구측에서 니들 주위의 탄성 부재의 일부가 탄성 부재쪽으로 밀어지는 반면 니들 입구측에 대향된 측면의 니들 주위의 탄성 부재의 일부가 니들로부터 원추형으로 떨어져나가는 방식으로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와 원통형 잉크 이송 니들 사이의 접촉 표면의 충분한 양을 보장함으로써, 원통형 니들이 액체 용기의 벽의 소정 부분에 관통될 때 그 내측 및 외측이 연결되고, 기록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장착 또는 착탈 가능하고, 잉크의 누수를 허용하지 않는 액체 용기와 이러한 액체 용기와 양립할 수 있는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내측 및 외측이 원통형 니들이 액체 용기의 벽의 소정 부분에 관통될 때 그 내측과 외측이 연결되고, 기록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장착 또는 착탈 가능하고, 원통형 니들이 상당 수 액체 용기에 연결된 후에도 잉크의 누수를 허용하지 않는 액체 용기와, 이러한 액체 용기와 양립할 수 있는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세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즉 세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필수적으로 세 가지의 부가 발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라, 외측과 연결 가능한 연결 개구와, 상기 연결 개구에 연결되고 외측과 유체 연통하기 위해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되기에 적합하며 상기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 순으로 배치된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을 구비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가 제공되고, 상기 압축 구역과 비압축 구역은 상기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될 때 압축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비압축 구역의 탄성 부재의 탄성 저하는 압축 구역의 탄성 부재의 탄성 저하보다 작다. 그러므로, 비압축 구역의 탄성 부재는 원통형 부재가 장기간 탄성 부재의 압축 구역 또는 비압축 구역을 관통하여 유지될 때 이러한 탄성 부재가 원통형 부재가 제거된 후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못하는 영구적인 변형이 일어나는 현상(크립 현상)이 비교적 없다. 그러므로, 장기간 관통한 후에 원통형 부재를 제거하더라도, 비압축 구역의 탄성 부재는 연결 개구의 부적절한 밀봉을 피할 수 있다. 게다가, 탄성 부재의 비압축 구역의 제공에 의해, 탄성 부재가 원통형 부재에 접촉되는 절대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체 용기의 내측 또는 외측의 압력 변화에 대한 연결 개구의 밀봉 특성은 증가한다.
이러한 구조와 함께, 양호하게는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수직인 상기 탄성 부재의 압축 구역의 평면이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 방향에 수직인 상기 탄성 부재의 비압축 구역의 면보다 넓을 수 있다. 게다가, 양호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의 압축 구역의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는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 부재의 비압축 구역의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보다 길다.
부가적으로, 탄성 부재의 압축 구역과 비압축 구역은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일 부재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탄성 부재의 대향 단부 표면의 하나는 돌출된 형상을 갖고, 다른 것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제공하도록 리세스 형상을 갖고, 상기 비압축 구역은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로 리세스 형상쪽으로 돌출된 구성을 갖는다. 게다가, 원통형 부재가 돌출된 형상을 갖는 단부에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탄성 부재를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개구 내에 제공된 하우징이 더 제공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며, 실질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돌출 형상을 가지는 탄성 부재의 단부를 압축하는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의 중심을 향해 압축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원통형 부재가 탄성 부재의 기둥 형상부 내로 삽입될 때만 기둥 형상부 내에 압축력이 발생되고, 그러므로 탄성 부재의 기둥 형상부의 시간에 따른 영구 변형이 항상 압축된 상태에 있는 탄성 부재의 부분과 비교했을 때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탄성 부재 내에 원통형 부재가 오랜 기간동안 연속적으로 관통되어 있던 후에 제거되더라도, 연결 개구를 통한 액체의 누출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돌출 형상을 가지는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가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는 개구를 가지는 고정 부재로 압축될 때, 탄성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개구 내로 압축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 형상을 가지는 단부가 돌출 형상의 상단에 원추 형상부를 가지거나, 돌출 형상을 가지는 단부가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탄 표면 또는 계단형 표면을 가지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그러한 구조로써, 탄성 부재가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될 때 원통형 부재에 의해 탄성 부재가 외부로 압축되는 방향은 탄성 부재의 직경 방향으로 한정될 수 있고, 그러므로 원통형 부재의 삽입에 기인하는 탄성 부재의 침하가 보다 억제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외부와 연결가능한 연결 개구, 상기 연결 개구 내에 플러그된 탄성 부재, 외부와의 유체 연통을 위해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된 상기 탄성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탄성 부재 내에 제공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가 그 삽입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단부로부터 연장된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향으로 압축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원통형 니들이 슬릿을 따라 들어가고, 그러므로, 탄성 부재는 일정한 상태로 관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통형 니들의 삽입시 탄성 부재에 가능한 손상을 피할 수 있고, 따라서 연결 개구의 밀폐 밀봉을 보증한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일 측면상에 돌출 형상을 가지는 돔(dome)과 다른 측면상에는 리세스 형상을 가지는 형상이며 상기 돔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탄성 부재에는 리세스 형상 측면의 기둥 형상부가 제공되며 슬릿은 기둥 형상부 내부에 있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탄성 부재의 돔형 구성으로써, 탄성 부재가 고정 부재에 의해 압축될 때 탄성 부재가 그 중심을 향해 압축되는 상태가 하우징 내의 탄성 부재에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통형 부재가 탄성 부재를 통해 관통될 때, 탄성 부재와 원통형 부재 사이의 밀폐 접촉이 개선되고, 따라서 연결 개구의 밀폐 밀봉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돔 형상의 기둥 형상부가 원통형 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러므로, 원통형 부재가 탄성 부재, 돌출부 등으로 삽입될 때, 원통형 부재의 삽입으로 인한 탄성 부재의 침하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의 구조와 비교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 부재와 탄성 부재 사이의 접촉 면적은 커질 수 있다. 게다가,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의 제공으로, 원통형 부재는 슬릿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통형 부재의 삽입시 탄성 부재에 가능한 손상을 피할 수 있고, 따라서 연결 개구의 밀폐 밀봉을 보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 하나의 슬릿이 제공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탄성 부재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탄성 부재를 완전히 관통하기 않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용기의 제조로부터 용기의 사용 개시까지의 분배 과정 동안의 현저한 주변 조건의 변화에도 연결 개구의 적절한 밀봉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된 슬릿의 길이가 2L > πD를 만족시키는 것이 양호할 것이며, 여기서 D는 원통형 부재의 직경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원통형 니들이 슬릿을 따라 탄성 부재를 통해 관통되며, 슬릿의 확장이 방지된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제공되는, 외부와 연결가능한 연결 개구, 상기 연결 개구 내에 제공되며 외부와 유체 연통을 위해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 및 상기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축 구역 및 실질적으로 비압축 구역을 포함하는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순서대로 포함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 구역은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일 측면상에 돌출 형상 및 다른 측면상에는 리세스 형상을 가지는 돔 형상 내에 있으며, 상기 돌출 형상의 상단부는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탄 표면 또는 계단형 표면을 가지고, 상기 비압축 구역에는 리세스 형상 측면의 기둥 형상부가 제공되고, 슬릿은 기둥 형상부 내에 있으며, 상기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은 상기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될 때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 내에 제공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원통형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단부로부터 연장된 슬릿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기둥 형상부 내에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향으로 압축된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제공되는, 외부와 연결가능한 연결 개구, 상기 연결 개구 내에 제공되며 외부와 유체 연통을 위해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 및 상기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축 구역 및 실질적으로 비압축 구역을 포함하는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순서대로 포함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 구역은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일 측면상에 돌출 형상 및 다른 측면상에는 리세스 형상을 가지는 돔 형상 내에 있으며, 상기 돌출 형상의 상단부는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탄 표면 또는 계단형 표면을 가지고, 상기 비압축 구역에는 리세스 형상 측면의 기둥 형상부가 제공되고, 상기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은 상기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될 때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 내에 제공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원통형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단부로부터 연장된 슬릿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기둥 형상부 내에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향으로 압축된다.
이러한 두 태양에서, 탄성 부재의 돔형 구성으로써, 탄성 부재가 고정 부재에 의해 압축될 때 탄성 부재가 그 중심을 향해 압축되는 상태가 하우징 내의 탄성 부재 내에서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통형 부재가 탄성 부재를 통해 관통될 때 탄성 부재와 원통형 부재 사이의 밀폐 접촉이 개선되고, 따라서 연결 개구의 밀폐 밀봉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또한, 기둥 형상부의 제공에 의해, 원통형 부재의 삽입에 기인한 탄성 부재의 침하를 피할 수 있고, 그러므로, 원통형 부재와 탄성 부재 사이의 접촉 면적이 통상적인 구조에서 보다 커질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의 제공으로, 원통형 부재가 슬릿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제2 태양에서, 상기 고정 부재에 액적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 재료가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연결 개구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홈(groove)이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구조로써, 액체 용기가 원통형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발생되는 적은 양의 액적(액체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가 잉크인 경우, 이는 잉크 액적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 재료로 효과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사용자, 기록 장치 그 자체 및 기록 장치의 둘레에 위치된 물건들이 오염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제2, 제3 및 제4 태양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더 제공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며, 액적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 재료 및 상기 연결 개구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홈이 제공되는 상기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슬릿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탄성 부재의 표면상의 미세한 홈 및 고정 부재의 홈이 연속되어서, 탄성 부재의 표면상의 액체 액적(상기 액체가 잉크인 경우, 이는 잉크 액적임)은 흡수 재료로 효과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2 및 제3 태양에서 더 제공되는,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에 있어서, 7 개의 탄성 부재 내로 삽입될 원통형 부재의 자유 단부은 테이퍼 가공되고, 상기 탄성 부재 내로의 원통형 부재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해 탄성 부재와 접촉된 개구를 가지는 상기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를 가지며, 이는 원통형 부재의 테이퍼부의 길이보다 큰 것이 양호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원통형 부재의 자유 단부의 테이퍼부가 원통형 부재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고정 부재의 개구의 내경과 접촉하면서 원통형 부재의 자유 단부이 탄성 부재의 표면에 도달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결과로써, 연결 니들을 탄성 부재의 중심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수직인 판은 고정 부재에 제공된 개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평판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으로써, 조립 작동 시의 격렬한 부재의 중심을 향한 압축 응력이 고정 부재의 평면과 탄성 부재의 평면 사이의 접촉 표면에 의해 관계될 수 있고, 그러므로, 균일한 접촉, 그에 따른 균일한 압축 응력이 달성될 수 있다.
제2 및 제3 태양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상에 윤활제가 있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또한, 윤활제는 원통형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의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상에 있거나,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 사이에의 접촉 표면상에 있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상기 탄성 부재 사이의 접촉 표면상에 있거나, 상기 탄성 부재에 제공되고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내에 있거나, 탄성 부재를 압축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 상에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 상의 윤활제는 글리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그러한 특징 중 어느 하나로써, 탄성 부재와 원통형 부재의 선단부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며, 원통형 부재는 슬릿 내로 확실하게 안내되고, 원통형 니들은 힘이 약한 사용자에 의해서도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명확히 말해서, 윤활제가 원통형 부재의 탄성 부재 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내에 가해지는 것이 양호하다.
고정 부재의 표면, 또는 고정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의 접촉 표면상에 윤활제가 있음으로 해서, 탄성 부재 장착시 또는 원통형 부재의 삽입 시의 탄성 부재 자체 내의 운동이 발생하거나 또는 원통형 부재의 제거시 탄성 부재 자체의 재료가 탄성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의 마찰로 사용자에게 이동되는 것을 피할 수 있거나 억제될수 있다. 하우징과 탄성 부재 사이의 접촉 표면에 윤활제를 가함으로써, 탄성 부재는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본원 발명의 제1 태양에서 더 제공되는 것이 양호한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와 하우징 사이의 연결부 구성은 상기 고정 부재의 압축에 의해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압축력은 탄성 부재의 중심에 쉽게 집중되는데, 이는 양호하다.
본원 발명의 제2 태양에서, 그러한 복수개의 슬릿이 제공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실질적인 중심에서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슬릿이 제공될 때,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특정되지 않을 때라도 탄성 부재가 적절하게 원통형 부재 내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슬릿들은 탄성 부재의 실질적인 중심에서 각각 서로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제3 태양에서, 슬릿들은 전제적으로 선형 또는 원형인 것이 양호할 것이다. 원통형 부재의 개구 직경이 다른 부품의 치수의 견지로부터 커질 수 없을 때 아치형 구성이 특히 양호하다.
또한, 제2 태양에서, 삽입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가 1.5πD > L을 만족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며, 여기서 D는 상기 원통형 부재의 직경이다. 만약 원통형 니들의 삽입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된 슬릿의 길이가 너무 크다면, 교차부의 탄성 부재의 재료와 그 다른 재료가 분리되며, 그러므로 탄성 부재의 침하에 대한 밀봉 특성이 열화되고, 따라서 1.5πR > L의 관계가 양호하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서 제공된, 상기 연결 개구를 통한 원통형 부재의 삽입에 의해 외부와 유체 연통되는 액체 용기에 있어서, 외부와 연결가능한 연결 개구, 상기 연결 개구 내에 플러그된 탄성 부재, 원통형 부재를 탄성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0.5D 내의 범위 내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D는 상기 원통형 부재의 직경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탄성 부재가 손상될 가능성이 보다 감소된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액체 장치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과 장착 수단 내에 제공된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기술된 액체 용기를 사용하는 기록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원통형 부재는 상기 액체 용기의 상기 연결 개구 내의 상기 탄성 부재를 관통한다.
기록 장치는 상기 액체 용기로부터 공급된 액체의 액적을 방출함으로써 기록을 실행하기 위한 잉크 제트 헤드를 더 포함하는 상기 기술된 액체 용기를 사용하는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경우에, 잉크 제트 헤드는 열 또는 진동 에너지를 모델 내의 액체로 인가함으로써 액체의 액적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본원 발명의 상기 또는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참조 도면과 관련된 본원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기술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를 사용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 내의 잉크 공급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액체 용기의 그 구성 부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액체 용기를 용기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탄성 부재가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의 리세스 내에 압축된 상태로 위치된 부분을 도시한 외관도이며, 도4의 (a)는 사시도, 도4의 (b)는 평면도, 및 도4의 (c)는 측면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의 리세스 내에 사실상 비압축된 상태로 위치된 부분을 도시한 외관도이며, 도5의 (a)는 사시도, 도5의 (b)는 평면도, 및 도5의 (c)는 측면도.
도6은 도3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조립 전에 액체 용기의 연결부의 그 구성 부품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7은 도3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조립 동안에 액체 용기의 연결부의 그 구성 부품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8은 도3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조립 완성 후, 즉,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 유지 부재의 리세스 내에 탄성 부재가 위치된 후에 액체 용기의 연결부의 그 구성 부품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9는 도3에 도시된, 연결 니들이 액체 용기로 삽입된 후에 액체 용기의 연결부의 그 구성 부품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10은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 유지 부재의 리세스에서 압축된 상태로 위치되는 탄성 부재의 부분 및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 유지 부재의 리세스에서 사실상 비압축된 상태로 위치되는 탄성 부재의 부분에 대한 수정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도1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에 위치되는 제1 실시예에서의 하나와 다른 형상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탄성 부재를 도시하며 (a)는 외측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 유지 부재의 리세스에 위치하기 전에 도11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 유지 부재의 리세스에 탄성 부재를 위치시키도록 그 중심선을 따라 탄성 부재가 압축된 후, 도11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리세스에 탄성 부재가 위치된 후, 도11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연결 니들이 탄성 부재내로 삽입되기 시작할 때, 액체 용기에서의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탄성 부재를 통해 액체 용기내로 연결 니들의 삽입 완료후, 액체 용기에서의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도11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수정판을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용으로 사용되는 탄성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며, (a)는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의 대각선 위에서 도시될 때의 사시도, (b)는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의 대각선 아래에서 도시될 때의 사시도, (c)는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의 바로 위에서 도시될 때의 평면도, (d)는 측면도, (e)는 탄성 부재의 축방향 라인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방향 A로부터 도시될 때의 단면도.
도19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의 리세스에 탄성 부재가 위치된 후, 도18에 도시된 형상을 취하는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0은 탄성 부재가 리세스내로 압축되는 동안, 도18에 도시된 형상을 취하는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1은 도2와 도3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의 리세스에 탄성 부재가 위치된 후, 도18에 도시된 형상을 취하는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2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의 리세스에 탄성 부재가 위치된 후, 도18에 도시된 형상을 취하는 (원추형 리세스가 제공되지 않는)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3은 도21에 도시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의 원추형 리세스부의 테이퍼각(경사진 벽의 각도)과 연결 니들의 선단부의 테이퍼각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24는 연결 개구가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 유지 부재의 리세스에서의 탄성부재 내로 삽입되는 동안, 도18에 도시된 형상을 취하는 탄성 부재의 거동(탄성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25는 연결 니들이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 유지 부재의 리세스에서의 탄성 부재내로 완전히 삽입된 후, 도18에 도시된 형상을 취하는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6은 도18에 도시된 탄성 부재용으로 수정된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27은 도1에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용 탄성 부재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유사한 또 다른 형상을 도시하며, (a)는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 위로부터 도시될 때의 사시도, (b)는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 바로 위에서 도시될 때의 평면도, (c)는 (b)에서 방향 A로부터 도시될 때의 측면도, (d)는 방향 B에 평행한 방향으로 도시될 때의 수직 단면도, (e)는 방향 B에 수직 방향으로 도시될 때의 수직 단면도.
도28은 도1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에 탄성 부재가 위치된 후, 도27에 도시된 형상을 취하는 탄성 부재내로의 연결 니들의 삽입의 제1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29는 도1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에 탄성 부재가 위치된 후, 도27에 도시된 형상을 취하는 탄성 부재내로의 연결 니들의 삽입의 제1 단계를 마찬가지로 도시하는 도면.
도30은 도1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에 탄성 부재가 위치된 후, 도27에 도시된 형상을 취하는 탄성 부재내로의 연결 니들의 삽입의 제2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31은 도1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에 탄성 부재가 위치된 후, 도27에 도시된 형상을 취하는 탄성 부재내로의 연결 니들의 삽입의 최종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32는 도1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용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용으로 사용되는 탄성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며, (a)는 측면도, (b)는 저면도(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에 대향인 측면으로부터 도시될 때의 도면), (c)는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의 대각선 위에서 도시될 때의 사시도, (d)는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의 대각선 아래에서 도시될 때의 사시도.
도3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탄성 부재를 또한 도시하며, (a)는 저면도(연결 개구가 삽입되는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으로부터 도시될 때의 도면), (b)는 (a)에서의 평면 A-A에서의 단면도.
도34는 연결 개구에 연결된 리세스에 탄성 부재가 위치된 후, 도32와 도33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35는 탄성 부재가 보유 부재에 의해 리세스내로 압축되는 동안, 도32와 도33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36은 리세스에 탄성 부재의 위치 완료후, 도32와 도33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37은 연결 니들이 액체 용기내로 삽입되는 동안, 리세스에 도32와 도33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거동(탄성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38은 도37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보유 부재의 연결 개구의 변경을 도시하는 도면.
도39는 액체 용기내로 연결 니들이 삽입 완료한 후, 리세스에 도32와 도33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40은 도32와 도33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슬릿의 변경을 도시하는 도면.
도41은 도32와 도33에 도시된 탄성 부재의 슬릿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하는 도면.
도42는 액체 용기의 바닥벽에서의 연결 개구용 양호한 구조적인 장착 및 그 인접물을 설명하면서 도32와 도33에 도시된 형상을 취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액체 용기의 저면도.
도4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와 양립 가능한 기록 장치의 일례로서의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44는 일본 특허 공개 평5-162333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들에 따른 교체 가능한 액체 용기용 잉크 드로잉 부재의 사시도.
도45는 도44에 도시된 잉크 드로잉 부재가 위치되는 종래 기술들에 따른 잉크 용기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46은 도44에 도시된 잉크 드로잉 부재가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액체 용기의 기본 구성의 단면도.
도47은 종래 기술들에 따른 교체 가능한 액체 용기의 일례의 단면도.
도48은 잉크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잉크 용기의 잉크 통로부용 고무 플러그가 장착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49는 도47과 도48에 도시된 종래 기술들에 따른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의 구조적인 장착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50은 도47과 도48에 도시된 종래 기술들에 따른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의 구조적인 장착에 대한 다른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잉크
2 : 액체 용기
3 : 잉크 제트 헤드
4 : 잉크 공급 튜브
5, 6 : 연결 개구
7, 9 : 연결 니들
12 : 액체 저장부
13 : 개구
15 : 보유 부재
17 : 탄성 부재 유지 부재
17a : 리세스
18 : 압축 탄성 부재
19 : 비압축 탄성 부재
30 : 잉크 공급 유닛
42a : 원통형부
42, 43, 44 : 탄성 부재
44c : 슬릿
이후에,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오랜 시간동안 단독으로 남겨지거나 또는 오랜 시간동안 원통형 니들이 그것을 통과하면서 단독으로 남겨진 후에도, 내부에서 액체가 누출되지 않고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주조립체 내로 장착되거나 또는 주조립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액체 용기의 실례들은 본 발명의 설명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원통형 니들이 액체 용기의 밀봉 부재를 통해 밀려질 때, 밀봉 부재의 니들 입구 측면상의 니들 주위의 탄성 부재의 일부가 탄성 부재 내로 끌려지지만 니들 입구 측면에 대면하는 측면상의 니들 주위의 탄성 부재의 부분은 니들로부터 원추형으로 이탈하는 방식으로 탄성 부재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잉크가 누출되지 않게 하면서 기록 장치의 주조립체내로 장착되거나 또는 주조립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액체 용기의 실례들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의 설명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액체 용기가 실질적으로 수회 원통형 니들에 연결된 후에도, 잉크가 누출되지 않고 기록 장치의 주조립체내로 장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액체 용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액체 용기의 실례는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의 설명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의 요지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연결되며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개시된 모든 잉크 용기들에 적용가능한 액체 용기의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잉크 공급 시스템은 모든 실시예들에 대해 공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 공급 시스템이 연결 니들(원통형 부재)과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연결 시스템을 사용하는한 도1에 도시된 시스템과 다른 잉크 공급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를 사용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잉크 공급 시스템의 일례의 개략도이다.
도1에 도시된 잉크 공급 시스템은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용기와, 화상를 기록하도록 액적들의 형태로 기록 매체(도시안됨)상에 잉크(1)를 분출하는 잉크 제트 헤드(3)와, 액체 용기(2)로부터의 잉크를 잉크 제트 헤드(3)로 공급하기 위한 튜브인 액체 공급 튜브(4)와, 액체 공급 튜브(4)와 액체 용기(2)를 연결하도록 액체 용기(2)의 바닥부(2a)의 제1 조인트(5)내로 삽입되는 액체 드로잉 니들(7)[원통형 부재]과, 액체 드로잉 니들(7)을 통해 잉크가 액체 용기(2)로부터 분출되는 양과 상응하는 양만큼 액체 용기내로 주위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대기 드로잉 튜브(8)와, 대기 드로잉 튜브(8)와 액체 용기(2)를 연결하도록 잉크 드로잉 니들(7)이 상기 설명된 제1 조인트(5)내로 삽입되는것과 동시에 액체 용기(2)의 바닥부(2a)의 제2 조인트(6)내로 삽입되는 대기 주입 니들(9)[원통형 부재]을 포함한다. 연결 니들(7, 9)들은 뾰족팁을 갖춘 액체 공급 튜브들이다.
잉크 제트 헤드(3)의 잉크 분출면(3a)[잉크 분출 오리피스들을 갖는 표면]은 잉크 제트 헤드(3)에서의 액체 경로에 음압을 발생하면서,액체 용기(2)에 연결된 액체 드로잉 경로의 최저점 위의 레벨에 위치된다. 이러한 음압이 발생함으로 인해, 각 잉크 분출 오리피스에서의 메니스커스는 안정되게 유지된다.
잉크가 잉크 제트 헤드(3)로부터 분출될 때, 한 액체 공급 시스템에서 액체 용기(2)내의 잉크는 액체 용기(2)로부터 도출되어 액체 드로잉 니들(7) 및 액체 공급 튜브(4)를 통해 잉크 제트 헤드(3)로 이송된다. 액체 용기(2)는 사실상 박스 형태이며 액체 용기(2)내의 잉크(1)의 드로잉에 반응하여 변형하지 않는다. 따라서, 잉크(1)가 도출될 때, 잉크 제트 헤드(3)에서의 액체 경로들내에 소정 양의 음압을 항상 유지시키면서, 잉크 제트 헤드(3)에 잉크를 계속하여 공급되게 하면서 공기 드로잉 튜브(8) 및 공기 드로잉 니들(9)을 통해 잉크(1)가 방출되는 양과 상응하는 양만큼 대기가 액체 용기(2)로 유입한다. 노즐에서 잉크는 노즐의 잉크 분출 오리피스에 인접한 노즐에 배치된 미도시된 열발생 요소로부터의 열에너지 또는 노즐의 잉크 제트 오리피스에 인접한 노즐에 배치된 미도시된 진동 요소의 진동 에너지에 의해 노즐로부터 밀려진다(분출된다). 잉크가 분출될 때마다 노즐은 노즐의 모세관력에 의해 잉크가 재충전된다. 이러한 잉크 분출 사이클, 즉 잉크가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프로세스와 노즐이 잉크로 재충전되는 프로세스의 조합이 반복됨에 따라, 잉크는 필요한 양만큼 액체 용기로부터 도출된다.
첫째,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대해 공통되는 액체 용기는 도2와 도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액체 용기의 구조적인 요소들을 도시한다. 도3은 액체 용기의 축방향 라인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도3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용기(2)는 잉크(1)와, 액체 저장부(12)와,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와 탄성 부재 유지 부재와 탄성 부재 저장부(17)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대해 공통이다.
마찬가지로, 압축 탄성 부재(18) 및 비압축 탄성 부재(19)는 탄성 부재 저장부(17)에 있을 때 압축된 상태로 있지 않는다.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액체 저장부(12)는 잉크(1)가 직접 저장되는 용기이다. 액체 드로잉 연결 니들(7) 및 공기 주입 연결 니들(9)[도1 참조]이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를 통해 탄성 부재 저장부(17)에 의한 주위로부터의 차폐부인 액체 저장부(12)의 내부 공간내로 삽입되는 을 통해 개구(13)를 포함한다.
액체 저장부(12)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그 크기는 액체가 필요한 양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12)의 개구(13)는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액체 저장부(12)에 부착되는 탄성 부재 저장부(17)로 덮힌다. 탄성 부재 저장부(17)는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수납되는 한쌍의 리세스(17a)들이 제공된다.
리세스(17a)에 수납된 압축 탄성 부재(18) 및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리세스(17a)들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 부재 보유 부재(15)는 초음파 용접, 접착제등에 의해 탄성 부재 저장부(17)에 부착되어 액체 용기(2)를 완성한다.
도3을 참조하면, 액체 용기(2)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립되었을 때, 액체 저장부(12)의 내부 공간은 다양한 색상들 중 하나를 기록하도록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잉크들 중 하나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챔버를 구성하는 밀봉된 챔버를 형성하면서 밀봉된다.
액체 용기(2)가 잉크 제트 기록 장치(도1 참조) 내에 있을 때, 액체 챔버(16)는 잉크 용기(2)의 상측면으로 구성된다. 액체 저장부(12)의 개구(13)는 액체 저장부(12)가 부착되는 탄성 부재 저장부(17)로 덮힌다. 탄성 부재 저장부(17)는 액체 드로잉 연결 니들(7) 및 공기 주입 연결 니들(9)이 액체 챔버(16)내로 위치되는 제1 연결 개구(5)와 제2 연결 개구(6)가 제공된다. 제1 연결 개구(5)의 일단부는 압축 탄성 부재(18) 및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조합으로 덮히고, 제2 연결 개구(6)의 일단부는 압축 탄성 부재(18) 및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다른 조합으로 덮힌다. 연결 니들(7, 9)들은 액체 챔버(16)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한쌍의 통로들을 형성하면서, 압축 탄성 부재(18) 및 비압축 탄성 부재(19)에 상응하는 조합들을 관통한다.
(실시예 1)
다음으로, 도2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 탄성 부재(18)는 압축 탄성 부재(18)가 액체 용기(2) 안으로 위치될 때 압축력을 받는 탄성 부재로서 사용된다. 이와 달리, 비압축 탄성 부재(19)는 액체 용기(2) 안으로 위치될 때 압축력을 받지 않는다. 비압축 탄성 부재는 연결 니들(원통형 부재)이 삽입될 때 처음으로 압축력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에서, "비압축 상태"는 외력에 의해 탄성 부재에 발생된 압축 압력이 탄성 부재에 존재하지 않는 탄성 부재의 상태를 의미한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압축된 탄성 부재(18)의 외부도이고, 도4의 (a)는 외부사시도, 도4의 (b)는 평면도, 도4의 (c)는 측면도이다. 도5는 비압축 탄성 부재의 외부도이고, 도5의 (a)는 외부 사시도, 도5의 (b)는 평면도, 도5의 (c)는 측면도이다.
도6은 연결 개구(5, 6)들이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로 덮여지기 전의, 도3에 도시된 액체 용기(2)의 단면도이다. 도7은 압축 탄성 부재(18)만 탄성 부재 저장부(17)의 리세스(17a) 내에 수용된 후의, 도3에 도시된 액체 용기(2)의 단면도이다. 도8은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연결 개구(5, 6)를 덮도록 탄성 부재 유지 부재(17)의 리세스(17a) 내에 수용된 후의, 도3에 도시된 액체 용기(2)의 단면도이다.
도9는 연결 니들(7)의 삽입후 액체 용기(2)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6 내지 도9는 탄성 부재가 연결 개구(5)를 덮도록 장착되는 방법 및 탄성 부재가 연결 니들(7)에 의해 관통되는 방법 만을 도시한다. 그러나, 탄성 부재(18, 19)를 통한 연결 니들(9)의 삽입후의 액체 용기의 상태에서, 탄성 부재가 연결 개구(6)를 덮도록 장착되는 방법 및 탄성 부재(18, 19)가 연결 니들(9)에 의해 관통되는 방법은 도6 내지 도9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하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각각 본 제1 실시예의 특징을 이루는 연결 개구(5, 6)에 대한 플러그로서의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는 대략 원통형이다. 탄성 부재 유지 부재(17)의 리세스 안으로 위치하기 전에, 압축 탄성 부재(18)의 직경은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직경 보다 크다.
다음으로,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도4 및 도5에 도시된 형상의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도2 및 도3에 도시된 연결 개구(5, 6)를 덮도록 탄성 부재 유지부(17)의 리세스 안으로 위치되는 방법을 기술하기로 한다.
도6에서 참조 부호 17a는 리세스를 표시하고, 여기서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액체 챔버(16)로 이르는 연결 개구(5)를 덮는다. 리세스(17a)의 내경(d1)은 사실상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외경(w2)과 동일하다.
이와 달리, 리세스(17a) 내에 위치하기 전에 압축 탄성 부재(18)의 외경(w1)은 리세스(17a)의 내경(d1) 보다 크다.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리세스(17a) 내에 위치하기 전에는,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에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7을 참조하면, 비압축 탄성 부재(19)는 탄성 부재 유지부(17)의 리세스(17a) 내에 위치된다. 리세스(17a)의 내경(d1)과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외경(w2)은 사실상 동일하므로, 비압축 탄성 부재는 리세스(17a) 내에 위치될 때 압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압축 탄성 부재(18)는 탄성 부재 유지 부재(17)의 리세스(17a) 내에 위치된다. 비압축 탄성 부재(19)와는 달리, 리세스(17a) 내에 위치하기 전에 압축 탄성 부재(18)의 외경(w1)(도7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됨)은 리세스(17a)의 내경(d1) 보다 크다.
따라서, 다소의 수정없이는 압축 탄성 부재(18)는 리세스(17a) 내에 위치될 수 없다. 따라서, 압축 탄성 부재(18)는 그 외경(d1)이 리세스(17a)의 내경(d1) 보다 약간 작거나 동일한 (도7에서 직선으로 표시된) 직경(w1)으로 감소될 때까지, 반경 방향(도7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에서 압축된 후 리세스(17a) 내에 위치된다.
그후,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리세스(17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유 부재(15)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유지 부재(17)에 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압축 탄성 부재(18)의 탄성은 압축 탄성 부재(18)의 반경 방향에서 압축 탄성 부재(18)가 팽창하는 방향(도8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 힘은 리세스(7a)의 벽에 의해 한정된다. 결과적으로, 반응력은 도8에 화살 표시(B)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탄성 부재(18)의 중심을 향해 작용한다.
탄성 부재(18, 19)가 원통형 외부 형상(탄성 부재의 주연면과 리세스(17a)의 측벽 사이의 경계면을 원통형으로 하는 것)을 갖는 것이 압축력을 탄성 부재(18, 19)의 중심에 집중하기 쉽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탄성 부재(18, 19)의 가장 바람직한 형상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이다. 그러나, 소정량의 압축력이 탄성 부재(18, 19)에 발생되는 한, 탄성 부재(18, 19)는 원통형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기둥의 형태일 수 있다.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도8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압축력은 비압축 탄성 부재(19)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압축 탄성 부재(18)가 도8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압축 탄성 부재(18)는 연결 니들이 압축 탄성 부재(18)에 있는 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9는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를 통해 연결 니들(7)이 관통한 후의 액체 용기(2)의 상태를 도시한다.
압축력은 압축 탄성 부재(18)가 연결 니들(7)에 의해 관통되기 전에도,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탄성 부재(18)에 작용한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이 압축 탄성 부재(18)를 관통할 때, 압축 탄성 부재(18) 내의 압축력은 압축 탄성 부재(18) 내의 연결 니들(7) 부분의 부피에 비례하는 양만큼 증가한다.
이와 달리, 연결 니들(7)이 비압축 탄성 부재(19)를 관통할 때는, 그 외경이 사살상 리세스(17a)의 직경(d1)과 동일한 비압축 탄성 부재(19)는 리세스(17a)의 반경 방향으로 팽창하여, 리세스(17a)의 벽으로부터 반력을 받게 된다. 한편, 압축력은 연결 니들(7)이 비압축 탄성 부재(19) 내에 있을 때만 비압축 탄성 부재(19)에 작용하고,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이러한 압축력의 양은 비압축 탄성 부재(19) 내의 연결 니들(7) 부분의 부피에 비례한다. 상기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비압축 탄성 부재(19)에 발생되는 압축력의 양은 압축 탄성 부재(18) 보다 적다. 압축 응력은 연결 니들(7)이 비압축 탄성 부재(19)에 있을 때만 비압축 탄성 부재(19)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액체 용기(2)가 제조에서부터 폐기될 때 까지의 기간 동안, 압축력이 비압축 탄성 부재(19) 내에 존재하는 시간의 전체 길이는 압축력이 압축 탄성 부재(18) 내에 존재하는 시간 보다 적다.
일반적으로, 탄성 물질이 받게 되는 압축력의 양이 커지고 탄성 물질이 압축력을 받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크립(creep)량(연속적인 응력의 적용에 의해 발생되는 본체의 점진적이고 영구적인 변형의 정도; 영구 변형 정도)은 더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액체 용기(2)의 구조에서,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영구 압축 변형량은 압축 탄성 부재(18) 보다 적다.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연결 니들(7)이 그들을 관통한 채로 오랫 동안 방치되는 경우, 크립이 탄성 부재(18, 19)에 발생한다. 그러나, 비압축 탄성 부재(19)에 발생하는 크립의 양은 사실상 없을 정도로 매우 적다. 달리 말하면, 니들(7)이 비압축 탄성 부재(19)에 있는 채로 오랫 동안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방치된 후에도, 니들(7)이 비압축 탄성 부재(19)에서 당겨지자마자, 비압축 탄성 부재(19)는 원래의 형상을 되찾게 되고, 다시 말하면, 니들(7)이 비압축 탄성 부재(19)에서 차지하던 공간은 회복되어, 잉크가 연결 개구(5)로부터의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잉크 제트 헤드(3)와 액체 용기(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의 여부 또는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사이에 공간이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사이에 공간이 있을 때는, 공간 내의 공기는 주위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거나 압축한다. 공간 내의 이러한 공기의 팽창 또는 압축은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내부 압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 사이에는 공간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압축 탄성 부재(18) 또는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수, 보유 부재(15)의 개구에 대한 압축 탄성 부재(18) 또는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위치,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보유 부재(15)의 개구에 대하여 위치되는 순서, 또는 압축 탄성 부재(18)와 비압축 탄성 부재(19)가 연결되는 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에 있어서, 비압축 탄성 부재(19)는 니들(7)이 먼저 나오는 측면, 즉 액체 유지부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로, 비압축 탄성 부재(19)의 복귀는 액체 용기(2)의 제거의 초기 단계에서 시작하여 연결 니들(7)이 압축 탄성 부재(18)에서 완전히 나오기 전에 종료한다.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18, 19)를 통과할 때 탄성 부재(18, 19)에 발생하는 도9에 도시된 변화는 연결 니들(9)이 탄성 부재(18, 19)를 통과할 때 탄성 부재(18, 19)에 발생하는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도11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한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도1 내지 도3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주어진 것과 동일한 참조 부호로 주어지고, 제1 실시예의 설명의 일부는 본 실시예의 일부의 구성 요소의 설명으로서 사용된다.
도11은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 유지 부재(17)의 리세스 내에 위치된 탄성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11a는 탄성 부재의 외부 사시도, 도11b는 탄성 부재의 평면도, 도11c는 탄성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12 내지 도14는 도11에 도시된 탄성 부재(42)가 액체 용기의 탄성 부재 유지 부재(17)의 리세스(17a) 내에 위치되고, 보유 부재(15)가 탄성 부재 유지 부재(17)에 고정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12는 리세스(17a) 내에 위치되기 전의 탄성 부재(42)를 도시하고, 도13은 탄성 부재 유지 부재(17)의 리세스(17a) 내에 위치하도록 중심을 향해 압축된 탄성 부재(42)를 도시한다. 도14는 위치설정의 완료 후의 탄성 부재(42)를 도시한다.
도15는 연결 니들이 탄성 부재(42) 안으로 삽입되기 시작할 때의 탄성 부재(42)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16은 탄성 부재(42)를 통한 연결 니들(7)의 삽입이 완료된 때의 탄성 부재(42)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11 내지 도17에서는, 탄성 부재(42)의 위치설정과 연결 니들의 삽입이 연결 개구(5)에 관하여 도시되고 있다. 연결 개구(6)를 플러그하기 위한 방식에서의 탄성 부재(42)의 위치설정과 연결 개구(6)를 플러그하기 위한 방식으로 위치된 탄성 부재(42)를 통한 연결 니들의 삽입이 연결 개구(5)에 관하여 도11 내지 도17에서 도시되고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탄성 부재(42)는 원통형 주요부(42a)와 원통형 주요부(42a) 보다 직경이 더 작은 작은 원통형부(42b)의 주로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작은 원통형부(42b)는 원통형 주요부(42a)의 단부면들 중 하나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한다.
도12는 탄성 부재 유지 부재(17)가 리세스(17a) 내에 위치되기 전의 탄성 부재(42)의 상태를 도시하고, 탄성 부재(42)는 액체 챔버(16)로 안내하는 연결 개구(5)를 플러그하기 위한 방식으로 위치된다. 원통형 주요부(42a)의 외경(w1)은 리세스(17a)의 내경(d1) 보다 크고, 작은 원통형부(42b)의 외경(w2)은 연결 개구(5)의 내경(d2) 보다 작다.
탄성 부재(42)가 액체 용기(2)의 리세스(17a) 내에 위치되는 단계들 중 하나를 도시하는 도13을 참조하면, 탄성 부재(42)의 원통형 주요부(42a)의 외경(w1)은 리세스(17a)의 내경(d1) 보다 크다. 따라서, 탄성 부재(42)가 일정한 방법으로 변형되지 않으면, 탄성 부재(42)는 리세스(17a) 내에 적절하게 위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압력이 도13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원통형 주요부(42a)로 가해져서, 도13에서 그 형상이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탄성 부재(42)는 도13에서 직선으로 도시된 형상으로 압축된다. 다시 말하면, 원통형 주요부(42a)의 외경(w1)은 리세스(17a)의 내경(d1)(압축 후의 원통형 주요부(42a)의 외경(w1'))과 같거나 작게 된다. 그후, 탄성 부재(42)는 상술한 압축된 상태에서 유지되면서 도면에서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에서 리세스(17a) 내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보유 부재(15)는 탄성 부재 유지 부재(17)에 고정되어, 도14에 도시된 액체 용기(2)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통형 주요부(42a)의 탄성은 원통형 주요부(42a)의 반경 방향(도8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되는 방향)에서 원통형 주요부(42a)를 팽창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리세스(17a)의 벽 상에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압력은 리세스(17a)의 벽에 의해 제한된다. 그 결과, 이러한 압력으로부터의 반력은 도14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주요부(42a)의 중심을 향해 작용한다.
원통형 주요부(42a)가 원통형 외부 형상을 갖는 것(탄성 부재의 주연면과 리세스(17a)의 측벽 사이의 경계면을 원통형으로 하는 것)이 압축력으로부터의 반력을 원통형 주요부(42a)의 중심에 집중하기 쉽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원통형 주요부(42a)의 가장 바람직한 형상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이다. 그러나, 압축력의 소정량이 원통형 주요부(42a)에 발생되는 한, 원통형 주요부(42a)는 원통형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도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기둥의 형태일 수 있다.
도15는 연결 니들(7)의 삽입 초기의 탄성 부재(42)의 탄성 변형을 도시하고 있다. 비교적 두꺼운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2)로 삽입되기 시작할 때, 탄성 부재(42)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다. 작은 원통형부(42b)가 없으면, 탄성 부재(42)는 밀봉 부재의 니들 진입 측면 상의 니들 주위로 탄성 부재의 일부가 탄성 부재 안으로 당겨지고, 니들 진입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 상의 니들 주위의 탄성 부재의 일부는 니들로부터 이격되어 원추형으로 벗겨지는 방식으로 연결 개구(5) 안으로 변형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개구(5)는 연결 니들(7)이 삽입되는 측면 상에 배치되는, 즉 그렇지 않을 경우 탄성 부재(42)가 이탈되는 연결 개구(5) 안에 있는 작은 원통형부(42b)로 채워진다. 작은 원통형부(42b)가 없는 탄성 부재와 비교하여, 연결 개구(5) 안의 작은 원통형부(42b)의 존재와 작은 원통형부(42b)의 강성은 본 실시예의 탄성 부재(42)가 연결 개구(42b) 안으로 이탈되는 가능성이 적도록 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42)는 영구적으로 함몰되는(도49b 참조)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2)를 바람직하게 통과할 수 있다. 이는 연결 니들(7)과 탄성 부재(42) 사이의 접촉 영역의 크기가 탄성 부재(42)의 원추형 벗김에 의해 줄어드는 것과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영구적 함몰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게 한다.
또한, 작은 원통형부(42b)를 제공함으로써 연결 니들(7)과 탄성 부재(42) 사이의 접촉 면적의 크기가 증가되고 탄성 부재와 연결 니들(7) 사이의 밀봉성에서 탄성 부재(42)의 효과가 증가된다. 즉, 탄성 부재(42)의 밀봉 성능은 액체 용기의 내부 및/또는 외부 압력 변화에 의해 덜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다.
즉, 연결 니들의 도입점을 둘러싸는 탄성 부재의 표면의 일부가 탄성 부재 자체 내로 덮이고 연결 니들의 도입점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연결 니들의 통로와 일치하는 위치를 갖는 탄성 부재의 내부가 연결 니들로부터 원추상으로 벗겨져서 탄성 부재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탄성 부재(42)와 연결 니들(7) 사이에 충분한 양의 접촉면을 확보함으로써 액체가 누설됨 없이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액체 용기가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에 따른 방지는 본 발명의 제2 목적이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제2 실시예의 효과가 설명된다. 즉, 연결 니들(7)이 장시간동안 탄성 부재(42) 내에 남겨진 후에 액체 용기로부터 당겨질 때, 연결 개구(5)는 만족스럽게 밀봉된 상태로 남는다. 탄성 부재(42)가 도14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원통형 주요부(42a)는 압축 상태에 있다. 이와 비교해서, 작은 원통형부(42b)에서, 연결 니들(7)이 작은 원통형부(42b) 내에 있을 때에만 압축 응력이 존재한다. 따라서, 도16을 참조하면, 연결 니들(7)의 삽입 이전에도 압축 압력이 있는 원통형 주요부(42a)의 경우에, 연결 니들(7)이 원통형 주요부(42a)로 삽입될 때, 원통형 주요부(42a) 내의 압축 압력이 원통형 주요부(42a) 내의 연결 니들(7)의 부분의 부피에 비례하는 양으로 증가된다.
이와 비교해서, 더 작은 원통형부(42b)의 경우에, 그 직경은 연결 니들(7)이 더 작은 원통형부(42b)로 삽입될 때 리세스(17b)의 내경(d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연결 니들(7)은 리세스(17b)의 반경 방향으로 더 작은 원통형부(42b)를 팽창시키는 작용을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더 작은 원통형부(42b)는 리세스(17a) 내에 한정된다.
따라서, 리세스(17a)의 벽에 의해 리세스(17a)의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그 내부에 압축 압력이 생성되어 압축된다. 즉, 연결 니들(7)의 삽입에 의해 더 작은 원통형부(42b)로 삽입된 후에만 더 작은 원통형부(42b)에 압축 압력이 제공되고, 압축 압력의 양은 더 작은 원통형부(42b)에서 연결 니들(7)의 부분의 부피와 대략 비례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것과 유사한 효과가 제2 실시예에 의해서 얻어진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생되는 더 작은 원통형부(42b)의 탄성 저하는 원통형 주요부(42a)보다 더 작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탄성 부재(42)가 그것을 통과하는 연결 니들(7)에 의해서 장시간 동안 방치되어 남아 있으면, 탄성 부재(42)에 크립이 발생되고, 즉 탄성 부재(42)는 연결 니들(7)의 제거후에 그 원래 형상 및 부피로 완전히 돌아가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 또는 크립은 더 작은 원통형부(42b)에 덜 발생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이 장시간 동안 남겨진 후에 탄성 부재(42)로부터 당겨질 때에도, 연결 개구(5)는 원통형부(42b)에 의해 적절하게 밀봉되어 남아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18 내지 도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구성 성분들 중 하나와 동일한 본 실시예에서의 어떤 구성 성분은 동일한 성분에 주어진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되므로 제1 실시예에서의 동일한 성분의 설명은 참조로 이용될 수 있다.
도18은 도1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에 대한 탄성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연결 니들이 삽입된 측면 상에서 대각선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연결 니들이 삽입된 측면에 대향된 측면 상에서 대각선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c)는 연결 니들이 삽입된 측면으로부터 도시한 평면도이고, (d)는 측면도이고, (e)는 (c)에서 방향(A)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8(a) 내지 도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43)는 대략 반구형(돔형)이고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탄성 부재(43)의 상부, 즉 돔의 상부와 동등한 부분은 원추상 리세스부(43a)를 형성하여 원추상으로 만입되어 있다. 한편, 오목한 하부 측면 또는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오목한 표면의 하부 또는 중심에 위치한 원통형부(43b)가 제공된다.
도19 및 도20은 도18에 도시된 탄성 부재(43)가 도2 및 도3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5, 6)를 플러그하는 방식으로 탄성 부재 보유 부재(17)의 리세스(17a)에 어떻게 배치되는 지와, 탄성 부재(43)가 리세스(17a) 내에 유지되도록 탄성 부재 보유 부재(17)에 보유 부재(15)가 어떻게 부착되는 지를 도시한다. 도19는 연결 개구(5, 6)를 덮는 방식으로 리세스(17a) 내에 배치된 후의 탄성 부재(43)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20은 보유 부재(15)에 의해 압축된 탄성 부재(43)를 도시한다. 도21은 리세스(17a) 내에 배치가 완료된 후에 탄성 부재(43)의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들이 탄성 부재(43)에 덮여지는 개구로서의 연결 개구(5)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연결 개구(6)는 또한 [개구(5)를 덮는 것과는 다른] 탄성 부재(43)로 덮여진다.
도19를 참조하면, 리세스(17a)는 탄성 부재(43)가 액체 챔버(16)에 이르는 연결 개구(5)를 플러그하도록 배치되는 곳에 있다. 리세스(17a)의 내경은 탄성 부재(43)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탄성 부재(43)의 외경이 리세스(17a)의 내경보다 약간 작으면, 탄성 부재(43)를 리세스(17a) 내에 용이하게 배치하게 된다.
탄성 부재(43)의 외경이 리세스(17a)의 내경보다 더 큰 경우에도, 어떤 문제점을 유발하지 않는데[탄성 부재(43)의 직경이 리세스(17a)의 내경보다 불균형적으로 크지 않다면 탄성 부재(43)를 리세스(17a) 내에 배치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왜냐하면 탄성 부재(43)의 형상이 힘의 인가에 의해 쉽게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탄성 부재(43)가 모놀리스식 부재이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돔 형상이다.
도20을 참조하면, 보유 부재(15)가 액체 용기에 부착될 때, 탄성 부재(43)는 보유 부재(15)의 압축부(23)에 의해 압축된다. 돔 형상의 탄성 부재(43)의 돌출 측면의 릿지 라인의 길이는 리세스(17a)의 내경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보유 부재(15)에 의해 탄성 부재(43)에 인가된 압력이 탄성 부재(43)를 하향으로 압축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리세스(17a)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 부재(43)를 늘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탄성 부재(43)는 리세스(17a) 내에 한정되고 리세스(17a)의 벽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탄성 부재(43)의 중심에 집중되는 방향으로 탄성 부재(43) 내에 압력이 생성된다.
탄성 부재(43)의 외부 구성에 있어서, 탄성 부재(43)의 내부 압력을 그 중심으로 향하게 하는 정지점으로부터 그 축선에 수직인 탄성 부재(43)의 단면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소정량의 내부 압력이 탄성 부재(43)의 중심에 집중될 수 있는 한은 원형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그것은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21을 참조하면, 탄성 부재(43)의 배치의 완료 후에, 리세스(17a)에서, 보유 부재(15)의 압축부(23)와 리세스(17a)의 벽으로부터 압력에 의해 탄성 부재(43)의 축선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생성된 압축력은 리세스(17a)에 탄성 부재(43)의 배치 전에 돔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부재(43)의 그 부분에서만 존재한다. 이에 비해, 탄성 부재(43)의 원통형부(43b)에서는 압축력이 없는데, 그 이유는 원통형부(43b)의 외경(W)이 연결 개구(5)의 내경(d)보다 더 작기 때문이다.
탄성 부재(43)의 상부 표면 또는 연결 니들(7)이 배치된 부분이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상으로 만입되지 않으면, 다시 말해 탄성 부재(43)의 돔 형상부의 곡률과 일치하면, 보유 부재(15)에 의해 하방으로 압축됨에 따라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부재(15)의 개구로 부풀어 들어가게 되는데, 그 이유는 탄성 부재(43)의 상부가 보유 부재(15)와 접촉되지 않아서 보유 부재(15)에 의해 하방으로 압축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22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43)가 도22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연결 니들(7)을 연결 개구(5)를 통해 탄성 부재(43)로 삽입시키려고 시도되면, 보유 부재(15)의 개구로 부풀어 들어간 탄성 부재(43)의 부분(43d)(빗금 부분)은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탄성 부재(43)의 일부분(43d)이 리세스(17a) 내의 탄성 부재(43)의 일부분으로 다시 밀려들어가고 탄성 부재(43)의 그 부분이 탄성 부재(43) 안으로 연결 니들(7)의 이동에 따라 원추상으로 만입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돔형 탄성 부재(43)의 상부, 즉 보유 부재(15)의 개구에 대응하는 부분이 원추상으로 만입되기 때문이고, 그렇지 않으면 연결 니들(7)에 의해 리세스(17a) 내의 탄성 부재(43)의 부분으로 밀려들어가게 될 탄성 부재(43)의 그 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탄성 부재(43)는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부재(15)의 개구로 돔[부분(43d)]의 형태로 부풀어오르지 않는다.
대신에, 보유 부재(15)가 탄성 부재(43) 위에서 하방 압축됨에 따라 탄성 부재(43)의 상부는 도21에서 일부분(43a)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또는 약간 만입된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3)로 삽입될 때, 탄성 부재(43)로의 연결 니들의 도입점 둘레의 탄성 부재(43)의 일부분이 연결 니들(7)에 의해 탄성 부재 안으로 원추상으로 당겨지는 것이 발생하지 않는다.
돔형 탄성 부재(43)의 상부의 구성과 관련하여,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3)가 보유 부재(15)의 개구로 부풀어 들어가지 않게 되는 한,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43)의 효과가 구성에 따라 변경될지라도 원추상으로 만입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보유 부재(15) 및 탄성 부재(43) 사이에서 접촉면 상에 부풀어 오른 부분(43d)은 탄성 부재(43)의 그 부분이 평평해지도록 단순히 절단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43)의 원추상 만입부(43a)의 테이퍼 각도(측벽의 경사도)가 연결 니들(7)의 팁의 테이퍼 각도(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탄성 부재(43)가 도21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연결 니들(7)이 연결 개구(5)를 통해 탄성 부재(43)의 원추상 만입부로 삽입될 때 연결 니들(7)의 팁에 저항하는 실질적인 물체이 없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은 유연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니들(7)이 삽입된 탄성 부재(43)의 부분(43a)은 원추상으로 만입된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3)로 압축될 때 탄성 부재(43)의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 니들(7)에 의해 탄성 부재(43)에 인가된 힘은 탄성 부재(43)의 축방향으로 전환되는 것보다 더 큰 양으로 탄성 부재(43)의 반경 방향으로 전환되고, 연결 니들(7) 둘레의 탄성 부재(43)의 일부분이 연결 니들(7)의 탄성 부재(43)로의 이동에 의해 탄성 부재(43) 자체로 원추상으로 덜 당겨지는 경향이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원추상으로 만입된 부분(43a)을 제공함으로써 탄성 부재(43)의 연결 니들 도입부가 탄성 부재(43) 자체 내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24는 연결 니들(7)의 삽입 중에 탄성 부재(43)에 발생되는 탄성 부재(43)의 거동(탄성 변형)을 도시한다.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연결 니들(7)을 탄성부재(43)로 삽입하는 것을 시도할 때, 탄성 부재(43)가 변형된다.
그러나, 탄성 부재(43)에는 원통형부(43d)가 제공되고 그 직경(W)은 연결 개구(5)의 직경보다 더 작고, 원통형부는 연결 니들(7)이 삽입되는 방향에서 하류측에 위치한다. 또한, 원통형부(43b)는 연결 개구(5) 내에 한정되고 그 반경은 리세스(17a)의 직경(dl)보다 더 작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3)를 통해 압축될 때 연결 니들(7) 둘레의 탄성 부재(43)의 부분은 연결 니들(7)을 따르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43)로부터 연결 니들(7)의 출구점 둘레의 탄성 부재(43)의 부분은 연결 니들(7)[도49(b)]로부터 원추상으로 벗겨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니들(7) 및 탄성 부재(43) 사이의 접촉 면적이 원추상 벗겨짐 및 원추상 만입의 발생에 의해 감소되는 양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탄성 부재와 비교해서 더 작아진다.
원통형부의 제공은 연결 니들(7) 및 탄성 부재(43)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액체 용기 내의 액체가 액체 용기의 내부 또는 대기 압력에서의 변화에 의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탄성 부재(43)를 그 성능면에서 개선시킨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니들 도입점 둘레에 탄성 부재(43)의 부분은 탄성 부재(43) 자체 내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연결 니들(7)이 삽입되는 방향에서 탄성 부재(43)의 선단측에서 연결 니들(7)에 의해 탄성 부재(43) 내에 생성된 개구가 원추상으로 넓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3) 내로 삽입될 때 연결 니들(7)과 탄성 부재(43) 사이에 형성된 접촉 영역은 연결 니들(7)이 종래의 탄성 부재 내로 삽입될 때 연결 니들(7) 및 종래의 탄성 부재 사이에 형성된 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다. 따라서, 잉크 제트 헤드(3)와 액체 용기(2)가 액체 누설없이 연결 또는 연결해제될 수 있도록 보장된다.
제3 실시예의 효과, 제3 실시예의 특징 및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외의 것이 설명된다. 즉, 제3 실시예는 장시간 동안 탄성 부재(43) 내에서 남겨진 후에 연결 니들(7)이 당겨질 때에도 연결 개구(5)가 적절하게 밀봉 상태에 있도록 보장한다. 탄성 부재(43)가 도21 및 도22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탄성 부재(43)의 원통형부(43b)에는 압축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탄성 부재(43)의 돔형부는 연결 니들이 그 안에 있건 없건 간에 항상 압축 상태에 있다.
도25는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3)를 통해 완전히 관통한 후에 탄성 부재(43)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3)의 돔형부 내로 삽입될 때에 연결 니들(7)의 삽입 이전에도 압축력이 존재하는 돔형부의 경우에, 탄성 부재(43)의 돔형부 내의 압축 압력은 탄성 부재(43)의 돔형부 내의 연결 니들(7)의 부분의 부피에 비례하는 양만큼 증가된다. 이에 비해, 직경이 연결 개구(5)의 내경보다 작은 원통형부(43b)의 경우에, 연결 니들(7)이 원통형부(43b)로 삽입될 때, 원통형부(43b)는 연결 개구(5)의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고 연결 개구(5)의 벽에 대해 압축된다. 결과적으로, 압축 압력을 그 내부에 생성하여, 압축된다. 즉, 연결 니들(7)의 원통형부(43b) 내로의 삽입 이후에만 원통형부(43b) 내에 압축 압력이 존재하고, 이러한 압축 압력의 양은 원통형부(43b)에서 연결 니들(7)의 부분의 체적에 대략적으로 비례한다.
전술한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3)의 돔형부 내에 생성된 압축 압력은 탄성 부재(43)의 원통형부(43b) 내에 생성된 것보다 더 크다.
또한, 연결 니들(7)이 원통형부(43b) 내로 또는 원통형부 내에 삽입될 때에만 원통형부(43b) 내에 압축 응력이 존재한다. 따라서, 액체 용기(2)의 제조시로부터 액체 용기(2)가 폐기되는 기간동안, 압축 압력이 탄성 부재(43)의 돔형부 내에 존재하는 시간의 누적 기간은 압축 압력이 원통형부(43b) 내에 존재하는 시간의 누적 기간보다 더 길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의해 얻은 것들과 유사한 효과는 또한 제3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원통형부(43b)의 탄성의 저하는 탄성 부재(43)의 돔형 부분의 것보다 작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탄성 부재(43)가 긴 기간의 시간동안 홀로 남겨진다면, 연결 니들(7)이 그것을 관통해서 크립이 탄성 부재(43)에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탄성 부재(43)는 연결 니들(7)을 제거한 후에 원래의 형상 및 체적으로 완전히 바꾸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 또는 크립은 원통형부(43b)에 덜 발생한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이 오랜 기간의 시간동안 그 안에 남겨진 후에 탄성 부재(43)로부터 당겨질 때조차 연결 개구(5)는 원통형부(43b)에 의해 적절하게 밀봉되어 존재한다.
또한, 연결 니들(9)이 탄성 부재 안으로 삽입될 때 연결 개구(6)에 대해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변화는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3) 안으로 삽입될 때 탄성 부재(43)에 발생하는 도23 내지 도25에 도시된 변화와 동일하다.
(실시예 4)
다음, 도27 내지 도32에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조적 요소들 중의 하나와 동일한 이러한 실시예의 임의의 구조적 요소는 동일한 요소에 주어진 것과 동일한 참조 코드가 주어져서 제1 실시예에서의 동일한 요소의 설명이 참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4의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의 외부 형상, 이 탄성 부재와 리세스(17a) 사이의 관계 및 상기 탄성 부재가 리세스(17a)에 위치되고 유지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의 것들과 동일하다.
도27은 도1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에 대한 탄성 부재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a)는 연결 니들이 삽입된 것으로부터 측면 위에서 대각선으로 본 사시도이다. (b)는 연결 니들이 삽입된 것으로부터 직접 측면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c)는 측면도이다. (d)는 (b)에서 방향 A로부터 본 단면도이고, (e)는 (b)에서 방향 B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27 내지 도31은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탄성 부재(44)가 도1에 도시된 연결 개구(5 또는 6)를 플러그하도록 리세스(17a)에 위치된 후에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4)를 통해 삽입되는 공정을 도시한다. 특히, 도27은 탄성 부재(44)의 슬릿(44c)과 일치하는 평면에서 탄성 부재(44)의 단면도이다. 도27의 화살표는 연결 니들(7)에 의해 탄성 부재(44)가 관통되기 전에 슬릿(44c)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다.
도3d는 연결 니들(7)이 삽입되는 동안 탄성 부재(44)의 탄성 변형 및 연결 니들(7)이 삽입된 후의 탄성 부재(44)의 탄성 변형을 도시한다.
도27(a) 내지 도2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4)는 대략 원통형이다. 연결 니들(7)이 삽입되는 측면 상의 표면에 있는 슬릿(갭없는 절결부; 44c)이 구비된다. 슬릿(44c)은 탄성 부재(44)의 다른 측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도28 및 도29에서, 보유 부재(15)는 리세스(17a)를 덮는 방식으로 탄성 부재 보유 부재(17)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44)의 직경 방향에 사실상 수직 방향으로 탄성 부재(44)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23)가 구비된다. 탄성 부재(44)가 리세스(17a) 내에 위치되고 보유 부재(15)가 탄성 부재 보유 부재(17)에 고정된 후에 압축 압력은 탄성 부재(44)에 존재한다. 이러한 압축 압력은 탄성 부재(44)의 중심 방향, 즉, 탄성 부재(44)에서 도29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작용한다.
다음, 도30에서,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4) 안으로 삽입될 때, 만약 연결 니들(7)의 팁이 처음 접촉하는 탄성 부재(44)의 표면의 점이 슬릿(44c)을 벗어난다면 슬릿(44c)은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4)를 압축할 때 연결 니들(7)로 이동하고, 이는 탄성 부재(44)의 중심 방향으로 작동하는 전술된 압축 압력이 탄성 부재(44)를 변형해서 슬릿(44c)이 연결 니들(7)로 이동되게 하기 때문이다. 역으로 말하면, 연결 니들(7)이 슬릿(44c) 안으로 안내된다. 다음, 연결 니들(7)은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44c)을 관통한 후에 탄성 부재(44)를 관통한다.
다시 말해서, 상술된 구조적 장치를 구비해서, 연결 니들(7)은 연결 니들(7)과 탄성 부재(44) 사이의 초기 접점에 관계없이 동일한 지점, 즉, 슬릿(44c)을 통해 항상 탄성 부재(44)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연결 니들(7)에 의한 탄성 부재(44)의 손상을 방지한다. 더욱이, 탄성 부재(44)의 손상없이 탄성 부재(44)를 리세스(17a)로 위치시킨 후 탄성 부재(44)에서 탄성 부재(44)의 중심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은 온전하게 존재하고, 연결 니들(7)을 제거한 후 슬릿(44c)은 원래 상태 또는 완전히 닫힌 상태로 바뀐다. 따라서, 액체 용기(2)의 내용물, 즉 잉크가 탄성 부재(44)를 통해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연결 개구(6)를 덮는 탄성 부재(44)를 통해 연결 니들(9)을 삽입하는 동안 탄성 부재(44)에 발생하는 탄성 변형은 도28 내지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개구(5)를 덮는 탄성 부재(44)를 통해 연결 니들(7)을 삽입하는 동안 탄성 부재(44)에 발생하는 탄성 부재(44)의 탄성 변형과 동일하다.
탄성 부재(44)가 리세스(17a) 내에 있을 때 탄성 부재(44)의 슬릿(44c)의 상호 대향 벽들은 탄성 부재(44)와 리세스(17a)의 벽의 복원력에 의해 발생된 압축 압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압축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이 인출된 후에도 슬릿(44c)은 탄성 부재(44)의 압축 압력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이유로, 슬릿(44c)은 탄성 부재(44)의 일 단부로부터 연결 니들 삽입 방향으로 다른 단부까지 도달하는 슬릿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슬릿(44c) 내부로 활주한 후 연결 니들(7)은 소정의 점, 즉 연결 개구(5)로 슬릿(44c)에 의해 항상 안내된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의 관통에 의한 탄성 부재(44)를 통해 야기된 작은 립(rip)은 슬릿(44c)과 정렬된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의 삽입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탄성 부재(44)가 받는 손상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술된 탄성 부재의 손상의 양에 이르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상술된 잇점은 연결 니들이 그것을 통해 지나갈 때 적절하게 덜 파열되는 재료가 탄성 부재(44)에 대한 재료로 사용될 때 더욱 명백하다. 예로써, 400 이하의 경도를 갖는 염소화 부틸 고무로 형성된 탄성 부재(44)의 경우에, 그것은 종종 기체 불통기성 및 잉크와의 친화성 때문에 탄성 부재(44)에 대한 재료로 사용되며, 연결 니들에 의해 탄성 부재를 통해 형성된 작은 립의 상호 대향 표면은 거칠다. 따라서, 립이 완전히 밀폐될 때조차 립의 상호 대향 면들 사이의 미세한 갭이 종종 존재하여 액체(잉크)가 새도록 한다. 비교해서, 상술된 슬릿(44c)이 구비된 탄성 부재(44)의 경우에, 이러한 문제에 대한 걱정이 불필요하다.
탄성 부재(44)가 연결 니들의 삽입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가능성은 연결 니들(7)의 축선 라인과 탄성 부재(44) 사이의 거리가 0.5D(D:연결 니들(7)의 직경) 이하가 되도록 연결 니들(7)이 보유 부재(15)의 개구에 의해 안내되는 구조적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일단 탄성 부재(44)가 연결 니들(7)에 의해 관통되면, 탄성 부재(44)는 슬릿(43c)이 제조하는 동안 스태빙 블레이드(stabbing blade)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사용해서 슬릿(43c)이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모든 것이 절단되는 탄성 부재와 구조에서 유사하다. 이러한 조건에서 탄성 부재(44)의 밀봉 성능은 탄성 부재의 성능만큼 우수하지 않고, 슬릿(43c)은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모든 것에 도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블라인드 슬릿(44c)을 구비한 탄성 부재(44)는 대기 온도 및 압력 변동의 더 넓은 범위에서 취급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및 다음의 이유로 인해, 탄성 부재(44)를 제조하는 동안 슬릿(44c)이 탄성 부재(44)의 일 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절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기 온도 및 압력의 변화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과 관련해서 액체 챔버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키는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를 밀봉되게 유지할 수 있는 탄성 부재(44)의 기간은 액체 용기의 제조가 완성될 때부터 액체 용기가 잉크 제트 기록 장치(도43)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할 때까지의 기간이고, 특히, 액체 용기가 전달되는 기간이다.
액체 용기가 사용되기 시작한 후에 액체 용기가 받게 되는 압력 및 온도 변화는 일상적인 것이고, 즉, 일상 생활 및 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변화라고 여겨질 수 있다. 이것이 슬릿(44c)이 액체 용기를 제조하는 동안 탄성 부재(44)를 통해 항상 절단되지 않는 이유다.
슬릿(44c)이 연결 니들(7)에 의한 탄성 부재(44)의 완전한 관통에 의해 넓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 부재(44)의 슬릿(44c)의 길이(L)는 다음의 부등식(도28)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L > πD
D:연결 니들(7)의 직경
연결 개구(5)의 연결 니들 입구부는 테이퍼져 있고, 상부에서 직경 X는 바닥 엣지에서 직경 Y보다 더 크다. 따라서, 연결 니들(7)이 다소 잘못 조준되 있어도 탄성 부재(44)의 대략 중심에 안내되는 것은 확실하다.
일반적으로, 연결 니들(7)은 단부에서 테어퍼진다. 연결 니들(7)의 팁에서 연결 니들(7)의 직선부(R의 외경을 갖는 부분)까지의 거리 M을 형성함으로써 직경에서 Y인 연결 니들 삽입 방향으로 후단부 측면상에서 연결 개구(5)의 연결 니들 입구부의 엣지부터 탄성 부재(44)의 상부면(도28)까지의 거리 N보다 더 짧고, 직경에서 Y인 연결 니들 삽입 방향으로 후단부 측면상에서 연결 니들(7)이 연결 개구(5)의 입구부의 엣지와 접촉하는 동안 연결 니들(7)의 팁이 탄성 부재(44)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치에서, 연결 니들(7)은 탄성 부재(44)의 상부면의 대략 중심으로 안내된다.
다음은 후술될 실시예뿐만 아니라 상술된 실시예는 사실이다. 탄성 부재(44)와 연결 니들(7)의 팁 사이의 마찰의 양은 탄성 부재(44) 및 연결 니들(7)에 대한 재료에 의존해서 변한다. 이러한 마찰이 높을 때, 상당한 양의 힘이 잉크 용기를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하는 데 필요하고, 약한 사용자를 불편하게 한다.
이러한 마찰이 극도로 높으면, 잉크 용기를 소정의 위치로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에, 잉크는 잉크 제트 헤드에 공급되지 않고 인쇄 실패를 가져 올 수 있다.
최악의 경우에,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4)의 상부면과 접촉한 후 연결 니들(7)의 팁은 탄성 부재(44)의 중심부, 즉, 슬릿(44c)의 위치로 안내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연결 니들(7)은 슬릿(44c)을 통과하지 않고 탄성 부재(44)로 진입하고, 탄성 부재(44)를 관통해 파열되고, 종종 연결 개구(5)가 밀봉을 유지하게 하는 탄성 부재(44)의 능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문제는 윤활제로 탄성 부재(44)의 상부면을 코팅함으로써 피할 수 있고, 이것은 탄성 부재(44)의 상부면과 연결 니들(7)의 팁 사이의 전술된 마찰을 감소시키고, 연결 니들(7)의 팁이 슬릿(44c) 내로 안내되는 탄성 부재(44)의 상부면 상에 활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된 목적을 위해 사용 가능한 액체 윤활제로서, 실리콘 오일 및 클리콜로부터 선택된 글리세린이 있다. 고체 윤활제로서, 고체화된 액체 실리콘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이용가능하다. 상술된 목적을 위해 윤활제에 필요한 윤활성에 더해서 그 특성은 환경적 인자, 예로서 온도, 습도 및 그와 유사한 것들에 의한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코팅되는 물체 또는 접촉하는 물체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액체 용기 내의 액체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또는 액체 용기의 액체에 의한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글리세린은 상술된 필수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윤활제로서 사용되었다.
윤활제로 탄성 부재(44)의 상부면을 코팅하는 것은 탄성 부재(44)가 리세스(17a)에 위치될 때 탄성 부재(44)의 상부면에 충분한 크기의 원추형 오목부를 실현하기 위한 구조적 장치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할 때 또는 탄성 부재(44)의 상부면에 원추형 오목부를 실현하기 위한 구조적 장치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할 때 가장 유용하다.
그러나, 탄성 부재(44)가 리세스(17a)에 위치될 때 탄성 부재(44)의 상부면에 충분한 크기의 원추형 오목부를 실현하기 위한 구조적 장치를 만드는 것이 가능할 때조차 윤활제로 마찰 부재(44)의 상부면을 코팅하는 것은 연결 니들(7)이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용하고, 이는 연결 니들(7)과 탄성 부재(44)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사실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탄성 부재(44)의 상부면 및 슬릿(44c)의 상호 대향 내부면은 슬릿(44c)을 절단할 때 윤활제로 슬릿(44c)을 절단하기 위한 예리한 블레이드를 코팅함으로써 윤활제로 코팅될 수 있다.
윤활제로 슬릿(44c)의 상호 대향 내부면을 코팅하는 것은 연결 니들(7)과 슬릿(44c)의 상호 대향 내부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의 양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연결 니들(7)이 슬릿(44c)의 상호 대향면들 중의 하나 안으로 관통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윤활제는 도21 및 도22에 참조 코드 a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3)의 상부면과 보유 부재(15)의 하부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탄성 부재(43)가 리세스(17a) 내에 위치될 때 또는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3)를 관통되거나 탄성 부재(43)로부터 인출될 때 탄성 부재(43)가 보유 부재(15)의 바닥면과 탄성 부재(43)의 상부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변형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윤활제는 도20 및 도21의 참조 코드 b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3)가 위치되는 리세스(17a)의 벽부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이것은 탄성 부재(43)와 리세스(17a)의 벽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탄성 부재(43)가 리세스(17a)에 위치되는 것을 더 쉽게 한다.
(실시예 5)
다음, 도32 내지 도41에 대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32의 (a)는 탄성 부재의 측면도이고, 도32의 (b)는 탄성 부재의 저면도(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에 대향 측면으로부터 볼 때의 도면)이고, 도32의 (c)는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 위 대각선으로 볼 때의 탄성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32의 (d)는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에 대향 측면 아래 대각선으로 볼 때의 탄성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33의 (a)는 탄성 부재의 저면도(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에 대향 측면으로 볼 때의 도면)이고, 도33의 (b)는 도33의 (a)의 평면 A-A에서 탄성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34 내지 도36은 도32 및 도33에 도시된 탄성 부재(45)가 리세스(17a) 내에 위치되고 보유 부재(15)를 사용해서 그 안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34는 연결 개구(5, 6)를 덮는 방식으로 리세스(17a)에 위치시킨 후 탄성 부재(45)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35는 보유 부재(15)에 의해 하방으로 압축되는 탄성 부재(45)를 도시한다. 도36은 리세스(17a)에 그것의 위치시킨 것을 완료한 후의 탄성 부재(45)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이 연결 개구(5)를 탄성 부재(45)로 덮여진 개구로서 도시되지만, 연결 개구(6)는 또한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개구(5)를 덮는 것과 상이한) 탄성 부재(45)로 덮인다.
도34에 대해, 참조 코드(17a)는 액체 챔버(16)로 안내하는 연결 개구(5)를 플러그하기 위한 탄성 부재(45)가 위치되는 리세스를 나타낸다. 리세스(17a)의 내경은 탄성 부재(45)의 외경과 사실상 동일하다.
탄성 부재(45)의 외경이 리세스(17a)의 내경보다 다소 작으면, 탄성 부재(45)를 리세스(17a) 안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쉽다. 탄성 부재(45)의 외경이 리세스(17a)의 내경보다 더 크더라도 탄성 부재(43)의 형상이 힘의 인가에 의해 쉽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것이 어떤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탄성 부재(45)의 직경이 리세스(17a)의 내경보다 불균형적으로 크지 않으면 탄성 부재(45)를 리세스(17a) 내로 위치시키는 것이 어렵지 않다.) 탄성 부재(45)는 모놀리틱 부재(monolithic member)이고 도32 및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돔 형상이다.
다음, 도20에 관해, 보유 부재(15)가 액체 용기에 부착될 때 탄성 부재(45)는 보유 부재(15)에 의해 하방으로 압축된다. 돔형상의 탄성 부재(45)의 팽창된(bulging) 측면의 리지 선의 길이는 리세스(17a)의 내경보다 더 크다. 따라서, 보유 부재(15)에 의해 탄성 부재(45)에 작용하는 압력은 탄성 부재(45)를 하방 압축하는 방향 뿐만 아니라 탄성 부재(45)를 리세스(17a)의 반경 방향으로 퍼지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탄성 부재(45)는 리세스(17a) 내에 제한되고, 리세스(17a)의 벽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국, 압력은 탄성 부재(45)의 중심에 집중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탄성 부재(45) 내에 발생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 부재(45) 내의 압축 응력은 탄성 부재(45)의 일부가 보유 부재(15)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변경된다. 탄성 부재(45)가 평면 돔의 형상이면 보유 부재(15)가 탄성 부재(45) 상에 하향 압축될 때, 보유 부재(15)의 개구의 립부는 탄성 부재(45)와 접촉하게 되고, 탄성 부재(45)를 링의 패턴으로 만입시킨다. 탄성 부재(45)의 평평한 상부면(45b)의 직경이 보유 부재(15)의 개구의 바닥 립의 직경보다 크다면, 보유 부재(15)의 평평한 바닥면과 탄성 부재(45)의 평평한 상부면(45b) 사이의 접촉면에 발생하는 압축 응력은 그렇지 않을 때 보다 더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압력은 보유 부재(15)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45)의 영역에 걸쳐 더욱 균일하게 분포되어, 보유 부재(15)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45)의 영역에 걸쳐 발생하는 압축 응력은 그렇지 않을 때보다 덜 불균일하게 된다.
도32 및 도33에 도시된 것처럼 평평한 면(45b)을 갖춘 탄성 부재(45)의 돔형 부분(45a)의 상부를 구비함으로써, 탄성 부재(45)의 돔형 부분(45a)의 상부는 도22에서 참조 부호 43b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향 팽창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탄성 부재(45)가 보유 부재(15)에 의해 하향 압축될 때 탄성 부재는 상기 설명한 슬릿 안으로 연결 니들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로써 기능을 하는 (도21에서의 부분(43e)과 유사한) 오목부를 형성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구조적 장치를 구비하여 실현될 수 있는 원추형 오목부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 탄성 부재(43)의 상부에 작지만 한정적인 원추형부(43a)를 구비함으로써 실현되는 원추형 오목부보다 얕다.
따라서, 실현되는 원추형 오목부의 측벽의 각도와 연결 니들(7)의 팁이 테이퍼진 각도(a) 사이의 상관관계를 주의해야 한다.
리세스(17a) 내에서 탄성 부재(45)의 상태를 도시한 도36에서, 탄성부재(45)의 단지 돔형 부분은 압축부(23) 및 리세스(17a)의 벽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축된다.
도37에는 연결 니들(7)이 삽입되는 동안 탄성 부재(45)의 거동(탄성 변형)을 도시한다. 도37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 부재(45) 안으로 비교적 두꺼운 연결 니들(7)을 삽입하려고 시도할 때, 탄성 부재(45)는 변형된다.
그러나, 탄성 부재(45)는 연결 니들(7)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된 원통형부(45b)를 구비한다. 즉, 연결 니들(7)과 접촉된 탄성 부재(45)의 일부가 연결 니들(7)에 의해 끌려지는 공간은 탄성 부재(45)가 원통형부(45b)를 구비하지 않으면, 원통형부(45b)로 점유된다.
또한, 원통형부(45b)은 비교적 강성이다. 따라서, 원통형부(45b)를 구비하지 않은 것에 비해, 원통형 부재(45b)를 구비하는 것은 연결 니들(7)의 단부가 탄성 부재(45)를 통과하여 푸싱될 때,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5) 안으로 삽입될 때 연결 니들(7)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45)의 내부는 연결 니들(7)에 의해 탄성 부재(45)의 외부로 끌려져서, 원추형 개구를 생성하는 방식으로(도49b) 연결 니들(7)로부터 원추형으로 박피되는 것이 덜 발생되게 한다. 결국, 연결 니들(7)은 도39에 도시된 것처럼 적절하게 삽입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연결 니들(7)과 탄성 부재(45)의 내부 사이에 형성된 접촉 영역은 연결 니들(7)로부터 탄성 부재(45)의 내부가 원추형 격리에 의해 감소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원통형부(45b)를 구비하는 것은 연결 니들(7)과 탄성 부재(45) 사이의 접촉 영역을 증가시켜 액체 용기의 내부 또는 주변 압력의 변화에 따라 액체 용기 내의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부재(45)의 능력을 개선시킨다.
또한, 탄성 부재(45)의 돔-형 부분의 상부가 상기 설명한 간단한 평평한 표면 대신 평평한 바닥면(45b)을 갖춘 낮은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어서, 평평한 바닥면(45b)은 스탬핑과 같은 간단한 코팅 방법을 사용하여 윤활제로 코팅될 수 있다. 명백하게, 평평한 바닥면을 갖춘 상기 설명한 낮은 리세스 대신 탄성 부재(45)의 돔형 부분의 상부에 단지 간단한 평평한 표면만을 구비하더라도 스탬핑과 같은 간단한 코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 부재(45)의 경우, 도32에 도시된 것처럼 그의 평평한 상부(45b)는 약간 리세스되고, 평평한 상부면(45b) 상에 코팅된 윤활제는 연결 개구의 다른 부분에 분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낮은 점성을 갖는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선택할 수 있는 윤활제의 수를 증가시킨다.
도33c에서, 탄성 부재(45)의 슬릿의 폭(L)은 탄성 부재(45)의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균일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원통형부(45b)가 탄성 부재(45)를 완전히 관통한 후 슬릿의 퍼짐으로 인해 두 개의 편으로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통형부(45d)의 외경(D2), 연결 니들(7)의 직경(D) 및 원통형부(45d) 내의 슬릿부의 폭(L)은 다음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D2 > 2L/π> D
보유 부재(15)의 개구의 직경을 크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제품 구조를 고려할 때, 탄성 부재(45)는 도40에 도시된 것처럼 식 2L > πD 을 만족시키는 아치형 슬릿(45c)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도 잘 맞는다.
동일한 이유로, 탄성 부재(45)는 도41에 도시된 것처럼 부등식 2L > πD를 만족시키는 한 쌍의 상호 교차 부-슬릿으로 구성된 복합 슬릿(45c)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액체 용기가 반복적으로 장착 및 착탈될 때, 부-슬릿의 교차점 부근의 탄성 부재(45)의 부분은 반복적으로 손상받고, 최악의 경우에는 탄성 부재(45)의 주변부로부터 분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복합 슬릿(45c)은 밀봉 성능의 관점에서 간단한 슬릿보다 열등하고, 탄성 부재(45)의 함몰에 대한 저항성의 관점에서도 열등하다.
따라서, 복합 슬릿(45c)이 사용될 때,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이유로 부-슬릿 쌍 중 하나가 다른 것 보다 짧게 제조된다.
즉, 이러한 배치로 두 개의 부-슬릿의 교차점 부근의 탄성 부재(45)의 소정의 부분은 액체 용기의 반복된 장착 및 장착해제로 인해 탄성 부재(45)로부터 분리될 지라도, 상기 부분의 길이는 비교적 짧아져서 이러한 분리로부터 생긴 탄성 부재(45)의 함몰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탄성 부재(45)의 밀봉 성능의 최종적인 감소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피할 수 없는 주위 환경으로 인해 탄성 부재(45)가 복합 슬릿을 구비할 때,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5) 안으로 유입하는 방향은 조절될 수 없다.
따라서, 부-슬릿의 교차점은 탄성 부재(45)의 축선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슬릿이 탄성 부재(45)의 축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너무 길면, 슬릿 교차점 바로 옆의 탄성 부재(45)의 일부는 탄성 부재(45)의 주변부로부터 분리되고, 탄성 부재(45)가 슬릿 교차점 주위에서 함몰되게 하여 탄성 부재(45)의 밀봉 성능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다음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πD > L
또한, 탄성 부재측 상에서 보유 부재(15)의 연결 개구(5)의 일부는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45)의 슬릿(45c)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연결 니들 삽입 방향으로 직경을 점차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37 내지 도39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연결 개구(5)를 플러그하는 탄성 부재(45)를 통해 연결 니들(7)이 삽입되는 동안 발생하는 탄성 부재(45)의 변형은 제2 연결 개구(6)로 플러그되는 탄성 부재(45)를 통해 연결 니들(9)이 삽입되는 동안 발생하는 것과 동일하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탄성부재는 돔형 주요부와 상기 주요부의 오목한 측에 부착되고 액체 챔버측 상에 있는 원통형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연결 니들(7)의 직경이 비교적 작을 때, 원통형부는 연결 니들(7)이 탄성 부재로 진입하는 측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원통형부의 이러한 위치 배열을 갖춘 탄성 부재는 본 발명에 따라 원통형부를 갖추지 않은 탄성 부재와 같은 효과를 낸다.
다음의 구조 배열은 도2, 도3 및 도12 내지 도16에 도시되지 않고 도19 내지 도25, 도28 내지 도31 및 도34 내지 도39에 도시된다. 보유 부재(15)는 제1 및 제2 섹션으로 구성된다. 제1 섹션은 탄성 부재를 압축하는 방식으로 탄성 부재 유지 부재(17)에 고정되고, 제2 섹션은 흡수 부재(34)를 커버하는 방식으로 제1 섹션에 고정된다. 흡수 부재(24)는 연결 니들(7)이 통과하는 보유 부재(15)의 개구(5)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보유 부재(15)의 제1 섹션에 고정된다.
흡수 부재(24)는 연결 니들(7, 9)이 액체 용기로부터 인출될 때 형성된 소량의 액적을 흡수 및 보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를 채용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사용자, 기록 장치 자체 및 이를 둘러싸는 요소가 액체 용기가 제거될 때 형성된 액적(잉크 액적)으로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흡수 부재를 액체 용기의 연결 개구에 위치시킬 때, 흡수 부재는 연결 개구의 평면도인 도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인접부가 연결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본 실시예에서 액체 용기의 바닥부에 놓인다.
도42의 D-D 평면에서 도42의 액체 용기의 일부의 단면도는 도29 및 도36(단면도)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액체 용기가 상기 설명한 흡수 부재를 구비할 때, 보유 부재(15)는 다수의 홈(25)을 구비하고, 도42에 도시된 것처럼 그 깊이 방향은 탄성 부재의 반경 방향과 일치한다. 상기의 구조적인 배열로, 액체 용기가 연결 니들로부터 제거될 때 형성된 소량의 액적(잉크 액적)은 모세관력에 의해 흡수 부재로 효과적으로 안내되고,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사용자, 기록 장치 자체 및 이를 둘러싸는 요소는 액체 용기가 제거될 때 형성된 액적(잉크 액적)으로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홈(25)은 슬릿(45c) 및 홈(25)의 립에 미세한 홈을 연결되도록 탄성 부재(45)의 슬릿(45c)에 정렬된다. 이러한 배열로, 탄성 부재(45)의 표면에 부착된 액적(잉크 액적)은 흡수 부재로 효과적으로 안내된다.
이후, 액체 공급 시스템(도1)을 구비한 기록 장치는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액체 용기에 호환될 수 있다. 도4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에 호환가능한 장치의 예로써 잉크 제트 기록 장치를 도시한다.
도43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시리얼형 기록 장치이다. 상기 장치에서, 잉크 제트 헤드(3)의 왕복 운동(주 스캐닝) 및 보통의 종이의 시트, 특별한 목적의 종이, OHP 필름 등과 같은 기록 시트(S)의 소정의 피치로 반송은 교대로 반복된다. 이러한 운동과 동시에, 잉크는 기록 시트(S) 상에 기호, 사인, 그림 화상 등이 형성되도록 잉크를 기록 시트(S)에 부착시키기 위해 잉크 제트 헤드(3)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된다.
도43에서, 잉크 제트 헤드(3)는 캐리지(28) 상에 제거식으로 장착되고, 이는 한 쌍의 안내 레일(26, 27)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 레일(26, 27) 상에서 활주할 수 있고, 모터와 같은 도시 생략된 구동 수단에 의해 안내 레일(26, 27) 상에 왕복식으로 이동된다. 기록 시트(S)는 캐리지(2)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예로써, 화살표 A로 표시된 것으로 캐리지(2)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반송 롤러(29)에 의해 반송되어, 잉크 제트 헤드(3)의 잉크 방출면에 대응하고 잉크 제트 헤드(3)의 잉크 방출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유지된다.
상이한 색상의 다수의 잉크를 방출하기 위해, 잉크 제트 헤드(3)는 잉크 색상이 상이한 다수의 노즐 칼럼을 갖는다. 잉크 제트 헤드(3)로부터 방출된 각각의 잉크에 대해, 주 용기 중 하나인 잉크 용기(2)는 잉크 공급 유닛(30) 내에 제거식으로 장착된다.
잉크 공급 유닛(30) 및 잉크 제트 헤드(3)는 다수의 액체 공급 튜브(4)에 연결되고, 그 수는 색상이 상이한 잉크의 수와 동일하다. 각각의 액체 용기(2)가 잉크 공급 유닛(30)에 장착될 때, 그 내부의 잉크가 다른 잉크 용기 및 그 내부의 잉크와 독립적으로 동일한 색상의 잉크 노즐 칼럼에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 장치는 기록 잉크 제트 헤드(3)의 왕복 운동 영역 내에, 즉 기록 시트(S)의 외측 경로 즉, 잉크 제트 헤드(3)의 기록 영역의 외측에 배치된 복귀 유닛(32)을 구비하여, 잉크 제트 헤드(3)의 잉크 방출면에 대면하게 된다. 복귀 유닛(32)은 잉크 제트 헤드(3)의 잉크 방출면을 덮기 위한 캡과, 잉크 제트 헤드(3)의 외부로 잉크를 강압적으로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잉크 제트 헤드(3)의 잉크 방출면이 캡으로 덮힌 갖춘 흡입 기구와, 잉크 방출면 등에 오염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블레이드를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리얼형 잉크 제트 기록 장치와 관련지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폭방향의 관점에서 단일 또는 다수의 노즐 열이 잉크 제트 헤드(3)의 기록 영역의 일단부에서 다른 단부로 연장되는 라인형 잉크 제트 헤드를 갖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또한 적용가능하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잉크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는 상기 용기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개구와 상기 연결 개구의 구멍에 위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액체 용기의 내측 및 외측은 탄성 부재를 통해 진입되는 원통형 니들로써 연결된다. 탄성 부재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은 압축 구역이고, 제2 부분은 비압축 구역이다.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부분은 각각 후단부 및 인입측 상에 놓인다. 원통형 니들의 삽입 전에라도 제1 부분은 압축되어 유지되고, 원통형 니들의 삽입 전에 제2 부분은 실제 압축 상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원통형 니들의 삽입 후에, 제1 및 제2 부분은 모두는 압축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적 배치를 구비함으로써, 제2 부분의 탄성의 저하량은 제1 부분에서보다 작다. 다시 말해서, 제2 부분에서 발생하는 크립(creep)정도 (오랜 기간 동안 소정의 압력 하에서 탄성 부재가 남겨질 때, 탄성 부재는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현상)는 제1 부분에 발생하는 크립 정도에 비해 매우 작다. 따라서, 원통형 니들이 오랜 기간 동안 탄성 부재 내에 남겨진 뒤 인출되더라도 상기 연결 개구가 양호하게 밀봉된 상태로 유지되는 탄성 부재의 제2 부분은 사실상 크립 또는 영구적인 변형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탄성 부재와 원통형 니들 사이에 접촉면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제2 부분을 구비하여, 액체 용기의 내부 및/또는 주변 압력의 변화에 대해 밀봉된 연결 개구를 유지시키는 탄성 부재의 성능은 개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는 단일체이고, 제1 및 제2 부분을 갖는다. 제1 부분은 원통형 니들의 삽입 전에라도 압축되어 유지되지만, 제2 부분은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기 전에 압축된 상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원통형 니들이 삽입된 후에, 제1 및 제2 부분은 모두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으로, 제1 및 제2 부분은 각각 후단부 및 인입 측면 상에 놓인다. 또한,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에서, 제1 부분은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팽창하고 팽창 측의 대향 측 상에서 오목해진다. 원통형 니들의 삽입 방향으로 두께는 균일하다. 제2 부분은 원통형 니들의 삽입 전에 원통형이다. 제1 부분의 오목측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구조적 장치를 제공하여, 용이하게 압축 및 압축된 탄성 부재를 그 축선 라인을 향해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의 니들 삽입 방향으로 돌출된 탄성 부재의 원통형부로, 원통형 니들의 선단부가 탄성 부재의 다른 측면으로 나올 때, 진행하는 원통형 니들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의 내부는 탄성 부재 밖으로 부분적으로 끌려져 나오며, 원통형 니들 둘레의 원추형 리세스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원통형 니들로부터 원추형으로 벗겨질 가능성이 없으며, 즉, 탄성 부재가 원통형 니들의 삽입에 의해 원통형 니들 둘레로 원추형으로 오목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탄성 부재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탄성 부재 보다 원통형 니들과 탄성 부재 사이의 접촉면 내에서 보다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탄성 부재에는 원통형 니들이 탄성 부재를 통해 진행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되는 슬릿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을 제공하여, 원통형 니들은 슬릿에 의해 안내되여, 탄성 부재를 적절하게 관통하도록 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는 원통형 니들의 삽입에 의해 손상된 우려가 적으며, 연결 개구는 만족스럽게 밀봉되도록 한다.
또한, 탄성 부재의 원통형부의 외경은 연결 개구의 내경보다 작다. 이러한 구조적 장치를 구비하여, 원통형 니들이 탄성 부재의 원통형부 내로 삽입됨으로서만 압축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원통형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영구적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원통형 니들이 장시간동안 탄성 부재 내에 홀로 방치된 이후에 탄성 부재로부터 인출되는 경우에도, 액체는 연결 개구로부터 낙하되지 않는다.
더욱이, 탄성 부재의 팽창된 부분의 상부에는 원뿔형의 리세스,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에 수직인 단일의 편평한 표면, 또는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에 수직인 편평한 저면을 갖는 얕은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장치의 제공으로, 탄성 부재의 반경 방향을 원통형 니들이 탄성 부재를 통해 삽입됨에 따라 탄성 부재의 내부가 눌러짐는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 니들의 삽입에 의해 초래된 탄성 부재의 함몰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탄성 부재가 압축 상태에서 탄성 부재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 부재에 의해 보유되는 리세스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가 보유 부재 내에서 압축됨에 따라, 탄성 부재와 리세스 벽 사이의 접촉면은 보유 부재로부터 압력에 의해 탄성 부재 내에 발생된 압축 압력이 탄성 부재의 밀봉 성능의 기준점으로부터 바람직한, 탄성 부재의 축선 라인을 향해 집중되도록 하는, 원통형이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는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개구와, 연결 개구를 밀봉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탄성 부재가 보유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에는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원통형 니들이 용기 내에 삽입되는 측면 상에서 탄성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탄성 부재의 내부로 연장하는 슬릿이 제공된다. 리세스의 중심을 향해 압축된 리세스 내의 탄성 부재는 압축된 상태에 놓여져 있다. 따라서, 원통형 니들이 탄성 부재 내로 삽입될 때, 원통형 니들은 슬릿 다음의 탄성 부재 내로 진행된다. 결과적으로, 원통형 니들은 상기 니들이 이전에 탄성 부재를 통과했을 때 형성된 통로와 동일한 통로를 통해 진행하며, 원통형 니들이 탄성 부재를 통과함에 따라 탄성 부재에 발생되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탄성 부재가 연결 개구를 만족스럽게 밀봉하도록 한다.
전술한 구조적 장치의 경우에, 탄성 부재는 돔 형상의 부분 및 원통형상의 부분으로 제조된다.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돔 형상의 일측면은 팽창되어 있고, 다른 측면은 오목해져 있다. 돔 형상의 부분은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으로 두께가 균일하다. 원통형부는 돔 형상의 부분의 오목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전술된 슬릿은 탄성 부재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탄성 부재의 반경 방향에 대한 크기는 원통형부의 직경을 초과하지 않는다. 전술한 리세스 내에 위치된 탄성 부재가 보유 부재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압축 압력은 돔 형상의 부분 내에서 용이하게 발생되며 탄성 부재의 축선 라인을 향해 지향되며, 원통형 니들이 삽입됨에 따라 탄성 부재의 내부와 원통형 니들 사이에 접촉 압력이 발생된 양을 증가시킨다. 이는 접촉 개구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한 성능에서 탄성 부재의 신뢰성을 개선시킨다. 다음으로, 탄성 부재의 오목한 측면 상의 원통형 니들은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어, 원통형 니들의 선단부가 탄성 부재의 저면을 지나 눌러질 때, 탄성 부재를 통해 탄성 부재의 진행에 의해 형성된 탄성 부재 내의 니들 통로 주위의 탄성 부분의 내부가 원통형 니들에 의해 탄성 부재의 저면으로부터 탄성 부재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끌려져 나가며, 원통형 니들 둘레로 원추형 리세스를 발생하기 위한 방식으로 원통형 니들로부터 원추형으로 벗겨져 나가는 현상의 발생을 어렵게 한다. 즉, 이러한 구조적 장치는 탄성 부재가 원통형 니들의 삽입으로 인해 원추형으로 오목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원통형 니들과 탄성 부재 사이의 접촉 영역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니들과 탄성 부재 사이보다 더 크다. 다음으로, 탄성 부재에는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단되는 슬릿이 제공된다. 따라서, 원통형 니들은 슬릿에 의해 탄성 부재를 통해 안내되며, 탄성 부재의 손상이 방지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연결 개구가 만족스럽게 밀봉되어져 있도록 한다.
단일 슬릿 만을 갖는 탄성 부재의 제공은 원통형 니들이 탄성 부재로 삽입된 매번, 원통형 니들은 미리 삽입되어졌을 때 뒤따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통로를 따른다. 슬릿은 탄성 부재의 저면을 도달하지 않는 방식으로 절단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로 인해, 연결 개구는 액체 용기가 액체 용기 제조시부터 사용 개시때까지의 기간동안 누출 관점에서 악조건 상에 위치될 때에도 완전하게 밀봉된 채로 유지된다. 즉, 이러한 장치는 액체 용기가 환경적인 변화에 보다 내성을 갖도록 한다. 다음으로,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관점에서 슬릿의 길이(L) 와 원통향 니들의 직경(D) 사이의 관계가 하기의 부등식 2L〉πD로 충족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장치로, 슬릿은 원통형 니들이 슬릿 다음에 탄성 부재를 통해 언제라도 놓여질 때 찢어지지 않는다(넓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흡수 부재는 액적을 흡수하기 위해 보유 부재에 부착된다. 또한, 보유 부재의 연결 개구의 벽에는 복수개의 홈이 제공되며, 그 깊이 방향은 연결 개구의 반경 방향과 일치한다. 이러한 장치로 인해, 액체 용기가 원통형 니들로부터 떨어져 이동될 때 형성되는 소량의 액적(액체 용기 내의 액체가 잉크인 경우 잉크 액적)은 모세관력에 의해 흡수 부재에 효과적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사용자, 기록 장치 자체, 및 기록 장치를 둘러싼 물질은 잉크에 의해 의한 오염이 방지된다.
더욱이, 탄성 부재에는 서로 교차하는 한쌍의 부 슬릿으로 제조된 복합 슬릿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교차점은 탄성 부재의 축선 라인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러한 장치로 인해,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엄밀하게 조절되지 않은 경우에도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탄성 부재 내로 삽입된다.
복합 슬릿을 구비한 탄성 부재에 대해, 보다 짧은 부 슬릿이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대해 지나치게 길이지면, 부 슬릿의 교차점에 바로 인접한 탄성 부재의 일부분은 탄성 부재의 주변 부분으로부터 고립되어, 함몰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 부재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관점에서 부 슬릿의 길이(L)과 원통형 니들의 직경(D) 사이의 관계는 하기의 부등식으로 충족된다: 1.5 πD>L.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라,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잉크 용기는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개구와, 연결 개구의 구멍에 위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액체 용기의 내부 및 외부는 원통형 니들이 탄성 부재를 통과함에 따라 연결된다. 탄성 부재는 제1 및 제2 부분을 갖는다.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제1 및 제2 부분은 종단 측면 및 선단 측면 상에 각각 놓여져 있다. 제1 부분은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기 이전에도 압축된 채로 유지되는 반면에,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기 이전에, 제2 부분은 경험적인 관점에서 압축된 상태에 놓여져 있지 않다. 그러나, 원통형 니들이 삽입된 이후에, 제1 및 제2 부분은 압축된 채로 유지된다.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에 대해, 제1 부분은 돔형상이며,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측면이 부풀어져 있고 그 반대 측면은 함몰되어져 있다. 돔 형상의 제1 부분의 상부에는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에 수직인 단순한 편평한 표면이 제공되거나,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에 수직인 편평한 바닥표면을 구비한 얕은 리세스가 제공된다. 제2 부분은 원통형이며 돔 형상의 부분의 오목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에는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표면으로부터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이 제공된다. 슬릿은 탄성 부재의 대략 중심에 위치되도록 절단된다. 탄성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슬릿의 크기는 원통형부의 직경을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 부재가 리세스 내에 놓여져 있을 때, 돔 형상의 부분 내에 압축 압력이 존재하며, 탄성 부재의 축선 라인을 향해 작동한다.
이러한 구조적 장치로, 탄성 부재에 돔 형상 부분이 제공되며, 탄성 부재의 축선 라인을 향해 작동하는 압축 압력은 탄성 부재 내에서 용이하게 발생되어, 원통형 니들이 삽입됨에 따라 탄성 부재의 내부와 원통형 니들 사이에 접촉 압력이 발생되는 양을 증가시킨다. 이는 연결 개구를 밀봉한 채로 유지시키기 위해 그 성능에서 탄성 부재의 신뢰성을 개선시킨다. 또한, 원통형부의 제공은 탄성 부재가 원추형으로 오목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 니들과 탄성 부재 사이의 접촉 영역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탄성 부재와 원통형 니들 사이의 영역보다 더 크다. 더욱이, 원통형 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단된 슬릿의 제공으로, 원통형 니들은 탄성 부재를 통해 슬릿에 의해 안내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슬릿은 실질적으로 직선이거나, 곡선형이다. 제품 설계에 대한 요구 사항이 탄성 부재의 원통형부에 대해 보다 작은 직경을 필요로 할 때, 곡선형의 슬릿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라, 액체 용기에는 탄성 부재 보유 부재가 제공되며, 탄성 부재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니들의 삽입 방향에서 선단부는 테이퍼진다. 보유 부재에는 탄성 부재 내로 원통형 니들의 입구부를 안내하기 위한 개구가 제공된다. 이러한 개구의 일단부의 립은 탄성 부재와 접촉하며, 소정의 직경을 갖는다.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으로, 이러한 개구의 깊이는 원통형 니들의 테이퍼부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장치로 인해, 원통형 니들의 팁부가 탄성 부재의 상부면에 도달하고 원통형 니들의 테이퍼부가 전술한 안내 개구의 벽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연결 니들은 탄성 부재의 중심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경우, 원통형 니들이 탄성 부재에 도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전술한 편평한 표면은 탄성 부재 보유 부재의 안내 개구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형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치로 인해, 탄성 부재가 리세스 내에 위치됨에 따라 탄성 부재의 축선 라인을 향해 발생된 압축 응력은 탄성 부재의 편평한 상부면과 보유 부재의 편평한 저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즉, 압축 응력은 탄성 부재 내에서 균일하게 분포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라, 탄성 부재의 상부면은 윤활제로 코팅된다. 이러한 장치로, 탄성 부재의 상부면과 탄성 부재로 삽입되는 원통형 니들의 팁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은 보다 작으며, 원통형 니들이 슬릿으로 안내되도록 하며, 원통형 니들을 탄성 부재로 삽입하기 위해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윤활제는 원통형 니들 삽입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 부재 내에 절단된 슬릿 자체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윤활제로 탄성 부재의 상부면을 코팅하는 것의 전술한 잇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윤활제는 보유 부재의 표면 상에서 코팅될 수 있거나, 보유 부재와 탄성 부재 사이의 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로 인해, 탄성 부재가 리세스 내에 위치되거나, 원통형 니들이 탄성 부재 내로 삽입되거나, 원통형 니들이 탄성 부재로부터 인출될 때 탄성 부재가 보유 부재와 탄성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변경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윤활제는 리세스의 벽과 탄성 부재 사이의 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탄성 부재를 리세스 내에 위치시키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액적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 부재는 탄성부재를 압축시켜 고정시키는 보유 부재에 부착된다. 또한, 보유 부재의 안내(연결)개구의 벽에는 복수개의 홈이 제공되며, 그 깊이 방향은 안내 개구의 반경 방향과 일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슬릿과 정렬한다. 이러한 장치로 인해, 슬릿의 형성에 의해 탄성 부재의 표면에 발생된 극소 홈은 보유 부재의 홈과 연결된다. 그러므로, 액적(액체 용기 내의 액체가 잉크인 경우 잉크 액적)은 흡수 부재로 보다 효율적으로 안내되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액체 용기에는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개구가 제공되며, 액체 용기의 내부 및 외부는 원통형 니들이 연결 개구를 관통함에 따라 연결된다. 액체 용기에는 연결 개구를 플러그하기 위한 탄성 부재, 원통형 니들의 축선 라인이 탄성 부재의 축선 라인으로부터 0.5D 이하로 떨어져 위치되는 방식으로, 직경(D)을 갖는 원통형 니들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제공되어, 탄성 부재가 손상될 가능성을 보다 감소시킨다.
상기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들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6)

  1. 삭제
  2. 삭제
  3.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이며,
    외부와 연결 가능한 연결 개구와,
    상기 연결 개구에 제공되고 외부와의 유체 연통을 위해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 순으로 배치된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은 그들이 상기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될 때 압축되어질 수 있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측정된 탄성 부재의 상기 압축 구역의 길이는 상기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방향으로 측정된 탄성 부재의 상기 비압축 구역의 길이보다 더 길고,
    상기 압축 구역은 상기 원통형 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개구에 제공된 고정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 부재의 일부에 의해 구비되는 액체 용기.
  4.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이며,
    외부와 연결 가능한 연결 개구와,
    상기 연결 개구에 제공되고 외부와의 유체 연통을 위해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 순으로 배치된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은 그들이 상기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될 때 압축되어질 수 있고,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은 단일 부재의 일부이고,
    상기 압축 구역은 상기 원통형 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개구에 제공된 고정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 부재의 일부에 의해 구비되는 액체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탄성 부재의 대향 단부 표면 중 하나는 돌출된 형상부를 갖고, 다른 하나는 사실상 균일한 두께를 제공하는 리세스된 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비압축 구역은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된 형상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부를 갖는 액체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돌출된 형상부를 갖는 단부에 삽입되는 액체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개구에 제공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탄성 부재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상기 탄성 부재는 돌출된 형상부를 갖는 탄성 부재의 단부를 압축하는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의 중심을 향해 압축되는 액체 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돌출된 형상부를 갖는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는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는 개구를 갖는 고정 부재로 압축될 때, 탄성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개구 안으로 압축되지 않는 액체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돌출된 형상부를 갖는 단부는 돌출된 형상부의 상부에 원추형부를 갖는 액체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돌출된 형상부를 갖는 단부는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수직인 편평 표면 또는 단차진 표면을 갖는 액체 용기.
  11. 삭제
  12.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이며,
    외측과 연결 가능한 연결 개구와,
    상기 연결 개구에 플러그된 탄성 부재와,
    외측과의 유체 연통을 위해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된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탄성 부재 내에 제공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원통형 부재가 삽입 가능한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내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의 한 측면 상에 돌출된 형상부 및 다른 측면 상에 리세스된 형상부를 가진 돔의 형상이고, 상기 돔은 균일한 두께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에는 리세스된 형상부 측면의 기둥 형상부가 제공되며, 상기 슬릿은 기둥 형상부 내에 있고,
    상기 원통형 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개구에 제공된 고정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의해 압축되고 탄성 부재의 일부에 의해 압축 구역이 구비되는 액체 용기.
  13.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이며,
    외부와 연결 가능한 연결 개구와,
    상기 연결 개구 내에 제공되고, 외측과의 유체 연통을 위해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고,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 순으로 배치된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을 구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구역은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한 측면 상에 돌출된 형상부 및 다른 측면 상에 리세스된 형상부를 가진 돔의 형상이고,
    상기 돌출된 형상부의 상부는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수직인 편평 표면 또는 단차진 표면을 갖고,
    상기 비압축 구역은 리세스된 형상부 측면의 기둥 형상부가 제공되고, 상기 슬릿은 기둥 형상부 내부에 있고,
    상기 압축 구역 및 상기 비압축 구역은 이들이 상기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될 때 압축되어 질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 내에 제공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원통형 부재가 삽입 가능한 단부로부터 연장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은 기둥 형상부 내부에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서 내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 구역은 상기 원통형 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개구에 제공된 고정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 부재의 일부에 의해 구비되는 액체 용기.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슬릿만 제공되는 액체 용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탄성 부재 전체에 걸쳐 모두를 관통하지는 않는 액체 용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수직 방향에서 측정된 슬릿의 길이는, D가 원통형 부재의 직경이라 할 때, 2L 〉πD를 만족하는 액체 용기.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액적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 재료가 제공되는 액체 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연결 개구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이 제공되는 액체 용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액적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 재료가 제공되고 상기 연결 개구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이 제공되며, 상기 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슬릿을 따라 연장하는 액체 용기.
  21.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이며,
    외부와 연결 가능한 연결 개구와,
    상기 연결 개구에 제공되고 외부와의 유체 연통을 위해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원통형 부재가 관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 순으로 배치된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구역 및 비압축 구역은 그들이 상기 원통형 부재에 의해 관통될 때 압축되어질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 내에 삽입되는 원통형 부재의 자유 단부는 테이퍼져 있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 내로의 원통형 부재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탄성 부재에 접촉하는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는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가 원통형 부재의 테이퍼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압축 구역은 상기 원통형 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개구에 제공된 고정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 부재의 일부에 의해 구비되는 액체 용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원통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수직인 평면은 고정 부재 내에 제공된 개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형 편평 평면을 구비한 액체 용기.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02-0007629A 2001-02-09 2002-02-09 액체 용기, 액체 용기용 탄성 부재 및 기록 장치 KR100456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33560 2001-02-09
JPJP-P-2001-00033560 2001-02-09
JP2001384679A JP3796439B2 (ja) 2001-02-09 2001-12-18 液体収納容器
JPJP-P-2001-00384679 2001-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224A KR20020066224A (ko) 2002-08-14
KR100456251B1 true KR100456251B1 (ko) 2004-11-10

Family

ID=2660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629A KR100456251B1 (ko) 2001-02-09 2002-02-09 액체 용기, 액체 용기용 탄성 부재 및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12458B2 (ko)
EP (2) EP1231064B1 (ko)
JP (1) JP3796439B2 (ko)
KR (1) KR100456251B1 (ko)
CN (1) CN100369750C (ko)
AT (2) ATE507078T1 (ko)
DE (2) DE60228641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261B1 (ko) * 2015-11-02 2017-06-05 코스테크 주식회사 잉크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9356B2 (en) * 2001-03-21 2005-08-16 Canon Kabushiki Kaisha Container of consumable supplies for a printer and printer utilizing the container
JP3821815B2 (ja) * 2001-06-08 2006-09-13 エフ ホフマン−ラ ロッシュ アクチェン ゲゼルシャフト 対照液パケットおよび体液サンプリング装置を校正するための方法
JP2003103797A (ja) * 2001-09-28 2003-04-09 Canon Inc 液体収納容器、液体収納容器の接続ユニット、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147310B2 (en) * 2002-01-30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US7744202B2 (en) * 2002-01-30 2010-06-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JP3919567B2 (ja) 2002-03-18 2007-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の包装構造およびその開封方法
JP4250433B2 (ja) 2002-03-18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の包装構造およびその開封方法
DE10216654A1 (de) * 2002-04-15 2003-10-23 Artech Gmbh Design & Prod Tintenkartusche
JP3754954B2 (ja) * 2002-11-27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4284094A (ja) * 2003-03-20 2004-10-14 Ricoh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789125B2 (ja) 2003-04-25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EP1664215B1 (en) * 2003-09-19 2015-11-04 Ricoh Company, Ltd. Recording ink for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ink-jet recording apparatus, ink-jet recording process,and recorded matter
US7278722B2 (en) * 2003-11-25 2007-10-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CN100359393C (zh) * 2003-12-17 2008-01-02 Lg.菲利浦Lcd株式会社 液晶分配装置
JP4715101B2 (ja) * 2004-03-04 2011-07-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インク注入方法
DE102004035573A1 (de) * 2004-07-22 2006-02-16 Kmp Printtechnik Ag Tintenkartusche für ein Tintenstrahldrucksyste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4560401B2 (ja) * 2004-12-22 2010-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235360A (ja) * 2005-02-25 2006-09-07 Kyocera Mita Corp 現像ユニット
GB0515806D0 (en) * 2005-08-01 2005-09-07 Dynamic Cassette Int Seal in port
JP4661553B2 (ja) * 2005-11-28 2011-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5053615B2 (ja) * 2006-10-12 2012-10-17 株式会社朝日ラバー ゴム成形体のスリット加工方法及びゴム成形体のスリット加工装置
US8066358B2 (en) * 2007-01-30 2011-1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ver-molded fluid interconnect
JP4664944B2 (ja) * 2007-06-18 2011-04-06 株式会社リコー リフィル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5353565B2 (ja) * 2009-03-17 2013-11-27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8783654B2 (en) * 2010-03-26 2014-07-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Fluid interconnect member, fluid interconnect system, and methods thereof
JP2012148411A (ja) * 2011-01-14 2012-08-09 Seiko Epson Corp 流路部材及び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JP2013180523A (ja) * 2012-03-02 2013-09-12 Seiko Epson Corp カートリッジ
EP2972593A4 (en) * 2013-03-15 2016-03-09 Ricoh Co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079365B2 (ja) * 2013-03-27 2017-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カートリッジ
CN105829109B (zh) 2013-09-18 2018-06-29 佳能株式会社 墨盒和喷墨打印机
RU2654423C2 (ru) 2013-09-18 2018-05-17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Чернильный картридж и струйный принтер
JP6932476B2 (ja) * 2015-04-14 2021-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
FR3039457B1 (fr) 2015-07-30 2020-10-02 Dover Europe Sarl Couvercle pour reservoir d'encre avec fonction de melange
JP6611564B2 (ja) 2015-10-30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ボトルおよび液体収納ボトルのパッケージ
JP6498098B2 (ja) 2015-10-30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液体収容部材
JP2017081083A (ja) 2015-10-30 2017-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ヘッド及び液体充填方法
JP6602160B2 (ja) 2015-10-30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ヘッド
JP6700719B2 (ja) 2015-10-30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ヘッド
FR3071768A1 (fr) * 2017-10-04 2019-04-05 Dover Europe Sarl Couvercle modulable de reservoir
JP2019093669A (ja) 2017-11-27 2019-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補充容器及び液体補充システム
JP7110038B2 (ja) 2018-09-06 202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貯留容器および液体吐出装置
KR102137078B1 (ko) * 2019-10-10 2020-07-23 한국전력공사 고압전자식전력량계 및 고압전자식전력량계에 설치된 브라켓
JP7532055B2 (ja) 2020-03-24 202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JP7504641B2 (ja) 2020-03-27 2024-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7520574B2 (ja) 2020-05-22 202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吐出装置
CN113102171A (zh) * 2021-03-04 2021-07-13 南昌大学 一种涂布机狭缝涂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7718A2 (en) * 1983-02-23 1984-09-05 Sharp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in an ink jet system printer
JPS62158054A (ja) * 1986-01-07 1987-07-14 Nec Corp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US5359356A (en) * 1992-09-30 1994-10-25 Ecklund Joel E Collapsible jet-ink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JPH09240003A (ja) * 1996-03-07 1997-09-16 Canon Inc 弁体、弁、結合機構、これら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及び該インクタンクを有する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JPH10138505A (ja) * 1996-09-11 1998-05-26 Canon Inc 弁、該弁を用いるインクタンク、及び該インクタンクの製造方法
JPH11129491A (ja) * 1997-11-04 1999-05-18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171A (en) * 1973-07-05 1976-03-02 Ims Limited Fluid transfer device
US4516967A (en) * 1981-12-21 1985-05-14 Kopfer Rudolph J Wet-dry compartmental syringe
US5126767A (en) * 1984-02-09 1992-06-30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with dual-member sealing closure
JPH05162333A (ja) 1991-12-13 1993-06-29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DE69232243T2 (de) 1992-01-28 2002-07-25 Seiko Epson Corp., Tokio/Tokyo Tintenvorratspatrone und Behälter dafür
US5721576A (en) * 1995-12-04 1998-02-24 Hewlett-Packard Company Refill kit and method for refilling an ink supply for an ink-jet printer
US6132036A (en) 1995-09-14 2000-10-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production process of ink tank and ink-jet printing apparatus
JPH10193630A (ja) 1997-01-08 1998-07-28 Brother Ind Ltd 液体インク供給装置
US6079823A (en) * 1997-07-23 2000-06-27 Marconi Data Systems Inc. Ink bottle with puncturable diaphragm closure
US6162206A (en) * 1997-12-23 2000-12-19 Baxter International Inc. Resealable access site
JPH11207986A (ja) * 1998-01-27 1999-08-03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タンクとニードルとの連結部材およびこの連結部材を嵌入させているインクタンク
JP2000043288A (ja) * 1998-08-03 2000-02-15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のインクカートリッジとその操 作方法
JP2001010073A (ja) * 1999-06-30 2001-01-16 Mitsubishi Pencil Co Ltd インキジェットプリンティング用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インキ補充方法
US6540342B2 (en) 2000-10-05 2003-04-01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and method for disconnecting liquid container
CA2371040A1 (en) 2001-02-09 2002-08-09 Nobuyuki Hatasa Liquid container and recording apparatus
JP3697213B2 (ja) 2001-02-0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液体の撹拌方法
JP2003103797A (ja) 2001-09-28 2003-04-09 Canon Inc 液体収納容器、液体収納容器の接続ユニット、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7718A2 (en) * 1983-02-23 1984-09-05 Sharp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in an ink jet system printer
JPS62158054A (ja) * 1986-01-07 1987-07-14 Nec Corp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US5359356A (en) * 1992-09-30 1994-10-25 Ecklund Joel E Collapsible jet-ink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JPH09240003A (ja) * 1996-03-07 1997-09-16 Canon Inc 弁体、弁、結合機構、これら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及び該インクタンクを有する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JPH10138505A (ja) * 1996-09-11 1998-05-26 Canon Inc 弁、該弁を用いるインクタンク、及び該インクタンクの製造方法
JPH11129491A (ja) * 1997-11-04 1999-05-18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261B1 (ko) * 2015-11-02 2017-06-05 코스테크 주식회사 잉크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9750C (zh) 2008-02-20
ATE507078T1 (de) 2011-05-15
EP1938998A2 (en) 2008-07-02
US6712458B2 (en) 2004-03-30
KR20020066224A (ko) 2002-08-14
US20020122104A1 (en) 2002-09-05
EP1938998A3 (en) 2008-10-29
JP3796439B2 (ja) 2006-07-12
DE60239902D1 (de) 2011-06-09
DE60228641D1 (de) 2008-10-16
EP1231064B1 (en) 2008-09-03
ATE407011T1 (de) 2008-09-15
EP1231064A2 (en) 2002-08-14
EP1231064A3 (en) 2004-02-04
JP2002307722A (ja) 2002-10-23
CN1376585A (zh) 2002-10-30
EP1938998B1 (en)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251B1 (ko) 액체 용기, 액체 용기용 탄성 부재 및 기록 장치
US6786581B1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EP1044815B1 (en) Liquid container,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same
KR100190414B1 (ko) 잉크 용기 및 잉크 용기 제조 방법
JP449214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997700B2 (en) Ink cartridge with intersections having different curvatures
JP5064381B2 (ja) 第1、第2および第3のシールを規定する封止構成要素
US20050146578A1 (en) Ink cartridge
JPS6153235B2 (ko)
KR950013720A (ko) 잉크 카트리지용 잉크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0995200B1 (ko) 액체 분사 장치
KR100526199B1 (ko)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리필방법
US7682003B2 (en) Need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6837576B2 (en) Method of filling ink supply bag for ink cartridge
EP1531052B1 (en)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er
JPH1158762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013200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TWI255233B (en) Ink cartridge
EP0676293A2 (en) Ink jet needle humidor sealing system
JP2005153285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1260374A (ja) 液剤カートリッジ
JP2023177224A (ja) 液体収容容器及び記録装置
JP5003872B2 (ja) 液体噴射装置
JPH09131886A (ja) インク記録ヘッド用インクタンクのインク再充填装置
JPH0412804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